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0743B1 - 가스 보일러 - Google Patents

가스 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0743B1
KR102420743B1 KR1020200163579A KR20200163579A KR102420743B1 KR 102420743 B1 KR102420743 B1 KR 102420743B1 KR 1020200163579 A KR1020200163579 A KR 1020200163579A KR 20200163579 A KR20200163579 A KR 20200163579A KR 102420743 B1 KR102420743 B1 KR 102420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detector
air
air inlet
supply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3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5480A (ko
Inventor
김규호
이헌재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63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0743B1/ko
Publication of KR20220075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5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0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0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0027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2Casings; Cover lids; Ornamental pan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gulation And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상면에 급기구 및 배기구를 형성한 보일러본체를 구비하고, 이 보일러본체의 배기구에 배기파이프를 연결하며, 급기구 상부를 급기구덮개로 덮어 커버하고, 급기구덮개 내측에 검지기결합부를 형성하여, 이 검지기결합부에 가스검지기를 결합 고정함으로써, 급기구와 배기파이프 사이에서 누출되어 급기구덮개를 통해 급기구 내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가스 및 보일러본체 내부에서 누출되는 가스를 검지기결합부에 결합된 가스검지기로 검지하여, 외부로 가스 누출 여부 신호를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스검지기로 배기구와 배기파이프 사이에서 누출되어 급기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가스와 보일러본체 내에서 누출되는 가스를 검지하여 가스 누출 여부를 정확하게 검지할 수 있고, 보일러 내, 외부에서 누출되는 가스를 단일의 가스검지기로 동시에 감지할 수 있으며, 가스검지기를 급기구덮개 내측에 설치하여, 설치공간의 제약이 발생되지 않고, 가스 누출 여부를 미연에 방지하여 보일러본체 내에서 혼합가스의 완전연소 성능이 향상과 동시에 보일러 본체 내에서 누출되는 혼합가스를 타고 화염이 역화되는 것이 방지되며, 가스누출로 인한 화재의 위험성 및 배기가스 배출량 감소로 안정성이 향상되고, 특히, 가스검지기 손상시 급기구덮개를 탈, 부착하여 유지보수를 손쉽게 진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스 보일러{Gas boiler}
본 발명은 가스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급기관덮개 내측에 형성된 검지기결합부에 가스검지기를 설치하여, 급기관덮개를 통해 급기구 내로 유입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가스 또는 보일러본체 내에서 누출되는 가스를 검지하는 가스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보일러는 가스를 연료로 하며, 상기 가스를 연소시킬 때 발생하는 연소열을 이용하여 물을 가열하고, 가열되어 축열된 물을 강제적으로 순환시키는 순환펌프에 의해 실내에 설치되어 있는 난방배관으로 순환시켜 실내를 난방하게 되며, 아울러 데워진 물을 욕실과 부엌 등에 온수로 공급하는 장치이다.
특허문헌 1은 종래의 가스보일러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상면에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급기구를 형성하고, 이 급기구 사이에 배기구를 형성한 가스보일러와, 상기 가스보일러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기구와 연결된 연소실과, 상기 연소실과 상기 배기구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연소실 내의 연소가스 및 공기를 상기 배기구로 안내하는 배기관과, 상기 연소실 내부에 설치된 열교환기 및 상기 가스보일러 내부에 설치되어 물을 수용한 물탱크로 구성된다.
여기서, 한 쌍의 급기구를 통해 상기 가스보일러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게 되면, 이 공기가 상기 연소실 내로 공급되고, 이때, 연소실 내에서 공기와 가스가 혼합되어 혼합가스를 생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소실 내에서 혼합가스가 연소되면서 화염이 일어나고, 이 화염으로 인해 열교환기가 가열작동된다.
