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0615B1 - 차량의 콘솔 슬라이딩 암레스트 개폐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콘솔 슬라이딩 암레스트 개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0615B1
KR102420615B1 KR1020200140899A KR20200140899A KR102420615B1 KR 102420615 B1 KR102420615 B1 KR 102420615B1 KR 1020200140899 A KR1020200140899 A KR 1020200140899A KR 20200140899 A KR20200140899 A KR 20200140899A KR 102420615 B1 KR102420615 B1 KR 102420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sliding
push member
armrest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0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6374A (ko
Inventor
배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200140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0615B1/ko
Publication of KR20220056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6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0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0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9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 B60N2/793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for use as storag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05B83/32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for console boxes, e.g. between passenger sea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7Mid-cons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4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linear movement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콘솔 슬라이딩 암레스트 개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암레스트의 회동바디에 래치가 설치되고 슬라이딩바디에 인터록레버와 푸시부재가 설치된다. 슬라이딩바디가 전방으로 슬라이딩된 경우에도 푸시부재 조작시 인터록레버를 매개로 래치를 조작할 수 있게 되어 회동바디의 래치록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개폐 장치를 구성하는 부품수가 감소되어 구조가 단순해지고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콘솔 슬라이딩 암레스트 개폐 장치{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console sliding armres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콘솔 슬라이딩 암레스트 개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암레스트의 구조를 보다 단순화할 수 있도록 된 차량의 콘솔 슬라이딩 암레스트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는 콘솔이 구비된다. 콘솔의 내부의 빈 공간은 물건을 수납하는 스토리지박스로 사용되고, 그 스토리지박스의 상부를 개폐하는 커버는 암레스트로 구성되어 운전자나 조수석 탑승자의 팔을 받치는 용도로 이용된다.
또한 상기 암레스트는 전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구조로 개발되어 그 전후 위치를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에 맞추어 보다 편안하게 암레스트를 이용할 수 있었다.
도 1과 도 2는 그러한 콘솔 슬라이딩 암레스트를 도시한 것으로, 암레스트는 힌지(30)를 매개로 콘솔 상단에 장착되는 회동바디(10)와, 그 회동바디(10)의 상부에 차량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구조로 설치된 슬라이딩바디(20)를 포함한다. 미설명 부호 40은 슬라이딩바디(20)의 상부를 덮어주는 암레스트쿠션(40)이다.
따라서 상기 힌지(30)를 중심으로 회동바디(10)가 상하 회동하여 암레스트가 스토리지박스를 개폐할 수 있고, 상기 회동바디(10)에 대해 슬라이딩바디(2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암레스트의 팔 지지 위치를 조절할 수 있었다.
도 3과 도 4는 각각 도 1의 A-A선 및 도 2의 B-B선 단면도로서, 종래 기술에 따른 콘솔 슬라이딩 암레스트 개폐 장치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암레스트 개폐 장치는 노브(70)와 그로부터 연동되는 인터록링크(71), 중간레버(72), 인터록레버(73)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노브(70)를 상방으로 들어주면 인터록링크(71)가 후방으로 이동하고, 이에 중간레버(72)가 하방으로 회동되며, 마지막으로 인터록레버(73)가 상방으로 회동되어 걸림홀(11)로부터 이탈함으로써 회동바디(10)에 대한 슬라이딩바디(20)의 슬라이딩 구속 상태가 해제되어 슬라이딩바디(20)의 전후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 3과 같이 슬라이딩바디(20)가 최대로 후방 이동한 상태(원위치임)에서 상기 노브(70)를 상방으로 들어주면 래치(60)가 회동되어 걸림홀(51)로부터 이탈됨으로써 회동바디(10)를 상방으로 회동시켜 스토리지박스(50)를 개방할 수 있다. 