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1893B1 - 듀얼 광학식 연기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듀얼 광학식 연기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1893B1
KR102561893B1 KR1020210072394A KR20210072394A KR102561893B1 KR 102561893 B1 KR102561893 B1 KR 102561893B1 KR 1020210072394 A KR1020210072394 A KR 1020210072394A KR 20210072394 A KR20210072394 A KR 20210072394A KR 102561893 B1 KR102561893 B1 KR 102561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oke
sensor
board
light
d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2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3793A (ko
Inventor
고성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스디엔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스디엔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스디엔에이
Priority to KR1020210072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1893B1/ko
Publication of KR20220163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3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1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1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08B17/103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using a light emitting and receiving devi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Abstract

본 발명은 상측 중앙부에 구성되며, 각각 다른 파장대를 발산하여 유입되는 연기를 감지하는 듀얼 연기센서가 구성되고, 상기 듀얼 연기센서의 전,후방으로 각각 LED와 리셋 스위치가 구성되는 센서보드; 상기 센서보드가 이격되게 결합되며, 상기 제어수단과 연결되는 전원 공급부가 구성되는 전원보드; 상기 센서보드의 하부면에 결합되고, 상기 듀얼 연기센서로부터 전송되는 각각 다른 적외선 파장대의 광산란 정보를 분석하여 광산량 변화량 데이터를 산출하고, 산출한 광산란 변화량 데이터를 분석하여 연기 유형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LED 및 스피커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상기 센서보드 및 전원보드가 결합되고, 둘레면으로 방충망이 구성되는 상부본체; 및 상기 상부본체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전원보드가 안착되는 보드 지지대가 구성되는 하부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듀얼 광학식 연기 감지장치{Dual optical smoke detector}
본 발명은 듀얼 광학식 연기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 및 수광 다이오드를 구성하고, 각각의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각각 다른 파장대의 적외선을 발산하여 광 산란을 측정하고, 측정한 광 산란의 각각 다른 파장대의 분석하여 다른 유형의 연기, 먼지 및 수증기의 입자 크기를 식별함으로써, 화재 연기 입자와 먼지 또는 수증기 입자의 구분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듀얼 광학식 연기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동 및 단독 화재감지기는 센싱 방식에 따라 실내 온도를 감지하는 정온식 감지기와, 실내의 연기 입자를 빛의 산란(散亂) 작용으로 감지하는 광전식 연기 감지기 등으로 크게 분류된다.
광전식 연기 감지기는 건축물의 실내 천정 또는 벽 등을 포함하는 피설치 대상물에 부착시켜 빛을 방사하는 발광센서와 발광센서로 부터 방사된 빛을 받아 들이는 수광센서를 이용하여 내부의 암실에 들어온 연기를 발광센서의 발광 빛이 연기에 의해 산란되어 수광센서에 수광 될 때, 연기의 존재에 의한 농도변화를 소정의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켜 감지하여 경보장치를 작동하는 것에 의해 실내에 머무는 사람에게 화재 발생을 알려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1-0054098호에는,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며, 외주연을 따라 상기 공기유입공을 통해 유입된 공기를 중심영역으로 안내하는 복수개의 안내깃이 형성된 암실판과; 상기 안내깃의 상부에 결합되어 외부의 빛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가림판과; 상기 암실판 상에 구비되어 상기 암실판 내부로의 연기유입을 감지하는 연기센서부와; 상기 연기센서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연기센서부의 정상동작여부를 검사하는 테스트부와; 상기 연기센서부에 대한 테스트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테스트부를 동작시켜 상기 연기센서부의 정상동작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연기가 유입되지 않은 경우에 광학셔터를 이용해 적외선의 광경로가 수광부재를 향하도록 변경하여 연기센서부의 정상동작 여부를 자동으로 검사할 수 있는 연기감지기가 게재된 바 있다.
