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9497B1 - 치매환자 보호용 제어 장갑 및 그 이용 방법 - Google Patents

치매환자 보호용 제어 장갑 및 그 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9497B1
KR102419497B1 KR1020200079642A KR20200079642A KR102419497B1 KR 102419497 B1 KR102419497 B1 KR 102419497B1 KR 1020200079642 A KR1020200079642 A KR 1020200079642A KR 20200079642 A KR20200079642 A KR 20200079642A KR 102419497 B1 KR102419497 B1 KR 102419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mentia patient
glove
glove body
dementia
h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9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1372A (ko
Inventor
박창일
조현진
Original Assignee
(주) 마이하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마이하우스 filed Critical (주) 마이하우스
Priority to KR1020200079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9497B1/ko
Publication of KR20220001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9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9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82Protective gloves with means to restrain or support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05Protective gloves resistant to mechanical aggressions, e.g. cutting. piercing
    • A41D19/01511Protective gloves resistant to mechanical aggressions, e.g. cutting. piercing made of wire-mesh, e.g. butchers'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0Impermeable to liquids, e.g. waterproof; Liquid-repellent
    • A41D31/102Waterproof and breathabl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8Elastic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2Closures using slid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8Closures using adhesiv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2Closures using elastic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50Synthetic resins or rub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love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매환자 보호용 제어 장갑 및 그 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치매환자 보호용 제어 장갑으로서, 치매환자의 손이 출입될 수 있는 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입구를 통해 치매환자의 손이 내부에 수용되어 착용되는 통기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장갑 본체; 상기 장갑 본체의 내부에 치매환자의 손이 착용되어 수용된 상태에서 치매환자의 활동성 제어를 위한 조작 방해 목적을 위해 상기 장갑 본체의 내부 손바닥 부분에 형성되는 충전재; 상기 장갑 본체의 손목 부분에 구비되어, 치매환자의 손목 부위를 조임으로 고정하기 위한 밴드 부재; 및 치매환자가 착용한 장갑 본체를 벗을 수 없도록 상기 밴드 부재를 덮어 잠금 고정하는 키락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치매환자 보호용 제어 장갑의 이용 방법은, 치매환자 보호용 제어 장갑의 이용 방법으로서, (1) 장갑 본체의 입구를 통해 치매환자의 손이 삽입 수용되는 착용되는 단계; (2) 상기 장갑 본체의 내부에 치매환자의 손이 수용되어 착용된 상태에서, 장갑 본체의 손복 부분에 구비되는 밴드 부재를 통해 치매환자의 손목 부위를 조임으로 고정하는 단계; 및 (3) 상기 단계 (2)를 통해 밴드 부재를 통해 치매환자의 손목 부위가 고정된 상태에서, 치매환자가 착용한 장갑 본체를 벗을 수 없도록 키락 잠금장치를 이용하여 밴드 부재를 덮어 잠금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치매환자 보호용 제어 장갑 및 그 이용 방법에 따르면, 치매환자의 손이 내부에 수용되어 착용되는 통기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장갑 본체와, 치매환자의 활동성 제어를 위한 조작 방해 목적을 위해 장갑 본체의 내부 손바닥 부분에 형성되는 충전재와, 치매환자의 손목 부위를 조임으로 고정하기 위한 밴드 부재와, 치매환자가 착용한 장갑 본체를 벗을 수 없도록 밴드 부재의 일 측에서 잠금 고정하는 키락 잠금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장갑의 외피를 이루는 3D 메쉬 소재의 통기성으로 우수한 사용 쾌적성과 함께 엘라스틱 밴드의 적용에 따른 신축성이 우수하면서 조임으로 인한 불편함이 최소화되고, 키락 잠금장치를 이용한 잠금으로 치매환자가 스스로 장갑을 벗을 수 없도록 함에 따른 자해 방지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치매환자 보호용 제어 장갑 및 그 이용 방법에 따르면, 정신적으로 장애가 있는 치매환자들의 자해 방지를 위해 착용하되, 장갑 본체의 내부 손바닥 부분에 충전재를 형성함으로써, 치매환자의 활동성 제어가 가능하고, 기존 벨크로 적용 구성에 비해 내구성과 둔탁한 외관을 보완하며, 반복 세탁으로 인한 내구성 저하가 감소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치매환자 보호용 제어 장갑 및 그 이용 방법{A CONTROL GLOVES FOR DEMENTIA PATIENTS AND USE METHOD OF THEREOF}
본 발명은 치매환자 보호용 제어 장갑 및 그 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정신적으로 장애가 있는 치매환자들의 자해 방지를 위해 착용하되, 통기성으로 우수한 사용 쾌적성과 엘라스틱 밴드의 적용으로 신축성이 우수하면서 조임으로 인한 불편함이 최소화되고, 키락 잠금장치를 이용한 잠금으로 치매환자가 스스로 장갑을 벗을 수 없도록 하는 치매환자 보호용 제어 장갑 및 그 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매는 주로 뇌신경에 손상이 발생하여 후천적으로 지적 능력이 상실되는 경우를 말한다. 이러한 치매는 기억장애, 언어장애, 주의력 장애 등과 같은 신경인지 장애와, 환각, 망각, 우울증, 불면증, 성격이나 행동변화 등을 포함한 정신이상증상이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질병이다. 일반적으로 치매의 발생률은 다소 차이가 있으나, 연령이 증가할수록 발병률이 높아지며, 노인인구의 급격한 증가로 치매환자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로 인한 문제는 환자 개인, 환자의 가정 및 사회적인 문제로까지 인식되고 있다.
