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0854B1 - 세절기 - Google Patents

세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0854B1
KR102410854B1 KR1020200028736A KR20200028736A KR102410854B1 KR 102410854 B1 KR102410854 B1 KR 102410854B1 KR 1020200028736 A KR1020200028736 A KR 1020200028736A KR 20200028736 A KR20200028736 A KR 20200028736A KR 102410854 B1 KR102410854 B1 KR 102410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vertical
blade body
guide part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8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3700A (ko
Inventor
박동재
Original Assignee
박동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동재 filed Critical 박동재
Priority to KR1020200028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0854B1/ko
Publication of KR20210113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3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0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0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22C17/0006Cutting or shaping meat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20Shredding; Cutting into cubes; Fl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8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8Means for actuating the cutting member to effect the cut
    • B26D5/086Electric, magnetic, piezoelectric, electro-magne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2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제1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위치하는 선반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제2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선반부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는 칼날체부;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제3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선반부와 상기 칼날체부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하가이드부; 및 상기 상하가이드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회전원반을 포함하며, 상기 칼날체부는, 칼날체부 지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칼날체부 지지프레임은,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의 수직 하부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수직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의 타측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의 수직 하부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수직 프레임과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수직 프레임; 상기 제1수직 프레임의 하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수직 프레임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회전축; 상기 제1회전축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제1가이드롤; 상기 제2수직 프레임의 하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수직 프레임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회전축과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제2회전축; 및 상기 제2회전축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제2가이드롤을 포함하는 세절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칼날이 대상물의 단단한 부분을 절단하지 못하는 상황이라 하더라도, 상기 칼날체부와 상기 선반부가 상호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상기 칼날체부가 상부방향으로 들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절기{A Cutter}
본 발명은 세절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기 또는 생선을 균일하게 자를 수 있는 세절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생선이나 고기를 가공하기 위해 절단할 경우에는, 사람이 직접 생선이나 고기를 손으로 잡고 다른 손엔 칼을 가지고 생선이나 고기를 다듬었다.
이러한 방법으로 생선이나 고기를 다듬을 경우 사람이 한손으로 고기를 잡는 과정에서 인체에서 발생하는 열이 고기를 잡고 있는 손을 통해 고기로 전도되어 고기의 육질이 파괴되는 경우가 발생하며, 손으로 고기를 누르게 되어 고기의 모양이 흩어져 작업중에 생선이나 고기를 추스려서 작업을 해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신선도와 모양을 유지해야 하는 횟감의 경우에는 사람의 손놀림에 따라 일정한 모양의 고기모양을 얻기 힘들어 제품의 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사람이 직접 생선이나 고기를 가공하므로, 작업중에 칼에 손을 다쳐 발생한 피가 생선이나 고기등에 스며들어 생선이나 고기의 위생상태가 불량하게 되거나 작업자의 안전사고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방법에 의한 생선이나 고기의 손질은 노동력의 증가로 인한 경제성 저하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고기나 생선을 손질하기 위한 목적으로 다수의 세절기가 개발된 바 있다. 이하로부터는 종래기술로서의 각종 세절기에 대해 개략적으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출원번호 10-2000-0072327호에 개시된 세절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상기 출원번호 10-2000-0072327호의 회도리칼이 다수개 장착된 세절기구는, 사변 운동하고 상하 양단(1a)에 칼날부(1a)가 형성되고 전후로 관통된 삽설홈(2)이 일체로 형성된 다수개의 회도리칼(1)과, 상기 회도리칼(1)에 형성된 삽설홈(2)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회도리칼축(3)과, 상기 회도리칼날축이 삽입되어 설치되되, 상기 다수개의 회도리칼(1) 사이에 삽설되어 상기 회도리칼(1)이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도록 하는 스페이서(6)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생선회용 세절기에 있어서는 절단가능한 생선과 같은 가공물의 두께에 제한이 있게 되고 생선에 비해 비교적 질긴 육고기를 절단함에는 적합치 못한 구조를 이루고있다. 즉, 상기의 세절기는 상기 회도리칼이 상하로 한번 왕복할 때 절단이 가능해야 하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도 2는 실용신안등록번호 20-0207712호에 개시된 육절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상기 실용신안등록번호 20-0207712호의 육절기는 다수개의 칼날(1)이 고정된 칼날체(2)를 칼날 가이드(3)에 연결하여 고정핀(4)으로 후레임(5)에 고정하고, 칼날 내입구(6)가 형성된 선반(7) 하측으로 안내공(8)을 형성하여, 몸체(9)에 고정된 안내봉(10)을 따라 유동될 수 있도록 하고, 수직으로 장착된 모터(11) 하측에 연결된 회전판(12)에는 경사면(13,13')이 있는 원형요부(14)를 형성하여 칼날 가이드(3)에 수직으로 형성된 작동편(15)으 로울러(16)가 내입되게 하고, 회전판(12) 하측으로는 작동간(17)을 형성하여 고기선반 받침대(18)에 연결하여서 된 육절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육절기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회전판(12)의 회전으로 하강된 칼날체(2)는 회전판(12)의 하측에 편심으로 연결된 작동간(17)에 의해 전진해 오는 선반의 칼날 내입구(6)로 칼날(1)이 삽입되면서, 선반(7)에 놓여진 생선이나 고기를 절단하게 되는 것이며 선반(7)의 칼날 내입구(6)로 칼날(1)이 삽입되면서 고기선반(7)에 놓여진 생선이나 고기를 절단하게 된다.
