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8787B1 -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와 이와 다른 종류의 고분자가 혼합된 고분자 혼합물로부터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의 선별 방법 - Google Patents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와 이와 다른 종류의 고분자가 혼합된 고분자 혼합물로부터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의 선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8787B1
KR102418787B1 KR1020220042857A KR20220042857A KR102418787B1 KR 102418787 B1 KR102418787 B1 KR 102418787B1 KR 1020220042857 A KR1020220042857 A KR 1020220042857A KR 20220042857 A KR20220042857 A KR 20220042857A KR 102418787 B1 KR102418787 B1 KR 102418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functional group
ester functional
polymer containing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2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정모
조예림
여홍란
이종용
Original Assignee
한국화학연구원
(주)리뉴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학연구원, (주)리뉴시스템 filed Critical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220042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87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8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8787B1/ko
Priority to PCT/KR2023/004653 priority patent/WO202319579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11/00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 C08J11/02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solvents, plasticisers or unreacted monom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7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 G01N21/78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producing a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 G01N31/22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using chemical indic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4Resins; Plastics; Rubber; Leath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4Resins; Plastics; Rubber; Leather
    • G01N33/442Resins;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lasma & Fusion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와 이와 다른 종류의 고분자가 혼합된 고분자 혼합물로부터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의 선별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고분자 혼합물 중 선택적으로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에서만 색을 발현하는 이물질을 추출하는 추출제로 제거하여 탈색한 후, 상기 탈색된 고분자를 탈색되지 않은 다른 고분자와 색 차이을 이용하여 선별 분리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와 이와 다른 종류의 고분자가 혼합된 고분자 혼합물로부터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의 선별 방법{A method for screening a polymer containing an ester group from a polymer mixture in which a polymer containing an ester group and another type of polymer are mixed}
본 발명은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와 이와 다른 종류의 고분자가 혼합된 고분자 혼합물로부터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를 효과적으로 선별하는 방법에 대한 것으로, 화학적 추출제를 이용하여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유색 고분자에 포함된 색을 발현하는 이물질만을 제거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고분자 혼합물로부터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를 상대적으로 단순하고 낮은 비용으로 선별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석유에서 추출되는 원료를 이용하여 합성된 합성 고분자는 저렴하고 내구성이 있는 물질이며, 성형 및 가공이 편리하다는 이점을 갖고 있어서 합성섬유나 플라스틱 등 다양한 제품 생산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점으로 상기 합성 고분자를 이용한 제품은 생활 각 분야에서 소비량이 수십 년 동안 극적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제대로 관리되지 못한 합성 고분자 폐기물이 환경에 방치되면서 환경오염을 일으키거나 작은 조각으로 분해되어 생태계 곳곳을 떠돌면서 생물에 축적되고 결국 미세먼지, 식수, 식품 등을 통해 다시 인체에 들어오는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자연 상태에서 분해 주기가 짧은 신규 플라스틱 물질 개발을 포함하여 기존 석유계 플라스틱의 화학적 분해로부터 플라스틱의 물리적 재생 및 재가공에 이르기까지 플라스틱의 축적을 최소화하거나 환경적인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다양한 연구와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고분자 소재 자체를 재사용하거나 일부 특성만 변형하여 재사용하는 물질적 또는 물리적 재활용은 물성이나 품질의 관리가 어려워 용도가 제한적이다. 사용 후 배출된 폐합성 고분자 제품을 해중합하여 단량체를 제조하고, 이를 중합 원료로 사용하여 이전 소재와 동등한 품질의 제품으로 재생산할 수 있게 하는 화학적 재활용 기술이 높은 주목을 받고 있다.
상기 합성 고분자의 해중합 방식은 합성 고분자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달라지므로, 다양한 성분이 혼합 배출된 폐고분자 제품으로부터 균일한 고분자 구조 특성을 갖는 단일물질로 분류가 선행되어야 한다. 특히 폐섬유 제품의 경우는 여러 가지 종류의 섬유가 혼합된 형태이거나 혼방 소재로 배출되는 경우가 많아, 더욱 그러하다.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제품은 해중합(depolymerization)을 통해 단량체화가 가능하며, 분해를 통해 생성된 단량체는 이론적으로 초기 고분자 합성에 투입되는 원료와 동등한 성질을 가질 수 있다. 산업적으로 PET를 재활용하기 위해 응용되고 있는 해중합 경로는 가수분해(hydrolysis), 글라이콜리시스 (glycolysis), 메탄올리시스 (methanolysis), 암모놀리시스 (ammonolysis) 등이 있으며, 이들을 조합하여 각 공정별 장점을 활용하는 복합 공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화학적 해중합 방법이 응용되고 있다.
한편 고분자 제품은 색상을 표현을 위해 염료나 안료 등과 같이 색을 띠도록 하는 물질들이 도입되어 사용하는 것이 더 일반적이며, 고분자와 상이한 구조를 갖는 것들이다. 도입된 색상을 띠는 물질들은 고분자의 해중합 이후에도 잔류하여 제품의 특성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제거가 어려운 불순물에 해당하며, 해중합 전 혹은 후에 이들 색을 발현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좋다. 고분자 내 색을 띠는 이물질로써 염료는 대부분의 용매에 균일하게 녹을 수 있는 형태로 입자 크기가 매우 작거나 분자 형태로써 착색과정을 통해 섬유나 피혁 등을 염색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염료는 식물, 동물, 또는 광물에서 얻어지는 천연염료나 인공적으로 합성되는 인조염료로 분류되고, 인조염료는 다시 직접성 염료, 매염성 염료, 환원성 염료, 발색성 염료, 분산성 염료, 반응성 염료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소재에 주로 응용되는 염료는 화학적 구조에 의해 분류될 수 있는 아조계와 안트라퀴논계의 분산염료가 가장 대표적이다.
상기와 같은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유색 고분자는, 고분자 내의 색을 발현하는 이물질인 유색 염료 분자가 고분자 기질과 착물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물이나 유기용매와의 단순 접촉에 의한 색을 발현하는 유색 분자의 분리나 제거는 쉽지 않아, 물리적·화학적 재활용이 어려워 대부분 버려지거나 소각되기 때문에 환경 문제를 야기하는 폐자원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유색 고분자로부터 색을 발현하는 이물질을 제거함에 있어서 매우 효과적이고 경제적인 분리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먼저 배출되는 폐고분자 혼합물로부터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를 선별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고분자의 선별을 위한 기존 분류 방법으로는 고분자의 밀도차를 이용하여 분류하는 물리적 분리 방법, 고분자의 구조에 따른 빛의 흡수, 확산, 반사 스펙트럼에 따라 분류하는 분광학적 분류 방법, 산화, 환원, 가수분해, 전기분해 등과 같이 고분자의 분해를 통한 화학적 분류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다.
선행기술로써 국제공개특허 WO2013-182801호에는 폴리에스테르와 면의 밀도 차이를 이용하여 섬유를 분리하는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중국공개특허 CN 201510133888 및 Autex Research Journal, 19(2), 201-209 (2019)에서는 섬유의 구조에 따른 빛의 확산 반사 스펙트럼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이용하여 섬유를 식별하는 방법을 제시한 바 있다. 이러한 선행문헌의 방법들은 물질구분을 위해 적용되는 측정 및 분류 방법이 측정 환경이나 분리 조건에 많은 영향을 받기 때문에 정확도가 낮고,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여러 부수적 설비와 복잡한 공정이 요구되기 때문에 효율성과 비용 측면에서 활용가치가 낮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국제공개특허 WO2013/182801 Al (2013 12.12.) 중국공개특허 CN 104730004 A (2015.06.24.)
Jinfeng Zhou et al. Textile fiber identification using near-infrared spectroscopy and pattern recognition. Autex Research Journal. 2019, 19, 2, 201-209
본 발명은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유색 고분자와 이와 다른 종류의 유색 고분자가 혼합된 고분자 혼합물로부터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만을 선택적으로 탈색시키고, 색을 띠는 이물질이 제거된 고분자를 색 차이를 이용하여 탈색되지 않은 고분자로부터 구분함으로써 상기 유색 고분자 혼합물로부터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를 선별하는 방법 및 상기 선택적 탈색을 위한 추출제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분자 혼합물에 무색과 유색의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가 혼합된 경우, 상기 혼합물로부터 무색과 유색의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를 모두 선별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유색 고분자와 이와 다른 종류의 유색 고분자가 혼합된 유색 고분자 혼합물로부터, 선택적으로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에서만 색을 발현하는 이물질을 용출시켜 제거하는 추출제로써,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고분자 혼합물로부터 선택적으로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에서만 색을 발현하는 이물질을 용출시켜 제거하는 추출제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22036830985-pat00001
[화학식 2]
