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4910A - 이동통신 단말의 부가서비스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의 부가서비스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4910A
KR20070074910A KR1020060003031A KR20060003031A KR20070074910A KR 20070074910 A KR20070074910 A KR 20070074910A KR 1020060003031 A KR1020060003031 A KR 1020060003031A KR 20060003031 A KR20060003031 A KR 20060003031A KR 20070074910 A KR20070074910 A KR 200700749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itional service
service control
telephone number
control code
predetermined tele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3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3659B1 (ko
Inventor
박중건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3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3659B1/ko
Publication of KR20070074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4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3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3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73Details
    • B65H35/0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cutting devices
    • B65H35/008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cutting devices using movable cutt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2Hand-held or table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1Cutting handled material transversally to feeding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3Details of cutting means
    • B65H2301/51532Blade cutter, e.g. single blade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4Cutting handled material from hand-held or table dispen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 B65H2701/377Adhesive tape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의 부가서비스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착신번호이력 확인 후나 전화번호부의 전화번호를 불러온 후 부가서비스 제어번호를 추가하여 발신하면 단말기에서 부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부가서비스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이동전화망에서의 부가서비스 사용의 편리성을 높여 사용자에 의한 부가서비스의 이용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 부가서비스, 부가서비스 제어번호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의 부가서비스 제어방법{METHOD OF CONTROLLING SUPPLEMENTARY SERVICE OF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의 부가서비스 제어방법의 흐름도.
도 2는 발착신이력이나 전화번호부를 이용하여 번호를 선택한 후에 제공되는 부가서비스 메뉴화면예.
도 3은 추가 부가서비스 제어번호 다운로드, 부가서비스 제어번호 편집 등을 위하여 제공되는 메뉴화면예.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의 부가서비스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착신번호이력 확인후나 전화번호부의 전화번호를 불러온 후 부가서비스 제어번호FC(Feature Code)를 추가하여 발신하면 단말기에서 부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부가서비스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동통신 단말에서의 부가서비스 제어 방법은 부가서비스 제어번호(FC:Feature Code)를 착신번호(TA:Termination Address) 앞에 입력하는 방식으로, 예를 들어 발신번호표시를 금지시키는 경우에는 *23#0103331111를 입력하고 센드키 를 누르면 발신번호표시가 금지된다. 여기서 *23은 부가서비스 제어번호이고 0103331111은 착신번호를 나타낸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부가서비스 제어방법에서는 발착신번호이력 확인후나 전화번호부를 이용하여 부가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번호를 확인한 후에 다시 다이얼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예를 들면, 착신된 번호나 전화번호부에 기재된 번호에 대하여 발신번호표시를 금지시키기 위해서는 해당 착신번호 혹은 전화번호부상의 번호를 일일히 기억한 상태에서 부가서비스 제어번호를 입력한 후에 입력하여야 하기 때문에, 많은 번거로움이 있어 부가서비스의 이용이 적극적으로 행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발착신번호이력 확인 후나 전화번호부의 전화번호를 불러온 후 FC를 추가하여 발신하면 단말기에서 부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부가서비스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의 부가서비스 제어방법은 소정의 전화번호를 직접 입력하기 이전에, 혹은 전화번호부에서 상기 소정의 전화번호를 찾기 이전에, 혹은 발착신 이력에서 상기 소정의 전화번호를 선택하기 이전에 부가서비스 제어코드를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의 전화번호에 상기 부가서비스 제어코드가 추가되어 발신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의 부가서비스 제어방법은 소정의 전화번호를 직접 입력한 후, 혹은 전화번호부에서 상기 소정의 전화번호를 찾은 후, 혹은 발착신 이력에서 상기 소정의 전화번호를 선택한 후에 부가서비스 제어코드를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의 전화번호에 상기 부가서비스 제어코드가 추가되어 발신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의 부가서비스 제어방법은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부가서비스 제어코드는 사용자에 의해 직접 입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의 부가서비스 제어방법은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부가서비스 제어코드는 부가서비스 메뉴선택을 통해 입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의 부가서비스 제어방법은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부가서비스 메뉴의 부가서비스명은 상기 부가서비스 제어코드와 관련지어 있으며, 상기 부가서비스 제어코드는 상기 부가서비스명과 관련지어 사용자의 의해 편집가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의 부가서비스 제어방법은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부가서비스 제어코드는 이동통신사 서버로부터 추가로 다운로드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7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의 부가서비스 제어방법은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부가서비스 제어코드는 이동통신사 서버로부터 자동적으로 업그레이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의 부가서비스 제어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의 부가서비스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발착신이력이나 전화번호부를 이용하여 번호를 선택한 후에 제공되는 부가서비스 메뉴화면예이다. 또한, 도 3은 추가 부가서비스 제어번호 다운로드, 부가서비스 제어번호 편집 등을 위하여 제공되는 메뉴화면예이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도시하지 않음)은 발착신 이력과, 전화번호부 등이 제공되며, 부가서비스 제공메뉴에서 소정의 부가서비스를 선택하여 해당 발착신번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 단말에서는 부가서비스의 FC가 추가되면 이를 자동적으로 부가서비스로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에 제공되는 부가서비스 제공메뉴는 단말 제조시 탑재될 수 있으며, 탑재되지 않은 다양한 부가서비스는 이동통신사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단말을 이용하여 발착신 이력 확인후나 전화번호부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소정의 부가서비스를 선택하여 전송하기만 하면 된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부가서비스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사용자가 발신시 발착신 이력 확인후나 전화번호부를 이용하여 소정의 번호를 선택하면(S100), 다양한 부가서비스 메뉴화면이 제공된다(S200).