전술한 선행기술문헌에 의하면, 암실판의 내부에 내장된 발광 다이오드와 광 다이오드의 경우, 공기중에 연기와 같은 입자가 연기센서부측으로 진입하면, 이 연기 입자에 산란되어 광 다이오드에 검지한다. 이때 연기농도는 산란되어 들어오는 적외선 빛의 양에 비례하여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전술한 선행기술의 경우, 단일 파장대의 중심파장을 가지는 적외선을 투사하기 때문에 주변 환경이 수증기 또는 먼지등 화재와 상관없는 조건에서도 화재 경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술한 선행기술의 경우, 연기, 먼지, 수증기의 입자 크기를 알 수 없어 화재 발생 여부와 무관하게 먼지나 수증기를 검지하여 경보 오동작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여기서 전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1-0054098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에 의해서 안출된 것으로, 복수개의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 및 수광 다이오드를 구성하고, 각각의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각각 다른 파장대의 적외선을 발산하여 광 산란을 측정하고, 측정한 광 산란의 각각 다른 파장대의 분석하여 다른 유형의 연기, 먼지 및 수증기의 입자 크기를 식별함으로써, 화재 연기 입자와 먼지 또는 수증기 입자의 구분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듀얼 광학식 연기 감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석이 이루어진 연기 경보를 출력할 때 화재 연기와 수증기, 먼지 등 경보 출력의 오동작을 구분하여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잘못된 경보에 의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듀얼 광학식 연기 감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측 중앙부에 구성되며, 각각 다른 파장대를 발산하여 유입되는 연기를 감지하는 듀얼 연기센서가 구성되고, 상기 듀얼 연기센서의 전,후방으로 각각 LED와 리셋 스위치가 구성되는 센서보드; 상기 센서보드가 이격되게 결합되며, 상기 제어수단과 연결되는 전원 공급부가 구성되는 전원보드; 상기 센서보드의 하부면에 결합되고, 상기 듀얼 연기센서로부터 전송되는 각각 다른 적외선 파장대의 광산란 정보를 분석하여 광산량 변화량 데이터를 산출하고, 산출한 광산란 변화량 데이터를 분석하여 연기 유형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LED 및 스피커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상기 센서보드 및 전원보드가 결합되고, 둘레면으로 방충망이 구성되는 상부본체; 및 상기 상부본체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전원보드가 안착되는 보드 지지대가 구성되는 하부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듀얼 연기센서는, 470nm의 적외선 파장대를 생성하여 발산하는 제1발광 다이오드와, 850nm의 적외선 파장대를 생성하여 발산하는 제2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제1발광 다이오드로부터 발산한 적외선 주파수의 광산란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으로 전송하는 제1수광 다이오드와, 상기 제2발광 다이오드로부터 발산한 적외선 주파수의 광산란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으로 전송하는 제2수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제1 및 제2수광 다이오드는 직교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원보드는, 상부 양측으로 상기 센서보드가 이격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지지하며, 상기 제어수단이 안착되는 안착홈부가 형성되는 이격패널과, 상기 이격패널과 직교를 이루는 방향에 구성되며, 상기 센서보드가 안착되고 상기 상부본체와 결합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결합 지지블럭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수단은, 생성된 입자 크기 정보가 100nm 내지 300nm 직경으로 생성되는 경우, 감지된 연기가 화재시 발생하는 연기 입자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LED 및 스피커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수단은 생성된 입자 크기 정보가 10㎛ 직경을 이루거나, 상기 100nm 내지 300nm 직경 보다 큰 입자 크기로 생성되는 경우에는 유입된 연기가 먼지나 수증기 입자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LED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측정한 광 산란의 각각 다른 파장대의 분석하여 다른 유형의 연기, 먼지 및 수증기의 입자 크기를 식별함으로써, 화재 연기 입자와 먼지 또는 수증기 입자의 구분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분석이 이루어진 연기 경보를 출력할 때 화재 연기와 수증기, 먼지 등 경보 출력의 오동작을 구분하여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잘못된 