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6539B1 -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6539B1
KR102416539B1 KR1020210154629A KR20210154629A KR102416539B1 KR 102416539 B1 KR102416539 B1 KR 102416539B1 KR 1020210154629 A KR1020210154629 A KR 1020210154629A KR 20210154629 A KR20210154629 A KR 20210154629A KR 102416539 B1 KR102416539 B1 KR 102416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diaphragm
vibration
main body
inpu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4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찬
Original Assignee
이병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찬 filed Critical 이병찬
Priority to KR1020210154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65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6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6539B1/ko
Priority to PCT/KR2022/017107 priority patent/WO202308568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4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e.g. game controllers with detachable joystick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5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8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responding to control signals received from the game device for affecting ambient conditions, e.g. for vibrating players' seats, activating scent dispensers or affecting temperature or light
    • A63F13/285Generating tactile feedback signals via the game input device, e.g. force feedba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38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limited linear or angular displacement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from a neutral position, e.g. isotonic or isometric joy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1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 A63F2300/1037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being specially adapted for converting control signals received from the game device into a haptic signal, e.g. using force feedb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입력장치가 개시된다. 입력장치는 본체와, 본체에 연결된 막대형의 손잡이부와, 본체 또는 손잡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과, 본체 또는 손잡이부 안에 위치하며 복수 개의 버튼의 누름 감지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회로기판으로 구성된 제어부와, 손잡이부의 일측면에 위치한 진동판과, 손잡이부 내부에 위치하고 진동판에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발생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입력장치{Input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컴퓨터를 포함한 각종 기기에 적합한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 VR(Virtual Reality) 게임기 등 종래 다양한 종류의 입력장치가 존재한다. 그러나 이러한 입력장치는 제어신호를 일방적으로 출력할 뿐 총기 관련 게임에서 실제 총을 쏘는 것과 같은 진동을 제공하지 못한다. 오락실에 모의 총기 모양으로 된 게임장치도 존재하나, 이러한 총기 모양의 입력장치는 그 길이가 길어 일반 가정에서 컴퓨터로 총기 관련 게임을 진행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다.
등록특허공보 제10-2277913호 '입력장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컴퓨터나 스마트폰, VR 기기 또는 각종 게임기 등을 위한 입력장치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컴퓨터의 각종 프로그램이나 다양한 게임에 적합한 진동을 제공할 수 있는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력장치의 일 예는,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된 막대형의 손잡이부;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손잡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손잡이 안에 위치하며 상기 복수 개의 버튼의 누름 감지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회로기판으로 구성된 제어부;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면에 위치한 진동판; 및 상기 손잡이부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진동판에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발생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컴퓨터나 스마트폰, VR 기기 또는 각종 게임기 등을 위한 입력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의 다양한 프로그램이나 게임 등에 적합한 진동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입력장치 전체를 진동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손의 일정 부위에만 진동을 정교하게 전달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장치를 각각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력장치의 진동판의 내부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동판을 각각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력장치의 일 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동 제어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력장치에 대해 상세히 살펴본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장치를 각각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입력장치(100)는 손잡이부(110), 본체(120),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130), 조이스틱(140), 진동판(150) 등을 포함한다.
본체(120)는 일정 무게와 일정 무피를 가지며 손잡이부(110)를 지지한다. 본체(120)는 일정 두께를 가진 박스 형태로 구현되는 등 미적인 요소를 고려하여 다양한 모양으로 구현될 수 있다. .
손잡이부(110)는 본체(120)에 수직방향으로 고정 연결된 막대 형태이다. 여기서 수직방향은 반드시 90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본체(120)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을 정도로 일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를 모두 포함한다. 일 예로, 손잡이부(110)는 사용자가 손으로 감싸 잡을 수 있도록 그 직경을 수 Cm 정도로 구현하고, 길이 또한 일반 사용자의 손바닥 크기를 감안하여 10Cm 이상으로 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손잡이부(11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을 정도이면 되므로 굵기 및 길이는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130)이 본체(120) 및/또는 손잡이부(110)에 존재한다. 예를 들어, 본체(120) 윗면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이 존재하고, 손잡이부(110)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130)이 존재할 수 있다. 손잡이부(110)의 경우 사용자가 손으로 손잡이부를 감싸 잡을 때 엄지손가락, 검지손가락 또는 중지손가락이 닿을 수 있는 곳에 버튼이 존재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버튼(130)의 개수 및 위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진동판(150)은 손잡이부(110)의 일측면에 존재한다. 예를 들어, 진동판(150)은 손잡이부(110)의 뒷쪽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손잡이부(110)를 잡을 때 진동판(150)의 진동이 사용자의 손바닥에 잘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다른 실시 예로, 진동판(150)은 사용자가 손잡이부(110)를 잡았을 때 손과 닿을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조이스틱(140)은 손잡이부(110)의 일측에 위치한다. 조이스틱(140)은 손가락을 이용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110)의 상측에 위치하며 그 크기는 일반 버튼 정도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조이스틱(140)은 엄지손가락 또는 검지손가락 등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110) 상부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많은 수의 버튼(130)과 조이스틱(140)을 손잡이부(110)에 구현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110)의 상부를 박스 형태로 구현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예일 뿐 손잡이부(110) 상부는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한 모양이나 크기,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본체(120) 및/또는 손잡이부(110) 내부에는 복수 개의 버튼의 누름 감지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회로기판으로 구성된 제어부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입력장치(100)는 전원, 충전부, 송수신부, 진동발생부 등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구성은 본체 및/또는 손잡이부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어부 등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6에서 다시 살펴본다.
