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3746B1 - 골프 클럽 - Google Patents

골프 클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3746B1
KR102413746B1 KR1020170144520A KR20170144520A KR102413746B1 KR 102413746 B1 KR102413746 B1 KR 102413746B1 KR 1020170144520 A KR1020170144520 A KR 1020170144520A KR 20170144520 A KR20170144520 A KR 20170144520A KR 102413746 B1 KR102413746 B1 KR 102413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engagement
opposing
head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4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8134A (ko
Inventor
나루히로 미즈타니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고무 코교 카부시키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고무 코교 카부시키카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고무 코교 카부시키카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78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8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3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3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2Joint structures between the head and the shaf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2Joint structures between the head and the shaft
    • A63B53/022Joint structures between the head and the shaft allowing adjustable positioning of the head with respect to the shaft
    • A63B53/023Joint structures between the head and the shaft allowing adjustable positioning of the head with respect to the shaft adjustable angular orientation
    • A63B53/027Joint structures between the head and the shaft allowing adjustable positioning of the head with respect to the shaft adjustable angular orientation about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shaft on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과제) 샤프트가 헤드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골프 클럽에 있어서, 임팩트에서의 위화감을 해소할 수 있는 골프 클럽의 제공.
(해결 수단) 샤프트 (6) 에 고정된 슬리브 (8) 는 걸어맞춤 볼록부 (P1) 를 가지고 있다. 헤드 (2) 는 걸어맞춤 오목부 (R1) 를 가지고 있다. 걸어맞춤 볼록부 (P1) 는, 타격에 의한 회전력을 받는 측에 위치하는 제 1 사이드면 (P11) 과, 그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 2 사이드면 (P12) 과, 아우터면 (P13) 을 가지고 있다. 걸어맞춤 오목부 (R1) 는, 제 1 사이드면 (P11) 에 대향하는 제 1 대향면 (R11) 과, 제 2 사이드면 (P12) 에 대향하는 제 2 대향면 (R12) 과, 아우터면 (P13) 에 대향하는 이너면 (R13) 을 가지고 있다. 걸어맞춤 볼록부 (P1) 는 테이퍼 볼록부 (TP1) 를 가지고 있다. 테이퍼 볼록부 (TP1) 의 최대폭이, 걸어맞춤 오목부 (R1) 의 개구폭 이상이다. 아우터면 (P13) 은 아우터 사면 (K13) 을 갖는다.

Description

골프 클럽{GOLF CLUB}
본 발명은 골프 클럽에 관한 것이다.
샤프트가 헤드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골프 클럽이 제안되어 있다. 미국 특허 공개 제2009/0286618호 및 미국 특허 제9,364,723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샤프트의 선단부에 슬리브가 고정되고, 이 슬리브가 헤드에 나사로 고정되어 있다. 이들 골프 클럽에서는, 헤드에 대한 슬리브의 회전을 방지하는 기구 (회전 방지 기구) 가 사용되고 있다.
미국 특허 공개 제2009/0286618호 명세서 미국 특허 제9,364,723호 명세서
상기 서술한 문헌에서의 상기 회전 방지 기구는, 완전히 기능하고 있는 것으로 간주되고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자는, 상기 회전 방지 기구에 개선의 여지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샤프트가 헤드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골프 클럽에 있어서, 임팩트에서의 위화감을 해소할 수 있는 골프 클럽의 제공에 있다.
일 양태에서는, 골프 클럽은, 샤프트와, 호젤 구멍을 갖는 헤드와, 상기 샤프트의 선단부에 고정된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에 비틀림 결합할 수 있는 나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슬리브가 걸어맞춤 볼록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헤드가 걸어맞춤 오목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걸어맞춤 볼록부와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의 걸어맞춤에 기초하여, 상기 슬리브의 상기 호젤 구멍에 대한 회전이 규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호젤 구멍에 삽입된 상기 슬리브와 상기 나사와의 결합에 기초하여, 상기 슬리브의 상기 호젤 구멍에 대한 빠짐이 규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걸어맞춤 볼록부가, 타격에 의한 회전력을 받는 측에 위치하는 제 1 사이드면과, 상기 제 1 사이드면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 2 사이드면과, 상기 제 1 사이드면과 상기 제 2 사이드면의 사이로 연장되는 아우터면을 가지고 있다.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가, 상기 제 1 사이드면에 대향하는 제 1 대향면과, 상기 제 2 사이드면에 대향하는 제 2 대향면과, 상기 아우터면에 대향하는 이너면을 가지고 있다. 상기 걸어맞춤 볼록부가, 상기 제 1 사이드면과 상기 제 2 사이드면의 간격이 상기 슬리브의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작아짐으로써 형성된 테이퍼 볼록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테이퍼 볼록부의 최대폭이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의 개구폭 이상이다. 상기 아우터면이, 상기 슬리브의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는 아우터 사면을 가지고 있다.
다른 양태에서는,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가, 상기 제 1 대향면과 상기 제 2 대향면의 간격이 상기 슬리브의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작아짐으로써 형성된 테이퍼 오목부를 가지고 있다.
다른 양태에서는, 상기 이너면이, 상기 슬리브의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는 이너 사면을 가지고 있다.
다른 양태에서는, 상기 제 1 사이드면 및 상기 제 1 대향면 중의 적어도 일방이, 축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임팩트시의 위화감이 해소될 수 있다.
도 1 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골프 클럽을 나타낸다.
도 2 는, 도 1 의 골프 클럽의 분해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골프 클럽의 단면도이다.
도 4 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헤드의 사시도이다.
도 5 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헤드의, 호젤 근방에 있어서의 평면도이다.
도 6 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헤드 본체의 단면도이다.
도 7 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슬리브의 사시도이다.
도 8 은, 도 7 의 슬리브의 측면도이다.
도 9 는, 도 7 의 슬리브의 저면도이다.
도 10 은, 도 7 의 슬리브의 단면도이다.
도 11 은, 도 8 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 는,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골프 클럽을 나타낸다.
도 13 은, 도 12 의 골프 클럽의 분해도이다.
도 14 는, 도 12 의 골프 클럽의 단면도이다.
도 15 는,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헤드 본체의 단면도이다.
도 16 은,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슬리브의 사시도이다.
도 17 은, 도 16 의 슬리브의 측면도이다.
도 18 은, 도 16 의 슬리브의 저면도이다.
도 19 는, 도 16 의 슬리브의 단면도이다.
도 20 은, 도 19 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1 은,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걸어맞춤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22 는, 도 21 의 걸어맞춤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23 은, 별도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슬리브의 측면도이다.
도 24 는, 별도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헤드 본체의 단면도이다.
도 25 는, 별도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걸어맞춤 볼록부 및 걸어맞춤 오목부가 도시된 모식도이다.
도 26(a) 는, 별도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걸어맞춤 볼록부 및 걸어맞춤 오목부가 도시된 모식도이고, 도 26(b) 는, 별도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걸어맞춤 볼록부 및 걸어맞춤 오목부가 도시된 모식도이고, 도 26(c) 는, 별도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걸어맞춤 볼록부 및 걸어맞춤 오목부가 도시된 모식도이다.
도 27(a) 는, 별도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걸어맞춤 볼록부 및 걸어맞춤 오목부가 도시된 모식도이고, 도 27(b) 는, 별도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걸어맞춤 볼록부 및 걸어맞춤 오목부가 도시된 모식도이다.
이하, 적절히 도면을 참조하면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이 상세하게 설명된다.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한, 본원에 있어서 「축방향」이란, 호젤 구멍의 중심선의 방향을 의미한다. 이 축방향은, 후술되는 중심선 (z1) 의 방향이다.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한, 본원에 있어서 「직경 방향」이란, 호젤 구멍의 반경 방향을 의미한다.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한, 본원에 있어서 「하측」이란 축방향 솔 (sole) 측을 의미하고, 「상측」이란 축방향 그립측을 의미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 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골프 클럽 (2) 을 나타낸다. 도 1 은, 골프 클럽 (2) 의 헤드 근방만을 나타내고 있다. 도 2 는, 골프 클럽 (2) 의 분해도이다. 도 2 에서는, 샤프트 및 그립의 기재가 생략되어 있다. 도 3 은, 골프 클럽 (2) 의 단면도이다. 도 3 은, 슬리브 (8) 의 중심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골프 클럽 (2) 은, 헤드 (4), 샤프트 (6), 슬리브 (8) 및 나사 (10) 를 갖는다. 도 2 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골프 클럽 (2) 은 추가로, 중간 부재 (14) 와 와셔 (16) 를 갖는다.
헤드 (4) 는, 페이스 (4a), 크라운 (4b), 솔 (4c) 및 호젤 (4d) 을 갖는다.
헤드 (4) 는, 우드형이다. 헤드 (4) 는, 드라이버 헤드이다. 본 개시에 있어서, 헤드 (4) 의 타입은 한정되지 않는다. 헤드 (4) 로서, 우드형 헤드, 유틸리티형 헤드, 하이브리드형 헤드, 아이언형 헤드, 퍼터 헤드 등을 들 수 있다. 샤프트 (6) 는 한정되지 않고, 범용의 카본 샤프트나 스틸 샤프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샤프트 (6) 의 선단부에, 슬리브 (8) 가 고정되어 있다. 이 고정 방법은, 접착제에 의한 접착이다. 샤프트 (6) 의 후단부에는, 도시되지 않은 그립이 장착되어 있다. 서로 고정된 샤프트 (6) 와 슬리브 (8) 에 의해, 슬리브를 가진 샤프트 (12) 가 형성되어 있다.
나사 (10) 는, 수나사부 (10a) 와 머리부 (10b) 를 갖는다. 수나사부 (10a) 는, 슬리브 (8) 의 나사 구멍 (Ht) 과 비틀림 결합할 수 있다. 머리부 (10b) 는, 공구를 받아들이는 오목부 (10c) 를 갖는다. 또, 도 2 및 도 3 에서는, 수나사부 (10a) 에 있어서의 수나사의 기재가 생략되어 있다.
나사 (10) 를 조임으로써, 슬리브 (8) (슬리브를 가진 샤프트 (12)) 가 헤드 (4) 에 고정된다. 이 고정된 상태가, 본원에 있어서 결합 상태로도 불린다. 도 3 은, 결합 상태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나사 (10) 를 풂으로써, 헤드 (4) 에 대한 슬리브를 가진 샤프트 (12) 의 고정이 해제된다. 이 고정이 해제된 상태가, 본원에 있어서 분리 상태로도 불린다. 샤프트 (6) 가, 헤드 (4) 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한, 본원에 기재된 구성은, 결합 상태에 있어서의 구성을 의미한다.
