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7277B1 -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플랫폼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플랫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7277B1
KR102417277B1 KR1020210143933A KR20210143933A KR102417277B1 KR 102417277 B1 KR102417277 B1 KR 102417277B1 KR 1020210143933 A KR1020210143933 A KR 1020210143933A KR 20210143933 A KR20210143933 A KR 20210143933A KR 102417277 B1 KR102417277 B1 KR 102417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event
screen
name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3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진
전배성
유원식
김지혁
박현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노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노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노시스
Priority to KR1020210143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72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7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7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3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02Monitoring continuously signalling or alarm systems
    • G08B29/04Monitoring of the detection circuits
    • G08B29/043Monitoring of the detection circuits of fire detection circui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guiding along a path, e.g. evacuation path lighting strip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센서에서 생성되는 데이터에 사물 DID 기술을 적용하여, 해당 데이터와 데이터 생성 증명을 기술적으로 입증하여, 지속적으로 생성되는 데이터의 무결성을 실시간으로 검증한다. 또한, 위험구조물에 설치된 센서(기울기센서, 크랙센서, 온도센서, 습도센서, 화재 감지기 등)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상신호 또는 재난을 감지하여 경고신호 및 수치데이터를 발생하고 유선 또는 무선 방식을 통해 서버로 실시간 전송하며, 이렇게 전송된 데이터를 지역별/행정구역별로 통합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관제할 수 있는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플랫폼 시스템은, 구조물의 내부 및/또는 외부에 설치되어 구조물의 기울기와 크랙을 감지하고 온도, 습도, 화재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100); 상기 센서(100)의 신호 또는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수신받아 모니터링하고 관제하는 플랫폼 서버(300); 상기 센서(100)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저장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서버(600); 및 상기 플랫폼 서버(300)에 설치 및 운영되고, 로그인을 통해 메인페이지에 접속하며, 상기 메인페이지 화면에 표시된 지도에서 해당 지역을 클릭하면 해당 지역의 지도에 센서가 설치된 위치정보가 표시되고, 해당 지역의 위험구조물에 설치된 전체 센서의 개수, 각 센서의 종류 및 개수, 실시간 센서별 정상 및 이상 감지 개수, 일일 장애발생건수, 온도, 습도, 화재를 포함한 센서의 정보가 화면에 표시되는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프로그램(31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센서 구입이나 재설치 없이 기존의 센서를 활용하여 적은 비용으로 도입할 수 있고, 재난발생 시 신속하게 대처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플랫폼 시스템{Safety diagnosis platform system of danger structure based on blockchain}
본 발명은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플랫폼(platform)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위험구조물에 설치된 센서(기울기센서, 크랙센서, 온도센서, 습도센서, 화재 감지기 등)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상신호 또는 재난을 감지하여 경고신호 및 수치데이터를 발생하고 유선 또는 무선 방식을 통해 서버로 실시간 전송하며, 이렇게 전송된 데이터를 지역별/행정구역별로 통합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관제할 수 있는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블록체인(Blockchain)은 분산 데이터 저장기술의 한 형태를 의미한다. 지속적으로 변경되는 데이터를 모든 참여 노드에 기록한 변경 리스트로서 분산 노드의 운영자에 의한 임의 조작이 불가능하도록 개발되었다.
즉, 관리대상 데이터를 ‘블록’(소규모 데이터들이 P2P 방식을 기반으로 생성된 체인 형태의 연결고리) 기반 분산 데이터 저장 환경에 저장하여 누구라도 임의로 수정할 수 없고 누구나 변경의 결과를 열람할 수 있는 분산 컴퓨팅 기술 기반의 원장 관리 기술을 의미하며, 대표적으로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구현 사례로는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다양하게 존재한다.
블록체인 기술이 제시된 이후 관련 기술의 계속 발전을 함으로써, 현재 블록체인 기술의 구현은 산업 전반에 걸쳐 높은 수준에서 범용화가 되었으며, 관련기술을 활용한 산업 현장의 변화도 발 빠르게 이루어져 사회 곳곳에서 블록체인을 활용한 개량기술들이 활약하고 있다.
이러한 블록체인의 특성은 산업 여러 분야에 적용되어 활용되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개인의 신원을 증명하는 방법에 있어서, 탈중앙화 신원증명(Decentralized Identifier, DID) 기술이 대두되고 있다. 탈중앙화 신원증명 방식의 경우 종래 기술에 따른 신원 확인 방식과 달리 중앙 시스템에 의해 통제되지 않으며, 개개인이 자신의 정보에 완전한 통제권을 갖도록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대표적으로 블록체인 기술이 적용되는 분야였다.
구체적으로는, DID는 사용자 스스로 자신의 신원정보를 관리하고 통제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화된 신원관리 시스템으로서, 우리가 지갑에 주민등록증을 보관하고 필요할 때 꺼내 스스로를 증명하는 것처럼 블록체인에 연동된 디지털 월렛에 내 개인정보를 담아 필요할 때 개인키를 입력해 나를 증명하는 방법으로 개인의 신원정보를 증명할 수 있다.
그러나, DID 기술의 경우 ‘개인’ 즉 사람에 한정되어 신원정보를 증명할 수 있다. 이를 노후 구조물의 안전진단과 유지보수에서 활용되는 IoT 플랫폼에서, IoT 센서의 정보를 증명하고, IoT 데이터가 변경되지 않았다는 점을 증명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려웠으며, 종례 기술의 경우 대부분 중앙화 된 플랫폼을 통해 데이터를 관리하다보니, 데이터의 신뢰 문제가 존재하였다.
일반적으로, 교량, 대형시설물, 건축물, 지하 매설물 등은 사회가 발전하면서 사회 구성원들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점점 대형화 및 첨단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여러가지 신기술, 신공법, 신소재 등이 도입되고 있으며 이러한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기 위한 선결 조건인 안전성 등의 검증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준공 후 수십 년이 지난 노후한 구조물의 수는 점차 늘어나고 있으며, 구조물의 현재 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정밀 안전진단 기술이나 유지관리를 위한 계측 시스템의 도입이 가속화되고 있다.
지금까지는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하여 직접 인력의 투입이 요구되는 육안검사가 보편적으로 이용되지만, 인건비가 점점 늘어나고 있고 검사에 필요한 시간 역시 적지 않아 안전진단을 위한 비용이 증가하므로, 새로운 구조물 안전진단 시스템이 요구된다. 기존의 사회기반시설물의 안전진단관리 시스템은 안전검사자격증을 소지한 검사자의 비파괴 검사 수행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는 정기적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손상의 즉각적인 감지가 어렵고, 검사 중에는 구조물 가동을 중지해야 하고, 일일이 육안이나 검사 장비를 이용하여 검사해야하므로 인건비를 포함한 검사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금속 구조물의 경우 손상의 약 90%는 피로균열에 의해 발생되는데, 피로균열은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작은 크기에서 시작되어 총 피로균열 주기의 80%에 도달해야 기존의 손상 감지 방식으로 확인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피로균열이 커진 후에야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를 복구하는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술의 발전이 진행되면서 새로운 형태의 재난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이러한 재난은 인명피해와 경제적 손실을 야기한다. 이러한 재난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겠으나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재난이 발생할 경우에는 최단 시간 내에 재난 발생을 파악하여 신속한 대피와 재난 진압으로 인명 피해와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존의 선행기술문헌을 살펴보면,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2062462호 IoT 화재감지기와 이를 이용한 IoT 스마트안전관리시스템(2019.12.27. 등록)(이하 '선행기술문헌'이라 한다)은 화재 감지 및 피난 유도 장치에 관한 것으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자동으로 화재 발생 위치 정보와 피난정보를 전송하는 시스템이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화재관련 센서만 포함되어 가스사고, 지진, 건물붕괴 등 각종 재난에 대한 대처가 불가능하였다.
