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3576B1 - 방폭형 가스박스 - Google Patents

방폭형 가스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3576B1
KR102413576B1 KR1020210191926A KR20210191926A KR102413576B1 KR 102413576 B1 KR102413576 B1 KR 102413576B1 KR 1020210191926 A KR1020210191926 A KR 1020210191926A KR 20210191926 A KR20210191926 A KR 20210191926A KR 102413576 B1 KR102413576 B1 KR 1024135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ontrol device
flow rate
box frame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1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연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에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에프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에프테크
Priority to KR1020210191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35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3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3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1/00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ans not provided for in group G01L7/00 or G01L9/0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2Fuels; Explosives
    • G01N33/227Explosives, e.g. combustive propertie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방폭형 가스박스는 정면이 개방되는 사각박스형태로 구비되어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정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를 개폐하는 개폐커버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가스의 압력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디스플레이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가스밸브 구동용 공기압 배선이 내장되는 제1박스프레임과, 상기 제1박스프레임과 일정거리를 유지하도록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전기배선이 내장되는 제2박스프레임과, 상기 본체에 형성된 탈착홈을 통해 상기 본체의 외면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본체에 체결되고, 상기 제2박스프레임에 내장되는 전기배선과 연결되어 가스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장치와, 상기 유량조절장치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유량조절장치를 보호하는 보호커버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폭형 가스박스{explosion-proof gas box}
본 발명은 방폭형 가스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안전성 및 유지관리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폭형 가스박스에 관한 것이다.
폭발성이 강한 실란, 암모니아, 수소 등과 같은 가스를 분석하는 장비는 밀폐된 공간에 설치함으로써 가스가 폭발 요인을 포함하고 있는 외부 환경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누출되는 가스는 밀폐된 공간에 설치된 가스검출기에 의하여 검출하여 밀폐된 공간으로부터 안전하게 제거할 필요가 있다.
밀폐된 공간을 구성하여 폭발을 방지하는 형태는 일반적으로 방폭 박스(Explosion Proof Box) 구조로 구성되고, 방폭 박스에는 사용자가 방폭 박스의 내부에 접근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도어가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방폭 박스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가스의 유량을 조절하는 MFC(Mass Flow Controller, 질량유량제어기)가 방폭 박스에 내부에 구비되고 방폭이 불가하여 스파크 발생 시 스파크로 인한 화재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14321호(2016.04.2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재안전성 및 유지관리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폭형 가스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폭형 가스박스는 정면이 개방되는 사각박스형태로 구비되어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정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를 개폐하는 개폐커버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가스의 압력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디스플레이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가스밸브 구동용 공기압 배선이 내장되는 제1박스프레임과, 상기 제1박스프레임과 일정거리를 유지하도록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전기배선이 내장되는 제2박스프레임과, 상기 본체에 형성된 탈착홈을 통해 상기 본체의 외면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본체에 체결되고, 상기 제2박스프레임에 내장되는 전기배선과 연결되어 가스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장치와, 상기 유량조절장치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유량조절장치를 보호하는 보호커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에는 가스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기와, 광원을 감지하는 광원감지장치와,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감지기가 구비되고, 상기 개폐커버에는 상기 개폐커버를 통해 외부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통풍구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상기 본체의 내부공기 및 누설된 가스를 흡입하는 댐퍼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량조절장치는 복수 이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유량조절장치는 상기 탈착홈을 통해 일단이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조절부와, 상기 조절부의 타단에 구비되는 연결부와, 상기 조절부의 타단에 체결되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조절부를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지지하는 내부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지지부재는 상기 본체와 