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0945B1 - 외부열 차단이 가능한 심온센서 장치 - Google Patents

외부열 차단이 가능한 심온센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0945B1
KR102410945B1 KR1020220013969A KR20220013969A KR102410945B1 KR 102410945 B1 KR102410945 B1 KR 102410945B1 KR 1020220013969 A KR1020220013969 A KR 1020220013969A KR 20220013969 A KR20220013969 A KR 20220013969A KR 102410945 B1 KR102410945 B1 KR 102410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unit
main body
sim
temperatur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3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열
Original Assignee
테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테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13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09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0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0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8Protective devices, e.g. casings
    • G01K1/12Protective devices, e.g. casings for preventing damage due to heat overload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14Supports; Fastening devices; Arrangements for mounting thermometers in particular lo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7/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 G01K7/02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e.g. thermocoup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2207/00Application of thermometers in household appliances
    • G01K2207/02Application of thermometers in household appliances for measuring food tempera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Temperature Or Quantity Of Hea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열 차단이 가능한 심온센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조리장치의 조리실에 수용되는 조리 대상물의 내부에 꽂히는 프로브 및 상기 프로브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프로브에 가이드되어 상기 조리 대상물의 내부에 함께 꽂히는 본체부를 포함하는 측정가이드; 상기 측정가이드에 설치되고, 상기 측정가이드가 상기 조리 대상물의 내부에 꽂힐 시 상기 조리 대상물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심온센서부; 상기 본체부에 접촉되고, 상기 심온센서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선의 일정영역을 내부에 매립시켜 보호하는 보호부; 및 상기 보호부의 외주연에 장착되는 단열 재질의 바디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외부열 차단이 가능한 심온센서 장치{INTERNAL TEMPERATURE SENSOR DEVICE THAT BLOCK EXTERNAL HEAT}
본 발명은 오븐과 같은 조리장치의 내부 조리실에서 오븐 대류 열이 심온 열전대에 영향을 받지 않고, 조리 대상물의 순수한 심온 온도만 측정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조리장치의 조리실에서 발생되는 대류열을 차단하여 직접, 간접 열이 심온 조리 대상물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함으로써, 조리 대상물이 설 익는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외부열 차단이 가능한 심온센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용 오븐은 가스식이든 전기식이든 밀폐된 조리실 내에 조리 대상물을 넣고 고온에서 굽거나, 찌는 등 조리 대상물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선택 제어하여 조리하거나, 냉동식품을 해동하는데도 사 용되는 등 요식업소 또는 가정에서 요리하는 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조리용 오븐은 사용자가 온도와 조리시간을 설정한 후 조리버튼을 누르면, 오븐의 내부온도를 설정된 시 간동안 설정된 온도로 유지되도록 가스를 점화 또는 전기 히터를 가열시킴으로 수납된 조리 대상물이 가열된다.
조리과정에 발생하는 변수는 스팀, 콤비, 컨벡션 조리모드에 따라 조건이 다르고, 음식을 담는 밧드(용기) 재질 특성에 따라 열량과 증기량이 다르며, 식재료에 따라 두께에 따라 조리 완숙시간도 달라진다.
밀폐공간의 히터나 열교환기에 의해 발생되는 열 에너지를 열풍 팬으로 강제로 대류시켜 음식물의 익힘정도를 시간 설정으로 조리를 진행하는 것은 한계에 극한 된다.
그리고, 종래 오븐의 심온 조리 문제점을 더 살표보면, 심온센서의 몸체와 측정부의 사이에 단열장치가 없어 열원의 대류 복사열이 온도센서 프로브(11) 몸체를 통해 심온 측정부에 전도되어 조리물 심부의 온도 측정 값에 외부 열이 인가되어, 조리 내용물이 완숙되지 않는 역 효과가 문제가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단열기능이 없는 심온센서를 조리 물에 삽입하여 음식물 온도를 측정함으로서 내부열원이 센서 몸체에 열이 전도되어 온도가 상승하여 조리물의 현재 측정값이 아닌 대류 열에 의하여, 심온 측정값이 변경 됨으로서 조리 내용물이 덜 익거나 맛이 변질되거나, 변색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오븐 조리는 조리완숙 정도를 높이기 위해, 조리하기 전에 밀폐된 공간에서 고온으로, 예열 운전 단계를 진행 후 조리를 시작한다. 따라서 오븐 조리환경이 고온 상태이고, 그 열이 심온 열 전도체에 전가되어, 심온 조리설정 온도값 보다 현재 온도값이 커짐으로써, 사실상 심온 조리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발생하고, 종종 심온 센서 열 감지부를 물에 식히고, 조리물에 삽입하여 조리운전을 시도하는 사례가 빈번하다.
아울러, 조리자가 의도하는 온도, 증기, 시간 등을 설정에 관한 요구가 아닌 음식물 속 질감의 익힘정도가 다르게 나타나는 현상이 자주발생하고, 식중독 문제도 제시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밀폐된 공간의 히터와 열교환 장치에 의한 열원을 조리물에 열전도 방식은 강제 대류에 의한 열풍 공기의 흐름과 증기압를 통해서 식재료에 열 전도를 이동시키는데, 조리대상의 결합조직의 점도가 높은 고기류는 열 흡수가 원활하지못하여 열이 고루 전달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고, 반면 결합조직이 약한 밀가루 전분조리와 같은 식재료는 열 흡수가 잘되어 비교적 짧은시간에 익는다. 이와같은 강제 대류열에 의한 조리환경 변수에 대응하여 조리 온도, 시간설정 대신 조리물의 익힘 정도를 판별하기 위하여 조리물 중앙심부에 삽입 정확한 심온을 측정하여 조리 내용물이 충분히 완숙되도록 하는 심온조리 제어기술과 기구적 발명이 요구된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91380호
본 발명은, 오븐과 같은 조리장치의 조리실에 적용되는 심온센서의 본체와 심온센서 사이를 연결하는 면과 면사이에 단열재를 장착하여, 조리실에서 발생하는 열원의 복사열이 심온센서에 흡수될 수 없게 차단함은 물론, 조리 대상물의 중심부 심온의 정확한 측정을 실현함으로써, 조리 대상물이 충분히 완숙되도록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조리 대상물을 최상의 맛으로 조리할 수 있는 외부열 차단이 가능한 심온센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리 대상물의 두께에 따라 심온센서 본체의 노출길이를 가변하여 조리 대상물에 삽입함에 따라, 조리장치의 조리실에서 발생되는 내열의 복사열이 심온센서 본체나 심온센서에 가해지지 않게 차단함으로써, 조리 대상물이 충분히 완숙되도록 할 수 있고, 이로 인해서도 조리 대상물을 최상의 맛으로 조리할 수 있는 외부열 차단이 가능한 심온센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심온센서 본체의 노출길이를 가변하기 위해 가변부가 작동할 때, 잠금부가 가변부를 가압함으로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가변부의 회전방향이나 회전회수에 따라 잠금부의 압축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외부열 차단이 가능한 심온센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품을 미사용시 안정적으로 홀딩시킨 상태로 보관하여 심온센서에 외부열이나 조리실의 열이 전도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심온조리가 되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공기중에 떠도는 곰팡이 균과 각종 미생물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외부열 