KR102385936B1 - 올인원 전자동 조리실 후드용 배출가스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올인원 전자동 조리실 후드용 배출가스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5936B1
KR102385936B1 KR1020210157835A KR20210157835A KR102385936B1 KR 102385936 B1 KR102385936 B1 KR 102385936B1 KR 1020210157835 A KR1020210157835 A KR 1020210157835A KR 20210157835 A KR20210157835 A KR 20210157835A KR 102385936 B1 KR102385936 B1 KR 102385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dust collector
electric dust
cleaning
cleaning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7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정희
Original Assignee
케이씨코트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씨코트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씨코트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57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59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5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5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74Cleaning the electrodes
    • B03C3/78Cleaning the electrodes by wash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2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3Ventilation in combination with air clea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올인원 전자동 조리실 후드용 배출가스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공간으로 조리실의 배출가스가 유입되는 급기구와, 후단에 설치되어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구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급기구를 통해 유입된 배출가스 중의 미세먼지 및 오일을 집진하는 전기집진기와, 상기 전기집진기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전기집진기를 통해 미세먼지 및 오일이 제거된 배출가스에 포함된 악취를 촉매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탈취촉매부와, 상기 탈취촉매부의 후단에 설치되어 조리실의 배출가스를 급기구를 통해 흡입하여 배기구로 배출하는 송풍장치와, 상기 전기집진기 및 송풍장치의 가동이 중단되면, 공급배관을 통해 상기 전기집진기에 세정액를 분사하여 세정하는 펌프 및 상기 전기집진기, 송풍장치 및 펌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리실, 식당, 숯가마 사업장 등에서 다양한 조리시에 발생하는 배출가스로부터 미세먼지, 오일(oil), 악취를 동시에 제거하여 정화시킬 뿐만 아니라, 매일 전기집진기를 효과적으로 세정하여 집진효과를 높이고, 악취 성분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으며, 전자동으로 작동함에 따라 사용자의 편리성과 성능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으며, 모듈화되어 있어 설치의 편리성 및 좁은 공간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올인원 전자동 조리실 후드용 배출가스 정화장치{All-in-one fully automatic cooking room hood exhaust gas purification device}
본 발명은 올인원 전자동 조리실 후드용 배출가스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실, 식당, 숯가마 사업장 등에서 다양한 조리시에 발생하는 배출가스로부터 미세먼지, 오일(oil), 악취를 동시에 제거하여 정화시킬 뿐만 아니라, 매일 전기집진기를 세정하여 집진효과를 높이고, 전자동으로 작동하여 사용자의 편리성과 성능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올인원 전자동 조리실 후드용 배출가스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미세먼지 발생원 중 이동식 오염원으로는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가스나 마모로부터의 발생물질과 발전소나 공장의 굴뚝 등을 중심으로 규제가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미세먼지 문제가 심화되고 시민의 건강 문제에 더욱 관심을 가지게 되면서 일반 생활시 발생하는 난방 연료, 장작, 화목 난로, 쓰레기 소각시에 발생하는 미세먼지도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석쇠에 고기를 구울 때 발생하는 미세먼지도 처리 대상이 되고 있다.
여기서, 고기구이시에 발생하는 먼지, 특히 직화구이에서 발생하는 연기와 냄새 물질이 문제가 되고 있으며, 그 이외에 농업 잔재물이나 생활폐기물의 노천 소각, 목재 등이 연료로 쓰이는 아궁이, 화목난로, 숯가마 등이 문제가 된다. 이런 미세먼지 중에는 입자성 물질뿐만 아니라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가 포함되어 있어 더욱 문제가 될 수 있다.
또한, 조리실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는 인체 위해성이 큰 PM2.5 이하의 초미세먼지가 많고, 입자크기가 작을수록 체류시간이 길어지고 이동거리가 늘어나 영향권이 더 넓어지는 특성이 있다. 그리고, 조리실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 중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부분이 생물성 연소부분인데, 2013년 기준 전국 생물성 연소 미세먼지의 배출량은 PM10은 15,663톤, PM2.5는 12,681톤이며, 이중 PM2.5가 차지하는 비율은 81.9%에 달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존방법으로는 직화구이 음식점과 šG가마 배출가스 처리 설비로 전기집진, 활성탄 흡착, 세정식 처리 및 필터이용 방식 등이 있다.
