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5833B1 - 통신사 시스템의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로 구성된 조합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신사 시스템의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로 구성된 조합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5833B1
KR102445833B1 KR1020210034706A KR20210034706A KR102445833B1 KR 102445833 B1 KR102445833 B1 KR 102445833B1 KR 1020210034706 A KR1020210034706 A KR 1020210034706A KR 20210034706 A KR20210034706 A KR 20210034706A KR 102445833 B1 KR102445833 B1 KR 102445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ervice
communication
combination
addi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4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인선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챕터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챕터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챕터투
Priority to KR1020210034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58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5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5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87Arrangements for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s, e.g. recorded voice services or time announcements
    • H04M3/493Interactive information services, e.g. directory enquiries ; Arrangements therefor, e.g. interactive voice response [IVR] systems or voice portals
    • H04M3/4931Directory assistance systems
    • G06Q50/3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85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102Making use of the called party identif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4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 H04M3/541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based on information specified by the calling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xchange Systems With Centralized Control (AREA)
  • Meter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는 통신사 시스템의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로 구성된 조합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에 대한 식별정보와, 각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에 대한 설정정보와 실행조건정보를 포함하는 조합서비스 정보를 고객식별정보에 대응되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외부로부터 착발신정보에 따르는 고객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조회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착발신정보에 따르는 고객식별정보에 대응되게 저장된 조합서비스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독출하고, 조합서비스 정보에 따르는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 식별정보와 설정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실행정보를 반환하는 조합서비스 시스템; 클라이언트 단말기; 및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호가 발생되면, 착발신정보에 대한 고객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조회정보를 상기 조합서비스 시스템으로 제공하고, 상기 조합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서비스 실행정보가 반환되면, 상기 서비스 실행정보에 따르는 상기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 설정정보에 따르는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를 상기 착발신정보에 따르는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제공하는 통신사 시스템;을 구비하며, 상기 부가서비스는 착발신고객 중 하나 이상의 고객에게 제공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통신사 시스템의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로 구성된 조합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ssembly service of communication or additional service in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통신사 시스템의 부가서비스 제공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신사 시스템이 제공하는 다양한 형태의 통신 또는 부가 서비스들과 실행조건들을 조합하여 고객 자신이 원하는 새로운 형태의 조합서비스를 창출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통신사 시스템의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로 구성된 조합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유무선 단말기의 높은 보급률과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해 고객는 언제 어디서든지 원하는 상대방에게 통화를 시도할 수 있고, 음성 통화 서비스뿐만 아니라 무선 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서비스 등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더불어 통신사는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개발하여 고객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 주려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부가서비스로는 크게 발신형 부가서비스와 착신형 부가서비스로 나눌 수 있다. 상기 발신형 부가서비스에는 발신자 애칭 표시 서비스, 발신번호 표시 제한 서비스 등이 있으며, 착신형 부가서비스에는 발신자 위치 확인 서비스, 발신번호 표시 서비스, 발신번호 메모 서비스, 수신전 확인 서비스, 익명호 수신 거부 서비스, 일시 착신 금지 서비스 등이 있다.
상기한 부가서비스의 이용 또는 해지방법으로는 고객가 직접 대리점을 방문하여 소정의 신청서를 작성하여 부가서비스 이용 또는 해지신청하거나, 유무선통신을 이용하여 고객 센터에 전화를 걸어서 부가서비스 이용 또는 해지신청하거나, 유무선 인터넷을 이용하여 이동통신사에서 제공되는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부가서비스 이용 또는 해지신청하는 것 등이 있었다.
이러한 부가서비스의 이용 또는 해지과정을 간소화하기 위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청에 특허등록된 제10-0754456호가 있다. 상기 특허등록된 기술은 부가서비스 관리 서버에서 고객에 의해 설정된 부가서비스 변경 기간 및 부가서비스 변경 정보를 저장하고, 특정 주기 간격으로 부가서비스 변경 기간을 체크하여 부가서비스 변경 기간이 시작되면 부가서비스를 변경하는 부가서비스 변경 메시지를 HLR로 전송하며, 부가서비스 변경 기간이 종료되면 변경된 부가서비스를 재변경하는 부가서비스 재변경 메시지를 HLR로 전송하고, HLR은 부가서비스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부가서비스 변경 메시지 및 부가서비스 재변경 메시지에 따라 부가서비스를 변경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의 특허등록된 기술은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부가서비스의 변경기간 정보에 따라 부가서비스의 이용 또는 해지를 자동으로 변경하여 고객의 편이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기술은 단지 단일 항목의 부가서비스에 대한 이용 또는 해지를 자동으로 변경하는 것에 지나지 않아, 고객의 요청에 따라 통신사 시스템이 제공하는 다양한 형태의 통신 또는 부가 서비스들과 실행조건들을 조합하여 고객 자신이 원하는 새로운 형태의 서비스로 확장 사용되게 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754456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70074910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30025991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50119764호