이 메뉴 화면이 도 2에 예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각종 부가서비스에 넘버링이 되어 있어 사용자가 이용하기 용이하다. 여기서, 각 부가서비스에는 부가서비스 제어번호(코드)와 함께 그 부가서비스명이 관련지어져 있다.
또한, 이들 부가서비스는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해당 부가서비스의 부가서비스 제어번호를 편집하거나 혹은 추가 부가서비스 제어번호를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메뉴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는 부가서비스는 앞번호의 부가서비스, 예를 들어 도 2에서 부가서비스 1부터 차례로 할당할 수 있으며, 추가로 부가서비스 제어번호가 필요한 경우에는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은 메뉴화면을 통해 이동통신사 서버로부터 부가서비스 제어번호를 추가로 다운로드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부가서비스 제어번호는 이동통신사 서버로부터 주기적으로 자동적으로 업그레이드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다수의 부가서비스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부가서비스를 선택하면(S300), 해당 부가서비스 제어번호와 함께 발신된다(S400).
따라서, 부가서비스의 제어가 단순하여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는 부가서비스를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부가서비스 제어방법의 변형예로서 발신시 발착신이력을 확인한 후나 전화번호부를 이용하여 번호를 선택한 후에 FC를 추가하여 발신하는 경우에 단말에서는 등록된 FC가 번호 뒤에 추가되어 있는 경우에 FC를 앞으로 이동하여 발신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0103331111*23로 발신하는 경우에 단말에서는 FC를 앞으로 이동하여 즉, *23#0103331111로 발신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FC를 뒤에 입력하였지만 실제적으로 단말에서는 FC를 앞으로 이동시켜 발신하기 때문에 전화번호를 일일히 기억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다른 변형예로서, 음성으로 다이얼하는 경우 음성과 부가서비스를 등록한 후에 예를 들어 "우리집"에 이어 "발신번호표시 금지"하고 말하면 단말에서는 FC+TA로 발신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특정방향을 인식하는 단말의 경우 번호를 입력하고 예를 들어 우상에서 하좌의 사선방향으로 단말기를 빠르게 이동시키면 특정 부가서비스가 동작하여 발신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특정 지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GPS 단말의 경우 부가서비스를 동작하도록 하는 방법으로서 GPS로 주기적으로 위치를 파악하다가 예를 들어 사무실 부근에 진입하면 사무실 유선전화로 착신전환이 되도록 예약/스케줄링 기능으로 부가서비스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렇게 본 발명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어방법에서는 다양한 방식으로 FC를 추가함으로써 사용자는 부가서비스 이용시 전화번호를 일일히 기억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상술한 방법을 종합해 보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즉, 소정의 전화번호를 직접 입력하기 이전에, 혹은 전화번호부에서 상기 소정의 전화번호를 찾기 이전에, 혹은 발착신 이력에서 상기 소정의 전화번호를 선택하기 이전에 부가서비스 제어코드를 입력하면, 상기 소정의 전화번호에 상기 부가서비스 제어코드가 추가되어 발신된다.
또한, 다른 변형예로서, 소정의 전화번호를 직접 입력한 후, 혹은 전화번호부에서 상기 소정의 전화번호를 찾은 후, 혹은 발착신 이력에서 상기 소정의 전화번호를 선택한 후에 부가서비스 제어코드를 입력하면, 상기 소정의 전화번호에 상기 부가서비스 제어코드가 추가되어 발신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가서비스 제어코드는 사용자에 의해 직접 입력되거나 혹은 부가서비스 메뉴선택을 통해 입력된 것이다.
본 발명이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특별히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거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발착신번호이력 확인후나 전화번호부의 전화번호를 불러온 후 FC를 추가하여 발신하면 단말기에서 부가서비스를 제공함으 로써, 이동전화망에서의 부가서비스 사용의 편리성을 높여 사용자에 의한 부가서비스의 이용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Claims (7)

  1. 소정의 전화번호를 직접 입력하기 이전에, 혹은 전화번호부에서 상기 소정의 전화번호를 찾기 이전에, 혹은 발착신 이력에서 상기 소정의 전화번호를 선택하기 이전에 부가서비스 제어코드를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의 전화번호에 상기 부가서비스 제어코드가 추가되어 발신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부가서비스 제어방법.
