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4374A - 암호화 해제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암호화 해제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4374A
KR20150124374A KR1020147026685A KR20147026685A KR20150124374A KR 20150124374 A KR20150124374 A KR 20150124374A KR 1020147026685 A KR1020147026685 A KR 1020147026685A KR 20147026685 A KR20147026685 A KR 20147026685A KR 20150124374 A KR20150124374 A KR 201501243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ignal
turns
reference point
preset
s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6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오쿠안 리우
빈 왕
하이빈 웽
Original Assignee
시아오미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아오미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시아오미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150124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43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6User authentication by graphic or iconic repres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 기술 분야에 관련되며 특히 암호화 해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스크린위에서 제 1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터치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제 1 이동방향이 미리 설정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인 기준방향과 동일하고,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하는 턴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동일할 경우, 암호화 해제 상태에 들어가도록 트리거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기의 데이터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암호화 해제 방법 및 장치{METHOD FOR DECRYPTION AND DEVICE THEREOF}
본원은 출원 번호가 CN201410125595.3이며, 출원일이 2014 년 3 월 31 일자인 중국 특허 출원을 우선권을 주장하고 당해 중국 특허 출원의 모든 내용을 본원에 원용한다.
본 발명은 컴퓨터 기술 분야에 관련되며, 특히 암호화 해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술 및 통신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휴대폰, 태블릿 PC 등의 이동 단말기는 널리 보급하여 사용되어 사람들의 일상 업무 생활에서 매우 중요한 장치가 되었다. 화면 잠금 암호화, 응용 프로그램의 암호화 등의 암호화는 단말기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기능이다. 예를 들어, 단말기의 화면 잠금 상태에 대하여 암호화 할 때, 사용자가 입력한 암호화 해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암호화 해제 조건을 만족하면 단말기는 화면 잠금 상태에서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된다.
슬라이딩 제스처 암호화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암호화/암호화 해제 방식으로서, 대응하는 처리과정은 하기와 같다. 즉 스크린에 아홉 개의 참조점 (3 행으로 나누어 한 줄에 세개씩)이 표시되며 사용자는 암호화 해제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손가락으로 스크린 위를 슬라이드하고, 손가락의 터치신호의 위치는 순서에 따라 그 중 몇 개의 참조점을 거치며 단말기는 터치신호가 거친 각 참조점과 그 순서를 암호화 해제 조건으로 기록한다. 암호화 해제할 때, 사용자는 손가락으로 스크린 위에 슬라이드하며, 터치신호가 상기 기록된 순서대로 기록한 각 지점을 거치면 단말기가 암호화 해제되도록 트리거한다.
본 발명을 실현하는 과정에서 관련기술에 적어도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는것을 발견하였다.
상기 방식에 의해 암호화 해제를 진행할 경우, 스크린에 꺽은선 모양의 슬라이드 흔적을 쉽게 남기여 암호화 해제 조건이 타인에게 쉽게 해독될 가능성이 있어, 단말기의 데이터의 안전성에 심각한 영향을 끼친다.
관련기술의중에 존재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기의 데이터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암호화 해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기술 방안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양태에 따르면,
스크린위에서 제 1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터치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제 1 이동방향이 미리 설정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인 기준방향과 동일하고,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하는 턴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동일할 경우, 암호화 해제 상태에 들어가도록 트리거 하는 암호화 해제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스크린에 적어도 하나의 참조점을 표시할 경우,
상기 제 1 이동방향이 미리 설정된 기준방향과 동일하고,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하는 턴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동일할 경우, 암호화 해제 상태에 들어가도록 트리거 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동방향이 미리 설정된 기준방향과 동일하고,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하는 턴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동일하고,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과정에서 통과하는 참조점 수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수량과 동일할 경우, 암호화 해제 상태에 들어가도록 트리거 한다.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상기 참조점이 제 1 참조점 및 / 또는 제 2 참조점을 포함할 경우,
상기 제 1 이동방향이 미리 설정된 기준방향과 동일하고,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하는 턴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동일하고,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과정에서 통과하는 참조점 수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 수량과 동일할 경우, 암호화 해제 상태에 들어가도록 트리거 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동방향이 미리 설정된 기준방향과 동일하고,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하는 턴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동일하고,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과정에서 통과하는 참조점 수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수량과 동일하고, 상기 터치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작조건 및 / 또는 종료조건을 만족할 경우, 암호화 해제 상태에 들어가도록 트리거 하며,
상기 시작조건은 상기 터치신호의 초기위치가 상기 제 1 참조점에 위치하는 것을 가리키며, 상기 종료조건은 상기 터치신호가 상기 턴수를 이동한 후 마지막에 통과하는 참조점이 상기 제 2 참조점 임을 가리킨다.
바람직하게, 스크린에 적어도 하나의 참조점을 표시할 경우,
상기 제 1 이동방향이 미리 설정된 기준방향과 동일하고,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하는 턴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동일할 경우, 암호화 해제 상태에 들어가도록 트리거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동방향이 미리 설정된 기준방향과 동일하고,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하는 턴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동일하고, 또한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과정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참조점 중의 미리 설정된 기준 참조점 전체를 통과할 경우, 암호화 해제 상태에 들어가도록 트리거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과정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참조점 중의 미리 설정된 기준 참조점 전체를 통과하는 단계에 있어서,
터치신호가 이동과정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참조점 중의 미리 설정된 기준 참조점 전체를 통과하고 각 기준 참조점을 통과하는 순서가 미리 설정된 기준 참조점의 배열순서와 동일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크린에 적어도 하나의 참조점을 표시하는 단계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각 참조점의 표시 위치에 따라 스크린에 적어도 하나의 참조점을 표시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크린에 적어도 하나의 참조점을 표시하는 단계에 있어서,
스크린에 적어도 하나의 참조점을 표시하고, 각 참조점의 식별정보를 대응되게 표시한다.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상기 참조점이 제 1 참조점 및 / 또는 제 2 참조점을 포함할 경우,
상기 제 1 이동방향이 미리 설정된 기준방향과 동일하고,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하는 턴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동일하고,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과정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참조점 중의 미리 설정된 기준 참조점을 통과할 경우, 암호화 해제 상태에 들어가도록 트리거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동방향이 미리 설정된 기준방향과 동일하고,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하는 턴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동일하며,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과정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참조점 중의 미리 설정된 기준 참조점 전체를 통과하고, 상기 터치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작조건 및 / 또는 종료조건을 만족할 경우, 암호화 해제 상태에 들어가도록 트리거 하며,
상기 시작조건은 상기 터치신호의 초기위치가 상기 제 1 참조점에 위치하는 것을 가리키며, 상기 종료조건은 상기 터치신호가 상기 턴수를 이동한 후 마지막에 통과하는 참조점이 상기 제 2 참조점 임을 가리킨다.
바람직하게,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하는 턴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동일함에 있어서,
상기 터치신호의 이동궤적이 적어도 하나의 폐쇄된 패턴을 형성하고, 각 폐쇄된 패턴이 연속적인 궤적에 의해 형성되며, 형성한 폐쇄된 패턴의 수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동일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하는 턴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동일함에 있어서,
상기 터치신호의 이동과정에서 각도 변화의 누계치가 미리 설정된 기준각도의 범위내에 있고, 상기 기준각도 범위의 하한값은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원주각의 곱이며, 상기 기준각도 범위의 상한값은 상기 기준턴수에 1을 더한 값과 원주각의 곱인 것이다.
