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6341B1 - 냉장고용 도어 - Google Patents

냉장고용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6341B1
KR102416341B1 KR1020150112502A KR20150112502A KR102416341B1 KR 102416341 B1 KR102416341 B1 KR 102416341B1 KR 1020150112502 A KR1020150112502 A KR 1020150112502A KR 20150112502 A KR20150112502 A KR 20150112502A KR 102416341 B1 KR102416341 B1 KR 102416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over
lamp cover
lamp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2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8629A (ko
Inventor
김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니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니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니아
Priority to KR1020150112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6341B1/ko
Publication of KR20170018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8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6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6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24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Lighting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램프의 빛이 도어 커버의 부식면의 의해 굴절되어 저장공간 전체를 밝게 비출 수 있는 냉장고용 도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냉장고용 도어{Door for refrigerator}
본 발명은 무드램프가 적용된 냉장고용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김치 냉장고는 내부의 저장공간이 구비된 냉장고 본체와, 냉장고 본체의 개구된 상면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한다.
도어는 냉장고 본체의 상면을 개폐함으로써 냉장고 내부의 냉기 누설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종래의 김치 냉장고는 야간이나 어두운 곳에서는 저장실 내의 음식물을 잘 분별할 수 없다는 문제점 즉, 사용자가 도어를 열어 저장실 내부에 김치를 넣거나 또는 꺼낼때 어두워서 사용하기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야간이나 어두운 곳에서도 김치 냉장고의 도어을 열면 도어에 구비된 램프가 자동 점등되어 저장실의 상부를 환하게 비춰주게 되므로 사용자는 용이하게 저장실에 음식물을 넣거나 꺼낼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한국등록실용신안 225285호(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한다.)에 개시된 바 있다.
선행기술 1에 의해 전술한 문제점을 상당부분 해소할 수 있었다.
그러나, 선행기술 1에 개시된 기술은 저장실의 상부만 비추는 직접 조명 방식이라는 단점도 있다.
이에 선행기술 1을 개량하여 보다 저장실 전체를 밝게 비출 수 있는 무드 램프를 적용한 냉장고용 도어를 본 발명을 통해 제안하고자 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25285호
본 발명은 램프의 빛이 도어 커버의 부식면의 의해 굴절되어 저장공간 전체를 밝게 비출 수 있는 냉장고용 도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냉장고용 도어는 외측도어 커버; 상기 외측도어 커버와 결합하는 내측도어 커버; 상기 내측도어 커버의 하면과 결합하는 도어 램프 커버; 상기 내측도어 커버와 상기 도어 램프 커버의 사이에 설치되는 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냉장고용 도어는 상기 램프는 상기 내측도어 커버를 향해 조사되는 램프 PCB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냉장고용 도어는 상기 램프가 조사되는 상기 내측도어 커버는 부식 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냉장고용 도어는 상기 내측도어 커버에 형성된 부식면은 상기 내측도어 커버와 상기 도어 램프 커버 사이의 공간으로 상기 램프의 빛이 굴절되어 조사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냉장고용 도어는 상기 도어 램프 커버는 불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본 발명의 냉장고용 도어는 상기 도어 램프 커버는 링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냉장고용 도어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저장공간의 안쪽 또는 어두운 환경에서 김치용기 또는 저장된 식품을 꺼낼 때 사용자가 대상물을 빨리 인지할 수 있다.
(2) 별도의 투명 또는 반투명 확산 도어 램프 커버를 사용하지 않고도 저장공간으로 램프의 빛을 확산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다.
(3) 램프의 빛이 부식 처리된 도어램프 커버 결합부의 면에 의해 굴절되며 확산하므로 조사면적이 종래기술에 비해 훨씬 넓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냉장고용 도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용 도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용 도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도어 램프 커버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도어 램프 커버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도어 램프 커버를 도시한 후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용 도어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빛의 굴절을 나타내는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냉장고용 도어(10)는 외측도어 커버(100)와 내측도어 커버(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내측도어 커버(200)와 결합하는 송풍팬(400)이 포함된다.
외측도어 커버(100)와 내측도어 커버(200)는 대략적으로 사각형의 판 형상이다.
