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7409B1 - 후륜 2차축 현가장치 - Google Patents

후륜 2차축 현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7409B1
KR102417409B1 KR1020160170717A KR20160170717A KR102417409B1 KR 102417409 B1 KR102417409 B1 KR 102417409B1 KR 1020160170717 A KR1020160170717 A KR 1020160170717A KR 20160170717 A KR20160170717 A KR 20160170717A KR 102417409 B1 KR102417409 B1 KR 102417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le
bracket
mounting bracket
rubber bushing
leaf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0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8745A (ko
Inventor
손태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0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7409B1/ko
Publication of KR20180068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8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7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7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5/0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et of tandem wheels or axles having interrelated movements
    • B60G5/04Resilient suspensions for a set of tandem wheels or axles having interrelated movements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the movements of which are resiliently interrelated, e.g. the arms being rigid
    • B60G5/053Resilient suspensions for a set of tandem wheels or axles having interrelated movements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the movements of which are resiliently interrelated, e.g. the arms being rigid a leafspring being used as equilibration unit between two axle-supporting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012Hollow or tubula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40Constructional features of dampers and/or springs
    • B60G2206/42Springs
    • B60G2206/428Leaf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B60G2206/73Rubber; Elasto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7Joining by scre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05Attitu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륜 2차축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판 스프링을 이용하여 액슬 자세를 유지함으로써, 액슬 자세를 유지시키기 위한 기존의 구조물인 브이(V)암 어셈블리 및 러버 스프링을 삭제하여 단순한 구조만으로 구성되는 후륜 2차축 현가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후륜 2차축 현가장치{A suspension for a double axle of a rear wheel}
본 발명은 후륜 2차축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판 스프링을 이용하여 액슬 자세를 유지함으로써, 액슬 자세를 유지시키기 위한 기존의 구조물인 브이(V)암 어셈블리 및 러버 스프링을 삭제하여 단순한 구조만으로 구성되는 후륜 2차축 현가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덤프트럭과 같은 대형트럭은 비포장 험로 주행을 위해 후륜에 2개의 축이 적용되어 동일한 하중을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후륜 2축을 갖는 대형트럭의 후륜 현가장치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 프레임(미도시)에 트러니언 샤프트(2)를 갖는 트러니언 베이스(4)가 장착되고, 상기 트러니언 샤프트(2) 상에는 하부섀들(6)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부섀들(6)은 상부섀들(8)과 함께 다판의 리프스프링(10) 중앙부를 유볼트(12)로 체결하여 고정하고, 상기 리프스프링(10)의 양단은 각각 러버스프링(14)의 상단에 연결되며, 상기 러버스프링(14)의 하단은 각각 후륜측 프론트 액슬(16)과 리어 액슬(18)의 하우징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후륜측 프론트 액슬(16)과 리어 액슬(18)의 양단은 각각 래디어스 로드(radius rod)(20)를 통해 상기 트러니언 베이스(4)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회전이 방지되는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후륜측 프론트 액슬(16)과 리어 액슬(18)의 각 중앙 상부는 각각 브이(V)암(22)을 통해 상기 트러니언 베이스(4)의 내면 상측에 연결되어 회전이 방지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러버스프링(14)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틸(steel)로 된 상부플레이트(14a)와 마운팅플레이트(14b) 사이에 러버(14c)가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러버스프링(14)의 인장변위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러버스프링(14)은 프론트 액슬(16)과 리어 액슬(18)의 상하방향 움직임 및 리프스프링(10)의 