경보에 의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광학식 연기 감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광학식 연기 감지장치를 나타낸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광학식 연기 감지장치의 듀얼 연기센서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듀얼 광학식 연기 감지장치는 상부본체(110) 및 하부본체(13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싱부(100)와, 케이싱부(100)의 내부에 내장되며, 각각 다른 파장대의 적외선을 발산하는 복수개의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242) 및 복수개의 수광 다이오드(242)를 구성하는 듀얼 연기센서(240)가 장착되어 화재 연기와 수증기, 먼지 등 경보 출력의 오동작을 구분하여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센서 어셈블리(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부본체(110)는 내부로 센서 어셈블리(200)가 장착되며, 상부 일측으로 관통 형성되며, 센서 어셈블리(200)의 센서보드(220)에 구성되는 LED(222)가 안착되어 제어수단(250)의 제어에 따라 발광하는 빛이 투광하는 발광홈(114)이 형성되고, 이 발광홈(114)과 대향하는 위치에 센서보드(220)에 구성되는 리셋 스위치(226)와 연결되며, 외부에서 리셋 스위치(226)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리셋버튼(120)과, 이 리셋버튼(120)이 장착되며, 리셋버튼(120)의 승강 작동을 가이드 하는 버튼 작동공(112)이 형성된다.
또한, 상부본체(110)는 중앙측 내면부로 경보음의 출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스피커가 장착될 수 있으며, 하단부에 등간격으로 연장 형성되고 하부본체(13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지지하는 결합 플랜지(116)와, 원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연기 유입홀(118)을 형성하여 화재 발생시 연기의 유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부본체(110)는 센서 어셈블리(200)의 장착시 전원보드(210) 및 센서보드(220)와 연기 유입홀(118) 사이로 방충망(150)이 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평상시 각종 벌레 등이 연기 유입홀(118)을 통해 센서 어셈블리(200)로 유입되어 오작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하부본체(130)는 상부본체(110)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측 원주면을 따라 상기 결합 플랜지(116)가 결합되는 본체 결합홈(136)이 형성되고, 이 본체 결합홈(136)의 하부에 형성된다.
또한, 하부본체(130)는 그 내주면을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어 센서 어셈블리(200)의 전원보드(210)가 안착됨과 동시에 이 전원보드(210)의 하부에 구성되는 전원 공급부(214)가 전원 케이블과의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보드 지지대(132)가 구성된다.
이러한 하부본체(130)는 그 하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센서 어셈블리(200)가 케이싱부(100)의 내부에 내장이 이루어지도록 케이싱부(100)의 내부를 밀폐시키며, 센서 어셈블리(200)가 장착된 케이싱부(100)가 건축물의 천정 등에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지하는 본체커버(140)가 구성된다.
이때, 본체커버(140)에는 전원보드(210) 및 센서보드(220)가 상부본체(110)에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고정볼트, 또는 스크류 등이 체결되는 체결부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200)는 전원보드(210), 센서보드(220), 연기챔버(230), 듀얼 연기센서(240) 및 제어수단(2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원보드(210)는 하부면이 하부본체(130)의 보드 지지대(132)에 안착되며, 하부 중앙으로 전원을 공급받아 전송하는 전원 공급부(214)가 장착된다.
또한, 전원보드(210)는 상부 양측으로 센서보드(220)가 이격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이격패널(212)이 구성되고, 이 이격패널(212)과 직교를 이루는 방향으로 본체커버(140)에 체결되는 고정볼트, 또는 스크류와 같은 결합수단이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면서 관통하여 상부본체(110)와 결합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결합 지지블럭(216)이 구성된다.
이때, 결합 지지블럭(216)은 이격패널(212)과 함께 센서보드(220)의 하부면이 안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격패널(212)은 제어수단(250)이 안착되는 안착홈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어수단(250)의 안정적인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할 수 있을 것이다.