또한, 재난이 발생할 경우 재난 발생 위치와 건물의 내부 구조를 잘 모르거나 재난 현상으로 인해 비상구나 대피장소를 찾기 어려운 경우에 신속한 대피가 이루어지지 못해 인명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다양한 센서(기울기센서, 크랙센서, 온도센서, 습도센서, 화재 감지기 등)를 도입해 다양한 재난에도 유연한 대처가 가능한 센서 통합 운영 IoT 플랫폼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62462호(등록일자: 2019.12.27.)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위험구조물에 설치된 센서(기울기센서, 크랙센서, 온도센서, 습도센서, 화재 감지기 등)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상신호 또는 재난을 감지하여 경고신호 및 수치데이터를 발생하고 유선 또는 무선 방식을 통해 서버로 실시간 전송하며, 이렇게 전송된 데이터를 지역별/행정구역별로 통합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관제할 수 있는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플랫폼 시스템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위험구조물에 설치된 센서(기울기센서, 크랙센서, 온도센서, 습도센서, 화재 감지기 등)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IoT 센서의 자격증명을 DID 기술을 활용하여, 구현하여, 데이터의 신뢰성과 무결성을 보장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플랫폼에 로그인하여 지도 또는 검색창을 통해 지역을 검색하면 해당 지역의 위험구조물에 설치된 전체 센서의 개수, 각 센서의 종류 및 개수, 실시간 센서별 정상 및 이상 감지 개수, 일일 장애발생건수, 온도, 습도 등을 포함한 센서설치현황이 화면에 지도와 함께 표시되는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플랫폼 시스템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플랫폼에 로그인하여 지도 또는 검색창을 통해 지역을 검색하면 해당 지역의 지도에 센서가 설치된 위치정보가 표시되고, 전체 센서의 개수, 각 센서의 종류 및 개수, 실시간 센서별 정상 및 이상 감지 개수 등을 포함한 센서설치현황이 화면에 표시되는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플랫폼 시스템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기존의 센서를 활용한 스마트 폰 도면전송시스템으로 사물인터넷(IoT)을 구현한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플랫폼 시스템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다양한 센서 및 모니터의 설치 위치 안내도를 등록 및 관리하고 관제할 수 있는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플랫폼 시스템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위험 발생 시 관제페이지나 메시지를 자동으로 전송하여 신속한 대응 및 인명구조가 이루어지도록 한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플랫폼 시스템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플랫폼 시스템은, 구조물의 내부 및/또는 외부에 설치되어 구조물의 기울기와 크랙을 감지하고 온도, 습도, 화재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100); 상기 센서(100)의 신호 또는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수신받아 모니터링하고 관제하는 플랫폼 서버(300); 상기 센서(100)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저장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서버(600); 및 상기 플랫폼 서버(300)에 설치 및 운영되고, 로그인을 통해 메인페이지에 접속하며, 상기 메인페이지 화면에 표시된 지도에서 해당 지역을 클릭하면 해당 지역의 지도에 상기 센서(100)가 설치된 위치정보가 표시되고, 해당 지역의 위험구조물에 설치된 전체 센서(100)의 개수, 각 센서(100)의 종류 및 개수, 실시간 센서(100)별 정상 및 이상 감지 개수, 일일 장애발생건수, 온도, 습도, 화재를 포함한 센서(100)의 정보가 화면에 표시되고, 상기 메인페이지 화면에 시설물 정보와 시설물 리스트를 출력하는 시설물 메뉴와 디바이스 리스트를 출력하는 디바이스 메뉴와 이벤트 리스트를 출력하는 이벤트이력 메뉴와 데이터 시각화 리스트를 출력하는 데이터시각화 메뉴를 제공하며, 상기 구조물의 X축 및 Y축 기울기를 측정한 기울기 X축 및 Y축의 교정값을 입력받거나 시스템관리자로부터 임의의 기울기 X축 및 Y축의 교정값을 입력받고, 상기 기울기 X축 및 Y축의 교정값으로부터 이상여부 및 재난의 감지 범위를 정하는 기울기 X축 및 Y축의 알림 기준값을 입력받으며, 상기 교정값과 상기 알림 기준값을 가지고 상기 센서(100)의 측정값과 비교하여 이상여부 및 재난을 감지하는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프로그램(3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프로그램(310)은, 상기 메인페이지의 디바이스 메뉴를 선택하면, 디바이스 종류, 디바이스명, 시설명칭, 통신상태, 센서상태, 설치일자, 조건선택을 포함한 디바이스 입력창과, 디바이스 종류, 디바이스 번호, EUI, 디바이스명, 시설명칭, 통신상태, 센서상태, 설치일자, QR을 포함한 디바이스 리스트를 포함한 디바이스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디바이스 화면에서 디바이스 리스트 항목을 클릭하면, 디바이스 기본정보, 설치정보, 도면이미지와, 센서데이터, 원본데이터, 설정변경이력, 이벤트 설정, 데이터 그래프 카테고리를 화면에 제공하고, 상기 센서데이터 카테고리를 클릭하면 일시, 상태, X축, Y축, 온도, 습도, 배터리잔량을 화면에 출력하고, 상기 원본데이터 카테고리를 클릭하면 일시, 상태, X축, Y축, 온도, 습도, 배터리잔량을 화면에 출력하고, 상기 설정변경이력 카테고리를 클릭하면 변경일시, 변경자, 기울기 X축 및 Y축의 교정값, 기울기 X축 및 Y축의 알림 기준값, SMS 수신주기를 화면에 출력하고, 상기 이벤트설정 카테고리를 클릭하면 이벤트명, 이벤트설명, 이벤트 조건수, 최종 이벤트발생일, 설정정보 보기, 사용여부를 화면에 출력하고, 상기 디바이스 화면의 이벤트설정 화면에서 이벤트 추가 버튼을 클릭하면, 이벤트명, 이벤트 설명, 사용여부를 포함한 기본정보와, 이벤트 종류, 이벤트 값, 이벤트 범위, 이벤트 발생횟수, 삭제를 포함한 이벤트 조건과, SMS 수신번호를 포함한 이벤트설정 화면을 출력하여 이벤트를 추가 등록하며, 상기 메인페이지의 데이터시각화 메뉴를 선택하면, 종류, 시설명칭, 조건선택, 기간, 통신상태, 센서상태를 포함한 데이터시각화와, 각 센서의 X축, Y축, 온도, 습도의 측정값을 시간대별로 그래프로 표시한 데이터 시각화 리스트를 화면에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프로그램(310)은, 상기 메인페이지 화면에, 시설물 정보와 시설물 리스트를 출력하는 시설물 메뉴와, 디바이스 리스트를 출력하는 디바이스 메뉴와, 이벤트 리스트를 출력하는 이벤트이력 메뉴와, 데이터 시각화 리스트를 출력하는 데이터시각화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프로그램(310)은, 상기 구조물의 X축 및 Y축 기울기를 측정한 기울기 X축 및 Y축의 교정값을 입력받거나 시스템관리자로부터 임의의 기울기 X축 및 Y축의 교정값을 입력받고, 상기 기울기 X축 및 Y축의 교정값으로부터 이상여부 및 재난의 감지 범위를 정하는 기울기 X축 및 Y축의 알림 기준값을 입력받으며, 상기 교정값과 상기 알림 기준값을 가지고 상기 센서(100)의 측정값과 비교하여 이상여부 및 재난을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프로그램(310)은, 상기 메인페이지의 시설물 메뉴를 선택하면, 센서가 설치된 시설물의 관리번호, 시설명칭, 책임담당자, 건물상태, 지역구분, 상세주소를 포함하는 시설물 정보와, 시설물 관리번호, 시설명칭, 주소, 책임담당자, 건물상태, 센서이상 개수, 디바이스 개수, 최종 이벤트발생일을 포함하는 시설물리스트가 포함된 시설물 화면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프로그램(310)은, 상기 시설물 화면에서 상기 시설물리스트의 항목을 선택하면, 시설물 관리번호, 시설명칭, 건물용도, 구조, 주소를 포함한 시설물기본정보와, 건물상태, 센서이상 개수, 최종이벤트를 포함한 안전진단현황과, 책임담당자 정보와, 디바이스번호, EUI, 디바이스명, 설치위치, 통신상태, 센서상태, 설치일자를 포함한 설치디바이스 카테고리와, 디바이스번호, EUI, 디바이스명, 이벤트발생일자, 이벤트명, 이벤트상세, 디바이스 보기를 포함한 이벤트 발생내역 카테고리와, 위치정보 카테고리를 화면에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삭제
상기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프로그램(310)은, 상기 디바이스 화면에서 신규 버튼을 클릭하면, 센서의 종류, 디바이스명, 디바이스 번호, 첨부파일, 메모를 포함한 디바이스 기본정보와, 공개여부, 대상시설물, 설치위치, 설치일자, 도면/이미지를 포함한 설치정보와, 기울기 X축 및 Y축의 교정값 설정과, SMS수신주기와 기울기 X축 및 Y축의 알림 기준값을 화면에 출력하여 디바이스를 신규 등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프로그램(310)은, 상기 디바이스 화면에서 수정 버튼을 클릭하면, 센서의 종류, 디바이스명, 디바이스 번호, 첨부파일, 메모를 포함한 디바이스 기본정보와, 공개여부, 대상시설물, 설치위치, 설치일자, 도면/이미지를 포함한 설치정보와, 기울기 X축 및 Y축의 교정값 설정과, SMS수신주기와 기울기 X축 및 Y축의 알림 기준값을 화면에 출력하여 디바이스를 수정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상기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프로그램(310)은, 상기 메인페이지의 이벤트이력 메뉴를 선택하면, 이벤트 발생일시, 이벤트명, 시설명칭, 디바이스 번호, EUI를 포함한 이벤트 이력과, 이벤트 발생일시, 이벤트명, 디바이스 번호, EUI, 디바이스명, 시설명칭, 상세내역 보기를 포함한 이벤트 리스트를 화면에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프로그램(310)은, 상기 이벤트리스트에서 상세내역 "보기"버튼을 클릭하면, 디바이스 번호, EUI, 디바이스명, 시설명칭을 포함한 디바이스 정보와, 이벤트 발생일시, 이벤트명, 이벤트 설명을 포함한 이벤트 정보와, 이벤트 조건과, 이벤트 종류, 발생값, 발생횟수, 발생일시를 포함한 이벤트내역의 이벤트발생이력 화면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상기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플랫폼 시스템은, 상기 플랫폼 서버에 