치매의 원인 중 가장 흔한 것은 퇴행성 뇌질환의 일종인 알츠하이머병으로 약 50~60%를 차지하고, 그 다음으로 혈관성 치매가 20~30%를 차지하며, 나머지 기타 원인에 의한 치매가 있다. 기타 원인의 치매는 알코올, 약물, 우울증 및 화학물질 중독에 의한 원인과, 갑상선 질환, 비타민 결핍 등의 대사성 원인으로 인한 전해질 장애, 감염성 뇌질환, 두부외상, 정상압수두증 및 다발성 경색증의 뇌기능 장애 등이 원인이 된다.
이로 인한 치매의 증상은 기억장애로부터 시작하여 언어기능이 저하되며, 날짜, 시간을 이해하지 못하는 등 일상생활 행동에 혼란이 일어난다. 차츰 우울상태가 되며, 배회, 망상, 실금 등이 일어난다. 차후 보행 장애나 신체적 기능저하 상태가 된다. 그리고 치매환자의 성격이 공격적이고 폭력적으로 변하게 되고, 본래의 성격적 결함이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게 된다. 마치 어린아이 같이 자기중심적인 행동을 보이고, 화를 잘 내고 충동적인 행동을 보이며, 피해망상 내지 환각증상을 보이기도 한다. 이러한 치매환자들의 성격적 특징으로 인해 자해 또는 타인의 위험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주변을 돌아다니는 배회증상이 증가하게 됨에 따라 소동을 일으키는 경우가 발생되고, 기물파손의 경우도 발생된다. 이와 같이, 치매환자들의 충동적인 행동을 조절할 수 없다고 느낄 경우, 손목이나 발목을 강박대 또는 강박 끈으로 결박하거나, 보호복을 착용시켜 환자를 침구 및 의자에 고정시켜 행동을 제한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치매환자가 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도록 손에 벙어리장갑 형태로 형성된 장갑을 끼워 치매환자의 신체 자해 등과 같은 동발행동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치매용 장갑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치매용 장갑은 손목 부위에 벨크로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방식으로, 그 조임이 매우 허술하고 치매환자가 장갑을 쉽게 벗을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치매환자의 손이 내부에 수용되어 착용되는 통기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장갑 본체와, 치매환자의 활동성 제어를 위한 조작 방해 목적을 위해 장갑 본체의 내부 손바닥 부분에 형성되는 충전재와, 치매환자의 손목 부위를 조임으로 고정하기 위한 밴드 부재와, 치매환자가 착용한 장갑 본체를 벗을 수 없도록 밴드 부재를 덮어 잠금 고정하는 키락 잠금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장갑의 외피를 이루는 3D 메쉬 소재의 통기성으로 우수한 사용 쾌적성과 함께 엘라스틱 밴드의 적용에 따른 신축성이 우수하면서 조임으로 인한 불편함이 최소화되고, 키락 잠금장치를 이용한 잠금으로 치매환자가 스스로 장갑을 벗을 수 없도록 함에 따른 자해 방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치매환자 보호용 제어 장갑 및 그 이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정신적으로 장애가 있는 치매환자들의 자해 방지를 위해 착용하되, 장갑 본체의 내부 손바닥 부분에 충전재를 형성함으로써, 치매환자의 활동성 제어가 가능하고, 기존 벨크로 적용 구성에 비해 내구성과 둔탁한 외관을 보완하며, 반복 세탁으로 인한 내구성 저하가 감소될 수 있도록 하는, 치매환자 보호용 제어 장갑 및 그 이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치매환자 보호용 제어 장갑은,
치매환자 보호용 제어 장갑으로서,
치매환자의 손이 출입될 수 있는 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입구를 통해 치매환자의 손이 내부에 수용되어 착용되는 통기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장갑 본체;
상기 장갑 본체의 내부에 치매환자의 손이 착용되어 수용된 상태에서 치매환자의 활동성 제어를 위한 조작 방해 목적을 위해 상기 장갑 본체의 내부 손바닥 부분에 형성되는 충전재;
상기 장갑 본체의 손목 부분에 구비되어, 치매환자의 손목 부위를 조임으로 고정하기 위한 밴드 부재; 및
치매환자가 착용한 장갑 본체를 벗을 수 없도록 상기 밴드 부재를 덮어 잠금 고정하는 키락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갑 본체는,
통기성 소재의 상부 커버와, 통기성 소재의 하부 커버의 테두리를 봉제하여 일단으로 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커버와 하부 커버 사이에 치매환자의 손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갑 본체는,