이어서, 물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물을 상기 열교환기로 순환작동시키면, 이 물이 열교환기에서 열교환작용에 의해 가열된 후, 난방배관으로 순환되어 실내를 난방하거나 혹은 욕실과 부엌등의 배관을 통해 온수로 공급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소실에서 연소된 연소가스 및 공기는 상기 배기관을 통해 상기 가스보일러의 배기구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특허문헌 1은, 배기구와 급배기관 사이에서 누출되는 배기가스가 급기구를 통해 연소실 내로 공급되는 여부 및 연소실 내에서 보일러 내부공간으로 누출되어, 보일러 내부공간에 체류되는 혼합가스의 누출 여부를 감지할 수 없고, 누출되는 배기가스가 급기구로 유입되는 공기에 혼합되어 연소실 내로 배기가스가 재 공급되며, 이 배기가스가 연소실 내에서 연소되는 혼합가스에 혼합되어, 혼합가스의 연소 성능 저하와 동시에 불완전 연소로 인한 배기가스 배출량이 급격하게 상승되고, 또한, 배기구와 배기관 사이에서 누출되는 배기가스가 실내공간에 체류되어, 실내 공간에 거주하는 사용자가 배기가스를 그대로 흡입할 위험이 있으며, 특히, 보일러 내부공간에 체류되는 혼합가스를 타고 연소실 내에서 점화된 화염이 역화되어 폭발 위험성이 있고, 이에따라,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1998-047529 U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면에 급기구 및 배기구를 형성한 보일러본체를 구비하고, 이 보일러본체의 배기구에 배기파이프를 연결하며, 급기구 상부를 급기구덮개로 덮어 커버하고, 급기구덮개 내측에 검지기결합부를 형성하여, 이 검지기결합부에 가스검지기를 결합 고정함으로써, 급기구와 배기파이프 사이에서 누출되어 급기구덮개를 통해 급기구 내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가스 및 보일러본체 내부에서 누출되는 가스를 검지기결합부에 결합된 가스검지기로 검지하여, 외부로 가스 누출 여부 신호를 출력하는 가스 보일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보일러는, 상면에 외부공기를 공급받는 급기구를 형성하고, 이 급기구 주변에 내부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구를 형성한 보일러본체와; 상기 보일러본체의 급기구 상부를 덮어 커버하되, 그 외면으로 외부공기가 상기 급기구 내로 공급되도록 허용하는 급기구덮개; 상기 급기구덮개 내측 상면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검지기결합부; 상기 검지기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급기구 내로 유입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가스 및 상기 보일러본체 내부에서 누출되는 가스를 검지하는 가스검지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보일러는, 상면에 외부공기를 공급받는 급기구를 형성하고, 이 급기구 주변에 내부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구를 형성한 보일러본체와; 상기 보일러본체의 급기구 상부를 덮어 커버하되, 그 외면으로 외부공기가 상기 급기구 내로 공급되도록 허용하는 급기구덮개; 상기 급기구 내주면에서 상기 급기구의 중앙부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급기구 내부에 결합되는 검지기결합부; 상기 검지기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급기구 내로 유입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가스 및 상기 보일러본체 내부에서 누출되는 가스를 검지하는 가스검지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본체는, 전면에 온/오프 작동되어 가스누출 여부를 알리는 표시부와; 상기 가스검지기 및 상기 표시부와 연결되고, 상기 가스검지기로 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표시부를 온/오프 작동시키는 제어기;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어기에 의해 발광작동되어 외부로 가스누출 여부를 출력하는 램프와; 상기 램프에 근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어기에 의해 알림음을 출력하는 스피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가스검지기에 검지되는 가스 농도를 검지하여, 이 가스의 농도가 정해진 농도 이상이면 상기 표시부를 작동시켜, 가스누출 여부를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본체는, 상기 급기구 내주면을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급기구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가스검지기 방향으로 우회하도록 안내하는 안내면부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급기구덮개는, 상기 보일러본체의 급기구 상단을 커버하여, 이 급기구 내로 우수 또는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상단커버와; 상기 상단커버 저면 테두리를 따라 환형으로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급기구 테두리 주변에 밀착 고정되어, 그 사이에 공기유입로를 형성한 지지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검지기결합부는, 하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그 하단 내주면에 환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스검지기의 하단 테두리가 걸림되도록 하는 걸림턱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검지기결합부는, 하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그 하단 내주면에 환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스검지기의 하단 테두리가 걸림되도록 하는 걸림턱과, 상기 검지기결합부의 외면을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며, 그 일단이 외면에 고정되되, 타단이 상기 급기구 내주면에 고정되어, 상기 검지기결합부를 상기 급기구 중앙부에 위치시키는 지지벽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검지기결합부는, 그 외면을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급기구 내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가스가 상기 검지기결합부에 결합된 상기 가스검지기 외면에 검지되도록 안내하는 안내공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검지기결합부는, 상기 가스검지기의 하단이 상기 보일러본체의 급기구 내로 진입되도록, 그 하단을 상기 급기구의 상단 보다 더 낮게 위치시켜, 상기 급기구 내로 유입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가스 및 상기 보일러본체 내부에서누출되는 가스가 상기 가스검지기에 검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스검지기로 배기구와 배기파이프 사이에서 누출되어 급기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가스와 보일러본체 내에서 누출되는 가스를 검지하여 가스 누출 여부를 정확하게 검지할 수 있고, 보일러 내, 외부에서 누출되는 가스를 단일의 가스검지기로 동시에 감지할 수 있으며, 가스검지기를 급기구덮개 내측에 설치하여, 설치공간의 제약이 발생되지 않고, 가스 누출 여부를 미연에 방지하여 보일러본체 내에서 혼합가스의 완전연소 성능이 향상과 동시에 보일러 본체 내에서 누출되는 혼합가스를 타고 화염이 역화되는 것이 방지되며, 가스누출로 인한 화재의 위험성 및 배기가스 배출량 감소로 안정성이 향상되고, 특히, 가스검지기 손상시 급기구덮개를 탈, 부착하여 유지보수를 손쉽게 진행할 수 있으며, 이에따라,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스 보일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스보일러의 배기구덮개를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스보일러의 측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스보일러의 검지기결합부의 다른 실시예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스보일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스보일러의 급기구를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스보일러의 측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스보일러의 검지기결합부의 다른 실시예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5를 참조하면, 보일러본체(100)는 상면에 외부공기를 공급받는 급기구(101)를 형성하고, 이 급기구(101) 주변에 내부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구(102)를 형성한다.
