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3507B1 - 서비스 신뢰성 개선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서비스 신뢰성 개선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3507B1
KR102413507B1 KR1020207014662A KR20207014662A KR102413507B1 KR 102413507 B1 KR102413507 B1 KR 102413507B1 KR 1020207014662 A KR1020207014662 A KR 1020207014662A KR 20207014662 A KR20207014662 A KR 20207014662A KR 102413507 B1 KR102413507 B1 KR 102413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 device
transmission path
transmission
qos flow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4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3270A (ko
Inventor
더퀴 순
한 저우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73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3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3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3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24Negotiating SLA [Service Level Agreement]; Negotiating QoS [Quality of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9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 H04W36/0069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using split of the control plane or user pla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1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transmission quality or channel quality
    • H04W40/14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transmission quality or channel quality based on st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8Upper layer protocols
    • H04W80/10Upper layer protocols adapted for application session management, e.g. 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2Inter-network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8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repeating transmission, e.g. Verdan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45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broadcast or multicast in a specific location, e.g. geo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80Actions related to the user profile or the type of traffic
    • H04L47/806Broadcast or multicast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9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 H04W36/00692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using simultaneous multiple data streams, e.g. cooperative multipoint [CoMP], carrier aggregation [CA] o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9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 H04W36/00698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using different RA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2Setup of transport tu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서비스 신뢰성 개선 방법이 제공되며, 서비스 신뢰성 개선 방법은, 단말과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 사이에 적어도 2 개의 전송 경로의 설정을 결정 및 개시하고, 단말 또는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가, 적어도 2 개의 경로를 통해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지시하는, 네트워크의 세션 기능 엔티티(session function entity); 및 세션 기능 엔티티의 통지에 따라, 사용자 평면 자원을 적어도 2 개의 전송 경로에 할당하고, 적어도 2 개의 전송 경로를 통해 단말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user plane function entity)를 포함하고; 코어 네트워크는, 단말에 대한 적어도 2 개의 전송 경로의 설정을 개시하고, 전송 경로는 각각 2 개의 액세스 디바이스에 의해 개별적으로 설정될 수 있고, 대안적으로 다른 전송 경로는, 다른 액세스 디바이스 및 단말을 트리거하기 위한 앵커 포인트(anchor point)로서 하나의 액세스 단말을 사용하여 설정될 수 있고; 대응하는 이중 송신 및 이중 수신이 단말 측 및 네트워크 측에서 수행될 수 있고, 수신된 데이터의 중복 제거(deduplication)가 수행된다. 본 발명은 높은 신뢰성을 요구하는 서비스의 데이터 전송에 대한 신뢰성을 보장한다.

Description

서비스 신뢰성 개선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본 출원은 통신 기술 분야, 특히 서비스 신뢰성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무선 광대역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고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의 주요 위치를 확보하기 위해, 2016년 말까지, 3GPP 표준 조직은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차세대 시스템)의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구축했으며, 이는 5 세대(5th generation, 5G) 네트워크 아키텍처라고 한다.
5G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는, 초고 신뢰성 저 지연 통신(ultra-reliable low latency communication, URLLC) 시나리오가 정의되며, 이는 저 지연이고 고 신뢰성 연결이 요구되는 무인 주행 및 산업 자동화와 같은 서비스를 주로 포함한다. 5G 네트워크의 진보된 무선 인터페이스 기술과, 최적화된 코어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통해, 시나리오의 요구 사항을 충족할 수 있다. 그러나, 이동 네트워크에서의 하위 계층 링크, 상위 계층 라우팅 프로토콜 등은 각각 약간의 불안정성을 가지며, 전술한 시나리오의 서비스는 대부분 생명 안전 또는 생산 안전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오류는 허용되지 않는다. 이 경우, 최적화된 네트워크 솔루션을 제공해야 하므로, 링크 품질이 좋지 않더라도 네트워크는 여전히 요구 사항을 최대한 충족할 수 있다.
신뢰성이 높은 애플리케이션의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본 출원은 서비스 신뢰성을 개선하기 위한 네트워크를 제공한다. 네트워크는 세션 기능 엔티티 및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를 포함한다. 세션 기능 엔티티는, 단말과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 사이에 적어도 2 개의 전송 경로의 설정을 개시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단말 또는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가, 적어도 2 개의 경로를 통해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지시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는, 세션 기능 엔티티의 통지에 기초하여, 적어도 2 개의 전송 경로에 사용자 평면 자원을 할당하고, 적어도 2 개의 전송 경로를 통해 동일한 데이터를 단말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네트워크는 단말에 대한 적어도 2 개의 전송 경로의 설정을 개시하여, 신뢰성이 높은 서비스의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이 잘 보장된다.
네트워크가 트리거되어 복수의 전송 경로를 설정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가 다수 있다.
세션 기능 엔티티는, 단말 또는 정책 기능 엔티티(policy function entity)에 의해 송신된 서비스 요청에 기초하여 서비스의 QoS 정보를 획득하고, QoS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과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 사이에 있는 제1 전송 경로 및 제2 전송 경로가 설정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세션 기능 엔티티는, 단말에 의해 송신된 서비스 요청으로 전달되는 마스터 및 보조 전송 경로 설정 표시(master and secondary transmission path establishment indication) 또는 바이캐스팅 표시(bi-casting indication)에 기초하여 정책 기능 엔티티로부터 인증을 요청하고, 인증의 결과에 기초하여, 단말과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 사이에 있는 제1 전송 경로 및 제2 전송 경로가 설정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결정한다.
세션 기능 엔티티가, 단말 또는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가 제1 전송 경로 및 제2 전송 경로를 통해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지시하는 것은, 세션 기능 엔티티에 의해, 연관 식별자(또는 백업 식별자로 지칭됨)를 단말 또는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에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연관 식별자는, 단말 또는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가 제1 전송 경로 및 제2 전송 경로를 통해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지시한다.
복수의 전송 경로를 설정하는 것과, 단말 및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가 복수의 설정된 전송 경로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시작하도록 지시하는 것은 순차적으로 완료될 수 있거나, 동시에 완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션 기능 엔티티가 제1 전송 경로 및 제2 전송 경로의 설정을 개시하는 동안, 세션 기능 엔티티는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 및/또는 단말이, 설정된 제1 전송 경로 및 제2 전송 경로를 통해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시작하도록 지시할 수 있거나, 제1 전송 경로 및 제2 전송 경로의 설정이 완료된 후, 세션 기능 엔티티는, 네트워크 상태 또는 서비스 요구 사항에 기초하여,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 및/또는 단말이, 제1 전송 경로 및 제2 전송 경로를 통해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시작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싱 방식은 복수의 전송 경로를 사용하는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네트워크에서 복수의 전송 경로가 설정되는 복수의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일 방식에서, 복수의 전송 경로가 개별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전송 경로를 갖는 액세스 디바이스들은 서로 연관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세션 기능 엔티티는, 제1 액세스 경로 및 제2 전송 경로를 각각 설정하기 위해, 이동성 관리 엔티티가, 제1 액세스 디바이스 및 제2 액세스 디바이스가 단말과 협상하도록 지시하도록, 이동성 관리 엔티티를 지시한다. 다른 방식에서, 세션 기능 엔티티는, 하나의 액세스 디바이스(구체적으로, 제1 액세스 디바이스가 앵커로서 사용됨)를 사용하여 복수의 전송 경로에 대한 설정을 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션 기능 엔티티는 제1 및 제2 전송 경로 설정 요청을 이동성 관리 엔티티에 송신한다. 세션 기능 엔티티의 표시에 기초하여, 이동성 관리 엔티티는, 제1 액세스 디바이스가 제1 전송 경로를 설정하도록 지시하고, 제1 액세스 디바이스가, 제2 액세스 디바이스가 제2 전송 경로를 설정하도록 지시하도록, 제1 액세스 디바이스를 지시한다. 예를 들어, 제1 액세스 디바이스는 제2 액세스 디바이스의 자원 정보를 획득한 후, 단말에 통지할 수 있고, 단말은, 제2 전송 경로의 설정을 완료하기 위해, 제2 액세스 디바이스에 대한 연결 설정을 개시할 수 있다.
단말 또는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가 제1 전송 경로 및 제2 전송 경로를 통해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은,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 또는 단말에 의해, 제1 전송 경로 및 제2 전송 경로를 통해 동일한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 또는 단말에 의해, 제1 전송 경로 및 제2 전송 경로를 통해 동일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중복 제거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수신 측에서, 단말 또는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는 대안적으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데이터 전송 품질 및/또는 링크 품질에 기초하여, 설정된 2 개의 전송 경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중복 제거 동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경로 품질 검출에 대한 동작이 추가되더라도, 데이터 중복 제거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다.
5G 네트워크에서, 세션 기능 엔티티는 세션 관리 기능(session management function, SMF) 엔티티이고,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는 UPF이며, 4G 네트워크에서, 세션 기능 엔티티는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packet data gateway, PGW)이고,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는 게이트웨이 사용자 평면 기능(gateway user plane function, GW-U)이다.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네트워크는, 단말과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 사이에 제1 전송 경로가 이미 존재하는 경우 제2 전송 경로의 설정이 개시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세션 기능 엔티티는, 단말과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 사이에 제2 전송 경로를 설정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세션 기능 엔티티는 제2 전송 경로의 설정을 개시하고, 제2 전송 경로 설정 요청을 사용하여, 단말 또는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가, 제1 전송 경로 및 제2 전송 경로를 통해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세션 기능 엔티티가, 단말과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 사이의 제2 전송 경로가 설정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방식은, 세션 기능 엔티티에 의해, 단말 또는 정책 기능 엔티티에 의해 송신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요청 메시지에 기초하여, 단말과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 사이의 제2 전송 경로가 설정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방식은, 세션 기능 엔티티에 의해, 제1 전송 경로에 관한 통지 메시지로서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에 의해 송신되는 통지 메시지(예를 들어, 폴트(fault)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2 전송 경로가 설정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송 경로가 이미 존재하는 경우 제2 전송 경로가 설정되는 경우는, 연결이 개시될 때 제2 전송 경로가 설정되는 경우와 유사하다.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여기에서 설명하지 않는다.
이에 대응하여, 본 출원은 또한 서비스 신뢰성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절차는 기본적으로, 상술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절차와 일치한다.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은 또한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장치는 단말 또는 단말의 칩일 수 있다. 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기능들을 갖는다. 기능들은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되거나, 대응하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기능들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장치가 단말인 경우, 단말은 인터랙션 모듈 및 프로세싱 모듈을 포함한다. 인터랙션 모듈은, 세션 기능 엔티티에 의해 송신된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메시지는, 프로세싱 모듈이,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와 단말 사이에 있는 제1 전송 경로 및 제2 전송 경로를 통해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프로세싱 모듈은, 제1 전송 경로 및 제2 전송 경로를 통해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은 또한, 결정 모듈 및 프로세싱 모듈을 포함하는 세션 기능 엔티티, 예를 들어, SMF를 제공한다. 결정 모듈은, 단말과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 사이에 있는 제1 전송 경로 및 제2 전송 경로를 설정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제1 전송 경로가 이미 존재하는 경우, 제2 전송 경로를 설정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싱 모듈은, 제1 전송 경로 및 제2 전송 경로의 설정을 개시하거나, 제1 전송 경로가 이미 존재하는 경우 제2 전송 경로의 설정을 개시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싱 모듈은, 단말 또는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가, 제1 전송 경로 및 제2 전송 경로를 통해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지시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전술한 단말 및 세션 기능 엔티티의 기능 유닛의 보다 상세한 기능들에 대해서는, 방법 및 시스템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여기에서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제공되는 방법 및 시스템의 설명에 기초하여 기능 유닛들의 구체적인 기능들을 유연하게 구현할 수 있다.
본 출원은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컴퓨터 제품이 실행될 때,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술한 단말 및 네트워크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출원은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명령을 저장하고, 명령은, 상술한 단말 및 네트워크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신뢰성을 개선하기 위한 시스템(10)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200)의 개략 아키텍처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신뢰성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S300)의 개략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및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에 의한, 2 개의 전송 경로를 통한 데이터 전송을 구현하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송기 측에 대한 이중 송신 메커니즘 및 수신기 측에 대한 이중 수신 메커니즘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2 개의 전송 경로의 설정을 동시에 개시하기 위한 방법(600)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새로운 전송 경로의 설정을 개시하기 위한 방법(700)의 개략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5G 시스템의 개략 아키텍처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5G 시나리오에서 2 개의 전송 경로의 설정을 동시에 개시하기 위한 방법(900)의 시그널링 흐름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5G 시나리오에서 2 개의 전송 경로의 설정을 동시에 개시하기 위한 방법(1000)의 시그널링 흐름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5G 시나리오에서 새로운 전송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1100)의 시그널링 흐름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5G 시나리오에서 새로운 전송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1200)의 시그널링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4G 시스템의 개략 아키텍처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션 기능 엔티티(1400)의 개략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치(1500)의 개략도이다.