외측도어 커버(100)와 내측도어 커버(200)를 포함하는 냉장고용 도어(10)는 통상 김치 냉장고 본체의 상부에 힌지축(11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본체의 상면을 개폐할 수 있다.
외측도어 커버의 하면(105)에는 결합돌기(미도시)가 형성된다.
내측도어 커버(100)에는 결합홈(미도시)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돌기(미도시)는 외부도어 커버의 하면(105)에 2개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도어 커버의 하면(105)에 형성되는 결합돌기의 수와 형성되는 위치는 변경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도어 커버(100)와 내부도어 커버(200)가 결합돌기와 결합홈에 의해 결합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결합수단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저장공간의 냉기를 빨아들이는 송풍팬(400)은 내측도어 커버(200)에 결합한다.
송풍팬(400)은 내측도어 커버의 하면(205)에 위치하게 되며, 더욱 구체적으로 내측도어 커버의 하면(205)에 형성되며 내측으로 함몰된 도어램프 커버 결합부(250)에 송풍팬(400)이 위치한다.
도어램프 커버 결합부(250)는 내측으로 소정의 깊이를 갖는 원형 함몰 공간이다.
한편 도어램프 커버 결합부의 제1면(251)에는 송풍팬(400)을 결합하기 위한 송풍팬 결합부(210)가 돌출 형성된다.
송풍팬 결합부(210)는 도어램프 커버 결합부의 제1면(251)으로부터 후술할 덮개(220)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형상은 사각형 기둥과 유사하다.
송풍팬(400)은 송풍팬 결합부(210)에 위치한 후 송풍팬 결합부 홀(212)을 통해 삽입된 나사 등에 의해 결합된다.
송풍팬(400)의 외측, 즉 내측도어 커버(200)와 도어램프 커버(300) 사이에 램프가 위치한다.
상기 램프는 본 실시예에서 내측도어 커버(200)를 향해 조사되는 램프 PCB(50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하에서는 램프 PCB(500)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램프 PCB(500)가 조사되는 내측도어 커버(200)는 부식 처리한다.
구체적으로 도어 램프 커버 결합부의 제1면(251)과 도어 램프 커버 결합부의 제2면(252)을 부식 처리한다.
내측도어 커버(200)의 부식 처리는 램프 PCB(500)로부터 나오는 빛을 별도의 투명 확산 커버 없이 굴절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내측도어 커버(200)를 부식 처리함으로써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도어 커버(200)와 도어램프 커버(300) 사이의 공간을 통해 램프 PCB(500)의 빛이 굴절 조사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어램프 커버의 외측벽(325a)과 도어 램프 커버 결합부의 제2면(252)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이를 도어램프 커버의 외측벽과 도어 램프 커버 결합부의 제2면 사이의 공간(360)이라 정의한다.
램프 PCB(500)로부터 조사되는 빛은 도어 램프 커버 결합부의 제1면(251)과도어 램프 커버 결합부의 제2면(252)에 의해 굴절된다.
이와 같이 굴절된 빛은 도어램프 커버의 외측벽과 도어 램프 커버 결합부의 제2면 사이의 공간(360)을 통해 저장 공간을 비추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내측도어 커버의 하면(205)에 램프 PCB(500) 상을 관통하는 나사로 고정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램프 PCB(500)의 대략적인 형상은 링과 유사하며, 링의 안쪽에는 송풍팬(400)이 위치한다.
램프 PCB(500)는 구체적으로 내측도어 커버의 하면(205)에 형성되며 내측으로 함몰된 도어램프 커버 결합부(250)에 총 4개의 나사에 의해 고정된다.
램프 PCB(500)의 고정을 위해 도어 램프 커버 결합부의 제1면(251)에는 총 4개의 램프 PCB 결합돌기(230)가 구비된다.
램프 PCB 결합돌기(230)는 송풍팬(400)을 정면에서 봤을 때를 기준으로 송풍팬(400)의 상, 하, 좌, 우에 걸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총 4개의 나사가 램프 PCB(500) 상을 관통하여 램프 PCB 결합돌기(230)에 고정된다.