Figure 112022036830985-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A1은 카르복실기, 알데하이드기 및 니트릴기 중 선택된 것이고, R1은 수소, 하이드록시기, 에테르기, 알데하이드기, 카복시기,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탄소수 4 내지 6의 시클로알킬기 및 탄소수 6 내지 12의 아릴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고, 상기 m은 0 내지 5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정수이며, 상기 m이 2 이상인 경우에는 R1은 동일하거나 서로 상이할 수 있다. n은 1 내지 6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정수이며, 상기 n이 2 이상인 경우에는 A1은 동일하거나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2에서 A2는 에스테르, 에테르, 카르보닐 중 최소 하나가 선택될 수 있으며, R2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이다. n은 1 내지 6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정수이며, 상기 n이 2 이상인 경우에는 A2와 R2는 각각 동일하거나 서로 상이할 수 있다. 그 외 R1과 m에 대한 정의는 위 화학식 1에서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메톡시 벤젠, 1,2-디메톡시벤젠, 1,3-디메톡시벤젠, 1,4-디메톡시벤젠, 1,2,3-트리메톡시벤젠, 1,2,4-트리메톡시벤젠, 1,3,5-트리메톡시벤젠, 1,2,3,4-테트라메톡시벤젠, 1,2,3,5-테트라메톡시벤젠, 1,2,4,5-테트라메톡시벤젠나 2-메톡시페놀, 1,3-디메톡시-2-하이드록시벤젠, 4-하이드록시-3,5-디메톡시벤조익산, 3-(4-하이드록시-3,5-디메톡시페닐)프로프-2-에날, 4-하이드록시-3,5-디메톡시벤즈알데하이드, 4-하이드록시-3,5-디메톡시아세토페논, 3-(4-하이드록시-3,5-디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익산, 4-에닐-2,6-디메톡시페놀, 4-하이드록시-3-메톡시벤즈알데하이드, 3-하이드록시-4-메톡시벤즈알데하이드, 2-하이드록시-3-메톡시벤즈알데하이드, 2-하이드록시-5-메톡시벤즈알데하이드,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즈알데하이드, 3,4-디하이드록시벤즈알데하이드, 1-메톡시-4-[(E)-프로프-1-에닐]벤젠, 2-터트-부틸-4-메톡시페놀, 에톡시벤젠, 4-(프로프-2-엔-1-일)페놀, 1-메톡시-4(프로프-2-엔-1-일)벤젠, 5-(프로프-2-엔-1-일)-2H-1,3-벤조다이옥솔, 4-메톡시-2-[(E)-프로프-1-일]페놀, 2-메톡시-4-(프로프-1-엔-일)페놀, 메틸벤조에이트, 2-메톡시벤조산, 3-메톡시벤조산, 4-메톡시벤조산, 에틸2-메톡시벤조산, 에틸3-메톡시벤조산, 4-하이드록시벤조산, 3,4-디하이드록시벤조산, 살리실산, 바닐린산, 메틸벤조에이트, 에틸벤조에이트, 프로필벤조에이트, 부틸벤조에이트, 벤질벤조에이트, 페네틸벤조에이트, 4-아세틸벤조니트릴, 아세토페논, 메톡시아세토페논, 프로피오페논, 부티로페논, 벤즈알데하이드, 4-메틸벤즈알데하이드, 하이드록시벤즈알데하이드, 3,4-디하이드록시벤즈알데하이드, 아니스알데하이드, 2-메톡시아니스알데하이드, 3-메톡시아니살데하이드, 벤조나이트릴, 하이드록시벤조나이트릴, 3,4-디하드록시벤조나이트릴, p-톨루나이트릴, 메톡시벤조나이트릴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유색 고분자와 이와 다른 종류의 유색 고분자가 혼합된 유색 고분자 혼합물로부터,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를 선별하는 방법으로써, (a)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유색 고분자와 이와 다른 종류의 유색 고분자가 혼합된 고분자 혼합물과, 색을 발현하는 이물질을 추출하는 추출제를 접촉시켜 선택적으로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유색 고분자를 탈색하는 단계; (b) 상기 탈색된 고분자와 탈색되지 않은 고분자에 대해 색차이를 이용하여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고분자 혼합물로부터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를 선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의 형태는 섬유 혹은 직물 형태이며, 상기 직물은,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단독; 혹은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타이렌 및 폴리염화비닐, 면, 마, 모, 레이온, 아세테이트, 아크릴, 나일론 및 스판덱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혼방 직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색 고분자는, 하나 이상의 색을 발현하는 이물질에 의해 색상을 띠는 고분자이며, 상기 고분자 혼합물에는 분광측색계를 통해 측정한 색 공간좌표(L* a* b*)를 이차원(또는 평면) 좌표(L* X*)로 변환하였을 때 좌표 값 L*는 60 이상, X*는 50 이하를 만족하는 고분자는 제외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X*는 a*와 b*값 각각을 제곱하여 합한 것에 대한 제곱근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a)단계의 탈색 과정은 70 내지 200℃의 범위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탈색된 고분자의 색 공간좌표(L* a* b*)를 이차원(또는 평면) 좌표(L* X*)로 변환했을 때 좌표 값 L*는 60 이상, X*는 50 이하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고분자 혼합물이 무색의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를 포함하고 있을 때, 이를 선별하는 방법으로써, (i)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와 이와 다른 종류의 고분자가 혼합된 고분자 혼합물에 색을 발현하는 이물질을 접촉시켜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한 고분자만 선택적으로 염색하는 단계; (ⅱ) 상기 (i) 단계 후의 혼합물에서 색 차이를 이용하여 무색 고분자는 상기 고분자의 혼합물로부터 제외하는 단계; (ⅲ) 상기 (ⅱ)단계 후의 혼합물을 색을 발현하는 이물질을 추출하는 추출제와 접촉시켜 선택적으로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유색 고분자만을 탈색하는 단계; (ⅳ) 상기 탈색된 고분자와 탈색되지 않은 고분자를 색 차이를 이용하여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고분자 혼합물로부터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를 선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ⅲ)단계의 추출제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ⅱ)단계에서는 색 공간좌표(L* a* b*)를 이차원 좌표(L* X*)로 변환했을 때 좌표 값 L*는 60 이상, X*는 50 이하를 만족하는 고분자를 제외하는 것이고, 상기 (ⅳ)단계에서 탈색된 고분자의 색 공간좌표(L* a* b*)를 이차원 좌표(L* X*)로 변환했을 때 좌표 값 L*는 60 이상, X*는 50 이하를 만족하는 것을 선택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i)단계에서 염색은 상기 (ⅲ)단계에서의 탈색으로 얻어진 색을 발현하는 이물질이 용출되어 혼합된 폐추출제를 회수하여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와 이와 다른 종류의 고분자가 혼합된 고분자 혼합물로부터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만을 선택적으로 색을 발현하는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탈색된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와 탈색되지 않은 다른 종류의 유색 고분자의 색 차이를 이용해 고분자 혼합물로부터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를 손쉽게 선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추출제는 인체에 유해성이 낮은 용매이며,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이외의 고분자에는 심각한 물리적·화학적 변형을 일으키지 않고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에만 작용하여 유색 물질을 비교적 저온에서 신속하게 용출하기 때문에 탈색 공정이 간단하고 경제적이며, 친환경적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탈색 공정에 사용된 후의 폐추출제를 회수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정의 초기 염색공정에 재사용함으로써, 공정자체의 폐액 발생을 최소화하며, 공정 경제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출제의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각각의 유색 섬유와 추출제로써 아니솔을 직접 접촉하여 탈색된 섬유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탈색 처리 전, 후 섬유의 색 공간좌표(L* a* b*)를 이차원 좌표(L* X*)로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탈색된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분광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으로 섬유 색상에 따른 분광 스펙트럼을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 및 화학식 2에 해당하지 않는 용매를 추출제로 사용하여 탈색 공정을 진행한 경우, 원료 2의 남색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용매 접촉에 의한 탈색 효과 및 용매 처리 후 섬유의 색상을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비교예에 따른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원료 1의 남색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용매 접촉에 의한 탈색 효과를 이차원 좌표(L* X*)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와 본 발명에 따른 추출제를 농도별로 혼합한 것들에 대한 13C NMR 스펙트럼들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와 본 발명에 따른 것이 아닌 추출제를 농도별로 혼합한 것들에 대한 13C NMR 스펙트럼들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와 본 발명에 따른 추출제를 농도별로 혼합한 것들에 대한 1H NMR 스펙트럼들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와 본 발명에 따른 것이 아닌 다른 형태의 추출제를 농도별로 혼합한 것들에 대한 1H NMR 스펙트럼들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비교예에 따른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원료 2의 남색 폴리에스테르 섬유에 대해 모르폴린 접촉에 의한 탈색 효과를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이외의 유색 섬유에 대한 메틸피롤리돈과 디메틸 설폭사이드를 추출제로 사용한 경우의 탈색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속실렛 추출기를 이용한 추출제 처리 전, 후의 유색 섬유 혼합물 사진 및 탈색된 섬유만을 분리한 사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속슬렛 추출기를 사용하여 탈색된 섬유 중 기준 좌표값을 만족하는 섬유의 분광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이외의 유색 섬유와 무색 섬유의 분광 스펙트럼을 함께 나타낸 것으로 섬유 색상에 따른 분광 스펙트럼을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염색된 섬유의 사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염색된 섬유의 색 공간좌표(L* a* b*)를 이차원 좌표(L* X*)로 나타낸 것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염색된 섬유의 색 공간좌표(L* a* b*)를 이차원 좌표(L* X*)로 나타낸 것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탈색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추출제 용액으로 재염색하고 이를 다시 탈색 처리하였을 때, 섬유의 색상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다른 식으로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무색 고분자란 색을 발현하는 이물질이 포함되지 않아 색을 띠지 않는 고분자로서, 색상이 백색 혹은 투명한 고분자를 의미하며, 유색 고분자란 색을 발현하는 이물질이 포함되어 백색 이외의 색상을 가지는 고분자를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유색 고분자 및 이와 다른 종류의 유색 고분자가 혼합된 유색 고분자 혼합물로부터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유색 고분자만을 선별하여 분리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방법은 (a)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유색 고분자와 이와 다른 종류의 유색 고분자가 혼합된 유색 고분자 혼합물과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화학식 2로 표현되는 화합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추출제를 접촉시켜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유색 고분자만을 탈색시키는 단계; (b) 상기 탈색된 고분자와 탈색되지 고분자를 색 차이를 이용하여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22036830985-pat00003
[화학식 2]
Figure 112022036830985-pat00004
상기 화학식 1에서 A1은 카르복실기, 알데하이드기 및 니트릴기 중 선택된 것이고, R1은 수소, 하이드록시기, 에테르기, 알데하이드기, 카복시기,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탄소수 4 내지 6의 시클로알킬기 및 탄소수 6 내지 12의 아릴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고, 상기 m은 0 내지 5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정수이며, 상기 m이 2 이상인 경우에는 R1은 동일하거나 서로 상이할 수 있다. n은 1 내지 6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정수이며, 상기 n이 2 이상인 경우에는 A1은 동일하거나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2에서 A2는 에스테르, 에테르, 카르보닐 중 최소 하나가 선택될 수 있으며, R2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이다. n은 1 내지 6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정수이며, 상기 n이 2 이상인 경우에는 A2와 R2는 각각 동일하거나 서로 상이할 수 있다. 그 외 R1과 m에 대한 정의는 위 화학식 1에서와 동일하다.
