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4911B1 - 채석용 갱도 구조체 - Google Patents

채석용 갱도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4911B1
KR102414911B1 KR1020200076173A KR20200076173A KR102414911B1 KR 102414911 B1 KR102414911 B1 KR 102414911B1 KR 1020200076173 A KR1020200076173 A KR 1020200076173A KR 20200076173 A KR20200076173 A KR 20200076173A KR 102414911 B1 KR102414911 B1 KR 102414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shaft
transport
mountain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6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7984A (ko
Inventor
손정락
Original Assignee
손정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정락 filed Critical 손정락
Priority to KR1020200076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4911B1/ko
Priority to EP20941554.6A priority patent/EP4170126A1/en
Priority to PCT/KR2020/009417 priority patent/WO2021261649A1/ko
Priority to KR1020210162940A priority patent/KR102414912B1/ko
Publication of KR20210157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7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4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4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CMINING OR QUARRYING
    • E21C41/00Methods of underground or surface mining; Layouts therefor
    • E21C41/16Methods of underground mining; Layou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따른 채석용 갱도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채석 방법에 관한 것으로 석산의 내부에 기울어지게 위치되어 상기 석산의 상부에 위치되는 채취 장소에서 채취된 석재가 내부에서 굴러 자유낙하되어 지상으로 낙하시키는 석재 이송용 갱도부를 포함하여 석산에서 채석되는 석재를 석산의 내부에 경사지게 위치되는 갱도를 통해 지상으로 자연 낙하시킴으로써 석산에서 채취된 석재를 지상으로 이송시키는데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크게 절감하여 석재의 채취 효율을 향상시키고, 석재의 이송 효율을 크게 향상시키며, 석산에서 채취된 석재를 지상으로 이송시키는데 발생되는 소음이나 진동, 분진 등의 공해 피해를 최소화하여 석산의 주변에 거주하는 주민과의 마찰을 최소화하고, 주민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채석용 갱도 구조체{QUARRY TUNNEL STRUCTURE}
본 발명은 채석용 갱도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채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토목 및 조각용 재료로 사용되는 석재는 석산에서 채석되고 있다.
특히, 화강암류의 경우 대부분 석산에서 채취하고 있으며, 통상적으로 석산의 정상부에서 점차 아래로 채석하는 계단식 채석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즉, 계단식 채석 방법은 석산의 정상부에서 자연상에 노출되어 있는 나출암반(裸出岩盤)을 주 대상으로 찾은 뒤, 버너작업(Jet Burner)을 통해 자유면(自由面)을 형성하여 한 후, 암반에 발파를 위한 천공작업(穿孔作業)을 시행한 다음, 발파작업을 통하여 인위적으로 자유면(自由面)의 개수를 늘려서 채석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그리고 계단식 채석 방법은 석산의 허리를 감싸는 경사진 도로를 따라 트럭 등으로 채석물을 지상으로 운반하고 있다.
종래의 계단식 채석 방법은 석산의 허리를 감싸는 경사진 도로를 따라 트럭 등으로 채석물을 지상으로 운반하여 운반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트럭 등의 차량을 이용하는 비용이 발생되어 석재의 생산량이 저하되고, 석재의 채석 비용이 증대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엇다.
또한, 종래의 계단식 채석 방법은 석산의 허리를 감싸는 경사진 도로를 따라 트럭 등으로 채석물을 석산의 지상으로 운반하고, 지상에서 다시 채석이 필요한 곳으로 송되는 과정을 거치게 되므로 이루어지는 채석 장소의 인근 주민에게 채굴과 운반에 따른 소음·진동이나 분진 등과 같은 공해피해를 주게 되는 폐단이 있었다.
이에 따라 채석 장소의 인근에 주민들이 사는 경우 채석 장소의 인근 주민들과의 분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주민들과의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0001)한국특허공개 제2000-0020172호 "장벽식 다계단 채석공법"(2000.04.15.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석산에서 채석되는 석재를 석산의 내부에 경사지게 위치되는 갱도를 통해 지상으로 자연 낙하시킴으로써 석산에서 채취된 석재를 지상으로 이송시키는데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크게 절감하는 채석용 갱도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채석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석산에서 채석되는 석재를 석산의 내부에 경사지게 위치되는 갱도를 통해 지상으로 자연 낙하시킴으로써 석산에서 채취된 석재를 지상으로 이송시키는데 발생되는 소음이나 진동, 분진 등의 공해 피해를 최소화하는 채석용 갱도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채석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갱도를 분기시켜 석산에서 채취되는 석재의 배출 위치를 선택할 수 있어 이송 효율을 향상시키는 채석용 갱도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채석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채석용 갱도 구조체의 일 실시예는 석재가 매장되어 있는 석산 내에 위치되는 갱도이며, 상기 석산의 내부에 기울어지게 위치되어 상기 석산의 상부에 위치되는 채취 장소에서 채취된 석재가 내부에서 굴러 자유낙하되어 지상으로 낙하시키는 석재 이송용 갱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석재 이송용 갱도부의 출구는 지상에서 10 ~ 20m 높이를 여유 높이로 두고 위치되고, 상기 석산의 토양층의 표면에서 10 ~ 20m의 깊이를 여유 깊이로 두고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석재 이송용 갱도부의 경사 각도는 높이 대비 가로의 비율이 1 : 0. 