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4515B1 - 흙막이 시설물 관리서버 - Google Patents

흙막이 시설물 관리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4515B1
KR102244515B1 KR1020200127046A KR20200127046A KR102244515B1 KR 102244515 B1 KR102244515 B1 KR 102244515B1 KR 1020200127046 A KR1020200127046 A KR 1020200127046A KR 20200127046 A KR20200127046 A KR 20200127046A KR 102244515 B1 KR102244515 B1 KR 102244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facility
wall
status inform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7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던
Priority to KR1020200127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45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4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4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10Miscellaneous comprising sensor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흙막이 시설물 관리서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시설물 관리서버는, 흙막이 시설물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를 통해 기 설정된 시간 주기로 복수의 항목에 대한 상태정보를 획득하여 관리하는 상태정보획득부와, 상기 상태정보를 기 설정된 패턴정보와 비교하여 안전도를 예측하는 안전도평가부와, 상기 안전도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로 경고신호를 전송하는 경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흙막이 시설물 관리서버{MANAGEMENT SERVER FOR SHEATHING STRUCTURE}
본 발명은 흙막이 시설물 관리서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흙막이 시설물에 대한 각종 센서정보를 획득하여 안전도를 예측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건설 현장이나 토사물의 붕괴 위험이 있는 현장에 토사 등의 붕괴를 막기 위해 흙막이 시설물을 설치하여 사고 예방을 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집중호우나 주변시설의 공사에 의한 지반 약화로 기존에 설치된 흙막이 시설물도 붕괴사고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흙막이 시설물의 관리를 위해 인력으로 일일이 관리를 하고 있지만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37045호(2020년 7월 17일 등록)는 모니터링 수단이 구비된 흙막이 가설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흙막이 가설 구조물에 토압 감지를 위한 복수 개의 센서부가 구비되도록 하여 위험 여부를 판단하되, 과반수 이상의 센서부에 의한 센싱 데이터가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였을 경우에 경고 알림을 제공하여, 측정 신뢰도가 극대화된 모니터링 수단이 구비된 흙막이 가설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흙막이 가설 구조물에 설치된 센서를 기초로 토압을 감지한다는 점에서 그러한 가설 구조물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모니터링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흙막이 시설물에 설치된 다양한 센서로부터 획득하는 데이터의 패턴을 분석하여 안전도를 평가하는 흙막이 시설물 관리서버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흙막이 시설물에 설치된 센서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여 데이터의 유효성을 평가할 수 있는 흙막이 시설물 관리서버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흙막이 시설물과 연관된 공공데이터를 분석하여 안전도를 평가할 수 있는 흙막이 시설물 관리서버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흙막이 시설물과 함께 외벽의 안전도를 같이 평가함으로써 안전도의 위험발생시 그 원인을 보다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는 흙막이 시설물 관리서버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시설물 관리서버는, 흙막이 시설물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를 통해 기 설정된 시간 주기로 복수의 항목에 대한 상태정보를 획득하여 관리하는 상태정보획득부와, 상기 상태정보를 기 설정된 패턴정보와 비교하여 안전도를 예측하는 안전도평가부와, 상기 안전도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로 경고신호를 전송하는 경고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태정보획득부는 상기 센서의 위치정보가 기 설정된 범위 이내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상태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도평가부는 상기 흙막이 시설물이 설치된 지역의 재난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안전도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도평가부는 상기 흙막이 시설물과 위치, 용도, 규모가 기 설정치 이내인 대상에 대한 안전성에 관한 공공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상태정보의 항목별 가중치를 가변하여 상기 안전도를 재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고부는 상기 흙막이 시설물과 기 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경고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흙막이 시설물에 설치되는 다양한 센서로부터 획득하는 데이터의 패턴을 분석하여 보다 정확하게 안전도를 평가할 수 있다.
또한, 흙막이 시설물에 설치된 센서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여 데이터의 유효성을 평가할 수 있다.
또한, 흙막이 시설물과 연관된 공공데이터를 분석하여 안전도를 평가함으로써 안전도 평가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흙막이 시설물과 함께 외벽의 안전도를 같이 평가함으로써 안전도의 위험발생시 그 원인을 보다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다.