차단이 가능한 심온센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심온센서 본체에 조리 대상물의 내부에 정착될 수 있는 정착수단을 적용하여, 조리 대상물을 가열하는 과정에서 심온센서몸체가 조리 대상물에서 빠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외부열 차단이 가능한 심온센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심온센서 본체의 표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자동으로 깨끗하게 제거하여 청결한 사용이 가능하며, 이로 인해 취식자의 건강 안전을 지켜줄 수 있는 외부열 차단이 가능한 심온센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열 차단이 가능한 심온센서 장치는, 조리장치의 조리실에 수용되는 조리 대상물의 내부에 꽂히는 프로브 및 상기 프로브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프로브에 가이드되어 상기 조리 대상물의 내부에 함께 꽂히는 본체부를 포함하는 측정가이드; 상기 측정가이드에 설치되고, 상기 측정가이드가 상기 조리 대상물의 내부에 꽂힐 시 상기 조리 대상물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심온센서부; 상기 본체부에 접촉되고, 상기 심온센서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선의 일정영역을 내부에 매립시켜 보호하는 보호부; 및 상기 보호부의 외주연에 장착되는 단열 재질의 바디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보호부의 일측에는 상기 본체부의 일정영역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갖는 단열 재질의 볼트부가 형성되고, 상기 볼트부의 일단에는 서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구조로 상기 본체부의 외면에 접촉되는 잠금부가 형성되며,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는 내주연에 상기 볼트부를 따라 양방으로 이동하는 나선이 형성된 위치 이동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호부의 끝단에는 상기 바디부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볼트부에 체결되면서 상기 본체부의 일정영역을 감싸고,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볼트부를 따라 양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본체부의 노출길이를 가변시키면서 상기 잠금부의 압축강도를 가변하는 가변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바디부와 볼트부와 가변부 및 상기 보호부는 단열성인 세라믹 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측정가이드와 가변부 및 위치 이동부가 수용되는 보관공간을 갖는 단열재질의 보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관부에는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체결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홀에 각각 체결되는 고정볼트부; 상기 고정볼트부에 결합되고 상기 체결홀에 수용되는 코일스프링; 상기 코일스프링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볼트부가 상기 체결홀에 체결됨으로 인해 따라 상기 위치 이동부를 가압하는 가압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 이동부에는 상기 가압볼이 수용된 상태로 가압하도록 가압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잠금부는, 경사부 및 경사부의 끝단에서 하 방향으로 수직절곡되는 수직부를 포함하는 제1 부재; 상기 수직부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며 상기 본체부의 외면에 접촉되는 제2 부재; 상기 제2 부재의 끝단에서 상 방향으로 수직절곡되는 제3 부재; 및 상기 제3 부재의 상단에서 상기 볼트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되고, 상기 경사부의 상면과 소정간격 이격되는 제4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부의 내주연에는 상기 가변부가 상기 볼트부에 체결되는 방향으로 회전될 시 상기 제4 부재를 점진적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제4 부재와 대응되게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압면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4 부재는 상기 가압면부에 가압될 시 탄성력을 통해 상기 가압면부를 가압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에 장착되며, 상기 조리 대상물의 내부에 삽입되어 정착되는 정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착부는, 상기 본체부의 장착되고, 전측과 후측에 사각형 형상의 제1 홀이 각각 형성되고, 좌측과 우측에 상기 부가 정착부가 체결되는 체결홀 및 상기 체결홀의 하측에 연결형성되며 상기 앙카부를 상기 조리 대상물로 돌출시키는 제2 홀이 형성된 장착링; 상기 장착링의 하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삽입날; 및 상기 제1 홀에 수직, 수평방향으로 서로 교차되게 배열되는 수직부 및 수평부를 포함하여, 상기 조리 대상물이 삽입될 수 있는 복수개의 삽입공간이 구획되게 형성된 격자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정착부에 결합되며, 상기 정착부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조리 대상물의 내면으로 삽입되는 앙카부를 포함하는 부가 정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가 정착부는, 상기 체결홀을 통과하여 상기 제2 홀에 수용되고, 상면에 'ㅗ'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회전가이드홈이 형성된 삽입부; 및 상기 체결홀에 체결되어 상기 삽입부를 상기 제2 홀에 수용시키고, 상기 회전가이드홈에서 제자리 회전되는 'ㅗ'자 단면 형상의 회전체를 갖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앙카부는, 상기 삽입부의 외면에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체결홀을 통과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삽입부의 외면에 밀착되고, 상기 제2 홀에 위치될 시 탄성력에 의해 상기 장착링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조리 대상물의 내부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조리 대상물의 내부 온도를 측정한 이후에 상기 측정가이드의 외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마련되는 이물질 제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물질 제거부는, 상기 본체부를 스크래핑하는 제1 제거부재; 및 상기 제1 제거부재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부에 존재하는 잔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2 제거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제거부재는, 통과홀을 갖는 통과가이드; 상기 통과홀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부의 외주연을 스크래핑 하기 위해 마련되는 스크래핑날; 상기 바디부의 외주연에 장착되고 상기 측정가이드를 상기 스크래핑날의 전방에 배치시키는 클램프; 상기 클램프의 저면에 설치되고, 상기 클램프를 전,후진 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이동판; 상기 본체부의 외주연이 상기 스크래핑날에 의해 반복적으로 스크래핑되도록 상기 이동판을 반복적으로 전,후진 시키는 전,후진 실린더;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제거부재는, 상기 바디부가 수직상태로 제자리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위치 이동부의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바디부의 외주연에 장착되는 피동기어, 상기 바디부의 회전속도비를 감속하기 위해 상기 피동기어에 치합되는 중간기어와, 상기 중간기어에 치합되는 구동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를 기 설정된 시간 및 기설정된 각도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본체부의 전,후,좌,우측에 각각 배치되고, 둘레면에 수평바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회전체; 상기 수평바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에 접촉되는 브러쉬; 상기 브러쉬가 상기 본체부를 클리닝하도록 상기 회전체를 제자리 회전시키는 제2 모터; 상기 브러쉬가 클리닝 작동 할 시 상기 본체부에 진동이 발생되도록 상기 회전체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바이브레이터; 및 상기 브러쉬가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클리닝하도록 상기 제2 모터를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를 포함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오븐과 