회동바디(10)의 회동 중심은 힌지(30)의 힌지축(31)이며, 슬라이딩바디(20)와 회동바디(10)는 슬라이드 레일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는 서로 구속되어 있으므로 노브(70) 조작에 의해 인터록레버(73)의 록 상태가 해제되어도 슬라이딩바디(20)의 선단부를 상방으로 회동시켜 회동바디(10)까지 함께 즉, 암레스트 전체를 회동시켜 스토리지박스(50)를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인터록레버(73)가 걸림홀(11)에 걸린 상태를 해제하고 슬라이딩바디(20)를 도 4와 같이 전방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도, 노브(70)를 상방으로 들면, 인터록링크(71)가 중간레버(72)를 하방으로 회동시키므로, 중간레버(72)가 래치(60)를 눌러줄 수 있게 되어 래치(60)가 걸림홀(51)로부터 이탈되므로 스토리지박스(50)를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콘솔 슬라이딩 암레스트 개폐 장치는 인터록링크(71), 중간레버(72), 인터록레버(73) 및 중간레버(72)와 인터록레버(73)의 작동후 리턴용 토션스프링들(각 레버의 회동축에 설치됨) 등 부품의 수가 많은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암레스트의 내부 구조가 복잡하고, 이에 조립이 난해하며, 고장 가능성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84163호(2016.12.01. 등록)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부품수가 감소되어 구조가 단순해지고, 이에 조립성이 향상되며, 고장 가능성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도록 된 차량의 콘솔 슬라이딩 암레스트 개폐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암레스트의 회동바디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콘솔바디에 대한 회동바디의 회동 작동을 구속하는 래치와; 암레스트의 슬라이딩바디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치어 회동바디에 대한 슬라이딩바디의 슬라이딩 작동을 구속하는 인터록레버와; 상기 슬라이딩바디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후방 이동시 상기 래치를 회동시켜 상기 회동바디의 래치록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인터록레버를 회동시켜 상기 슬라이딩바디의 슬라이딩록 상태를 해제하는 푸시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인터록레버는 전방아암과 후방아암이 연결된 V자 형상으로서 전방아암과 후방아암의 연결부가 상방을 향하는 상태로 슬라이딩바디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전방아암과 후방아암의 사이에 상기 푸시부재의 후단에 형성된 레버조작단이 위치된다.
상기 인터록레버의 후방아암 하단이 회동바디에 형성된 걸림홀 중 하나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록 상태가 구현된다.
상기 회동바디에 대해 슬라이딩바디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인터록레버의 전방아암이 상기 래치의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푸시부재가 조작되면 상기 전방아암이 래치를 회동시켜 래치록 상태가 해제된다.
상기 푸시부재에 래치를 회동시켜 래치록 상태를 해제시키는 래치조작단이 형성되고, 상기 래치조작단은 래치의 상부 경사면에 대응되는 각도의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푸시부재의 일측 단부는 슬라이딩바디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그 돌출 단부에 누름부가 설치되며, 누름부와 슬라이딩바디의 사이에는 후방으로 누름 조작된 푸시부재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코일스프링이 설치된다.
상기 푸시부재는 서로 연결된 제1로드와 제2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로드의 전방 단부에 누름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1로드의 후단부에 래치를 조작하는 래치조작단이 형성되고, 상기 제2로드의 후단부에 상기 레버조작단이 형성되며, 상기 제1로드와 제2로드는 위에서 바라볼 때 서로 이격되어 평행한 관계를 가진다.
상기 푸시부재는 플레이트 형상이고, 플레이트의 전방 단부에 누름부가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전방 단부에 래치를 조작하는 래치조작단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의 후방 단부에 인접한 상기 플레이트의 단부가 상기 레버조작단으로 기능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노브, 인터록링크, 중간레버, 인터록레버 등의 부품이 푸시부재와 V형상의 인터록레버로 변경됨으로써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부품수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암레스트 개폐 장치의 부품수가 감소됨으로써 암레스트의 내부 구조가 단순해지고, 그에 따라 조립성이 향상되며, 고장 가능성이 감소되고, 제조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콘솔 슬라이딩 암레스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암레스트의 슬라이딩바디가 전방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과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콘솔 슬라이딩 암레스트 개폐 장치의 조립 상태도로서, 도 3은 슬라이딩바디가 후방 원위치에 있는 상태의 도면이고, 도 4는 슬라이딩바디가 전방으로 이동한 상태의 도면.
도 5와 도 6은 도 3과 도 4의 대응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콘솔 슬라이딩 암레스트 개폐 장치의 조립 상태도로서, 도 5는 슬라이딩바디가 후방 원위치에 있는 상태의 도면이고, 도 6은 슬라이딩바디가 전방으로 이동한 상태의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인 푸시부재의 평면도.
