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2299B1 - 건물 제연 시스템의 압력측정튜브용 마감캡 - Google Patents

건물 제연 시스템의 압력측정튜브용 마감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2299B1
KR102392299B1 KR1020200101869A KR20200101869A KR102392299B1 KR 102392299 B1 KR102392299 B1 KR 102392299B1 KR 1020200101869 A KR1020200101869 A KR 1020200101869A KR 20200101869 A KR20200101869 A KR 20200101869A KR 102392299 B1 KR102392299 B1 KR 102392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sing cap
cap body
cover
fastening
atmospheric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1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1249A (ko
Inventor
유재용
Original Assignee
유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재용 filed Critical 유재용
Priority to KR1020200101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2299B1/ko
Publication of KR20220021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1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2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2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14Housings
    • G01L19/147Details about the mounting of the sensor to support or cover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7/00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 G01L7/02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in the form of elastically-deformable gauges
    • G01L7/04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in the form of elastically-deformable gauges in the form of flexible, deformable tubes, e.g. Bourdon gauges
    • G01L7/041Construction or mounting of deformable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24F2011/000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40Pressure, e.g. win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6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mproving the aesthetic app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제연 시스템의 압력측정튜브용 마감캡은, 건물의 옥내에서 천장 또는 벽면에 체결부재로 설치되고 상기 건물의 화재 발생시 제연 구역에 마련된 차압 댐퍼로 옥내 대기압을 전달하기 위한 압력측정튜브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마감캡 본체, 및 상기 마감캡 본체의 전면부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마감캡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마감캡 본체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재를 상기 마감캡 본체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작업홀이 형성된 마감캡 커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물 제연 시스템의 압력측정튜브용 마감캡 {FINISHING CAP FOR PRESSURE MEASURING TUBE USED SMOKE CONTROLLING SYSTEM}
본 발명은 건물 제연 시스템의 압력측정튜브용 마감캡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건물의 화재 발생시 옥내 대기압을 측정하기 위해 옥내의 천장 또는 벽면에 배치된 압력측정튜브의 일단부에 설치하여 옥내의 미관을 미려하게 마감할 수 있는 건물 제연 시스템의 압력측정튜브용 마감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 화재가 발생하면 화염에 의한 직접적인 인명피해보다 화염과 함께 발생하는 연기와 유독가스에 의한 간접적인 인명피해가 더 크게 발생한다.
최근의 건물에는 제연 설비를 갖추도록 법률로써 강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건물의 제연설비는 연기와 유독가스의 차단, 배출 및 희석 등을 통하여 화재로 인한 연기와 유독가스가 제연 구역에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소방시설로써 제연 구역의 실내 공기를 청정하게 유지시켜 피난시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통상의 제연 구역은 건물에 있어서 옥내로 통하는 옥내의 출입문 및 방화문 사이에 형성된 전실(前室)에 해당하는 장소이다. 따라서, 제연 구역에는 피난 계단실의 계단 출입문, 엘리베이터 출입문 및 옥내의 출입문 등이 배치되어 있다.
한편, 건물의 옥내에 화재가 발생되면, 제연 설비는 화재의 연기와 유독가스가 옥내의 출입문을 통해서 제연 구역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로 인하여, 제연 설비는 피난 계단과 엘리베이터 등을 통해 화재 초기의 안전한 피난을 효과적으로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제연 설비는 제연 구역에 차압 댐퍼(또는 '급기 댐퍼'라고도 함)를 배치하되, 건물의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차압 댐퍼에 제공한다. 이때, 차압 댐퍼는 건물의 화재 발생시 외부 공기를 제연 구역에 급기한다.
상기와 같이 차압 댐퍼가 외부 공기를 제연 구역에 급기하면, 제연 구역의 압력이 옥내의 압력보다 높게 증가하기 때문에 화재의 연기와 유독 가스가 옥내의 출입문을 통해 제연 구역으로 빠져 나올 수 없다.
통상적으로, 국내의 제연 설비는 아래와 같이 3가지의 제연 성능 요건을 충족시켜야만 한다. 특히, 아래에 기재된 제연 설비의 제연 성능 요건은 '화재 안전기준 NFSC 501A'에 법률로 명확하게 규정되어 있다.
(1) 건물의 화재 발생시 제연 구역과 옥내의 차압을 미리 설정된 제1 차압(예컨대, 40~60Pa)로 유지할 것 (이하, '차압 성능 요건'으로 간략하게 지칭하기로 함)
(2) 건물의 화재 발생시 제연 구역에 배치된 출입문이 개방되면 출입문이 개방된 층의 제연 구역에서 출입문을 향해 풍속을 미리 설정된 방연 풍속(예컨대, 0.7m/s 이상)으로 유지할 것 (이하, '방연 풍속 성능 요건'으로 간략하게 지칭하기로 함)
(3) (2)의 방연 풍속을 유지함과 동시에 출입문이 개방되지 않은 다른 층의 제연 구역에서 제연 구역과 옥내의 차압을 미리 설정된 제2 차압(예컨대, 제1 차압의 70%에 대응하는 28Pa 이상)으로 유지할 것 (이하, '비개방층의 차압 성능 요건'으로 간략하게 지칭하기로 함)
전술한 바와 같은 제연 설비의 제연 성능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제연 시스템 또는 제연 구역에 설치되는 차압 댐퍼에 대한 기술 개발이 최근에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면,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139353호 (발명의 명칭: 급기 댐퍼, 공개일: 2015.12.11) 및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38141호 (발명의 명칭: 무지향성 제연댐퍼, 공개일: 2016.04.07)에는, 제연 구역에 설치되는 차압 댐퍼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1185801호 (발명의 명칭: 고층건물의 제연 댐퍼 시스템, 등록일: 2012.09.19) 및 한국등록특허 제10-1123934호 (발명의 명칭: 누설량과 보충량을 분리하여 급기하는 고층건물 제연 시스템, 등록일: 2012.02.28)에는, 각층에 배치된 차압 댐퍼를 포함하는 고층건물 제연 시스템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제연 설비는, 건물의 화재 발생시 옥내와 제연 구역의 압력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옥내와 제연 구역의 차압을 감지하고, 해당 옥내와 제연 구역의 차압에 따라 차압 댐퍼의 작동을 적절하게 제어한다.
이때, 차압 댐퍼에서 옥내로 압력측정튜브를 배치하여 압력측정튜브를 통해 옥내 대기압을 차압 댐퍼에 전달한다. 그런데, 압력측정튜브의 일단부는 옥내의 천장 또는 벽면에 설치하되, 옥내의 외측에 그대로 노출되는 문제를 방지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하여, 기존에는 압력측정튜브의 일단부에 마감캡을 연결시켜 압력측정튜브의 설치에 따른 옥내의 미관 저하를 방지한다. 기본의 마감캡은, 압력측정튜브의 일단부에 연결한 후 옥내의 천장 또는 벽면에 설치한 구조이거나, 압력측정튜브의 일단부에 연결한 후 옥내의 천장 또는 벽면에 설치한 상태에서 별도의 커버를 더 추가적으로 배치한 구조이다.