같은 조리장치의 조리실에 적용되는 심온센서의 본체와 심온센서 사이를 연결하는 면과 면사이에 단열재를 장착하여, 조리실에서 발생하는 열원의 복사열이 심온센서에 흡수될 수 없게 차단함은 물론, 조리 대상물의 중심부 심온의 정확한 측정을 실현함으로써, 조리 대상물이 충분히 완숙되도록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조리 대상물을 최상의 맛으로 조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조리 대상물의 두께에 따라 심온센서 본체의 노출길이를 가변하여 조리 대상물에 삽입함에 따라, 조리장치의 조리실에서 발생되는 내열의 복사열이 심온센서 본체나 심온센서에 가해지지 않게 차단함으로써, 조리 대상물이 충분히 완숙되도록 할 수 있고, 이로 인해서도 조리 대상물을 최상의 맛으로 조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심온센서 본체의 노출길이를 가변하기 위해 가변부가 작동할 때, 잠금부가 가변부를 가압함으로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가변부의 회전방향이나 회전회수에 따라 잠금부의 압축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품을 미사용시 안정적으로 홀딩시킨 상태로 보관하여 심온센서에 외부열이나 조리실의 열이 전도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심온조리가 되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공기중에 떠도는 곰팡이 균과 각종 미생물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심온센서 본체에 조리 대상물의 내부에 정착될 수 있는 정착수단을 적용하여, 조리 대상물을 가열하는 과정에서 심온센서몸체가 조리 대상물에서 빠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심온센서 본체의 표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자동으로 깨끗하게 제거하여 청결한 사용이 가능하며, 이로 인해 취식자의 건강을 지켜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열 차단이 가능한 심온센서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열 차단이 가능한 심온센서 장치를 도시한 부분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열 차단이 가능한 심온센서 장치의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열 차단이 가능한 심온센서 장치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열 차단이 가능한 심온센서 장치에 적용된 가변부 및 잠금부의 상호 작용을 도시한 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열 차단이 가능한 심온센서 장치에 적용된 가변부를 통해 조리 대상물의 두께에 따라 본체부의 노출길이를 가변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열 차단이 가능한 심온센서 장치에 적용된 보관부를 도시한 반단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열 차단이 가능한 심온센서 장치에 적용된 보관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열 차단이 가능한 심온센서 장치에 적용된 정착부 및 부가 정착부를 도시한 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열 차단이 가능한 심온센서 장치에 적용된 정착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열 차단이 가능한 심온센서 장치에 적용된 부가 정착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열 차단이 가능한 심온센서 장치에 적용된 제1 제거부재를 도시한 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열 차단이 가능한 심온센서 장치에 적용된 제2 제거부재를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열 차단이 가능한 심온센서 장치에 적용된 제2 제거부재를 도시한 정면도.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열 차단이 가능한 심온센서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열 차단이 가능한 심온센서 장치를 도시한 부분 분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열 차단이 가능한 심온센서 장치의 결합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열 차단이 가능한 심온센서 장치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열 차단이 가능한 심온센서 장치에 적용된 가변부 및 잠금부의 상호 작용을 도시한 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열 차단이 가능한 심온센서 장치에 적용된 가변부를 통해 조리 대상물의 두께에 따라 본체부의 노출길이를 가변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열 차단이 가능한 심온센서 장치에 적용된 보관부를 도시한 반단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열 차단이 가능한 심온센서 장치에 적용된 보관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열 차단이 가능한 심온센서 장치(1)는, 오븐과 같은 조리장치의 내부 조리실에서 오븐 대류 열이 심온 열전대에 영향을 받지 않고, 조리 대상물(2)의 순수한 심온 온도만 측정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조리장치의 조리실에서 발생되는 대류열을 차단하여 직접, 간접 열이 심온 조리 대상물(2)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함으로써, 조리 대상물(2)이 설 익는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발명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열 차단이 가능한 심온센서 장치(1)는 측정가이드와, 심온센서부(20)와, 보호부(30)와, 바디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가이드는 프로브(11) 및 본체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브(11)는 대략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끝부분이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프로브(11)는 조리실에 위치한 조리 대상물(2)을 용이하게 관통하여, 조리 대상물(2)의 내부 중심에 위치할 수 있다.
본체부(12)는 프로브(11)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12)는 전체가 동일한 외경을 갖는 원형 바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부(12)는 프로브(11)에 가이드되어 조리 대상물(2)의 내부에 함께 꽂히게 된다.
본체부(12)의 내부에는 후술되는 심온센서부(20) 및 심온센서부(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선(3)이 매립되도록 빈 공간이 형성된다.
프로브(11)는 후술되는 심온센서부(20)에 조리 대상물(2)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전달하도록 열 전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체부(12)의 재질은 일 예로 스테인리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심온센서부(20)는 본체부(12) 중에서 프로브(11)와 접하는 끝단 내부에 매립된다.
심온센서부(20)는 측정가이드가 조리 대상물(2)의 내부에 꽂힐 시 조리 대상물(2)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것으로서, 심온센서부(20)를 통해 육류와 같이 두께가 있는 조리 대상물(2)의 내부까지 열이 충분히 전달되어, 고르게 익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조리를 시작하기 전에 심온센서부(20)를 조리 대상물(2)에 꽂아 조리를 진행할 수도 있다.
심온센서부(20)는 조리 대상물(2)의 중심온도를 근거로 하여 조리할 수 있도록 조리 대상물(2)의 내부 온도를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제어부(미도시)에 출력할 수 있다.
심온센서부(20)에 의해 조리 대상물(2) 내부의 중심온도를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제어부에 출력함에 따라, 음식물의 중심온도를 바탕으로 하여 제어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조리 대상물(2)을 최적의 조리 조건에서 조리할 수 있다.
보호부(30)는 끝단이 본체부(12)의 끝단과 일체로 연결된다.
보호부(30)는 심온센서부(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선(3)을 매립시켜 보호한다.
즉, 전선(3)의 일정영역은 보호부(30)의 내부에 수용되고, 다른 일정영역은 보호부(30)의 내부에 매립되며, 다른 일정영역은 전선보호 스틸망(33)에 매립된다.
이때, 전선(3)은 심온센서부(20)에 전원을 인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보호부(30)의 일측에는 단열 재질의 볼트부(31)가 일체로 형성된다.
볼트부(31)의 내부에는 본체부(12)의 일정영역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볼트부(31)의 외주연에는 바디부(40) 및 후술되는 가변부(60)의 위치 이동을 가능케 하기 위한 나선이 형성된다.
나선으로 인해 바디부(40) 및 가변부(60)의 위치 이동이 가능해져 본체부(12)의 노출길이를 가변할 수 있다.
