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6494B1 - 연료 펌프 모듈 - Google Patents

연료 펌프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6494B1
KR102416494B1 KR1020200141123A KR20200141123A KR102416494B1 KR 102416494 B1 KR102416494 B1 KR 102416494B1 KR 1020200141123 A KR1020200141123 A KR 1020200141123A KR 20200141123 A KR20200141123 A KR 20200141123A KR 102416494 B1 KR102416494 B1 KR 102416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pump
reservoir body
pump module
guide rod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1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6492A (ko
KR102416494B9 (ko
Inventor
이우근
윤종혁
강기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아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아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아비스
Priority to KR1020200141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6494B1/ko
Publication of KR20220056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6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6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6494B1/ko
Publication of KR102416494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6494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4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 F02M37/08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electrically driven
    • F02M37/10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electrically driven submerged in fuel, e.g. in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4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 F02M37/14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the pumps being combined with other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4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 F02M37/08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electrically driven
    • F02M2037/082Details of the entry of the current supply lines into the pump housing, e.g. wire connectors, grommets, plugs or so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 펌프 모듈을 연료 탱크 내부에 조립하는 과정에서 리저버 바디의 위치가 이동하거나 기울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고, 가이드 로드의 운동에 의해 연료 펌프 모듈이 기울어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연료 펌프 모듈에 관한 것으로, 리저버 바디 및 상기 리저버 바디의 외주면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리저버 바디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료 펌프 모듈{Fuel pump module}
본 발명은 연료 펌프 모듈에 관한 것이다.
연료펌프 모듈은 연료 탱크 상에 구비되어 엔진으로 연료를 공급하는 장치이다.
도 1은 종래 연료 펌프 모듈이 연료탱크 내부에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 펌프 모듈은 리저버 바디(10), 가이드 로드(20), 플랜지(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리저버 바디(10)는 하측에 위치하며, 플랜지(30)는 리저버 바디(10)의 상측에 위치하고, 가이드 로드(20)는 리저버 바디(10)와 플랜지(30)를 연결할 수 있다. 가이드 로드(20)의 경우 외력에 대응되어 리저버 바디(10)로 삽입되는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리저버 바디(10)의 내부에는 연료 펌프(50)가 수용되어, 상측으로 연료를 배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연료 펌프 모듈 중, 리버저 바디(10)와 가이드 로드(20)는 연료 탱크(40)의 내부에 수용된다. 일반적으로 연료 탱크(40)의 입구는 좁으므로, 연료 펌프 모듈을 연료 탱크(40)의 내부에 수용하기 위해서는, 리저버 바디(10)를 먼저 연료 탱크(40)의 입구에 넣은 후, 가이드 로드(20)가 하측을 향하도록 플랜지(30)를 연료 탱크(40)의 입구에 삽입하되, 가이드 로드(20)가 리저버 바디(10)에 삽입되도록 플랜지(30)를 연료 탱크(40)의 입구에 결합시킨다. 이러한 조립 과정에서, 통상 연료 탱크의 저면(4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진 형태이거나, 평평하지 않고 불규칙한 형태이며, 미끄럽기 때문에, 리저버 바디(10)가 의도했던 부분에 위치하지 않고 이동하거나 기울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가이드 로드(20)가 리저버 바디(10)에 삽입된 상태에서 플랜지(30)를 연료 탱크(40)의 입구에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플랜지(30)의 일측과 타측을 누르는 과정이 수행되는데, 이 과정에서 리저버 바디(10)가 이동하거나 기울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는 실정이다.
한편, 리저버 바디(10) 상에는 가이드 로드(20)가 삽입되는 결합 홀이 형성된다. 가이드 로드(20)가 삽입되는 결합홀은 제조과정 또는 금형 상의 문제로, 길이를 일정 정도 이상으로 형성할 수 없어, 외력(예를 들어, 주변 환경 조건에 따른 연료 탱크의 수축 또는 팽창에 따른 응력)에 의해 가이드 로드가 삽입되는 정도가 조절되는 과정에서 흔들림이 발생하고, 이러한 흔들림은 연료 펌프 모듈이 기울어지는(tilt)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해야 한다.
