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2285B1 - 자동 누설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누설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2285B1
KR102412285B1 KR1020210069807A KR20210069807A KR102412285B1 KR 102412285 B1 KR102412285 B1 KR 102412285B1 KR 1020210069807 A KR1020210069807 A KR 1020210069807A KR 20210069807 A KR20210069807 A KR 20210069807A KR 102412285 B1 KR102412285 B1 KR 102412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ion
leak
gas
unit
test o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9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주
Original Assignee
(주)메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카스 filed Critical (주)메카스
Priority to KR1020210069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22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2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2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3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01M3/323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by monitoring the interior space of the containers
    • G01M3/325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by monitoring the interior space of the containers using a flow detec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3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01M3/3209Details, e.g. container closure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누설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누설 검사 대상 제품이 누설 검사 위치로 이송되면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된 다수 개의 포집 노즐이 누설 검사 대상 제품의 위치로 이동되어 용접 부위 주변 공기를 포집함으로써 다수개의 용접 부위에 대해 동시에 검사 수행이 가능하도록 하고, 포집 노즐에 의해 포집된 공기는 누설검출기가 누설량을 측정할 수 있는 정량만을 흡입하고, 나머지는 배출시키는 분리과정을 거침으로써 누설검출기의 검사용량을 고려한 최적의 검출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누설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챔버, 챔버 내부에 구비되고, 누설검사대상체가 챔버 내부로 이송되면 누설검사대상체의 누설이 예상되는 지점으로 이동되어 주변 공기를 흡입하는 포집노즐, 일측단말은 챔버 내부 상단에 고정되고, 타측단말은 포집노즐 가이드프레임과 연결되며, 슬라이드 방식으로 상승 또는 하강운동하며 누설검사대상체와의 간격 및 위치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 외주면에 포집노즐 가이드홀이 다수 개 구비되고, 각 포집노즐 가이드홀 마다 포집노즐이 각 끼움삽입되며, 높이조절수단과 연동되어 상승 또는 하강운동하며 포집노즐과 누설검사대상체 간의 간격을 조절하고 포집위치를 선정하는 포집노즐 가이드프레임을 포함하는 가스포집부; 가스포집부에 의해 포집된 유체를 전달받아 테스트가스를 분리하고, 분리된 테스트가스 중 미세누설측정부에서 검사 가능한 용량만을 남기고 잔여량은 배출하는 검출가스 분리부; 검출가스분리부로부터 분리된 테스트가스를 전달받아 가스량을 측정하는 미세누설측정부를 포함하는 자동 누설 검사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 누설 검사 장치{Automated leak inspection device}
본 발명은 자동 누설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누설 검사 대상 제품이 누설 검사 위치로 이송되면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된 다수 개의 포집 노즐이 누설 검사 대상 제품의 위치로 이동되어 용접 부위 주변 공기를 포집함으로써 다수개의 용접 부위에 대해 동시에 검사 수행이 가능하도록 하고, 포집 노즐에 의해 포집된 공기는 누설검출기가 누설량을 측정할 수 있는 정량만을 흡입하고, 나머지는 배출시키는 분리과정을 거침으로써 누설검출기의 검사용량을 고려한 최적의 검출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누설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냉동 공조 제품의 누설은 주로 용접 부위에서 발생함에 따라 용접 부위의 누설 검사가 요구된다. 예컨대, 에어컨은 최소 200 포인트에서 최대 1000 포인트의 용접 부위가 있고, 냉장고는 평균 100 포인트 이상의 용접 부위가 있다.
기존에 누설 검사 방법에는 수몰검사법, 압력강하법, 스니퍼검사법이 주로 이용된다. 그 중, 스니퍼검사법은 타 검사법에 비해 누설 검출기의 검출력이 가장 우수하나, 스니퍼를 누설 검사 대상 제품에 1~2mm 이내로 위치시키고 수초 이상 검사를 해야한다. 그러나, 배관의 후면부에 누설이 있을 경우 검출이 어렵고, 전체 용접 포인트를 검사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요구된다.
각 제조사 마다 누설 검사를 실시하고 있으나 작업자 숙련도, 컨디션에 따라 검사 결과가 달라지고 있고, 검사 실행 여부 및 검사 결과 확인 방법이 없는 실정이다.