즉, 상기 실용신안등록번호 20-0207712호에 개시된 육절기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칼날이 고정된 칼날체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칼날체와 대응되어 위치하고, 칼날 내입구가 형성된 선반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다수개의 칼날은 상기 칼날 내입구로 정확하게 삽입되어 고기 또는 생선을 절단해야 한다.
한편, 상기 칼날이 상기 칼날 내입구로 삽입되어 고기 또는 생선을 절단함에 있어서, 상기 고기 또는 상기 생선이 일부 단단한 부분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상기 칼날이 상기 단단한 부분을 절단하지 못하게 된다.
이 경우, 절단하지 못한 부분에 의하여, 상기 칼날은 상부방향으로 들리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상기 단단한 부분 이외의 나머지 부분도 정확하게 절단이 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칼날이 들리는 경우, 칼날 부분이 뒤틀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상기 다수개의 칼날이 상기 칼날 내입구 측으로 삽입되지 않고, 상기 선반(7)과 접하게 되어, 큰 사고로 이루어질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간단한 구조이면서도 다양한 형상과 두께를 가지는 고기 또는 생선을 균일하게 자를 수 있도록 하는 세절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지적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제1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위치하는 선반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제2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선반부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는 칼날체부;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제3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선반부와 상기 칼날체부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하가이드부; 및 상기 상하가이드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회전원반을 포함하며, 상기 칼날체부는, 칼날체부 지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칼날체부 지지프레임은,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의 수직 하부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수직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의 타측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의 수직 하부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수직 프레임과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수직 프레임; 상기 제1수직 프레임의 하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수직 프레임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회전축; 상기 제1회전축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제1가이드롤; 상기 제2수직 프레임의 하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수직 프레임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회전축과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제2회전축; 및 상기 제2회전축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제2가이드롤을 포함하는 세절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회전원반은, 원반형태의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외주홈을 포함하고, 상기 외주홈은, 제1-1단차점; 상기 제1-1단차점과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1단차점 보다 낮은 단차의 제1-2단차점; 상기 제1-1단차점으로부터 상기 제1-2단차점 까지 배치되는 제1경사로; 상기 제1-2단차점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2단차점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2단차점; 상기 제1-2단차점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2단차점으로부터 상기 제2-2단차점까지 배치되는 제1가이드로; 상기 제2-2단차점과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1단차점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2-2단차점 보다 높은 단차의 제2-1단차점; 상기 제2-2단차점으로부터 상기 제2-1단차점 까지 배치되는 제2경사로; 및 상기 제2-1단차점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1단차점으로부터 상기 제1-1단차점 까지 배치되는 제2가이드로를 포함하는 세절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하가이드부는, 제1수평 상하가이드부; 상기 제1수평 상하가이드부와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수평 상하가이드부; 일측은 상기 제1수평 상하가이드부의 일측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수평 상하가이드부의 일측과 연결되는 제1수직 상하가이드부; 일측은 상기 제1수평 상하가이드부의 타측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수평 상하가이드부의 타측과 연결되며, 상기 제1수직 상하가이드부와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수직 상하가이드부; 및 상기 회전원반의 상면에 접촉하여 회전하고, 상기 제2수평 상하가이드부의 일정영역에 결합되는 가압롤러부를 포함하는 세절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압롤러부는 가압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롤러가, 상기 제1-1단차점에 위치하는 상태가, "초기상태"이고, 상기 가압롤러가, 상기 제1경사로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1-2단차점에 위치하는 상태가, "칼날체부 상승 및 선반부 제1방향 제1이동 구간"이며, 상기 가압롤러가, 상기 