본 발명 실시예의 제2양태에 따르면,
스크린위에서 제 1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터치신호를 검출하는 검출 모듈,
상기 제 1 이동방향이 미리 설정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인 기준방향과 동일하고,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하는 턴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동일할 경우, 암호화 해제 상태에 들어가도록 트리거하는 트리거 모듈을 구비하는 암호화 해제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스크린에 적어도 하나의 참조점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구비하며,
상기 트리거 모듈은
상기 제 1 이동방향이 미리 설정된 기준방향과 동일하고,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하는 턴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동일하고,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과정에서 통과하는 참조점 수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 수량과 동일할 경우, 암호화 해제 상태에 들어가도록 트리거 한다.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상기 참조점이 제 1 참조점 및 / 또는 제 2 참조점을 포함할 경우,
상기 트리거 모듈은
상기 제 1 이동방향이 미리 설정된 기준방향과 동일하고,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하는 턴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동일하고,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과정에서 통과하는 참조점 수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수량과 동일하고, 상기 터치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작조건 및 / 또는 종료조건을 만족할 경우, 암호화 해제 상태에 들어가도록 트리거하며,
상기 시작조건은 상기 터치신호의 초기위치가 상기 제 1 참조점에 위치하는 것을 가리키며, 상기 종료조건은 상기 터치신호가 상기 턴수를 이동한 후 마지막에 통과하는 참조점이 상기 제 2 참조점 임을 가리킨다.
바람직하게, 스크린에 적어도 하나의 참조점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 모듈은
상기 제 1 이동방향이 미리 설정된 기준방향과 동일하고,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하는 턴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동일하고, 또한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과정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참조점 중의 미리 설정된 기준 참조점 전체를 통과할 경우, 암호화 해제 상태에 들어가도록 트리거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과정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참조점 중의 미리 설정된 기준 참조점 전체를 통과함에 있어서,
터치신호가 이동과정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참조점 중의 미리 설정된 기준 참조점 전체를 통과하고 각 기준 참조점을 통과하는 순서가 미리 설정된 기준 참조점의 배열순서와 동일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표시 모듈은 미리 설정된 각 참조점의 표시 위치에 따라 스크린에 적어도 하나의 참조점을 표시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표시 모듈은 스크린에 적어도 하나의 참조점을 표시하고, 각 참조점의 식별정보를 대응되게 표시한다.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상기 참조점이 제 1 참조점 및 / 또는 제 2 참조점이 포함할 경우,
상기 트리거 모듈은
상기 제 1 이동방향이 미리 설정된 기준방향과 동일하고,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하는 턴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동일하며,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과정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참조점 중의 미리 설정된 기준 참조점 전체를 통과하고, 상기 터치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작조건 및 / 또는 종료조건을 만족할 경우, 암호화 해제 상태에 들어가도록 트리거 하며,
상기 시작조건은 상기 터치신호의 초기위치가 상기 제 1 참조점에 위치하는 것을 가리키며, 상기 종료조건은 상기 터치신호가 상기 턴수를 이동한 후 마지막에 통과하는 참조점이 상기 제 2 참조점 임을 가리킨다.
바람직하게,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하는 턴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동일함에 있어서,
상기 터치신호의 이동궤적이 적어도 하나의 폐쇄된 패턴을 형성하고, 각 폐쇄된 패턴이 연속적인 궤적에 의해 형성되며, 형성한 폐쇄된 패턴의 수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동일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하는 턴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동일함에 있어서,
상기 터치신호의 이동과정에서 각도 변화의 누계치가 미리 설정된 기준각도의 범위내에 있고, 상기 기준각도 범위의 하한값은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원주각의 곱이며, 상기 기준각도 범위의 상한값은 상기 기준턴수에 1을 더한 값과 원주각의 곱인 것이다.
본 발명 실시예의 제3양태에 따르면,
프로세서와,
상기 프로세서가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스크린위에서 제 1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터치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제 1 이동방향이 미리 설정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인 기준방향과 동일하고,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하는 턴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동일할 경우, 암호화 해제 상태에 들어가도록 트리거 하도록 구성되는 암호화 해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크린 위에 제 1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터치신호가 검출될 경우, 제 1 이동방향이 미리 설정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인 기준방향과 동일하고, 터치신호가 이동하는 턴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동일할 경우, 암호화 해제 상태에 들어가도록 트리거 한다. 이와 같이, 암호화 해제 슬라이드 궤적이 복잡하여 스크린에 남긴 슬라이드 흔적이 식별될 가능성이 작아지므로, 단말기의 데이터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의 일반적인 기재 및 후술한 상세한 설명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도면은 명세서에 포함되며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를 도시하며 명세서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의 해석에 사용된다.
여기서 설명하는 도면은 본 발명을 더욱 이해하기 위해 제공된 것이며,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지만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나타낸 암호화 해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a, 2b, 2c, 2d, 3a, 3b, 3c, 4a, 4b, 4c, 4d, 4e, 4f, 5a, 5b, 5c, 5d는 각각 예시적인 실시예에 나타낸 터치신호 이동의 궤적의 모식도이다.
도 6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나타낸 암호화 해제 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7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나타낸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상기 도면을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하지만 그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이러한 도면과 문자 기재는 본 발명의 취지의 범위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라 특정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로 하여금 본 발명의 컨셉을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 기술방안 및 장점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하기에서 실시 형태 및 도면을 조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 및 그 설명은 본 발명을 해석하기 위한 것일뿐, 본 발명을 한정하려고 하는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암호화 해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암호화 해제 방법을 제공하고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의 처리과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101에서, 스크린 위에 제 1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터치신호가 검출된다.
단계 102에서, 제 1 이동방향이 미리 설정된 기준방향과 동일하고, 터치신호가 이동하는 턴수(number of turns)가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동일할 경우, 암호화 해제 상태에 들어가도록 트리거 한다. 기준방향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크린 위에 제 1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터치신호가 검출될 경우, 제 1 이동방향이 미리 설정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인 기준방향과 동일하고, 터치신호가 이동하는 턴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동일할 경우, 암호화 해제 상태에 들어가도록 트리거 한다. 이와 같이, 암호화 해제 슬라이드 궤적이 복잡하여 스크린에 남긴 슬라이드 흔적이 식별될 가능성이 작아지므로, 단말기의 데이터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암호화 해제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의 실행주체는 휴대폰, 태블릿 PC 등 이동 단말기와 같은 단말기일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스크린 터치형 단말기를 실행주체로 하고, 화면잠금을 해제하는 응용장면을 예로 하여, 기술방안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며, 다른 실행주체 및 응용장면은 당해 응용장면과 유사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생략한다.
아래에서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결합하여 도 1에 표시된 처리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며,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단계 101에서, 스크린위에 제 1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터치신호가 검출된다. 본 실시예의 방법은 단말기에 이용될 수 있다.
터치신호가 진행하는 이동은 아크선 이동 또는 꺽은선 이동 등 일수 있다. 제 1 이동방향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일 수 있다. 터치신호는 손가락이나 다른 물체로 단말기의 스크린을 터치하여 생성되는 유도신호이며, 스크린에서 유도점의 밀도가 크기 때문에, 상기 터치신호는 여러 유도점의 신호로 형성될 수 있다. 터치신호의 위치는 각 유도점 위치에 의하여 형성된 위치범위일 수 있고, 상기 범위의 중심점 (예를 들어, 기하학적 중심 등)일 수도 있다.
실시에 있어서, 스크린 잠금 해제를 예로 들어, 단말기가 휴면 상태에 있을 경우, 사용자가 단말기의 바탕화면 버튼 또는 온오프(On / Off) 버튼을 누르면 단말기가 화면 잠금 화면을 표시하도록 트리거하여 사용자는 미리 설정된 암호화 해제 조건 (또는 잠금 해제 조건)에 따라 손가락이나 다른 물체로 단말기의 스크린 위에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의 슬라이드 조작을 진행한다. 이럴 경우, 단말기는 손가락으로 스크린을 터치함으로써 생성되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터치신호가 검출된다.
단계 102에서, 제 1 이동방향이 미리 설정된 기준방향과 동일하고, 터치신호가 이동하는 턴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턴수와 동일할 경우, 암호화 해제 상태로 들어가도록 트리거한다. 본 실시예의 방법은 단말기에 이용될 수 있다.