통기성 소재의 상부 커버와 통기성 소재의 하부 커버를 3D 메쉬 소재로 구성하되, 통기성을 위하여 상기 상부 커버의 3D 메쉬 소재의 홀 크기가 상기 하부 커버의 3D 메쉬 소재의 홀보다 크게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갑 본체는,
장갑의 외피를 이루는 통기성 소재의 상부 커버와 통기성 소재의 하부 커버의 재단 시 발생하는 미세한 스크럽 방지를 위하여 레이저 커팅으로 재단하여 3D 메쉬 소재의 안전성이 강화되도록 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충전재는,
상기 장갑 본체의 내부 손바닥 부분에 형성하되, 벌키성 있는 내부 누빔 구조를 봉제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밴드 부재는,
치매환자의 손목 부위를 조임으로 고정하기 위한 엘라스틱 밴드; 및
상기 엘라스틱 밴드의 밴드 조절을 위한 밴드 어드저스터의 체결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엘라스틱 밴드는,
신축성이 우수하면서도 조임으로 인한 불편함이 해소되는 폴리우레탄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키락 잠금장치는,
상기 밴드 부재를 덮을 수 있도록 상하 양단에 봉제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테이프 부재;
상기 한 쌍의 테이프 부재에 각각 형성되는 이빨(tooth)이 양쪽 모두 개방 가능한 오픈 앤드 형태로 이루어지는 체인 부재; 및
상기 체인 부재에 형성된 이빨을 따라 이동하여 합치거나 분리시키도록 하며, 키(key)를 통해 잠금 또는 해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잠금형 슬라이드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치매환자 보호용 제어 장갑의 이용 방법은,
치매환자 보호용 제어 장갑의 이용 방법으로서,
(1) 장갑 본체의 입구를 통해 치매환자의 손이 삽입 수용되는 착용되는 단계;
(2) 상기 장갑 본체의 내부에 치매환자의 손이 수용되어 착용된 상태에서, 장갑 본체의 손복 부분에 구비되는 밴드 부재를 통해 치매환자의 손목 부위를 조임으로 고정하는 단계; 및
(3) 상기 단계 (2)를 통해 밴드 부재를 통해 치매환자의 손목 부위가 고정된 상태에서, 치매환자가 착용한 장갑 본체를 벗을 수 없도록 키락 잠금장치를 이용하여 밴드 부재를 덮어 잠금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1)에서의 장갑 본체는,
통기성 소재의 상부 커버와, 통기성 소재의 하부 커버의 테두리를 봉제하여 일단으로 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커버와 하부 커버 사이에 치매환자의 손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갑 본체는,
통기성 소재의 상부 커버와 통기성 소재의 하부 커버를 3D 메쉬 소재로 구성하되, 통기성을 위하여 상기 상부 커버의 3D 메쉬 소재의 홀 크기가 상기 하부 커버의 3D 메쉬 소재의 홀보다 크게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갑 본체는,
장갑의 외피를 이루는 통기성 소재의 상부 커버와 통기성 소재의 하부 커버의 재단 시 발생하는 미세한 스크럽 방지를 위하여 레이저 커팅으로 재단하여 3D 메쉬 소재의 안전성이 강화되도록 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1)에서는,
상기 장갑 본체의 입구를 통해 치매환자의 손이 삽입 수용되어 착용됨에 따라 치매환자의 손이 장갑 본체의 내부 손바닥 부분에 형성되는 충전재에 의해 치매환자의 활동성 제어를 위한 조작 방해가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밴드 부재는,
치매환자의 손목 부위를 조임으로 고정하기 위한 엘라스틱 밴드; 및
상기 엘라스틱 밴드의 밴드 조절을 위한 밴드 어드저스터의 체결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엘라스틱 밴드는,
신축성이 우수하면서도 조임으로 인한 불편함이 해소되는 폴리우레탄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키락 잠금장치는,
상기 밴드 부재를 덮을 수 있도록 상하 양단에 봉제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테이프 부재;
상기 한 쌍의 테이프 부재에 각각 형성되는 이빨(tooth)이 양쪽 모두 개방 가능한 오픈 앤드 형태로 이루어지는 체인 부재; 및