중간 부재 (14) 는, 링상의 부재이다. 중간 부재 (14) 의 외면은, 원주면이다. 도시되지 않지만, 중간 부재 (14) 의 내면은, 암나사를 형성하고 있다. 중간 부재 (14) 의 기능은, 나사 (10) 의 탈락 방지이다. 이 기능의 상세한 내용은 후술된다.
또, 말할 필요도 없이, 중간 부재 (14) 는 없어도 된다. 나사 (10) 의 탈락 방지 기능이 불필요한 경우, 중간 부재 (14) 는 불필요하다. 또한, 나사 (10) 의 탈락 방지 기능이 필요한 경우라도, 중간 부재 (14) 는 불필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 본체 (18) 가, 중간 부재 (14) 와 동일 형상의 플랜지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 중간 부재 (14) 대신에, O 링이 사용되어도 된다. 이 O 링의 내경을, 나사 (10) 의 수나사부 (10a) 가 삽입 통과되면서 걸려 고정되도록 설정함으로써, 탈락 방지 기능이 발휘될 수 있다.
도 4 는, 헤드 (4) 의 호젤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 는, 헤드 (4) 의 호젤부의 평면도이다. 도 6 은, 헤드 본체 (18) 의 단면도이다.
헤드 (4) 는, 중공의 골프 클럽 헤드이다. 헤드 (4) 는, 헤드 본체 (18) 와, 원통 부재 (20) 를 갖는다 (도 2 참조).
헤드 본체 (18) 는, 호젤 구멍 (22) 을 갖는다 (도 4, 도 5 및 도 6 참조). 호젤 구멍 (22) 에, 슬리브 (8) 가 삽입된다. 결합 상태에 있어서, 슬리브 (8) 는, 호젤 구멍 (22) 에 지지된다. 헤드 본체 (18) 는, 나사 (10) 를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 구멍 (24) 을 갖는다 (도 3 및 도 6 참조). 관통 구멍 (24) 은, 호젤 구멍 (22) 의 바닥부를 관통하여, 솔에 도달한다. 관통 구멍 (24) 은, 하방을 향하여 개방되어 있다.
도 3 및 도 6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 본체 (18) 는, 플랜지 (26) 를 갖는다. 결합 상태에 있어서, 플랜지 (26) 는, 슬리브 (8) 의 하측에 위치한다. 도 3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랜지 (26) 의 내경은, 와셔 (16) 의 외경보다 크다. 도 3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간 부재 (14) 의 외경은, 플랜지 (26) 의 내경보다 크다.
도 4, 도 5 및 도 6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 (4) (호젤 구멍 (22)) 는, 걸어맞춤 오목부 (R1) 를 갖는다. 걸어맞춤 오목부 (R1) 는, 호젤 구멍 (22) (의 내면) 에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 오목부 (R1) 는, 호젤 구멍 (22) 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걸어맞춤 오목부 (R1) 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걸어맞춤 오목부 (R1) 가, 둘레 방향에 있어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걸어맞춤 오목부 (R1) 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소정 각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4 개의 걸어맞춤 오목부 (R1) 가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 오목부 (R1) 는, 둘레 방향의 90°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복수 (4 개) 의 걸어맞춤 오목부 (R1) 의 형상은 동일하다. 복수의 걸어맞춤 오목부 (R1) 의 사이에서는, 둘레 방향 위치만이 상이하다.
원통 부재 (20) 의 외면은, 원주면이다. 도 2 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 부재 (20) 의 외면은, 대경부와 소경부를 갖는다. 도시되지 않지만, 원통 부재 (20) 의 내면은, 원주면이다. 이 원주면의 내경은, 슬리브 (8) 의 하부 (34) (후술) 의 외경에 대응하고 있다.
또, 말할 필요도 없이, 원통 부재 (20) 는 없어도 된다. 예를 들어, 헤드 본체 (18) 가, 원통 부재 (20) 에 상당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 슬리브 (8) 의 중간부 (32) 가 호젤 구멍 (22) 에 의해서 지지되고 있기 때문에, 원통 부재 (20) 에 의한 지지가 없어도 문제는 없다.
도 7 은, 슬리브 (8) 의 사시도이다. 도 8 은, 슬리브 (8) 의 측면도이다. 도 9 는, 슬리브 (8) 의 저면도이다. 도 10 은, 슬리브 (8) 의 단면도이다. 도 11 은, 도 8 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슬리브 (8) 는, 상부 (30) 와, 중간부 (32) 와, 하부 (34) 를 갖는다. 상부 (30) 와 중간부 (32) 의 경계에는, 단차면 (36) 이 존재한다. 또한 슬리브 (8) 는, 샤프트 구멍 (Hs) 과 나사 구멍 (Ht) 을 갖는다. 샤프트 구멍 (Hs) 은, 상부 (30) 및 중간부 (32) 의 내측에 위치한다. 샤프트 구멍 (Hs) 은, 슬리브 (8) 의 일방측 (상측) 에 개구되어 있다. 나사 구멍 (Ht) 은, 슬리브 (8) 의 타방측 (하측) 에 개구되어 있다. 나사 구멍 (Ht) 은, 하부 (34) 의 내측에 위치한다.
상기 결합 상태에 있어서, 상부 (30) 는 노출된다. 상기 결합 상태에서는, 단차면 (36) 이, 헤드 (4) 의 호젤 단면 (端面) (40) 에 맞닿아 있지 않다. 단차면 (36) 과 호젤 단면 (40) 의 사이에, (약간의) 간극이 존재하고 있다. 걸어맞춤 오목부 (R1) 의 상단은, 호젤 단면 (40) 에 위치하고 있다.
도 1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30) 의 하단의 외경은, 호젤 단면 (40) 의 외경과 대략 동일하다. 상기 결합 상태에 있어서, 상부 (30) 는, 페룰과 같은 외관을 나타낸다. 상기 결합 상태에 있어서, 중간부 (32) 및 하부 (34) 는, 호젤 구멍 (22) 의 내측에 위치한다.
슬리브 (8) 의 중간부 (32) 의 외면은, 원주면 (50) 을 갖는다. 상기 결합 상태에서는, 원주면 (50) 은, 호젤 구멍 (22) 에 접촉하고 있다. 원주면 (50) 은, 호젤 구멍 (22) 의 원주면에 면 접촉하고 있다. 이 접촉은, 슬리브 (8) 의 유지에 기여하고 있다.
슬리브 (8) 의 하부 (34) 의 외면은, 원주면이다. 슬리브 (8) 의 하부 (34) 는, 나사 구멍 함유부 (52) 를 갖는다. 나사 구멍 함유부 (52) 는, 그 내부에 나사 구멍 (Ht) 을 포함한다. 또, 도 10 에서는, 나사 구멍 (Ht) 에 있어서의 암나사의 기재가 생략되어 있다.
도 10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샤프트 구멍 (Hs) 의 중심선 (h1) 은, 슬리브 (8) 의 외면 (원주면 (50)) 의 중심선 (z1) 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도 10 에 나타낸 경사 각도 (θ1) 는, 중심선 (h1) 과 중심선 (z1) 이 이루는 각도이다. 상기 결합 상태에 있어서, 중심선 (z1) 은, 호젤 구멍 (22) 의 중심선과 같다. 샤프트 구멍 (Hs) 의 중심선 (h1) 은, 샤프트 (6) 의 중심선과 같다. 경사 각도 (θ1) 에서 기인하여, 로프트각, 라이각 및 페이스각이 조정될 수 있다.
슬리브 (8) 는, 걸어맞춤 볼록부 (P1) 를 갖는다. 걸어맞춤 볼록부 (P1) 는, 슬리브 (8) 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 볼록부 (P1) 는, 원주면 (50) 에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 볼록부 (P1) 는, 원주면 (50) 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 볼록부 (P1) 의 상단은, 단차면 (36) 에 위치하고 있다.
슬리브 (8) 에는, 복수의 걸어맞춤 볼록부 (P1) 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걸어맞춤 볼록부 (P1) 가, 둘레 방향에 있어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걸어맞춤 볼록부 (P1) 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소정 각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4 개의 걸어맞춤 볼록부 (P1) 가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 볼록부 (P1) 는, 둘레 방향의 90°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복수 (4 개) 의 걸어맞춤 볼록부 (P1) 의 형상은 동일하다. 복수의 걸어맞춤 볼록부 (P1) 의 사이에서는, 둘레 방향 위치만이 상이하다.
이들 걸어맞춤 볼록부 (P1) 와, 상기 서술한 걸어맞춤 오목부 (R1) 가 걸어 맞춰진다. 걸어맞춤 볼록부 (P1) 의 각각이, 걸어맞춤 오목부 (R1) 의 각각에 걸어 맞춰진다. 이 걸어맞춤에 의해, 헤드 (4) 에 대한 슬리브 (8) 의 회전이 규제되어 있다.
도 3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 부재 (20) 는, 호젤 구멍 (22) (의 하부) 에 고정되어 있다. 이 고정은, 접착, 용접 등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결합 상태에서는, 슬리브 (8) 의 하부 (34) 가 원통 부재 (20) 에 삽입된다. 원통 부재 (20) 는, 하부 (34) 를 지지한다.
도 3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간 부재 (14) 는, 원통 부재 (20) 와 플랜지 (26) 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원통 부재 (20) 와 플랜지 (26) 사이의 축방향 거리는, 중간 부재 (14) 의 축방향 길이보다 크다. 중간 부재 (14) 는, 호젤 구멍 (22) 에 고정되어 있지 않다. 중간 부재 (14) 는, 원통 부재 (20) 와 플랜지 (26) 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도 3 에 나타낸 결합 상태에서는, 나사 (10) 의 체결에 의한 축력 (軸力) 은, 와셔 (16) 및 중간 부재 (14) 를 통해서 원통 부재 (20) 에 전달된다. 원통 부재 (20) 는, 상향의 축력을 받아낸다.
중간 부재 (14) 는, 분리 상태에 있어서의 나사 (10) 의 탈락을 방지한다. 도 3 에 나타낸 결합 상태에서는, 나사 (10) 가 체결되어 있다. 이 나사 (10) 를 풀어가면, 나사 (10) 가 슬리브 (8) 에 대하여 하방으로 이동한다. 좀더 풀어가면, 나사 (10) 의 수나사부 (10a) 가, 중간 부재 (14) 에 도달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중간 부재 (14) 의 내면은 암나사이고, 이 암나사는 수나사부 (10a) 에 적합하게 되어 있다. 나사 (10) 를 풀어가면, 수나사부 (10a) 는 중간 부재 (14) 에 비틀림 결합한다. 수나사부 (10a) 가 나사 구멍 (Ht) 으로부터 이탈할 때, 수나사부 (10a) 는 중간 부재 (14) 에 비틀림 결합되어 있다. 수나사부 (10a) 를 나사 구멍 (Ht) 으로부터 이탈시켜, 슬리브를 가진 샤프트 (12) 를 헤드 (4) 로부터 분리해도, 중간 부재 (14) 에 비틀림 결합된 나사 (10) 는, 헤드 (4) 로부터 이탈하지 않는다. 나사 (10) 가 헤드 (4) 에 유지되기 때문에, 재결합의 작업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나사 (10) 의 분실이 방지된다.
