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0772B1 - 이동식 전원공급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식 전원공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0772B1
KR102420772B1 KR1020210069890A KR20210069890A KR102420772B1 KR 102420772 B1 KR102420772 B1 KR 102420772B1 KR 1020210069890 A KR1020210069890 A KR 1020210069890A KR 20210069890 A KR20210069890 A KR 20210069890A KR 102420772 B1 KR102420772 B1 KR 102420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power supply
user
vehicle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9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0772B9 (ko
Inventor
김종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퍼스트씨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퍼스트씨앤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퍼스트씨앤디
Priority to KR1020210069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07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0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0772B1/ko
Publication of KR102420772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0772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50Charging stations characterised by energy-storage or power-generation means
    • B60L53/53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6Driver interactions by 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충전을 위한 전원 공급 장치를 차량에 고정 설치한 상태에서 지정된 시간에 지정된 장소로 이동하여 충전이 필요한 전기차와 이동용 모빌리티의 이용자들에게 상당한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이동식 전원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전원공급 시스템은 개방된 적재 공간이 구비되는 이송용 차량, 내부에 다수의 배터리셀이 구비되고, 전기차의 충전을 위한 입력이 발생하는 입력부와 결제가 발생하는 결제부 그리고 충전용 커넥터를 포함하는 다수의 충전부가 외부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컨테이너의 형태로 구성되어, 이송용 차량의 적재 공간에 고정 설치되는 전원 공급 장치, 이송용 차량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고, 충전 신청에 의한 충전 순서를 배정하며, 충전량에 따른 요금을 산정하여 부가하는 관리 서버 및, 이송용 차량의 위치 정보를 확인 가능하고, 충전 신청과 취소가 가능하며, 배정된 충전 순서를 확인 가능한 이용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식 전원공급 시스템{Mobile power supply system}
본 발명은 전기차와 이동용 모빌리티 이용자들의 편의성 향상을 위한 이동식 전원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 충전을 위한 전원 공급 장치를 차량에 고정 설치한 상태에서 지정된 시간에 지정된 장소로 이동하여 충전이 필요한 전기차와 이동용 모빌리티의 이용자들에게 상당한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이동식 전원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연기관을 대신하여 2차 전지를 동력원으로 이용하는 자동차를 전기 자동차라고 하며, 이러한 전기 자동차와 관련한 시장의 규모는 환경의 보호를 위한 전세계적인 친환경 트렌드에 따라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전기 자동차의 이용량이 급속도로 증가함에 따라 전기 자동차의 충전을 위한 충전소나 충전기의 설치도 동반하여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나, 아직까지는 그 수량이 충분하지 못하기 때문에 충전에 불편을 겪고 있는 전기 자동차 이용자들의 불만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주변에 전기 충전소나 충전기가 없거나 한정된 수량만이 구비된 지역이나 구역에서는 전기차의 충전을 위한 치열한 경쟁이 항상 발생할 수 있거나 이미 발생하고 있으나, 충전소나 충전기의 설치에는 비용상의 문제와 부지의 확보 문제 등이 뒤따르게 되므로 모두가 만족할 수 있을 만한 시급한 개선은 어렵다 하겠다.
이러한 문제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125343호의 “이동식 전기차 충전차량”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16176호의 “이동식 전기 충전소 운영 시스템” 등의 발명들이 제안되어 공개된 바 있다.
우선,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125343호의 “이동식 전기차 충전차량”에는 탈부착 가능한 다수의 배터리가 장착된 차량을 충전소가 필요한 지역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충전의 수요는 많으나 공급이 부족한 문제를 일부라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었다.