회전 운동시에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충격과 진동을 흡수하고, 또한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러버스프링(14)은 상부플레이트(14a)와 마운팅플레이트(14b)의 간격이 멀어지는 인장변위시 러버(14c)만이 인장력을 흡수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러버(14c)의 내구성이 쉽게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비포장 도로의 여건에 따라 프론트 액슬(16)과 리어 액슬(18)이 동시에 상승 및 하강하지 않고 어느 하나만이 상승 및 하강하여 상기 프론트 액슬(16)과 리어 액슬(18)의 높이에 편차가 발생할 경우, 종래의 러버스프링(14)은 리프스프링(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리프스프링(10)과 결합된 상부플레이트(14a)는 한쪽으로 기울어지고 액슬과 결합된 마운팅플레이트(14b)는 평형 상태를 유지하는 이른바 상부와 하부가 비평형 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와 같이 러버스프링(14)의 상하부가 비평형 상태를 이루게 되면, 상기 러버스프링(14)의 한쪽에는 압축력이 작용하고 반대쪽에는 인장력이 작용하며, 또한 압축되는 방향으로 전단력이 작용하게 되는 바, 상기와 같은 전단력은 러버스프링(14)이 받는 스트레스(stress)를 가중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러버스프링(14)은 내구성이 급격히 저하되어 결국 러버(14c)의 접합부에서 크랙(crack)이 발생하고 심한 경우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 베이스 별로 프로펠러 샤프트(24) 정렬각이 달라지고 따라서 브이(V)암(22) 이나 래디어스 로드(20) 장착 위치와 액슬 각도가 달라져야 하기 때문에 휠 베이스의 사양 별 관리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0635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판 스프링을 이용하여 액슬 자세를 유지함으로써, 액슬 자세를 유지시키기 위한 기존의 구조물인 브이(V)암 어셈블리 및 러버 스프링을 삭제하여 재료비용을 절감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문제 유발 부품을 축소하여 필드 클레임 건수를 개선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액슬 각도를 변경할 수 있는 구조를 적용하여 다양한 휠 베이스(wheel base)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액슬 사양을 대폭 단순화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후륜 2차축 현가장치에 있어서,
차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위치하며, 프런트 액슬 하우징의 일단과 리어 액슬 하우징의 일단을 연결하고, 프런트 액슬 하우징의 타단과 리어 액슬 하우징의 타단을 연결하는 판 스프링 자체로 액슬 하우징의 자세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런트 액슬 하우징의 양단과 리어 액슬 하우징의 양단에 각각 고정 결합되는 액슬 브라켓, 액슬 브라켓의 상면에 볼트 결합되는 마운팅 브라켓, 마운팅 브라켓에 고정되며 가장 하단에 위치하는 판 스프링의 양단부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러버 부싱을 감싸면서 아이(eye)부가 형성되는 판 스프링, 아이부의 내주면에 강제 압입되어 고정되는 외철 파이프, 외철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외철 파이프의 내부에 위치하는 러버 부싱(rubber busing)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액슬 브라켓은 하측으로 개방된 'ㄷ'형상으로, 내측의 양측면이 액슬 하우징의 외측면과 맞닿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액슬 브라켓의 상면 중앙부에는 액슬 브라켓 상면의 양단부와 중앙부의 단차가 서로 다르도록 판 스프링과 평행하는 방향의 단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운팅 브라켓은,
하면이 액슬 브라켓 양단부의 상면과 길이 방향으로 맞닿도록 위치하는 막대 형상의 수평부와, 수평부와 수직이 되도록 수평부의 상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수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평부에는 수직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볼트가 삽입되는 볼트결합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액슬 브라켓의 양단부 상면에는 마운팅 브라켓의 볼트결합홀을 관통한 볼트가 삽입되는 볼트홀이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운팅 브라켓의 볼트결합홀을 관통한 볼트가 삽입되는 볼트홀의 위치에 따라 액슬 하우징의 액슬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러버 부싱의 길이는 판 스프링의 너비보다 길게 형성되어 러버 부싱의 양단이 판 스프링의 아이부 양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이부의 양측으로 돌출된 러버 부싱의 양단 중 차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러버 부싱의 단부는 마운팅 브라켓의 수직부에 볼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러버 부싱이 마운팅 브라켓의 전방 측에 장착될 때 러버 부싱과 마운팅 브라켓 사이에는 심(shim)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심의 두께에 따라 액슬 하우징의 액슬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브이(V)암 어셈블리 및 러버 스프링을 삭제함으로써 재료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문제 유발 부품의 축소로 필드 클레임 건수를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액슬 각도를 변경할 수 있는 구조를 적용하여 다양한 휠 베이스(wheel base)에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액슬의 사양을 대폭 단순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대형 트럭 후륜 현가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러퍼스프링의 단면도.