5 ~ 1: 1.2 사이의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석산의 측면에서 토양층과 석재층을 관통하여 상기 석재 이송용 갱도부가 형성되는 위치까지 뚫려 형성되는 갱도 시공용 보조굴 및 상기 석재 이송용 갱도부의 시공 후 상기 갱도 시공용 보조굴을 막는 굴 채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석재 이송용 갱도부는 기울기가 다른 복수의 이송용 갱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석재 이송용 갱도부는 석산의 상부 측에 위치되고 상단부가 정상부로 개방되어 입구가 되는 제1이송용 갱도, 석산의 하부 측에 위치되고 하단부가 석산의 측방향으로 개방되어 채취 석재를 지상으로 낙하시키는 출구가 되는 제2이송용 갱도, 제1이송용 갱도와 제2이송용 갱도를 연결하는 제3이송용 갱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이송용 갱도, 상기 제2이송용 갱도, 상기 제3이송용 갱도는 각각 기울기가 다른 제1기울기, 제2기울기, 제3기울기를 가지며, 상기 제3이송용 갱도의 제3기울기는 상기 제1이송용 갱도의 제1기울기와 상기 제2이송용 갱도의 제2기울기보다 큰 기울기를 가지며, 상기 제1기울기는 상기 제2기울기보다 큰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3이송용 갱도부와 상기 제2이송용 갱도부의 경계에는 채취 석재의 이송 속도를 줄이는 단턱부가 통로 안쪽으로 돌출되게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채석용 갱도 구조체의 일 실시예는 상기 석재 이송용 갱도부에서 분기되어 석산의 외측 둘레에서 다른 방향의 출구를 형성하는 분기 갱도부 및 상기 분기 갱도부의 입구와 상기 분기 갱도부와 연결된 상기 석재 이송용 갱도부의 통로를 개폐하는 갱도 개폐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갱도 개폐부는 상기 분기 갱도부의 입구를 막는 개폐 블럭부재, 상기 개폐 블럭부재를 전, 후 이동시켜 상기 분기 갱도부의 입구를 열고 상기 석재 이송용 갱도부의 통로를 막는 직선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갱도 개폐부는 상기 분기 갱도부의 입구 측에서 상기 분기 갱도부의 하부 측에 위치되고, 상기 개폐 블럭부재는 상기 직선 이동부와 연결되고 상면이 상기 분기 갱도부의 내측면과 연결되는 블럭 본체부 및 상기 블럭 본체부의 단부 측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분기 갱도부의 입구를 막는 개폐용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용 돌출부는 상기 석재 이송용 갱도부의 통로를 막을 때 상기 석재 이송용 갱도부를 통해 이송되는 채취 석재를 상기 분기 갱도부로 안내하는 이송 안내용 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기 갱도부의 입구는 상부 측에 상기 개폐용 돌출부의 이송 안내용 경사면이 밀착되게 테이퍼진 통로 확장용 테이퍼부가 위치되며, 상기 개폐용 돌출부는 상기 이송 안내용 경사면의 상단부 측 일부분이 상기 통로 확장용 테이퍼부에 밀착되는 형태로 상기 분기 갱도부의 입구를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직선 이동부는 상기 개폐 블럭부재와 연결된 피스톤 로드가 실린더 본체 내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유압 실린더이며, 상기 유압 실린더는 상기 실린더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피스톤 로드와 연결되어 상기 피스톤 로드와 일체로 이동하여 상기 피스톤 로드를 보호하는 로드 보호부를 구비하고, 상기 로드 보호부는 상기 피스톤 로드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보호 커버부재 및 상기 보호 커버부재와 피스톤 로드를 연결하는 커버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채석용 갱도 구조체를 이용한 채석 방법의 일 실시예는 석산의 정상부에서 석재의 채취가 가능한 석재의 채취 장소를 정리하는 채취 장소 기초화 단계, 채취 장소 기초화 단계 후 석산의 내부에서 기울어지게 위치되고 상단부 측이 채취 장소의 상면으로 개방되고 하단부 측이 석산의 하부 측에서 측면으로 개방되어 채취 장소에서 채취된 석재가 내부에서 굴러 자유 낙하되는 석재 이송용 갱도부를 시공하는 이송용 갱도 시공단계, 채취 장소에서 중장비로 석재를 채취하는 석재 채취단계, 상기 석재 채취단계에서 채취된 석재를 석재 이송용 갱도부의 입구로 투입시켜 석재 이송용 갱도부를 통해 자유 낙하시켜 석재 이송 갱도부의 출구로 배출시키는 석재 이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송용 갱도 시공단계는 상기 석산의 측면에서 석산의 토양층과 석재층을 관통하여 상기 석재 이송용 갱도부가 형성되는 위치까지 갱도 시공용 보조굴을 형성하는 보조굴 시공과정, 상기 보조굴 시공과정 후 상기 석재 이송용 갱도부의 일부분 또는 상기 석재 이송용 갱도부의 전체를 시공하는 이송용 갱도 시공과정 및 상기 이송용 갱도 시공과정 후 상기 갱도 시공용 보조굴을 막는 굴 채움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송용 갱도 시공단계는 높이 대비 가로의 비율이 1 : 0. 5 ~ 1: 1.2 사이의 경사 각도를 가지도록 석재 이송용 갱도부를 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송용 갱도 시공단계는 상기 석재 이송용 갱도부의 출구에서 출구의 하단부가 지상을 기준으로 10 ~ 20m 높이를 여유 높이를 가지도록 위치되고, 출구의 상단부가 토양층의 표면을 기준으로 10 ~ 20m 깊이를 여유 깊이를 가지도록 석재 이송용 갱도부를 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송용 갱도 시공단계는 상기 석산의 상부 측에 위치되고 상단부가 정상부로 개방되어 입구가 되며 제1기울기의 경사각도를 가지는 제1이송용 갱도, 상기 석산의 하부 측에 위치되고 하단부가 상기 석산의 측방향으로 개방되어 채취 석재를 지상으로 낙하시키는 출구가 되며 제2기울기의 경사각도를 가지는 제2이송용 갱도, 상기 제1이송용 갱도와 상기 제2이송용 갱도를 연결하며 제3기울기를 가지는 제3이송용 갱도를 포함하도록 시공하고, 상기 제3기울기는 상기 제1기울기와 상기 제2기울기보다 큰 기울기를 가지며, 상기 제1기울기는 상기 제2기울기보다 큰 기울기를 가지도록 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석산에서 채석되는 석재를 석산의 내부에 경사지게 위치되는 갱도를 통해 지상으로 자연 낙하시킴으로써 석산에서 채취된 석재를 지상으로 이송시키는데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크게 절감하여 석재의 채취 효율을 향상시키고, 석재의 이송 효율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석산에서 채석되는 석재를 석산의 내부에 경사지게 위치되는 갱도를 통해 지상으로 자연 낙하시킴으로써 석산에서 채취된 석재를 지상으로 이송시키는데 발생되는 소음이나 진동, 분진 등의 공해 피해를 최소화하여 석산의 주변에 거주하는 주민과의 마찰을 최소화하고, 주민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갱도를 분기시켜 석산에서 채취되는 석재의 배출 위치를 선택할 수 있어 채취된 석재를 다른 지점으로 이송시키는 운송 효율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낙석으로 인해 장비와 작업자가 다치는 상해 사고나 덤프트럭이나 굴삭기 등이 석산에서 석재를 이송 시에 굴러 떨어지는 사고 등을 예방하여 산업 안전성에 크게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채석용 갱도 구조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채석용 갱도 구조체의 다른 실시예를 채석용 갱도 구조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채석용 갱도 구조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채석용 갱도 구조체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갱도 개폐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갱도 구조체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갱도 개폐부의 유압 실린더부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채석용 갱도 구조체를 이용한 채석 방법을 도시한 공정도.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채석용 갱도 구조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채석용 갱도 구조체는 석재가 매장되어 있는 석산(10) 내에 위치되는 갱도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채석용 갱도 구조체의 일 실시예를 채석용 갱도 구조체의 일 실시예는 석산(10)의 내부에 기울어지게 배치되고 양 단부가 개방되어 석산(10)의 채취 장소에서 채취된 석재가 내부에서 굴러 자유낙하되어 지상으로 낙하시키는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를 포함한다.
