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6288B1 -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펌프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펌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6288B1
KR102416288B1 KR1020180015568A KR20180015568A KR102416288B1 KR 102416288 B1 KR102416288 B1 KR 102416288B1 KR 1020180015568 A KR1020180015568 A KR 1020180015568A KR 20180015568 A KR20180015568 A KR 20180015568A KR 102416288 B1 KR102416288 B1 KR 102416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bush
closing
sleev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5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6070A (ko
Inventor
최영창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5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6288B1/ko
Publication of KR20190096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6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6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6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12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liquid
    • B60T13/1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liquid using accumulators or reservoirs fed by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6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68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by electrically-controlled valves
    • B60T13/68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by electrically-controlled valves in hydraulic system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1Brak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펌프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부와, 하우징부에 장착되는 모터캠부와, 하우징부에 내장되고 모터캠부에 의해 직선 왕복 이동되는 피스톤부와, 피스톤부에 형성되고 피스톤부에 형성되는 유로를 개폐하는 인렛개폐부와, 하우징부에 형성되고 피스톤부가 삽입되어 이동되도록 유도하는 슬리브부와, 슬리브부에 내장되고 피스톤부의 직선 이동을 유도하는 부시부와, 슬리브부를 감싸는 캡부와, 캡부에 장착되고 캡부와 슬리브부 사이의 유로를 개폐하는 아웃렛개폐부를 포함하여, 작동과정에서 충격을 완화하고 유동에 의한 밀봉부위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펌프장치{PUMP DEVICE FOR ELECTRONIC CONTROL BRAKE SYSTEM}
본 발명은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펌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동과정에서 충격을 완화하고 유동에 의한 밀봉부위의 손상을 억제하는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펌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은 차량의 슬립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하여 강력하고 안정된 제동력을 얻기 위한 것으로, 제동시 휠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Anti-Lock Brake System, ABS)과, 차량의 급발진 또는 급가속 시 구동륜의 슬립을 방지하는 브레이크 트랙션 제어 시스템(Brake Traction Control System, BTCS)과,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과 트랙션 제어를 조합하여 브레이크 액압을 제어함으로써 차량의 주행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차량자세제어 시스템(Vehicle Dynamic Control System, VDC) 등이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은, 차량의 휠에 장착된 유압브레이크 측으로 전달되는 제동유압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개의 솔레노이드밸브와, 유압브레이크로부터 빠져나온 오일을 일시 저장하기 위한 저압 어큐뮬레이터 및 저압 어큐뮬레이터의 오일을 강제 펌핑하기 위한 모터 및 펌프와, 솔레노이드밸브와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ECU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은, 펌프의 구동으로 오일이 가압되어 유압브레이크 또는 마스터실린더 어셈블리 측으로 전달된다.
