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8592B1 - 건설안전신호시스템 - Google Patents

건설안전신호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8592B1
KR102118592B1 KR1020190078802A KR20190078802A KR102118592B1 KR 102118592 B1 KR102118592 B1 KR 102118592B1 KR 1020190078802 A KR1020190078802 A KR 1020190078802A KR 20190078802 A KR20190078802 A KR 20190078802A KR 102118592 B1 KR102118592 B1 KR 102118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ement
data
module
safety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8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효찬
김명한
이대형
이순민
류지훈
Original Assignee
(주)케이지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지아이 filed Critical (주)케이지아이
Priority to KR1020190078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85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8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8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1/00Rescue devices or other safety devices, e.g. safety chambers or escape way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7/00Methods or devices for use in mines or tunnels, not covered elsewhere
    • E21F17/18Special adaptations of signalling or alarm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222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5/223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5/224Paging receivers with visible signalling details
    • G08B5/225Display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10Miscellaneous comprising sensor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ology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sting Or Calibration Of Command Recor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안전신호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설현장에 다수 설치되어 수동계측 또는 자동계측을 실시하는 계측모듈에서 계측데이터를 받아들이고, 받아들인 계측데이터와 현장 데이터베이스(DB)로부터의 설계 기준치를 분석하고 비교하여 안전상태를 판단하고, 인터넷에 연결되어 원격지에서 상기 제어부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되, 외부에서 접속하는 사용자가 접근 및 사용 가능하도록 구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I)와 계측데이터의 안전상태에 따른 신호를 표시하는 안전분석부 및 진행되는 공종에 따라 상기 계측데이터와 안전상태를 최적화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하는 화면결정부를 포함하여 원격지에서 현장의 계측데이터를 직관적으로 확인가능하여 실시간으로 열람 및 분석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안전신호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설안전신호시스템{Construction Safety Signaling System}
본 발명은 건설안전신호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설현장에 다수 설치되어 수동계측 또는 자동계측을 실시하는 계측모듈에서 계측데이터를 받아들이고, 받아들인 계측데이터와 현장 데이터베이스(DB)로부터의 설계 기준치를 분석하고 비교하여 안전상태를 판단하고, 인터넷에 연결되어 원격지에서 상기 제어부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되, 외부에서 접속하는 사용자가 접근 및 사용 가능하도록 구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I)와 계측데이터의 안전상태에 따른 신호를 표시하는 안전분석부 및 진행되는 공종에 따라 상기 계측데이터와 안전상태를 최적화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하는 화면결정부를 포함함으로써 원격지에서 현장의 계측데이터를 직관적으로 확인가능하여 실시간으로 열람 및 분석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안전신호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서울을 비롯한 대도시에서는 지하철 건설 및 고층건물의 축조 등을 위한 터파기 또는 깊은굴착이 다수 진행중에 있다. 그 중 굴착면에 인접하여 구조물이 위치하는 근접시공의 사례에서 많은 사고와 피해가 발생하였으나, 이러한 사례들에 대한 원인, 진행상황, 대책 등이 체계적으로 정리되고 보고되지는 않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지반조사 비용, 계측관리 비용이 투입됨에도 불구하고 같은 유형의 사고와 피해가 반복되고 있다. 지반의 굴착에 관련된 정보화 시공의 중요성은 지속적으로 증가되는 추세이며, 특히 장기간에 걸친 계측결과에 근거한 지반거동, 구조물의 거동, 이에 따른 피해 및 사고의 원인 규명과 재발 방지를 위한 개선책 모색은 근접시공 및 굴착 분야에서 연구과제로 인식되고 있다.
종래 계측관리에 있어서는 수동계측과 자동계측이 병행되고 있는데, 수동계측은 현장에 계측센서를 설치하고, 계측센서를 통해 현장 계측을 실시한 후 계측된 자료를 확인하고 분석하여 이상징후 발생 시 대책을 수립하는 단계를 거치게 되는데, 계측 후 분석까지 소정의 시간이 소요되는 바 이상징후의 발생 시 신속한 대처와 피해의 최소화에 한계가 있었다. 이에 따라 수동계측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자동계측이 사용되었는데, 자동계측은 계측센서에서 계측된 데이터를 데이터 로거(Data Logger)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수집 및 분석을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계측관리에 사용된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계측관리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의 현장 구조물 또는 건축물에 계측센서 및 카메라를 설치한 후 측정한 계측데이터와 촬영 동영상을 통신수단과 전용선을 통해 중앙통제실로 실시간으로 전송함으로써, 각종 구조물을 원격으로 감시할 수 있고, 또한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가 중앙통제실에 접근하여 구조물과 건축물의 이상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계측 관리 시스템(9)이 개시된다.
그러나, 종래와 같은 시스템에서는 현장에 설치된 계측기구의 수가 방대하여 확인이 어렵고, 계측된 값이 안전 관리 기준치를 초과하여 경보 시스템을 작동시키더라도 그 위치와 정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없어 문제 해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예를 들면, 계측관리가 주로 시행되는 흙막이공사에 있어서는 부지의 여러 곳에 계측센서가 설치되며, 그 종류로는 지중경사계, 지하수위계, 지표침하계, 하중계 및 건물경사계 등이 있어 이에 대한 데이터를 일일이 확인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울 수 있다. 또한, 계측관리가 필요한 상이한 공정들에 있어서 계측값을 그 특성에 따라 표시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현장 근로자, 현장 외의 사용자가 계측된 데이터를 확인하고 분석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으며, 이상징후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이러한 계측관리에 있어서 한 계측센서에서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계측센서가 위치한 지역 전체에 대해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바, 안전 관리 기준치를 초과하지 않는 계측값이더라도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확인 및 조기에 해결하기 위하여 이상징후가 발생한 구역별 관리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각 건설현장의 제한된 계측관리 여건 아래에서 장기간의 실측 계측 데이터와 현장 조사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조속한 지반 상태와 계측결과를 제공하고, 원격지에서도 관련 데이터를 습득 가능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하여 피해가 발생한 경우 상세한 구역과 피해 원인을 규명하고, 개선 및 보완점을 도출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으며, 공사 현장에서 문제가 발생하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는 구역에 대한 감시 및 관리가 가능한 안전관리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0-0364917호(2002.12.0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설현장에 다수 설치되어 계측을 실시하는 계측모듈과, 상기 계측모듈로부터 전달되는 계측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수집부와, 상기 데이터수집부와 현장 데이터베이스(DB)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분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를 인터넷에 연결시키고 원격지에서 상기 제어부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외부에서 접속하는 사용자가 접근 및 사용 가능하도록 구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I)와 계측데이터의 안전상태에 따른 신호를 표시하는 안전분석부를 포함하여 원격지에서 현장의 계측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열람 및 분석할 수 있는 건설안전신호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안전분석부는 상기 데이터수집부로부터 수신한 계측모듈의 데이터와 상기 현장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한 설계 기준치를 비교하는 데이터 비교모듈과, 비교한 데이터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계측모듈의 안전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하는 안전 판단모듈을 포함하여 계측한 데이터와 설계 기준값을 비교하여 현장의 안전상태를 원격지에서 실시간으로 분석가능한 건설안전신호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안전분석부는 복수개의 계측모듈을 소정의 기준에 따라 1개 이상의 영역으로 분류하는 영역결정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안전 판단모듈은 상기 데이터 비교모듈에서 비교한 데이터를 기준으로 하여 분류된 영역의 안전상태를 판단하여 연쇄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하자를 방지하는 건설안전신호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영역결정모듈은 상기 계측모듈이 설치되는 단면에 따라 영역을 결정하여 계측단면별로 안전신호를 분석할 수 있는 건설안전신호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안전 판단모듈은 영역 내 계측모듈의 안전상태를 판단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하고, 상기 영역 내 계측모듈 중 지중경사계에 대한 계측데이터의 안전상태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하도록 구비되어 안전에 취약한 영역을 직관적으로 발견 및 분석가능한 건설안전신호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나타내는 화면요소를 결정하는 화면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화면결정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안전상태가 표시되는 신호의 위치와 유형을 결정하는 신호결정모듈을 포함하여 외부의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안전상태를 인지할 수 있는 건설안전신호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건설현장에 다수 설치되어 계측을 실시하는 계측모듈과, 상기 계측모듈로부터 전달되는 계측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수집부와, 상기 데이터수집부와 현장 데이터베이스(DB)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분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를 인터넷에 연결시키고 원격지에서 상기 제어부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외부에서 