도 1은 흙막이 시설물 관리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시설물 관리서버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흙막이 시설물 관리서버 중 안전도평가부에서 흙막이 시설물의 부위별 안전도를 나타내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따른 흙막이 시설물 관리서버 중 안전도평가부에서 패턴분석을 통해 흙막이 시설물의 안전도를 예측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따른 흙막이 시설물 관리서버 중 경고부에서 사용자 단말로 안전도에 따른 경고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따른 흙막이 시설물 관리서버 중 경고부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인식된 식별코드를 인증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2에 따른 흙막이 시설물 관리서버 중 시뮬레이션부에서 안전도에 따른 위엄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흙막이 시설물 관리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흙막이 시설물 관리시스템은 센서(10), 사용자 단말(20) 및 흙막이 시설물 관리서버(100)를 포함한다.
센서(10)는 흙막이 시설물(1)에 복수로 설치된다. 이 경우, 센서(10)는 흙막이 시설물(1)에 대한 진동, 기울기, 토양내압력, 온습도, 영상 등의 상태정보를 생성한다. 이러한 센서(10)는 중계기를 통해 관리서버(100)로 전송된다. 이 경우, 센서(10)의 상태정보는 기 설정된 시간 주기로 생성되어 전송되며,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가변될 수 있다. 센서(10)는 흙막이 시설물(1)에 직접 설치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주변 토양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센서(10)는 자체 배터리로 구동될 수 있으며, 배터리가 일정 수준 이하인 경우 관리서버(100)로 잔량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흙막이 시설물(1)의 일측에 흙과 맞닿는 지점에는 토압을 감지하는 센서(10)가 설치되고, 타측에 흙과 맞닿지 않는 지점에는 흙막이 시설물(1)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센서(10)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흙막이 시설물(1)의 노출된 외측에 솔라셀(11)이 형성되어, 센서(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센서(10)의 사용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이는 흙과 맞닿는 지점에 설치된 센서(10)는 배터리의 수명이 다하면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흙막이 공사가 완료된 이후에는 흙막이 시설물(1)에 가해지는 토압과 흙막이 시설물(2)의 기울기를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흙막이 시설물(1)의 외측에는 외벽(2)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외벽(2)은 흘막이 시설물(1)의 외측에 형성되는 콘크리트벽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외벽(2)의 훼손은 시설물에 대한 직접적인 안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외벽(2)에도 복수의 센서(10)가 설치되고, 솔라셀(11)도 형성될 수 있다. 센서(10)는 외벽(2)에 가해지는 압력이나 기울기의 변화를 감지하여 관리서버(1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흙막이 시설물(1)과 외벽(2)에 대한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주변의 시설물의 피해에 따른 원인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은 관리서버(100)와 통신한다. 사용자 단말(20)은 관리자나 일반시민이 사용할 수 있는 단말이다. 사용자 단말(20)은 관리서버(100)로부터 경고신호를 수신한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20)에는 관리서버(100)와 통신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도 있으나, 이동통신서버를 통해 문자메시지를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관리자의 경우 흙막이 시설물(1)에 안전도가 위험수준인 경우 이를 점거하고 해당 구역의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관리서버(100)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위험영역에 대한 실제 점검이 있었음을 확인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흙막이 시설물 관리서버(100)는 복수의 센서(10)로부터 상태정보를 수신한다. 흙막이 시설물 관리서버(100)는 센서(10)의 배터리잔량이나 고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흙막이 시설물 관리서버(100)는 센서(10)의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흙막이 서설물에 대한 안전도를 평가한다. 이 경우, 빅데이터를 학습하여 안전도를 예측하거나, 시계열적인 분석을 통해 인공지능 방식으로 안전도를 예측하는 것도 가능하다. 흙막이 시설물 관리서버(100)는 흙막이 시설물(1)에 대한 안전도가 위험수준인 경우 사용자 단말(20)로 경고신호를 전송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흙막이 시설물 관리서버(100)에 대해 보고 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시설물 관리서버의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흙막이 시설물 관리서버 중 안전도평가부에서 흙막이 시설물의 부위별 안전도를 나타내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따른 흙막이 시설물 관리서버 중 안전도평가부에서 패턴분석을 통해 흙막이 시설물의 안전도를 예측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5는 도 2에 따른 흙막이 시설물 관리서버 중 경고부에서 사용자 단말(20)로 안전도에 따른 경고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6은 도 2에 따른 흙막이 시설물 관리서버 중 경고부에서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인식된 식별코드를 인증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시설물 관리서버(100)는 상태정보획득부(100), 안전도평가부(120) 및 경고부(130)를 포함한다.