석산(10)은 토양층(11), 토양층(11)의 내부에 위치되는 석재층(12)을 포함하고,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는 석재층(12) 내에 위치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는 상단부 측이 석산(10)의 정상부에 위치된 채취 장소에서 상면으로 개방되게 위치되고, 하단부 측이 지상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높이범위 내에서 개방되게 위치된다.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직경은 채취되는 채취 석재의 크기에 따라 채취 석재가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다른 방향으로 기울어져 복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채석용 갱도 구조체의 일 실시예는 채취 장소의 중심에서 서로 대칭되게 위치되는 한쌍의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를 포함하여 한쌍의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가 석산(10)의 하부 측 외측 둘레에서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한쌍의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는 석산(10)에서 서로 반대 방향의 출구를 가짐으로써 채취 석재를 선택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어 채취 석재의 이송 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석산(10)의 정상부는 해당 석산(10)의 채석 위치에서 최상부에 위치된 부분으로 석재를 채취하기 위해 사전 정리된 부분인 것을 일 예로 한다.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상단부 측은 정상부에서 채취된 채취 석재가 내부로 투입되는 입구가 되고,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하단부 측은 내부에서 중력에 의해 굴러 이송되는 채취 석재가 배출되는 출구가 된다.
석재의 정상부에서 채취된 채취 석재는 정상부에 위치된 불도우저, 포크레인, 덤프 트럭 등의 중장비를 통해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입구로 투입될 수 있다.
채취 석재는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입구로 투입된 후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를 따라 굴러 아래로 이송되고,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출구로 배출되어 지상으로 낙하되어 채석된 정상부에서 지상으로 간단하게 이송될 수 있다.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출구는 지상에서 10 ~ 20m 높이를 여유 높이로 두고 위치되고, 토양층(11)의 표면에서 10 ~ 20m의 깊이를 여유 깊이로 두고 형성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직경은 2.0m ~4.0m인 것을 일 예로 하고, 이송되는 채취 석재의 직경이나 크기에 따라 변형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경사 각도는 높이(h) 대비 가로(L)의 비율이 1 : 0. 5 ~ 1: 1.2 사이의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경사각도가 너무 큰 경우 즉, 높이(h) 대비 가로(L)의 비율이 1: 1.2 초과의 경사 각도를 가지는 경우 굴러 이송되는 채취 석재의 이송 속도가 너무 느려 흙일 경우 작은 입자가 자유 낙하하지 못해 채석물의 원활한 흐름을 가로 막을 수 있다.
일 예로 높이(h) 대비 가로(L)의 비율이 1: 2의 경사로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를 시공하는 경우 채취 석재가 자유 낙하하기 어려워 갱도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경사각도가 큰 경우 즉, 높이(h) 대비 가로(L)의 비율이 1 : 0. 5 이상의 경사는 하단부(바닥을)를 안쪽으로 많이 절삭해야 하는 비능률적업을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석산(10)의 하단부 측에는 수직으로 형성되어 중앙부에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출구가 위치되는 출구 가이드 벽부(101)가 위치된다.
출구 가이드 벽부(101)는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아래 쪽으로 지상에서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하단부까지 10 ~ 20m 높이를 여유 높이를 가지며,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상단부부터 토양층(11)의 표면까지 10 ~ 20m 높이를 여유 높이를 가지도록 시공된다.
출구 가이드 벽부(101)는 지상에서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출구에서 배출된 채취 석재가 지상에 충분히 쌓일 수 있는 여유 높이를 확보하고, 채취 석재가 원활하게 쌓이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함과 아울러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상단부 측에서 빈공간을 형성하여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에서 배출된 후 쌓이는 채취석재를 덤프 트럭 등의 이송수단으로 다른 위치로 운송하는데 있어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는 기울어져 석산(10)의 정상부 및 지상의 10 ~ 20m 높이 지점에서 토양층(11)까지 뚫려야 하므로 한번에 시공이 불가능하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채석용 갱도 구조체는 석산(10)의 토양층(11)과 석재층(12)을 관통하여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가 형성되는 위치까지 형성되는 갱도 시공용 보조굴(200),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시공 후 갱도 시공용 보조굴(200)을 막는 굴 채움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갱도 시공용 보조굴(200)은 지상의 지면과 나란하게 형성되고, 높이 차이를 두고 복수로 위치되어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를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며,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길이에 따라 갯수와 높이가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갱도 시공용 보조굴(200)은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가 시공된 후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와 연결되고 타단부 측이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로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다.