접속하는 사용자가 접근 및 사용 가능하도록 구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I)와 진행되는 공종에 따라 상기 계측데이터를 최적화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하는 화면결정부를 포함하여 계측데이터를 직관적으로 확인가능한 건설안전신호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화면결정부는 현장에서 진행중인 공종을 판단 또는 선택하는 공종판단모듈과 공종에 따른 적합한 도면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하는 도면표시모듈을 포함하여 현장에서 진행되는 공정에 따라 최적의 도면을 표시하는 건설안전신호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화면결정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상에 표시할 데이터를 공종 및 도면에 따라 시각화하는 데이터 시각화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시각화모듈은 상기 계측데이터의 위치와 유형을 소정 기준에 따라 가공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하여 공종에 따라 최적화된 계측데이터를 원격지에서 확인 및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건설현장에 다수 설치되어 계측을 실시하는 계측모듈과, 상기 계측모듈로부터 전달되는 계측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수집부와, 상기 데이터수집부와 현장 데이터베이스(DB)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분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를 인터넷에 연결시키고 원격지에서 상기 제어부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외부에서 접속하는 사용자가 접근 및 사용 가능하도록 구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I)와 계측데이터의 안전상태에 따른 신호를 표시하는 안전분석부 및 진행되는 공종에 따라 상기 계측데이터와 안전상태를 최적화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하는 화면결정부를 포함하여 원격지에서 현장의 계측데이터를 직관적으로 확인가능하여 실시간으로 열람 및 분석가능한 건설안전신호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데이터수집부는 계측데이터를 수집하고 변환하는 리드아웃모듈과 계측데이터를 저장하고 전송하는 데이터로거(Data Logger)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분석부는 상기 데이터수집부로부터 수신한 계측모듈의 데이터와 상기 현장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한 설계 기준치를 비교하는 데이터 비교모듈과, 비교한 데이터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계측모듈의 안전상태를 판단하는 안전 판단모듈을 포함하여 수동계측과 자동계측에서 수집되는 계측데이터를 통합적으로 분석가능한 건설안전신호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안전 판단모듈은 영역 내 계측모듈의 안전상태를 판단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하고, 상기 영역 내 계측모듈 중 지중경사계에 대한 계측데이터의 안전상태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하도록 구비되어 공종이 진행되는 영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신속하게 파악가능한 건설안전신호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화면결정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상에 표시할 데이터를 공종 및 도면에 따라 시각화하는 데이터 시각화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시각화모듈은 상기 계측데이터의 위치와 유형을 소정 기준에 따라 가공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하는 데이터결정모듈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안전상태가 표시되는 신호의 위치와 유형을 결정하는 신호결정모듈을 포함하여 계측데이터와 분석에 따른 안전신호를 공종에 따라 시각화하여 원격지에서 용이하게 분석가능한 건설안전신호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건설현장에 다수 설치되어 계측을 실시하는 계측모듈과, 상기 계측모듈로부터 전달되는 계측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수집부와, 상기 데이터수집부와 현장 데이터베이스(DB)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분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를 인터넷에 연결시키고 원격지에서 상기 제어부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외부에서 접속하는 사용자가 접근 및 사용 가능하도록 구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I)와 계측데이터의 안전상태에 따른 신호를 표시하는 안전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안전분석부는 상기 데이터수집부로부터 수신한 계측모듈의 데이터와 상기 현장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한 설계 기준치를 비교하는 데이터 비교모듈과, 비교한 데이터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계측모듈의 안전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하는 안전 판단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안전분석부는 복수개의 계측모듈을 소정의 기준에 따라 1개 이상의 영역으로 분류하는 영역결정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안전 판단모듈은 상기 데이터 비교모듈에서 비교한 데이터를 기준으로 하여 분류된 영역의 안전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영역결정모듈은 상기 계측모듈이 설치되는 단면에 따라 영역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안전 판단모듈은 영역 내 계측모듈의 안전상태를 판단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하고, 상기 영역 내 계측모듈 중 지중경사계에 대한 계측데이터의 안전상태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나타내는 화면요소를 결정하는 화면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화면결정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안전상태가 표시되는 신호의 위치와 유형을 결정하는 신호결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건설현장에 다수 설치되어 계측을 실시하는 계측모듈과, 상기 계측모듈로부터 전달되는 계측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수집부와, 상기 데이터수집부와 현장 데이터베이스(DB)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분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를 인터넷에 연결시키고 원격지에서 상기 제어부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외부에서 접속하는 사용자가 접근 및 사용 가능하도록 구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I)와 진행되는 공종에 따라 상기 계측데이터를 최적화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하는 화면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화면결정부는 현장에서 진행중인 공종을 판단 또는 선택하는 공종판단모듈과 공종에 따른 적합한 도면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하는 도면표시모듈을 포함하여 현장에서 진행되는 공정에 따라 최적의 도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화면결정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상에 표시할 데이터를 공종 및 도면에 따라 시각화하는 데이터 시각화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시각화모듈은 상기 계측데이터의 위치와 유형을 소정 기준에 따라 가공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하는 데이터결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건설현장에 다수 설치되어 계측을 실시하는 계측모듈과, 상기 계측모듈로부터 전달되는 계측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수집부와, 상기 데이터수집부와 현장 데이터베이스(DB)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분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를 인터넷에 연결시키고 원격지에서 상기 제어부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외부에서 접속하는 사용자가 접근 및 사용 가능하도록 구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I)와 계측데이터의 안전상태에 따른 신호를 표시하는 안전분석부 및 진행되는 공종에 따라 상기 계측데이터와 안전상태를 최적화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하는 화면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데이터수집부는 계측데이터를 수집하고 변환하는 리드아웃모듈과 계측데이터를 저장하고 전송하는 데이터로거(Data Logger)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분석부는 상기 데이터수집부로부터 수신한 계측모듈의 데이터와 상기 현장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한 설계 기준치를 비교하는 데이터 비교모듈과, 비교한 데이터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계측모듈의 안전상태를 판단하는 안전 판단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안전 판단모듈은 영역 내 계측모듈의 안전상태를 판단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하고, 상기 영역 내 계측모듈 중 지중경사계에 대한 계측데이터의 안전상태를 판단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화면결정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상에 표시할 데이터를 공종 및 도면에 따라 시각화하는 데이터 시각화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시각화모듈은 상기 계측데이터의 위치와 유형을 소정 기준에 따라 가공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하는 데이터결정모듈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안전상태가 표시되는 신호의 위치와 유형을 결정하는 신호결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건설현장에 다수 설치되어 계측을 실시하는 계측모듈과, 상기 계측모듈로부터 전달되는 계측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수집부와, 상기 데이터수집부와 현장 데이터베이스(DB)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분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를 인터넷에 연결시키고 원격지에서 상기 제어부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외부에서 접속하는 사용자가 접근 및 사용 가능하도록 구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I)와 계측데이터의 안전상태에 따른 신호를 표시하는 안전분석부를 포함하여 원격지에서 현장의 계측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열람 및 분석할 수 있는 건설안전신호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안전분석부는 상기 데이터수집부로부터 수신한 계측모듈의 데이터와 상기 현장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한 설계 기준치를 비교하는 데이터 비교모듈과, 비교한 데이터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계측모듈의 안전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하는 안전 판단모듈을 포함하여 계측한 데이터와 설계 기준값을 비교하여 현장의 안전상태를 원격지에서 실시간으로 분석가능한 건설안전신호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안전분석부는 복수개의 계측모듈을 소정의 기준에 따라 1개 이상의 영역으로 분류하는 영역결정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안전 판단모듈은 상기 데이터 비교모듈에서 비교한 데이터를 기준으로 하여 분류된 영역의 안전상태를 판단하여 연쇄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하자를 방지하는 건설안전신호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 영역결정모듈은 상기 계측모듈이 설치되는 단면에 따라 영역을 결정하여 계측단면별로 안전신호를 분석할 수 있는 건설안전신호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를 수반한다.