종래에는 펌프 구동을 위해 피스톤 한 쪽 끝단면이 모터캠과 접촉되고, 모터캠이 회전되면 피스톤의 단부와 모터캠 사이에는 마찰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피스톤은 직선방향 이동뿐 아니라 양단부가 상하로 유동된다. 상방 이동되는 피스톤의 단부는 씰링부에 부하를 주게되어 마모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0067488호(2016.06.14. 공개, 발명의 명칭 :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펌프유닛)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모터 작동과정에서 충격을 완화하고 유동에 의한 밀봉부위의 손상을 억제하는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펌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펌프장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 장착되는 모터캠부; 상기 하우징부에 내장되고, 상기 모터캠부에 의해 직선 왕복 이동되는 피스톤부; 상기 피스톤부에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부에 형성되는 유로를 개폐하는 인렛개폐부; 상기 하우징부에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부가 삽입되어 이동되도록 유도하는 슬리브부; 상기 슬리브부에 내장되고, 상기 피스톤부의 직선 이동을 유도하는 부시부; 상기 슬리브부를 감싸는 캡부; 및 상기 캡부에 장착되고, 상기 캡부와 상기 슬리브부 사이의 유로를 개폐하는 아웃렛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스톤부는 상기 모터캠부와 접촉되어 이동되는 피스톤몸체부; 상기 피스톤몸체부의 측방향으로 돌출되는 피스톤돌기부; 상기 피스톤몸체부의 외측에 장착되고, 상기 슬리브부와 밀착되어 오일 누출을 방지하는 피스톤실링부; 상기 피스톤몸체부에 형성되고, 인렛부에서 유입되는 오일을 상기 슬리브부로 안내하며, 상기 인렛개폐부에 의해 개폐되는 피스톤유로부; 및 상기 슬리브부에 내장되고, 상기 피스톤돌기부를 탄성 지지하는 피스톤복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스톤유로부는 상기 피스톤몸체부의 외측에 형성되어 오일이 유입되는 제1피스톤유로; 상기 피스톤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피스톤유로와 연통되는 제2피스톤유로; 상기 피스톤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피스톤유로와 연통되어 상기 피스톤몸체부의 단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제2피스톤유로 보다 유로 단면적이 더 큰 제3피스톤유로; 및 상기 피스톤몸체부의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3피스톤유로와 연통되며, 오일을 상기 슬리브부로 안내하는 제4피스톤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렛개폐부는 상기 제3피스톤유로의 단부에 배치되어 오일을 통과시키는 인렛지지부; 상기 제3피스톤유로에서 이동되면서 상기 제2피스톤유로를 개폐하는 인렛볼부; 및 상기 인렛지지부와 상기 인렛볼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인렛볼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인렛복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시부는 상기 슬리브부에 지지되는 부시지지부; 상기 부시지지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피스톤부가 삽입되는 부시유도부; 상기 부시유도부에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부의 오일이 유입되는 부시유입홀부; 및 상기 부시지지부에 형성되고, 상기 부시유도부의 오일이 유출되는 부시유출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부는 상기 슬리브부를 감싸는 캡몸체부; 및 상기 캡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아웃렛개폐부의 직선 이동을 유도하는 캡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웃렛개폐부는 상기 캡유도부에 삽입되고, 상기 부시부를 관통하여 유로를 개폐하는 아웃렛밸브부; 및 상기 캡유도부에 장착되고, 상기 아웃렛밸브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아웃렛복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웃렛밸브부는 상기 캡유도부에 삽입되는 밸브삽입부; 상기 밸브삽입부에 형성되고, 상기 아웃렛복원부에 탄성 지지되며,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볼부; 상기 밸브볼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슬리브부와 상기 부시부를 관통하는 밸브관통부; 및 상기 밸브관통부에 형성되고, 오일을 안내하는 밸브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펌프장치는 피스톤부의 일단부가 부시부에 삽입되어 지지되므로, 피스톤부의 타단부가 모터캠부에 의해 가압되더라도 피스톤부의 일단부 유동이 억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펌프장치는 피스톤부의 유동이 억제되므로 부품간의 충돌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펌프장치는 아웃렛개폐부의 유동이 제한되므로, 아웃렛개폐부의 신속한 직선 이동이 가능하여 오일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펌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펌프장치에서 오일의 유입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펌프장치에서 오일의 토출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펌프장치에서 피스톤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펌프장치에서 부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펌프장치에서 아웃렛개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펌프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펌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펌프장치에서 오일의 유입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펌프장치에서 오일의 토출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펌프장치(1)는 하우징부(10)와, 모터캠부(20)와, 피스톤부(30)와, 인렛개폐부(40)와, 슬리브부(50)와, 부시부(60)와, 캡부(70)와, 아웃렛개폐부(80)를 포함한다.
하우징부(10)는 차량에 장착되고, 오일 유입을 위한 인렛부(100)와 오일 배출을 위한 아웃렛부(200)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하우징부(10)는 휠에 장착되고, 휠 압력 감압이 필요한 경우 휠에 저장된 오일을 마스터실린더로 토출할 수 있다. 그리고, 휠 압력 증압이 필요한 경우 마스터실린더에 저장된 오일을 휠 쪽으로 토출할 수 있다.