맞대어지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에서 구부러진 형태로 연장되어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제2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보호커버는 정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후면이 개방되어 개방된 후면을 통해 상기 본체의 외면에 돌출된 상기 유량조절장치가 내부에 구비되도록 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2박스프레임과 연결되어 전기배선이 내장되는 연장박스프레임과, 상기 몸체의 후면 테두리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와 상기 몸체 사이의 기밀성을 높이는 기밀부재와, 상기 개구부에 구비되어 외부에서 상기 유량조절장치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투명창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유량조절장치는 복수 이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유량조절장치는 상기 탈착홈을 통해 일단이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조절부와, 상기 조절부의 타단에 구비되는 연결부와, 상기 조절부의 일단에 체결되고, 상기 본체의 외부에 고정되어 상기 조절부를 상기 본체의 외부에서 지지하는 외부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지지부재는 파이프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조절부에 체결되는 체결부분과, 상기 체결부분의 상하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체결부분이 상기 본체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분과, 서로 이웃하는 상기 고정부분 사이 및 상기 본체와 상기 고정부분 사이에 위치하여 서로 이웃하는 상기 고정부분 사이 및 상기 본체와 상기 고정부분 사이 공간을 기밀하게 하는 기밀부분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호커버는 정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후면이 개방되어 개방된 후면을 통해 상기 본체의 외면에 돌출된 상기 유량조절장치가 내부에 구비되도록 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2박스프레임과 연결되어 전기배선이 내장되는 연장박스프레임과, 상기 개구부에 구비되어 외부에서 상기 유량조절장치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투명창을 구비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연장박스프레임과 연결되는 연결부분과, 상기 연결부분과 결합하거나 상기 연결부분으로부터 분리되는 결합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결합부분이 체결되어 상기 결합부분이 상기 연결부분으로부터 슬라이딩 형태로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하는 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분 및 상기 결합부분에는 상기 연결부분과 상기 결합부분이 결합했을 시 상기 결합부분이 상기 연결부분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따른 방폭형 가스박스에 의하면, 화재안전성 및 유지관리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폭형 가스박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방폭형 가스박스의 본체에 고정되는 내부지지부재가 구비된 유량조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방폭형 가스박스의 본체에 고정되는 외부지지부재가 구비된 유량조절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외부지지부재가 구비된 유량조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방폭형 가스박스를 구성하는 보호커버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폭형 가스박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폭형 가스박스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방폭형 가스박스의 본체에 고정되는 내부지지부재가 구비된 유량조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폭형 가스박스(10)는 정면이 개방되는 사각박스형태로 구비되어 내부공간(11a)이 형성되는 본체(11)와, 본체(11)의 정면에 구비되어 본체(11)의 내부를 개폐하는 개폐커버(12)와, 본체(11)의 상부에 구비되어 가스의 압력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3)와, 디스플레이(13)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본체(11)의 상부에 구비되어 가스밸브 구동용 공기압 배선이 내장되는 제1박스프레임(14)과, 제1박스프레임(14)과 일정거리를 유지하도록 본체(11)의 상부에 구비되어 전기배선이 내장되는 제2박스프레임(15)과, 본체(11)에 형성된 탈착홈(11b)을 통해 본체(11)의 외면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본체(11)에 체결되고, 상기 제2박스프레임(15)에 내장되는 전기배선과 연결되어 가스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장치(100)와, 유량조절장치(100)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어 유량조절장치(100)를 보호하는 보호커버(200)를 구비할 수 있다.
본체(11)의 내부공간(11a)에는 가스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기(16)와, 광원을 감지하는 광원감지장치(17)와,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감지기(18)가 구비되고, 본체(11)의 하부에는 본체(11)의 내부공기 및 누설된 가스를 흡입하는 댐퍼(19)가 구비되며, 압력측정기(16), 광원감지장치(17) 및 연기감지기(18)는 방폭용으로 구비되어 폭발을 방지할 수 있다.
댐퍼(19)에는 메쉬망이 적용되어 유지보수 시 외부 이물질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개폐커버(12)에는 개폐커버(12)를 통해 외부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통풍구(12a)가 구비되고, 통풍구(12a)를 상시 개방함으로써 본체(11)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는 비방폭장치로 본체(11)의 외부에 배치되어 폭발을 방지할 수 있다.
제1박스프레임(14)과 제2박스프레임(15)은 가스밸브 구동용 공기압 배선과 전기배선을 분리함으로써 폭발의 요소를 제거하여 폭발을 방지할 수 있다.
유량조절장치(100)를 탈착홈(11b)을 통해 본체(11)의 외면에 돌출되도록 외부에 배치하여 내부에서 가스가 누출되었을 경우, 전기배선, 가연성 가스 및 산소공급원을 직간접적으로 회피함으로써 폭발을 방지하여 화재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보호커버(200)를 통해 유량조절장치(100)를 보호함으로써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유량조절장치(100)가 손상되는 등의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유량조절장치(100)는 복수 이상으로 구비되고, 유량조절장치(100)는 탈착홈(11b)을 통해 일단이 본체(11)의 내부에 구비되는 조절부(110)와, 조절부(110)의 타단에 구비되는 연결부(120)와, 조절부(110)의 타단에 체결되고, 본체(11)의 내부에 고정되어 조절부(110)를 본체(11)의 내부에서 지지하는 내부지지부재(130)를 구비할 수 있다.