상기 보일러본체(100)는 상기 급기구(101)를 통해 외부공기를 상기 보일러본체(100) 내로 공급한다.
상기 급기구(101)는 그 상단이 상기 급기구덮개(300)에 의해 커버되어, 이 급기구(101)로 우수 또는 먼지가 유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상기 급기구(101)는 그 상단이 상기 검지기결합부(400)에 결합된 상기 가스검지기(500)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기구(102)는 상기 배기파이프(200)와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보일러본체(100) 내에서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배기가스를 상기 보일러본체(100) 상방으로 배출한다.
상기 보일러본체(100)는 전면에 온/오프 작동되어 가스누출 여부를 알리는 표시부(103)와, 상기 가스검지기(500) 및 상기 표시부(103)와 연결되고, 상기 가스검지기(500)로 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표시부(103)를 온/오프 작동시키는 제어기(104)를 더 형성한다.
상기 표시부(103)는 외부로 가스누출 여부 신호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가스 누출 여부를 확인하도록 한다.
상기 표시부(103)는 상기 제어기(104)에 의해 발광작동되어 외부로 가스누출 여부를 출력하는 램프(103a)와, 상기 램프(103a)에 근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어기(104)에 의해 알림음을 출력하는 스피커(103b)로 구성된다.
상기 스피커(103b)는 상기 램프(103a)의 발광작동과 동시에 외부로 알림음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가스누출 여부를 알린다.
상기 제어기(104)는 상기 보일러본체(100)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표시부(103)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기(104)는 상기 가스검지기(500)에 검지되는 가스 농도를 검지하여, 이 가스의 농도가 정해진 농도 이상이면 상기 표시부(103)를 작동시켜, 가스누출 여부를 알린다.
상기 제어기(104)는 상기 가스검지기(500)에 검지되는 가스의 농도가 정해진 농도 이하로 저하되면, 상기 표시부(103)를 오프시킨다.
상기 보일러본체(100)는 상기 급기구(101) 내주면을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급기구(101)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가스검지기(500) 방향으로 우회하도록 안내하는 안내곡면부(105)를 더 형성한다.
상기 안내면부(105)는 상기 가스검지기(500) 방향을 향해 상향 경사지거나 혹은 상향 방향으로 곡면지게 형성되어, 상기 급기구(101) 방향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가스검지기(500) 저면 방향으로 우회하도록 안내한다.
배기파이프(200)는 상기 보일러본체(100)의 배기구(102)와 연결되어, 상기 배기구(102)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실외 공간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배기파이프(200)는 중공형 관체 형상으로, 그 일단이 상기 배기구(102)에 연결되되, 타단이 실외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배기가스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안내한다.
급기구덮개(300)는 상기 보일러본체(100)의 급기구(101) 상부를 덮어 커버하되, 그 외면으로 외부공기가 상기 급기구(101) 내로 공급되도록 허용한다.
상기 급기구덮개(300)는 그 내측 상면이 상기 보일러본체(100)의 급기구(101) 상단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급기구(101) 방향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허용한다.
상기 급기구덮개(300)는 상기 보일러본체(100)의 급기구(101) 상단을 커버하여, 이 급기구(101) 내로 우수 또는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상단커버(301)와,
상기 상단커버(301) 저면 테두리를 따라 환형으로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급기구(101) 테두리 주변에 밀착 고정되어, 그 사이에 공기유입로(302a)를 형성한 지지부(302)로 구성된다.
상기 상단커버(301)는 상협하광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상단커버(301)로 낙하되는 우수 또는 먼지가 외측 테두리 방향을 향해 미끄러져 상기 상단커버(301)에서 낙하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상단커버(301)의 내측 상면은 상기 급기구(101)의 상단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302)는 그 하단이 상기 급기구(101) 테두리 주변에 밀착 고정되어, 상기 급기구덮개(300)를 상기 급기구(101) 상단에 고정한다.