상태정보획득부(100)는 흙막이 시설물(1) 또는 외벽(2)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10)로부터 상태정보를 획득하여 관리한다. 여기서, 흙막이 시설물(1)은 침하나 붕괴하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만드는 토압, 수압에 저항하는 벽체와 그 지보공의 총칭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상태정보획득부(100)는 흙막이 시설물(1) 또는 외벽(2)에 대한 진동, 기울기, 토양내압력, 온습도와 같은 복수의 항목에 대한 상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태정보획득부(100)는 센서(10) 자체의 고유식별정보, 위치정보, 배터리정보를 상태정보로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태정보획득부(100)는 상태정보 중 센서(10)의 위치정보가 기 설정된 범위 이내인지 여부에 따라 상태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이는 복수의 센서(10)로부터 생성되는 상태정보 중 유효한 상태정보를 판별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상태정보에는 센서(10)의 고유식별정보와 함께 위치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태정보획득부(100)는 센서(10)가 설치된 위치정보로부터 상태정보 상의 위치정보가 기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면 이를 삭제한다. 이에 따라, 유효한 상태정보로 데이터를 정형화하여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태정보획득부(100)는 부하를 분산하여 상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는 복수의 센서(10)가 동시에 상태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상태정보의 누락이 발생하거나, 네트워크가 불안정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태정보획득부(100)는 센서(10)의 위치나 고유번호에 따른 신호전송 스케줄을 가변시켜 로드를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상태정보획득부(100)는 복수의 중계기를 이용하여 상태정보를 수신함으로써 로드를 분산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태정보획득부(100)는 센서(10)로부터 기 설정된 스케줄에 상태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재전송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재전송 명령을 받은 센서(10)가 상태정보를 전송하지 않는 경우에는 고장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태정보획득부(100)는 비전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상태정보로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태정보획득부(100)는 흙막이 시설물(1) 도는 외벽(2) 주변에 설치된 복수의 비전카메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주기로 영상을 촬영하여 상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흙막이 시설물(1) 또는 외벽(2)의 변위상태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비전카메라는 고정된 위치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태정보획득부(100)는 비전영상에 대한 상태정보를 안전도평가부(120)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센서(10) 외에 비전영상을 분석하여 보다 정확한 흙막이 시설물(1)의 상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안전도평가부(120)는 상태정보를 기 설정된 패턴정보와 비교하여 안전도를 평가한다. 이 경우, 상태정보에 대한 패턴정보는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기울기, 토양내압력, 온습도 등과 같은 상태정보에 따라 가변되는 흙막이 시설물(1)에 대한 안전도를 분석할 수 있다. 안전도평가부(120)는 복수의 상태정보를 조합하여 안전도를 예측하여 평가할 수 있다. 특정 항목의 상태정보가 가변시 안전도와 연관된 항목의 상태정보가 동시에 가변시 안전도를 구분하여 평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센서의 제1 상태정보와 제2 센서의 제2 상태정보가 모두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안전도를 낮출 수 있다. 이는 일부 센서(10)의 고장시 이를 즉시 반영하지 않고 전체적인 센서(10)의 상태정보를 기초로 안전도를 보다 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함이다. 제1 센서의 제1 상태정보가 기준치를 초과하고, 제2 센서의 제2 상태정보가 기준치 이내인 경우에는 안전도 예측을 유보할 수도 있다. 이러한 유보된 안전도 영역은 사용자 단말(20)을 통해 관리자에게 직접 확인을 요청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안전도평가부(120)는 흙막이 시설물(1)의 제1 센서의 제1 상태정보와, 외벽(2)에 설치된 제2 센서의 제2 상태정보를 비교하여 안전도를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상태정보와 제2 상태정보가 모두 안전도가 기 설정치보다 낮은 경우에는 공통된 원인에 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상태정보와 제2 상태정보 중 어느 하나의 안전도만 기 설정치보다 낮은 경우에는 서로 다른 원인에 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위험요소에 대한 원인 분석을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안전도평가부(120)는 흙막이 시설물(1)의 구역을 나누어 안전도를 다르게 예측할 수도 있다. 이는 복수의 구역에 설치된 센서(10)를 이용하여 안전도를 예측함으로써 위험영역을 특정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안전도 예측부는 복수의 센서(10)로부터의 입력된 상태정보를 기 설정된 범위의 유사도 범위로 그룹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안전도평가부(120)는 복수의 안전도 영역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위험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위험도가 높은 영역을 특정할 수 있다.
