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1394B1 - 통신 시스템에서의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에서의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1394B1
KR102411394B1 KR1020210034729A KR20210034729A KR102411394B1 KR 102411394 B1 KR102411394 B1 KR 102411394B1 KR 1020210034729 A KR1020210034729 A KR 1020210034729A KR 20210034729 A KR20210034729 A KR 20210034729A KR 102411394 B1 KR102411394 B1 KR 102411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information
communication
additional
comb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4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인선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챕터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챕터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챕터투
Priority to KR1020210034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13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1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1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4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 H04M3/541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based on information specified by the calling party
    • G06Q50/3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17Customized ring-back t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8Arrangements for placing incoming calls on hold
    • H04M3/4285Notifying, informing or entertaining a held party while on hold, e.g. Music On 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는 통신사 시스템에서의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에 대한 식별정보와, 각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에 대한 설정정보와 실행조건정보를 포함하는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정보를 고객식별정보에 대응되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외부로부터 착발신번호를 포함하는 서비스 조회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착 또는 발신번호에 따르는 고객식별정보에 대응되게 저장된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독출하고, 독출한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정보의 실행조건정보들 중 상기 착 또는 발신번호 및 현재시각 중 하나 이상에 부합되는 실행조건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실행조건정보에 대응되게 저장된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 식별정보와 설정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실행정보를 생성하여 반환하는 조합서비스 시스템; 클라이언트 단말기; 및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호가 발생되면, 착발신번호를 포함하는 서비스 조회정보를 상기 조합서비스 시스템으로 제공하고, 상기 조합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서비스 실행정보가 반환되면, 해당 착 또는 발신번호에 따르는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상기 서비스 설정정보에 따르는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사 시스템;을 구비하며, 상기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는 호전환 서비스, 통화연결음 서비스, ARS 서비스, 메시징 서비스 중 어느 하나 이상임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통신 시스템에서의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ssembly service of adaptive call forwarding service in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통신사 시스템의 부가서비스 제공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신사 시스템이 제공하는 다양한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를 조합하여 고객 자신이 원하는 새로운 형태의 적응적 호전환 서비스로 확장 사용되게 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유무선 단말기의 높은 보급률과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해 고객은 언제 어디서든지 원하는 상대방에게 통화를 시도할 수 있고, 음성 통화 서비스뿐만 아니라 무선 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서비스 등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더불어 통신사는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개발하여 고객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 주려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부가서비스로는 크게 발신형 부가서비스와 착신형 부가서비스로 나눌 수 있다. 상기 발신형 부가서비스에는 발신자 애칭 표시 서비스, 발신번호 표시 제한 서비스 등이 있으며, 착신형 부가서비스에는 발신자 위치 확인 서비스, 발신번호 표시 서비스, 발신번호 메모 서비스, 수신전 확인 서비스, 익명호 수신 거부 서비스, 일시 착신 금지 서비스 등이 있다.
상기한 부가서비스의 이용 또는 해지방법으로는 고객이 직접 대리점을 방문하여 소정의 신청서를 작성하여 부가서비스 이용 또는 해지신청하거나, 유무선통신을 이용하여 고객 센터에 전화를 걸어서 부가서비스 이용 또는 해지신청하거나, 유무선 인터넷을 이용하여 이동통신사에서 제공되는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부가서비스 이용 또는 해지신청하는 것 등이 있었다.
이러한 부가서비스의 이용 또는 해지과정을 간소화하기 위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청에 특허등록된 제10-0754456호가 있다. 상기 특허등록된 기술은 부가서비스 관리 서버에서 고객에 의해 설정된 부가서비스 변경 기간 및 부가서비스 변경 정보를 저장하고, 특정 주기 간격으로 부가서비스 변경 기간을 체크하여 부가서비스 변경 기간이 시작되면 부가서비스를 변경하는 부가서비스 변경 메시지를 HLR로 전송하며, 부가서비스 변경 기간이 종료되면 변경된 부가서비스를 재변경하는 부가서비스 재변경 메시지를 HLR로 전송하고, HLR은 부가서비스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부가서비스 변경 메시지 및 부가서비스 재변경 메시지에 따라 부가서비스를 변경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의 특허등록된 기술은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부가서비스의 변경기간 정보에 따라 부가서비스의 이용 또는 해지를 자동으로 변경하여 고객의 편이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기술은 단지 단일 항목의 부가서비스에 대한 이용 또는 해지를 자동으로 변경하는 것에 지나지 않았다. 이에 종래에는 통신사 시스템이 제공하는 다양한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를 조합하여 고객 자신이 원하는 새로운 형태의 호전환 서비스로 확장 사용되게 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754456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70074910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30025991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50119764호
본 발명은 통신사 시스템이 제공하는 다양한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를 조합하여 고객 자신이 원하는 새로운 형태의 적응적 호전환 서비스로 확장 사용되게 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통신사 시스템에서의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에 대한 식별정보와, 각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에 대한 설정정보와 실행조건정보를 포함하는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정보를 고객식별정보에 대응되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외부로부터 착발신번호를 포함하는 서비스 조회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착 또는 발신번호에 따르는 고객식별정보에 대응되게 저장된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독출하고, 독출한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정보의 실행조건정보들 중 상기 착 또는 발신번호 및 현재시각 중 하나 이상에 부합되는 실행조건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실행조건정보에 대응되게 저장된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 식별정보와 설정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실행정보를 생성하여 반환하는 조합서비스 시스템; 클라이언트 단말기; 및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호가 발생되면, 착발신번호를 포함하는 서비스 조회정보를 상기 조합서비스 시스템으로 제공하고, 상기 조합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서비스 실행정보가 반환되면, 해당 착 또는 발신번호에 따르는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상기 서비스 설정정보에 따르는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사 시스템;을 구비하며, 상기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는 호전환 서비스, 통화연결음 서비스, ARS 서비스, 메시징 서비스 중 어느 하나 이상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통신사 시스템이 제공하는 다양한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를 조합하여 고객 자신이 원하는 새로운 형태의 적응적 호전환 서비스로 확장 사용되게 하여 고객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효과를 야기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통신사 시스템에서의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통신사 시스템에서의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제공을 위한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통신사 시스템에서의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구성방법의 절차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통신사 시스템에서의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제공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통신사 시스템에서의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통신사 시스템이 제공하는 다양한 통신 및 부가서비스를 조합하여 고객 자신이 원하는 새로운 형태의 적응적 호전환 서비스로 확장 사용되게 하여 고객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르는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는 통신사 시스템이 제공하는 다양한 형태의 통신 및 부가서비스들 중 하나이상을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구성한 것이며, 각 부가서비스들은 미리 정해둔 실행조건에 따라 실행되도록 미리 결정된다.