로그인하여 상기 센서의 위치별로 건물내부의 도면 또는 웹 이미지를 등록하고, 상기 도면 또는 웹 이미지에 경계 구역 명, 센서와 비상구 위치, 대피방향을 등록하는 고객 PC; 및 상기 플랫폼 서버로부터 도면 경로가 포함된 SMS 문자, 이메일, 어플 푸시기능 중 하나 이상을 수신받아 상기 도면 경로를 클릭하면 상기 고객 PC에서 등록한 상기 센서의 위치가 표시된 도면 또는 웹 이미지가 화면에 출력되는 휴대전화;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플랫폼 서버는, 재난 발생시 시스템에 등록된 연락처로 상기 센서와 비상구의 위치, 대피방향이 포함된 도면 경로의 웹 주소를 SMS 문자, 이메일, 어플 푸시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 전송하고, 안전수칙과 대응방법, 진압방법, 긴급전화번호를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서버는, 하이퍼레져(Hyperledger) Fabric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플랫폼은, 상기 메인페이지의 메뉴를 통해 상기 센서가 설치된 장소 명, 경계 구역 명, 신호발생 위치, 비상구 위치, 대피방향, 등록일, 수신기번호, 센서의 사양, 문자수신자의 연락처, 재난발생시 SMS 발송주기시간을 등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SMS 문자는, 상기 센서의 경고신호 및 수치데이터가 발생한 장소, 날짜, 시간, 도면 경로의 웹 주소나 어플 푸시기능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휴대전화는, 재난 발생 시 상황전파, 대피 요령, 진압 방법, 이동장비, 보행자 안전을 안내하는 비상시 행동요령 버튼과, 해당 재난담당자나 119센터에 통화 연결하는 긴급전화번호 버튼을 화면에 터치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센서는, 기울기 센서, 크랙 센서, 온습도 센서, 화재감지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센서(기울기센서, 크랙센서, 온도센서, 습도센서, 화재 감지기 등)의 신호 또는 데이터를 활용하여 재난알림 시 등록 연락처로 해당 센서 및 모니터에 등록된 해당 위치, 비상구 위치, 진입위치(대피방향) 등이 포함된 도면이나 웹 이미지를 SMS 문자 또는 어플 푸시기능으로 전송함으로써, 빠르게 사고에 대처할 수 있다.
또한, 기존 센서 및 모니터와 플랫폼 서버의 통신을 통해, 미리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에게 SMS문자나 이메일 푸시기능으로 도면을 전송하여 사고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기존 센서 및 모니터와 플랫폼 서버의 통신을 통해, 미리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에게 SMS 문자나 이메일, 푸시기능으로 도면을 전송하여 재난 초기 진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센서 구입이나 재설치 없이 기존의 센서를 활용하여 적은 비용으로 쉽게 도입할 수 있다.
또한, SMS 문자로 받은 URL을 클릭하면 해당 센서 및 모니터의 발생위치에 도면과 조치요령 및 긴급 상황 가이드를 안내하여 긴급한 대응이 가능하다.
또한,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 및 모니터의 설치 위치 안내도를 등록 및 관리하고 관제할 수 있고, 안전수칙 및 긴급전화연결을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사고피해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재난 발생시 안전담당자, 소방서, 경찰서로 경고값 발생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때, 재난 위치, 비상구 위치, 건물 내부 구조가 포함된 정보를 함께 전송함으로써, 보다 신속한 재난진압 및 인명구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지능화되고 무인화 되는 재난 방재 플랫폼의 개발을 선점하여 국내 및 해외에서 선도적 위치를 점할 수 있다.
또한, 건물이 대형화, 지능화, 자동화되고 있는 추세에 맞춰 즉시 현장에 적용 가능하여 재난방지업계의 기술력 및 시장 경쟁력 제고에 일조할 수 있다.
또한, 재난 발생 시 재난 시작 지점을 신속하고 정확히 알 수 있어 건물 내에 설비된 무인 방제 시스템 및 밸브를 연동하여 초기 재난 진압이 가능하다.
또한, 사물의 분산신원인증(DID) 등을 포함한 블록체인기술은 수집 데이터의 무결성과 이력 정보의 투명성을 제공하여, 노후건축물 안전관리 체계 운영에 잇어서, 건축물 사고에 대한 다수의 이해관계자 구조에 따른 관리책임의 모호성과 분쟁의 소지를 줄여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플랫폼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한 기울기센서(110)와 크랙센서(120)의 설치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기울기 센서(100)의 기울기 수치변화에 따라 센서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기울기 센서의 이상 발생시 등록된 연락처의 휴대전화로 센서값 및 도면 경로가 포함된 SMS 문자의 수신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크랙 센서의 이상 발생시 등록된 연락처의 휴대전화로 센서값 및 도면 경로가 포함된 SMS 문자의 수신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SMS 문자의 도면 경로 클릭시 휴대전화의 화면에 구현된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플랫폼의 화면이다.
도 9는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플랫폼의 화면에서 ‘비상시 행동요령’선택 시 휴대전화의 화면에 구현된 재난 시 상황전파, 대피 요령, 진압 방법, 이동장비/ 보행자 안전에 대한 화면이다.
도 10 내지 도 44는 본 발명에 의한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플랫폼을 나타낸 프로그램 실행 화면이다.
도 45 및 도 46는 본 발명에 의한 블록체인 플랫폼으로,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IoT용 DID의 구조에 대한 화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발명의 설명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 실시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기술내용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플랫폼 시스템의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플랫폼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한 기울기센서(110)와 크랙센서(120)의 설치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기울기 센서(100)의 기울기 수치변화에 따라 센서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기울기 센서의 이상 발생시 등록된 연락처의 휴대전화로 센서값 및 도면 경로가 포함된 SMS 문자의 수신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크랙 센서의 이상 발생시 등록된 연락처의 휴대전화로 센서값 및 도면 경로가 포함된 SMS 문자의 수신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SMS 문자의 도면 경로 클릭시 휴대전화의 화면에 구현된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플랫폼의 화면이고, 도 9는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플랫폼의 화면에서 ‘비상시 행동요령’선택 시 휴대전화의 화면에 구현된 재난 시 상황전파, 대피 요령, 진압 방법, 이동장비/ 보행자 안전에 대한 화면이다.
본 발명의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플랫폼 시스템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센서(100), 플랫폼 서버(300), 고객 PC(400), 휴대전화(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100)는 구조물이나 건축물의 내부 및/또는 외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센서가 설치된 장소에서 이상값을 감지하여 경고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100)는 재난발생이 예상되는 장소(구조물, 건축물 등) 또는 위험구조물에 설치되며, 상기 센서(100)에서 감지한 신호 또는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플랫폼 서버(300)로 실시간 전송하게 되며, 상기 플랫폼 서버(300)는 상기 센서(100)로부터 수신된 신호 또는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센서(100)가 설치된 구조물 또는 건축물의 기울기, 크랙, 화재 등의 재난을 감지하게 된다.
상기 센서(100)는 기울기 센서(110), 크랙 센서(crack sensor; 120), 온도 센서(temperature sensor; 130), 습도 센서(humidity sensor; 140), 화재감지기(15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100)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기울기 센서(110), 상기 크랙 센서(120), 상기 온도 센서(130), 상기 습도 센서(140), 상기 화재감지기(150)를 포함하여 화재, 지진, 건물붕괴사고, 가스누출사고 등 다양한 재난에 대비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울기 센서(110)는 구조물의 경사, 기울기 변화를 감지하여 측정 가능한 신호로 변환하는 센서로서, 경사계라고도 한다.
상기 기울기 센서(110)는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난발생이 예상되는 장소(구조물, 건축물 등) 또는 위험구조물에 설치되며, X축 및 Y축의 기울기 변화를 감지하여 기울기를 측정한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X축는 왼쪽 방향으로 기움, -X축은 오른쪽 방향으로 기움, +Y축은 뒤쪽 방향으로 기움, -Y축은 앞쪽 방향으로 기움을 감지하여 기울기의 수치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크랙 센서(crack sensor; 120)는 건축물의 벽, 바닥, 천정, 기둥 따위에 생기는 균열을 감지하여 측정 가능한 신호로 변환하는 센서이다. 상기 크랙 센서(12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조물 또는 건축물의 크랙이 발생한 부분에 크랙을 중심으로 양쪽 벽면에 설치하여 크랙의 진행 여부를 측정하게 된다.