따라서, 기존의 마감캡은, 구조적으로 설치 작업 및 교체 작업이 매우 어렵고, 마감캡의 설치시 사용된 체결부재가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미관의 저하가 나타나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139353호 (공개일: 2015.12.11)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38141호 (공개일: 2016.04.07) 한국등록특허 제10-1185801호 (등록일: 2012.09.19) 한국등록특허 제10-1123934호 (등록일: 2012.02.28)
본 발명의 실시예는, 건물의 화재 발생시 옥내 대기압을 측정하기 위해 옥내의 천장 또는 벽면에 배치된 압력측정튜브의 일단부에 설치하여 옥내의 미관을 미려하게 마감할 수 있는 건물 제연 시스템의 압력측정튜브용 마감캡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마감캡을 미리 조립한 상태에서 옥내의 천장 또는 벽면에 체결부재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체결부재의 노출을 간편하게 방지할 수 있는 건물 제연 시스템의 압력측정튜브용 마감캡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마감캡을 통해 복수개의 압력측정튜브에 옥내의 대기압을 각각 전달하도록 마감캡을 형성하여 복수개의 압력측정튜브를 통해 옥내 대기압을 개별적으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건물 제연 시스템의 압력측정튜브용 마감캡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건물의 옥내에서 천장 또는 벽면에 체결부재로 설치되고 상기 건물의 화재 발생시 제연 구역에 마련된 차압 댐퍼로 옥내 대기압을 전달하기 위한 압력측정튜브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마감캡 본체, 및 상기 마감캡 본체의 전면부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마감캡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마감캡 본체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재를 상기 마감캡 본체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작업홀이 형성된 마감캡 커버를 포함하는 건물 제연 시스템의 압력측정튜브용 마감캡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설치 현장에서 상기 마감캡 본체와 상기 마감캡 커버의 조립 작업이 필요 없도록 상기 마감캡 본체와 상기 마감캡 커버는 결합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런 다음에, 상기 마감캡 본체는 상기 마감캡 커버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마감캡 커버의 상기 설치작업홀을 통해 상기 체결부재를 삽입하여 상기 옥내의 천장 또는 벽면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감캡 본체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되기 위한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감캡 커버는, 상기 마감캡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상기 마감캡 본체의 설치시 상기 설치작업홀과 상기 체결홀을 서로 대응되게 배치시키도록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감캡 커버는, 상기 마감캡 본체의 설치시 상기 설치작업홀을 통해 상기 체결홀을 노출시키도록 상기 설치작업홀과 상기 체결홀이 서로 대응되는 제1 위치로 회전될 수 있고, 상기 마감캡 본체의 설치 완료시 상기 설치작업홀을 통해 상기 체결홀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마감캡 커버가 상기 체결홀을 차폐하는 제2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감캡 본체에는 상기 마감캡 커버와 결합되는 부위에 체결부가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마감캡 커버에는 상기 마감캡 본체와의 결합시 상기 체결부에 회전 가능하게 걸림되는 체결턱이 돌출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의 일측부에는 상기 마감캡 커버가 상기 제1 위치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체결턱과 걸려 상기 마감캡 커버의 회전을 상기 제1 위치에서 제한하기 위한 제1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의 타측부에는 상기 마감캡 커버가 상기 제2 위치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체결턱과 걸려 상기 마감캡 커버의 회전을 상기 제2 위치에서 제한하기 위한 제2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턱과 상기 체결부는 상기 마감캡 커버를 상기 마감캡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체결턱과 상기 제1,2 걸림턱은 상기 마감캡 커버의 회전 각도를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마감캡 커버에는 상기 옥내 대기압을 상기 마감캡 본체에 제공하기 위한 대기압감지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대기압감지홀은, 상기 설치작업홀과 서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거나 상기 설치작업홀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마감캡 본체에는 상기 압력측정튜브의 일단부에 연결되기 위한 튜브 연결관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압력측정튜브는, 상기 차압 댐퍼가 상기 옥내 대기압을 측정하도록 상기 옥내 대기압을 상기 차압 댐퍼의 컨트롤러로 안내하는 메인 튜브, 및 상기 차압 댐퍼와 다른 장치를 사용하여 관리자가 상기 옥내 대기압을 별도로 측정하도록 상기 옥내 대기압을 상기 차압 댐퍼 측으로 안내하는 예비 튜브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튜브 연결관은, 상기 메인 튜브의 일단부와 연결되는 메인 연결관; 및 상기 예비 튜브의 일단부와 연결되는 예비 연결관;으로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마감캡 본체의 전면부에는 상기 마감캡 본체와 상기 마감캡 커버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제1 공간부와 제2 공간부로 구획하기 위한 구획벽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구획벽은 상기 제1 공간부와 상기 제2 공간부의 압력이 서로 간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상기 마감캡 본체의 전면부에서 상기 마감캡 커버의 후면부에 접촉되도록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공간부에는 메인 연결관이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2 공간부에는 예비 연결관이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마감캡 본체의 전면부에는 상기 옥내 대기압을 상기 메인 연결관으로 유도하기 위한 제1 공기 유도관, 및 상기 옥내 대기압을 상기 예비 연결관으로 유도하기 위한 제2 공기 유도관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공기 유도관의 일단부는 상기 메인 연결관에 연통되도록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2 공기 유도관의 일단부는 상기 예비 연결관에 연통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공기 유도관의 타단부와 상기 제2 공기 유도관의 타단부는 상기 예비 튜브와 상기 예비 연결관을 통해 전달되는 상기 제연 구역의 압력이 상기 차압 댐퍼의 컨트롤러에 의한 상기 옥내 대기압의 측정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공기 유도관은 상기 마감캡 본체의 전면부에서 상기 메인 연결관의 개구를 덮는 형상으로 마련되되, 일측이 상기 마감캡 본체의 제1 측면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제2 공기 유도관은 상기 마감캡 본체의 전면부에서 상기 예비 연결관의 개구를 덮는 형상으로 마련되되, 일측이 상기 마감캡 본체의 제2 측면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은 서로 반대되는 방향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마감캡 커버의 후면부에는, 상기 제1 공간부와 상기 제2 공간부 사이의 공기 유동을 방해하기 위한 복수개의 가이드 리브가 돌출되게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제연 시스템의 압력측정튜브용 마감캡은, 건물의 화재 발생시 옥내 대기압을 측정하기 위해 옥내의 천장 또는 벽면에 배치된 압력측정튜브의 일단부에 설치하여 옥내의 미관을 미려하게 마감할 수 있고, 옥내의 천장 또는 벽면에 설치되는 마감갭으로 인한 미관 저하를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제연 시스템의 압력측정튜브용 마감캡은, 마감캡 본체와 마감캡 커버를 미리 결합시킨 상태에서 사용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마감캡 본체와 마감캡 커버를 설치 현장에서 직접 조립할 필요성이 없어 마감캡의 설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마감캡 본체와 마감캡 커버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마감캡 커버의 설치작업홀을 통해 체결부재를 삽입하여 마감캡 본체를 옥내의 천장 또는 벽면에 설치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마감캡의 설치 작업 및 교체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제연 시스템의 압력측정튜브용 마감캡은, 마감캡 커버를 마감캡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이므로, 마감캡 커버의 설치작업홀을 통해 체결부재를 체결하여 마감캡 본체를 옥내에 설치한 후 마감캡 커버를 회전시켜 체결부재가 노출되지 않는 위치로 설치작업홀을 이동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마감캡 본체에 체결된 체결부재를 마감캡 커버로 차폐시켜 체결부재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고, 마감캡으로부터 노출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옥내의 미관 