다음은 본 출원의 실시 예들에서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 예들에서의 기술적 해결 방안을 설명한다. 본 출원의 설명에서,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는 "또는"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A/B는 A 또는 B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 및/또는"은 관련된 객체를 설명하기 위한 연관 관계만을 기술하며, 3 개의 관계가 존재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다음 세 가지 경우: A만 존재하는 경우, A와 B가 모두 존재하는 경우, 그리고 B만 존재하는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설명에서,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용어 "복수의"는 2 이상을 의미한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 예들에서의 기술적 해결 방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1" 및 "제2"와 같은 용어는, 본 출원의 실시 예들에서, 기본적으로 동일한 기능 및 목적을 갖는 동일한 아이템 또는 유사한 아이템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1" 및 "제2"와 같은 용어는 수량 또는 실행 순서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며, "제1" 및 "제2"와 같은 용어는 명확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신뢰성을 개선하기 위한 시스템(10)의 개략 구조도이다. 서비스 신뢰성을 개선하기 위한 시스템(10)은, 단말(101), 제1 액세스 디바이스(102) 및 제2 액세스 디바이스(103) 또는 그 이상의 액세스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서비스 신뢰성을 개선하기 위한 시스템(10)은, 세션 기능 엔티티(104) 및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105)를 포함하며, 정책 기능 엔티티(106)를 더 포함할 수 있는, 코어 네트워크의 기능 네트워크 요소를 더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101)은, 제1 액세스 디바이스(102) 및/또는 제2 액세스 디바이스(103)를 사용하여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고, 코어 네트워크와 서비스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제1 액세스 디바이스(102) 및 제2 액세스 디바이스(103)는 모두 코어 네트워크에 연결된다. 코어 네트워크는, 액세스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단말(101)에 대한 전송 경로를 설정한다.
단말(101)은, 액세스 디바이스(102 및 103)와 인터랙션하고, 코어 네트워크에서 단말(101)과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105) 사이에서 적어도 2 개의 전송 경로(예를 들어, 제1 전송 경로 및 제2 전송 경로)를 설정하고, 액세스 디바이스(102 및 103)를 이용하여 세션 기능 엔티티(104)에 의해 송신된 메시지를 수신하고, 여기서 메시지는, 단말이, 제1 전송 경로 및 제2 전송 경로를 통해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지시한다.
제1 액세스 디바이스(102) 및 제2 액세스 디바이스(103)는, 세션 기능 엔티티(104), 사용자 단말(101) 또는 다른 액세스 디바이스의 명령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01)과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105) 사이에 데이터 전송 경로를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
세션 기능 엔티티(104)는, 단말(101)과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105) 사이에 적어도 2 개의 전송 경로의 설정을 개시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단말(101) 또는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105)가 적어도 2 개의 경로를 통해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지시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105)는, 사용자 평면 자원을 적어도 2 개의 전송 경로에 할당하고, 적어도 2 개의 전송 경로를 통해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정책 기능 엔티티(106)는, 단말(101)과 코어 네트워크 사이의 적어도 2 개의 전송 경로의 설정을 개시하기 위해 세션 기능 엔티티(104)를 지시하거나 인증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적어도 2 개의 전송 경로는 동일한 데이터를 동일한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1 액세스 디바이스(102) 및 제2 액세스 디바이스(103)에서 용어 "제1" 및 "제2"는 단지 논리적으로 구별된다. 특정 구현 동안, 제1 액세스 디바이스(102) 및 제2 액세스 디바이스(103)는 상이한 물리적 엔티티일 수 있거나, 동일한 물리적 엔티티, 예를 들어, 동일한 기지국일 수 있다. 다른 구현들에 따르면, 제1 액세스 디바이스(102) 및 제2 액세스 디바이스(103)는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거나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정보를 교환할 수 있거나 정보를 교환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이것은 본 발명의 본 실시 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전송 경로는, 서비스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는 논리적 채널 또는 데이터 경로를 지칭한다. 전송 경로의 복수의 특정 구현들 또는 전송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복수의 방법들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 경로는 5G 네트워크에 있는 UE와 UPF 사이의 사용자 평면 경로일 수 있다.
시스템(10)은 4G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및 다른 미래형 네트워크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본 실시 예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신뢰성을 개선하기 위한 시스템(10)에서, 코어 네트워크는 동일한 단말에 대해 적어도 2 개의 전송 경로를 설정하고, 코어 네트워크는 적어도 2 개의 전송 경로 각각을 통해 단말과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전송 품질이 더욱 양호하게 보장되고 서비스 신뢰성이 향상된다.
세션 기능 엔티티(104), 단말(101) 또는 도 1의 다른 기능 엔티티는 도 2의 통신 디바이스(2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2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01), 통신 버스(202), 메모리(203) 및 적어도 하나의 통신 인터페이스(204)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01)는 범용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마이크로 프로세서,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또는 본 출원의 해결 방안에서 프로그램 실행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일 수 있다. 통신 버스(202)는 전술한 구성 요소들 사이에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04)는 트랜시버와 같은 임의의 장치를 사용하고, 이더넷,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 또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와 같은 다른 디바이스 또는 통신 네트워크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메모리(203)는ROM(read-only memory), 정적 정보 및 명령을 저장할 수 있는 다른 유형의 정적 저장 디바이스,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 또는 정보 및 명령을 저장할 수 있는 다른 유형의 동적 저장 디바이스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메모리(203)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CD-ROM(compact disc read-only memory) 또는 다른 컴팩트 디스크 스토리지, 광학 디스크 스토리지(컴팩트 디스크, 레이저 디스크, 광학 디스크,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 블루레이 광 디스크 등을 포함함),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 또는 명령 또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의 예상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전달 또는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일 수 있다. 그러나 메모리(203)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메모리는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으며, 버스를 사용하여 프로세서에 연결된다.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통합될 수 있다. 메모리(203)는, 본 출원의 이하의 실시 예들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프로세서(201)는 실행을 제어한다. 프로세서(201)는, 메모리(203)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본 출원의 이하의 실시 예들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신뢰성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을 구현한다.
특정 구현 동안,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201)는, 도 1의 CPU 0 및 도 2의 CPU 1과 같은 하나 이상의 CPU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구현 동안, 일 실시 예에서, 통신 디바이스(200)는, 도 2의 프로세서(201) 및 프로세서(208)와 같은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들 각각은 단일 코어(단일 CPU) 프로세서일 수 있거나, 다중 코어(다중 CPU) 프로세서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프로세서는, 데이터(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를 처리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 회로 및/또는 프로세싱 코어일 수 있다. 특정 구현 동안, 일 실시 예에서, 통신 디바이스(200)는 출력 디바이스(205) 및 입력 디바이스(2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출력 디바이스(205)는 프로세서(401)와 통신하고, 복수의 방식으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디바이스(405)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음극선 관(cathode ray tube, CRT)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프로젝터(projector) 등일 수 있다. 입력 디바이스(206)는 프로세서(201)와 통신하고, 복수의 방식으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디바이스(206)는 마우스, 키보드, 터치스크린 디바이스, 센싱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시스템(10) 및 통신 디바이스(200)에 기초하여, 본 출원의 일 실시 예는 서비스 신뢰성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S300)을 제공한다. 동일한 단말에 대해 적어도 2 개의 전송 경로가 설정되고, 단말에 대한 적어도 2 개의 전송 경로 각각을 통해 동일한 서비스 데이터가 전송되므로, 서비스의 전송 품질이 더욱 양호하게 보장되고 서비스 신뢰성이 향상된다.
S301. 코어 네트워크는, 코어 네트워크와 사용자 단말 사이에 적어도 2 개의 전송 경로의 설정을 개시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여기서 적어도 2 개의 전송 경로는 동일한 서비스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에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의 세션 기능 엔티티는 설정을 능동적으로 개시할 수 있거나, 단말의 요청 또는 정책 기능 엔티티의 요청에 기초하여 코어 네트워크 내의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와 단말 사이의 적어도 2 개의 전송 경로의 설정을 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단말의 구성, 서비스 요구 사항 또는 네트워크 환경에 기초하여, 마스터 및 보조 전송 경로 설정 요청을 세션 기능 엔티티에 송신한다. 대안적으로, 정책 기능 엔티티 및/또는 세션 기능 엔티티는, 네트워크 상태, 서비스 속성, 또는 단말에 의해 송신된 QoS 개선 요청에 기초하여, 적어도 2 개의 전송 경로의 설정을 능동적으로 개시한다. 물론, 적어도 2 개의 전송 경로의 설정은 대안적으로, 협력 방식의 협상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 및 단말에 의해 개시될 수 있다. 이것은 본 발명의 본 실시 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적어도 2 개의 전송 경로가 동일한 사용자 단말에 대해 동일한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면, 적어도 2 개의 전송 경로는 동시에 설정될 수 있거나, 순차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적어도 2 개의 전송 경로는 상호 마스터 보조 관계(mutual master-secondary relationship)에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적어도 2 개의 전송 경로를 통해 동일한 서비스 데이터가 동시에 전송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서비스 데이터는 현재 일부 전송 경로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다른 전송 경로로는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지만, 다른 전송 경로는 이미 설정되어 준비 상태에 있다. 동일한 서비스 데이터가, 코어 네트워크의 구성, 단말의 구성 또는 서비스 환경에 의해 트리거되는 다른 전송 경로 및 현재 전송 경로를 통해 동시에 전송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는, 상이한 액세스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단말에 대해 적어도 2 개의 전송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코어 네트워크는, 동일한 액세스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단말에 대해 복수의 전송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코어 네트워크는, 하나의 액세스 디바이스를 앵커로서 사용함으로써 복수의 전송 경로의 설정을 개시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의 세션 기능 엔티티는 단말의 액세스 유형 정보를 저장하기 때문에, 세션 기능 엔티티는, 단말의 액세스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이 2 개의 액세스 디바이스 각각에 대한 제어 평면 연결을 갖는지 여부를 학습할 수 있다. 단말이 2 개의 액세스 디바이스 각각에 대한 제어 평면 연결을 갖는 경우, 코어 네트워크 및 각각의 액세스 디바이스는 전송 경로를 설정한다. 단말이 단지 하나의 액세스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평면 연결을 갖는 경우, 다른 액세스 디바이스는 액세스 디바이스에 의해 지시되어, 복수의 전송 경로의 설정을 개시한다.
S302. 코어 네트워크는 적어도 2 개의 전송 경로를 통해 단말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본 명세서에서 데이터 전송은, 동일한 데이터가 적어도 2 개의 전송 경로를 통해 동시에 전송되는 것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데이터 전송은, 서비스 데이터가 일부 전송 경로를 통해 실제로 전송되고 있고, 다른 전송 경로가 이미 설정되어 있고 데이터 전송이 실제로 수행되지 않는 상태에 있는 것일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의 구성 및/또는 단말의 구성 또는 서비스 환경에 의해 트리거됨에 따라, 동일한 서비스 데이터는, 데이터 전송이 실제로 수행되지 않는 상태의 전송 경로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 측에서, 코어 네트워크는 적어도 2 개의 전송 경로(이중 송신 또는 바이캐스팅)를 통해 동일한 서비스 데이터를 동시에 단말에 전달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는 또한, 적어도 2 개의 전송 경로를 통해, 단말에 의해 송신된 동일한 서비스 데이터를 동시에 수신하고, 중복 제거 프로세싱(이중 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 측에서, 단말은, 적어도 2 개의 전송 경로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의해 송신된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고, 중복 제거 프로세싱(이중 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또한 적어도 2 개의 전송 경로(이중 송신 또는 바이캐스팅)를 통해 동일한 서비스 데이터를 코어 네트워크에 동시에 송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코어 네트워크 측 및 단말 측에서의 데이터 송신 메커니즘 및 데이터 수신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해 일 예로서 2 개의 전송 경로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본 실시 예에서, 프로토콜 스택은 코어 네트워크 내의 각각의 사용자 단말(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및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에 추가되어, 방법(S300)에 설명된 이중 송신 및 이중 수신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코어 네트워크의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는 2 개의 전송 경로를 통한 데이터 전송을 구현하고, 프로토콜 스택을 사용하여 이중 송신 프로세싱 및 이중 수신 프로세싱을 수행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NCP는 네트워크 제어 프로토콜(Network Control Protocol)이다. 제1 전송 경로(경로 1) 및 제2 전송 경로(경로 2)는 모두 3GPP 경로일 수 있거나, 3GPP 경로 및 비 3GPP(non-3GPP) 경로일 수 있다.
도 4는 데이터 흐름의 전송 방향을 도시한다. 전송기 측의 이중 송신 메커니즘 및 수신기 측의 이중 수신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도 5를 더 참조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UE)에서, 송신될 필요가 있는 APP의 패킷이, 로컬 버스 등을 사용하여 이동 전화의 기저 대역 칩으로 송신됨을 알 수 있다. 기저 대역 칩은 상위 계층으로부터 서비스 패킷을 수신하고, 패킷을 복제하고, 시퀀스 번호 및 NCP ID로 패킷을 마킹한 다음, 경로 1 및 경로 2를 통해 패킷을 송신한다. 패킷을 수신한 후,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 측은, 경로 1 및 경로 2와 관련된 프로토콜 헤더를 제거하고, NCP ID 및 시퀀스 번호에 기초하여 중복 제거를 수행한 다음, 데이터 패킷을 데이터 네트워크(Data Network, DN)에 송신한다.
도 5의 수신기 측으로부터, 전송 중, 시퀀스 번호가 2 인 데이터 패킷은 제1 전송 경로(경로 1) 상에서 손실됨을 알 수 있다. 마스터 보조 전송 경로 메커니즘이 사용되기 때문에,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시스템은 제2 전송 경로 상에서 시퀀스 번호가 2 인 손실된 데이터 패킷을 획득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 수신의 품질 및 신뢰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기 측에서, 설정된 2 개의 전송 경로 중 하나가, 데이터 전송 품질 및/또는 링크 품질에 기초하여, (대안적인 방식으로) 수신하기 위해 선택될 수 있으며, 중복 제거 동작은 수행될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측 또는 단말은 주기적으로 2 개의 전송 경로의 데이터 전송 품질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샘플링을 수행하고, 품질의 동적 변화, 더 높은 전송 품질을 갖는 전송 경로 또는 현재 서비스 요구 사항을 더 잘 충족시키는 전송 경로(가장 안정적이거나 가장 빠른 전송 경로)를 기초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시간을 선택한다. 중복 제거가 수행되어야 하는 방식과 비교하여, 대안적인 방식은 수신기 측에서의 중복 제거 프로세싱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본 실시 예에서 서비스 신뢰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방법에 따르면, 코어 네트워크에 대한 적어도 2 개의 전송 경로가 동일한 단말에 대해 설정되고, 동일한 서비스 데이터가 2 개의 전송 경로를 통해 동시에 전송될 수 있고, 이중 송신 메커니즘 및 이중 수신 메커니즘이 전송기 측 및 수신기 측에서 각각 추가로 사용되므로, 신뢰성이 높은 데이터 전송을 구현할 수 있다.