상기 체인 부재에 형성된 이빨을 따라 이동하여 합치거나 분리시키도록 하며, 키(key)를 통해 잠금 또는 해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잠금형 슬라이드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치매환자 보호용 제어 장갑 및 그 이용 방법에 따르면, 치매환자의 손이 내부에 수용되어 착용되는 통기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장갑 본체와, 치매환자의 활동성 제어를 위한 조작 방해 목적을 위해 장갑 본체의 내부 손바닥 부분에 형성되는 충전재와, 치매환자의 손목 부위를 조임으로 고정하기 위한 밴드 부재와, 치매환자가 착용한 장갑 본체를 벗을 수 없도록 밴드 부재를 덮어 잠금 고정하는 키락 잠금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장갑의 외피를 이루는 3D 메쉬 소재의 통기성으로 우수한 사용 쾌적성과 함께 엘라스틱 밴드의 적용에 따른 신축성이 우수하면서 조임으로 인한 불편함이 최소화되고, 키락 잠금장치를 이용한 잠금으로 치매환자가 스스로 장갑을 벗을 수 없도록 함에 따른 자해 방지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치매환자 보호용 제어 장갑 및 그 이용 방법에 따르면, 정신적으로 장애가 있는 치매환자들의 자해 방지를 위해 착용하되, 장갑 본체의 내부 손바닥 부분에 충전재를 형성함으로써, 치매환자의 활동성 제어가 가능하고, 기존 벨크로 적용 구성에 비해 내구성과 둔탁한 외관을 보완하며, 반복 세탁으로 인한 내구성 저하가 감소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매환자 보호용 제어 장갑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매환자 보호용 제어 장갑의 밴드 부재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매환자 보호용 제어 장갑의 키락 잠금장치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매환자 보호용 제어 장갑의 개략적인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매환자 보호용 제어 장갑의 장갑 본체의 상부 커버와 하부 커버의 3D 메쉬 소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매환자 보호용 제어 장갑의 충전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매환자 보호용 제어 장갑의 밴드 부재의 체결 단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매환자 보호용 제어 장갑의 완성된 샘플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매환자 보호용 제어 장갑의 완성된 샘플에서, 키락 잠금 장치의 오픈앤드 지퍼 덮개가 열린 상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매환자 보호용 제어 장갑의 이용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매환자 보호용 제어 장갑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매환자 보호용 제어 장갑의 밴드 부재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매환자 보호용 제어 장갑의 키락 잠금장치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매환자 보호용 제어 장갑의 개략적인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매환자 보호용 제어 장갑(100)은, 장갑 본체(110), 충전재(120), 밴드 부재(130), 및 키락 잠금장치(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장갑 본체(110)는, 치매환자의 손이 출입될 수 있는 입구(111)가 구비되고, 입구(111)를 통해 치매환자의 손이 내부에 수용되어 착용되는 통기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장갑의 외피를 형성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장갑 본체(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성 소재의 상부 커버(112)와, 통기성 소재의 하부 커버(113)의 테두리를 봉제하여 일단으로 입구(111)가 형성되고, 상부 커버(112)와 하부 커버(113) 사이에 치매환자의 손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장갑 본체(110)는 통기성 소재의 상부 커버(112)와 통기성 소재의 하부 커버(113)를 3D 메쉬 소재로 구성하되, 통기성을 위하여 상부 커버(112)의 3D 메쉬 소재의 홀 크기가 하부 커버(113)의 3D 메쉬 소재의 홀보다 크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장갑 본체(110)는 장갑의 외피를 이루는 통기성 소재의 상부 커버(112)와 통기성 소재의 하부 커버(113)의 재단 시 발생하는 미세한 스크럽 방지를 위하여 레이저 커팅으로 재단하여 3D 메쉬 소재의 안전성이 강화되도록 할 수 있다.
충전재(120)는, 장갑 본체(110)의 내부에 치매환자의 손이 착용되어 수용된 상태에서 치매환자의 활동성 제어를 위한 조작 방해 목적을 위해 장갑 본체(110)의 내부 손바닥 부분에 형성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충전재(120)는 장갑 본체(110)의 내부 손바닥 부분에 형성하되, 벌키성 있는 내부 누빔 구조를 봉제될 수 있다.