갱도 시공용 보조굴(200)은 일단부 측이 석산(10)의 토지층에서 개방되고, 타단부 측이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로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시공 시 시공 편의성을 확보하고,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가 정상부로 관통되어 기울어져 석산(10)의 정상부 및 지상의 10 ~ 20m 높이 지점에서 토양층(11)까지 뚫려야 하므로 한번에 시공이 불가능하다.
갱도 시공용 보조굴(200)은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가 시공된 후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 측으로 개방된 타단부 측으로 굴러 이송 중인 석재가 일부 유입될 수 있으므로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가 시공된 후 굴 채움부(300)로 개방된 타단부 측이 막혀딘다.
굴 채움부(300)는 기설정된 크기 이상의 돌덩이를 쌓아 촘촘히 채워 갱도 시공용 보조굴(200)을 막을 수도 있고, 콘크리트로 시공될 수도 있고, 모르타르, 골재와 시멘트 등을 혼합하여 시공될 수도 있으며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가 시공된 후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타단부 측을 막을 수 있는 공지의 시공 구조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굴 채움부(300)는 석재층(12)까지만 채워지고, 토양층(11)은 노출된 상태로 위치시켜 추후 갱도 시공용 보조굴(200)의 위치를 석산(10)의 토지층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채석용 갱도 구조체는 실제 석채의 채굴이 이루어지는 정상부에서 지상까지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를 통해 석재를 굴려 자유 낙하시켜 이송할 수 있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채석용 갱도 구조체의 다른 실시예를 채석용 갱도 구조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를 참고하면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는 기울기가 다른 복수의 이송용 갱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이송용 갱도 중 출구가 위치된 이송용 갱도의 경사 각도가 가장 작게 형성되어 채취 석재의 이송 속도를 조절하여 배출 시 적절한 속도로 배출되어 지상으로 낙하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채석용 갱도 구조체는 기울기가 다른 복수의 이송용 갱도를 이용하여 갱도 내에서 굴러 이송되는 채취 석재를 더 효율적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한다.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는 석산(10)의 상부 측에 위치되고 상단부가 정상부로 개방되어 입구가 되는 제1이송용 갱도(110), 석산(10)의 하부 측에 위치되고 하단부가 석산(10)의 측방향으로 개방되어 채취 석재를 지상으로 낙하시키는 출구가 되는 제2이송용 갱도(120), 제1이송용 갱도(110)와 제2이송용 갱도(120)를 연결하는 제3이송용 갱도(1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이송용 갱도(110), 제2이송용 갱도(120), 제3이송용 갱도(130)는 각각 기울기가 다르게 형성되고, 각각 기울기가 다른 제1기울기(α), 제2기울기(β), 제3기울기(θ)를 가진다.
제3이송용 갱도(130)의 제3기울기(θ)는 제1이송용 갱도(110)와 제2이송용 갱도(120) 사이에 위치되는 중앙 갱도로써 제일 큰 경사각도로 형성되어 이송속도가 가장 빠른 구간이 된다.
제1이송용 갱도(110)의 제1기울기(α)는 제3이송용 갱도(130)의 제3기울기(θ)보다는 작고 제2이송용 갱도(120)의 제2기울기(β)보다 큰 경사 각도로 형성되어 초기 이송 속도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채취 석재의 이송 속도가 제3이송용 갱도(130)에서 안정적으로 증가할 수 있도록 한다.
제2이송용 갱도(120)는 석재가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출구가 위치되는 갱도로 제1기울기(α)보다 작은 제2기울기(β)로 형성되어 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채취 석재의 이송 속도를 줄여 배출 시 안전한 속도로 채취 석재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채취 석재가 과도한 속도로 배출되어 발생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하고, 채취 석재를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안정적으로 낙하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제3이송용 갱도(130)와 제2이송용 갱도(120)의 경계에는 채취 석재의 이송 속도를 줄이는 단턱부(121)가 통로 안쪽으로 돌출되게 위치되어 채취 석재의 이송 속도를 적절하게 줄일 수 있고, 제3이송용 갱도(130)와 제2이송용 갱도(120)의 경계 부분에서 채취 석재가 원활하게 통과되어 최종적으로 제2이송용 갱도(120)를 통해 안정적인 이송 속도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채석용 갱도 구조체는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를 기울기가 다른 복수의 이송용 갱도로 구성하여 채취 석재의 평균 이송 속도를 최대한 빠르게 하고, 안전한 이송 속도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채취 석재의 채취 및 이송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채석용 갱도 구조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3을 참고하면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는 기울기가 다르고 서로 연결된 복수의 이송용 갱도(100a, 100b, 100c)를 포함하여 석산의 채취 장소에서 채취 석재가 유입되는 입구와 지상과 근접한 석산의 하부 측에서 갱도를 통해 이송되는 채취 석재가 배출되는 출구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고, 갱도의 방향 전환을 통해 채취 석재의 이송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채석용 갱도 구조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채석용 갱도 구조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채석용 갱도 구조체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갱도 개폐부(5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채석용 갱도 구조체의 또 다른 실시예는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에서 분기되어 석산(10)의 외측 둘레에서 다른 방향의 출구를 형성하는 분기 갱도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분기 갱도부(400)는 지상을 기준으로 첫번째 갱도 시공용 보조굴(200)이 위치된 지점에서 분기되어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출구와 다른 방향의 출구를 형성한다.
분기 갱도부(400)는 지상을 기준으로 첫번째 갱도 시공용 보조굴(200)이 위치된 지점에서 분기되어 시공 비용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갱도 시공용 보조굴(200)으로 시공 편의성을 확보하여 시공될 수 있다.