상기 온도 센서(temperature sensor; 130)는 온도 변화를 감지하여 측정 가능한 신호로 변환하는 센서이다.
상기 습도 센서(humidity sensor; 140)는 대기 중의 수증기로 인하여 유기 고분자나 세라믹의 저항 값 유전율 등이 변화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습도를 전기적으로 검출하는 센서로서, 공기 속의 수증기 양을 측정하게 된다.
상기 화재감지기(150)는 열 및/또는 연기에 의해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열을 감지하여 화재를 경보하는 화재감지기(또는, 온도감지기)와, 연기를 감지하여 화재를 경보하는 연기 감지기와, 연기와 온도(열)를 동시에 감지하는 스마트 화재 감지기를 모두 포함한다.
상기 센서(100)는 센서가 설치된 장소에서 재난을 감지하여 경고신호 및 수치데이터를 발생하게 된다. 상기 센서(100)는 자신의 고유 식별번호(ID)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경고신호 및 수치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하게 되는데, 상기 경고신호 및 수치데이터를 전송할 때 자신의 고유 식별번호(ID)를 함께 전송함으로써 자신의 위치 정보를 알리게 된다. 상기 센서(100)는 건물의 내부 및 외부에 복수 개로 설치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플랫폼 서버(300)는 상기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프로그램(310)을 운영 및 관리하는 회사의 서버로서,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센서(100), 상기 고객 PC(400), 상기 휴대전화(500)와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플랫폼 서버(300)는 상기 통신망(10)을 통해 상기 센서(100)로부터 경고신호 및 수치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받는다. 이때, 상기 통신망(10)은 유무선 통신망, 인터넷 통신망, 이동통신망, 로라(LoRa) 통신망 등을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플랫폼 서버(300)에는 상기 센서(100) 별로 도면이나 웹 이미지와 설치정보가 등록되어 있다. 상기 도면이나 웹 이미지에는 상기 센서(100)의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으며, 설치정보에는 센서(100)의 관리번호, 시설명칭, 최종이벤트 발생 일자, 주소, 설치일자 등이 포함되어 있고, 재난 감지시 상기 도면이나 웹 이미지, 설치정보를 전송할 연락처, 상기 휴대전화(500)의 번호가 미리 등록되어 있다.
상기 플랫폼 서버(300)는 상기 센서(100)로부터 감지된 경고신호 및 수치데이터가 수신되면, 플랫폼에 등록된 연락처로 상기 경고신호 및 수치데이터가 발생한 센서(100)에 등록된 도면 경로(웹 주소)와 설치정보를 SMS 문자, 이메일, 어플 푸시기능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전송한다(도 5 및 도 6 참조). 그리고 상기 도면 경로(웹 주소)의 화면을 통해 안전수칙과 대응방법, 긴급전화번호를 안내한다(도 7 참조).
여기서, 상기 SMS 문자에는 상기 경고신호 및 수치데이터가 발생한 장소, 날짜, 시간, 도면 경로의 웹 주소나 어플 푸시기능이 포함된다.
상기 플랫폼 서버(300)는 상기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프로그램(310)을 운영 및 관리한다. 이때, 상기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프로그램(310)은 별도의 웹(Web) 서버 및 DB 서버(미도시)를 통해 운영될 수도 있다.
상기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프로그램(310)은, 상기 플랫폼 서버(300)에 설치 및 운영되고, 고객 또는 관리자가 로그인을 통해 메인페이지에 접속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프로그램(310)의 홈페이지는, 상기 메인페이지의 메뉴를 통해 상기 센서(100) 및 모니터(200)의 디바이스 명, 디바이스 번호, 센서 종류, 대상 시설물, 설치 위치, 설치 일자 등을 등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페이지의 메뉴를 통해 상기 센서(100)가 설치된 장소 명, 경계 구역 명, 신호발생위치, 비상구 위치, 대피방향, 등록일, 수신기번호, 상기 센서(100)의 종류 및 사양, 기울기 X축 및 Y축의 교정값, 기울기 X축 및 Y축의 알림 기준값, 문자수신자의 연락처, 재난발생시 SMS 발송주기시간을 등록한다.
상기 기울기 X축 및 Y축의 교정값은 센서가 기울기센서일 경우, 기울기센서가 설치된 구조물이나 건축물의 X축 및 Y축 기울기를 측정한 상기 구조물 또는 건축물의 X축 및 Y축의 기울기 값이다. 또는, 상기 교정값은 시스템관리자가 임의의 값으로 입력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알림 기준값은 상기 교정값으로부터 이상여부 및 재난의 감지 범위를 정하는 설정값이다.
예를 들어, 상기 교정값의 기울기 X축 값이 0.00, 기울기 Y축 값이 0.00이고, 상기 알림 기준값의 기울기 X축의 설정값이 0.10, 기울기 Y축의 설정값이 0.10이라면, 상기 기울기센서의 X축 및 Y축 실제 측정값이 상기 교정값을 기준으로 상기 알림 기준값의 X축 및 Y축 설정값을 초과하게 되면 재난 발생으로 판단하여 재난 알람 및 경보를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교정값은 상기 기울기센서의 측정값의 크기를 판단하는 기준값이고, 상기 알람 기준값은 상기 교정값으로부터 재난감지범위를 결정하는 값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기울기센서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건축물이나 구조물에 크랙센서를 설치하여 크랙발생을 감지하여 재난 발생을 판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프로그램(310)은, 상기 센서(100)의 기준값과 설정값 및 측정값을 상기 센서(100)의 설치 지역 및 장소별로 화면에 출력하고, 상기 센서(100)의 실시간 감지 현황 및 이력, 상기 센서(100)의 실시간 관제 상황, 상기 센서(100)가 설치된 장소 및 구역별로 실시간 출입 상태 이력을 화면에 실시간으로 출력하여 모니터링 및 관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프로그램(31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8 내지 도 42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계속해서, 상기 고객 PC(400)는 상기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프로그램(310)에 로그인하여 상기 센서(100)의 위치별로 건물내부의 도면 또는 웹 이미지를 등록하고, 설치정보에 관리번호, 시설명칭 ,최종이벤트 발생 일자, 주소, 설치일자를 등록 및 수정한다.
상기 고객 PC(400)는 상기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프로그램(310)에 로그인을 통해 메인페이지에 접속하며, 상기 메인페이지의 메뉴를 통해 상기 센서(100)의 관리번호, 시설명칭 ,최종이벤트 발생 일자, 주소, 설치일자를 등록하고 수정할 수 있다.
상기 휴대전화(500)는 상기 고객 PC(400)에서 등록한 문자수신자의 연락처이며, 상기 플랫폼 서버(300)로부터 도면 경로와 설치정보가 포함된 SMS 문자, 이메일, 어플 푸시기능 중 하나 이상을 수신 받는다(도 4 참조). 이때, 상기 SMS 문자, 이메일, 어플 푸시기능에 포함된 도면 경로를 클릭하면 상기 고객 PC(400)에서 등록한 상기 센서(100)에 해당하는 도면 또는 웹 이미지와 설치 정보가 화면에 출력된다(도 5 및 도 6 참조).
상기 휴대전화(500)의 화면에 출력된 도면 또는 웹 이미지 화면에는, 재난 시 상황전파, 대피 요령, 진압 방법, 이동장비/ 보행자 안전을 안내하는‘비상시 행동요령’ 버튼과, 재난담당자나 119센터 등에 통화 연결하는 ‘긴급전화번호’ 버튼을 터치 방식으로 포함하고 있다(도 7 내지 도 9 참조).
도 9는 상기 플랫폼 서버(300)로부터 상기 휴대전화(500)에 전송된 ‘비상시 행동요령’선택 시 휴대전화의 화면에 구현된 재난 시 상황전파, 대피 요령, 진압 방법, 이동장비/ 보행자 안전에 대한 화면 예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재난발생이 예상되는 장소(구조물, 건축물 등) 또는 위험구조물에 센서(100)를 설치하여, 상기 센서(100)와 상기 플랫폼 서버(300)와의 통신을 통해 재난신호를 감지하며, 상기 플랫폼 서버(300)에 상기 센서(100) 별로 미리 도면작업을 하고, 상기 센서(100)에서 재난경보가 울리면 해당 도면과 설치정보, 대처방법이 SMS 문자 또는 어플 푸시기능으로 전송되고, 상기 휴대전화(500)를 통해 상기 센서(100)의 위치 및 재난발생내용을 손쉽게 확인 할 수 있으며, 실제 재난 확인이 누구나 즉각적으로 판단이 가능하여 신속한 긴급 상황 전파가 가능하며, 도면 이외에 상황 대처방법을 안내하여 대응이 편리하다.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프로그램(310)의 실시예
도 10 내지 도 44는 본 발명에 의한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프로그램(310)을 나타낸 프로그램 실행 화면이다.