상기 (a) 단계에서의 추출제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화학식 2로 표현되는 화합물 중 선택된 최소한 하나 이상을 포함한 것으로써, 방향족 고리에 최소 하나 이상의 작용기가 링커를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작용기는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와 파이-파이 상호작용(π-π interaction)을 일으키거나 수소 결합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제는 여러 종류의 고분자가 혼합된 혼합물에서,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유색 고분자에서만 색을 발현하는 물질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며, 그 외 다른 종류의 고분자에는 색상과 형태의 변화에 별다른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들이다. 따라서, 여러 종류의 고분자가 혼합된 혼합물 중에서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유색 고분자에 포함된 색을 발현하는 이물질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탈색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예시로,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메톡시 벤젠, 1,2-디메톡시벤젠, 1,3-디메톡시벤젠, 1,4-디메톡시벤젠, 1,2,3-트리메톡시벤젠, 1,2,4-트리메톡시벤젠, 1,3,5-트리메톡시벤젠, 1,2,3,4-테트라메톡시벤젠, 1,2,3,5-테트라메톡시벤젠, 1,2,4,5-테트라메톡시벤젠나 2-메톡시페놀, 1,3-디메톡시-2-하이드록시벤젠, 4-하이드록시-3,5-디메톡시벤조익산, 3-(4-하이드록시-3,5-디메톡시페닐)프로프-2-에날, 4-하이드록시-3,5-디메톡시벤즈알데하이드, 4-하이드록시-3,5-디메톡시아세토페논, 3-(4-하이드록시-3,5-디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익산, 4-에닐-2,6-디메톡시페놀, 4-하이드록시-3-메톡시벤즈알데하이드, 3-하이드록시-4-메톡시벤즈알데하이드, 2-하이드록시-3-메톡시벤즈알데하이드, 2-하이드록시-5-메톡시벤즈알데하이드,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즈알데하이드, 3,4-디하이드록시벤즈알데하이드, 1-메톡시-4-[(E)-프로프-1-에닐]벤젠, 2-터트-부틸-4-메톡시페놀, 에톡시벤젠, 4-(프로프-2-엔-1-일)페놀, 1-메톡시-4(프로프-2-엔-1-일)벤젠, 5-(프로프-2-엔-1-일)-2H-1,3-벤조다이옥솔, 4-메톡시-2-[(E)-프로프-1-일]페놀, 2-메톡시-4-(프로프-1-엔-일)페놀, 메틸벤조에이트, 2-메톡시벤조산, 3-메톡시벤조산, 4-메톡시벤조산, 에틸2-메톡시벤조산, 에틸3-메톡시벤조산, 4-하이드록시벤조산, 3,4-디하이드록시벤조산, 살리실산, 바닐린산, 메틸벤조에이트, 에틸벤조에이트, 프로필벤조에이트, 부틸벤조에이트, 벤질벤조에이트, 페네틸벤조에이트, 4-아세틸벤조니트릴, 아세토페논, 메톡시아세토페논, 프로피오페논, 부티로페논, 벤즈알데하이드, 4-메틸벤즈알데하이드, 하이드록시벤즈알데하이드, 3,4-디하이드록시벤즈알데하이드, 아니스알데하이드, 2-메톡시아니스알데하이드, 3-메톡시아니살데하이드, 벤조나이트릴, 하이드록시벤조나이트릴, 3,4-디하드록시벤조나이트릴, p-톨루나이트릴, 메톡시벤조나이트릴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색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로부터 색을 발현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추출제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화학식 2로 표현되는 화합물 중에서 녹는점이 추출 온도보다 낮아 액체상으로 존재하는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색을 발현하는 이물질의 확산이 빠르게 일어날 수 있도록 점도가 낮고 유동성이 있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는 디카르복실산과 디알콜이 축중합하여 형성된 고분자일 수 있으며, 여기서 디카르복실산은 테레프탈산, 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 디페닐디카르복실산, 디페닐 에테르 디카르복실산, 디페닐설폰디카르복실산, 디페녹시에탄디카르복실산, 숙신산, 아디프산, 세바크산, 아젤라산, 데칸디카르복실산,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트리멜리트산, 피로멜리트산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디알콜은 에틸렌 글리콜, 트리메틸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테트라메틸렌 글리콜, 네오펜틸 글리콜, 헥사메틸렌글리콜, 데칸메틸렌 글리콜, 도데카메틸렌 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테트라프로필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디(테트라메틸렌) 글리콜, 트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 펜타에리스리톨, 2,2-비스(4-β-히드록시에톡시페닐)프로판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예로써, 상기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유색 고분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프로필렌테레프탈레이트(PPT), 폴리글리콜라이드 또는 폴리글리콜산(PGA), 폴리락트산(PLA), 폴리카프로락톤(PCL), 폴리히드록시알카노에이트(PHA), 폴리히드록시부티레이트(PHB), 폴리에틸렌 아디페이트(PEA), 폴리부틸렌 숙시네이트(PBS), 폴리(3-히드록시부티레이트-코-3-히드록시발러레이트)(PHBV),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T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벡트란 및 이의 조합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유색 고분자 중 가장 보편적인 일예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이며, 이때 상기 고분자 제조를 위한 출발 물질은 테레프탈산 또는 이의 유도 단량체, 그리고 에틸렌글리콜이다.
상기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는 단독 혹은 상기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이외의 고분자가 혼합된 혼합 수지의 형태, 예컨대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타이렌, 폴리염화비닐 등과 같은 플라스틱 소재나, 면, 마, 모, 레이온, 아세테이트, 아크릴, 나일론, 스판덱스와 같은 고분자 중 하나 이상이 추가로 포함된 혼합 고분자의 형태일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예시로 열거된 상기 폴리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에 혼합되는 다른 고분자는 단순 예시일 뿐 상기 나열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는 필름이나 바틀 등으로 성형된 소재의 전부 또는 일부일 수도 있으며, 의류나 산업적 용도로 활용되는 단섬유(staple), 장섬유(filament) 또는 이들이 혼합된 것일 수 있으며, 원사, 비정형체 또는 직물 형태일 수 있다.
상기 (a) 단계에서는 추출제를 상기 유색 고분자 혼합물에 직접 접촉시켜 상기 혼합물 중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에서만 색을 띠는 이물질을 용출시켜 제거하게 된다. 상기 (a) 단계의 탈색 과정은 2회 이상 반복될 수 있다.
상기 (a) 단계는 70 내지 200℃에서 수행할 수 있으나, 더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150℃에서 수행할 수 있다. 온도가 70℃ 미만이면 용출 속도가 더디게 진행되어 추출의 효과가 제한될 수 있으며, 200℃를 초과하면 에너지의 소비량이 매우 높을 수 있다.
또한, 상기 (a) 단계는 색을 발현하는 이물질이 포함된 추출 혼합용액을 가열하고 이로부터 증기화된 추출제를 응축 냉각시켜 다시 재공급 되도록 하는 연속적인 환류에 의하여, 액상의 추출제가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와 지속적인 접촉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색을 발현하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색을 발현하는 이물질이 포함된 추출 혼합용액에서 추출제만을 환류하기 위해 가열부의 온도는 추출제의 비점에 가까운 온도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가열부에 가해지는 열량과 추출제의 환류되는 속도에 의해 고분자와 추출제 간 접촉 온도(또는 추출 온도)가 결정될 수 있으며, 이는 추출의 성능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고분자와 추출제 간 접촉되는 온도는 추출제의 비점 대비 0 내지 50℃ 가량 낮은 온도로 유지 또는 조절되도록 추출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추출제를 이용해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유색 고분자로부터 색을 발현하는 이물질을 용출시킨 후, 증발 및 증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방식으로 상기 추출제 및 색을 발현하는 이물질이 포함된 추출 혼합용액으로부터 상기 추출제를 회수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는 탈색된 고분자와 탈색되지 않은 고분자를 색의 차이를 통해 분류하는 것으로써, 상기 색의 차이를 감지하기 위하여 분광측색계뿐만 아니라 색의 명도나 채도에 의해 염료가 제거된 것을 단순히 구분할 수 있는 검출기가 사용될 수 있으며, RGB, HSV, CMYK 또는 Lab와 같은 색좌표 값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소재의 탈색 여부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는 색좌표 값은 정반사광(specular light)과 난반사광(diffuse light)을 모두 포함하는 전체반사광 측정방식(SCI)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측정된 값과 탈색 여부를 판별하는 기준에 따라, 탈색된 고분자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선별하는 공정을 구성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고분자 혼합물에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 및/또는 화학식 2의 추출제를 적용하면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한 고분자에서만 탈색이 일어나게 되므로,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만을 선택적으로 구분할 수 있다.
선별된 고분자는, 폐혼합 고분자 수지로부터 높은 농도의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만을 선별하는 과정에서 정제가 어려운 색상 이물질(예. 염료)의 제거가 일어나 탈색되기 때문에 재활용 산업에도 활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선별된 탈색된 고분자를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의 해중합 반응공정에 적용하면, 높은 비용의 정제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고품질의 단량체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로써 고분자 혼합물이 무색의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를 포함하고 있을 때, 이를 선별하는 방법으로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를 염색하는 과정을 추가함으로써, 상기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의 선택적 탈색 방법을 무색 고분자에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i)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와 이와 다른 종류의 고분자가 혼합된 고분자 혼합물에 색을 발현하는 이물질을 접촉시켜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한 고분자만 선택적으로 염색하는 단계; (ⅱ) 상기 (i) 단계 후의 혼합물에서 색 차이를 이용하여 무색 고분자는 상기 고분자의 혼합물로부터 제외하는 단계; (ⅲ) 상기 (ⅱ)단계 후의 혼합물을 색을 발현하는 이물질을 추출하는 추출제와 접촉시켜 선택적으로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유색 고분자만을 탈색하는 단계; (ⅳ) 상기 탈색된 고분자와 탈색되지 않은 고분자를 색 차이를 이용하여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i) 단계는 색을 띠지 않는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한 무색 고분자 수지가 포함된 고분자 수지 혼합물을 분산염료 등과 접촉시켜 상기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한 무색 고분자를 염색하여 유색 고분자로 전환시키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염료는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한 고분자만을 선택적으로 착색시키는 염료이어야 하며, 예시적으로 아조계와 안트라퀴논계의 분산염료일 수 있다. 상기 착색을 위한 염료는 사용되지 않은 신규 염료일 수도 있으나, 이미 본 발명의 추출제에 의해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유색 고분자 섬유로부터 추출된 폐염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ii)단계에서는 고분자 수지 혼합물에 포함된 무색 고분자를 제외하는 단계이다. 상기 (i)단계에서 고분자 혼합물에 포함된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한 무색 고분자가 착색되게 되므로, (ⅱ)단계에서는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한 무색 고분자는 없으나,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지 않은 고분자로써 무색인 것은 존재할 수 있으므로, 상기 (ⅱ)단계에서 무색인 고분자를 색 차이를 이용하여 제외함으로써, (ⅲ)단계에는 유색 고분자만 투입되도록 한다.
이후 (ⅲ)단계에서 상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추출제를 사용하여, 상기 고분자 혼합물 중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유색 고분자만을 선택적으로 탈색하고, 상기 (ⅳ)단계에서는 염료가 제거된 고분자에 대해 색 차이를 이용하여 선별하면, 여러 다른 종류의 고분자 혼합물로부터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만 선택적으로 분류해 낼 수 있게 된다.
이하,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 과정의 세부사항을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에 관련된 대표적 예시로써, 이것만으로 본 발명의 적용 범위를 제한할 수 없음을 밝히는 바이다.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원료
원료 1
염색 가공되지 않은 무지 폴리에스테르 섬유 원단을 절단하여 한 면이 약 3cm인 정사각형의 크기를 갖는 무색 고분자 원료로 준비하였다.
원료 2
분산염료(염료: Dystar Dianix Blue E-R 150%; C.I. Disperse Blue 56)를 사용하여 남색으로 염색 가공된 무지 폴리에스테르 섬유 원단(염료 무게비: 1.5% o.w.f)을 절단하여 한 면이 약 3cm인 정사각형의 크기를 갖는 유색 고분자 원료로 준비하였다.
원료 3
아조계 분산염료(C.I. Disperse Red 1)를 사용하여 빨간색으로 염색 가공된 무지 폴리에스테르 섬유 원단(염료 무게비: 1.5% o.w.f)을 절단하여 한 면이 약 3cm인 정사각형의 크기를 갖는 유색 고분자 원료로 준비하였다.