본체부(12)의 노출길이를 가변하는 내용에 대해서는 추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부가적으로, 볼트부(31)의 일단에는 복수개의 잠금부(50)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잠금부(50)는 판스프링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잠금부(50)는 경사부(511) 및 경사부(511)의 끝단에서 하 방향으로 수직절곡되는 수직부(512)를 포함하는 제1 부재(51)와, 수직부(512)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며 상기 본체부(12)의 외면에 접촉되는 제2 부재(52)와, 제2 부재(52)의 끝단에서 상 방향으로 수직절곡되는 제3 부재(53)와, 제3 부재(53)의 상단에서 볼트부(31)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되고, 경사부(511)의 상면과 소정간격 이격되는 제4 부재(54)와, 제4 부재(54)의 상단에서 하 방향으로 수직, 수평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절곡되는 제5 부재(55) 및 제5 부재(55)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며 볼트부(31)의 끝단에 형성된 링 형상의 장착구(311)에 볼트나 피스로 결합되는 제6 부재(5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잠금부(50)는 본체부(12)의 외면에 접촉된 상태로 가변부(60)를 본체부(12)에 안정적으로 정착시키는 것으로, 이하 설명하는 가변부(60)와 함께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가변부(60)는 내주연에 일정길이의 나선이 형성되어 볼트부(31)에 체결될 수 있다.
가변부(60)는 볼트부(31)에 체결될 시 본체부(12)의 일정영역을 감싼다.
가변부(60)는 정방향 또는 역방향에 회전에 따라 볼트부(31)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되어 본체부(12)의 노출길이를 가변시킨다.
이하, 도 및 도 를 참고하여 가변부(60) 및 위치 이동부(41)의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 대상물(2)의 두께가 비교적 두꺼운 경우, 프로브(11)를 조리 대상물(2)의 내부 중심까지 위치시키려면 본체부(12)의 노출길이가 길어야 한다.
따라서, 가변부(60) 및 위치 이동부(41)를 각각 정방향인 볼트부(31)에 체결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가변부(60) 및 위치 이동부(41)를 프로브(11)와 멀어지도록 함으로써, 본체부(12)의 노출길이가 길어지도록 하면 된다. 그리고 본체부(12)의 노출길이를 길게 조절한 한 다음에는 프로브(11)와 본체부(12)를 조리 대상물(2)의 내부에 꽂으면 된다.
프로브(11)와 본체부(12)를 조리 대상물(2)의 내부에 꽂으면 가변부(60)가 조리 대상물(2)에 걸리게 됨으로 프로브(11)가 조리 대상물(2)의 내부 중심 보다 깊게 꽂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체부(12)의 조리 대상물(2)의 외부로 노출되는 영역이 많을수록 조리 대상물(2)의 심온측정 값이 조리실의 가열연의 온도 측정값과 같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열 차단이 가능한 심온센서 장치(1)는 본체부(12)의 노출영역이 조리 대상물(2)에 완전히 삽입되도록 하여 조리실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에 따라, 심온센서부(20)가 조리 대상물(2)의 내부 온도만을 정확하게 측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가변부(60)의 내주연에는 제4 부재(54)와 대응되게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압면부(61)가 형성된다.
가압면부(61)는 가변부(60)가 볼트부(31)에 체결되는 방향으로 회전될 시 제4 부재(54)를 점진적으로 가압한다. 그리고, 제4 부재(54)는 가압면부(61)에 가압될 시 장력과 탄성력을 통해 가압면부(61)를 가압하여 가변부(60)에 고정력을 부여한다.
다음으로, 도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 대상물(2)의 두께가 비교적 얇은 경우, 도 와 같이 본체부(12)가 많이 노출된 상태에서 상태로 프로브(11)와 본체부(12)를 조리 대상물(2)의 내부에 꽂을 경우, 프로브(11)가 얇은 두께의 조리 대상물(2)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거나 또는, 프로브(11)가 조리 대상물(2)의 내부 중심 보다 깊게 꽂힐 수 있다.
따라서, 가변부(60) 및 이동부를 각각 역방향인 볼트부(31)에서 해제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가변부(60) 및 위치 이동부(41)를 프로브(11)와 가까워지도록 함으로써, 본체부(12)의 노출길이가 짧아지도록 하면 된다. 그리고, 본체부(12)의 노출길이를 짧게 조절한 다음에는 프로브(11)와 본체부(12)를 조리 대상물(2)의 내부에 꽂으면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프로브(11)와 본체부(12)를 조리 대상물(2)의 내부에 꽂으면 가변부(60)가 조리 대상물(2)에 걸리게 됨으로 프로브(11)가 조리 대상물(2)의 내부 중심 보다 깊게 꽂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가변부(60) 및 위치 이동부(41)를 통해 프로브(11)를 조리 대상물(2)의 내부 중심에 위치시켜 정확한 중심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가변부(60)가 볼트부(31)에서 해제되는 방향으로 회전될 시 제4 부재(54)에 대한 가압면부(61)에 압축 강도가 약해지게 된다.
따라서, 가압면부(61)에 대한 제4 부재(54)의 가압력이 약해짐에 따라, 다른 조리 대상물(2)에 측정가이드를 꽂기 위해 가변부(60)를 회전 작동시킬 시, 그 회전 제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바디부(40)는 보호부(30)의 외주연에 장착된다.
바디부(40)는 조리실에서 발생하는 내열의 복사열이 심온센서부(20)에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단열 재질로 형성된다.
바디부(40)는 일 예로 단열성이 우수한 스텐레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40)는 본체부(12)의 일정영역과 보호부(30)의 일정영역을 감싸기 때문에 조리장치의 조리실에서 발생되는 대류열이 심온센서부(20)에 영향을 끼치지 아니하도록 차단한다.
바디부(40)의 일측에는 내주연에 나선이 형성된 위치 이동부(41)가 일체로 형성된다.
위치 이동부(41)의 나선은 볼트부(31)의 나선에 체결된다.
따라서, 위치 이동부(41)는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따라 볼트부(31)의 나선을 따라 이동한다.
바디부(40)는 위치 이동부(41)와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위치 이동부(41)가 볼트부(31)의 나선을 따라 이동할 시 바디부(40)는 보호부(30)를 따라 양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보호부(30)의 끝단에는 바디부(40)가 보호부(30)에서 너무 과도하게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32)가 일체로 형성된다.
스토퍼(32)는 보호부(30) 및 바디부(40)보다 끝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바디부(4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를 기준으로 좌측으로 이동하다가 스토퍼(32)에 걸려 그 이동이 제한된다.
이상 설명한 바디부(40)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형성되고, 볼트부(31)와 가변부(60) 및 보호부(30)는 단열성인 세라믹 재질로 형성된다. 세라믹은 열전도율이 가장 낮은 금속이기 때문에 조리실에서 측정가이드와 심온센서부(20)로 인가되는 대류열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열 차단이 가능한 심온센서 장치(1)는, 이러한 보호부(30)와, 바디부(40)와, 볼트부(31)와, 가변부(60)의 구성을 통해 조리실에서 발생하는 내열의 복사열이 심온센서부(20)에 가해지지 않게 차단함은 물론, 조리 대상물(2)의 중심부 심온의 정확한 측정을 실현함으로써, 조리 대상물(2)이 충분히 완숙되도록 할 수 있고, 결국 조리 대상물(2)을 최상의 맛으로 조리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열 차단이 가능한 심온센서 장치(1)에 적용된 보관부(70)와, 고정볼트부(80)와, 코일스프링(90) 및 가압볼(100)에 대해 설명한다.