제1가이드로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2-2단차점에 위치하는 상태가, "칼날체부 상승 유지 및 선반부 제1방향 제2이동 구간"이고, 상기 가압롤러가, 상기 제2경사로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2-1단차점에 위치하는 상태가, "칼날체부 하강, 선반부 제2방향 제3이동 및 칼날체부에 의한 선반부 지지 구간"이며, 상기 가압롤러가, 상기 제2가이드로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1-1단차점에 위치하는 상태가, "칼날체부 하강 유지, 선반부 제2방향 제4이동 및 칼날체부에 의한 선반부 지지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절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선반부는, 선반 지지부; 및 상기 선반 지지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도마를 포함하고, 상기 선반 지지부는, 상기 도마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부에 결합되는 선반부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선반부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선반부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플랜지부; 및 상기 선반부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플랜지부는 상기 제1가이드롤에 의해 지지되고, 또한, 상기 제2플랜지부는 상기 제2가이드롤에 의해 지지되며, 이를 통하여, 상기 칼날체부와 상기 선반부가 상호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절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하가이드부는, 일측은 상기 제2수평 상하가이드부의 일측에 체결되고, 타측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제1영역에 체결되는 제1탄성부재; 및 일측은 상기 제2수평 상하가이드부의 타측에 체결되고, 타측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제2영역에 체결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세절기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폭방향 제1측에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지지부;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폭방향 제2측에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지지부와 일정 간격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수직 상하가이드부가 상기 제1지지부에 힌지결합되는 제1힌지점을 포함하고, 상기 제2수직 상하가이드부가 상기 제2지지부에 힌지결합되는 제2힌지점을 포함하고, 상기 제1힌지점 및 상기 제2힌지점을 기준으로, 상기 제1수직 상하가이드부의 일측 및 제2수직 상하가이드부의 일측이 하부방향으로 운동하는 경우, 상기 제1수직 상하가이드부의 타측 및 제2수직 상하가이드부의 타측이 상부방향으로 운동하여, 상기 제1수평 상하가이드부는 하부방향으로 운동하고, 상기 제2수평 상하가이드부는 상부방향으로 운동하며, 또한, 상기 제1힌지점 및 상기 제2힌지점을 기준으로, 상기 제1수직 상하가이드부의 타측 및 제2수직 상하가이드부의 타측이 하부방향으로 운동하는 경우, 상기 제1수직 상하가이드부의 일측 및 제2수직 상하가이드부의 일측이 상부방향으로 운동하여, 상기 제1수평 상하가이드부는 상부방향으로 운동하고, 상기 제2수평 상하가이드부는 하부방향으로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절기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칼날이 대상물의 단단한 부분을 절단하지 못하는 상황이라 하더라도, 상기 칼날체부와 상기 선반부가 상호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상기 칼날체부가 상부방향으로 들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서는 칼날체부, 즉, 칼날의 들림현상에 의해 대상물이 정확하게 절단되지 못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칼날이 상기 칼날 내입구 측으로 삽입되지 않고, 상기 도마와 접하게 됨에 따른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출원번호 10-2000-0072327호에 개시된 세절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용신안등록번호 20-0207712호에 개시된 육절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절기를 도시하는 실사진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절기의 구동부의 일부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절기를 도시하는 실사진 배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절기를 도시하는 실사진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세절기를 도시하는 실사진 정면도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원반과 선반부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원반을 도시하는 제1방향 사시도이고, 도 10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원반을 도시하는 제2방향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칼날체부 영역을 확대한 실사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롤을 도시하는 실사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부의 다른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6 내지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세절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이때, "a"도는 칼날체부와 선반부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b"도는 구동부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절기를 도시하는 실사진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절기의 구동부의 일부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절기를 도시하는 실사진 배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절기를 도시하는 실사진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세절기를 도시하는 실사진 정면도의 확대도이다.