도 3은 휠 베이스 사양에 따른 액슬 각도.
도 4는 본 발명의 후륜 현가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마운팅부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의 러버 부싱과 마운팅 브라켓의 결합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의 러버 부싱이 마운팅 브라켓의 전방 측에 결합 시 상세도.
도 8은 도 7의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러버 부싱이 마운팅 브라켓의 후방 측에 결합 시 상세도.
도 10은 도 9의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후륜 현가장치의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아이부 상세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은 후륜 2차축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판 스프링을 이용하여 액슬 자세를 유지함으로써, 액슬 자세를 유지시키기 위한 기존의 구조물인 브이(V)암 어셈블리 및 러버 스프링을 삭제하여 단순한 구조만으로 구성되는 후륜 2차축 현가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후륜 현가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5는 본 발명의 마운팅부 상세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6은 본 발명의 러버 부싱과 마운팅 브라켓의 결합 상세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7은 본 발명의 러버 부싱이 마운팅 브라켓의 전방 측에 결합 시 상세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8은 도 7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9는 본 발명의 러버 부싱이 마운팅 브라켓의 후방 측에 결합 시 상세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10은 도 9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11은 본 발명의 후륜 현가장치의 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12는 본 발명의 아이부 상세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후륜 2차축 현가장치는, 프런트 액슬 하우징(30)의 양단과 리어 액슬 하우징(62)의 양단에 각각 고정 결합되는 액슬 브라켓(32)과, 상기 액슬 브라켓(32)의 상면에 볼트 결합되는 마운팅 브라켓(42)과, 상기 마운팅 브라켓(42)에 고정되며, 가장 하단에 위치하는 판 스프링(50)의 양단부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러버 부싱(56)을 감싸면서 아이(eye)부(52)를 형성하는 판 스프링(50)과, 상기 아이부(52)의 내주면에 강제 압입되어 고정되는 외철 파이프(54)와, 상기 외철 파이프(54)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외철 파이프(54)의 내부에 위치하는 러버 부싱(rubber busing) (5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판 스프링(50)은 차축과 평행하는 방향으로 위치하게 되는 것으로, 프런트 액슬 하우징(30)의 일단과 리어 액슬 하우징(62)의 일단, 프런트 액슬 하우징(30)의 타단과 리어 액슬 하우징(62)의 타단을 연결하게 된다.
상기 프런트 액슬 하우징(30)과 상기 리어 액슬 하우징(62)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기 액슬 브라켓(32)은 하측으로 개방된 'ㄷ'형상이며, 내측의 양측면(36)이 상기 액슬 하우징(30, 62)의 외측면과 맞닿도록 결합된다. 상기 액슬 하우징(30, 62)과 상기 액슬 브라켓(32)은 볼트 결합 또는 용접으로 인하여 결합되어진다.
상기 액슬 브라켓(32)의 상면 중앙부에는 단차부(40)가 형성된다. 상기 단차부(40)는 상기 판 스프링(50)과 평행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단차부(40)에 의해 상기 액슬 브라켓(32) 상면의 양단부(38)와 중앙부의 단차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액슬 브라켓(32) 상면의 양단부(38)와 상기 액슬 브라켓(32)의 양측면(36)은 서로 수직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마운팅 브라켓(42)은 수직부(46)와 수평부(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평부(44)는 막대 형상인 것으로, 하면이 상기 액슬 브라켓(32) 양단부의 상면과 길이 방향으로 맞닿도록 위치하게 된다.
상기 수직부(46)는 상기 수평부(44)의 양단 중 차량의 내측과 더 가까운 측의 일단과 더 가깝게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수평부(44)와 수직이 되도록 상기 수평부(44)의 상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수평부(44)에는 상기 수직부(46)를 기준으로 양측에 볼트결합홀(48)이 형성되어 상기 액슬 브라켓(32)과의 결합을 위한 볼트가 끼워지게 된다.
