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3903B1 - 정비 정보 및 충전 설비 정보를 제공하는 전기차 충전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정비 정보 및 충전 설비 정보를 제공하는 전기차 충전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3903B1
KR102413903B1 KR1020210120851A KR20210120851A KR102413903B1 KR 102413903 B1 KR102413903 B1 KR 102413903B1 KR 1020210120851 A KR1020210120851 A KR 1020210120851A KR 20210120851 A KR20210120851 A KR 20210120851A KR 102413903 B1 KR102413903 B1 KR 102413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tenance
information
vehicle
time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0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호
Original Assignee
김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호 filed Critical 김선호
Priority to KR1020210120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39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3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3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4Choice of carriers
    • G06Q10/08345Pri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정비 정보 및 충전 설비 정보를 제공하는 전기차 충전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차 충전 관리 시스템은 전기차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 설비에 대한 사용 가능 여부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 및 제공 가능한 정비 리스트를 전송하는 정비 단말, 상기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충전 설비 DB를 업데이트하는 관리 서버 및 상기 충전 설비 DB로부터 수신한 상기 상태 정보 및 상기 정비 리스트를 기초로 상기 관리 서버에 예약 요청을 전송하는 고객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예약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정비 단말에 상기 고객 단말에 대응하는 고객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비 정보 및 충전 설비 정보를 제공하는 전기차 충전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ELECTRIC CAR MANAGEMENT SYSTEM PROVIDING REPARING SERVICE INFORMATION AND CHARGING EQUIPMENT INFORMATION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전기차 충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상세하게는, 정비와 전기차 충전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토탈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기차 충전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국내 자동차의 등록 대수는 천만대가 훌쩍 넘지만, 자동차를 제대로 정비할 수 있는 고급 정비 기술자는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때문에 대부분의 고장 차량을 정비 기술이 낮은 정비사가 정비하고 있다. 그 원인으로 정비사들의 정비 기술 폐쇄성을 들 수 있다.
자동차 기술은 하루가 다르게 발전해가고 있는 시점에서 정비기술 업그레이드는 매우 느리게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기술이 낙후된 정비사의 정비활동은 부실정비로 이어지고 그로 인하여 2차 고장을 유발하며, 불필요한 부품 교환, 부정확한 정비견적서 발급과 같은 정비 기술의 폐쇄성은 자동차 운전자의 경제적 부담으로 전가된다.
또한, 전기차 관련 기술의 개발로 전기차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나, 전기차에 대한 충전 장치의 보급 속도는 전기차 수요의 증가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고, 이에 따라서 전기차 소유주가 전기차를 충전하는 충전소가 부족한 실정이다. 더군다나, 오래 걸리는 충전 시간에 따라서 전기차 사용에 제약이 따를 수 밖에 없다.
한국특허공개문헌 제10-2002-0052009호 (2002.07.02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정비소의 전기차 충전 설비에 대한 상태 정보 및 정비소에서 제공 가능한 정비 목록을 함께 제공하는 전기차 충전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전기차 충전 관리 시스템은 전기차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 설비에 대한 사용 가능 여부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 및 제공 가능한 정비 리스트를 전송하는 정비 단말, 상기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충전 설비 DB를 업데이트하는 관리 서버 및 상기 충전 설비 DB로부터 수신한 상기 상태 정보 및 상기 정비 리스트를 기초로 상기 관리 서버에 예약 요청을 전송하는 고객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예약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정비 단말에 상기 고객 단말에 대응하는 고객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정비 리스트는 전기차에 적용 가능한 정비 목록을 포함하고, 전기차가 아닌 엔진차에만 적용 가능한 정비 목록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정비 리스트는 타이어 공기압 진단, 전자 시스템 관리, 냉각 부동액 관리, 브레이크 액 관리, LED 점등 상태 관리, 브레이크 패드 관리, 브레이크 디스크 관리, 휠 얼라인먼트 관리, 에어컨 필터 상태 관리, 에어컨 및 히터 관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태 정보는, 이용 가능한 충전 설비의 개수 및 예상 대기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객 단말은 상기 전기차의 차종 및 배터리 잔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와, 상기 정비 리스트를 기초로 요구 정비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차량 정보 및 상기 요구 정비 정보를 기초로 예상 소요 시간을 획득하고, 상기 예상 소요 시간을 상기 고객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관리 서버는 차종 별 완충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완충 시간 DB로부터 상기 차량 정보를 기초로 차종 완충 시간을 획득하고, 정비 별 완료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비 시간 DB로부터 상기 요구 정비 정보를 기초로 정비 완료 시간을 획득하고, 상기 정비 단말로부터 정비 시작까지 걸리는 정비 대기 시간을 수신하고, 상기 정비 대기 시간에 상기 차종 완충 시간 및 상기 정비 완료 시간 중 더 긴 시간을 더한 값을 상기 예상 소요 시간으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고객 