본 발명은, 상기 안전 판단모듈은 영역 내 계측모듈의 안전상태를 판단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하고, 상기 영역 내 계측모듈 중 지중경사계에 대한 계측데이터의 안전상태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하도록 구비되어 안전에 취약한 영역을 직관적으로 발견 및 분석가능한 건설안전신호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나타내는 화면요소를 결정하는 화면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화면결정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안전상태가 표시되는 신호의 위치와 유형을 결정하는 신호결정모듈을 포함하여 외부의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안전상태를 인지할 수 있는 건설안전신호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건설현장에 다수 설치되어 계측을 실시하는 계측모듈과, 상기 계측모듈로부터 전달되는 계측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수집부와, 상기 데이터수집부와 현장 데이터베이스(DB)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분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를 인터넷에 연결시키고 원격지에서 상기 제어부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외부에서 접속하는 사용자가 접근 및 사용 가능하도록 구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I)와 진행되는 공종에 따라 상기 계측데이터를 최적화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하는 화면결정부를 포함하여 계측데이터를 직관적으로 확인가능한 건설안전신호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 화면결정부는 현장에서 진행중인 공종을 판단 또는 선택하는 공종판단모듈과 공종에 따른 적합한 도면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하는 도면표시모듈을 포함하여 현장에서 진행되는 공정에 따라 최적의 도면을 표시하는 건설안전신호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 화면결정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상에 표시할 데이터를 공종 및 도면에 따라 시각화하는 데이터 시각화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시각화모듈은 상기 계측데이터의 위치와 유형을 소정 기준에 따라 가공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하여 공종에 따라 최적화된 계측데이터를 원격지에서 확인 및 분석가능한 건설안전신호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건설현장에 다수 설치되어 계측을 실시하는 계측모듈과, 상기 계측모듈로부터 전달되는 계측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수집부와, 상기 데이터수집부와 현장 데이터베이스(DB)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분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를 인터넷에 연결시키고 원격지에서 상기 제어부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외부에서 접속하는 사용자가 접근 및 사용 가능하도록 구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I)와 계측데이터의 안전상태에 따른 신호를 표시하는 안전분석부 및 진행되는 공종에 따라 상기 계측데이터와 안전상태를 최적화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하는 화면결정부를 포함하여 원격지에서 현장의 계측데이터를 직관적으로 확인가능하여 실시간으로 열람 및 분석가능한 건설안전신호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상기 데이터수집부는 계측데이터를 수집하고 변환하는 리드아웃모듈과 계측데이터를 저장하고 전송하는 데이터로거(Data Logger)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분석부는 상기 데이터수집부로부터 수신한 계측모듈의 데이터와 상기 현장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한 설계 기준치를 비교하는 데이터 비교모듈과, 비교한 데이터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계측모듈의 안전상태를 판단하는 안전 판단모듈을 포함하여 수동계측과 자동계측에서 수집되는 계측데이터를 통합적으로 분석가능한 건설안전신호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를 수반한다.
본 발명은, 상기 안전 판단모듈은 영역 내 계측모듈의 안전상태를 판단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하고, 상기 영역 내 계측모듈의 안전상태 중 가장 취약한 것을 영역의 안전상태로 판단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하도록 구비되어 공종이 진행되는 영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신속하게 파악가능한 건설안전신호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를 안출한다.
본 발명은, 상기 화면결정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상에 표시할 데이터를 공종 및 도면에 따라 시각화하는 데이터 시각화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시각화모듈은 상기 계측데이터의 위치와 유형을 소정 기준에 따라 가공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하는 데이터결정모듈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안전상태가 표시되는 신호의 위치와 유형을 결정하는 신호결정모듈을 포함하여 계측데이터와 분석에 따른 안전신호를 공종에 따라 시각화하여 원격지에서 용이하게 분석가능한 건설안전신호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계측관리에 사용된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계측관리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안전신호시스템(1)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수집부(20)를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분석부(41)를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결정부(43)를 도시한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안전신호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상에 표시되는 초기화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상에 표시되는 흙막이 관리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흙막이 공종에서의 계측데이터가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9 및 도 10은 도 7의 흙막이 관리화면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상에 표시되는 터널굴착 관리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상에 표시되는 터널굴착의 계측데이터 관리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상에 표시되는 연약지반 관리화면.
도 14는 본 발명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상에 표시되는 연약지반 데이터 관리화면.
도 15는 본 발명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상에 각 단면별 시공현황 및 주상도가 표시되는 화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안전신호시스템의 신호 및 사용자인터페이스 표시 방법(S1)의 흐름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집단계(S20)의 흐름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석단계(S41)의 흐름도.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결정단계(S43)의 흐름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안전신호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고, 다른 구성요소 또한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간 "연결"된다고 할 때, 이는 구성요소끼리 직접 접촉하며 체결된다는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체결되는 것을 포함하며, 체결되어있지 않더라도 소정의 힘이나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안전신호시스템(1)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건설안전신호시스템(1)은 건설현장에 다수 설치되어 수동계측 또는 자동계측을 실시하는 계측모듈에서 계측데이터를 받아들이고, 받아들인 계측데이터와 현장 데이터베이스(DB)로부터의 설계 기준치를 분석하고 비교하여 안전상태를 판단하고, 인터넷에 연결되어 원격지에서 상기 제어부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되, 외부에서 접속하는 사용자가 접근 및 사용 가능하도록 구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I)와 계측데이터의 안전상태에 따른 신호를 표시하는 안전분석부 및 진행되는 공종에 따라 상기 계측데이터와 안전상태를 최적화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하는 화면결정부를 포함함으로써 원격지에서 현장의 계측데이터를 직관적으로 확인가능하여 실시간으로 열람 및 분석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건설안전신호시스템(1)은 계측모듈(10), 데이터수집부(20), 제어부(40), 서버(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외부의 사용자(60)가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서버(50)에 접속함으로써 현장별 계측데이터 및 안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계측모듈(10)은 건설현장에 복수 개 설치되어 계측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계측모듈(10)은 지면이나 구조물의 계측 시 설치되고 사용되는데, 주로 흙막이공종, 터널굴착, 연약지반의 계측에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공종에 국한되지 않는다. 계측모듈(10)은 다양한 종류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입력값과 출력값을 가질 수 있다.