상기 볼트결합홀(48)을 관통한 상기 볼트는 상기 액슬 브라켓(32)의 양단부(38) 상면에 형성된 볼트홀(34)에 삽입되어 상기 마운팅 브라켓(42)과 상기 액슬 브라켓(32)을 결합시키게 된다.
상기 액슬 브라켓(32)의 양단부(38) 상면에 형성되는 상기 볼트홀(34)은 상기 액슬 브라켓(32) 양단부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된다.
상기 마운팅 브라켓(42)의 볼트결합홀(48)을 관통한 볼트가 삽입되는 상기 볼트홀(34)의 위치에 따라 상기 액슬 하우징(30, 62)의 액슬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면상 상기 마운팅 브라켓(42)의 볼트결합홀(48)이 상기 액슬 브라켓(32)의 양단부(38) 상면에서 전방측으로부터 두번째에 형성된 상기 볼트홀(34)과 결합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상기 볼트결합홀(48)을 상기 액슬 브라켓(32)의 양단부(38) 상면에서 전방측으로부터 첫번째에 형성된 상기 볼트홀(34)과 결합하도록 구조를 변경하게 되면 상기 액슬 하우징(30, 62)의 액슬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판 스프링(50)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다수 개의 판 스프링이 서로 같은 중심선을 갖도록 쌓아 올려진 형상으로,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갈수록 축방향 길이가 길어지도록 구성된다.
다수 개의 상기 판 스프링(50) 중 가장 하층에 위치하는 상기 판 스프링(50)에 형성되는 상기 아이부(52)의 내부에는 상기 외철 파이프(54)가 삽입되어지고, 상기 외철 파이프(54)의 내부에는 고무가 가류(58)어 있어, 상기 가류된 고무(58)에 의해 상기 외철 파이프(54)와 상기 외철 파이프(54)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러버 부싱(56)이 결합되어진다.
상기 외철 파이프(54)의 축방향 길이는 상기 판 스프링(50)의 너비와 같으며, 상기 외철 파이프(54)의 내부에 위치하는 러버 부싱(56)은 상기 판 스프링(50)의 너비보다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러버 부싱(56)의 양단은 상기 아이부(52)의 양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진다.
상기 아이부(52)의 양측으로 돌출된 상기 러버 부싱(56)의 양단 중 상기 차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러버 부싱(56)의 단부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42)의 수직부(46)에 볼트 결합되어진다.
상기 러버 부싱(56)과 상기 마운팅 브라켓(42)의 수직부(46)를 결합시키는 상기 볼트는 상기 판 스프링(50)과 평행하는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러버 부싱(56)과 상기 마운팅 브라켓(42)의 수직부(46)를 결합시키게 된다.
상기 러버 부싱(56)은 차체의 전방과 후방을 기준으로 상기 마운팅 브라켓(42)의 전방 또는 후방 측에 장착되어진다.
상기 러버 부싱(56)이 상기 마운팅 브라켓(42)의 전방 측에 장착될 때는 상기 러버 부싱(56)과 상기 마운팅 브라켓(42) 사이에 심(shim) (60)이 끼워질 수 있으며, 상기 심(60)의 두께에 따라 상기 액슬 하우징(30, 62)의 액슬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7 및 도 8에는 본 발명의 현가장치가 Short wheel base 차량에 적용되었을 때의 액슬 각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 및 도 10에는 본 발명의 현가장치가 Long wheel base 차량에 적용되었을 때의 액슬 각도가 도시되어 있다.