단말로부터 차량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전기차 충전 관리 시스템은 상기 차량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차량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을 상기 정비 단말이 지정한 정비소에 운반하기 위한 탁송 정보를 생성하는 탁송 단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차량 위치 정보 및 상기 정비소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탁송 비용을 책정하고, 책정한 상기 탁송 비용에 대한 정보를 상기 고객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고객 단말로부터 차량 정보 및 요구 정비 정보를 수신하고, 정비 별 견적 정보를 포함하는 견적 DB에 기초하여 상기 요구 정비 정보에 대응하는 정비 비용을 획득하고, 상기 차량 정보를 기초로 결정된 충전 비용, 상기 정비 비용 및 상기 탁송 비용을 더한 견적 비용을 상기 고객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객 단말은 상기 전기차의 차종 및 배터리 잔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와, 상기 정비 리스트를 기초로 요구 정비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차량 정보 및 상기 요구 정비 정보를 기초로 예상 시간을 획득하고, 상기 예상 시간 및 상기 견적 비용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복수의 정비소 중 상기 고객 단말에 적합한 추천 정비소를 결정하고, 상기 추천 정비소에 대한 정보를 상기 고객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관리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전기차 충전 관리 시스템의 운용 방법은 전기차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 설비에 대한 사용 가능 여부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 및 제공 가능한 정비 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충전 설비 DB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상태 정보 및 상기 정비 리스트에 기초하여 정비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정비 요청을 기초로 결정된 정비 단말에 고객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기차 충전 관리 시스템의 운용 방법은 상기 전기차의 차종 및 배터리 잔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 및 상기 정비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요구 정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차량 정보 및 상기 요구 정비 정보를 기초로 예상 소요 시간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예상 소요 시간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기차 충전 관리 시스템의 운용 방법은 상기 전기차에 대한 차량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차량 위치 정보 및 정비소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탁송 비용을 책정하는 단계, 정비 별 견적 정보를 포함하는 견적 DB에 기초하여 상기 요구 정비 정보에 대응하는 정비 비용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정보를 기초로 결정된 충전 비용, 상기 정비 비용 및 상기 탁송 비용을 더한 견적 비용을 상기 고객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기차 충전 관리 시스템의 운용 방법은 상기 예상 소요 시간 및 상기 견적 비용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복수의 정비소 중 추천 정비소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천 정비소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정비소의 전기차 충전 설비에 대한 상태 정보 및 정비소에서 제공 가능한 정비 목록을 함께 전기차의 소유주에게 제공함으로써 소유주가 근처의 정비소를 활용하여 전기차를 충전할 수 있고, 자신의 전기차를 충전하면서 정비 서비스도 받을 수 있게 됨에 따라, 효율적으로 전기차를 충전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관리 시스템의 운용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관리 시스템의 운용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관리 시스템의 운용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관리 시스템의 운용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개시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 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될 수 있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 또는 당해 기술 분야에 속한 통상의 기술자가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기차 충전 관리 시스템(10)은 관리 서버(110), 고객 단말(120), 정비 단말(130) 및 탁송 단말(140)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서버(110)는 전기차 충전 관리 시스템을 관리하는 서버(Server) 및 상기 서버를 운용하는 운용 컴퓨터 등을 통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관리 서버(110)는 웹사이트,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등의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기차 충전 관리 시스템을 운용 할 수 있고, 본 명세서에서 관리 서버(110)가 하는 동작은 실제로 관리 서버(110)의 저장 장치에 내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관리 서버(110)가 수행하는 동작일 수 있다. 관리 서버(110)는 고객 단말(120), 정비 단말(130)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고, 관리 서버(110)는 고객 단말(120), 정비 단말(130)의 통신 허브로서 동작할 수 있다.
고객 단말(120), 정비 단말(130)은 핸드폰(Cell Phone), 스마트 폰,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PC), 노트북(Laptop), 태블릿 PC 및 스마트 기기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고객 단말(120), 정비 단말(130)은 단말(Terminal)을 통해 구현되는 예시를 개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일 뿐이고, 각 구성은 서버(Server) 등과 같은 통신 허브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고객 단말(120)은 전기차에 대한 충전을 원하는 고객에 의해 운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객 단말(120)은 전기차 충전을 위해 필요한 정보들(예를 들면, 차주 정보, 차종, 차량 연식 등)을 관리 서버(110)에 전송함으로써 관리 서버(110)에 등록(또는 회원 가입)할 수 있고, 로그인 정보(예를 들면, 아이디, 패스워드)를 관리 서버(110)에 전송함으로써 관리 서버(110)에 로그인할 수 있다.