저하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제연 시스템의 압력측정튜브용 마감캡은, 마감캡 커버에 형성된 작업설치홀 및 대기압감지홀을 통해 옥내 대기압이 마감캡 커버와 마감캡 본체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유도된 후 마감캡 본체의 튜브 연결관을 통해 압력측정튜브에 전달되는 구조이므로, 압력측정튜브를 매개로 하여 옥내 대기압을 옥내에서 차압 댐퍼로 안전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제연 시스템의 압력측정튜브용 마감캡은, 마감캡 본체의 전면부에 구획벽을 마련하여 마감캡 본체와 마감캡 커버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구획하되, 구획벽에 의해 구획된 두 개의 공간에 배치된 메인 연결관과 예비 연결관의 개구에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공기 유도관을 각각 마련한 구조이므로, 마감캡 본체와 마감캡 커버 사이의 구획 공간들에 각각 제공된 옥내 대기압은 서로 간에 영향을 끼치지 않고 각각의 공기 유도관을 통해 메인 연결관과 예비 연결관에 개별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메인 연결관을 통해 공급되는 옥내 대기압을 이용하여 차압 댐퍼가 옥내와 제연 구역의 차압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고, 뿐만 아니라 예비 연결관을 통해 공급되는 옥내 대기압을 이용하여 관리자가 옥내 대기압을 필요에 따라 별도로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제연 시스템의 압력측정튜브용 마감캡은, 제1 공간부에 제공된 옥내 대기압을 제1 공기 유도관과 메인 연결관 및 메인 튜브를 통해 측정함과 아울러 제2 공간부에 제공된 옥내 대기압을 제2 공기 유도관, 예비 연결관 및 예비 튜브를 통해 측정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제1,2 공간부의 압력이 서로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고, 그로 인해서 예비 튜브와 예비 연결관 및 제2 공기 유도관을 통해 마감캡의 제2 공간부로 전달되는 제연 구역의 압력도 제1 공간부에 영향을 주지 않아 차압 댐퍼가 옥내 대기압을 제1 공기 유도관과 메인 연결관 및 메인 튜브를 통해 안정적으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측정튜브용 마감캡을 구비한 건물 제연 시스템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와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압력측정튜브용 마감캡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마감캡 본체의 전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마감캡 커버의 후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A-A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마감캡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력측정튜브용 마감캡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마감캡 본체의 전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마감캡 커버의 후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측정튜브용 마감캡(200)을 구비한 건물 제연 시스템(100)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물 제연 시스템(100)은 차압 댐퍼(110), 화재 감지기(120), 및 공기 공급 유닛(13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건물 제연 시스템(100)은, 건물(10)의 각층에 마련된 제연 구역(20)에 외부 공기(A)를 급기하도록 차압 댐퍼(110)를 각층의 제연 구역(20)에 각각 배치할 수 있고, 건물(10)의 외부에서 외부 공기(A)를 흡입한 후 건물(10)에 마련된 수직 풍도(30)를 통해 각층의 차압 댐퍼(110)에 공급하도록 공기 공급 유닛(130)을 건물(10)에 마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연 구역(20)에는 피난 계단실(50)의 계단 출입문(52), 승강로(미도시)의 엘리베이터 출입문(미도시), 또는 옥내(40)의 옥내 출입문(42) 중 적어도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연 구역(20)에 배치된 출입문들 중에서 옥내 출입문(42)만 배치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설명 편의를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10)이 지상 6층 및 지하 2층의 빌딩인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실시예의 건물 제연 시스템(100)은 20층 이상의 건물(10)에도 동일하게 적용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차압 댐퍼(110)는, 건물(10)의 화재 발생시 각층에 마련된 제연 구역(20)에 외부 공기(A)를 급기하는 장치로서, 건물(10)의 각층에 마련된 제연 구역(20)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즉, 차압 댐퍼(110)은, 건물(10)의 화재 발생시 수직 풍도(30)로부터 전달되는 외부 공기(A)를 제연 구역(20)으로 급기하여 화재의 연기 및 유독가스가 제연 구역(2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뿐만 아니라 연기 및 유독가스가 제연 구역(20)을 통해 다른 층으로 유동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그로 인하여, 화재 발생의 초기에 제연 구역(20)과 연결된 피난 계단 또는 엘리베이터를 통한 피난이 안전하게 유도될 수 있고, 화재로 인한 인명 피해와 재산 피해도 최소화될 수 있다.
차압 댐퍼(110)에는, 제연 구역(20)에 급기되는 외부 공기(A)의 급기량을 개구율에 따라 조절하기 위한 급기부(112)가 마련될 수 있고, 화재 발생 여부 및 옥내 출입문(42)의 개폐 여부에 따라 차압 댐퍼(2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14)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건물(10)의 각층에 배치된 차압 댐퍼(110)들 중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비화재층에 배치된 차압 댐퍼(110)는, 옥내(40)의 옥내 출입문(42)에 대한 개폐 여부와 관계없이 급기부(112)를 미리 설정된 제한 개구율 이내에서 개방할 수 있다. 그리고, 건물(10)의 각층에 배치된 차압 댐퍼(110)들 중 화재가 발생된 화재층에 배치된 차압 댐퍼(110)는, 옥내(40)의 옥내 출입문(42)이 폐쇄된 경우에 급기부(112)를 미리 설정된 제한 개구율 이내에서 개방하되, 옥내(40)의 옥내 출입문(42)이 개방된 경우 급기부(112)에 대한 제한 개구율을 해제시키거나 해당 제한 개구율보다 크게 설정된 최대 개구율 이내에서 개방할 수 있다.
이때, 차압 댐퍼(110)는, 화재 감지기(120)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거나 화재층과 비화재층을 구분하도록 해당층의 화재 감지기(120)와 연결될 수 있고, 옥내(40)와 제연 구역(20) 사이의 차압을 이용하여 옥내 출입문(42)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도록 해당층의 옥내(40)와 제연 구역(20)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화재 감지기(120)는 건물(10)에 화재가 발생되었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건물(10)의 각층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화재 감지기(120)는, 제연 구역(20)과 연결된 옥내(40)의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고, 건물(10)의 화재 발생시 화재층과 비화재층을 검출하여 구분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화재 감지기(120)가 건물(10)의 각층에 위치한 옥내(40)에 각각 설치된 것으로 설명한다. 통상적으로, 화재 감지기(120)는 옥내(40)에서 발생된 화재의 연기를 통해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연기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컨트롤러(114)는, 화재 감지기(120)의 화재 신호를 통하여 건물(10)의 화재 발생 여부 및 화재층과 비화재층을 판별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공기 공급 유닛(130)은 건물(10)의 외부에서 외부 공기(A)를 흡입하여 수직 풍도(30)를 통해 각층의 차압 댐퍼(110)로 제공하는 장치이다. 예들 들면, 공기 공급 유닛(130)은, 외부 공기(A)를 흡입한 후 수직 풍도(30)에 소정의 압력으로 강제 송풍할 수 있고, 수직 풍도(30)로 송풍되는 외부 공기(A)의 송풍량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차압 댐퍼(110)가 제연 구역(20)과 옥내(40)의 차압을 감지하기 위해 옥내(40)의 압력을 실시간으로 측정해야만 한다. 이를 위하여, 차압 댐퍼(110)는, 압력측정튜브(116)를 이용하여 옥내(40)와 제연 구역(20)의 압력을 개별적으로 측정할 수 있고, 옥내(40)와 제연 구역(20)의 차압을 산출하여 급기부(112)의 작동을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실제로, 차압 댐퍼(110)는, 제연 구역(20) 내에 위치된 상태이기 때문에 제연 구역(20)의 대기압을 직접 측정할 수 있지만, 옥내(40)와는 이격되게 배치된 상태이기 때문에 압력측정튜브(116)를 매개로 옥내(40)의 대기압을 전달 받아서 측정할 수 있다. 즉, 압력측정튜브(116)의 일단부는 옥내(40)의 천장(44) 또는 벽면에 위치할 수 있고, 압력측정튜브(116)의 타단부는 차압 댐퍼(110)의 컨트롤러(114)에 연결하여 옥내(40)의 압력을 컨트롤러(114)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압력측정튜브(116)를 통해 전달되는 옥내(40)의 압력은 옥내(40)의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압에 해당하는 바,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옥내 대기압(P)'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즉, 옥내 대기압(P)는 압력측정튜브(116)를 통해 유동되는 공기를 매개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압력측정튜브(116)는 옥내(40)의 천장(44)과 천장 텍스(ceiling tex)(46)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따라 길게 배치된 호스 부재로서, 압력측정튜브(116)의 일단부는 옥내(40)의 천장 텍스(46)에 설치된 압력측정튜브용 마감캡(200)과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천장 텍스(46)는 불연성과 흡음성이 우수한 석고 재질, 합성수지 재질, 또는 섬유 재질로 제작된 천장재이다. 