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2494B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2494B1
KR102412494B1 KR1020150170520A KR20150170520A KR102412494B1 KR 102412494 B1 KR102412494 B1 KR 102412494B1 KR 1020150170520 A KR1020150170520 A KR 1020150170520A KR 20150170520 A KR20150170520 A KR 20150170520A KR 102412494 B1 KR102412494 B1 KR 102412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locking
user
screen
layer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0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5052A (ko
Inventor
윤승환
김기덕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0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2494B1/ko
Publication of KR20170065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5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2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2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6User authentication by graphic or iconic repres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잠금 화면을 출력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잠금 화면을 해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 상에 하나 이상의 잠금 해제 영역을 설정하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신체를 접촉하여 터치를 시작할 때부터 신체를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떨어뜨려 터치를 해제할 때까지 잠금 해제 영역을 터치한 터치 횟수를 카운트한다. 그리고 카운트된 터치 횟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횟수와 일치하는 경우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의 잠금을 해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저장된 개인 정보의 보안을 위하여 사용하는 잠금 화면의 해제에 있어서 사용 장소나 다른 사람들의 존재와는 무관하게 보다 안전하게 화면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AL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잠금 화면을 출력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잠금 화면을 해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 전화와 같은 단말 장치는 이용의 편리성과 휴대의 용이성 등으로 인하여 매우 폭넓은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으며, 이용에 따른 많은 정보를 보유하고 있다. 예를 들어, 많은 사용자들이 자신의 개인적인 정보를 단말 장치에 기록하여 저장하기도 하며 때로는 업무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이와 같은 단말 장치에 저장되는 개인 정보의 유출이 사회적인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단말 장치에 저장된 개인 정보는 해킹을 통해서 유출되기도 하지만,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한 개인 정보의 노출 또한 빈번하게 발생한다.
단말 장치에 저장된 다양한 정보를 보호하기 위하여 종래의 단말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출력되는 잠금 화면을 통한 잠금 기능을 지원하고 있다. 또한 단말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서 잠금 화면의 해제를 위한 다양한 방식이 제공되고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단말 장치는 핀 락(Pin lock), 패턴 락(Pattern lock), 서클 락(Circle lock), 패스워드 락(Password lock) 등과 같은 다양한 잠금 해제 방식을 제공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잠금 해제 방식들을 공공 장소에서 사용하게 될 경우, 잠금 해제를 위한 패턴 또는 패스워드 자체가 다른 사람들에게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단말 장치의 사용 장소를 불문하고 보다 높은 보안성을 갖는 잠금 해제 방식이 요구된다.
또한 종래의 잠금 해제 방식의 경우 보안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자가 복잡하고 어려운 패턴이나 패스워드를 설정함으로써 잠금 해제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심지어는 본인이 설정한 패턴이나 패스워드를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비해 높은 보안성을 가지면서도 사용자가 보다 쉽고 빠르게 화면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새로운 잠금 해제 방식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단말 장치에 저장된 개인 정보의 보안을 위하여 사용하는 잠금 화면의 해제에 있어서 사용 장소나 다른 사람들의 존재와는 무관하게 보다 안전하게 화면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새로운 잠금 해제 방식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잠금 해제 방식에 비해 보다 높은 보안성을 제공하면서도 사용자가 보다 쉽고 빠르게 화면의 화면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새로운 잠금 해제 방식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각 장애로 인해 화면을 볼 수 없는 사용자도 보다 쉽고 빠르게 화면의 화면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새로운 