상기 지지부(302)는 상기 상단커버(301) 테두리를 따라 적어도 3개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유입로(302a)의 상단은 상기 급기구(101)의 상단보다 상대적으로 더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급기구(101) 상단 방향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허용한다.
상기 공기유입로(302a)는 상기 급기구덮개(300)의 외면을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로 형성되어, 외부공기가 상기 급기구(101) 방향으로 유입되도록 허용한다.
검지기결합부(400)는 상기 급기구덮개(300) 내측 상면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검지기결합부(400)는 그 내측에 공기중에 포함된 가스 및 보일러본체(100) 내에서 누출되는 가스를 검지하는 가스검지기(500)를 고정 설치한다.
상기 검지기결합부(400)는 하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그 하단 내주면에 환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스검지기(500)의 하단 테두리가 걸림되도록 하는 걸림턱(401)을 더 형성한다.
상기 걸림턱(401)은 상기 검지기결합부(400) 하단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가스검지기(500)가 상기 검지기결합부(400) 하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걸림턱(401)은 그 단면이 반원형 또는 다각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검지기결합부(400)는 그 외면을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급기구(101) 내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가스가 상기 검지기결합부(400)에 결합된 상기 가스검지기(500) 외면에 검지되도록 안내하는 안내공(400a)을 더 형성한다.
상기 안내공(400a)은 상기 검지기결합부(400) 외면 상단부분, 중간부분 또는 하단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가스검지기(500) 외면에 가스가 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검지기결합부(400)는 상기 가스검지기(500)의 하단이 상기 보일러본체(100)의 급기구(101) 내로 진입되도록, 그 하단을 상기 급기구(101)의 상단 보다 더 낮게 위치시켜, 상기 급기구(101) 내로 유입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가스 및 상기 보일러본체(100) 내부에서누출되는 가스가 상기 가스검지기(500)에 검지되도록 한다.
상기 검지기결합부(400)는 상기 급기구(101) 상단보다 상대적으로 더 낮은 높이에 형성되어, 상기 급기구덮개(300)의 공기유입로(302a)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급기구(101) 상단 방향을 향해 직바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한다.
가스검지기(500)는 상기 검지기결합부(400)에 결합되어, 상기 급기구(101) 내로 유입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가스 및 상기 보일러본체(100) 내부에서 누출되는 가스를 검지한다.
상기 가스검지기(500)는 급기구(101) 내로 유입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배기가스 또는 혼합가스를 검지하거나 혹은 보일러본체(100) 내부에서 누출되는 배기가스 또는 혼합가스를 검지한다.
상기 가스검지기(500)는 가스를 검지하여 상기 제어기(104)로 가스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가스검지기(500)는 검지기결합부(400)에 결합된 상태에서, 그 저면이 노출된 상태로 유지되어, 이 저면에 충돌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가스 및 보일러본체(100) 내부에서 누출되는 가스를 검지한다.
상기 가스검지기(500)는 상기 검지기결합부(400)의 안내공(400a)을 통해 외면에 충돌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가스 및 보일러본체(100) 내부에서 누출되는 가스를 검지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보일러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급기구덮개(300)의 내측 상면에 형성된 검지기결합부(400) 하단을 통해 가스검지기(500)를 진입시켜, 이 가스검지기(500)가 상기 검지기결합부(400) 내에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가스검지기(500)는 상기 검지기결합부(400) 내로 결합된 상태에서, 그 하단 테두리가 상기 검지기결합부(400)의 걸림턱(401)에 걸림된 상태로 유지되어, 상기 검지기결합부(400) 내에 결합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가스검지기(500)가 설치된 급기구덮개(300)를 상기 급기구(101) 상단에 위치시키되, 그 상태에서 상기 급기구덮개(300)의 지지부(302) 하단을 상기 급기구(101) 테두리 주변에 밀착 고정하여, 상기 상단커버(301)가 상기 급기구(101) 상단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보일러본체(100) 내에 설치된 연소장치(미도시)를 구동시켜, 상기 급기구(101) 내에 흡입압력을 형성하면, 이 흡입압력에 의해 상기 급기구덮개(300)의 공기유입로(302a)를 통해 상기 급기구덮개(300) 주변의 공기가 상기 급기구(101) 내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급기구덮개(300)의 공기유입로(302a)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공기유입로(302a)의 상단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된 상기 급기구(101) 외면에 충돌된 후 상방으로 치솟아 오르고, 그 상태에서 상기 급기구(101) 상단을 넘어가도록 오버플로우 되면서 상기 급기구(101) 내로 유입된다.
