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3871B1 - 착신 제어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의 착신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착신 제어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의 착신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3871B1
KR100933871B1 KR1020030015044A KR20030015044A KR100933871B1 KR 100933871 B1 KR100933871 B1 KR 100933871B1 KR 1020030015044 A KR1020030015044 A KR 1020030015044A KR 20030015044 A KR20030015044 A KR 20030015044A KR 100933871 B1 KR100933871 B1 KR 100933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ed
call
password
mobile communication
call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5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0166A (ko
Inventor
조창희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15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3871B1/ko
Publication of KR20040080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0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3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3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38Graded-service arrangements, i.e. some subscribers prevented from establishing certain connections
    • H04M3/382Graded-service arrangements, i.e. some subscribers prevented from establishing certain connections using authorisation codes or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6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security aspects in 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신 제어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착신 제어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시스템은 기지국 제어기, 교환기 및 가입자 정보와 부가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홈위치 등록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와 홈위치 등록기 사이에 접속되어 이동통신 가입자별 착신 제어 대상 발신번호 리스트와 상기 착신 제어 대상 발신번호에 대한 비밀번호를 DB에 저장하는 착신 제어 서비스 시스템을 더 구비하며, 발신단말로부터 착신 제어 서비스 이용자인 이동통신 가입자의 착신단말로 호가 시도되면 호를 시도한 발신단말의 번호가 착신 제어 대상 발신번호로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등록된 발신번호인 경우 착신 가입자에게 비밀번호의 입력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착신 가입자로부터 착신 제어 서비스 시스템의 DB에 등록된 해당 비밀번호와 일치하는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호가 연결되도록 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Figure R1020030015044
착신 제어 서비스

Description

착신 제어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의 착신 제어 방법{Method and System for Management of Call Receiving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착신 제어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착신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착신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이동통신 단말기 110 : 기지국(BTS)
200 : 이동통신 시스템 210 : 기지국 제어기(BSC)
220 : 교환기(MSC) 230 : 홈위치 등록기(HLR)
300 : 컴퓨터 단말기 310 : 인터넷
400 : 유선 전화기 410 : PSTN망
500 : 착신 제어 서비스 시스템 510 : 착신 제어 서비스 가입자 DB
본 발명은 착신 제어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착신 가입자가 특정번호의 수신에 대해 비밀번호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특정번호의 발신자로부터 전화가 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여야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착신 가입자의 사생활을 보호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이동통신시스템은, 발신자에게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입력토록 요구하여, 수신자가 발신자의 번호를 확인 후 전화를 받을 수 있는 수신전 확인 서비스나, 발신시 수신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및 발신자가 발신번호표시 제한을 지정한 모든 전화에 대해 수신자가 수신 거부를 지정할 수 있는 익명호 수신 거부 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이동통신시스템은 상기 서비스들과 같이 발신자 측에서 통화를 원하는 경우 수신자 측에서 이를 제한적으로 허용하도록 하는 서비스 즉, 발신자를 제한하는 서비스로서, 수신자를 제한하지는 못한다.