정비 단말(130)은 차량 정비를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정비소에 의해 운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비 단말(130)은 차량 정비를 위해 취득해야 하는 각종 자격증(예를 들면, 자동차 관리 사업등록증, 사업자 등록증, 정비 책임자 신고필증 등)을 관리 서버(110)에 전송하고, 관리 서버(110)에 의해 전문 차량 정비소로 인증 받은 정비 단말(130) 만이 관리 서버(110)에 등록될 수 있다.
정비 단말(130)은 상태 정보(Info_St) 및 정비 리스트(List_Rp)를 관리 서버(110)에 전송할 수 있고, 관리 서버(110)는 상태 정보(Info_St)를 이용하여 충전 설비 DB(DB_CF)를 업데이트하고, 정비 리스트(List_Rp)를 이용하여 정비 목록 DB(DB_RL)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관리 서버(110)는 내부 저장소(예를 들면,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를 포함하고, 내부 저장소를 이용하여 충전 설비 DB(DB_CF) 및 정비 목록 DB(DB_RL)를 관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태 정보(Info_St)는 전기차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 설비에 대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말할 수 있고, 일 예시에서, 사용 가능한 충전 설비, 충전 대기 정보, 충전을 위해 예약 가능한 시간, 예상 대기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정비 리스트(List_Rp)는 전기차에 적용 가능한 정비 목록을 포함할 수 있고, 전기차가 아닌 엔진차에만 적용 가능한 정비 목록은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정비 리스트(List_Rp)는 타이어 공기압 진단, 전자 시스템 관리, 냉각 부동액 관리, 브레이크 액 관리, LED 점등 상태 관리, 브레이크 패드 관리, 브레이크 디스크 관리, 휠 얼라인먼트 관리, 에어컨 필터 상태 관리, 에어컨 및 히터 관리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비 리스트(List_Rp)는 정비 목록 및 정비에 소요되는 정비 요금, 정비 시간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객 단말(120)는 관리 서버(110)로부터 정비 단말(130)에 대한 상태 정보(Info_St) 및 정비 리스트(List_Rp)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하나의 정비 단말(130)이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예들에 따르면 고객 단말(120)은 복수의 정비 단말들 각각에 대응하는 상태 정보(Info_St) 및 정비 리스트(List_Rp)를 모두 수신할 수 있다.
고객 단말(120)은 복수의 정비 단말들에 대응하는 상태 정보(Info_St) 및 정비 리스트(List_Rp)를 기초로 예약 요청(Req_Sh)을 관리 서버(11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객 단말(120)은 복수의 정비 단말들에 대응하는 상태 정보(Info_St) 및 정비 리스트(List_Rp)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최적의 정비소를 선정할 수 있고, 최적의 정비소에 대응하는 정보를 예약 요청(Req_Sh)에 포함시켜 관리 서버(110)에 전송할 수 있다.
관리 서버(110)는 예약 요청(Req_Sh)에 기초하여 정비 단말(130)에 고객 정보(Info_Ct)를 전송할 수 있다. 관리 서버(110)는 예약 요청(Req_Sh)에 대응하는 정비소를 확인하고, 확인된 정비소에 대응하는 정비 단말(130)에 고객 정보(Info_Ct)를 전송함으로써 고객이 원하는 시간에 충전 및 정비 서비스를 향유할 수 있도록 시간을 어레인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관리 시스템(10)은 정비 단말(130)이 제공하는 전기차 충전 설비와 관련된 상태 정보(Info_St) 및 정비 리스트(List_Rp)를 고객 단말(120)에 제공하고, 고객 단말(120)이 이를 이용하여 정비소를 예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기차를 운용하는 고객이 전기차 충전이 가능한 정비소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고, 시간 및 비용적으로 적합한 정비소에서 충전과 동시에 정비를 받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전기차를 운용하는 고객은 충전 및 정비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관리 서버(110)는 고객 단말(120)과 고객 단말(120)이 지정한 정비 단말(130)이 직접 통신할 수 있는 통신 채널을 생성할 수 있고, 고객 단말(120)과 정비 단말(130)은 통신 채널을 통해 정비 요청, 정비 승인, 정비 제안, 결제 등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관리 시스템의 운용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상세하게는, 도 2는 도 1의 관리 서버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다. 도 1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관리 서버(110)는 상태 정보(Info_St) 및 정비 리스트(list_Rp)를 수신할 수 있다(S110). 관리 서버(110)는 수신한 상태 정보(Info_St)를 이용하여 충전 설비 DB(DB_CF)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S120). 일 예시에서, 관리 서버(110)는 정비소 별 이용 가능한 충전 설비의 개수를 상태 정보(Info_St)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관리 서버(110)는 상태 정보(Info_St) 및 정비 리스트(List_Rp)에 기초한 예약 요청(Req_Sh)을 수신할 수 있다(S130). 