여기서, 상기 급기구(101) 상단을 넘어가는 공기 중 일부는 상기 검지기결합부(400)의 안내공(400a)을 통해 상기 가스검지기(500) 외면으로 진입되면서, 상기 가스검지기(500)에 충돌되고, 이때, 상기 가스검지기(500)가 공기중에 포함된 가스의 농도를 측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급기구(101) 상단을 통해 오버플로우 되어 상기 급기구(101) 내로 유입되던 공기는 상기 안내면부(105)에 안내되어 상기 가스검지기(500) 저면 방향을 향해 상향경사진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가스검지기(500) 저면에 충돌된다.
즉, 상기 급기구덮개(300)의 공기유입로(302a)로 유입되는 공기중 일부는 상기 안내공(400a)을 통해 상기 가스검지기(500) 외면에 충돌되면서 가스 농도를 1차 검지하고, 다른 일부 공기는 상기 안내면부(105)에 의해 상기 가스검지기(500) 저면에 충돌되면서 가스 농도를 2차 검지하여, 상기 가스검지기(500)로 가스 농도를 검지하게 된다.
이후, 상기 가스검지기(500) 저면에 충돌된 공기는 상기 급기구(101)를 통해 상기 보일러본체(100) 내로 유입되어, 상기 보일러본체(100) 내에 설치된 연소장치(미도시)로 공급된다.
한편, 상기 배기구(102)와 상기 배기파이프(200) 사이에서 배기가스가 누출되는 경우에는, 이 배기가스가 외부로 누출되어 상기 급기구덮개(300) 주변의 공기에 혼합되고, 이에따라, 배기가스가 포함된 공기가 상기 급기구덮개(300)의 공기유입로(302a)를 통해 급기구(101) 방향으로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공기유입로(302a)를 통해 급기구(101) 내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상기 가스검지기(500)에 1차 및 2차 검지되고, 이때, 이 가스검지기(500)가 상기 제어기(104)로 가스검지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제어기(104)에서 상기 가스검지기(500)에 검지된 배기가스의 농도가 정해진 농도 이상인지 또는 그 이하인지 여부를 판별하게 된다.
만약, 상기 가스검지기(500)에 검지된 배기가스의 농도가 정해진 농도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제어기(104)가 보일러본체(100)의 표시부(103) 작동을 오프시킨다.
반면, 상기 가스검지기(500)에 검지된 배기가스의 농도가 정해진 농도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제어기(104)가 상기 보일러본체(100)의 표시부를 온 작동시켜, 사용자에게 배기가스의 누출 여부를 알리게 된다.
즉, 상기 제어기(104)는 상기 표시부(103)의 램프(103a)를 작동시켜, 사용자가 이 램프(103a)를 통해 육안으로 배기가스 누출 여부를 식별하게 되고, 또한, 상기 스피커(103b)를 통해 알림음(예컨대, 경고음)을 출력하여 가스 누출 여부를 알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기(104)는 상기 표시부(103)를 통해 배기가스 누출여부를 알림과 동시에 가스보일러의 작동을 정지하여, 가스 누출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일러본체(100) 내에서 혼합가스가 누출되는 경우에는, 이 혼합가스가 상기 보일러본체(100)의 급기구(101) 방향으로 상승하여 상기 가스검지기(500)에 도달하게 되고, 이때, 상기 가스검지기(500)가 혼합가스의 농도를 검지하여, 상기 제어기(104)로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혼합가스의 농도가 정해진 농도 이상인지 또는 그 이하인지 여부를 상기 제어기(104)로 판별한 후, 혼합가스 농도가 정해진 농도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103)를 온 작동시켜 상기 램프(103a)를 발광시키되 상기 스피커(103b)를 통해 알림음을 출력한다.
상기에서는, 상기 급기구덮개(300)의 공기유입로(302a)로 유입되는 공기중에 누출된 배기가스가 포함되고, 상기 보일러본체(100) 내부에서 혼합가스가 누출되는 것을 예로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급기구덮개(300)의 공기유입로(302a)로 유입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혼합가스 및 상기 보일러본체(100) 내부에서 누출되는 배기가스를 상기 가스검지기(500)로 검지하여, 가스 누출 여부를 검지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이하의 설명에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검지기결합부(400)는 상기 급기구(101) 내주면에서 상기 급기구(101)의 중앙부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급기구(101) 내부에 결합된다.
상기 검지기결합부(400)는 그 내측에 공기중에 포함된 가스 및 보일러본체(100) 내에서 누출되는 가스를 검지하는 가스검지기(500)를 고정 설치한다.
상기 검지기결합부(400)는 하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그 하단 내주면에 환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스검지기(500)의 하단 테두리가 걸림되도록 하는 걸림턱(401)과, 상기 검지기결합부(400)의 외면을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며, 그 일단이 외면에 고정되되, 타단이 상기 급기구(101) 내주면에 고정되어, 상기 검지기결합부(400)를 상기 급기구(101) 중앙부에 위치시키는 지지벽부(402)를 형성한다.