특정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를 참조하여, 아래에서는 설명을 위한 일 예로서 2 개의 전송 경로를 사용한다. 본 실시 예에서, 2 개의 전송 경로는 제1 전송 경로 및 제2 전송 경로로 지칭되거나, 마스터 전송 경로 및 보조 전송 경로(마스터 경로 및 보조 경로)로 지칭된다. 마스터 경로 및 보조 경로와, 제1 전송 경로 및 제2 전송 경로 사이의 대응은 본 실시 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제1 전송 경로 또는 제2 전송 경로는 서로에 대한 마스터/보조 전송 경로일 수 있다.
방법(S600)에서, 도 6을 참조하면, 2 개의 전송 경로 각각에 대한 설정을 개시하는 단계는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S601. 코어 네트워크의 단말 또는 정책 기능 엔티티가 신뢰성이 높은 서비스의 데이터 전송을 보장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단말 또는 정책 기능 엔티티는 신뢰성이 높은 전송 경로 설정 요청을 세션 기능 엔티티에 송신한다.
S602. 세션 기능 엔티티는, 단말과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 사이의 2 개의 전송 경로, 즉 제1 전송 경로 및 제2 전송 경로가 설정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결정한다.
S603. 세션 기능 엔티티는 제1 전송 경로 및 제2 전송 경로의 설정을 개시하고, 2 개의 전송 경로를 설정하기 위해, 액세스 디바이스 및 사용자 단말에 2 개의 전송 경로의 식별자 및 연관 관계를 통지한다.
구체적으로, 2 개의 전송 경로는 액세스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2 가지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방식 1: 세션 기능 엔티티가, 제1 액세스 디바이스 및 제2 액세스 디바이스 각각을 사용하여 제1 전송 경로 및 제2 전송 경로를 설정한다. 방식은 구체적으로 다음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6031. 제1 액세스 디바이스가 제1 전송 경로를 설정하도록 지시하고, 여기서 제1 전송 경로의 설정은 종래 기술에 속하며, 여기에서는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는다.
S6032. 제1 전송 경로 및 제2 전송 경로의 식별자, 및 연관 식별자를 제2 액세스 디바이스에 통지하고, 제2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2 전송 경로를 설정하도록 지시한다.
S6033. 제1 전송 경로 및 제2 전송 경로의 자원 및 식별 정보, 및 연관 식별자를 코어 네트워크의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에 통지하고, 코어 네트워크의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가 2 개의 전송 경로의 설정을 완료하도록 지시한다.
본 실시 예에서, 코어 네트워크는 2 개의 전송 경로 각각에 대한 설정을 개시하고, 2 개의 전송 경로를 가지는 것을 담당하는 액세스 디바이스들 사이에는 인터랙션이 없을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3GPP 액세스 디바이스가 2 개의 전송 경로를 각각 가질 수 있거나, 3GPP 액세스 디바이스 및 비 3GPP 액세스 디바이스가 2 개의 전송 경로를 각각 가질 수 있다. 구현 동안 제1 액세스 디바이스 및 제2 액세스 디바이스는 동일한 액세스 디바이스(예를 들어, 동일한 기지국)일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러나, 신뢰성 향상의 관점에서, 2 개의 액세스 디바이스가 상이한 액세스 디바이스, 또는 심지어 3GPP 액세스 디바이스 및 비 3GPP 액세스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되는 경우,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 또는 견고성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방식 2: 코어 네트워크는, 제1 액세스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제2 액세스 디바이스가 제2 액세스 경로를 설정하도록 지시한다.
S603a. 세션 기능 엔티티는 제1 액세스 디바이스가 제1 전송 경로를 설정하기 위해 단말과 인터랙션하도록 지시한다(이것은 종래 기술에 속하며, 세부 내용은 여기에서 설명되지 않음). 또한, 세션 기능 엔티티는, 제2 전송 경로를 설정하기 위해, 제1 액세스 디바이스가, 제2 액세스 디바이스가 단말과 인터랙션하도록 지시하도록, 제1 액세스 디바이스를 지시한다(교환되는 정보는 제1 전송 경로 및 제2 전송 경로의 식별자 및 백업 식별자를 포함함).
S603b. 제1 전송 경로 및 제2 전송 경로의 자원 및 식별 정보, 및 연관 식별자를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에 통지하고;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가 2 개의 전송 경로의 설정을 완료하도록 지시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전송 경로 설정 요청을 수신한 후, 제1 액세스 디바이스는 제2 액세스 디바이스 및 단말이 제2 전송 경로를 설정하도록 트리거한다. 본 구현에서, 네트워크는 약간 변경되며, 기존 네트워크와 더욱 쉽게 호환된다.
세션 기능 엔티티는, 연관 식별자를 사용하여, 단말 또는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가, 제1 전송 경로를 제2 전송 경로와 연관시키도록 지시한다. 연관은,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 또는 단말에 의해, 제1 전송 경로 및 제2 전송 경로 각각을 통해 동일한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 또는 단말에 의해, 제1 전송 경로 및 제2 전송 경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중복 제거하거나, 단말에 의해,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제1 전송 경로 및 제2 전송 경로로부터 하나의 전송 경로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한다.
단말의 경우, 세션 기능 엔티티는 보통 제2 전송 경로 설정 요청에 연관 라벨을 추가하고, 연관 라벨(또는 백업 라벨)을 사용하여, 단말이 2 개의 전송 경로를 연관시키도록(또는 바인딩하도록) 지시한다.
코어 네트워크 측의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의 경우, 제2 전송 경로의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표시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후, 세션 기능 엔티티는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가 2 개의 전송 경로를 연관시키도록(또는 바인딩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통지 메시지는 구체적으로 연관 라벨(또는 백업 라벨) 및 제1 전송 경로 및 제2 전송 경로의 식별자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단계 603에서, 2 개의 전송 경로의 설정을 개시할 때, 세션 기능 엔티티는,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 또는 단말이 이중 송신 기능 및/또는 이중 수신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이중 송신 기능 및/또는 이중 수신 기능을 활성화 하도록 하는 표시는 구체적으로, 제1 전송 경로 및/또는 제2 전송 경로의 설정을 위한 통지 메시지로서 세션 기능 엔티티에 의해 송신되는 통지 메시지로 전달될 수 있다. 이것은 본 발명의 본 실시 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S604. 세션 기능 엔티티가,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 또는 단말이 이중 송신 및/또는 이중 수신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경우,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 또는 단말은 연관된 제1 전송 경로 및 제2 전송 경로 각각을 통해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세션 기능 엔티티는, 세션 기능 엔티티가 제1 전송 경로 및 제2 전송 경로의 설정을 개시할 때,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 또는 단말이, 이중 송신 및/또는 이중 수신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2 개의 전송 경로의 설정이 완료된 후, 세션 기능 엔티티는, 네트워크 상태 및 서비스 상태에 기초하여,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 또는 단말이 2 개의 설정된 전송 경로를 사용하여 이중 송신 및/또는 이중 수신을 실제로 수행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본 실시 예의 방법(S600)에 따르면, 동일한 서비스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초기 단계에 단말과 네트워크 측 사이에 2 개의 전송 경로가 설정되어,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방법(S700)에서, 도 7을 참조하면, 코어 네트워크에는 단말과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 사이에 하나의 전송 경로가 이미 존재하며, 새로운 전송 경로가 여전히 설정될 필요가 있다.
S701. 단말 또는 네트워크 측이 전송 QoS에 대한 요구 사항을 개선할 필요가 있는 경우, 단말 또는 네트워크 측은 QoS 개선 요청을 세션 기능 엔티티에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이 경우에, 단말과 네트워크 측 사이에 하나의 전송 경로가 이미 존재하거나, 선택적으로, 서비스 데이터가 제1 전송 경로를 통해 전송되고 있다. 그러나, 서비스 요구 사항 또는 네트워크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로 인해, 전송 품질은 개선 또는 유지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QoS를 향상 시키기 위해 세션 기능 엔티티를 요청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정책 기능 엔티티 또는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와 같은 네트워크 측의 네트워크 요소 또는 단말은 대안적으로 제2 전송 경로(보조 경로) 설정 요청을 세션 기능 엔티티에 직접 송신할 수 있다.
S702. 세션 기능 엔티티는, 단말과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 사이의 제2 전송 경로가 설정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결정한다.
세션 기능 엔티티는, 서비스의 QoS 요구 사항 및/또는 로컬 네트워크 로드 상태를 기초로, 제2 전송 경로를 설정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세션 기능 엔티티는 정책 기능 엔티티로부터 권한을 추가로 요청할 수 있다. 정책 기능 엔티티는 서비스에 대한 제2 전송 경로를 설정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세션 기능 엔티티에 응답을 송신한다. 또한, 세션 기능 엔티티는, 수신된 제2 전송 경로 설정 요청에 기초하여, 제2 전송 경로의 설정을 직접 개시할 수 있다.
S703. 세션 기능 엔티티는 제2 전송 경로의 설정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제2 전송 경로는 액세스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2 가지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방식 1: 제1 전송 경로는 제1 액세스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코어 네트워크에 의해 이미 설정되고, 이 경우, 코어 네트워크는 제2 액세스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제2 전송 경로를 설정한다.
S7031. 제1 전송 경로 및 제2 전송 경로의 식별자, 및 연관 식별자를 제2 액세스 디바이스에 통지하고, 제2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가 제2 전송 경로를 설정하도록 지시한다.
S7032. 제2 전송 경로의 자원, 제1 경로의 식별 정보 및 연관 식별자를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에 통지하고,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가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 측에 제2 전송 경로의 설정을 완료하도록 지시한다.
코어 네트워크는 하나의 새로운 전송 경로(제2 전송 경로)의 설정을 개시하고, 2 개의 전송 경로를 가지는 것을 담당하는 액세스 디바이스들 사이에는 인터랙션이 없을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3GPP 액세스 디바이스가 2 개의 전송 경로를 각각 가질 수 있거나, 3GPP 액세스 디바이스 및 비 3GPP 액세스 디바이스가 2 개의 전송 경로를 각각 가질 수 있다. 구현 동안 제1 액세스 디바이스 및 제2 액세스 디바이스는 동일한 액세스 디바이스(예를 들어, 동일한 기지국)일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방식 2: 코어 네트워크는, 제1 액세스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제2 액세스 디바이스가 제2 액세스 경로를 설정하도록 지시한다.
S703a. 제1 전송 경로 및 제2 전송 경로의 식별자, 및 연관 식별자를 제1 액세스 디바이스에 통지한다. 제1 액세스 디바이스는, 단말 및 제2 액세스 디바이스가 제2 전송 경로(보조 경로)를 설정하도록 지시한다.
S703b. 제2 전송 경로의 자원, 제1 전송 경로의 식별 정보 및 연관 식별자를 사용자 평면 기능(UPF) 엔티티에 통지하고,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가,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 측에 제2 전송 경로의 설정을 완료하도록 지시한다.
제2 전송 경로 설정 요청을 수신한 후, 제1 액세스 디바이스는, 단말 및 제2 액세스 디바이스가 제2 전송 경로를 설정하도록 지시한다. 네트워크는 약간 변경되며, 기존 네트워크와 더욱 쉽게 호환된다.
제2 전송 경로의 설정을 개시할 때, 세션 기능 엔티티는, 단말 또는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가 제1 전송 경로를 제2 전송 경로와 연관시키도록 지시할 수 있다. 연관은,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 또는 단말에 의해, 제1 전송 경로 및 제2 전송 경로 각각을 통해 동일한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 또는 단말에 의해, 제1 전송 경로 및 제2 전송 경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중복 제거하거나,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제1 전송 경로 및 제2 전송 경로로부터 하나의 전송 경로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한다.
단말의 경우, 세션 기능 엔티티는 보통 제2 전송 경로 설정 요청에 연관 라벨을 추가하고, 연관 라벨을 사용하여, 단말이 2 개의 전송 경로를 연관시키도록(또는 바인딩하도록) 지시한다. 코어 네트워크 측의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의 경우, 제2 전송 경로의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표시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후, 세션 기능 엔티티는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가 2 개의 전송 경로를 연관시키도록(또는 바인딩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또한, 단계 703에서, 마스터 전송 경로 및 보조 전송 경로의 설정을 개시할 때, 세션 기능 엔티티는,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 또는 단말이 이중 송신 및/또는 이중 수신을 수행하는 것을 시작하도록 추가로 지시할 수 있다. 이중 송신 및/또는 이중 수신에 대한 표시는 구체적으로, 세션 기능 엔티티에 의해 송신된 제2 전송 경로의 설정을 위한 통지 메시지로 전달될 수 있다. 이것은 본 발명의 본 실시 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S704. 세션 기능 엔티티가,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 또는 단말이 이중 송신 및/또는 이중 수신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경우,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 또는 단말은 연관된 제1 전송 경로 및 제2 전송 경로 각각을 통해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본 실시 예에서의 방법(S700)에 따르면, 제1 전송 경로가 이미 존재하거나, 데이터가 제1 전송 경로를 통해 전송 중인 경우, 단말 또는 네트워크 측은 서비스 요구 사항, 네트워크 상태의 변경 등에 기초하여 제2 전송 경로의 설정을 개시한다. 제1 전송 경로 및 제2 전송 경로 각각에서 동일한 서비스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어서,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 및 유연성이 개선된다. 처음에 2 개의 전송 경로가 동시에 설정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단말과 네트워크 측의 네트워크 자원 및 프로세싱 부담이 감소되고, 유연성이 개선된다.