일 예시에서, 예약 요청(Req_Sh)은 고객 정보, 예약이 필요한 정비소 또는 정비 단말(130)의 정보, 예약이 필요한 시간, 요구 정비 정보, 각종 부가 서비스(예를 들면, 탁송 등) 활용 여부, 차량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서버(110)는 예약 요청(Req_Sh)을 기초로 정비 단말(130)에 고객 정보(Info_Ct)을 전송할 수 있다(S140).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관리 서버(110)는 정비 단말(130)에 예약 요청(Req_Sh)에 포함된 각종 정보(예를 들면, 요구 정비 정보, 예약 시간 등)를 더 전송할 수 있다. 정비 단말(130)은 고객 정보(Info_Ct) 등에 기초하여 고객 단말(120)이 지정한 전기차에 대해 충전 및 정비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전기차 충전 관리 시스템(10)은 관리 서버(110), 고객 단말(120) 및 정비 단말(130)을 포함할 수 있다. 고객 단말(120)은 차량 정보(Info_Cr) 및 요구 정비 정보(Info_RS)를 관리 서버(110)에 전송할 수 있다. 차량 정보(Info_Cr)는 고객 단말(120)에 대응하는 전기차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일 예시에서, 전기차의 차종, 배터리 잔량, 배터리 총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요구 정비 정보(Info_RS)는 고객이 원하는 정비의 종류에 대한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서버(110)는 정비 단말(130)로부터 정비 대기 시간(Info_WT)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정비 대기 시간(Info_WT)은 정비 단말(130)의 충전 설비 또는 정비 설비를 다른 차량에 활용함에 따라서 고객 단말(120)의 차량 정비를 시작하기까지 대기하여야 하는 시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관리 서버(110)는 차량 정보(Info_Cr), 요구 정비 정보(Info_RS) 및 정비 대기 시간(Info_WT)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예상 소요 시간(Info_WT)을 획득하고, 획득한 예상 소요 시간(Info_WT)을 고객 단말(120)에 전송할 수 있다.
관리 서버(110)는 차종 별 완충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완충 시간 DB(DB_FC)로부터 차량 정보(Info_Cr)를 기초로 차종 완충 시간을 획득하고, 정비 별 완료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비 시간 DB(DB_RT)로부터 요구 정비 정보(Info_RS)를 기초로 정비 완료 시간을 획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완충 시간 DB(DB_FC)는 전기차 차종 별로 배터리의 완충 때까지 걸리는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정비 시간 DB(DB_RT)는 전기차에 대한 정비를 수행하는 경우 소요되는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관리 서버(110)는 차종 완충 시간과 정비 완료 시간 중 더 긴 시간을 예상 소요 시간(Info_WT)으로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에서, 관리 서버(110)는 차종 완충 시간과 정비 완료 시간 중 더 긴 시간에 예상 대기 시간(Info_WT)을 더한 시간을 예상 소요 시간(Info_WT)으로서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 서버(110)는 고객 단말(120)이 원하는 차종별 충전 시간 또는 정비별 소요 시간을 기초로 충전 및 정비를 수행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예측하고, 이를 고객 단말(120)에 전송함으로써 서비스를 받는 고객이 소요 시간을 예측하고, 계획적으로 시간을 분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관리 시스템의 운용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상세하게는, 도 4는 도 3의 관리 서버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다. 도 3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관리 서버(110)는 차량 정보(Info_Cr) 및 요구 정비 정보(Info_RS)를 수신할 수 있고(S210), 완충 시간 DB(DB_FC)로부터 차량 정보(Info_Cr)를 기초로 차종 완충 시간을 획득할 수 있다(S220). 일 예시에서, 관리 서버(110)는 차량 정보(Info_Cr)에 포함된 차종을 기초로 완충 시간 DB(DB_FC)로부터 해당 차종에 대응하는 차종 완충 시간을 획득할 수 있다.
관리 서버(110)는 정비 시간 DB(DB_RT)로부터 요구 정비 정보(Info_RS)를 기초로 정비 완료 시간을 획득할 수 있다(S230). 관리 서버(110)는 정비 단말(130)로부터 정비 시작까지 소요되는 정비 대기 시간(Info_WT)을 수신할 수 있고(S240), 관리 서버(110)는 정비 대기 시간에 차종 완충 시간 및 정비 완료 시간 중 더 긴 시간을 더한 값을 예상 소요 시간으로서 결정할 수 있다(S250).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전기차 충전 관리 시스템(10)은 관리 서버(110), 고객 단말(120), 정비 단말(130) 및 탁송 단말(140)을 포함할 수 있다. 탁송 단말(140)은 차량의 픽업과 딜리버리를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탁송 업체에 의해 운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탁송 단말(140)은 탁송을 위해 취득해야 하는 각종 자격증(예를 들면, 운전 면허증, 탁송보험 가입 증명서)을 관리 서버(110)에 전송하고, 관리 서버(110)에 의해 인증 받은 탁송 단말(140) 만이 관리 서버(110)에 등록될 수 있다.