그 중, 전기집진방식은 입자상 물질을 가장 높은 효율로 제거할 수 있으나, 악취 성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에는 기본적인 한계가 있다. 또한, 미세 먼지 및 기름 성분이 많을 경우 집진판에 먼지 성분이 달라붙어서 적절히 제거되지 않을 경우, 단 몇 시간 만에도 집진 효율이 급격히 떨어진다. 또한, 기름때가 누적되어 화재 염려가 있으므로 매일 기름때를 제거하여야 하나, 그것은 사실상 기대하기가 어렵고, 기름때가 누적될 경우 찌든 때 제거가 쉽지 않으므로 기름때 제거를 위하여 상당한 노력이 요구되고, 공장에 직접 가져가서 세정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통상적으로, 전기집진기가 적용된 설비의 경우, 집진기를 한두 달 만에 업체에서 수거하여 세정을 한 후 다시 설치하는 방식을 도입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에는 세정 직후 단 하루를 제외하고는 집진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활성탄 흡착 방식은 악취 성분을 흡착하는 기능이 뛰어난 활성탄을 이용하여 악취를 제거하기에는 최적이지만, 기름때나 미세먼지가 같이 유입될 경우 활성탄의 표면을 막기 때문에 압력 손실이 늘어남과 동시의 활성탄의 흡착 기능 자체를 불가능하게 한다. 이런 현상을 막기 위하여 활성탄 유입 전에 필터를 장착하기는 하나, 필터 자체도 기름때를 완전히 차단하지는 못할 뿐만 아니라, 초미세먼지에서는 그 기능이 매우 약하다. 따라서, 활성탄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매일 전처리 필터를 갈아주어야 하고, 이와 같은 경우에도 미세먼지 차단 기능의 한계 때문에 활성탄 오염은 필수적이다. 그러므로, 활성탄을 자주 갈아주어야 하는데, 만약 그렇지 않을 경우, 운전을 계속하면 활성탄에 축적되어 있던 냄새 성분이 재휘발 되면서 더 심한 악취를 유발하게 된다. 결론적으로 활성탄 흡착 방식은 필터를 매일 갈아주어야 하고 활성탄도 자주 갈아주어야 하기 때문에 운전비가 증가하고, 활성탄 자체의 압력 손실이 크므로 운영비가 매우 크게 증가되어 장기적인 운영으로는 경제적이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대규모 식당이나 숯가마 사업장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기본적으로는 전기집진기를 이용하면서도, 전기집진기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세정기능 및 악취제거 촉매를 장착한 올인원 전자동 조리실 후드용 배출가스 정화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KR 10-2004-0030721 A (2004.04.09.) KR 10-2021-0046925 A (2021.04.29.)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조리실, 식당, 숯가마 사업장 등에서 다양한 조리시에 발생하는 배출가스로부터 미세먼지, 오일(oil), 악취를 동시에 제거하여 정화시킬 뿐만 아니라, 매일 전기집진기를 효과적으로 세정하여 집진효과를 높이고, 악취 성분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는 올인원 전자동 조리실 후드용 배출가스 정화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 다른 목적으로는 본 발명의 올인원 전자동 조리실 후드용 배출가스 정화장치의 작동시에 이상신호를 자가 진단하고, 이를 원격으로 광역 관리하여 문제가 생겼을 경우, 바로 진단팀이 투입되어 점검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올인원 전자동 조리실 후드용 배출가스 정화장치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공간으로 조리실의 배출가스가 유입되는 급기구와, 후단에 설치되어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구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급기구를 통해 유입된 배출가스 중의 미세먼지 및 오일을 집진하는 전기집진기와, 상기 전기집진기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전기집진기를 통해 미세먼지 및 오일이 제거된 배출가스에 포함된 악취를 촉매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탈취촉매부와, 상기 탈취촉매부의 후단에 설치되어 조리실의 배출가스를 급기구를 통해 흡입하여 배기구로 배출하는 송풍장치와, 상기 전기집진기 및 송풍장치의 가동이 중단되면, 공급배관을 통해 상기 전기집진기에 세정액를 분사하여 세정하는 펌프 및 상기 전기집진기, 송풍장치 및 펌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전기집진기는 1단 하전 설비로 이루어지고, 부하 하전을 7~12KV까지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펌프와 인접하여 건조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건조장치는 전환밸브를 전환하여 세정액의 공급을 중단하고, 공급배관을 통해 전기집진기로 온풍을 공급하여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올인원 전자동 조리실 후드용 배출가스 정화장치에서, 설비작동, 차압 및 부하하전을 자가 진단하고, 진단신호를 원격으로 전달받는 