선행기술문헌 : KR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47617호(2019.5.8.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냉동 공조 제품의 누설 검사를 자동으로 실시하여 누설 검출력을 일정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다수의 누설 예상 부위에 대해 동시에 검사가 가능하도록 하여 검출력과 검출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 누설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누설 검사 장치는 챔버, 챔버 내부에 구비되고, 누설검사대상체가 챔버 내부로 이송되면 누설검사대상체의 누설이 예상되는 지점으로 이동되어 주변 공기를 흡입하는 포집노즐, 일측은 챔버 내부 상단에 고정되고, 타측은 포집노즐 가이드프레임과 연결되고, 내부에 구비된 슬라이드바가 인입 및 인출하며 포집노즐 가이드프레임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높이조절수단, 챔버의 일측에서 타측을 가로지르며 한 쌍의 가이드봉이 소정 간격을 두고 나란히 구비되며, 가이드봉을 따라 직선운동하며, 상부에 구비된 높이조절수단을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직선운동구동수단, 외주면에 포집노즐 가이드홀이 다수 개 구비되고, 각 포집노즐 가이드홀 마다 포집노즐이 각 끼움삽입되며, 높이조절수단과 연동되어 상승 또는 하강운동하며 포집노즐과 누설검사대상체 간의 간격을 조절하고 포집위치를 선정하는 포집노즐 가이드프레임을 포함하는 가스포집부; 가스포집부에 의해 포집된 테스트가스를 전달받아 미세누설측정부에서 검사 가능한 용량만을 남기고 잔여량은 배출하는 검출가스 분리부; 검출가스분리부로부터 분리된 테스트가스를 전달받아 가스량을 측정하는 미세누설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포집노즐은 다수 개가 직렬 또는 병렬로 배치되고, 포집노즐 가이드프레임의 포집노즐 가이드홀에 각 끼움삽입되어 누설검사대상체의 누설이 예상되는 다수의 지점에 대해 동시에 포집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누설검사대상체가 컨베이어에 의해 가스포집부 내부로 이송되면 포집노즐이 포집노즐 가이드프레임에 끼움삽입된 상태로 하강운동하며 누설검사대상체의 포집위치로 이동하고, 포집노즐에 의해 누설검사대상체의 포집 작업이 완료되면 다시 포집노즐 가이드프레임이 상승운동하며 누설검사대상체의 포집위치로부터 멀어지고, 누설검사대상체는 컨베이어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며 검출가스분리부로 이송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냉동공조제품을 포함하는 누설검사가 요구되는 제품의 누설 검사 시 전체 검사 과정을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화 방식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 검사의 정확도와 신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누설 검사 대상 제품이 누설 검사 위치로 이송되면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된 다수 개의 포집 노즐이 누설 검사 대상 제품의 위치로 이동되어 용접 부위 주변 공기를 포집함으로써 다수개의 용접 부위에 대해 동시에 검사 수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포집 노즐에 의해 포집된 공기는 누설검출기가 누설량을 측정할 수 있는 정량만을 흡입하고, 나머지는 배출시키는 분리과정을 거침으로써 누설검출기의 검사용량을 고려한 최적의 검출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누설 검사 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누설 검사 장치에서 가스가스포집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누설 검사 장치에서 가스포집부에서 포집후드를 탈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가스포집부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가스포집부의 포집노즐을 확대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누설 검사 장치에서 컨트롤러의 구동제어프로그램을 나타낸 예시화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누설 검사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누설 검사 장치에서 가스가스포집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누설 검사 장치에서 가스포집부에서 포집후드를 탈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가스포집부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가스포집부의 포집노즐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누설 검사 장치에서 컨트롤러의 구동제어프로그램을 나타낸 예시화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누설 검사 장치(1000)는 대용량 누설검지작업, 가스포집작업, 포집된 가스의 분리작업, 미세누설 측정작업을 포함하는 누설검사 전체 과정이 컨트롤러(90)의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화 방식으로 진행되어 검사과정의 정확도 및 신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누설 검사 장치(100)에 의한 작업 과정이 진행되기 전, 먼저 누설검사대상체의 누설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작동유체인 테스트가스를 누설검사대상체 내부에 주입하는 과정이 우선적으로 수반된다. 여기서, 테스트가스는 냉매, 헬륨, 질소와 수소가 혼합된 가스를 포함하는 군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한다.