상기한 본 발명은 고객의 요청에 따라 다수의 통신 및 부가서비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조합하고 각 부가서비스에 대한 실행조건을 설정하는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구성과정과, 상기 구성된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를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해 고객에게 제공하는 조합서비스 제공과정으로 나눌 수 있다.
이제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통신사 시스템에서의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통신사 시스템에서의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통신사 시스템에서의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통신사 시스템에서의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조합서비스 시스템(100)과 통신사 시스템(200)과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3001~300N,4001~400M)로 구성된다.
상기 조합서비스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조합서비스 구성기능과 조합서비스 제공기능을 제공한다.
상기의 조합서비스 구성을 위해, 상기 조합서비스 시스템(100)은 네트워크(웹)를 통해 접속한 클라이언트 단말기들 중 어느 하나(3001~300N)로 통신사 시스템(200)이 제공하는 다양한 통신 및 부가서비스들 및 각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해 설정가능한 설정정보들과 선택가능한 실행조건정보들을 안내하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하나 이상의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에 대한 식별정보와 각 부가서비스에 대한 설정정보와 실행조건정보를 포함하는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정보를 제공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실행조건은 착발신번호이거나 시간 등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부가서비스는 호전환, 통화연결음 서비스, ARS 서비스, 메시징 서비스 등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합서비스 제공을 위해, 상기 조합서비스 시스템(100)은 통신사 시스템(200)으로부터 착발신번호에 대응되는 고객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부가서비스 조회정보가 제공되면, 해당 고객식별정보에 대응되게 저장된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독출하고, 상기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정보에 포함된 실행조건들 중 착발신번호, 현재시각 등에 부합되는 실행조건을 검출하고, 그 검출한 실행조건에 따르는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를 착 또는 발신번호의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제공하도록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 식별정보 및 설정정보를 포함하는 부가서비스 실행정보를 통신사 시스템(200)으로 반환한다.
또한 상기 조합서비스 시스템(100)은 상기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정보를 시스템 언어의 형태로 변환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였다가 통신사 시스템(200)으로 반환하여, 통신사 시스템(200)에 의한 서비스 처리과정을 간소화함과 아울러 처리속도를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조합서비스 시스템(100)은 상기 통신사 시스템(200)으로부터 고객등록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고객정보에 대응되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고객등록정보를 이용하여 발신자가 상기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정보에 포함된 실행조건정보를 충족하는지 여부의 판단시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객등록정보는 고객의 전화번호부 정보 또는 위치정보, 스케줄 정보 등이 포함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조합서비스 시스템(100)은 서비스 서버(102)와 연동서버(104)와 데이터베이스(106)로 구성된다.
상기 서비스 서버(102)는 네트워크(웹)를 통해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3001~300N)와 연결되어, 어느 한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해 접속한 고객에게 본 발명에 따르는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구성 기능을 제공한다.
좀 더 설명하면, 상기 서비스 서버(102)는 어느 한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해 접속한 고객에게 통신사 시스템(200)이 제공하는 다양한 통신 및 부가서비스들 및 각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해 설정가능한 설정정보들과 선택가능한 실행조건정보들을 안내함과 아울러, 고객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에 대한 식별정보와 각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에 대한 설정정보 및 실행조건정보를 포함하는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106)에 저장한다. 특히 상기 고객으로부터의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정보는 고객 언어로 기술된 제1형태의 부가서비스 조합정보이다.
상기 연동 서버(10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조합서비스 시스템(100)과 통신사 시스템(200)사이의 연동을 담당한다.
이러한 연동 서버(104)는 상기 제1형태의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정보를 통신사 시스템(200)에서 처리가능한 형태인 제2형태의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정보로 변형하여 데이터베이스(106)에 저장한다. 즉 전화번호부의 [아들]로 기록된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번호는 [010-1234-5678] 등의 통신사 시스템이 이해할 수 있는 정보로 변환되어 기록된다.
또한 상기 연동 서버(104)는 통신사 시스템(200)의 부가서비스 관리서버(202)로부터 착발신번호에 대응되는 고객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조회정보가 제공되면, 해당 고객식별정보에 대응되게 저장된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독출하고, 상기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정보에 포함된 실행조건들 중 착발신번호, 현재시각 등에 부합되는 실행조건을 검출하고, 그 검출한 실행조건정보에 따르는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를 착 또는 발신번호의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제공하도록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 식별정보 및 설정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실행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사 시스템(200)의 부가서비스 관리시스템(202)으로 반환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106)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통신사 시스템의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로 구성된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제공을 위한 데이터들이 저장된다.