모터캠부(20)는 하우징부(10)에 장착된다. 일 예로, 모터캠부(20)는 캠 형상을 하고, 모터가 구동되면 회전되면서 피스톤부(30)를 가압할 수 있다.
피스톤부(30)는 하우징부(10)에 내장되고, 모터캠부(20)에 의해 직선 왕복 이동된다. 이러한 피스톤부(30)는 슬리브부(50)에 저장된 오일을 압축하여 토출시킨다.
인렛개폐부(40)는 피스톤부(30)에 형성되고, 피스톤부(30)에 형성되는 유로를 개폐한다. 일 예로, 인렛개폐부(40)는 피스톤부(30)의 단부에 내장되어 오일의 유압에 따라 피스톤부(30)에 형성되는 유로를 개폐할 수 있다.
슬리브부(50)는 하우징부(10)에 형성되고, 피스톤부(30)가 삽입되어 이동되도록 유도한다. 일 예로, 슬리브부(50)는 피스톤부(30)의 단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인렛개폐부(40)를 통과한 오일은 슬리브부(50)와 피스톤부(3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이동될 수 있다.
부시부(60)는 슬리브부(50)에 내장되고, 피스톤부(30)의 직선 이동을 유도한다. 일 예로, 부시부(60)는 슬리브부(50)의 내벽에 고정 설치되고, 피스톤부(30)의 단부가 삽입되어 피스톤부(3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캡부(70)는 슬리브부(50)의 단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캡부(70)와 슬리브부(50)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를 통해 오일이 토출된다. 이때, 캡부(70)와 슬리브부(50)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에는 오일의 맥동 현상을 저감시키도록 오리피스(orifice)가 형성될 수 있다.
아웃렛개폐부(80)는 캡부(70)에 장착되고, 캡부(70)와 슬리브부(50) 사이의 유로를 개폐한다. 일 예로, 아웃렛개폐부(80)는 부시부(60)를 관통하고, 슬리브부(50)에 저장된 오일의 압력에 따라 선택적으로 유로를 개폐할 수 있다.
그 외, 필터부(91)는 피스톤부(30)를 감싸며, 인렛부(100)에서 피스톤부(30)로 이동되는 오일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펌프장치에서 피스톤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스톤부(30)는 피스톤몸체부(31)와, 피스톤돌기부(32)와, 피스톤실링부(33)와, 피스톤유로부(34)와, 피스톤복원부(35)를 포함한다.
피스톤몸체부(31)는 모터캡부(20)와 접촉되어 이동된다. 일 예로, 피스톤몸체부(31)는 하우징부(10)에 내장되고 일단부가 슬리브부(50)에 삽입되며, 타단부가 캠 형상을 갖는 모터캠부(20)의 형상에 의해 밀려 이동될 수 있다.
피스톤돌기부(32)는 피스톤몸체부(31)의 측방향으로 돌출된다. 일 예로, 한 쌍의 피스톤돌기부(32)가 피스톤몸체부(31)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슬리브부(50)의 내벽에 근접 배치되어 피스톤몸체부(31)의 직선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피스톤실링부(33)는 피스톤몸체부(31)의 외측에 장착되고, 슬리브부(50)와 밀착되어 오일 누출을 방지한다. 일 예로, 하나 이상의 피스톤실링부(33)는 한 쌍의 피스톤돌기부(32) 사이에 배치되고, 슬리브부(50)의 내벽에 밀착될 수 있다.
피스톤유로부(34)는 피스톤몸체부(31)에 형성되고, 인렛부(100)에서 유입되는 오일을 슬리브부(50)로 안내하며, 인렛개폐부(40)에 의해 개폐된다. 일 예로, 인렛부(100)에서 유입된 오일은 피스톤몸체부(31)에 형성되는 피스톤유로부(34)를 통해 슬리브부(50)로 이동될 수 있다.
