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2921B1 - 구조물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구조물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2921B1
KR101962921B1 KR1020180040608A KR20180040608A KR101962921B1 KR 101962921 B1 KR101962921 B1 KR 101962921B1 KR 1020180040608 A KR1020180040608 A KR 1020180040608A KR 20180040608 A KR20180040608 A KR 20180040608A KR 101962921 B1 KR101962921 B1 KR 101962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unit device
neighboring
user device
devi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0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상오
한소율
한주연
한수민
박채연
박준연
Original Assignee
남상오
한소율
한주연
한수민
박채연
박준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상오, 한소율, 한주연, 한수민, 박채연, 박준연 filed Critical 남상오
Priority to KR1020180040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29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2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2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Abstract

복수의 단위 디바이스 및 복수의 단위 디바이스와 연결된 사용자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단위 디바이스는 인근 단위 디바이스의 상대적 위치를 획득하고, 획득된 인근 단위 디바이스의 위치와 저장된 인근 단위 디바이스의 정상 위치를 비교하는 프로세서 및 비교한 결과를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구조물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구조물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ONSTRUC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구조물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구체적으로 복수의 단위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구조물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 기술의 발전으로 고층 건물, 각종 교량, 도로 및 철로 등의 다양한 구조물이 점점 더 많이 건축되고, 실생활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물을 생성하는 분야의 기술 발전과 비교하여 구조물의 안전을 관리하는 분야는 상대적으로 기술 발전이 미진한 부분이 있다.
그 결과, 구조물 각 부위에 대한 정보를 수시로 획득하여 구조물의 이상 여부에 대한 알림을 전송할 수 있는 구조물 관리 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고비용, 저효율 등의 문제로 실현되기 힘든 면이 있었다(기울기 센서를 이용한 구조물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 방법, 10-0957187, 2010.05.11.).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단위 디바이스 및 상기 복수의 단위 디바이스와 연결된 사용자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단위 디바이스는, 인근 단위 디바이스의 상대적 위치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인근 단위 디바이스의 위치와 저장된 상기 인근 단위 디바이스의 정상 위치를 비교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비교한 결과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구조물 관리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구조물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복수의 단위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비교 결과 중, 소정의 오차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가 소정의 수 이상이면,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구조물 관리 시스템은 상기 단위 디바이스는 오차 범위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위 디바이스의 통신부는 상기 비교 결과의 차이가 상기 오차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 상기 비교 결과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복수의 단위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비교 결과가 소정의 수 이상 수신된 경우, 알림을 출력할 수도 있다.
구조물 관리 시스템 에 있어서, 상기 알림은 소정의 대상에게 자동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림은 시각적, 청각적 방법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 출력될 수 있다.
상기 구조물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오차 범위는 상기 획득된 인근 단위 디바이스의 위치를 축적한 데이터를 기초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조물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위 디바이스의 프로세서는 진동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진동과 저장된 정상 진동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조물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위 디바이스의 프로세서는 소음의 크기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소음의 크기와 저장된 정상 소음의 크기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조물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위 디바이스의 프로세서는 열팽창 거동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열팽창 거동과 저장된 열팽창 거동의 정상 범위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 일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단위 디바이스가, 각각 인근 단위 디바이스의 위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단위 디바이스가, 상기 획득된 인근 단위 디바이스의 위치를 저장된 상기 인근 단위 디바이스의 정상 위치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단위 디바이스가, 상기 비교된 결과를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조물 관리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조물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복수의 단위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비교 결과 중, 소정의 오차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가 소정의 수 이상이면, 알림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조물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위 디바이스는 상기 비교 결과의 차이가 저장된 오차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 상기 비교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복수의 단위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비교 결과가 소정의 수 이상 수신된 경우, 알림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림은 시각적 방법 및 청각적 방법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 출력되거나, 소정의 대상에게 자동으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구조물 관리 방법에서 상기 오차 범위는 상기 획득된 인근 단위 디바이스의 위치를 축적한 데이터를 기초로 업데이트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조물 관리 방법은 상기 복수의 단위 디바이스가 각각 진동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진동과 저장된 정상 진동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조물 관리 방법은 상기 복수의 단위 디바이스는 각각 소음의 크기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소음의 크기와 저장된 정상 소음의 크기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조물 관리 방법은 상기 복수의 단위 디바이스는 각각 열팽창 거동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열팽창 거동과 저장된 열팽창 거동의 정상 범위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일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구조물 관리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관리 시스템을 도로 안전 관리를위하여 적용한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관리 시스템을 공사 현장 안전 관리를 위하여 적용한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관리 시스템을 건물 안전 관리를 위하여 적용한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관리 시스템을 교량 안전 관리를 위하여 적용한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관리 시스템을 철로 안전 관리를 위하여 적용한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오차 범위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디바이스, 사용자 디바이스 및 기타 디바이스 사이의 데이터 흐름을 도시하는 구조물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디바이스, 사용자 디바이스 및 기타 디바이스 사이의 데이터 흐름을 도시하는 구조물 관리 방법의 다른 흐름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오차 범위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디바이스의 다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구조물”이란 일정한 설계에 따라 여러 가지 재료를 얽어서 만든 물건 및 건축물을 뜻한다. 구조물의 예로, 건물, 다리(bridge), 터널, 철로, 도로 등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모바일 단말”이란 휴대 전화, 스마트 폰, 테블릿 PC, 랩탑 PC, PMP(portable multid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을 포함하는 휴대 가능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열팽창 거동”이란 온도 변화에 의하여 발생하는 물질의 움직임을 의미한다. 이러한 열팽창 거동은 물질의 종류와 구성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단위 디바이스(100 내지 150) 및 사용자 디바이스(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위 디바이스”란 구조물의 일부에 설치되어, 디바이스가 설치된 위치의 소음, 진동 또는 거동을 감지하거나, 인근에 있는 다른 단위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등의 방법으로 구조물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내용을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독립적인 디바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
단위 디바이스(100)는 구조물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가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위 디바이스(100)는 모바일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단위 디바이스(100)는 다른 단위 디바이스들(110 내지 150)과 통신할 수 있다.