테스트 가스가 주입된 누설검사대상체는 아래의 대용량 누설검지부(10)로 이송되어 누설 검사를 위한 공정이 시작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누설 검사 장치(100)는 대용량 누설검지부(10), 가스포집부(30), 검출가스분리부(50), 미세누설측정부(70), 및 컨트롤러(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대용량 누설검지부(10)는 가스포집부(30)로 이송되기 전 누설검사대상체의 누설부위가 외관상으로 확인이 가능할 정도로 크거나 많은 누설부위에 대해 사전에 검지한다. 대용량 누설검지부(10)는 가스포집부(30)로 이송되기 전 대용량 누설 검사가 선행되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미세누설검사가 이루어지는 공정 상의 비효율성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대용량누설검지부(10)는 누설검사대상체의 누설이 예상되는 지점의 주변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대용량누설측정부(20)로 전달하여 농도를 측정한다. 측정된 값은 컨트롤러(90)로 전송하여 기 설정된 누설량허용치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누설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대용량누설측정부(20)는 대용량의 제1 펌프(22)와 연결되어 일정량 이상의 테스트 가스를 유입하여 검사할 수 있는 정도의 대량의 검사용량을 가진 측정기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대용량누설검지부(10) 및 대용량누설측정부(20)는 아래에서 서술할 가스포집부(30), 검출가스분리부(50), 미세누설측정부(70)와는 독립된 라인으로 구성되어, 대용량누설검지부(10)에 의해 대량의 누설이 발생된 누설검사대상체에 대해서는 가스포집 및 미세누설측정 작업을 수반하지 않고 불량품을 수거하는 라인으로 이송시켜 회수하도록 한다.
대용량누설검지부(10) 및 미세누설측정부(70)에 의해 각 검출된 데이터는 하나의 컨트롤러(90)로 일괄 전송되어 분석 및 저장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가스포집부(30)는 챔버(32), 포집후드(34), 포집노즐(36), 제2 펌프(38), 포집노즐 가이드프레임(40), 높이조절수단(42), 및 잔여가스배출부(4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챔버(32)는 내부에 가스포집부(3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가 구비되고, 내부 구성부품을 보호한다.
챔버(32)의 상부에는 챔버(32)의 내부 구성요소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밀폐하기 위한 포집후드(34)가 구비된다. 또한, 챔버(32)의 양측면은 개폐수단(33)이 구비되어 누설검사대상체(C)가 가스포집작업을 위해 내부로 직선운동을 하며 이송되거나 내부로부터 인출될 때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한다.
직선운동구동수단(41)은 챔버(32)의 일측에서 타측을 가로지르며 한 쌍의 가이드 봉(43)이 소정 간격을 두고 나란히 구비되며, 가이드 봉(43)을 따라 직선운동하며 상부에 구비된 높이조절수단(42)을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킨다.
높이조절수단(42)은 일측은 챔버(32) 내부 상단에 고정되고, 타측은 포집노즐 가이드프레임(40)과 연결되고, 내부에 구비된 슬라이드바가 인입 및 인출하며 포집노즐 가이드프레임(4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킨다.
높이조절수단(42)은 가이드봉(43)을 따라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직선운동하며 누설검사대상체(C)가 위치한 지점으로 이송되며, 챔버(32)의 내부 하단에 위치한 누설검사대상체(C)의 높이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운동하며 누설검사대상체와의 간격을 조절한다.
가이드봉(43)에 한 쌍의 높이조절수단(42)이 구비되고, 하나의 높이조절수단(42)은 또 다른 높이조절수단(42)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며, 각 높이조절수단(42)은 컨트롤러(90)의 제어신호에 의해 각기 독립적으로 구동된다.
챔버(32)에는 적어도 1 이상의 잔여가스배출부(44)가 구비되어 누설검사대상체의 누설예상부위의 주변 공기를 포집하기 전 잔여가스배출부(44)를 가동시켜 챔버(32) 내부에 잔여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클리닝 작업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로, 잔여가스배출부(44)는 챔버(32)에 흡입노즐(미도시)을 연결시켜 흡입노즐(미도시)에 의해 챔버(32) 내부에 잔여한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킨다. 또 다른 실시예로, 잔여가스배출부(44)는 포집후드(34)의 전 방면을 따라 배기팬이 구비되어 배기팬을 가동시켜 챔버(32) 내부를 환기시키는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포집노즐(36)은 챔버(32)의 내부에 구비되되, 높이조절수단(42)에 연결되어 누설검사대상체가 챔버(32) 내부로 이송되면 누설검사대상체가 위치한 지점으로 이동되어 포집작업을 실시한다.