기준방향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이다. 기준방향 및 기준턴수는 단말기의 시스템 프로그램 또는 응용 프로그램에 미리 배치될 수 있으며, 또는 사용자가 직접 설정하여도 된다. 암호화 해제 상태는 암호화 해제 정보 인증이 성공된 후의 단말기의 상태이며, 당해 암호화 해제 정보는 사용자가 입력한 터치신호 또는 비밀번호 등 일수 있고, 암호화 해제 상태는 화면 잠금이 해제 된 후의 상태일 수 있으며, 응용 프로그램이 잠금 해제 된 상태일 수 있고, 비밀번호를 이용한 거래가 성공적으로 실행된 상태일 수 있다.
실시에 있어서, 단말기는 터치신호가 사라질 때 또는 터치신호가 지속되는 과정에서, 각 암호화 해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암호화 해제 조건은 제 1 이동방향이 기준방향과 동일하는 조건 1과 터치신호가 이동하는 턴수가 기준턴수와 동일하는 조건 2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암호화 해제 조건을 모두 만족할 경우, 단말기가 암호화 해제 상태에 들어가도록 트리거한다. 예를 들어, 화면 잠금 상태에서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된다. 암호화 해제 조건을 만족하지 못할 경우, 단말기의 현재 상태를 유지한다. 즉 암호화 해제 상태로 전환되지 못하게 한다.
터치신호가 이동하는 턴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식은 다종다양하며, 아래에서 몇가지 가능한 판단방식을 제공한다.
방식 1에서, 터치신호의 이동궤적이 적어도 하나의 폐쇄된 패턴을 형성하고, 각 폐쇄된 패턴이 연속적인 궤적에 의해 형성되며, 형성한 폐쇄된 패턴의 수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동일할 경우, 터치신호가 이동하는 턴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동일하다고 판단한다.
폐쇄된 패턴은 다각형, 물방울 형, 원형 등 임의의 규칙적인 형상일 수 있고 또는 불규칙적인 형상의 폐쇄된 패턴일 수도 있다.
실시에 있어서, 터치신호의 이동궤적은 도 2a (시계방향) 또는 도 2b (반시계방향) 와 같이 단말기는 연속적인 궤적에 의해 형성된 폐쇄된 패턴의 개수를 기록하고, 불연속적인 궤적에 의해 형성된 폐쇄된 패턴에 대해 통계하지 않으며, 기록한 개수가 기준턴수와 동일할 경우, 터치신호가 이동하는 턴수가 기준턴수와 동일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기록하는 과정은 아래와 같다. 즉 터치신호의 이동궤적이 하나의 폐쇄된 패턴을 형성하였다고 검출될 경우, 폐쇄된 패턴을 기록하는 개수에 1을 가하고 전에 검출된 이동궤적을 삭제한 다음, 터치신호가 사라질 때까지 계속하여 이동궤적에 대해 상기와 같은 검출을 실시하며, 마지막에 기록한 폐쇄된 패턴의 개수를 획득한다.
방식 2에 있어서, 터치신호의 이동과정에서 각도 변화의 누계치가 미리 설정된 기준각도의 범위에 있을 경우, 터치신호가 이동하는 턴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동일하다고 판단 한다.
기준각도 범위의 하한값은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원주각의 곱이며, 기준각도 범위의 상한값은 기준턴수에 1을 더한 값과 원주각과의 곱이며, 원주각은 360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이 2 일 경우, 기준각도의 범위는 720 ° ~ 1080 °이다.
실시에 있어서, 터치신호의 이동궤적은 도 2a, 도 2b, 도 2c (시계방향) 또는 도 2d (반시계방향)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는 터치신호의 이동방향을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이동방향의 각도 변화의 누계치를 기록할 수 있다. 이동방향이 360 ° 변화될 때마다 터치신호가 일주 이동했다는 것을 의미하고 터치신호가 사라졌을 경우, 기록한 각도 변화의 누계치를 획득하며 획득한 누계치가 기준각도의 범위에 있으면, 터치신호가 이동하는 턴수가 기준턴수와 동일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두 암호화 해제 조건 (조건 1, 조건 2) 이외에, 스크린에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참조점을 이용하여 다른 암호화 해제 조건을 추가할 수 있으며, 새롭게 추가된 암호화 해제 조건에 따라 단계102의 처리 방식은 다종다양하며, 아래에서 몇가지 가능한 처리방식을 제공한다.
[방식 1]
제 1 이동방향이 미리 설정된 기준방향과 동일하고, 터치신호가 이동하는 턴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동일하고, 터치신호가 이동과정에서 통과하는 참조점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수량과 동일할 경우, 암호화 해제 상태에 들어가도록 트리거한다.
여기서 참조점의 수량 및 각 참조점의 위치는 미리 설정할 수 있으며, 무작위로 확정할 수도 있다. 참조점의 수량은 기준수량 이상이다. 단말기 시스템 프로그램 또는 응용 프로그램에 기준수량을 미리 배치할 수 있으며, 또는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도 있다.
실시에 있어서, 사용자가 슬라이드 조작을 통해 암호화 해제를 진행할 경우, 손가락을 제 1 이동방향을 따라 소정의 턴수만큼 이동시킴과 동시에, 이동궤적이 소정 수량의 참조점을 통과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세 개의 참조점 중의 임의의 두 개의 참조점을 통과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터치신호의 이동 궤적은 도 3a, 3b,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a는 세 개의 참조점 중의 두 개의 참조점을 통과하는 경우를 나타낸것이고, 도 3b는 세 개의 참조점 중의 세 개의 참조점을 통과하는 경우를 나타낸것이며, 도 3c는 네 개의 참조점 중의 두 개의 참조점을 통과하는 경우를 나타낸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참조점에 슬라이드 궤적의 시점 및 / 또는 종점을 설정할 수 있고, 즉, 적어도 상기 하나의 참조점에는 제 1 참조점 및 / 또는 제 2 참조점이 포함될 수 있으며, 제 1 참조점은 시점일 수 있고, 제 2 참조점은 종점일 수 있다. 대응하여, 암호화 해제 조건에 시작조건 및 / 또는 종료조건을 추가할 수 있고, 방식 1의 처리과정은 다음과 같다.
제 1 이동방향이 미리 설정된 기준방향과 동일하고, 터치신호가 이동하는 턴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동일하고, 터치신호가 이동과정에서 통과하는 참조점의 수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수량과 동일하고, 터치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작조건 및 / 또는 종료조건을 만족할 경우, 암호화 해제 상태에 들어가도록 트리거한다.
시작조건은 터치신호의 초기위치가 제 1 참조점에 위치하는 것을 가리키며, 종료조건으로서 터치신호가 당해 턴수를 이동한 후 마지막에 통과하는 참조점이 제 2 참조점인 것을 가리킨다. 터치신호의 초기위치는 터치신호가 최초생성 될 때의 위치이다.
실시에 있어서, 상기 처리과정은 아래와 같이 다양한 상황으로 나뉜다.
상황 1에서, 참조점에 시작점을 설정하고 암호화 해제 조건에 시작조건을 추가한다.
실시에 있어서, 제 1 참조점을 특수한 마크로 표시하여, 슬라이드의 시점으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시점》이라는 문자로 표시하거나 특별한 색상, 예를 들어 빨간색으로 표시한다. 사용자가 슬라이드 조작을 통해 암호화 해제를 진행할 경우, 손가락으로 먼저 제 1 참조점을 클릭하고 손가락을 제 1 이동방향을 따라 소정의 턴수만큼 이동시킴과 동시에 이동궤적이 소정수량의 참조점을 통과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터치신호의 이동궤적은 도 4a,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a는 이동궤적이 두 개의 참조점 중의 하나의 참조점을 통과하고, 통과하는 당해 참조점이 시작점인 경우를 나타내고, 도 4b는 이동궤적이 두 개의 참조점 중의 두 개의 참조점을 통과하고, 그 중 하나의 참조점이 시작점인 경우를 나타낸다.