구조물 관리 시스템에서 복수의 단위 디바이스(100 내지 150)는 다양한 구조물의 적절한 위치에 설치되어 각각 구조물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위 디바이스(100)는 인근 단위 디바이스의 상대적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인근 단위 디바이스”란 단위 디바이스의 전, 후, 좌, 우, 상 및 하 등의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 대하여 단위 디바이스에서 가장 근접한 위치에 있는 다른 단위 디바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
인근 단위 디바이스에 대한 설정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위 디바이스 100의 인근 단위 디바이스는 단위 디바이스와 서로 마주보고 있는 상태에 있는 전방의 다른 단위 디바이스 130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단위 디바이스 100과 단위 디바이스 130은 일대 일로 서로의 위치를 획득하여 서로가 정상 위치에 있는지를 체크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인근 단위 디바이스는 전방의 최 근접 디바이스, 좌측 방향의 최 근접 단위 디바이스 및 우측 방향의 최 근접 단위 디바이스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단위 디바이스들은 각각 자신의 전방, 좌측, 우측 방향으로 가장 근접한 다른 단위 디바이스들의 위치를 획득하여 해당 단위 디바이스들이 미리 정해진 정상 위치에 있는지를 체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근 단위 디바이스는 상, 하 방향으로의 최 근접 디바이스로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인근 단위 디바이스에 대한 설정은 사용자 입력을 통하여 혹은 자동으로 결정될 수 있다. 하나의 구조물에 있어서도 인근 단위 디바이스에 대한 설정은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복수의 단위 디바이스(100 내지 150)는 획득한 정보를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위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디바이스(200)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복수의 단위 디바이스(100 내지 150)로부터 구조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들을 통합하여 새로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모바일 단말일 수 있고, 유선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단위 디바이스(100)의 구조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도2 및 도12 등에서 후술한다.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복수의 단위 디바이스들(100 내지 150)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디바이스(100)는 프로세서(101) 및 통신부(103)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1)는 인근 단위 디바이스의 상대적 위치를 획득하고, 획득된 인근 단위 디바이스의 위치와, 저장된 인근 단위 디바이스의 정상 위치를 비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 단위 디바이스(100)는 어떤 단위 디바이스가 자신의 인근 단위 디바이스인지에 대한 정보 및 각 인근 단위 디바이스의 정상 위치가 어디인지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근 단위 디바이스의 정상 위치”는 구조물이 안전한 상태에 있는 경우 단위 디바이스(100)에 대한 인근 단위 디바이스의 상대적인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인근 단위 디바이스의 정상 위치는 인근 단위 디바이스에 대한 설정을 기초로 계산에 의하여 예측한 값 또는 실측에 의하여 획득된 값일 수 있다.
또한, 단위 디바이스(100)는 인근 단위 디바이스의 정상 위치를 기초로 두 디바이스 사이의 정상 기울기를 산출할 수 있다.
단위 디바이스(100)는 단위 디바이스(100)의 현재 위치와 획득된 인근 단위 디바이스의 위치를 통하여 구조물의 현재 기울기를 산출하여 저장된 정상 기울기와 비교할 수 있다.
프로세서(101)는 정상 기울기와 현재 기울기를 비교함으로써 구조물의 기울기 변화까지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101)는 주기적으로 인근 단위 디바이스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인근 단위 디바이스의 위치를 획득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1)는 센서를 통하여 인근 단위 디바이스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그 밖에, 프로세서(101)는 GPS 또는 RFID 등의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인근 단위 디바이스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01)는 인근 단위 디바이스의 상대적 위치를 획득하고, 획득된 인근 단위 디바이스의 위치와 저장된 인근 단위 디바이스의 정상 위치를 비교할 수 있다.