도 2는 상기 데이터베이스(106)에 저장되는 데이터들을 예시한 도면으로, 실제의 데이터베이스 구성시에는 예시와는 달리 물리적으로 다수개인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106)에 저장되는 데이터들은 적응적 호전환 서비스 안내정보, 고객정보, 제1형태의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정보, 제2형태의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적응적 호전환 서비스 안내정보는 적응적 호전환 서비스로 구성할 수 있는 다양한 통신 및 부가서비스들 각각에 대한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 식별정보,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 안내정보,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 실행시 설정가능한 항목들에 대한 안내정보, 선택가능한 실행조건정보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객정보는 고객식별정보와 고객등록정보, 하나 이상의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식별정보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객식별정보는 전화번호 등이 채용될 수 있으며, 상기 고객등록정보는 해당 고객의 전화번호부 정보, 위치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정보는 고객 언어로 기술된 제1형태의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정보와 시스템 언어로 기술된 제2형태의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정보로 구성된다. 상기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정보는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식별정보, 해당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정보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 식별정보와 각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 실행조건정보와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 설정정보와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 연계정보로 구성된다.
. 여기서, 본 발명을 위해 선택 가능한 부가서비스로는 통화연결음 서비스, ARS, 착발신번호로의 메시징 서비스, 착발신자번호 변경표시, 착신거부해제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위해 선택 가능한 부가서비스로는 호전환 서비스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행조건정보로는 시간 또는 착 또는 발신번호, 위치정보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설정가능한 항목으로는 호연결 번호정보, 통화연결음 서비스 설정정보, ARS 설정정보, 메시징 설정정보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 연계정보는 해당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의 제공후에 연계되어 제공할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에 대한 식별정보로 구성된다.
상기 통신사 시스템(200)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호가 발생되면, 착발신번호를 포함하는 서비스 조회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조합서비스 시스템(100)으로 제공하고, 상기 조합서비스 시스템(100)으로부터 서비스 실행정보가 제공되면, 해당 착 또는 발신번호에 대한 고객식별정보에 따르는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상기 서비스 실행정보에 따르는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제공되는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는 통화연결음 서비스 또는 ARS, 호전환, 메시징, 착발신자 번호 변경표시, 착신거부해제 등이 될 수 있다.
상기한 통신사 시스템(200)은 부가서비스 관리 시스템(202)과 교환기 시스템들(2041~204L)과 가입자 및 부가서비스정보 관리 시스템(206)과 부가서비스 서버(208)와 고객등록정보 관리서버(500)로 구성된다.
상기 교환기 시스템들(2041~204L)은 전화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4001~400M)로의 호 처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의 호처리시마다 상기 교환기 시스템들(2041~204L)은 상기 가입자 및 부가서비스 관리 시스템(206)으로 착발신 가입자에 대한 조합서비스 이용여부를 질의하고, 그에 따른 응답에 따라 부가서비스 관리 시스템(202)으로 해당 착발신 가입자에 대한 조합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처리를 요청한다.
상기 부가서비스 관리 시스템(202)은 상기 교환기 시스템들(2041~204L) 중 어느 하나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서비스 조회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연동 서버(104)로 전송하고, 상기 연동 서버(104)로부터 서비스 실행정보가 반환되면, 상기 서비스 실행정보에 포함된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 식별정보와 설정정보에 따라 착신 또는 발신고객의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해당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교환기 시스템(204) 및 부가서비스 서버(208)로 요청한다. 상기 부가서비스 조회정보에는 착발신번호가 포함된다. 이러한 부가서비스 관리 시스템(202)의 상용화된 시스템으로는 TIIS 등이 있다.
상기의 예에서는 교환기 시스템이 부가서비스 관리 시스템(202)으로 서비스 조회정보를 제공하는 것만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교환기 시스템이 직접 서비스 조회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는 본 발명에 의해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상기 고객등록정보 관리서버(500)는 고객이 등록한 전화번호부 정보, 스케쥴 정보, 위치정보 등의 고객등록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며, 상기 고객등록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102)로 제공하여 데이터베이스(106)에 해당 고객의 정보가 갱신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고객등록정보 관리서버(500)의 상용화된 기능으로는 T 전화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통신사 시스템(200)이 조합 서비스 시스템(100)으로 고객등록정보를 제공하는 것만을 예시하였으나, 조합 서비스 시스템(100)이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전화번호부 정보, 스케쥴 정보, 위치정보 등을 제공받아 고객등록정보를 별도관리할 수도 있다.