도 8은 상기 푸시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 도 6과 같이(도 1, 2 동시 참조), 차량의 콘솔 슬라이딩 암레스트는 회동바디(10)와, 회동바디(10)에 대해 전후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딩바디(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동바디(10)와 슬라이딩바디(20)는 슬라이딩레일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는 서로 구속되어 있고, 회동바디(10)는 후단부가 힌지(30)(도면부호 31은 힌지축)로 콘솔바디에 장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콘솔바디 내부에 설치된 스토리지박스(50)를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솔 슬라이딩 암레스트 개폐 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부재(80), 인터록레버(100), 래치(60)를 포함한다.
상기 푸시부재(80)와 인터록레버(100)는 상측의 슬라이딩바디(20)에 설치되어 슬라이딩바디(20)가 전후 이동할 때 슬라이딩바디(20)와 함께 이동된다.
상기 래치(60)는 하측의 회동바디(10) 선단부에 설치되어, 슬라이딩바디(20)의 전후 이동과는 상관없이 항상 일정한 위치에서 회동 작동만 가능하다.
회동바디(10)의 하부에 위치한 스토리지박스(50)의 외측부(콘솔바디의 외측면에 해당됨)에는 상기 래치(60)의 하단 걸림부가 삽입되어 걸려지는 걸림홀(51)이 형성되어 있다. 래치(60)의 회동축에는 토션스프링(미도시)이 설치되어 항상 래치(60)를 도면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래치(60)의 걸림부가 걸림홀(51)에 삽입되는 잠금상태로 유지하려는 경향을 가진다.
상기 푸시부재(80)는 상기 래치(60)와 인터록레버(100)를 작동시키기 위한 부품이고, 상기 인터록레버(100)는 슬라이딩바디(20)를 회동바디(10)측에 고정하여 슬라이딩바디(20)의 전후 이동을 억제하는 부품이며, 상기 래치(60)는 콘솔바디의 걸림홀(51)에 걸려져서 암레스트(회동바디(10)와 슬라이딩바디(20) 전체)의 잠금 상태(스토리지박스(50)를 닫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부품이다. 또한 상기 인터록레버(100)는 슬라이딩바디(20)가 전방으로 이동했을 때 래치(60)를 작동시킨다.
도 5, 도 7과 같이, 상기 푸시부재(80)는 슬라이딩바디(20)의 선단부 하측으로부터 슬라이딩바디(20)의 내부에 설치된 인터록레버(100)에 이르는 길이를 가진다.
또한 푸시부재(80)는 사용자가 손으로 눌러주는 누름부(81), 누름부(81)에 이어져 형성된 제1로드(82), 제1로드(82)에 연결되어 형성되되 래치(60)와의 간섭 회피를 위해 제1로드(82)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평면도 상에서) 평행하게 형성된 제2로드(83)와, 제2로드(83)의 단부에 제1로드(82)의 연장선쪽으로 절곡 형성된 레버조작단(84)을 포함한다.
상기 제1로드(82)의 후단부는 래치(60)의 상면 경사면을 밀어줄 수 있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데, 이 경사면이 래치조작단(82a)이 된다.
조립 상태에서 상기 누름부(81)는 슬라이딩바디(20)의 전방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제1로드(82)에 설치된 코일스프링(110)이 누름부(81)의 후면과 슬라이딩바디(20)의 선단에 형성된 푸시부재(80) 설치홀의 테두리부 사이에 양단이 지지되어 푸시부재(80)를 작동 후 원위치로 이동시키는 리턴스프링 역할을 한다. 물론 상기 코일스프링(110)은 푸시부재(80) 설치홀의 내측에 설치되어 인장스프링 방식으로 리턴스프링의 역할을 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제1로드(82)의 후단 즉, 래치조작단(82a)은 래치(60)의 상부 경사면에 근접하여 위치되며, 래치(60)가 제1로드(82)와 동일선상에 위치함에도 불구하고 위에서 볼 때 상기 제2로드(83)가 제1로드(82)와는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래치(60)와 간섭을 회피하면서 푸시부재(80)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2로드(83)의 후단 즉, 레버조작단(84)은 인터록레버(100)의 전방아암(110)과 후방아암(120)의 사이에 위치된다. 따라서 누름부(81)를 눌러 푸시부재(80)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레버조작단(84)이 후방아암(120)을 밀어 인터록레버(10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와 같은 회동 상태에서 누름부(81)를 놓으면 코일스프링(110)에 의해 푸시부재(80)가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이때 레버조작단(84)이 전방아암(110)을 밀어 인터록레버(100)는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어 원위치된다. 이때 인터록레버(100)의 회동축에 인터록레버(10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토션스프링을 설치하여 상기 코일스프링(110)의 리턴 작용을 보조할 수 있다.