상기 걸림턱(401)은 상기 검지기결합부(400) 하단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가스검지기(500)가 상기 검지기결합부(400) 하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걸림턱(401)은 그 단면이 반원형 또는 다각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벽부(402)는 상기 검지기결합부(400) 외면을 따라 적어도 3개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벽부(402)는 상기 검지기결합부(400)가 상기 급기구(101) 내측 중앙부에서 공중에 부양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검지기결합부(400)를 고정한다.
상기 검지기결합부(400)는 그 외면을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급기구(101) 내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가스가 상기 검지기결합부(400)에 결합된 상기 가스검지기(500) 외면에 검지되도록 안내하는 안내공(400a)을 더 형성한다.
상기 안내공(400a)은 상기 검지기결합부(400) 외면 상단부분, 중간부분 또는 하단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가스검지기(500) 외면에 가스가 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스 보일러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보일러본체(100)의 급기구(101) 내측 중앙부에 형성된 검지기결합부(400) 하단을 통해 가스검지기(500)를 진입시켜, 이 가스검지기(500)가 상기 검지기결합부(400) 내에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가스검지기(500)는 상기 검지기결합부(400) 내로 결합된 상태에서, 그 하단 테두리가 상기 검지기결합부(400)의 걸림턱(401)에 걸림된 상태로 유지되어, 상기 검지기결합부(400) 내에 결합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가스검지기(500)가 설치된 급기구덮개(300)를 상기 급기구(101) 상단에 위치시키되, 그 상태에서 상기 급기구덮개(300)의 지지부(302) 하단을 상기 급기구(101) 테두리 주변에 밀착 고정하여, 상기 상단커버(301)가 상기 급기구(101) 상단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보일러본체(100) 내에 설치된 연소장치(미도시)를 구동시켜, 상기 급기구(101) 내에 흡입압력을 형성하면, 이 흡입압력에 의해 상기 급기구덮개(300)의 공기유입로(302a)를 통해 상기 급기구덮개(300) 주변의 공기가 상기 급기구(101) 내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급기구덮개(300)의 공기유입로(302a)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공기유입로(302a)의 상단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된 상기 급기구(101) 외면에 충돌된 후 상방으로 치솟아 오르고, 그 상태에서 상기 급기구(101) 상단을 넘어가도록 오버플로우 되면서 상기 급기구(101) 내로 유입된다.
여기서, 상기 급기구(101) 내로 유입되는 공기 중 일부는 상기 검지기결합부(400)의 안내공(400a)을 통해 상기 가스검지기(500) 외면으로 진입되면서, 상기 가스검지기(500)에 충돌되고, 이때, 상기 가스검지기(500)가 공기중에 포함된 가스의 농도를 측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급기구(101) 내로 유입되던 공기는 상기 안내면부(105)에 안내되어 상기 가스검지기(500) 저면 방향을 향해 상향경사진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가스검지기(500) 저면에 충돌된다.
즉, 상기 급기구덮개(300)의 공기유입로(302a)로 유입되는 공기중 일부는 상기 안내공(400a)을 통해 상기 가스검지기(500) 외면에 충돌되면서 가스 농도를 1차 검지하고, 다른 일부 공기는 상기 안내면부(105)에 의해 상기 가스검지기(500) 저면에 충돌되면서 가스 농도를 2차 검지하여, 상기 가스검지기(500)로 가스 농도를 검지하게 된다.
이후, 상기 가스검지기(500) 저면에 충돌된 공기는 상기 급기구(101)를 통해 상기 보일러본체(100) 내로 유입되어, 상기 보일러본체(100) 내에 설치된 연소장치(미도시)로 공급된다.
한편, 상기 배기구(102)와 상기 배기파이프(200) 사이에서 배기가스가 누출되는 경우에는, 이 배기가스가 외부로 누출되어 상기 급기구덮개(300) 주변의 공기에 혼합되고, 이에따라, 배기가스가 포함된 공기가 상기 급기구덮개(300)의 공기유입로(302a)를 통해 급기구(101) 방향으로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공기유입로(302a)를 통해 급기구(101) 내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상기 가스검지기(500)에 1차 및 2차 검지되고, 이때, 이 가스검지기(500)가 상기 제어기(104)로 가스검지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제어기(104)에서 상기 가스검지기(500)에 검지된 배기가스의 농도가 정해진 농도 이상인지 또는 그 이하인지 여부를 판별하게 된다.
만약, 상기 가스검지기(500)에 검지된 배기가스의 농도가 정해진 농도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제어기(104)가 보일러본체(100)의 표시부(103) 작동을 오프시킨다.