또한, 발신번호별로 다른 벨소리를 설정하므로써 벨소리로 발신자의 신원은 어느 정도 인식이 가능하나, 본인만이 착신하고 싶은 번호로부터 전화가 왔을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소유자 이외의 사람도 착신이 가능하여 단말기 소유자의 사생활을 보호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기존에는 발신시 비밀번호를 입력하여야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비밀번호 서비스는 제공되었으나,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착신을 제어하도록 하는 서비스는 제공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통화 서비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해당 단말기에 착신되는 전화번호 중 특정 번호로 발신되는 호에 대해서는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개인의 사생활을 보호하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기지국 제어기, 교환기 및 가입자 정보와 부가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홈위치 등록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와 홈위치 등록기 사이에 이동통신 가입자별 착신 제어 대상 발신번호 리스트와 상기 착신 제어 대상 발신번호에 대한 비밀번호를 DB에 저장하는 착신 제어 서비스 시스템을 더 구비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착신 제어 서비스 시스템은 이동통신 가입자가 착신 제어 대상 발신번호 및 비밀번호를 등록하면 이를 착신 제어 서비스 가입자 DB에 저장하고, 상기 DB에 등록된 착신 제어 발신번호로부터 호가 시도되면 착신자가 상기 DB에 등록된 비밀번호를 입력하므로써 호가 연결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이동통신 가입자는 사용자별로 착신 제어 통화를 원하는 번호 및 상기 번호에 대한 비밀번호를 일반 부가서비스 등과 같이 인터넷이나 PSTN망을 통해 등록, 수정, 삭제할 수 있도록 하고, 착신 제어 서비스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여부를 관리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먼저,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착신 제어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200)은 기지국(110)을 관리하는 기지국 제어기(BSC:210), 상기 기지국 제어기(210)로부터 호처리 신호를 수신하여 이동 호처리 동작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교환기(MSC:220) 및 가입자 정보와 부가 서비스 활성화 상태 등을 관리하는 홈위치 등록기(HLR:230)를 포함하여 기지국(BTS:110)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이동전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200)은 교환기(220)와 홈위치 등록기(230) 사이에, 이동통신 가입자별 착신 제어 대상 발신번호 리스트와 상기 착신 제어 대상 발신번호에 대한 비밀번호를 착신 제어 서비스 가입자 DB(510)에 저장하는 착신 제어 서비스 시스템(500)을 더 구비한다.
상기 착신 제어 서비스 시스템(500)은 이동통신 시스템(200)에서 제공하는 일반 부가서비스 등과 같이 이동통신 가입자가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무선 접속하거나, 컴퓨터 단말기(300)를 이용하여 인터넷(310)을 통해 또는, 일반 유선전화(400)를 이용하여 PSTN망(410)을 통해 접속하여, 착신 제어 통화를 원하는 번호 및 상기 번호에 대한 비밀번호를 일반 부가서비스 등과 같이 등록, 수정, 삭제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착신 제어 서비스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여부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착신 제어 서비스 시스템(500)은 각 서비스 가입자별로 콜 실패 에 대한 원인 등을 포함하는 콜 히스토리를 착신 제어 서비스 가입자 DB(510)에 저장하고 관리한다.
따라서, 상기 홈위치 등록기(230)는 이동통신 가입자의 전화번호 및 상기 착신 제어 서비스의 사용 여부와 활성화 여부를 포함하는 부가 서비스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며, 인터넷(310)이나 PSTN망(410) 또는 이동전화 기지국(110)을 통하여 유선전화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발신단말로부터 이동통신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로 호가 시도되면 착신 가입자가 착신 제어 서비스 이용자인지를 확인하여 착신 제어 서비스 이용자인 경우, 호를 착신 제어 서비스 시스템(500)으로 전달하여 가입자에 의해 등록된 착신 제어 번호에 대해서는 비밀번호의 입력에 의해 착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는 착신 제어 서비스를 적용할 번호로서, 이동전화번호 또는 유선전화번호 등의 발신번호를 적어도 하나 이상 등록할 수 있으며, 각 등록번호에 따라 서로 다른 비밀번호를 설정하거나, 하나의 대표 비밀번호를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착신 제어 번호를 등록하는 경우에는 등록 번호를 그룹으로 나누어 그룹별로 비밀번호를 설정할 수 있고, 착신단말에 발신 번호가 표시되는 발신자 번호 표시 부가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가입자의 경우 1차 비밀번호와 2차 비밀번호를 설정하여 1차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발신번호를 표시하고, 다시 2차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호를 연결하도록 하거나, 착신 제어 대상으로 등록된 발신번호별로 애칭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발신번호 대신 애칭을 표시할 수도 있을 것이 다.