상기와 같은 압력측정튜브용 마감캡(200)은, 옥내(40)에서 압력측정튜브(116)의 일단부로 옥내 대기압(P)을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하되, 압력측정튜브(116)의 일단부에 의한 옥내(40)의 미관 저하를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측정튜브용 마감캡(200)의 구성 및 작동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와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압력측정튜브용 마감캡(200)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마감캡 본체(210)의 전면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마감캡 커버(220)의 후면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도 4에 도시된 A-A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마감캡(20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7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측정튜브용 마감캡(200)은, 마감캡 본체(210) 및 마감캡 커버(2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마감캡 본체(210) 및 마감캡 커버(220)는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성형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압력측정튜브용 마감캡(200)의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마감캡 본체(210)와 마감캡 커버(220)는 각각 개별적으로 제작된 후 미리 서로 결합한 상태로 사용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설치 현장에서 마감캡(200)을 조립하기 위한 조립 작업이 미연에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마감캡(200)은 옥내(40)의 천장(44) 또는 벽면에 체결부재(230)로 설치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체결부재(230)는 볼트, 리벳, 못 또는 스템플 등이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부재(230)이 볼트로 마련된 것으로 설명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마감캡 본체(210)가 체결부재(230)로 옥내(40)의 천장(44)에 배치된 천장 텍스(46)에 체결 고정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이때, 압력측정튜브(116)는 옥내(40)의 천장(44)과 천장 텍스(46)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될 수 있고, 마감캡(200)은 천장 텍스(46)에 형성된 설치홀부에 관통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설치홀부에는 마감캡(200)의 설치시 후술하는 마감캡 본체(210)의 튜브 연결관(216)이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7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마감캡 본체(210)는 마감캡 커버(220)와 결합된 상태에서 천장 텍스(46)의 설치홀부에 체결부재(230)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마감캡 본체(210)는 건물(10)의 화재 발생시 제연 구역(20)에 마련된 차압 댐퍼(110)로 옥내 대기압(P)을 전달하기 위한 압력측정튜브(116)의 일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마감캡 본체(210)는, 천장 텍스(46)의 설치홀부에 안착되는 원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설치홀부보다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마감캡 본체(210)의 중앙부에는 튜브 연결관(216)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마감캡 본체의 가장자리부에는 복수개의 체결홀(214)이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튜브 연결관(216)은 압력측정튜브(116)의 일단부와 연통되게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튜브 연결관(216)은 마감캡 본체(210)의 후면부 중심에서 후방을 향해 돌출된 파이프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튜브 연결관(216)은 마감캡 본체(210)와 마감캡 커버(220)의 결합시 마감캡 본체(210)와 마감캡 커버(220)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S)에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체결홀(214)은 천장 텍스(46)에 체결부재(230)로 체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체결홀(214)들은, 마감캡 커버(220)의 회전 각도에 따라 체결홀(214)들이 설치작업홀(224)에 선택적으로 노출되도록 튜브 연결관(216)을 중심으로 방사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체결홀(214)들은, 마감캡 본체(210)의 가장자리부 둘레를 따라 일정 각도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7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마감캡 커버(220)는 마감캡 본체(210)의 전면부를 덮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마감캡 본체(210)의 전면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마감캡 커버(220)는 마감캡 본체(210)에 대응하는 원형의 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마감캡 커버(220)와 마감캡 본체(210) 사이에는 소정 크기의 공간부(S)가 형성될 수 있고, 해당 공간부(S)는 튜브 연결관(216)과 연통될 수 있다.
마감캡 커버(220)의 일측에는 마감캡 본체(210)와 마감캡 커버(22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마감캡 본체(210)의 체결홀(214)들에 체결부재(230)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작업홀(224)이 형성될 수 있고, 마감캡 커버(220)의 타측에는 옥내 대기압(P)을 마감캡 본체(210)에 제공하기 위한 대기압감지홀(222)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설치작업홀(224)은 체결부재(230)를 체결홀(214)에 체결하는데 사용되는 공구가 통과되도록 체결홀(214)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설치작업홀(224)은 체결홀(214)들과 대응되는 부위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설치작업홀(224)들은 체결홀(214)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마감캡 커버(220)의 가장자리부 둘레를 따라 동일 각도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설치작업홀(224)은 체결부재(230)의 체결 작업시 사용하기 위한 홀이지만, 마감캡(200)의 조립이 완료된 이후에는 옥내 대기압(P)을 옥내(40)에서 공간부(S)로 전달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대기압감지홀(222)은 옥내(40)에서 마감캡 본체(210)와 마감캡 커버(220)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S)로 옥내 대기압(P)을 전달하도록 설치작업홀(224)들 사이에 적어도 하나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즉, 설치작업홀(224)들과 대기압감지홀(222)들은 마감캡 커버(220)의 가장자리부 둘레를 따라 서로 교번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대기압감지홀(222)은, 설치작업홀(224)과 서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거나, 또는 설치작업홀(224)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대기압감지홀(222)은 마감캡 커버(220)에서 생략되거나 마감캡 커버(220)에 다양한 형상과 배치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특히, 대기압감지홀(222)이 마감캡 커버(220)에서 생략되면, 설치작업홀(224)이 옥내 대기압(P)을 전달하는 역할을 단독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캡 본체(210)와 마감캡 커버(220)는 결합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마감캡 본체(210)는 압력측정튜브(116)와 연결된 후 설치작업홀(224)을 통해 천장 텍스(46)에 체결부재(230)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마감캡 커버(220)는 마감캡 본체(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마감캡 커버(220)는 마감캡 본체(210)의 설치시 설치작업홀(224)들을 체결홀(214)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시키도록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마감캡 커버(220)와 마감캡 본체(210)의 결합 부위 중 어느 하나에는 체결부(211)이 단차지게 마련될 수 있고, 마감캡 커버(220)와 마감캡 본체(210)의 결합 부위 중 다른 하나에는 체결부(211)에 회전 가능하게 걸림되는 체결턱(221)이 돌출되게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체결부(211)은 마감캡 본체(210)의 외주부 둘레를 따라 단턱진 형상으로 연속 마련될 수 있고, 체결턱(221)은 마감캡 커버(220)의 내주부 둘레를 따라 복수의 