[제 2 실시형태]
도 12 는,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골프 클럽 (102) 의 정면도이다. 도 12 는, 골프 클럽 (102) 의 헤드 근방만을 나타내고 있다. 도 13 은, 골프 클럽 (102) 의 분해도이다. 도 13 에서는, 샤프트 및 그립의 기재가 생략되어 있다. 도 14 는, 골프 클럽 (102) 의 단면도이다. 도 14 는, 슬리브 (108) 의 중심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골프 클럽 (102) 은, 헤드 (104), 샤프트 (106), 슬리브 (108) 및 나사 (110) 를 갖는다. 도 13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골프 클럽 (102) 은 추가로, 중간 부재 (114) 와, 와셔 (116) 를 갖는다.
헤드 (104) 는, 페이스 (104a), 크라운 (104b), 솔 (104c) 및 호젤 (104d) 을 갖는다.
헤드 (104) 는, 우드형이다. 헤드 (104) 는, 드라이버 헤드이다. 본 개시에 있어서, 헤드 (104) 의 타입은 한정되지 않는다. 헤드 (104) 로서, 우드형 헤드, 유틸리티형 헤드, 하이브리드형 헤드, 아이언형 헤드, 퍼터 헤드 등을 들 수 있다. 샤프트 (106) 는 한정되지 않고, 범용의 카본 샤프트나 스틸 샤프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샤프트 (106) 의 선단부에, 슬리브 (108) 가 고정되어 있다. 샤프트 (106) 의 후단부에는, 도시되지 않은 그립이 장착되어 있다. 서로 고정된 샤프트 (106) 와 슬리브 (108) 에 의해, 슬리브를 가진 샤프트 (112) 가 형성되어 있다.
나사 (110) 는, 수나사부 (110a) 와 머리부 (110b) 를 갖는다. 수나사부 (110a) 는, 슬리브 (108) 의 나사 구멍 (Ht) 과 비틀림 결합할 수 있다. 머리부 (110b) 는, 공구를 받아들이는 오목부 (110c) 를 갖는다. 또, 도 13 및 도 14 에서는, 수나사부 (110a) 에 있어서의 수나사의 기재가 생략되어 있다.
나사 (110) 를 조임으로써, 슬리브 (108) (슬리브를 가진 샤프트 (112)) 가 헤드 (104) 에 고정되어, 결합 상태가 달성된다. 도 14 는, 결합 상태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나사 (110) 를 풂으로써, 헤드 (104) 에 대한 슬리브를 가진 샤프트 (112) 의 고정이 해제되어, 분리 상태가 달성된다. 샤프트 (106) 는, 헤드 (104) 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중간 부재 (114) 는, 링상의 부재이다. 중간 부재 (114) 의 외면은, 원주면이다. 도시되지 않지만, 중간 부재 (114) 의 내면은, 암나사를 형성하고 있다. 중간 부재 (114) 의 기능은, 나사 (110) 의 탈락 방지이다. 이 기능의 상세한 내용은 후술된다.
또, 말할 필요도 없이, 중간 부재 (114) 는 없어도 된다. 나사 (110) 의 탈락 방지 기능이 불필요한 경우, 중간 부재 (114) 는 불필요하다. 또한, 나사 (110) 의 탈락 방지 기능이 필요한 경우라도, 중간 부재 (114) 는 불필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 본체 (118) 가, 중간 부재 (114) 와 동일 형상의 플랜지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 중간 부재 (114) 대신에, O 링이 사용되어도 된다. 이 O 링의 내경을, 나사 (110) 의 수나사부 (110a) 가 삽입 통과되면서 걸려 고정되도록 설정함으로써, 탈락 방지 기능이 발휘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 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 (104) 는, 헤드 본체 (118) 와, 결합 부재 (120) 를 갖는다.
도 14 는, 헤드 본체 (118) 의 단면도이다.
헤드 본체 (118) 는, 호젤 구멍 (122) 을 갖는다 (도 14 및 도 15 참조). 호젤 구멍 (122) 에, 슬리브 (108) 가 삽입된다. 헤드 본체 (118) 는, 나사 (110) 를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 구멍 (124) 을 갖는다. 관통 구멍 (124) 은, 호젤 구멍 (122) 의 바닥부를 관통하여, 솔에 도달한다. 관통 구멍 (124) 은, 하방을 향하여 개방되어 있다. 헤드 본체 (118) 는, 중공부를 가지고 있다.
도 15 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 본체 (118) 는, 플랜지 (126) 를 갖는다. 결합 상태에 있어서, 플랜지 (126) 는, 슬리브 (108) 의 하측에 위치한다. 도 14 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랜지 (126) 의 내경은, 와셔 (116) 의 외경보다 크다. 도 14 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간 부재 (114) 의 외경은, 플랜지 (126) 의 내경보다 크다.
도 13 및 도 14 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어맞춤 부재 (120) 는, 외면 (120a) 과, 내면 (120b) 을 갖는다. 외면 (120a) 은, 원주면이다. 외면 (120a) 의 형상은, 걸어맞춤 부재 (120) 가 고정되는 위치에 있어서의 호젤 구멍 (122) 의 형상에 대응하고 있다. 내면 (120b) 은, 원주면이다. 이 원주면 (120b) 의 내경은, 슬리브 (108) 의 하부 (134) (후술) 에 형성된 원주 외면 (135) 의 외경에 대응하고 있다. 이 걸어맞춤 부재 (120) 는, 헤드 본체 (118) 에 고정되어 있다.
도 13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어맞춤 부재 (120) 는, 걸어맞춤 오목부 (R1) 를 갖는다. 걸어맞춤 오목부 (R1) 는, 걸어맞춤 부재 (120) 의 상단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 걸어맞춤 부재 (120) 가 헤드 본체 (118) 에 고정됨으로써, 헤드 (104) 에 걸어맞춤 오목부 (R1) 가 형성된다.
또, 말할 필요도 없이, 걸어맞춤 부재 (120) 는 없어도 된다. 예를 들어, 걸어맞춤 부재 (120) 는, 헤드 본체 (118) 에 일체화되어 있어도 된다. 다시 말하면, 헤드 본체 (118) 가, 걸어맞춤 부재 (120) 에 상당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도 16 은, 슬리브 (108) 의 사시도이다. 도 17 은, 슬리브 (108) 의 측면도이다. 도 18 은, 슬리브 (108) 의 저면도이다. 도 19 는, 슬리브 (108) 의 단면도이다. 도 20 은, 도 19 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1 은, 걸어맞춤 부재 (120) 의 측면도이다. 도 22 는, 걸어맞춤 부재 (120) 의 평면도이다.
슬리브 (108) 는, 상부 (130) 와, 중간부 (132) 와, 하부 (134) 를 갖는다. 상부 (130) 와 중간부 (132) 의 경계에는, 단차면 (136) 이 존재한다. 중간부 (132) 와 하부 (134) 의 경계에는, 단차면 (138) 이 존재한다.
슬리브 (108) 는, 샤프트 구멍 (Hs) 과 나사 구멍 (Ht) 을 갖는다. 샤프트 구멍 (Hs) 은, 상부 (130) 및 중간부 (132) 의 내측에 위치한다. 샤프트 구멍 (Hs) 은, 슬리브 (108) 의 일방측 (상측) 에 개구되어 있다. 나사 구멍 (Ht) 은, 슬리브 (108) 의 타방측 (하측) 에 개구되어 있다. 나사 구멍 (Ht) 은, 하부 (134) 의 내측에 위치한다.
상기 결합 상태에 있어서, 상부 (130) 는 노출된다 (도 12 참조). 상기 결합 상태에서는, 단차면 (136) 이, 헤드 (14) 의 호젤 단면 (140) 에 맞닿아 있지 않다. 단차면 (136) 과 호젤 단면 (140) 의 사이에, (약간의) 간극이 존재하고 있다.
도 12 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130) 의 하단의 외경은, 호젤 단면 (140) 의 외경과 대략 동일하다. 상기 결합 상태에 있어서, 상부 (130) 는, 페룰과 같은 외관을 나타낸다. 상기 결합 상태에 있어서, 중간부 (132) 및 하부 (134) 는, 호젤 구멍 (122) 의 내측에 위치한다.
슬리브 (108) 의 중간부 (132) 의 외면은, 원주면 (150) 을 갖는다. 상기 결합 상태에서는, 원주면 (150) 은, 호젤 구멍 (122) 에 접촉하고 있다. 원주면 (150) 은, 호젤 구멍 (122) 의 원주면 (122a) 에 면 접촉하고 있다. 이 접촉은, 슬리브 (108) 의 유지에 기여하고 있다.
도 16 및 도 17 이 잘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리브 (108) 는, 걸어맞춤 볼록부 (P1) 를 갖는다. 걸어맞춤 볼록부 (P1) 는, 슬리브 (108) 의 하부 (134) 에 형성되어 있다. 이 하부 (134) 의 외면은, 원주 외면 (135) 을 갖는다. 이 원주 외면 (135) 은, 걸어맞춤 부재 (120) 의 내면 (120b) 에 접촉하고 있다 (도 14). 슬리브 (108) 의 하부 (134) 는, 나사 구멍 함유부 (152) 를 갖는다. 나사 구멍 함유부 (152) 는, 나사 구멍 (Ht) 을 포함한다. 또, 도 19 에서는, 나사 구멍 (Ht) 에 있어서의 암나사의 기재가 생략되어 있다.
도 19 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샤프트 구멍 (Hs) 의 중심선 (h1) 은, 슬리브 (108) 의 외면 (원주면 (150)) 의 중심선 (z1) 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도 19 에 나타낸 경사 각도 (θ1) 는, 중심선 (h1) 과 중심선 (z1) 이 이루는 각도이다. 상기 결합 상태에 있어서, 중심선 (z1) 은, 호젤 구멍 (122) 의 중심선과 같다. 샤프트 구멍 (Hs) 의 중심선 (h1) 은, 샤프트 (106) 의 중심선과 같다. 경사 각도 (θ1) 에서 기인하여, 로프트각, 라이각 및 페이스각이 조정될 수 있다.
슬리브 (108) 는, 걸어맞춤 볼록부 (P1) 를 갖는다. 걸어맞춤 볼록부 (P1) 는, 슬리브 (108) 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 볼록부 (P1) 는, 원주면 (135) 에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 볼록부 (P1) 는, 하부 (134) 에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 볼록부 (P1) 는, 하부 (134) 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 볼록부 (P1) 의 상단은, 단차면 (138) 에 위치하고 있다.