본 발명은 통신사 시스템이 제공하는 다양한 형태의 통신 또는 부가 서비스들과 실행조건들을 조합하여 고객 자신이 원하는 새로운 형태의 조합서비스를 창출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통신사 시스템의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로 구성된 조합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통신사 시스템의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로 구성된 조합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에 대한 식별정보와, 각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에 대한 설정정보와 실행조건정보를 포함하는 조합서비스 정보를 고객식별정보에 대응되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외부로부터 착발신정보에 따르는 고객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조회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착발신정보에 따르는 고객식별정보에 대응되게 저장된 조합서비스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독출하고, 조합서비스 정보에 따르는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 식별정보와 설정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실행정보를 반환하는 조합서비스 시스템; 클라이언트 단말기; 및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호가 발생되면, 착발신정보에 대한 고객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조회정보를 상기 조합서비스 시스템으로 제공하고, 상기 조합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서비스 실행정보가 반환되면, 상기 서비스 실행정보에 따르는 상기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 설정정보에 따르는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를 상기 착발신정보에 따르는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제공하는 통신사 시스템;을 구비하며, 상기 부가서비스는 착발신고객 중 하나 이상의 고객에게 제공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통신사 시스템이 제공하는 다양한 형태의 통신 또는 부가 서비스들과 실행조건들을 조합하여 고객 자신이 원하는 새로운 형태의 조합서비스를 창출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여 고객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효과를 야기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통신사 시스템이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를 조합하여 새로운 형태의 서비스로 확장 사용될 수 있게 하여,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의 활용이 저조하였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야기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통신사 시스템의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로 구성된 조합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통신사 시스템의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로 구성된 조합서비스 제공을 위한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조합서비스 구성방법의 절차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조합서비스 제공과정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통신사 시스템이 제공하는 다양한 형태의 통신 또는 부가 서비스들과 실행조건들을 조합하여 고객 자신이 원하는 새로운 형태의 조합서비스를 창출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여 고객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신사 시스템이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를 조합하여 새로운 형태의 서비스로 확장 사용될 수 있게 하여,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의 활용이 저조하였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르는 조합서비스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조합서비스는 통신사 시스템이 제공하는 다양한 통신 및 부가서비스들이 포괄적으로 포함된 서비스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구성한 것이며, 각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들은 미리 정해둔 실행조건에 따라 실행되도록 미리 결정된다.
상기한 본 발명은 고객의 요청에 따라 다수의 통신 및 부가서비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조합하고 각 서비스에 대한 실행조건을 설정하는 조합서비스 구성과정과, 상기 구성된 조합서비스를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해 고객에게 제공하는 조합서비스 제공과정으로 나눌 수 있다.
이제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통신사 시스템의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로 구성된 조합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통신사 시스템의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로 구성된 조합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통신사 시스템의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로 구성된 조합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통신사 시스템의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로 구성된 조합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조합서비스 시스템(100)과 통신사 시스템(200)과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3001~300N,4001~400M)로 구성된다.
상기 조합서비스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조합서비스 구성기능과 조합서비스 제공기능을 제공한다.
상기의 조합서비스 구성을 위해, 상기 조합서비스 시스템(100)은 네트워크(웹)를 통해 접속한 클라이언트 단말기들 중 어느 하나(3001~300N)로 통신사 시스템(200)이 제공하는 다양한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들 및 각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해 설정가능한 설정정보들과 선택가능한 실행조건정보들을 안내하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하나 이상의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에 대한 식별정보와 각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에 대한 설정정보와 실행조건정보를 포함하는 조합서비스 정보를 제공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조합서비스 구성을 이행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핸드헬드 단말기뿐만 아니라 PC 등의 단말기도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조합서비스 제공을 위해, 상기 조합서비스 시스템(100)은 통신사 시스템(200)으로부터 특정 고객에 대한 고객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조회정보가 제공되면, 해당 고객식별정보에 대응되게 저장된 조합서비스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독출하고, 상기 조합서비스 정보에 포함된 실행조건정보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현재시각 또는 착발신정보, 또는 전화번호부 정보, 위치정보, 스케줄 정보, 기후정보, 공휴일정보 등에 부합되는지를 체크하고, 현재시각 또는 착발신정보, 또는 전화번호부 정보, 위치정보, 스케줄 정보, 기후정보, 공휴일정보 등에 부합되는 실행조건이 있으면, 상기 실행조건정보를 충족하는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 식별정보 및 설정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실행정보를 생성하여 통신사 시스템(200)으로 반환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실행정보의 송신후, 상기 조합서비스 시스템(100)은 통신사 시스템(200)으로부터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 실행에 따른 응답정보가 반환될 때마다, 해당 응답정보의 수신에 따라 연계되어 제공되도록 설정된 실행조건정보가 있는지를 체크하고, 상기의 실행조건정보가 있으면, 상기 실행조건정보의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 식별정보 및 설정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실행정보를 통신사 시스템(200)으로 반환하여, 사용자가 통신 또는 부가 서비스가 연계되어 순차적으로 이행되게 설정한 경우에, 해당 서비스들이 순차적으로 이행되게 한다.