밴드 부재(130)는, 장갑 본체(110)의 손목 부분에 구비되어, 치매환자의 손목 부위를 조임으로 고정하기 위한 밴드의 구성이다. 이러한 밴드 부재(130)는 도 2 및 도 4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치매환자의 손목 부위를 조임으로 고정하기 위한 엘라스틱 밴드(131)와, 엘라스틱 밴드(131)의 밴드 조절을 위한 밴드 어드저스터(132)의 체결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엘라스틱 밴드(131)는 신축성이 우수하면서도 조임으로 인한 불편함이 해소되는 폴리우레탄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키락 잠금장치(140)는, 치매환자가 착용한 장갑 본체(110)를 벗을 수 없도록 밴드 부재(130)의 일 측에서 잠금 고정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키락 잠금장치(140)는 도 3 및 도 4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 부재(130)를 덮을 수 있도록 상하 양단에 봉제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테이프 부재(141)와, 한 쌍의 테이프 부재(141)에 각각 형성되는 이빨(tooth)이 양쪽 모두 개방 가능한 오픈 앤드 형태로 이루어지는 체인 부재(142)와, 체인 부재(142)에 형성된 이빨을 따라 이동하여 합치거나 분리시키도록 하며, 키(key)를 통해 잠금 또는 해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잠금형 슬라이드(143)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키락 잠금장치(140)는 밴드 부재(130)의 밴드 어드저스터(132)로 조여 1차 고정된 상태에서, 2차로 한 쌍의 테이프 부재(141)를 이용하여 밴드 부재(130)를 덮어서 이중으로 고정한 후 키를 이용하여 잠금형 슬라이드(143)를 잠금으로 3차 잠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매환자 보호용 제어 장갑의 장갑 본체의 상부 커버와 하부 커버의 3D 메쉬 소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갑 본체(110)의 상부 커버(112)와 하부 커버(113)는 장갑의 통기성을 3D 메쉬 소재로 구성하되, 통기성을 위하여 상부 커버(112)의 3D 메쉬 소재의 홀 크기가 하부 커버(113)의 3D 메쉬 소재의 홀보다 크게 형성되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매환자 보호용 제어 장갑의 충전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재(120)는 치매환자의 활동성 제어를 위한 조작 방해 목적을 위해 장갑 본체(110)의 내부 손바닥 부분에 형성하되, 벌키성 있는 내부 누빔 구조를 봉제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매환자 보호용 제어 장갑의 밴드 부재의 체결 단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 부재(130)는 장갑 본체(110)의 손목 부분에 구비되어, 치매환자의 손목 부위를 조임으로 고정하기 위한 엘라스틱 밴드(131)와, 엘라스틱 밴드(131)의 밴드 조절을 위한 밴드 어드저스터(132)의 체결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매환자 보호용 제어 장갑의 완성된 샘플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매환자 보호용 제어 장갑의 완성된 샘플에서, 키락 잠금 장치의 오픈앤드 지퍼 덮개가 열린 상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치매환자 보호용 제어 장갑(100)의 완성된 샘플 사진으로서, 키락 잠금장치(140)에 의해 3차 잠금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치매환자 보호용 제어 장갑(100)의 완성된 샘플 사진으로서, 밴드 부재(130)를 조인 상태에서 밴드 부재(130)를 덮어 2차 및 3차 잠금이 이루어지기 전의 오픈앤드 지퍼 덮개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매환자 보호용 제어 장갑의 이용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매환자 보호용 제어 장갑의 이용 방법은, 장갑 본체의 입구를 통해 치매환자의 손이 삽입 수용되는 착용되는 단계(S110), 장갑 본체의 손복 부분에 구비되는 밴드 부재를 통해 치매환자의 손목 부위를 조임으로 고정하는 단계(S120), 및 치매환자가 착용한 장갑 본체를 벗을 수 없도록 키락 잠금장치를 이용하여 밴드 부재를 덮어 잠금 고정하는 단계(S130)를 포함하여 구현할 수 있다.
단계 S110에서는, 장갑 본체(110)의 입구(111)를 통해 치매환자의 손이 삽입 수용되는 착용된다. 이러한 단계 S110에서의 장갑 본체(110)는 통기성 소재의 상부 커버(112)와, 통기성 소재의 하부 커버(113)의 테두리를 봉제하여 일단으로 입구(111)가 형성되고, 상부 커버(112)와 하부 커버(113) 사이에 치매환자의 손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로 구성된다.