센서보드(220)는 전원보드(210)의 상부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며, 하부면으로 제어수단(250)이 장착되고, 상부면으로는 그 중앙부에 제어수단(250)과 연결되어 각각 다른 파장대를 전송하는 듀얼 연기센서(240)가 장착된다.
또한, 센서보드(220)는 듀얼 연기센서(240)의 양측으로 연기챔버(230)가 고정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고정홈(224)이 형성된다.
또한, 센서보드(220)는 듀얼 연기센서(240)의 전,후방으로 각각 LED(222)와 리셋 스위치(226)가 구성되며, 이 LED(222)와 리셋 스위치(226)는 제어수단(250)과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센서보드(220)는 듀얼 연기센서(240), LED(222) 및 리셋 스위치(226)와 제어수단(250) 간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센싱신호 및 제어신호의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센싱회로가 구성됨은 물론이다.
연기챔버(230)는 센서보드(220)의 고정홈(224)에 결합되어 듀얼 연기센서(240)를 해충이나 크기가 큰 먼지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입자 형태의 연기, 먼지 및 수증기 등만이 유입되어 듀얼 연기센서(240)에 의해 감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연기챔버(230)는 하부 원주면으로 하향 연장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224)에 삽입 및 고정되는 고정 플랜지가 구성되며, 그 둘레면으로는 방충망(150)을 통과한 연기가 유입되어 듀얼 연기센서(240)에 의해 감지가 이루어지도록 연기통공이 형성된다.
듀얼 연기센서(240)는 복수개의 발광 다이오드(242)와 이에 대응하는 개수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수광 다이오드(244)가 구성된다.
이때, 복수개의 발광 다이오드(242) 및 복수개의 수광 다이오드(244)는 서로 직교를 이루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복수개의 발광 다이오드(242)로부터 발산되는 각각 다른 파장대의 적외선이 상기 복수개의 수광 다이오드(244)로 직접 입사가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복수개의 발광 다이오드(242)는 각각 다른 파장대의 적외선을 발산하도록 구성되고, 복수개의 수광 다이오드(244)는 상기 다른 파장대의 적외선을 감지하여 제어수단(250)으로 전송한다.
이러한 듀얼 연기센서(240)는 제1 및 제2발광 다이오드(242a, 242b)와 제1 및 제2수광 다이오드(244a, 244b)로 구성될 수 있다.
제1발광 다이오드(242a)는 470nm의 적외선 파장대를 생성하여 발산하고, 제2발광 다이오드(242b)는 850nm의 적외선 파장대를 생성하여 발산하여, 연기챔버(230)의 내부로 유입되는 연기에 의해 굴절이 이루어지면서 적외선의 광산란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제1수광 다이오드(244a)는 제1발광 다이오드(242a)로부터 발산한 적외선 주파수의 광산란을 감지하여 제어수단(250)으로 전송하고, 제2수광 다이오드(244b)는 제2발광 다이오드(242b)로부터 발산한 적외선 주파수의 광산란을 감지하여 제어수단(250)으로 전송하여 제어수단(250)을 통해 각각 다른 적외선 주파수의 광산란에 대한 변화량 데이터를 산출하도록 구성된다.
제어수단(250)는 제1 및 제2수광 다이오드(244a, 244b)로부터 전송되는 각각 다른 적외선 파장대의 광산란 정보를 분석하여 이 적외선 파장대에 대한 광산량 변화량 데이터를 산출하고, 산출한 광산란 변화량 데이터를 분석하여 연기 유형 정보를 생성한다.
