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8132B1 - 보일러용 급기부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보일러용 급기부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8132B1
KR101208132B1 KR1020050134966A KR20050134966A KR101208132B1 KR 101208132 B1 KR101208132 B1 KR 101208132B1 KR 1020050134966 A KR1020050134966 A KR 1020050134966A KR 20050134966 A KR20050134966 A KR 20050134966A KR 101208132 B1 KR101208132 B1 KR 101208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upply
hole
boiler
cap
supply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4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1475A (ko
Inventor
이헌재
심영섭
허석수
김석구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34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8132B1/ko
Publication of KR20070071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1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8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8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2Casings; Cover lids; Ornamental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05Details for water heaters
    • F24H9/001Guid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Supply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일러용 급기부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일러의 본체(10) 외측 급기홀(11) 상부로 설치되어 외부공기가 유입되도록 구성되는 급기구(20)와;
상기 급기구(20) 상부로 설치되어, 급기구(20)를 마감하는 급기구캡(30)과;
상기 급기구(20) 및 급기구캡(30)을 상호 연계 고정시키는 조립수단(40)으로 구성된 보일러용 급기부 조립구조에 있어서;
상기 조립수단(40)은 체결볼트(50)를 통해서 급기구(20)와 급기구캡(30)을 동시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본체(10)의 급기홀(11) 상부로 위치되는 급기구(20) 몸체 하측으로는 단속홀(12)과 대응위치로 고정홀(21)을 형성하고,
상기 급기구(20)의 상부로 위치되는 급기구캡(30)의 몸체 외주면에는 하측으로 연장되어 급기구(20)의 고정홀(21)과 접지되는 지지편(32)을 구비하되,
이 지지편(32)은 단부로 체결홀(31)이 뚫어지고 외주면을 따라 내측으로 공간을 갖는 개방부(33)를 형성하고, 상기 개방부(33)에서 급기구(20)의 중심을 향한 내측 단면으로 유입홀(34)이 성형된다.
본 발명인 보일러용 급기부 조립구조는 종래 급기구 조립구성과는 달리 급기구(20)와 급기구캡(30)의 조립구성을 체결볼트(50)를 통해서 동시에 본체(10)의 급기홀(11) 상부로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조립성 향상 및 이로인한 제조원가를 저감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보일러용 급기부 조립구조{Structure of Assembling Ventilation Part for a Boiler}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보일러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인 급기구 조립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종래 보일러용 급기구 조립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급기홀
12 - 단속홀 20 - 급기구
21 - 고정홀 22 - 걸림턱
30 - 급기구캡 31 - 체결홀
32 - 지지편 33 - 개방부
34 - 유입홀 40 - 조립수단
50 - 체결볼트
본 발명은 보일러용 급기부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보일러용 급기구와 급기구캡 조립구성을 일체화 하므로 써, 조립 편의성 및 제조원가를 저감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 및 기름 보일러는 유류와 가스가 산화되면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유체를 가열하여, 순환시킴으로 써, 실내의 난방 및 온수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통상적인 가스 보일러의 구성은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형성되는 케이싱의 내측으로 가스를 산화시켜 열을 발생시킬 수 있는 버너부가 형성되고, 상기 버너부의 일측부로는 버너부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유체를 가열 및 순환시키는 열교환기와 온수공급부가 구비되며, 상기 버너부의 작동 및 온수공급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콘트롤부로 크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버너부의 토출부에는 가스의 연소시 발생되는 폐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배기관이 설치되어 외부로 연장 설치되고, 상기 배기관의 단부 외측부로는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면서, 배기관에 의해 가열된 외기를 송풍기를 통해 버너부의 연소시 사용할 수 있도록 급기관이 형성된다.