본체(120)의 바닥면은 평면이거나 일부 경사면을 포함하는 형태 또는 곡면형태일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바닥면이 일부 경사면을 포함하는 형태의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다. 본체(120) 바닥면이 곡면형태 또는 경사면을 가지는 경우에 입력장치(100)는 바닥에 놓인 상태에서 앞, 뒤, 좌, 우 등으로 자유롭게 기울어질 수 있다
본체(120) 바닥면이 곡면인 경우에 입력장치를 바닥에 내려 놓으면 어느 한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문제점이 존재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입력장치(100)는 바닥면의 제일 깊은 곳이 무게중심축에 위치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뚝이와 같이 바닥면의 중심이 무게중심축에 위치하도록 하여 입력장치(100)를 바닥에 놓으면 기울어지지 않게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입력장치(100)는 그 전체가 움직이므로, 사용자는 입력장치(100)를 들고 사용하거나 바닥에 놓고 사용할 수 있다.
바닥면이 곡면 형태로 구현된 입력장치(100)는 작은 힘으로 앞,뒤,좌,우 등 원하는 방향으로 기울일 수 있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입력장치를 기울이지 않고 바닥에 고정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입력장치는 움직임 고정을 위한 고정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120)의 일측에는 홈(170)이 존재하고, 고정부(160)는 'ㄷ'자 형태로 구현되어 본체(120)의 홈(170)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160)가 본체(120)에 끼워졌을 때 고정부(160)의 바닥면의 위치와 본체(120) 중앙의 블록한 중심 부위의 높이가 같아지므로 본체(120)의 움직임을 고정할 수 있다. 고정부(160)의 보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고정부(160)는 손잡이부(110) 부분의 상측 홈에 끼워져 보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력장치의 진동판의 내부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동판을 각각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진동판과 관련된 구성을 제외한 회로기판 등의 다른 구성은 생략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진동판(150)은 손잡이부(110)의 표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예를 들어, 수mm) 돌출되어 있다. 진동판(150)은 손잡이부(110)에 일체형으로 고정된 것이 아니라 손잡이부(110)의 표면을 기준으로 수mm 상하 움직임이 가능한 상태로 손잡이부(110)에 연결된다. 다른 실시 예로, 진동판(150)은 표면과 동일한 높이(즉, 돌출되지 않은 상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각종 장난감이나 키보드 등의 버튼과 같이 진동판(150)과 손잡이부(110) 사이를 스프링 등의 탄성소재로 연결하여, 진동판 전체가 상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진동판(150)이 본 실시 예와 같이 손잡이부(110)의 높이 방향으로 배치된 긴 막대 구조인 경우 사용자가 손잡이부(110)를 잡는 위치 또는 손바닥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따라 진동판의 위쪽 또는 아래쪽만 눌러지는 등 그립감이 안 좋아지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진동판(150)을 버튼 등과 같이 작은 사격형 형태로 구현하고 손잡이부(110)와 탄성소재로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손잡이부(110)를 잡는 위치에 따라 진동판의 일부만 눌러지는 문제점은 해결된다. 그러나 진동판(150)의 크기가 작아 사용자의 손바닥에 전달되는 진동의 크기가 작은 단점이 존재한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진동판(150)을 본 실시 예와 같이 긴 막대 구조로 구현하되 진동판(150)의 일단은 손잡이부(110)와 회전축으로 연결되고, 진동판(150)의 타단은 탄성소재(310)를 통해 손잡이부(110)와 연결된다. 즉, 손잡이부(110)는 진동판(150)의 일단과 연결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연결부(320)와 진동판(150)의 타단과 연결되는 탄성소재(31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는 막대 형태의 진동판(150)에서 아래쪽 부분을 회전축으로 고정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반대로 위쪽 부분을 회전축으로 고정하도록 변형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진동판(150)은 그 길이방향과 수직인 방향의 속이 빈 원통형 연결부(152)를 포함하고, 손잡이부(110)는 상기 원통형 연결부에 삽입할 수 있는 원통형 막대를 포함하는 연결부(320)를 포함한다. 다른 예로 진동판(150)이 원통형 막대로 구현되고, 손잡이부(110)가 속이 빈 원통형 연결부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 외에도 막대 모양의 진동판(150)이 회전가능하도록 손잡이부(110)에 연결되는 종래의 다양한 방법이 본 실시 예에 적용될 수 있으며, 특정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진동판(150)의 타단은 탄성소재(310)를 통해 손잡이부(110)에 연결된다. 