특허문헌 1) 국내공개특허공보 제2013-0063369호(명칭: 연료펌프 모듈의 진동 감쇄 구조, 공개일: 2013.06.14)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연료 펌프 모듈의 목적은, 연료 펌프 모듈을 연료 탱크 내부에 조립하는 과정에서 리저버 바디의 위치가 이동하거나 기울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고, 가이드 로드의 운동에 의해 연료 펌프 모듈이 기울어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연료 펌프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연료 펌프 모듈은, 리저버 바디(1); 및 상기 리저버 바디(1)의 외주면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리저버 바디(1)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립(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저버 바디(1)는, 내부의 일측에 편향되게 수용되어 동작하는 연료펌프를 포함하고, 외주면 하부 중, 상기 연료펌프가 수용된 측의 외주면 하부가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5)를 포함하며, 상기 립(4)은, 상기 경사부(5)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립(4)은, 상기 리저버 바디(1)의 중앙과 상기 연료펌프의 중앙을 연결한 가상의 선과, 상기 경사부(5)와의 교차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립(4)은, 상기 리저버 바디(1)의 중앙과 상기 연료펌프의 중앙을 연결한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 범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립(4)은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립(4)은 상기 리저버 바디(1)의 외주면과 상기 경사부(5)의 교점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저버 바디(1)의 상측에 위치하고 플랜지(3); 및 상기 리저버 바디(1)와 상기 플랜지(3)를 연결하며 변화되는 연료탱크의 높이에 대응하여 길이가 가변되는 가이드 로드(2)를 포함하고, 상기 리저버 바디(1)는 상기 가이드 로드(2)가 삽입되는 가이드 로드 결합부(1A)를 포함하며, 상기 리저버 바디(1)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로드 결합부(1A)의 길이를 연장하는 가이드 슬리브 몸체(1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슬리브 몸체(110)는 상기 가이드 로드(2)가 삽입되는 상기 가이드 로드 결합부(1A)의 결합 홀(1A-1)을 연장하는 연장홀(11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슬리브 몸체(110)는 외주면에 결합 립(11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 홀(1A-1)에 삽입되는 돌기(121)가 형성되는 가이드 슬리브 삽입 결합부(1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슬리브 삽입 결합부(120)는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가이드 슬리브 몸체(110)에 결합되고, 길이방향 타측에 상기 돌기(121)가 형성되는 연장부(122)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122)는 중앙 영역(M)의 단면 넓이가 가장자리 영역(S)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장부(122)는 리저버 바디(1) 결합 시 노출되는 외측면 형상이 가장자리 영역(S)보다 중앙 영역(M)이 돌출된 곡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슬리브 삽입 결합부(120)는 상기 연장홀(111)과 마주보는 가이드 홀(123)이 형성되며, 상기 연장홀(111) 입구측과 상기 가이드 홀(123) 입구측 중 어느 한측 이상에 챔퍼부(C)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저버 바디(1)는 상기 가이드 로드 결합부(1A) 하측에 상기 가이드 슬리브 몸체(110)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1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연료 펌프 모듈에 의하면, 리저버 바디의 외주면 하부 중 일부분에 립이 형성되어, 리저버 바디를 연료 탱크 내부에서 지지하므로, 연료 펌프 모듈의 조립 과정에서 리저버 바디의 위치가 이동하거나 기울어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리저버 바디의 외주면 중, 연료 펌프가 수용되는 측에 형성되는 경사부에 다수개의 립이 형성되어 리저버 바디를 지지해, 연료 펌프가 동작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힘에 의해 리저버 바디의 위치가 이동하거나 기울어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리저버 바디의 외주면에 다수개의 립이 형성됨으로써, 연료 탱크 내부에 수용되는 연료가 상기 립을 따라 흐르도록 함으로써, 연료의 흡입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가이드 슬리브 몸체를 리저버 바디에 결합함으로써, 가이드 로드가 삽입되는 가이드 로드 결합부의 길이를 연장 가능하므로, 연료 탱크의 부피 변화(팽창 또는 수축)에 대응하여 나타나는 가이드 로드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가이드 로드 결합부의 길이가 짧을 경우 가이드 로드의 흔들림이 증가하며, 이러한 흔들림은 연료펌프 모듈이 기울어지는 현상을 야기하므로, 가이드 로드 슬리브로 가이드 로드의 흔들림을 최소화 하여, 연료펌프 모듈이 기울어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준 것이다.