상기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프로그램(310)은 상기 플랫폼 서버(300)에 설치 및 운영될 수 있으며, 아이디(ID) 및 비밀번호(password) 입력에 의해 로그인될 수 있다.
상기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프로그램(310)의 메인 화면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단에 대시보드, 시설물, 디바이스, 이벤트이력, 데이터시각화, 블록체인, 운영관리, 공지사항 등의 메뉴가 구성되어 있고, 위험구조물 센서설치 현황이 지도를 통해 선택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0은 메인 화면에서 대시보드의 화면으로 전국지도를 표시하고 있다. 여기서, 검색하고자 하는 지역(예를 들어, 서울)을 선택하면, 도 11과 같이, 행정구역이 표시된 서울의 지도(또는 약도)와, 서울에 설치된 센서의 설치현황(전체 센서의 개수, 센서의 종류별 개수 표시), 일일 장애발생건수(센서별로 그래프로 표시), 실시간 센서 현황(센서별로 정상 및 이상을 개수 표시), 온도 및 습도 등의 정보가 화면에 실시간으로 표시된다.
또한, 도 11의 서울의 지도에서 검색하고자 하는 구 또는 지역을 선택하면, 도 12와 같이, 행정구역이 표시된 선택한 구(예를 들어, 은평구)의 지도(또는, 약도)와, 은평구에 설치된 센서의 설치현황(전체 센서의 개수, 센서의 종류별 개수 표시), 일일 장애발생건수(센서별로 그래프로 표시), 실시간 센서 현황(센서별로 정상 및 이상을 개수 표시), 온도 및 습도 등의 정보가 화면에 실시간으로 표시된다.
또한, 도 12의 은평구의 지도에서 검색하고자 하는 동을 선택하면, 선택한 동의 지도(또는, 약도)와, 해당 동에 설치된 센서의 설치현황(전체 센서의 개수, 센서의 종류별 개수 표시), 일일 장애발생건수(센서별로 그래프로 표시), 실시간 센서 현황(센서별로 정상 및 이상을 개수 표시), 온도 및 습도 등의 정보가 화면에 실시간으로 표시된다.
도 13은 상기 대시보드의 지도모니터링 메뉴의 선택시 출력 화면으로, 시/도, 시군구, 동/읍/면, 시설명의 선택창과 검색어 입력창이 구성되고, 선택창 또는 입력창에서 검색한 해당 지역의 지도에 센서의 설치위치가 표시되어 화면에 출력되고, 센서설치장소 별로 센서의 종류 및 측정값, 정상 및 이상 여부가 컬러색으로 표시되어 출력된다. 여기서, 화면에 출력된 지도는 일반지도와 위성지도를 선택할 수 있으며, 확대 및 축소 보기가 가능하다.
도 14는 상기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프로그램(310)의 메인 화면에서 시설물 메뉴의 선택시 출력 화면으로, 시설물의 관리번호, 시설명칭, 책임담당자, 건물상태, 지역구분, 상세주소 등을 포함하고, 시설물리스트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시설물리스트는 관리번호, 시설명칭, 주소, 책임담당자, 건물상태(양호, 관심, 주의, 위험, 해제 등), 센서이상 개수, 디바이스 개수, 최종 이벤트발생 년/월/일/시 등을 포함하고 있다.
도 15는 도 14의 시설물 출력 화면에서 '신규' 등록 버튼의 클릭시 출력되는 시설물관리 화면으로, 기본정보, 책임담담자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기본정보는 관리번호, 시설명칭, 건물용도, 구조, 건물상태(양호, 관심, 주의, 위험, 해제 등), 주소, 첨부파일, 메모 등을 포함하고 있다.
도 16은 도 14의 시설물 출력 화면에서 시설물리스트를 선택했을 때 출력되는 시설물 상세정보 화면으로, 시설물기본정보, 안전진단현황, 책임담당자가 표시되고, 설치디바이스, 이벤트 발생내역, 위치정보 메뉴가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시설물기본정보는 관리번호, 시설명칭, 건물용도, 구조, 주소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진단현황은 건물상태, 센서이상, 최종이벤트의 년/월/일/시를 포함하고, 상기 책임담당자는 부서, 성명, 연락처를 포함한다.
상기 도 16의 시설물 화면에서, 상기 설치디바이스는 디바이스 번호(No), EUI, 디바이스명, 설치위치, 통신상태(정상, 통신이상 표시), 센서상태(정상, 기울기이상, 크랙이상 등 표시), 설치일시 등을 포함하고 있다.
도 17은 상기 도 16의 시설물 화면에서, 상기 이벤트 발생내역은 디바이스 번호(No), EUI, 디바이스명, 이벤트발생일시(년/월/일/시), 이벤트명, 이벤트상세내역, 디바이스 보기 등을 포함하고 있다.
도 18은 상기 도 16의 시설물 화면에서, 상기 위치정보 메뉴의 선택시 시설물의 위치정보 지도를 화면에 표시한다.
계속해서, 도 19는 도 14의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프로그램(310)의 메인 화면에서 디바이스 메뉴의 선택시 출력 화면으로, 디바이스 종류, 디바이스명, 시설명칭, 통신상태, 센서상태, 설치일자, 조건선택 등을 포함하고, 디바이스 리스트를 포함하고 있다.
도 20은 상기 도 19의 디바이스 화면에서 '신규' 버튼의 클릭시 디바이스를 신규 등록하는 화면으로, 디바이스 기본정보, 설치정보, 교정값 설정, 알림 기준값 등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디바이스 기본정보는 센서의 종류, 디바이스명, 디바이스 번호(No), 첨부파일, 메모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센서의 종류는 구조물에 설치된 센서의 종류를 입력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기울기센서, 크랙센서 등을 선택 입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설치정보는 공개여부(공개, 비공개), 대상시설물, 설치위치, 설치일자, 도면/이미지 등을 포함한다.
상기 교정값은 센서가 기울기센서일 경우, 기울기센서가 설치된 구조물이나 건축물의 X축 및 Y축 기울기를 측정한 X축 및 Y축의 기울기 값이다. 또는, 상기 교정값은 시스템관리자가 임의의 값으로 입력할 수도 있다.
상기 알림 기준값은 상기 교정값으로부터 이상여부 및 재난의 감지 범위를 정하는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교정값의 기울기 X축 값이 0.00, 기울기 Y축 값이 0.00이고, 상기 알림 기준값의 기울기 X축의 설정값이 0.10, 기울기 Y축의 설정값이 0.10이라면, 상기 기울기센서의 X축 및 Y축 실제 측정값이 상기 교정값을 기준으로 상기 알림 기준값의 X축 및 Y축 설정값을 초과하게 되면 재난 발생으로 판단하여 재난 알람 및 경보를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교정값은 상기 기울기센서의 측정값의 크기를 판단하는 기준값이고, 상기 알람 기준값은 상기 교정값으로부터 재난감지범위를 결정하는 값이다.
지금까지는 기울기센서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크랙센서도 상기 기울기센서와 마찬가지로 교정값과 알림 기준값을 설정하여 안전진단 및 재난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도 20에서 SMS 수신주기는 재난 발생 감지시 상기 플랫폼 서버(300)에서 시스템에 등록된 연락처나 휴대전화(500)로 SMS 문자, 이메일, 어플 푸시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 전송하는 시간 주기를 말한다. 초기값은 2시간 간격으로 설정할 수 있지만 관리자가 임의의 시간으로 변경도 가능하다.
상기 플랫폼 서버(300)는 시스템에 등록된 연락처나 휴대전화(500)로 상기 센서(100)와 비상구의 위치, 대피방향이 포함된 도면 경로의 웹 주소를 SMS 문자, 이메일, 어플 푸시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 전송하고, 안전수칙과 대응방법, 진압방법, 긴급전화번호를 안내한다.
상기 SMS 문자는 상기 센서(100)의 경고신호 및 수치데이터가 발생한 장소, 날짜, 시간, 도면 경로의 웹 주소나 어플 푸시기능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 20의 디바이스관리 화면에서, 상기 대상시설물의 시설물검색을 클릭하면 도 21의 시설물조회 화면이 출력된다. 상기 시설물조회 화면은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설물의 관리번호, 시설명칭, 책임담당자, 지역구분, 상세주소, 시설물리스트(관리번호, 시설명칭, 주소, 책임담당자, 디바이스 개수 등)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도 20의 디바이스관리 화면에서, 설치위치의 위치지정 버튼을 클릭하면 도 22와 같은 디바이스 설치위치지정 화면이 출력된다. 상기 디바이스 설치위치지정 화면에는 시설명칭, 주소, 지도를 포함하고 있다.