고객 단말(120)은 차량 위치 정보(Info_CL)를 관리 서버(110)에 전송할 수 있다. 차량 위치 정보(Info_CL)는 고객 단말(120)이 지정한 차량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일 실시예에서, 고객 단말(120)은 위치 센서(예를 들면, GPS)를 이용하여 차량 위치 정보(Info_CL)를 생성할 수 있다.
관리 서버(110)는 정비소 위치 DB(DB_SL) 및 견적 DB(DB_ES)를 저장할 수 있다. 정비소 위치 DB(DB_SL)는 복수의 정비소들 별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견적 DB(DB_ES)는 복수의 정비소들 별로 정비에 대한 요금 견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서버(110)는 수신한 차량 위치 정보(Info_CL) 및 정비소 위치 DB(DB_SL)로부터 획득한 정비소 위치를 기초로 정비소 별 탁송 비용을 계산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관리 서버(110)는 차량의 위치와 정비소의 위치를 기초로 차량과 정비소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고, 거리에 정해진 단위 길이당 탁송 비용을 곱함으로써 탁송 비용을 계산할 수 있다.
관리 서버(110)는 고객 단말(120)로부터 수신한 요구 정비 정보(도 3, Info_RS)를 기초로 견적 DB(DB_ES)를 활용하여 정비 비용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견적 DB(DB_ES)는 정비 별, 정비소 별 정비 비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관리 서버(110)는 이를 이용하여 요구 정비 정보에 대한 정비소 별 정비 비용을 획득할 수 있다.
관리 서버(110)는 고객 단말(120)로부터 수신한 차량 정보(Info_Cr)를 기초로 충전 비용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관리 서버(110)는 차량 정보(Info_Cr)를 기초로 완충에 필요한 배터리 용량을 계산하고, 계산된 배터리 용량에 단위 충전 비용을 곱함으로써 충전 비용을 결정할 수 있다.
관리 서버(110)는 충전 비용, 정비 비용, 탁송 비용을 기초로 계산된 견적 비용 정보(Info_ES)을 고객 단말(12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관리 서버(110)는 충전 비용, 정비 비용, 탁송 비용를 더함으로써 견적 비용을 결정할 수 있다.
고객 단말(120)은 견적 비용 정보(Info_ES)에 기초하여 예약 요청(Req_Sh)을 관리 서버(110)에 전송할 수 있고, 관리 서버(110)는 탁송 단말(140)에 탁송 요청(Req_PD)을 전송하고, 정비 단말(130)에 고객 정보(Info_Ct)를 전송할 수 잇다.
일 실시예에서, 탁송 요청(Req_PD)에는 차량 위치 정보(Info_CL) 및 지정된 정비소의 위치 정보가 포함될 수 있고, 탁송 단말(140)은 탁송 요청(Req_PD)에 기초하여 고객 단말(120)이 지정한 차량을 정비소에 탁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 서버(110)는 차량 정보(Info_Cr)를 이용하여 충전 비용을 계산하고, 요구 정비 정보(Info_RS)를 이용하여 정비 비용을 계산하고, 차량 위치 정보(Info_CL) 및 정비소 위치 DB(DB_SL)를 이용하여 탁송 비용을 계산하고, 이를 이용하여 획득한 견적 비용 정보(Info_ES)를 고객 단말(120)에게 제공할 수 있고, 고객 단말(120)이 이를 이용하여 충전 및 정비를 수행할 정비소를 결정함으로써 고객이 모든 비용을 손쉽게 예측할 수 있고, 정비소에 대한 선택시 충전, 탁송, 정비 등에 소요되는 모든 비용을 고려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관리 시스템의 운용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상세하게는, 도 6은 도 5의 관리 서버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다. 도 5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관리 서버(110)는 전기차에 대한 차량 위치 정보(Info_CL)를 수신하고(S310), 차량 위치 정보(Info_CL) 및 정비소 위치 정보를 기초로 탁송 비용을 책정할 수 있다(S320). 관리 서버(110)는 견적 DB(DB_ES)에 기초하여 요구 정비 정보에 대응하는 정비 비용을 획득할 수 있다(S330). 일 예시에서, 관리 서버(110)는 견적 DB(DB_ES)를 기초로, 요구 정비 정보에 포함된 정비를 수행하기 위한 제품의 비용 및 공임비를 더함으로써 정비 비용을 계산할 수 있다.
관리 서버(110)는 차량 정보(Info_Cr)를 기초로 충전 비용을 결정할 수 있다(S340). 일 예시에서, 차량 정보(Info_Cr)는 차량 종류와 잔여 배터리 용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관리 서버(110)는 차량 종류 별 최대 배터리 용량에서 잔여 배터리 용량을 뺀 필요 용량에 단위 충전 비용을 곱함으로써 충전 비용을 계산할 수 있다.