슬리브 (108) 에는, 복수의 걸어맞춤 볼록부 (P1) 가 형성되어 있다. 도 18 에 잘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걸어맞춤 볼록부 (P1) 가, 둘레 방향에 있어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걸어맞춤 볼록부 (P1) 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소정 각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4 개의 걸어맞춤 볼록부 (P1) 가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 볼록부 (P1) 는, 둘레 방향의 90°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복수 (4 개) 의 걸어맞춤 볼록부 (P1) 의 형상은 동일하다. 복수의 걸어맞춤 오목부 (R1) 의 사이에서는, 둘레 방향 위치만이 상이하다.
도 21 이 나타낸 바와 같이, 걸어맞춤 오목부 (R1) 는, 걸어맞춤 부재 (120) 의 상단면 (120c) 에서부터 하방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 부재 (120) 에 있어서, 걸어맞춤 오목부 (R1) 는 노치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걸어맞춤 부재 (120) 가 호젤 구멍 (122) 의 내부에 고정되어 있다. 이 결과, 호젤 구멍 (122) 의 내부 (내면) 에 걸어맞춤 오목부 (R1) 가 형성된다.
걸어맞춤 부재 (120) 에서는, 복수의 걸어맞춤 오목부 (R1) 가 형성되어 있다. 도 22 가 잘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걸어맞춤 오목부 (R1) 가, 둘레 방향에 있어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걸어맞춤 오목부 (R1) 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소정 각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4 개의 걸어맞춤 오목부 (R1) 가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 오목부 (R1) 는, 둘레 방향의 90°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복수 (4 개) 의 걸어맞춤 오목부 (R1) 의 형상은 동일하다. 복수의 걸어맞춤 오목부 (R1) 의 사이에서는, 둘레 방향 위치만이 상이하다.
도 14 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어맞춤 부재 (120) 는, 호젤 구멍 (122) (의 하부) 에 고정되어 있다. 걸어맞춤 부재 (120) 는, 호젤 단면 (140) 보다 하측에 위치한다. 걸어맞춤 부재 (120) 는, 호젤 구멍 (122) 의 원주면 (122a) 보다 하측에 위치한다. 걸어맞춤 부재 (120) 의 고정은, 접착, 용접 등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결합 상태에서는, 슬리브 (108) 의 하부 (134) 가, 걸어맞춤 부재 (120) 에 삽입된다 (도 14). 걸어맞춤 부재 (120) 의 내면 (120b) 은, 슬리브 (108) 의 원주면 (135) 에 접촉한다. 걸어맞춤 부재 (120) 는, 하부 (134) 를 유지한다.
또한, 결합 상태에서는, 슬리브 (108) 의 걸어맞춤 볼록부 (P1) 가, 걸어맞춤 부재 (120) 의 걸어맞춤 오목부 (R1) 에 걸어 맞춰져 있다. 걸어맞춤 볼록부 (P1) 의 각각이, 걸어맞춤 오목부 (R1) 의 각각에 걸어 맞춰져 있다. 이 걸어맞춤에 의해, 헤드 (104) 에 대한 슬리브 (108) 의 회전이 규제되어 있다.
도 14 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간 부재 (114) 는, 결합 부재 (120) 와 플랜지 (126) 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결합 부재 (120) 와 플랜지 (126) 사이의 축방향 거리는, 중간 부재 (114) 의 축방향 길이보다 크다. 중간 부재 (114) 는, 호젤 구멍 (122) 에 고정되어 있지 않다. 중간 부재 (114) 는, 결합 부재 (120) 와 플랜지 (126) 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도 14 에 나타낸 결합 상태에서는, 나사 (110) 의 체결에 의한 축력은, 와셔 (116) 및 중간 부재 (114) 를 통해서 결합 부재 (120) 에 전달된다. 결합 부재 (120) 는, 상향의 축력을 받아낸다.
중간 부재 (114) 는, 분리 상태에 있어서의 나사 (110) 의 탈락을 방지한다. 도 14 에 나타낸 결합 상태에서는, 나사 (110) 가 체결되어 있다. 이 나사 (110) 를 풀어가면, 나사 (110) 가 슬리브 (108) 에 대하여 하방으로 이동한다. 좀더 풀어가면, 나사 (110) 의 수나사부 (110a) 가, 중간 부재 (114) 에 도달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중간 부재 (114) 의 내면은 암나사이고, 이 암나사는 수나사부 (110a) 에 적합하게 되어 있다. 나사 (110) 를 풀어가면, 수나사부 (110a) 는 중간 부재 (114) 에 비틀림 결합한다. 수나사부 (110a) 가 나사 구멍 (Ht) 으로부터 이탈할 때, 수나사부 (110a) 는 중간 부재 (114) 에 비틀림 결합되어 있다. 수나사부 (110a) 를 나사 구멍 (Ht) 으로부터 이탈시켜, 슬리브를 가진 샤프트 (112) 를 헤드 (104) 로부터 분리해도, 중간 부재 (114) 에 비틀림 결합된 나사 (110) 는, 헤드 (104) 로부터 이탈하지 않는다. 나사 (110) 가 헤드 (104) 에 유지되기 때문에, 재결합의 작업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나사 (110) 의 분실이 방지된다.
[걸어맞춤 볼록부 (P1) 및 걸어맞춤 오목부 (R1) 의 상세]
이상에서 개시한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헤드에 대한 슬리브의 빠짐 (축방향 이동) 의 규제는, 슬리브와 나사의 결합에 의해 달성되어 있다. 또한, 헤드에 대한 슬리브의 회전 규제는, 걸어맞춤 볼록부 (P1) 와 걸어맞춤 오목부 (R1) 의 걸어맞춤에 의해 달성되어 있다.
이하, 이들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걸어맞춤 볼록부 (P1) 및 걸어맞춤 오목부 (R1) 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의 걸어맞춤 볼록부 (P1)]
도 8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걸어맞춤 볼록부 (P1) 는, 제 1 사이드면 (P11) 과, 제 2 사이드면 (P12) 과, 아우터면 (P13) 을 갖는다. 또한, 걸어맞춤 볼록부 (P1) 는, 하측 에지 (P14) 를 갖는다.
제 1 사이드면 (P11) 은, 걸어맞춤 볼록부 (P1) 의 일방측의 측면이다. 제 2 사이드면 (P12) 은, 걸어맞춤 볼록부 (P1) 의 타방측의 측면이다.
타격시에는, 슬리브 (8) 와 호젤 구멍 (22) 의 사이에, 회전력 (상대 회전력) 이 작용한다. 타점은 샤프트 축선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있다. 따라서, 이 타점에 있어서 볼로부터 페이스가 받는 힘은, 샤프트 축선 둘레의 회전 모멘트를 발생시킨다. 이 회전 모멘트가, 상기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이 회전력은, 걸어맞춤 볼록부 (P1) 와 걸어맞춤 오목부 (R1) 의 사이에 작용한다. 걸어맞춤 볼록부 (P1) 에 있는 2 개의 측면 중, 이 회전력이 작용하는 것은 제 1 사이드면 (P11) 이다. 제 1 사이드면 (P11) 은, 제 2 사이드면 (P12) 과 비교하여, 회전 규제에 대한 기여가 크다.
이와 같이, 제 1 사이드면 (P11) 은, 타격에 의한 회전력을 받는 측에 위치하는 측면이다. 제 2 사이드면 (P12) 은, 제 1 사이드면 (P11) 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측면이다. 특정한 걸어맞춤 볼록부 (P1) 에 있어서, 제 1 사이드면 (P11) 은, 헤드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측면이다 (도 11 참조).
헤드 (4) 는, 오른손잡이용이다. 이 때문에, 헤드 (4) 를 상측 (그립측) 에서 볼 때, 헤드 (4) 는 슬리브 (8) 에 대하여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결과, 슬리브 (8) 를 상측에서 볼 때 (도 11 참조), 특정한 걸어맞춤 볼록부 (P1) 에 있어서, 제 1 사이드면 (P11) 은, 제 2 사이드면 (P12) 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측에 위치한다. 또, 도 9 는, 슬리브 (8) 를 하측에서부터 보고 있다. 이 때문에, 제 1 사이드면 (P11) 은, 제 2 사이드면 (P12) 에 대하여 시계 방향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 8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사이드면 (P11) 은, 슬리브 (8) 의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걸어맞춤 볼록부 (P1) 의 중앙측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져 있다. 제 1 사이드면 (P11) 은, 슬리브 (8) 의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제 2 사이드면 (P12) 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져 있다.
도 8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사이드면 (P12) 은, 슬리브 (8) 의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걸어맞춤 볼록부 (P1) 의 중앙측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져 있다. 제 2 사이드면 (P12) 은, 슬리브 (8) 의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제 1 사이드면 (P11) 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져 있다.
여기서, 설명을 용이하게 한다는 관점에서, 경사의 방향 (플러스 방향 및 마이너스 방향) 이 정의된다. 제 1 사이드면 (P11) 및 제 1 대향면 (R11) 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에서 기인하는 항력이 걸어맞춤 해제 방향으로 작용하는 경사가, 플러스 방향의 경사로 정의된다. 이 플러스 방향의 경사와 반대 방향의 경사가, 마이너스 방향의 경사로 정의된다. 제 1 사이드면 (P11) 및 제 1 대향면 (R11) 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에서 기인하는 항력이 걸어맞춤 방향으로 작용하는 경사가, 마이너스 방향의 경사이다.
또, 본원에 있어서 「걸어맞춤 해제 방향」이란, 걸어맞춤 볼록부 (P1) 를 걸어맞춤 오목부 (R1) 로부터 빼내는 방향을 의미하고, 「걸어맞춤 방향」이란, 걸어맞춤 볼록부 (P1) 를 걸어맞춤 오목부 (R1) 에 삽입하는 (걸어 맞추는) 방향을 의미한다.
본 실시형태와 같은 오른손잡이용의 골프 클럽의 경우, 상측 (그립측) 에서 보아, 슬리브 (8) 의 선단에 가까워질수록 시계 회전 방향을 향하는 경사가, 플러스 방향의 경사이다. 또한, 상측에서 보아, 슬리브 (8) 의 선단에 가까워질수록 반시계 방향으로 향하는 경사가, 마이너스 방향의 경사이다. 왼손잡이용의 골프 클럽의 경우, 상측에서 보아, 슬리브 (8) 의 선단에 가까워질수록 반시계 방향으로 향하는 경사가, 플러스 방향의 경사이다. 또한, 상측에서 보아, 슬리브 (8) 의 선단에 가까워질수록 시계 방향으로 향하는 경사가, 마이너스 방향의 경사이다.