또한, 장갑 본체(110)는 통기성 소재의 상부 커버(112)와 통기성 소재의 하부 커버(113)를 3D 메쉬 소재로 구성하되, 통기성을 위하여 상부 커버(112)의 3D 메쉬 소재의 홀 크기가 상기 하부 커버(113)의 3D 메쉬 소재의 홀보다 크게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장갑 본체(110)는 장갑의 외피를 이루는 통기성 소재의 상부 커버(112)와 통기성 소재의 하부 커버(113)의 재단 시 발생하는 미세한 스크럽 방지를 위하여 레이저 커팅으로 재단하여 3D 메쉬 소재의 안전성이 강화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110에서는 장갑 본체(110)의 입구(111)를 통해 치매환자의 손이 삽입 수용되어 착용됨에 따라 치매환자의 손이 장갑 본체(110)의 내부 손바닥 부분에 형성되는 충전재(120)에 의해 치매환자의 활동성 제어를 위한 조작 방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단계 S120에서는, 장갑 본체(110)의 내부에 치매환자의 손이 수용되어 착용된 상태에서, 장갑 본체(110)의 손복 부분에 구비되는 밴드 부재(130)를 통해 치매환자의 손목 부위를 조임으로 고정한다. 이러한 단계 S120에서의 밴드 부재(130)는 치매환자의 손목 부위를 조임으로 고정하기 위한 엘라스틱 밴드(131)와, 엘라스틱 밴드(131)의 밴드 조절을 위한 밴드 어드저스터(132)의 체결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엘라스틱 밴드(131)는 신축성이 우수하면서도 조임으로 인한 불편함이 해소되는 폴리우레탄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단계 S130에서는, 단계 S120을 통해 밴드 부재(130)를 통해 치매환자의 손목 부위가 고정된 상태에서, 치매환자가 착용한 장갑 본체(110)를 벗을 수 없도록 키락 잠금장치(140)를 이용하여 밴드 부재(130)를 덮어 잠금 고정한다. 이러한 단계 S140에서의 키락 잠금장치(140)는 밴드 부재(130)를 덮을 수 있도록 상하 양단에 봉제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테이프 부재(141)와, 한 쌍의 테이프 부재(141)에 각각 형성되는 이빨(tooth)이 양쪽 모두 개방 가능한 오픈 앤드 형태로 이루어지는 체인 부재(142)와, 체인 부재(142)에 형성된 이빨을 따라 이동하여 합치거나 분리시키도록 하며, 키(key)를 통해 잠금 또는 해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잠금형 슬라이드(143)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키락 잠금장치(140)는 밴드 부재(130)의 밴드 어드저스터(132)로 조여 1차 고정된 상태에서, 2차로 한 쌍의 테이프 부재(141)를 이용하여 밴드 부재(130)를 덮어서 이중으로 고정한 후 키를 이용하여 잠금형 슬라이드(143)를 잠금으로 3차 잠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매환자 보호용 제어 장갑 및 그 이용 방법은, 치매환자의 손이 내부에 수용되어 착용되는 통기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장갑 본체와, 치매환자의 활동성 제어를 위한 조작 방해 목적을 위해 장갑 본체의 내부 손바닥 부분에 형성되는 충전재와, 치매환자의 손목 부위를 조임으로 고정하기 위한 밴드 부재와, 치매환자가 착용한 장갑 본체를 벗을 수 없도록 밴드 부재를 덮어 잠금 고정하는 키락 잠금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장갑의 외피를 이루는 3D 메쉬 소재의 통기성으로 우수한 사용 쾌적성과 함께 엘라스틱 밴드의 적용에 따른 신축성이 우수하면서 조임으로 인한 불편함이 최소화되고, 키락 잠금장치를 이용한 잠금으로 치매환자가 스스로 장갑을 벗을 수 없도록 함에 따른 자해 방지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특히, 정신적으로 장애가 있는 치매환자들의 자해 방지를 위해 착용하되, 장갑 본체의 내부 손바닥 부분에 충전재를 형성함으로써, 치매환자의 활동성 제어가 가능하고, 기존 벨크로 적용 구성에 비해 내구성과 둔탁한 외관을 보완하며, 반복 세탁으로 인한 내구성 저하가 감소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매환자 보호용 제어 장갑
110: 장갑 본체
111: 입구
112: 상부 커버
113: 하부 커버
114: 메탈 고리
120: 충전재
130: 밴드 부재
131: 엘라스틱 밴드
132: 밴드 어드저스터
140: 키락 잠금장치
141: 테이프 부재
142: 체인 부재
143: 잠금형 슬라이드
S110: 장갑 본체의 입구를 통해 치매환자의 손이 삽입 수용되는 착용되는 단계
S120: 장갑 본체의 손복 부분에 구비되는 밴드 부재를 통해 치매환자의 손목 부위를 조임으로 고정하는 단계
S130: 치매환자가 착용한 장갑 본체를 벗을 수 없도록 키락 잠금장치를 이용하여 밴드 부재의 일 측에서 잠금 고정하는 단계

Claims (16)

  1. 치매환자 보호용 제어 장갑(100)으로서,
    치매환자의 손이 출입될 수 있는 입구(111)가 구비되고, 상기 입구(111)를 통해 치매환자의 손이 내부에 수용되어 착용되는 통기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장갑 본체(110);
    상기 장갑 본체(110)의 내부에 치매환자의 손이 착용되어 수용된 상태에서 치매환자의 활동성 제어를 위한 조작 방해 목적을 위해 상기 장갑 본체(110)의 내부 손바닥 부분에 형성되는 충전재(120);
    상기 장갑 본체(110)의 손목 부분에 구비되어, 치매환자의 손목 부위를 조임으로 고정하기 위한 밴드 부재(130); 및
    치매환자가 착용한 장갑 본체(110)를 벗을 수 없도록 상기 밴드 부재(130)를 덮어 잠금 고정하는 키락 잠금장치(140)를 포함하되,
