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6358B1 - 트럭의 후륜 2차축 현가장치 - Google Patents

트럭의 후륜 2차축 현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6358B1
KR100706358B1 KR1020050058748A KR20050058748A KR100706358B1 KR 100706358 B1 KR100706358 B1 KR 100706358B1 KR 1020050058748 A KR1020050058748 A KR 1020050058748A KR 20050058748 A KR20050058748 A KR 20050058748A KR 100706358 B1 KR100706358 B1 KR 100706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le
bracket
rear wheel
suspension
leaf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8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3025A (ko
Inventor
이동헌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8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6358B1/ko
Publication of KR20070003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3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6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6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5/0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et of tandem wheels or axles having interrelated movements
    • B60G5/04Resilient suspensions for a set of tandem wheels or axles having interrelated movements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the movements of which are resiliently interrelated, e.g. the arms being rig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1Leaf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G2300/02Trucks; Loa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축과 판 스프링의 접촉 지점을 항상 같게 함으로써 축중 편차를 제거하기 위한 트럭의 후륜 2차축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축의 외주는 원형으로 이루어지게 하고, 상기 차축의 외부에는 원형의 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차축과 브라켓 사이에는 상기 브라켓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부쉬가 삽입 설치되며, 상기 브라켓과 판 스프링 사이에는 스프링 시트가 개재되게 하여서, 축중 편차 해소로 법규를 만족시킴과 동시에 차량에 적재되는 수화물의 양이 증대되고, 타이어의 불균형 마모현상도 발생하지 않으며, 하중이 적게 걸리는 부분에서 발생되는 슬립현상이 줄어들어 구동력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트럭, 차축, 축중 편차, 현가장치