위치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마감캡 커버(220)는, 마감캡 본체(210)의 설치시 체결홀(214)들이 설치작업홀(224)들을 통해 하나씩 노출되도록 설치작업홀(224)과 체결홀(214)을 일치시키는 제1 위치(L1)로 회전될 수 있고, 마감캡 본체(210)의 설치 완료시 마감캡 커버(220)에 의해 체결홀(214)들의 노출이 방지되도록 체결홀(214)들을 차폐하는 제2 위치(L2)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마감캡 커버(220)의 회전 위치는 제1 위치(L1)와 제2 위치(L2) 사이에 설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체결부(211)의 외주부 둘레에는, 제1 위치(L1)와 제2 위치(L2) 사이에서 마감캡 커버(22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체결턱(221)과 걸림되는 형상으로 복수개의 걸림턱(212, 213)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복수개의 걸림턱(212, 213)는, 마감캡 커버(220)를 제1 위치(L1)로 회전시키는 경우 체결턱(221)과 걸려 마감캡 커버(220)의 회전을 제1 위치(L1)로 제한하기 위한 제1 걸림턱(212), 및 마감캡 커버(220)를 제2 위치(L2)로 회전시키는 경우 경우 체결턱(221)과 걸려 마감캡 커버(220)의 회전을 제2 위치(L2)로 제한하기 위한 제2 걸림턱(213)로 제공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걸림턱(212) 및 제2 걸림턱(213)는 마감캡 커버(220)의 체결턱(221)과 걸릴 수 있도록 마감캡 본체(210)의 체결부(211)에서 일체로 돌출되게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턱(221)과 체결부(211)가 마감캡 커버(220)를 마감캡 본체(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뿐만 아니라 체결턱(221)과 제1,2 걸림턱(212, 213)은 마감캡 커버(220)의 회전 각도를 제1 위치(L1)와 제2 위치(L2) 사이에서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캡 본체(210)에 가상의 기준선(C-C)을 그었을 경우에 체결홀(214)과 제1 걸림턱(212) 및 제2 걸림턱(213)의 배치 각도를 시계 방향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체결홀(214)은 가상의 기준선(C-C)에서 제2 각도(θ2)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걸림턱(212)는 가상의 기준선(C-C)에서 제1 각도(θ1)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걸림턱(213)는 가상의 기준선(C-C)에서 제3 각도(θ3)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각도(θ1)는 35도의 각도로 설정될 수 있고, 제2 각도(θ2)는 45도의 각도로 설정될 수 있으며, 제3 각도(θ3)는 80도의 각도로 설정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캡 본체(210)에 가상의 기준선(C-C)을 그었을 경우에 설치작업홀(224)과 대기압감지홀(222) 및 체결턱(221)의 배치 각도를 시계 방향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대기압감지홀(222)은 가상의 기준선(C-C)에서 제2 각도(θ2)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설치작업홀(224)은 가상의 기준선(C-C)에서 제2 각도(θ2)의 3배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체결턱(221)은 가상의 기준선(C-C)에서 제1 각도(θ1)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각도(θ1)는 35도의 각도로 설정될 수 있고, 제2 각도(θ2)는 45도의 각도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물 제연 시스템(100)의 압력측정튜브용 마감캡(200)에 대한 설치 과정 및 작용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마감캡 커버(220)를 마감캡 본체(210)의 전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마감캡(200)의 조립을 완료한다.
이때, 마감캡 커버(220)의 체결턱(221)은 마감캡 본체(210)의 체결부(211)에 걸림되되, 그렇게 걸린 상태에서 마감캡 본체(210)의 체결부(21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즉, 마감캡 커버(220)의 회전시 체결턱(221)이 체결부(211)을 따라 이동한다. 하지만, 마감캡 커버(220)의 체결턱(221)은 체결부(211)에 형성된 제1 걸림턱(212)와 제2 걸림턱(213)에 걸려 마감캡 커버(22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한다.
상기와 같이 마감캡(200)의 조립이 완료되면, 마감캡 본체(210)의 튜브 연결관(216)에 압력측정튜브(116)의 일단부를 연결하고, 마감캡 커버(220)를 제1 위치(L1)로 회전시켜 설치작업홀(224)과 체결홀(214)을 서로 일치시킨다.
그 상태에서, 튜브 연결관(216)이 천장 텍스(46)의 설치홀부에 관통되게 삽입시키면서 마감캡 본체(210)를 천장 텍스(46)에 밀착시키고, 설치작업홀(224)에 체결부재(230)와 공구를 넣어서 체결홀(214)과 천장 텍스(46)를 체결부재(230)로 체결한다.
따라서, 마감캡(200)이 미리 결합된 상태에서 체결부재(230)로 설치되므로, 마감캡 커버(220)와 마감캡 본체(210)를 분리한 상태에서 천장 텍스(46)에 설치하는 것과 비교하여 마감캡(200)의 설치 작업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작업홀(224)을 통한 체결부재(230)의 체결 작업이 완료되면, 마감캡 커버(220)를 제2 위치(L2)로 회전시켜 체결홀(214)과 대응되지 않은 위치로 설치작업홀(224)을 이동시킨다.
그 결과로, 제2 위치(L2)로 회전된 마감캡 커버(220)가 체결홀(214)에 체결된 체결부재(230)를 차폐시키기 때문에 체결부재(230)가 마감캡(20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그로 인하여 체결부재(230)의 노출에 따른 옥내(40)의 미관 저하도 해소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마감캡(200)을 설치하거나 교체하는 과정에서 마감캡 본체(210)와 마감캡 커버(220)를 분리하여 작업할 필요성이 없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마감캡 커버(220)를 회전시키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체결부재(230)의 체결 작업과 풀림 작업이 가능함과 아울러 체결부재(230)를 숨겨서 미관을 미려하게 만들 수 있다.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력측정튜브용 마감캡(300)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마감캡 본체(310)의 전면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마감캡 커버(320)의 후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1에서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참조부호와 동일 유사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압력측정튜브용 마감캡(300)과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서술하도록 한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력측정튜브용 마감캡(300)이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압력측정튜브용 마감캡(200)과 상이한 점은, 압력측정튜브(116, 118)와 연결되는 두 개의 튜브 연결관(316, 317)이 마감캡 본체(310)에 마련될 수 있고, 두 개의 튜브 연결관(316, 317)으로 옥내 대기압(P)을 각각 유도하기 위해 두 개의 공기 유도관(314, 315)이 마감캡 본체(310)에 마련될 수 있다는 점이 상이하다.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캡 본체(310)의 중앙부에는 두 개의 튜브 연결관(316, 317)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고, 마감캡 본체(310)의 가장자리부에는 복수개의 체결홀(214)이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체결홀(214)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체결홀(214)들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반면에, 두 개의 튜브 연결관(316, 317)은 압력측정튜브(116, 118)의 일단부에 각각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두 개의 튜브 연결관(316, 317)은 마감캡 본체(310)의 후면부 중심에서 후방을 향해 돌출된 두 개의 파이프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압력측정튜브(116, 118)가 메인 튜브(116) 및 예비 튜브(118)로 제공될 수 있다.
메인 튜브(116)는 옥내 대기압(P)을 마감캡 본체(310)에서 차압 댐퍼(110)로 전달하는 호스 부재이다. 즉, 메인 튜브(116)의 일단부는 후술하는 두 개의 튜브 연결관(316, 317) 중 메인 연결관(316)에 연결될 수 있고, 메인 튜브(116)의 타단부는 차압 댐퍼(110)의 컨트롤러(114)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차압 댐퍼(110)는 메인 튜브(116)를 통해 옥내 대기압(P)을 전달 받아서 옥내(40)의 압력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예비 튜브(118)는 옥내 대기압(P)을 마감캡 본체(310)에서 차압 댐퍼(110) 측으로 전달하는 호스 부재이다. 즉, 예비 튜브(118)의 일단부는 후술하는 두 개의 튜브 연결관(316, 317) 중 예비 연결관(317)에 연결될 수 있고, 예비 튜브(118)의 타단부는 차압 댐퍼(110)의 내부 공간 또는 차압 댐퍼(110)의 주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건물 제연 시스템(100)의 관리자는 제연 구역(20) 내에서 예비 튜브(118)를 통해 옥내 대기압(P)을 별도로 전달 받아서 차압 댐퍼(110)와 다른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여 옥내(40)의 압력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튜브 연결관(316, 317)은 메인 연결관(316) 및 예비 연결관(317)으로 제공될 수 있다.