한편,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후술하는 칼날체부의 칼날체 모듈을 생략하고 도시하였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세절기(20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제1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선반부(210);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제2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선반부(210)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는 칼날체부(400);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제3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선반부(210)와 상기 칼날체부(40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3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절기(20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폭방향 제1측에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지지부(120);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폭방향 제2측에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지지부(120)와 일정 간격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지지부(13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제1영역, 제2영역 및 제3영역이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방향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폭방향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선반부(210)는, 선반 지지부(220) 및 상기 선반 지지부(220)의 상부에 위치하는 도마(23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도마(230)는 상기 선반 지지부(220)로부터 착탈될 수 있으며,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도마가 교체방식에 의하여, 상기 선반 지지부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반부(210)는, 상기 선반 지지부(220)를 이동시키기 위한 안내봉(211)을 포함하며, 상기 안내봉(211)은 제1안내봉(211a) 및 상기 제1안내봉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안내봉(211b)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구동부(300)는 회전원반(310); 상기 회전원반을 지지하는 턴테이블(202); 및 상기 턴테이블(202)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201)를 포함한다.
즉, 상기 구동모터(201)의 회전에 의해, 상기 턴테이블(202)이 회전하고, 상기 턴테이블(202)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원반(310)이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원반(31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구동부(220)는 상기 선반부(210)와 상기 칼날체부(40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30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300)는, 일측은 상기 제1지지부(120)에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제2지지부(130)에 힌지결합되는 상하가이드부(310); 및 상기 상하가이드부(310)의 하부에 위치하는 회전원반(31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구동부(300)는, 상기 회전원반을 지지하는 턴테이블(202); 및 상기 턴테이블(202)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201)를 포함함은 상술한 바와 같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하가이드부(310)는, 상기 제1지지부(120) 및 상기 제2지지부(130)를 기준으로 힌지운동하는 것으로, 제1수평 상하가이드부(310a); 상기 제1수평 상하가이드부(310a)와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수평 상하가이드부(310b); 일측은 상기 제1수평 상하가이드부(310a)의 일측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수평 상하가이드부(310b)의 일측과 연결되는 제1수직 상하가이드부(320c); 및 일측은 상기 제1수평 상하가이드부(310a)의 타측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수평 상하가이드부(310b)의 타측과 연결되며, 상기 제1수직 상하가이드부(320c)와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수직 상하가이드부(320d)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수직 상하가이드부(310c) 일측 방향 및 제2수직 상하가이드부(310d)의 일측 방향을, 상기 상하가이드부(310)의 전방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수직 상하가이드부(310c) 타측 방향 및 제2수직 상하가이드부(310d)의 타측 방향을, 상기 상하가이드부(310)의 후방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하가이드부(310)의 일측이 상기 제1지지부(120)에 힌지결합되는 것은, 상기 제1수직 상하가이드부(320c)가 상기 제1지지부(120)에 힌지결합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상하가이드부(310)의 타측이 상기 제2지지부(130)에 힌지결합되는 것은, 상기 제2수직 상하가이드부(320d)가 상기 제2지지부(130)에 힌지결합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는, 상기 제1수직 상하가이드부(320c)가 상기 제1지지부(120)에 힌지결합는 제1힌지점(301a)을 포함하고, 상기 제2수직 상하가이드부(320d)가 상기 제2지지부(130)에 힌지결합되는 제2힌지점(301b)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하가이드부는, 상기 제1수직 상하가이드부(320c) 및 상기 제2수직 상하가이드부(320d)가, 각각 상기 제1힌지점 및 상기 제2힌지점을 기준으로 힌지운동하게 되며, 상기 제1수직 상하가이드부(320c) 및 상기 제2수직 상하가이드부(320d)의 힌지운동에 의하여, 상기 제1수평 상하가이드부(310a) 및 제2수평 상하가이드부(310b)가 상하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힌지점 및 상기 제2힌지점을 기준으로, 상기 제1수직 상하가이드부(310c) 일측 및 제2수직 상하가이드부(310d)의 일측이 하부방향으로 운동하는 경우, 상기 제1수직 상하가이드부(310c) 타측 및 제2수직 상하가이드부(310c)의 타측이 상부방향으로 운동하게 된다.
이를 통해, 상기 제1수평 상하가이드부(310a)는 하부방향으로 운동하고, 상기 제2수평 상하가이드부(310b)는 상부방향으로 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힌지점 및 상기 제2힌지점을 기준으로, 상기 제1수직 상하가이드부(310c) 타측 및 제2수직 상하가이드부(310d)의 타측이 하부방향으로 운동하는 경우, 상기 제1수직 상하가이드부(310c) 일측 및 제2수직 상하가이드부(310c)의 일측이 상부방향으로 운동하게 된다.