Short wheel base 차량에 적용될 때는 상기 러버 부싱(56)을 상기 마운팅 브라켓(42)의 전방 측에 장착하고, Long wheel base 차량에 적용될 때는 상기 러버 부싱(56)을 상기 마운팅 브라켓(42)의 후방 측에 장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wheel base의 종류에 따라 상기 러버 부싱(56)의 위치를 변경하여 장착함으로써 액슬 각도를 비교적 크게 변화시킬 수 있으며, 상기 심(60)을 추가 및 삭제함으로써 액슬 각도를 비교적 미세하게 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현가장치는 기존의 트러니언(trunnuon) 타입의 현가장치에서 액슬 자세를 유지시키기 위한 구조물인 브이(V)암(22) 어셈블리 및 러버스프링(14)을 삭제하여 현가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한 것으로, 본 발명의 판 스프링(50) 자체가 기존의 브이(V)암(22) 어셈블리의 역할을 대체하여 4절 링크에서 어퍼 링크(upper link)의 기능을 하게 되고, 로워 래디어스 로드(64)가 로워 링크(lower link)의 역할을 함으로써 액슬의 자세를 유지시키고 궤적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판 스프링(50) 자체가 링크의 역할을 함으로써, 기존의 궤적차이를 흡수하는 러버스프링(14)이 불필요하게 되고, 기존의 차량 횡력을 지지하던 브이(V)암(22) 어셈블리와 같은 별도의 부품이 불필요하게 되어 단순한 구조만으로도 액슬 하우징(30, 62)의 자세를 유지시키고 궤적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현가장치는 재료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문제를 유발시키던 부품의 삭제로 필드 클레임 건수를 개선시킬 수 있고, 액슬 각도를 변경할 수 있는 구조가 적용되어 다양한 휠 베이스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액슬 사양을 대폭 단순화 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후륜 2차축 현가장치의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2 : 종래의 트러니언 샤프트
4 : 종래의 트러니언 베이스
6 : 종래의 하부섀들
8 : 종래의 상부섀들
10 : 종래의 리프스프링
12 : 종래의 유볼트
14 : 종래의 러버스프링
14a : 종래의 상부플레이트
14b : 종래의 마운팅플레이트
14c : 종래의 러버
16 : 종래의 프론트 액슬
18 : 종래의 리어 액슬
20 : 종래의 래디어스 로드
22 : 종래의 브이(V)암
24 : 종래의 프로펠러 샤프트
30 : 프런트 액슬 하우징
32 : 액슬(axle) 브라켓
34 : 볼트홀
36 : 양측부
38 : 양단부
40 : 단차부
42 : 마운팅 브라켓
44 : 수평부
46 : 수직부
48 : 볼트결합홀
50 : 판 스프링
52 : 아이(eye)부
54 : 외철 파이프
56 : 러버 부싱
58 : 고무 가류
60 : 심(shim)
62 : 리어 액슬 하우징
64 : 로워 래디어스 로드

Claims (12)

  1. 후륜 2차축 현가장치에 있어서,
    차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위치하며, 프런트 액슬 하우징의 일단과 리어 액슬 하우징의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프런트 액슬 하우징의 타단과 상기 리어 액슬 하우징의 타단을 연결하는 판 스프링 자체로 액슬 하우징의 자세를 유지하고
    상기 프런트 액슬 하우징의 양단과 상기 리어 액슬 하우징의 양단에 각각 고정 결합되는 액슬 브라켓; 및
    상기 액슬 브라켓의 상면에 볼트 결합되는 마운팅 브라켓; 을 포함하며
    상기 판 스프링은, 상기 마운팅 브라켓에 고정되고 가장 하단에 위치하는 상기 판 스프링의 양단부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러버 부싱을 감싸면서 아이(eye)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륜 2차축 현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부의 내주면에 강제 압입되어 고정되는 외철 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러버 부싱은 상기 외철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외철 파이프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륜 2차축 현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슬 브라켓은 하측으로 개방된 'ㄷ'형상으로, 내측의 양측면이 상기 액슬 하우징의 외측면과 맞닿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륜 2차축 현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액슬 브라켓의 상면 중앙부에는 상기 액슬 브라켓 상면의 양단부와 중앙부의 단차가 서로 다르도록 상기 판 스프링과 평행하는 방향의 단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륜 2차축 현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브라켓은,
    하면이 상기 액슬 브라켓 양단부의 상면과 길이 방향으로 맞닿도록 위치하는 막대 형상의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와 수직이 되도록 상기 수평부의 상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수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륜 2차축 현가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에는 상기 수직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볼트가 삽입되는 볼트결합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륜 2차축 현가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액슬 브라켓의 양단부 상면에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의 볼트결합홀을 관통한 볼트가 삽입되는 볼트홀이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륜 2차축 현가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브라켓의 볼트결합홀을 관통한 볼트가 삽입되는 상기 볼트홀의 위치에 따라 상기 액슬 하우징의 액슬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륜 2차축 현가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러버 부싱의 길이는 상기 판 스프링의 너비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러버 부싱의 양단이 상기 판 스프링의 아이부 양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륜 2차축 현가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부의 양측으로 돌출된 상기 러버 부싱의 양단 중 차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러버 부싱의 단부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의 수직부에 볼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륜 2차축 현가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러버 부싱이 상기 마운팅 브라켓의 전방 측에 장착될 때 상기 러버 부싱과 상기 마운팅 브라켓 사이에는 심(shim)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륜 2차축 현가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심의 두께에 따라 상기 액슬 하우징의 액슬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륜 2차축 현가장치.