또한, 가이드 로드 슬리브 상에 결합 립이 형성되어 보다 견고하게 리저버 바디에 결합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결합 홀에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되어 리저버 바디에 보다 쉽게 체결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연장부의 중앙 영역이 가장자리 영역보다 넓게 형성되어, 조립 시 발생하는 외력에 대한 높은 내구성을 가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출 성형 시 휨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연장부의 외주면이 유선형 구조를 가져 연료탱크에 연료펌프 모듈 조립 시 간섭이 최소화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연료 펌프 모듈이 설치된 연료 탱크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연료 펌프 모듈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연료 펌프 모듈의 리저버 바디의 하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연료 펌프 모듈의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연료 펌프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연료 펌프 모듈의 가이드 로드 슬리브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연료 펌프 모듈의 가이드 로드 슬리브가 리저버 바디에 결합되는 과정의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연료 펌프 모듈의 가이드 로드 슬리브의 측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연료 펌프 모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연료 펌프 모듈(1000)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연료 펌프 모듈은, 크게 리저버 바디(1), 가이드 로드(2), 플랜지(3), 립(4) 및 가이드 슬리브 몸체(1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 펌프 모듈(1000)에 있어서, 리저버 바디(1)는 하측에 위치하고, 플랜지(3)는 리저버 바디(1)의 상측에 위치하며, 가이드 로드(2)는 리저버 바디(1)와 플랜지(3)를 서로 연결한다. 가이드 로드(2)는 외부의 환경적인 요소(예를 들어 온도)에 따라 변화되는 연료탱크의 부피에 대응하여 길이가 가변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립(4)은 리저버 바디(1)의 외주면 하부에 형성되어, 리저버 바디(1)를 지지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리저버 바디(1)만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립(4)은 리저버 바디(1)의 외주면 하부 중, 일측 일부분에만 형성되어 있다. 립(4)이 형성된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해당 부분을 경사부(5)라고 한다. 립(4)은 경사부(5)에 형성되어, 리저버 바디(1)와 연료 탱크의 저면 사이의 마찰력을 높임으로써, 리저버 바디(1)를 포함하는 연료 펌프 모듈(1000)을 연료 탱크의 내부에 조립하는 과정에서 리저버 바디(1)가 불규칙하거나 경사진 형태의 연료 탱크 저면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립(4)은 리저버 바디(1)의 외주면과 경사부(5)의 경계면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형태일 수 있다. 립(4)은 다수개가 리저버 바디(1)의 외주면 하부 중 일정 영역에 걸쳐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종래 기술을 설명했던 도 1을 참조하면, 연료 탱크(40)의 내부에는 연료가 수용되고, 연료 펌프 모듈은 연료 탱크(40)의 내부에 수용된 연료에 잠기게 설치되어, 상측으로 연료를 펌핑한다. 이때 연료 탱크(40) 내부에 수용된 연료 펌프 모듈의 하면을 통해 연료 펌프(50)로 이동해, 연료 펌프(50)에서 상측으로 펌핑된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본 실시예는, 리저버 바디(1)의 외주면 하부인 경사부(5)에 립(4)이 형성됨으로써, 서로 인접한 립(4) 사이의 공간이 연료가 이동하는 일종의 유로가 됨으로써, 연료 탱크 내부에 수용된 연료가 리저버 바디(1)의 내부에 수용된 연료 펌프로 이동하는 것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연료 펌프 모듈(1000)의 저면도이다.