이러한 제어수단(250)은 연기 유형 정보의 생성시 연기챔버(230)로 유입된 연기의 입자 크기에 대한 정보를 더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입자 크기 정보를 바탕으로 연기챔버(230)로 유입된 연기의 종류가 화재 연기인지, 아니면 일반 먼지, 또는 수증기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LED(222)의 발광 여부를 제어하며, 전술한 스피커 등을 통해 경보음의 송출 여부에 대한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어수단(250)은 생성된 입자 크기 정보가 100nm 내지 300nm 직경으로 생성되는 경우, 연기챔버(230)로 유입된 연기가 화재시 발생하는 연기 입자로 판단하여 LED(222)를 화재 발생에 해당하는 빛의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구동시키는 한편, 스피커를 통해 경보음의 송출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수단(250)은 생성된 입자 크기 정보가 10㎛ 직경을 이루거나, 300nm 직경 보다 큰 입자 크기로 생성되는 경우에는 연기챔버(230)로 유입된 연기가 먼지나 수증기 입자인 것으로 판단하여 LED(222)를 통해 안전신호에 해당하는 빛의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케이싱부 110: 상부본체
112: 버튼 작동공 114: 발광홈
116: 결합 플랜지 118: 연기 유입홀
120: 리셋버튼 130: 하부본체
132: 보드 지지대 136: 본체 결합홈
140: 본체커버 150: 방충망
200: 센서 어셈블리 210: 전원보드
212: 이격패널 214: 전원 공급부
216: 결합 지지블럭 220: 센서보드
222: LED 224: 고정홈
226: 리셋 스위치 230: 연기챔버
240: 듀얼 연기센서 242: 발광 다이오드
244: 수광 다이오드 250: 제어수단

Claims (5)

  1. 상측 중앙부에 구성되며, 각각 다른 파장대를 발산하여 유입되는 연기를 감지하는 듀얼 연기센서가 구성되고, 상기 듀얼 연기센서의 전,후방으로 각각 LED와 리셋 스위치가 구성되는 센서보드;
    상기 센서보드가 이격되게 결합되며, 제어수단과 연결되는 전원 공급부가 구성되는 전원보드;
    상기 센서보드에 결합되며, 상기 듀얼 연기센서를 해충이나 먼지로부터 보호하고, 입자 형태의 연기, 먼지 및 수증기만이 유입되어 상기 듀얼 연기센서에 의해 감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연기챔버;
    상기 센서보드의 하부면에 결합되고, 상기 듀얼 연기센서로부터 전송되는 각각 다른 적외선 파장대의 광산란 정보를 분석하여 광산란 변화량 데이터를 산출하고, 산출한 광산란 변화량 데이터를 분석하여 연기 유형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LED 및 스피커의 구동을 제어하되, 상기 연기 유형 정보의 생성시 상기 연기챔버로 유입된 연기의 입자 크기에 대한 정보를 더 생성하여 생성된 입자 크기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연기챔버로 유입된 연기의 종류가 화재 연기인지, 아니면 일반 먼지, 또는 수증기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LED의 발광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수단;
    상기 LED가 안착되어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발광하는 빛이 투광하는 발광홈과, 상기 발광홈과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리셋 스위치와 연결되는 리셋버튼과, 상기 리셋버튼이 장착되며, 상기 리셋버튼의 승강 작동을 가이드 하는 버튼 작동공과, 하단부에 등간격으로 연장 형성되고 하부본체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지지하는 결합 플랜지와, 화재 발생시 연기의 유입이 이루어지도록 원주면을 따라 다수개로 형성되는 연기 유입홀과, 상기 전원보드 및 센서보드와 연기 유입홀 사이에 구성되는 방충망을 포함하는 상부본체; 및
    상기 상부본체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전원보드가 안착되는 보드 지지대와, 케이싱부를 밀폐시키는 본체커버가 구성되는 하부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보드는,
    상부 양측으로 상기 센서보드가 이격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이격패널과, 상기 이격패널과 직교를 이루는 방향으로 상기 본체커버에 결합되면서 관통하여 상기 상부본체와 결합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결합 지지블럭과, 상기 이격패널에 형성되어 상기 제어수단이 안착되는 안착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듀얼 연기센서는
    470nm의 적외선 파장대를 생성하여 발산하는 제1발광 다이오드와, 850nm의 적외선 파장대를 생성하여 발산하는 제2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제1발광 다이오드로부터 발산한 적외선 주파수의 광산란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으로 전송하는 제1수광 다이오드와, 상기 제2발광 다이오드로부터 발산한 적외선 주파수의 광산란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으로 전송하는 제2수광 다이오드로 구성되되, 상기 제1 및 제2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제1 및 제2수광 다이오드는 직교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광학식 연기 감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생성된 입자 크기 정보가 100nm 내지 300nm 직경으로 생성되는 경우, 감지된 연기가 화재시 발생하는 연기 입자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LED 및 스피커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광학식 연기 감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생성된 입자 크기 정보가 10㎛ 직경을 이루거나, 300nm 직경 보다 큰 입자 크기로 생성되는 경우에는 유입된 연기가 먼지나 수증기 입자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LED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광학식 연기 감지장치.