원료 4
안트라퀴논계 분산염료(C.I. Disperse Red 9)를 사용하여 빨간색으로 염색 가공된 무지 폴리에스테르 섬유 원단(염료 무게비: 1.5% o.w.f)을 절단하여 한 면이 약 3cm인 정사각형의 크기를 갖는 유색 고분자 원료로 준비하였다.
원료 5
폴리에스테르 섬유 82%와 스판덱스 18%가 혼방 가공된 원단을 분산염료(염료: Dystar Dianix Deep Black Plus)를 사용하여 검은색으로 염색한 혼방 원단(염료 무게비: 1.5% o.w.f)을 절단하여 한 면이 약 3cm인 정사각형의 크기를 갖는 유색 고분자 원료로 준비하였다.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이외의 원료
원료 6
염색하지 않은 무지 나일론 섬유 원단을 절단하여 한 면이 약 3cm인 정사각형의 크기를 갖는 무색 고분자 원료로 준비하였다.
원료 7
산성 염료(염료: Dystar Telon Orange AGT 01; C.I. Acid Orange 116)를 사용하여 주황색으로 염색 가공된 무지 나일론 섬유 원단(염료 무게비: 1.5% o.w.f)을 절단하여 한 면이 약 3cm인 정사각형의 크기를 갖는 유색 고분자 원료로 준비하였다.
원료 8
염색하지 않은 무지 울 섬유 원단을 절단하여 한 면이 약 3cm인 정사각형의 크기를 갖는 무색 고분자 원료로 준비하였다.
원료 9
산성 염료(염료: Dystar Telon Orange AGT 01; C.I. Acid Orange 116)를 사용하여 주황색으로 염색 가공된 무지 울 섬유 원단(염료 무게비: 1.5% o.w.f)을 절단하여 한 면이 약 3cm인 정사각형의 크기를 갖는 유색 고분자 원료로 준비하였다.
원료 10
염색하지 않은 무지 실크 섬유 원단을 절단하여 한 면이 약 3cm인 정사각형의 크기를 갖는 무색 고분자 원료로 준비하였다.
원료 11
산성 염료(염료: Dystar Telon Orange AGT 01; C.I. Acid Orange 116)를 사용하여 주황색으로 염색 가공된 무지 실크 섬유 원단(염료 무게비: 1.5% o.w.f)을 절단하여 한 면이 약 3cm인 정사각형의 크기를 갖는 유색 고분자 원료로 준비하였다.
원료 12
염색하지 않은 무지 아크릴 섬유 원단을 절단하여 한 면이 약 3cm인 정사각형의 크기를 갖는 무색 고분자 원료로 준비하였다.
원료 13
염기성 염료(Dystar-Astrazon Golden Yellow GL-E 200%; C.I. Basic Yellow 28)를 사용하여 노란색으로 염색 가공된 무지 아크릴 섬유 원단(염료 무게비: 1.5% o.w.f)을 절단하여 한 면이 약 3cm인 정사각형의 크기를 갖는 유색 고분자 원료로 준비하였다.
원료 14
염색하지 않은 무지 면섬유 원단을 절단하여 한 면이 약 3cm인 정사각형의 크기를 갖는 무색 고분자 원료로 준비하였다.
원료 15
반응성 염료(Remazol Golden Yellow RNL; C.I. Reactive Orange 107)를 사용하여 노란색으로 염색 가공된 무지 면섬유 원단(염료 무게비: 2.0% o.w.f)을 절단하여 한 면이 약 3cm인 정사각형의 크기를 갖는 유색 고분자 원료로 준비하였다.
원료 16
염색하지 않은 무지 레이온 섬유 원단을 절단하여 한 면이 약 3cm인 정사각형의 크기를 갖는 무색 고분자 원료로 준비하였다.
원료 17
반응성 염료(Remazol Golden Yellow RNL; C.I. Reactive Orange 107)를 사용하여 노란색으로 염색 가공된 무지 레이온 섬유 원단(염료 무게비: 2.0% o.w.f)을 절단하여 한 면이 약 3cm인 정사각형의 크기를 갖는 유색 고분자 원료로 준비하였다.
고분자 및 추출제 종류에 따른 반응성 비교
실시예 1
상기 원료 2의 남색(염료: Disperse Blue 56) 폴리에스테르 섬유 약 0.1 g을 미리 130℃의 온도로 가열 유지되는 아니솔(메톡시벤젠) 10.0 g이 담긴 50 ml 바이알에 투입하고 자석 교반기를 사용하여 300 rpm으로 10분간 교반한 후, 핀셋(tweezer)을 사용하여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꺼내어 50 ml 바이알병에 준비된 90℃로 유지되고 있는 동일한 용매(아니솔) 10.0 g을 이용하여 1 내지 2초 가량 담궈 세척한 후 유리 증발접시로 옮긴다. 이후, 진공(≤ 2 mmHg) 하 60℃로 유지되는 진공 건조기에 넣고 12시간 이상 건조하여 염료가 제거된 섬유를 제조하였다.
염료가 제거된 섬유는 분광측색계(spectrophotometer; 제조사: Konica Minolta 모델명: CM-3600A)를 사용하여 색좌표 L* a* b* 값을 측정하였다. L* a* b*로 표현되는 값은 국제조명위원회(CIE)에 의해 표준화된 색공간의 좌표값이며, L*는 명도(lightness)를 나타내는 0 (검은색) 내지 100 (흰색)으로 표현되는 수치이고 a*와 b*는 각각 빨간색(+)/녹색(-) 및 노란색(+)/파란색(-)의 보색 축에 따라 표현되는 수치이다. 염료가 제거된 섬유 및 상기 명시한 원료 1 내지 17에 대하여 근적외선 분광광도계(NIR, near infrared 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분광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2
폴리에스테르 섬유 원료로 원료 3의 빨간색(염료: Disperse Red 1) 섬유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섬유를 처리하였다.
실시예 3
폴리에스테르 섬유 원료로 원료 4의 빨간색(염료: Disperse Red 9) 섬유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섬유를 처리하였다.
실시예 4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섬유 원료로 원료 5의 폴리에스테르 섬유 82%와 스판덱스 18%가 혼방 가공된 검은색(염료: Dystar Dianix Deep Black Plus) 섬유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섬유를 처리하였다.
실시예 5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이외의 섬유 원료로 원료 7의 주황색(염료: Acid Orange 116) 나일론 섬유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섬유를 처리하였다.
실시예 6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이외의 섬유 원료로 원료 9의 주황색(염료: Acid Orange 116) 울 섬유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섬유를 처리하였다.
실시예 7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이외의 섬유 원료로 원료 11의 주황색(염료: Acid Orange 116) 실크 섬유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섬유를 처리하였다.
실시예 8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이외의 섬유 원료로 원료 13의 노란색(염료: Basic Yellow 28) 아크릴 섬유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섬유를 처리하였다.
실시예 9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이외의 섬유 원료로 원료 15의 노란색(염료: Basic Yellow 28) 면섬유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섬유를 처리하였다.
실시예 10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이외의 섬유 원료로 원료 17의 노란색(염료: Reactive Orange 107) 레이온 섬유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섬유를 처리하였다.
실시예 11
추출제로 벤조산에틸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섬유를 처리하였다.
실시예 12
추출제로 에톡시벤젠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섬유를 처리하였다.
비교예 1
추출제로 트리에틸포스페이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섬유를 처리하였다.
비교예 2
추출제로 뷰티르산뷰틸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섬유를 처리하였다.
비교예 3
추출제로 메톡시사이클로헥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섬유를 처리하였다.
비교예 4
추출제로 파라자일렌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섬유를 처리하였다.
비교예 5
추출제로 모르폴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섬유를 처리하였다.
비교예 6
추출제로 메틸피롤리돈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섬유를 처리하였다.
비교예 7
추출제로 디메틸설폭사이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섬유를 처리하였다.
비교예 8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이외의 섬유 원료로 원료 7의 주황색(염료: Acid Orange 116) 나일론 섬유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섬유를 처리하였다.
비교예 9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이외의 섬유 원료로 원료 9의 주황색(염료: Acid Orange 116) 울 섬유 원단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섬유를 처리하였다.
비교예 10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이외의 섬유 원료로 원료 11의 주황색(염료: Acid Orange 116) 실크 섬유 원단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섬유를 처리하였다.
비교예 11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이외의 섬유 원료로 원료 13의 노란색(염료: Basic Yellow 28) 아크릴 섬유 원단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섬유를 처리하였다.
비교예 12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이외의 섬유 원료로 원료 15의 노란색(염료: Basic Yellow 28) 면섬유 원단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섬유를 처리하였다.
비교예 13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이외의 섬유 원료로 원료 17의 노란색(염료: Reactive Orange 107) 레이온 원단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섬유를 처리하였다.
비교예 14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이외의 섬유 원료로 원료 7의 주황색(염료: Acid Orange 116) 나일론 섬유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섬유를 처리하였다.
비교예 15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이외의 섬유 원료로 원료 9의 주황색(염료: Acid Orange 116) 울 섬유 원단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섬유를 처리하였다.
비교예 16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이외의 섬유 원료로 원료 11의 주황색(염료: Acid Orange 116) 실크 섬유 원단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섬유를 처리하였다.
비교예 17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이외의 섬유 원료로 원료 13의 노란색(염료: Basic Yellow 28) 아크릴 섬유 원단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섬유를 처리하였다.
비교예 18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이외의 섬유 원료로 원료 15의 노란색(염료: Basic Yellow 28) 면섬유 원단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섬유를 처리하였다.
비교예 19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이외의 섬유 원료로 원료 17의 노란색(염료: Reactive Orange 107) 레이온 원단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섬유를 처리하였다.