상기 가입자 및 부가서비스정보 관리 시스템(206)은 가입자별 부가서비스 이용정보를 기록하여, 상기 교환기 시스템들(2041~204L)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제공되는 착발신정보에 따르는 조합서비스 제공여부를 판별하여 조합서비스 이용여부정보를 해당 교환기 시스템으로 반환하고, 조합서비스 이용여부정보를 제공받은 교환기 시스템은 해당 조합서비스 이용여부정보에 따라 상기 부가서비스 관리 시스템(202)으로 조합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서비스 조회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의 가입자 및 부가서비스정보 관리 시스템(206)은 HSS, TAS, TIIS 등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교환기 시스템과 가입자 및 부가서비스 관리 시스템(206)과 부가서비스 관리 시스템(202)을 이용하여 착발신고객에 대한 부가서비스 제공여부 및 서비스 실행여부를 판별하여, 착발신고객 중 하나 이상에게 미리 설정해둔 조합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통신사 시스템(200)의 구성에 따라 교환기 시스템이 독립적으로 착발신고객에 대한 부가서비스 제공여부 및 서비스 실행여부를 판별하여, 착발신고객 중 하나 이상에게 미리 설정해둔 조합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환기 시스템(204)은 상기 서비스 실행정보에 따라 착발신 가입자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러한 통신 서비스로는 착신전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부가서비스 서버(208)는 상기 교환기 시스템들(2041~204L) 중 어느 하나로부터의 요청에 따른 부가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한 부가서비스 서버(208)는 통화연결음 서비스 또는 ARS, 메시징, 착반신자번호 변경표시, 착신거부해제 등의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며, 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제 상기한 통신사 시스템의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적용가능한 서비스 제공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통신사 시스템에서의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구성방법의 절차>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통신사 시스템에서의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제공방법의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3001~300N) 중 어느 하나는 서비스 서버(102)에 접속하여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안내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700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서비스 서버(102)로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안내정보를 요청하면, 상기 서비스 서버(102)는 미리 데이터베이스(106)에 저장해둔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안내정보를 독출하여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전송한다(702단계). 상기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안내정보는 통신사 시스템(200)이 제공하는 다양한 통신 및 부가서비스들 및 각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해 설정가능한 설정정보들과 선택가능한 실행조건정보들로 구성된다. 상기 부가서비스는 통화연결음 서비스 또는 ARS, 메시징, 착반신자번호 변경표시, 착신거부해제 서비스 등이 될 수 있고, 상기 통신서비스는 호전환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안내정보를 수신한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상기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안내정보를 표시하여 고객에게 안내한다(704단계).
상기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안내정보에 따라 고객은 통신사 시스템(200)이 제공하는 다양한 통신 및 부가서비스들 및 각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해 설정가능한 설정정보들과 선택가능한 실행조건정보들을 안내받아, 하나 이상의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를 선택함과 아울러 각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의 설정정보, 실행조건들을 선택하여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들의 조합을 이행할 수 있다. 예를들어, 학교의 특정반에 부여한 전화번호로의 호 발생시, 오전 9시에서 10시에 걸려오는 전화는 교무실이나 행정실 전화번호로 호전환하도록 설정하고, 오전 11시에서 12시에 걸려오는 전화는 교사의 핸드폰으로 호전환하고, 오후 6시 이후에는 당직실 전화번호로 호전환하도록 설정하고, 교사의 핸드폰이 아닌 번호로 호전환할시에는 교사에게 호전환을 통지하는 메시지를 발송하도록 설정하는 것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객이 조합한 하나 이상의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와 각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에 대한 설정정보와 실행조건을 선택적으로 조합하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고객의 입력에 따라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정보를 생성한다(706단계). 상기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정보는 고객식별정보, 하나 이상의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 식별정보, 각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설정정보, 실행조건정보들, 통신 또는 서비스 연계정보들로 구성된다. 상기 고객식별정보는 고객의 전화번호 등이 될 수 있고, 서비스 식별정보는 서비스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 서비스명이 될 수 있고, 상기 설정정보는 서비스 실행시에 필요한 설정정보, 예를들어 호연결 번호정보, 통화연결음 서비스 설정정보, ARS 설정정보, 메시징 설정정보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 연계정보는 해당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의 제공후에 연계되어 제공할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에 대한 식별정보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 실행조건정보로는 시간, 또는 착 또는 발신번호, 위치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상기한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상기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정보를 서비스 서버(102)로 전송한다(708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102)는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정보를 제1형태로 데이터베이스(106)에 제공함과 아울러 상기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정보를 연동서버(104)에 제공한다(716,718단계).
상기 연동서버(104)는 상기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정보를 제2형태로 변환하여 데이터베이스(106)에 저장한다(720단계).
<통신사 시스템에서의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제공과정의 절차>
이제 상기한 바와 같이 저장된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정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제공과정을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화통신망을 통해 통신사 시스템(200)과 연결된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대한 발호가 요청되면(800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다수의 교환기 시스템(2041~204L) 중 하나와 발호에 대한 신호처리를 이행하며(802단계), 상기 교환기 시스템은 상기 발호에 따른 착발신번호를 가입자 및 부가서비스정보 관리 시스템(206)으로 제공하여 조합서비스의 이용여부에 대한 조회를 요청한다(804단계). 상기 가입자 및 부가서비스정보 관리 시스템(206)은 착발신고객에 대한 조합서비스 이용여부를 조회하고 그 조회결과를 교환기 시스템으로 반환한다(806단계).
상기 교환기 시스템은 상기 조회결과가 상기 착발신고객에 대해 조합서비스 이용을 지시하면(808단계), 부가서비스 관리 시스템(202)으로 서비스 조회정보를 전송한다(812단계). 상기 서비스 조회정보에는 착발신번호가 포함된다. 상기한 바와 달리 상기 조회결과가 조합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이 아닌 것을 지시하면, 일반적인 통화를 위한 호처리를 이행하거나 일반적인 부가서비스 제공을 이행한다(810단계).