한편, 상기 기지국(110)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통화 메시지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착신 제어 서비스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신호, 비밀번호 변경 신호 등이 송신되면 이를 기지국 제어기(210)로 전송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210)는 상기 기지국(110)을 관리하고, 통화메시지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며, 기지국을 통해 착신 제어 서비스 활성화 및 비활성화 신호, 착신 제어 서비스 설정 신호 등이 입력되면 이를 교환기(220)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 홈위치 등록기(230)는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의 전화번호 및 착신 제어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고, 교환기(220)는 상기 기지국 제어기(210) 및 타 교환국, PSTN망(410)과 연계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교환기(220)는 상기 기지국 제어기(210)로부터 호처리 신호를 수신하여 이동 호처리 동작을 수행하며, 착신 제어 서비스 시스템(500)과 연계되어 착신 제어 서비스 시스템(500)으로부터 전송되는 비밀번호 입력 요구 메시지 등의 부가 서비스 안내방송을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발신자로부터 착신 제어 서비스 기능이 활성화된 착신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호가 시도되면, 발신측 교환기(220)는 홈위치 등록기(230)로 착신 가입자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며, 홈위치 등록기(230)는 상기 착신 가입자가 착신 제어 서비스가 설정된 가입자임이 판단되면 해당 착신측 교환기(220)로 착신 연결 메시지 전송시 착신 제어 서비스 태그를 활성화하여 전송한다.
상기 착신측 교환기(220)는 상기 수신한 착신 제어 서비스 태그를 통해 착신 제어 관련 호임을 인지하고, 착신 제어 서비스 시스템(500)의 착신 제어 서비스 정보에 따라 상기 발신자 단말의 발신번호가 착신 제어 서비스 가입자 DB(510)에 존재하면 해당 착신 가입자에게 호 연결시 비밀번호의 입력을 요구하는 안내 방송을 전달하며, 비밀번호의 정상 입력시 호를 연결한다.
이상에서는 발신측 교환기와 착신측 교환기가 동일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발신측 교환기와 착신측 교환기가 다른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은 착신 제어 서비스에 따른 통화 기록은 각 착신번호 또는 발신번호에 대한 통화여부, 통화 실패 원인 등의 내용을 기록하여 관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착신 제어 서비스의 서비스 과정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착신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를 도시한 도2를 통해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발신자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나 기타 유선전화 등의 발신단말을 통해 착신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즉, 착신단말로 호가 시도되면(S10), 발신측 교환기는 홈위치 등록기로 착신자 확인 요청 신호를 전달하고(S11), 홈위치 등록기는 상기 착신 가입자 정보를 확인하고, 반면에 착신 가입자가 착신 제어 서비스를 사 용하는지의 여부 및 현재 서비스의 활성화 여부를 판단한다(S12).
다음, 상기 착신 제어 서비스 사용 여부 및 활성화 여부의 판단 결과, 상기 착신 가입자가 착신 제어 서비스를 사용하지 않거나 현재 서비스의 기능이 비활성화 되어 있는 경우 일반호로 연결하며, 상기 착신 가입자가 착신 제어 서비스를 사용하며 현재 서비스의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홈위치 등록기는 착신 제어 서비스 태그를 활성화하여 기타 부가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호 관련 정보를 착신측 교환기로 전송한다(S13).
상기 호 관련 정보를 수신한 착신측 교환기는 착신 제어 서비스 시스템에 상기 발신단말의 발신번호가 착신 제어 대상 번호로 등록되어 있는지 질의하고(S14), 착신 제어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등록 여부를 수신하여(S15) 발신단말의 발신번호가 착신 제어 번호로 등록되어 있지 않는 경우 일반호로 연결하며, 발신단말의 발신번호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 착신 가입자의 착신단말로 발신 신호를 전달하고(S16) 착신 가입자로부터 응답신호가 전송되면(S17) 착신 제어 서비스 시스템은 착신단말로 ARS 안내 방송 등의 메시지를 전송하여 착신 가입자에게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요구한다(S18).