또한,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16176호의 “이동식 전기 충전소 운영 시스템”에는 태양광 충전을 위한 태양전지패널이 상부에 설치된 전기공급차량을 제공하되, 기준치 이하의 배터리 잔량이 측정되는 경우에는 그 전기공급차량을 대신하는 다른 전기공급차량이 투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급량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발명들은 단순히 차량을 이용한 이동식 충전소의 개념만을 제시한 것이어서 아이디어인 사상이 기술로서 구체화되지 못한 문제가 있거나 발명의 실시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들을 고려한 각각의 구체적인 대응 방안을 충분하게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발명들을 참고로 하되 종래의 발명들이 가진 한계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기능을 개선하여 전기차나 이동용 모빌리티의 이용자들에게 충전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새로운 기술에 관한 발명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125343호(2020. 11. 04.)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16176호(2018. 11. 01.)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전원공급 시스템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발명으로써,
지역이나 구역에 따라 전기 충전소나 충전기가 부족하여 충전에 불편을 겪고 있는 전기차 이용자들의 불만이 발생하고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발명들은 단순히 차량을 이용한 이동식 충전소의 개념만을 제시한 것이어서 아이디어인 사상이 기술로서 구체화되지 못한 문제가 있거나, 발명의 실시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들을 고려한 각각의 구체적인 대응 방안을 충분하게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고자,
개방된 적재 공간이 구비되는 이송용 차량; 내부에 다수의 배터리셀이 구비되고, 전기차의 충전을 위한 입력이 발생하는 입력부와 결제가 발생하는 결제부 그리고 충전용 커넥터를 포함하는 다수의 충전부가 외부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컨테이너의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이송용 차량의 적재 공간에 고정 설치되는 전원 공급 장치; 상기 이송용 차량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고, 충전 신청에 의한 충전 순서를 배정하며, 충전량에 따른 요금을 산정하여 부가하는 관리 서버; 및, 상기 이송용 차량의 위치 정보를 확인 가능하고, 충전 신청과 취소가 가능하며, 배정된 충전 순서를 확인 가능한 이용자 단말기;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전원공급 시스템을 제시한다.
이때, 상기 관리 서버는 위치 정보와 시간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기 이송용 차량의 기설정된 스케쥴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기설정된 스케쥴 정보를 이용자의 충전 신청에 의한 충전 순서의 배정에 반영하여, 충전 신청을 승인 또는 거절하거나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일부만 승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전원공급 시스템은,
이송용 차량을 통해 이송되는 전원 공급 장치의 구성을 제시함으로써 주변에 전기 충전소나 충전기가 없거나 한정된 수량만이 구비되어 충전에 불편을 겪고 있는 전기차 이용자들의 불만을 일정부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고,
온라인을 통한 충전 신청과 충전 순서의 배정 등 발명의 실시를 위한 관리 서버와 이용자 단말기의 구성을 제시하되, 관리 서버와 이용자 단말기의 기능을 보다 구체화하여 제시함으로써 발명의 실시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들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전원공급 시스템의 이송용 차량에 전원 공급 장치가 고정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전기차의 충전을 실시중인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전원공급 시스템의 전원 공급 장치에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전원공급 시스템의 관리 서버와 이용자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전원공급 시스템의 공급용 차량과 메인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전원공급 시스템의 이송용 차량에 태양광 충전을 위한 장치가 설치되어 사용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본 발명은 전기차와 이동용 모빌리티 이용자들의 편의성 향상을 위한 이동식 전원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개방된 적재 공간이 구비되는 이송용 차량(100); 내부에 다수의 배터리셀이 구비되고, 전기차의 충전을 위한 입력이 발생하는 입력부와 결제가 발생하는 결제부 그리고 충전용 커넥터를 포함하는 다수의 충전부(111)가 외부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컨테이너의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이송용 차량(100)의 적재 공간에 고정 설치되는 전원 공급 장치(110); 상기 이송용 차량(100)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고, 