서비스 신뢰성을 개선하기 위한 전술한 시스템(10), 통신 장치(200), 방법(S300),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전송기 측의 이중 송신 메커니즘 및 수신기 측의 이중 수신 메커니즘, 방법(S600) 및 방법(S700)은 모두 현재 4G, 4.5G 또는 5G 네트워크 및 다른 미래형 네트워크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션 기능 엔티티는 5G의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 세션 관리 기능) 또는 4G의 PGW(PDN Gateway,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일 수 있고, 정책 기능 엔티티는 5G의 PCF(Policy Control Function, 정책 제어 기능) 또는 4G의 PCRF(Policy and Charging Rules Function, 정책 및 과금 규칙 기능)일 수 있고,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는 5G의 UPF(User Plane Function, 사용자 평면 기능) 또는 4G의 GW-U(Gateway User plane function, 게이트웨이 사용자 평면 기능)일 수 있다.
전술한 시스템, 통신 장치 및 방법은 5G 네트워크에 적용되며, 가능한 적용 가능한 아키텍처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아키텍처를 포함한다. 도 8a에서, UE는 3GPP 액세스 디바이스만을 사용하여 네트워크에 액세스한다. 도 8b에서, UE는 3GPP 액세스 디바이스 및 비 3GPP 액세스 디바이스 모두를 사용하여 네트워크에 액세스한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2 개의 아키텍처 각각에서,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기 위해 UE에 의해 사용되는 액세스 디바이스와 AMF 사이에 제어 평면 연결이 존재함을 유의해야 한다.
표 1은 도 8a 및 도 8b의 주요한 네트워크 요소의 명칭 및 기능 설명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표 1
Figure 112020051641294-pct00001
QoS 흐름은 5G에서 QoS를 구별하기 위한 최소 단위(minimum granularity)이며, 스케줄링 정책, 큐 관리, 트래픽 쉐이핑(traffic shaping) 및 자원 구성을 포함하는 동일한 포워딩 프로세싱(forwarding processing)이 하나의 QoS 흐름에서 모든 서비스 흐름에 대해 수행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다른 QoS 프로세싱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다른 QoS 흐름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하나의 전송 경로는 하나의 QoS 흐름에 대응한다.
도 9a 및 도 9b는, 도 8a 및 도 8b의 아키텍처에 기초하여 제1 전송 경로 및 제2 전송 경로(마스터 경로 및 보조 경로)를 설정하는 절차를 도시한다. 초기 단계에서 마스터 경로 및 보조 경로를 설정하면, 마스터 경로 이외에, 보조 경로가 높은 신뢰성 요구 사항을 갖는 서비스(예를 들어, URLLC 서비스)에 이용 가능할 수 있음을 보장할 수 있다. 실시 예(900)의 단계들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S901. 마스터 전송 경로 및 보조 전송 경로를 설정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다음과 같은 경우가 있을 수 있다.
a. UE는 서비스 요청을 SMF에 송신하며, 여기서 서비스 요청은 QoS 파라미터, 마스터 및 보조 경로 설정 표시(선택 사항) 등을 포함한다. SMF는, UE 유형(예를 들어, UE는 URLLC 단말임), QoS 요구 사항 등을 기초로, 네트워크 로드 상태와 마스터 및 보조 경로 표시 라벨(선택 사항)을 참조하여, UE의 서비스 요구 사항에 대한 마스터 QoS 흐름 및 보조 QoS 흐름을 설정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b. UE의 서비스 요청을 수신한 후, SMF는 PCF로부터 인증을 요청, 구체적으로, 마스터 및 보조 경로 설정 요청을 PCF에 송신할 수 있으며, 여기서 요청 메시지는 5QI(5G QoS 표시자(5G QoS indicator), 5G QoS 라벨)와 같은 QoS 파라미터 또는 특정 QoS 요구 사항을 전달한다. PCF는, UE의 가입 정보 및 QoS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SMF가 UE에 대한 마스터 경로 및 보조 경로를 설정하도록 인증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PCF는 마스터 및 보조 경로 설정 응답 메시지를 SMF에 송신하며, 여기서 메시지는, SMF가 UE의 서비스 요청에 대한 마스터 경로 및 보조 경로를 설정할 수 있음을 표시한다.
c. PCF는 서비스 요청을 SMF에 송신하며, 여기서 서비스 요청은 QoS 파라미터, 마스터 및 보조 경로 표시(선택적으로, DN의 서비스 요청을 수신한 후, PCF는, UE의 가입 정보 및 QoS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서비스에 대해 마스터 경로 및 보조 경로가 설정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결정한다. 이 경우, 마스터 및 보조 경로 표시 라벨이 전달될 수 있다.) 등을 포함한다. SMF는, UE 유형(URLLC 단말), QoS 요구 사항 등을 기초로, 네트워크 로드 상태와 마스터 및 보조 경로 표시 라벨(선택 사항)을 참조하여, UE의 서비스 요구 사항에 대한 마스터 QoS 흐름 및 보조 QoS 흐름을 설정(또는 PCF의 마스터 및 보조 경로 설정 표시에 기초하여 UE에 대한 마스터 경로 및 보조 경로를 직접 설정)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S902. SMF는 마스터 경로 및 보조 경로의 설정을 개시하며, 본 단계는, SMF에 의해, 사용자 평면 자원을 마스터 QoS 흐름 및 보조 QoS 흐름에 할당하는 것을 포함하고, 사용자 평면 자원은 마스터 QoS 흐름 및 보조 QoS 흐름의 QFI(QoS 흐름 아이덴티티, QoS 흐름 식별자), 패킷 검출 규칙 및 과금 규칙 등을 주로 포함한다. 할당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마스터 QoS 흐름 및 보조 QoS 흐름에 대응하는 QFI와 같은 QoS 흐름 관련 자원(예를 들어, PCC(Policy Charging Control, 정책 및 과금 제어) 규칙)을 할당하는 것. 2 개의 QoS 흐름의 과금 정책 또는 QoS 정책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예를 들어, 제2 QoS 흐름은 더 이상 과금되지 않을 수 있음). 이것은 본 실시 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이 경우, SMF는, URLLC 서비스 유형 및/또는 단말 유형에 기초하여, UPF 및/또는 UE가, 이중 전송(이중 송신 및/또는 이중 수신)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지시할지 여부를 추가로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음 단계들이 포함된다.
- URLLC 단말이 (QoS 파라미터, 서비스 유형, 단말 유형 등으로 표시되는) 고속 이동 단말인 경우, 이는 URLLC 단말의 네트워크의 불안정성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것을 표시한다. 이중 전송 표시 통지는, UPF 및 UE가 이중 전송을 수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해, 마스터 경로 및 보조 경로의 설정을 위한 통지 메시지로서 SMF에 의해 전달되는 통지 메시지로 전달된다.
- URLLC 단말이 저속 이동 단말인 경우, 이는 URLLC 단말의 네트워크 경로가 상대적으로 안정적임을 표시한다. URLLC 단말에 대해 마스터 경로 및 보조 경로만 설정되며, 이후에 필요에 따라 이중 전송이 활성화된다.
S903. SMF는 마스터 및 보조 QoS 흐름 설정 요청을 AMF에 송신하며, 여기서 요청 메시지는, 마스터 QoS 흐름 및 보조 QoS 흐름의 QFI, PDU 세션 ID(마스터 QoS 흐름 및 보조 QoS 흐름이 상이한 PDU 세션에 위치하는 경우, 2 개의 PDU 세션 ID가 전달될 필요가 있음), TFT, QoS, 백업 라벨, 이중 전송 표시(선택 사항) 등을 전달한다.
백업 라벨은 2 개의 QoS 흐름 간의 관계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2 개의 QoS 흐름 사이의 관계는, 마스터 보조 관계, 연관(연관된) 관계 또는 바인딩 관계로 지칭될 수 있다. UE 또는 UPF는, 백업 라벨에 기초하여, 2 개의 QoS 흐름 각각에 대해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S904 내지 S906. AMF는 SMF에 의해 송신된 마스터 및 보조 QoS 흐름 설정 요청을 수신하고, QoS 흐름 설정 요청을 제1 액세스 디바이스에 송신하며, 여기서 요청 메시지는 PDU 세션 ID, QoS 규칙 등을 전달한다. QoS 흐름 설정 요청을 수신할 때, 제1 액세스 디바이스는 QoS 규칙을 무선 QoS 규칙(radio QoS rule)에 매핑하고, 무선 재구성 정보를 UE에 송신하여, 제1 QoS 흐름의 설정을 완료한다. 제1 액세스 디바이스는, 무선 측에서 제1 QoS 흐름의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AMF에 통지하기 위해 QoS 흐름 설정 응답 메시지를 AMF에 송신한다.
S907. AMF는 보조 QoS를 설정하는 절차를 개시하고, QoS 흐름 설정 요청 메시지를 제2 액세스 디바이스에 송신하며, 여기서 요청 메시지는 제1 QoS 흐름의 QFI, PDU 세션 ID, 제2 QoS 흐름의 QFI, PDU 세션 ID(제1 QoS 흐름이 위치하는 PDU 세션 ID와 상이하거나 동일할 수 있으며, 이는 제한되지 않음), 백업 라벨, 이중 전송 표시(선택 사항), QoS 등을 전달한다.
S908. 제2 액세스 디바이스는 보조 QoS 흐름 설정 요청을 수신하고, QoS 규칙을 무선 QoS 규칙에 매핑하고, 무선 재구성 정보를 UE에 송신하여, 제2 QoS 흐름의 설정을 완료한다.
제1 QoS 흐름 및 제2 QoS 흐름이 설정되는 순서는 제한되지 않을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UE 측은, 백업 라벨, 제1 QoS 흐름 식별자(QFI 및 PDU 세션 ID) 및 제2 QoS 흐름 식별자(PDU 세션 ID 및 QFI)에 기초하여 2 개의 QoS 흐름을 바인딩한다(또는 연관시킨다). 구체적으로, 설정될 제2 QoS 흐름은, 마스터 경로를 보조 경로와 연관시키는 것을 완료하기 위해, 이미 존재하는 제1 QoS 흐름과 바인딩된다. 선택적으로, 재구성 메시지가 이중 전송 표시를 포함하는 경우, UE는 이중 전송을 활성화한다. 구체적인 구현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 5의 방식을 참조할 수 있으며, 예들은 다음과 같다.
- 업링크 이중 송신: UE는 데이터 패킷을 복제하고, 제1 QoS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UE에 복제한다. UE는, 제1 QoS 흐름에 대응하는 무선 베어러를 사용하여 원본 데이터 패킷을 제1 액세스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제2 QoS 흐름이 위치하는 무선 베어러를 사용하여 복제된 데이터 패킷을 제2 액세스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UE는, 제1 QoS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 패킷 및 제2 QoS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 패킷 각각에 이중 전송 프로토콜 헤더를 추가하며, 여기서 프로토콜 헤더는 패킷 시퀀스 번호, 식별자 등을 전달한다. UPF는 이중 전송 프로토콜 헤더를 파싱함으로써 중복 제거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 다운링크 이중 수신: UE는, 제1 QoS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 패킷으로서 제1 액세스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데이터 패킷 및 제2 QoS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 패킷으로서 제2 액세스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고, 데이터 패킷에서의 이중 전송 프로토콜 헤더 정보(주로 시퀀스 번호, 식별자 등을 포함함)에 기초하여 데이터 패킷을 중복 제거한다.
S909. 제2 액세스 디바이스는 QoS 흐름 설정 응답 메시지를 AMF에 송신하여, 무선 측에서의 제2 QoS 흐름의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AMF에 통지한다.
S910. AMF는 마스터 및 보조 QoS 흐름 설정 응답 메시지를 SMF에 송신한다.
메시지는 제1 QoS 흐름 식별자, 제2 QoS 흐름 식별자 등을 포함한다.
S911. SMF는, UPF가 제1 QoS 흐름 및 제2 QoS 흐름에 대한 UPF 측 사용자 평면 자원을 설정하도록 지시한다.
구체적으로, SMF는 자원(다른 곳에서 SMF가 획득한 QoS 및 과금 규칙 및 터널)을 할당하고 규칙을 UPF에 송신한다. UPF는, 사용자 평면 자원의 설정을 구현하기 위해 규칙을 저장/설치한다.
또한, SMF는 N4 세션 수정 메시지(N4 session modification message)를 UPF에 송신한다. 메시지는 다음 내용을 전달한다.
a. 제1 QoS 흐름 식별자, 제2 QoS 흐름 식별자 및 백업 라벨. 백업 라벨, 제1 QoS 흐름 식별자(QFI 및 PDU 세션 ID) 및 제2 QoS 흐름 식별자(PDU 세션 ID 및 QFI)에 기초하여, UPF 측은 2 개의 QoS 흐름에 대한 바인딩을 완료한다. 즉, UPF 측은 마스터 경로를 보조 경로와 연관시키는 것을 완료한다.
b. 이중 전송 표시(선택 사항). 표시에 기초하여,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UPF는 다음 동작을 수행한다.
b1. 다운링크 이중 송신: DN에 의해 송신되는 데이터 패킷으로서 제1 QoS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 UPF는 데이터 패킷을 복제한다. UPF는, 제1 QoS 흐름이 위치하는 N3 터널을 통해 원본 데이터 패킷을 제1 액세스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제2 QoS 흐름이 위치하는 N3 터널을 통해 복제된 데이터 패킷을 제2 액세스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UPF는, 제1 QoS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 패킷 및 제2 QoS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 패킷 각각에 이중 전송 프로토콜 헤더를 추가하며, 여기서 프로토콜 헤더는 패킷 시퀀스 번호, 식별자 등을 전달한다. UE는 이중 전송 프로토콜 헤더를 파싱함으로써 중복 제거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b2. 업링크 이중 수신: UPF는, 제1 QoS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 패킷으로서 제1 액세스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데이터 패킷 및 제2 QoS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 패킷으로서 제2 액세스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고, 데이터 패킷에서의 이중 전송 프로토콜 헤더 정보(주로 시퀀스 번호, 식별자 등을 포함함)에 기초하여 데이터 패킷을 중복 제거한다.
c. 다른 PCC 규칙들. UPF는 제2 QoS 흐름 등과 관련된 정책 및 과금 규칙을 설정한다.