또한 상기 조합서비스 시스템(100)은 상기 조합서비스 정보를 시스템 언어의 형태로 변환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였다가 통신사 시스템(200)으로 반환하여, 통신사 시스템(200)에 의한 서비스 처리과정을 간소화함과 아울러 처리속도를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조합서비스 시스템(100)은 상기 통신사 시스템(200)으로부터 고객등록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고객정보에 대응되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고객등록정보와 시각정보, 기후정보, 공휴일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따라 상기 조합서비스 정보에 포함된 실행조건정보 충족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고객등록정보는 고객의 전화번호부 정보 또는 위치정보, 스케줄 정보 등이 포함된다. 상기 부가서비스에 대한 실행조건정보로는 착발신정보, 발신자 그룹정보, 전화번호부 정보, 위치정보, 스케줄 정보, 시각정보, 기후정보, 공휴일 정보, 특정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의 실행시 등이 채택될 수 있음을 예시하였으나, 상기의 실행조건정보는 고객의 요청에 따라 다양한 정보가 채택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조합서비스 시스템(100)은 서비스 서버(102)와 연동서버(104)와 데이터베이스(106)로 구성된다.
상기 서비스 서버(102)는 네트워크(웹)를 통해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3001~300N)와 연결되어, 어느 한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해 접속한 고객에게 본 발명에 따르는 조합서비스 구성 기능을 제공한다.
좀 더 설명하면, 상기 서비스 서버(102)는 어느 한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해 접속한 고객에게 통신사 시스템(200)이 제공하는 다양한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들 및 각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해 설정가능한 설정정보들과, 선택가능한 실행조건정보들을 안내함과 아울러, 고객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에 대한 식별정보와, 각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에 대한 설정정보 및 실행조건정보를 포함하는 조합서비스 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106)에 저장한다. 특히 상기 고객으로부터의 조합서비스 정보는 고객 언어로 기술된 제1형태의 부가서비스 조합정보이다. 예를 들어, 오후 10시에서 오전 7시까지의 착신시 호를 전화번호부에 [아들]로 기록된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착신전환하고 고객의 위치가 미리 정해진 특정 영역내이면 자동응답모드로 전환하도록 하는 것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연동 서버(10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조합서비스 시스템(100)과 통신사 시스템(200)사이의 연동을 담당한다.
이러한 연동 서버(104)는 상기 조합서비스 정보를 통신사 시스템(200)에서 처리가능한 형태인 제2형태의 조합서비스 정보로 변형하여 데이터베이스(106)에 저장한다. 즉 전화번호부의 [아들]로 기록된 클라이언트는 [010-1234-5678] 등의 전화번호로 변환되어 기록된다.
또한 상기 연동 서버(104)는 통신사 시스템(200)으로부터 특정 고객에 대한 고객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조회정보가 제공되면, 해당 고객식별정보에 대응되게 저장된 조합서비스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독출하고, 상기 조합서비스 정보에 포함된 실행조건정보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현재시각 또는 착발신정보, 또는 전화번호부 정보, 위치정보, 스케줄 정보, 기후정보, 공휴일정보 등에 부합되는지를 체크하고, 현재시각 또는 착발신정보, 또는 전화번호부 정보, 위치정보, 스케줄 정보, 기후정보, 공휴일정보 등에 부합되는 실행조건이 있으면, 상기 실행조건정보를 충족하는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 식별정보 및 설정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실행정보를 생성하여 통신사 시스템(200)으로 반환한다.
또한 상기의 서비스 실행정보의 송신후, 상기 연동 서버(104)는 통신사 시스템(200)으로부터 통신 또는 서비스 실행정보에 따른 응답정보가 반환될 때마다, 해당 응답정보의 수신에 따라 연계되어 제공되도록 설정된 실행조건정보가 있는지를 체크하고, 상기의 실행조건정보가 있으면, 상기 실행조건정보를 충족하는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 식별정보 및 설정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실행정보를 통신사 시스템(200)으로 반환하여, 사용자가 통신 또는 부가 서비스가 연계되어 순차적으로 이행되게 설정한 경우에, 해당 서비스들이 순차적으로 이행되게 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106)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통신사 시스템의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로 구성된 조합서비스 제공을 위한 데이터들이 저장된다.
도 2는 상기 데이터베이스(106)에 저장되는 데이터들을 예시한 도면으로 실제의 데이터베이스 구성시에는 물리적으로 다수개인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106)에 저장되는 데이터들은 부가서비스 정보, 고객정보, 제1형태의 조합서비스 정보, 제2형태의 조합서비스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부가서비스 정보는 부가서비스 식별정보, 부가서비스 안내정보, 부가서비스 실행시 설정가능한 항목들에 대한 안내정보, 선택가능한 실행조건정보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객정보는 고객식별정보와 고객등록정보, 하나 이상의 조합서비스 식별정보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객식별정보는 전화번호 등이 채용될 수 있으며, 상기 고객등록정보는 해당 고객의 전화번호부 정보와 위치정보, 스케쥴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합서비스 정보는 고객 언어로 기술된 제1형태의 조합서비스 정보와 시스템 언어로 기술된 제2형태의 조합서비스 정보로 구성된다. 상기 조합서비스 정보는 조합서비스 식별정보, 해당 조합서비스 정보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부가서비스 식별정보와 각 부가서비스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부가서비스 실행조건정보와 부가서비스 설정정보로 구성된다.
상기 통신사 시스템(200)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호가 발생되면, 착신 또는 발신고객에 대한 고객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조회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조합서비스 시스템(100)으로 제공하고, 상기 조합서비스 시스템(100)으로부터 서비스 실행정보가 제공되면, 해당 착신 또는 발신고객에 대한 고객식별정보에 따르는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상기 서비스 실행정보에 따르는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제공되는 부가서비스는, ARS, 착신전환, 음성사서함 등의 부가서비스이다.