상황 2에서, 참조점에 종점을 설정하고, 암호화 해제 조건에 종료조건을 추가한다.
실시에 있어서, 제 2 참조점을 특수한 마크로 표시하여, 슬라이드의 종점으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종점》이라는 문자로 표시하거나 특별한 색상, 예를 들어 파란색으로 표시한다. 사용자가 슬라이드 조작을 통해 암호화 해제를 진행할 경우, 손가락을 제 1 이동방향을 따라 소정의 턴수만큼 이동시킴과 동시에 이동 궤적이 소정수량의 참조점을 통과하도록 한 후, 최종에 제 2 참조점으로 슬라이드 시킨다. 이 과정에서, 터치신호의 이동궤적은 도 4c,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c는 이동궤적이 두 개의 참조점 중의 하나의 참조점을 통과하고, 통과하는 당해 참조점이 종점인 경우를 나타내고, 도 4d는 이동궤적이 두 개의 참조점 중의 두 개의 참조점을 통과하고, 그 중 하나의 참조점이 종점인 경우를 나타낸다.
상황 3에서, 참조점에 시점과 종점을 설정하고, 암호화 해제 조건에 시작조건 및 종료조건을 추가한다.
실시에 있어서, 제 1 참조점 및 제 2 참조점을 특수한 마크로 표시하여, 각각 슬라이드의 시점과 종점으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시점》과《종점》이라는 문자로 표시하거나 그들을 각각 특수한 색상으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제 1 참조점을 빨간색으로 표시하고 제 2 참조점을 파란색으로 표시한다. 사용자가 슬라이드 조작을 통해 암호화 해제를 진행할 경우, 손가락으로 먼저 제 1 참조점을 클릭하고 손가락을 제 1 이동방향을 따라 소정의 턴수만큼 이동시킴과 동시에 이동궤적이 소정수량의 참조점을 통과하도록 하며, 손가릭을 소정의 턴수만큼 이동시킨 후, 최종에 제 2 참조점으로 슬라이드 시킨다. 이 과정에서 터치신호의 이동궤적은 도 4e,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e는 이동궤적이 두 개의 참조점 중의 두 개의 참조점을 통과하고 이 두 개의 참조점이 각각 시작과 종점인 경우를 나타내고, 도 4f는 이동궤적이 네 개의 참조점 중의 세 개의 참조점을 통과하고 그중에 시점과 종점이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방식 2]
제 1 이동방향이 미리 설정된 기준방향과 동일하고, 터치신호가 이동하는 턴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동일하고, 터치신호가 이동과정에서, 적어도 하나의 표시된 참조점 중의 미리 설정된 기준 참조점 전체를 통과할 경우, 암호화 해제 상태에 들어가도록 트리거한다.
여기서 기준 참조점은 암호화 해제 조건중 터치신호가 통과해야 하는 참조점이며, 기준 참조점을 단말기의 시스템 프로그램 또는 응용 프로그램에 미리 배치할 수 있으며, 또는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도 있다.
실시에 있어서, 방식 2에 관하여, 스크린에 적어도 하나의 참조점을 표시하는 방법은 다종다양하며, 아래에서 그 중 몇가지 가능한 표시방법을 제공한다.
표시 방법 1에서, 미리 설정된 각 참조점의 위치에 따라, 스크린에 적어도 하나의 참조점을 표시한다.
이러한 표시 방법에 있어서, 각 참조점의 위치는 고정된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9 개 참조점은 균일하게 각 행에 3 개씩 3 줄로 배열되고, 또는 모든 참조점이 하나의 원으로 둘러싸인다.
표시 방법 2에서, 스크린에 적어도 하나의 참조점을 표시하고 각 참조점의 식별정보를 대응하여 표시한다.
여기서 참조점의 식별정보는 참조점과 다른 참조점을 구별시키기 위한 정보일 수 있고, 번호, 색상 등일 수도 있다.
이러한 표시 방법에 있어서, 각 참조점의 위치는 고정된 것일 수도 있고, 임의의 것일 수도 있다.
상기 표시된 각 참조점에 따라 사용자가 슬라이드 조작을 통해 암호화 해제를 진행할 경우, 손가락을 제 1 이동방향을 따라 소정의 턴수만큼 이동시킴과 동시에 이동궤적이 표시된 참조점 중의 모든 기준 참조점을 통과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5a와 같이 스크린에 여섯개 참조점 즉 1, 2, 3, 4, 5, 6으로 표시되어 있다. 여기서 1, 2, 3은 기준 참조점일 경우, 이동궤적은 세 개의 참조점들 1, 2, 3을 통과해야 한다. 또한, 예를 들어, 도 5b와 같이 스크린에 각행 3개씩 3 줄로 배열된 9개의 참조점이 표시되고, 여기서 제일 위의 행의 3개의 참조점이 기준 참조점일 경우, 이동궤적은 이 3개의 참조점을 통과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이동궤적이 각 기준 참조점을 통과하는 순서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이동궤적이 각 기준 참조점을 통과하는 순서에 대해 한정하여도 되며, 대응하여 방식 2에 암호화 해제 조건을 새롭게 추가하여, 터치신호가 이동과정에서, 적어도 하나의 표시된 참조점 중의 미리 설정된 기준 참조점 전체를 통과하는 것은 하기와 같다. 터치신호가 이동과정에서, 적어도 하나의 표시된 참조점 중의 미리 설정된 기준 참조점 전체를 통과하고, 각 기준 참조점을 통과하는 순서가 미리 설정된 기준 참조점의 배열순서와 동일하다.
여기서 기준 참조점의 배열순서는 단말기의 시스템 프로그램 또는 응용 프로그램에 미리 배치할 수 있고, 또는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도 있다.
실시에 있어서, 사용자가 슬라이드 조작을 통해 암호화 해제를 진행할 경우, 손가락을 제 1 이동방향을 따라 소정의 턴수만큼 이동시킴과 동시에 이동궤적이 소정순서에 따라, 표시된 참조점 중의 모든 기준 참조점을 통과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크린에는 여섯개 참조점 즉 1, 2, 3, 4, 5, 6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그 중 1, 2, 3이 기준 참조점이고 기준 참조점의 배열순서가 3, 2, 1일 경우, 이동궤적은 3, 2, 1 순서대로 이 세 개의 참조점을 통과해야 한다. 또한, 예를 들어,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에는 각행 3 개씩 3 줄로 9 개의 참조점이 표시되고 제일 위의 한줄의 세 개의 참조점이 기준 참조점이고 기준 참조점의 배열순서가 오른쪽으로부터 왼쪽으로 향할 경우, 이동궤적은 오른쪽으로부터 왼쪽으로의 순서로 이 세 개의 참조점을 통과해야 한다.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상기 참조점에 슬라이드의 시작 및 / 또는 종점을 설정할 수 있고, 즉, 적어도 하나의 상기 참조점에는 제 1 참조점 및 / 또는 제 2 참조점이 포함될 수 있으며, 제 1 참조점은 시점일 수 있고, 제 2 참조점은 종점일 수 있다. 대응하여, 암호화 해제 조건에 시작조건 및 / 또는 종료조건을 추가할 수 있고, 방식 2의 처리과정은 다음과 같다.
제 1 이동방향이 미리 설정된 기준방향과 동일하고, 터치신호가 이동하는 턴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동일하고, 터치신호가 이동과정에서, 적어도 하나의 표시된 참조점 중의 미리 설정된 기준 참조점 전체를 통과하고 터치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작조건 및/또는 종료조건을 만족할 경우, 암호화 해제 상태에 들어가도록 트리거한다.