본 실시 예는 탄성소재(310)의 일 예로 일정 곡률로 휘어짐이 가능한 일정 길이의 연결판을 사용한다. 연결판(310)은 플라스틱이나 금속류 등 휘어졌을 때 원상태로 되돌아오려는 탄성력이 존재하는 다양한 소재로 구현될 수 있다. 연결판(310)은 진동판을 바깥방향으로 밀어 내는 힘이 존재하도록 안쪽방향으로 일정 곡률 휘어진 상태로 진동판(150)과 손잡이부(110)의 내부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진동판(150)의 내부 일측에는 연결판(310)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수단(예를 들어, 접착제 또는 연결판이 끼워지는 홈 구조 등)이 존재한다. 다른 실시 예로, 진동판(150)의 폭보다 연결판(310)의 폭이 좁은 경우 진동판(150) 전체에 고른 힘이 전달될 수 있도록 연결판(310)은 복수 개로 구성되어 진동판(150)에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두 개의 판 구조로 구성된 연결판(310)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탄성소재(310)는 연결판 외에 스프링 등 종래의 다양한 소재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진동판(150)은 탄성소재(310)에 의해 가해지는 탄성력에 의해 손잡이부(110)의 표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돌출된 상태로 존재한다. 사용자가 손잡이부(110)를 잡으면, 진동판(150)은 사용자 손에 의해 가해지는 힘으로 눌러진다. 보다 정확하게 표현하면, 진동판(150)은 사용자 손바닥에 의해 가해지는 힘으로 일정 각도 회전한다. 진동판(150)의 일단은 회전축으로 연결 고정되므로, 사용자의 손에 의해 진동판(150)에 힘이 가해지면, 진동판(150)은 회전축을 기준으로 손잡이부(110)의 안쪽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고,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이 사라지면 탄성소재(310)에 의해 진동판(150)은 바깥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한다. 즉, 본 실시 예의 진동판(150)은 회전축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 회전가능한 구조를 포함한다.
손잡이부(110)의 내부에는 진동발생부(300)가 존재한다. 진동발생부(300)는 진동판(150)에 진동을 전달한다. 진동발생부(300)는 단순한 떨림을 발생하도록 구현하거나 본 실시 예와 같이 앞뒤로 진동하는 진동막대(302)를 이용하여 진동판(150)을 빠른 속도로 때리는 진동모터 또는 솔레노이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진동발생부(300)는 진동막대(302)의 왕복 움직임을 이용하여 진동을 발생할 수 있다. 진동막대(302)를 앞뒤로 움직이는 솔레이노드 또는 모터 구조는 널리 알려진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예는 종래의 다양한 솔레이노드 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진동막대(302)로 진동판(150)을 빠른 속도로 때려 진동을 발생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손바닥에 가해지는 보다 정교한 진동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진동판(150)은 탄성소재(310)로 연결되며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으면 일정 각도 손잡이부(110) 안쪽으로 들어온 상태에 존재하므로 진동발생부(300)가 진동판(150)을 때릴 때마다 진동판(150)은 일정 부분 움직이게 되어 사용자에게 진동을 보다 잘 전달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진동판(150)은 복수 개의 탄성소재로 손잡이부(11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 예의 진동판(150)의 회전축 부분은 타단의 연결판(310)이나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소재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진동판(150)의 양 끝이 모두 탄성소재(310)로 연결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력장치의 일 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입력장치(100)는 복수 개의 버튼(600), 조이스틱(610), 통신부(620), 제어부(630), 진동발생부(640), 진동판(650), 움직임센서(660), 전원부(670), 충전부(680) 등을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라, 입력장치(100)는 일부 구성을 생략하여 구현하거나 다른 구성을 부가하여 구현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버튼(600) 및 조이스틱(610)은 도 1 및 도 2에서 살핀 바와 같이 본체(120) 및/또는 손잡이부(110)의 일측에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120) 윗면의 일측에 존재하는 복수 개의 버튼은 진동 제어와 관련된 진동제어버튼일 수 있다. 진동제어버튼에 따라 진동 제어신호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진동발생부(640)는 진동판(650)에 진동을 전달한다. 진동발생부(640)는 솔레노이드 모터 등으로 구현되어 진동을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판(650)은 손잡이부(110)의 뒷면에 일정 높이(예를 들어, 수 mm) 노출되어 배치되고, 손잡이부(110) 안에 위치한 진동발생부(640)로부터 진동을 전달받을 수 있다.