상기한 통신사 시스템(200)은 부가서비스 관리 시스템(202)과 교환기 시스템들(2041~204L)과 가입자 및 부가서비스정보 관리 시스템(206)과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208)과 고객등록정보 관리서버(500)로 구성된다.
상기 교환기 시스템들(2041~204L)은 전화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4001~400M)로의 호 처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의 호처리시마다 상기 교환기 시스템들(2041~204L)은 상기 가입자 및 부가서비스 관리 시스템(206)으로 착발신 가입자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르는 조합서비스 이용여부를 질의하고, 그에 따른 응답에 따라 부가서비스 관리 시스템(202)으로 해당 착발신 가입자에 대한 조합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처리를 요청한다.
상기 부가서비스 관리 시스템(202)은 상기 교환기 시스템들(2041~204L) 중 어느 하나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서비스 조회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연동 서버(104)로 전송하고, 상기 연동 서버(104)로부터 서비스 실행정보가 반환되면, 상기 서비스 실행정보에 포함된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 식별정보와 설정정보에 따라 착신 또는 발신고객의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해당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서비스 조회정보에는 착발신고객에 대한 식별정보인 착발신정보가 포함된다. 이러한 부가서비스 관리 시스템(202)의 상용화된 시스템으로는 TIIS 등이 있다.
상기의 예에서는 교환기 시스템이 부가서비스 관리 시스템(202)으로 서비스 조회정보를 제공하는 것만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교환기 시스템이 직접 서비스 조회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는 본 발명에 의해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상기 고객등록정보 관리서버(500)는 고객이 등록한 전화번호부 정보, 스케쥴 정보, 위치정보 등의 고객등록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며, 상기 고객등록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102)로 제공하여 데이터베이스(106)에 해당 고객의 정보가 갱신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고객등록정보 관리서버(500)의 상용화된 기능으로는 T 전화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통신사 시스템(200)이 조합 서비스 시스템(100)으로 고객등록정보를 제공하는 것만을 예시하였으나, 조합 서비스 시스템(100)이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전화번호부 정보, 스케쥴 정보, 위치정보 등을 제공받아 고객등록정보를 별도관리할 수도 있다.
상기 가입자 및 부가서비스정보 관리 시스템(206)은 가입자별 부가서비스 이용정보를 기록하여, 상기 교환기 시스템들(2041~204L)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제공되는 착발신정보에 따르는 조합서비스 제공여부를 판별하여 조합서비스 이용여부정보를 해당 교환기 시스템으로 반환하고, 조합서비스 이용여부정보를 제공받은 교환기 시스템은 해당 조합서비스 이용여부정보에 따라 상기 부가서비스 관리 시스템(202)으로 서비스 조회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부가서비스 관리 시스템(202)으로부터 서비스 실행정보가 제공되면 서비스 실행정보에 따르는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를 착발신정보에 따른 클라이언트들 중 어느 하나이상에게 제공한다. 상기의 가입자 및 부가서비스정보 관리 시스템(206)은 HSS, TAS, TIIS 등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교환기 시스템과 가입자 및 부가서비스 관리 시스템(206)과 부가서비스 관리 시스템(202)을 이용하여 착발신고객에 대한 부가서비스 제공여부 및 서비스 실행여부를 판별하여, 착발신고객 중 하나 이상에게 미리 설정해둔 조합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통신사 시스템(200)의 구성에 따라 교환기 시스템이 독립적으로 착발신고객에 대한 부가서비스 제공여부 및 서비스 실행여부를 판별하여, 착발신고객 중 하나 이상에게 미리 설정해둔 조합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환기 시스템(204)은 상기 서비스 실행정보에 따라 착발신 가입자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러한 통신 서비스로는 착신전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208)은 상기 교환기 시스템들(2041~204L) 중 어느 하나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착발신 가입자에 대해 부가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한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208)은 ARS, SMS, MMS, 음성 사서함, 컬러링 등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며, 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제 상기한 통신사 시스템의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로 구성된 조합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적용가능한 조합서비스 제공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통신사 시스템의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로 구성된 조합서비스 구성과정의 절차>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통신사 시스템의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로 구성된 조합서비스 구성방법의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3001~300N) 중 어느 하나는 서비스 서버(102)에 접속하여 서비스 안내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서비스 서버(102)로 서비스 안내정보를 요청하면(700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102)는 미리 데이터베이스(106)에 저장해둔 서비스 안내정보를 독출하여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전송한다(702단계). 상기 서비스 안내정보는 통신사 시스템(200)이 제공하는 다양한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들 및 각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해 설정가능한 설정정보들과 선택가능한 실행조건정보들로 구성된다.
상기 서비스 안내정보를 수신한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상기 서비스 안내정보를 표시하여 고객에게 안내한다(704단계).