충전 신청에 의한 충전 순서를 배정하며, 충전량에 따른 요금을 산정하여 부가하는 관리 서버(120); 및, 상기 이송용 차량(100)의 위치 정보를 확인 가능하고, 충전 신청과 취소가 가능하며, 배정된 충전 순서를 확인 가능한 이용자 단말기(1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전원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전기차의 이용자들과 이동용 모빌리티 이용자들이 모두 이용 가능한 것이나 본문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기차를 대상으로만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상기 이송용 차량(100)은 전원 공급 장치(110)를 이송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차량이며, 하단과 전방을 제외하고 여러 방향으로 개방된 적재 공간이 구비되어 그 적재 공간에 전기차의 전기 충전을 위한 전원 공급 장치(110)가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용 차량(100)은 화물의 이송을 위해 사용되는 일반적인 형태나 특수 형태의 트럭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상기한 조건을 만족하는 한 차량의 크기나 종류 등에는 제한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이송용 차량(100)은 본 발명에 의한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지역이나 구역의 수요 등에 적합한 크기나 종류의 트럭이 선택되어 이용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각 지역이나 구역으로의 전력 공급량이 평균적인 수요나 당일에 예측되는 수요에 따라 효율적으로 배분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전원 공급 장치(110)는 전기차의 전기 충전을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충전소 대용의 장치이며, 내부에 다수의 배터리셀이 구비되고, 전기차의 충전을 위한 입력이 발생하는 입력부와 결제가 발생하는 결제부 그리고 충전용 커넥터를 포함하는 다수의 충전부(111)가 외부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컨테이너의 형태로 구성되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용 차량(100)의 적재 공간에 용이하게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이송용 차량(100)의 적재 공간에는 상기 전원 공급 장치(110)의 올바른 위치 설정을 위한 레일이 구비되거나 레일홈이 형성될 수 있고, 전원 공급 장치(110)의 견고한 고정을 위한 고정 장치가 구비될 수 있으며, 레일이나 레일홈, 그리고 고정 장치에 각각 대응하는 구성이 전원 공급 장치(110)에 구비되거나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 공급 장치(110)의 외부의 양측면에는 전기차의 충전을 위한 다수의 충전부(111)가 구비되어 다수의 전기차가 상기 이송용 차량(100)의 양측방에서 동시에 충전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며, 충전부(111)를 구성하는 입력부와 결제부, 충전용 커넥터와 충전용 커넥터에 연결되는 전력선 등의 구성은 공지의 전기차용 충전기와 동일한 것이므로,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때, 다수의 충전부(111)가 구비되는 상기 전원 공급 장치(110)의 양측면이라 함은 전원 공급 장치(110)의 길이 방향이나 상기 이송용 차량(100)의 전진과 후진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며, 이송용 차량(100)의 후방을 향하여 위치하게 되는 후면에는 관리자의 출입을 위한 출입문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충전부(111)는 온라인을 통해 충전 신청한 이용자가 이용 가능한 온라인 전용 충전부와 온라인을 통한 예약없이 현장에 도착한 이용자가 이용 가능한 오프라인 전용 충전부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중 온라인 전용 충전부에는 문자, 기호 또는 숫자 중 어느 하나가 LED 등으로 표시되어 이용자가 자신에게 배정된 충전부(111)를 용이하게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온라인을 통해 충전 신청한 이용자는 자신에게 배정된 충전 순서에 따라 자신에게 배정된 충전부(111)에서 충전을 실시할 수 있게 되나 온라인을 통한 예약없이 현장에 도착한 이용자는 현장에 도착한 순서대로 대기하여야 하며, 현장에서 온라인을 통해 충전 신청하거나 오프라인 전용 충전부에 구비되는 UI(User Interface)를 통해 대기순번을 배정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충전부(111)는 전기차의 급속 충전 기능을 제공하는 급속 충전부로만 구성될 수 있으나, 오프라인 전용 충전부는 완속 충전 기능을 제공하는 완속 충전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급속 충전부를 이용할 때의 요금과는 일부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 공급 장치(110)의 양측면의 상부측에는 디스플레이부(112)가 각각 구비됨으로써 화면에 각 충전부(111)의 남은 충전 시간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표시되도록 할 수 있고, 충전이 완료된 충전부(111)를 안내하는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미리 배정된 충전 순서에 따라 충전 순서가 도래한 차량의 번호를 안내하는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중, 충전이 완료된 충전부(111)를 안내하는 메시지와 미리 배정된 충전 순서에 따라 충전 순서가 도래한 차량의 번호를 안내하는 메시지는 음성과 함께 출력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구성들에 