메인 연결관(316)은 메인 튜브(116)의 일단부와 연결되도록 파이프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예비 연결관(317)은 예비 튜브(118)의 일단부와 연결되도록 파이프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메인 연결관(316)과 예비 연결관(317)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로 상기 마감캡 본체(310)의 후면부에서 수직하게 돌출되도록 마감캡 본체(310)와 함께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메인 연결관(316)과 예비 연결관(317)이 마감캡 본체(310)의 후면부에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마감캡 본체(310)의 후면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마감캡 본체(310)의 전면부에는 마감캡 본체(310)와 마감캡 커버(32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제1 공간부(S1)와 제2 공간부(S2)로 구획하기 위한 구획벽(312)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구획벽(312)은 마감캡 본체(310)와 마감캡 커버(32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마감캡 본체(310)의 제1 측면과 제2 측면에 각각 근접한 영역으로 구획하도록 격벽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구획벽(312)은 마감캡 커버(32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마감캡 본체(310)의 전면부에서 마감캡 커버(320)의 후면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메인 연결관(316)의 개구는 구획벽(312)에 의해 구획된 제1 공간부(S1)에 배치될 수 있고, 예비 연결관(317)의 개구는 구획벽(312)에 의해 구획된 제2 공간부(S2)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공간부(S1)에는 메인 연결관(316)의 개구 및 후술하는 제1 공기 유도관(314)이 위치될 수 있고, 제2 공간부(S2)에는 예비 연결관(317)의 개구 및 후술하는 제2 공기 유도관(315)이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옥내(40)에서 마감캡(300)에 전달되는 옥내 대기압(P)은, 제1 공간부(S1)와 제2 공간부(S2)에 독립적으로 제공되어 마감캡 본체(310)와 마감캡 커버(32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서 서로 섞이거나 영향을 주지 않으며, 메인 연결관(316)과 예비 연결관(317)을 통해 메인 튜브(116)와 예비 튜브(118)에 개별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공기 유도관(314, 315)는 마감캡 본체(310)의 전면부에 두 개의 튜브 연결관(316, 317)과 각각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두 개의 공기 유도관(314, 315)는 마감캡 커버(320)의 설치작업홀(224)들과 대기압감지홀(222)들을 통과한 옥내 대기압(P)을 서로 다른 경로를 따라 개별적으로 유도하여 두 개의 튜브 연결관(316, 317)에 각각 전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두 개의 공기 유도관(314, 315)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개구된 구조로 마련되되, 적어도 한 번 이상 경로를 전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두 개의 공기 유도관(314, 315)는, 메인 연결관(316)으로 옥내 대기압(P)을 유도하기 위한 제1 공기 유도관(314), 및 예비 연결관(317)으로 옥내 대기압(P)을 유도하기 위한 제2 공기 유도관(315)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공기 유도관(314)는 마감캡 커버(320)의 설치작업홀(224)들과 대기압감지홀(222)들을 통해 마감캡 커버(320)와 마감캡 본체(310) 사이의 제1 공간부(S1)로 전달된 옥내 대기압(P)을 메인 연결관(316)으로 유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공기 유도관(314)은 마감캡 본체(310)의 전면부에서 메인 연결관(316)의 개구를 덮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공기 유도관(314)의 일단부는 메인 연결관(316)에 연통되도록 연결될 수 있고, 제1 공기 유도관(314)의 타단부는 마감캡 본체(310)의 제1 측면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공기 유도관(314)의 타단부는 마감캡 본체(310)의 제1 측면을 향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공기 유도관(314)의 타단부에는 제1 공간부(S1)의 옥내 대기압(P)가 유입되기 위한 제1 입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공기 유도관(314)은, 메인 연결관(316)의 개구를 덮는 후 그 위치에서 마감캡 커버(320)의 전면부를 따라 제1 측면을 향해 연장된 덕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공기 유도관(315)는 마감캡 커버(320)의 설치작업홀(224)들과 대기압감지홀(222)들을 통해 마감캡 커버(320)와 마감캡 본체(310) 사이의 제2 공간부(S2)로 전달된 옥내 대기압(P)을 예비 연결관(317)으로 유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2 공기 유도관(315)은 마감캡 본체(310)의 전면부에서 예비 연결관(317)의 개구를 덮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2 공기 유도관(315)은 마감캡 본체(310)의 전면부에서 예비 연결관(317)의 개구를 덮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제2 공기 유도관(315)의 일단부는 예비 연결관(317)에 연통되도록 연결될 수 있고, 제2 공기 유도관(315)의 타단부는 마감캡 본체(310)의 제2 측면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공기 유도관(314)의 타단부는 마감캡 본체(310)의 제1 측면을 향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공기 유도관(314)의 타단부에는 제1 공간부(S1)의 옥내 대기압(P)가 유입되기 위한 제1 입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공기 유도관(314)은, 메인 연결관(316)의 개구를 덮는 후 그 위치에서 마감캡 커버(320)의 전면부를 따라 제1 측면을 향해 연장된 덕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공기 유도관(315)의 타단부은 마감캡 본체(310)의 제2 측면을 향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공기 유도관(315)의 타단부에는 제2 공간부(S1)의 옥내 대기압(P)이 유입되기 위한 제2 입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제2 공기 유도관(315)은 예비 연결관(317)의 개구를 덮은 후 그 위치에서 마감캡 커버(320)의 전면부를 따라 제2 측면을 향해 연장된 덕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참고로, 제1 공기 유도관(314)과 제2 공기 유도관(315)의 타단부는 마감캡 본체(310)의 제1 측면과 제2 측면을 향해 각각 연장되되, 그렇게 연장된 부위에 입구부와 제2 입구부가 제1 측면과 제2 측면을 향해 개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측면과 제2 측면이 마감캡 본체(310)의 서로 반대되는 방향에 위치하되, 제1 공간부(S1)와 제2 공간부(S2)도 마감캡 본체(310)의 제1 측면과 제2 측면을 따라 분리한 것으로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공간부(S1)와 제2 공간부(S2)로 전달된 옥내 대기압(P)이 메인 연결관(316)과 예비 연결관(317)에 바로 전달되지 않고 제1 공기 유도관(314)와 제2 공기 유도관(315)를 통해 서로 다른 경로로 메인 연결관(316)과 예비 연결관(317)에 개별적으로 유도될 수 있다. 즉, 제1 공기 유도관(314)의 타단부와 제2 공기 유도관(315)의 타단부는 예비 튜브(118)와 예비 연결관(317)을 통해 전달되는 제연 구역(20)의 압력이 차압 댐퍼(110)의 컨트롤러(114)에 의한 옥내 대기압(P)의 측정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마감캡 커버(320)의 후면부에는 제1 공간부(S1)와 제2 공간부(S2) 사이의 공기 유동을 방해하기 위한 복수개의 가이드 리브(322, 324)가 돌출되게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리브(322, 324)는 마감캡 커버(320)의 후면부에서 리브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가이드 리브(322, 324)는 제1 공간부(S1)와 제2 공간부(S2)에 전달된 옥내 대기압(P)이 서로 다른 공간을 향해 유동되는데 저항 구조물로 작용하여 제1 공간부(S1)와 제2 공간부(S2) 간의 압력 전달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가이드 리브(322, 324)는 제1 공간부(S1)와 제2 공간부(S2)에 전달된 옥내 대기압(P)을 제1 공기 유도관(314)와 제2 공기 유도관(315)의 입구부로 각각 안내하도록 형성되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의 가이드 리브(322, 324)는, 제1 공간부(S1)에 위치한 제1 가이드 리브(322), 및 제2 공간부(S2)에 위치한 제2 가이드 리브(324)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리브(322)는 설치작업홀(224)들과 대기압감지홀(222)들을 통해 제1 공간부(S1)로 전달된 옥내 대기압(P)을 제1 공기 유도관(314)의 제1 입구부에 수렴시키는 형상에 대응하도록 마감캡 커버(320)의 가장자리부에서 제2 방향을 향해 한 쌍이 경사진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리브(324)는 설치작업홀(224)들과 대기압감지홀(222)들을 통해 제2 공간부(S2)로 전달된 옥내 대기압(P)을 제2 공기 유도관(315)의 제2 입구부에 수렴시키는 형상에 대응하도록 마감캡 커버(320)의 가장자리부에서 제1 방향을 따라 한 쌍이 경사진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력측정튜브용 마감캡(300)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압력측정튜브용 마감캡(200)과 동일한 방식으로 설치 및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제2 공기 유도관(315)와 예비 연결관(317) 및 예비 튜브(118)을 통해 차압 댐퍼(110) 측으로 안내된 옥내 대기압(P)을 이용하여 건물 제연 시스템(100)의 관리자가 옥내(40)의 압력 상태를 별도의 측정 장비로 확인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건물 제연 시스템(100)의 관리자는 옥내 대기압(P)을 다양하게 가변시키면서 차압 댐퍼(110)의 작동 상태를 면밀히 체크할 수 있고, 그로 인해서 건물 제연 시스템(100)의 안전성 및 작동 신뢰성을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건물 제연 시스템(100)의 관리자가 예비 튜브(118)를 통해 옥내 대기압(P)을 측정하지 않을 경우, 예비 튜브(118)의 타단부가 제연 구역(20)에 그대로 배치된 상태이기 때문에 제연 구역(20)의 대기압이 예비 튜브(118)를 따라 마감캡(300)에 역방향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예비 튜브(118)를 따라 역방향으로 전달된 제연 구역(20)의 대기압은 예비 연결관(317)과 제2 공기 유도관(315)을 통해 마감캡(300)의 내부에 형성된 제2 공간부(S2)에 전달될 수 있다.