Description

트럭의 후륜 2차축 현가장치{A suspension for a double axle of a rear wheel in a truck}
도 1은 종래의 트럭의 후륜 2차축 현가장치 및 스프링 시트의 형상에 대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럭의 후륜 2차축 현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트럭의 후륜 2차축 현가장치에 사용된 스프링 시트의 형상을 나타낸 개략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트럭의 후륜 2차축 현가장치에 사용된 스프링 시트의 다른 형상을 나타낸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10: 차축 2-1, 10-1: 전방 차축
2-2, 10-2: 후방 차축 3: 판 스프링
4: 트러니언 베이스 5, 6: 상하부 레이디어스 로드
20: 브라켓 30: 부쉬
40: 스프링 시트 50: 로드 부재
본 발명은 트럭의 후륜 2차축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축의 형상과 상기 차축과 판 스프링 사이에 삽설된 스프링 시트의 형상을 변경시켜 차축과 판 스프링의 접촉 지점을 항상 같게 함으로써 축중 편차를 제거할 수 있는 트럭의 후륜 2차축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럭에 사용되는 후륜 2차축 현가장치의 구조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략하게 살펴보면, 차축이 움직일 때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키고 하중을 전달하는 판 스프링(3)과, 차축을 차대에 고정하여서 일정한 괘적을 갖고 움직일 수 있도록 구속하는 상하부 레이디어스 로드(radius rod, 5 및 6)와, 차대를 지지하고 판 스프링(3)의 회전 운동시 회전의 중심이 되는 트러니언 베이스(4)로 구성된다.
종래의 후륜 2차축 현가장치는, 후륜(1)의 차축(2) 사이에 판 스프링(3)이 가로로 걸쳐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3)의 중심에 작용하는 하중(P)을 양선단부를 통해 상기 후륜(1)의 차축(2)을 구성하는 전방 차축(2-1)과 후방 차축(2-2)으로 분산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차축(2)이 하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받으면 상하로 움직이게 되고, 이에 따라서 상하부 레이디어스 로드(5, 6)에 4절 링크 시스템과 같이 구속되어 있으므로 상기 차축(2)은 일정한 괘적을 그리면서 움직이게 된다.
상기 하향 하중을 받아서 이동할 때에 발생되는 진동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구동력을 전달하는 상기 차축(2)의 축이 일정한 각도를 갖게 되고, 또한 상기 하중이 작용하여 발생되는 충격으로 인해 차축(2)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편심된 원형으로 이루어진 스프링 시트(7)가 상기 차축(2)과 판 스프링(3) 사이에 개재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2차축 현가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차축(2)이 상하로 이동할 때에 전방 차축(2-1)과 판 스프링(3)의 접촉지점,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방 차축(2-1)에 고정된 스프링 시트(7)와 판 스프링(3)의 접촉지점이 전방으로 이동되고, 후방 차축(2-2)과 판 스프링(3)의 접촉 지점, 보다 구체적으로는 후방 차축(2-2)에 고정된 스프링 시트(7)와 판 스프링(3)의 접촉지점도 전방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판 스프링(3)과 전방 차축(2-1)에 고정된 스프링 시트(7)와의 접촉 지점과 판 스프링(3)의 중심 사이의 거리 a 는 길어지고, 판 스프링(3)과 후방 차축(2-2)에 고정된 스프링 시트(7)와의 접촉 지점과 판 스프링(3)의 중심 사이의 거리 b 는 짧아진다. 즉, a 길이는 길어지고 b 길이는 짧아져 판 스프링(3)의 중심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 축중 1 및 축중 2 가 받는 힘이 달라 하중의 편차가 발생된다.
상기와 같은 축중 편차가 발생되면 차량의 차축당 10톤으로 규제하고 있는 법규를 위반하게 되어 운전자 또는 차량 소유자는 벌금을 물게 되고, 차량 메이커는 차량 인증을 받지못할 뿐만 아니라 편차가 발생한 만큼 수화물을 싣는 양이 줄어들게 되어 차량의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축의 형상과 상기 차축과 판 스프링 사이에 삽설된 스프링 시트의 형상을 변경시켜 차축과 판 스프링의 접촉 지점을 항상 같게 함으로써 축중 편차를 제거할 수 있는 트럭의 후륜 2차축 현가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트럭의 후륜 2차축 현가장치는, 차축과 판 스프링의 접촉 지점을 항상 같게 함으로써 축중 편차를 제 거하기 위한 트럭의 후륜 2차축 현가장치에 있어서, 차축의 외주는 원형으로 이루어지게 하고, 상기 차축의 외부에는 원형의 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차축과 브라켓 사이에는 상기 브라켓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부쉬가 삽입 설치되며, 상기 브라켓과 판 스프링 사이에는 스프링 시트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트럭의 후륜 2차축 현가장치의 다른 특징으로 살펴보면, 상기 차축의 브라켓과 스프링 시트 사이에는 로드부재가 구비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트럭의 후륜 2차축 현가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럭의 후륜 2차축 현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a 및 3b는 본 발명에 따른 트럭의 후륜 2차축 현가장치에 사용된 스프링 시트의 형상을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트럭의 후륜 2차축 현가장치에 사용된 스프링 시트의 다른 형상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후륜 2차축 현가장치는 차축(10)의 외주(外周)가 원형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상기 차축(10)의 외주를 원형으로 구성한 이유는, 차축(10)이 회전할 때 브라켓(20)이 차축(10)의 회전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판 스프링(3) 바로 아래에 설치되어서 차축(2)의 파손을 방지하는 스프링 시트(40)와 판스프링(3)의 접촉지점이 항상 일정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차축(10)을 원형으로 구성함에 따라서, 그의 외주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브라켓(20)의 외주도 원형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였으며, 이 또한 상기 스프링 시트(40)와의 접촉지점이 항상 일정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차축(10)과 브라켓(20)이 결합될 때, 상기 브라켓(20)이 차축(1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서 그들 사이에 부쉬(30)를 삽입 설치하였다. 따라서, 차축(10)이 회전할 때 브라켓(20)과 스프링 시트(40)도 동시에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접촉 지점이 항상 일정하도록 한 결과, a 길이와 b 길이가 항상 같게 유지되어서 축중 1과 축중 2의 편차는 제거될 수 있다. 여기서 a 길는 판 스프링(3)의 중심과 전방으로 위치하는 스프링 시트(40)와 판 스프링(3)의 접촉지점 사이의 거리이고, b 길이는 판 스프링(3)의 중심과 후방으로 위치하는 스프링 시트(40)와 판 스프링(3)의 접촉지점 사이의 거리로서 종래 기술의 기재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다른 예로서, 축중 편차를 제거하기 위하여 스프링 시트(40)의 구조를 변경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그의 일례로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심 원형이 아닌 정(正) 원형으로 이루어지게 하였다.
상기와 같이 상기 스프링 시트(40)를 정 원형으로 할 경우, 차축(10)의 이동 및 그에 가해진 하중에 따라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길이와 b 길이가 달라지더라도 a:b의 비율은 항상 일정하여 전방 차축(10-1)과 후방 차축(10-2)에 가해지는 하중이 동일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정 원형 형상의 스프링 시트(40)는 주변 부품의 간섭과 적재 중량 증가 등의 요인으로 종종 적용하기 힘든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 시트(40)의 다른 예로서,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축(10)과 판 스프링(3)을 직접 접촉시킨 대신 직각 방향에 로드 부재(50)를 장착한 후 스프링 시트(40)를 회전하도록 한다. 이에 의할 경우 상술한 일례의 방법인 스프링 시트(40)를 정 원형으로 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하였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2차축 현가장치의 작동상태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차량의 적재함에 많은 물건을 적재하여 운행할 경우에는 상기 적재된 물건 뿐만이 아니라 도로 지면의 상황에 따라서 전방 차축(10-1)과 후방 차축(10-2)에 하중이 가해진다.
상기와 같이 전방 차축(10-1)과 후방 차축(10-2)에 가해진 하중은, 상기 차축(10)이 회전함과 동시에 부쉬(30)에 의해 차축(10)과 결합된 브라켓(20)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고, 상기 브라켓(20)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브라켓(20)과 결합된 스프링 시트(40) 또는 로드부재(50)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항상 차축(10)과 판 스프링(3)의 접촉 지점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트럭의 후륜 2차축 현가장치를 이용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전방 차축과 후방 차축의 축중 편차를 해소함으로써 축당 하중을 규제하고 있는 법규를 위반하지 않으면서 많은 수화물을 적재할 수 있어 상품성이 향상된다.
둘째. 전방 차축과 후방 차축의 축중 편차로 인하여 발생되는 타이어의 불균형 마모 현상이 제거된다.
셋째. 전방 차축과 후방 차축의 축중이 동일하므로 축중 편차시 하중이 적게 걸리는 부분에서 발생되는 슬립현상도 줄어들게 되어 구동력이 향상된다.