의해 충전을 완료한 전기차로부터 다음 순서의 전기차로의 교체에 지체되는 시간이 최소화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상기 관리 서버(120)는 이용자들에게 본 발명의 이용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의 서버 장치이며, 온라인을 통해 상기 이송용 차량(100)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고, 온라인을 통해 발생하는 충전 신청에 의한 충전 순서를 배정한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120)는 이용자 각각의 충전량에 따른 요금을 산정하여 부가함으로써 종합적으로는 본 발명의 이용 편의성이 향상될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본 발명의 이용을 위한 서비스의 제공자에게는 충전 서비스의 제공에 따른 수익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을 이용하고자 하는 이용자는 상기 이송용 차량(100)이 정차한 위치로 이동하여 자신의 전기차를 충전할 수 있으나, 대기중인 이용자의 수에 따라 대기 시간이 크게 증가할 수 있고, 상황에 따라서는 충전이 불가할 수 있으며, 충전 순서를 두고 다른 이용자와의 분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이용하고자 하는 이용자는 온라인을 통해 미리 충전 신청을 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들을 모두 해결할 수 있으며, 배정된 충전 순서에 따른 예약 시간을 확인할 수 있고, 개인적인 상황에 따라서는 배정이 완료된 충전 신청을 취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120)는 위치 정보와 시간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기 이송용 차량(100)의 기설정된 스케쥴 정보를 온라인을 통해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기설정된 스케쥴 정보를 이용자의 충전 신청에 의한 충전 순서의 배정에 반영하여, 충전 신청을 승인 또는 거절하거나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일부만 승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이송용 차량(100)의 구성을 통해 전기차 이용자들에게 이동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송용 차량(100)의 현재의 위치와 그 위치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간이 공지되어야 하고, 다른 장소로의 이동이 예정된 경우에는 이동이 예정된 위치와 그 위치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간이 미리 공지되어야 한다.
이를 종합하여 스케쥴 정보라고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이용하고자 하는 전기차 이용자는 온라인을 통해 제공되는 스케쥴 정보를 확인하고 위치와 시각을 지정하여 충전 신청을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리 서버(120)는 이용자의 충전 신청이 발생한 순서에 따라 충전 순서를 배정하게 되나, 기설정된 스케쥴에 따른 다른 서비스 제공 장소로의 이동이 임박하였거나 충전 서비스의 종료 시간이 임박한 상태에서 발생하는 현재의 장소를 지정한 충전 신청에 대해서는 다른 이용자의 충전 신청 현황을 반영하여 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120)는 모든 충전 신청 현황을 계산하여 추가로 발생하는 충전 신청을 거절할 수 있다.
다만, 상기 관리 서버(120)는 다른 서비스 제공 장소로의 이동이 임박하였거나 충전 서비스의 종료가 임박한 상태에서도 기설정된 최소한의 충전 시간이 보장될 수 있는 경우에는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충전 신청을 일부만 승인함으로써 그 이용자가 충전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이용자가 상기 이송용 차량(100)의 스케쥴 정보를 확인하고 위치와 시각을 지정하여 충전 신청을 할 때에는 스케쥴에 의한 문제나 충전 신청 현황에 의한 문제 등 완충이 불가한 이유와 함께 충전을 제공 가능한 시간이나 제공 가능한 충전량 등의 정보가 상황에 따라 이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으며, 이용자는 제공된 정보를 확인하고 충전 신청의 유지 또는 취소를 선택할 수 있다.
이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로써, 상기 이송용 차량(100)의 스케쥴 정보에 따라 충전 서비스의 종료가 오후 10시인 상태에서 오후 9시 40분으로 시각이 지정된 이용자에 의한 충전 신청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기 관리 서버(120)는 이용자에게 약 20분간의 충전이 제공될 수 있음을 공지할 수 있다.
이때, 이용자는 충전 신청을 유지함으로써 약 20분간의 충전 시간만을 제공받거나 충전 신청을 취소할 수 있으며, 미리 공지된 내용에 따라 충전 중 충전 서비스의 종료 시각이 도래하는 경우에는 충전이 자동으로 종료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관리 서버(120)는 상기 전원 공급 장치(110)의 내부에 구비된 전체 배터리셀의 남은 충전량과 이용자의 충전 신청에 의해 예상되는 소비량을 고려하여 충전 신청을 승인 또는 거절하거나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일부만 승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이송용 차량(100)의 구성을 통해 전기차 이용자들에게 이동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어서 상기 전원 공급 장치(110)의 용량에 따라 전원의 공급량이 제한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그 공급량을 초과하여 발생하는 충전 신청에 대해서는 상기 관리 서버(120)에 의한 거절이 발생할 수 있다.