잠금 해제 방식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 상에 하나 이상의 잠금 해제 영역을 설정하는 잠금 해제 영역 설정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터치 시작 신호 및 터치 해제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터치 시작 신호가 입력될 때부터 상기 터치 해제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잠금 해제 영역을 터치한 터치 횟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부, 상기 터치 횟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횟수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터치 횟수가 상기 기준 횟수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화면의 잠금을 해제하는 잠금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 상에 하나 이상의 잠금 해제 영역을 설정하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신체를 접촉하여 터치를 시작할 때부터 신체를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떨어뜨려 터치를 해제할 때까지 잠금 해제 영역을 터치한 터치 횟수를 카운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잠금 해제 영역 설정부는 상기 화면의 전체 영역 또는 부분 영역에 상기 잠금 해제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카운트된 터치 횟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횟수와 일치하는 경우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의 잠금을 해제한다. 결국 사용자는 자신이 설정한 기준 횟수만을 기억하면 되기 때문에 종래의 잠금 해제 방식에 비해 보다 쉽고 빠르게 잠금 화면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잠금 해제 방식과 같이 복잡하고 어려운 패스워드나 패턴을 설정할 필요 없이 기준 횟수만을 설정하면 되기 때문에 잠금 및 잠금 해제의 설정이 보다 간편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잠금 해제 영역을 터치할 때마다 터치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잠금 해제 영역의 터치에 성공했음을 알린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터치 피드백은 전기 진동(Electrovibration), 일반 진동, 오디오, 빛,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터치 피드백의 제공에 의해 사용자는 자신이 잠금 해제 영역을 터치했음을 인식할 수 있고 잠금 해제 영역에 대한 터치 횟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 상에 잠금 해제 영역을 디스플레이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화면의 잠금을 해제할 때 종래 기술과 같이 잠금 해제를 위한 화면(예컨대, 패스워드 입력 창 또는 패턴 입력 화면)이 화면 상에 출력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터치를 통해 미리 설정된 잠금 해제 영역에 대한 터치를 시도할 수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은 터치 피드백을 통해 잠금 해제 영역에 대한 터치 성공을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기 진동 층 및 촉각 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 상에 하나 이상의 잠금 해제 영역을 설정하는 잠금 해제 영역 설정부, 상기 촉각 층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터치 시작 신호 및 터치 해제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사용자에 의해 상기 터치 시작 신호가 입력될 때부터 상기 터치 해제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잠금 해제 영역을 터치한 터치 횟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부, 상기 터치 횟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횟수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터치 횟수가 상기 기준 횟수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화면의 잠금을 해제하는 잠금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진동 층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잠금 해제 영역을 터치할 때 전기 진동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잠금 해제 영역에 대한 터치에 성공할 때 터치 피드백으로서 전기 진동 층에 의한 전기 진동을 발생시킨다. 전기 진동은 일반 진동과 달리 사용자에게만 진동을 전달한다. 따라서 공공 장소와 같이 다른 사람이 존재하는 장소에서 잠금 해제를 시도할 때, 사용자의 잠금 해제 영역에 대한 터치 성공 여부를 다른 사람이 인식하기 어렵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종래 기술에 비해 보다 높은 보안성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저장된 개인 정보의 보안을 위하여 사용하는 잠금 화면의 해제에 있어서 사용 장소나 다른 사람들의 존재와는 무관하게 보다 안전하게 화면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잠금 해제 방식에 비해 보다 높은 보안성을 제공하면서도 사용자가 보다 쉽고 빠르게 화면의 화면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시각 장애로 인해 화면을 볼 수 없는 사용자도 보다 쉽고 빠르게 화면의 화면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상에 설정되는 잠금 해제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잠금 해제를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기 진동(Electrovibration) 피드백을 위해 배치되는 촉각 층의 전극 