또한, 안전도평가부(120)는 공공데이터를 분석하여 안전도를 재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공공데이터는 논문, 학술데이터, 사고자료 등 흙막이 시설물(1)과 관련한 안정성과 관련한 자료를 총칭한다. 예를 들어, 안전도평가부(120)는 흙막이 시설물(1)과 위치, 용도, 규모가 기 설정치 이내인 대상에 대한 안전성에 관한 공공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이 경우, 안전도평가부(120)는 분석대상인 흙막이 시설물(1)과의 위치, 용도, 규모에 대한 연관성이 높은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이 경우, 안전도평가부(120)는 공공데이터를 분석하여 상태정보의 항목별 가중치를 가변하여 안전도를 재설정할 수 있다. 이는 복수의 센서(10)로부터 획득한 상태정보 중 중요도를 다르게 하여 안전도를 재평가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공공데이터를 통해 분석한 결과 해당 흙막이 시설물(1) 또는 외벽(2)과 관련하여 온도 및 습도가 중요한 상태정보로 설정되는 경우 온도 및 습도에 대한 가중치를 가장 높게 설정하여 안전도를 예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태정보에 대한 가중치를 연관성이 높은 흙막이 시설물(1)의 공공데이터를 이용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안전도 예측이 가능하다.
또한, 안전도평가부(120)는 흙막이 시설물(1)이 설치된 지역의 재난정보를 획득하여 안전도를 업데이트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안전도평가부(120)는 재난센터의 서버로부터 재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재난정보로는 지진, 홍수, 해일, 태풍, 회재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안전도평가부(120)는 재난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후술하는 경고부(130)로 경고신호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안전도평가부(120)는 재난센터 외에 상태정보와 기 설정된 재난정보와 비교하여 유사패턴이 분석되는 경우 자체 재난정보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안전도평가부(120)는 외부의 인터넷서버와 접속하여 흙막이 시설물(1) 또는 외벽(2)과 관련한 사용자의 민원정보를 빅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흙막이 시설물(1) 또는 외벽(2)이 설치된 지역과 기 설정된 범위 이내에 위치에서 생성된 SNS 대화나 관공서 민원게시판을 크롤링하여 민원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 경우, 지반이 침하되거나 벽이 갈라지는 이상징후의 민원정보의 빈도가 높아지면 안전도를 낮출 수 있다. 이는 주변의 주민들로부터 관측되는 이상징후를 조기에 반영하여 흙막이 시설물(1) 또는 외벽(2)의 안전도를 재설정하기 위함이다.