섬유 종류에 따른 추출제 효과 비교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10에 따라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유색 고분자 섬유와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이외의 유색 섬유가 추출제(아니솔)와 접촉하여 염료가 제거된 정도를 나타낸 것으로, 다양한 종류의 원단을 실시예 1에 명시된 조건과 같이 130℃로 가열된 아니솔과 10분간 접촉시켜 염료를 추출하는 탈색 과정을 거친 섬유의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에서와 같이, 아니솔로 탈색 과정을 수행한 이후에는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섬유 내 색을 발현하는 이물질은 추출되었으며,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이외의 섬유에 포함된 색을 발현하는 이물질은 추출되지 않았다.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섬유에 대해서는 탈색 후 섬유의 색상이 시작원료의 색상 및 명암과 상관없이 확연히 밝은색을 띠는 것을 육안으로도 확인 가능한 수준이었으며,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이외의 섬유들에서는 색 변화가 거의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10에서 아니솔과의 접촉으로 탈색 과정을 거친 후의 염료가 제거된 섬유들에 대해 분광측색계를 통해 측정한 색 공간좌표(L* a* b*)를 표 1에 나타내고, 도 2에는 이를 이차원 좌표(L* X*)로 변형하여 평면 좌표에 도시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구분 원료 고분자종류 염료 구분 L * a * b *
실시예1 원료2 폴리에스테르 Disperse Blue 56 탈색 전 19.1 1.6 -10.4
탈색 후 85.5 0.7 0.7
실시예2 원료3 폴리에스테르 Disperse Red 1 탈색 전 33.9 48.7 28.3
탈색 후 83.0 16.4 11.0
실시예3 원료4 폴리에스테르 Disperse Red 9 탈색 전 42.5 59.7 22.8
탈색 후 86.0 13.9 -0.1
실시예4 원료5 폴리에스테르 82% + 스판덱스 18% Dystar Dianix Deep Black Plus 탈색 전 16.1 0.2 -1.6
탈색 후 78.1 1.2 5.0
실시예5 원료7 나일론 Acid Orange 116 탈색 전 42.3 44.3 48.1
탈색 후 41.9 43.9 47.1
실시예6 원료9 Acid Orange 116 탈색 전 40.5 41.2 40.4
탈색 후 39.2 40.4 38.1
실시예7 원료11 실크 Acid Orange 116 탈색 전 54.0 40.6 52.2
탈색 후 54.1 39.7 51.3
실시예8 원료13 아크릴 Basic Yellow 28 탈색 전 71.7 38.5 89.4
탈색 후 71.2 40.0 88.9
실시예9 원료15 Basic Yellow 28 탈색 전 74.1 26.9 72.3
탈색 후 74.1 27.0 71.0
실시예10 원료17 레이온 Reactive Orange 107 탈색 전 68.2 35.2 86.1
탈색 후 68.9 33.4 82.8
상기 표 1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 에 따라 염료가 제거된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섬유에 대하여 분광측색계에 의해 측정된 명도 값은 78 내지 86의 매우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측정된 명도가 100에 미치지 못하는 것은, 섬유의 직물 특성과 섬유 측정 배경으로 암흑면을 사용함에 따른 측정환경의 고유 특성에 따른 것이다. 색좌표 중 빨간색/녹색 및 노란색/파란색의 보색축을 나타내는 a* 와 b* 값은 섬유 원색의 경우 매우 상이한 값을 갖고 있었으나, 탈색 후 섬유에서는 17 이하로 중립값에 가까워지는 경향이 확연하게 나타났다.
한편,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5 내지 10의 탈색 과정 후의 섬유(폴리에스테르가 아닌 것)들을 분광 측색계로 측정한 명도 값은 74.1 이하로 탈색 과정을 거치지 않은 초기 원료의 명도 값과 거의 일치하는 값을 가지고 있으며, 염료 제거 후의 a*, b* 값 역시 26 내지 89 정도로 중립값에서 비교적 멀리 떨어진 좌표값이어서, 추출제에 의한 탈색 효과가 폴리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에만 한정적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다.
상기 실시예 4의 경우 원료는 폴리에스테르와 스판덱스가 혼방된 고분자 섬유이며, 상기 섬유의 탈색 과정 전 명도 값은 16 정도로 매우 어두운 색상을 갖고 있었으나, 탈색 과정 후 섬유에서는 78 에 가까운 값을 가지며 a* 와 b* 의 값은 각 1.2, 5.0으로로 명확한 염료 제거 효과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와 다른 섬유가 혼합된 혼방 형태의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섬유에 대해서도,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추출제를 이용하여 색을 발현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의 선별 수율을 향상할 수 있음을 잘 설명하고 있다.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가 높은 농도로 구성된 혼방 섬유에 색상을 표현하는 경우, 분산염료가 보편적으로 사용되며 이는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에만 선택적으로 염착되기 때문에 본 발명을 따르는 탈색 과정에 의해 효과적인 염료 제거와 함께 높은 농도의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를 선별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혼방 섬유에서 높은 농도의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혼방 섬유란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의 부피%는 30부피%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50부피% 더욱 바람직하게는 80부피% 이상일 수 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탈색 후 염료가 제거된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섬유의 색 공간좌표(L* a* b*)를 이차원 좌표 값, 즉 L*를 세로축으로 하고, a*와 b*값 각각을 제곱하여 합한 것에 대한 제곱근으로 나타낸 X*를 가로축으로 하여 도시하면, L*는 60 이상의 값 그리고 X*는 50 이하의 값을 동시에 충족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로 보아 염료가 제거된 섬유의 색 공간좌표(L* a* b*)를 이차원 좌표 (L* X*)로 변환하여 판별함으로써, 비교적 간단한 형태의 선별 기준을 제시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섬유를 간단하게 선별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에 따라,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섬유에 따른 근적외선 분광 스펙트럼의 차이를 나타낸 것으로, 실시예 1의 조건에서 염료가 제거된 섬유를 분광측색계로 측정한 색 공간좌표(L* a* b*)를 이차원 좌표(L* X*)로 변환하여 나타내었을 때 L*는 60 이상 그리고 X*는 50 이하의 범위를 동시에 충족하는 섬유를 선별하여 근적외선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분광 스펙트럼을 측정한 결과이다. 상기 기준을 만족하는 좌표값을 가지는 섬유의 분광 스펙트럼을 서로 비교하면, 동일한 특성을 갖는 피크(폴리에스테르의 특성피크에 해당함)가 관찰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추출제의 종류에 따른 탈색 효과 비교
실시예 1, 11, 12 및 비교예 1 내지 5는 서로 다른 추출제에 의한 탈색 효과를 구분하기 위하여, 탈색에 사용되는 추출제를 제외하고는 동일한 조건이 적용되었으며, 섬유 원료로 원료 2의 남색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사용되었다. 탈색 과정에서의 온도는 130℃로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도 4에는 실시예 11, 12 및 비교예 1 내지 5에서 탈색 과정을 거친 후의 섬유의 사진을 나타내었으며, 하기 표 2에 원료 1의 무색 폴리에스테르 원료와 상기 실시예 11, 12 및 비교예 1 내지 5에서 탈색 과정을 거친 후의 폴리에스테르 섬유 각각에 대해 분광측색계를 사용하여 측정된 색 공간좌표(L* a* b*)를 나타내었고, 도 5는 상기 표 2의 색 공간좌표(L* a* b*)를 변형하여 이차원 평면 좌표로 나타낸 것이다.
구분 추출제 종류 L * a * b *
원료 1 - 93.1 -0.5 0.9
실시예 1 아니솔 85.5 0.7 0.7
실시예 11 에틸벤조에이트 66.7 -7.1 -16.0
실시예 12 에톡시벤젠 71.7 -5.9 -11.8
비교예 1 트리에틸포스페이트 36.0 -4.3 -27.1
비교예 2 뷰티르산뷰틸 28.9 -1.7 -23.9
비교예 3 메톡시사이클로헥산 29.3 -1.9 -24.1
비교예 4 파라자일렌 54.5 -7.1 -21.0
비교예 5 모르폴린 91.3 -0.3 9.7
실시예 1의 경우, 명도(L*) 85.5, 색에 대한 보색축을 나타내는 a* 와 b*의 값은 각각 0.7, 0.7을 가지며 원료 1의 무색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색좌표 값에 가까운 값을 보이고 있다. 실시예 11 및 12 에서 사용된 에틸벤조에이트와 에톡시 벤젠 또한, 색을 발현하는 이물질 제거에 효과적으로 작용하여, 탈색 이후 섬유의 색좌표 값이 본 발명에서 제시한 염료 제거효과에 대한 기준을 나타내는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1 내지 4에서는 섬유의 부분적인 탈색이 관찰되었으나 염료의 잔류량이 육안으로도 쉽게 확인 가능할 만큼 많았으며, 추출제 처리 이후의 섬유가 가지는 색좌표 값 또한 명도(L*) 55 이하, a*와 b*의 값들은 중립값으로부터 큰 음의 편차(녹색 및 파란색)가 관찰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제로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유색 고분자 섬유를 접촉하여 염료를 제거하는 경우, 분광 측색계에 의해 측정된 명도(L*) 값은 모두 60 이상의 값을 나타내었으며, 색에 대한 보색축을 나타내는 a*와 b* 값은 대부분 중립값에 가까운 값으로 측정되었다. 측정된 색공간 좌표값으로부터 탈색 성능을 구분할 수 있는 선별기준을 보다 명확하게 제시할 수 있는 이차원 좌표, 즉 이차원 좌표(L* X*)로 변환하게 되면 탈색효과는 L*가 60 이상 그리고 X*가 50 이하의 범위에서 관찰되었다.
메톡시사이클로헥산은 본 발명에 따르는 추출제의 하나인 아니솔과 유사한 구조를 갖으나, 화합물의 중심 작용기가 방향족 고리가 아닌 포화 사이클로알칸으로 변형된 형태의 화합물이다. 이를 추출제로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에 적용한 경우(비교예 3),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니솔을 추출제로 적용한 경우(실시예1)보다 매우 저조한 염료 제거효과를 나타내었다.
사용된 원료 1과 실시예 11, 12 및 비교예 1 내지 5에 의해 제조된 섬유에 대해 분광측색계로부터 측정된 색 공간좌표(L* a* b*)를 이차원 좌표 (L* X*)로 나타내었을 때, 본 발명에서 주장하는 화학 구조식을 가지는 추출제를 사용한 경우(실시예 11과 12)에는 기준 범위(L*가 60 이상, X*가 50 이하) 내에 포함되었지만, 중심 작용기로써 방향족 고리 구조를 갖지 않는 화합물을 추출제로 적용하는 비교예 1 내지 4의 경우, 탈색 후 섬유의 색좌표값은 기준 범위 밖의 좌표 값을 가지며 추출제로의 효과가 매우 미미함을 알 수 있다.
앞서 추출제의 효과를 비교하여 설명한 예들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주장하는 추출제의 형태(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가 아닌 화학적 구조를 갖는 물질을 추출제로 적용한 경우, 탈색 효과가 낮게 관찰되었다. 이는 방향족 고리 및 이에 결합된 작용기가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와 파이결합 또는 수소결합에 의한 상호작용에 기인하는 것일 수 있다.