포집노즐(36)의 일측에는 제2 펌프(38)가 연결되어 제2 펌프(38)가 가동되면 누설검사대상체(C)의 누설이 예상되는 지점의 주변 공기를 흡입한다. 이때, 포집노즐(36)은 누설검사대상체(C)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여 가스포집작업을 실시한다. 여기서, 누설이 예상되는 지점은 누설검사대상체(C)의 용접부위 등에 해당된다.
포집노즐(36)은 다수 개가 직렬 또는 병렬로 배치되고, 포집노즐 가이드프레임(40)의 포집노즐 가이드홀(46)에 각각 끼움삽입되어 누설검사대상체(C)의 누설이 예상되는 다수의 지점에 대해 동시에 포집작업을 수행한다.
포집노즐 가이드프레임(40)은 챔버(32)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되고, 높이조절수단(42)과 연동되어 상승 또는 하강운동을 한다.
포집노즐 가이드프레임(40)의 외주면에는 포집노즐 가이드홀(46)이 다수 개 구비되고, 각 포집노즐 가이드홀(46) 마다 포집노즐(36)이 하나씩 끼움삽입되며, 높이조절수단(42)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운동하며 포집노즐(36)과 누설검사대상체 간의 간격을 조절하고 포집위치를 선정한다.
구체적으로, 누설검사대상체가 컨베이어에 의해 가스포집부(30) 내부로 이송되면 포집노즐(36)이 포집노즐 가이드프레임(40)에 끼움삽입된 상태로 하강운동하며 누설검사대상체의 포집위치로 이동한다. 이후 포집노즐(36)에 의해 누설검사대상체의 포집 작업이 완료되면 다시 포집노즐 가이드프레임(40)이 상승운동하며 누설검사대상체의 포집위치로부터 멀어지고, 누설검사대상체는 컨베이어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며 검출가스분리부(50)로 이송된다.
검출가스분리부(50)는 가스포집부(30)의 포집노즐(36)에 의해 포집된 테스트 가스를 전달받아 일부는 배출하고 일부는 수득한다. 예컨대, 검출가스분리부(50)는 포집된 유체로부터 테스트 가스만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유체 간의 비중 차이를 이용하여 공기와 테스트 가스를 분리하는 과정을 수반할 수 있다.
검출가스분리부(50)는 수득된 테스트가스 중 미세누설측정부(70)에서 검사 가능한 양만을 남기고 나머지는 배출한다. 이는 미세누설측정부(70)의 유량을 고려하여 최적의 검출력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검출가스분리부(50)는 미세누설측정부(70)에서 수용하여 검사할 수 있는 검사 가능한 데이터가 미리 저장되고, 기 저장된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검사 가능한 양 만큼만을 분리하는 작업을 한다.
검출가스분리부(50)에서 미세누설측정부(70)로 테스트 가스가 이동하는 라인 상에는 검출가스분리부(50)로부터 토출되는 토출량을 조절하여 미세누설측정부(70)로 전달하는 토출량조절밸브(미도시)가 구비된다.
미세누설측정부(70)는 검출가스분리부(50)로부터 분리된 테스트 가스를 전달받아 테스트 가스량을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미세누설측정부(70)는 제3 펌프(72)와 연결되고, 제3 펌프(72)의 가동에 의해 검출가스분리부(50)로부터 분리된 테스트 가스를 흡입하여 테스트 가스량을 측정한다.
예컨대, 미세누설측정부(70)는 NDIR(Non-dispersive infrared absorption, 적외선 스펙트럼 감지) 방식, 반도체 방식, 질량 분석 방식을 포함하는 누설 측정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한다.
컨트롤러(90)는 미세누설측정부(70)와 대용량누설측정부(20)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토대로 누설 여부를 판단한다.
컨트롤러(90)는 각 누설검사대상체의 제품마다 누설검출량 허용기준값이 미리 설정되고, 입력된 누설검출량 허용기준값을 기준 데이터로 하여 측정된 데이터의 누설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컨트롤러(90)는 누설검사대상체의 제품정보를 입력처리하면 입력된 제품정보에 대응되는 누설검출량 허용기준값이 자동으로 설정되어 측정된 데이터가 해당 누설검출량 허용기준값이 초과하는 경우에는 누설이라고 판단한다.