설치되는 계측모듈(10)로써 지중경사계가 설치될 수 있다. 건설현장의 지정된 단면에 대하여 배면 등에 굴착심도까지 지표 아래로 경사관을 삽입한 후, 굴착 시 기울기의 변위를 측정하게 된다. 2축 MEMS 가속도 경사센서가 내장된 지중경사계가 이용될 수 있으며, 지중경사계의 경우 IC3500, GK-603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지하수위계의 경우, 건설현장의 배면 등에 굴착심도까지 지표 아래로 수위계관을 삽입한 후, 지하수의 수위를 측정하게 되며, VW2104, GK-403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지표침하계의 경우에는 현장의 지정된 단면 주변에 측량용 못 등을 설치 후 레벨을 측정하여 지표면의 변위를 계측할 수 있다. 하중계의 경우 흙막이벽 등 벽체를 강화하기 위에 삽입되는 어스앵커(Earth Anchor)에 재하되는 하중으로 지반 상황을 계측하게 된다. 코일의 공진주파수를 매개로 하여 VW측정기로 측정함으로써 하중을 계측할 수 있다. 지중침하계는 연약지반의 다짐을 위한 성토 시 지반의 침하정도를 계측할 수 있다. 구조물경사계는 건물 또는 구조물의 벽면에 부착하여 기울기의 변위를 측정하여 구조물의 침하량 등을 계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측모듈(10)에는 상술한 계측장비가 사용될 수 있으나, 구조물 또는 지반의 상태를 계측함으로써 계측데이터를 통해 건설현장의 안전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면 여타 계측장비도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수집부(20)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데이터수집부(20)는 계측모듈(10)로부터 전달되는 계측데이터를 수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계측모듈(10)에서 출력되는 다양한 형식의 계측데이터를 통합하여 후술하는 제어부(40)로 전달함으로써 안전상태 분석 및 사용자(60)가 열람 및 관리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치되는 계측모듈(10)의 계측방식에는 수동계측과 자동계측이 존재할 수 있는 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수집부(20)는 리드아웃모듈(21)과 데이터로거(23,Data Logg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드아웃모듈(21)은 계측데이터를 수집하고 변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각 계측모듈(10)은 종류가 다양하여 입력값과 출력값의 단위나 형식이 상이할 수 있으며, 수동계측과 자동계측이 수행되는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 상기 리드아웃모듈(21)은 형식과 단위가 다른 계측데이터를 수집하고 변환하여 분석가능하도록 가공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로거(23)는 계측모듈(10)로부터 전송되고 리드아웃모듈(21)에 의해 수집 및 변환된 계측데이터를 저장하고 전송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로거(23)가 계측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웹모니터링이 가능한 제어부(40)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는 웹상에서 계측데이터를 열람 및 분석할 수 있다.
계측데이터의 수집에 있어서 수동계측만 존재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이상징후의 발생 시 신속한 대처와 피해의 최소화에 한계가 있으며, 자동계측의 경우 소요 시간은 수동계측에 비해 짧은 반면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한계가 있다. 본원발명의 리드아웃모듈(21)과 데이터로거(23)는 수동계측과 자동계측에서 전송되는 다양한 출력값을 변환 및 저장함으로써 기존 계측방법과 대비하여 비용 절감과 신속성 확보를 도모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안전신호시스템(1)은 현장 데이터베이스(3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현장 데이터베이스(30)는 공사가 진행되는 건설현장에 대한 정보를 지칭한다. 공사현장의 위치, 제반정보, 실시중인 공종, 도면 및 안전여부 판단에 있어서의 설계 기준치가 포함될 수 있다. 특히 건설현장에서의 평면도, 단면도 및 주상도 등이 현장 데이터베이스(30) 상에 저장되고, 후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5) 상에 표시되어 원격의 사용자가 이를 열람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현장 데이터베이스(30)로부터 후술하는 제어부(40)로 송신된 제반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건설현장의 안전상태를 분석하고 이를 외부의 사용자가 열람 및 상호작용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설계 기준치는 단계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가령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설계 기준치를 3단계로 설정하여 1차, 2차 및 3차 기준치에 계측데이터가 도달하거나 기준치를 상회하는 경우 안전신호와 알람 발령이 단계적으로 변화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40)는 상술한 데이터수집부(20) 및/또는 현장데이터베이스(3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분석하고 이를 표시하도록 하여 외부에서 인터넷을 통해 접속하는 사용자(60)가 현장정보, 자세하게는 건설현장에서 진행중인 공정에 대한 안전정보를 신호로 실시간, 직관적으로 열람하고 분석하며 나아가 이상 발생 시 대책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한다. 기존 시행되던 계측관리 시스템에 있어서는 계측정보의 습득이 보고서 등을 통하여 가능한 바 측정 후 시간이 소요되어 이상징후 발생에 따른 신속한 대응과 사후관리가 어려웠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40)에서 상기의 과정이 진행됨에 따라 계측데이터가 자동 및 원격으로 전송 및 분석되고 이에 따라 안전 여부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게 되며, 방대한 양의 계측데이터를 일일이 확인하면서 이상징후의 발생여부를 체크할 필요 없이 이상징후의 발생여부 및/또는 발생가능성에 따라 도면 상에서 표시되는 안전신호를 통해 현장의 안전여부를 외부에서 확인가능한 바 건설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 대해서 직관적이고 신속한 파악 및 대응이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40)는 안전분석부(41), 화면결정부(43)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UI, 4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분석부(41)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안전분석부(41)는 공사현장의 영역에 따라 전송받은 계측모듈(10)에서 측정된 계측데이터와 현장데이터베이스(30)로부터의 설계 기준치를 비교하여 현장의 안전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계측모듈(10)에서 계측된 건설현장에 대한 데이터와 현장 데이터베이스(30)에서 전송된 설계 기준치를 비교하여 안전상태를 판단하고, 계측데이터가 설계 기준치를 상회하거나 상회할 수 있는 경우 단계적으로 알람을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안전분석부(41)는 영역결정모듈(411), 데이터비교모듈(413) 및 안전판단모듈(415)을 포함할 수 있다.