이를 통해, 상기 제1수평 상하가이드부(310a)는 상부방향으로 운동하고, 상기 제2수평 상하가이드부(310b)는 하부방향으로 운동하게 된다.
계속해서,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300)의 상기 상하가이드부(310)는, 상기 회전원반(320)의 상면에 접촉하여 회전하고, 상기 제2수평 상하가이드부(310b)의 일정영역에 결합되는 가압롤러부(312); 일측은 상기 제2수평 상하가이드부(310b)의 일측에 체결되고, 타측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제1영역에 체결되는 제1탄성부재(313a); 및 일측은 상기 제2수평 상하가이드부(310b)의 타측에 체결되고, 타측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제2영역에 체결되는 제2탄성부재(313b)를 포함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힌지점 및 상기 제2힌지점을 기준으로, 상기 제1수직 상하가이드부(310c) 타측 및 제2수직 상하가이드부(310d)의 타측이 하부방향으로 운동하는 경우, 상기 제1수직 상하가이드부(310c) 일측 및 제2수직 상하가이드부(310c)의 일측이 상부방향으로 운동하게 되면, 이를 통해, 상기 제1수평 상하가이드부(310a)는 상부방향으로 운동하고, 상기 제2수평 상하가이드부(310b)는 하부방향으로 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하가이드부(310)는, 상기 제1탄성부재(313a)의 일측은 상기 제2수평 상하가이드부(310b)의 일측에 체결되고, 상기 제1탄성부재(313a)의 타측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제1영역에 체결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2탄성부재(313b)의 일측은 상기 제2수평 상하가이드부(310b)의 타측에 체결되고, 상기 제2탄성부재(313b)의 타측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제2영역에 체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223)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타측 단부(221b)는 상기 제2수평 상하가이드부(310b)는 하부 방향으로 계속적으로 당겨지고 있는 상태에 해당하며, 이로 인해, 상기 제1수평 상하가이드부(310a)는 상부 방향으로 상승하려고 하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칼날체부와 연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계속해서,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상하가이드부(310)는, 상기 회전원반(320)의 상면에 접촉하여 회전하고, 상기 제2수평 상하가이드부(310b)의 일정영역에 결합되는 가압롤러부(312)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롤러부(312)의 가압롤러는 상기 회전원반(320)의 외주홈(312)에 위치하며, 상기 회전원반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압롤러는 상대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회전원반(320)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원반(230)의 외주홈(312)에 위치하는 상기 가압롤러부(312)가 상하운동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원반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원반을 도시하는 제1방향 사시도이고, 도 10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원반을 도시하는 제2방향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회전원반(320)은, 원반형태의 몸체부(322); 및 상기 몸체부(322)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외주홈(321)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주홈(312)은, 제1-1단차점(321a); 상기 제1-1단차점(321a)과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1단차점(321a) 보다 낮은 단차의 제1-2단차점(321b); 상기 제1-1단차점(321a)으로부터 상기 제1-2단차점(321b) 까지 배치되는 제1경사로(321c); 상기 제1-2단차점(321b)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2단차점(321)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2단차점(321e); 상기 제1-2단차점(321b)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2단차점(321)으로부터 상기 제2-2단차점(321e)까지 배치되는 제1가이드로(321d); 상기 제2-2단차점(321e)과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1단차점(321a)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2-2단차점(321e) 보다 높은 단차의 제2-1단차점(321f); 상기 제2-2단차점(321e)으로부터 상기 제2-1단차점(321f) 까지 배치되는 제2경사로(321g); 및 상기 제2-1단차점(321f)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1단차점(321f)으로부터 상기 제1-1단차점(321a)까지 배치되는 제2가이드로(321h)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경사로(321c), 상기 제1가이드로(321d), 상기 제2경사로(321g) 및 상기 제2가이드로(321h)는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원형의 형상을 이루게 되며, 따라서, 상기 외주홈(312)은 원형의 형상을 이루게 된다.
한편, 상기 가압롤러부(312)의 가압롤러는 상기 회전원반(320)의 외주홈(312)에 위치하며, 상기 회전원반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압롤러는 상대 이동하게 되는데, 상기 가압롤러부(312)의 가압롤러는, 상기 제1경사로(321c), 상기 제1가이드로(321d), 상기 제2경사로(321g) 및 상기 제2가이드로(321h)에 위치함에 의하여, 상기 회전원반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압롤러는 상대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가압롤러의 상대 이동은, 후술하는 칼날체부와 연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계속해서,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세절기(20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제2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선반부(210)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는 칼날체부(40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칼날체부(400)는, 칼날체부 지지프레임(410); 및 상기 칼날체부 지지프레임(410)에 착탈되는 칼날체 모듈(420)을 포함한다.