상기 서비스 조회요청을 받은 상기 부가서비스 관리 시스템(202)은 연동서버(104)로 서비스 조회정보를 전송한다(814단계). 상기 서비스 조회정보를 제공받은 상기 연동서버(104)는 착 또는 발신번호에 대응되는 고객식별정보에 대응되게 저장된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정보가 데이터베이스(106)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체크하고(816단계), 상기 착 또는 발신고객에 대한 고객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정보가 있으면, 상기 연동서버(104)는 상기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06)에서 독출하고(818단계), 상기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정보에 포함된 실행조건정보들 중 착 또는 발신번호, 현재시각 등에 부합되는 실행조건정보가 있는지를 체크한다(820단계).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정보에 포함된 실행조건정보들 중 착 또는 발신번호, 현재시각 등에 부합되는 실행조건이 있으면, 상기 연동서버(104)는 해당 실행조건정보에 대응되는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에 대해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 식별정보 및 설정정보로 구성되는 서비스 실행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부가서비스 관리 시스템(202)으로 반환하며, 부가서비스 관리 시스템(202)은 상기 서비스 실행정보를 상기 교환기 시스템으로 전송한다(822,824단계).
상기 교환기 시스템은 상기 서비스 실행정보에 따라 적응적 호전환 서비스 서버(208)와 착 또는 발신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연결하여, 착 또는 발신고객에게 부가서비스 실행정보에 따른 부가서비스가 제공하거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826,828단계).
또한 상기 교환기 시스템은 상기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가 제공되면, 서비스 실행결과정보를 부가서비스 관리 시스템(202)을 통해 연동서버(104)로 전송하며(830,832단계), 연동서버(104)는 상기 서비스 실행결과정보가 수신되면 서비스 실행정보에 대응되는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에 대해 부가서비스 연계정보가 기록되어 있는지를 체크한다. 상기 부가서비스 연계정보가 있으면, 상기 연동서버(104)는 상기 822단계로 복귀하여 해당 부가서비스 연계정보에 기록된 부가서비스를 연이어 제공되게 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달리 착발신정보에 대응되는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거나, 상기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정보에 포함된 실행조건정보들 중 착발신번호, 현재시각 등에 부합되는 실행조건정보가 없으면, 상기 연동서버(104)는 부가서비스 관리 시스템(202)에 조합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음을 통지한다(850단계). 상기 부가서비스 관리 시스템(202)은 상기 조합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음이 통지되면, 교환기 시스템(204)으로 일반 호처리 또는 일반 부가서비스 제공을 요청한다(852단계). 상기 교환기 시스템(204)은 상기 부가서비스 관리 시스템(202)의 요청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의 호발생에 따른 일반 호처리를 이행하거나 일반 부가서비스 제공을 이행한다(854단계).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통신사 시스템이 제공하는 다양한 통신 및 부가서비스를 조합하여 고객 자신이 원하는 새로운 형태의 적응적 호전환 서비스로 확장 사용되게 하여 고객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다.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구성예>
이제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를 구성하여 새로운 형태의 부가서비스를 창출한 예를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업무상태와 업무시간에 따라 적응적으로 호전환을 이행하는 적응적 호전환서비스>
업무의 형태와 직업의 다양성을 이유로 업무시간내에서도 전화응대가 어려운 직종이 다수 존재하였다. 이러한 직종으로는 교사 등이 대표적이다. 핸드폰의 사용이 보편화되어 언제 어디서든 통화가 가능해짐에 따라 수업중에 교사에게 오는 경우가 빈번하였으며 이는 교사의 업무를 방해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수업중인 학습자들에게도 피해는 주는 이유가 되었다.
이러한 문제에 따라 고객은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안내정보를 참고하여 자신에게 특화된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를 구성할 수 있다.
도 6은 상기의 고객의 필요에 따라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를 구성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고객은 착신번호가 제1번호(교사)이면(900단계), 현재시각이 업무시간인지를 체크하고(902단계), 업무시간이 아니면 당직실 전화번호로 호전환을 이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904단계). 이러한 호전환후에 고객은 호전환 사실을 통지하는 메시징 서비스를 연계 서비스로 등록할 수 있다(906,908단계).
이와 달리 현재시각이 업무시간이면, 업무시간 중 수업/회의시간이지를 체크하고(910단계), 교무실/행정실 전화번호로의 호전환을 이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912단계). 이러한 호전환후에 고객은 호전환 사실을 통지하는 메시징 서비스를 연계 서비스로 등록할 수 있다(914,916단계).
이와 달리 현재시각이 업무시간이며 수업/회의시간이 아니면 제1번호로의 호연결을 이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918단계).
이러한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를 위해 고객은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정보를 구성하며, 상기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정보는 교사의 제1번호인 고객식별정보에 대응되게 저장되며, 제1 내지 제3서비스에 대한 정보가 기록된다.
상기 제1서비스에 대한 정보는 호전환 서비스 식별정보 / 호전환번호 : 당직실전화번호 / 실행조건 :오후6시~ 오전9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정보에 기록된다.
상기 제2서비스에 대한 정보는 호전환 서비스 식별정보 / 호전환번호 : 교무실/행정실전화번호 / 실행조건 :오전9시~10시, 오후2시~오후3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정보에 기록된다.
상기 제3서비스에 대한 정보는 메시징 부가서비스 식별정보 / 메시지정보 : 수업중 또는 근무시간이외의 시간에 010-1234-1234로부터 전화가 왔습니다. / 실행조건 : 호전환서비스 실행결과정보 수신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정보에 기록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정보를 구성하여 저장하는 것만으로 본 발명은 교사의 핸드폰으로 걸려오는 전화가 수업중인 경우에는 교무실/행정실로 호전환하고 근무시간이 아니는 경우에는 당직실로 호전환되게 하여 교사의 업무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함과 아울러, 긴급 연락 등이 차단되는 경우를 최소화하기 위해 호전환 사실을 해당 교사의 핸드폰으로 통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고객이 업무 담당자와 개인연락처로 직접 연락하지 않게 하는 적응적 호전환 서비스 >
업무의 형태와 직업의 다양성을 이유로 고객과 업무 담당자가 개인연락처로 직접 연락하여 여러 문제를 발생하고 있다. 예를 들어 보험 판매원이나 자동차 딜러의 경우 기업의 고객을 업무 담당자 개인의 고객으로 관리하여 이직 등의 이슈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기업의 고객을 새로운 회사로 이동시키고 있다.