UPF는 N4 세션 수정 응답 메시지를 SMF에 송신하고, 마스터 QoS 흐름 및 보조 QoS 흐름에 대한 UPF 측 사용자 평면 자원의 설정을 완료한다.
본 실시 예에서, URLLC 서비스는 네트워크 측에서 식별되고, 서비스 전송 품질을 개선하고 에러가 있을 때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서비스에 대해 2 개의 경로, 즉 마스터 경로 및 보조 경로가 설정된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2 개의 액세스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에 대한 요구 사항이 없으므로, 3GPP와 및 비 3GPP를 모두 사용하여 UE가 하이브리드 액세스를 수행하는 시나리오가 구현될 수 있고, 전송 효율이 최대화된다.
도 8a의 아키텍처를 참조하여, 도 10a 및 도 10b는, 초기 단계에서 마스터 경로 및 보조 경로(즉, 제1 전송 경로 및 제2 전송 경로)를 설정하는 다른 실시 예(1000)의 개략 흐름도이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액세스 디바이스와 제2 액세스 디바이스 사이에 통신 인터페이스가 존재하고, UE는 제1 액세스 디바이스와 제2 액세스 디바이스를 사용함으로써 동일한 PDU 세션을 설정할 수 있다. UE의 제어 평면 컨텍스트는 제1 액세스 디바이스 상에 있다. 즉, AMF와 제1 액세스 디바이스 사이에 시그널링 평면 연결이 존재한다. 실시 예(1000)는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S1001. 마스터 전송 경로 및 보조 전송 경로를 설정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 예의 단계 S901을 참조할 수 있다.
S1002. SMF는 마스터 경로 및 보조 경로 설정을 개시한다.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 예의 단계 S902를 참조할 수 있다.
S1003. SMF는 마스터 및 보조 QoS 흐름 설정 요청을 AMF에 송신하며, 여기서 요청 메시지는 다음을 전달한다.
제1 QoS 흐름 및 제2 QoS 흐름의 QFI, PDU 세션 ID(마스터 QoS 흐름 및 보조 QoS 흐름은 동일한 PDU 세션에 위치함), TFT, QoS, 백업 라벨, 이중 전송 표시(선택 사항) 등.
S1004. AMF는, SMF에 의해 송신된 마스터 및 보조 QoS 흐름 설정 요청을 수신하고, 마스터 및 보조 QoS 흐름 설정 요청을 제1 액세스 디바이스에 송신하며, 여기서 요청 메시지는, PDU 세션 ID, 제1 QoS 흐름 및 제2 QoS 흐름의 QFI, QoS 규칙, 백업 라벨, 이중 전송 표시(선택 사항) 등을 전달한다.
S1005. 제1 액세스 디바이스는 제2 액세스 디바이스 추가 절차를 개시한다. (마스터 기지국이 보조 기지국 추가 절차를 개시하는 종래 기술을 참조할 수 있으며, 세부 내용에 대해서는 3GPP 표준 TS 36.300을 참조할 수 있다.)
제1 액세스 디바이스는 제2 액세스 디바이스에 QoS 설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며, 여기서 요청 메시지는, 제2 QoS 흐름의 QFI, UPF 측 제1 터널에 관한 정보, PDU 세션 ID, QoS 규칙 등을 전달한다.
S1006. 제2 액세스 디바이스는 무선 자원 정보를 제2 QoS 흐름에 할당하고, 할당된 무선 자원 정보를 제1 액세스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S1007. 제1 액세스 디바이스는, UE가 제1 QoS 흐름 및 제2 QoS 흐름을 설정하도록 지시하며, 여기서 통지 메시지는 다음을 포함한다.
- 제1 QoS 흐름 식별자, 제2 QoS 흐름 식별자, PDU 세션 ID 및 백업 라벨. UE는, 이들 정보에 기초하여 제1 QoS 흐름과 제2 QoS 흐름 사이의 마스터 보조 관계를 설정하고, 마스터 경로를 이차 경로에 연관시키는 것을 완료한다.
- UE가 이중 송신 및 이중 수신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이중 전송 표시(선택 사항).
- 제1 액세스 디바이스에 의해 제1 QoS 흐름에 할당된 무선 자원 정보. 이들 무선 자원 정보에 기초하여, UE는, 제1 QoS 흐름의 설정을 완료하기 위해, 제1 액세스 디바이스에 대해 무선 재구성 메시지를 개시한다.
- 제2 액세스 디바이스에 의해 제2 QoS 흐름에 할당된 무선 자원 정보. 이들 무선 자원 정보에 기초하여, UE는, 제2 QoS 흐름의 설정을 완료하기 위해, 제2 액세스 디바이스에 대해 무선 재구성 메시지를 개시한다.
S1008. UE는, 제1 QoS 흐름의 설정을 완료하기 위해, 제1 액세스 디바이스에 대해 무선 재구성 정보를 개시한다.
S1009. UE는, 제2 QoS 흐름의 설정을 완료하기 위해, 제2 액세스 디바이스에 대해 무선 재구성 정보를 개시한다.
S1010. 제1 액세스 디바이스는 QoS 흐름 설정 응답 메시지를 AMF에 송신하며, 여기서 응답 메시지는 제1 QoS 흐름 및 제2 QoS 흐름의 QFI, PDU 세션 ID 등을 전달한다.
S1011. AMF는 마스터 및 보조 QoS 흐름 설정 응답 메시지를 SMF에 송신한다.
메시지는 제1 QoS 흐름 식별자, 제2 QoS 흐름 식별자 등을 포함한다.
S1012. SMF는, UPF가 제1 QoS 흐름 및 제2 QoS 흐름에 대한 UPF 측 사용자 평면 자원을 설정하도록 지시한다.
구체적으로, SMF는 자원(다른 곳에서 SMF가 획득 한 QoS 및 과금 규칙 및 터널)을 할당하고 규칙을 UPF에 송신한다. UPF는, 사용자 평면 자원의 설정을 구현하기 위해 규칙을 저장/설치한다.
또한, SMF는 N4 세션 수정 메시지를 UPF에 송신한다. 메시지는 다음 내용을 전달한다.
a. 제1 QoS 흐름 식별자, 제2 QoS 흐름 식별자 및 백업 라벨. 백업 라벨, 제1 QoS 흐름 식별자(QFI 및 PDU 세션 ID) 및 제2 QoS 흐름 식별자(PDU 세션 ID 및 QFI)에 기초하여, UPF 측은 2 개의 QoS 흐름에 대한 바인딩을 완료한다. 즉, UPF 측은 마스터 경로를 보조 경로와 연관시키는 것을 완료한다.
b. 이중 전송 표시(선택 사항). 표시에 기초하여,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UPF는 다음 동작을 수행한다.
b1. 다운링크 이중 송신: DN에 의해 송신되는 데이터 패킷으로서 제1 QoS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 UPF는 데이터 패킷을 복제한다. UPF는, 제1 QoS 흐름이 위치하는 N3 터널을 통해 원본 데이터 패킷을 제1 액세스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제2 QoS 흐름이 위치하는 N3 터널을 통해 복제된 데이터 패킷을 제2 액세스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UPF는, 제1 QoS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 패킷 및 제2 QoS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 패킷 각각에 이중 전송 프로토콜 헤더를 추가하며, 여기서 프로토콜 헤더는 패킷 시퀀스 번호, 식별자 등을 전달한다. UE는 이중 전송 프로토콜 헤더를 파싱함으로써 중복 제거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b2. 업링크 이중 수신: UPF는, 제1 QoS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 패킷으로서 제1 액세스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데이터 패킷 및 제2 QoS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 패킷으로서 제2 액세스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고, 데이터 패킷에서의 이중 전송 프로토콜 헤더 정보(주로 시퀀스 번호, 식별자 등을 포함함)에 기초하여 데이터 패킷을 중복 제거한다.
c. 다른 PCC 규칙들. UPF는 제2 QoS 흐름 등과 관련된 정책 및 과금 규칙을 설정한다.
UPF는 N4 세션 수정 응답 메시지를 SMF에 송신하고, 마스터 QoS 흐름 및 보조 QoS 흐름에 대한 UPF 측 사용자 평면 자원의 설정을 완료한다.
본 실시 예에서, 2 개의 액세스 디바이스는 인터랙션을 통해 2 개의 전송 경로를 설정하고, 코어 네트워크는, 마스터 전송 경로 및 보조 전송 경로를 설정하기 위해, 하나의 액세스 디바이스에만 마스터 및 보조 전송 경로 설정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동일한 액세스 기술의 경우, 기존 코어 네트워크에서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액세스 디바이스만이 AMF와 제어 평면 연결을 갖도록 허용된다(예를 들어, 마스터 및 보조 기지국 메커니즘). 본 실시 예의 해결 방안에서, 네트워크는 약간 변경되며, 기존 네트워크와 더욱 쉽게 호환된다.
도 8a 및 도 8b의 아키텍처에 기초하여, 도 11a 및 도 11b는, 코어 네트워크가, 제1 전송 경로가 이미 존재하는 경우, 제2 전송 경로의 설정을 개시하는 절차를 도시한다. 실시 예(1100)의 단계들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S1101. 제2 전송 경로를 설정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다음과 같은 경우가 있을 수 있다.
a. UE는, QoS 개선 요청 또는 링크 폴트 통지를 SMF에 송신하며, 이는 QoS 파라미터, 링크 폴트 통지, 보조 경로 설정 표시(선택 사항, 존재하지 않을 수 있음) 등을 포함한다. SMF는, UE 유형(URLLC 단말), QoS 개선 요구 사항 등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로드 상태 및 보조 경로 표시 라벨(선택 사항)을 참조하여, UE의 요청에 대한 보조 QoS 흐름을 설정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b. UE의 QoS 개선 요청 또는 UE의 링크 폴트 통지를 수신한 후, SMF는 PCF로부터 인증을 추가로 요청, 구체적으로, 보조 경로 설정 요청을 PCF에 송신할 수 있으며, 여기서 요청 메시지는 (예를 들어, 5QI 또는 특정 QoS 요구 사항과 같은) QoS 파라미터를 전달한다. PCF는, UE의 가입 정보 및 QoS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SMF가 UE에 대한 보조 경로를 설정하도록 인증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PCF는 마스터 및 보조 경로 설정 응답 메시지를 SMF에 송신하며, 여기서 메시지는, SMF가 UE의 요청에 대한 보조 QoS 흐름을 설정할 수 있음을 표시한다.
c. PCF는 서비스 요청을 SMF에 송신하며, 여기서 서비스 요청은 QoS 파라미터 및 백업 라벨(선택적으로, DN의 서비스 요청을 수신한 후, PCF는, UE의 가입 정보 및 QoS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서비스에 대해 마스터 경로 및 보조 경로가 설정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결정한다. 이 경우, 백업 라벨이 전달될 수 있다.)을 포함한다. 또한, PCF는 원본 QoS 흐름의 QFI, PDU 세션 ID 등을 서비스 요청에 추가할 수 있다. SMF는, UE 유형(URLLC 단말), QoS 요구 사항 등을 기초로, 네트워크 로드 상태, 백업 라벨(선택 사항) 및 원본 QoS 흐름 식별자를 참조하여, 보조 QoS 흐름을 설정(또는 PCF의 마스터 및 보조 경로 설정 표시 및 백업 라벨에 기초하여 UE에 대한 마스터 경로 및 보조 경로를 설정)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d. UPF는, 링크 품질이 저하된, 예를 들어, 링크 품질이 미리 설정된 값보다 낮은 것을 인식하고, SMF에 통지하며, 여기서 통지는 PDU 세션 ID, QFI 등을 전달한다. SMF는, UE 유형(URLLC 단말), QoS 개선 요구 사항 등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로드 상태 및 보조 경로 표시 라벨(선택 사항)을 참조하여, UE의 요청에 대한 보조 QoS 흐름을 설정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e. UPF는 링크 품질이 저하된 것을 인식하고, SMF에 통지한다. SMF는, UE 유형(URLLC 단말), QoS 개선 요구 사항 등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로드 상태 및 보조 경로 표시 라벨(선택 사항)을 참조하여, UE의 요청에 대한 보조 QoS 흐름이 설정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결정한다. SMF는 보조 경로 설정 요청을 PCF에 송신하며, 여기서 요청 메시지는 QoS 파라미터(예를 들어, 5QI 또는 특정 QoS 요구 사항)를 전달한다. PCF는, UE의 가입 정보 및 QoS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SMF가 UE에 대한 보조 경로를 설정하도록 인증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PCF는 마스터 및 보조 경로 설정 응답 메시지를 SMF에 송신하며, 여기서 메시지는, SMF가 UE의 요청에 대한 보조 QoS 흐름을 설정할 수 있음을 표시한다.