채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극 채널을 갖지 않는 촉각 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설정되는 잠금 해제 영역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설정되는 잠금 해제 영역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잠금 해제 방법의 흐름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2)는 잠금 해제 영역 설정부(104), 입력부(106), 카운터부(108), 잠금 제어부(11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2)는 디스플레이 패널(1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잠금 해제 영역 설정부(104)는 디스플레이 패널(112)의 화면 상에 하나 이상의 잠금 해제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112)의 화면 상에 설정되는 잠금 해제 영역을 사용자가 터치한 횟수에 기초하여 화면의 잠금 해제 여부가 결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잠금 해제 영역 설정부(104)는 디스플레이 패널(112)의 화면의 전체 영역 또는 부분 영역에 잠금 해제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잠금 해제 영역 설정부(104)는 설정된 잠금 해제 영역을 디스플레이 패널(112)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잠금 해제 영역 설정부(104)에 의해 잠금 해제 영역이 설정되더라도 사용자가 실제로 잠금 해제를 시도할 때에는 잠금 해제 영역이 화면 상에 전혀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잠금 해제 영역 설정부(104)는 디스플레이 패널(112)에 포함되는 촉각 층의 전극 채널에 따라서 잠금 해제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잠금 해제 영역 설정부(104)는 사용자가 잠금 해제 영역을 시도할 때마다 잠금 해제 영역을 랜덤하게 설정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입력부(106)는 디스플레이 패널(112)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터치 시작 신호 및 터치 해제 신호를 입력받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12)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112)에 신체를 접촉함에 따라서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거나 송신할 수 있는 터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06)는 이와 같은 터치 층을 통해 전달되는 사용자의 터치 시작 신호 및 터치 해제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손가락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12)을 터치한 후 손가락을 떼지 않은 상태에서 특정 방향으로 손가락을 움직인 후 손가락을 뗄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맨 처음 터치를 수행할 때 입력되는 신호를 터치 시작 신호로 정의하고, 사용자가 손가락을 뗐을 때 입력되는 신호를 터치 해제 신호로 정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입력부(106)는 디스플레이 패널(112)에 포함되는 촉각 층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터치 시작 신호 및 터치 해제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카운터부(108)는 사용자에 의해 터치 시작 신호가 입력될 때부터 터치 해제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사용자가 잠금 해제 영역을 터치한 터치 횟수를 카운트한다. 예를 들어 카운터부(108)는 사용자가 잠금 해제 영역이 설정된 화면에 손가락을 터치한 순간부터 손가락을 뗄 때까지 사용자의 손가락이 잠금 해제 영역에 접촉된 횟수, 즉 터치 횟수를 카운트한다.
잠금 제어부(110)는 카운터부(108)에 의해 카운트 된 터치 횟수를 미리 설정된 기준 횟수와 비교한다. 이와 같은 비교 결과 카운터부(108)에 의해 카운트 된 터치 횟수가 기준 횟수와 일치하는 경우, 잠금 제어부(110)는 디스플레이 패널(112) 화면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이 때 기준 횟수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2)은 문자나 이미지로 된 정보를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하며, 특히 화면 상에 잠금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12)은 잠금 화면을 비롯한 각종 정보를 전기적 신호에 따라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층, 그리고 사용자의 신체 접촉에 따른 전기적 신호, 즉 터치 신호를 수신하거나 송신하기 위한 터치 층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12)은 사용자에게 전기 진동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전기 진동 층 및 촉각 층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디스플레이 장치(102)는 사용자가 잠금 해제 영역을 터치할 때 미리 설정된 터치 피드백을 출력하기 위한 피드백 출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터치 피드백은 전기 진동, 일반 진동, 오디오, 빛,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기 진동은 전술한 전기 진동 층 및 촉각 층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12)을 터치한 사용자만이 느낄 수 있는 특수한 형태의 진동이다. 터치 피드백이 전기 진동일 경우, 피드백 출력부는 전기 진동 층 및 촉각 층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일반 진동은 전기 진동 층 및 촉각 층이 아닌 일반적인 모터에 의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진동을 의미한다. 