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8516B1 - 추락 방지 벨트 - Google Patents

추락 방지 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8516B1
KR102418516B1 KR1020200016160A KR20200016160A KR102418516B1 KR 102418516 B1 KR102418516 B1 KR 102418516B1 KR 1020200016160 A KR1020200016160 A KR 1020200016160A KR 20200016160 A KR20200016160 A KR 20200016160A KR 102418516 B1 KR102418516 B1 KR 102418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wire
belt
fall prevention
lanyard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6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1779A (ko
Inventor
이동운
김대건
윤준영
정세연
고유진
Original Assignee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16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8516B1/ko
Publication of KR20210101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1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8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8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25Details and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75Details of ropes or similar equipment, e.g. between the secured person and the lifeline or ancho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4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incorporating energy absorb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추락 방지 벨트에 관한 것으로서, 건설 안전벨트에 사용하며, 카리비너, 압쇼바, 죔줄, 후크로 구분되는 추락방지 벨트에 있어서, 상기 죔줄이 죔줄의 외측에 결합되며 자바라 형태로 형성된 탄성 외피와; 상기 탄성 외피 내측에 코일 형태로 감겨 길이조정되게 삽입되는 로프와; 상기 탄성 외피 내 일측단부에는 결합되어 타측단부로 연장되는 강선과; 상기 죔줄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강선을 권취시키는 강선 권취장치와; 상기 강선 권취장치를 구동 제어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강선의 권취 제어로 상기 죔줄의 길이를 자동조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고소에서 좁은 작업 환경에 노출된 건설 작업에서 추락방지벨트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작업 중 추락방지벨트와 작업 위치와 길이가 맞지 않아서 작업자의 추락 위험이 고조되는 것을 방지하는 추락 방지 벨트가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추락 방지 벨트{Fall prevention belt}
본 발명은 주로 건설 현장에서 고소 작업시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착용하는 안전벨트의 주요 구성요소인 추락 방지 벨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현장에서는 고소 작업이 빈번하여 추락 등과 같은 안전사고로부터 인명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개인용 안전보호장구를 필수적으로 착용하도록 되어 있다.
특히 안전보호장구 중에서 안전벨트는 고소 작업시 작업자의 작업상태에 중요한 영향을 끼침은 물론이고 추락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있으므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종래의 추락방지용 안전벨트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250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허리고정벨트의 후방으로 한 쌍의 어깨고정밴드가 연결되고 전방으로는 한 쌍의 결속밴드가 연결되어 상체와 허리를 동시에 고정시키고, 한 쌍의 어깨고정밴드를 후방에서 서로 교차시켜 작업자가 안전벨트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한 쌍의 어깨고정밴드 교차부분에 안전로프 등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 및 연결고리를 설치하여 작업자에게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충격력을 분산시키는 구조를 지니고 있다.
또한, 등록특허 10-1149763 '추락방지용 안전벨트'는 허리벨트, 허리벨트에 끼움 결합되며, 내부에 허리패드가 구비되어 있는 허리보호대, 허리보호대에 연결되며, 착용자의 등 전체를 커버하는 등받이커버, 등받이커버에 연결되며, 허리벨트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어깨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추락방지용 안전벨트의 기능성 및 사용성을 보다 향상시키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방식의 안전벨트는 어깨고정밴드의 고정에만 관심을 둔 것으로서, 사용자와 외부 구조물을 연결시키는 추락 방지 벨트의 길이에 의한 사용자의 위험 부담 문제를 소홀히 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즉, 추락 방지 벨트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고소에서 좁은 작업 환경에 노출된 사람인데, 안전을 위한 추락 방지 벨트가 작업 위치와 길이가 맞지 않으면, 작업자의 작업 동작이 작업자를 당기는 힘으로 작용하여 작업자의 추락 위험을 고조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10-1149763 '추락방지용 안전벨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2505호 '산업용 안전벨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소에서 좁은 작업 환경에 노출된 건설 작업에서 추락방지벨트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작업 중 추락방지벨트와 작업 위치와 길이가 맞지 않아서 작업자의 추락 위험이 고조되는 것을 방지하는 추락 방지 벨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설 안전벨트에 사용하며, 카리비너, 압쇼바, 죔줄, 후크로 구분되는 추락방지 벨트에 있어서, 상기 죔줄이 죔줄의 외측에 결합되며 자바라 형태로 형성된 탄성 외피와; 상기 탄성 외피 내측에 코일 형태로 감겨 길이 조정되게 삽입되며, 상기 탄성 외피 내 일측 단부와 결합되는 로프와; 상기 탄성 외피 내 일측단부에 결합되어 타측단부로 연장되는 강선과; 상기 죔줄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강선을 권취시키는 강선 권취장치와; 상기 강선 권취장치를 구동 