S1102. SMF는 보조 경로의 설정을 개시하며, 본 단계는, SMF에 의해, 사용자 평면 자원을 보조 QoS 흐름에 할당하는 것을 포함하고, 사용자 평면 자원은 마스터 QoS 흐름 및 보조 QoS 흐름의 QFI, 패킷 검출 규칙 및 과금 규칙 등을 주로 포함한다. 할당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보조 QoS 흐름에 대응하는 QFI와 같은 QoS 흐름 관련 자원(예를 들어, PCC(Policy Charging Control, 정책 및 과금 제어) 규칙)을 할당하는 것. 보조 QoS 흐름의 과금 정책 또는 QoS 정책은, 마스터 QoS 흐름의 과금 정책 또는 QoS 정책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예를 들어, 보조 QoS 흐름은 더 이상 과금되지 않을 수 있음). 이것은 본 실시 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이 경우, SMF는, URLLC 서비스 유형 및/또는 단말 유형에 기초하여, UPF 및/또는 UE가, 이중 전송(이중 송신 및/또는 이중 수신)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지시할지 여부를 추가로 결정할 수 있다.
이 명령에는 구체적으로 다음 단계들이 포함된다.
- URLLC 단말이 (QoS 파라미터, 서비스 유형, 단말 유형 등으로 표시되는) 고속 이동 단말인 경우, 이는 URLLC 단말의 네트워크의 불안정성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것을 표시한다. 이중 전송 표시 통지는, UPF 및 UE가 이중 전송을 수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해, SMF에 의해 전달되는 보조 경로의 설정을 위한 통지 메시지로 전달된다.
- URLLC 단말이 저속 이동 단말인 경우, 이는 URLLC 단말의 네트워크 경로가 상대적으로 안정적임을 표시한다. URLLC 단말에 대해 보조 경로만 설정되며, 이후에 필요에 따라 이중 전송이 활성화된다.
S1103. SMF는 보조 QoS 흐름 설정 요청을 AMF에 송신하며, 여기서 요청 메시지는, 마스터 QoS 흐름 및 보조 QoS 흐름의 QFI, PDU 세션 ID(마스터 QoS 흐름 및 보조 QoS 흐름이 상이한 PDU 세션에 위치하는 경우, 2 개의 PDU 세션 ID가 전달될 필요가 있음), TFT, QoS, 백업 라벨, 이중 전송 표시(선택 사항) 등을 전달한다.
백업 라벨은 2 개의 QoS 흐름 간의 관계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2 개의 QoS 흐름 사이의 관계는, 마스터 보조 관계, 연관(연관된) 관계 또는 바인딩 관계로 지칭될 수 있다. UE 또는 UPF는, 백업 라벨에 기초하여, 2 개의 QoS 흐름 각각에 대해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S1104. AMF는 보조 QoS를 설정하는 절차를 개시하고, QoS 흐름 설정 요청 메시지를 제2 액세스 디바이스에 송신하며, 여기서 요청 메시지는 제1 QoS 흐름의 QFI, PDU 세션 ID, 제2 QoS 흐름의 QFI, PDU 세션 ID(제1 QoS 흐름이 위치하는 PDU 세션 ID와 상이하거나 동일할 수 있으며, 이는 제한되지 않음), 백업 라벨, 이중 전송 표시(선택 사항), QoS 등을 전달한다.
S1105. 제2 액세스 디바이스는 보조 QoS 흐름 설정 요청을 수신하고, QoS 규칙을 무선 QoS 규칙에 매핑하고, 무선 재구성 정보를 UE에 송신하여, 제2 QoS 흐름의 설정을 완료한다.
UE 측은, 백업 라벨, 제1 QoS 흐름 식별자(QFI 및 PDU 세션 ID) 및 제2 QoS 흐름 식별자(PDU 세션 ID 및 QFI)에 기초하여 2 개의 QoS 흐름을 바인딩한다(또는 연관시킨다). 구체적으로, 설정될 제2 QoS 흐름은, 마스터 경로를 보조 경로와 연관시키는 것을 완료하기 위해, 이미 존재하는 제1 QoS 흐름과 바인딩된다. 선택적으로, 재구성 메시지가 이중 전송 표시를 포함하는 경우, UE는 이중 전송을 활성화한다. 구체적인 구현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할 수 있다. 구체적인 구현은 다음과 같다.
- 업링크 이중 송신: UE는 데이터 패킷을 복제하고, 제1 QoS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UE에 복제한다. UE는, 제1 QoS 흐름에 대응하는 무선 베어러를 사용하여 원본 데이터 패킷을 제1 액세스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제2 QoS 흐름이 위치하는 무선 베어러를 사용하여 복제된 데이터 패킷을 제2 액세스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UE는, 제1 QoS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 패킷 및 제2 QoS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 패킷 각각에 이중 전송 프로토콜 헤더를 추가하며, 여기서 프로토콜 헤더는 패킷 시퀀스 번호, 식별자 등을 전달한다. UPF는 이중 전송 프로토콜 헤더를 파싱함으로써 중복 제거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 다운링크 이중 수신: UE는, 제1 QoS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 패킷으로서 제1 액세스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데이터 패킷 및 제2 QoS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 패킷으로서 제2 액세스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고, 데이터 패킷에서의 이중 전송 프로토콜 헤더 정보(주로 시퀀스 번호, 식별자 등을 포함함)에 기초하여 데이터 패킷을 중복 제거한다.
S1106. 제2 액세스 디바이스는 QoS 흐름 설정 응답 메시지를 AMF에 송신하여, 무선 측에서의 제2 QoS 흐름의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AMF에 통지한다.
S1107. AMF는 마스터 및 보조 QoS 흐름 설정 응답 메시지를 SMF에 송신한다.
메시지는 제1 QoS 흐름 식별자, 제2 QoS 흐름 식별자 등을 포함한다.
S1108. SMF는, UPF가 제2 QoS 흐름에 대한 UPF 측 사용자 평면 자원을 설정하도록 지시한다.
SMF는 N4 세션 수정 메시지를 UPF에 송신한다. 메시지는 다음 내용을 전달한다.
a. 제1 QoS 흐름 식별자, 제2 QoS 흐름 식별자 및 백업 라벨. 백업 라벨, 제1 QoS 흐름 식별자(QFI 및 PDU 세션 ID) 및 제2 QoS 흐름 식별자(PDU 세션 ID 및 QFI)에 기초하여, UPF 측은 2 개의 QoS 흐름에 대한 바인딩을 완료한다. 즉, UPF 측은 마스터 경로를 보조 경로와 연관시키는 것을 완료한다.
b. 이중 전송 표시(선택 사항). 표시에 기초하여,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UPF는 다음 동작을 수행한다.
b1. 다운링크 이중 송신: DN에 의해 송신되는 데이터 패킷으로서 제1 QoS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 UPF는 데이터 패킷을 복제한다. UPF는, 제1 QoS 흐름이 위치하는 N3 터널을 통해 원본 데이터 패킷을 제1 액세스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제2 QoS 흐름이 위치하는 N3 터널을 통해 복제된 데이터 패킷을 제2 액세스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UPF는, 제1 QoS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 패킷 및 제2 QoS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 패킷 각각에 이중 전송 프로토콜 헤더를 추가하며, 여기서 프로토콜 헤더는 패킷 시퀀스 번호, 식별자 등을 전달한다. UE는 이중 전송 프로토콜 헤더를 파싱함으로써 중복 제거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b2. 업링크 이중 수신: UPF는, 제1 QoS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 패킷으로서 제1 액세스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데이터 패킷 및 제2 QoS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 패킷으로서 제2 액세스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고, 데이터 패킷에서의 이중 전송 프로토콜 헤더 정보(주로 시퀀스 번호, 식별자 등을 포함함)에 기초하여 데이터 패킷을 중복 제거한다.
c. 다른 PCC 규칙들. UPF는 제2 QoS 흐름 등과 관련된 정책 및 과금 규칙을 설정한다.
UPF는 N4 세션 수정 응답 메시지를 SMF에 송신하고, 보조 QoS 흐름에 대한 UPF 측 사용자 평면 자원의 설정을 완료한다.
본 실시 예에서, 코어 네트워크는 하나의 새로운 전송 경로(제2 전송 경로)의 설정을 개시하고, 2 개의 전송 경로를 가지는 것을 담당하는 액세스 디바이스들 사이에는 인터랙션이 없을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3GPP 액세스 디바이스가 2 개의 전송 경로를 각각 가질 수 있거나, 3GPP 액세스 디바이스 및 비 3GPP 액세스 디바이스가 2 개의 전송 경로를 각각 가질 수 있다. 구현 동안 제1 액세스 디바이스 및 제2 액세스 디바이스는 동일한 액세스 디바이스(예를 들어, 동일한 기지국)일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8a의 아키텍처에 기초하여, 도 12a 및 도 12b는, 코어 네트워크가, 제1 전송 경로가 이미 존재하는 경우, 제2 전송 경로의 설정을 개시하는 절차를 도시한다. 실시 예(1200)의 단계들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S1201. 마스터 전송 경로 및 보조 전송 경로를 설정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 예의 단계 S1101을 참조할 수 있다.
S1202. SMF가 보조 경로 설정을 개시한다.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 예의 단계 S1102를 참조할 수 있다.
S1203. SMF는 제2 QoS 흐름 설정 요청을 AMF에 송신하며, 여기서 요청 메시지는, 제1 QoS 흐름 및 제2 QoS 흐름의 QFI, PDU 세션 ID(마스터 QoS 흐름 및 보조 QoS 흐름이 동일한 PDU 세션에 위치함), TFT, QoS, 백업 라벨, 이중 전송 표시(선택 사항) 등을 전달한다.
S1204. AMF는 SMF에 의해 송신된 제2(보조) QoS 흐름 설정 요청을 수신하고, 보조 QoS 흐름 설정 요청을 제1 액세스 디바이스에 송신하며, 여기서 요청 메시지는 PDU 세션 ID, 제1 QoS 흐름 및 제2 QoS 흐름의 QFI, QoS 규칙, 백업 라벨, 이중 전송 표시(선택 사항) 등을 전달한다. 요청 메시지는, 제1 액세스 디바이스가, 제2 액세스 디바이스와 UE 사이의 보조 QoS 흐름을 설정하도록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S1205. 제1 액세스 디바이스는 제2 액세스 디바이스 추가 절차를 개시한다. (마스터 기지국이 보조 기지국 추가 절차를 개시하는 종래 기술을 참조할 수 있으며, 세부 내용에 대해서는 3GPP 표준 TS 36.300을 참조할 수 있다.)
제1 액세스 디바이스는 제2 액세스 디바이스에 QoS 설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며, 여기서 요청 메시지는, 제2 QoS 흐름의 QFI, PDU 세션 ID, QoS 규칙 등을 전달한다.
S1206. 제2 액세스 디바이스는 무선 자원 정보를 제2 QoS 흐름에 할당하고, 할당된 무선 자원 정보를 제1 액세스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S1207. 제1 액세스 디바이스는, UE가 제2 QoS 흐름을 설정하도록 지시하며, 여기서 통지 메시지는 다음을 포함한다.
- 제1 QoS 흐름 식별자, 제2 QoS 흐름 식별자, PDU 세션 ID 및 백업 라벨. UE는, 이들 정보에 기초하여 제1 QoS 흐름과 제2 QoS 흐름 사이의 마스터 보조 관계를 설정하고, 마스터 경로를 이차 경로에 연관시키는 것을 완료한다.
- UE가 이중 송신 및 이중 수신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이중 전송 표시(선택 사항).
- 제2 액세스 디바이스에 의해 제2 QoS 흐름에 할당된 무선 자원 정보. 이들 무선 자원 정보에 기초하여, UE는 제2 QoS 흐름의 설정을 완료할 수 있다.
S1208. UE는, 제2 QoS 흐름의 설정을 완료하기 위해, 제2 액세스 디바이스에 대해 무선 재구성 정보를 개시한다.
S1209. 제1 액세스 디바이스는 QoS 흐름 설정 응답 메시지를 AMF에 송신한다.
S1210. AMF는 마스터 및 보조 QoS 흐름 설정 응답 메시지를 SMF에 송신한다.
S1211. SMF는 UPF가 제2 QoS 흐름에 대한 UPF 측 사용자 평면 자원을 설정하도록 지시한다.
구체적으로, SMF는 자원(다른 곳에서 SMF가 획득 한 QoS 및 과금 규칙 및 터널)을 할당하고 규칙을 UPF에 송신한다. UPF는, 사용자 평면 자원의 설정을 구현하기 위해 규칙을 저장/설치한다.
또한, SMF는 N4 세션 수정 메시지를 UPF에 송신한다. 메시지는 다음 내용을 전달한다.
a. 제1 QoS 흐름 식별자, 제2 QoS 흐름 식별자 및 백업 라벨. 백업 라벨, 제1 QoS 흐름 식별자(QFI 및 PDU 세션 ID) 및 제2 QoS 흐름 식별자(PDU 세션 ID 및 QFI)에 기초하여, UPF 측은 2 개의 QoS 흐름에 대한 바인딩을 완료한다. 즉, UPF 측은 마스터 경로를 보조 경로와 연관시키는 것을 완료한다.
b. 이중 전송 표시(선택 사항). 표시에 기초하여,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UPF는 다음 동작을 수행한다.
b1. 다운링크 이중 송신: DN에 의해 송신되는 데이터 패킷으로서 제1 QoS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 UPF는 데이터 패킷을 복제한다. UPF는, 제1 QoS 흐름이 위치하는 N3 터널을 통해 원본 데이터 패킷을 제1 액세스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제2 QoS 흐름이 위치하는 N3 터널을 통해 복제된 데이터 패킷을 제2 액세스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UPF는, 제1 QoS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 패킷 및 제2 QoS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 패킷 각각에 이중 전송 프로토콜 헤더를 추가하며, 여기서 프로토콜 헤더는 패킷 시퀀스 번호, 식별자 등을 전달한다. UE는 이중 전송 프로토콜 헤더를 파싱함으로써 중복 제거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b2. 업링크 이중 수신: UPF는, 제1 QoS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 패킷으로서 제1 액세스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데이터 패킷 및 제2 QoS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 패킷으로서 제2 액세스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고, 데이터 패킷에서의 이중 전송 프로토콜 헤더 정보(주로 시퀀스 번호, 식별자 등을 포함함)에 기초하여 데이터 패킷을 중복 제거한다.
c. 다른 PCC 규칙들. UPF는 제2 QoS 흐름 등과 관련된 정책 및 과금 규칙을 설정한다.