동일한 탄소수를 가지며 탄화수소 고리에 메톡시기가 결합된 것들이나, 고리를 구성하는 형태가 불포화 탄화수소의 구조를 갖는 것(방향족 화합물)과 포화 탄화수소의 구조를 갖는 것(사이클로헥산)으로 구분되는 아니솔(실시예 1)과 메톡시사이클로헥산(비교예 3)을 농도를 달리하여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에 가한 후 핵자기공명(NMR) 분광법을 사용하여 화학적 이동(chemical shift) 변화를 관찰하였다. 13C NMR로 측정한 스펙트럼 결과를 비교하면 (도 6과 도 7), 두 경우 모두 화학적 이동이 발견되지 않았으며, 이는 탄화수소물을 구성하는 골격 자체에는 큰 변화가 없음을 암시하고 있다. 각각의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는 시료내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한 고분자에 대해 1H NMR로 측정한 스펙트럼 결과를 비교하면(도 8과 도 9), 메톡시사이클로헥산을 추출제를 가한 경우(비교예 3) 화학적 이동이 관찰되지 않았으나 아니솔을 첨가제로 가한 경우(실시예 1) 테레프탈레이트 작용기와 메틸렌 작용기를 구성하는 수소의 전자 밀도의 변화와 함께 높은 화학적 이동(downfield chemical shift)이 발생하였다. 이는 본 발명에서 주장하는 화학식 구조를 갖는 추출제는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와 이종 분자 간 높은 상호작용을 나타내며, 높은 농도의 추출제 첨가가 염료와 고분자가 유지하고 있던 약한 물리적 결합을 무력화시키고, 이로부터 염료가 고분자 기질로부터 비가역적으로 이탈함에 따라, 섬유의 탈염료화가 진행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비교예 5의 모르폴린은 본 발명에서 주장하는 고순도 폴리에스테르를 선별하는 기준인 L*가 60 이상, X*가 50 이하를 만족하는 수준의 염료 제거효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모르폴린은 색을 발현하는 염료와 직접적으로 반응하여 색의 변형이 일어났으며 이들 성분 일부는 고분자 기질에 잔류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도 10은 실시예 1에서 사용된 아니솔(메톡시벤젠)과 비교예 5의 모르폴린에 의한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탈염료 과정 이후의 각 용매와 섬유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5 모두 원료 2의 남색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사용하였으나 모르폴린을 이용한 경우에서는 남색 염료가 옅은 주황색으로 변하였으며, 이러한 색변형 이후 섬유는 약한 주황빛을 띠어 변형된 염료 성분이 잔류함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5에서 유색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탈색이 발생하였으나 염료 발색단의 화학적 변형에 따르는 것으로, 고분자 기질로부터 염료 성분이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탈색이 진행되는 본 발명의 효과와는 다른 것이다.
추출제와 고분자에 따른 탈염료 효과 비교
비교예 6 내지 19은 본 발명의 화학식 구조를 갖지 않는 화합물들을 사용하여 실험예 1과 동일한 추출 조건에 적용하되,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섬유 및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이외의 섬유 소재에 대한 탈염료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하기 표 3에 비교예 6 내지 19에서 사용된 고분자 및 추출제의 종류, 그리고 추출공정에 따른 탈염료 효과를 이차원 좌표 (L*, X*)로 나타내었다.
구분 원료구분 고분자 종류 추출제 종류 L * X *
비교예 6 원료2 남색 폴리에스테르 메틸피롤리돈 89.5 1.0
비교예 7 원료2 남색 폴리에스테르 디메틸설폭사이드 88.0 1.0
비교예 8 원료7 주황색 나일론 메틸피롤리돈 58.2 62.8
비교예 9 원료9 주황색 울 메틸피롤리돈 49.4 52.6
비교예 10 원료11 주황색 실크 메틸피롤리돈 88.9 14.6
비교예 11 원료13 노란색 아크릴 메틸피롤리돈 - -
비교예 12 원료15 노란색 면 메틸피롤리돈 74.1 75.8
비교예 13 원료17 노란색 레이온 메틸피롤리돈 68.6 91.5
비교예 14 원료7 주황색 나일론 디메틸설폭사이드 50.7 66.6
비교예 15 원료9 주황색 울 디메틸설폭사이드 44.0 50.5
비교예 16 원료11 주황색 실크 디메틸설폭사이드 85.6 20.7
비교예 17 원료13 노란색 아크릴 디메틸설폭사이드 - -
비교예 18 원료15 노란색 면 디메틸설폭사이드 74.2 76.6
비교예 19 원료17 노란색 레이온 디메틸설폭사이드 66.4 83.8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르는 화학식 구조를 갖고 있지 않으나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고 있는 고분자에 탈염료 효과가 있는 추출제(메틸피롤리돈, 디메틸설폭사이드)를 여러 섬유에 대해 동일한 추출과정을 적용한 후, 섬유의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여러 고분자 종류에 추출제로 메틸피롤리돈과 디메틸설폭사이드를 사용한 경우, 폴리에스테르가 적용된 비교예 6과 비교예 7에서는 탈색이 진행되었으며, 폴리에스테르 섬유 이외의 것에 적용한 것 중 비교예 12, 13 그리고 18을 제외한 나머지 경우에서는 섬유의 변형이 관찰되었다. 특히, 아크릴 섬유는 완전한 분해가 발생하여 회수가 불가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의 구조를 갖지 않는 추출제가 아닌 비교예 6 내지 19에 사용된 추출제는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에서 탈염료 효과를 나타낼 수는 있으나, 타종류의 고분자와 반응을 일으키거나 용해가 진행되어 여러 소재가 혼합된 고분자의 순차적 재활용 공정에 적용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의 선택적으로 분리 및 고순도화를 위한 선별공정에도 적용이 어려워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주장하는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의 구조를 갖지 않는 화합물 일부는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고 있는 고분자의 탈염료에 효과가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르는 선별공정의 추출제로써 활용이 적합하지 않을 수 있음을 잘 설명하고 있다.
다른 종류의 고분자가 혼합된 조건에서 탈염료 실험
본 발명의 기술이 실제 공정에 적용될 경우, 여러 종류의 고분자가 혼합된 상태에서 추출제를 처리하게 되는 점을 고려하여, 상기 실시예 1 내지 10에서 사용한 것과 같은 원료를 모두 혼합한 뒤 하기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13
상기 원료 2 내지 5의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섬유 및 원료 7, 원료 9, 원료 11, 원료 13, 원료 15, 원료 17의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이외의 유색 섬유 각 0.3g을 혼합하고 상기 섬유 혼합물을 속실렛 추출법을 이용하여 탈염료 처리하였다.
추출제로 아니솔(메톡시벤젠) 150g을 사용하였으며, 추출제 접촉 후 섬유들은 에탄올로 세척하고 유리 증발접시로 옮겨 진공(≤ 2 mmHg) 하 80℃로 유지되는 진공 건조기에 넣은 후 12시간 이상 건조하였다.
염료가 제거된 섬유는 실시예 1과 같이 분광측색계를 이용하여 색 공간좌표(L* a* b*)를 측정하고 이를 이차원 좌표(L* X*)로 변환하였을 때 L* 값이 60 이상이고 X* 값이 50 이하를 만족하는 섬유들과 이를 만족하지 않는 섬유를 분류한 후 이들에 대해 근적외선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분광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도 12는 속실렛 추출기를 이용한 추출제 처리 전, 후의 유색 섬유 혼합물의 색상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속슬렛 추출기를 이용하여 혼합된 상태의 섬유와 추출제를 접촉하는 경우, 특정 섬유에서만(원료2 내지 5의 폴리에스테르 섬유) 선택적 탈색이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도 12에 나타낸 추출과정 이후 섬유에 대해 분광측색계의 측정 결과를 이차원 좌표(L* X*) 형태로 나타내었을 때 L* 값이 60 이상이고 X* 값이 50 이하를 만족하는 섬유들을 선별하여 근적외선 분광광도계를 통해 분광 스펙트럼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3에 나타내었다.
도 1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명시 범위 이내의 좌표값을 가지는 섬유의 분광 스펙트럼을 확인한 결과(도 3의 스펙트럼과 일치함), 모두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4는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섬유 이외(나일론, 울, 실크, 아크릴, 면, 레이온)의 섬유에 대해 근적외선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한 스펙트럼들이다. 탈색이 진행되지 않은 섬유를 무작위로 골라 근적외선 분광광도계로 측정하면 도 3이나 도 13의 스펙트럼 형태가 아닌 도 14의 스펙트럼 중 하나로 관찰되었다. 이는 앞서 설명한 유색 혼합 섬유의 탈색 공정이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섬유에 염착된 분산염료만 매우 선택적이고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음을 잘 설명하고 있다. 도 12에서 알 수 있듯이, 각각의 폐섬유에 미리 도입된 염료들은 탈색 과정 이후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를 화학적으로 선별하기 위한 지시물질로 활용될 수 있음을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본 기술에서는 탈색 공정 이후 선별을 위해 별도의 새로운 소재를 가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을 갖고 있다.
도 12 내지 14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추출제를 사용하여 탈색 처리를 할 경우, 섬유가 혼합된 조건에서도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섬유에 대해서만 선택적으로 탈색이 가능하였으며 명확하게 분리가 가능한 색상 판별 기준만으로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소재의 구분과 선별이 가능한 사실을 확인하였다.
원료의 염착공정 추가를 통한 무색 고분자의 선별 배제 방지 방법
폐기물로부터 배출되는 고분자들은 유색 고분자만 아니라 백색 또는 투명한 색의 고분자도 포함되어 있으므로, 유색과 무색이 같이 혼합된 고분자 혼합물로부터 에스테르 작용기가 포함된 고분자를 선별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14
아니솔 5.0 g 이 담긴 30 ml 바이알에, 빨간색 분산염료(Disperse Red 9) 0.01 g을 투입하고 120℃까지 가열한다. 상기 원료 1의 무색 폴리에스테르 섬유 약 0.1 g을 아니솔과 빨간색 분산염료(Disperse Red 9)가 담긴 30 ml 바이알에 투입하고 2분간 유지한 뒤 에탄올을 사용하여 세척 한다. 염색 후 세척된 섬유는 유리 증발 접시로 옮겨 진공(≤ 2 mmHg) 하 60℃로 유지되는 진공 건조기에 넣은 후 12시간 이상 건조하고, 분광측색계로 측정한 색 공간좌표(L* a* b*)를 이차원 좌표 (L*, X*)로 표 4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0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이외의 섬유 원료로 원료 6의 염색하지 않은 나일론 섬유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4와 동일한 방법으로 염색을 진행하고, 분광측색계로 측정한 색 공간좌표(L* a* b*)를 이차원 좌표 (L*, X*)로 변환한 값을 표 4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1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이외의 섬유 원료로 원료 8의 염색하지 않은 울 섬유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4와 동일한 방법으로 염색을 진행하고, 분광측색계로 측정한 색 공간좌표(L* a* b*)를 이차원 좌표 (L*, X*)로 변환한 값을 표 4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2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이외의 섬유 원료로 원료 10의 염색하지 않은 실크 섬유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4와 동일한 방법으로 염색을 진행하고, 분광측색계로 측정한 색 공간좌표(L* a* b*)를 이차원 좌표 (L*, X*)로 변환한 값을 표 4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3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이외의 섬유 원료로 원료 12의 염색하지 않은 아크릴 섬유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4와 동일한 방법으로 섬유를 염색하고, 분광측색계로 측정한 색 공간좌표(L* a* b*)를 이차원 좌표 (L*, X*)로 변환한 값을 표 4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4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이외의 섬유 원료로 원료 14의 염색하지 않은 면섬유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4와 동일한 방법으로 섬유를 염색하고, 분광측색계로 측정한 색 공간좌표(L* a* b*)를 이차원 좌표 (L*, X*)로 변환한 값을 표 4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5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이외의 섬유 원료로 원료 16의 염색하지 않은 레이온 섬유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4와 동일한 방법으로 섬유를 염색하고, 분광측색계로 측정한 색 공간좌표(L* a* b*)를 이차원 좌표 (L*, X*)로 변환한 값을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고분자 종류 L* X*
실시예 14 폴리에스테르 73.0 36.7
비교예 20 나일론 86.5 12.1
비교예 21 85.8 12.6
비교예 22 실크 92.3 5.1
비교예 23 아크릴 93.8 2.7
비교예 24 91.1 6.2
비교예 25 레이온 92.0 3.6
상기 실시예 14 및 비교예 20 내지 25에서 사용된 빨간색 분산염료 및 아니솔 혼합용액은, 앞서 유색 폴리에스테르 섬유로부터 추출제를 이용하여 추출한 분산염료가 포함된 폐추출액을 모사한 것이다. 앞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0으로 상술된 선택적 탈색 과정에서 발생한 추출 잔류액은 폴리에스테르 섬유로부터 선택적으로 추출된 분산염료만을 포함하기 때문에 상기 모사 용액과 색상만 다를 뿐이다. 즉, 상기 모사하여 제조된 혼합용액과 폐추출액은 재염색의 과정에서 동일한 염착 효과와 염색 원리를 가질 수 있다.