도 4에서는 리저버 바디(1)의 내부에 수용되는 연료 펌프(50)의 위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 펌프(50)가 리저버 바디(1) 내부에서 수용되는 위치는 리저버 바디(1)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편향되어 있다. 연료 펌프(50) 자체는 고압으로 연료를 펌핑하기 때문에, 연료 펌프(50)의 동작 과정에서 리저버 바디(1)는 힘을 받고, 이는 리저버 바디(1)의 위치가 이동하거나 기울어지는 등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리저버 바디(1)의 외주면 하부 중, 연료 펌프(50)가 위치한 부분의 외주면 하부인 경사부(5)에 다수개의 립(4)을 형성함으로써, 연료 펌프(50)의 동작으로 인한 힘으로 리저버 바디(1)의 위치가 변경되거나 기울어지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리저버 바디(1)의 저면 중심에서 연료 펌프(50)의 중심을 잇는 가상의 선 L1과 경사부(5)가 만나는 부분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범위(가상의 선 L2와 L3사이 공간)에 다수개의 립(4)이 형성됨으로써, 리저버 바디(1)를 효율적으로 지지하고, 서로 인접한 립(4) 사이의 공간을 통해 연료 펌프(50)로 유입되는 연료의 유로를 형성함으로서, 보다 효율적으로 연료를 펌핑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가상의 선 L1과 경사부(5)가 만나는 부분을 중심으로 하는 소정 각도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기준으로, 리저버 바디(1)에 가이드 로드(2)가 삽입되는 부분인 두 개의 홀을 기준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술한 가이드 로드(2)의 길이 조절은 상기 리저버 바디(1) 상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 로드 결합부(1A)의 결합 홀(1A-1) 상에 삽입되거나 빠져나오는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가이드 로드 결합부(1A)의 길이가 짧을 경우 가이드 로드(2) 길이가 조절되는 운동 과정에서 가이드 로드(2)가 흔들리는 문제가 발생하며, 이러한 가이드 로드(2)의 흔들림은 연료펌프 모듈이 기우는 현상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 연로 펌프의 상기 리저버 바디(1) 상에 가이드 로드 결합부(1A)를 연장 가능한 상기 가이드 슬리브 몸체(110)를 결합시켜, 가이드 로드(2)가 결합 홀(1A-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길이조절 운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흔들림을 최소화 하여 준 것이다.
다시 한 번 설명하면, 금형 과정에서 상기 결합 홀(1A-1)은 가열된 가이드 로드 결합부(1A)에 핀을 삽입한 후 빼내어 천공하는 방식으로 제작되며, 핀이 삽입되는 깊이가 깊어질수록 삽입된 핀이 잘 빠지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핀의 형상이 삽입되는 일측으로 갈수록 타측과 비교하여 얇은 구조를 가지게 되므로, 결합 홀(1A-1)의 길이를 일정 이상으로 형성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로드 슬리브(100)를 상기 리저버 바디(1)에 결합하는 방식으로 가이드 로드(2)의 운동 방향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로드 결합부(1A)를 연장하여 준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연료 펌프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연료 펌프 모듈의 가이드 로드 슬리브의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로드 슬리브(100)의 결합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연료펌프 상에는 상기 가이드 슬리브 몸체(110)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1B)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 홈(1B)은 상기 가이드 로드 결합부(1A) 하측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슬리브 몸체(110)는 외주면에 결합 립(112)이 형성되어 가이드 홈(1B) 삽입 시 보다 안정적으로 리저버 바디(1)에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연료펌프 모듈은 연료를 펌핑하는 과정에서 많은 진동이 발생하며, 가이드 슬리브 몸체(110)와 가이드 홈(1B)의 공차에 의해 