예컨대, 측정된 데이터가 누설검출량 허용기준값인 3.5g/year 초과시 누설검사대상체의 누설이 의심된다고 판단하며, 측정된 데이터가 3.5g/year 미만시에는 정상품으로 판단한다.
누설검출량 허용기준값은 각 누설검사대상체의 제품마다 각각 다르게 설정된다. 예컨대, 에어컨의 누설검출량 허용기준값은 15g/year, 냉장고는 3g/year 로 설정된다.
컨트롤러(90)에는 각 구성요소의 작동상태를 모니터링 및 제어하기 위한 구동제어프로그램(100)이 구비된다.
구동제어프로그램(100)은 가스포집부(30)의 포집노즐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동작과 펌프의 동작을 수동으로 제어하는 설비수동조작부(110)가 구비된다.
구동제어프로그램(100)은 대용량누설측정부(20)로부터 측정된 상태를 표시하고, 측정된 값이 기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대용량 누설이 감지되었다고 판단하고 경고알림정보를 출력하는 대용량누설감지알림부(111)가 구비된다. 이때, 대용량 누설이 감지된 누설검사대상체(C)는 가스포집부(30)로 이송되지 않고 별도의 라인을 거쳐 누설검사대상체를 수거하도록 한다.
구동제어프로그램(100)은 누설검사대상체가 인식되면 누설검사대상체로 포집노즐이 이동하여 가스포집작업을 실시하도록 하고, 검출된 가스를 검출가스분리부(50)로 이송시켜 분리작업을 진행하며, 다시, 미세누설측정부(70)로 이송시켜 누설측정을 실시하고, 측정된 값을 수신하여 누설여부를 판단하는 전 과정을 자동화방식으로 진행시키며, 작업진행과정 및 결과를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자동제어부(112)가 구비된다.
구동제어프로그램(100)은 누설검사 대기 중 누설검사대상체의 측정치와 누설검사 중 측정치, 검사 중 최대치, 누설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누설검출량 허용기준값이 실시간 표시되는 실시간 측정값 표시부(113)가 구비된다.
구동제어프로그램(100)은 높이조절수단(42), 다수개의 펌프(22,38,72), 잔여가스배출부(44)를 포함하는 각 설비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설비상태표시부(114)가 구비된다. 예컨대, 설비상태표시부(114)는 높이조절수단(42)이 상승 및 하강한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의 램프로 표시되고, 잔여가스배출부(44) 및 다수의 펌프의 동작 상태에 따라 램프가 점등되어 표시된다.
구동제어프로그램(100)은 각 검사 라인별 측정 변화량을 시각화된 그래프로 표시하는 검사진행과정표시부(115)가 구비된다.
구동제어프로그램(100)은 가스포집과정이 수행되기 전 챔버(32) 내부 공간에 잔여하는 가스를 배출하는 클리닝 작업을 자동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클리닝자동설정부(116)가 구비된다. 상기 클리닝자동설정부(116)는 챔버(32) 내부 공간에 잔여하는 가스를 배출하는 클리닝 가동주기를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설정창(미도시)이 구비된다.
구동제어프로그램(100)에는 누설 검사 이력을 조회하는 기능, 측정시간, 누설판단 기준값을 포함하는 시스템 동작을 설정하는 시스템 동작설정부(117)가 구비된다.
구동제어프로그램(100)에는 최근 누설검사 결과값을 표시하는 누설검사결과표시부(119)가 구비된다.
구동제어프로그램(100)에는 누설 검사 과정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부(120)가 구비된다.
구동제어프로그램(100)에는 상태 표시 화면이 구비된다. 구동제어프로그램(100)은 각 누설검사대상체의 검사 진행 상태를 표시하고, 대용량누설검측상태를 표시하며, 총 검사횟수, 총 제품 수량, 정상품 갯수, 불량품 갯수, 생산효율을 포함하는 전체 검사 현황을 표시하며, 최근 검사 이력을 표시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누설 검사 장치를 이용한 누설 검사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누설검사대상체 내부에 테스트 가스를 주입한다. 여기서, 테스트 가스는 냉매, 헬륨, 질소와 수소가 혼합된 가스를 포함하는 군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한다.
다음, 컨트롤러(90)는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챔버(32)의 잔여가스배출부(44)를 가동시키고 챔버(32) 내부에 잔여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클리닝 작업을 수행한다.