상기 서비스 안내정보에 따라 고객은 통신사 시스템(200)이 제공하는 다양한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들 및 각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해 설정가능한 설정정보들과 선택가능한 실행조건정보들을 안내받아, 하나 이상의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를 선택함과 아울러 각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의 설정정보, 실행조건들을 선택하여 서비스들의 조합을 이행할 수 있다. 예를들어, 호전환 서비스를 선택한 후 실행조건으로 특정시간을 선택하고, 설정정보로는 호전환 대상을 전화번호부에 기록된 아들로 설정하는 것, 그리고 ARS 서비스를 선택한 후, 실행조건으로 특정위치를 선택하는 것으로 서비스들을 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객이 조합한 하나 이상의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와 각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에 대한 설정정보와 실행조건을 선택적으로 조합하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고객의 입력에 따라 조합서비스 정보를 생성한다(706단계). 상기 조합서비스 정보는 고객식별정보, 하나 이상의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 식별정보, 각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설정정보, 실행조건정보들로 구성된다. 상기 고객식별정보는 고객의 전화번호 등이 될 수 있고, 서비스 식별정보는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 서비스명이 될 수 있고, 상기 설정정보는 서비스 실행시에 필요한 설정정보, 예를들어 착신전환할 전화번호 등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실행조건정보는 특정 시간 또는 특정 위치, 전화번호, 스케줄 등이 될 수 있다.
상기한 조합서비스 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상기 조합서비스 정보를 서비스 서버(102)로 전송한다(708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102)는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조합서비스 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조합서비스 정보에 포함된 부가서비스 실행을 위한 설정정보 또는 실행조건정보에 고객등록정보가 필요한지를 체크한다(710단계).
상기 조합서비스 실행을 위한 설정정보 또는 실행조건정보에 고객등록정보가 필요하면, 상기 서비스 서버(102)는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 실행에 필요한 고객등록정보를 통신사 시스템(200)의 고객등록정보 관리서버(500)로 요청한다. 여기서, 고객등록정보의 요청시에는 부가서비스 실행에 필요한 항목만을 요청할 수 있으며, 고객식별을 위해 고객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요청메시지를 사용할 수 있다(712단계).
상기 고객등록정보 관리서버(500)는 상기 서비스 서버(102)의 요청에 따라 해당 고객의 고객등록정보 중 필요항목에 대한 고객등록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102)로 반환한다(714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102)는 상기 고객등록정보가 반환되면, 상기 고객등록정보를 고객정보에 부가하여 저장함과 아울러 조합서비스 정보를 제1형태로 데이터베이스(106)에 제공함과 아울러 상기 조합서비스 정보를 연동서버(104)에 제공한다(716,718단계).
상기 연동서버(104)는 상기 조합서비스 정보를 제2형태로 변환하여 데이터베이스(106)에 저장한다(720단계).
<통신사 시스템의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로 구성된 조합서비스 제공과정의 절차>
이제 상기한 바와 같이 저장된 조합서비스 정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조합서비스 제공과정을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화통신망을 통해 통신사 시스템(200)과 연결된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대한 착호 또는 발호가 발생되면(800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다수의 교환기 시스템(2041~204L) 중 하나와 착호 또는 발호에 대한 신호처리를 이행하며(802단계), 상기 교환기 시스템은 상기 착호 또는 발호에 따른 착발신고객에 대한 고객식별정보를 가입자 및 부가서비스정보 관리 시스템(206)으로 제공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조합서비스의 이용여부에 대한 조회를 요청한다(804단계). 상기 가입자 및 부가서비스정보 관리 시스템(206)은 착발신고객에 대해 본 발명에 따르는 조합서비스 이용여부를 조회하고 그 조회결과를 교환기 시스템으로 반환한다(806단계).
상기 교환기 시스템은 상기 조회결과가 상기 착발신고객에 대해 조합서비스 이용을 지시하면(808단계), 부가서비스 관리 시스템(202)으로 서비스 조회정보를 전송한다(812단계). 상기 서비스 조회정보에는 착발신고객에 대한 고객식별정보가 포함된다.
상기한 바와 달리 상기 조회결과가 본 발명에 따른 조합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이 아닌 것을 지시하면, 일반적인 통화를 위한 호처리 또는 부가서비스 제공을 이행한다(810단계).
상기 부가서비스 관리 시스템(202)은 연동서버(104)로 서비스 조회정보를 전송한다(814단계). 상기 서비스 조회정보를 제공받은 상기 연동서버(104)는 상기 착발신고객에 대한 고객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조합서비스 정보가 데이터베이스(106)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체크하고(816단계), 상기 착발신고객에 대한 고객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조합서비스 정보가 있으면, 상기 연동서버(104)는 상기 조합서비스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06)에서 독출하고(818단계), 상기 조합서비스 정보에 포함된 실행조건정보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현재시각 또는 착발신정보, 또는 전화번호부 정보, 위치정보, 스케줄 정보, 기후정보, 공휴일정보 등에 부합되는지를 체크하고, 현재시각 또는 착발신정보, 또는 전화번호부 정보, 위치정보, 스케줄 정보, 기후정보, 공휴일정보 등에 부합되는 실행조건정보가 있는지를 체크한다(820단계).
상기 현재시각 또는 착발신정보, 또는 전화번호부 정보, 위치정보, 스케줄 정보, 기후정보, 공휴일정보 등에 부합되는 실행조건정보가 있으면, 상기 연동서버(104)는 상기 실행조건정보에 대응되는 부가서비스 식별정보 및 설정정보로 구성되는 서비스 실행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부가서비스 관리 시스템(202)으로 반환하며, 부가서비스 관리 시스템(202)은 상기 서비스 실행정보를 상기 교환기 시스템으로 전송한다(822,824단계).