분기 갱도부(400)는 일단부 측이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와 연결되고, 타단부 측이 석산(10)의 측면으로 관통되어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를 통해 굴러 이송되는 채취 석재의 이송 방향을 변경하여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출구와 다른 방향으로 위치되는 출구로 채취 석재가 배출되어 지상에 낙하될 수 있도록 한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채석용 갱도 구조체의 또 다른 실시예는 분기 갱도부(400)의 입구와 분기 갱도부(400)와 연결된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통로를 개폐하는 갱도 개폐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갱도 개폐부(500)는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통로를 개폐하여 채취 장소 즉, 석산(10)의 정상부에서 채취 석재를 채취하는 작업 중에도 지상에서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한다.
갱도 개폐부(500)는 분기 갱도부(400)의 입구를 막는 개폐 블럭부재(510), 개폐 블럭부재(510)를 전, 후 이동시켜 분기 갱도부(400)의 입구를 열고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통로를 막는 직선 이동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직선 이동부(520)는 개폐 블럭부재(510)와 연결된 피스톤 로드(521b)가 실린더 본체(521a) 내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유압 실린더(521)인 것을 일 예로 한다.
직선 이동부(520)는 유압 실린더(521)로 유압을 공급하여 유압 실린더(521)를 작동시키는 유압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유압 제어부를 통한 유압 실린더(521)의 작동은 공지된 구조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갱도 개폐부(500)는 분기 갱도부(400)의 입구 측에서 분기 갱도부(400)의 하부 측에 위치되고, 개폐 블럭부재(510)는 직선 이동부(520)와 연결되고 상면이 분기 갱도부(400)의 내측면과 연결되는 블럭 본체부(511), 블럭 본체부(511)의 단부 측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분기 갱도부(400)의 입구를 막는 개폐용 돌출부(512)를 포함한다.
그리고, 개폐용 돌출부(512)는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통로를 막을 때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를 통해 이송되는 채취 석재를 분기 갱도부(400)로 안내하는 이송 안내용 경사면을 구비한다.
개폐 블럭부재(510)는 개폐용 돌출부(512)의 후측으로 분기 갱도부(400)의 내측면과 연결되는 평면의 여유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개폐 블럭부재(510)는 일단부 측이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에 밀착되면서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통로를 막게 되고,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를 따라 굴러 이송되는 채취 석재는 이송 안내용 경사면을 따라 분기 갱도부(400)로 안내되어 분기 갱도부(400)를 통해 이송되어 분기 갱도부(400)의 출구로 배출된다.
분기 갱도부(400)의 입구는 상부 측에 개폐용 돌출부(512)의 이송 안내용 경사면이 밀착되도록 테이퍼진 통로 확장용 테이퍼부(410)가 위치된다.
통로 확장용 테이퍼부(410)는 개폐 블럭부재(510)가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내측면과 밀착되어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통로를 막을 때 경사면과의 사이에서 채취 석재가 이송될 수 있는 크기의 통로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개폐용 돌출부(512)는 상단부 측 일부분 즉, 이송 안내용 경사면의 상단부 측 일부분이 통로 확장용 테이퍼부(410)에 밀착되는 형태로 분기 갱도부(400)의 입구를 막는다.
개폐 블럭부재(510)는 실린더 본체(521a)와 밀착되게 위치된 상태에서 분기 갱도부(400)의 입구를 막고, 개폐용 돌출부(512)의 이송 안내용 경사면과 통로 확장용 테이퍼부(410)의 사이로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와 분기 갱도부(400)를 연결하는 연결 통로가 형성된다.
개폐 블럭부재(510)가 유압 실린더(521)에 의해 이동되어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통로가 닫히는 경우 채취 장소에서 석재 이송용 갱도의 입구로 투입된 채취 석재는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를 통해 이송 중에 연결 통로를 통해 분기 갱도부(400)로 이송되고, 분기 갱도부(400) 내에서 굴러 최종적으로 분기 갱도부(400)의 출구로 배출된다.
작업 관리자는 유압 실린더(521)의 작동 즉, 직선 이동부(520)의 작동을 제어하여 분기 갱도부(400)의 입구를 막아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출구로 채취 석재를 배출시키거나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통로를 막아 분기 갱도부(400)의 입구를 열어 분기 갱도부(400)의 출구로 채취 석재를 배출시킬 수 있다.
즉,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출구와 근접한 위치로 채취 석재를 운송하는 경우 해당 채취 석재를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출구로 배출시킬 수 있고, 분기 갱도부(400)의 출구와 근접한 위치로 채취 석재를 운송하는 경우 해당 채취 석재를 분기 갱도부(400)의 출구로 배출시킬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갱도 구조체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갱도 개폐부(500)의 유압 실린더(521)부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유압 실린더(521)는 실린더 본체(521a)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피스톤 로드(521b)와 연결되어 피스톤 로드(521b)와 일체로 이동하여 피스톤 로드(521b)를 보호하는 로드 보호부(530)를 구비할 수 있다.
로드 보호부(530)는 피스톤 로드(521b)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보호 커버부재(531), 보호 커버부재(531)와 피스톤 로드(521b)를 연결하는 커버 연결부재(532)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연결부재(532)는 피스톤 로드(521b)의 상부 측과 하부 측으로 돌출되어 보호 커버부재(531)를 지지함으로써 채취 석재의 하중을 분산 지지함으로써 채취 석재의 하중에 의해 보호 커버부재(531)와 피스톤 로드(521b)의 변형을 방지한다.