반면, 상기 가스검지기(500)에 검지된 배기가스의 농도가 정해진 농도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제어기(104)가 상기 보일러본체(100)의 표시부를 온 작동시켜, 사용자에게 배기가스의 누출 여부를 알리게 된다.
즉, 상기 제어기(104)는 상기 표시부(103)의 램프(103a)를 작동시켜, 사용자가 이 램프(103a)를 통해 육안으로 배기가스 누출 여부를 식별하게 되고, 또한, 상기 스피커(103b)를 통해 알림음(예컨대, 경고음)을 출력하여 가스 누출 여부를 알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기(104)는 상기 표시부(103)를 통해 배기가스 누출여부를 알림과 동시에 가스보일러의 작동을 정지하여, 가스 누출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일러본체(100) 내에서 혼합가스가 누출되는 경우에는, 이 혼합가스가 상기 보일러본체(100)의 급기구(101) 방향으로 상승하여 상기 가스검지기(500)에 도달하게 되고, 이때, 상기 가스검지기(500)가 혼합가스의 농도를 검지하여, 상기 제어기(104)로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혼합가스의 농도가 정해진 농도 이상인지 또는 그 이하인지 여부를 상기 제어기(104)로 판별한 후, 혼합가스 농도가 정해진 농도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103)를 온 작동시켜 상기 램프(103a)를 발광시키되 상기 스피커(103b)를 통해 알림음을 출력한다.
상기에서는, 상기 급기구덮개(300)의 공기유입로(302a)로 유입되는 공기중에 누출된 배기가스가 포함되고, 상기 보일러본체(100) 내부에서 혼합가스가 누출되는 것을 예로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급기구덮개(300)의 공기유입로(302a)로 유입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혼합가스 및 상기 보일러본체(100) 내부에서 누출되는 배기가스를 상기 가스검지기(500)로 검지하여, 가스 누출 여부를 검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보일러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100 : 보일러본체 101 : 급기구
102 : 배기구 103 : 표시부
103a : 램프 103b : 스피커
104 : 제어기 105 : 안내면부
200 : 배기파이프 300 : 급기구덮개
301 : 상단커버 302 : 지지부
302a : 공기유입로 400 : 검지기결합부
400a : 안내공 401 : 걸림턱
402 : 지지벽부 500 : 가스검지기

Claims (11)

  1. 상면에 외부공기를 공급받는 급기구(101)를 형성하고, 이 급기구(101) 주변에 내부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구(102)를 형성한 보일러본체(100)와;
    상기 보일러본체(100)의 급기구(101) 상부를 덮어 커버하되, 그 외면으로 외부공기가 상기 급기구(101) 내로 공급되도록 허용하는 급기구덮개(300);
    상기 급기구덮개(300) 내측 상면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검지기결합부(400);
    상기 검지기결합부(400)에 결합되어, 상기 급기구(101) 내로 유입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가스 및 상기 보일러본체(100) 내부에서 누출되는 가스를 검지하는 가스검지기(500);
    로 구성되고,
    상기 보일러본체(100)는,
    상기 급기구(101) 내주면을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급기구(101)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가스검지기(500) 방향으로 우회하도록 안내하는 안내면부(105)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보일러.
  2. 상면에 외부공기를 공급받는 급기구(101)를 형성하고, 이 급기구(101) 주변에 내부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구(102)를 형성한 보일러본체(100)와;
    상기 보일러본체(100)의 급기구(101) 상부를 덮어 커버하되, 그 외면으로 외부공기가 상기 급기구(101) 내로 공급되도록 허용하는 급기구덮개(300);
    상기 급기구(101) 내주면에서 상기 급기구(101)의 중앙부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급기구(101) 내부에 결합되는 검지기결합부(400);
    상기 검지기결합부(400)에 결합되어, 상기 급기구(101) 내로 유입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가스 및 상기 보일러본체(100) 내부에서 누출되는 가스를 검지하는 가스검지기(500);
    로 구성되고,
    상기 보일러본체(100)는,
    상기 급기구(101) 내주면을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급기구(101)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가스검지기(500) 방향으로 우회하도록 안내하는 안내면부(105)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보일러.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본체(100)는,
    전면에 온/오프 작동되어 가스누출 여부를 알리는 표시부(103)와;
    상기 가스검지기(500) 및 상기 표시부(103)와 연결되고, 상기 가스검지기(500)로 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표시부(103)를 온/오프 작동시키는 제어기(104);
    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보일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103)는,
    상기 제어기(104)에 의해 발광작동되어 외부로 가스누출 여부를 출력하는 램프(103a)와;
    상기 램프(103a)에 근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어기(104)에 의해 알림음을 출력하는 스피커(103b);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보일러.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104)는,
    상기 가스검지기(500)에 검지되는 가스 농도를 검지하여, 이 가스의 농도가 정해진 농도 이상이면 상기 표시부(103)를 작동시켜, 가스누출 여부를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보일러.