상기 교환기 시스템은 상기 서비스 실행정보에 따라 부가서비스 제공서버(208)와 착 또는 발신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연결하여, 착 또는 발신고객에게 서비스 실행정보에 따른 부가서비스가 제공되게 한다(826,828단계).
또한 상기 교환기 시스템은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서버(208)를 통한 부가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지면, 부가서비스 실행결과정보를 부가서비스 관리 시스템(202)을 통해 연동서버(104)로 전송하며(830,832단계), 연동서버(104)는 상기 부가서비스 실행결과정보가 제공될 때마다 상기 820단계로 복귀하여 다시 조합서비스 정보에 기록된 실행조건을 충족하는 부가서비스가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다음 부가서비스의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달리 착발신고객에 대한 고객식별정보에 대응되는 고객정보에 부가서비스 조합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거나 실행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상기 연동서버(104)는 부가서비스 관리 시스템(202)에 조합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음을 통지한다(850단계). 상기 부가서비스 관리 시스템(202)은 상기 조합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음이 통지되면, 교환기 시스템(204)으로 일반 호처리/부가서비스 제공을 요청한다(852단계). 상기 교환기 시스템(204)은 상기 부가서비스 관리 시스템(202)의 요청에 따라 클라이언트로부터의 호발생에 따른 일반 호처리/부가서비스 제공을 이행한다(854단계).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통신사 시스템이 제공하는 다양한 형태의 통신 또는 부가 서비스들과 실행조건들을 조합하여 고객 자신이 원하는 새로운 형태의 조합서비스를 창출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통신사 시스템이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를 조합하여 새로운 형태의 서비스로 확장 사용될 수 있게 하여,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의 활용이 저조하였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통신사가 제공하는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만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만을 예시하였으나, 웹 또는 독립적으로 수행되는 휴대 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을 조합하여 조합서비스를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는 본 발명에 의해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100 : 조합서비스 시스템
102 : 서비스 서버
104 : 연동서버
106 : 데이터베이스
200 : 통신사 시스템

Claims (15)

  1. 통신사 시스템의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로 구성된 조합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에 대한 식별정보와, 각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에 대해 설정정보와 실행조건정보를 포함하는 조합서비스 정보를 고객식별정보에 대응되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외부로 상기 고객식별정보에 대응되는 고객등록정보를 요청하고, 그 요청에 따라 고객등록정보가 제공되면, 제공된 고객등록정보를 상기 고객식별정보에 대응되게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외부로부터 착발신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조회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착발신정보에 따르는 고객식별정보에 대응되게 저장된 조합서비스 정보 및 고객등록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독출하고,
    상기 착발신정보 및 상기 고객등록정보 중 하나이상이 독출된 조합서비스 정보에 포함된 실행조건정보들 중 하나이상을 충족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착발신정보 및 상기 고객등록정보 중 하나이상이 상기 조합서비스 정보에 포함된 실행조건정보들 중 하나이상을 충족하면, 충족된 실행조건정보에 대응되는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에 대한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 식별정보 및 설정정보로 구성된 서비스 실행정보를 생성하여 외부로 반환하는 조합서비스 시스템;
    클라이언트 단말기; 및
    상기 조합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고객식별정보에 대응되는 고객등록정보가 요청되면, 해당 고객식별정보에 대응되는 고객등록정보를 상기 조합서비스 시스템으로 제공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호가 발생되면, 고객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착발신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조회정보를 상기 조합서비스 시스템으로 제공하고,
    상기 조합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서비스 실행정보가 반환되면, 상기 서비스 실행정보에 포함된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 식별정보 및 설정정보에 따르는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를 상기 착발신정보에 따르는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제공하는 통신사 시스템;을 구비하며,
    상기 조합서비스 시스템이,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상기 통신사 시스템이 제공하는 다수의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 및 각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의 실행을 위한 설정정보, 각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에 대해 선택가능한 실행조건정보에 대한 서비스 안내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하나 이상의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에 대한 식별정보와, 각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에 대한 설정정보와 실행조건정보를 선택받아 구성된 조합서비스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상기 고객등록정보는 고객의 전화번호부 정보, 위치정보 및 스케줄정보 중 어느 하나이상이며,
    상기 실행조건정보는 상기 착발신정보 및 상기 고객등록정보 중 하나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는 상기 착발신정보에 따르는 클라이언트 단말기들 중 하나이상으로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사 시스템의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로 구성된 조합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서비스 시스템이,
    상기 조합서비스 정보를 시스템 언어의 형태로 변환하여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사 시스템의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로 구성된 조합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조건정보에는 시각정보가 더 포함되며,
    상기 조합서비스 시스템이,
    외부로부터 착발신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조회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착발신정보에 따르는 고객식별정보에 대응되게 저장된 조합서비스 정보 및 고객등록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독출하고,
    상기 착발신정보 및 상기 고객등록정보 및 현재시각정보 중 하나이상이 독출된 조합서비스 정보에 포함된 실행조건정보들 중 하나이상을 충족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착발신정보 및 상기 고객등록정보 및 상기 현재시각정보 중 하나이상이 상기 조합서비스 정보에 포함된 실행조건정보들 중 하나이상을 충족하면, 충족된 실행조건정보에 대응되는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에 대한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 식별정보 및 설정정보로 구성된 서비스 실행정보를 생성하여 외부로 반환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사 시스템의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로 구성된 조합서비스 제공 시스템.