영역이란, 건설현장 내에서 소정의 기준에 따라 구분되는 지역을 지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계측모듈(10)이 설치된 단면에 따라 영역이 결정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여타 기준에 의해 영역이 정해지고, 후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5)에 영역의 안전상태가 표시될 수 있다. 단면이란, 계측모듈(10)이 설치되는 곳을 지칭한다. 건설현장의 한 위치에 있어서 여러 종류의 계측모듈(10)이 깊이를 달리하여 설치될 수 있는데, 도 9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단면의 안전상태에 대한 신호가 단면상에 표시되는데(453aa 내지 453ac), 계측모듈이 설치된 상기 부분을 단면이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영역결정모듈(411)은 복수개의 계측모듈(10)을 소정의 기준에 따라 1개 이상의 영역으로 분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설안전신호시스템(1)은 건설현장을 소정 갯수의 영역으로 나눠 해당 영역의 안전상태를 도면상에 신호로써 나타낼 수 있는데, 영역결정모듈(411)에서 결정된 영역에 따라 그 안전상태가 도면상에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영역결정모듈(411)은 계측모듈(10)이 설치되는 단면에 따라 영역을 결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후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5)상에 표시되는 도면 상에 결정된 영역(A내지 G)이 표시되며, 해당 영역의 안전상태가 신호등 상태로 나타나게 되는데, 여기서 영역은 계측도면상 계측모듈(10)이 정해진 위치에 설치되는 경우 계측모듈(10)들이 설치된 단면을 기준으로 하여 영역이 나눠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계측모듈(10)이 여러 단면에 설치되되, 유사한 계측데이터를 갖는 계측모듈(10)에 따라 영역이 결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건설현장의 평면에 대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영역을 결정할 수 있는 흙막이 공종 및 연약지반 공종과 대비하여, 터널굴착 공종의 경우 도 11과 같이 후술하는 도면표시모듈(433)에서 터널이 굴착되는 부분의 단면도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터널굴착 공종의 경우 상기 영역결정모듈(411)은 각 계측모듈이 설치된 단면 사이의 중심으로부터 다른 중심까지를 한 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계측모듈이 설치된 단면은 해당 단면이 위치하는 영역의 중심이 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비교모듈(413)은 현장 데이터베이스(30)로부터 전송받은 설계 기준치와 데이터수집부(20)로부터 전송받은 계측데이터를 비교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설계 기준치는 복수 개의 단계로 설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1차, 2차 및 3차 설계 기준치와 계측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다.
상기 안전판단모듈(415)은 상기 데이터비교모듈(413)에서 비교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하여 영역 및/또는 계측모듈(10)이 설치된 부분에서의 안전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설계 기준치와 계측데이터를 비교한 후 판단되는 안전상태는 양호, 주의, 위험의 3단계로 구분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데이터시각화모듈(435)에서 상기 안전상태가 색상으로 변환되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판단모듈(415)의 안전상태 판단을 예를 들어 자세하게 설명하면, 건설현장에서 흙막이 공종을 실시하는 경우 지중경사계의 설계 기준치를 현장 데이터베이스(30)에서 전송받고, 현장에 설치한 지중경사계에서 계측된 계측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다. 지중경사계의 경우 계측데이터는 mm 단위일 수 있고, 설계 기준치는 3차 기준치까지 단계적으로 설정되며 1차 기준치는 (굴착깊이)/500, 2차 기준치는 (굴착깊이)/300, 3차 기준치는 (굴착깊이)/200일 수 있다. 안전판단모듈(415)은 각 데이터를 비교하여 계측데이터가 1차 기준치 이하인 경우 안전상태를 양호로 판단할 수 있고, 계측데이터가 1차 기준치 초과 2차 기준치 이하인 경우 주의로 판단할 수 있으며, 2차 기준치 초과인 경우 위험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계측데이터와 설계 기준치를 비교하여 계측모듈(10) 및/또는 영역의 안전상태를 판단할 수 있으며, 계측모듈(10)은 지중경사계로 한정되지 않고 계측을 위해 설치되고 현장 데이터베이스에 설계 기준치 값이 입력되는 계측장비가 포함될 수 있으며, 설계 기준치의 경우에도 3차 기준치가 아니라 여러 단계의 기준치가 설정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단일 기준치가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영역의 안전상태의 경우는 소정 기준에 따라 안전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는 계측모듈(10) 중 영역 내 설치된 지중경사계의 안전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영역의 안전상태를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흙막이 공사 등에 있어서 지중경사가 설계 기준치를 상회하여 문제가 발생하면 연쇄적인 문제가 발생하고 심한 경우 흙막이의 붕괴까지 이어질 수 있는바, 지중경사계의 안전상태가 양호한 경우 영역의 안전상태를 양호로 판단할 수 있으며 지중경사계의 안전상태가 주의 및 위험인 경우에도 영역의 안전상태를 상술한 바와 같이 판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지중경사계가 아닌 다른 계측모듈(10)의 안전상태에 따라 영역의 안전상태가 정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영역 내에 설치된 복수의 계측데이터와 설계 기준치를 비교하여 영역의 안전상태를 판단할 수도 있다.
상기 안전분석부(41)는 상술한 바와 같이 건설현장의 안전상태를 판단한 경우, 안전상태를 관계자에게 알리기 위하여 알람전송모듈(417)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계측데이터가 설계기준치를 초과한 경우 SMS 등을 통해 알림이 전송될 수 있으며, 설계 기준치가 단계적으로 설정된 경우, 계측데이터가 설계기준치를 초과할 시 알림이 다르게 전송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계측데이터가 1차 기준치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 해당 건설현장의 계측담당자에게만 알림이 전송되도록 할 수 있고 2차 기준치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 해당 건설현장 외부의 관리자에게도 알림이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송되는 알림이 다름에 따라 계측관리에 대한 대응도 달라지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결정부(43)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화면결정부(43)는 후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45)에 나타내어지는 화면요소를 결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건설현장 및 진행되는 공종에 따라 계측데이터 및/또는 안전상태를 최적화하여 사용자(60)가 외부에서도 직관적이고 용이하게 현장의 안전상태를 확인 및 열람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종래에는 자동계측을 실시하더라도 계측데이터의 값이나 차트에 대해서만 인터넷을 통해 열람이 가능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화면결정부(43)가 사용자 인터페이스(45)에 표시되는 화면요소를 결정하고 그 위치 및 내용을 최적화함에 따라 도면 등에 안전상태와 계측데이터 값이 표시되면서 외부의 사용자(60)가 직관적이고 용이하게 현장의 상황을 파악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건설안전신호시스템(1)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화면결정부(43)는 공종판단모듈(431), 도면표시모듈(433) 및 데이터시각화모듈(43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종판단모듈(431)은 현장에서 진행중인 공종을 판단 또는 선택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건설현장에서 시행되는 계측관리에는 크게 흙막이 공종, 터널굴착, 연약지반 공종을 포함할 수 있다. 흙막이 공종의 경우 건물 또는 구조물의 기초를 위하여 토사를 파내고 무너지지 않도록 벽을 형성하는 공종으로, 계측모듈(10)에서 계측되는 데이터는 지중경사, 지표침하, 지하수위 및 하중을 포함할 수 있다. 터널굴착 공종에서 계측되는 데이터는 천단침하, 내공변위를 포함할 수 있다. 연약지반 공종에서는 계측모듈(10)에서 침하량, 성토량, 하중 및 지하수위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계측할 수 있다.