이후, 누설검사대상체에 대해 대용량 누설 검사를 실시한다. 대용량 누설 검사는 가스포집부(30)로 이송되기 전 누설검사대상체의 누설 부위가 외관상으로 확인이 가능할 정도로 크거나 많은 경우 가스포집부(30)로 통과하여 미세누설검사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대량의 누설검사를 실시하고, 컨트롤러(90)로 전송하여 누설여부를 판단한다.
이후, 누설부위가 크거나 많지 않다고 판단된 누설검사대상체에 한하여 가스포집부(30)로 이송된다.
이후, 누설검사대상체가 챔버 내부로 이동되면 다수 개의 포집노즐이 삽입된 포집노즐 가이드프레임이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승강운동하며 누설검사대상체의 누설검사가 이루어질 위치로 이동한다. 이때, 포집노즐은 누설검사대상체의 용접 부위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며, 누설검사대상체의 검사위치로의 이동이 완료되면 누설이 예상되는 지점의 주변의 가스를 포집하기 위한 준비를 실시한다.
이후, 포집노즐(36)과 연결되어 있는 제2 펌프(38)가 작동되며 포집노즐(36)에 의해 누설검사대상체의 용접 부위 주변 공기를 포집하는 작업을 실시한다.
이후, 포집작업이 완료되면 포집된 공기는 검출가스분리부(50)로 이송되어 테스트가스 만을 분리시키고, 분리된 테스트가스를 미세누설측정부(70)에서 검사할 수 있는 정도의 양만을 남기고 나머지는 배출한다.
이후, 검출가스분리부(50)에서 분리된 테스트가스는 미세누설측정부(70)로 전달되어 테스트 가스량 데이터를 측정한다.
이후, 측정된 테스트 가스량 데이터는 유무선통신을 통해 컨트롤러(90)로 전송되어 누설여부를 판단하고, 저장 및 관리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대용량 누설검지부 30 - 가스포집부
32 - 챔버 33 - 개폐수단
34 - 포집후드 36 - 포집노즐
38 - 제2 펌프 40 - 포집노즐 가이드프레임
41 - 직선운동구동수단 42 - 높이조절수단
43 - 가이드봉 44 - 잔여가스배출부
46 - 포집노즐 가이드홀 50 - 검출가스분리부
70 - 미세누설측정부 72 - 제3 펌프
90 - 컨트롤러 100 - 구동제어프로그램

Claims (3)

  1. 적어도 1 이상의 잔여가스배출부가 구비되어 누설검사대상체의 누설예상부위의 주변 공기를 포집하기 전 잔여가스배출부를 가동시켜 챔버 내부에 잔여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클리닝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챔버,
    챔버 내부에 구비되고, 누설검사대상체가 챔버 내부로 이송되면 누설검사대상체의 누설이 예상되는 지점으로 이동되어 주변 공기를 흡입하는 포집노즐,
    일측은 챔버 내부 상단에 고정되고, 타측은 포집노즐 가이드프레임과 연결되고, 내부에 구비된 슬라이드바가 인입 및 인출하며 포집노즐 가이드프레임을 상승또는 하강시키는 높이조절수단,
    챔버의 일측에서 타측을 가로지르며 한 쌍의 가이드봉이 소정 간격을 두고 나란히 구비되며, 가이드봉을 따라 직선운동하며, 상부에 구비된 높이조절수단을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직선운동구동수단,
    외주면에 포집노즐 가이드홀이 다수 개 구비되고, 각 포집노즐 가이드홀 마다 포집노즐이 각 끼움삽입되며, 높이조절수단과 연동되어 상승 또는 하강운동하며포집노즐과 누설검사대상체 간의 간격을 조절하고 포집위치를 선정하는 포집노즐 가이드프레임
    을 포함하는 가스포집부;
    가스포집부에 의해 포집된 테스트가스를 전달받아 미세누설측정부에서 검사가능한 용량만을 남기고 잔여량은 배출하는 검출가스 분리부;
    검출가스분리부로부터 분리된 테스트가스를 전달받아 가스량을 측정하는 미세누설측정부;
    를 포함하고,
    가스포집부의 각 높이조절수단은 컨트롤러의 제어신호에 의해 각기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것
    을 포함하며,
    검출가스분리부는 미세누설측정부에서 수용하여 검사할 수 있는 검사 가능한 데이터가 미리 저장되고, 기 저장된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검사가능한 양 만큼만을 분리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것
    을 포함하고,
    미세누설측정부에 의해 검출된 데이터는 컨트롤러로 일괄 전송되어 분석 및 저장되고, 컨트롤러는 가스포집부의 포집노즐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동작과 펌프의 동작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를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기능, 높이조절수단, 펌프, 잔여가스배출부를 포함하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표시형태로 출력하는 기능, 누설검사대상체의 누설검사과정에서 측정된 측정값이 실시간으로 그래프로 출력시키는 기능이 구비되는 것
    을 포함하고,
    포집노즐은