    상기 장갑 본체(110)는,
    통기성 소재의 상부 커버(112)와, 통기성 소재의 하부 커버(113)의 테두리를 봉제하여 일단으로 입구(111)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커버(112)와 하부 커버(113) 사이에 치매환자의 손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장갑 본체(110)는,
    통기성 소재의 상부 커버(112)와 통기성 소재의 하부 커버(113)를 3D 메쉬 소재로 구성하되, 통기성을 위하여 상기 상부 커버(112)의 3D 메쉬 소재의 홀 크기가 상기 하부 커버(113)의 3D 메쉬 소재의 홀보다 크게 구성되며,
    상기 충전재(120)는,
    상기 장갑 본체(110)의 내부 손바닥 부분에 형성하되, 벌키성 있는 내부 누빔 구조를 봉제되고,
    상기 키락 잠금장치(140)는,
    상기 밴드 부재(130)를 덮을 수 있도록 상하 양단에 봉제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테이프 부재(141)와, 상기 한 쌍의 테이프 부재(141)에 각각 형성되는 이빨(tooth)이 양쪽 모두 개방 가능한 오픈 앤드 형태로 이루어지는 체인 부재(142)와, 상기 체인 부재(142)에 형성된 이빨을 따라 이동하여 합치거나 분리시키도록 하며, 키(key)를 통해 잠금 또는 해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잠금형 슬라이드(143)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환자 보호용 제어 장갑.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갑 본체(110)는,
    장갑의 외피를 이루는 통기성 소재의 상부 커버(112)와 통기성 소재의 하부 커버(113)의 재단 시 발생하는 미세한 스크럽 방지를 위하여 레이저 커팅으로 재단하여 3D 메쉬 소재의 안전성이 강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환자 보호용 제어 장갑.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 부재(130)는,
    치매환자의 손목 부위를 조임으로 고정하기 위한 엘라스틱 밴드(131); 및
    상기 엘라스틱 밴드(131)의 밴드 조절을 위한 밴드 어드저스터(132)의 체결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환자 보호용 제어 장갑.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엘라스틱 밴드(131)는,
    신축성이 우수하면서도 조임으로 인한 불편함이 해소되는 폴리우레탄 소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환자 보호용 제어 장갑.
  8. 삭제
  9. 치매환자 보호용 제어 장갑(100)의 이용 방법으로서,
    (1) 장갑 본체(110)의 입구(111)를 통해 치매환자의 손이 삽입 수용되는 착용되는 단계;
    (2) 상기 장갑 본체(110)의 내부에 치매환자의 손이 수용되어 착용된 상태에서, 장갑 본체(110)의 손복 부분에 구비되는 밴드 부재(130)를 통해 치매환자의 손목 부위를 조임으로 고정하는 단계; 및
    (3) 상기 단계 (2)를 통해 밴드 부재(130)를 통해 치매환자의 손목 부위가 고정된 상태에서, 치매환자가 착용한 장갑 본체(110)를 벗을 수 없도록 키락 잠금장치(140)를 이용하여 밴드 부재(130)를 덮어 잠금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단계 (1)에서의 장갑 본체(110)는,
    통기성 소재의 상부 커버(112)와, 통기성 소재의 하부 커버(113)의 테두리를 봉제하여 일단으로 입구(111)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커버(112)와 하부 커버(113) 사이에 치매환자의 손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장갑 본체(110)는,
    통기성 소재의 상부 커버(112)와 통기성 소재의 하부 커버(113)를 3D 메쉬 소재로 구성하되, 통기성을 위하여 상기 상부 커버(112)의 3D 메쉬 소재의 홀 크기가 상기 하부 커버(113)의 3D 메쉬 소재의 홀보다 크게 구성되며,
    상기 단계 (1)에서는,
    상기 장갑 본체(110)의 입구(111)를 통해 치매환자의 손이 삽입 수용되어 착용됨에 따라 치매환자의 손이 장갑 본체(110)의 내부 손바닥 부분에 형성되는 충전재(120)에 의해 치매환자의 활동성 제어를 위한 조작 방해가 이루어지고,
    상기 키락 잠금장치(140)는,
    상기 밴드 부재(130)를 덮을 수 있도록 상하 양단에 봉제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테이프 부재(141)와, 상기 한 쌍의 테이프 부재(141)에 각각 형성되는 이빨(tooth)이 양쪽 모두 개방 가능한 오픈 앤드 형태로 이루어지는 체인 부재(142)와, 상기 체인 부재(142)에 형성된 이빨을 따라 이동하여 합치거나 분리시키도록 하며, 키(key)를 통해 잠금 또는 해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잠금형 슬라이드(143)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환자 보호용 제어 장갑의 이용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장갑 본체(110)는,
    장갑의 외피를 이루는 통기성 소재의 상부 커버(112)와 통기성 소재의 하부 커버(113)의 재단 시 발생하는 미세한 스크럽 방지를 위하여 레이저 커팅으로 재단하여 3D 메쉬 소재의 안전성이 강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환자 보호용 제어 장갑의 이용 방법.