KR1020160170717A 2016-12-14 2016-12-14 후륜 2차축 현가장치 KR102417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0717A KR102417409B1 (ko) 2016-12-14 2016-12-14 후륜 2차축 현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0717A KR102417409B1 (ko) 2016-12-14 2016-12-14 후륜 2차축 현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745A KR20180068745A (ko) 2018-06-22
KR102417409B1 true KR102417409B1 (ko) 2022-07-06

Family

ID=62768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0717A KR102417409B1 (ko) 2016-12-14 2016-12-14 후륜 2차축 현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7409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7511U (ja) * 1991-10-28 1993-05-21 日産デイーゼル工業株式会社 2軸タンデムサスペンシヨン装置
JPH08108719A (ja) * 1994-10-13 1996-04-30 Sukeyuki Nagashima 車軸式懸架装置
JPH10278605A (ja) * 1997-03-31 1998-10-20 Hino Motors Ltd アクスルハウジング装置
KR19990031164U (ko) * 1997-12-30 1999-07-26 정몽규 리프스프링 장착구조
KR100552772B1 (ko) * 2004-05-18 2006-02-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탠덤식 현가 장치의 리프 스프링 지지 구조
KR100706358B1 (ko) 2005-06-30 2007-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럭의 후륜 2차축 현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745A (ko) 2018-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66563B (zh) 用于车辆的稳定器杆
US8210508B2 (en) Bump stopper for suspension system
JP4404849B2 (ja) ブッシュ
US8056912B2 (en) Multi-link suspension device and method for suspending wheels
US10807430B2 (en) Axle/suspension systems
US8459673B2 (en) Track rod
EP1120299B1 (en) Mounting structure for suspension V-Rod
US20180154718A1 (en) Hybrid lower arm
KR102417409B1 (ko) 후륜 2차축 현가장치
CN112566801B (zh) 用于车辆的悬架
JP6276008B2 (ja) 車両用ブッシュおよびシャシフレーム支持構造
US20230234437A1 (en) Apparatus for mounting a front differential to a vehicle chassis
US10882369B2 (en) Longitudinal leaf spring device having bump stop unit
KR102238053B1 (ko) 차량용 멀티링크식 리어 서스펜션
KR102074646B1 (ko) 상용차량의 현가장치
JP7402059B2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及び車両
US20220153079A1 (en) Strut suspension system
KR100535112B1 (ko) 상용차의 전륜현가장치
KR100422835B1 (ko) 자동차용 현가 장치의 판 스프링 조립체
KR200206928Y1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로워 컨트롤 아암
KR20130023557A (ko) 자동차용 트레일링 암의 설치 방법
KR100471825B1 (ko) 자동차의 프런트서스펜션구조
KR20150069840A (ko) 멀티링크식 현가장치
KR101339215B1 (ko) 후륜 현가장치
KR101601319B1 (ko) 대형트럭 후륜 현가장치용 러버스프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