프로세서(101)는 랩탑 PC나 PDA, 휴대 전화 등과 같은 모바일 단말 내부에 존재할 수 있으나, 랩탑 PC 등의 모바일 단말과 독립적으로 외부에 존재할 수도 있다.
통신부(103)는 프로세서(101)가 처리한 결과 데이터를 사용자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 S310에서, 복수의 단위 디바이스는 각각 인근 단위 디바이스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도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인근 단위 디바이스의 위치는 센서 또는 GPS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획득될 수 있다. 인근 단위 디바이스의 위치는 단위 디바이스(100)로부터의 상대적인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인근 단위 디바이스의 정상 위치는 단위 디바이스(100)의 정면으로부터 평행한 방향으로 500미터 떨어진 지점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한 인근 단위 디바이스의 정상 위치는 단위 디바이스(100)의 정면으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200미터 떨어진 지점일 수 있다.
하나의 구조물에 설치되는 단위 디바이스(100)의 수 및 설치 위치는 구조물의 종류 및 환경에 따라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통상, 단위 디바이스(100) 수가 많을수록 구조물에 대한 정보를 더 많이 획득할 수 있으므로, 구조물의 안전 관리 측면에서 더 유리하다고 볼 수 있다.
단계 S330에서, 단위 디바이스(100)는 획득된 인근 단위 디바이스의 위치를 저장된 인근 단위 디바이스의 정상 위치와 비교할 수 있다.
단위 디바이스(100)는 획득된 인근 단위 디바이스의 위치를 저장된 인근 단위 디바이스의 위치와 비교하여 비교 시점마다 구조물의 기울기 및 위치가 정상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일, 구조물의 일부가 멸실되거나 구조물이 전체적으로 기울어진 경우, 인근 단위 디바이스의 위치를 획득할 수 없거나, 획득된 인근 단위 디바이스의 위치가 저장된 인근 단위 디바이스의 정상 위치와 다를 수 있다. 또한, 구조물의 일부가 내려앉거나, 솟아오른 경우와 같이 변경된 경우, 획득된 인근 단위 디바이스의 위치와 단위 디바이스(100)의 위치가 이루는 기울기 값이 정상 기울기 값과 다를 수 있다. 또한, ,
단계 S350에서, 단위 디바이스(100)는 비교된 결과를 사용자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200)로 전송되는 비교된 결과는 획득된 인근 단위 디바이스의 위치 및 저장된 인근 단위 디바이스의 정상 위치일 수 있고, 획득된 인근 단위 디바이스의 위치가 저장된 인근 단위 디바이스의 정상 위치와 다르다는 결과 자체일 수도 있으며, 획득된 인근 단위 디바이스의 위치와 단위 디바이스(100)의 위치를 이은 기울기 값 및 정상 기울기 값일 수도 있고, 획득된 인근 단위 디바이스의 위치와 단위 디바이스(100)의 위치를 이은 기울기 값 및 정상 기울기 값이 다르다는 결과일 수도 있다.
단위 디바이스(100)가 사용자 디바이스(200)로 전송하는 내용은 다양한 내용 및 형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관리 시스템을 도로 안전 관리를위하여 적용한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단위 디바이스 100의 인근 단위 디바이스는 단위 디바이스 130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단위 디바이스 100은 인근 단위 디바이스 130의 상대적 위치를 획득하여, 획득된 인근 단위 디바이스 130의 위치를 저장된 인근 단위 디바이스의 정상 위치와 비교한 후, 비교 결과를 사용자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단위 디바이스 130은 인근 단위 디바이스 100의 상대적 상대적 위치를 획득하여, 획득된 단위 디바이스 100의 위치를 저장된 단위 디바이스 100의 정상 위치와 비교한 후, 비교 결과를 사용자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단위 디바이스 110은 단위 디바이스 140과, 단위 디바이스 120은 단위 디바이스 150과 서로의 상대적 위치를 획득하여, 획득된 단위 디바이스의 위치를 저장된 단위 디바이스의 정상 위치와 비교한 후, 비교 결과를 사용자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단위 디바이스 100의 인근 단위 디바이스는 단위 디바이스 110 및 단위 디바이스 130이 될 수도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복수의 단위 디바이스(100 내지 150)로부터 수신된 비교 결과를 분석하여 구조물의 안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비정상적인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조물의 안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비정상적인 상황으로는 지진, 태풍 등과 같은 자연 재해 및 폭발, 교통 사고, 화재, 구조물의 노후화 등과 같은 비자연 재해 등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구조물 관리자의 모바일 단말일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구조물 관리 사무소의 데스크 탑이나 서버일 수도 있다.
기존에는 구조물의 안전 점검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마다 일회적으로 개별 장비를 설치하여 구조물에 비정상적인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확인 하였는데, 설치되는 장비의 부피가 커서 이동이 어려우며, 설치에 비용이 많이 발생하여 어려움이 있었다.