상기 도면표시모듈(433)은 사용자 인터페이스(45) 상에 공종에 따른 적합한 도면을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면을 화면상에 표시하고 후술하는 데이터시각화모듈(435)에서 계측데이터 및/또는 안전상태에 따른 신호를 도면상에 표시하거나 별도로 표시할 수 있는바 외부의 사용자(60)는 건설현장을 방문하지 않고도 현장 또는 영역에서의 계측상태 및/또는 이상징후를 발견하고 이에 대한 대응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건설현장의 공종이 흙막이 공종인 경우 현장의 기초 부분에 대한 평면도를 후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5) 상에 표시할 수 있으며, 터널굴착 공종의 경우에는 터널 굴착시의 단면도를 표시할 수 있다. 나아가 연약지반 공종의 경우 공사현장의 지반에 대한 평면도와 각 영역에 대한 평면도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시각화모듈(435)은 사용자 인터페이스(45)상에 표시할 데이터를 공종 및 도면에 따라 시각화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표시되는 데이터는 안전상태에 대한 신호, 계측데이터, 설계 기준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면상에 표시되거나 도면 외의 위치에 표시될 수도 있다. 상기 데이터시각화모듈(435)은 신호결정모듈(4351)과 데이터결정모듈(43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결정모듈(4351)은 사용자 인터페이스(45)에 표시되는 안전상태에 대한 신호의 위치와 유형을 결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7에 표시되는 바와 같이 영역 및 계측모듈의 안전상태에 대한 신호가 도면상 영역의 위치 또는 계측모듈이 설치된 위치에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흙막이 공종에 있어서 계측모듈이 설치된 단면상에 3색 신호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계측모듈의 안전상태에 대한 신호가 도면상 계측모듈이 위치하는 곳에 색상으로 표시되되 단일 신호등으로도 표시될 수도 있다. 상술한 안전판단모듈(415)에서 영역 및/또는 계측모듈의 안전상태를 양호, 주의, 위험의 단계로 판단하였다면 이를 녹색, 적황색, 적색으로 표시하여 직관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영역 또는 단면의 안전상태를 표시하는 경우에는 지중경사계의 안전상태를 그 기준으로 할 수 있으며, 계측모듈의 안전상태를 표시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데이터결정모듈(4353)에서 표시 또는 정렬하는 계측모듈(10)에 따라 해당하는 계측모듈(10)의 안전상태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사용자 인터페이스(45) 상에 표시되는 도 9 및 도 10의 경우와 같이 안전상태에 따른 신호가 도면상에 표시되되, 해당 신호(453aa 내지 453ac)는 계측모듈이 설치된 단면의 위치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의 사용자는 해당 단면에서의 안전상태에 대한 신호를 열람하고, 문제 발생을 직관적으로 확인 및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나아가, 계측모듈과 해당 계측모듈에 따른 계측데이터가 정렬되고(454a), 해당하는 계측모듈의 안전상태에 대한 신호가 표시될 수 있다(454aa 내지 454ac).
상기 데이터결정모듈(4353)은 계측모듈(10)에서 측정된 계측데이터 및/또는 현장데이터베이스(30)에서 전송받은 설계 기준치를 사용자 인터페이스(45) 상에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계측데이터와 설계 기준치가 표시되는 위치와 유형을 소정 기준에 따라 가공하고 표시할 수 있다. 후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5)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계측데이터와 설계 기준치가 표, 차트, 그래프 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45)는 외부에서 접속하는 사용자가 접근 및 사용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건설현장의 안전상태 및/또는 계측데이터를 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는 사용자의 접속 경로 또는 선택에 따라 건설현장의 계측데이터와 안전상태에 대한 신호를 도면상 또는 도면 외에 구비된 위치에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60)가 건설현장에 직접 방문하지 않고서도 원격지에서 현장의 안전상태 및 계측상태를 직관적이고 용이하게 파악하고 이에 따른 적합한 대응을 하도록 제반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안전신호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상에 표시되는 초기화면(451)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상에 표시되는 흙막이 관리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흙막이 공종에서의 계측데이터가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7의 흙막이 관리화면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터널굴착 관리화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터널굴착의 계측데이터 관리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연약지반 관리화면, 도 12는 연약지반 데이터 관리화면, 도 13은 각 단면별 시공현황 및 주상도가 표시되는 화면에 해당한다. 도 6 내지 도 13을 참고하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45)는 상술한 안전분석부(41) 및/또는 화면결정부(43)에 의해 결정된 안전상태에 대한 신호 및/또는 계측데이터와 설계 기준치를 외부의 사용자가 열람 및 분석할 수 있도록 화면상에 나타낼 수 있다.
외부 또는 내부의 사용자(60)가 인터넷에 연결된 서버(50)를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안전신호시스템(1)에 접속하여 계측데이터 및 안전상태를 확인하려는 경우,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초기화면(451)에서 공종 및 건설현장(프로젝트)를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의 안전분석부 및 화면결정부에 의해 결정되고 서버에 저장된 도면과 데이터를 포함하는 화면을 열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흙막이 공종의 경우, 도 7과 도 8에 나타난 도면과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45)가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건설현장의 평면도(452a)가 화면상에 표시되며, 영역 또는 단면의 안전상태에 따른 신호(453a)가 도면상에 표시된다. 도면 외의 위치에는 단면 또는 영역에 따른 계측모듈의 계측기명, 관리번호, 계측된 데이터 및 계측모듈의 안전상태가 표시된다(454a). 도 8을 참고하면 단면 또는 영역별로 설치된 계측모듈(10)의 계측데이터가 차트 등으로 시각화되어 표시될 수 있다(455a).
자세하게는, 도 9에서 표시되는 바와 같이 영역 또는 단면이 도면(452a) 상에서 구분되고, 안전상태에 따른 신호가 도면상에 표시되되, 해당 신호(453aa 내지 453ac)는 계측모듈이 설치된 단면의 위치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의 사용자는 해당 단면에서의 안전상태에 대한 신호를 열람하고, 문제 발생을 직관적으로 확인 및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나아가, 도 10에서는 계측모듈과 해당 계측모듈에 따른 계측데이터가 정렬되고(454a), 해당하는 계측모듈의 안전상태에 대한 신호가 표시될 수 있다(454aa 내지 454ac).
터널굴착 공종에서는 도 11 및 도 12에 표시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도면표시모듈(433)에 의해 터널의 단면도(452b)가 화면상에 표시되고, 단면상에 설치된 계측모듈에서 측정한 계측데이터를 판단하여 안전상태에 따른 신호(453b)가 해당 단면상에 표시된다. 도면 외의 위치에는 각 단면 또는 영역에 설치된 계측모듈의 관리번호, 단면 및 계측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다(454b). 도 12에 표시되는 바와 같이, 각 단면 또는 계측모듈별로 계측데이터(천단, 대변, 수평 변위 등)와 설계 기준치 등이 시간에 따라 차트로 표시되어 사용자가 열람 및 분석이 가능하다.