도 23은 상기 도 19의 디바이스 화면에서 디바이스 리스트의 선택시 출력되는 화면으로, 디바이스 기본정보(종류, 디바이스명, 디바이스 No, EUI, 통신상태, 센서상태, 알림값, 교정값, 메모 등)와, 설치정보(관리번호, 설치일자, 시설명칭, 최종이벤트일자, 주소 등)와, 도면이미지와, 센서데이터, 원본데이터, 설정변경이력, 이벤트설정, 데이터그래프를 포함하고 있다.
도 24는 도 23의 디바이스 화면에서 수정 버튼의 클릭시 출력되는 화면으로, 디바이스 기본정보, 설치정보, 교정값 설정, 알림 기준값 등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디바이스 기본정보는 센서의 종류, 디바이스명, 디바이스 번호(No), 첨부파일, 메모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센서의 종류는 구조물에 설치된 센서의 종류를 입력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기울기센서, 크랙센서 등을 선택 입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설치정보는 공개여부(공개, 비공개), 대상시설물, 설치위치, 설치일자, 도면/이미지 등을 포함한다.
상기 교정값은 센서가 기울기센서일 경우, 기울기센서가 설치된 구조물이나 건축물의 X축 및 Y축 기울기를 측정한 X축 및 Y축의 기울기 값이다. 또는, 상기 교정값은 시스템관리자가 임의의 값으로 입력할 수도 있다.
상기 알림 기준값은 상기 교정값으로부터 이상여부 및 재난의 감지 범위를 정하는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교정값의 기울기 X축 값이 0.00, 기울기 Y축 값이 0.00이고, 상기 알림 기준값의 기울기 X축의 설정값이 0.10, 기울기 Y축의 설정값이 0.10이라면, 상기 기울기센서의 X축 및 Y축 실제 측정값이 상기 교정값을 기준으로 상기 알림 기준값의 X축 및 Y축 설정값을 초과하게 되면 재난 발생으로 판단하여 재난 알람 및 경보를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교정값은 상기 기울기센서의 측정값의 크기를 판단하는 기준값이고, 상기 알람 기준값은 상기 교정값으로부터 재난감지범위를 결정하는 값이다.
상기 도 23의 디바이스 화면에서, 상기 센서데이터는 일시, 상태(정상, 기울기이상, 배터리저전압 등), X축 기울기, Y축 기울기, 온도, 습도, 배터리잔량을 포함한다.
도 25는 상기 도 23의 디바이스 화면에서 원본데이터의 선택 화면으로, 일시, 상태(정상, 기울기이상, 배터리저전압 등), X축 기울기, Y축 기울기, 온도, 습도, 배터리잔량을 포함한다.
도 26은 상기 도 23의 디바이스 화면에서 설정변경이력의 선택 화면으로, 변경일시, 변경자, X축 및 Y축 교정값, X축 및 Y축 알림값(알림 기준값), SMS 수신주기 등을 포함한다.
도 27은 도 26의 설정변경이력 화면에서 "알림·교정값 수정" 버튼의 클릭시 출력되는 화면으로, 알림 기준값과 교정값 설정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알림 기준값은 SMS 수신주기 시간 입력창, 기울기 X축 및 기울기 Y축 입력창을 포함하며, 상기 교정값 설정은 기울기 X축 및 기울기 Y축 입력창을 포함한다.
상기 알림 기준값과 상기 교정값은 상기 도 20 및 도 24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28은 상기 도 23의 디바이스 화면에서 이벤트 설정의 선택 화면으로, 이벤트명, 이벤트 설명, 이벤트 조건수, 최종 이벤트 발생 년/월/일/시, 설정정보 보기, 사용여부(사용중, 미사용 등)을 포함한다.
도 29는 상기 도 28의 이벤트 설정 화면에서 "추가" 버튼의 클릭시 출력되는 이벤트 설정 화면으로, 기본정보, 이벤트 조건, SMS 수신번호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기본정보는 이벤트명, 이벤트 설명, 사용여부(사용, 미사용)을 포함한다. 상기 이벤트 조건은 이벤트 종류(예를 들어, 온도, 습도, X축, Y축, 배터리 등), 이벤트 값(이벤트 종류에 해당하는 이벤트 설정값), 이벤트 범위(이벤트 값의 범위; 예를 들어, 이상, 이하, 초과, 미만, 동일 등), 이벤트 발생횟수, 삭제 등을 포함한다. 상기 SMS 수신번호는 성명, 연락처, 수신시간 등을 포함한다.
도 30은 상기 도 28의 이벤트 설정 화면에서 설정정보 "보기" 버튼의 클릭시 출력되는 이벤트 설정 화면으로, 기본정보(이벤트명, 이벤트 설명, 사용여부 등), 이벤트 조건, SMS 수신번호 등을 포함한다.
도 31은 상기 도 10의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프로그램(310)의 메인 화면에서 이벤트이력 메뉴의 화면으로, 이벤트이력과 이벤트 리스트를 포함한다.
여기서, 이벤트 이력은 이벤트 발생일시(일주일, 1개월, 3개월, 6개월 등), 이벤트명, 시설명칭, 디바이스 No, EUI 등을 포함한다.
상기 이벤트 리스트는 이벤트 발생일시, 이벤트명, 디바이스 No, EUI, 디바이스명, 시설명칭, 상세내역 보기 등을 포함한다.
도 32는 상기 도 31의 이벤트리스트에서 상세내역 "보기"버튼의 클릭시 출력되는 이벤트 발생이력 화면으로, 디바이스 정보, 이벤트 정보, 이벤트 조건, 이벤트 내역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디바이스 정보는 디바이스 No, EUI, 디바이스명, 시설명칭을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정보는 이벤트 발생일시, 이벤트명, 이벤트 설명을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조건은 이벤트 설명(예를 들어, X축의 이벤트값이 0.12mm초과 3회 발생시 등)을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내역은 이벤트 종류(X축, Y축), 발생값, 발생횟수, 발생일시(년/월/일/시) 등을 포함한다.
도 33은 상기 도 10의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프로그램(310)의 메인 화면에서 데이터시각화 메뉴의 화면으로, 데이터시각화의 종류, 시설명칭, 조건선택, 기간, 통신상태, 센서상태를 포함하고, 센서의 X축, Y축, 온도, 습도의 측정값을 시간대별로 그래프로 표시하고 있다.
도 34는 상기 도 10의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프로그램(310)의 메인 화면에서 블록체인 메뉴의 대시보드 화면으로, 시스템(CPU Usage, 메모리 이용율, 디스크 이용율, DISK Usage 등), 블록스캔(토탈 블록, AVG 블록 시간, 주소(Address), 토탈 TX 등), 블록(블록높이, 타임라인, 블록해시, 트랜잭션수 등), 트랜잭션(블록높이, 타임라인, 블록해시, 트랜잭션수 등)을 포함한다.
도 35는 상기 도 34의 블록체인의 대시보드 화면에서 블록 "더보기" 버튼의 클릭시 출력 화면으로, 전일 신규 생성 블록 수, 누적 총 블록 수, 전체 블록 리스트(블록높이, 타임스탬프, 블록생성자, 블록해시, 트랜잭션수, 블록사이즈, 상세보기 등)을 포함한다.
도 36은 상기 도 35의 블록체인의 블록 화면에서 블록 리스트의 상세보기의 "보기" 버튼의 클릭시 출력되는 블록상세정보 화면으로, 블록높이, 블록해시, 타임스탬프, 블록생성자, 패런트 해시, 데이터 해시, 트랜잭션수, 블록사이즈, 상태 등을 포함하고, 전체 블록 리스트(트랜잭션 해시, 타임스탬프, Amount, 카테고리 등)를 포함하고 있다.
도 37은 상기 도 34의 블록체인의 대시보드 화면에서 트랜잭션 "더보기" 버튼의 클릭시 출력 화면으로, 전일 신규 생성 트랜잭션 수, 누적 총 트랜잭션 수, 전체 트랜잭션 리스트(트랜잭션 해시, 블록높이, 타임스탬프, 카테고리, 발송자, 수취자, 상세보기 등)을 포함한다.
도 38은 상기 도 37의 블록체인의 트랜잭션 화면에서 트랜잭션 리스트의 상세보기의 "보기" 버튼의 클릭시 출력되는 트랜잭션 상세정보 화면으로, 트랜잭션 해시, 상태, 블록높이, 타임스탬프, 발송주소, 수취주소, Nonce, 입력 데이터 등을 포함하고 있다.