경고부(130)는 안전도평가부(120)의 안전도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20)로 경고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20)은 모니터링하는 관계자가 사용하는 단말로, 고정형 또는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경고부(130)는 흙막이 시설물(1) 또는 외벽(2)이 설치된 현장에 스피커 등을 이용하여 경고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현장에 근로자들의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경고부(130)는 안전도가 위험수준으로 예측되는 경우 경고신호를 즉시 사용자 단말(20)이나 현장의 스피커를 통해 경고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20)에는 흙막이 시설물 관리서버(100)와 통신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경고부(130)는 흙막이 시설물(1) 또는 외벽(2)로부터 기 설정된 반경 범위의 사용자 단말(20)로 경고신호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20)은 흙막이 시설물(1) 또는 외벽(2) 관계자 외에 위치적으로 근접한 사용자를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사용자 단말(20)에는 흙막이 서설물 관리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경찰청, 소방청 등과 연계될 수도 있다. 경고부(130)는 흙막이 시설물(1) 또는 외벽(2)에 대한 안전도가 기준치를 초과하면 위험한 것으로 판단하여 일정 반경 이내의 사용자 단말(20)로 경고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가 관계자 외에 일반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경고부(130)는 사용자 단말(20)로 경고신호를 전송 후 경고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응답신호는 관리자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20)로 경고신호에 응답하여 보내는 신호이다. 예를 들어, 경고신호를 수신하면 사용자 단말(20)은 흙막이 시설물(1) 또는 외벽(2)을 점검하고, 흙막이 시설물(1) 또는 외벽(2)에 형성된 식별코드(600)를 획득하여 응답신호로 전송할 수 있다. 이는 경고신호를 받은 관리자가 실제 흙막이 시설물(1) 또는 외벽(2)을 점검했음을 인증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20)로 흙막이 시설물(1) 또는 외벽(2)에 복수의 영역에 형성된 식별코드(600)를 획득해야 인증이 이뤄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경고부(130)는 흙막이 시설물(1) 또는 외벽(2)로부터 기 설정된 위치범위 내에 이벤트를 감지하여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개미, 두꺼비 등 곤충이나 동물들이 특이행동이 감지되는 경우 경고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로 곤충이나 동물들의 행동을 감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흙막이 시설물(1) 또는 외벽(2) 주변에 기 설정된 곤충들이나 동물들의 행동이 패턴을 이루는 경우 이를 분석하여 경고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는 자연재해 등의 징조를 나타내는 지표종의 움직임 패턴을 분석하여 사전에 경고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시설물 관리서버(100)는 자원관리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원관리부(140)는 흙막이 시설물(1) 또는 외벽(2)과 연관된 인적, 물적 자원을 관리한다. 예를 들어, 자원관리부(140)는 현장에 근무중인 근로자의 근로시간 및 안전장비 착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근로자의 안전모, 안전장갑, 안전화 등에 센서(10)가 형성될 수 있다. 자원관리부(140)는 근로자의 위치정보와 움직임정보를 이용하여 근로중인 경우 안전모, 안전장갑, 안전화의 착용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자원관리부(140)는 근로자가 초과 근로를 하고 있거나 안전장비를 착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경고부(130)를 통해 경고신호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자원관리부(140)는 흙막이 시설물(1) 또는 외벽(2) 주변에 소음이나 적외선영상을 감지하여 야간에 외부인의 침입을 감시할 수도 있다. 이는 외부인이 야간에 흙막이 시설물(1) 또는 외벽(2)에 위해를 가하는 경우를 대비하기 위함이다. 자원관리부(140)는 근무시간 외에 흙막이 서설물 주변에서 소음이 발생하거나, 움직임이 발생하는 경우 경보부를 통해 경고신호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인에 의한 흙막이 시설물(1) 또는 외벽(2)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자원관리부(140)는 흙막이 시설물(1) 또는 외벽(2)의 상태정보로부터 시설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시설정보는 지주, 버팀보, 옹벽 등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자원관리부(140)는 시설정보를 설계정보와 비교하여 이상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자원관리부(140)는 시설정보가 설계정보와 기 설정치 이상으로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경고부(130)로 경고신호를 출력하도록 한다. 이는 흙막이 시설물(1) 또는 외벽(2)에 대한 최초 설계정보에 비해 일부 시설이 소실되거나 변경된 경우 이를 경고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시설물 관리서버(100)는 보수처리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수처리부(150)는 안전도평가부(120)를 통해 위험이 예상되는 구역을 보수처리하도록 솔루션을 제공한다. 