  6. 삭제
  7.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구덮개(300)는,
    상기 보일러본체(100)의 급기구(101) 상단을 커버하여, 이 급기구(101) 내로 우수 또는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상단커버(301)와;
    상기 상단커버(301) 저면 테두리를 따라 환형으로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급기구(101) 테두리 주변에 밀착 고정되어, 그 사이에 공기유입로(302a)를 형성한 지지부(302);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보일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기결합부(400)는,
    하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그 하단 내주면에 환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스검지기(500)의 하단 테두리가 걸림되도록 하는 걸림턱(401)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보일러.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기결합부(400)는,
    하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그 하단 내주면에 환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스검지기(500)의 하단 테두리가 걸림되도록 하는 걸림턱(401)과, 상기 검지기결합부(400)의 외면을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며, 그 일단이 외면에 고정되되, 타단이 상기 급기구(101) 내주면에 고정되어, 상기 검지기결합부(400)를 상기 급기구(101) 중앙부에 위치시키는 지지벽부(402)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보일러.
  10.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기결합부(400)는,
    그 외면을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급기구(101) 내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가스가 상기 검지기결합부(400)에 결합된 상기 가스검지기(500) 외면에 검지되도록 안내하는 안내공(400a)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보일러.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기결합부(400)는,
    상기 가스검지기(500)의 하단이 상기 보일러본체(100)의 급기구(101) 내로 진입되도록, 그 하단을 상기 급기구(101)의 상단 보다 더 낮게 위치시켜, 상기 급기구(101) 내로 유입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가스 및 상기 보일러본체(100) 내부에서 누출되는 가스가 상기 가스검지기(500)에 검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보일러.





KR1020200163579A 2020-11-30 2020-11-30 가스 보일러 KR102420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3579A KR102420743B1 (ko) 2020-11-30 2020-11-30 가스 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3579A KR102420743B1 (ko) 2020-11-30 2020-11-30 가스 보일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5480A KR20220075480A (ko) 2022-06-08
KR102420743B1 true KR102420743B1 (ko) 2022-07-14

Family

ID=81981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3579A KR102420743B1 (ko) 2020-11-30 2020-11-30 가스 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0743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8353B2 (ja) * 1993-02-05 2001-02-26 パロマ工業株式会社 燃焼装置
KR19980047529A (ko) 1996-12-14 1998-09-15 박병재 오일 여과기의 오일 바이패스 경고장치
KR20000016516U (ko) * 1999-02-02 2000-09-25 김우련 가스보일러용 급기구 구조
KR101208132B1 (ko) * 2005-12-30 2012-12-04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보일러용 급기부 조립구조
KR20180045394A (ko) * 2016-10-25 2018-05-0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폭발사고 감지장치가 구비된 환기캡 및 이를 가지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5480A (ko) 202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83404A1 (en) Space Heater with Microprocessor Control
KR101606264B1 (ko) 순환 가이드를 구비한 열교환기
WO2002027245A1 (fr) Climatiseur
JP4639451B2 (ja) 空気調和機
US6390028B1 (en) Fuel-fired liquid heating appliance with burner shut-off system
KR102420743B1 (ko) 가스 보일러
US20170211845A1 (en) Device for dispensing a heated fluid
JP7332273B2 (ja) 空気調和機
JP2007107752A (ja) 屋外ストーブ
KR20080001716U (ko) 화재용 열 감지기
JP2005326033A (ja) 屋外設置型燃焼器
US10371375B2 (en) Exhaust structure for combustion apparatus
EP3832224B1 (en) Gas-fired heating appliance with harmful gas detection
KR101215950B1 (ko) 빌트인용 가스버너
KR102501785B1 (ko) 빗물 배출 기능을 갖는 보일러
KR101932992B1 (ko) 물유입 방지용 배기덕트를 구비한 가스보일러
KR102168329B1 (ko) 콘덴싱 보일러의 일산화탄소 감지용 포집장치
KR102493784B1 (ko) 급기온도 제어 기능을 갖는 보일러
KR102281670B1 (ko) 가스버너
KR102561893B1 (ko) 듀얼 광학식 연기 감지장치
KR102408714B1 (ko) 보일러용 전열열교환기
KR101932998B1 (ko) 서미스터 파손방지용 배기덕트를 구비한 가스보일러
JP6114142B2 (ja) 潜熱熱交換器
KR102159748B1 (ko) 직접접촉식 무압 온수보일러
JP6153053B2 (ja) 気体検出装置及び燃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