모니터링장치(8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리실, 식당, 숯가마 사업장 등에서 다양한 조리시에 발생하는 배출가스로부터 미세먼지, 오일(oil), 악취를 동시에 제거하여 정화시킬 뿐만 아니라, 매일 전기집진기를 효과적으로 세정하여 집진효과를 높이고, 악취 성분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으며, 전자동으로 작동함에 따라 사용자의 편리성과 성능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으며, 모듈화되어 있어 설치의 편리성 및 좁은 공간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송풍장치와 전기집진기가 모두 하나의 정화장치에 포함되어 있어, 송풍장치의 부하에 따라 전기집진기의 부하도 변동하는 특징에 따라 에너지 절감에 특히 유리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초기 설치 때를 제외하고는 별다른 유지관리가 필요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약 0.5~1년에 1회 정도 설비 점검만 하면 지속적으로 성능을 유지하면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운영비가 매우 경제적이고 간편한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악취저감 설비도 장착되어 있으므로 주변 민원소지를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설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을 때, 또는 차압계의 차압이 5~10% 이상으로 높아졌을 때 이를 자가 진단하고, 진단신호를 원격으로 광역 관리하여 문제가 생겼을 경우, 바로 진단팀이 투입되어 점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올인원 전자동 조리실 후드용 배출가스 정화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올인원 전자동 조리실 후드용 배출가스 정화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올인원 전자동 조리실 후드용 배출가스 정화장치가 사용되는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올인원 전자동 조리실 후드용 배출가스 정화장치가 사용되는 다른 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조리실, 식당, 숯가마 사업장 등에서 다양한 조리시에 발생하는 배출가스로부터 미세먼지, 오일(oil), 악취를 동시에 제거하여 정화시킬 뿐만 아니라, 매일 전기집진기를 세정하여 집진효과를 높이고, 전자동으로 작동하여 사용자의 편리성과 성능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올인원 전자동 조리실 후드용 배출가스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올인원 전자동 조리실 후드용 배출가스 정화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올인원 전자동 조리실 후드용 배출가스 정화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올인원 전자동 조리실 후드용 배출가스 정화장치(1)는 하우징(10), 전기집진기(20), 탈취촉매부(50), 송풍장치(60), 펌프(30) 및 제어기(80)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은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공간으로 조리실의 배출가스가 유입되는 급기구(11)와, 후단에 설치되어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구(12)를 포함한다.
전기집진기(20)는 상기 급기구(11)를 통해 유입된 배출가스 중의 미세먼지 및 오일을 집진하는 것으로서, 방전과 집진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1단 하전 설비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기집진기(20)가 1단 하전 설비로 이루어짐에 따라, 설비크기를 작게 하고 집진 효율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압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 절감에도 더욱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전기집진기(20)는 유입되는 배출가스의 풍량 대비 전기집진기(20)의 하전을 조절할 수 있는 자동부하 조절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전기집진기는 압력 손실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 전기 소모량이 낮아지므로 그 자체로 운전비가 절감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1단식 전기집진기의 장점을 이용하기 위하여 부하 하전을 7~12KV까지 조절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는 하기의 송풍장치(60)의 부하와 직접적으로 연계하여 적은 풍량일 때는 전기 부하를 낮출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저부하로 운전될 경우 최대 부하의 1/10 정도의 부하로 운전될 수 있게 된다.