시작조건은 터치신호의 초기위치가 제 1 참조점에 위치하는 것을 가리키며, 종료조건은 터치신호가 상기 턴수를 이동한 후 마지막에 통과하는 참조점이 상기 제 2 참조점 인것을 가리킨다.
실시에있어서, 상기 처리 과정은 다양한 상황으로 나눌수 있으며, 대응되는 처리과정은 위의 상황 1 내지 상황 3과 유사하며, 위의 내용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또한, 상기 각 기준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기준 파라미터는 적어도 기준방향 및 기준턴수을 포함하며, 기준 수량, 기준 참조점, 기준 참조점 배열순서, 기준 각도의 범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해당 설정과정은 하기와 같다. 파라미터 설정 지령을 수신하고, 상기 파라미터 설정 지령은 설정하고자 하는 기준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목표치가 포함되며, 설정하고자 하는 기준 파라미터의 값을 대응하는 목표치로 설정한다.
설정하고자 하는 기준 파라미터는 기준방향, 기준턴수, 기준 수량, 기준 참조점, 기준 참조점 배열순서 및 기준 각도의 범위중의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에 있어서, 시스템 프로그램이나 응용 프로그램에는 상기 기준 파라미터에 대해 설정을 진행하는 암호화설정화면이 설정될 수 있고, 상기 화면에는 각 기준 파라미터의 설정항목이 설정될 수 있고, 기준 파라미터의 설정항목에는 기준 파라미터의 온오프 버튼이 포함될 수 있으며, 기준방향 및 기준턴수는 온 상태를 기본설정으로 할수 있으며, 설정항목에는 또한 기준 파라미터의 세팅이 포함될 수도 있으며, 세팅은 풀다운메뉴 선택방식, 수치수동 입력방식, 모의 슬라이드 조작방식 등 부동한 사용자 설정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설정항목에는 기본값 재설정 버튼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크린위에 제 1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터치신호가 검출될 경우, 제 1 이동방향이 미리 설정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인 기준방향과 동일하고, 터치신호가 이동하는 턴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동일할 경우, 암호화 해제 상태에 들어가도록 트리거 한다. 이와 같이, 암호화 해제하는 슬라이드 궤적이 복잡하여 스크린에 남긴 슬라이드 흔적이 식별될 가능성이 작아지므로, 단말기 데이터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실시예 3]
동일한 기술사상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암호화 해제 장치를 제공한다.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장치는
본 스크린위에서 제 1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터치신호를 검출하는 검출 모듈(610),
상기 제 1 이동방향이 미리 설정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인 기준방향과 동일하고,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하는 턴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동일할 경우, 암호화 해제 상태에 들어가도록 트리거하는 트리거 모듈(620)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스크린에 적어도 하나의 참조점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구비하며,
상기 트리거 모듈(620)은
상기 제 1 이동방향이 미리 설정된 기준방향과 동일하고,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하는 턴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동일하고,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과정에서 통과하는 참조점 수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 수량과 동일할 경우, 암호화 해제 상태에 들어가도록 트리거 한다.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상기 참조점이 제 1 참조점 및 / 또는 제 2 참조점을 포함할 경우,
상기 트리거 모듈(620)은
상기 제 1 이동방향이 미리 설정된 기준방향과 동일하고,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하는 턴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동일하고,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과정에서 통과하는 참조점 수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수량과 동일하고, 상기 터치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작조건 및 / 또는 종료조건을 만족할 경우, 암호화 해제 상태에 들어가도록 트리거하며,
상기 시작조건은 상기 터치신호의 초기위치가 상기 제 1 참조점에 위치하는 것을 가리키며, 상기 종료조건은 상기 터치신호가 상기 턴수를 이동한 후 마지막에 통과하는 참조점이 상기 제 2 참조점 임을 가리킨다.
바람직하게, 스크린에 적어도 하나의 참조점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 모듈(620)은
상기 제 1 이동방향이 미리 설정된 기준방향과 동일하고,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하는 턴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동일하고, 또한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과정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참조점 중의 미리 설정된 기준 참조점 전체를 통과할 경우, 암호화 해제 상태에 들어가도록 트리거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과정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참조점 중의 미리 설정된 기준 참조점 전체를 통과함에 있어서,
터치신호가 이동과정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참조점 중의 미리 설정된 기준 참조점 전체를 통과하고 각 기준 참조점을 통과하는 순서가 미리 설정된 기준 참조점의 배열순서와 동일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표시 모듈은 미리 설정된 각 참조점의 표시 위치에 따라 스크린에 적어도 하나의 참조점을 표시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표시 모듈은 스크린에 적어도 하나의 참조점을 표시하고, 각 참조점의 식별정보를 대응되게 표시한다.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상기 참조점이 제 1 참조점 및 / 또는 제 2 참조점이 포함할 경우,
상기 트리거 모듈(620)은
상기 제 1 이동방향이 미리 설정된 기준방향과 동일하고,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하는 턴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동일하며,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과정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참조점 중의 미리 설정된 기준 참조점 전체를 통과하고, 상기 터치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작조건 및 / 또는 종료조건을 만족할 경우, 암호화 해제 상태에 들어가도록 트리거 하며,
상기 시작조건은 상기 터치신호의 초기위치가 상기 제 1 참조점에 위치하는 것을 가리키며, 상기 종료조건은 상기 터치신호가 상기 턴수를 이동한 후 마지막에 통과하는 참조점이 상기 제 2 참조점 임을 가리킨다.
바람직하게,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하는 턴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동일함에 있어서,
상기 터치신호의 이동궤적이 적어도 하나의 폐쇄된 패턴을 형성하고, 각 폐쇄된 패턴이 연속적인 궤적에 의해 형성되며, 형성한 폐쇄된 패턴의 수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동일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하는 턴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동일함에 있어서,
상기 터치신호의 이동과정에서 각도 변화의 누계치가 미리 설정된 기준각도의 범위내에 있고, 상기 기준각도 범위의 하한값은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원주각의 곱이며, 상기 기준 각도 범위의 상한값은 상기 기준턴수에 1을 더한 값과 원주각의 곱인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크린 위에 제 1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터치신호가 검출될 경우, 제 1 이동방향이 미리 설정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인 기준방향과 동일하고, 터치신호가 이동하는 턴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동일할 경우, 암호화 해제 상태에 들어가도록 트리거 한다. 이와 같이, 암호화 해제 슬라이드 궤적이 복잡하여 스크린에 남긴 슬라이드 흔적이 식별될 가능성이 작아지므로, 단말기의 데이터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실시예 4]
도 7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나타나는 단말기 (800)의 블럭도이다. 예를 들어, 단말기 (800)는 휴대 전화, 컴퓨터, 디지털 방송 단말기, 메시지 송수신 장치, 게임 컨트롤러, 플랫 장치, 의료장치, 헬스장치,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이 될수 있다.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800)는 프로세스 어셈블리(802), 메모리(804), 전원 어셈블리(806), 멀티미디어 어셈블리(808), 오디오 어셈블리(810), 입력/출력(I/O) 인터페이스(812), 센서 어셈블리(814) 및 통신 어셈블리(816) 등 하나 또는 복수의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스 어셈블리(802)는 통상적으로 단말기(800)의 전체 조작을 제어하며, 예를 들면, 표시,전화 통화,데이터 통신,카메라 조작 및 기록 조작에 관련된 조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스 소자(802)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820)를 구비하여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방법의 전부 혹은 일부 단계를 완성한다. 또한, 프로세스 어셈블리(802)는 하나 또는 복수의 모듈을 포함하고 있어 프로세스 어셈블리(802)와 기타 어셈블리 사이의 인트렉션에 편리하다. 예를 들면, 프로세스 어셈블리(802)는 멀티미디어 모듈을 포함고 있어 멀티미디어 어셈블리(808)와 프로세스 어셈블리(802) 사이의 인트렉션이 편리하게 된다.