도 1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바이알에서 섬유를 추출한 직후 육안으로 확인하였을 때 모든 섬유에 염료가 염착된 것으로 보였으나, 에탄올을 이용하여 세정한 이후에는 폴리에스테르 이외의 섬유에 묻어있던 염료들 대부분이 제거되었다.
도 16은 상기 표 4에 나타낸 색 공간좌표값을 좌표 (L* X*)형태로 나타낸 것이다. 도 1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4 및 비교예 20 내지 25의 방법으로 염료를 포함하는 추출제와 섬유를 접촉하는 경우,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섬유에 대해서 선택적으로 염착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외의 섬유에 대해서는 염색 효과가 미미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탈색 이후 발생하는 폐추출제를 이용한 염색 및 탈색 재실시
실시예 15 및 비교예 26 내지 31은 상술한 것과 같이 폐기물에 포함된 백색 또는 투명한 색의 고분자 혼합물로부터 에스테르 작용기가 포함된 고분자를 선별적으로 염색하기 위해, 본 발명에 포함된 탈색 공정 이후 발생하는 폐추출제의 사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실시하였다.
실시예 15
상술한 실시예 13의 고분자 혼합물의 탈색공정 후 발생한, 분산염료가 잔류하는 아니솔(이하 폐추출제)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4 및 비교예 20 내지 25와 동일한 조건으로 염색공정을 진행하였으며, 분광측색계로 측정한 색 공간좌표(L* a* b*)를 이차원 좌표 (L*, X*)로 변환한 값을 표 5에 나타내었다. 섬유 원료로 원료 1의 염색하지 않은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사용하였으며, 염색 후 건조된 섬유는 상기 실시예 1 내지 10과 동일한 조건을 적용하여 탈색공정을 실시하였다.
비교예 26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이외의 섬유 원료로 원료 6의 염색하지 않은 나일론 섬유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5와 동일한 방법으로 염색 및 탈색 공정을 진행하였으며, 염색공정 후 섬유의 색 변화를 분광측색계로 측정한 색 공간좌표(L* a* b*)를 이차원 좌표 (L*, X*)로 변환한 값을 표 5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7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이외의 섬유 원료로 원료 8의 염색하지 않은 울 섬유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5와 동일한 방법으로 염색 및 탈색 공정을 진행하였으며, 염색공정 후 섬유의 색 변화를 분광측색계로 측정한 색 공간좌표(L* a* b*)를 이차원 좌표 (L*, X*)로 변환한 값을 표 5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8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이외의 섬유 원료로 원료 10의 염색하지 않은 실크 섬유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5와 동일한 방법으로 염색 및 탈색 공정을 진행하였으며, 염색공정 후 섬유의 색 변화를 분광측색계로 측정한 색 공간좌표(L* a* b*)를 이차원 좌표 (L*, X*)로 변환한 값을 표 5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9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이외의 섬유 원료로 원료 12의 염색하지 않은 아크릴 섬유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5와 동일한 방법으로 염색 및 탈색 공정을 진행하였으며, 염색공정 후 섬유의 색 변화를 분광측색계로 측정한 색 공간좌표(L* a* b*)를 이차원 좌표 (L*, X*)로 변환한 값을 표 5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0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이외의 섬유 원료로 원료 14의 염색하지 않은 면섬유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5와 동일한 방법으로 염색 및 탈색 공정을 진행하였으며, 염색공정 후 섬유의 색 변화를 분광측색계로 측정한 색 공간좌표(L* a* b*)를 이차원 좌표 (L*, X*)로 변환한 값을 표 5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1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이외의 섬유 원료로 원료 16의 염색하지 않은 레이온 섬유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5와 동일한 방법으로 염색 및 탈색 공정을 진행하였으며, 염색공정 후 섬유의 색 변화를 분광측색계로 측정한 색 공간좌표(L* a* b*)를 이차원 좌표 (L*, X*)로 변환한 값을 표 5에 나타내었다.
구분 고분자 종류 L* X*
실시예 15 폴리에스테르 48.8 5.5
비교예 26 나일론 81.9 16.3
비교예 27 81.4 14.5
비교예 28 실크 91.3 6.5
비교예 29 아크릴 94.2 3.6
비교예 30 84.1 14.8
비교예 31 레이온 91.5 4.9
상기 실시예 15 및 비교예 26 내지 31에서 염색공정에 사용된 폐추출제는, 앞서 실시예 13으로 상술된 고분자 혼합물로부터 에스테르 작용기를 가지는 고분자의 선택적 탈색 과정에서 발생한 추출제 잔류액으로, 폴리에스테르 섬유로부터 선택적으로 추출된 분산염료만을 포함하기 때문에 상기 모사 용액과 색상만 다를 뿐이다. 즉, 상기 모사하여 제조된 혼합용액과 폐추출액은 재염색의 과정에서 동일한 염착 효과와 염색 원리를 가질 수 있다.
도 17은 상기 표 5에 나타낸 색 공간좌표값을 이차원 좌표 (L* X*)형태로 나타낸 것이다. 도 1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5 및 비교예 26 내지 31의 방법으로 탈색공정에서 발생하는 폐추출제와 섬유를 접촉하는 경우,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섬유에 대해서 선택적으로 염착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외의 섬유에 대해서는 염색 효과가 미미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8에서는 상기 실시예 15를 통해 재염색 및 탈색된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색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5 및 비교예 26 내지 31의 방법으로 섬유를 재염색 및 탈색 처리하는 경우, 폐추출제를 재활용하여 무색의 에스테르 작용기를 가지는 고분자 섬유를 염색할 수 있었으며, 폐추출액으로부터 도입된 염료들은 본 발명에 포함된 탈색 기술을 통해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로부터 폐고분자 혼합물에 포함된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무색 고분자를 선택적으로 염색한 뒤에, 이를 다시 염료를 제거하는 단계를 거치면 여러 종류의 고분자 혼합된 고분자 혼합물에서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를 유색과 무색에 관계없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선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학적 선별공정에서부터 회수된 추출제 잔류액은 염착이 가능한 분산염료가 고농도로 존재하므로 상기 염색공정에 다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매우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폐섬유 재활용 공정을 구현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갖춘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1)

  1.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유색 고분자와 이와 다른 종류의 유색 고분자가 혼합된 유색 고분자 혼합물로부터, 선택적으로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에서만 색을 발현하는 이물질을 용출시켜 제거하는 추출제로써,
    상기 추출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고분자 혼합물로부터 선택적으로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에서만 색을 발현하는 이물질을 용출시켜 제거하는 추출제.
    [화학식 1]
    Figure 112022036830985-pat00005

    [화학식 2]
    Figure 112022036830985-pat00006

    (상기 화학식 1에서 A1은 카르복실기, 알데하이드기 및 니트릴기 중 선택된 것이고, R1 은 수소, 하이드록시기, 에테르기, 알데하이드기, 카복시기,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탄소수 4 내지 6의 시클로알킬기 및 탄소수 6 내지 12의 아릴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고, 상기 m 은 0 내지 5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정수이며, 상기 m 이 2 이상인 경우에는 R1은 동일하거나 서로 상이할 수 있다. n은 1 내지 6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정수이며, 상기 n이 2 이상인 경우에는 A1은 동일하거나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2에서 A2는 에스테르, 에테르, 카르보닐 중 최소 하나가 선택될 수 있으며, R2 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이다. n은 1 내지 6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정수이며, 상기 n이 2 이상인 경우에는 A2와 R2는 각각 동일하거나 서로 상이할 수 있다. 그 외 R1과 m에 대한 정의는 위 화학식 1에서와 동일하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메톡시 벤젠, 1,2-디메톡시벤젠, 1,3-디메톡시벤젠, 1,4-디메톡시벤젠, 1,2,3-트리메톡시벤젠, 1,2,4-트리메톡시벤젠, 1,3,5-트리메톡시벤젠, 1,2,3,4-테트라메톡시벤젠, 1,2,3,5-테트라메톡시벤젠, 1,2,4,5-테트라메톡시벤젠나 2-메톡시페놀, 1,3-디메톡시-2-하이드록시벤젠, 4-하이드록시-3,5-디메톡시벤조익산, 3-(4-하이드록시-3,5-디메톡시페닐)프로프-2-에날, 4-하이드록시-3,5-디메톡시벤즈알데하이드, 4-하이드록시-3,5-디메톡시아세토페논, 3-(4-하이드록시-3,5-디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익산, 4-에닐-2,6-디메톡시페놀, 4-하이드록시-3-메톡시벤즈알데하이드, 3-하이드록시-4-메톡시벤즈알데하이드, 2-하이드록시-3-메톡시벤즈알데하이드, 2-하이드록시-5-메톡시벤즈알데하이드,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즈알데하이드, 3,4-디하이드록시벤즈알데하이드, 1-메톡시-4-[(E)-프로프-1-에닐]벤젠, 2-터트-부틸-4-메톡시페놀, 에톡시벤젠, 4-(프로프-2-엔-1-일)페놀, 1-메톡시-4(프로프-2-엔-1-일)벤젠, 5-(프로프-2-엔-1-일)-2H-1,3-벤조다이옥솔, 4-메톡시-2-[(E)-프로프-1-일]페놀, 2-메톡시-4-(프로프-1-엔-일)페놀, 메틸벤조에이트, 2-메톡시벤조산, 3-메톡시벤조산, 4-메톡시벤조산, 에틸2-메톡시벤조산, 에틸3-메톡시벤조산, 4-하이드록시벤조산, 3,4-디하이드록시벤조산, 살리실산, 바닐린산, 메틸벤조에이트, 에틸벤조에이트, 프로필벤조에이트, 부틸벤조에이트, 벤질벤조에이트, 페네틸벤조에이트, 4-아세틸벤조니트릴, 아세토페논, 메톡시아세토페논, 프로피오페논, 부티로페논, 벤즈알데하이드, 4-메틸벤즈알데하이드, 하이드록시벤즈알데하이드, 3,4-디하이드록시벤즈알데하이드, 아니스알데하이드, 2-메톡시아니스알데하이드, 3-메톡시아니살데하이드, 벤조나이트릴, 하이드록시벤조나이트릴, 3,4-디하드록시벤조나이트릴, p-톨루나이트릴, 메톡시벤조나이트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고분자 혼합물로부터 선택적으로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에서만 색을 발현하는 이물질을 용출시켜 제거하는 추출제.