  6. 통신사 시스템의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로 구성된 조합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조합서비스 시스템이,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통신사 시스템이 제공하는 다수의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 및 각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의 실행을 위한 설정정보, 각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에 대해 선택가능한 실행조건정보에 대한 서비스 안내정보를 제공하는 제1단계;
    상기 조합서비스 시스템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하나 이상의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에 대한 식별정보와 각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에 대한 설정정보와 실행조건정보를 선택받아 구성된 조합서비스 정보를 제공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2단계;
    상기 조합서비스 시스템이, 고객식별정보에 대응되는 고객등록정보를 통신사 시스템으로 요청하는 제3단계;
    상기 통신사 시스템이, 상기 조합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고객식별정보에 대응되는 고객등록정보가 요청되면, 해당 고객식별정보에 대응되는 고객등록정보를 상기 조합서비스 시스템으로 제공하는 제4단계;
    상기 조합서비스 시스템이, 상기 통신사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고객식별정보에 대응되는 고객등록정보가 제공되면, 제공된 고객등록정보를 상기 고객식별정보에 대응되게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5단계;
    상기 통신사 시스템이,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호가 발생되면, 고객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착발신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조회정보를 상기 조합서비스 시스템으로 제공하는 제6단계;
    상기 조합서비스 시스템이 상기 통신사 시스템으로부터 착발신정보에 따르는 고객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조회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착발신정보에 따르는 고객식별정보에 대응되게 저장된 조합서비스 정보 및 고객등록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독출하고, 상기 착발신정보 및 상기 고객등록정보 중 하나이상이 독출된 조합서비스 정보에 포함된 실행조건정보들 중 하나이상을 충족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착발신정보 및 상기 고객등록정보 중 하나이상이 상기 조합서비스 정보에 포함된 실행조건정보들 중 하나이상을 충족하면, 충족된 실행조건정보에 대응되는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에 대한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 식별정보 및 설정정보로 구성된 서비스 실행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사 시스템으로 제공하는 제7단계;
    상기 통신사 시스템이, 상기 조합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서비스 실행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서비스 실행정보에 포함된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 식별정보 및 설정정보에 따르는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를 상기 착발신정보에 따르는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제공하는 제8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고객등록정보는 고객의 전화번호부 정보, 위치정보 및 스케줄정보 중 어느 하나이상이며,
    상기 실행조건정보는 상기 착발신정보 및 상기 고객등록정보 중 하나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는 상기 착발신정보에 따르는 클라이언트 단말기들 중 하나이상으로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사 시스템의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로 구성된 조합서비스 제공방법.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서비스 시스템이,
    상기 조합서비스 정보를 시스템 언어의 형태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사 시스템의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로 구성된 조합서비스 제공방법.
  9. 삭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조건정보에는 시각정보가 더 포함되며,
    상기 제7단계에서, 상기 조합서비스 시스템이,
    외부로부터 착발신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조회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착발신정보에 따르는 고객식별정보에 대응되게 저장된 조합서비스 정보 및 고객등록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독출하고,
    상기 착발신정보 및 상기 고객등록정보 및 현재시각정보 중 하나이상이 독출된 조합서비스 정보에 포함된 실행조건정보들 중 하나이상을 충족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착발신정보 및 상기 고객등록정보 및 상기 현재시각정보 중 하나이상이 상기 조합서비스 정보에 포함된 실행조건정보들 중 하나이상을 충족하면, 충족된 실행조건정보에 대응되는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에 대한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 식별정보 및 설정정보로 구성된 서비스 실행정보를 생성하여 외부로 반환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사 시스템의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로 구성된 조합서비스 제공방법.
  11. 조합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
    하나 이상의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에 대한 식별정보와, 각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에 대해 설정정보와 실행조건정보를 포함하는 조합서비스 정보를 고객식별정보에 대응되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외부로 상기 고객식별정보에 대응되는 고객등록정보를 요청하고, 그 요청에 따라 고객등록정보가 제공되면, 제공된 고객등록정보를 상기 고객식별정보에 대응되게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서비스 서버; 및
    외부로부터 착발신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조회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착발신정보에 따르는 고객식별정보에 대응되게 저장된 조합서비스 정보 및 고객등록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독출하고,
    상기 착발신정보 및 상기 고객등록정보 중 하나이상이 독출된 조합서비스 정보에 포함된 실행조건정보들 중 하나이상을 충족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착발신정보 및 상기 고객등록정보 중 하나이상이 상기 조합서비스 정보에 포함된 실행조건정보들 중 하나이상을 충족하면, 충족된 실행조건정보에 대응되는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에 대한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 식별정보 및 설정정보로 구성된 서비스 실행정보를 생성하여 외부로 반환하는 연동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서버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통신사 시스템이 제공하는 다수의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 및 각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의 실행을 위한 설정정보, 각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에 대해 선택가능한 실행조건정보에 대한 서비스 안내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하나 이상의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에 대한 식별정보와, 각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에 대한 설정정보와 실행조건정보를 선택받아 구성된 조합서비스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상기 고객등록정보는 고객의 전화번호부 정보, 위치정보 및 스케줄정보 중 어느 하나이상이며,
    상기 실행조건정보는 상기 착발신정보 및 상기 고객등록정보 중 하나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서비스 시스템.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서버가,
    상기 조합서비스 정보를 시스템 언어의 형태로 변환하여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서비스 시스템.