본 개시의 단위 디바이스들(100 내지 150)은 모바일 단말의 형태로 구조물에 상시 설치되어 실시간으로 혹은 주기적으로 구조물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사용자 디바이스(200)와 공유함으로써 구조물 안전 관리에 대한 신뢰도 및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구조물 관리 시스템은 구조물뿐 아니라 구조물 주변의 지형지물을 하나의 구조물 관리시스템에 포함시켜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 비탈과 같은 급경사에 위치한 도로의 경우, 산 비탈에 설치된 안전 장치 등에 단위 디바이스를 설치하고, 산 비탈에 설치된 단위 디바이스와 도로에 설치된 단위 디바이스가 서로의 위치를 체크하도록 함으로써, 산사태가 나거나, 산 비탈의 일부가 무너져 내릴 경우의 위험에 대비할 수 있다.
구조물 주변의 지형지물을 하나의 구조물 관리시스템에 포함하는 예시는 도로에만 국한되어 적용되는 것이 아니고, 다양한 종류의 구조물에 적용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관리 시스템을 공사 현장 안전 관리를 위하여 적용한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공사 현장 특히, 고층 건물의 공사 현장에서는 불완전한 구조물의 상태로 인하여 사고가 빈번히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위 디바이스(100)는 공사 중인 철골 구조물의 일부에 설치되어 인근 단위 디바이스(110)의 상대적 위치를 획득하고, 획득된 인근 단위 디바이스(110)의 위치를 저장된 인근 단위 디바이스(110)의 정상 위치와 비교한 후, 비교 결과를 사용자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획득된 인근 단위 디바이스(110)의 위치가 저장된 인근 단위 디바이스(110)의 정상 위치와 다를 경우 공사 현장의 철골 구조물이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기울어지거나, 일부 유실되었을 가능성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복수의 단위 디바이스(100 내지 150)로부터 비교 결과를 수신함으로써 구조물에 대하여 더욱 정확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더 많은 수의 단위 디바이스가, 획득한 인근 단위 디바이스의 위치와 저장된 인근 단위 디바이스의 위치가 다르다는 결과를 전송할수록 구조물의 상태가 더 심각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복수의 단위 디바이스(100 내지 150)를 통하여 수집한 정보를 이용하여 공사 현장에서의 사고 위험을 감지하고,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조치를 취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위 디바이스 120은 동일한 층에 설치된 단위 디바이스 130 및 단위 디바이스 140을 인근 단위 디바이스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단위 디바이스 130은 단위 디바이스 120 및 단위 디바이스 150을 인근 단위 디바이스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단위 디바이스 140은 단위 디바이스 120 및 단위 디바이스 150을 인근 단위 디바이스로 결정하고, 단위 디바이스 150은 단위 디바이스 130 및 단위 디바이스 140을 인근 단위 디바이스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의 단위 디바이스는 다른 층의 단위 디바이스를 인근 단위 디바이스로 결정함으로써, 구조물의 수직 방향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관리 시스템을 건물 안전 관리를 위하여 적용한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건물주는 사용 중인 건물에 대하여, 특정 시스템을 설치하여 보안 관리를 경우가 많지만, 동일한 방식으로 건물의 안전 관리를 하는 경우는 드물다. 그러나, 최근에는 건물의 보안 관리 못지 않게 안전 관리가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다.
건물의 안전 관리에는 화재, 폭발, 노후화로 인한 변형 및 그 밖의 사고에 대한 관리가 포함될 수 있다.
도6의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단위 디바이스(100 내지 130)가 건물의 다양한 장소에 설치되어, 실시간으로 혹은 주기적으로 건물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실시간으로 획득한 정보를 사용자 디바이스(200)와 공유함으로써 건물 안전 관리에 대한 신뢰도 및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위 디바이스 100은 인근 단위 디바이스 120의 위치를 획득하고, 획득된 인근 단위 디바이스 120의 위치를 저장된 인근 단위 디바이스 120의 정상 위치와 비교할 수 있다. 단위 디바이스 100은 비교된 결과를 사용자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 밖에 다른 단위 디바이스 110, 120 및 130도 단위 디바이스 100과 같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6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건물의 각 층마다 단위 디바이스를 설치하고, 특정한 단위 디바이스의 인근 단위 디바이스로, 위, 아래 층의 동일한 위치에 설치된 단위 디바이스를 각각 설정하는 경우, 건물의 수평 방향뿐 아니라 수직 방향으로의 기울기 변화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복수의 단위 디바이스(100 내지 130)로부터 수신된 비교 결과를 이용하여 건물의 안전 상태에 대한 위험을 감지하고 예방을 위한 조치를 취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건물의 안전 상태에 대한 위험을 감지한 경우, 소방소, 관리사무소 또는 재난구조본부 등의 유관 기관에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건물의 안전 관리 업체는 본 개시의 구조물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건물의 안전 상태에 대하여 상시 점검을 하다가, 사용자 디바이스(200)가 비정상 상황을 감지하면 직접 출동하여 상태를 확인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해 줄 수 있다. 건물의 보안 관리 업체가 보안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시 점검을 하다가 건물에 무단 침입자가 있는 등의 비정상 상황이 발생하면 직접 출동하여 상황을 해결하는 것과 유사한 방식이다.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건물에 대하여 하나의 구조물 관리 시스템을 적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구조물 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건물을 하나의 구조물처럼 인식하고, 서로 다른 건물에 설치된 단위 디바이스들을 통하여 각 건물에 대한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인근 건물에 의하여 발생하는 위험까지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하나의 건물에 발생한 화재나 붕괴 등과 같은 사고가 인근의 다른 건물에 위험이 되는 경우가 많다는 점에서 활용도가 높을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하나의 건물과 건물 주변의 다른 구조물에 대하여 하나의 구조물 관리 시스템을 적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구조물 관리 시스템은 건물 및 건물 주변의 다른 구조물을 하나의 구조물처럼 인식하고, 건물 및 건물 주변의 다른 구조물에 설치된 단위 디바이스들을 통하여 각 건물에 대한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건물 주변에서 발생하는 위험까지 관리할 수 있다. 건물 주변의 다른 구조물로는 방음벽, 송전탑 등과 같은 인공적인 구조물 및 산, 바위 등과 같은 자연적인 구조물이 포함될 수 있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관리 시스템을 교량 안전 관리를 위하여 적용한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구조물 관리 시스템을 교량에 적용한 도7의 실시예는 구조물 관리 시스템을 도로에 적용한 도4의 실시예와 유사하다.