가이드 홈(1B) 상에 가이드 슬리브 몸체(110)가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되지 못할 경우, 이러한 진동은 상기 가이드 슬리브 몸체(110)의 이탈 또는 파손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가이드 로드 슬리브 몸체(110)의 외주면에 결합력을 높일 수 있는 상기 결합 립(112)을 가이드 슬리브 몸체(110)의 외주면을 따라 둘레 방향으로 연장 형성하여, 가이드 슬리브 몸체(110)가 가이드 홈(1B)에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결합 립(112)은 하나일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가이드 슬리브 몸체(110)의 높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가이드 로드 슬리브(100)는 상기 결합 홀(1A-1)에 삽입되는 돌기(121)가 형성되는 가이드 슬리브 삽입 결합부(1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슬리브 삽입 결합부(120)는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가이드 슬리브 몸체(110)에 결합되고, 길이방향 타측에 상기 돌기(121)가 형성되는 연장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가이드 슬리브 몸체(110)를 상기 가이드 홈(1B)에 삽입하여 압박 고정하는 방식으로 고정 시, 가이드 로드(2)가 연장홀(111)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가이드 슬리브 몸체(110)를 밀거나, 지속적으로 진동이 인가될 경우 가이드 슬리브 몸체(110)가 지정된 위치에서 이탈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돌기(121)가 상기 결합 홀(1A-1)에 삽입되어 가이드 로드 슬리브(100)가 정확히 지정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게 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연료 펌프 모듈의 가이드 로드 슬리브가 리저버 바디에 결합되는 과정의 개략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연장부(122) 상에 상기 돌기(121)가 형성될 경우, 상기 가이드 로드 슬리브(100)와 상기 리저버 바디(1)의 결합이 돌기(121)가 상기 결합 홀(1A-1)에 삽입된 후 돌기(121)를 축으로 회전하여 자연스럽게 가이드 슬리브 몸체(110)가 가이드 홈(1B)에 삽입 가능하므로 가이드 로드 슬리브(100)와 리저버 바디(1)의 결합을 보다 원활하게 가능함은 물론이며, 이후 가이드 로드(2)가 결합 홀(1A-1)에 끼워지며 리저버 바디(1)와 가이드 로드(2)와 가이드 로드 슬리브(100)의 결합이 보다 공고해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연료 펌프 모듈의 가이드 로드 슬리브의 측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연장부(122)는 중앙 영역(M)의 단면 넓이가 가장자리 영역(S)보다 넓게 이루어지는 것을 권장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위에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로드 슬리브(100)는, 상기 돌기(121)가 상기 결합 홀(1A-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연장부(122)가 회전하여 상기 가이드 슬리브 몸체(110)가 상기 가이드 홈(1B)에 삽입 결합된다. 이때, 상기 연장부(122)의 중앙 영역(M)은 힘이 집중되는 부위로 조립 시 외부 힘에 의해 휘거나 파손될 수 있으므로, 가장자리 영역(S)과 비교하여 단면을 넓게 하여 내구성을 향상시켜 준 것이다.
그리고, 상기 중앙 영역(S)의 단면을 가장자리 영역(S)과 비교하여 두껍게 형성할 경우 가이드 로드 슬리브(100)를 사출 성형 시 발생하는 휨 현상 또한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연장부(122)는 연료펌프 모듈 결합 시 노출되는 외측면 형상이, 가장자리 영역(S)보다 중앙 영역(M)이 돌출된 곡면 형상인 것을 권장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연료펌프 모듈(1000)은 연료 탱크에 삽입된다. 이때 가이드 로드 슬리브(100)를 각지게 형성할 경우, 외부로 노출된 가이드 로드 슬리브(100)와 연료펌프 모듈(1000)이 삽입되는 연료 탱크의 탱크 서비스 홀 간의 간섭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 로드 슬리브(100)의 외면을 곡면 형상으로 제작하여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 한 것이다.