관리 서버(110)는 탁송 비용, 정비 비용, 충전 비용을 더함으로써 결정한 견적 비용(Info_ES)를 고객 단말(12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도시 지도(CM) 상에 제1 정비소(RS1) 및 제2 정비소(RS2)가 포함될 수 있고, 현재 위치(PL)가 차량 위치 정보(Info_CL)로서 표시될 수 있다. 관리 서버(110)는 제1 정비소(RS1)에 대응하는 정비 단말로부터 상태 정보(Info_St)로서 '사용 가능 충전기 3대'를 수신하고, 정비 리스트(List_Rp)로서 '타이어 공기압(1만원)', '전자 시스템 관리(2만원)', '냉각 부동액 관리(3만원)'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110)는 제2 정비소(RS2)에 대응하는 정비 단말로부터 상태 정보(Info_St)로서 '사용 가능 충전기 5대'를 수신하고, 정비 리스트(List_Rp)로서 'LED 점등 관리(1만원)', '전자 시스템 관리(3만원)', '에어컨 관리(2만원)'을 수신할 수 있다.
관리 서버(110)는 고객 단말(120)로부터 차량 정보(Info_Cr) 및 요구 정비 정보(Info_RS)를 수신할 수 있고, 차량 정보(Info_Cr)를 이용하여 미리 획득된 완충 시간 DB로부터 차종 완충 시간을 계산하고, 요구 정비 정보(Info_RS)를 이용하여 미리 획득된 정비 시간 DB로부터 정비 완료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110)는 제1 정비소(RS1)로부터 제1 정비 대기 시간을 수신하고, 제2 정비소(RS2)로부터 제2 정비 대기 시간을 수신할 수 있다.
관리 서버(110)는 정비 완료 시간 및 차종 완충 시간 중 더 긴 시간과 제1 정비 대기 시간을 더함으로써 계산한 제1 시간(t1)을 제1 정비소(RS1)에 대한 예상 소요 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고, 정비 완료 시간 및 차종 완충 시간 중 더 긴 시간과 제2 정비 대기 시간을 더함으로써 계산한 제2 시간(t2)을 제2 정비소(RS2)에 대한 예상 소요 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관리 서버(110)는 현재 위치(PL)로부터 제1 정비소(RS1)까지의 제1 탁송 시간과 현재 위치(PL)로부터 제2 정비소(RS2)까지의 제2 탁송 시간을 더 계산할 수 있다. 관리 서버(110)는 정비 완료 시간 및 차종 완충 시간 중 더 긴 시간과 제1 정비 대기 시간 및 제1 탁송 시간을 더함으로써 계산한 제1 시간(t1)을 제1 정비소(RS1)에 대한 예상 소요 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고, 정비 완료 시간 및 차종 완충 시간 중 더 긴 시간과 제2 정비 대기 시간 및 제2 탁송 시간을 더함으로써 계산한 제2 시간(t2)을 제2 정비소(RS2)에 대한 예상 소요 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관리 서버(110)는 고객 단말(120)로부터 수신한 요구 정비 정보를 기초로 견적 DB로부터 제1 정비소(RS1)에 대응하는 제1 정비 비용 및 제2 정비소(RS2)에 대응하는 제2 정비 비용을 획득할 수 있다. 관리 서버(110)는 정비소 위치 DB로부터 제1 정비소(RS1)의 위치(Addr1) 및 제2 정비소(RS2)의 위치(Addr2)를 획득하고, 현재 위치(PL)와의 거리 차이를 기초로 제1 정비소(RS1)에 대응하는 제1 탁송 비용 및 제2 정비소(RS2)에 대응하는 제2 탁송 비용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110)는 고객 단말(120)로부터 수신한 차량 정보(Info_Cr)를 기초로 충전 비용을 계산할 수 있다.
관리 서버(110)는 제1 정비 비용, 제1 탁송 비용 및 충전 비용을 더함으로써 제1 정비소(RS1)에 대한 견적 비용으로써 제1 비용(m1)을 계산할 수 있고, 제2 정비 비용, 제2 탁송 비용 및 충전 비용을 더함으로써 제2 정비소(RS2)에 대한 견적 비용으로써 제2 비용(m2)을 계산할 수 있다.
고객 단말(120)은 상술한 정보가 모두 종합된 도 7을 이용하여 제1 정비소(RS1) 또는 제2 정비소(RS2)에 대한 예약 요청을 관리 서버(11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관리 시스템의 운용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상세하게는 도 8은 전기차 충전 관리 시스템에 포함된 관리 서버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다.