UPF는 N4 세션 수정 응답 메시지를 SMF에 송신하고, 마스터 QoS 흐름 및 보조 QoS 흐름에 대한 UPF 측 사용자 평면 자원의 설정을 완료한다.
본 실시 예에서, 코어 네트워크는, 제1 액세스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제2 액세스 디바이스 및 UE가 제2 전송 경로를 설정하도록 지시한다. 동일한 액세스 기술의 경우, 기존 코어 네트워크에서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액세스 디바이스만이 AMF와 제어 평면 연결을 갖도록 허용된다(예를 들어, 마스터 및 보조 기지국 메커니즘). 본 실시 예의 해결 방안에서, 네트워크는 약간 변경되며, 기존 네트워크와 더욱 쉽게 호환된다.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 예들의 방법은 또한 현재 4G 네트워크에 적용될 수 있다. 가능한 적용 가능한 아키텍처는 도 13에 도시된 아키텍처이다. 13. 도 13에서, UE는 3GPP 액세스 디바이스(E-UTRAN)를 이용하여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한다. 4G에서, UE는 대안적으로,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기 위해 MME와 UE에 의해 사용되는 각각의 액세스 디바이스 사이에 제어 평면 연결이 존재하는 경우, 3GPP 액세스 디바이스 및 비 3GPP 액세스 디바이스 모두를 사용하여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다 . 표 2는 다음과 같이 도 13의 네트워크 요소의 명칭 및 기능 설명을 나타낸다.
표 2
Figure 112020051641294-pct00002
전술한 실시 예들의 방법 S900, S1000, S1100 및 S1200의 절차를 참조하여, 본 발명이 4G 네트워크에서 구현되는 경우, PGW 네트워크 요소는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 예들에서 SMF의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MME 네트워크 요소는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 예들에서 AMF의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PCRF는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 예들에서 PCF의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다른 관련 네트워크 요소는 또한 전술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세부 사항은 여기에서 설명되지 않는다.
베어러(bearer)는 4G에서 QoS를 구별하기 위한 최소 단위이며 스케줄링 정책, 큐 관리, 트래픽 쉐이핑, 자원 구성 등을 포함하는 동일한 포워딩 프로세싱이 하나의 베어러에서 모든 서비스 흐름에 대해 수행된다. 다른 QoS 처리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다른 베어러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4G에서, 하나의 전송 경로는 하나의 베어러에 대응한다.
전술한 내용은 5G 네트워크 아키텍처 및 4G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 본 발명의 해결 방안의 구현을 개별적으로 설명한다. 전술한 모든 실시 예들에서의 단말(terminal)은 다양한 핸드헬드 디바이스, 차량 탑재 디바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된 다른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가입자 유닛(subscriber unit), 셀룰러 폰(cellular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무선 데이터 카드, 개인 디지털 어시스턴트(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무선 모뎀(modem), 핸드헬드(handheld) 디바이스,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무선 전화(cordless phone) 또는 무선 로컬 루프(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머신 타입 통신(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단말, 사용자 장비(UE), 이동국(mobile station, MS), 단말 디바이스(terminal device)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 디바이스는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디바이스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액세스 디바이스는, 기지국, 광대역 네트워크 게이트웨이(broadband network gateway, BNG), 어그리게이션 스위치(aggregation switch), 비 3GPP 액세스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기지국은, 매크로 기지국, 마이크로 기지국(소규모 셀이라고도 함), 중계국 및 액세스 포인트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기지국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모든 실시 예들에서 SMF 엔티티 및 PGW와 관련된 동작은, 메모리(203)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통신 디바이스(200)에서 프로세서(201)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실시 예들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단말과 관련된 동작은 또한, 메모리(203)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통신 디바이스(200)에서 프로세서(201)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실시 예들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 예들에서 제공되는 해결 방안들은 주로 네트워크 요소들 간의 인터랙션의 관점에서 설명된다. 전술한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해, 세션 기능 엔티티 또는 단말 디바이스는 각각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대응하는 하드웨어 구조 및/또는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예들의 유닛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과 조합하여, 본 애플리케이션은, 본 출원의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쉽게 인식할 수 있다. 기능이 컴퓨터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지 또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지는 기술적 해결 방안의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설계 제약에 따른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설명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상이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해당 구현이 본 출원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본 출원의 실시 예들에서, 세션 기능 엔티티 및 단말 디바이스는 전술한 방법 예들에 기초하여 기능 모듈들로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기능 모듈은 각각의 기능에 기초하여 분할을 통해 획득될 수 있거나, 2 개 이상의 기능이 하나의 프로세싱 모듈에 통합될 수 있다. 통합 모듈은 하드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거나, 소프트웨어 기능 모듈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 예들에서의 모듈 분할은 일 예이며, 단지 논리적 기능 분할일 뿐이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실제 구현 동안, 다른 분할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는 전술한 모든 실시 예들에서 세션 기능 엔티티(1400)의 가능한 구조의 개략도이다. 세션 기능 엔티티는 결정 모듈(1401) 및 프로세싱 모듈(1402)을 포함한다. 결정 모듈(1401)은, 단말과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 사이에 있는 제1 전송 경로 및 제2 전송 경로를 설정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제1 전송 경로가 이미 존재하는 경우, 제2 전송 경로를 설정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싱 모듈(1402)은, 제1 전송 경로 및 제2 전송 경로의 설정을 개시하거나, 제1 전송 경로가 이미 존재하는 경우, 제2 전송 경로의 설정을 개시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싱 모듈(1402)은, 단말 또는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가 제1 전송 경로 및 제2 전송 경로를 통해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지시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세션 기능 엔티티는 통지 모듈(1403)을 더 포함하고, 통지 모듈(1403)은, 프로세싱 모듈(1402)이 제2 전송 경로의 설정을 개시할 때,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 및/또는 단말이, 제1 전송 경로 및 제2 전송 경로를 통해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시작하거나, 제2 전송 경로의 설정이 완료된 후, 단말의 요청 또는 네트워크 측의 요청에 기초하여,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 및/또는 단말이, 제1 전송 경로 및 제2 전송 경로를 통해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시작하도록 지시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인 이중 송신 프로세싱 방식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 5의 내용과, 전술한 실시 예들을 참조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결정 모듈(1401)은, 단말 또는 정책 기능 엔티티에 의해 송신된 서비스 요청에 기초하여 서비스의 QoS 정보를 획득하고, QoS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과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 사이에 있는 제1 전송 경로 및 제2 전송 경로가 설정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결정 모듈(1401)이, 단말에 의해 송신된 서비스 요청으로 전달되는 마스터 및 보조 전송 경로 설정 표시 또는 바이캐스팅 표시에 기초하여 정책 기능 엔티티로부터 인증을 요청하고, 인증의 결과에 기초하여, 단말과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 사이에 있는 제1 전송 경로 및 제2 전송 경로가 설정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결정 모듈(1401)은 단말 또는 정책 기능 엔티티에 의해 송신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요청 메시지에 기초하여, 단말과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 사이의 제2 전송 경로가 설정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결정 모듈(1401)이, 제1 전송 경로에 관한 통지 메시지로서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에 의해 송신된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고, 통지 메시지에 기초하여, 제2 전송 경로가 설정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통지 메시지는 제1 전송 경로에 폴트가 있음을 나타내는 통지 메시지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싱 모듈(1402)은, 제1 및 제2 전송 경로 설정 요청을 이동성 관리 엔티티에 송신하고, 이동성 관리 엔티티가, 제1 액세스 디바이스 및 제2 액세스 디바이스가 제1 전송 경로 및 제2 전송 경로를 각각 설정하기 위해 제1 및 제2 전송 경로 설정 요청에 기초하여 단말과 협상하도록 지시하도록 이동성 관리 엔티티를 지시한다.
세션 기능 엔티티는 SMF 또는 PGW 일 수 있다. 전술한 모든 실시 예들에서 모든 관련 내용은, 대응하는 기능 모듈의 기능 설명에 인용될 수 있으며, 세부 내용에 대해서는 여기에서 설명되지 않는다.
도 15는 전술한 모든 실시 예들의 단말에 대한 가능한 장치 구조의 개략도이다. 장치(1500)는 단말 또는 단말의 칩일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본 실시 예에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장치(1500)는 인터랙션 모듈(1501) 및 프로세싱 모듈(1502)을 포함한다. 인터랙션 모듈(1501)은, 세션 기능 엔티티에 의해 송신된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메시지는, 단말 디바이스가,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와 단말 사이에 있는 제1 전송 경로 및 제2 전송 경로를 통해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지시한다. 프로세싱 모듈(1502)은, 제1 전송 경로 및 제2 전송 경로를 통해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인터랙션 모듈(1501)은, 서비스 요청을 세션 기능 엔티티에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여기서 서비스 요청은, 적어도 2 개의 전송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표시 또는 제2 전송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표시를 전달한다.
선택적으로, 인터랙션 모듈(1501)은, 제1 전송 경로 및 제2 전송 경로를 각각 설정하기 위해 제1 액세스 디바이스 및 제2 액세스 디바이스와 협상한다.
선택적으로, 도 4, 도 5 및 전술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프로세싱 모듈(1502)이 제1 전송 경로 및 제2 전송 경로를 통해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은, 프로세싱 모듈(1502)이 제1 전송 경로 및 제2 전송 경로를 통해 동일한 데이터를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에 송신하거나, 프로세싱 모듈(1502)이 제1 전송 경로 및 제2 전송 경로를 통해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에 의해 송신된 동일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중복 제거하거나, 프로세싱 모듈(1502)이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제1 전송 경로 및 제2 전송 경로로부터 하나의 전송 경로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장치(1500)가 칩인 경우, 인터랙션 모듈(1501)의 기능/구현 프로세스는 핀, 회로 등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모든 실시 예들에서 모든 관련 내용은, 대응하는 기능 모듈의 기능 설명에 인용될 수 있으며, 세부 내용에 대해서는 여기에서 설명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 예들에서 제공되는 세션 기능 엔티티(1400) 및 장치(1500)는 서비스 신뢰성을 개선하기 위한 모든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세션 기능 엔티티(1400) 및 장치(1500)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기술적 효과에 대해서는 전술한 방법 실시 예들을 참조할 수 있다.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여기에서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은 특정 특징 및 그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명백하게, 본 출원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출원에 대한 다양한 수정 및 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출원에 대한 예시적인 설명일 뿐이며, 본 출원의 범위를 커버하는 수정, 변형, 조합 또는 등가물의 일부 또는 전부로 간주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출원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출원에 대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수행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본 출원은 다음의 청구 범위 및 그와 동등한 기술에 의해 정의되는 보호 범위 내에 있는 한, 본 출원의 이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Claims (34)

  1. 단말과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 사이에 서비스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제1 전송 경로 - 여기서 상기 제1 전송 경로는 제1 액세스 디바이스를 통과함 - 가 이미 존재하는 통신 네트워크에 적용되는, 서비스 신뢰성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제1 액세스 디바이스에 의해, 세션 기능 엔티티(session function entity)로부터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통지 메시지는 상기 제1 전송 경로의 식별자, 제2 전송 경로의 식별자, 및 연관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연관 식별자는 상기 제1 전송 경로 및 상기 제2 전송 경로 상에서 동일한 데이터의 전송을 지시함 -; 및
    상기 제1 액세스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통지 메시지에 따라 제2 액세스 디바이스에 대해 제2 전송 경로의 설정을 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세스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통지 메시지에 따라 제2 액세스 디바이스에 대해 상기 제2 전송 경로의 상기 설정을 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액세스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액세스 디바이스에 대해 상기 제2 전송 경로를 설정하기 위해 보조 기지국 추가 프로세스를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송 경로를 통해 전송되는 상기 서비스 데이터는, 상기 제1 전송 경로를 통해 전송되는 서비스 데이터와 동일한,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세스 디바이스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액세스 디바이스이고, 상기 제2 액세스 디바이스는 비 3GPP(non-3GPP) 액세스 디바이스이거나, 상기 제1 액세스 디바이스는 비 3GPP 액세스 디바이스이고, 상기 제2 액세스 디바이스는 3GPP 액세스 디바이스인,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송 경로는 제2 QoS(quality of service) 흐름이고,
    상기 제1 액세스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보조 기지국 추가 프로세스를 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액세스 디바이스에 의해, QoS 흐름 설정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2 액세스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액세스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액세스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2 QoS 흐름에 대해 할당된 무선 자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 제2항, 제3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식별자는, 상기 제1 전송 경로 및 상기 제2 전송 경로가 연관됨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
  7. 단말과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 사이에 서비스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제1 전송 경로 - 여기서 상기 제1 전송 경로는 제1 액세스 디바이스를 통과함 - 가 이미 존재하는 통신 네트워크에 적용되는, 제1 액세스 디바이스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명령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세션 기능 엔티티로부터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고 - 상기 통지 메시지는 상기 제1 전송 경로의 식별자, 제2 전송 경로의 식별자, 및 연관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연관 식별자는 상기 제1 전송 경로 및 상기 제2 전송 경로 상에서 동일한 데이터의 전송을 지시함 -,
    상기 통지 메시지에 따라 제2 액세스 디바이스에 대해 제2 전송 경로의 설정을 개시하도록 지시하는,
    제1 액세스 디바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명령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제2 액세스 디바이스에 대해 상기 제2 전송 경로를 설정하기 위해 보조 기지국 추가 프로세스를 개시하도록 지시하는, 제1 액세스 디바이스.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송 경로를 통해 전송되는 상기 서비스 데이터는, 상기 제1 전송 경로를 통해 전송되는 서비스 데이터와 동일한, 제1 액세스 디바이스.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세스 디바이스는 3GPP 액세스 디바이스이고, 상기 제2 액세스 디바이스는 비 3GPP 액세스 디바이스이거나, 상기 제1 액세스 디바이스는 비 3GPP 액세스 디바이스이고, 상기 제2 액세스 디바이스는 3GPP 액세스 디바이스인, 제1 액세스 디바이스.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송 경로는 제2 QoS 흐름이고,
    상기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명령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QoS 흐름 설정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2 액세스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상기 제2 액세스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2 QoS 흐름에 대해 할당된 무선 자원 정보를 수신하도록 지시하는, 제1 액세스 디바이스.