터치 피드백이 일반 진동일 경우 피드백 출력부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터치 피드백이 오디오일 경우 피드백 출력부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피드백이 빛일 경우 피드백 출력부는 디스플레이 패널(112)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층,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112)과는 별도로 구비되는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피드백이 이미지인 경우 피드백 출력부는 디스플레이 패널(112)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층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터치 피드백이 전기 진동일 경우 잠금 해제 영역 설정부(104)는 디스플레이 패널(112)에 포함되는 촉각 층의 전극 채널에 따라서 잠금 해제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 패널(112)에 포함되는 전기 진동 층은 사용자가 터치한 잠금 해제 영역에 대응되는 전극 채널을 따라서 전기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터치 피드백이 전기 진동일 경우 전기 진동 층은 사용자가 터치한 잠금 해제 영역의 좌표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전기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화면 잠금을 해제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상에 설정되는 잠금 해제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는 화면 잠금의 해제를 위해 먼저 잠금 해제 영역이 설정된다. 잠금 해제 영역 설정부(104)는 도 2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202) 상에 하나 이상의 잠금 해제 영역(21, 22, 23, 24)을 설정한다. 도 2의 실시예에서 잠금 해제 영역(21, 22, 23, 24)은 세로 방향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설정되었으나, 잠금 해제 영역의 개수 및 형상은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잠금 해제 영역 설정부(104)는 도 2와 같이 설정되는 잠금 해제 영역(21, 22, 23, 24)을 화면(202) 상에 디스플레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잠금 해제 과정이 시작되더라도 화면(202) 상에는 아무런 정보도 표시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가 공공 장소에서 잠금 해제를 시도하더라도 사용자가 잠금 해제를 시작했다는 사실이나 잠금 해제 영역(21, 22, 23, 24)의 구체적인 개수 또는 형상을 다른 사람이 알기 어렵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종래에 비해 더 높은 보안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잠금 해제를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의 실시예에서는 잠금 해제 영역 설정부(104)에 의해 화면(302) 상에 3개의 잠금 해제 영역(31, 32, 33)이 설정된다. 이후 사용자는 특정 동작(예컨대, 전원 버튼 입력 또는 화면(302) 터치)을 통해 잠금 해제를 시도한다.
잠금 해제가 시작되면, 사용자는 화면(302) 상에 신체 일부, 예컨대 손가락을 접촉하여 터치 시작 지점(34)에서 터치를 시작한다. 이 때 입력부(34)는 터치 시작 지점(34)을 통해 입력되는 터치 시작 신호를 입력받는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손가락을 떼지 않은 상태에서 화면(302) 상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손가락을 이동시킨 후, 터치 해제 지점(38)에 이르러 손가락을 화면(302)에서 뗀다. 이 때 입력부(34)는 터치 해제 지점(38)을 통해 입력되는 터치 해제 신호를 입력받는다.
사용자는 화살표 방향으로 손가락을 이동하는 동안 미리 설정된 잠금 해제 영역(31, 32, 33)을 터치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접촉 지점(35, 36, 37)을 사용자가 터치할 때 마다, 피드백 출력부는 사용자가 잠금 해제 영역(31, 32, 33)을 터치했음을 알리는 터치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드백 출력부가 전기 진동층을 포함할 경우, 사용자가 접촉 지점(35, 36, 37)을 터치할 때마다 사용자의 손가락을 통해 전기 진동이 전달될 수 있다. 또한 피드백 출력부가 모터를 포함할 경우 사용자가 접촉 지점(35, 36, 37)을 터치할 때마다 일반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접촉 지점(35, 36, 37)을 터치할 때마다 스피커를 통해 미리 정해진 오디오가 출력되거나, 램프를 통해 특정 파장이 빛이 출력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접촉 지점(35, 36, 37)을 터치할 때 마다 화면(302)을 통해 특정 이미지가 출력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터치 피드백의 출력을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잠금 해제 영역(31, 32, 33)을 몇 번 터치했는지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화면(302) 상에 잠금 해제 영역(31, 32, 33)이 전혀 디스플레이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터치 피드백을 통해서 잠금 해제 영역(31, 32, 33)의 터치 여부 및 터치 횟수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터치 피드백으로서 전기 진동을 제공할 수 있다. 전기 진동은 사용자만이 느낄 수 있는 진동이므로 잠금 해제 영역(31, 32, 33)의 터치 여부 및 터치 횟수를 다른 사람에게 노출시키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터치 피드백으로서 전기 진동이나 일반 진동이 제공될 경우 시각 장애를 가진 사용자도 보다 쉽게 잠금 해제를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카운터부(108)는 사용자에 의해 터치 시작 신호가 입력될 때부터 터치 해제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사용자가 잠금 해제 영역(31, 32, 33)을 터치한 터치 횟수를 카운트한다. 예컨대 도 3의 실시예에서 카운터부(108)는 사용자의 터치 횟수를 3으로 카운트한다.