도 8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리브 (8) 의 제 1 사이드면 (P11) 은, 플러스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또한, 슬리브 (8) 의 제 2 사이드면 (P12) 은, 마이너스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제 1 사이드면 (P11) 과 제 2 사이드면 (P12) 의 간격은, 슬리브 (8) 의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작아져 있다. 이 구성에 의해, 걸어맞춤 볼록부 (P1) 에는, 테이퍼 볼록부 (TP1) 가 형성되어 있다.
도 8 및 도 9 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우터면 (P13) 은, 제 1 사이드면 (P11) 과 제 2 사이드면 (P12) 의 사이로 연장되어 있다. 도 9 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우터면 (P13) 은, 원주면이다. 도 8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우터면 (P13) 은, 슬리브 (8) 의 선단에 가까워질수록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도록 경사지는 아우터 사면 (K13) 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아우터면 (P13) 의 전체가 아우터 사면 (K13) 이다. 아우터면 (P13) 은, 원추 볼록면이다. 하측 에지 (P14) 에 있어서, 걸어맞춤 볼록부 (P1) 의 높이는 제로이다.
[제 1 실시형태의 걸어맞춤 오목부 (R1)]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걸어맞춤 오목부 (R1) 는, 제 1 대향면 (R11) 과, 제 2 대향면 (R12) 과, 이너면 (R13) 을 갖는다. 또한, 걸어맞춤 오목부 (R1) 는, 하측 에지 (R14) 를 갖는다 (도 4, 도 5 및 도 6 참조).
제 1 대향면 (R11) 은, 걸어맞춤 오목부 (R1) 의 일방측의 측면이다. 제 2 대향면 (R12) 은, 걸어맞춤 오목부 (R1) 의 타방측의 측면이다.
결합 상태에 있어서, 제 1 대향면 (R11) 은, 제 1 사이드면 (P11) 에 대향하는 면이다. 제 1 대향면 (R11) 은, 제 1 사이드면 (P11) 에 접촉하고 있다. 이 접촉은, 면 접촉이어도 되고, 선 접촉이어도 되며, 점 접촉이어도 된다.
결합 상태에 있어서, 제 2 대향면 (R12) 은, 제 2 사이드면 (P12) 에 대향하는 면이다. 제 2 대향면 (R12) 은, 제 2 사이드면 (P12) 에 접촉하고 있다. 이 접촉은, 면 접촉이어도 되고, 선 접촉이어도 되며, 점 접촉이어도 된다.
전술한 회전력은, 제 1 대향면 (R11) 으로부터 제 1 사이드면 (P11) 에 전달된다. 제 1 사이드면 (P11) 은, 이 회전력을 받는다. 제 1 사이드면 (P11) 과 제 1 대향면 (R11) 의 사이에서, 이 회전력이 상쇄되어 있다. 제 1 대향면 (R11) 과 제 1 사이드면 (P11) 의 걸어맞춤에 의해, 슬리브 (8) 의 회전이 저지되고 있다.
이와 같이, 2 개의 사이드면 (P11, P12) 중, 제 1 사이드면 (P11) 은, 타격에 의한 회전력을 받는 측에 위치한다. 제 1 대향면 (R11) 은, 이 제 1 사이드면 (P11) 에 대향하고 있다.
헤드 (4) 는, 오른손잡이용이다. 이 때문에, 헤드 (4) 를 상측 (그립측) 에서부터 볼 때, 헤드 (4) 는 슬리브 (8) 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결과, 호젤 구멍 (22) 을 상측에서 볼 때 (도 5 참조), 특정한 걸어맞춤 오목부 (R1) 에 있어서, 제 1 대향면 (R11) 은, 제 2 대향면 (R12) 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측에 위치한다.
도 6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대향면 (R11) 은, 슬리브 (8) 의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걸어맞춤 오목부 (R1) 의 중앙측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져 있다. 제 1 대향면 (R11) 은, 슬리브 (8) 의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제 2 대향면 (R12) 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져 있다.
도 6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대향면 (R12) 은, 슬리브 (8) 의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걸어맞춤 오목부 (R1) 의 중앙측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져 있다. 제 2 대향면 (R12) 은, 슬리브 (8) 의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제 1 대향면 (R11) 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져 있다. 슬리브 (8) 의 제 1 대향면 (R11) 은, 플러스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슬리브 (8) 의 제 2 대향면 (R12) 은, 마이너스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제 1 대향면 (R11) 과 제 2 대향면 (R12) 의 간격은, 슬리브 (8) 의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작아져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 1 대향면 (R11) 과 제 2 대향면 (R12) 의 간격은, 하측으로 갈수록 작아져 있다. 이 구성에 의해, 걸어맞춤 오목부 (R1) 에는, 테이퍼 오목부 (TR1) 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 상태에 있어서, 이너면 (R13) 은, 아우터면 (P13) 에 대향하는 면이다 (도 3 참조). 이너면 (R13) 은, 아우터면 (P13) 에 접촉하고 있다. 이 접촉은, 면 접촉이어도 되고, 선 접촉이어도 되며, 점 접촉이어도 된다. 도 3 의 실시형태에서는, 이너면 (R13) 과 아우터면 (P13) 의 접촉은 면 접촉이다.
도 4, 도 5 및 도 6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너면 (R13) 은, 제 1 대향면 (R11) 과 제 2 대향면 (R12) 의 사이로 연장되어 있다. 도 5 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너면 (R13) 은 원주면이다. 도 3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너면 (R13) 은, 슬리브 (8) 의 선단에 가까워질수록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도록 경사지는 이너 사면 (J13) 을 갖는다. 이너 사면 (J13) 은,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너면 (R13) 의 전체가, 이너 사면 (J13) 이다. 이너면 (R13) 은, 원추 오목면이다. 하측 에지 (R14) 에 있어서, 걸어맞춤 오목부 (R1) 의 깊이는 제로이다.
[제 2 실시형태의 걸어맞춤 볼록부 (P1)]
제 2 실시형태에서는, 걸어맞춤 볼록부 (P1) 및 걸어맞춤 오목부 (R1) 의 위치가, 제 1 실시형태의 그것과는 상이하지만, 걸어맞춤 오목부 (R1) 및 걸어맞춤 볼록부 (P1) 의 형상 및 기능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도 17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걸어맞춤 볼록부 (P1) 는, 제 1 사이드면 (P11) 과, 제 2 사이드면 (P12) 과, 아우터면 (P13) 을 갖는다. 또한, 걸어맞춤 볼록부 (P1) 는, 하측 에지 (P14) 를 갖는다.
제 1 사이드면 (P11) 은, 걸어맞춤 볼록부 (P1) 의 일방측의 측면이다. 제 2 사이드면 (P12) 은, 걸어맞춤 볼록부 (P1) 의 타방측의 측면이다.
제 1 사이드면 (P11) 은, 타격에 의한 회전력을 받는 측에 위치한다. 제 2 사이드면 (P12) 은, 제 1 사이드면 (P11) 의 반대측에 위치한다.
도 16 및 도 17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사이드면 (P11) 은, 슬리브 (8) 의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걸어맞춤 볼록부 (P1) 의 중앙측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져 있다. 제 1 사이드면 (P11) 은, 슬리브 (108) 의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제 2 사이드면 (P12) 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져 있다.
제 2 사이드면 (P12) 은, 슬리브 (8) 의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걸어맞춤 볼록부 (P1) 의 중앙측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져 있다. 제 2 사이드면 (P12) 은, 슬리브 (108) 의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제 1 사이드면 (P11) 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져 있다.
슬리브 (108) 의 제 1 사이드면 (P11) 은, 플러스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슬리브 (108) 의 제 2 사이드면 (P12) 은, 마이너스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제 1 사이드면 (P11) 과 제 2 사이드면 (P12) 의 간격은, 슬리브 (8) 의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작아져 있다. 이 구성에 의해, 걸어맞춤 볼록부 (P1) 에는, 테이퍼 볼록부 (TP1) 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걸어맞춤 볼록부 (P1) 의 전체가 테이퍼 볼록부 (TP1) 이다.
아우터면 (P13) 은, 제 1 사이드면 (P11) 과 제 2 사이드면 (P12) 의 사이로 연장되어 있다. 도 18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우터면 (P13) 은, 원주면이다. 도 19 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우터면 (P13) 은, 슬리브 (8) 의 선단에 가까워질수록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도록 경사지는 아우터 사면 (K13) 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아우터면 (P13) 의 전체가, 아우터 사면 (K13) 이다. 아우터면 (P13) 은, 원추 볼록면이다. 하측 에지 (P14) 에 있어서, 걸어맞춤 볼록부 (P1) 의 높이는 제로는 아니다.
[제 2 실시형태의 걸어맞춤 오목부 (R1)]
제 2 실시형태에서는, 걸어맞춤 오목부 (R1) 는, 헤드 본체와는 별도로 성형된 부재 (걸어맞춤 부재 (120)) 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이 부재를 헤드 본체에 고정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 걸어맞춤 오목부 (R1) 는, 호젤 구멍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 걸어맞춤 오목부 (R1) 는, 호젤 단면보다 하측에 형성되어 있다.
도 21 및 도 22 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걸어맞춤 오목부 (R1) 는, 제 1 대향면 (R11) 과, 제 2 대향면 (R12) 을 갖는다. 또한, 걸어맞춤 오목부 (R1) 는, 하측 에지 (저면) (R14) 를 갖는다.
제 1 대향면 (R11) 은, 걸어맞춤 오목부 (R1) 의 일방측의 측면이다. 제 2 대향면 (R12) 은, 걸어맞춤 오목부 (R1) 의 타방측의 측면이다.
결합 상태에 있어서, 제 1 대향면 (R11) 은, 제 1 사이드면 (P11) 에 대향하는 면이다. 제 1 대향면 (R11) 은, 제 1 사이드면 (P11) 에 접촉하고 있다. 이 접촉은, 면 접촉이어도 되고, 선 접촉이어도 되며, 점 접촉이어도 된다.
결합 상태에 있어서, 제 2 대향면 (R12) 은, 제 2 사이드면 (P12) 에 대향하는 면이다. 제 2 대향면 (R12) 은, 제 2 사이드면 (P12) 에 접촉하고 있다. 이 접촉은, 면 접촉이어도 되고, 선 접촉이어도 되며, 점 접촉이어도 된다.
전술한 회전력은, 제 1 대향면 (R11) 으로부터 제 1 사이드면 (P11) 에 전달된다. 제 1 사이드면 (P11) 은, 이 회전력을 받는다. 제 1 사이드면 (P11) 과 제 1 대향면 (R11) 의 사이에서, 이 회전력이 상쇄되어 있다. 제 1 대향면 (R11) 과 제 1 사이드면 (P11) 의 걸어맞춤에 의해, 슬리브 (108) 의 회전이 저지되고 있다.