탈취촉매부(50)는 상기 전기집진기(20)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전기집진기(20)를 통해 미세먼지 및 오일이 제거된 배출가스에 포함된 악취를 촉매를 이용하여 제거한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탈취촉매부(50)는 촉매를 이용한 촉매 산화법을 통해, 상기 전기집진기(20)를 통해 미세먼지 및 오일이 제거된 배출가스에 포함된 악취를 촉매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CO2)나 물(H2O) 등 무해한 물질로 산화시켜 제거하게 된다.
조리실, 식당, 숯가마 사업장 등에서 다양한 조리시에 발생하는 배출가스에는 특유의 악취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악취의 특성은 농도가 높지는 않으나, 흡착이 쉽지 않은 저분자 물질, 특히 황화수소, 암모니아, 알데히드 등이 다량 포함되어 있어 흡착시설로도 쉽게 제거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흡착이 쉽지 않은 저분자 물질을 흡착하고, 자체 재생이 가능한 촉매를 이용하여 취기 강도를 낮출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탈취촉매부(50)의 촉매는 허니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압력 손실이 낮아지게 되어 에너지 절감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운전 후 자체 재생이 되어 장기간 성능의 저하없이 운전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6개월 이상의 장기 운전으로 인하여 이물질이 쌓여 촉매의 기능을 상실하였을 때에도 자체 재생을 통해 신촉매와 같은 성능을 회복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송풍장치(60)는 상기 탈취촉매부(50)의 후단에 설치되어 조리실의 배출가스를 급기구(11)를 통해 흡입한 후, 배기구(12)로 배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올인원 전자동 조리실 후드용 배출가스 정화장치(1)는 송풍장치(60)와 전기집진기(20)가 모두 포함되어 있어, 송풍장치(60)의 부하에 따라 전기집진기(20)의 부하도 변동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에너지 절감에 특히 유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조리실이나 식당에서는 조리되는 음식의 종류와 양, 운영 시간에 따라 배출가스 오염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오염 정도에 따라 후드에서 빨아 당기는 배출가스의 양도 달라져야 한다. 따라서, 송풍장치(60)의 운전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비되고, 이에 따라 전기집진기(20)의 부하도 조절되도록 설비가 구성될 수 있다.
펌프(30)는 상기 전기집진기(20) 및 송풍장치(60)의 가동이 중단되면, 공급배관(31)을 통해 상기 전기집진기(20)에 세정액을 분사하여 세정한다.
필요에 따라, 1~5회 반복하여 세정할 수 있으며, 세정액저장탱크(40)를 통해 세정액을 보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세정과정을 통해 배출되는 세정액은 하부의 탱크(도면부호 미도시)로 다시 떨어지게 되고, 상기 탱크에 구비된 필터(도면부호 미도시)를 통해 미세먼지 및 오일 등이 걸러진 후, 걸러진 세정액은 재사용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전기집진 원리를 적용한 설비는 세정을 위하여 세정 전문업체가 1~2달에 1회 정도 출장을 와서 세정을 해주거나, 전기집진기를 철거, 회수하여 세정을 한 후 재설치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전기집진기의 먼지 탈진 주기를 짧게 하는 데에는 분명히 한계가 존재한다. 전기집진기는 하루만 가동하여도 바로 세정을 해야 다음날에 제 성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전기집진기(20) 및 송풍장치(60)의 가동이 중단되면, 타이머 설정에 의하여 매일 자동 세정이 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기집진기(20)를 통해 미세먼지나 오일이 집진판 표면에 달라붙어 찌든 때가 되고 지속적으로 쌓일 경우 화재로 번질 수가 있다. 