제어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강선의 권취 제어로 상기 죔줄의 길이를 자동조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 방지 벨트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스마트폰과 단거리 무선 통신 또는 전화통신의 방법으로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제어부 구동용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된 스마트폰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사용자가 스마트폰으로 상기 제어부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죔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 방지 벨트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 구동용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외부 카메라와 정보 연동되는 콘텐츠가 포함되어 작업 장소의 현장 카메라로 작업자의 상태사진을 발송하면 이를 디스플레이시켜 작업자가 자신의 죔줄 상태를 확인하면서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 방지 벨트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여, 고소에서 좁은 작업 환경에 노출된 건설 작업에서 추락방지벨트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작업 중 추락방지벨트와 작업 위치와 길이가 맞지 않아서 작업자의 추락 위험이 고조되는 것을 방지하는 추락 방지 벨트가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조도
도 2는 종래기술방식의 추락 방지 벨트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의 도 1은 본 발명의 구조도이며, 도 2는 종래기술방식의 추락 방지 벨트이다.
본 발명은 건설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추락 방지 벨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추락 방지 벨트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라비너(10), 압쇼바(20), 죔줄(30), 후크(40)로 구분된다.
상기 카라비너(10)와 후크(40)는 체결을 위한 갈고리로서 신체와 결합시키는 카라비너(10), 외부 구조물과 결합시키는 후크(40)로 구분되며, 압쇼바(20)는 추락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안전장치이고, 상기 죔줄(30)은 통상 로프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죔줄의 구조를 변경시키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탄성 외피(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죔줄(30')의 외측에 결합되며 자바라 형태로 형성된 외피부이다.
상기 탄성 외피(300) 내부에는 기존의 죔줄을 형성시키는 로프(310)가 코일 형태로 감기면서 내장되어 길이 변형이 가능하게 삽입된다.
또한, 상기 로프(310)는 상기 탄성 외피(300)와 함께 수축 신장이 연동되게 상기 탄성 외피(300) 내 일측 단부와 결합된다.
본 발명의 강선(330)은 상기 탄성 외피(300) 내 일측단부에는 결합되어 타측단부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강선(330)은 하나 이상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런 경우에는 탄성 외피(300)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 부분에서는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결합되고, 타측부로 연장되는 부분에는 하나로 모아져 후술하는 강선 권취장치(340)에 일체로 권취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강선(330)은 코일 형태로 내장된 로프(310)의 코일 중심축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지만, 로프(310)와 탄성 외피(300)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강선 권취장치(340)는 본 발명의 죔줄(30')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강선(330)을 권취시키는 엑츄에이터 부분이다.
상기 강선 권취장치(340)는 추락 방지 벨트를 고정시키는 외부 구조물에 고정설치된다.
본 발명의 제어부(350)는 상기 강선 권취장치(340)를 구동 제어시키는 회로부로서, 스마트폰(360)과 단거리 무선 통신 또는 전화통신의 방법으로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350)를 구동시키는 스마트폰(360)은 상기 제어부 구동용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되어 사용자가 스마트폰(360)으로 상기 강선 권취장치(340)를 조정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은, 추락방지용 안전벨트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안전벨트를 착용하고, 상기 추락 방지 ?覺?로 신체와 외부 구조물을 연결시켜 사용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고층에서 난간에 의지하여 작업하는 경우에 상기 죔줄(30)의 길이가 작업자의 위치나 고도와 달라서 위험한 환경에 노출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스마트폰(360)을 사용하여 죔줄(30')의 길이를 조정하여 안전 환경으로 만들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 구동용 전용 어플리케이션에는 외부 카메라와 정보 연동되는 콘텐츠를 포함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작업 장소의 현장 카메라로 작업자의 상태사진을 발송하면 이를 스마트폰(360)에 디스플레이시켜 작업자가 자신의 죔줄 상태, 위치, 고도등과 같은 작업 환경을 확인하면서 조정할 수 있으므로, 상기 스마트폰(360)에 의한 강선의 권취 제어로 상기 죔줄(30')의 길이를 자동 조절시키는 것을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고소에서 좁은 작업 환경에 노출된 건설 작업에서 추락방지벨트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작업 중 추락방지벨트와 작업 위치와 길이가 맞지 않으면, 스마트폰으로 이를 조정하여 작업자의 추락 위험이 고조되는 것을 미리 방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강선(330)이 죔줄(30')에 더 포함됨에 따라 죔줄(30')의 강도를 더 보강하게 되어 작업자의 안정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도시된 도면은 본 발명이 구체화되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가 실현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조합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 카라비너
20 : 압쇼바
30 : 죔줄
40 : 후크
30' : 본 발명의 죔줄
300 : 탄성 외피
310 : 로프
330 : 강선
340 : 강선 권취장치
360 : 스마트폰