도 39는 상기 도 10의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프로그램(310)의 메인 화면에서 블록체인 메뉴의 체인코드 화면으로, 체인코드명, 버전, 생성일자, 상태, 메모 등을 포함한다.
도 40은 상기 도 10의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프로그램(310)의 메인 화면에서 운영관리 메뉴의 회원관리 화면으로, 회원구분, 지역구분, 검색조건, 회원리스트, 회원등록, 선택승인, 선택관리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회원리스트에는 회원구분, 지역구분, 이름, 휴대전화, 이메일, 소속, 가입신청일, 승인여부 등을 포함한다.
도 41은 상기 도 40의 회원관리 화면에서 "회원등록"을 클릭하면 출력되는 회원 신규등록 화면으로, 기본정보와 회원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기본정보는 회원구분, 아이디, 아이디 중복확인, 비밀번호, 비밀번호 확인, 가입신청일, 가입승인일, 회원승인권한(권한부여 선택) 등을 포함하고, 상기 회원정보는 이름, 휴대폰, 모니터링 지역, 소속, 소속 부서, 소속 연락처, 이메일, 사업자등록번호, 신청사유 등을 포함한다.
도 42는 상기 도 40의 회원관리 화면에서 회원리스트의 클릭시 출력되는 회원 상세정보 화면으로, 기본정보와 회원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기본정보는 회원구분, 가입상태, 아이디, 비밀번호, 가입신청일, 가입승인일, 회원승인권한(권한부여 선택) 등을 포함하고, 상기 회원정보는 이름, 휴대폰, 모니터링 지역, 소속, 소속 부서, 소속 연락처, 이메일, 사업자등록번호, 신청사유 등을 포함한다.
도 43은 상기 도 8의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프로그램(310)의 메인 화면에서 운영관리 메뉴의 비회원 SMS 수신관리 화면으로, 휴대폰 검색창, 비회원 SMS 수신 리스트, 선택삭제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비회원 SMS 수신 리스트에는 휴대폰번호, 종류, 디바이스 번호(No), EUI, 디바이스명, 시설명칭 등을 포함한다.
도 44는 상기 도 10의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프로그램(310)의 메인 화면에서 공지사항 메뉴의 공지사항 화면으로, 공지사항 검색조건 검색창, 공지사항 리스트, 신규 등록 버튼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공지사항 리스트에는 공지사항 제목, 조회수, 작성자, 작성일 등을 포함한다.
도 45는 상기 도 10의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프로그램(310)의 블록체인 인프라로, 블록체인 기반 데이터의 조회 및 기록 등을 포함한다.
도 46는 상기 도 10의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프로그램(310)의 센서(100)의 IoT 센서의 자격 증명을 위한 기술로, 센서로부터 나오는 데이터와 해당 건물과 센서 데이터의 연관성을 기술적으로 검증한다.
여기서, 사물용 DID는 기관 생성, IoT 센서 증명, 증명서 발급 등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플랫폼 시스템은, 위험구조물에 설치된 센서(기울기센서, 크랙센서, 온도센서, 습도센서, 화재 감지기 등)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상신호 또는 재난을 감지하여 경고신호 및 수치데이터를 발생하고 유선 또는 무선 방식을 통해 서버로 실시간 전송하며, 이렇게 전송된 데이터를 지역별/행정구역별로 통합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관제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센서 및 모니터를 활용하여 재난알림 시 등록 연락처로 해당 센서 및 모니터에 등록된 해당 관리번호, 시설명칭, 최종이벤트 발생 일자, 주소, 설치일자 등이 포함된 설치 정보와 도면이나 웹 이미지를 SMS 문자 또는 어플 푸시기능으로 전송하여 빠르게 사고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20, 30 : 통신망
100 : 센서(sensor)
110 : 기울기센서
120 : 크랙센서
130 : 온도센서
140 : 습도센서
150 : 화재 감지기
300 : 플랫폼 서버
310 :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프로그램
400 : 고객PC
500 : 휴대전화

Claims (15)

  1. 구조물의 내부 및/또는 외부에 설치되어 구조물의 기울기와 크랙을 감지하고 온도, 습도, 화재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100); 상기 센서(100)의 신호 또는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수신받아 모니터링하고 관제하는 플랫폼 서버(300); 상기 센서(100)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저장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서버(600); 및 상기 플랫폼 서버(300)에 설치 및 운영되고, 로그인을 통해 메인페이지에 접속하며, 상기 메인페이지 화면에 표시된 지도에서 해당 지역을 클릭하면 해당 지역의 지도에 상기 센서(100)가 설치된 위치정보가 표시되고, 해당 지역의 위험구조물에 설치된 전체 센서(100)의 개수, 각 센서(100)의 종류 및 개수, 실시간 센서(100)별 정상 및 이상 감지 개수, 일일 장애발생건수, 온도, 습도, 화재를 포함한 센서(100)의 정보가 화면에 표시되고, 상기 메인페이지 화면에 시설물 정보와 시설물 리스트를 출력하는 시설물 메뉴와 디바이스 리스트를 출력하는 디바이스 메뉴와 이벤트 리스트를 출력하는 이벤트이력 메뉴와 데이터 시각화 리스트를 출력하는 데이터시각화 메뉴를 제공하며, 상기 구조물의 X축 및 Y축 기울기를 측정한 기울기 X축 및 Y축의 교정값을 입력받거나 시스템관리자로부터 임의의 기울기 X축 및 Y축의 교정값을 입력받고, 상기 기울기 X축 및 Y축의 교정값으로부터 이상여부 및 재난의 감지 범위를 정하는 기울기 X축 및 Y축의 알림 기준값을 입력받으며, 상기 교정값과 상기 알림 기준값을 가지고 상기 센서(100)의 측정값과 비교하여 이상여부 및 재난을 감지하는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프로그램(310);을 포함하는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플랫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프로그램(310)은,
    상기 메인페이지의 디바이스 메뉴를 선택하면, 디바이스 종류, 디바이스명, 시설명칭, 통신상태, 센서상태, 설치일자, 조건선택을 포함한 디바이스 입력창과, 디바이스 종류, 디바이스 번호, EUI, 디바이스명, 시설명칭, 통신상태, 센서상태, 설치일자, QR을 포함한 디바이스 리스트를 포함한 디바이스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디바이스 화면에서 디바이스 리스트 항목을 클릭하면, 디바이스 기본정보, 설치정보, 도면이미지와, 센서데이터, 원본데이터, 설정변경이력, 이벤트 설정, 데이터 그래프 카테고리를 화면에 제공하고,
    상기 센서데이터 카테고리를 클릭하면 일시, 상태, X축, Y축, 온도, 습도, 배터리잔량을 화면에 출력하고,
    상기 원본데이터 카테고리를 클릭하면 일시, 상태, X축, Y축, 온도, 습도, 배터리잔량을 화면에 출력하고,
    상기 설정변경이력 카테고리를 클릭하면 변경일시, 변경자, 기울기 X축 및 Y축의 교정값, 기울기 X축 및 Y축의 알림 기준값, SMS 수신주기를 화면에 출력하고,
    상기 이벤트설정 카테고리를 클릭하면 이벤트명, 이벤트설명, 이벤트 조건수, 최종 이벤트발생일, 설정정보 보기, 사용여부를 화면에 출력하고,
    상기 디바이스 화면의 이벤트설정 화면에서 이벤트 추가 버튼을 클릭하면, 이벤트명, 이벤트 설명, 사용여부를 포함한 기본정보와, 이벤트 종류, 이벤트 값, 이벤트 범위, 이벤트 발생횟수, 삭제를 포함한 이벤트 조건과, SMS 수신번호를 포함한 이벤트설정 화면을 출력하여 이벤트를 추가 등록하며,
    상기 메인페이지의 데이터시각화 메뉴를 선택하면, 종류, 시설명칭, 조건선택, 기간, 통신상태, 센서상태를 포함한 데이터시각화와, 각 센서의 X축, Y축, 온도, 습도의 측정값을 시간대별로 그래프로 표시한 데이터 시각화 리스트를 화면에 출력하는,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플랫폼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프로그램(310)은,
    상기 메인페이지의 시설물 메뉴를 선택하면, 센서가 설치된 시설물의 관리번호, 시설명칭, 책임담당자, 건물상태, 지역구분, 상세주소를 포함하는 시설물 정보와, 시설물 관리번호, 시설명칭, 주소, 책임담당자, 건물상태, 센서이상 개수, 디바이스 개수, 최종 이벤트발생일을 포함하는 시설물리스트가 포함된 시설물 화면을 출력하는,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플랫폼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프로그램(310)은,
    상기 시설물 화면에서 상기 시설물리스트의 항목을 선택하면, 시설물 관리번호, 시설명칭, 건물용도, 구조, 주소를 포함한 시설물기본정보와, 건물상태, 센서이상 개수, 최종이벤트를 포함한 안전진단현황과, 책임담당자 정보와, 디바이스번호, EUI, 디바이스명, 설치위치, 통신상태, 센서상태, 설치일자를 포함한 설치디바이스 카테고리와, 디바이스번호, EUI, 디바이스명, 이벤트발생일자, 이벤트명, 이벤트상세, 디바이스 보기를 포함한 이벤트 발생내역 카테고리와, 위치정보 카테고리를 화면에 출력하는,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플랫폼 시스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프로그램(310)은,
    상기 디바이스 화면에서 신규 버튼을 클릭하면, 센서의 종류, 디바이스명, 디바이스 번호, 첨부파일, 메모를 포함한 디바이스 기본정보와, 공개여부, 대상시설물, 설치위치, 설치일자, 도면/이미지를 포함한 설치정보와, 기울기 X축 및 Y축의 교정값 설정과, SMS수신주기와 기울기 X축 및 Y축의 알림 기준값을 화면에 출력하여 디바이스를 신규 등록하는,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플랫폼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프로그램(310)은,
    상기 디바이스 화면에서 수정 버튼을 클릭하면, 센서의 종류, 디바이스명, 디바이스 번호, 첨부파일, 메모를 포함한 디바이스 기본정보와, 공개여부, 대상시설물, 설치위치, 설치일자, 도면/이미지를 포함한 설치정보와, 기울기 X축 및 Y축의 교정값 설정과, SMS수신주기와 기울기 X축 및 Y축의 알림 기준값을 화면에 출력하여 디바이스를 수정하여 저장하는,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플랫폼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프로그램(310)은,
    상기 메인페이지의 이벤트이력 메뉴를 선택하면, 이벤트 발생일시, 이벤트명, 시설명칭, 디바이스 번호, EUI를 포함한 이벤트 이력과, 이벤트 발생일시, 이벤트명, 디바이스 번호, EUI, 디바이스명, 시설명칭, 상세내역 보기를 포함한 이벤트 리스트를 화면에 출력하는,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플랫폼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프로그램(310)은,
    상기 이벤트리스트에서 상세내역 "보기"버튼을 클릭하면, 디바이스 번호, EUI, 디바이스명, 시설명칭을 포함한 디바이스 정보와, 이벤트 발생일시, 이벤트명, 이벤트 설명을 포함한 이벤트 정보와, 이벤트 조건과, 이벤트 종류, 발생값, 발생횟수, 발생일시를 포함한 이벤트내역의 이벤트발생이력 화면을 출력하는,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플랫폼 시스템.