한편, 상기 착신 제어 서비스를 이용하는 착신 가입자가 착신단말에 발신단말의 번호를 표시하는 발신자 번호 표시 부가 서비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발신 신호를 전달할 때 발신번호를 표시하지 않고 신호를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착신 제어 번호가 둘 이상인 경우에는 착신 가입자가 초기 착신 제어 기능 설정시 번호별 또는 그룹별로 애칭 등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발신 신호 전달시 발신번호 대신 애칭 등을 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 상기 착신 가입자로부터 비밀번호가 입력되면(S19), 착신 제어 서비스 시스템은 입력된 비밀번호가 착신 가입자에 의해 미리 등록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20),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호를 연결한다(S21).
이때, 상기 착신 제어 서비스 시스템은 비밀번호 입력 횟수에 제한을 두고, 상기 입력된 비밀번호가 착신 가입자에 의해 미리 등록된 비밀번호와 일치되지 않는 경우 비밀번호 입력횟수를 초과하였는지를 판단하여, 비밀번호 입력횟수가 초과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착신 가입자가 비밀번호 다시 입력하도록 하며, 비밀번호 입력횟수를 초과하면 호를 해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비밀번호 입력횟수를 초과한 경우, 이를 착신 가입자에게 문자 메시지 등의 수단을 통해 통보하여 착신 가입자가 인터넷이나 PSTN망, 이동통신망을 통해 착신 제어 서비스 시스템에 접속하여 비밀번호를 변경하거나, 소정의 보안 절차후 착신 가입자가 미리 등록한 비밀번호를 알아낼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다음, 도3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착신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착신단말에 발신번호가 표시되도록 하는 발신자 번호 표시 부가 서비스와 본 발명의 착신 제어 서비스가 동시에 적용되는 경우의 서비스 방법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단말, 발신측 교환기, 홈위치 등록기, 착신 제어 서 비스 시스템, 착신측 교환기 및 착신단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발신단말로부터 호가 시도되는 단계(S100)로부터 착신단말로부터 착신 제어 서비스 시스템으로 응답 신호가 전송되는 단계(S170)까지는 도2의 흐름도에서 단계 S10에서 단계 S17까지와 동일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3의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착신 제어 번호에 대해 1차 비밀번호와 2차 비밀번호가 부여되도록 한 것으로, 착신단말로부터 착신 제어 서비스 시스템으로 응답신호가 전송되면(S170), 착신 제어 서비스 시스템은 교환기를 통해 착신단말로 1차 비밀번호 입력 요구 메시지를 송출하고(S180) 착신 가입자로부터 1차 비밀번호가 입력되면(S190) 착신 제어 서비스 시스템은 1차 비밀번호의 일치 여부를 확인한다(S200).
이때, 상기 확인 결과 1차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착신 제어 서비스 시스템은 착신측 교환기로 비밀번호의 일치 사실을 통보하여(S210), 착신단말에 발신단말의 발신번호가 표시되도록 한다(S220). 상기 착신 제어 서비스 시스템은 발신번호가 표시됨에 따라 다시 착신단말로 2차 비밀번호 입력 요구 메시지를 송출하고(S230), 착신 가입자로부터 2차 비밀번호가 입력되면(S240) 2차 비밀번호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여(S250) 호를 연결한다(S260).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발신번호의 표시를 위해 두개의 비밀번호를 적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착신 제어 서비스시 착신 가입자가 설정한 애칭을 표시하는 등 여러가지 방법에 의한 서비스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입자가 착신 제어 기능을 설정한 특정 번호에 대하여 착신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야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써, 전화 수신시 착신 가입자 이외의 타인이 전화를 받을 수 없도록 하여 가입자의 사생활이 보호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기지국 제어기, 교환기 및 가입자 정보와 부가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홈위치 등록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와 홈위치 등록기 사이에 접속되어 이동통신 가입자별 착신 제어 대상 발신번호 리스트와 상기 착신 제어 대상 발신번호에 대한 비밀번호를 착신 제어 서비스 가입자 DB에 저장하는 착신 제어 서비스 시스템을 더 구비하며,
    상기 홈위치 등록기는 이동통신 가입자의 상기 착신 제어 서비스 사용 여부를 포함하는 부가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고, 인터넷, PSTN망, 이동전화 기지국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발신단말로부터 이동통신 가입자의 착신단말로 호가 시도되면 상기 착신 가입자가 착신 제어 서비스 이용자인지를 확인하여 착신 제어 서비스 이용자인 경우 착신 제어 서비스 태그를 활성화하여 호 관련 정보를 착신측 교환기로 전송하고,
    상기 착신측 교환기는 상기 호 관련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착신 제어 서비스 시스템으로 상기 발신단말의 발신번호가 착신 제어 대상 발신번호로 등록되어 있는 지를 질의한 결과, 상기 발신번호가 착신 제어 대상 발신번호로 등록되어 있으면, 착신단말로 발신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착신 제어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착신측 교환기의 질의에 따라 상기 착신 교환기로 상기 발신번호가 착신 제어 대상 발신번호로 등록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전송한 후, 상기 발신번호가 착신 제어 대상 발신번호인 경우에는 상기 착신측 교환기가 상기 착신단말로 전달한 발신 신호에 따라 상기 착신 단말이 응답하면, 상기 착신측 교환기를 통해 상기 착신 단말로 비밀번호의 입력을 요구하고, 상기 착신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비밀번호와 