사용자 인터페이스(45)는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연약지반 공종의 관리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3과 같이 도면표시모듈(433)에 의해 건설현장의 평면도가 표시되고(452c), 평면도 상의 단면 또는 영역에 따라 연약지반 계측데이터에 따른 안전상태 신호가 신호등으로 표시된다(453c). 도 1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계측모듈에서 측정한 계측데이터(성토고, 침하량, 침하 경시 그래프 등)가 설계 기준치와 함께 시간에 따라 표시되어(455c) 외부에서 이를 열람 및 분석할 수 있다. 나아가 도 15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 단면 또는 영역에 따라 주상도(456)를 표시함으로써 단면의 안전상태와 시공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45)에 대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흙막이 공종, 터널굴착, 연약지반의 계측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상기 서버(50)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인터넷을 통해 제어부(40)와 외부의 사용자(60)를 연결시킴으로써 원격지에서 상기 제어부(40)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60)가 건설현장 또는 건설현장이 아닌 곳에서도 계측데이터 및/또는 안전상태를 확인 및 분석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사용자(60)는 건설현장 내부 또는 외부의 클라이언트로써, 인터넷을 통해 서버(50)에 접속가능한 단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60)는 클라이언트PC, 태블릿 또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설안전신호시스템(1)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16 내지 도 19를 참고하여 상기 건설안전신호시스템의 신호 및 사용자인터페이스 표시 방법(S1)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안전신호시스템의 신호 및 사용자인터페이스 표시 방법(S1)의 흐름도이다. 건설안전신호시스템의 신호 및 사용자인터페이스 표시 방법(S1)은 계측단계(S10), 수집단계(S20), 분석단계(S41), 화면결정단계(S43) 및 표시단계(S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측단계(S10)는 계측모듈(10)을 통하여 건설현장의 계측데이터를 수집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계측모듈(10)을 통해 건설현장의 다양한 정보가 입출력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집단계(S20)의 흐름도이다. 상기 수집단계(S20)는 계측단계(S10)에서 측정한 계측데이터를 수집하고 변환하며, 저장한 후 제어부(4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수집단계(S20)는 수집변환단계(S21)와 저장전송단계(S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집변환단계(S21)는 여러 종류의 입출력값, 즉 계측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이 가능하도록 변환하는 단계이며, 리드아웃모듈(21)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저장전송단계(S23)는 계측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제어부(40)에 전송하는 단계이며, 데이터로거(23)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석단계(S41)의 흐름도이다. 도 18을 참고하면, 상기 분석단계(S41)는 공사현장의 영역에 따라 전송받은 계측모듈(10)에서 측정된 계측데이터와 현장데이터베이스(30)로부터의 설계 기준치를 비교하여 현장의 안전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분석단계(S41)는 영역결정단계(S411), 데이터비교단계(S413) 및 안전판단단계(S41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역결정단계(S411)는 복수개의 계측모듈(10)을 소정의 기준에 따라 1개 이상의 영역 또는 단면으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비교단계(S413)는 현장 데이터베이스(30)로부터 전송받은 설계 기준치와 데이터수집부(20)로부터 전송받은 계측데이터를 비교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설계 기준치는 복수 개의 단계로 설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1차, 2차 및 3차 설계 기준치와 계측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다.
상기 안전판단단계(S415)는 상기 데이터비교단계(S413)에서 비교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하여 영역 및/또는 계측모듈(10)이 설치된 부분에서의 안전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설계 기준치와 계측데이터를 비교한 후 판단되는 안전상태는 양호, 주의, 위험의 3단계로 구분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데이터시각화단계(S435)에서 상기 안전상태가 색상으로 변환되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분석단계(S41)는 알람전송단계(S417)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알람전송단계(S417)에 의해 계측데이터가 설계기준치를 초과한 경우 SMS 등을 통해 알림이 전송될 수 있으며, 설계 기준치가 단계적으로 설정된 경우, 계측데이터가 설계기준치를 초과할 시 알림이 다르게 전송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결정단계(S43)의 흐름도이다. 도 19를 참고하면, 상기 화면결정단계(S43)는 후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45)에 나타내어지는 화면요소를 결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건설현장 및 진행되는 공종에 따라 계측데이터 및/또는 안전상태를 최적화하여 사용자(60)가 외부에서도 직관적이고 용이하게 현장의 안전상태를 확인 및 열람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화면결정단계(S43)는 공종판단단계(S431), 도면표시단계(S433) 및 데이터시각화단계(S4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종판단단계(S431)는 현장에서 진행중인 공종을 판단 또는 선택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흙막이 공종의 경우 건물 또는 구조물의 기초를 위하여 토사를 파내고 무너지지 않도록 벽을 형성하는 공종으로, 계측모듈(10)에서 계측되는 데이터는 지중경사, 지표침하, 지하수위 및 하중을 포함할 수 있다. 터널굴착 공종에서 계측되는 데이터는 천단침하, 내공변위를 포함할 수 있다. 연약지반 공종에서는 계측모듈(10)에서 침하량, 성토량, 하중 및 지하수위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계측할 수 있다.
상기 도면표시단계(S433)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5) 상에 공종에 따른 적합한 도면을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건설현장의 도면을 화면상에 표시하게 되는바 외부의 사용자(60)는 건설현장을 방문하지 않고도 현장 또는 영역에서의 계측상태 및/또는 이상징후를 발견하고 이에 대한 대응을 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시각화단계(S435)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5)상에 표시할 데이터를 공종 및 도면에 따라 시각화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표시되는 데이터는 안전상태에 대한 신호, 계측데이터, 설계 기준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면상에 표시되거나 도면 외의 위치에 표시될 수도 있다. 상기 데이터시각화단계(S435)는 신호결정단계(S4351)와 데이터결정단계(S43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결정단계(S435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5)에 표시되는 안전상태에 대한 신호의 위치와 유형을 결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영역 및 계측모듈의 안전상태에 대한 신호가 도면상 영역의 위치 또는 계측모듈이 설치된 위치에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술한 안전판단단계(S415)에서 영역 및/또는 계측모듈의 안전상태를 양호, 주의, 위험의 단계로 판단하였다면 이를 녹색, 적황색, 적색으로 표시하여 직관성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결정단계(S4353)는 계측모듈(10)에서 측정된 계측데이터 및/또는 현장데이터베이스(30)에서 전송받은 설계 기준치를 사용자 인터페이스(45) 상에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계측데이터와 설계 기준치가 표시되는 위치와 유형을 소정 기준에 따라 가공하고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계측데이터와 설계 기준치가 표, 차트, 그래프 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표시단계(S45)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5) 상에 건설현장, 현장의 안전상태에 대한 신호, 계측데이터 등을 상기 분석단계(S41) 및 화면결정단계(S43)에서 판단한 결과에 따라 표시하여 외부의 사용자(6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건설안전신호시스템
10: 계측모듈
20: 데이터수집부
21: 리드아웃모듈 23: 데이터 로거(Data Logger)
30: 현장 데이터베이스
40: 제어부 41: 안전분석부
411: 영역결정모듈 413: 데이터비교모듈
415: 안전판단모듈 417: 알람전송모듈
43: 화면결정부 431: 공종판단모듈
433: 도면표시모듈 435: 데이터시각화모듈
4351: 신호결정모듈 4353: 데이터결정모듈
50: 서버 60: 사용자

Claims (2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건설현장에 다수 설치되어 계측을 실시하는 계측모듈과, 상기 계측모듈로부터 전달되는 계측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수집부와, 상기 데이터수집부와 현장 데이터베이스(DB)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분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를 인터넷에 연결시키고 원격지에서 상기 제어부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외부에서 접속하는 사용자가 접근 및 사용 가능하도록 구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I)와 계측데이터의 안전상태에 따른 신호를 표시하는 안전분석부 및 진행되는 공종에 따라 상기 계측데이터와 안전상태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하는 화면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분석부는 상기 데이터수집부로부터 수신한 계측모듈의 데이터와 상기 현장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한 설계 기준치를 비교하는 데이터 비교모듈과, 비교한 데이터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계측모듈의 안전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하는 안전 판단모듈 및 복수개의 계측모듈을 상기 계측모듈이 설치되는 단면에 따라 1개 이상의 영역으로 분류하는 영역결정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영역결정모듈은 현장에서 진행중인 공종이 흙막이 공종 및 연약지반 공종인 경우 건설현장의 평면에 대하여 유사한 계측데이터를 갖는 계측모듈에 따라 영역을 결정하고, 터널굴착 공종인 경우 계측모듈이 설치된 단면 사이의 중심으로부터 다른 중심까지를 한 영역으로 결정하며,
    상기 안전 판단모듈은 단계적으로 설정되는 설계 기준치에 따라 상기 데이터 비교모듈에서 비교한 데이터를 기준으로 하여 분류된 영역 내 계측모듈의 안전상태를 양호, 주의, 위험의 단계로 판단하고,
    상기 화면결정부는 현장에서 진행중인 공종을 판단하는 공종판단모듈, 상기 공종판단모듈에서 판단한 공종에 따른 도면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하는 도면표시모듈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상에 표시할 데이터를 공종 및 도면에 따라 시각화하는 데이터 시각화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 시각화모듈은 상기 계측데이터의 위치와 유형을 소정 기준에 따라 가공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하는 데이터결정모듈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안전상태에 대한 신호의 위치와 유형을 결정하는 신호결정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결정모듈은 계측모듈과 계측데이터 및 설계기준치를 가공하여 표시하고,
    상기 신호결정모듈은 상기 안전 판단모듈에서 판단한 상기 영역의 안전상태를 도면의 영역 내 계측모듈이 설치된 위치에 색상으로 표시하고, 계측모듈의 안전상태를 상기 데이터결정모듈에 의해 정렬된 계측모듈과 계측데이터를 따라 색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안전신호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수집부는 계측데이터를 수집하고 변환하는 리드아웃모듈과 계측데이터를 저장하고 전송하는 데이터로거(Data Logg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안전신호시스템.