아울러,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 슬리브 삽입 결합부(120)는 상기 연장홀(111)과 마주보는 가이드 홀(123)이 형성되며, 상기 연장홀(111) 입구측과 상기 가이드 홀(123) 입구측 중 어느 한측 이상에 챔퍼부(C)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가이드 로드(2)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가이드 로드(2)의 단부가 상기 가이드 홀(123)과 상기 연장홀(111)로 삽입되어야 한다. 이때, 가이드 로드(2)가 가이드 홀(123)과 연장홀(111)로 삽입되지 못하고 가이드 로드 슬리브(100)를 타격할 경우 가이드 로드 슬리브(100) 상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보다 심한 흔들림으로 연료펌프 모듈이 기우는 현상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 홀(123)과 연장홀(111)이 형성되는 상기 슬리브 삽입 결합부(120)와 슬리브 몸체(110) 상에 입구측이 넓은 테이퍼 구조의 상기 챔퍼부(C)를 형성하여, 가이드 로드(2)가 보다 쉽게 가이드 홀(123) 및 연장홀(111)로 안내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C : 챔퍼부 M : 중앙 영역
S : 가장자리 영역 1 : 리저버 바디
1A : 가이드 로드 결합부 1A-1 : 결합 홀
1B : 가이드 홈 2 : 가이드 로드
3 : 플랜지 4 : 립
5 : 경사부
100 : 가이드 로드 슬리브 110 : 가이드 슬리브 몸체
111 : 연장홀 112 : 결합 립
120 : 가이드 슬리브 삽입 결합부 121 : 돌기
122 : 연장부 123 : 가이드 홀

Claims (14)

  1. 리저버 바디(1); 및
    상기 리저버 바디(1)의 외주면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리저버 바디(1)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립(4);
    을 포함하되,
    상기 립(4)은 판 형상으로,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상기 리저버 바디(1)의 외주면 하부 중 일정 영역에 걸쳐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상기 립(4) 사이의 공간으로 연료가 이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펌프 모듈.
  2. 리저버 바디(1);
    상기 리저버 바디(1)의 외주면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리저버 바디(1)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립(4);
    상기 리저버 바디(1)의 상측에 위치하고 플랜지(3); 및
    상기 리저버 바디(1)와 상기 플랜지(3)를 연결하며 변화되는 연료탱크의 높이에 대응하여 길이가 가변되는 가이드 로드(2)를 포함하고,
    상기 리저버 바디(1)는 상기 가이드 로드(2)가 삽입되는 가이드 로드 결합부(1A)를 포함하며,
    상기 리저버 바디(1)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로드 결합부(1A)의 길이를 연장하는 가이드 슬리브 몸체(110);를 더 포함하는 연료 펌프 모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저버 바디(1)는, 내부의 일측에 편향되게 수용되어 동작하는 연료펌프를 포함하고, 외주면 하부 중, 상기 연료펌프가 수용된 측의 외주면 하부가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5)를 포함하며,
    상기 립(4)은, 상기 경사부(5)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펌프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립(4)은, 상기 리저버 바디(1)의 중앙과 상기 연료펌프의 중앙을 연결한 가상의 선과, 상기 경사부(5)와의 교차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펌프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립(4)은, 상기 리저버 바디(1)의 중앙과 상기 연료펌프의 중앙을 연결한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 범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펌프 모듈.
  6. 제3항 있어서,
    상기 립(4)은 상기 리저버 바디(1)의 외주면과 상기 경사부(5)의 교점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펌프 모듈.