상기 착신 제어 서비스 가입자 DB에 등록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호가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제어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제어 서비스 시스템은 이동통신 가입자가 일반 전화망, 인터넷, 이동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여, 가입자별로 착신 제어 통화를 원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신번호를 등록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신번호에 대해 동일하게 적용되는 대표 비밀번호와 발신번호별로 적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밀번호 중의 어느 하나를 등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제어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제어 서비스 시스템은 착신 제어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이동통신 가입자가 발신단말의 번호를 상기 이동통신 가입자의 착신단말에 표시하도록 하는 발신자 번호 표시 서비스 사용자인 경우, 착신 제어 대상 발신번호에 대해 1차 비밀번호와 2차 비밀번호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착신단말로부터 1차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발신번호를 표시하고, 다시 2차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호가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제어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시스템.
  4. 기지국 제어기, 교환기, 가입자 정보와 부가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홈위치 등록기, 및 착신 가입자가 발신번호와 비밀번호를 등록하고 등록된 발신번호로부터 호가 시도되면 등록된 비밀번호의 입력을 통해 호가 연결되도록 하는 착신 제어 서비스 시스템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통신 시스템의 착신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해 착신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호가 시도되면, 홈위치 등록기에서 상기 착신 가입자가 착신 제어 서비스를 사용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착신 가입자가 착신 제어 서비스를 사용하는 경우, 착신 제어 서비스 태그를 활성화하여 호 관련 정보를 착신측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착신측 교환기에서 착신 제어 서비스 시스템으로 발신번호가 착신 제어 대상 발신번호로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질의하는 단계와;
    상기 착신 제어 서비스 시스템에서 상기 질의에 따라 상기 착신측 교환기로 상기 발신번호가 착신 제어 대상 발신번호로 등록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착신측 교환기가 상기 착신 제어 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상기 발신번호가 착신 제어 대상 발신번호로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착신 단말로 발신 신호를 전달하고 착신 단말로부터 응답이 있으면, 상기 착신 제어 서비스 시스템이 상기 착신 단말로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요구하는 단계; 및
    상기 착신 단말로부터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착신 단말로부터 입력된 비밀번호가 착신 제어 서비스 가입자 DB에 등록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호를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착신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가입자로부터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비밀번호와 등록된 비밀번호의 일치여부를 판단하여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밀번호의 입력횟수를 초과하였는지를 판단하고 초과되지 않은 경우 비밀번호의 재입력을 요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착신 제어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기의 발신번호가 착신 제어 대상 발신번호로 등록되어 있는 경우, 착신 가입자에게 발신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는, 착신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발신번호를 표시하지 않고 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착신 제어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가입자로부터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착신 제어 서비스 시스템을 참조하여 입력된 비밀번호가 상기 착신 제어 서비스 시스템에 등록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착신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호를 연결하는 단계는,
    착신 가입자로부터 1차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비밀번호가 착신 제어 서비스 시스템에 등록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1차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착신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발신번호를 표시하고, 2차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요구하는 단계; 및
    상기 착신 가입자가 2차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입력된 비밀번호가 착신 제어 서비스 시스템에 등록된 비밀번호와 일치하여 일치하는 경우 착신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호를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착신 제어 방법.