  11. 삭제
  12. 삭제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플랫폼 시스템은,
    상기 플랫폼 서버(300)에 로그인하여 상기 센서(100)의 위치별로 건물내부의 도면 또는 웹 이미지를 등록하고, 상기 도면 또는 웹 이미지에 경계 구역 명, 센서와 비상구 위치, 대피방향을 등록하는 고객 PC(400); 및
    상기 플랫폼 서버(300)로부터 도면 경로가 포함된 SMS 문자, 이메일, 어플 푸시기능 중 하나 이상을 수신받아 상기 도면 경로를 클릭하면 상기 고객 PC(400)에서 등록한 상기 센서(100)의 위치가 표시된 도면 또는 웹 이미지가 화면에 출력되는 휴대전화(5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랫폼 서버(300)는,
    재난 발생시 시스템에 등록된 연락처로 상기 센서(100)와 비상구의 위치, 대피방향이 포함된 도면 경로의 웹 주소를 SMS 문자, 이메일, 어플 푸시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 전송하고, 안전수칙과 대응방법, 진압방법, 긴급전화번호를 안내하고,
    상기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플랫폼은,
    상기 메인페이지의 메뉴를 통해 상기 센서(100)가 설치된 장소 명, 경계 구역 명, 신호발생 위치, 비상구 위치, 대피방향, 등록일, 수신기번호, 센서의 사양, 문자수신자의 연락처, 재난발생시 SMS 발송주기시간을 등록하는,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플랫폼 시스템.
  14. 청구항 13 있어서,
    상기 SMS 문자는,
    상기 센서(100)의 경고신호 및 수치데이터가 발생한 장소, 날짜, 시간, 도면 경로의 웹 주소나 어플 푸시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휴대전화(500)는,
    재난 발생 시 상황전파, 대피 요령, 진압 방법, 이동장비, 보행자 안전을 안내하는 비상시 행동요령 버튼과, 해당 재난담당자나 119센터에 통화 연결하는 긴급전화번호 버튼을 화면에 터치 방식으로 제공하는,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플랫폼 시스템.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서(100)는,
    기울기 센서, 크랙 센서, 온습도 센서, 화재감지기를 포함하는,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플랫폼 시스템.
KR1020210143933A 2021-10-26 2021-10-26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플랫폼 시스템 KR102417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3933A KR102417277B1 (ko) 2021-10-26 2021-10-26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플랫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3933A KR102417277B1 (ko) 2021-10-26 2021-10-26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플랫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7277B1 true KR102417277B1 (ko) 2022-07-06

Family

ID=82400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3933A KR102417277B1 (ko) 2021-10-26 2021-10-26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플랫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72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61264A (ko) 2022-10-31 2024-05-08 고기봉 온도 센서 및 틸트 센서 데이터의 시각화 모니터링을 활용한 건축물 안전진단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9330A (ko) * 2015-11-20 2017-05-30 다드림미래기술 주식회사 구조물 상태 위험 감지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24644A (ko) * 2017-08-31 2019-03-08 주식회사 에스위너스 IoT 기반 창고 보안 관제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062462B1 (ko) 2018-08-13 2020-01-03 박영진 IoT 화재감지기와 이를 이용한 IoT 스마트안전관리시스템
KR102097039B1 (ko) * 2018-11-27 2020-04-03 (주)텔코코리아아이에스 공간정보 기반의 지능형 구조물 안전 모니터링 플랫폼
KR102242111B1 (ko) * 2019-11-22 2021-04-20 김성연 블록체인을 이용한 화재 감시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20210085168A (ko) * 2019-12-30 2021-07-08 달리웍스 주식회사 머신러닝 기반 건축 구조물 고유 진동값 학습을 통한 안전 진단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9330A (ko) * 2015-11-20 2017-05-30 다드림미래기술 주식회사 구조물 상태 위험 감지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24644A (ko) * 2017-08-31 2019-03-08 주식회사 에스위너스 IoT 기반 창고 보안 관제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062462B1 (ko) 2018-08-13 2020-01-03 박영진 IoT 화재감지기와 이를 이용한 IoT 스마트안전관리시스템
KR102097039B1 (ko) * 2018-11-27 2020-04-03 (주)텔코코리아아이에스 공간정보 기반의 지능형 구조물 안전 모니터링 플랫폼
KR102242111B1 (ko) * 2019-11-22 2021-04-20 김성연 블록체인을 이용한 화재 감시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20210085168A (ko) * 2019-12-30 2021-07-08 달리웍스 주식회사 머신러닝 기반 건축 구조물 고유 진동값 학습을 통한 안전 진단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61264A (ko) 2022-10-31 2024-05-08 고기봉 온도 센서 및 틸트 센서 데이터의 시각화 모니터링을 활용한 건축물 안전진단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5499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arly warning of seismic events
CN105160514A (zh) 治安综合管理系统和治安综合管理的方法
US10026302B1 (en) Mobile alarm device
KR102131656B1 (ko) 소방관리업무 클라우드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CN107438766B (zh) 基于图像的监视系统
JP6005380B2 (ja) 点検支援装置および点検支援システム
KR102284747B1 (ko) 재난 감시 및 대응 시스템
KR101837664B1 (ko) 하천 스마트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2501053B1 (ko) 복합 화재 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KR102417277B1 (ko)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플랫폼 시스템
KR20150080127A (ko) 화재 예방 시스템 및 방법
Perilla et al. Fire safety and alert system using arduino sensors with IoT integration
KR20200031246A (ko) Ict 기반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을 위한 모바일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2238764B1 (ko) 위해도 평가를 이용한 실시간 사고 예측 시스템 및 그 방법
JP5254107B2 (ja) 警備点検システム、警備点検端末、警備点検方法、及び警備点検プログラム
KR100364917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계측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21978B1 (ko) 공정안전관리 기반 디지털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9359953A (zh) 一种消防服务系统
CN114175599B (zh) 用于楼宇管理环境的警报问题管理
KR20160046767A (ko) 개인정보보호 측정 시스템
KR101962921B1 (ko) 구조물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KR20160074705A (ko) 온도/진동센서를 통한 위험지역 재난/화재 방지 시스템
KR102244515B1 (ko) 흙막이 시설물 관리서버
CN115022041B (zh) 信息安全风险评估方法、装置、终端设备和存储介质
Agrafioti et al. The SecureGas key performance indica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