보수처리부(150)는 안전도가 낮은 영역의 원인을 예측하여 이를 보수할 수 있는 보수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보수처리부(150)는 흙막이 시설물(1) 또는 외벽(2) 중 지반 침하에 따른 붕괴의 위험이 있는 경우 해당 지반의 보수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보수처리부(150)는 흙막이 시설물(1) 또는 외벽(2)에 크랙이 발생한 경우에는 해당 구역의 크랙을 보수하는 보수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보수처리부(150)는 흙막이 시설물(1) 또는 외벽(2)의 지지대가 휘어진 경우 해당 지지대를 교체하도록 보수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보수처리부(150)는 기존에 흙막이 시설물(1) 또는 외벽(2)에서 하자보수를 통한 보수정보를 수집하여 보수정보를 추천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보수처리부(150)는 기존의 논문, 학술데이터, 뉴스자료 등 공공데이터를 이용하여 보수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 경우, 흙막이 시설물(1) 또는 외벽(2)의 안전도에 따른 보수정보를 분류화할 수 있다. 보수처리부(150)는 기 수집된 보수정보의 안전도와 기 설정된 범위 내의 유사도를 가지는 보수정보를 추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는 흙막이 시설물(1) 또는 외벽(2)의 안전도에 따라 최적의 보수정보를 추천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안전도평가부(120)는 보수정보를 기초로 흙막이 시설물(1) 또는 외벽(2)에 대한 보수 전후의 안전도를 비교할 수 있다. 안전도평가부(120)는 보수처리 이후에 안전도가 보수처리 이전의 안전도와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는 경고부(130)로 경고신호를 출력하도록 한다. 이는 흙막이 시설물(1) 또는 외벽(2)에 대한 보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경우로 판단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 경고부(130)는 사용자 단말(20)로 기 설정된 시간주기로 경고신호를 출력하여 관리자가 관련 사항을 보고받을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도 2에 따른 흙막이 시설물 관리서버 중 시뮬레이션부에서 안전도에 따른 위엄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시설물 관리서버(100)는 시뮬레이션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부(160)는 안전도평가부(120)에서 평가된 안전도를 기반으로 외부의 환경변화에 따라 안전도 변화를 시뮬레이션한다. 예를 들어, 현재 흙막이 시설물(1) 또는 외벽(2) 주변의 토양, 대기 등의 온도와 습도를 변경하였을 때의 안전도의 변화를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흙막이 주변에 굴착 공상 등의 외부 진동으로 인한 안전도의 변화를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이는 실제로 흙막이 시설물(1) 또는 외벽(2)에 가해질 수 있는 미래의 환경변화에 따른 안전도를 예측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흙막이 시설물(1) 또는 외벽(2)이 설치된 지역에 장기간의 집중호우나 지진이 발생시 안전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미리 예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현재 흙막이 시설물(1) 또는 외벽(2)에 대한 안전도는 물론 미래의 안전도 변화까지 예측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1 : 흙막이 시설물
2 : 외벽
10 : 센서
11 : 솔라셀
20 : 사용자 단말
100 : 흙막이 시설물 관리서버
110 : 상태정보획득부
120 : 안전도평가부
130 : 경고부
140 : 자원관리부
150 : 보수처리부
160 : 시뮬레이션부
600 : 식별코드

Claims (5)

  1. 흙막이 시설물과 상기 흙막이 서설물의 외측에 형성되는 외벽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센서를 통해 기 설정된 시간 주기로 복수의 항목에 대한 상태정보를 획득하여 관리하는 상태정보획득부;
    상기 상태정보를 기 설정된 패턴정보와 비교하여 안전도를 예측하되, 상기 흙막이 시설물에 설치된 제1 센서의 제1 상태정보와 상기 외벽에 설치된 제2 센서의 제2 상태정보를 비교하여 안전도가 모두 기 설정치보다 낮은 경우에는 공통된 위험요소로 판단하고, 어느 하나만 기 설정치보다 낮은 경우에는 서로 다른 위험요소의 원인으로 판단하고, 상기 흙막이 시설물과 위치, 용도, 규모가 기 설정치 이내인 대상에 대한 안전성에 관한 공공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상태정보의 항목별 가중치를 가변하여 상기 안전도를 재설정하는 안전도평가부;
    상기 안전도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로 경고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흙막이 시설물 또는 상기 외벽에 형성된 식별코드를 획득하여 응답신호를 전송하면 상기 흙막이 시설물 또는 상기 외벽에 대한 점검을 인증하는 경고부; 및
    상기 공공데이터를 이용하여 보수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흙막이 시설물 또는 상기 외벽 중 상기 안전도가 낮은 영역의 원인을 예측하여 상기 보수정보를 추천하는 보수처리부를 포함하는 흙막이 시설물 관리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정보획득부는,
    상기 센서의 위치정보가 기 설정된 범위 이내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상태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흙막이 시설물 관리서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도평가부는,
    상기 흙막이 시설물이 설치된 지역의 재난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안전도를 업데이트하는 흙막이 시설물 관리서버.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부는,
    상기 흙막이 시설물과 기 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경고신호를 전송하는 흙막이 시설물 관리서버.