유량조절장치(100)는 연결부(120)를 통해 본체(11)의 내부공간(11a)에 구비되는 각종장비와 연결 또는 해제될 수 있고, 내부지지부재(130)는 본체(11)의 내부공간(11a)에서 유량조절장치(10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내부지지부재(130)는 본체(11)와 맞대어지는 제1부분(131)과, 제1부분(131)에서 구부러진 형태로 연장되어 본체(11)에 고정되는 제2부분(132)을 구비할 수 있다.
제1부분(131)은 몸체(210)의 연결부(120) 측 일면과 맞대어지고, 제2부분(132)은 제1부분(131)의 상단과 하단에서 각각 수직으로 탈착홈(11b) 방향으로 구부러지고 다시 상하방향으로 각각 구부러져 볼트체결 방식으로 본체(11)에 고정될 수 있다.
반대로 유량조절장치(100)를 본체(11)로부터 분리할 시에는 내부지지부재(130)를 본체(11)에서 분리하고, 연결부(120) 체결을 해제한 후 탈착홈(11b)으로부터 유량조절장치(100)를 분리함으로써 유량조절장치(100)를 본체(11)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한편, 보호커버(200)는 정면에 개구부(211)가 형성되고, 후면이 개방되어 개방된 후면을 통해 본체(11)의 외면에 돌출된 유량조절장치(100)가 내부에 구비되도록 하는 몸체(210)와, 몸체(210)의 상부에 구비되고 제2박스프레임(15)과 연결되어 전기배선이 내장되는 연장박스프레임(220)과, 몸체(210)의 후면 테두리에 구비되어 본체(11)와 몸체(210) 사이의 기밀성을 높이는 기밀부재(230)와, 개구부(211)에 구비되어 외부에서 유량조절장치(100)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투명창(240)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투명창(240)은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작업자가 개구부(211)를 통해 유량조절장치(100)의 조절부(110)를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유량조절장치(100)는 내부지지부재(130)를 분리해야 본체(11)로부터 분리될 수 있어 개폐커버(12)를 반드시 개방해야 하므로 본체(11)의 내부공간(11a)이 노출되어 외부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외부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다음은 개폐커버(12)를 개방하지 않아도 유량조절장치(100)를 본체(11)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유량조절장치(1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방폭형 가스박스의 본체에 고정되는 외부지지부재가 구비된 유량조절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외부지지부재가 구비된 유량조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폭형 가스박스(10)에 구비되는 유량조절장치(100)는 복수 이상으로 구비되고, 유량조절장치(100)는 탈착홈(11b)을 통해 일단이 본체(11)의 내부에 구비되는 조절부(110)와, 조절부(110)의 타단에 구비되는 연결부(120)와, 조절부(110)의 일단에 체결되고, 본체(11)의 외부에 고정되어 조절부(110)를 본체(11)의 외부에서 지지하는 외부지지부재(14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탈착홈(11b)은 조절부(110) 및 연결부(120)가 탈착홈(11b)을 통해 외부로 직접 분리될 수 있도록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지지부재(140)는 파이프 형태로 구비되어 조절부(110)에 체결되는 체결부분(141)과, 체결부분(141)의 상하면에 각각 구비되어 체결부분(141)이 본체(11)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분(142)과, 서로 이웃하는 고정부분(142) 사이 및 본체(11)와 고정부분(142) 사이에 위치하여 서로 이웃하는 고정부분(142) 사이 및 본체(11)와 고정부분(142) 사이 공간을 기밀하게 하는 기밀부분(143)을 구비할 수 있다.
기밀부분(143)은 체결부분(141)의 상단에 위치하는 상단부(143a)와, 체결부분(141)의 하단에 위치하는 하단부(143b)와, 상단부(143a) 및 하단부(143b)를 연결하고 체결부분(141)의 측면에 위치하는 연장부(143c)와, 상단부(143a), 하단부(143b) 및 연장부(143c)의 후면에 구비되어 고정부분(142) 사이에 위치하는 후면부(143d)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부지지부재(140)를 구비함으로써 탈착홈(11b)의 기밀성을 높임과 동시에 개폐커버(12)를 개방하지 않고 본체(11)의 외부에서 유량조절장치(100)를 분리할 수 있어 분리 시 본체(11)의 내부공간(11a)이 노출되어 외부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폭형 가스박스(10)를 구성하는 보호커버(200)의 변형 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방폭형 가스박스를 구성하는 보호커버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폭형 가스박스(10)를 구성하는 보호커버(200)는 정면에 개구부(211)가 형성되고, 후면이 개방되어 개방된 후면을 통해 본체(11)의 외면에 돌출된 유량조절장치(100)가 내부에 구비되도록 하는 몸체(210)와, 몸체(210)의 상부에 구비되고 제2박스프레임(15)과 연결되어 전기배선이 내장되는 연장박스프레임(220)과, 개구부(211)에 구비되어 외부에서 유량조절장치(100)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투명창(240)을 구비하고, 몸체(210)는 연장박스프레임(220)과 연결되는 연결부분(212)과, 연결부분(212)과 결합하거나 연결부분(212)으로부터 분리되는 결합부분(213)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1)에는 결합부분(213)이 체결되어 결합부분(213)이 연결부분(212)으로부터 슬라이딩 형태로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하는 레일(11c)이 구비되고, 연결부분(212) 및 결합부분(213)에는 연결부분(212)과 결합부분(213)이 결합했을 시 결합부분(213)이 연결부분(212)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장치(214)가 구비될 수 있다.