상기 칼날체 모듈(420)은 칼날 고정부(421); 및 상기 칼날 고정부(421)에 체결되는 칼날(422)을 포함하며, 상기 칼날체 모듈(420)은 상기 칼날체부 지지프레임(410)으로부터 착탈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칼날을 상기 칼날체부 지지프레임(410)에 배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칼날체부 지지프레임(410)은, 상부 프레임(430); 상기 상부 프레임(430)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430)의 수직 하부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수직 프레임(440); 및 상기 상부 프레임(430)의 타측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430)의 수직 하부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수직 프레임(440)과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수직 프레임(45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상부 프레임(430)의 타측은, 상기 상하가이드부(310)의 상기 제1수직 상하가이드부(320c)의 일측 단부 및 상기 제2수직 상하가이드부(320d)의 일측 단부에 고정되되, 상기 제1수평 상하가이드부(310a)와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430)의 일측에는 상기 칼날체 모듈(420)이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 프레임(430)의 폭은 상기 제1수평 상하가이드부(310a)의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통하여, 상기 상부프레임(430)의 일측에 배치되는 상기 칼날체 모듈(420)의 크기를 보다 크게 구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하가이드부(310)와 상기 상부 프레임(430)을 개별적으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상부프레임(430)의 일측에 배치되는 상기 칼날체 모듈(420)의 크기를, 상기 상하가이드부(310)의 크기에 제한됨이 없이,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하가이드부는, 상기 제1수직 상하가이드부(320c) 및 상기 제2수직 상하가이드부(320d)가, 각각 상기 제1힌지점 및 상기 제2힌지점을 기준으로 힌지운동하게 되며, 상기 제1수직 상하가이드부(320c) 및 상기 제2수직 상하가이드부(320d)의 힌지운동에 의하여, 상기 제1수평 상하가이드부(310a) 및 제2수평 상하가이드부(310b)가 상하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프레임(430)의 타측은, 상기 상하가이드부(310)의 상기 제1수직 상하가이드부(320c)의 일측 단부 및 상기 제2수직 상하가이드부(320d)의 일측 단부에 고정되되, 상기 제1수평 상하가이드부(310a)와 인접하여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상부 프레임(430)은 상기 상하가이드부의 힌지운동에 따라, 상기 상부 프레임(430)도 상하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프레임(430)의 상하운동에 의하여, 상기 상부프레임(430)의 일측에 배치되는 상기 칼날체 모듈(420)도 상하운동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칼날체부(400)는, 상기 제1수직 프레임(440)의 하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수직 프레임(44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회전축(441); 상기 제1회전축(441)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제1가이드롤(442); 상기 제2수직 프레임(450)의 하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수직 프레임(45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회전축(441)과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제2회전축(451); 및 상기 제2회전축(451)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제2가이드롤(452)을 포함한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칼날체부 영역을 확대한 실사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칼날체부는, 상기 제1수직 프레임(440)의 하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수직 프레임(44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회전축(441); 상기 제1회전축(441)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제1가이드롤(442); 상기 제2수직 프레임(450)의 하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수직 프레임(45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회전축(441)과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제2회전축(451); 및 상기 제2회전축(451)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제2가이드롤(452)을 포함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반부(210)는, 선반 지지부(220) 및 상기 선반 지지부(220)의 상부에 위치하는 도마(230)를 포함한다.
이때,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선반 지지부(220)는, 상기 도마(23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플레이트(221); 상기 지지플레이트(221)의 하부에 결합되는 선반부 베이스 플레이트(22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선반부 베이스 플레이트(222)는, 상기 선반부 베이스 플레이트(222)의 하단의 제1측에 위치하는 제1가이드부(223a); 및 상기 선반부 베이스 플레이트(222)의 하단의 제2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가이드부(223a)와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가이드부(223b)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제1가이드부(223a)는 상기 제1안내봉(211a)을 따라 수평이동하고, 또한, 상기 제2가이드부(223b)는 상기 제2안내봉(211b)을 따라 수평이동한다.