상기 인터록레버(100)는 전방아암(110)과 후방아암(120)이 소정 각도로 연결된 대략 V자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두 아암의 연결부가 상방을 향하는 상태(즉, 거꾸로 된 V자 형상)로 상기 연결부가 슬라이딩바디(20)측에 볼트, 핀 등의 부재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전방아암(110)과 후방아암(120) 사이의 각도는 레버조작단(84), 인터록레버(100), 회동바디(10)측에 형성되는 걸림홀(11,12) 등의 상대적인 위치와 치수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후방아암(120)의 하단에는 상기 걸림홀(11,12)에 걸려지는 걸림돌기(121)가 돌출 형성된다.
이제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5는 슬라이딩바디(20)가 전방으로 이동하지 않은 보통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 상태에서는 인터록레버(100) 후방아암(120)의 하단(걸림돌기(121))이 걸림홀(11)에 삽입되어 걸려져 있기 때문에 회동바디(10)에 대해 슬라이딩바디(20)의 전방 이동이 불가능하다.
또한 래치(60)가 도시하지 않은 토션스프링에 의해 걸림홀(51)에 삽입되어 걸려져 있으므로 회동바디(10)의 개방도 불가능한 상태이다.
도 5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누름부(81)를 누르면, 푸시부재(80)가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래치조작단(82a)이 래치(60)의 상단을 밀어주게 되어 래치(60)가 도 5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된다. 따라서 래치(60)와 걸림홀(51)의 걸림 상태가 해제됨으로써 암레스트를 상방으로 회동시켜 스토리지박스(50)를 개방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슬라이딩바디(20)의 전방 단부를 잡고 상방으로 회동시키게 되는데 슬라이딩바디(20)와 회동바디(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레일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는 서로 구속되어 있으므로 슬라이딩바디(20)를 당겨서 회동바디(10)까지 즉, 암레스트 전체를 상방으로 들어 올려 스토리지박스(50)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상태에서 누름부(81)를 누르면 푸시부재(80)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레버조작단(84)이 인터록레버(100)의 후방아암(120)을 후방으로 밀어주게 된다.
따라서 인터록레버(100)가 도 5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후방아암(120)의 하단(걸림돌기(121))이 걸림홀(11)에서 빠져나오면서 슬라이딩 록 상태가 해제되며, 이에 회동바디(10)에 대해 슬라이딩바디(20)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팔 지지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푸시부재(80)의 전방 이동에 의해 래치조작단(82a)이 더 이상 래치(80)를 상단을 밀어주지 못하므로 래치(60)가 원위치로 복귀되어 회동바디(10)가 스토리지박스(50) 폐쇄 상태로 잠겨진다.
한편, 도 6은 슬라이딩바디(20)가 완전히 전방으로 이동한 상태이다. 이때는 코일스프링(110)의 리턴 작용에 의해 슬라이딩바디(20)에 대해 푸시부재(80)가 원위치로 복귀되며, 이때 인터록레버(100)의 전방아암(110)은 래치(60)의 상면에 근접하여 래치 조작 준비 상태에 있게 되고, 후방아암(120)의 하단은 회동바디(10)측에 형성된 또 다른 걸림홀(12)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바디(20)의 전 후 이동이 불가한 슬라이딩록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누름부(81)를 누르면 레버조작단(84)이 후방아암(120)을 밀어 인터록레버(100)를 회동시키며, 이에 인터록레버(100)의 전방아암(110)이 래치(60)의 상면을 눌러 래치(60)가 회동됨으로써 래치록 상태가 해제되어 회동바디(20)를 상향 회동시켜 스토리지박스(50)를 개방할 수 있다. 즉, 슬라이딩바디(20)가 전방으로 이동한 상태 그대로 암레스트 전체를 상향 회동시켜 스토리지박스(50)를 개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누름부(81)를 누르면 후방아암(120)이 회동되면서 걸림홀(12)로부터 빠져나오게 되므로 슬라이딩록 상태가 해제되어 슬라이딩바디(20)를 다시 후방으로 이동시켜 원위치 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슬라이딩록, 슬라이딩록 해제, 래치록, 래치록 해제 등 필요한 모든 조작이 가능하면서도, 개폐 장치를 구성하는 부품수가 감소(종래기술의 인터록링크(71), 중간레버(72) 등에 해당되는 부품이 존재하지 않음)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부품수가 감소됨으로써 암레스트 개폐 장치의 구조가 단순화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부품수가 줄고, 개폐 장치 구조가 단순해짐으로써 개폐 장치를 포함한 암레스트의 조립이 용이해지고, 더불어 고장 가능성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무엇보다도 상기와 같은 이유들에 의해 제조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크다.