그리고 종래 통상적인 보일러 급기구 구성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보일러 본체의 급기홀 상부에서 1차적으로 급기구(20a) 몸체 외측으로 구성된 고정홀(21a)을 통해 급기구(20a)를 고정시킨 후 급기구(20a)와 급기구캡(30a) 몸체 중앙으로 형성된 체결홀(31a)을 통해서 상부에서 체결볼트(50a)를 통해 조립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보일러 급기구 조립구성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1차적으로 급기구를 본체에 고정시킨 후 급기구와 급기구캡의 몸체중앙으로 구성된 체결홀에 체결볼트를 이용해서 조립하는 구성이므로, 제품의 조립성 및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와 같이 배기구와 배기구캡의 조립구성이 일원화되지 못하고 순차적으로 다수의 조립공정을 거쳐야 하므로 조립시간이 지체되고 이로인해 제조원가가 상승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일러용 급기구와 급기구캡 조립구성을 일체화 하므로 써, 조립 편의성 및 제조원가를 저감할 수 있도록 한 보일러의 보일러용 급기부 조립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보일러용 급기부 조립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일러의 본체(10) 외측 급기홀(11) 상부로 설치 되어 외부공기가 유입되도록 구성되는 급기구(20)와;
상기 급기구(20) 상부로 설치되어, 급기구(20)를 마감하는 급기구캡(30)과;
상기 급기구(20) 및 급기구캡(30)을 상호 연계 고정시키는 조립수단(40)으로 구성된 보일러용 급기부 조립구조에 있어서;
상기 조립수단(40)은 체결볼트(50)를 통해서 급기구(20)와 급기구캡(30)을 동시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본체(10)의 급기홀(11) 상부로 위치되는 급기구(20) 몸체 하측으로는 단속홀(12)과 대응위치로 고정홀(21)을 형성하고,
상기 급기구(20)의 상부로 위치되는 급기구캡(30)의 몸체 외주면에는 하측으로 연장되어 급기구(20)의 고정홀(21)과 접지되는 지지편(32)을 구비하되,
이 지지편(32)은 단부로 체결홀(31)이 뚫어지고 외주면을 따라 내측으로 공간을 갖는 개방부(33)를 형성하고, 상기 개방부(33)에서 급기구(20)의 중심을 향한 내측 단면으로 유입홀(34)이 성형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인 보일러용 급기부 조립구조는 종래 급기구 조립구성과는 달리 급기구(20)와 급기구캡(30)의 조립구성을 체결볼트(50)를 통해서 동시에 본체(10)의 급기홀(11) 상부로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조립성 향상 및 이로인한 제조원가를 저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보일러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급기구 조립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 보일러용 급기구 조립구성을 분해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 ~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보일러용 급기부 조립구조 는 급기구(20)와 급기구캡(30)을 동시에 하나의 조립공정에 의해 완료시킬 수 있으므로, 제품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구성에서 보일러의 본체(10) 외측 급기홀(11) 외측으로 구성되는 단속홀(12)에는 상기 단속홀(12)과 대응위치로 고정홀(21)이 형성된 급기구(20)가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급기구(20)의 몸체 하측으로 구성되는 고정홀(21)은 후술되는 체결볼트(50)를 통해서 급기홀(11) 외측의 단속홀(12)에 급기구(20)가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급기구(20)의 고정홀(21) 외측으로는 후술되는 급기구캡(30)의 지지편(32)이 접지된 상태에서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걸림턱(22)이 형성되어 급기구캡(30)의 위치고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급기구(20)의 몸체 상부로는 위치되는 급기구캡(30)은 몸체 외주면으로 소정의 간격을 갖고 단부로 체결홀(31)을 구비하면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급기구(20)의 단속홀(12)과 접지되는 지지편(32)이 형성된다.
상기 급기구캡(30)의 몸체 외주면을 따라 소정 간격을 갖고 다수개 형성되는 지지편(32)은 하측 단부로 체결볼트(50)를 통해서 급기구(20)와 동시에 본체(10)의 급기홀(11)에 설치될 수 있도록 체결홀(31)이 형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지지편(32)은 급기구캡(30)의 외주면을 따라 내측으로 공간을 갖는 개방부(33)를 포함해 형성시켜, 상기 체결볼트(50)가 이 개방부(33)에서 지지편(32) 하단에 구비된 체결홀(31)과 고정홀(21)을 통해 본체(10)의 급기홀(11)에 동시에 조립되게 한 것이며, 상기 개방부(33)에서 급기구(20)의 중심을 향한 내측 단면으로 유입홀(34)이 성형되어 조립성 및 외부공기 유입이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급기구캡(30)의 지지편(32) 높이는 급기구(20)의 몸체 높이보다 다소 높게 설정하여 외부공기가 보다 용이하게 급기구캡(30)의 유입홀(34)을 통과해 본체(10)의 급기홀(11)로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에서 가장 중요한 특징은 종래 구성과는 달리 급기구캡(30) 몸체 외측으로 하부로 연장된 지지편(32)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편(32)에 체결홀(31)을 구비한 후 체결볼트(50)를 통해서 급기구캡(30)과 급기구(20)를 동시에 본체(10)의 급기홀(11)에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종래 급기구와 급기구캡 조립구성과는 달리 한번의 조립구성에 의해 급기구와 급기구캡을 동시에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조립성 향상 및 이로인한 제조원가를 저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보일러의 본체(10) 외측 급기홀(11) 상부로 설치되어 외부공기가 유입되도록 구성되는 급기구(20)와;