일 실시예에서 단위 디바이스 100의 인근 단위 디바이스는 단위 디바이스 130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단위 디바이스 100은 인근 단위 디바이스 130의 상대적 위치를 획득하여, 획득된 인근 단위 디바이스 130의 위치를 저장된 인근 단위 디바이스의 정상 위치와 비교한 후, 비교 결과를 사용자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단위 디바이스 100의 인근 단위 디바이스는 단위 디바이스 110 및 단위 디바이스 130이 될 수도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복수의 단위 디바이스(100 내지 150)로부터 수신된 비교 결과를 분석하여 교량의 안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비정상적인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7에서는 단위 디바이스(100 내지 150)들이 외부에 노출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단위 디바이스(100 내지 150)들은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관리 시스템을 철로 안전 관리를 위하여 적용한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구조물 관리 시스템을 철로에 적용한 도8의 실시예는 구조물 관리 시스템을 도로에 적용한 도4의 실시예 및 구조물 관리 시스템을 교량에 적용한 도7의 실시예 와 유사하다.
일 실시예에서 단위 디바이스 100의 인근 단위 디바이스는 단위 디바이스 140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단위 디바이스 100은 인근 단위 디바이스 140의 상대적 위치를 획득하여, 획득된 인근 단위 디바이스 140의 위치를 저장된 인근 단위 디바이스의 정상 위치와 비교한 후, 비교 결과를 사용자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단위 디바이스 100의 인근 단위 디바이스는 단위 디바이스 110 및 단위 디바이스 140이 될 수도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복수의 단위 디바이스(100 내지 170)로부터 수신된 비교 결과를 분석하여 철로의 안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비정상적인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오차 범위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단위 디바이스(100)는 인근 단위 디바이스(110)의 정상 위치를 저장하고 있다가 획득된 인근 단위 디바이스(110)의 위치와 비교한다.
하지만, 인근 단위 디바이스(110)의 위치가 저장된 인근 단위 디바이스(110)의 정상 위치와 다른 위치임에도 불구하고 구조물의 안전에 지장이 없는 범위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조물이 고층 건물일 경우 풍향 및 풍속에 따라 상시 구조물의 위치는 조금씩 움직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교량의 경우도 풍향 및 풍속 등에 따라 조금씩 흔들리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구조물 관리 시스템은 인근 단위 디바이스(110)의 위치가 저장된 인근 단위 디바이스(110)의 정상 위치에 대한 일정 범위의 차이는 문제 상황으로 인식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정상 값과 차이가 있더라도 구조물의 안전에 영향을 주지 않는 정상 값과의 차이 범위를 “오차 범위”라고 부르기로 한다.