메모리(804)에는 각종 유형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단말기(800)의 동작을 서포트한다. 이러한 데이터의 예로서 단말기(800)에서 동작하는 임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혹은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연락인 데이터,전화번호부 데이터,메시지,이미지, 비디오 등을 포함한다. 메모리(804)는 임의의 유형의 휘발성 혹은 비휘발성 메모리 혹은 양자의 조합으로 실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ROM(Read-Only Memory),자기 메모리,플래시 메모리,자기 디스크 혹은 콤팩트 디스크 등으로 실현될 수 있다.
전력 어셈블리(806)는 단말기(800)의 각 어셈블리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전력 어셈블리(806)는 전원 관리 시스템,하나 또는 복수의 전원 및 단말기(800)를 위하여 전력을 생성, 관리 및 분배하기 위한 기타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어셈블리(808)는 상기 단말기(800)와 사용자 사이에 하나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스크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스크린은 액정 표시 장치(LCD)와 터치 패널(TP)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이 터치 패널을 포함할 경우, 스크린은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하나 또는 복수의 터치 센서를 포함하고 있어 터치, 슬라이딩 및 터치 패널위에서의 손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터치 혹은 슬라이딩 동작의 경계위치를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터치 혹은 슬라이딩 조작에 관련된 지속시간 및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멀티미디어 어셈블리(808)는 하나의 프론트 카메라 및/또는 리어 카메라를 포함한다. 단말기(800)가 예를 들면 촬영 모드 혹은 비디오 모드 등 조작 모드 상태에 있을 경우, 프론트 카메라 및/또는 리어 카메라는 외부로 부터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론트 카메라와 리어 카메라는 하나의 고정된 광학 렌즈 시스템일 수 있거나 또는 가변 초점거리와 광학 줌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 어셈블리(81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 및/또는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오디오 어셈블리(810)는 마이크로폰(MIC)을 포함하며,단말기(800)가 예를 들면 호출 모드, 기록 모드 및 음성 인식 모드 등 조작 모드에 있을 경우, 마이크로폰은 외부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한다. 수신된 오디오 신호는 진일보 메모리(804)에 저장되거나 혹은 통신 어셈블리(816)를 통하여 송신될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오디오 어셈블리(810)는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어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I/O 인터페이스(812)는 프로세스 어셈블리(802)와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은 키보드,휠 키,버튼 등일 수 있다. 이러한 버튼은 홈 버튼, 음량 버튼, 작동 버튼 및 잠금 버튼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센서 어셈블리(814)는 단말기(800)에 각 방면의 상태평가를 제공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센서 어셈블리(814)는 단말기(800)의 온/오프 상태,디스플레이 및 키패드와 같은 단말기(800)의 어셈블리의 상대위치결정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센서 어셈블리(814)는 단말기(800) 혹은 단말기(800)의 일 어셈블리의 위치변경,사용자와 단말기(800)사이의 접촉여부,단말기(800)의 방위 혹은 가속/감속 및 단말기(800)의 온도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814)는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어, 임의의 물리적 접촉이 없는 정황하에서 근처 물체의 존재를 검출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814)는 예를 들면 CMOS 혹은 CCD 이미지 센서 등 광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미징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 어셈블리(814)는 가속 센서,자이로 센서,자기 센서,압력 센서 혹은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어셈블리(816)는 단말기(800)와 기타 설비 사이의 유선 혹은 무선 통신에 사용된다. 단말기(800)는 예를 들면 WiFi,2G 혹은 3G,혹은 이들의 조합 등의 통신규격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일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통신 어셈블리(816)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 방송 관리 시스템으로부터의 방송 신호 혹은 방송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 어셈블리(816)는 근거리 무선 통신(NFC)모듈을 더 포함하고 있어, 단거리 통신을 촉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NFC 모듈은 RFID 기술, IrDA 기술, UWB 기술,블루투스(BT)기술 및 기타 기술에 기초하여 실현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단말기(800)는 하나 또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전용 집적 회로(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디지털 신호 처리설비(DSPD), 프로그램 가능 논리 소자(PLD),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혹은 기타 전자소자에 의하여 실현되어 상기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데, 예를 들면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메모리(804) 등을 포함하며, 상기 인스트럭션은 단말기(800)의 프로세서(820)에 의하여 실행되어 상기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디스크 및 광데이터 저장 장치 등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인 기록매체로서, 상기 기록매체의 인스트럭션이 이동단말기의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되는 경우, 이동단말기가 크로스 플랫폼(cross-platform) 데이터 취득방법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방법은
스크린위에서 제 1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터치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제 1 이동방향이 미리 설정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인 기준방향과 동일하고,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하는 턴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동일할 경우, 암호화 해제 상태에 들어가도록 트리거 한다.
바람직하게, 스크린에 적어도 하나의 참조점을 표시할 경우,
상기 제 1 이동방향이 미리 설정된 기준방향과 동일하고,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하는 턴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동일할 경우, 암호화 해제 상태에 들어가도록 트리거 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동방향이 미리 설정된 기준방향과 동일하고,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하는 턴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동일하고,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과정에서 통과하는 참조점 수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수량과 동일할 경우, 암호화 해제 상태에 들어가도록 트리거 한다.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상기 참조점이 제 1 참조점 및 / 또는 제 2 참조점을 포함할 경우,
상기 제 1 이동방향이 미리 설정된 기준방향과 동일하고,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하는 턴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동일하고,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과정에서 통과하는 참조점 수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 수량과 동일할 경우, 암호화 해제 상태에 들어가도록 트리거 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동방향이 미리 설정된 기준방향과 동일하고,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하는 턴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동일하고,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과정에서 통과하는 참조점 수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수량과 동일하고, 상기 터치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작조건 및 / 또는 종료조건을 만족할 경우, 암호화 해제 상태에 들어가도록 트리거 하며,
상기 시작조건은 상기 터치신호의 초기위치가 상기 제 1 참조점에 위치하는 것을 가리키며, 상기 종료조건은 상기 터치신호가 상기 턴수를 이동한 후 마지막에 통과하는 참조점이 상기 제 2 참조점 임을 가리킨다.
바람직하게, 스크린에 적어도 하나의 참조점을 표시할 경우,
상기 제 1 이동방향이 미리 설정된 기준방향과 동일하고,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하는 턴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동일할 경우, 암호화 해제 상태에 들어가도록 트리거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동방향이 미리 설정된 기준방향과 동일하고,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하는 턴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동일하고, 또한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과정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참조점 중의 미리 설정된 기준 참조점 전체를 통과할 경우, 암호화 해제 상태에 들어가도록 트리거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과정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참조점 중의 미리 설정된 기준 참조점 전체를 통과하는 단계에 있어서,
터치신호가 이동과정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참조점 중의 미리 설정된 기준 참조점 전체를 통과하고 각 기준 참조점을 통과하는 순서가 미리 설정된 기준 참조점의 배열순서와 동일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크린에 적어도 하나의 참조점을 표시하는 단계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각 참조점의 표시 위치에 따라 스크린에 적어도 하나의 참조점을 표시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크린에 적어도 하나의 참조점을 표시하는 단계에 있어서,
스크린에 적어도 하나의 참조점을 표시하고, 각 참조점의 식별정보를 대응되게 표시한다.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상기 참조점이 제 1 참조점 및 / 또는 제 2 참조점을 포함할 경우,
상기 제 1 이동방향이 미리 설정된 기준방향과 동일하고,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하는 턴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동일하고,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과정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참조점 중의 미리 설정된 기준 참조점을 통과할 경우, 암호화 해제 상태에 들어가도록 트리거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동방향이 미리 설정된 기준방향과 동일하고,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하는 턴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동일하며,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과정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참조점 중의 미리 설정된 기준 참조점 전체를 통과하고, 상기 터치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작조건 및 / 또는 종료조건을 만족할 경우, 암호화 해제 상태에 들어가도록 트리거 하며,
상기 시작조건은 상기 터치신호의 초기위치가 상기 제 1 참조점에 위치하는 것을 가리키며, 상기 종료조건은 상기 터치신호가 상기 턴수를 이동한 후 마지막에 통과하는 참조점이 상기 제 2 참조점 임을 가리킨다.