이에 기업의 경우에는 고객이 업무 담당자에게 직접 연결하는 고리를 끊어 고객의 이동을 제한시키는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를 구성할 수 있다.
도 7은 상기의 고객의 필요에 따라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를 구성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착신번호가 제2번호(기업대표번호)이면(940단계), 발신번호가 제3번호(고객)인지를 체크한다(94단계). 상기 발신번호가 제3번호(고객)이면, 상기 발신번호에 대응되게 설정된 직원이 존재하는지를 체크한다.
상기 발신번호에 대응되게 설정된 직원이 존재하면, 해당 직원의 전화번호로 호를 전환하며, 호전환시 표시되는 발신번호는 기업의 대표번호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발신번호에 대응되게 설정된 직원이 존재하지 않으면 임의로 선택된 새로운 직원의 전화번호로 호를 전환하며, 호전화시 표시되는 발신번호는 기업의 대표번호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달리 상기 착신번호가 4번호(직원)이면, 기업의 대표번호인 제2번호로 호전환을 이행한다.
이로서 고객이 기업의 대표전화 또는 직원의 개인번호로 전화를 걸어도 직원의 경우에는 기업의 대표전화로 표기된 전화만 받을 수 있게 되어 직원이 고객을 개인적으로 관리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를 위해 기업고객은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정보를 구성하며, 상기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정보는 제2번호인 대표번호, 제4번호들인 직원들의 전화번호들 각각인 고객식별정보에 대응되게 저장되며, 제1 내지 제3서비스에 대한 정보가 기록된다.
상기 제1서비스에 대한 정보는 호전환 서비스 및 발신정보표시 부가서비스 식별정보 / 호전환번호 : 고객번호에 대응되게 설정된 제4번호들 중 하나 / 발신정보표시 : 대표번호/ 실행조건 : 고객번호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정보에 기록된다.
상기 제2서비스에 대한 정보는 호전환 서비스 및 발신번호표시 부가서비스 식별정보 / 호전환번호 : 임의 결정된 제4번호들 중 하나 / 발신정보: 대표번호 / 실행조건 : 고객번호에 대응되게 설정된 제4번호가 없는 경우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정보에 기록된다.
상기 제3서비스에 대한 정보는 호전환 서비스 식별정보 / 호전환번호 : 대표번호 / 실행조건 : 제4번호들 중 하나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정보에 기록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정보를 구성하여 저장하는 것만으로 본 발명은 기업의 대표번호로 걸려온 고객의 전화를 해당 직원의 개인번호로 호전환하면서 직원의 핸드폰으로는 기업의 대표번호를 표시하고, 직원의 개인번호로 걸려온 고객의 전화는 기업의 대표번호로 호전환하여 직원의 보직변경이나 이동에 무관하게 고객에는 기업서비스를 제공함과 아울러 고객정보의 보안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선택적 수신거부 해제-금융기관/관공서>
광고전화의 폭발적 증가로 인해 고객은 기업에서 주로 사용하는 전화번호 예를들어 070-으로 시작되는 전화번호나 광고가 보내졌던 전화번호를 차단하는 경우가 보편적이다. 그러나 금융기관이나 관공서 등에서 인증요청이나 고지사항안내 등을 이유로 전화를 거는 경우에도 해당 전화가 차단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
이에 특정 기관에서 발호된 호에 대해서는 선택적 수신거부 해제가 요구되었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고객은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를 구성하여 효과적인 선택적 수신거부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먼저 발신번호가 제5번호, 즉 미리 등록해둔 번호인지를 체크한다(960단계). 상기 발신번호가 제5번호이면, 상기 발신번호가 미리 정해둔 수신거부조건에 부합되는지를 체크한다(962단계). 예를들면 070번호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발신번호가 미리 정해둔 수신거부조건에 부합되면, 해당 번호에 대한 수신거부를 해제하고 호를 연결한다(964단계). 이와 달리 상기 발신번호가 미리 정해둔 수신거부조건에 부합되지 않으면 호를 연결한다(966단계).
이러한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를 위해 고객은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정보를 구성하며, 상기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정보는 해당 호전환 조합서비스 정보를 구성하는 고객의 고객식별정보에 대응되게 저장되며, 제1서비스에 대한 정보가 기록된다.