보관부(7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열 차단이 가능한 심온센서 장치(1)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심온센서부(20)가 조리실의 고온 및 외부열과 차단된 상태가 되도록 보관해야 한다. 이는 심온센서부(20)를 비롯하여 측정가이드, 가변부(60), 위치 이동부(41) 등이 조리실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할 경우, 조리실의 고온의 열이 심온센서부(20)와, 측정가이드, 가변부(60), 위치 이동부(41)에 전가되어 조리실의 심온 조리설정 온도값보다 심온센서부(20)가 측정하는 현재 온도값이 커짐으로써, 심온조리를 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적용되는 보관부(70)는 기본적으로 단열재질로 형성된다.
일 예로, 보관부(70)의 재질은 스테인리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보관부(70)의 내부에는 일면이 개방된 구조로서, 측정가이드부와, 가변부(60) 및 위치 이동부(41)가 보관되는 보관공간(71a)을 갖는 하우징(71)이 일체로 형성된다.
하우징(71)은 단열성이 우수한 세라믹 재질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측정가이드부와 가변부(60) 및 위치 이동부(41)가 외부열에 의해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하우징(71)의 보관공간(71a)에 측정가이드부와, 가변부(60) 및 위치 이동부(41)를 보관함으로써, 공기중에 떠도는 곰팡이 균과 각종 미생물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관부(70)의 상면과 저면에는 관통홀(70a)이 각각 형성되고, 하우징(71)의 상면과 저면에는 관통홀(70a)과 연결되는 체결홀(71b)이 각각 형성된다.
고정볼트부(80)는 2개 한쌍으로 구성되어 보관부(70)의 상면과 저면에서 각각 관통홀(70a)을 통과하여 체결홀(71b)에 체결된다.
코일스프링(90)은 고정볼트부(80)의 끝단에 각각 결합된다.
그리고, 코일스프링(90)은 체결홀(71b)에 수용된다.
가압볼(100)은 코일스프링(90)의 끝단에 결합된다. 가압볼(100)은 고정볼트부(80)가 체결홀(71b)에 체결됨에 따라 위치 이동부(41)의 둘레면에 형성된 가압홈(411)에 수용되면서 위치 이동부(41)를 가압한다.
가압볼(100)이 위치 이동부(41)의 상면과 저면을 가압하여 안정적으로 고정함에 따라, 측정가이드와, 가변부(60) 및 위치 이동부(41)가 하우징(71)에서 불필요하게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조리 대상물(2)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고자 할 경우, 고정볼트부(80)를 체결홀(71b)에서 해제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위치 이동부(41)에 대한 가압볼(100)의 가압력이 해제되기 때문에 측정가이드와, 가변부(60) 및 위치 이동부(41)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물론, 측정가이드와, 가변부(60) 및 위치 이동부(41)를 보관공간(71a)에 보관하고자 할 경우에는 고정볼트부(80)를 체결홀(71b)에 체결하기만 하면 가압볼(100)이 위치 이동부(41)를 가압하기 때문에 고정작업도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특히, 하우징(71)은 세라믹 단열재질로 형성되고, 보관공간(71a)은 밀폐된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보관공간(71a)에 측정가이드, 가변부(60), 위치 이동부(41)를 보관하면 심온센서부(20)를 비롯한 측정가이드와, 가변부(60) 및 위치 이동부(41)에 외부열이나 조리실의 열이 전도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심온조리가 되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 및 도 1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열 차단이 가능한 심온센서 장치(1)에 적용된 정착부(110) 및 부가 정착부(12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열 차단이 가능한 심온센서 장치에 적용된 정착부 및 부가 정착부를 도시한 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열 차단이 가능한 심온센서 장치에 적용된 정착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열 차단이 가능한 심온센서 장치에 적용된 부가 정착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정착부(110)는 조리 대상물(2)의 내부에 삽입되어 정착됨에 따라, 조리시간 동안 측정가이드가 조리 대상물(2)에 꽂혀져 있는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켜 준다.
이를 위해 정착부(110)는 장착링(111)과, 삽입날(112) 및 격자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링(111)은 중공을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본체부(12)의 외주연에 장착될 수 있다.
장착링(111)은 본체부(12)와 함께 조리 대상물(2)의 내부로 삽입된다.
장착링(111)의 전측과 후측에는 제1 홀(111a)이 각각 형성된다.
제1 홀(111a)에는 격자부(113)가 적용되는 것으로, 제1 홀(111a)은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장착링(111)의 좌측과 우측에는 부가 정착부(120)가 체결되는 체결홀(111b)이 형성된다.
또한, 체결홀(111b)의 하측에는 부가 정착부(120)의 앙카부(123)를 조리 대상물(2)로 돌출시키는 제2 홀(111c)이 형성된다.
삽입날(112)은 장착링(111)의 하측에 일체로 형성된다. 삽입날(112)은 본체부(12)의 외주연에 장착되도록 중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날(112)은 장착링(111)에 선행하여 조리 대상물(2)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으로,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삽입날(112)의 하단 즉, 조리 대상물(2)과 최초 접하는 부분은 조리 대상물(2)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날카로운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장착링(111)은 삽입날(112)에 가이드되어 조리 대상물(2)의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격자부(113)는 제1 홀(111a)에 수직, 수평방향으로 서로 교차되고 형성되는 수직부(1131) 및 수평부(1132)를 포함하여 격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수직부(1131)와 수평부(1132)로 인해 격자부(113)에는 서로 구획되는 복수개의 삽입공간(113a)이 형성된다.
따라서, 육류와 같은 조리 대상물(2)에 장착링(111)과 삽입날(112)을 삽입하면 가열전 조리 대상물(2)(육류)의 내부 일정부분이 삽입공간(113a)마다 삽입된다.
이로 인해, 측정가이드부를 조리 대상물(2)에 정착시켜 조리시간 동안 측정가이드가 조리 대상물(2)에 꽂혀져 있는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켜 줄 수 있다.
부가 정착부(120)는 결합되는 것으로, 삽입부(121)와, 체결부(122) 및 제2 홀(111c)을 통해 정착부(110)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조리 대상물(2)의 내면으로 삽입되는 앙카부(123)를 포함한다.
삽입부(121)는 전체가 동일한 외경을 갖는 원형 바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121)는 체결홀(111b)을 통과하여 제2 수용홀에 수용된다.
삽입부(121)의 상면에는 대략 'ㅗ'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회전가이드홈(121a)이 형성된다.
체결부(122)는 외주연에 나선이 형성된 볼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체결부(122)는 체결홀(111b)에 체결되어 삽입부(121)를 제2 홀(111c)에 수용시킨다.
그리고, 체결부(122)의 저면에는 'ㅗ'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회전체가 형성된다.
회전체는 회전가이드홈(121a)에 수용된다.