바람직하게,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하는 턴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동일함에 있어서,
상기 터치신호의 이동궤적이 적어도 하나의 폐쇄된 패턴을 형성하고, 각 폐쇄된 패턴이 연속적인 궤적에 의해 형성되며, 형성한 폐쇄된 패턴의 수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동일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하는 턴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동일함에 있어서,
상기 터치신호의 이동과정에서 각도 변화의 누계치가 미리 설정된 기준각도의 범위내에 있고, 상기 기준각도 범위의 하한값은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원주각의 곱이며, 상기 기준 각도 범위의 상한값은 상기 기준턴수에 1을 더한 값과 원주각의 곱인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크린 위에 제 1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터치신호가 검출될 경우, 제 1 이동방향이 미리 설정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인 기준방향과 동일하고, 터치신호가 이동하는 턴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동일할 경우 암호화 해제 상태에 들어가도록 트리거 한다. 이와 같이, 암호화 해제 슬라이드 궤적이 복잡하여 스크린에 남긴 슬라이드 흔적이 식별될 가능성이 작아지므로, 단말기의 데이터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당업자는, 명세서를 참조하여 여기서 공개한 발명을 실행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방안을 용이하게 생각해낼 수 있다. 본원은, 본 발명의 임의의 변형, 용도 또는 적응적 변화를 포함하고, 이러한 변형, 용도 또는 적응적 변화는, 본 발명의 일반적인 원리에 따르며, 본 명세서에서 공개하지 않은 본 기술분야의 공지상식 또는 관용기술수단을 포함한다. 명세서와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와 취지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 기재되고 도면에 나타낸 구체적인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범위내에서 다양한 수정과 변형을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한된다.

Claims (21)

  1. 스크린위에서 제 1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터치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제 1 이동방향이 미리 설정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인 기준방향과 동일하고,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하는 턴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동일할 경우, 암호화 해제 상태에 들어가도록 트리거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 해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스크린에 적어도 하나의 참조점을 표시할 경우,
    상기 제 1 이동방향이 미리 설정된 기준방향과 동일하고,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하는 턴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동일할 경우, 암호화 해제 상태에 들어가도록 트리거 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동방향이 미리 설정된 기준방향과 동일하고,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하는 턴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동일하고,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과정에서 통과하는 참조점 수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수량과 동일할 경우, 암호화 해제 상태에 들어가도록 트리거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 해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참조점이 제 1 참조점 및 / 또는 제 2 참조점을 포함할 경우,
    상기 제 1 이동방향이 미리 설정된 기준방향과 동일하고,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하는 턴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동일하고,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과정에서 통과하는 참조점 수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 수량과 동일할 경우, 암호화 해제 상태에 들어가도록 트리거 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동방향이 미리 설정된 기준방향과 동일하고,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하는 턴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동일하고,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과정에서 통과하는 참조점 수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수량과 동일하고, 상기 터치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작조건 및 / 또는 종료조건을 만족할 경우, 암호화 해제 상태에 들어가도록 트리거 하며,
    상기 시작조건은 상기 터치신호의 초기위치가 상기 제 1 참조점에 위치하는 것을 가리키며, 상기 종료조건은 상기 터치신호가 상기 턴수를 이동한 후 마지막에 통과하는 참조점이 상기 제 2 참조점 임을 가리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 해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스크린에 적어도 하나의 참조점을 표시할 경우,
    상기 제 1 이동방향이 미리 설정된 기준방향과 동일하고,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하는 턴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동일할 경우, 암호화 해제 상태에 들어가도록 트리거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동방향이 미리 설정된 기준방향과 동일하고,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하는 턴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동일하고, 또한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과정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참조점 중의 미리 설정된 기준 참조점 전체를 통과할 경우, 암호화 해제 상태에 들어가도록 트리거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 해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과정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참조점 중의 미리 설정된 기준 참조점 전체를 통과하는 단계에 있어서,
    터치신호가 이동과정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참조점 중의 미리 설정된 기준 참조점 전체를 통과하고 각 기준 참조점을 통과하는 순서가 미리 설정된 기준 참조점의 배열순서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 해제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에 적어도 하나의 참조점을 표시하는 단계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각 참조점의 표시 위치에 따라 스크린에 적어도 하나의 참조점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 해제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에 적어도 하나의 참조점을 표시하는 단계에 있어서,
    스크린에 적어도 하나의 참조점을 표시하고, 각 참조점의 식별정보를 대응되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 해제 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참조점이 제 1 참조점 및 / 또는 제 2 참조점을 포함할 경우,
    상기 제 1 이동방향이 미리 설정된 기준방향과 동일하고,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하는 턴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동일하고,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과정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참조점 중의 미리 설정된 기준 참조점을 통과할 경우, 암호화 해제 상태에 들어가도록 트리거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동방향이 미리 설정된 기준방향과 동일하고,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하는 턴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동일하며,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과정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참조점 중의 미리 설정된 기준 참조점 전체를 통과하고, 상기 터치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작조건 및 / 또는 종료조건을 만족할 경우, 암호화 해제 상태에 들어가도록 트리거 하며,
    상기 시작조건은 상기 터치신호의 초기위치가 상기 제 1 참조점에 위치하는 것을 가리키며, 상기 종료조건은 상기 터치신호가 상기 턴수를 이동한 후 마지막에 통과하는 참조점이 상기 제 2 참조점 임을 가리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 해제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하는 턴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동일함에 있어서,
    상기 터치신호의 이동궤적이 적어도 하나의 폐쇄된 패턴을 형성하고, 각 폐쇄된 패턴이 연속적인 궤적에 의해 형성되며, 형성한 폐쇄된 패턴의 수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 해제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하는 턴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동일함에 있어서,
    상기 터치신호의 이동과정에서 각도 변화의 누계치가 미리 설정된 기준각도의 범위내에 있고, 상기 기준각도 범위의 하한값은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원주각의 곱이며, 상기 기준각도 범위의 상한값은 상기 기준턴수에 1을 더한 값과 원주각의 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 해제 방법.