결합부분(213)은 평상시 잠금장치(214)에 의해 연결부분(212)과 결합한 상태가 유지되어 유량조절장치(100)를 보호하고, 유량조절장치(100)를 유지관리할 시 잠금장치(214)를 해지한 후 결합부분(213)을 레일(11c)을 통해 하 방향으로 내려 유량조절장치(100)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유량조절장치(100)와 보호커버(200)를 구비함으로써 화재안전성과 유지관리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폭형 가스박스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방폭형 가스박스 11: 본체
11a: 내부공간 11b: 탈착홈
11c: 레일 12: 개폐커버
12a: 통풍구 13: 디스플레이
14: 제1박스프레임 15: 제2박스프레임
16: 압력측정기 17: 광원감지장치
18: 연기감지기 19: 댐퍼
100: 유량조절장치 110: 조절부
120: 연결부 130: 내부지지부재
131: 제1부분 132: 제2부분
140: 외부지지부재 141: 체결부분
142: 고정부분 143: 기밀부분
143a: 상단부 143b: 하단부
143c: 연장부 143d: 후면부
200: 보호커버 210: 몸체
211: 개구부 212: 연결부분
213: 결합부분 214: 잠금장치
220: 연장박스프레임 230: 기밀부재
240: 투명창

Claims (5)

  1. 정면이 개방되는 사각박스형태로 구비되어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정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를 개폐하는 개폐커버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가스의 압력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디스플레이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가스밸브 구동용 공기압 배선이 내장되는 제1박스프레임과,
    상기 제1박스프레임과 일정거리를 유지하도록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전기배선이 내장되는 제2박스프레임과,
    상기 본체에 형성된 탈착홈을 통해 상기 본체의 외면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본체에 체결되고, 상기 제2박스프레임에 내장되는 전기배선과 연결되어 가스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장치와,
    상기 유량조절장치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유량조절장치를 보호하는 보호커버를 포함하는 방폭형 가스박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에는 가스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기와,
    광원을 감지하는 광원감지장치와,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감지기가 구비되고,
    상기 개폐커버에는 상기 개폐커버를 통해 외부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통풍구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상기 본체의 내부공기 및 누설된 가스를 흡입하는 댐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형 가스박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장치는 복수 이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유량조절장치는 상기 탈착홈을 통해 일단이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조절부와, 상기 조절부의 타단에 구비되는 연결부와, 상기 조절부의 타단에 체결되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조절부를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지지하는 내부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지지부재는 상기 본체와 맞대어지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에서 구부러진 형태로 연장되어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제2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보호커버는 정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후면이 개방되어 개방된 후면을 통해 상기 본체의 외면에 돌출된 상기 유량조절장치가 내부에 구비되도록 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2박스프레임과 연결되어 전기배선이 내장되는 연장박스프레임과, 상기 몸체의 후면 테두리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와 상기 몸체 사이의 기밀성을 높이는 기밀부재와, 상기 개구부에 구비되어 외부에서 상기 유량조절장치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투명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형 가스박스.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장치는 복수 이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유량조절장치는 상기 탈착홈을 통해 일단이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조절부와, 상기 조절부의 타단에 구비되는 연결부와, 상기 조절부의 일단에 체결되고, 상기 본체의 외부에 고정되어 상기 조절부를 상기 본체의 외부에서 지지하는 외부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지지부재는 파이프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조절부에 체결되는 체결부분과, 상기 체결부분의 상하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체결부분이 상기 본체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분과, 서로 이웃하는 상기 고정부분 사이 및 상기 본체와 상기 고정부분 사이에 위치하여 서로 이웃하는 상기 고정부분 사이 및 상기 본체와 상기 고정부분 사이 공간을 기밀하게 하는 기밀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형 가스박스.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는 정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후면이 개방되어 개방된 후면을 통해 상기 본체의 외면에 돌출된 상기 유량조절장치가 내부에 구비되도록 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2박스프레임과 연결되어 전기배선이 내장되는 연장박스프레임과,
    상기 개구부에 구비되어 외부에서 상기 유량조절장치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투명창을 구비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연장박스프레임과 연결되는 연결부분과, 상기 연결부분과 결합하거나 상기 연결부분으로부터 분리되는 결합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결합부분이 체결되어 상기 결합부분이 상기 연결부분으로부터 슬라이딩 형태로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하는 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분 및 상기 결합부분에는 상기 연결부분과 상기 결합부분이 결합했을 시 상기 결합부분이 상기 연결부분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형 가스박스.