Claims (3)

  1. 건설 안전벨트에 사용하며, 카리비너, 압쇼바, 죔줄, 후크로 구분되는 추락방지 벨트에 있어서,
    상기 죔줄은,
    외측에 결합되며 자바라 형태로 형성된 탄성 외피와; 상기 탄성 외피 내측에 코일 형태로 감겨 길이 조정되게 삽입되며, 상기 탄성 외피 내 일측 단부와 결합되는 로프와; 상기 탄성 외피 내 일측단부에 결합되어 타측단부로 연장되는 강선과; 상기 죔줄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강선을 권취시키는 강선 권취장치와; 제어부 구동용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된 스마트폰을 포함하고, 상기 강선 권취장치를 구동 제어시켜 상기 죔줄의 길이를 자동조절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 구동용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외부 카메라와 정보 연동되는 콘텐츠가 포함되어, 작업 장소의 현장 카메라로 작업자의 상태사진을 발송하면 이를 디스플레이시켜 작업자가 자신의 죔줄 상태를 확인하면서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 방지 벨트.
  2. 삭제
  3. 삭제
KR1020200016160A 2020-02-11 2020-02-11 추락 방지 벨트 KR102418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160A KR102418516B1 (ko) 2020-02-11 2020-02-11 추락 방지 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160A KR102418516B1 (ko) 2020-02-11 2020-02-11 추락 방지 벨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1779A KR20210101779A (ko) 2021-08-19
KR102418516B1 true KR102418516B1 (ko) 2022-07-06

Family

ID=77492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6160A KR102418516B1 (ko) 2020-02-11 2020-02-11 추락 방지 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85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7524B1 (ko) 2022-06-21 2023-02-08 장봉재 고소 작업자 추락방지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5411A (ja) * 2003-09-25 2005-04-14 Kuraray Co Ltd 衝撃吸収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安全帯用ロープ
KR101766530B1 (ko) * 2015-08-12 2017-08-09 주식회사 포스코 작업자 긴급탈출장치
KR101970101B1 (ko) * 2018-02-14 2019-04-17 손영옥 무대 기계 제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2505Y1 (ko) 2004-03-18 2004-06-04 주식회사 성안세이브 산업용 안전벨트
KR101149763B1 (ko) 2010-02-12 2012-06-01 주식회사 코브 인터내셔날 추락방지용 안전벨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5411A (ja) * 2003-09-25 2005-04-14 Kuraray Co Ltd 衝撃吸収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安全帯用ロープ
KR101766530B1 (ko) * 2015-08-12 2017-08-09 주식회사 포스코 작업자 긴급탈출장치
KR101970101B1 (ko) * 2018-02-14 2019-04-17 손영옥 무대 기계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1779A (ko) 2021-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89838B1 (en) Full body harness
KR102418516B1 (ko) 추락 방지 벨트
EP3824956B1 (en) Apparatuses for providing fall protection systems
KR100626420B1 (ko) 고소작업용 충격흡수 안전벨트
US20130175118A1 (en) DS-001 Full-Body Safety Harness
KR101149763B1 (ko) 추락방지용 안전벨트
CA2726066C (en) Kit and method for emergency descent from a height
CA2177119C (en) Personal safety device
US20170128755A1 (en) Firefighter Breathing Apparatus Pack With Integrated Rescue Equipment
CN211751942U (zh) 一种建筑施工人员安全保护装置
CN206852948U8 (zh) 一种保护腰背的安全带
CN212416703U (zh) 一种背包式缓降逃生装置
JP2020195518A (ja) ランヤード
CN111450428A (zh) 一种背包式缓降逃生装置
US9844689B2 (en) Safety restraint system for an elevated worker's bucket
KR102428779B1 (ko) 추락 방지용 안전대
KR101450173B1 (ko) 인명 구조용 안전벨트
KR20040052946A (ko) 송전 철탑의 추락방지용 안전대
JP6864355B2 (ja) ハーネス型安全帯
JP3142686U (ja) 安全帯を一体化した作業服
US20190022430A1 (en) Firefighter Self Contained Breathing Apparatus (SCBA) Pack With Integrated Rescue Equipment
KR20190133980A (ko) 자립형 길이조절기능 안전대
JP7199130B1 (ja) 墜落制止用器具
JPH11104257A (ja) ハーネス型安全帯
CN220159075U (zh) 五点式安全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