하지만, 마감캡(300)의 내부 공간이 구획벽(312)에 의해 제1 공간부(S1)와 제2 공간부(S2)로 구획된 상태이므로, 제2 공간부(S2)에 전달된 제연 구역(20)의 대기압이 제1 공간부(S1)에 거의 영향을 주지 못하기 때문에 제연 구역(20)의 대기압이 제1 공간부(S1)에 전달되는 않는다. 뿐만 아니라, 제1 공기 유도관(314)이 메인 연결관(316)을 덮도록 제1 공간부(S1)에 마련됨과 아울러 제2 공기 유도관(315)이 예비 연결관(317)을 덮도록 제2 공간부(S2)에 마련된 구조이므로, 옥내 대기압(P)이 제1 공간부(S1)에서 제1 공기 유도관(314)으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제2 공간부(S2)에 전달된 제연 구역(20)의 대기압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건물 제연 시스템(100)의 차압 댐퍼(110)가 옥내 대기압(P)을 측정할 때, 예비 튜브(118)를 통해 마감캡(300)에 전달된 제연 구역(20)의 대기압에 의해 메인 튜브(117)를 통해 정상 전달되는 옥내 대기압(P)이 변화되지 않아 차압 댐퍼(110)가 옥내 대기압(P)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연 구역(20)과 옥내(40)의 차압을 정확하게 감지하여 차압 댐퍼(110)의 작동을 원활하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감캡(300)의 제2 공간부(S2)에 역류된 제연 구역(20)의 대기압이 메인 튜브(117)를 따라 차압 댐퍼(110)로 전달되면, 차압 댐퍼(110)가 제연 구역(20)과 옥내(40)의 차압이 매우 작은 것으로 부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차압 댐퍼(110)가 제연 구역(20)의 내부 압력을 높이는 방향으로 작동하여 화재 발생시 옥내 출입문(42)을 개방하는 것이 매우 힘들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건물 제연 시스템
110: 차압 댐퍼
116, 118: 압력측정튜브(메인 튜브, 예비 튜브)
200, 300: 마감캡
210, 310: 마감캡 본체
211: 체결부
214: 체결홀
216: 튜브 연결관
220, 320: 마감캡 커버
221: 체결턱
222: 대기압감지홀
224: 설치작업홀
230: 체결부재
312: 구획벽
314, 315: 공기 유도관(제1 공기 유도관, 제2 공기 유도관)
316, 317: 튜브 연결관(메인 연결관, 예비 연결관)
322, 324: 가이드 리브(제1 가이드 리브, 제2 가이드 리브)
A: 외부 공기
P: 옥내 대기압
L1: 제1 위치
L2: 제2 위치

Claims (12)

  1. 건물의 옥내에서 천장 또는 벽면에 체결부재로 설치되고, 상기 건물의 화재 발생시 제연 구역에 마련된 차압 댐퍼로 옥내 대기압을 전달하기 위한 압력측정튜브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마감캡 본체; 및
    상기 마감캡 본체의 전면부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마감캡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마감캡 본체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재를 상기 마감캡 본체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작업홀이 형성된 마감캡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마감캡 본체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되기 위한 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마감캡 커버는, 상기 마감캡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마감캡 본체의 설치시 상기 설치작업홀과 상기 체결홀을 서로 대응되게 배치시키도록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제연 시스템의 압력측정튜브용 마감캡.
  2. 건물의 옥내에서 천장 또는 벽면에 체결부재로 설치되고, 상기 건물의 화재 발생시 제연 구역에 마련된 차압 댐퍼로 옥내 대기압을 전달하기 위한 압력측정튜브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마감캡 본체; 및
    상기 마감캡 본체의 전면부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마감캡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마감캡 본체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재를 상기 마감캡 본체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작업홀이 형성된 마감캡 커버;를 포함하고,
    설치 현장에서 상기 마감캡 본체와 상기 마감캡 커버의 조립 작업이 필요 없도록 상기 마감캡 본체와 상기 마감캡 커버는 결합된 상태로 제공되며,
    상기 마감캡 본체는 상기 마감캡 커버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마감캡 커버의 상기 설치작업홀을 통해 상기 체결부재를 삽입하여 상기 옥내의 천장 또는 벽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제연 시스템의 압력측정튜브용 마감캡.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캡 커버는,
    상기 마감캡 본체의 설치시 상기 설치작업홀을 통해 상기 체결홀을 노출시키도록 상기 설치작업홀과 상기 체결홀이 서로 대응되는 제1 위치로 회전되고,
    상기 마감캡 본체의 설치 완료시 상기 설치작업홀을 통해 상기 체결홀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마감캡 커버가 상기 체결홀을 차폐하는 제2 위치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제연 시스템의 압력측정튜브용 마감캡.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캡 본체에는 상기 마감캡 커버와 결합되는 부위에 체결부가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마감캡 커버에는 상기 마감캡 본체와의 결합시 상기 체결부에 회전 가능하게 걸림되는 체결턱이 돌출되게 마련되며,
    상기 체결부의 일측부에는 상기 마감캡 커버가 상기 제1 위치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체결턱과 걸려 상기 마감캡 커버의 회전을 상기 제1 위치에서 제한하기 위한 제1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의 타측부에는 상기 마감캡 커버가 상기 제2 위치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체결턱과 걸려 상기 마감캡 커버의 회전을 상기 제2 위치에서 제한하기 위한 제2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제연 시스템의 압력측정튜브용 마감캡.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턱과 상기 체결부는 상기 마감캡 커버를 상기 마감캡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체결턱과 상기 제1,2 걸림턱은 상기 마감캡 커버의 회전 각도를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제연 시스템의 압력측정튜브용 마감캡.