움직임센서(660)는 지자기센서,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움직임센서(660)는 본체(120) 또는 손잡이부(110) 내부에 위치하여, 입력장치(100)의 3차원 움직임을 감지한다. 일 예로, 움직임센서(660)는 입력장치(100)의 무게중심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움직임센서(660)의 센싱값은 바로 통신부(620)를 통해 외부장치로 출력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움직임센서(660)의 센싱값은 제어부(630)로 전달되고, 제어부(630)는 그 센싱값을 통신부(620)를 통해 외부장치로 출력하거나 센싱값을 소정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가공한 결과값(예를 들어, 상대적 움직임 거리나 각도 등)을 통신부(620)를 통해 외부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630)는 외부장치로부터 전달받은 제어신호에 따라 움직임센서(660)의 센싱값의 전송주기 또는 전송조건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630)는 복수 개의 버튼(600)의 누름이나 조이스틱(610)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이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제어부(630)는 각 버튼별 서로 다른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그 제어신호를 통신부(620)를 통해 외부장치로 전송하거나 진동발생부(64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잡이부(110)의 일측에 존재하는 복수의 버튼 중 진동과 관련된 입력버튼의 누름이 감지되면 진동제어버튼의 온/오프에 따라 1회 진동 또는 연속 진동의 제어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충전부(680)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입력받아 전원부(670)를 충전한다. 일 실시 예로 충전부(680)는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104)를 통해 외부 전원과 연결되거나, 본체9120) 내부에 위치한 무선충전패드(미도시)를 통해 외부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무선충전패드(미도시)는 본체 바닥 쪽에 위치할 수 있다.
통신부(620)는 무선 또는 유선을 통해 외부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거나 외부장치에게 제어신호 등을 전송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620)는 제어부(630)가 생성한 제어신호 또는 움직임센서의 센싱값 등을 와이파이,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등 종래의 다양한 무선 통신 방법을 통해 외부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외부장치는 입력장치(110)가 발생하는 제어신호 또는 움직임 센싱값 등을 수신하면 이에 해당하는 각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외부장치는 일반컴퓨터, VR(Virtrual Reality) 기기, 게임기, 스마트폰 등 다양한 종류일 수 있다. 일 예로, 입력장치(100)는 일반 컴퓨터의 마우스 등과 같은 입력장치로 활용되거나 일반 컴퓨터에서 구동되는 각종 게임을 위한 입력장치로 활용되거나, 또는 다양한 종류의 게임 장치의 입력장치로 활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동 제어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입력장치(100)는 복수의 버튼 중 1회 진동(710)과 관련된 버튼의 누름이 감지되면, 진동발생부(640)에 1회 진동의 제어신호(700)를 출력한다. 또는 입력장치(100)는 복수의 버튼 중 연속진동(712)과 관련된 버튼의 누름이 감지되면, 해당 버튼의 누름이 존재하는 동안 연속하여 진동을 발생하는 제어신호(702)를 진동발생부(640)에 출력한다.