보호 커버부재(531)는 피스톤 로드(521b)가 인출되어 개폐 블럭부재(510)가 전진할 때 개폐 블럭부재(510)와 실린더 본체(521a)의 간격을 커버하여 인출된 피스톤 로드(521b)를 채취 석재로 부터 보호함은 물론 채취 석재가 분기 통로를 통해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채석용 갱도 구조체를 이용한 채석 방법을 도시한 공정도이고, 도 1, 도 2 및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채석용 갱도 구조체를 이용한 채석 방법의 일 실시예는 석산(10)의 정상부에서 석재의 채취가 가능한 석재의 채취 장소를 정리하는 채취 장소 기초화 단계(S100), 채취 장소 기초화 단계(S100) 후 석산(10)의 내부에서 기울어지게 위치되고 상단부 측이 채취 장소의 상면으로 개방되고 하단부 측이 석산(10)의 하부 측에서 측면으로 개방되어 채취 장소에서 채취된 석재가 내부에서 굴러 자유 낙하되는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를 시공하는 이송용 갱도 시공단계(S200), 채취 장소에서 중장비로 석재를 채취하는 석재 채취단계(S300), 석재 채취단계(S300)에서 채취된 석재를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입구로 투입시켜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를 통해 자유 낙하시켜 석재 이송 갱도부의 출구로 배출시키는 석재 이송단계(S400)를 포함한다.
또한, 이송용 갱도 시공단계(S200)는 석산(10)의 측면에서 석산(10)의 토양층(11)과 석재층(12)을 관통하여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가 형성되는 위치까지 갱도 시공용 보조굴(200)을 형성하는 보조굴 시공과정, 보조굴 시공과정 후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일부분 또는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전체를 시공하는 이송용 갱도 시공과정, 이송용 갱도 시공과정 후 갱도 시공용 보조굴(200)을 막는 굴 채움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송용 갱도 시공단계(S200)는 석산(10)의 측면을 뚫어 갱도 시공용 보조굴(200)을 시공한 후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일부 또는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전체를 시공하여 기울어져 석산(10)의 정상부에서 지상의 10 ~ 20m 높이 지점까지 뚫리는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전체를 시공한다.
보조굴 시공과정과 이송용 갱도시공과정은 화약을 이용한 발파 과정으로 시공할 수 있고, 튜브를 압입하여 지면을 뚫는 천공기를 이용하여 시공될 수도 있고, 드릴링 작업을 통해 시공될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공지의 굴 시공 과정을 통해 다양한 방법으로 시공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송용 갱도 시공단계(S200)는 보조굴 시공과정과 이송용 갱도시공과정을 교대로 수행하여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시공을 완료한다.
그리고,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시공이 완료된 후 굴 채움과정을 통해 갱도 시공용 보조굴(200)을 막아 갱도 시공용 보조굴(200)에 의해 채취된 채취 석재의 이송이 방해되지 않도록 한다.
굴 채움과정은 갱도 시공용 보조굴(200)의 일부만 채우고 갱도 시공용 보조굴(200)과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경계까지 굴 채움부(300)를 시공하여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통로가 좁아지지 않도록 한다.
굴 채움과정은 기설정된 크기 이상의 돌덩이를 쌓아 촘촘히 채워 굴 채움부(300)를 시공하여 갱도 시공용 보조굴(200)을 막을 수 있고, 콘크리트로 굴 채움부(300)를 시공하여 갱도 시공용 보조굴(200)을 막을 수도 있고, 모르타르, 골재와 시멘트 등을 혼합하여 굴 채움부(300)를 시공하여 갱도 시공용 보조굴(200)을 막을 수도 있고 이외에도 공지의 시공 구조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이송용 갱도 시공단계(S200)는 높이(h) 대비 가로(L)의 비율이 1 : 0. 5 ~ 1: 1.2 사이의 경사 각도를 가지도록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를 시공한다.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경사각도가 너무 큰 경우 즉, 높이(h) 대비 가로(L)의 비율이 1: 1.2 초과의 경사 각도를 가지는 경우 굴러 이송되는 채취 석재의 이송 속도가 너무 느려 흙일 경우 작은 입자가 자유 낙하하지 못해 채석물의 원활한 흐름을 가로 막을 수 있다.
일 예로 높이(h) 대비 가로(L)의 비율이 1: 2의 경사로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를 시공하는 경우 경사도가 낮아 채취 석재가 자유 낙하하기 어려워 갱도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경사각도가 큰 경우 즉, 높이(h) 대비 가로(L)의 비율이 1 : 0. 5 이상의 경사는 하단부(바닥을)를 안쪽으로 많이 절삭해야 하는 비능률적업을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또한, 이송용 갱도 시공단계(S200)는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출구가 지상에서 10 ~ 20m 높이를 여유 높이로 두고 위치되고, 토양층(11)의 표면에서 10 ~ 20m의 깊이를 여유 깊이로 두고 형성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즉, 이송용 갱도 시공단계(S200)는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출구에서 출구의 하단부가 지상을 기준으로 10 ~ 20m 높이를 여유 높이를 가지도록 위치되고, 출구의 상단부가 토양층(11)의 표면을 기준으로 10 ~ 20m 깊이를 여유 깊이를 가지도록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를 시공한다.
이송용 갱도 시공단계(S200)는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출구에서 상단부 측과 하단부 측에 각각 여유 높이(깊이)를 형성하여 채취 석재가 출구에서 배출된후 지상에 쌓일 수 있는 여유 높이를 확보함과 아울러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상단부 측에서 지상에 쌓인 채취석재를 덤프 트럭 등의 이송수단으로 다른 위치로 운송하는데 있어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송용 갱도 시공단계(S200)는 기울기가 다른 복수의 이송용 갱도가 연결된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를 시공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 이송용 갱도 시공단계(S200)는 석산(10)의 상부 측에 위치되고 상단부가 정상부로 개방되어 입구가 되며 제1기울기(α)의 경사각도를 가지는 제1이송용 갱도(110), 석산(10)의 하부 측에 위치되고 하단부가 석산(10)의 측방향으로 개방되어 채취 석재를 지상으로 낙하시키는 출구가 되며 제2기울기(β)의 경사각도를 가지는 제2이송용 갱도(120), 제1이송용 갱도(110)와 제2이송용 갱도(120)를 연결하며 제3기울기(θ)를 가지는 제3이송용 갱도(130)를 포함하도록 시공하고, 제3기울기(θ)는 제1기울기(α)와 제2기울기(β)보다 큰 기울기를 가지며, 제1기울기(α)는 제2기울기(β)보다 큰 기울기를 가지도록 시공한다.