예를 들어, 단위 디바이스 100의 인근 디바이스 110의 정상 위치는 (a)이지만, 인근 디바이스 110은 바람이나 열팽창 거동 등의 요인에 의하여 (b)위치 및 (c)위치까지는 일상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단위 디바이스 100에 저장된 인근 단위 디바이스 110의 정상 위치(a)와 획득된 인근 단위 디바이스 110의 위치가 다르더라도 획득된 인근 단위 디바이스 110의 위치가 (b)위치 및 (c)위치의 사이에 존재한다면, 구조물 관리 시스템은 구조물의 안전에 이상이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9는 인근 단위 디바이스(110)의 위치에 대한 오차 범위를 도시하고 있으나, 오차 범위는 위치에 관한 것 이외에도, 정상 소음에 대한 오차 범위, 정상 진동에 대한 오차 범위, 정상 열팽창 거동에 대한 오차 범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오차 범위는 인근 단위 디바이스(110)의 위치를 기초로 획득한 기울기에 대한 오차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조물 관리 시스템은 위치, 소음, 기울기, 진동, 열팽창 거동 등의 요소 중, 구조물 관리에 사용하기로 결정된 요소에 대한 오차 범위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오차 범위는 계산에 의하여 획득되거나, 실측 값을 기초로 한 통계 데이터를 통하여 획득될 수 있다.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디바이스, 사용자 디바이스 및 기타 디바이스 사이의 데이터 흐름을 도시하는 구조물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오차 범위는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단위 디바이스(100)는 적어도 하나의 인근 단위 디바이스의 위치를 획득하고, 획득된 단위 디바이스의 위치와 단위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인근 단위디바이스의 정상 위치를 비교하여, 비교된 결과를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단위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된 결과를 기초로, 획득된 단위 디바이스의 위치가 정상 위치로부터 오차 범위 이내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단위 디바이스의 위치가 정상 위치로부터 오차 범위 이내에 있는 경우, 구조물에 이상이 없다고 결정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획득된 인근 단위 디바이스의 위치가 정상 위치로부터 오차 범위를 초과한 위치에 있는 경우, 구조물에 이상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복수의 단위 디바이스로부터 비교된 결과를 수신하므로,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획득된 인근 단위 디바이스의 위치가 정상 위치로부터 오차 범위를 초과한 위치에 있다고 결정된 단위 디바이스의 수가 많을수록 구조물에 이상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획득된 인근 단위 디바이스의 위치가 정상 위치로부터 오차 범위를 초과한 위치에 있다고 결정된 단위 디바이스의 수가 소정의 수 이상인 경우,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소정의 수는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미리 정해지거나, 시스템에 의하여 자동으로 결정될 수 있다. 소정의 수는 비율에 의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알림은 다양한 방식으로 출력될 수 있는데, 사용자 디바이스(200)가 직접 비상 벨이 울리는 것과 같은 음성 알림 또는 붉은 빛이 일정 간격으로 점멸하는 것과 같은 시각적인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알림을 외부 디바이스(300)로 전송하는 방식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외부 디바이스(300)는 소방서, 재난구조본부, 사설 관리 기관 또는 관리 사무소의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300)는 해당 구조물 관리 책임자의 휴대 단말일 수도 있다.
도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디바이스, 사용자 디바이스 및 기타 디바이스 사이의 데이터 흐름을 도시하는 구조물 관리 방법의 다른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오차 범위는 단위 디바이스(100)에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단위 디바이스(100)는 적어도 하나의 인근 단위 디바이스의 위치를 획득하고, 획득된 단위 디바이스의 위치와 단위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인근 단위디바이스의 정상 위치를 비교하여, 획득된 인근 단위 디바이스의 위치가 오차 범위 이내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위 디바이스(100)는 획득된 인근 단위 디바이스의 위치가 오차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만 사용자 디바이스(200)로 비교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복수의 단위 디바이스(100)로부터 결과를 수신하므로, 수신된 수가 많을수록 구조물에 이상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비교 결과를 수신한 단위 디바이스의 수가 소정의 수 이상인 경우,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알림을 출력하는 방법은 도 11과 같을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단위 디바이스(100)는 획득된 인근 단위 디바이스의 위치가 오차 범위를 초과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비교된 결과를 모두 사용자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수신된 데이터를 기초로, 획득된 인근 단위 디바이스의 위치가 오차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가 많을수록 구조물에 이상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획득된 인근 단위 디바이스의 위치가 오차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의 수가 소정의 수 이상인 경우,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알림을 출력하는 방법은 도 11과 같을 수 있다.
도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오차 범위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오차 범위는 계산에 의하여 획득되거나, 실측 값을 기초로 한 통계 데이터를 통하여 획득될 수 있다. 통상 구조물 관리 시스템은 실측 값이 어느 정도 축적되기 전에는 계산 값을 통하여 획득된 오차 범위를 이용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실측 값을 기초로 획득된 오차 범위는 계산에 의하여 획득된 오차 범위와 다를 수 있고, 실측 값을 기초로 획득된 오차 범위가 계산에 의하여 획득된 오차 범위보다 정확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하여는 실측 값을 획득하는 것이 어려웠으므로, 실측 값을 기초로 오차 범위를 업데이트하기가 어려웠다.
본 개시의 구조물 관리 시스템은 종래의 방식과 비교할 때 실측 값을 용이한 방식으로, 다량 획득할 수 있으므로, 획득된 실측 값을 기초로 오차 범위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처음에 구조물 관리 시스템은 획득된 인근 단위 디바이스의 위치가 계산 값에 의하여 획득된 오차 범위를 초과하는 위치인 경우,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S1210). 그러나, 알림이 출력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구조물에 아무런 이상이 없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구조물 관리 시스템은 알림 처리 결과, 무사고라는 피드백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S1230). 무사고 피드백을 수신하는 경우, 구조물 관리 시스템은 오차 범위를 확대하는 방식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S1250).