피스톤복원부(35)는 슬리브부(50)에 내장되고, 피스톤돌기부(32)를 탄성 지지한다. 일 예로, 피스톤복원부(35)는 코일스프링 형상을 하고, 피스톤몸체부(31)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스톤유로부(34)는 제1피스톤유로(341)와, 제2피스톤유로(342)와, 제3피스톤유로(343)와, 제4피스톤유로(344)를 포함한다.
제1피스톤유로(341)는 피스톤몸체부(31)의 외측에 형성되어 오일이 유입된다. 일 예로, 제1피스톤유로(341)는 피스톤몸체부(31)의 외측에서 중심축까지 형성되는 홀을 의미하며, 피스톤몸체부(31)의 직선 이동 과정에서 필터부(91)에 의해 지속적으로 커버될 수 있다.
제2피스톤유로(342)는 피스톤몸체부(31)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1피스톤유로(341)와 연통된다. 일 예로, 제2피스톤유로(342)는 피스톤몸체부(31)의 중심축상에 형성되고, 제1피스톤유로(341)와 연통될 수 있다.
제3피스톤유로(343)는 피스톤몸체부(31)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2피스톤유로(342)와 연통되어 피스톤몸체부(31)의 단부까지 연장된다. 제3피스톤유로(343)는 제2피스톤유로(342) 보다 유로 단면적이 더 크게 형성된다.
제4피스톤유로(344)는 피스톤몸체부(31)의 외측에 형성되고, 제3피스톤유로(343)와 연통되며, 오일을 슬리브부(50)로 안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렛개폐부(40)는 인렛지지부(41)와, 인렛볼부(42)와, 인렛복원부(43)를 포함한다.
인렛지지부(41)는 제3피스톤유로(343)의 단부에 배치되어 오일을 통과시킨다. 일 예로, 인렛지지부(41)는 제3피스톤유로(343)의 단부에 결합되고 중앙부에는 오일이 통과하도록 지지홀부(411)가 형성될 수 있다.
인렛볼부(42)는 제3피스톤유로(343)에서 이동되면서 제3피스톤유로(343)를 개폐한다. 일 예로, 제2피스톤유로(342)와 제3피스톤유로(343)는 연통되고, 구 형상의 인렛볼부(42)가 제2피스톤유로(342)에 밀착되어 제2피스톤유로(342)를 폐쇄할 수 있다.
인렛복원부(43)는 인렛지지부(41)와 인렛볼부(42) 사이에 배치되고, 인렛볼부(42)에 복원력을 제공한다. 일 예로, 인렛복원부(43)는 코일 스프링 형상을 하고, 제2피스톤유로(342)를 통해 유입되는 오일의 유압에 의해 수축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펌프장치에서 부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시부(60)는 부시지지부(61)와, 부시유도부(62)와, 부시유입홀부(63)와, 부시유출홀부(64)를 포함한다.
부시지지부(61)는 슬리브부(50)에 지지된다. 일 예로, 부시지지부(61)는 원판 형상을 하고, 일측면이 슬리브부(50)의 내벽에 밀착되며, 타측면에는 피스톤복원부(35)가 지지될 수 있다.
부시유도부(62)는 부시지지부(61)에서 연장되고, 피스톤부(30)가 삽입된다. 일 예로, 부시유도부(62)는 관 형상을 하여 피스톤몸체부(31)의 단부가 삽입되어 상하 유동이 제한될 수 있다.
부시유입홀부(63)는 부시유도부(62)에 형성되고, 슬리브부(50)의 오일이 유입된다. 일 예로, 부시유입홀부(63)는 부시지지부(61)에 근접하도록 배치되어, 피스톤몸체부(31)와 간섭되지 않고 오일이 이동될 수 있다.
부시유출홀부(64)는 부시지지부(61)에 형성되고, 부시유도부(62)의 오일이 유출된다. 일 예로, 부시유출홀부(64)는 아웃렛개폐부(80)를 안내하고, 슬리브부(50)의 단부에 형성되는 슬리브홀부(51)와 일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부(70)는 캡몸체부(71)와 캡유도부(72)를 포함한다. 캡몸체부(71)는 슬리브부(50)의 단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캡유도부(72)는 캡몸체부(71)에 형성되어 아웃렛개폐부(80)의 직선 이동을 유도한다.