  18. 삭제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판단모듈은 상기 영역 내 계측모듈 중 지중경사계에 대한 계측데이터의 안전상태를 판단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안전신호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안전분석부는 계측데이터가 설계 기준치를 상회하는 경우 알람을 전송하는 알람전송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안전신호시스템.
  21. 삭제
  22. 삭제
  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공종이 흙막이 공종인 경우, 상기 도면표시모듈은 현장의 기초 부분에 대한 평면도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하며, 상기 데이터결정모듈은 지중경사, 지표침하, 지하수위 및 하중 계측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계 기준치와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안전신호시스템.
  24.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공종이 터널굴착 공종인 경우, 상기 도면표시모듈은 터널굴착 공종의 단면도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하고, 상기 데이터결정모듈은 내공변위, 천단침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계 기준치와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안전신호시스템.
  25.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공종이 연약지반 공종인 경우, 상기 도면표시모듈은 현장 지반의 평면도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하고, 상기 데이터결정모듈은 침하량, 성토량 및 지하수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계 기준치와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안전신호시스템.
KR1020190078802A 2019-07-01 2019-07-01 건설안전신호시스템 KR102118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802A KR102118592B1 (ko) 2019-07-01 2019-07-01 건설안전신호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802A KR102118592B1 (ko) 2019-07-01 2019-07-01 건설안전신호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8592B1 true KR102118592B1 (ko) 2020-06-05

Family

ID=71088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8802A KR102118592B1 (ko) 2019-07-01 2019-07-01 건설안전신호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859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4515B1 (ko) * 2020-09-29 2021-04-26 주식회사 비던 흙막이 시설물 관리서버
CN113309065A (zh) * 2021-06-29 2021-08-27 中交二公局第七工程有限公司 一种绿色建筑施工用多功能测量装置
KR102335395B1 (ko) * 2020-12-31 2021-12-07 롯데건설 주식회사 시스템 서포트를 위한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장치
KR102681428B1 (ko) * 2024-01-30 2024-07-05 주식회사 아주엔지니어링 건설 현장의 조기경보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1548A (ko) * 2000-09-15 2002-03-21 윤광섭 인터넷을 이용한 구조물의 원격 계측 및 관리 시스템과 그방법
KR100364917B1 (ko) 2000-05-01 2002-12-16 이근호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계측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58941B1 (ko) * 2007-05-17 2010-05-19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인터넷 기반 통합 계측정보 관리 시스템
KR20170056852A (ko) * 2015-11-16 2017-05-24 주식회사 서신엔지니어링 통합계측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4917B1 (ko) 2000-05-01 2002-12-16 이근호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계측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21548A (ko) * 2000-09-15 2002-03-21 윤광섭 인터넷을 이용한 구조물의 원격 계측 및 관리 시스템과 그방법
KR100958941B1 (ko) * 2007-05-17 2010-05-19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인터넷 기반 통합 계측정보 관리 시스템
KR20170056852A (ko) * 2015-11-16 2017-05-24 주식회사 서신엔지니어링 통합계측 관리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4515B1 (ko) * 2020-09-29 2021-04-26 주식회사 비던 흙막이 시설물 관리서버
KR102335395B1 (ko) * 2020-12-31 2021-12-07 롯데건설 주식회사 시스템 서포트를 위한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장치
CN113309065A (zh) * 2021-06-29 2021-08-27 中交二公局第七工程有限公司 一种绿色建筑施工用多功能测量装置
KR102681428B1 (ko) * 2024-01-30 2024-07-05 주식회사 아주엔지니어링 건설 현장의 조기경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8592B1 (ko) 건설안전신호시스템
KR102036150B1 (ko) 일정범위지역의 지반에 시공되는 토목 및 건축 구조물의 토사침하 센싱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6368247A (zh) 基于bim的基坑智能监测及主动预警方法和系统
KR102051904B1 (ko) 토목 및 건축 구조물의 토사침하 센싱모듈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2071028A (zh) 浅层滑坡的监测预警方法及其装置
KR100913194B1 (ko)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유비쿼터스 기반의 지하매설물 실시간모니터링 시스템
CN117037456B (zh) 一种现场监测的矿山灾害预测预警方法及系统
JP4324126B2 (ja) 地中内観測システムおよび地中内観測方法
CN108180938A (zh) 一种深基坑实时监测预警系统
US20140006074A1 (en) System and method for gathering, analyzing, managing and sharing ground modification operation data
CN113404029A (zh) 基于数字孪生技术的施工现场深基坑智能监测预警系统
CN111445671A (zh) 基于光纤应变解析的输电线路地质灾害监测系统与方法
KR102315081B1 (ko) 모바일로 연동 가능한 자동 계측 시스템
CN116311770A (zh) 基于物联边缘计算网关的房屋安全预警系统、方法及终端
KR100958941B1 (ko) 인터넷 기반 통합 계측정보 관리 시스템
KR101191131B1 (ko) 흙막이 가시설 구조물의 변위 계측장치
US20130103451A1 (en) System and method for gathering, analyzing, managing and sharing ground modification operation data
KR102239394B1 (ko) 땅밀림 발생지 조사 시스템 및 이의 모니터링 장치
KR102099657B1 (ko) IoT 플랫폼 기반의 지하매설물 센서모니터링 관제 방법
KR102233374B1 (ko) 흙막이 가시설 및 인접 구조물 통합 안전성 평가시스템
CN116233191A (zh) 一种智能化基坑监测系统
De Graaf et al. Slope monitoring and data visualisation state-of-the-art–advancing to Rio Tinto Iron Ore’s Mine of the future™
Dawn Technologies of ground support monitoring in block caving operations
KR102277825B1 (ko) 다종 센서 기반 다층 구조 3차원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4205467A (ja) 構造物の被災度推定方法および構造物の被災度推定表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