잠금 제어부(110)는 카운터부(108)에 의해 카운트된 터치 횟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횟수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기준 횟수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만약 카운터부(108)에 의해 카운트된 터치 횟수가 기준 횟수와 일치하면 잠금 제어부(110)는 화면(302)의 잠금을 해제하고, 그렇지 않으면 화면(302)의 잠금을 해제하지 않으며 잠금 해제 실패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기 진동(Electrovibration) 피드백을 위해 배치되는 촉각 층의 전극 채널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피드백 출력부로서 전기 진동층 및 촉각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진동은 캐패시터의 두 전극판 사이에 전압이 가해졌을 때 두 전극판이 서로 당기는 전기력이 발생하는 현상을 이용한 것이다. 이 때 사용자의 손가락이 캐패시터의 한 전극판을 담당하고, 촉각 층은 캐패시터의 다른 전극판을 담당하게 된다. 사용자의 터치로 인해 발생하는 전기력에 따라서 전기 진동층은 사용자의 손가락을 통해 진동 또는 질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되는 촉각 층은 도 4와 같이 다수의 전극 채널(40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잠금 해제 영역 설정부(104)는 도 4와 같은 전극 채널(402)에 따라서 잠금 해제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잠금 해제 영역을 설정할 경우 각각 전극 채널(402)을 사용자가 터치할 때 마다 전극 채널(402)을 따라서 전기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빠른 피드백 제공이 가능하다.
도 5는 도 4와 같은 전극 채널(402)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층(502), 터치 층(504), 전기 진동 층(506), 그리고 다수의 전극 채널을 포함하는 촉각 층(508)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극 채널을 갖지 않는 촉각 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촉각 층은 도 4와 같은 전극 채널(402)을 포함하지 않으며, 균일한 평면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전극 채널(402)이 촉각 층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 전기 진동 층은 터치 층(704)을 통해 인식되는 사용자가 터치한 잠금 해제 영역의 좌표를 참조하여 해당 좌표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전기 진동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도 4와 같은 전극 채널(402)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해 피드백 제공 속도가 다소 낮을 수 있으나, 보다 정확한 위치에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도 6과 같이 평면으로 구성되는 촉각 층을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층(702), 터치 층(704), 전기 진동 층(706), 그리고 평면 형상을 갖는 촉각 층(708)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설정되는 잠금 해제 영역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잠금 해제 영역 설정부(104)는 다양한 형상을 갖는 잠금 해제 영역을 화면 상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의 (a)와 같이 잠금 해제 영역 설정부(104)는 사각형 형상의 잠금 해제 영역(81, 82, 83, 84)을 세로 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도 8의 (b)와 같이 잠금 해제 영역 설정부(104)는 원형의 잠금 해제 영역(85, 86, 87, 88)을 화면 상의 각각의 모서리 방향으로 배치할 수도 있다. 그러나 잠금 해제 영역 설정부(104)에 의해 설정되는 잠금 해제 영역의 형상, 개수 및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설정되는 잠금 해제 영역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앞서 도 8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잠금 해제 영역 설정부(104)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전체 영역에 걸쳐서 잠금 해제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잠금 해제 영역 설정부(104)는 화면의 전체 영역이 아닌 부분 영역에 잠금 해제 영역을 설정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해제 영역 설정부(104)는 화면(902)의 하단 부분 영역(904)에만 잠금 해제 영역(91, 92, 93, 94)을 설정한다. 이에 따라서 화면(902)의 하단 부분 영역(904)을 제외한 영역에는 다른 이미지가 노출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잠금 해제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먼저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 상에 잠금 해제 영역을 설정한다(1002). 이 때 설정되는 잠금 해제 영역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다양한 개수의 잠금 해제 영역이 화면 상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 상에 설정되는 잠금 해제 영역을 사용자가 터치한 횟수에 기초하여 화면의 잠금 해제 여부가 결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의 전체 영역 또는 부분 영역에 잠금 해제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설정된 잠금 해제 영역을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잠금 해제 영역 설정부에 의해 잠금 해제 영역이 설정되더라도 사용자가 실제로 잠금 해제를 시도할 때에는 잠금 해제 영역이 화면 상에 전혀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포함되는 촉각 층의 전극 채널에 따라서 잠금 해제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잠금 해제 영역을 시도할 때마다 잠금 해제 영역을 랜덤하게 설정할 수 있다.