일 예로, 캡유도부(72)는 제1유도홈부(721)와, 제1유도홈부(721)와 연통되고 제1유도홈부(721) 보다 단면적이 큰 제2유도홈부(722)와, 제2유도홈부(722)와 연통되고 제2유도홈부(722) 보다 단면적이 큰 제3유도홈부(72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펌프장치에서 아웃렛개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웃렛개폐부(80)는 아웃렛밸브부(81)와, 아웃렛복원부(82)를 포함한다.
아웃렛밸브부(81)는 캡유도부(72)에 삽입되고, 부시부(60)를 관통하여 유로를 개폐한다. 아웃렛복원부(82)는 캡유도부(72)에 장착되고, 아웃렛밸브부(81)에 복원력을 제공한다.
아웃렛밸브부(81)는 밸브삽입부(811)와, 밸브볼부(812)와, 밸브관통부(813)와, 밸브홈부(814)를 포함한다.
밸브삽입부(811)는 캡유도부(72)에 삽입된다. 일 예로, 밸브삽입부(811)는 원통 형상을 원기둥 또는 각진 막대 형상을 하여 제1유도홈부(721)에 삽입될 수 있다.
밸브볼부(812)는 밸브삽입부(811)에 형성되고, 아웃렛복원부(82)에 탄성 지지되며, 유로를 개폐한다. 일 예로, 밸브볼부(812)는 밸브삽입부(811)의 단부에 형성되고, 구 형상을 하여 제3유도홈부(723)를 따라 이동되고, 슬리브홀부(51)에 밀착되어 오일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한편, 아웃렛복원부(82)는 코일 스프링 형상을 하여 밸브삽입부(811)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제2유도홈부(722)에 일단부가 지지되며 밸브볼부(812)에 타단부가 지지될 수 있다.
밸브관통부(813)는 밸브볼부(812)에서 연장되고, 슬리브부(50)와 부시부(60)를 관통한다. 일 예로, 밸브관통부(813)는 밸브볼부(812)를 기준으로 밸브삽입부(811)의 반대편에 위치되고, 슬리브홀부(51)와, 부시유출홀부(64)를 관통하여 밸브볼부(812)의 상하 유동을 제한할 수 있다.
밸브홈부(814)는 밸브관통부(813)에 형성되고, 오일을 안내한다. 일 예로, 밸브홈부(814)는 밸브관통부(813)의 외측에 형성되는 홈을 의미하며, 밸브관통부(813)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슬리브홀부(51)와 부시유출홀부(64) 사이에 오일 이동을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펌프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터캡부(20)가 회전되어 피스톤부(30)가 후진하면(도 2 참조), 피스톤부(30)의 좌측단부가 부시부(60)의 부시유도부(62)에 안내되어 상하 유동이 제한되고, 피스톤실링부(33)에 가해지는 부하를 줄일 수 있다.
피스톤부(30)가 후진하면, 필터부(91)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오일은 피스톤유로부(34)를 통과하고, 인렛볼부(42)를 밀어내어 슬리브부(50)로 이동된다. 그리고, 인렛부(100)의 오일 압력과 슬리브부(50)의 오일 압력이 동일해지면 인렛복원부(43)의 복원력에 의해 인렛볼부(42)가 피스톤유로부(34)를 폐쇄한다.
슬리브부(50)에 오일이 저장된 상태에서 모터캠부(20)가 회전되어 피스톤부(30)가 직선 이동되면(도 3 참조), 이동되는 피스톤부(30)에 의해 슬리브부(50)의 저장 공간이 줄어들고, 슬리브부(50)에 저장된 오일의 압력이 상승한다.
슬리브부(50)에 저장된 오일의 압력이 상승하면, 압력이 상승된 오일이 밸브볼부(812)를 밀어내고, 아웃렛부(200)로 이동된다. 그리고 아웃렛부(200)의 오일 압력과 슬리브부(50) 내부에 오일 압력이 동일해지면 아웃렛복원부(82)의 복원력에 의해 슬리브홀부(51)가 폐쇄된다.