이는 코로나 방전으로 스파크가 발생하고 오일과 결합해서 불꽃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자동 세정과정을 통해 이러한 현상 또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세정과정을 통해 배출되는 세정액은 일반적으로 배출되는 설거지 폐수와 같은 성분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별도의 폐수처리 장치가 필요하지 않으며, 또한 상기 세정액은 드레인밸브(V2)의 조작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탱크(도면부호 미도시)에는 수위감지센서(도면부호 미도시, S2)가 더 설치되고, 이를 통해 세정시 탱크의 수위를 감지하며, 또한 필요에 따라 세정액탱크(40)를 통해 세정액을 보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세정이 완료된 이후, 전기집진기(20)에 남아있는 물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건조장치(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세정이 완료된 이후, 전환밸브(V1)를 전환하여 세정액의 공급을 중단하고, 건조장치(70)를 가동하여 공급배관(31)을 통해 전기집진기(20)로 온풍이 공급되도록 하여 건조가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건조된 공기는 송풍장치(60)를 저속으로 구동함으로써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상기 과정을 통해 건조된 공기가 조리실로 역류하여 실내 악취를 유발할 수 있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제어기(80)는 올인원 전자동 조리실 후드용 배출가스 정화장치(1)에 전원을 인가하여 전기집진기(20), 송풍장치(60), 펌프(30), 건조장치(70), 전환밸브(V1) 및 드레인밸브(V2) 등의 모든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이러한 제어기(80)에는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전원스위치(도면부호 미도시), 전기집진기(20) 및 송풍장치(60)의 부하 하전을 제어하는 스위치(도면부호 미도시), 펌프(30), 건조장치(70), 전환밸브(V1) 및 드레인밸브(V2)를 제어하는 제어스위치(도면부호 미도시)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올인원 전자동 조리실 후드용 배출가스 정화장치(1)에는 차압계(S1) 및 수위감지센서(S2)가 구비되고, 이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모니터링장치(81)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는, 설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을 때, 또는 차압계(S1)의 차압이 5~10% 이상으로 높아졌을 때 이를 진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송풍장치(60)의 부하에 비하여 전기집진기(20)의 출력이 작거나, 압력 손실이 높아졌을 때 진단신호를 발생하는 것으로 자체적으로 자가 진단이 되도록 하고, 상기 진단신호가 원격의 모니터링장치(81)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이상시 바로 진단팀이 투입되어 점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모니터링장치(81)는 차압계(S1)를 통해 감지되는 차압이 설정된 기준값 이상으로 상승될 경우, 펌프(30)를 동작시켜 탱크에 저장된 세정액을 통해 전기집진기(20)를 설정된 시간동안 세정하도록 제어하고, 이렇게 전기집진기(20)의 세정이 완료되고 나면, 건조장치(70)를 통해 전기집진기(20)를 소정 시간 건조시킨 다음, 차압계(S1)를 통해 차압을 재측정하게 된다.
이때, 차압계(S1)를 통해 재측정된 차압이 여전히 기준값 이상으로 높을 경우 점검신호를 발생하도록 하고, 기준값 이하인 경우 정상적으로 동작이 유지되도록 한다.
한편, 모니터링장치(81)는 펌프(30)가 동작되는 횟수에 따라 탱크에 저장된 세정액을 외부로 배출한 다음, 세정액저장탱크(40)에 저장된 세정액이 탱크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데, 이러한 예로 모니터링장치(81)는 펌프(30)가 동작되어 전기집진기(20)가 1~5회 세정되고 나면, 드레인밸브(V2)를 개방하여 탱크에 저장된 세정액을 외부로 배출시키고, 이렇게 탱크에 저장된 세정액이 외부로 배출되고 나면, 세정액저장탱크(40)에 저장된 세정액을 수위감지센서(S2)를 통해 감지 신호가 발생하지 않을 때까지 탱크에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올인원 전자동 조리실 후드용 배출가스 정화장치가 사용되는 예를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올인원 전자동 조리실 후드용 배출가스 정화장치가 사용되는 다른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올인원 전자동 조리실 후드용 배출가스 정화장치(1)는 조리실, 식당, 숯가마 사업장 등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수평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설치되는 덕트(2)에 연결되어 사용되거나, 또는 수직으로 길이를 가지는 덕트(2)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를 정화시키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인 