도 21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대향면 (R11) 은, 슬리브 (108) 의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걸어맞춤 오목부 (R1) 의 중앙측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져 있다. 제 1 대향면 (R11) 은, 슬리브 (8) 의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제 2 대향면 (R12) 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져 있다.
도 21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대향면 (R12) 은, 슬리브 (108) 의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걸어맞춤 오목부 (R1) 의 중앙측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져 있다. 제 2 대향면 (R12) 은, 슬리브 (108) 의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제 1 대향면 (R11) 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져 있다.
슬리브 (108) 의 제 1 대향면 (R11) 은, 플러스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또한, 슬리브 (108) 의 제 2 대향면 (R12) 은, 마이너스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제 1 대향면 (R11) 과 제 2 대향면 (R12) 의 간격은, 슬리브 (8) 의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작아져 있다. 이 구성에 의해, 걸어맞춤 오목부 (R1) 에는, 테이퍼 오목부 (TR1) 가 형성되어 있다. 하측 에지 (R14) 에 있어서, 걸어맞춤 오목부 (R1) 는 직경 방향으로 폭을 갖는 저면을 포함한다.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이너면 (R13) 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단, 도 21 과 같이, 노치상의 걸어맞춤 오목부 (R1) 를 갖는 걸어맞춤 부재 (120) 가 사용된 경우라도, 이너면 (R13) 을 형성하는 것은 가능하다. 예를 들어, 걸어맞춤 부재 (120) 가 고정되는 위치에 있어서의 호젤 구멍 (122) 의 내면이면서, 제 1 대향면 (R11) 과 제 2 대향면 (R12) 의 사이에 위치하는 면을, 이너면 (R13) 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도 23 은, 변형예의 슬리브 (208) 의 측면도이다. 제 1 사이드면 (P11) 의 각도를 제외하고, 슬리브 (208) 는, 전술한 슬리브 (8) 와 동일하다. 도 24 는, 이 슬리브 (208) 에 적합한 헤드 본체 (218) 의 단면도이다. 제 1 대향면 (R11) 의 각도를 제외하고, 헤드 본체 (218) 는, 전술한 헤드 본체 (18) 와 동일하다.
도 23 에 있어서 2 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것은, 제 1 사이드면 (P11) 의 연장 방향이다. 슬리브 (208) 에서는, 제 1 사이드면 (P11) 이, 축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제 1 사이드면 (P11) 은, 축방향에 대하여 평행하다. 제 1 사이드면 (P11) 은, 플러스 방향으로 경사져 있지 않다. 제 1 사이드면 (P11) 은, 마이너스 방향으로 경사져 있지 않다.
도 24 에 있어서 2 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것은, 제 1 대향면 (R11) 의 연장 방향이다. 헤드 본체 (218) 에서는, 제 1 대향면 (R11) 이, 축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제 1 대향면 (R11) 은, 축방향에 대하여 평행하다. 제 1 대향면 (R11) 은, 플러스 방향으로 경사져 있지 않다. 제 1 대향면 (R11) 은, 마이너스 방향으로 경사져 있지 않다.
[걸어맞춤 볼록부 (P1) 및 걸어맞춤 오목부 (R1) 의 효과]
상기 서술한 각 실시형태에 기재된 걸어맞춤 볼록부 (P1) 및 걸어맞춤 오목부 (R1) 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걸어맞춤 오목부 (R1) 와 걸어맞춤 볼록부 (P1) 의 걸어맞춤에 의해, 호젤 구멍에 대한 슬리브의 회전이 규제된다.
걸어맞춤 볼록부 (P1) 가, 테이퍼 볼록부 (TP1) 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걸어맞춤 볼록부 (P1) 가 걸어맞춤 오목부 (R1) 로 들어가기 쉽다. 이 결과, 헤드에 대한 슬리브 (샤프트) 의 착탈이 용이해지며, 또한 결합 상태가 확실하게 달성될 수 있다.
걸어맞춤 오목부 (R1) 가, 테이퍼 오목부 (TR1) 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걸어맞춤 오목부 (R1) 가 걸어맞춤 볼록부 (P1) 를 받아들이기 쉽다. 이 결과, 헤드에 대한 슬리브 (샤프트) 의 착탈이 용이해지며, 또한 결합 상태가 확실하게 달성될 수 있다.
[회전 방향 고정 효과 1]
테이퍼 볼록부 (TP1) 를 걸어맞춤 오목부 (R1) 에 삽입함으로써, 제 1 사이드면 (P11) 과 제 1 대향면 (R11) 의 사이의 미세한 간극 (회전 방향 간극이라고도 한다) 을 해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슬리브와 호젤 구멍의 사이의 극히 미소한 상대 회전이 방지된다. 본원에 있어서, 이 효과가 회전 방향 고정 효과로도 불리운다.
[회전 방향 고정 효과 2]
걸어맞춤 볼록부 (P1) 를 테이퍼 오목부 (TR1) 에 삽입함으로써, 회전 방향 간극을 해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슬리브와 호젤 구멍의 사이의 극히 미소한 상대 회전이 방지된다.
[회전 방향 고정 효과 3]
테이퍼 볼록부 (TP1) 를 테이퍼 오목부 (TR1) 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회전 방향 고정 효과 1 과 회전 방향 고정 효과 2 의 상승 효과가 발생한다. 이 때문에, 회전 방향 간극이 보다 확실하게 해소된다.
[직경 방향 고정 효과 1]
전술한 바와 같이, 걸어맞춤 볼록부 (P1) 의 아우터면 (P13) 에 아우터 사면 (K13) 이 형성되어 있다. 아우터 사면 (K13) 을 갖는 걸어맞춤 볼록부 (P1) 를 걸어맞춤 오목부 (R1) 에 삽입함으로써, 아우터면 (P13) 과 이너면 (R13) 의 사이의 미세한 간극 (직경 방향 간극이라고도 한다) 을 해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슬리브와 호젤 구멍의 사이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미소한 덜컥거림이 방지된다. 본원에 있어서, 이 효과가, 직경 방향 고정 효과로도 불리운다.
[직경 방향 고정 효과 2]
전술한 바와 같이, 걸어맞춤 오목부 (R1) 의 이너면 (R13) 에 이너 사면 (J13)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이너 사면 (J13) 을 갖는 걸어맞춤 오목부 (R1) 에 걸어맞춤 볼록부 (P1) 를 삽입함으로써, 직경 방향 간극을 해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슬리브와 호젤 구멍의 사이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미소한 덜컥거림이 방지된다.
[직경 방향 고정 효과 3]
아우터 사면 (K13) 을 갖는 걸어맞춤 볼록부 (P1) 를, 이너 사면 (J13) 을 갖는 걸어맞춤 오목부 (R1) 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직경 방향 고정 효과 1 과 상기 직경 방향 고정 효과 2 의 상승 효과가 발생한다. 이 상승 효과에 의해, 직경 방향 간극이 보다 확실하게 해소된다.
도 25 는, 변형예에 관련된 걸어맞춤 볼록부 (P1) 및 걸어맞춤 오목부 (R1) 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5 에 있어서 양 화살표 WP1 로 나타내는 것은, 테이퍼 볼록부 (TP1) 의 최대폭이다. 도 25 에 있어서 양 화살표 WR1 로 나타내는 것은, 걸어맞춤 오목부 (R1) 의 개구폭이다. 이 개구폭 (WR1) 은, 걸어맞춤 볼록부 (P1) 와 걸어맞춤할 수 있는 부분에 있어서의 걸어맞춤 오목부 (R1) 의 최대폭이다. 이 개구폭 (WR1) 은, 걸어맞춤 볼록부 (P1) 와 걸어맞춤할 수 있는 부분에 있어서의 걸어맞춤 오목부 (R1) 의 상단의 폭이다.
회전 방향 고정 효과의 관점에서, 최대폭 (WP1) 은, 개구폭 (WR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개구폭 (WR1)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걸어맞춤 볼록부 (P1) 의 걸어맞춤 오목부 (R1) 로의 삽입이 확실해져, 회전 방향 간극이 보다 확실하게 해소된다.
회전 방향 고정 효과의 관점에서, 차 [WP1-WR1] 는, 0.05 ㎜ 이상이 바람직하고, 0.1 ㎜ 이상이 바람직하다. 차 [WP1-WR1] 가 과대한 경우, 호젤 단면과 슬리브의 단차면의 사이의 간극이 커져, 외관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 관점에서, 차 [WP1-WR1] 는 4.0 ㎜ 이하가 바람직하고, 2.0 ㎜ 이하가 바람직하다.
도 25 에 있어서 양 화살표 DP1 로 나타내고 있는 것은, 걸어맞춤 볼록부 (P1) 의 삽입 가능 길이이다. 이 길이 (DP1) 는, 걸어맞춤 오목부 (R1) 에 가장 깊숙이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의 걸어맞춤 볼록부 (P1) 의 삽입 길이이다. 도 25 에 있어서 양 화살표 DR1 로 나타내고 있는 것은, 걸어맞춤 오목부 (R1) 의 축방향 깊이이다.
회전 방향 고정 효과의 관점에서는, 깊이 (DR1) 는, 길이 (DP1)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하측 에지 (P14) 와 하측 에지 (R14) 의 맞닿음에서 기인하는, 제 1 사이드면 (P11) 과 제 1 대향면 (R11) 사이의 접촉압의 저하가 억제된다. 이 때문에, 걸어맞춤 볼록부 (P1) 의 걸어맞춤 오목부 (R1) 로의 삽입이 확실해져, 회전 방향 간극이 보다 확실하게 해소된다.
회전 방향 간극을 해소하는 관점에서, 다음 구성 (a) 가 바람직하다.
(a) 결합 상태에 있어서, 걸어맞춤 볼록부 (P1) 의 하측 에지 (P14) 와 걸어맞춤 오목부 (R1) 의 하측 에지 (R14) 의 사이에 간극이 존재한다.
이 구성 (a) 에 의해, 걸어맞춤 볼록부 (P1) 의 걸어맞춤 오목부 (R1) 로의 삽입이 확실해져, 회전 방향 고정 효과가 보다 확실하게 해소된다.
회전 방향 간극 및 직경 방향 간극을 해소하는 관점에서, 다음 구성 (b) 또는 구성 (c) 가 채용되어도 된다.
(b) 결합 상태에 있어서, 걸어맞춤 볼록부 (P1) 와 걸어맞춤 오목부 (R1) 의 사이의 접촉은, 제 1 사이드면 (P11) 과 제 1 대향면 (R11) 의 접촉, 제 2 사이드면 (P12) 과 제 2 대향면 (R12) 의 접촉, 및, 아우터면 (P13) 과 이너면 (R13) 의 접촉에 한정되어 있다.