  11. 스크린위에서 제 1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터치신호를 검출하는 검출 모듈,
    상기 제 1 이동방향이 미리 설정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인 기준방향과 동일하고,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하는 턴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동일할 경우, 암호화 해제 상태에 들어가도록 트리거하는 트리거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 해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스크린에 적어도 하나의 참조점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구비하며,
    상기 트리거 모듈은
    상기 제 1 이동방향이 미리 설정된 기준방향과 동일하고,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하는 턴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동일하고,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과정에서 통과하는 참조점 수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 수량과 동일할 경우, 암호화 해제 상태에 들어가도록 트리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 해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참조점이 제 1 참조점 및 / 또는 제 2 참조점을 포함할 경우,
    상기 트리거 모듈은
    상기 제 1 이동방향이 미리 설정된 기준방향과 동일하고,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하는 턴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동일하고,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과정에서 통과하는 참조점 수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수량과 동일하고, 상기 터치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작조건 및 / 또는 종료조건을 만족할 경우, 암호화 해제 상태에 들어가도록 트리거하며,
    상기 시작조건은 상기 터치신호의 초기위치가 상기 제 1 참조점에 위치하는 것을 가리키며, 상기 종료조건은 상기 터치신호가 상기 턴수를 이동한 후 마지막에 통과하는 참조점이 상기 제 2 참조점 임을 가리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 해제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스크린에 적어도 하나의 참조점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 모듈은
    상기 제 1 이동방향이 미리 설정된 기준방향과 동일하고,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하는 턴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동일하고, 또한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과정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참조점 중의 미리 설정된 기준 참조점 전체를 통과할 경우, 암호화 해제 상태에 들어가도록 트리거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 해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과정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참조점 중의 미리 설정된 기준 참조점 전체를 통과함에 있어서,
    터치신호가 이동과정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참조점 중의 미리 설정된 기준 참조점 전체를 통과하고 각 기준 참조점을 통과하는 순서가 미리 설정된 기준 참조점의 배열순서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 해제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모듈은
    미리 설정된 각 참조점의 표시 위치에 따라 스크린에 적어도 하나의 참조점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 해제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모듈은
    스크린에 적어도 하나의 참조점을 표시하고, 각 참조점의 식별정보를 대응되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 해제 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참조점이 제 1 참조점 및 / 또는 제 2 참조점이 포함할 경우,
    상기 트리거 모듈은
    상기 제 1 이동방향이 미리 설정된 기준방향과 동일하고,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하는 턴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동일하며,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과정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참조점 중의 미리 설정된 기준 참조점 전체를 통과하고, 상기 터치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작조건 및 / 또는 종료조건을 만족할 경우, 암호화 해제 상태에 들어가도록 트리거 하며,
    상기 시작조건은 상기 터치신호의 초기위치가 상기 제 1 참조점에 위치하는 것을 가리키며, 상기 종료조건은 상기 터치신호가 상기 턴수를 이동한 후 마지막에 통과하는 참조점이 상기 제 2 참조점 임을 가리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 해제 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하는 턴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동일함에 있어서,
    상기 터치신호의 이동궤적이 적어도 하나의 폐쇄된 패턴을 형성하고, 각 폐쇄된 패턴이 연속적인 궤적에 의해 형성되며, 형성한 폐쇄된 패턴의 수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 해제 장치.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하는 턴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동일함에 있어서,
    상기 터치신호의 이동과정에서 각도 변화의 누계치가 미리 설정된 기준각도의 범위내에 있고, 상기 기준각도 범위의 하한값은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원주각의 곱이며, 상기 기준각도 범위의 상한값은 상기 기준턴수에 1을 더한 값과 원주각의 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 해제 장치.
  21. 프로세서와,
    상기 프로세서가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스크린위에서 제 1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터치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제 1 이동방향이 미리 설정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인 기준방향과 동일하고, 상기 터치신호가 이동하는 턴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턴수와 동일할 경우, 암호화 해제 상태에 들어가도록 트리거 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 해제 장치.
KR1020147026685A 2014-03-31 2014-07-24 암호화 해제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201501243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10125595.3A CN103971046B (zh) 2014-03-31 2014-03-31 一种解密的方法和装置
CN201410125595.3 2014-03-31
PCT/CN2014/082905 WO2015149454A1 (zh) 2014-03-31 2014-07-24 一种解密的方法和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4374A true KR20150124374A (ko) 2015-11-05

Family

ID=51240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6685A KR20150124374A (ko) 2014-03-31 2014-07-24 암호화 해제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2927832B1 (ko)
JP (1) JP6039130B2 (ko)
KR (1) KR20150124374A (ko)
CN (1) CN103971046B (ko)
MX (1) MX350288B (ko)
RU (1) RU2623895C1 (ko)
WO (1) WO201514945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4247A (ko) * 2020-06-05 2021-06-21 베이징 바이두 넷컴 사이언스 앤 테크놀로지 코., 엘티디. 제스처 암호에 기반한 잠금 해제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81162B2 (ja) * 2017-06-22 2021-12-1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タッチ操作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タッチ操作装置のロック解錠方法
JP7147309B2 (ja) 2018-07-17 2022-10-05 日本製鉄株式会社 焼結機、及び、焼結機の操業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61145B2 (ja) * 2001-09-19 2009-04-30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EP1742474A1 (fr) * 2005-07-07 2007-01-10 Nagracard S.A. Méthode et dispositif de contrôle d'accès à des données chiffrées
JP5238297B2 (ja) * 2008-03-04 2013-07-17 シャープ株式会社 認証方法および入力装置
US9513704B2 (en) * 2008-03-12 2016-12-06 Immersion Corporation Haptically enabled user interface
KR20100010860A (ko) * 2008-07-23 2010-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이벤트 제어방법
CN102609659A (zh) * 2011-01-21 2012-07-2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密码验证方法
JP5697521B2 (ja) * 2011-04-07 2015-04-08 京セラ株式会社 文字入力装置、文字入力制御方法および文字入力プログラム
WO2013032187A1 (en) * 2011-09-01 2013-03-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for performing screen unlock based on motion and method thereof
WO2013094065A1 (ja) * 2011-12-22 2013-06-27 パイオニア株式会社 判定装置、判定方法及び判定プログラム
CN103218144A (zh) * 2012-01-20 2013-07-24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显示屏状态的控制装置及方法、预设目标点的装置及方法
JP2013152641A (ja) * 2012-01-25 2013-08-08 Panasonic Corp 携帯端末及び表示制御方法
KR101497762B1 (ko) * 2012-02-01 2015-03-05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잠금 해제 방법과, 이를 위한 단말기 및 기록매체
JP5990011B2 (ja) * 2012-02-28 2016-09-07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02662592B (zh) * 2012-04-16 2017-10-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数据输出方法及装置
CN103544426A (zh) * 2012-07-13 2014-01-29 深圳市腾讯计算机系统有限公司 一种触摸屏认证方法、装置及设备
KR101934822B1 (ko) * 2012-09-03 2019-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에서의 잠금 해제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
CN103677602B (zh) * 2012-09-13 2018-10-02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屏幕解锁方法及装置
CN103049182B (zh) * 2012-12-27 2017-09-12 南京中兴软件有限责任公司 屏幕显示界面的解锁方法及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4247A (ko) * 2020-06-05 2021-06-21 베이징 바이두 넷컴 사이언스 앤 테크놀로지 코., 엘티디. 제스처 암호에 기반한 잠금 해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350288B (es) 2017-09-04
EP2927832B1 (en) 2017-06-14
JP6039130B2 (ja) 2016-12-07
MX2014011335A (es) 2016-02-19
RU2623895C1 (ru) 2017-06-29
CN103971046A (zh) 2014-08-06
EP2927832A1 (en) 2015-10-07
WO2015149454A1 (zh) 2015-10-08
JP2016522929A (ja) 2016-08-04
CN103971046B (zh) 2018-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13549B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notification information
EP3089065B1 (en) Method and device for permission management
EP3086539B1 (en) Method and device for deleting smart scene
EP3099040B1 (en) Button operation processing method in single-hand mode,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JP6426755B2 (ja) 操作処理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EP2924552B1 (en)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executing user instructions
US9703479B2 (en) Input method and device using same
CN104318177A (zh) 终端设备中数据的保护方法及装置
EP3447666B1 (en) Processing fingerprint information
EP2940977B1 (en) Method and device for sending information in voice service
CN104156071A (zh) 设置屏幕密码、解锁屏幕的方法及装置
CN105893854B (zh) 加解密方法及装置
CN104036165B (zh) 密码处理方法及装置
WO2018000710A1 (zh) WiFi信号图标的展示方法、装置和移动终端
JP2018148286A (ja) 電子機器及び制御方法
JP6276863B2 (ja) モバイルルータのトラフィック制御方法及び装置
CN104298902B (zh) 一种应用程序的显示方法、装置及设备
WO2018081919A1 (zh) 隐藏应用图标的方法及装置
US9645731B2 (en) Unlocking method and device using same
CN104133637B (zh) 屏幕解锁方法及装置
KR20150124374A (ko) 암호화 해제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CN107423378A (zh) 图片显示方法及装置
EP3249566B1 (en) Method and device for encrypting application
CN106407788A (zh) 一种解锁方法、装置及终端
CN105447358A (zh) 设置密码的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