따라서, 체결부(122)를 회전시켜 체결홀(111b)에 체결시키면 회전체가 회전가이드홈(121a)에서 제자리 회전된다. 이로 인해 삽입부(121)는 회전하지 아니하고 제2 홀(111c)에 수용된다.
앙카부(123)는 삽입부(121)의 외면에 경사지게 형성된다.
앙카부(123)는 삽입부(121)에 고정되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삽입부(121)와 점진적으로 멀어지는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앙카부(123)는 조리 대상물(2)에 용이하게 꽂힐 수 있도록 송곳과 같이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앙카부(123)의 저면(1231)은 조리 대상물(2)의 내부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칼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앙카부(123)는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체결홀(111b)을 통과하는 과정에서는 체결홀(111b)의 내벽면에 가압되어 삽입부(121)의 외면에 밀착된다.
그리고, 앙카부(123)는 제2 홀(111c)에 위치될 시 아무런 가압을 받지 않게 되어, 탄성력에 의해 삽입부(121)에 벌어진다.
따라서, 앙카부(123)는 장착링(111)의 외부로 돌출되어 조리 대상물(2)의 내부에 경사진 형태로 삽입된다.
이러한 정착부(110) 및 부가 정착부(120)를 통해 측정가이드를 조리 대상물(2)의 내부에 2중으로 정착시켜 측정가이드부를 조리 대상물(2)에 정착시켜 조리시간 동안 측정가이드가 조리 대상물(2)에 꽂혀져 있는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시켜 줄 수 있다.
이때, 삽입부(121)는 체결홀(111b)을 통해 제2 홀(111c)에 수용되지 않고, 도 12를 기준으로 제2 홀(111c)의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이동되어 제2 홀(111c)의 내부에 수용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13 내지 도 1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열 차단이 가능한 심온센서 장치(1)에 적용된 이물질 제거부(13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열 차단이 가능한 심온센서 장치에 적용된 제1 제거부재를 도시한 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열 차단이 가능한 심온센서 장치에 적용된 제2 제거부재를 평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열 차단이 가능한 심온센서 장치에 적용된 제2 제거부재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물질 제거부(130)는 조리 대상물(2)의 내부 온도를 측정한 이후에 본체부(12)의 외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여, 새롭게 측정하기 위한 조리 대상물(2)에 이물질이 묻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이물질 제거부(130)는 본체부(12)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2번에 걸쳐 제거한다.
이를 위해 이물질 제거부(130)는 본체부(12)를 스크래핑하는 제1 제거부재(131) 및 제1 제거부재(131)의 일측에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본체부(12)에 존재하는 잔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2 제거부재(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거부재(131)는 통과가이드(1311)와, 스크래핑날(1312)과, 클램프(1313)와, 이동판(1314) 및 전,후진 실린더(1315)를 포함할 수 있다.
통과가이드(1311)는 대략 다각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통과가이드(1311)는 조리장치의 상면이나 씽크대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통과가이드(1311)는 본체부(12)를 통과시키며 스크래핑날(1312)이 설치되는 통과홀(1311a)을 갖는다.
스크래핑날(1312)은 통과홀(1311a)의 내주연에 설치된다.
스크래핑날(1312)은 본체부(12)를 통과시키도록 중공을 갖는다.
즉, 스크래핑날(1312)은 본체부(12)를 감싸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스크래핑날(1312)은은 본체부(12)의 외주연을 스크래핑할 수 있도록 본체부(12)에 접촉되는 끝부분이 날카로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클램프(1313)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바디부(40)의 외주연에 장착된다,
클램프(1313)에 바디부(40)가 고정되면 측정가이드가 스크래핑날(1312)의 전방에 배치된다.
이동판(1314)은 클램프(1313)의 저면에 결합된다. 이동판(1314)은 클램프(1313)를 전,후진 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전,후진 실린더(1315)는 리니어 실린더 또는 로드레스 실린더로 형성된다.
전,후진 실린더(1315)의 피스톤의 상면에는 이동판(1314)이 전도된 상태로 결합된다.
전,후진 실린더(1315)는 이동판(1314)을 반복적으로 전,후진 시킨다.
따라서, 본체부(12)는 도 를 기준으로 이동판(1314)의 우측과 좌측을 왕복이동 된다.
본체부(12)는 그 둘레면이 왕복이동 과정에서 스크래핑날(1312)에 의해 반복적으로 스크래핑 된다. 결국, 본체부(12)의 외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이 스크래핑날(1312)에 의해 제거된다.
프로브(11)는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스크래핑날(1312)에 의해 스크래핑 되지 못한다.
프로브(11)는 본체부(12)보다 많이 짧은 길이로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수건으로 본체부(12)의 끝부분을 닦아내면 된다.
한편, 제2 제거부재(132)는 지지부(1321)와, 구동부(1322)와, 회전체와, 브러쉬(1324)와, 제2 모터(1325)와, 바이브레이터(1326) 및 승강실린더(1327)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321)는 중공을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지지부(1321)는 바디부(40)가 수직상태로 제자리 회전가능하게 수용된다.
지지부(1321)는 조리장치의 상면이나 씽크대의 상면에 고정되며, 대략 'ㄱ'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블록(1321)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이동부(41)는 바디부(40)에 비해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됨으로, 지지부(1321)는 위치 이동부(41)의 저면을 지지한다.
지지부(1321)의 중공에는 바디부(40)의 제자리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베어링이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1321)는 조리장치의 상면이나 씽크대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구동부(1322)는 피동기어(13221)와, 중간기어(13222)와, 구동기어(13223) 및 제1 모터(13224)를 포함할 수 있다.
피동기어(13221)는 바디부(40)의 외주연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피동기어(13221)는 제2 제거부재(132)로 본체부(12)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동안에만 본체부(12)의 외주연에 장착된다.
중간기어(13222)는 바디부(40)의 회전속도비를 감속하기 위해 피동기어(13221)에 치합된다.
구동기어(13223)는 중간기어(13222)에 치합된다.
제1 모터(13224)는 구동기어(13223)를 기설정된 시간 및 기설정된 각도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회전체는 본체부(12)의 전,후,좌,우측에 각각 배치되고, 둘레면에 수평바(13231)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브러쉬(1324)는 수평바(13231)의 끝단에 복수개로 형성되고, 본체부(12)에 접촉된다.
제2 모터(1325)는 브러쉬(1324)가 본체부(12)의 외면을 클리닝 하도록 회전체를 제자리 회전시킨다.
바이브레이터(1326)는 회전체의 상면에 설치된다.
바이브레이터(1326)는 브러쉬(1324)가 제2 모터(1325)의 동력으로 회전되면서 클리닝 작동 할 시 본체부(12)에 진동이 발생되도록 회전체에 진동을 발생시킨다.
즉, 바이브레이터(1326)에 의해 본체부(12)에 진동이 발생됨으로, 본체부(12)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때, 바이브레이터(1326)는 생략될 수 있다.