  13. 삭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 부재(130)는,
    치매환자의 손목 부위를 조임으로 고정하기 위한 엘라스틱 밴드(131); 및
    상기 엘라스틱 밴드(131)의 밴드 조절을 위한 밴드 어드저스터(132)의 체결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환자 보호용 제어 장갑의 이용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엘라스틱 밴드(131)는,
    신축성이 우수하면서도 조임으로 인한 불편함이 해소되는 폴리우레탄 소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환자 보호용 제어 장갑의 이용 방법.
  16. 삭제
KR1020200079642A 2020-06-29 2020-06-29 치매환자 보호용 제어 장갑 및 그 이용 방법 KR102419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642A KR102419497B1 (ko) 2020-06-29 2020-06-29 치매환자 보호용 제어 장갑 및 그 이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642A KR102419497B1 (ko) 2020-06-29 2020-06-29 치매환자 보호용 제어 장갑 및 그 이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372A KR20220001372A (ko) 2022-01-05
KR102419497B1 true KR102419497B1 (ko) 2022-07-11

Family

ID=79349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9642A KR102419497B1 (ko) 2020-06-29 2020-06-29 치매환자 보호용 제어 장갑 및 그 이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949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3209A (ja) 1999-08-30 2001-03-21 Keiko Matsuda 拘束手袋
JP2001095829A (ja) 1999-10-01 2001-04-10 Kyoko Murakami 保護手袋
JP3199588B2 (ja) 1994-12-28 2001-08-20 京セラ株式会社 配線基板
KR200457852Y1 (ko) * 2011-07-15 2012-01-05 이정숙 치매환자용 장갑
KR101538800B1 (ko) * 2011-11-09 2015-07-24 이성현 자해방지용 장갑
JP2019119972A (ja) 2018-01-11 2019-07-22 川島 順次 医療用ミトン型手袋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8994Y2 (ja) * 1993-11-22 1999-01-20 弘 田中 指なし抑制手袋
JP3199588U (ja) * 2015-05-19 2015-09-03 美枝 栂野 いたずら防止用手袋
KR20190068671A (ko) * 2017-12-08 2019-06-19 이승협 의료보조용 손 패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9588B2 (ja) 1994-12-28 2001-08-20 京セラ株式会社 配線基板
JP2001073209A (ja) 1999-08-30 2001-03-21 Keiko Matsuda 拘束手袋
JP2001095829A (ja) 1999-10-01 2001-04-10 Kyoko Murakami 保護手袋
KR200457852Y1 (ko) * 2011-07-15 2012-01-05 이정숙 치매환자용 장갑
KR101538800B1 (ko) * 2011-11-09 2015-07-24 이성현 자해방지용 장갑
JP2019119972A (ja) 2018-01-11 2019-07-22 川島 順次 医療用ミトン型手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372A (ko) 2022-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77601B (zh) 模块化面部面罩
US10449398B2 (en) Earless filter mask
US11700893B2 (en) Protective face mask
KR101134604B1 (ko) 개선된 얼굴 마스크
US11547159B2 (en) Face shield assembly and method
US5524306A (en) Bed restraint
JP3227863U (ja) マスク
KR102419497B1 (ko) 치매환자 보호용 제어 장갑 및 그 이용 방법
US20220143434A1 (en) Multilayer Face-Covering
KR20120028556A (ko) 가체머리
KR20110001044U (ko) 자외선 및 황사 차단용 마스크
WO2020163064A1 (en) Earless filter mask
KR200457852Y1 (ko) 치매환자용 장갑
KR102355763B1 (ko) 기능성이 조절되는 넥워머
KR102282711B1 (ko) 귀편한 착탈식 마스크
KR20220010186A (ko) 턱밑 끈조절용 입가림 위생마스크
WO2001050991A1 (en) Eye bandage with a pocket
KR102444714B1 (ko) 마스크용 쿨링패드
JP6997550B2 (ja) ネックウォーマー
NZ797173B2 (en) Face shield assembly and method
WO2024163487A1 (en) Combination mask for face and eyes
EP1391158A2 (de) Integralhelm
KR101424792B1 (ko) 탈의 방지 기능을 갖는 환자용 전신보호복
JP3082968U (ja) 寝 着
JP2000176032A (ja) 防塵マス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007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6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7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7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