이에 기울기가 가장 큰 제3이송용 갱도(130)를 통해 채취 석재의 이송 속도를 극대화한 후 기울기가 가장 낮은 제2이송용 갱도(120)로 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채취 석재의 이송 속도를 줄여 배출 시 안전한 속도로 채취 석재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채취 석재가 과도한 속도로 배출되어 발생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하고, 채취 석재를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안정적으로 낙하될 수 있게 하여 채취 석재의 이송 효율과 이송 안전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석산(10)에서 채석되는 석재를 석산(10)의 내부에 경사지게 위치되는 갱도를 통해 지상으로 자연 낙하시킴으로써 석산(10)에서 채취된 석재를 지상으로 이송시키는데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크게 절감하여 석재의 채취 효율을 향상시키고, 석재의 이송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석산(10)에서 채석되는 석재를 석산(10)의 내부에 경사지게 위치되는 갱도를 통해 지상으로 자연 낙하시킴으로써 석산(10)에서 채취된 석재를 지상으로 이송시키는데 발생되는 소음이나 진동, 분진 등의 공해 피해를 최소화하여 석산(10)의 주변에 거주하는 주민과의 마찰을 최소화하고, 주민의 피해를 최소화한다.
본 발명은 갱도를 분기시켜 석산(10)에서 채취되는 석재의 배출 위치를 선택할 수 있어 채취된 석재를 다른 지점으로 이송시키는 운송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낙석으로 인해 장비와 작업자가 다치는 상해 사고나 덤프트럭이나 굴삭기 등이 석산에서 석재를 이송 시에 굴러 떨어지는 사고 등을 예방하여 산업 안전성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10 : 석산 11 : 토양층
12 : 석재층
100 : 석재 이송용 갱도부 101 : 출구 가이드 벽부
110 : 제1이송용 갱도 120 : 제2이송용 갱도
121 : 단턱부 130 : 제3이송용 갱도
200 : 갱도 시공용 보조굴 300 : 굴 채움부
400 : 분기 갱도부 410 : 통로 확장용 테이퍼부
500 : 갱도 개폐부 510 : 개폐 블럭부재
511 : 블럭 본체부 512 : 개폐용 돌출부
520 : 직선 이동부 521 : 유압 실린더
521a : 실린더 본체 521b : 피스톤 로드
530 : 로드 보호부 531 : 보호 커버부재
532 : 커버 연결부재
S100 : 채취 장소 기초화 단계
S200 : 이송용 갱도 시공단계
S300 : 석재 채취단계
S400 : 석재 이송단계

Claims (15)

  1. 석재가 매장되어 있는 석산 내에 위치되는 갱도이며,
    상기 석산의 내부에 기울어지게 위치되어 상기 석산의 상부에 위치되는 채취 장소에서 채취된 석재가 내부에서 굴러 자유낙하되어 지상으로 낙하시키는 석재 이송용 갱도부;
    상기 석재 이송용 갱도부에서 분기되어 석산의 외측 둘레에서 다른 방향의 출구를 형성하는 분기 갱도부; 및
    상기 분기 갱도부의 입구와 상기 분기 갱도부와 연결된 상기 석재 이송용 갱도부의 통로를 개폐하는 갱도 개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갱도 개폐부는,
    상기 분기 갱도부의 입구를 막는 개폐 블럭부재; 및
    상기 개폐 블럭부재를 전, 후 이동시켜 상기 분기 갱도부의 입구를 열고 상기 석재 이송용 갱도부의 통로를 막는 직선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석용 갱도 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석재 이송용 갱도부의 출구는 지상에서 10 ~ 20m 높이를 여유 높이로 두고 위치되고, 상기 석산의 토양층의 표면에서 10 ~ 20m의 깊이를 여유 깊이로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석용 갱도 구조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석재 이송용 갱도부의 경사 각도는 높이 대비 가로의 비율이 1 : 0. 5 ~ 1: 1.2 사이의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석용 갱도 구조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석산의 측면에서 토양층과 석재층을 관통하여 상기 석재 이송용 갱도부가 형성되는 위치까지 뚫려 형성되는 갱도 시공용 보조굴; 및
    상기 석재 이송용 갱도부의 시공 후 상기 갱도 시공용 보조굴을 막는 굴 채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석용 갱도 구조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석재 이송용 갱도부는 기울기가 다른 복수의 이송용 갱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석용 갱도 구조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석재 이송용 갱도부는 석산의 상부 측에 위치되고 상단부가 정상부로 개방되어 입구가 되는 제1이송용 갱도, 석산의 하부 측에 위치되고 하단부가 석산의 측방향으로 개방되어 채취 석재를 지상으로 낙하시키는 출구가 되는 제2이송용 갱도, 제1이송용 갱도와 제2이송용 갱도를 연결하는 제3이송용 갱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이송용 갱도, 상기 제2이송용 갱도, 상기 제3이송용 갱도는 각각 기울기가 다른 제1기울기, 제2기울기, 제3기울기를 가지며,
    상기 제3이송용 갱도의 제3기울기는 상기 제1이송용 갱도의 제1기울기와 상기 제2이송용 갱도의 제2기울기보다 큰 기울기를 가지며, 상기 제1기울기는 상기 제2기울기보다 큰 기울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석용 갱도 구조체.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3이송용 갱도와 상기 제2이송용 갱도의 경계에는 채취 석재의 이송 속도를 줄이는 단턱부가 통로 안쪽으로 돌출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석용 갱도 구조체.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갱도 개폐부는 상기 분기 갱도부의 입구 측에서 상기 분기 갱도부의 하부 측에 위치되고,
    상기 개폐 블럭부재는 상기 직선 이동부와 연결되고 상면이 상기 분기 갱도부의 내측면과 연결되는 블럭 본체부; 및
    상기 블럭 본체부의 단부 측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분기 갱도부의 입구를 막는 개폐용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용 돌출부는 상기 석재 이송용 갱도부의 통로를 막을 때 상기 석재 이송용 갱도부를 통해 이송되는 채취 석재를 상기 분기 갱도부로 안내하는 이송 안내용 경사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석용 갱도 구조체.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분기 갱도부의 입구는 상부 측에 개폐용 돌출부의 이송 안내용 경사면이 밀착되도록 테이퍼진 통로 확장용 테이퍼부가 위치되며,
    상기 개폐용 돌출부는 상기 이송 안내용 경사면의 상단부 측 일부분이 상기 통로 확장용 테이퍼부에 밀착되는 형태로 상기 분기 갱도부의 입구를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석용 갱도 구조체.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직선 이동부는 상기 개폐 블럭부재와 연결된 피스톤 로드가 실린더 본체 내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유압 실린더이며,