    상기 급기구(20) 상부로 설치되어, 급기구(20)를 마감하는 급기구캡(30)과;
    상기 급기구(20) 및 급기구캡(30)을 상호 연계 고정시키는 조립수단(40)으로 구성된 보일러용 급기부 조립구조에 있어서;
    상기 조립수단(40)은 체결볼트(50)를 통해서 급기구(20)와 급기구캡(30)을 동시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본체(10)의 급기홀(11) 상부로 위치되는 급기구(20) 몸체 하측으로는 단속홀(12)과 대응위치로 고정홀(21)을 형성하고,
    상기 급기구(20)의 상부로 위치되는 급기구캡(30)의 몸체 외주면에는 하측으로 연장되어 급기구(20)의 고정홀(21)과 접지되는 지지편(32)을 구비하되,
    이 지지편(32)은 단부로 체결홀(31)이 뚫어지고 외주면을 따라 내측으로 공간을 갖는 개방부(33)를 형성하고, 상기 개방부(33)에서 급기구(20)의 중심을 향한 내측 단면으로 유입홀(34)이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급기부 조립구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급기구(20)의 고정홀(21) 외측으로는 급기구캡(30)의 지지편(32)이 접지된 상태에서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걸림턱(22)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급기부 조립구조.
KR1020050134966A 2005-12-30 2005-12-30 보일러용 급기부 조립구조 KR101208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4966A KR101208132B1 (ko) 2005-12-30 2005-12-30 보일러용 급기부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4966A KR101208132B1 (ko) 2005-12-30 2005-12-30 보일러용 급기부 조립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1475A KR20070071475A (ko) 2007-07-04
KR101208132B1 true KR101208132B1 (ko) 2012-12-04

Family

ID=38506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4966A KR101208132B1 (ko) 2005-12-30 2005-12-30 보일러용 급기부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81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2299B1 (ko) * 2020-08-13 2022-04-28 유재용 건물 제연 시스템의 압력측정튜브용 마감캡
KR102420743B1 (ko) * 2020-11-30 2022-07-14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가스 보일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1475A (ko) 2007-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8132B1 (ko) 보일러용 급기부 조립구조
JP2008545116A (ja) 回流発生ガス燃焼炉
KR20080059968A (ko) 보일러의 배기구 구조
CA2376579A1 (en) Fuel-fired heating applicance with louvered combustion chamber flame arrestor plate
KR20050033605A (ko) 보일러 배기관용 배기장치
KR20070071469A (ko) 보일러의 팽창탱크 조립구조
JP2010085039A (ja) 燃焼装置
KR100856860B1 (ko) 보일러의 역풍방지용 급배기관
KR101925312B1 (ko) 버너 열 교환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보일러
KR101373130B1 (ko) 유로 파이프가 장착된 보일러의 열교환기
KR101215688B1 (ko) 콘덴싱 보일러용 열교환기
KR200393657Y1 (ko) 열통기실이 구성된 나무 보일러
KR100572476B1 (ko) 급배기관용 캡
KR200449056Y1 (ko) 콘덴싱 보일러용 열교환기
KR200358327Y1 (ko) 보일러의 연도 조립구조
KR101123473B1 (ko) 보일러의 송풍팬 조립장치
KR200363824Y1 (ko) 보일러용 패킹
KR101592488B1 (ko) 콘덴싱 보일러의 2차열교환기용 배기가이드
JP6114142B2 (ja) 潜熱熱交換器
ITMI20091981A1 (it) Scambiatore di calore con dispositivo di scarico fumi perfezionato
KR100581578B1 (ko) 콘덴싱 가스보일러용 열교환기의 도어 고정장치
KR100525562B1 (ko) 온풍기용 급배기관의 각도조절장치
KR200491888Y1 (ko) 보일러의 배기 파이프
KR200365960Y1 (ko) 가스보일러의 연료공급관 결합구조
KR200444635Y1 (ko) 배기구가 내장된 원적외선 히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