다만, 상기 관리 서버(120)는 상기 전원 공급 장치(110)의 내부에 구비된 모든 배터리셀의 방전이 임박한 상태에서도 기설정된 최소한의 충전 시간이 보장될 수 있는 경우에는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충전 신청을 일부만 승인함으로써 이용자가 충전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이용자가 스케쥴 정보를 확인하고 위치와 시각을 지정하여 충전 신청을 할 때에는 배터리셀의 남은 충전량 등 완충이 불가한 이유와 함께 충전을 제공 가능한 시간 등의 정보가 이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으며, 이용자는 제공된 정보를 확인하고 충전 신청의 유지 또는 취소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120)는 충전 순서가 배정된 상태에서 이용자에 의한 충전 신청의 취소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취소가 발생한 시각을 기준으로 하여 충전 순서의 재조정을 실시할 수 있으며, 충전 순서의 재조정은 이용자의 승인을 반드시 필요로 한다.
즉, 상기 관리 서버(120)는 충전 신청의 취소를 신청한 이용자의 충전 순서를 기준으로 하여 후순위의 이용자에게 충전 순서의 재조정을 문의하기 위한 목적의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그 이용자가 표시한 의사에 따라 충전 순서를 재조정하거나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관리 서버(120)는 충전 순서를 재조정하거나 그대로 유지한 이용자의 충전 순서를 기준으로 하여 다시 후순위의 이용자에게 충전 순서의 재조정을 문의하기 위한 목적의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그 이용자가 표시한 의사에 따라 충전 순서를 재조정하거나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리 서버(120)는 이용자가 의사를 표시하지 않은 상태에서 기설정된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에는 그 이용자가 충전 순서의 재조정에 동의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함으로써 충전 순서의 재조정을 위한 절차의 진행이 신속하게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과정의 반복에 의하여, 상기 관리 서버(120)는 전체 이용자들에 대한 충전 순서의 재조정을 완료할 수 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충전 순서의 배정이 발생하지 않은 공백에 대해서는 새로운 이용자에 의한 충전 순서의 배정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상기 이용자 단말기(130)는 온라인을 통해 제공되는 전용앱이 설치된 이용자의 스마트폰이며, 설치된 전용앱의 실행을 통해 이용자가 상기 이송용 차량(100)의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충전 신청과 충전 신청을 취소할 수 있도록 하며, 배정된 충전 순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을 이용하여 자신의 전기차를 충전하고자 하는 이용자는 자신의 스마트폰에 전용앱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고, 설치된 전용앱을 실행 후 회원가입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며, 이와 같은 과정에 따라 전용앱이 설치된 사용자의 스마트폰은 이용자 단말기(130)로 이용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이용자는 회원가입하는 과정이나 회원가입 후에 자신의 전기 차량을 등록할 수 있으며, 등록에 이용되는 방식으로는 전기차 모델명과 차량의 등록번호 등을 입력하는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이후, 전용앱의 설치와 회원가입을 완료한 이용자는 상기 이용자 단말기(130)를 이용하여 상기 이송용 차량(100)의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다른 이용자들의 예약 현황을 확인할 수 있으며, 예약 시간을 지정하여 그 위치에서의 충전 신청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용자 단말기(130)를 이용하여 충전 신청을 실시한 이용자는 상황에 따라 충전 신청의 취소를 신청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리 서버(120)는 이용자의 충전 신청을 승인하여야 하나, 기설정된 스케쥴 정보와 다른 이용자의 충전 신청 현황 그리고 상기 전원 공급 장치(110)의 내부에 구비된 전체 배터리셀의 충전량과 이용자의 충전 신청에 의해 예상되는 소비량을 모두 반영하여 거절할 수 있으며, 이용자에 의한 충전 신청의 취소를 즉시 승인하여야 한다.
다만, 상기 관리 서버(120)는 이용자에게 기설정된 최소한의 충전 시간이 보장될 수 있는 경우에는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충전 신청을 일부만 승인함으로써 그 이용자가 충전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할 수 있음은 상기한 바 있다.