한편, 상기 로드 형태의 푸시부재(80)는 도 8과 같은 플레이트 형태의 푸시부재(90)로 대체될 수 있다. 그 외 다른 부품들은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기 푸시부재(90)는 플레이트(92)의 일측 단부에 누름부(91)가 설치되고, 누름부(91)에 인접하여 제1홀(93)이 형성되며, 제1홀(93)과 소정 간격을 두고 제2홀(94)이 형성된다.
상기 제1홀(93)은 코일스프링(110) 설치를 위한 것으로, 코일스프링(110)은 제1홀(93)의 내부에서 일측 단부는 누름부(91)를 지지하고, 타측 단부는 슬라이딩바디(20)의 선단부(슬라이딩바디 설치홀 주변부)를 지지한다.
상기 제2홀(94)의 전방 벽면은 래치(60)의 상부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래치조작단(94a)으로 작용한다. 제2홀(94)의 후방 단부 즉, 푸시부재(90)의 후방 단부는 인터록레버(100)의 전방아암(110)과 후방아암(120) 사이에 위치되어 레버조작단(95)으로 작용하게 된다.
상기 제2홀(94)의 전방부로 래치(60)의 상부가 일부 삽입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누름부(91)를 누름으로써 래치(60)의 록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누름부(91)를 누르면 레버조작단(95)이 인터록레버(100)를 회동시켜 슬라이딩록 상태가 해제됨으로써 슬라이딩바디(20)를 전후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바디(20)가 전방으로 이동한 상태(도 6의 상태)에서 누름부(91)를 누르면 인터록레버(100)의 전방아암(110)이 래치(60)를 눌러 래치록 상태가 해제됨으로써 슬라이딩바디(20)가 전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도 암레스트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플레이트 타입의 푸시부재(90)도 상기 로드형 푸시부재(80)와 동일하게 작동되므로, 그 세부적인 작동 과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회동바디 11, 12 : 걸림홈
20 : 슬라이딩바디 30 : 힌지
31 : 힌지축 40 : 암레스트쿠션
50 : 스토리지박스 51 : 걸림홈
60 : 래치 70 : 노브
80 : 푸시부재 81 : 누름부
82 : 제1로드 82a : 래치조작단
83 : 제2로드 84 : 레버조작단
90 : 푸시부재 91 : 누름부
92 : 플레이트 93 : 제1홀
94 : 제2홀 94a : 래치조작단
95 : 레버조작단

Claims (8)

  1. 암레스트의 회동바디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콘솔바디에 대한 회동바디의 회동 작동을 구속하는 래치와;
    암레스트의 슬라이딩바디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치어 회동바디에 대한 슬라이딩바디의 슬라이딩 작동을 구속하는 인터록레버와;
    상기 슬라이딩바디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후방 이동시 상기 래치를 회동시켜 상기 회동바디의 래치록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인터록레버를 회동시켜 상기 슬라이딩바디의 슬라이딩록 상태를 해제하는 푸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록레버는 전방아암과 후방아암이 연결된 V자 형상으로서 전방아암과 후방아암의 연결부가 상방을 향하는 상태로 슬라이딩바디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전방아암과 후방아암의 사이에 상기 푸시부재의 후단에 형성된 레버조작단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콘솔 슬라이딩 암레스트 개폐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레버의 후방아암 하단이 회동바디에 형성된 걸림홀 중 하나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록 상태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콘솔 슬라이딩 암레스트 개폐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동바디에 대해 슬라이딩바디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인터록레버의 전방아암이 상기 래치의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푸시부재가 조작되면 상기 전방아암이 래치를 회동시켜 래치록 상태가 해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콘솔 슬라이딩 암레스트 개폐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푸시부재에 래치를 회동시켜 래치록 상태를 해제시키는 래치조작단이 형성되고, 상기 래치조작단은 래치의 상부 경사면에 대응되는 각도의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콘솔 슬라이딩 암레스트 개폐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푸시부재의 일측 단부는 슬라이딩바디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그 돌출 단부에 누름부가 설치되며, 누름부와 슬라이딩바디의 사이에는 후방으로 누름 조작된 푸시부재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코일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콘솔 슬라이딩 암레스트 개폐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푸시부재는 서로 연결된 제1로드와 제2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로드의 전방 단부에 누름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1로드의 후단부에 래치를 조작하는 래치조작단이 형성되고, 상기 제2로드의 후단부에 상기 레버조작단이 형성되며, 상기 제1로드와 제2로드는 위에서 바라볼 때 서로 이격되어 평행한 구조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콘솔 슬라이딩 암레스트 개폐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푸시부재는 플레이트 형상이고, 플레이트의 전방 단부에 누름부가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전방 단부에 래치를 조작하는 래치조작단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의 후방 단부에 인접한 상기 플레이트의 단부가 상기 레버조작단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콘솔 슬라이딩 암레스트 개폐 장치.