Claims (3)

  1. 차축과 판 스프링의 접촉 지점을 항상 같게 함으로써 축중 편차를 제거하기 위한 트럭의 후륜 2차축 현가장치에 있어서,
    차축(10)의 외주는 원형으로 이루어지게 하고, 상기 차축(10)의 외부에는 원형의 브라켓(20)이 설치되고, 상기 차축(10)과 브라켓(20) 사이에는 상기 브라켓(2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부쉬(30)가 삽입 설치되며, 상기 브라켓(20)과 판 스프링(3) 사이에는 스프링 시트(40)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후륜 2차축 현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20)과 스프링 시트(40) 사이에는 로드부재(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후륜 2차축 현가장치.
  3. 삭제
KR1020050058748A 2005-06-30 2005-06-30 트럭의 후륜 2차축 현가장치 KR100706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8748A KR100706358B1 (ko) 2005-06-30 2005-06-30 트럭의 후륜 2차축 현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8748A KR100706358B1 (ko) 2005-06-30 2005-06-30 트럭의 후륜 2차축 현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3025A KR20070003025A (ko) 2007-01-05
KR100706358B1 true KR100706358B1 (ko) 2007-04-10

Family

ID=37869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8748A KR100706358B1 (ko) 2005-06-30 2005-06-30 트럭의 후륜 2차축 현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63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8745A (ko) 2016-12-14 2018-06-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후륜 2차축 현가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25479U (ko) * 1989-03-27 1990-10-16
JPH0591916U (ja) * 1992-05-19 1993-12-14 日産ディーゼル工業株式会社 車両のエアサスペンション取付構造
JPH0665161U (ja) * 1993-02-23 1994-09-13 日産ディーゼル工業株式会社 車両の後軸操舵装置
JPH11105527A (ja) 1997-10-06 1999-04-20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用リヤ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20040001660A (ko) * 2002-06-28 2004-0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현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25479U (ko) * 1989-03-27 1990-10-16
JPH0591916U (ja) * 1992-05-19 1993-12-14 日産ディーゼル工業株式会社 車両のエアサスペンション取付構造
JPH0665161U (ja) * 1993-02-23 1994-09-13 日産ディーゼル工業株式会社 車両の後軸操舵装置
JPH11105527A (ja) 1997-10-06 1999-04-20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用リヤ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20040001660A (ko) * 2002-06-28 2004-0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현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8745A (ko) 2016-12-14 2018-06-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후륜 2차축 현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3025A (ko) 2007-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96235B2 (en) Suspension device for in-wheel motor driven wheel
CN102892597B (zh) 运载工具悬架系统
US20080001376A1 (en) Shock absorber
EP3533642B1 (en) Suspension device for vehicles
KR100706358B1 (ko) 트럭의 후륜 2차축 현가장치
CN104989758B (zh) 用于汽车悬架的螺旋弹簧、独立悬架总成及汽车
JP2008201307A (ja) スタビライザ装置
KR100820697B1 (ko) 자동차의 토션 비임 현가장치
KR100369161B1 (ko) 차량의 리어 서스펜션 롤 조정장치
KR20200084235A (ko) 트럭의 보조바퀴 승강장치
KR100482095B1 (ko) 소형트럭의 무게중심 이동장치
KR100398194B1 (ko) 토션바 타입의 트러니언 탠덤 서스펜션
JP2015006825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1601319B1 (ko) 대형트럭 후륜 현가장치용 러버스프링
CN102514623A (zh) 机动车用平衡舵装置
US11009126B2 (en) Control-linkage assembly for a differential of a vehicle and an axle assembly for a vehicle
US20240300274A1 (en) Vehicle height control system
KR0176315B1 (ko) 리프 스프링식 현가 장치의 스프링 지지구조
KR200399491Y1 (ko) 화물차량의 보조 바퀴 구동장치
US20110233888A1 (en) Transverse link for a wheel suspension
Hilgers Suspension
JPH10157436A (ja) 前二軸車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6595294B2 (ja) イコライザ機構付き懸架装置
Zhu et al. Overview introduction of vehicle dynamics with novel planar suspension systems
KR100410749B1 (ko) 대형 트럭의 리프스프링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