도 1 및 도 8을 참조하면, 관리 서버(110)는 예상 소요 시간 및 견적 비용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추천 정비소를 결정할 수 있다(S410). 일 실시예에서, 관리 서버(110)는 도 3 및 도 4에서 상술한 방식으로 예상 소요 시간을 계산할 수 있고, 도 5 및 도 6에서 상술한 방식으로 견적 비용을 계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관리 서버(110)는 정비소 별 예상 소요 시간이 가장 짧은 정비소를 추천 정비소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에서, 관리 서버(110)는 견적 비용이 가장 적은 정비소를 추천 정비소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관리 서버(110)는 정비소 별 예상 소요 시간과 견적 비용을 이용하여 점수화하고, 가장 높은 점수의 정비소를 추천 정비소로서 결정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관리 서버(110)는 정비소 별 예상 소요 시간과 견적 비용 각각의 평균 및 표준 편차를 기초로 점수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관리 서버(110)는 고객 단말(120)로부터 소요 시간과 견적 비용 중 우선순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우선 순위가 견적 비용인 경우, 견적 비용이 가장 낮은 정비소를 추천 정비소로 결정할 수 있고, 우선 순위가 예상 소요 시간인 경우, 예상 소요 시간이 가장 짧은 정비소를 추천 정비소로 결정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일 실시예에서, 관리 서버(110)는 정비소 별 정비 능력을 평가하는 평가 정보를 더 저장하고, 소요 시간, 견적 비용 및 평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추천 정비소를 결정할 수 있다.
관리 서버(110)는 추천 정비소에 대한 정보를 고객 단말(120)에 전송할 수 있다(S420). 관리 서버(110)는 정비 요청에 대응하여 추천 정비소에 대응하는 정비 단말(130)에 고객 정보(Info_Ct)를 전송할 수 있다(S430). 관리 서버(110)는 정비 요청에 대응하여 추천 정비소에 탁송하기 위해 탁송 단말에 탁송 요청 신호(Req_PD)를 전송할 수 있다(S440).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 서버(110)는 소요 시간, 견적 비용 및 평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추천 정비소를 결정할 수 있고, 고객은 추천 정비소에서 충전 및 정비를 수행함으로써 가격, 시간, 퀄리티 면에서 합리적인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14)

  1. 전기차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 설비에 대한 사용 가능 여부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 및 제공 가능한 정비 리스트를 전송하는 정비 단말;
    상기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충전 설비 DB를 업데이트하는 관리 서버;및
    상기 충전 설비 DB로부터 수신한 상기 상태 정보 및 상기 정비 리스트를 기초로 상기 관리 서버에 예약 요청을 전송하는 고객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예약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정비 단말에 상기 고객 단말에 대응하는 고객 정보를 전송하고, 정비 대기 시간에 차종 완충 시간 및 정비 완료 시간 중 더 긴 시간을 더한 값을 예상 소요 시간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관리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비 리스트는 전기차에 적용 가능한 정비 목록을 포함하고, 전기차가 아닌 엔진차에만 적용 가능한 정비 목록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관리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비 리스트는 타이어 공기압 진단, 전자 시스템 관리, 냉각 부동액 관리, 브레이크 액 관리, LED 점등 상태 관리, 브레이크 패드 관리, 브레이크 디스크 관리, 휠 얼라인먼트 관리, 에어컨 필터 상태 관리, 에어컨 및 히터 관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관리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이용 가능한 충전 설비의 개수 및 예상 대기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관리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단말은 상기 전기차의 차종 및 배터리 잔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와, 상기 정비 리스트를 기초로 요구 정비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차량 정보 및 상기 요구 정비 정보를 기초로 예상 소요 시간을 획득하고, 상기 예상 소요 시간을 상기 고객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관리 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차종 별 완충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완충 시간 DB로부터 상기 차량 정보를 기초로 차종 완충 시간을 획득하고,
    정비 별 완료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비 시간 DB로부터 상기 요구 정비 정보를 기초로 정비 완료 시간을 획득하고,
    상기 정비 단말로부터 정비 시작까지 걸리는 정비 대기 시간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관리 시스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고객 단말로부터 차량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차량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차량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을 상기 정비 단말이 지정한 정비소에 운반하기 위한 탁송 정보를 생성하는 탁송 단말;을 더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관리 시스템.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차량 위치 정보 및 상기 정비소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탁송 비용을 책정하고, 책정한 상기 탁송 비용에 대한 정보를 상기 고객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관리 시스템.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고객 단말로부터 차량 정보 및 요구 정비 정보를 수신하고,
    정비 별 견적 정보를 포함하는 견적 DB에 기초하여 상기 요구 정비 정보에 대응하는 정비 비용을 획득하고,
    상기 차량 정보를 기초로 결정된 충전 비용, 상기 정비 비용 및 상기 탁송 비용을 더한 견적 비용을 상기 고객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관리 시스템.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단말은 상기 전기차의 차종 및 배터리 잔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와, 상기 정비 리스트를 기초로 요구 정비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차량 정보 및 상기 요구 정비 정보를 기초로 예상 시간을 획득하고, 상기 예상 시간 및 상기 견적 비용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복수의 정비소 중 상기 고객 단말에 적합한 추천 정비소를 결정하고, 상기 추천 정비소에 대한 정보를 상기 고객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관리 시스템.