KR1020200140899A 2020-10-28 2020-10-28 차량의 콘솔 슬라이딩 암레스트 개폐 장치 KR102420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899A KR102420615B1 (ko) 2020-10-28 2020-10-28 차량의 콘솔 슬라이딩 암레스트 개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899A KR102420615B1 (ko) 2020-10-28 2020-10-28 차량의 콘솔 슬라이딩 암레스트 개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6374A KR20220056374A (ko) 2022-05-06
KR102420615B1 true KR102420615B1 (ko) 2022-07-14

Family

ID=81584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0899A KR102420615B1 (ko) 2020-10-28 2020-10-28 차량의 콘솔 슬라이딩 암레스트 개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061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917B1 (ko) * 2007-04-10 2008-02-22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차량용 암레스트의 록킹해제구조
KR101583952B1 (ko) 2014-07-02 2016-01-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슬라이딩 암레스트 콘솔 개폐장치
KR101684163B1 (ko) * 2015-08-31 2016-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슬라이딩 암레스트 콘솔 개폐 장치
JP2018047859A (ja) 2016-09-23 2018-03-29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収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8730B1 (ko) * 2003-12-12 2006-03-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슬라이딩 암레스트 콘솔 개폐장치
KR101916513B1 (ko) * 2016-07-07 2018-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다중 링크 노브 적용 암 레스트와 이를 이용한 암 레스트 콘솔 및 차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917B1 (ko) * 2007-04-10 2008-02-22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차량용 암레스트의 록킹해제구조
KR101583952B1 (ko) 2014-07-02 2016-01-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슬라이딩 암레스트 콘솔 개폐장치
KR101684163B1 (ko) * 2015-08-31 2016-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슬라이딩 암레스트 콘솔 개폐 장치
JP2018047859A (ja) 2016-09-23 2018-03-29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収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6374A (ko) 2022-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09133B2 (en) Retractable outside door handle assembly for vehicle
JP3935020B2 (ja) リッド開閉機構及び車両用収納装置
JP4845519B2 (ja) ドアロック装置およびドアロック装置の組み立て方法
US7832777B2 (en) Door lock assembly
JP4673654B2 (ja) 自動二輪車用サイドトランクのロック装置
EP1972478A2 (en)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vehicle
JP6697367B2 (ja) ドアロック装置
EP1470966B1 (en) Rear bumper structure for a vehicle and vehicle provided therewith
KR102420615B1 (ko) 차량의 콘솔 슬라이딩 암레스트 개폐 장치
KR20210073116A (ko) 플러쉬 글라스장치
JP3944645B2 (ja) チップアップ・スライド式自動車用シート
JP2010254233A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3987969B2 (ja) 車両用収納装置
JP5447779B2 (ja) オープナー構造
JPH08258630A (ja) 両開き可能なルーフボックス
JP2000103289A (ja) 自動車の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4648636B2 (ja) ゲーム機の施錠装置
JP2553946Y2 (ja) 両開きコンソールボックスのロック構造
JP4459977B2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5064199B2 (ja) 自動車のドアロック装置
JP7435220B2 (ja) 車両用フードロックシステム
JP7435240B2 (ja) 車両用フードロックシステム
JP5132969B2 (ja) 車両における中間ストッパ機構
JP2019010937A (ja) 両開きドアを有する車両用コンソール装置
JP4079696B2 (ja) 車両用シートのスライド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