아웃렛밸브부(82)는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볼부(812)와, 밸브볼부(812)의 양측에 각각 연장되는 밸브삽입부(811)와 밸브관통부(813)를 포함하고, 밸브삽입부(811)는 캡부(70)에 삽입되어 유동이 제한되고, 밸브관통부(813)는 부시부(60)에 삽입되어 유동이 제한된다. 이로 인해, 직선 이동성이 개선되어 유로를 신속하게 개폐함으로써, 역류를 억제할 수 있다.
한편, 피스톤부(30)는 모터캠부(20)와의 마찰에 의해 직선 이동되므로, 피스톤부(30)의 직선 이동시 피스톤부(30)의 단부에는 상하 유동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피스톤부(30)의 단부가 부시부(60)에 삽입되어 직선 이동되므로 피스톤부(30)의 유동을 제한하고, 부품간의 충돌을 억제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펌프장치(1)는 피스톤부(30)의 일단부가 부시부(60)에 삽입되어 지지되므로, 피스톤부(30)의 타단부가 모터캠부(20)에 의해 가압되더라도 피스톤부(30)의 일단부 유동이 억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펌프장치(1)는 피스톤부(30)의 유동이 억제되므로 부품간의 충돌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펌프장치(1)는 아웃렛개폐부(80)의 유동이 제한되므로, 아웃렛개폐부(80)의 신속한 직선 이동이 가능하여 오일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하우징부 20 : 모터캠부
30 : 피스톤부 31 : 피스톤몸체부
32 : 피스톤돌기부 33 : 피스톤실링부
34 : 피스톤유로부 35 : 피스톤복원부
40 : 인렛개폐부 41 : 인렛지지부
42 : 인렛볼부 43 : 인렛복원부
50 : 슬리브부 51 : 슬리브홀부
60 : 부시부 61 : 부시지지부
62 : 부시유도부 63 : 부시유입홀부
64 : 부시유출홀부 70 : 캡부
71 : 캡몸체부 72 : 캡유도부
80 : 아웃렛개폐부 81 : 아웃렛밸브부
82 : 아웃렛복원부 341 : 제1피스톤유로
342 : 제2피스톤유로 343 : 제3피스톤유로
344 : 제4피스톤유로 721 : 제1유도홈부
722 : 제2유도홈부 723 : 제3유도홈부
811 : 밸브삽입부 812 : 밸브볼부
813 : 밸브관통부 814 : 밸브홈부

Claims (8)

  1.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 장착되는 모터캠부;
    상기 하우징부에 내장되고, 상기 모터캠부에 의해 직선 왕복 이동되는 피스톤부;
    상기 피스톤부에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부에 형성되는 유로를 개폐하는 인렛개폐부;
    상기 하우징부에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부가 삽입되어 이동되도록 유도하는 슬리브부;
    상기 슬리브부에 내장되고, 상기 피스톤부의 직선 이동을 유도하는 부시부;
    상기 슬리브부를 감싸는 캡부; 및
    상기 캡부에 장착되고, 상기 캡부와 상기 슬리브부 사이의 유로를 개폐하는 아웃렛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아웃렛개폐부는
    상기 부시부를 관통하여 유로를 개폐하는 아웃렛밸브부를 포함하며,
    상기 아웃렛밸브부는
    상기 슬리브부와 상기 부시부를 관통하는 밸브관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펌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부는
    상기 모터캠부와 접촉되어 이동되는 피스톤몸체부;
    상기 피스톤몸체부의 측방향으로 돌출되는 피스톤돌기부;
    상기 피스톤몸체부의 외측에 장착되고, 상기 슬리브부와 밀착되어 오일 누출을 방지하는 피스톤실링부;
    상기 피스톤몸체부에 형성되고, 인렛부에서 유입되는 오일을 상기 슬리브부로 안내하며, 상기 인렛개폐부에 의해 개폐되는 피스톤유로부; 및
    상기 슬리브부에 내장되고, 상기 피스톤돌기부를 탄성 지지하는 피스톤복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펌프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유로부는
    상기 피스톤몸체부의 외측에 형성되어 오일이 유입되는 제1피스톤유로;
    상기 피스톤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피스톤유로와 연통되는 제2피스톤유로;
    상기 피스톤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피스톤유로와 연통되어 상기 피스톤몸체부의 단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제2피스톤유로보다 유로 단면적이 더 큰 제3피스톤유로; 및
    상기 피스톤몸체부의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3피스톤유로와 연통되며, 오일을 상기 슬리브부로 안내하는 제4피스톤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펌프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인렛개폐부는
    상기 제3피스톤유로의 단부에 배치되어 오일을 통과시키는 인렛지지부;
    상기 제3피스톤유로에서 이동되면서 상기 제2피스톤유로를 개폐하는 인렛볼부; 및
    상기 인렛지지부와 상기 인렛볼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인렛볼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인렛복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펌프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부는
    상기 슬리브부에 지지되는 부시지지부;
    상기 부시지지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피스톤부가 삽입되는 부시유도부;
    상기 부시유도부에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부의 오일이 유입되는 부시유입홀부; 및
    상기 부시지지부에 형성되고, 상기 부시유도부의 오일이 유출되는 부시유출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펌프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는