KR1020210072394A 2021-06-03 2021-06-03 듀얼 광학식 연기 감지장치 KR102561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2394A KR102561893B1 (ko) 2021-06-03 2021-06-03 듀얼 광학식 연기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2394A KR102561893B1 (ko) 2021-06-03 2021-06-03 듀얼 광학식 연기 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3793A KR20220163793A (ko) 2022-12-12
KR102561893B1 true KR102561893B1 (ko) 2023-08-01

Family

ID=84391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2394A KR102561893B1 (ko) 2021-06-03 2021-06-03 듀얼 광학식 연기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189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35609A (ja) * 2008-10-09 2013-11-21 Hochiki Corp 煙検出器
JP2016071581A (ja) * 2014-09-30 2016-05-09 能美防災株式会社 煙感知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767B1 (ko) * 2013-04-18 2014-11-21 주식회사 케이텔 광전식 연기 감지 방법 및 그 장치
KR102318951B1 (ko) 2019-11-04 2021-10-29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기감지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35609A (ja) * 2008-10-09 2013-11-21 Hochiki Corp 煙検出器
JP2016071581A (ja) * 2014-09-30 2016-05-09 能美防災株式会社 煙感知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3793A (ko) 2022-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25565B1 (en) Light emitting unit and photoelectric smoke detector, and suction-type smoke detection system
JP5972168B2 (ja) 吸引式煙感知システム
US7508313B2 (en) Smoke detectors particularly ducted smoke detectors
US8232885B2 (en) Photoelectric smoke detector
TWI621846B (zh) 煙霧暗室及採用該煙霧暗室的煙霧偵測器
US7847700B2 (en) System and method for an optical particle detector
JP6846168B2 (ja) 感知器
TW202001811A (zh) 偵測器
JP2021144746A (ja) 警報装置
KR102318951B1 (ko) 연기감지기
JP6905900B2 (ja) 散乱光式感知器
KR102561893B1 (ko) 듀얼 광학식 연기 감지장치
JP5046552B2 (ja) 光電式煙感知器
US20240054875A1 (en) Smoke detection device, a scattered light sensor of the smoke detection device, and a method for detecting a smoke by means of the device
CN111080960A (zh) 一种带有导光散射结构的烟感探测装置
JP6957273B2 (ja) 散乱光式感知器
JP5901485B2 (ja) 煙感知器
KR20150107130A (ko) 화재 감지기
JP5038112B2 (ja) 光電式煙感知器
JP2010039937A (ja) 煙感知器
US20190080579A1 (en) Chamberless Smoke Detector
CN108106978B (zh) 烟雾暗室及采用该烟雾暗室的烟雾侦测器
JP5153709B2 (ja) 光電式煙感知器
JP5117820B2 (ja) 光電式煙感知器
JP7128664B2 (ja) 感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