  12. 제7항, 제8항, 제9항 및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식별자는, 상기 제1 전송 경로 및 상기 제2 전송 경로가 연관됨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1 액세스 디바이스.
  13. 단말과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 사이에 서비스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제1 전송 경로 - 여기서 상기 제1 전송 경로는 제1 액세스 디바이스를 통과함 - 가 이미 존재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제1 액세스 디바이스 및 세션 기능 엔티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액세스 디바이스는, 세션 기능 엔티티로부터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고 - 상기 통지 메시지는 상기 제1 전송 경로의 식별자, 제2 전송 경로의 식별자, 및 연관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연관 식별자는 상기 제1 전송 경로 및 상기 제2 전송 경로 상에서 동일한 데이터의 전송을 지시함 -, 상기 통지 메시지에 따라 제2 액세스 디바이스에 대해 제2 전송 경로의 설정을 개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세션 기능 엔티티는, 상기 통지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액세스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액세스 디바이스는, 상기 제2 액세스 디바이스에 대해 상기 제2 전송 경로를 설정하기 위해 보조 기지국 추가 프로세스를 개시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송 경로를 통해 전송되는 상기 서비스 데이터는, 상기 제1 전송 경로를 통해 전송되는 서비스 데이터와 동일한, 시스템.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세스 디바이스는 3GPP 액세스 디바이스이고, 상기 제2 액세스 디바이스는 비 3GPP 액세스 디바이스이거나, 상기 제1 액세스 디바이스는 비 3GPP 액세스 디바이스이고, 상기 제2 액세스 디바이스는 3GPP 액세스 디바이스인, 시스템.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송 경로는 제2 QoS 흐름이고,
    상기 제1 액세스 디바이스는, QoS 흐름 설정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2 액세스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상기 제2 액세스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2 QoS 흐름에 대해 할당된 무선 자원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액세스 디바이스는, 상기 제1 액세스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액세스 디바이스에 상기 무선 자원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18. 제13항, 제14항, 제15항 및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식별자는, 상기 제1 전송 경로 및 상기 제2 전송 경로가 연관됨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스템.
  19. 명령을 포함하는, 비 일시적인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이 제1 액세스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된 때, 상기 제1 액세스 디바이스는,
    세션 기능 엔티티로부터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고 - 상기 통지 메시지는 제1 전송 경로의 식별자, 제2 전송 경로의 식별자, 및 연관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연관 식별자는 상기 제1 전송 경로 및 상기 제2 전송 경로 상에서 동일한 데이터의 전송을 지시함 -,
    상기 통지 메시지에 따라 제2 액세스 디바이스에 대해 제2 전송 경로의 설정을 개시하는 것을 수행할 수 있는,
    비 일시적인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KR1020207014662A 2017-10-30 2017-10-30 서비스 신뢰성 개선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KR1024135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7/108396 WO2019084725A1 (zh) 2017-10-30 2017-10-30 提升业务可靠性的方法、设备及系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270A KR20200073270A (ko) 2020-06-23
KR102413507B1 true KR102413507B1 (ko) 2022-06-24

Family

ID=66333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4662A KR102413507B1 (ko) 2017-10-30 2017-10-30 서비스 신뢰성 개선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432297B2 (ko)
EP (1) EP3703466B1 (ko)
JP (1) JP7175977B2 (ko)
KR (1) KR102413507B1 (ko)
CN (2) CN111247869B (ko)
BR (1) BR112020008149A2 (ko)
WO (1) WO20190847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6950B1 (ko) * 2018-05-21 2022-05-12 삼성전자 주식회사 5g 무선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최고 신뢰성있는 서비스를 위한 이중 전송 방법 및 장치
US10531436B1 (en) * 2018-09-12 2020-01-07 Capital One Services, Llc Multiple network connections to increase data throughput of mobile device
US11005715B2 (en) 2018-12-21 2021-05-11 T-Moblle USA, Inc. Latency-sensitive network-traffic quality of service
US11044194B2 (en) * 2019-02-28 2021-06-22 T-Mobile Usa, Inc. QoS for latency-sensitive network-traffic flows
CN110099403B (zh) * 2019-05-17 2022-07-19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AU2020387381A1 (en) * 2019-11-21 2022-06-02 Smartsky Network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an air-to-ground WiFi system
US11303558B2 (en) * 2020-01-08 2022-04-12 Cisco Technology, Inc. Ultra-reliable low latency communications (URLLC) support for wireless access
CN113473508B (zh) * 2020-03-30 2023-09-0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和通信装置
KR102593727B1 (ko) * 2020-06-01 2023-10-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5g와 atsc 3.0의 통합 코어 네트워크, 제어 평면 엔티티 및 제어 평면 엔티티에서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 제어 방법
CN113316098B (zh) * 2021-04-20 2022-10-21 新华三技术有限公司 一种建立业务通道、公网对讲的方法和公网对讲设备
CN113328783B (zh) * 2021-05-25 2022-04-19 广州爱浦路网络技术有限公司 天地一体化信息网络中的数据传输方法、装置和存储介质
CN113645662B (zh) * 2021-08-17 2023-08-18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业务处理方法及装置
CN114205303A (zh) * 2021-10-26 2022-03-18 国网河北省电力有限公司营销服务中心 自助服务终端接入方法、服务器及自助服务终端接入系统
CN114051047B (zh) * 2021-10-29 2023-06-09 恒安嘉新(北京)科技股份公司 一种会话消息的备份方法、装置、网络设备和存储介质
WO2023141909A1 (zh) * 2022-01-27 2023-08-0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通信方法、远端ue以及网元
CN116939700A (zh) * 2022-04-06 2023-10-24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和通信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17028A (zh) 2014-10-17 2016-04-20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触发和配置传输路径的方法及设备
US20160135174A1 (en) * 2013-07-14 2016-05-1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ata radio bearers for dual connectiv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70289265A1 (en) * 2016-04-01 2017-10-05 Qualcomm Incorporated Mechanism to enable connectivity sessions and ip session establishment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46646B2 (en) * 2001-01-29 2006-05-16 Ipr Licensing,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imple PPP handoff for mobile users
JP4036627B2 (ja) * 2001-09-27 2008-01-23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通信方法、基地局及び移動局
KR20060033658A (ko) * 2004-10-15 2006-04-1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장치 및 방법
KR100678096B1 (ko) * 2006-02-14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입력 다중 출력 방식을 이용한 광대역 분산 네트워크시스템의 핸드오프 제어방법
US9155118B2 (en) * 2007-01-22 2015-10-06 Qualcomm Incorporated Multi-link support for network based mobility management systems
KR101018551B1 (ko) * 2007-12-18 2011-03-03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끊어짐 없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방법
US8599720B2 (en) * 2009-06-26 2013-12-03 Qualcomm Incorporated Optimized resource usage with network initiated QoS
KR20140116554A (ko) * 2010-02-12 2014-10-02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다중 사이트 간의 데이터 분할
CN102724117B (zh) * 2012-06-06 2015-09-30 华为技术有限公司 多协议标签交换流量工程隧道建立方法及设备
US9408125B2 (en) * 2012-07-05 2016-08-02 Qualcomm Incorporated Aggregation of data bearers for carrier aggregation
US9554389B2 (en) * 2012-08-31 2017-01-24 Qualcomm Incorporated Selectively allocating quality of service to support multiple concurrent sessions for a client device
US20140335882A1 (en) * 2013-05-10 2014-11-13 Electronics &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configuring dual connectivity
US10230650B2 (en) * 2015-06-26 2019-03-12 Huawei Technologies Co., Ltd. Joint radio link control (RLC) signaling with network coding
CN106559806B (zh) * 2015-09-25 2020-08-21 努比亚技术有限公司 双通道数据传输方法、装置、网络节点及移动终端
CN108029060B (zh) * 2015-10-09 2020-12-04 苹果公司 网络发起的分组数据网络连接
CN107027144A (zh) * 2016-02-01 2017-08-08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一种高速移动场景检测方法和装置
CN107040942A (zh) * 2016-02-04 2017-08-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业务流传输方法、装置及系统
US10142427B2 (en) * 2016-03-31 2018-11-27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service and session continuity in software defined topology management
WO2017166300A1 (zh) 2016-04-01 2017-10-0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资源管理方法和装置
US10581722B2 (en) * 2016-08-22 2020-03-03 Qualcomm Incorporated Power control for independent links
GB201621072D0 (en) * 2016-12-12 2017-01-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NR QOS handling
US10448386B2 (en) * 2017-01-06 2019-10-15 K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edundant data transmission
JP7091359B2 (ja) * 2017-03-23 2022-06-27 フラウンホーファー-ゲゼルシャフト・ツール・フェルデルング・デル・アンゲヴァンテン・フォルシュング・アインゲトラーゲネル・フェライン 移動通信ネットワークの無線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のエンティティ間での信頼できるデータパケット送信
WO2018188717A1 (en) * 2017-04-10 2018-10-18 Nokia Technologies Oy Control mechanism for packet duplication in multi-connectivity communication
RU2742348C1 (ru) * 2017-05-12 2021-02-05 Нокиа Текнолоджиз Ой Функция и сигнализация разбиения сеанса протокольных блоков данных
JP7286549B2 (ja) * 2017-06-30 2023-06-05 インテル コーポレイション 複数の無線アクセス技術(マルチrat)を使用するv2x通信
KR102386305B1 (ko) * 2017-07-25 2022-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트래픽을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JP6904419B2 (ja) 2017-08-09 2021-07-14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ノード、コアネットワークノード、及び無線端末並びにこれらの方法
US10798775B2 (en) * 2017-08-10 2020-10-06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and apparatuses for duplication bearer management
CN109429221B (zh) * 2017-08-29 2020-09-29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设备及系统
KR20200049769A (ko) * 2017-09-07 2020-05-08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과 단말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35174A1 (en) * 2013-07-14 2016-05-1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ata radio bearers for dual connectiv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5517028A (zh) 2014-10-17 2016-04-20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触发和配置传输路径的方法及设备
US20170289265A1 (en) * 2016-04-01 2017-10-05 Qualcomm Incorporated Mechanism to enable connectivity sessions and ip session establishment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3-172682*
3GPP TS23.502 v1.2.0*
3GPP TS38.401 v0.4.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03466B1 (en) 2023-09-13
JP2021501523A (ja) 2021-01-14
US20200260457A1 (en) 2020-08-13
BR112020008149A2 (pt) 2020-11-03
EP3703466A4 (en) 2020-10-28
EP3703466A1 (en) 2020-09-02
WO2019084725A1 (zh) 2019-05-09
CN113891496A (zh) 2022-01-04
KR20200073270A (ko) 2020-06-23
CN111247869B (zh) 2021-12-14
JP7175977B2 (ja) 2022-11-21
US11432297B2 (en) 2022-08-30
CN111247869A (zh) 2020-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3507B1 (ko) 서비스 신뢰성 개선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EP3694181B1 (en) Session establishment method, device and system
US11627628B2 (en) Packet transmiss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KR102317963B1 (ko) 서비스의 서비스 품질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10166407B (zh) QoS流处理方法、设备及系统
US10009938B2 (en) Access independent signaling and control
KR102434931B1 (ko)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
KR102457284B1 (ko) 데이터 무선 베어러 식별자를 획득하는 방법 및 기지국
CN112423340B (zh) 一种用户面信息上报方法及装置
WO2019091396A1 (zh) 通信方法及通信设备
CN110392448B (zh) 一种会话重建方法、装置和系统
CN111586770B (zh) 一种会话管理的方法及装置
CN109548096B (zh) 通信方法、基站、终端设备和系统
CN114513864A (zh) 多路径传输方法和通信装置
WO2020228686A1 (zh) 多连接系统中的数据无线承载控制方法、装置和系统
CN110859012A (zh) 一种速率控制的方法、装置和系统
WO2022253137A1 (zh) 接入业务的方法、装置和系统
EP3986012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pparatus and device
CN112040565B (zh) 移动通信系统、方法及装置
CN111436086B (zh) 安全保护方法及装置
CN110856273A (zh) 会话管理方法、设备及系统
US20230403625A1 (en) A data packet transmission mechanism and device
CN111867141B (zh) 一种数据传输方法及装置
CN117545025A (zh) 一种基于接入回传一体化iab的通信方法及装置
CN117295111A (zh) 数据传输方法、装置、upf实体及通信实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