    상기 슬리브부를 감싸는 캡몸체부; 및
    상기 캡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아웃렛개폐부의 직선 이동을 유도하는 캡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펌프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렛개폐부는
    상기 캡부에 장착되고, 상기 아웃렛밸브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아웃렛복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펌프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렛밸브부는
    상기 캡부에 삽입되는 밸브삽입부;
    상기 밸브삽입부에 형성되고, 상기 아웃렛복원부에 탄성 지지되며,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볼부; 및
    상기 밸브관통부에 형성되고, 오일을 안내하는 밸브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밸브관통부는 상기 밸브볼부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펌프장치.
KR1020180015568A 2018-02-08 2018-02-08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펌프장치 KR102416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568A KR102416288B1 (ko) 2018-02-08 2018-02-08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펌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568A KR102416288B1 (ko) 2018-02-08 2018-02-08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펌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6070A KR20190096070A (ko) 2019-08-19
KR102416288B1 true KR102416288B1 (ko) 2022-07-05

Family

ID=67807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5568A KR102416288B1 (ko) 2018-02-08 2018-02-08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펌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6288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710B1 (ko) * 2010-05-13 2014-06-11 주식회사 만도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유압펌프
KR101915501B1 (ko) * 2016-07-25 2018-11-08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용 피스톤 펌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6070A (ko) 2019-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93115B2 (en) Pump of electronically controlled brake system
KR20010072857A (ko) 피스톤 펌프
US10011254B2 (en) Pulsation damping device of hydraulic brake system
US9360008B2 (en) Piston pump for delivering a fluid, and associated brake system
US8845038B2 (en) Piston pump for delivering a fluid, and associated brake system
JP2001501275A (ja) ピストンポンプ
US7478998B2 (en) Conveyor device
KR20170040497A (ko)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
KR20000069788A (ko) 피스톤 펌프
KR102416288B1 (ko)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펌프장치
KR100888184B1 (ko)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펌프
KR20130051376A (ko) 차량 제동장치의 피스톤펌프
KR100538512B1 (ko) 전자제어 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펌프
KR102368496B1 (ko)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펌프장치
KR102390511B1 (ko)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펌프장치
KR100550947B1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펌프
KR102372393B1 (ko)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펌프장치
KR102390510B1 (ko)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펌프장치
KR100882791B1 (ko)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펌프
KR100543871B1 (ko)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용 펌프
KR100826799B1 (ko)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펌프
KR100536298B1 (ko) 전자제어식 브레이크시스템의 펌프
KR102030843B1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댐핑장치
KR20070054378A (ko)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펌프
KR102389416B1 (ko) 차량 브레이크용 펌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