  7. 삭제
  8. 제2항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슬리브 몸체(110)는 상기 가이드 로드(2)가 삽입되는 상기 가이드 로드 결합부(1A)의 결합 홀(1A-1)을 연장하는 연장홀(11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펌프 모듈.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슬리브 몸체(110)는 외주면에 결합 립(11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펌프 모듈.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홀(1A-1)에 삽입되는 돌기(121)가 형성되는 가이드 슬리브 삽입 결합부(1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펌프 모듈.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슬리브 삽입 결합부(120)는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가이드 슬리브 몸체(110)에 결합되고, 길이방향 타측에 상기 돌기(121)가 형성되는 연장부(122)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122)는 중앙 영역(M)의 단면 넓이가 가장자리 영역(S)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펌프 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122)는 리저버 바디(1) 결합 시 노출되는 외측면 형상이 가장자리 영역(S)보다 중앙 영역(M)이 돌출된 곡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펌프 모듈.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슬리브 삽입 결합부(120)는 상기 연장홀(111)과 마주보는 가이드 홀(123)이 형성되며, 상기 연장홀(111) 입구측과 상기 가이드 홀(123) 입구측 중 어느 한측 이상에 챔퍼부(C)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펌프 모듈.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저버 바디(1)는 상기 가이드 로드 결합부(1A) 하측에 상기 가이드 슬리브 몸체(110)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1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펌프 모듈.
KR1020200141123A 2020-10-28 2020-10-28 연료 펌프 모듈 KR102416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123A KR102416494B1 (ko) 2020-10-28 2020-10-28 연료 펌프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123A KR102416494B1 (ko) 2020-10-28 2020-10-28 연료 펌프 모듈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6492A KR20220056492A (ko) 2022-05-06
KR102416494B1 true KR102416494B1 (ko) 2022-07-05
KR102416494B9 KR102416494B9 (ko) 2022-12-05

Family

ID=81584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1123A KR102416494B1 (ko) 2020-10-28 2020-10-28 연료 펌프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649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0502A (ja) 1998-10-15 2000-04-25 Unisia Jecs Corp 燃料供給装置
KR100380165B1 (ko) * 1996-06-21 2003-07-2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연료펌프앗세이의 플라스틱케이스 고정구조
US20070246928A1 (en) 2006-04-13 2007-10-25 Siemens Vdo Automotive Corporation Flange-strut interface permitting location selection of strut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3369A (ko) 2011-12-06 2013-06-14 현담산업 주식회사 연료펌프 모듈의 진동 감쇄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0165B1 (ko) * 1996-06-21 2003-07-2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연료펌프앗세이의 플라스틱케이스 고정구조
JP2000120502A (ja) 1998-10-15 2000-04-25 Unisia Jecs Corp 燃料供給装置
US20070246928A1 (en) 2006-04-13 2007-10-25 Siemens Vdo Automotive Corporation Flange-strut interface permitting location selection of stru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6492A (ko) 2022-05-06
KR102416494B9 (ko) 202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6494B1 (ko) 연료 펌프 모듈
JP2007162638A (ja) リング状部材の製造方法、及びバックアップリング、並びに燃料噴射弁のシール構造
US7305973B2 (en) Fuel feed apparatus having sub-tank and supporting member
EP1701033B1 (en) Combustion gas seal for fuel injection valve
CN101889151B (zh) 防振装置
JP2002266695A (ja) シリンダブロックの冷却構造とその製造方法
US20090151704A1 (en) Fuel pump set
KR100477772B1 (ko) 유압완충기
EP0937923A2 (en) Piston equipped with piston ring
KR20220154211A (ko) 고압 연료 펌프
CN1272537C (zh) 发动机
CN111255591A (zh) 用于内燃发动机的活塞
CN207599601U (zh) 受限空间下车灯光导防轴向窜动的固定结构
KR101222013B1 (ko) 연료공급장치
WO2011138829A1 (ja) 密封型ラッシュアジャスタ
CN216617612U (zh) 油底壳组装体及包括其的发动机
EP1790881B1 (en) Piston
EP1911965A1 (en) Fuel injection pump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170117772A1 (en) Fuel pump for vehicle having brush holder for preventing shake of brush
JP4098738B2 (ja) 内燃機関のための燃料噴射ポンプ
JP2007071159A (ja) 内燃機関のピストン
KR100764497B1 (ko) 자동차 연료펌프 모듈의 상부 플레이트
KR102453131B1 (ko) 멀티웨이밸브 장치
CN114630953B (zh) 用于内燃机的具有摩擦损失降低的活塞
JP4305954B2 (ja) ジェットポ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