상기 제1서비스에 대한 정보는 수신거부해제 서비스 식별정보 / 수신거부해제 : 제5번호 / 실행조건 :발신번호가 제5번호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정보에 기록된다. 상기 제5번호는 금융기관/관공서 등 미리 정해진 전화번호 열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통신사 시스템이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부가서비스를 조합하여 새로운 형태의 서비스로 확장 사용될 수 있게 하여, 고객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으며, 부가서비스의 활용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통신사가 제공하는 부가서비스만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만을 예시하였으나, 웹 또는 독립적으로 수행되는 휴대 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을 조합하여 조합서비스를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는 본 발명에 의해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100 : 조합서비스 시스템
102 : 서비스 서버
104 : 연동서버
106 : 데이터베이스

Claims (13)

  1. 통신사 시스템에서의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에 대한 식별정보와, 각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에 대한 설정정보와 실행조건정보와 연계정보를 포함하는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정보를 고객식별정보에 대응되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외부로부터 착발신번호를 포함하는 서비스 조회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착 또는 발신번호에 따르는 고객식별정보에 대응되게 저장된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독출하고, 독출한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정보의 실행조건정보들 중 상기 착 또는 발신번호 및 현재시각 중 하나 이상에 부합되는 실행조건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실행조건정보에 대응되게 저장된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 식별정보와 설정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실행정보를 생성하여 외부로 제공하고,
    상기 서비스 실행정보를 제공한 후에, 상기 서비스 실행정보를 제공한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연계정보가 상기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정보에 포함되어 있으면, 외부로부터 서비스 실행결과정보가 수신될 때까지 대기하다가 상기 서비스 실행결과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연계정보에 따르는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 식별정보와 설정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실행정보를 생성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조합서비스 시스템;
    클라이언트 단말기; 및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호가 발생되면, 고객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착발신번호를 포함하는 서비스 조회정보를 상기 조합서비스 시스템으로 제공하고,
    상기 조합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서비스 실행정보가 제공될 때마다, 해당 착 또는 발신번호에 따르는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상기 서비스 실행정보에 따르는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를 제공함과 아울러 서비스 실행결과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조합서비스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통신사 시스템;을 구비하며,
    상기 조합서비스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통신사 시스템이 제공하는 다수의 통신 및 부가서비스 및 각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에 대한 설정정보, 각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에 대해 선택가능한 실행조건정보에 대한 안내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하나 이상의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에 대한 식별정보와, 각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에 대한 설정정보와 실행조건정보와 연계하여 제공될 통신 또는 부가 서비스에 대한 연계정보를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구성한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상기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는 호전환 서비스, 통화연결음 서비스, ARS 서비스 및 메시징 서비스 중 어느 하나 이상이며,
    상기 실행조건정보는 미리 정해둔 시간정보, 미리 정해둔 착신번호 및 미리 정해둔 발신번호 중 하나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사 시스템에서의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서비스 시스템이,
    상기 통신사 시스템으로부터 고객등록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고객식별정보에 대응되게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상기 실행조건정보에는 상기 고객등록정보가 더 포함되며,
    상기 고객등록정보는 고객전화번호들 및 직원전화번호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사 시스템에서의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삭제
  5. 통신사 시스템의 부가서비스로 구성된 조합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조합서비스 시스템이,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통신사 시스템이 제공하는 다수의 통신 및 부가서비스, 각 통신 또는 부가 서비스에 대한 설정정보 및 각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에 대해 선택가능한 실행조건정보에 대한 안내정보를 제공하여 고객에게 안내하는 단계;
    상기 조합서비스 시스템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하나 이상의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에 대한 식별정보와, 각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에 대한 설정정보와 실행조건정보와 연계하여 제공될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에 대한 연계정보를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구성한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정보를 제공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통신사 시스템이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호가 발생되면, 고객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착발신번호를 포함하는 서비스 조회정보를 상기 조합서비스 시스템으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조합서비스 시스템이, 상기 통신사 시스템으로부터 착발신번호를 포함하는 서비스 조회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착 또는 발신번호에 따르는 고객식별정보에 대응되게 저장된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독출하고, 독출한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정보의 실행조건정보들 중 상기 착 또는 발신번호 및 현재시각 중 하나 이상에 부합되는 실행조건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실행조건정보에 대응되게 저장된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 식별정보와 설정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실행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사 시스템으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통신사 시스템이, 상기 조합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서비스 실행정보가 제공될때마다, 해당 발신번호에 따르는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상기 서비스 실행정보에 따르는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를 제공함과 아울러 서비스 실행결과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조합서비스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조합서비스 시스템이, 상기 서비스 실행정보를 제공한 후에, 상기 서비스 실행정보를 제공한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연계정보가 상기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정보에 포함되어 있으면, 외부로부터 서비스 실행결과정보가 수신될 때까지 대기하다가 상기 서비스 실행결과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연계정보에 따르는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 식별정보와 설정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실행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는 호전환 서비스, 통화연결음 서비스, ARS 서비스 및 메시징 서비스 중 어느 하나 이상이며,
    상기 실행조건정보는 미리 정해둔 시간정보, 미리 정해둔 착신번호 및 미리 정해둔 발신번호 중 하나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사 시스템에서의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제공 방법.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서비스 시스템이,
    상기 외부로부터 고객등록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고객식별정보에 대응되게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며,
    상기 실행조건정보에는 상기 고객등록정보가 더 포함되며,
    상기 고객등록정보는 고객전화번호들 및 직원전화번호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사 시스템에서의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제공 방법.