승강실린더(1327)는 유압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
승강실린더(1327)는 브러쉬(1324)가 상기 본체부(12)의 길이방향을 따라 클리닝하도록 제2 모터(1325)를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반복 승강시킨다.
다음으로, 이상 설명한 제2 제거부재(132)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지지부(1321)에 바디부(40)를 삽입하여 지지부(1321)가 위치 이동부(41)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한다.
이후, 제1 모터(13224)와, 제2 모터(1325) 및 승강실린더(1327)를 작동시킨다.
제1 모터(13224)는 기 설정된 시간 및 기 설정된 각도로 구동기어(13223)를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제자리 회전시킨다.
이때, 기 설정된 시간은 5초 내지 15초 일 수 있다.
그리고, 기 설정된 각도는 90도 내지 180도 일 수 있다. 이는 전선보호 스틸망(33)이 과도하게 꼬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바디부(40)의 외주연에는 피동기어(13221)가 장착됨으로, 제1 모터(13224)가 작동하면 바디부(40)가 5초 내지 15초 간격으로 정방향으로 90도 내지 180도 회전되었다가 역방향으로 90도 내지 180도로 회전됨을 반복한다.
그리고, 제2 모터(1325)의 경우 회전체를 회전시켜 브러쉬(1324)가 본체부(12)의 외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한다.
제1 모터(13224)가 바디부(40)를 회전시킴에 따라, 브러쉬(1324)는 제자리 회전되더라도 본체부(12)의 둘레면 전체를 클리닝할 수 있다.
그리고, 바이브레이터(1326)는 회전체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바, 바이브레이터(1326)의 진동이 본체부(12)에도 전달된다. 따라서, 본체부(12)를 효율적으로 클리닝 할 수 있다.
나아가, 승강실린더(1327)는 제2 모터(1325)를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반복되게 상승 또는 하강시킨다.
따라서, 브러쉬(1324)가 본체부(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승 및 하강을 반복하면서 클리닝하게 된다.
즉, 제1 모터(13224)를 통해 브러쉬(1324)가 본체부(12)의 둘레면 전체를 클리닝 하도록 할 수 있고, 승강실린더(1327)를 통해서는 브러쉬(1324)가 본체부(12)의 하단에서부터 상단까지 클리닝 하도록 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열 차단이 가능한 심온센서 장치는 프로브(11)의 상측에 배치되는 호퍼, 호퍼의 내부공간을 통해 본체부(12)에서 제거되는 이물질을 흡기하는 흡기팬 및 흡기팬에 흡기된 이물질을 건물외부나 별도의 수집함으로 배출시키는 배출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측정가이드 11 : 프로브
12 : 본체부 20 : 심온센서부
30 : 보호부 31 : 볼트부
311 : 장착구 32 : 스토퍼
33 : 전선보호 스틸망 40 : 바디부
41 : 위치 이동부 411 : 가압홈
50 : 잠금부 51 : 제1 부재
511 : 경사부 512, 1131 : 수직부
52 : 제2 부재 53 : 제3 부재
54 : 제4 부재 55 : 제5 부재
56 : 제6 부재 60 : 가변부
61 : 가압면부 70 : 보관부
70a : 관통홀 71 : 하우징
71a : 보관공간 71b,111b : 체결홀
80 : 고정볼트부 90 : 코일스프링
100 : 가압볼 110 : 정착부
111 : 장착링 111a : 제1 홀
111c : 제2 홀 112 : 삽입날
113 : 격자부 113a : 삽입공간
1132 : 수평부 120 : 부가 정착부
121 : 삽입부 121a : 회전가이드홈
122 : 체결부 1221,1323 : 회전체
123 : 앙카부 130 : 이물질 제거부
131 : 제1 제거부재 1311 : 통과가이드
1311a : 통과홀 1312 : 스크래핑날
1313 : 클램프 1314 : 이동판
1315 : 전,후진 실린더 132 : 제2 제거부재
1321 : 지지부 1322 : 구동부
13221 : 피동기어 13222 : 중간기어
13223 : 구동기어 13224 : 제1 모터
13231 : 수평바 1324 : 브러쉬
1325 : 제2 모터 1326 : 바이브레이터
1327 : 승강실린더

Claims (3)

  1. 조리장치의 조리실에 수용되는 조리 대상물의 내부에 꽂히는 프로브 및 상기 프로브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프로브에 가이드되어 상기 조리 대상물의 내부에 함께 꽂히는 본체부를 포함하는 측정가이드;
    상기 측정가이드에 설치되고, 상기 측정가이드가 상기 조리 대상물의 내부에 꽂힐 시 상기 조리 대상물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심온센서부;
    상기 본체부에 접촉되고, 상기 심온센서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선의 일정영역을 내부에 매립시켜 보호하는 보호부; 및
    상기 보호부의 외주연에 장착되는 단열 재질의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부의 일측에는 상기 본체부의 일정영역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갖는 단열 재질의 볼트부가 형성되고,
    상기 볼트부의 일단에는 서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구조로 상기 본체부의 외면에 접촉되는 잠금부가 형성되며,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는 내주연에 상기 볼트부를 따라 양방으로 이동하는 나선이 형성된 위치 이동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호부의 끝단에는 상기 바디부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형성되며,
    상기 볼트부에 체결되면서 상기 본체부의 일정영역을 감싸고,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볼트부를 따라 양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본체부의 노출길이를 가변시키면서 상기 잠금부의 압축강도를 가변하는 가변부; 및
    상기 측정가이드와 가변부 및 위치 이동부가 수용되는 보관공간을 갖는 단열재질의 보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와 볼트부와 가변부 및 상기 보호부는 단열성인 세라믹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보관부에는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홀에 각각 체결되는 고정볼트부;
    상기 고정볼트부에 결합되고 상기 체결홀에 수용되는 코일스프링;
    상기 코일스프링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볼트부가 상기 체결홀에 체결됨으로 인해 따라 상기 위치 이동부를 가압하는 가압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 이동부에는 상기 가압볼이 수용된 상태로 가압하도록 가압홈이 형성된 외부열 차단이 가능한 심온센서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경사부 및 경사부의 끝단에서 하 방향으로 수직절곡되는 수직부를 포함하는 제1 부재;
    상기 수직부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며 상기 본체부의 외면에 접촉되는 제2 부재;
    상기 제2 부재의 끝단에서 상 방향으로 수직절곡되는 제3 부재; 및
    상기 제3 부재의 상단에서 상기 볼트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되고, 상기 경사부의 상면과 소정간격 이격되는 제4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변부의 내주연에는 상기 가변부가 상기 볼트부에 체결되는 방향으로 회전될 시 상기 제4 부재를 점진적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제4 부재와 대응되게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압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4 부재는 상기 가압면부에 가압될 시 탄성력을 통해 상기 가압면부를 가압하며,
    상기 본체부에 장착되며, 상기 조리 대상물의 내부에 삽입되어 정착되는 정착부;
    상기 정착부에 결합되며, 상기 정착부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조리 대상물의 내면으로 삽입되는 앙카부를 포함하는 부가 정착부;
    상기 조리 대상물의 내부 온도를 측정한 이후에 상기 측정가이드의 외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마련되는 이물질 제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착부는,
    상기 본체부의 장착되고, 전측과 후측에 사각형 형상의 제1 홀이 각각 형성되고, 좌측과 우측에 상기 부가 정착부가 체결되는 체결홀 및 상기 체결홀의 하측에 연결형성되며 상기 앙카부를 상기 조리 대상물로 돌출시키는 제2 홀이 형성된 장착링;