KR1020210191926A 2021-12-30 2021-12-30 방폭형 가스박스 KR102413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1926A KR102413576B1 (ko) 2021-12-30 2021-12-30 방폭형 가스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1926A KR102413576B1 (ko) 2021-12-30 2021-12-30 방폭형 가스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3576B1 true KR102413576B1 (ko) 2022-06-27

Family

ID=82247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1926A KR102413576B1 (ko) 2021-12-30 2021-12-30 방폭형 가스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357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7978B1 (ko) * 2013-02-08 2014-06-17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방폭 설비용 공기압 유지 시스템
KR101614321B1 (ko) 2015-07-16 2016-04-21 주식회사 쎄인텍 수소가스 분석기용 연속희석식 방폭 박스
KR101886868B1 (ko) * 2018-02-20 2018-08-08 이춘업 방폭 장비
CN211905296U (zh) * 2020-04-09 2020-11-10 深圳市无眼界科技有限公司 一种防爆机壳及防爆的气体检测装置
CN213152635U (zh) * 2020-09-21 2021-05-07 北京航空工程技术研究中心 一种气体质量流量控制器防爆盒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7978B1 (ko) * 2013-02-08 2014-06-17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방폭 설비용 공기압 유지 시스템
KR101614321B1 (ko) 2015-07-16 2016-04-21 주식회사 쎄인텍 수소가스 분석기용 연속희석식 방폭 박스
KR101886868B1 (ko) * 2018-02-20 2018-08-08 이춘업 방폭 장비
CN211905296U (zh) * 2020-04-09 2020-11-10 深圳市无眼界科技有限公司 一种防爆机壳及防爆的气体检测装置
CN213152635U (zh) * 2020-09-21 2021-05-07 北京航空工程技术研究中心 一种气体质量流量控制器防爆盒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51693B2 (en) Photoelectric smoke sensor
WO2011148645A1 (ja) 換気装置
KR102413576B1 (ko) 방폭형 가스박스
KR101063163B1 (ko) 방폭형 케이스
CN110755768A (zh) 应用于箱/罩的高密封性机构
US9376928B2 (en) Power system enclosure
BRPI0318124B1 (pt) sensor de pressão manométrica, dispositivo à prova de explosão, método de detectar uma pressão manométrica de um fluido de processo e pára-chama para uso em um sensor de pressão
KR102007184B1 (ko) 릴리프밸브를 갖는 압력방폭패널
CN102844950A (zh) 缆线密封装置
JP6482408B2 (ja) 換気扇
KR101720990B1 (ko) 가스누설 감지장치를 포함하는 가스 박스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제조장치
CN211301834U (zh) 应用于箱/罩的高密封性机构
JP4197645B2 (ja) 壁面埋め込み形のガス検出装置
CN202903236U (zh) 一种适用于煤矿井下紧急避险设施中的检测监测系统
KR101875491B1 (ko) 보일러
WO1996006345A1 (en) Infrared gas detector
ES1225490U (es) Extractor de aire con aislamiento de la electronica
KR20090005138U (ko) 방독면의 마이크단자용 밀폐커버
JP6655567B2 (ja) マイコンメーターの通気構造
JP2539966B2 (ja) 高真空装置でのドアまたはカバ―のたわみによって引き起こされる微粒子発生を削減する方法および装置
CN217846051U (zh) 一种视觉检测装置
JP2009224389A (ja) 屋外設置機器用筐体、防水通気ユニット及び通気性付与方法
CN221003805U (zh) 一种防爆风阀及气体流动系统
CN217692278U (zh) 一种具备阻燃结构的透明电表箱
US11740215B2 (en) Gas sensor devices and hous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