한편 내측도어 커버의 하면(205)에 도어램프 커버(300)가 결합한다.
도어램프 커버(300)는 내측도어 커버(200)와의 결합을 통해 냉기가 흐르는 유로(350)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도어램프 커버(300)는 유로형성 부재의 역할을 한다.
도어램프 커버(300)의 중앙에는 원형의 유입구(310)가 형성된다.
유입구(310)에는 덮개(22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유입구(310)의 둘레에는 체결홈(311)이 형성되며, 덮개(220)의 둘레에는 체결돌기(211)가 형성되므로, 덮개(220)가 유입구(310)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덮개(220)가 유입구(310)의 둘레에 형성된 체결홈(311)에 끼워진 후, 덮개(220)를 소정각도 만큼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덮개(220)가 소정각도만큼 회전하도록 하며 유입구(310)로부터 탈착되도록 함은 송풍팬(400)의 입구 측에 위치하는 탈취제(410)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송풍팬(400)의 입구 측에는 탈취제(410)가 위치하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덮개(220)와 송풍팬(400) 사이에 탈취제(410)가 위치한다.
송풍팬(400)의 출구 측에는 보습제(430)가 위치하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내측도어 커버의 하면(205)과 송풍팬(400) 사이에 보습제(430)가 위치한다.
덮개(220)에는 공기가 통과하는 다수개의 구멍(213)이 형성된다.
송풍팬(400)의 작동하면 저장공간의 냉기는 덮개(220)에 형성된 다수개의 구멍(213)을 통해 강제로 유입되며, 후술할 유로(350)로 흐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도어램프 커버(300)에 대해 도면을 참고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어램프 커버(300)의 대략적인 형상은 링 형상을 갖는다고 볼 수 있다.
도어램프 커버(300)는 불투명하도록 구성한다.
도어램프 커버(300)의 중앙에는 원형의 유입구(310)가 형성된다고 전술한 바 있다.
먼저 도어램프 커버(300)와 내측도어 커버(200)와의 결합에 대해 설명한다.
도어램프 커버(300)는 내측도어 커버의 하면(205)과 결합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어램프 커버(300)와 도어램프 커버 결합부의 제1면(251)와의 결합은 도어램프 커버 결합돌기(240)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2개의 도어램프 커버 결합돌기(240)가 도어램프 커버 결합부의 제1면(251)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도어램프 커버 결합돌기(240)의 개수는 변경 가능하다.
도어램프 커버(300)를 도어램프 커버 결합돌기(240)에 위치시킨다.
이때 도어램프 커버 결합홀(340)과 도어램프 커버 결합돌기(240)는 동일 선 상에 위치하도록 해야 나사가 삽입되며 도어램프 커버(300)를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어램프 커버(300)와 유입구(310)에 결합하는 덮개(220)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도어램프 커버(300)와 유입구(310)에 결합하는 덮개(22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토출구(330)라 한다.
이러한 토출구(330)는 더욱 구체적으로 덮개의 측벽(225)과 도어램프 커버의 최하단부(305b) 사이의 공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토출구(300)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어램프 커버(300)는 도어램프 커버의 측벽(325)과 도어램프 커버의 측벽(325)과 일체로 연결되는 도어램프 커버의 제1경사면(305)을 포함한다.
도어램프 커버의 제1경사면(305)은 유입구(310)를 향한 하향 경사를 갖는다.
도어램프 커버의 제1경사면(305)은 도어램프 커버의 측벽(325)의 하단부와 연결되는 도어램프 커버의 제1경사면의 시점(305a) 및 도어램프 커버의 제1경사면의 종점(305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어램프 커버의 제1경사면의 종점(305b)은 도어램프 커버(300)의 단면을 기준으로 가장 아래에 위치하며, 이는 도어램프 커버의 최하단부(305b)를 의미한다.
도어램프 커버의 제1경사면의 종점(305b)을 기점으로 도어램프 커버의 제2경사면(307)이 형성된다.