    상기 유압 실린더는 상기 실린더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피스톤 로드와 연결되어 상기 피스톤 로드와 일체로 이동하여 상기 피스톤 로드를 보호하는 로드 보호부를 구비하고,
    상기 로드 보호부는,
    상기 피스톤 로드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보호 커버부재; 및
    상기 보호 커버부재와 피스톤 로드를 연결하는 커버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석용 갱도 구조체.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200076173A 2020-06-23 2020-06-23 채석용 갱도 구조체 KR102414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173A KR102414911B1 (ko) 2020-06-23 2020-06-23 채석용 갱도 구조체
EP20941554.6A EP4170126A1 (en) 2020-06-23 2020-07-17 Tunnel structure for quarrying and quarrying method using same
PCT/KR2020/009417 WO2021261649A1 (ko) 2020-06-23 2020-07-17 채석용 갱도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채석 방법
KR1020210162940A KR102414912B1 (ko) 2020-06-23 2021-11-24 채석용 갱도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채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173A KR102414911B1 (ko) 2020-06-23 2020-06-23 채석용 갱도 구조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2940A Division KR102414912B1 (ko) 2020-06-23 2021-11-24 채석용 갱도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채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7984A KR20210157984A (ko) 2021-12-30
KR102414911B1 true KR102414911B1 (ko) 2022-06-29

Family

ID=7917882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6173A KR102414911B1 (ko) 2020-06-23 2020-06-23 채석용 갱도 구조체
KR1020210162940A KR102414912B1 (ko) 2020-06-23 2021-11-24 채석용 갱도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채석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2940A KR102414912B1 (ko) 2020-06-23 2021-11-24 채석용 갱도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채석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4170126A1 (ko)
KR (2) KR102414911B1 (ko)
WO (1) WO2021261649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25215A (ja) * 2012-07-25 2014-02-06 Nishimatsu Constr Co Ltd 発破による騒音を低減する消音装置、消音システムおよ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330519C (sv) * 1969-10-31 1977-01-13 S T Henriksson Sett vid gruvbrytning enligt dagbrottmetoden
US3904244A (en) * 1972-01-20 1975-09-09 John C Haspert Method and apparatus for mechanized seam mining
CA1074083A (en) * 1975-02-20 1980-03-25 Ernest R. Ellithorpe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elting block sulphur
JPH08158777A (ja) * 1994-12-03 1996-06-18 Fumi Ishida 原石採取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00020172A (ko) 1998-09-18 2000-04-15 변상지 장벽식 다계단 채석공법
KR100448277B1 (ko) * 2002-04-04 2004-09-10 장준영 차폐잔벽이 형성된 하향 계단식 채석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25215A (ja) * 2012-07-25 2014-02-06 Nishimatsu Constr Co Ltd 発破による騒音を低減する消音装置、消音システムおよ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61649A1 (ko) 2021-12-30
KR20210158363A (ko) 2021-12-30
EP4170126A1 (en) 2023-04-26
KR20210157984A (ko) 2021-12-30
KR102414912B1 (ko) 2022-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47356B (zh) 一种薄小矿体的开采方法
EP2449213B1 (en) Underground mining
BG67116B1 (bg) Метод за подземен добив на полезни изкопаеми
CN112177614B (zh) 一种露天矿山高台阶多分层开采方法
CN111894584A (zh) 一种缓倾斜薄矿体全伪布置预留巷道胶结充填采矿法
CN107975373A (zh) 一种液气相变诱导下机械化连续采掘硬岩矿方法
CN104806243A (zh) 一种露天转地下开采的楔形转接过渡方法
CN113530558B (zh) 一种高大硐室的双溜井-斜巷组合式分层施工方法
US20110175429A1 (en) Mining system
KR102414911B1 (ko) 채석용 갱도 구조체
CN111749697B (zh) 一种采场采准工程衔接方法
CN112050697A (zh) 特大型危岩治理施工方法
CN109505604B (zh) 应用于上向分层充填采矿法采场的斜坡道布置方法
Sokolov et al. Rational design of ore discharge bottom in transition from open pit to underground mining in udachny mine
CN202560233U (zh) 一种砂石骨料半成品料垂直运输结构
RU2367793C1 (ru) Способ добычи полезных ископаемых
CN109025996B (zh) 一种地下矿山逐层挤压、光面爆破采矿方法
CN110107299B (zh) 露天煤矿采剥台阶与运输道路布置系统及方法及开采方法
Egerton Presidential address: The mechanisation of UG2 mining in the Bushveld Complex
CN112145178A (zh) 一种底部落矿出矿的采矿方法
CN111852473B (zh) 薄矿脉的采矿方法
CN212202124U (zh) 溜井破碎运输系统
RU2691032C1 (ru) Способ отработки кимберлитовой трубки
CN108843389B (zh) 一种采场溜井垮冒处理的方法
RU2278261C1 (ru) Способ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й открыто-подземной разработки крутопадающих месторождени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