(c) 결합 상태에 있어서, 걸어맞춤 볼록부 (P1) 와 걸어맞춤 오목부 (R1) 의 사이의 접촉은, 테이퍼 볼록부 (TP1) 와 테이퍼 오목부 (TR1) 의 접촉, 및, 아우터 사면 (K13) 과 이너 사면 (J13) 의 접촉에 한정되어 있다.
회전 방향 간극을 해소하는 관점에서, 다음 구성 (d) 가 바람직하다.
(d) 결합 상태에 있어서, 나사의 축력에서 기인하여, 제 1 사이드면 (P11) 과 제 1 대향면 (R11) 의 사이에 접촉압이 발생되어 있다.
직경 방향 간극을 해소하는 관점에서, 다음 구성 (e) 가 바람직하다.
(e) 결합 상태에 있어서, 나사의 축력에서 기인하여, 아우터 사면 (K13) 과 이너 사면 (J13) 의 사이에 접촉압이 발생되어 있다.
본 발명자는, 슬리브를 사용한 종래의 클럽에서는, 타구시의 위화감이 생기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위화감은, 슬리브와 호젤 구멍의 사이에서 비틀림이 발생된 것과 같은 감각 (트위스트감) 이다. 그리고, 이 위화감이, 미소한 회전 방향 간극 및 미소한 직경 방향 간극에서 기인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의해, 이 타구시의 위화감이 해소될 수 있다.
[축방향 어긋남]
또한, 본 발명자는, 회전 방향 간극 및 직경 방향 간극 외에도, 상기 위화감을 발생시키는 요인이 존재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제 1 사이드면 (P11) 이 플러스 방향의 각도를 갖는 사면인 경우, 이 사면으로부터의 항력은, 걸어맞춤 해제 방향으로 작용한다. 이 때문에, 걸어맞춤 볼록부 (P1) 는, 걸어맞춤 오목부 (R1) 에 대하여, 축방향 상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이동이, 축방향 어긋남으로도 불리운다. 이 축방향 어긋남은, 걸어맞춤 오목부 (R1) 와 걸어맞춤 볼록부 (P1) 의 걸어맞춤을 불확실하게 한다.
이 축방향 어긋남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다음 구성 (f), (g) 또는 (h) 가 바람직하다.
(f) 제 1 사이드면 (P11) 이 축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도 23 참조).
(g) 제 1 대향면 (R11) 이 축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도 24 참조).
(h) 제 1 사이드면 (P11) 이 축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으며, 또한, 이 제 1 사이드면 (P11) 에 맞닿는 제 1 대향면 (R11) 이 축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후술하는 도 26(a) 참조).
축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면은, 걸어맞춤 해제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이 때문에, 축방향 어긋남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구성 (h) 는 효과적이다. 구성 (h) 의 경우, 서로 축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 1 사이드면 (P11) 및 제 1 대향면 (R11) 이 면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축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면은, 회전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면이기 때문에, 회전 방향의 힘을 확실하게 받아낼 수 있다. 또한, 걸어맞춤 해제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축방향 어긋남이 방지된다.
상기 구성 (f) 또는 (g) 로도 충분한 효과가 생길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성 (f) 에 있어서, 당해 제 1 사이드면 (P11) 에 맞닿는 제 1 대향면 (R11) 이 플러스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경우를 생각한다. 이 경우, 제 1 대향면 (R11) 이 걸어맞춤 해제 방향의 힘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제 1 사이드면 (P11) 과 제 1 대향면 (R11) 의 접촉이 면 접촉이 되지 않고, 점 접촉 또는 선 접촉이 된다. 이 때문에, 접촉압이 증대되어, 마찰력이 증대된다. 이 결과, 제 1 사이드면 (P11) 과 제 1 대향면 (R11) 의 사이의 슬라이딩이 억제되어, 상기 축방향 어긋남이 억제된다.
이와 같이, 축방향 어긋남을 방지하는 관점에서는, 다음 구성 (i) 가 바람직하다.
(i) 결합 상태에 있어서, 제 1 사이드면 (P11) 과 제 1 대향면 (R11) 의 접촉이, 점 접촉 또는 선 접촉이다.
상기 (i) 를 달성하는 관점에서는, 다음 구성 (j) 가 채용되어도 된다.
(j) 결합 상태에 있어서, 제 1 사이드면 (P11) 과 제 1 대향면 (R11) 이 평행하지 않다.
축방향 어긋남을 방지하는 관점에서는, 다음 구성 (k), (m) 또는 (n) 도 바람직하다.
(k) 제 1 사이드면 (P11) 이 마이너스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m) 제 1 대향면 (R11) 이 마이너스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n) 제 1 사이드면 (P11) 이 마이너스 방향으로 경사져 있으며, 또한 이 제 1 사이드면 (P11) 에 맞닿는 제 1 대향면 (R11) 이 마이너스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마이너스 방향으로의 경사에 의해, 상기 회전력이 걸어맞춤 방향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축방향 어긋남이 방지된다.
도 26(a), 도 26(b), 도 26(c), 도 27(a) 및 도 27(b) 는, 변형예에 관련된 걸어맞춤 볼록부 (P1) 및 걸어맞춤 오목부 (R1) 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6(a) 의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사이드면 (P11) 이 축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제 1 대향면 (R11) 도, 축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제 2 사이드면 (P12) 은 마이너스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제 2 대향면 (R12) 은 마이너스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제 1 사이드면 (P11) 및 제 1 대향면 (R11) 이 축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력이 작용하더라도 축방향 어긋남은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축방향에 따른 면끼리의 맞닿음에 의해, 이 축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작용하는 회전력을 확실하게 받아낼 수 있다. 따라서, 회전 방향 고정 효과가 높아진다.
도 26(b) 의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사이드면 (P11) 이 축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제 1 대향면 (R11) 은, 마이너스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제 2 사이드면 (P12) 은 마이너스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제 2 대향면 (R12) 은 마이너스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제 1 사이드면 (P11) 과 제 1 대향면 (R11) 은 평행하지 않다. 결합 상태에 있어서, 제 1 사이드면 (P11) 과 제 1 대향면 (R11) 의 접촉은, 점 접촉 또는 선 접촉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축방향 어긋남이 방지된다.
도 26(c) 의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대향면 (R11) 이 축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제 1 사이드면 (P11) 은, 플러스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제 2 사이드면 (P12) 은 마이너스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제 2 대향면 (R12) 은 마이너스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제 1 사이드면 (P11) 과 제 1 대향면 (R11) 은 평행하지 않다. 결합 상태에 있어서, 제 1 사이드면 (P11) 과 제 1 대향면 (R11) 의 접촉은, 점 접촉 또는 선 접촉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축방향 어긋남이 방지된다. 제 1 사이드면 (P11) 이 플러스 방향으로 경사져 있지만, 접촉압의 증대에서 기인하여 마찰력이 크다. 이 때문에, 제 1 사이드면 (P11) 과 제 1 대향면 (R11) 의 사이의 슬라이딩이 발생하기 어렵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축방향 어긋남이 방지된다.
도 27(a) 의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사이드면 (P11) 이 마이너스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제 1 대향면 (R11) 은, 마이너스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제 2 사이드면 (P12) 은 마이너스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제 2 대향면 (R12) 은 마이너스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축방향 어긋남이 방지된다.
제 1 사이드면 (P11) 의 경사 각도는, 제 2 사이드면 (P12) 의 경사 각도보다 작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에서도, 걸어맞춤 볼록부 (P1) 는, 테이퍼 볼록부 (TP1) 로 되어 있다. 제 1 대향면 (R11) 의 경사 각도는, 제 2 대향면 (R12) 의 경사 각도보다 작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에서도, 걸어맞춤 오목부 (R1) 는, 테이퍼 오목부 (TR1) 로 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걸어맞춤 볼록부 (P1) 를 걸어맞춤 오목부 (R1) 에 삽입할 때에, 슬리브를 (미소하게) 회전시킨다.
도 27(a) 의 실시형태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사이드면 (P11) 과 제 2 사이드면 (P12) 이 같은 방향으로 경사져 있어도, 테이퍼 볼록부 (TP1) 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대향면 (R11) 과 제 2 대향면 (R12) 이 같은 방향으로 경사져 있어도, 테이퍼 오목부 (TR1) 는 형성될 수 있다.
도 27(b) 의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사이드면 (P11) 이 축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제 1 대향면 (R11) 은, 플러스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제 2 사이드면 (P12) 은 마이너스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제 2 대향면 (R12) 은 마이너스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결합 상태에 있어서, 제 1 사이드면 (P11) 과 제 1 대향면 (R11) 의 접촉은, 점 접촉 또는 선 접촉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축방향 어긋남이 방지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대향면 (R11) 은 플러스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그러나, 점 접촉 또는 선 접촉에서 기인하여, 접촉압이 증대되어, 마찰력이 크다. 이 때문에, 제 1 사이드면 (P11) 과 제 1 대향면 (R11) 의 사이의 슬라이딩이 잘 생기지 않는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축방향 어긋남이 방지된다.
걸어맞춤 볼록부 (P1) 의 수는, 1 개여도 되고, 2 개 이상이어도 된다. 1 개여도, 회전 방향 고정 효과 등의 상기 효과가 나타난다. 복수의 걸어맞춤 볼록부 (P1) 가 형성되는 경우, 이들 걸어맞춤 볼록부 (P1) 는, 둘레 방향으로 균등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어맞춤 오목부 (R1) 의 수는, 걸어맞춤 볼록부 (P1) 의 수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걸어맞춤 볼록부 (P1) 의 재질로서, 금속 및 수지가 예시된다. 이 금속으로서, 티탄 합금, 스테인리스강, 알루미늄 합금 및 마그네슘 합금이 예시된다. 강도 및 경량성의 관점에서, 알루미늄 합금 및 티탄 합금이 바람직하다. 수지로는,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또는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불리고 있는 수지가 바람직하다. 걸어맞춤 볼록부 (P1) 를 갖는 슬리브는, 단조, 주조, 프레스, NC 가공 및 이들의 조합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걸어맞춤 오목부 (R1) 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재질로서, 금속 및 수지가 예시된다. 이 금속으로서, 티탄 합금, 스테인리스강, 알루미늄 합금 및 마그네슘 합금이 예시된다. 강도 및 경량성의 관점에서, 알루미늄 합금 및 티탄 합금이 바람직하다. 수지로는,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또는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불리고 있는 수지가 바람직하다. 걸어맞춤 볼록부 (P1) 를 갖는 헤드는, 단조, 주조, 프레스, NC 가공 및 이들의 조합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제 2 실시형태와 같이, 헤드 본체와는 별도 부재인 걸어맞춤 부재 (120) 를 사용함으로써, 걸어맞춤 오목부 (R1) 의 가공이 용이해진다.