  11.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관리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전기차 충전 관리 시스템의 운용 방법에 있어서,
    전기차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 설비에 대한 사용 가능 여부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 및 제공 가능한 정비 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충전 설비 DB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상태 정보 및 상기 정비 리스트에 기초하여 정비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정비 요청을 기초로 결정된 정비 단말에 고객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및
    정비 대기 시간에 차종 완충 시간 및 정비 완료 시간 중 더 긴 시간을 더한 값을 예상 소요 시간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관리 시스템의 운용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차의 차종 및 배터리 잔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 및 상기 정비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요구 정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차량 정보 및 상기 요구 정비 정보를 기초로 예상 소요 시간을 획득하는 단계;및
    상기 예상 소요 시간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관리 시스템의 운용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차에 대한 차량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차량 위치 정보 및 정비소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탁송 비용을 책정하는 단계;
    정비 별 견적 정보를 포함하는 견적 DB에 기초하여 상기 요구 정비 정보에 대응하는 정비 비용을 획득하는 단계;및
    상기 차량 정보를 기초로 결정된 충전 비용, 상기 정비 비용 및 상기 탁송 비용을 더한 견적 비용을 고객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관리 시스템의 운용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예상 소요 시간 및 상기 견적 비용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복수의 정비소 중 추천 정비소를 결정하는 단계;및
    상기 추천 정비소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관리 시스템의 운용 방법.

KR1020210120851A 2021-09-10 2021-09-10 정비 정보 및 충전 설비 정보를 제공하는 전기차 충전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KR102413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0851A KR102413903B1 (ko) 2021-09-10 2021-09-10 정비 정보 및 충전 설비 정보를 제공하는 전기차 충전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0851A KR102413903B1 (ko) 2021-09-10 2021-09-10 정비 정보 및 충전 설비 정보를 제공하는 전기차 충전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3903B1 true KR102413903B1 (ko) 2022-06-27

Family

ID=82247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0851A KR102413903B1 (ko) 2021-09-10 2021-09-10 정비 정보 및 충전 설비 정보를 제공하는 전기차 충전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390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2009A (ko) 2000-12-23 2002-07-02 모연우 인터넷을 이용한 차량 정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63656B1 (ko) * 2010-06-24 2011-09-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전기차량의 충전소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80077645A (ko) * 2016-12-29 2018-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차량의 관리 스케줄 예약 시스템 및 예약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260647B1 (ko) * 2020-10-20 2021-06-03 김선호 차량 정비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2009A (ko) 2000-12-23 2002-07-02 모연우 인터넷을 이용한 차량 정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63656B1 (ko) * 2010-06-24 2011-09-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전기차량의 충전소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80077645A (ko) * 2016-12-29 2018-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차량의 관리 스케줄 예약 시스템 및 예약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260647B1 (ko) * 2020-10-20 2021-06-03 김선호 차량 정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48674B2 (ja) 自動車勧誘装置、車載端末装置、自動車勧誘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5889761B2 (ja)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装置、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05857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battery remediation in connection with an electric powered mobiel thing (EPMT)
KR101701406B1 (ko) 위치기반 자동차 자가정비 대행서비스 제공 방법
KR101554154B1 (ko) 차량의 진단, 정비 중계 시스템 및 방법
US10021243B2 (en) Telephone call placement
CN111942222B (zh) 电池信息管理系统和电池信息管理方法
KR102083725B1 (ko)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관련 서비스를 제안하기 위한 방법
US2020021090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Networked Vehicle Resources
CN111832788A (zh) 一种服务信息生成的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US20200098049A1 (en) Securing a vehicle on owner change
JP6315632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機器、および情報提供方法
US20150193990A1 (en) Monitoring Electric Power Capacity (EPC) and Requesting Battery Remediation for Electric Power Mobile Thing (EPMT)
JP2021033590A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0514267B2 (en) Vehicle operation management apparatus
KR102413903B1 (ko) 정비 정보 및 충전 설비 정보를 제공하는 전기차 충전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US20150197154A1 (en) Selection of battery remediation type and/or battery remediation station based upon available time period at location
KR102348531B1 (ko) 차량 정비 시스템
US11769119B1 (en) Autonomous car repair
US1144327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ed maintenance assistance
CN114764729A (zh) 信息处理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和信息处理方法
US20150191097A1 (en) Determinig sufficiency of electric power capacity (epc) for user defined travel itinerary of electric powered mobile thing (epmt)
CN111160593A (zh) 预约借车方法、模型、服务器、设备端、客户端和系统
US20210272386A1 (e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terminal
KR20150008517A (ko) 전기차의 전력 판매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