KR1020030015044A 2003-03-11 2003-03-11 착신 제어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의 착신제어 방법 KR100933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5044A KR100933871B1 (ko) 2003-03-11 2003-03-11 착신 제어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의 착신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5044A KR100933871B1 (ko) 2003-03-11 2003-03-11 착신 제어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의 착신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0166A KR20040080166A (ko) 2004-09-18
KR100933871B1 true KR100933871B1 (ko) 2009-12-24

Family

ID=37364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5044A KR100933871B1 (ko) 2003-03-11 2003-03-11 착신 제어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의 착신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38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832B1 (ko) * 2004-10-07 2011-06-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비밀 메시지 수신 시스템 및이를 이용한 비밀 메시지 수신 방법
WO2007024040A1 (en) * 2005-08-25 2007-03-01 Betawave Co., Ltd. Wireless and wire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and using method
KR101437328B1 (ko) * 2008-06-19 2014-09-0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이동통신에서의 pca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0839A (ja) * 1996-12-25 1998-07-21 Nec Corp インテリジェント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0161129B1 (ko) * 1995-11-30 1998-12-01 유기범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비밀번호를 이용한 선택호 수용방법
JP2003264647A (ja) * 2002-03-11 2003-09-19 Nec Access Technica Ltd 通信制御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1129B1 (ko) * 1995-11-30 1998-12-01 유기범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비밀번호를 이용한 선택호 수용방법
JPH10190839A (ja) * 1996-12-25 1998-07-21 Nec Corp インテリジェント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2003264647A (ja) * 2002-03-11 2003-09-19 Nec Access Technica Ltd 通信制御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0166A (ko) 2004-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31430B2 (ja) 無線電話サービスにおける加入者への呼のルーティング方法
US620887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hibition of calls while roaming
CA2254393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alling number identification alias in a communications system
US7603108B2 (en) Automatic connection and access controls for communications devices
US6813347B2 (en) Selective call waiting
KR20010055782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선택적 착신 거부 방법
KR100785408B1 (ko) 발신자정보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01856B1 (ko) 이동통신망에서 위치기반 발신자 애칭 서비스 제공 방법
US5905944A (en) Secure communication of access information
KR100933871B1 (ko) 착신 제어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의 착신제어 방법
CN100423609C (zh) 一种接入移动通信装置的方法
US20050119021A1 (en) Telephone apparatus and method for call transfer function
KR20010045008A (ko)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727752B1 (ko) 착신 제한 번호 입력 방법
KR100628935B1 (ko) 선택적 착신 제한 서비스 방법
KR100603049B1 (ko) 레터링 서비스 방법
KR20010019047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부가 서비스 상태정보 제공방법
KR100466854B1 (ko) 잘못된 착신 전환 전화번호 등록시 단문 문자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132319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 전환 서비스 시스템
KR101187360B1 (ko) 발신 번호 변경 표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홈 위치 등록기
KR100498324B1 (ko) 착신 차단 방법
KR100271518B1 (ko) 음성메시징시스팀을 이용한 원격착신호전환서비스 방법
KR100978114B1 (ko) 사용자 기반의 호 대기 서비스 방법
KR20070015675A (ko) 착신 제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18082A (ko) 통화 연결 대기 중 발신자 단말로 착신자 정보를 제공하기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