도어램프 커버의 제2경사면(307)은 유입구(310)를 향해 상향 경사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 의한 유로(350)는 토출구(330) 및 유입구(3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유입구(310)는 전술한 도어램프 커버(300)에 형성된 것을 의미하며, 토출구(330)는 도어램프 커버(300)와 도어램프 커버의 유입구(310)에 결합하는 덮개(22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의미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토출구(330)는 더욱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토출구(330)는 도어램프 커버(300)의 단면을 기준으로 가장 아래에 위치하며, 유입구(31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도어램프 커버의 최하단부(305b, 도어램프 커버의 제1경사면의 종점과 동일)와 유입구(310)에 결합하는 덮개의 측벽(225)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의미한다.
유입구(310)와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덮개(220)의 형상은 하부에 라운드가 형성된 접시와 유사하다.
한편 덮개(220)와 착탈 결합하는 유입구(310) 역시 원형과 유사하다.
따라서 덮개(220)와 도어램프 커버(300) 사이에 형성되는 토출구(330)는 유입구(310)의 둘레에 걸쳐 360도로 형성된다.
토출구(330)는 유입구(310)의 둘레에 걸쳐 360도로 형성되므로, 모든 방향으로 고르게 냉기가 공급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냉장고용 도어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송풍팬(400)이 작동하면, 도어램프 커버(300)의 중앙에 위치한 덮개(220)를 통하여 저장공간 내부의 냉기가 유입구(210)로 강제 유입된다.
이어서, 냉기는 유로(350)를 따라 이동하며, 결국 덮개(220)와 도어램프 커버(300) 사이에 360도로 형성된 토출구(330)를 통하여 강제 토출된다.
이와 같이 냉기가 유로(350)를 따라 토출구(330) 측으로 이동할 때, 토출구(330)측으로 갈수록 도어램프 커버의 제2경사면(307)이 도어램프 커버의 제1경사면의 종점(305b)을 향해 하향 경사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냉기는 자연스럽게 토출구(330) 측으로 토출된다.
냉기가 유로(300) 통과시 입구측 탈취제(410)와 출구측 탈취제(430)를 각각 통과하여 냉장고 내부의 냄새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내측도어 커버의 하면(205)과 결합하는 냉각 부재(600)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냉장고용 도어(10)를 열고 닫을 때 큰 열손실이 유발된다.
즉, 저장공간의 상부를 통해 외부에서 열 침입과 함께 저장공간의 냉기가 새어나간다.
외부 열 침입 차단 및 냉기 단속을 위해 본 발명의 경우, 냉각 부재(600)를 내측도어 커버(200)에 형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내측도어 커버의 하면(205)에는 냉각 부재(600)가 위치한다.
냉각 부재(600)는 얇은 링 형상을 가진다.
링 형상을 갖는 냉각 부재(600)의 안쪽에는 도어램프 커버(300) 등이 위치한다.
냉각 부재(600)는 그 재질로 알루미늄을 사용함이 냉기 단속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냉기가 유입구(310)를 거쳐 토출구(330)를 통해 토출될 경우, 냉기는 냉각 부재(600)와 접촉하는 과정을 통해 더욱 냉각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냉기의 외부 유출을 최소화하며, 외부 열 침입이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장공간의 냉기는 냉장고용 도어(10)를 열고 닫을 때에도 정온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부수적으로 소비전력도 낮출 수 있다.
참고로 도어램프 커버(300)는 내측도어 커버(200)와의 결합을 통해 유로(350)을 형성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도어는 저장고내에 저장된 김치용기 또는 저장 식품을 주변이 어두운 환경에서도 사물을 쉽게 인지할 수 있으며, 별도의 투명 확산 커버를 채택하지 않고도 저장공간에 대해 빛을 굴절시키는 구조를 채택하여 경제적이다.