또한, 충전 신청에 따른 충전 순서의 배정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이용자에게 배정된 충전부(111)를 이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문자, 기호 또는 숫자가 함께 제공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충전 신청의 취소에 따른 충전 순서의 재조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관리 서버(120)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가 상기 이용자 단말기(130)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으며, 재조정에 동의한 이용자의 충전 순서는 재조정되되, 재조정에 동의하지 않은 이용자의 충전 순서는 그대로 유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이용자는 충전이 완료된 상태에서 충전량에 따라 부가된 요금에 대한 결제를 상기 결제부를 통해 실시할 수 있으나, 상기 이용자 단말기(130)를 이용하여 결제를 실시할 수도 있으며, 결제에 이용되는 방식으로는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앱 카드 결제 방식, 현금 이체 방식 그리고 무통장 입금 방식 등의 다양한 방식들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용자 단말기(130)에는 충전 순서의 도래와 충전의 완료를 안내하는 메시지가 단독으로 표시되거나 음성과 함께 표시됨으로써 이용자가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용자가 상기 이용자 단말기(130)를 이용하여 특정의 지역이나 구역에 대한 충전 서비스의 제공을 요청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관리 서버(120)는 충전 서비스의 제공을 요청하는 이용자의 수를 종합하여 관리자 등에게 제공함으로써 상기 이송용 차량(100)의 배차 일정에 그 지역이나 구역이 반영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이용자가 상기 이용자 단말기(130)를 이용하여 미리 요금을 지불하고 충전 서비스의 제공이 필요한 구체적인 장소를 지정하여 상기 이송용 차량(100)의 배차를 신청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전원 공급 장치(110)의 내부에 구비된 전체 배터리셀의 남은 충전량과 이용자의 충전 신청에 의해 예상되는 소비량을 고려하여 충전 신청을 승인 또는 거절하거나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일부만 승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나, 전력 공급량을 늘리기 위한 방안을 함께 준비함으로써 보다 실효성있는 충전 서비스의 제공이 실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배터리셀의 추가 공급을 위한 메인 서버(140)와 공급용 차량(1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리 서버(120)는 상기 전원 공급 장치(110)의 내부에 구비된 전체 배터리셀의 남은 충전량과 이용자의 충전 신청에 의해 예상되는 소비량을 고려하여 배터리셀의 추가 공급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중앙의 메인 서버(140)로 전송함으로써 공급용 차량(150)에 의한 배터리셀의 추가 공급이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급용 차량(150)은 상기 메인 서버(140)와 양방향 통신하며 자율 주행하는 자율 주행 차량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완충된 다수의 배터리셀을 내부에 구비하고, 기지정된 장소에 정차한 상태로 대기중 상기 메인 서버(140)로부터 전송되는 배터리셀의 공급 신호가 수신하는 경우에만 상기 이송용 차량(100)이 정차한 장소를 향해 자율 주행함으로써 완충된 배터리셀의 추가 공급과 사용된 배터리셀의 회수가 실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공급용 차량(150)은 다시 원래의 장소로 복귀하여 정차하거나 이송용 차량(100) 인근의 기지정된 장소에 함께 정차할 수 있으며, 정차한 상태로 대기중 상기 메인 서버(140)로부터 배터리셀의 공급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에는 다시 다른 이송용 차량(100)이 정차한 장소를 향해 자율 주행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는 전원의 공급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태양광 충전을 위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으며, 태양의 위치에 따른 태양광의 충전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방향과 각도의 조절을 위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 공급 장치(110)에는 태양광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태양광 모듈(113), 상기 전원 공급 장치(110)의 각 코너측에 상기 태양광 패널의 모듈을 지지하는 형태로 설치되되, 서로 다른 길이로 승강할 수 있는 형태로 설치되어 태양광 모듈(113)의 기울기 방향과 각도를 다양하게 형성 가능한 다수의 지지대(114) 및, 상기 태양광 모듈(113)의 기울기 방향과 각도의 제어를 위한 이용자 입력이 발생하는 제어부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 공급 장치(110)에는 상기한 구성 이외에도 배터리셀의 태양광 충전을 위한 다른 필수적인 장치들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관리자는 제어부를 이용하여 태양광 충전을 위한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전원 공급 장치(110)의 내부에 구비된 배터리셀이 충전되도록 할 수 있으며, 제어부를 이용하여 받침판의 기울기 방향과 각도를 태양의 위치에 따라 조정함으로써 태양광 패널에 의한 태양광의 수집 효율이 증가하도록 할 수 있다.