조리실이나 식당의 정화설비는 필터, 전기집진기, 활성탄 설비 등 모든 설비에 대해, 초기 설치 때뿐만 아니라 지속적으로 유지관리를 해주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필터는 매일 교체해 주고, 활성탄에 대해서는 전처리 설비를 관리해주어야 하거나 활성탄의 교체가 필요하며, 전기 집진기는 주기적인 세정이 필요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초기 설치 때를 제외하고는 별다른 유지관리가 필요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약 0.5~1년에 1회 정도 설비 점검만 하면 지속적으로 성능을 유지하면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운영이 매우 경제적이고 유지보수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 또한, 악취저감 설비도 장착되어 있으므로 주변 민원소지를 차단하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올인원 전자동 조리실 후드용 배출가스 정화장치는 하루에 한번씩 전기집진기를 효과적으로 세정할 수 있고, 악취 성분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으며, 전자동으로 작동함에 따라 사용자의 편리성과 성능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으며, 모듈화되어 있어 설치의 편리성 및 좁은 공간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위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과 도면에 나타난 구성에 도면부호와 명칭을 부여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면상에 나타난 형상과 부여된 명칭에 국한되어 그 권리범위가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예측 가능한 다양한 형상으로의 변경과 동일한 작용을 하는 구성으로의 단순 치환은 통상의 기술자가 쉽게 실시하기 위해 변경 가능한 범위 내에 있음은 지극히 자명하다고 볼 것이다.
1 : 올인원 전자동 조리실 후드용 배출가스 정화장치
2 : 덕트
10 : 하우징 11 : 급기구
12 : 배기구 20 : 전기집진기
30 : 펌프 31 : 공급배관
40 : 세정액저장탱크 50 : 탈취촉매부
60 : 송풍장치 70 : 건조장치
80 : 제어기 81 : 모니터링장치
V1 : 전환밸브 V2 : 드레인밸브
S1 : 차압계 S2 : 수위감지센서

Claims (4)

  1.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공간으로 조리실의 배출가스가 유입되는 급기구(11)와, 후단에 설치되어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구(12)를 포함하는 하우징(10);
    상기 급기구(11)를 통해 유입된 배출가스 중의 미세먼지 및 오일을 집진하는 전기집진기(20);
    상기 전기집진기(20)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전기집진기(20)를 통해 미세먼지 및 오일이 제거된 배출가스에 포함된 악취를 촉매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탈취촉매부(50);
    상기 탈취촉매부(50)의 후단에 설치되어 조리실의 배출가스를 급기구(11)를 통해 흡입하여 배기구(12)로 배출하는 송풍장치(60);
    상기 전기집진기(20) 및 송풍장치(60)의 가동이 중단되면, 공급배관(31)을 통해 상기 전기집진기(20)에 세정액을 분사하여 세정하는 펌프(30); 및
    상기 전기집진기(20), 송풍장치(60) 및 펌프(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80);
    를 포함하되,
    상기 전기집진기(20)는,
    1단 하전 설비로 이루어지고, 부하 하전을 7~12KV까지 조절하며,
    상기 펌프(30)의 세정과정은,
    1~5회 반복하여 수행하고, 세정액저장탱크(40)를 통해 세정액을 보충하며, 상기 세정과정을 통해 배출되는 세정액이 하부의 탱크로 다시 떨어지고, 상기 탱크에 구비된 필터를 통해 미세먼지 및 오일이 걸러진 후, 걸러진 세정액은 재사용되며,
    상기 탱크에는 수위감지센서(S2)가 더 설치되어, 세정시 탱크의 수위를 감지하고, 필요에 따라 세정액탱크(40)를 통해 세정액을 보충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펌프(30)와 인접하여 건조장치(70)를 더 포함하되,
    상기 건조장치(70)는 전환밸브(V1)를 전환하여 세정액의 공급을 중단하고, 공급배관(31)을 통해 전기집진기(20)로 온풍을 공급하여 건조시키며,