  7. 건물의 옥내에서 천장 또는 벽면에 체결부재로 설치되고, 상기 건물의 화재 발생시 제연 구역에 마련된 차압 댐퍼로 옥내 대기압을 전달하기 위한 압력측정튜브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마감캡 본체; 및
    상기 마감캡 본체의 전면부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마감캡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마감캡 본체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재를 상기 마감캡 본체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작업홀이 형성된 마감캡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마감캡 커버에는 상기 옥내 대기압을 상기 마감캡 본체에 제공하기 위한 대기압감지홀이 형성되고,
    상기 대기압감지홀은, 상기 설치작업홀과 서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거나 상기 설치작업홀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제연 시스템의 압력측정튜브용 마감캡.
  8. 건물의 옥내에서 천장 또는 벽면에 체결부재로 설치되고, 상기 건물의 화재 발생시 제연 구역에 마련된 차압 댐퍼로 옥내 대기압을 전달하기 위한 압력측정튜브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마감캡 본체; 및
    상기 마감캡 본체의 전면부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마감캡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마감캡 본체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재를 상기 마감캡 본체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작업홀이 형성된 마감캡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마감캡 본체에는 상기 압력측정튜브의 일단부에 연결되기 위한 튜브 연결관이 형성되고,
    상기 압력측정튜브는, 상기 차압 댐퍼가 상기 옥내 대기압을 측정하도록 상기 옥내 대기압을 상기 차압 댐퍼의 컨트롤러로 안내하는 메인 튜브; 및 상기 차압 댐퍼와 다른 장치를 사용하여 관리자가 상기 옥내 대기압을 별도로 측정하도록 상기 옥내 대기압을 상기 차압 댐퍼 측으로 안내하는 예비 튜브;로 제공되며,
    상기 튜브 연결관은, 상기 메인 튜브의 일단부와 연결되는 메인 연결관; 및 상기 예비 튜브의 일단부와 연결되는 예비 연결관;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제연 시스템의 압력측정튜브용 마감캡.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캡 본체의 전면부에는 상기 마감캡 본체와 상기 마감캡 커버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제1 공간부와 제2 공간부로 구획하기 위한 구획벽이 마련되고,
    상기 구획벽은 상기 제1 공간부와 상기 제2 공간부의 압력이 서로 간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상기 마감캡 본체의 전면부에서 상기 마감캡 커버의 후면부에 접촉되도록 돌출되며,
    상기 제1 공간부에는 메인 연결관이 연결되고, 상기 제2 공간부에는 예비 연결관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제연 시스템의 압력측정튜브용 마감캡.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캡 본체의 전면부에는 상기 옥내 대기압을 상기 메인 연결관으로 유도하기 위한 제1 공기 유도관; 및 상기 옥내 대기압을 상기 예비 연결관으로 유도하기 위한 제2 공기 유도관;이 마련되며,
    상기 제1 공기 유도관의 일단부는 상기 메인 연결관에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2 공기 유도관의 일단부는 상기 예비 연결관에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1 공기 유도관의 타단부와 상기 제2 공기 유도관의 타단부는 상기 예비 튜브와 상기 예비 연결관을 통해 전달되는 상기 제연 구역의 압력이 상기 차압 댐퍼의 컨트롤러에 의한 상기 옥내 대기압의 측정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제연 시스템의 압력측정튜브용 마감캡.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기 유도관은 상기 마감캡 본체의 전면부에서 상기 메인 연결관의 개구를 덮는 형상으로 마련되되, 일측이 상기 마감캡 본체의 제1 측면을 향해 개방되고,
    상기 제2 공기 유도관은 상기 마감캡 본체의 전면부에서 상기 예비 연결관의 개구를 덮는 형상으로 마련되되, 일측이 상기 마감캡 본체의 제2 측면을 향해 개방되며,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은 서로 반대되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제연 시스템의 압력측정튜브용 마감캡.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캡 커버의 후면부에는, 상기 제1 공간부와 상기 제2 공간부 사이의 공기 유동을 방해하기 위한 복수개의 가이드 리브가 돌출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제연 시스템의 압력측정튜브용 마감캡.
KR1020200101869A 2020-08-13 2020-08-13 건물 제연 시스템의 압력측정튜브용 마감캡 KR102392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869A KR102392299B1 (ko) 2020-08-13 2020-08-13 건물 제연 시스템의 압력측정튜브용 마감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869A KR102392299B1 (ko) 2020-08-13 2020-08-13 건물 제연 시스템의 압력측정튜브용 마감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249A KR20220021249A (ko) 2022-02-22
KR102392299B1 true KR102392299B1 (ko) 2022-04-28

Family

ID=80494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1869A KR102392299B1 (ko) 2020-08-13 2020-08-13 건물 제연 시스템의 압력측정튜브용 마감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2299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39854B2 (ja) * 1998-04-10 2007-07-04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換気装置
KR101208132B1 (ko) * 2005-12-30 2012-12-04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보일러용 급기부 조립구조
KR101123934B1 (ko) 2009-10-30 2012-03-2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누설량과 보충량을 분리하여 급기하는 고층건물의 제연시스템
KR101185801B1 (ko) 2011-11-08 2012-10-02 강원모 고층건물의 제연 댐퍼 시스템
KR20150139353A (ko) 2014-06-03 2015-12-11 (주)지엘에스테크 급기댐퍼
KR20160038141A (ko) 2014-09-29 2016-04-07 차재연 무지향성 제연댐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249A (ko) 2022-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3516B1 (ko) 화재감지 및 소화시스템
KR102289665B1 (ko) 복합 급기 댐퍼 및 그것을 포함하는 고층 건물의 제연 시스템
KR101409791B1 (ko) 피난문의 개폐 상태에 따라 운전 상태를 조절하는 제연 시스템 및 그 운전 제어 방법
KR102622256B1 (ko) 자동 차압 급기 댐퍼 및 그의 시스템
KR20150139353A (ko) 급기댐퍼
KR20110124463A (ko) 고층건물의 제연방법
KR200437361Y1 (ko) 급기 댐퍼
KR102392299B1 (ko) 건물 제연 시스템의 압력측정튜브용 마감캡
KR20200051293A (ko) 거실 제연설비 시스템
KR20150017398A (ko) 고층건물의 제연방법 및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KR101683535B1 (ko) 제연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38050A (ko) 소방 대피로용 산소 통로 공급장치
KR102484872B1 (ko) 고층건물의 제연 시스템 및 그것의 제연 방법
KR100671477B1 (ko) 고 정밀 자동 통합 제연제어 장치
KR101549219B1 (ko) 측면 가이드가 구비된 방연용 에어커튼 장치
KR20230039274A (ko) 복합 댐퍼 기반의 스마트 제연 시스템
KR200393246Y1 (ko) 제연장치
KR102645958B1 (ko) 인버터 송풍기 기반의 스마트 제연 시스템
KR20110082277A (ko) 급기가압 제연장치
KR102080793B1 (ko) 건물 내 제연을 위한 레버형 제연 댐퍼 및 레버형 제연 댐퍼를 이용한 통합 제연 시스템
KR102452102B1 (ko) 건물의 제연 시스템 및 그것의 제연 방법
KR20090099639A (ko) 고층건물용 자동 제연시설
KR101932620B1 (ko) 차압조절 기능을 갖는 방화문
KR102565051B1 (ko) 승강로 가압방식용 방연댐퍼모듈을 이용한 건물 방연시스템 및 건물 방연방법
KR102647573B1 (ko) 화재로 인한 연기흡입 기능을 갖는 소방용 방화문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