위에서 소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써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 또는 축소되어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100 : 이송용 차량
110 : 전원 공급 장치 → 111 : 충전부
→ 112 : 디스플레이부
→ 113 : 태양광 모듈
→ 114 : 지지대
120 : 관리 서버
130 : 이용자 단말기
140 : 메인 서버
150 : 공급용 차량

Claims (6)

  1. 개방된 적재 공간이 구비되는 이송용 차량(100);
    내부에 다수의 배터리셀이 구비되고, 전기차의 충전을 위한 입력이 발생하는 입력부와 결제가 발생하는 결제부 그리고 충전용 커넥터를 포함하는 다수의 충전부(111)가 외부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컨테이너의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이송용 차량(100)의 적재 공간에 고정 설치되는 전원 공급 장치(110);
    상기 이송용 차량(100)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고, 충전 신청에 의한 충전 순서를 배정하며, 충전량에 따른 요금을 산정하여 부가하는 관리 서버(120); 및,
    상기 이송용 차량(100)의 위치 정보를 확인 가능하고, 충전 신청과 취소가 가능하며, 배정된 충전 순서를 확인 가능한 이용자 단말기(13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관리 서버(120)는,
    위치 정보와 시간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기 이송용 차량(100)의 기설정된 스케쥴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기설정된 스케쥴 정보를 이용자의 충전 신청에 의한 충전 순서의 배정에 반영하여, 충전 신청을 승인 또는 거절하거나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일부만 승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관리 서버(120)는 기설정된 스케쥴에 따른 다른 서비스 제공 장소로의 이동이 임박하였거나 충전 서비스의 종료 시간이 임박한 상태에서 발생하는 현재의 장소를 지정한 충전 신청에 대해서는 다른 이용자의 충전 신청 현황을 반영하여 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되, 기설정된 최소한의 충전 시간이 보장될 수 있는 경우에는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충전 신청을 일부만 승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관리 서버(120)는,
    상기 전원 공급 장치(110)의 내부에 구비된 전체 배터리셀의 남은 충전량과 이용자의 충전 신청에 의해 예상되는 소비량을 고려하여, 충전 신청을 승인 또는 거절하거나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일부만 승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관리 서버(120)는 상기 전원 공급 장치(110)의 공급량을 초과하여 발생하는 충전 신청에 대해서는 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되, 상기 전원 공급 장치(110)의 내부에 구비된 모든 배터리셀의 방전이 임박한 상태에서도 기설정된 최소한의 충전 시간이 보장될 수 있는 경우에는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충전 신청을 일부만 승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관리 서버(120)는 이용자가 상기 이송용 차량(100)의 스케쥴 정보를 확인하고 위치와 시각을 지정하여 충전 신청을 할 때에는 충전 신청 현황에 의한 문제로 완충이 불가한 이유와 함께 충전을 제공 가능한 시간이나 제공 가능한 충전량의 정보가 상황에 따라 이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전원공급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장치(110)는,
    외부 양측면의 상부측에 각 충전부(111)의 남은 충전 시간을 안내하고, 충전이 완료된 충전부(111)를 안내하며, 미리 배정된 충전 순서에 따라 충전 순서가 도래한 차량의 번호를 안내하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12)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전원공급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장치(110)는,
    태양광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태양광 모듈(113);
    상기 전원 공급 장치(110)의 각 코너측에 상기 태양광 패널의 모듈을 지지하는 형태로 설치되되, 서로 다른 길이로 승강할 수 있는 형태로 설치되어 태양광 모듈(113)의 기울기 방향과 각도를 다양하게 형성 가능한 다수의 지지대(114); 및,
    상기 태양광 모듈(113)의 기울기 방향과 각도의 제어를 위한 이용자 입력이 발생하는 제어부(미도시);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전원공급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장치(110)의 내부에 구비된 전체 배터리셀의 남은 충전량과 이용자의 충전 신청에 의해 예상되는 소비량에 따라 상기 관리 서버(120)로부터 전송되는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공급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메인 서버(140); 및,
    완충된 다수의 배터리셀이 내부에 구비되고, 기지정된 장소에 정차한 상태로 대기중 상기 메인 서버(140)로부터 전송되는 배터리셀의 공급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이송용 차량(100)이 정차한 장소를 향해 자율 주행하여 완충된 배터리셀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급용 차량(150);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전원공급 시스템.