상기 서술한 개시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우위성은 분명하다.
이상 설명된 골프 클럽은, 아이언, 하이브리드, 우드 등의 모든 타입의 골프 클럽에 적용될 수 있다.
2, 102 : 골프 클럽
4, 104 : 헤드
6, 106 : 샤프트
8, 108, 208 : 슬리브
10, 110 : 나사
22 : 호젤 구멍
120 : 걸어맞춤 부재
P1 : 걸어맞춤 볼록부
P11 : 제 1 사이드면
P12 : 제 2 사이드면
P13 : 아우터면
K13 : 아우터 사면
P14 : 하측 에지
TP1 : 테이퍼 볼록부
R1 : 걸어맞춤 오목부
R11 : 제 1 대향면
R12 : 제 2 대향면
R13 : 이너면
J13 : 이너 사면
R14 : 하측 에지
TR1 : 테이퍼 오목부

Claims (8)

  1. 샤프트와,
    호젤 구멍을 갖는 헤드와,
    상기 샤프트의 선단부에 고정된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에 비틀림 결합할 수 있는 나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슬리브가, 걸어맞춤 볼록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헤드가, 걸어맞춤 오목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걸어맞춤 볼록부와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의 걸어맞춤에 기초하여, 상기 슬리브의 상기 호젤 구멍에 대한 회전이 규제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호젤 구멍에 삽입된 상기 슬리브와 상기 나사의 결합에 기초하여, 상기 슬리브의 상기 호젤 구멍에 대한 빠짐이 규제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걸어맞춤 볼록부가, 타격에 의한 회전력을 받는 측에 위치하는 제 1 사이드면과, 상기 제 1 사이드면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 2 사이드면과, 상기 제 1 사이드면과 상기 제 2 사이드면의 사이로 연장되는 아우터면을 가지고 있고,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가, 상기 제 1 사이드면에 대향하는 제 1 대향면과, 상기 제 2 사이드면에 대향하는 제 2 대향면과, 상기 아우터면에 대향하는 이너면을 가지고 있고,
    상기 걸어맞춤 볼록부가, 상기 제 1 사이드면과 상기 제 2 사이드면의 간격이 상기 슬리브의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작아짐으로써 형성된 테이퍼 볼록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테이퍼 볼록부의 최대폭이,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의 개구폭 이상이고,
    상기 아우터면이, 상기 슬리브의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는 아우터 사면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 1 사이드면과 상기 아우터면의 경계에 에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사이드면과 상기 아우터면의 경계에 에지가 형성되어 있는 골프 클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가, 상기 제 1 대향면과 상기 제 2 대향면의 간격이 상기 슬리브의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작아짐으로써 형성된 테이퍼 오목부를 가지고 있는 골프 클럽.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면이, 상기 슬리브의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는 이너 사면을 가지고 있는 골프 클럽.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이드면 및 상기 제 1 대향면 중의 적어도 일방이, 축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는 골프 클럽.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 볼록부의 최대폭이,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의 개구폭보다 큰 골프 클럽.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의 축 방향 깊이가, 상기 걸어맞춤 볼록부의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로의 삽입 가능 길이보다 큰 골프 클럽.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 볼록부가, 상기 헤드의 내주면에 면 접촉하고 있는 상기 슬리브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골프 클럽.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가, 그 하측에 개구되는 나사 구멍을 가지고 있고,
    상기 헤드의 헤드 본체가, 상기 호젤 구멍의 바닥부를 관통하여 상기 헤드의 솔에 도달하는 관통 구멍을 가지고 있고,
    상기 나사가 상기 관통 구멍에 삽입 통과되어 상기 나사 구멍에 비틀림 결합되어 있는 골프 클럽.
KR1020170144520A 2016-12-29 2017-11-01 골프 클럽 KR1024137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257165A JP6790821B2 (ja) 2016-12-29 2016-12-29 ゴルフクラブ
JPJP-P-2016-257165 2016-12-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134A KR20180078134A (ko) 2018-07-09
KR102413746B1 true KR102413746B1 (ko) 2022-06-27

Family

ID=60480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4520A KR102413746B1 (ko) 2016-12-29 2017-11-01 골프 클럽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307646B2 (ko)
EP (1) EP3342469B1 (ko)
JP (1) JP6790821B2 (ko)
KR (1) KR102413746B1 (ko)
CN (1) CN10826173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54296B2 (en) 2011-08-31 2023-01-17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Golf club heads with golf coupling mechanisms
US9868035B2 (en) * 2011-08-31 2018-01-16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Golf clubs with hosel inserts and related methods
US11607590B2 (en) 2011-08-31 2023-03-21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Golf club heads with hosel inserts and related methods
US11617926B2 (en) * 2021-03-09 2023-04-04 Acushnet Company Golf club head with hosel hole cover
US11433285B1 (en) * 2021-03-09 2022-09-06 Acushnet Company Golf club head with hosel hole cover
WO2023147398A2 (en) * 2022-01-26 2023-08-03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Golf club head with lightweight shaft-receiving structur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52237A (ja) * 2011-08-31 2013-03-21 Karsten Manufacturing Corp ゴルフクラブヘッド及びそれに関連す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67556A (en) * 1935-10-29 1937-01-12 William L Wettlaufer Golf club
US2219670A (en) * 1939-01-25 1940-10-29 William L Wettlaufer Golf club
JPH04156869A (ja) * 1990-10-19 1992-05-29 Kawasaki Atsushi ゴルフクラブ
US7887431B2 (en) * 2008-05-16 2011-02-15 Taylor Made Golf Company, Inc. Golf club
US8303431B2 (en) * 2008-05-16 2012-11-06 Taylor Made Golf Company, Inc. Golf club
WO2005118080A1 (en) * 2004-06-03 2005-12-15 Anthony John Garduno Golf club
KR100658947B1 (ko) * 2004-11-05 2006-12-19 남재웅 골프클럽 헤드의 각도조절장치
US7326126B2 (en) * 2004-11-17 2008-02-05 Callaway Golf Company Iron-type golf club with interchangeable head-shaft connection
CN2873264Y (zh) * 2006-02-17 2007-02-28 柴东华 高尔夫球杆
WO2007022671A1 (fr) * 2005-08-22 2007-03-01 Donghua Chai Club de golf, tete et corps principal
US8029383B2 (en) * 2007-12-13 2011-10-04 Sri Sports Limited Golf club
JP5189371B2 (ja) * 2007-12-13 2013-04-24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
US8523701B2 (en) * 2007-12-18 2013-09-03 Acushnet Company Interchangeable shaft system
US10188913B2 (en) * 2007-12-18 2019-01-29 Acushnet Company Interchangeable shaft system
US8747248B2 (en) 2007-12-18 2014-06-10 Acushnet Company Interchangeable shaft system
US9764203B2 (en) * 2007-12-18 2017-09-19 Acushnet Company Interchangeable shaft system
US8142307B2 (en) * 2008-01-14 2012-03-27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Golf club attachment mechanisms and methods to attach golf clubs
US7789766B2 (en) * 2008-01-31 2010-09-07 Acushnet Company Interchangeable shaft system
JP5039632B2 (ja) * 2008-05-01 2012-10-03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
CN201684377U (zh) * 2008-12-17 2010-12-29 阿库施耐特公司 高尔夫球杆
JP4891379B2 (ja) * 2009-10-27 2012-03-07 Sri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
US20110218049A1 (en) * 2010-03-08 2011-09-08 Hitoshi Oyama Golf club
WO2012074416A1 (en) * 2010-12-02 2012-06-07 Simon Garry Moore Adjustment device
GB2490713B (en) * 2011-05-11 2013-05-01 Infastech Ip Pte Ltd Splined fastener
JP5612640B2 (ja) * 2011-08-12 2014-10-22 アクシュネット カンパニーAcushnet Company 交換可能なシャフトシステム
US8932147B2 (en) * 2011-08-31 2015-01-13 Karsten Maunfacturing Corporation Golf coupling mechanisms and related methods
US9192823B2 (en) * 2011-08-31 2015-11-24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Golf coupling mechanisms and related methods
US9868035B2 (en) * 2011-08-31 2018-01-16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Golf clubs with hosel inserts and related methods
US8926447B2 (en) * 2011-08-31 2015-01-06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Golf coupling mechanisms and related methods
JP5893501B2 (ja) * 2012-04-27 2016-03-23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
JP2014036809A (ja) * 2012-08-20 2014-02-27 Bridgestone Sports Co Ltd ゴルフクラブ、シャフト挿入深さ変更方法及びシャフト交換方法
JP5997622B2 (ja) * 2013-01-30 2016-09-28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
JP6283188B2 (ja) * 2013-10-03 2018-02-21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
CN203750136U (zh) * 2014-01-26 2014-08-06 东莞高宏金属器材有限公司 高尔夫球杆
US9675854B2 (en) * 2014-05-09 2017-06-13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Golf clubs with adjustable loft and lie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golf clubs with adjustable loft and li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52237A (ja) * 2011-08-31 2013-03-21 Karsten Manufacturing Corp ゴルフクラブヘッド及びそれに関連す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790821B2 (ja) 2020-11-25
CN108261739A (zh) 2018-07-10
US10307646B2 (en) 2019-06-04
EP3342469B1 (en) 2020-01-08
US20180185711A1 (en) 2018-07-05
CN108261739B (zh) 2021-12-24
KR20180078134A (ko) 2018-07-09
JP2018108225A (ja) 2018-07-12
EP3342469A1 (en) 2018-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3746B1 (ko) 골프 클럽
JP4587231B2 (ja) ゴルフクラブ
JP6363406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5401951B2 (ja) ゴルフクラブ、その特性調節方法及びシャフト交換方法
US7963856B2 (en) Golf club
US8496540B2 (en) Interchangeable golf club hosel
JP5463864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及びゴルフクラブ
US9586101B2 (en) Golf club
US9345935B2 (en) Golf club
US5611740A (en) Golf club
JP2006223331A (ja) クラブヘッド
US11135484B2 (en) Golf club head
JP2007202633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9364724B2 (en) Golf club
JP6790822B2 (ja) ゴルフクラブ
JP5099679B2 (ja) ゴルフクラブ
JP5189371B2 (ja) ゴルフクラブ
JP5447141B2 (ja) ゴルフクラブ
JP2010051590A (ja) ゴルフクラブ
JP6750426B2 (ja) ゴルフクラブ
US20160051865A1 (en) Golf club
JP2013212185A (ja) ゴルフクラブ
JP6118201B6 (ja) ゴルフクラブ
JP6118201B2 (ja) ゴルフクラブ
JP2006305100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