구조물 관리 시스템은 알림이 출력되고(S1210), 구조물에 실제로도 이상이 생긴 경우, 무사고 피드백을 수신하지 못할 것이므로(S1230), 오차 범위를 업데이트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구조물 관리시스템은 무사고 피드백을 한 번 수신하였을 때바로 오차 범위를 업데이트하지 않고, 확률을 관리하는 등의 방식으로 일련의 데이터를 축적한 뒤 통계에 의하여 오차 범위를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구조물 관리시스템은 일정 기간 실측 데이터를 축적한 후, 축적된 실측 데이터를 통하여, 실제 구조물의 오차 범위가 저장된 오차 범위보다 작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10년 동안 구조물의 실측 데이터에 의하여 획득된 오차 범위가 계산된 오차 범위보다 작다면, 구조물 관리 시스템은 오차 범위를 축소하는 방식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오차 범위에 대한 업데이트가 진행될수록 구조물 관리 시스템은 실측 값을 기초로, 점점 더 정확도가 높은 알림을 출력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구조물 관리 시스템은 AI(Artificial Intelligence) 분야와 접목되어 데이터를 자동으로 습득하고, 습득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스스로 오차 범위에 대한 기준을 정립할 수 있다.
도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디바이스의 다른 구성도이다.
구조물 관리 시스템은 위치 및 기울기뿐 아니라, 소음, 진동 및 열팽창 거동 등에 의하여도 구조물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구조물 관리 시스템은 설치된 각 단위 디바이스(100) 주위의 소음을 수시로 측정하고, 정상 범주가 아닌 소음이 감지되는 경우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지진이나 구조물의 균열로 인한 사고 등 구조물에 비정상적인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큰 소음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러한 방법은 구조물의 안전 관리에 유용할 수 있다.
구조물 관리 시스템은 설치된 각 단위 디바이스(100) 주위의 진동을 수시로 측정하고, 정상 범주가 아닌 진동이 감지되는 경우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지진이나 구조물의 균열로 인한 사고 등 구조물에 비정상적인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사전에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러한 방법은 구조물의 안전 관리에 유용할 수 있다.
구조물 관리 시스템은 설치된 각 단위 디바이스(100) 주위의 열팽창 거동을 수시로 측정하고, 정상 범주가 아닌 열팽창 거동이 감지되는 경우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지진이나 구조물의 균열로 인한 사고 등 구조물에 비정상적인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급격한 온도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러한 방법은 구조물의 안전 관리에 유용할 수 있다.
구조물 관리 시스템이 구조물의 위치, 소음, 진동 및 열팽창 거동 등을 감지하는 방법으로는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조물 관리 시스템은 단위 디바이스(100) 내부에 센서를 포함하여 구조물의 위치, 소음, 진동 및 열팽창 거동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단위 디바이스(100)는 프로세서(101) 및 통신부(103) 외에도 위치 센서(105), 진동 센서(107), 소음 센서(109) 및 열팽창 거동 센서(111)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센서는 단위 디바이스(100)의 외부에 존재하면서 단위 디바이스(100)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조물 관리 시스템에 포함되는 센서들은 온오프(On/Off) 기능을 탑재하여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에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를 저장하여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판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저장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는,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로부터 프로세서에 의하여 독출되어 실행될 때,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영 디바이스 제어 방법을 구현하는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는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들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 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위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9)

  1. 복수의 단위 디바이스; 및
    상기 복수의 단위 디바이스와 연결된 사용자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단위 디바이스는,
    인근 단위 디바이스의 상대적 위치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인근 단위 디바이스의 위치와 저장된 상기 인근 단위 디바이스의 정상 위치를 비교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비교한 결과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된 상기 인근 단위 디바이스의 정상 위치는 계산에 의하여 획득되거나, 실측 데이터에 의하여 획득된 위치이고,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복수의 단위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비교 결과 중, 오차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가 소정의 수 이상이면, 알림을 출력하고,
    상기 오차 범위는, 상기 획득된 인근 단위 디바이스의 위치가 상기 오차 범위를 초과하여, 알림이 출력되었으나, 구조물에 이상이 없는 경우, 상기 획득된 인근 단위 디바이스의 위치까지 확대하여 업데이트되고,
    상기 인근 단위 디바이스는 상기 단위 디바이스로부터 전, 후, 좌, 우, 상 및 하측 방향으로 가장 인접한 단위 디바이스인 구조물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은 소정의 대상에게 자동으로 전송되는 구조물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은 시각적, 청각적 방법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 출력되는 구조물 관리 시스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디바이스의 프로세서는 진동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진동과 저장된 정상 진동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구조물 관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디바이스의 프로세서는 소음의 크기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소음의 크기와 저장된 정상 소음의 크기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구조물 관리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디바이스의 프로세서는 열팽창 거동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열팽창 거동과 저장된 열팽창 거동의 정상 범위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구조물 관리 시스템.