KR1020200127046A 2020-09-29 2020-09-29 흙막이 시설물 관리서버 KR102244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7046A KR102244515B1 (ko) 2020-09-29 2020-09-29 흙막이 시설물 관리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7046A KR102244515B1 (ko) 2020-09-29 2020-09-29 흙막이 시설물 관리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4515B1 true KR102244515B1 (ko) 2021-04-26

Family

ID=75733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7046A KR102244515B1 (ko) 2020-09-29 2020-09-29 흙막이 시설물 관리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451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1331B1 (ko) * 2019-06-27 2020-01-08 안재형 흙막이 가시설 공법의 선정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2118592B1 (ko) * 2019-07-01 2020-06-05 (주)케이지아이 건설안전신호시스템
KR102137045B1 (ko) * 2020-01-21 2020-07-23 임창진 모니터링 수단이 구비된 흙막이 가설 구조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1331B1 (ko) * 2019-06-27 2020-01-08 안재형 흙막이 가시설 공법의 선정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2118592B1 (ko) * 2019-07-01 2020-06-05 (주)케이지아이 건설안전신호시스템
KR102137045B1 (ko) * 2020-01-21 2020-07-23 임창진 모니터링 수단이 구비된 흙막이 가설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5499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arly warning of seismic events
KR102004206B1 (ko)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KR101290824B1 (ko) 시설물 유지관리시스템
KR102468888B1 (ko) IoT 기반 건물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KR102138340B1 (ko) 지능형 원격단말장치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관내 시설물 자율 점검 및 고장 알림 운영시스템
US11378485B2 (en) Structural monitoring system
KR102305468B1 (ko) 딥러닝-기반 산사태 분산 감지 시스템
KR102345859B1 (ko) 빅데이터 기반 지능형 문화재 안전관리 시스템
KR102097039B1 (ko) 공간정보 기반의 지능형 구조물 안전 모니터링 플랫폼
KR101248936B1 (ko) 열화정도를 고려한 교량 재난관리시스템
JP7471470B2 (ja) ケーブル切断防止のための統計的画像処理に基づく異常検出
KR102290182B1 (ko) 광산 갱내 붕락 감지를 위한 센싱 데이터 통합계측관리 시스템
CN112288320A (zh) 一种地铁运行风险监控和管理系统
KR101172260B1 (ko) 무선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교량/터널 안전상태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20220038677A (ko) 다중 거주 건물을 위한 안전 관리 및 건물 운영 평가 시스템 및 방법
KR102305467B1 (ko) 딥러닝-기반 산사태 분산 감지 방법
KR102244515B1 (ko) 흙막이 시설물 관리서버
KR101691790B1 (ko) 급경사지 붕괴위험도 판단시스템
KR101635806B1 (ko) 대화 기능, 지능 기능 및 임무 기능의 다기능 계측모듈을 구비한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53652A (ko) 급경사지 현장조사 전자 야장
KR102417277B1 (ko)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플랫폼 시스템
KR20160114375A (ko) 실시간 낙석 피해 경고/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5631588A (zh) 一种国土资源管理监测方法、系统、平台、设备及介质
KR101904072B1 (ko) 씽크홀 감지가 가능한 수배전반 시스템
CN203025878U (zh) 一种在安防系统中应用的光纤智能传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