다시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터치 시작 신호 및 터치 해제 신호를 입력받는다(1004).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에 신체를 접촉함에 따라서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거나 송신할 수 있는 터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와 같은 터치 층을 통해 전달되는 사용자의 터치 시작 신호 및 터치 해제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도 10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잠금 해제 방법은 사용자가 잠금 해제 영역을 터치할 때 미리 설정된 터치 피드백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터치 피드백은 전기 진동, 일반 진동, 오디오, 빛,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터치 신호가 입력될 때부터 터치 해제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사용자가 잠금 해제 영역을 터치한 횟수, 즉 터치 횟수를 카운트 한다(1006). 그리고 나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카운트된 터치 횟수와 기준 횟수가 일치하면 화면의 잠금을 해제한다(1008).
지금까지 설명된 본 발명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저장된 개인 정보의 보안을 위하여 사용하는 잠금 화면의 해제에 있어서 사용 장소나 다른 사람들의 존재와는 무관하게 보다 안전하게 화면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잠금 해제 방식에 비해 보다 높은 보안성을 제공하면서도 사용자가 보다 쉽고 빠르게 화면의 화면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사용자가 잠금 해제 영역을 터치할 때 진동(전기 진동 또는 일반 진동)을 피드백으로 제공함으로써, 시각 장애로 인해 화면을 볼 수 없는 사용자도 보다 쉽고 빠르게 화면의 화면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Claims (11)

  1.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 상에 하나 이상의 잠금 해제 영역을 설정하는 잠금 해제 영역 설정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터치 시작 신호 및 터치 해제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사용자가 상기 하나 이상의 잠금 해제 영역이 설정된 화면에 손가락을 터치한 순간부터 손가락을 뗄 때까지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하나 이상의 잠금 해제 영역에 접촉된 횟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부; 및
    상기 카운터부에 의해 카운트 된 상기 접촉된 횟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횟수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접촉된 횟수가 상기 기준 횟수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화면의 잠금을 해제하는 잠금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 해제 영역 설정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포함되는 촉각 층의 전극 채널에 따라서 상기 잠금 해제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촉각 층은 다수의 전극 채널을 포함하거나 평면 형상을 가지며,
    디스플레이층 위에 터치층, 상기 터치층 위에 전기 진동층, 상기 전기 진동층 위에 상기 촉각층이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잠금 해제 영역을 터치할 때 미리 설정된 터치 피드백을 출력하는 피드백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피드백은
    전기 진동(Electrovibration), 일반 진동, 오디오, 빛,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해제 영역 설정부는
    상기 화면의 전체 영역 또는 부분 영역에 상기 잠금 해제 영역을 설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해제 영역 설정부는
    상기 화면 상에 상기 잠금 해제 영역을 디스플레이하지 않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전기 진동 층 및 촉각 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 상에 하나 이상의 잠금 해제 영역을 설정하는 잠금 해제 영역 설정부;
    상기 촉각 층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터치 시작 신호 및 터치 해제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사용자가 상기 하나 이상의 잠금 해제 영역이 설정된 화면에 손가락을 터치한 순간부터 손가락을 뗄 때까지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하나 이상의 잠금 해제 영역에 접촉된 횟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부; 및
    상기 카운터부에 의해 카운트 된 상기 접촉된 횟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횟수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접촉된 횟수가 상기 기준 횟수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화면의 잠금을 해제하는 잠금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진동 층은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하나 이상의 잠금 해제 영역에 접촉될 때 전기 진동을 발생시키고,