KR1020210069890A 2021-05-31 2021-05-31 이동식 전원공급 시스템 KR102420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890A KR102420772B1 (ko) 2021-05-31 2021-05-31 이동식 전원공급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890A KR102420772B1 (ko) 2021-05-31 2021-05-31 이동식 전원공급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0772B1 true KR102420772B1 (ko) 2022-07-14
KR102420772B9 KR102420772B9 (ko) 2022-10-21

Family

ID=82407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9890A KR102420772B1 (ko) 2021-05-31 2021-05-31 이동식 전원공급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07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601697B (zh) * 2023-12-28 2024-05-17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电动汽车充电机的功率冗余配置方法、系统及充电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9568A (ko) * 2013-03-05 2014-09-16 주식회사 케이티 전기자동차의 충전 예약 서비스 방법
KR20150130856A (ko) * 2014-05-14 2015-11-24 재단법인 전북자동차기술원 전기자동차용 이동식 충전시스템
KR101916176B1 (ko) 2017-01-05 2018-11-08 김도훈 이동식 전기 충전소 운영 시스템
KR20190139026A (ko) * 2018-06-07 2019-12-17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배터리 교체 충전소의 운영 방법 및 운영 시스템
KR20200125343A (ko) 2019-04-27 2020-11-04 이동원 이동식 전기차 충전차량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9568A (ko) * 2013-03-05 2014-09-16 주식회사 케이티 전기자동차의 충전 예약 서비스 방법
KR20150130856A (ko) * 2014-05-14 2015-11-24 재단법인 전북자동차기술원 전기자동차용 이동식 충전시스템
KR101916176B1 (ko) 2017-01-05 2018-11-08 김도훈 이동식 전기 충전소 운영 시스템
KR20190139026A (ko) * 2018-06-07 2019-12-17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배터리 교체 충전소의 운영 방법 및 운영 시스템
KR20200125343A (ko) 2019-04-27 2020-11-04 이동원 이동식 전기차 충전차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601697B (zh) * 2023-12-28 2024-05-17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电动汽车充电机的功率冗余配置方法、系统及充电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0772B9 (ko) 2022-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59043B2 (en) Recharging of battery electric vehicles on a smart electrical grid system
US20180032920A1 (en) Vehicle management system for vehicle-sharing service
US10001798B2 (en) Determining power to be supplied based on reservation information of a vehicle
JP2019087087A (ja) 電動車両の充電予約サーバおよび充電予約方法
Janjic et al. Commercial electric vehicle fleet scheduling for secondary frequency control
WO2014018504A2 (en) System and methods for large scale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KR20100040275A (ko) 분산 전력 저장 장치의 방전을 스케줄링하고 디스패치 참여를 평준화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6798212B2 (ja) 充電予約システム
CN110119824A (zh) 一种充电桩适配调度系统及方法
WO2017154341A1 (ja) カーシェアリングサービスの運用システム
KR102420772B1 (ko) 이동식 전원공급 시스템
US20230001817A1 (en) Hierarchical energy management solution
WO2022004307A1 (ja) 充電システムおよび充電ステーション
IT201800011089A1 (it) Sistema per il controllo e la gestione della ricarica di veicoli elettrici
El-Taweel et al. Optimal energy management for battery swapping based electric bus fleets with consideration of grid ancillary services provision
KR102313816B1 (ko) 전기차 및 이동용 모빌리티 충전 시스템
US20200403419A1 (en) Power management system, power management method, and storage medium
Giordano et al. Comprehensive Aggregator Methodology for EVs in V2G Operations and Electricity Markets
KR20210049047A (ko)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KR20210050499A (ko)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Bodenschatz et al. Challenges and Requirements of Electric Vehicle Fleet Charging at Company Parking Sites
JP2017093177A (ja) 運行管理システム
Keiser et al. Agents Cut Emissions On how a Multi-Agent System Contributes to a more Sustainable Energy Consumption
US20230246448A1 (en) Vehicle
US20230182608A1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reservation timeslot reallo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