  3.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유색 고분자와 이와 다른 종류의 유색 고분자가 혼합된 유색 고분자 혼합물로부터,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를 선별하는 방법으로써,
    (a)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유색 고분자와 이와 다른 종류의 유색 고분자가 혼합된 고분자 혼합물과 색을 발현하는 이물질을 추출하는 추출제를 접촉시켜 선택적으로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유색 고분자를 탈색하는 단계;
    (b) 상기 탈색된 고분자와 탈색되지 않은 고분자를 색 차이를 이용하여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고분자 혼합물로부터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를 선별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의 형태는 섬유 혹은 직물 형태이며, 상기 직물은,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단독; 혹은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타이렌 및 폴리염화비닐, 면, 마, 모, 레이온, 아세테이트, 아크릴, 나일론 및 스판덱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혼방 직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고분자 혼합물로부터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를 선별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색 고분자는, 하나 이상의 색을 발현하는 이물질에 의해 색상을 띠는 고분자이며, 상기 고분자 혼합물에는 분광측색계를 통해 측정한 색 공간좌표(L* a* b*)를 이차원 좌표(L* X*(X*는 a*와 b*값 각각을 제곱하여 합한 것에 대한 제곱근))로 변환했을 때, 좌표 값 L*는 60 이상, X*는 50 이하를 만족하는 고분자는 제외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고분자 혼합물로부터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를 선별하는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탈색 과정은 70 내지 200℃의 범위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고분자 혼합물로부터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를 선별하는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탈색된 고분자의 색 공간좌표(L* a* b*)를 이차원 좌표(L* X*(X*는 a*와 b*값 각각을 제곱하여 합한 것에 대한 제곱근))로 변환했을 때, 좌표 값 L*는 60 이상, X*는 50 이하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고분자 혼합물로부터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를 선별하는 방법.
  8.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와 이와 다른 종류의 고분자가 혼합된 고분자 혼합물로부터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를 선별하는 방법으로써,
    (i)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와 이와 다른 종류의 고분자가 혼합된 고분자 혼합물에 색을 발현하는 이물질을 접촉시켜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한 고분자만 선택적으로 염색하는 단계;
    (ⅱ) 상기 (i) 단계 후의 혼합물에서 색차이를 이용하여 무색 고분자는 상기 고분자 혼합물로부터 제외하는 단계;
    (ⅲ) 상기 (ⅱ)단계 후의 혼합물을 색을 발현하는 이물질을 추출하는 추출제와 접촉시켜 선택적으로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유색 고분자만을 탈색하는 단계;
    (ⅳ) 상기 탈색된 고분자와 탈색되지 않은 고분자를 색차이를 이용하여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고분자 혼합물로부터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를 선별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ⅱ)단계에서는 색 공간좌표(L* a* b*)를 이차원 좌표(L* X*(X*는 각 a* b* 값의 제곱의 합의 제곱근))로 변환했을 때 좌표 값 L*는 60 이상, X*는 50 이하를 만족하는 것을 만족하는 고분자를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고분자 혼합물로부터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를 선별하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ⅳ)단계에서 탈색된 고분자의 색 공간좌표(L* a* b*)를 이차원 좌표(L* X*(X*는 a*와 b*값 각각을 제곱하여 합한 것에 대한 제곱근))로 변환했을 때, 좌표 값 L* 60 이상, X*는 50 이하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고분자 혼합물로부터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를 선별하는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i)단계에서 염색은 상기 (ⅲ)단계에서 얻어진 색을 발현하는 이물질이 용출되어 혼합된 폐 추출제 용액을 회수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고분자 혼합물로부터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를 선별하는 방법.
KR1020220042857A 2022-04-06 2022-04-06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와 이와 다른 종류의 고분자가 혼합된 고분자 혼합물로부터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의 선별 방법 KR102418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2857A KR102418787B1 (ko) 2022-04-06 2022-04-06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와 이와 다른 종류의 고분자가 혼합된 고분자 혼합물로부터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의 선별 방법
PCT/KR2023/004653 WO2023195794A1 (ko) 2022-04-06 2023-04-06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와 이와 다른 종류의 고분자가 혼합된 고분자 혼합물로부터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의 선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2857A KR102418787B1 (ko) 2022-04-06 2022-04-06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와 이와 다른 종류의 고분자가 혼합된 고분자 혼합물로부터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의 선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8787B1 true KR102418787B1 (ko) 2022-07-11

Family

ID=82396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2857A KR102418787B1 (ko) 2022-04-06 2022-04-06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와 이와 다른 종류의 고분자가 혼합된 고분자 혼합물로부터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의 선별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18787B1 (ko)
WO (1) WO202319579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95794A1 (ko) * 2022-04-06 2023-10-12 한국화학연구원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와 이와 다른 종류의 고분자가 혼합된 고분자 혼합물로부터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의 선별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82801A1 (fr) 2012-06-06 2013-12-12 Fibers Procédé de séparation du polyester et du coton pour le recyclage de déchets textiles
CN104730004A (zh) 2015-03-25 2015-06-24 浙江理工大学 基于紫外漫反射光谱的纺织纤维的鉴别方法
CN107687632A (zh) * 2017-08-22 2018-02-13 杭州锅炉集团股份有限公司 导热油与水蒸汽双介质联产循环流化床锅炉
US20200190280A1 (en) * 2017-06-28 2020-06-18 Shuye Environmental Technology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textile waste into fiber grade polyester chips applicable to textile processing
CN113508153A (zh) * 2019-04-15 2021-10-15 辛特克株式会社 脱色聚酯的制造方法、脱色聚酯以及脱色剂
KR20220037999A (ko) * 2020-09-18 2022-03-25 한국화학연구원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의 해중합 촉매 및 이를 이용한 해중합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218162A1 (en) * 2014-07-24 2017-08-03 Worn Again Footwear And Accessories Limited Recycling process
KR102418787B1 (ko) * 2022-04-06 2022-07-11 한국화학연구원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와 이와 다른 종류의 고분자가 혼합된 고분자 혼합물로부터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의 선별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82801A1 (fr) 2012-06-06 2013-12-12 Fibers Procédé de séparation du polyester et du coton pour le recyclage de déchets textiles
CN104730004A (zh) 2015-03-25 2015-06-24 浙江理工大学 基于紫外漫反射光谱的纺织纤维的鉴别方法
US20200190280A1 (en) * 2017-06-28 2020-06-18 Shuye Environmental Technology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textile waste into fiber grade polyester chips applicable to textile processing
CN107687632A (zh) * 2017-08-22 2018-02-13 杭州锅炉集团股份有限公司 导热油与水蒸汽双介质联产循环流化床锅炉
CN113508153A (zh) * 2019-04-15 2021-10-15 辛特克株式会社 脱色聚酯的制造方法、脱色聚酯以及脱色剂
KR20220037999A (ko) * 2020-09-18 2022-03-25 한국화학연구원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의 해중합 촉매 및 이를 이용한 해중합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infeng Zhou et al. Textile fiber identification using near-infrared spectroscopy and pattern recognition. Autex Research Journal. 2019, 19, 2, 201-209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95794A1 (ko) * 2022-04-06 2023-10-12 한국화학연구원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와 이와 다른 종류의 고분자가 혼합된 고분자 혼합물로부터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의 선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95794A1 (ko) 2023-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5721B1 (ko)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섬유의염색방법및이렇게염색된섬유의용도
JP6659919B1 (ja) 脱色ポリエステルの製造方法、脱色ポリエステルおよび脱色剤
US20210261748A1 (en) Polyester textile waste recycling
TWI481762B (zh) Decolorization of Polyester Fibers Dyed by Dye
KR102418787B1 (ko)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와 이와 다른 종류의 고분자가 혼합된 고분자 혼합물로부터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의 선별 방법
JP7177449B2 (ja) 脱色ポリエステルの製造方法、脱色剤および再生ポリエチレンテレフテレートの製造方法
GB1581953A (en) Method for clear-colouring of linear aromatic polyester
US20210309825A1 (en) Polyester textile waste recycling
Chen et al. Closed-loop utilization of polyester in the textile industry
US20230312451A1 (en) Efficient depolymerization method of polymers comprising ester functional group, and purification method thereof
Yang et al. The effect of metal catalyst on the discoloration of poly (ethylene terephthalate) in thermo-oxidative degradation
KR102622494B1 (ko) 고분자 혼합물로부터 에스테르계 고분자의 화학적 선별 방법
US20230235148A1 (en) Methods for decolorizing colored polymer material and preparing regenerated polymer, and decolorizing solution
EP4317280A1 (en) Extractant and extraction method for removing color-expressing foreign substances from colored polymer containing ester functional group, and method for chemically selecting polymer containing ester functional group from colored polymer mixture
DE2502551A1 (de) Faeden und fasern mit erhoehter anfaerbbarkeit
Nahar et al. A Modified Hydrolysis Method of Decolorizing Reactive‐Dyed Polycotton Waste Fabric and Extraction of Terephthalic Acid: A Perspective to Reduce Textile Solid Waste
KR102522806B1 (ko)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유색 고분자로부터 색을 발현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추출제 및 그 제거방법
KR102664279B1 (ko) 혼합 폐고분자의 화학적 재활용 방법
KR102661077B1 (ko)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와 우레탄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가 혼합된 형태의 폐고분자 소재를 재생하는 방법
US11001961B2 (en) Oxidative method for decolorizing textile materials
KR102642767B1 (ko)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유색 고분자의 친환경적인 탈색 및 해중합 방법
DE2462717C2 (de) Verfahren zur Verbesserung der färberischen Eigenschaften von 1,8-Diphenylmercaptoanthrachinon
DE2063841A1 (de) Film und faserbildende lineare Polyester mit verbessertem Weißton
KR102525747B1 (ko)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의 단량체로부터 색을 발현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추출제 및 이를 이용한 단량체의 정제방법
Intharapichai et al. Relationships between Dyeing Conditions and Dyeability of Extracts from Oil Palm Tre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