    수위감지를 통해 세정액 공급을 제어하고, 설비작동, 차압 및 부하하전을 자가 진단하며, 진단신호를 원격으로 전달받는 모니터링장치(8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인원 전자동 조리실 후드용 배출가스 정화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10157835A 2021-11-16 2021-11-16 올인원 전자동 조리실 후드용 배출가스 정화장치 KR102385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7835A KR102385936B1 (ko) 2021-11-16 2021-11-16 올인원 전자동 조리실 후드용 배출가스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7835A KR102385936B1 (ko) 2021-11-16 2021-11-16 올인원 전자동 조리실 후드용 배출가스 정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5936B1 true KR102385936B1 (ko) 2022-04-15

Family

ID=81212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7835A KR102385936B1 (ko) 2021-11-16 2021-11-16 올인원 전자동 조리실 후드용 배출가스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593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837A (ja) * 1993-06-28 1995-01-13 Matsushita Seiko Co Ltd 電気集塵設備の洗浄制御装置
JPH11319632A (ja) * 1998-05-11 1999-11-24 Mitsubishi Heavy Ind Ltd 電気集じん装置の洗浄方法
KR20040030721A (ko) 2001-07-13 2004-04-09 가부시키가이샤 노리타케 캄파니 리미티드 배기 정화 장치 및 그 이용
KR20190125000A (ko) * 2018-04-27 2019-11-06 (주)엔노피아 전기 집진 장치
KR102196391B1 (ko) * 2020-04-09 2020-12-29 박병천 업소용 집진 및 악취 제거 시스템
KR20210046925A (ko) 2019-10-21 2021-04-29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음식점 배출가스 공기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837A (ja) * 1993-06-28 1995-01-13 Matsushita Seiko Co Ltd 電気集塵設備の洗浄制御装置
JPH11319632A (ja) * 1998-05-11 1999-11-24 Mitsubishi Heavy Ind Ltd 電気集じん装置の洗浄方法
KR20040030721A (ko) 2001-07-13 2004-04-09 가부시키가이샤 노리타케 캄파니 리미티드 배기 정화 장치 및 그 이용
KR20190125000A (ko) * 2018-04-27 2019-11-06 (주)엔노피아 전기 집진 장치
KR20210046925A (ko) 2019-10-21 2021-04-29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음식점 배출가스 공기정화장치
KR102196391B1 (ko) * 2020-04-09 2020-12-29 박병천 업소용 집진 및 악취 제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98094C (zh) 空气净化装置
KR101663962B1 (ko) 공기정화기의 악취 제거장치
JP2008259809A (ja) 空気清浄機
EP1122105A2 (en) System for purifying the ventilation air in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motor vehicles or the like and of flows of air containing dust, exhaust fumes or the like, by atomization filtration
JP2010240233A (ja) 空気清浄機
JPH06114224A (ja) 空気調和機
KR102385936B1 (ko) 올인원 전자동 조리실 후드용 배출가스 정화장치
CN204973428U (zh) 一种油烟净化一体机
CN110756334A (zh) 一种具有清洁效果的安全性高的静电式空气净化器
CN201819286U (zh) 筒式阵列结构油烟异味电净化器
CN202709243U (zh) 新型油烟净化一体机
KR102057492B1 (ko) 자동차 도장 부스용 공기정화 처리장치
KR20160089978A (ko) 구이음식점 배출가스 처리장치
CN209512142U (zh) 一种方形油烟净化机
KR100564648B1 (ko) 공기청정기능이 구비된 재순환레인지후드
CN104676688A (zh) 一种环保油烟机
CN104235909A (zh) 一种集成灶的空气净化装置
CN111237833A (zh) 一种带空气净化功能的油烟机
CN113266918A (zh) 一种自动清洗的消毒杀菌空气净化设备及其工作方法
CN205795283U (zh) 档案消毒净化整理台、空气净化组件及杀菌消毒组件
KR20150136185A (ko) 건조음식물 흡착제를 이용한 공기청정기
CN220125812U (zh) 一种废气净化装置
KR102421147B1 (ko) 업소용 주방 배기 시스템
KR200295315Y1 (ko) 발열판이 구비된 대기오염 방지장치
CN219433292U (zh) 一种火电厂废气催化燃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