    상기 장착링의 하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삽입날; 및
    상기 제1 홀에 수직, 수평방향으로 서로 교차되게 배열되는 수직부 및 수평부를 포함하여, 상기 조리 대상물이 삽입될 수 있는 복수개의 삽입공간이 구획되게 형성된 격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가 정착부는,
    상기 체결홀을 통과하여 상기 제2 홀에 수용되고, 상면에 'ㅗ'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회전가이드홈이 형성된 삽입부; 및
    상기 체결홀에 체결되어 상기 삽입부를 상기 제2 홀에 수용시키고, 상기 회전가이드홈에서 제자리 회전되는 'ㅗ'자 단면 형상의 회전체를 갖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앙카부는, 상기 삽입부의 외면에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체결홀을 통과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삽입부의 외면에 밀착되고, 상기 제2 홀에 위치될 시 탄성력에 의해 상기 장착링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조리 대상물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이물질 제거부는,
    상기 본체부를 스크래핑하는 제1 제거부재; 및
    상기 제1 제거부재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부에 존재하는 잔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2 제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거부재는,
    통과홀을 갖는 통과가이드;
    상기 통과홀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부의 외주연을 스크래핑 하기 위해 마련되는 스크래핑날;
    상기 바디부의 외주연에 장착되고 상기 측정가이드를 상기 스크래핑날의 전방에 배치시키는 클램프;
    상기 클램프의 저면에 설치되고, 상기 클램프를 전,후진 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이동판;
    상기 본체부의 외주연이 상기 스크래핑날에 의해 반복적으로 스크래핑되도록 상기 이동판을 반복적으로 전,후진 시키는 전,후진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제거부재는,
    상기 바디부가 수직상태로 제자리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위치 이동부의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바디부의 외주연에 장착되는 피동기어, 상기 바디부의 회전속도비를 감속하기 위해 상기 피동기어에 치합되는 중간기어와, 상기 중간기어에 치합되는 구동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를 기 설정된 시간 및 기설정된 각도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본체부의 전,후,좌,우측에 각각 배치되고, 둘레면에 수평바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회전체;
    상기 수평바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에 접촉되는 브러쉬;
    상기 브러쉬가 상기 본체부를 클리닝하도록 상기 회전체를 제자리 회전시키는 제2 모터;
    상기 브러쉬가 클리닝 작동 할 시 상기 본체부에 진동이 발생되도록 상기 회전체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바이브레이터; 및
    상기 브러쉬가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클리닝하도록 상기 제2 모터를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를 포함하는 외부열 차단이 가능한 심온센서 장치.
KR1020220013969A 2022-02-03 2022-02-03 외부열 차단이 가능한 심온센서 장치 KR102410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3969A KR102410945B1 (ko) 2022-02-03 2022-02-03 외부열 차단이 가능한 심온센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3969A KR102410945B1 (ko) 2022-02-03 2022-02-03 외부열 차단이 가능한 심온센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0945B1 true KR102410945B1 (ko) 2022-06-22

Family

ID=82217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3969A KR102410945B1 (ko) 2022-02-03 2022-02-03 외부열 차단이 가능한 심온센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094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8930A (en) * 1975-12-22 1976-11-02 General Electric Company Microwave oven food temperature-sensing probe
JP3060603U (ja) * 1998-12-28 1999-09-07 株式会社佐藤計量器製作所 電子温度計用測温センサ
JP2001349791A (ja) * 2000-06-12 2001-12-21 Sanyo Electric Co Ltd 芯温センサ
KR100891380B1 (ko) 2008-06-23 2009-04-02 (주)티에스케이에프 다기능 조리 오븐기
US20140334523A1 (en) * 2013-05-07 2014-11-13 Radiant Innovation Inc. Probe thermometer
US20210177198A1 (en) * 2019-12-13 2021-06-17 Maverick Industries, Inc. Digital thermometers having heat vents and insulating layers for directing heat away from electronic component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8930A (en) * 1975-12-22 1976-11-02 General Electric Company Microwave oven food temperature-sensing probe
JP3060603U (ja) * 1998-12-28 1999-09-07 株式会社佐藤計量器製作所 電子温度計用測温センサ
JP2001349791A (ja) * 2000-06-12 2001-12-21 Sanyo Electric Co Ltd 芯温センサ
KR100891380B1 (ko) 2008-06-23 2009-04-02 (주)티에스케이에프 다기능 조리 오븐기
US20140334523A1 (en) * 2013-05-07 2014-11-13 Radiant Innovation Inc. Probe thermometer
US20210177198A1 (en) * 2019-12-13 2021-06-17 Maverick Industries, Inc. Digital thermometers having heat vents and insulating layers for directing heat away from electronic componen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23451C (en) Multi-purpose stovetop grilling and cooking device
US8232510B2 (en) Grilling device for properly and uniformly cooking foodstuffs
EP3183939A1 (en) High performance electric grill, method, and heat radiating module
BR112014024446B1 (pt) FRITADEIRA DE GORDURA PROFUNDA, DETECTOR, METODO DE CONTROLE DE UM NfVEL DE LfQUIDO
CN107095593B (zh) 烧烤设备
KR102410945B1 (ko) 외부열 차단이 가능한 심온센서 장치
JP2004160207A (ja) 調理装置
JP2004160198A (ja) 調理装置
KR20230114129A (ko) 외부열 차단이 가능한 심온센서 장치
KR101349683B1 (ko) 바베큐 구이장치
KR20040039155A (ko) 조리장치
RU2328199C2 (ru) Устройство с вертелом для жарения
JP2007044411A (ja) 圧力調理器
JP2016168154A (ja) ドラム式調理器
JP2004008255A (ja) フライヤ
US9775468B2 (en) Device for cooking food on a grill
EP2671482B1 (en) A grill
KR200449795Y1 (ko) 보온불판
KR100629718B1 (ko) 튀김용 가열탱크
US3982478A (en) Food preparation and storage device
KR101841133B1 (ko) 꼬치구이 장치
KR20050041664A (ko) 고기 구이장치
KR101599296B1 (ko) 회전식 바비큐장치
WO2006015212A2 (en) Method for prevention of temperature overshoot in a cooking appliance
KR0134702Y1 (ko) 꼬치 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