  10. 복수의 단위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구조물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 디바이스가, 각각 인근 단위 디바이스의 위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단위 디바이스가, 상기 획득된 인근 단위 디바이스의 위치를 저장된 상기 인근 단위 디바이스의 정상 위치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단위 디바이스가, 상기 비교된 결과를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복수의 단위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비교 결과 중, 오차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가 소정의 수 이상이면, 알림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된 상기 인근 단위 디바이스의 정상 위치는 계산에 의하여 획득되거나, 실측 데이터에 의하여 획득된 위치이고,
    상기 오차 범위는, 상기 획득된 인근 단위 디바이스의 위치가 상기 오차 범위를 초과하여, 알림이 출력되었으나, 구조물에 이상이 없는 경우, 상기 획득된 인근 단위 디바이스의 위치까지 확대하여 업데이트되고,
    상기 인근 단위 디바이스는 상기 단위 디바이스로부터 전, 후, 좌, 우, 상 및 하측 방향으로 가장 인접한 단위 디바이스인 구조물 관리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은 시각적 방법 및 청각적 방법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 출력되는 구조물 관리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은 소정의 대상에게 자동으로 전송되는 구조물 관리 방법.
  15. 삭제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 디바이스가 각각 진동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진동과 저장된 정상 진동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구조물 관리 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 디바이스는 각각 소음의 크기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소음의 크기와 저장된 정상 소음의 크기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구조물 관리 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 디바이스는 각각 열팽창 거동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열팽창 거동과 저장된 열팽창 거동의 정상 범위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구조물 관리 방법.
  19.    제 10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80040608A 2018-04-06 2018-04-06 구조물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KR101962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608A KR101962921B1 (ko) 2018-04-06 2018-04-06 구조물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608A KR101962921B1 (ko) 2018-04-06 2018-04-06 구조물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2921B1 true KR101962921B1 (ko) 2019-03-28

Family

ID=65908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0608A KR101962921B1 (ko) 2018-04-06 2018-04-06 구조물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29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2816B1 (ko) * 2023-02-08 2023-10-23 매크로드 주식회사 미세 동작 감지를 통해 안전성을 향상시킨 스마트 교량 인상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23494A (ja) * 2002-04-03 2005-08-04 エスアールアイ インターナショナル 構造的健全性モニタリングのためのセンサデバイス
KR20150115246A (ko) * 2014-04-03 2015-10-14 (주) 임베디드 솔루션 붕괴 재해를 감지하기 위한 초음파/rf 혼용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00685A (ko) * 2014-06-25 2016-01-05 윤홍식 세대 내 층간소음 알림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23494A (ja) * 2002-04-03 2005-08-04 エスアールアイ インターナショナル 構造的健全性モニタリングのためのセンサデバイス
KR20150115246A (ko) * 2014-04-03 2015-10-14 (주) 임베디드 솔루션 붕괴 재해를 감지하기 위한 초음파/rf 혼용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00685A (ko) * 2014-06-25 2016-01-05 윤홍식 세대 내 층간소음 알림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2816B1 (ko) * 2023-02-08 2023-10-23 매크로드 주식회사 미세 동작 감지를 통해 안전성을 향상시킨 스마트 교량 인상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3736B1 (ko) 건설현장 재해방지시스템 및 방법
US2019034091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arly warning of seismic events
KR102209384B1 (ko) 3차원 bim 객체 모델을 이용한 재난관리 시스템 및 재난관리 방법
US20120047083A1 (en) Fire Situation Awareness And Evacuation Support
KR102501053B1 (ko) 복합 화재 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JP6082597B2 (ja) 損傷状況報知システム及び地震防災システム
KR101815121B1 (ko) 통합 스마트 센서 및 관제서버를 통한 건축물 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
US10726268B2 (en) Building black box
US20160187310A1 (en) Image Based Surveillance System
KR102290182B1 (ko) 광산 갱내 붕락 감지를 위한 센싱 데이터 통합계측관리 시스템
US11378485B2 (en) Structural monitoring system
US7782197B2 (en) Systems and methods of detection using fire modeling
CN112288320A (zh) 一种地铁运行风险监控和管理系统
KR20170052271A (ko) 진동 가속도와 변위 계측 기반 재난 경보 시스템 및 방법
KR101962921B1 (ko) 구조물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KR20230134089A (ko) Ai 기반 사용자 맞춤형 재난 대응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KR102150173B1 (ko) 건물 안전상태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JP2009281924A (ja) 地盤崩壊予測警報システム及び地盤崩壊予測警報方法
KR102468888B1 (ko) IoT 기반 건물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US20160162609A1 (en) Device to verify structural consistency
CN114372311B (zh) 基于bim的设计检测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6645647B2 (ja) 報知装置、および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WO2018069897A1 (en)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displacements of a structure elements
KR102342929B1 (ko) 사고 발생패턴 분석을 통한 사고 취약지 분석 장치 및 방법
KR101977226B1 (ko) 투신 예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