  8. 삭제
  9. 조합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
    하나 이상의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에 대한 식별정보와, 각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에 대한 설정정보와 실행조건정보와 연계정보를 포함하는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정보를 고객식별정보에 대응되게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서비스 서버; 및
    외부로부터 착발신번호를 포함하는 서비스 조회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착 또는 발신번호에 따르는 고객식별정보에 대응되게 저장된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독출하고, 독출한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정보의 실행조건정보들 중 상기 착 또는 발신번호 및 현재시각 중 하나 이상에 부합되는 실행조건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실행조건정보에 대응되게 저장된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 식별정보와 설정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실행정보를 생성하여 외부로 제공하고,
    상기 서비스 실행정보를 제공한 후에, 상기 서비스 실행정보를 제공한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연계정보가 상기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정보에 포함되어 있으면, 외부로부터 서비스 실행결과정보가 수신될 때까지 대기하다가 상기 서비스 실행결과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연계정보에 따르는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 식별정보와 설정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실행정보를 생성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연동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통신사 시스템이 제공하는 다수의 통신 및 부가서비스 및 각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에 대한 설정정보, 각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에 대해 선택가능한 실행조건정보에 대한 안내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하나 이상의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에 대한 식별정보와, 각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에 대한 설정정보와 실행조건정보와 연계하여 제공될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에 대한 연계정보를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구성한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상기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는 호전환 서비스, 통화연결음 서비스, ARS 서비스 및 메시징 서비스 중 어느 하나 이상이며,
    상기 실행조건정보는 미리 정해둔 시간정보, 미리 정해둔 발신번호 중 하나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서비스 시스템.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서버가,
    상기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정보를 시스템 언어의 형태로 변환하여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서비스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외부로부터 고객등록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고객식별정보에 대응되게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상기 실행조건정보에는 상기 고객등록정보가 더 포함되며,
    상기 고객등록정보는 고객전화번호들 및 직원전화번호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서비스 시스템.
  13. 삭제
KR1020210034729A 2021-03-17 2021-03-17 통신 시스템에서의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2411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729A KR102411394B1 (ko) 2021-03-17 2021-03-17 통신 시스템에서의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729A KR102411394B1 (ko) 2021-03-17 2021-03-17 통신 시스템에서의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1394B1 true KR102411394B1 (ko) 2022-06-22

Family

ID=82216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4729A KR102411394B1 (ko) 2021-03-17 2021-03-17 통신 시스템에서의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1394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5991A (ko) 2001-09-24 2003-03-3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부가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28540A (ko) * 2003-03-24 2003-04-08 주식회사 스파이어테크놀로지 국제 로밍 전화 착신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50119764A (ko) 2004-06-17 2005-12-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통화연결음 서비스 제공상태에서 발신자 요청에 의한음원정보 제공방법
KR20060041433A (ko) * 2004-11-08 2006-05-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추가 통화 연결음을 이용한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KR20070074910A (ko) 2006-01-11 2007-07-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의 부가서비스 제어방법
KR100754456B1 (ko) 2006-07-19 2007-09-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설정된 기간 동안 부가 서비스를변경하는 방법과 그를 수행하는 부가 서비스 관리 서버 및시스템
KR20100025947A (ko) * 2008-08-28 2010-03-10 주식회사 케이티 부가 서비스 기능의 활성화 여부에 따른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통화 호를 처리하는 이동통신 단말, 이동통신 시스템, 상태 정보 관리 방법 및 통화 호 처리 방법
KR20200001854A (ko) * 2018-06-28 2020-01-07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통화 연결음 음원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5991A (ko) 2001-09-24 2003-03-3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부가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28540A (ko) * 2003-03-24 2003-04-08 주식회사 스파이어테크놀로지 국제 로밍 전화 착신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50119764A (ko) 2004-06-17 2005-12-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통화연결음 서비스 제공상태에서 발신자 요청에 의한음원정보 제공방법
KR20060041433A (ko) * 2004-11-08 2006-05-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추가 통화 연결음을 이용한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KR20070074910A (ko) 2006-01-11 2007-07-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의 부가서비스 제어방법
KR100754456B1 (ko) 2006-07-19 2007-09-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설정된 기간 동안 부가 서비스를변경하는 방법과 그를 수행하는 부가 서비스 관리 서버 및시스템
KR20100025947A (ko) * 2008-08-28 2010-03-10 주식회사 케이티 부가 서비스 기능의 활성화 여부에 따른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통화 호를 처리하는 이동통신 단말, 이동통신 시스템, 상태 정보 관리 방법 및 통화 호 처리 방법
KR20200001854A (ko) * 2018-06-28 2020-01-07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통화 연결음 음원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031096A1 (en) Command synchronization method and system
CN101124809A (zh) 管理跨网络电信服务的无线装置
CN101809981A (zh) 入局呼叫识别及管理
US6934369B2 (en) White and yellow page multimedia service
US621238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pdating network routing using integrated internet/two-way paging
US20090202058A1 (en) Telephonic automated action system
KR102411394B1 (ko) 통신 시스템에서의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US894836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nswering services
JP2010507333A (ja) 着信拒否を伴う電話通信規則の違反に対する自動的苦情登録
CN101595716A (zh) 经由单个呼叫将紧急消息发送到多个接受者
KR102445838B1 (ko) 통신 시스템에서의 능동적 통화연결음 조합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US2015030450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nswering services
KR102445833B1 (ko) 통신사 시스템의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로 구성된 조합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0707064B1 (ko) 안부전화 알림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20032460A (ko) 단전문 및 자동응답을 이용한 음성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00060028A (ko) 지능망에서의 그룹단위 번호통합 서비스 방법
JP4628902B2 (ja) 電話通信システム
WO2019045000A1 (ja) ソーシャル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ソーシャル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用プログラム
KR102275569B1 (ko) 사용자 중심의 통신 서비스를 위한 통신장비 설정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97297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발신자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1400056B (zh) 高安全性的手机系统和信息系统
KR100933871B1 (ko) 착신 제어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의 착신제어 방법
KR20010099095A (ko) 통합메세징시스템의 이메일주소록검색방법
CN101883188B (zh) 在移动通信中构成用于多种通信的统一信道的方法和装置
JP3494262B2 (ja) 着信呼の呼び返し制御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