10:냉장고용 도어 100:외측도어 커버
110:힌지축 200내측도어 커버
205:내측도어 커버의 하면 210:송풍팬 결합부
211:체결돌기 212:송풍팬 결합부 홀
213:구멍 220:덮개
225:덮개의 측벽 230:램프 PCB 결합돌기
240:도어 램프 커버 결합돌기 250:도어 램프 커버 결합부
251:도어 램프 커버 결합부의 제1면 252:도어 램프 커버 결합부의 제2면
300:도어 램프 커버
305:도어 램프 커버의 제1경사면
305a:도어 램프 커버의 제1경사면의 시점
305b:도어 램프 커버의 제1경사면의 종점
307:도어 램프 커버의 제2경사면 310:유입구
311:체결홈 325:도어램프 커버의 측벽
330:토출구 340:도어램프 커버 결합홀
350:유로
360:도어램프 커버의 외측벽과 도어 램프 커버 결합부의 제2면 사이의 공간
400:송풍팬
410:탈취제 430:보습제

Claims (6)

  1. 외측도어 커버;
    원형으로 함몰되어 제1면과 제2면을 갖는 도어램프 커버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도어 커버와 결합하는 내측도어 커버;
    상기 내측도어 커버의 하면에 형성된 상기 도어램프 커버 결합부의 제1면과 결합하는 링 형상의 도어 램프 커버;
    상기 내측도어 커버와 상기 도어 램프 커버의 사이에 설치되는 램프를 포함하되,
    상기 도어 램프 커버 결합부의 제1면과 상기 도어 램프 커버 결합부의 제2면은 상기 램프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굴절시킬 수 있도록 부식처리되고,
    상기 램프로부터 조사되는 빛은 상기 도어 램프 커버 결합부의 제1면과 상기 도어 램프 커버 결합부의 제2면에 의해 굴절되어 상기 도어램프 커버의 외측벽과 상기 도어 램프 커버 결합부의 제2면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통해 저장 공간을 비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도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램프는 상기 내측도어 커버를 향해 조사되는 램프 PC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도어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 램프 커버는 불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도어
  6. 삭제
KR1020150112502A 2015-08-10 2015-08-10 냉장고용 도어 KR102416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2502A KR102416341B1 (ko) 2015-08-10 2015-08-10 냉장고용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2502A KR102416341B1 (ko) 2015-08-10 2015-08-10 냉장고용 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8629A KR20170018629A (ko) 2017-02-20
KR102416341B1 true KR102416341B1 (ko) 2022-07-05

Family

ID=58265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2502A KR102416341B1 (ko) 2015-08-10 2015-08-10 냉장고용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63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37677B (zh) * 2018-12-18 2021-06-29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门体结构和制冷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944B1 (ko) * 2006-05-23 2008-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램프 구조 및 램프 제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5285B1 (ko) 1995-08-23 1999-10-15 구광시 카본블랙 원착 폴리에스터의 제조방법
KR101313990B1 (ko) * 2007-05-25 2013-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944B1 (ko) * 2006-05-23 2008-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램프 구조 및 램프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8629A (ko) 2017-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8071B1 (ko) 액체 분배기
US10429115B2 (en) Refrigerator
CN207865791U (zh) 制冷器具
JP2008089244A (ja) 冷蔵庫
JP5366686B2 (ja) 冷蔵庫
KR102475341B1 (ko) 제빙기 및 그 살균 방법
CN102762942B (zh) 冷藏库
KR102416341B1 (ko) 냉장고용 도어
JP2015158333A (ja) 冷蔵庫
RU2010113566A (ru) Воздушный фильтр и холодильный аппарат с воздушным фильтром
JP5354990B2 (ja) 冷蔵庫
CN102384625A (zh) 用于冰箱的门体及具有其的冰箱
DE502007003605D1 (de) Leuchte
KR20100041052A (ko) 냉장고 및 냉장고 내부 조명장치
JP4435996B2 (ja) 照明水栓装置
JP6504797B2 (ja) 排水栓開閉構造
JP2007212089A (ja) 冷却機器
CN105333684B (zh) 具有水过滤器的制冷器具
JP6643679B2 (ja) 化粧台、および送風機能付きミラーキャビネット
JP2003293405A (ja) 照明付手洗水栓
KR840001615Y1 (ko) 살균등을 내장한 냉장고
KR102416340B1 (ko) 냉장고용 도어
KR100702997B1 (ko) 냉장고용 디스펜서의 조명구조
KR20170064715A (ko) 냉장고
RU2009138523A (ru) Холодильник и стерилиза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