다른 실시 예로, 입력장치(100)는 외부장치로부터 1회 진동과 관련된 제어신호(700) 또는 연속진동과 관련된 제어신호(702)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입력장치(100)는 사용자의 버튼 누름과 관련없이 외부로부터 수신한 제어신호(700,702)에 따라 진동발생부(640)가 1회 진동 또는 연속 진동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진동 모드의 종류로 1회 진동과 연속 진도의 두 가지를 제시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일 뿐 제어신호에 따른 다양한 진동 모드를 포함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손잡이 120: 본체
130: 버튼 150: 진동판
300: 진동발생부

Claims (7)

  1.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된 막대형의 손잡이부;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손잡이부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손잡이부 안에 위치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의 누름 감지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회로기판으로 구성된 제어부;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면에 위치한 진동판; 및
    상기 손잡이부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진동판에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진동판의 일단과 회전축으로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진동판의 타단과 연결되는 탄성소재;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발생부는, 진동막대의 왕복 움직임을 통해 진동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은,
    상기 손잡이부의 표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소재는 상기 진동판과 상기 손잡이부의 내측 사이에 안쪽으로 휘어진 상태로 연결되어 상기 진동판을 바깥으로 미는 탄성력이 존재하는 연결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소재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6.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된 막대형의 손잡이부;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손잡이부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손잡이부 안에 위치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의 누름 감지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회로기판으로 구성된 제어부;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면에 위치한 진동판; 및
    상기 손잡이부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진동판에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진동판의 일단과 연결되는 제1 탄성소재; 및
    상기 진동판의 타단과 연결되는 제2 탄성소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탄성소재는 상기 진동판과 상기 손잡이부의 내측 사이에 안쪽으로 휘어진 상태로 연결되어 상기 진동판을 바깥으로 미는 탄성력이 존재하는 연결판 또는 스프링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외부 장치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가 수신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진동발생부의 진동모드를 서로 다르게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KR1020210154629A 2021-11-11 2021-11-11 입력장치 KR102416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4629A KR102416539B1 (ko) 2021-11-11 2021-11-11 입력장치
PCT/KR2022/017107 WO2023085687A1 (ko) 2021-11-11 2022-11-03 입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4629A KR102416539B1 (ko) 2021-11-11 2021-11-11 입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6539B1 true KR102416539B1 (ko) 2022-07-05

Family

ID=82402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4629A KR102416539B1 (ko) 2021-11-11 2021-11-11 입력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16539B1 (ko)
WO (1) WO202308568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5687A1 (ko) * 2021-11-11 2023-05-19 주식회사 아이넥스 입력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6816A (ko) * 2001-03-30 2002-10-11 주식회사 에이전텍 저주파를 이용한 체감 게임방법 및 그 장치
KR20180008303A (ko) * 2016-07-15 2018-01-24 임머숀 코퍼레이션 햅틱 지원 컨트롤러 디바이스에서의 엔드 스톱 감소 해결 방법 및 장치
JP2019012409A (ja) * 2017-06-30 2019-01-24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入力装置
JP2020001574A (ja) * 2018-06-28 2020-01-09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入力装置
KR102277913B1 (ko) 2020-12-21 2021-07-15 이병찬 입력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6539B1 (ko) * 2021-11-11 2022-07-05 이병찬 입력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6816A (ko) * 2001-03-30 2002-10-11 주식회사 에이전텍 저주파를 이용한 체감 게임방법 및 그 장치
KR20180008303A (ko) * 2016-07-15 2018-01-24 임머숀 코퍼레이션 햅틱 지원 컨트롤러 디바이스에서의 엔드 스톱 감소 해결 방법 및 장치
JP2019012409A (ja) * 2017-06-30 2019-01-24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入力装置
JP2020001574A (ja) * 2018-06-28 2020-01-09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入力装置
KR102277913B1 (ko) 2020-12-21 2021-07-15 이병찬 입력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5687A1 (ko) * 2021-11-11 2023-05-19 주식회사 아이넥스 입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85687A1 (ko) 2023-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61183B2 (en) Game operating device
JP5969626B2 (ja) 高められたジェスチャ・ベースの対話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004176B1 (ko) 게임 조작 장치
KR101176883B1 (ko) 컴퓨터 또는 비디오 게임 시스템과 함께 이용되는 제어장치
KR101576979B1 (ko) 자기장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판단하는 전기 장치
US2010009094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 Device
US20110263328A1 (en) Operat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JP2020519992A (ja) Led追跡リングを用いたハンドコントローラ
US20090088248A1 (en) Game controlling apparatus for pedaling motion
JP2010125171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40113884A (ko) 프로그램 가능한 햅틱 주변 장치
JP2013222399A (ja) 操作方法、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EP1078660B1 (en) Entertainment system and recording medium
JPH10149747A (ja) ゲーム機用操作機
KR102574997B1 (ko) 게임 컨트롤러
EP2090347A1 (en)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KR102416539B1 (ko) 입력장치
KR102277913B1 (ko) 입력장치
JP7233399B2 (ja) ゲームプログラム、ゲーム装置、ゲームシステム、およびゲーム処理方法
KR100914119B1 (ko) 게임 조작 장치, 게임 조작 시스템 및 게임 시스템
JP2011086287A (ja) 操作デバイス
JP7248720B2 (ja) ゲームプログラム、ゲーム装置、ゲームシステム、およびゲーム処理方法
JP4227744B2 (ja) コンピュータ用入力装置及び該装置におけるグリップ装置
KR102337816B1 (ko) 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입력방법
JPH10293646A (ja) 三次元コントロー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