    상기 잠금 해제 영역 설정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포함되는 촉각 층의 전극 채널에 따라서 상기 잠금 해제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촉각 층은 다수의 전극 채널을 포함하거나 평면 형상을 가지며,
    디스플레이층 위에 터치층, 상기 터치층 위에 전기 진동층, 상기 전기 진동층 위에 상기 촉각층이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해제 영역 설정부는
    상기 촉각 층의 전극 채널에 따라서 상기 잠금 해제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전기 진동 층은
    상기 사용자가 터치한 잠금 해제 영역에 대응되는 전극 채널을 따라서 상기 전기 진동을 발생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진동 층은
    상기 사용자가 터치한 잠금 해제 영역의 좌표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전기 진동을 발생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해제 영역 설정부는
    상기 화면의 전체 영역 또는 부분 영역에 상기 잠금 해제 영역을 설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해제 영역 설정부는
    상기 화면 상에 상기 잠금 해제 영역을 디스플레이하지 않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50170520A 2015-12-02 2015-12-02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12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0520A KR102412494B1 (ko) 2015-12-02 2015-12-02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0520A KR102412494B1 (ko) 2015-12-02 2015-12-02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5052A KR20170065052A (ko) 2017-06-13
KR102412494B1 true KR102412494B1 (ko) 2022-06-23

Family

ID=59218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0520A KR102412494B1 (ko) 2015-12-02 2015-12-02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249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8016B1 (ko) * 2011-11-28 2012-10-08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진동을 이용한 패스워드 입력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779B1 (ko) * 2011-03-25 2013-03-14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잠금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658072B1 (ko) * 2014-02-14 2016-09-20 주식회사 하이딥 터치 면적에 따른 잠금 해제가 가능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8016B1 (ko) * 2011-11-28 2012-10-08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진동을 이용한 패스워드 입력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5052A (ko) 2017-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17936B (zh) 於電子設備中嵌入鑑認系統
JP6074206B2 (ja) 携帯端末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パスワード入力方法
KR102108614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잠금 해제 방법 및 장치
WO2017096944A1 (zh) 基于虚拟键盘的内容输入方法、装置及触控设备
KR101519301B1 (ko) 일회용 패스워드 생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증방법
US20100333198A1 (en) Authentication method and input device
JP2013140415A (ja) 携帯端末、認証方法、認証プログラム、
JP2015533250A (ja) 電子デバイスをロック解除する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装置
JP2013016115A (ja) 情報処理端末のロック解除方法
CN108431821B (zh) 用于移动装置的用户接口
CN108475306B (zh) 用于移动装置的用户接口
KR20120104865A (ko) 전자단말기에서의 비밀번호 입력 방법
JP2018148286A (ja) 電子機器及び制御方法
KR20150128344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1359874B1 (ko) 가상입력수단을 이용하는 일회용 패스워드 생성 장치 및 생성 방법
KR101122197B1 (ko) 터치 위치 해킹에 의한 정보 유출을 방지하는 가상키패드 표시 방법
KR10241249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JP5986456B2 (ja) 携帯端末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パスワード入力方法
US20180349592A1 (en) Beat assisted temporal pressure password
JP2014109848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認証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の認証プログラム
JP2016001426A (ja) タッチパネルを用いた情報入力装置および入力情報判定方法
KR20150124374A (ko) 암호화 해제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JP2013205986A (ja) 電子機器
KR20120130971A (ko) 힘센서를 이용한 휴대형 정보통신 단말기의 암호 처리 방법
KR101281875B1 (ko) 진동 피드백과 화면 터치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