  2. 소정의 전화번호를 직접 입력한 후, 혹은 전화번호부에서 상기 소정의 전화번호를 찾은 후, 혹은 발착신 이력에서 상기 소정의 전화번호를 선택한 후에 부가서비스 제어코드를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의 전화번호에 상기 부가서비스 제어코드가 추가되어 발신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부가서비스 제어방법.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서비스 제어코드는 사용자에 의해 직접 입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부가서비스 제어방법.
  4.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서비스 제어코드는 부가서비스 메뉴선택을 통해 입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부가서비스 제어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서비스 메뉴의 부가서비스명은 상기 부가서비스 제어코드와 관련지어 있으며, 상기 부가서비스 제어코드는 상기 부가서비스명과 관련지어 사용자의 의해 편집가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부가서비스 제어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서비스 제어코드는 이동통신사 서버로부터 추가로 다운로드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부가서비스 제어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서비스 제어코드는 이동통신사 서버로부터 자동적으로 업그레이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부가서비스 제어방법.
KR1020060003031A 2006-01-11 2006-01-11 이동통신 단말의 부가서비스 제어방법 KR100753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3031A KR100753659B1 (ko) 2006-01-11 2006-01-11 이동통신 단말의 부가서비스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3031A KR100753659B1 (ko) 2006-01-11 2006-01-11 이동통신 단말의 부가서비스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4910A true KR20070074910A (ko) 2007-07-18
KR100753659B1 KR100753659B1 (ko) 2007-08-31

Family

ID=38500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3031A KR100753659B1 (ko) 2006-01-11 2006-01-11 이동통신 단말의 부가서비스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365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1394B1 (ko) 2021-03-17 2022-06-22 주식회사 챕터투 통신 시스템에서의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2445833B1 (ko) 2021-03-17 2022-09-21 주식회사 챕터투 통신사 시스템의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로 구성된 조합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2445838B1 (ko) 2021-03-17 2022-09-21 주식회사 챕터투 통신 시스템에서의 능동적 통화연결음 조합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8806B1 (ko) * 1999-12-30 2007-07-12 주식회사 케이티 전전자교환기에서 발신자정보표시금지를 위한 번호처리 방법
KR100456001B1 (ko) * 2002-11-15 2004-11-08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휴대폰에서 발신자번호표시를 제한하기 위한 자동다이얼링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1394B1 (ko) 2021-03-17 2022-06-22 주식회사 챕터투 통신 시스템에서의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2445833B1 (ko) 2021-03-17 2022-09-21 주식회사 챕터투 통신사 시스템의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로 구성된 조합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2445838B1 (ko) 2021-03-17 2022-09-21 주식회사 챕터투 통신 시스템에서의 능동적 통화연결음 조합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3659B1 (ko) 2007-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85744B2 (en) Cellular phone and a base station thereof
CN101836427A (zh) 用于车辆的免提设备
JP2003333165A (ja) 国際ダイヤル操作機能付き移動端末、国際ダイヤルプログラム、及び、国際ダイヤルシステム
EP1099332B1 (en) Outgoing telephone line preselection based on dialed number
KR20060049620A (ko) 커스터마이징된 착신호 전환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KR100753659B1 (ko) 이동통신 단말의 부가서비스 제어방법
US20070105537A1 (en) Network support for remote caller ID information
JP4499166B2 (ja) 加入者識別符号通知装置
KR100370108B1 (ko) 전화기의 발신 제한 방법
KR100371486B1 (ko)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2008258785A (ja) 関連電話番号表示機能を有する電話システム
KR100456001B1 (ko) 휴대폰에서 발신자번호표시를 제한하기 위한 자동다이얼링방법
KR100428481B1 (ko) 액정표시장치가 장착된 자동 접속 다이얼 전화기의 선로설정 방법
US7801524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ignaling system thereof
KR100636320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전화번호 자동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0711910B1 (ko) 유선 전화기를 위한 발신자 애칭 표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803695B1 (ko)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7274644A (ja) 通信端末及び携帯通信端末
CN100448241C (zh) 一种发出一双音多频声的便携式通信装置及其发声方法
KR100522119B1 (ko) 유선 멀티번호 시스템 및 접속방법
JP2005159799A (ja) 携帯端末
KR20040076514A (ko) 서비스 제공자 변경과 무관하게 전화번호 유지 서비스를제공할 수 있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0887732B1 (ko) Wcdma 이동통신망에서 그룹내 단축번호를 이용한 통화연결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040067673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내역 관리 방법
KR20080056048A (ko) 유선 전화기로 통화 수행을 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통화서비스 전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