    다수 개가 직렬 또는 병렬로 배치되고,
    포집노즐 가이드프레임의 다수 개의 포집노즐 가이드홀 마다 하나씩 장착되고,
    누설검사대상체의 누설이 예상되는 다수의 지점에 대해 동시에 포집작업을 수행하는 것
    을 포함하며,
    누설검사대상체가 컨베이어에 의해 가스포집부 내부로 이송되면 포집노즐이 포집노즐 가이드프레임에 끼움삽입된 상태로 하강운동하며 누설검사대상체의 포집위치로 이동하고,
    포집노즐에 의해 누설검사대상체의 포집 작업이 완료되면 다시 포집노즐 가이드프레임이 상승운동하며 누설검사대상체의 포집위치로부터 멀어지고, 누설검사대상체는 컨베이어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며 검출가스분리부로 이송되는 것
    을 포함하고,
    검출가스분리부에서 미세누설측정부로 테스트가스가 이동하는 라인 상에는 검출가스분리부로부터 토출되는 토출량을 조절하여 미세누설측정부로 전달하는 토출량조절밸브가 구비되는 것
    을 포함하는 자동 누설 검사 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10069807A 2021-05-31 2021-05-31 자동 누설 검사 장치 KR102412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807A KR102412285B1 (ko) 2021-05-31 2021-05-31 자동 누설 검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807A KR102412285B1 (ko) 2021-05-31 2021-05-31 자동 누설 검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2285B1 true KR102412285B1 (ko) 2022-06-23

Family

ID=82222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9807A KR102412285B1 (ko) 2021-05-31 2021-05-31 자동 누설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228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6930A (ja) * 2001-09-28 2003-04-09 Shimadzu System Solutions Co Ltd リーク検出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6930A (ja) * 2001-09-28 2003-04-09 Shimadzu System Solutions Co Ltd リーク検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5254B1 (ko) 흡입된 샘플링 시스템에 대한 개선
KR100326126B1 (ko) 공기조화기의 성능검사방법
JP4783425B2 (ja) 吸い込み漏洩検知器
CN103149345B (zh) 一种油中溶解气体智能组件的检验方法及装置
CN206208858U (zh) 多通道快速换气的双泵式气体检测装置
US11300472B2 (en) Installation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locating a leak in a fluid transport circuit, notably of an aircraft
US10423153B2 (en) Online monitoring system for laminated glass vacuum production line
KR20150047097A (ko) 오염도 측정을 위한 멀티 샘플링 포트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KR102412285B1 (ko) 자동 누설 검사 장치
KR101727540B1 (ko) 냉매 정제, 회수, 누설검사, 및 주입 통합장치
CN111051841B (zh) 泄漏检查装置及泄漏检查方法
JPS58500672A (ja) 漏れ検出方法及び装置
KR102412280B1 (ko) 자동 누설 검사 시스템
KR100849399B1 (ko) 단일 가스감지기를 이용한 복수 구역 가스 누출 감지시스템
US2018009501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Pollution Location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JP5355199B2 (ja) 気密試験装置及び気密試験方法
KR101717943B1 (ko) 원자력 시설 기밀도 시험장치
EP0379946B1 (en) Nuclear fuel rod helium leak inspection apparatus and method
JP2015210149A (ja) ガスセンサ性能検査方法
CN115684497A (zh) 炉气监测系统和方法
KR20060124087A (ko) 파이프 누설 검사장치
JP6185280B2 (ja) クリーンブースにおけるエアフィルタの自動リーク試験システムを用いたリーク試験方法
US20050109050A1 (en) Refrigerant charge level determination
JP2013019868A (ja) ガス式漏洩検査方法
KR101121821B1 (ko) 백필터 소손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