  14. 삭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조건정보에는 시각정보가 더 포함되며,
    상기 연동서버가,
    외부로부터 착발신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조회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착발신정보에 따르는 고객식별정보에 대응되게 저장된 조합서비스 정보 및 고객등록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독출하고,
    상기 착발신정보 및 상기 고객등록정보 및 현재시각정보 중 하나이상이 상기 조합서비스 정보에 포함된 실행조건정보들 중 하나이상을 충족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착발신정보 및 상기 고객등록정보 및 상기 현재시각정보 중 하나이상이 독출된 조합서비스 정보에 포함된 실행조건정보들 중 하나이상을 충족하면, 충족된 실행조건정보에 대응되는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에 대한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 식별정보 및 설정정보로 구성된 서비스 실행정보를 생성하여 외부로 반환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서비스 시스템.
KR1020210034706A 2021-03-17 2021-03-17 통신사 시스템의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로 구성된 조합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2445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706A KR102445833B1 (ko) 2021-03-17 2021-03-17 통신사 시스템의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로 구성된 조합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706A KR102445833B1 (ko) 2021-03-17 2021-03-17 통신사 시스템의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로 구성된 조합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5833B1 true KR102445833B1 (ko) 2022-09-21

Family

ID=83452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4706A KR102445833B1 (ko) 2021-03-17 2021-03-17 통신사 시스템의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로 구성된 조합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583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5991A (ko) 2001-09-24 2003-03-3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부가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28540A (ko) * 2003-03-24 2003-04-08 주식회사 스파이어테크놀로지 국제 로밍 전화 착신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40042221A (ko) * 2002-11-13 2004-05-20 홍봉조 통화중대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50119764A (ko) 2004-06-17 2005-12-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통화연결음 서비스 제공상태에서 발신자 요청에 의한음원정보 제공방법
KR20070074910A (ko) 2006-01-11 2007-07-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의 부가서비스 제어방법
KR100754456B1 (ko) 2006-07-19 2007-09-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설정된 기간 동안 부가 서비스를변경하는 방법과 그를 수행하는 부가 서비스 관리 서버 및시스템
KR20200001854A (ko) * 2018-06-28 2020-01-07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통화 연결음 음원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5991A (ko) 2001-09-24 2003-03-3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부가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42221A (ko) * 2002-11-13 2004-05-20 홍봉조 통화중대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28540A (ko) * 2003-03-24 2003-04-08 주식회사 스파이어테크놀로지 국제 로밍 전화 착신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50119764A (ko) 2004-06-17 2005-12-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통화연결음 서비스 제공상태에서 발신자 요청에 의한음원정보 제공방법
KR20070074910A (ko) 2006-01-11 2007-07-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의 부가서비스 제어방법
KR100754456B1 (ko) 2006-07-19 2007-09-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설정된 기간 동안 부가 서비스를변경하는 방법과 그를 수행하는 부가 서비스 관리 서버 및시스템
KR20200001854A (ko) * 2018-06-28 2020-01-07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통화 연결음 음원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47045B2 (en) Environment aware message delivery
FI105986B (fi) Tilaajan palveluprofiilit tietoliikennejärjestelmässä
EP1255414B1 (en) Automatic SMS handling
US6310944B1 (en) Method for adding context to communications
US7143110B2 (en) Information terminal, server, information display system and information display method
JP5247433B2 (ja) 秘密ルーティング制御番号
JP2002185604A (ja) 電話個人情報管理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01124809A (zh) 管理跨网络电信服务的无线装置
MXPA05012671A (es) Registro hibrido de llamadas.
CN101635772A (zh) 一种呼叫信息管理的方法及其系统
KR100392097B1 (ko) 가입자 기반 링백톤 서비스에서의 음원 선물 방법 및 장치
KR20060111172A (ko) 발신자 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서버 및 시스템
KR102445833B1 (ko) 통신사 시스템의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로 구성된 조합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CN102340604A (zh) 用于通信转发的方法和系统
KR100598978B1 (ko) 통신망을 이용한 단축 다이얼 시스템 및 방법
EA007138B1 (ru)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звукового сообщения с мобильного терминала, в том числе не имеющего доступа к сети интернет, в любой адрес электронной почты
KR100539020B1 (ko) 대표 번호를 이용하는 통신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445838B1 (ko) 통신 시스템에서의 능동적 통화연결음 조합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2411394B1 (ko) 통신 시스템에서의 적응적 호전환 조합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20090036889A (ko) 맞춤형 휴대폰 전화비서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00060028A (ko) 지능망에서의 그룹단위 번호통합 서비스 방법
KR100592774B1 (ko) 확장형 단문메시지 서비스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부가서비스를 설정하기 위한 시스템과 그 방법
KR20050065035A (ko) 메시지 중계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FI113437B (fi) Tilaajan liittymän voimassaolon tarkistus tietoliikennejärjestelmässä
US7801524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ignaling system there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