즉, 상기 제1가이드부(223a)가 상기 제1안내봉(211a)을 따라 수평이동하고, 또한, 상기 제2가이드부(223b)가 상기 제2안내봉(211b)을 따라 수평이동함에 의하여, 상기 지지플레이트(221) 및 상기 도마(230)가 수평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선반부 베이스 플레이트를 별도로 두는 것은, 상기 선반부 베이스 플레이트는 본 발명의 경사세절기에 계속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도마를 교체가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즉, 후술할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선반부 베이스 플레이트(222)의 양 측면에 위치하는 플랜지부(224a, 224b)를 필수적으로 포함하게 되는데, 이러한 플랜지부를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두는 경우, 지지플레이트의 형상에 일정 제약이 발생하여, 경사세절기에서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교체하는 것이 복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플랜지부(224a, 224b)를 포함하는 선반부 베이스 플레이트(222)를 기본적으로 두고, 상기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선반을 또다른 지지플레이트 및 도마로 교체함으로써, 다양한 크기 및 형상으로 대상물을 절단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선반부는, 상기 선반부 베이스 플레이트(222)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플랜지부(224a)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선반부 베이스 플레이트(222)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플랜지부(224b)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플랜지부(224a)는 상기 제1가이드롤(442)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2플랜지부(224b)는 상기 제2가이드롤(45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선반부의 상기 플랜지부(224a, 224b)가 상기 칼날체부의 상기 가이드롤(442, 452)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상기 칼날체부(400)와 상기 선반부(210)가 상호 맞물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원반과 선반부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세절기는, 상기 회전원반(320)의 상기 몸체부(322)의 일정 영역과 상기 선반부(210)의 상기 선반부 베이스 플레이트(222)를 연결하는 연결체(330)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원반(3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선반부 베이스 플레이트(222)는 직선 왕복운동을 하게된다.
즉, 상기 연결체(330)를 통해, 상기 선반부 베이스 플레이트(222)와 상기 몸체부(322)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몸체부(322)가 회전하면, 상기 선반부 베이스 플레이트(222)는 직선 왕복 운동을 함으로써, 상기 선반부(210)가 상기 칼날체부(400)의 하측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상기 선반부(210)가 상기 칼날체부(400)의 외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롤을 도시하는 실사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롤은, 중심영역이 볼록한 형태의 가이드롤에 해당할 수 있으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끝단의 지름보다 중심부의 지름(421a')이 더 큰 형태의 가이드롤에 해당할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가이드롤의 형태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부의 다른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부(540)의 하면은 평평한 면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른예의 플랜지부(540')의 하면은 오목부(540a)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플랜지부의 형태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세절기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 내지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세절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이때, "a"도는 칼날체부와 선반부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b"도는 구동부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전원반(320)은, 원반형태의 몸체부(322); 및 상기 몸체부(322)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외주홈(321)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주홈(312)은, 제1-1단차점(321a); 상기 제1-1단차점(321a)과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1단차점(321a) 보다 낮은 단차의 제1-2단차점(321b); 상기 제1-1단차점(321a)으로부터 상기 제1-2단차점(321b) 까지 배치되는 제1경사로(321c); 상기 제1-2단차점(321b)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2단차점(321)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2단차점(321e); 상기 제1-2단차점(321b)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2단차점(321)으로부터 상기 제2-2단차점(321e)까지 배치되는 제1가이드로(321d); 상기 제2-2단차점(321e)과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1단차점(321a)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2-2단차점(321e) 보다 높은 단차의 제2-1단차점(321f); 상기 제2-2단차점(321e)으로부터 상기 제2-1단차점(321f) 까지 배치되는 제2경사로(321g); 및 상기 제2-1단차점(321f)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1단차점(321f)으로부터 상기 제1-1단차점(321a)까지 배치되는 제2가이드로(321h)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도 16a 및 도 16b를 참조하면, 초기상태에서, 상기 선반부의 도마의 상부에 대상물, 즉, 고기 또는 생선(미도시)을 위치시킨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선반부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선반부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단에 위치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안내봉을 따라 수평이동이 가능하다.
즉,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안내봉을 따라 수평이동을 하게됨으로써, 상기 선반부 베이스 플레이트가 수평이동하게 되며, 이로써,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선반이 수평이동하게된다.
이때, 상기 가압롤러부의 가압롤러는 상기 외주홈의 상기 제1-1단차점에 위치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세절기는, 상기 가압롤러부의 가압롤러가 상기 회전원반의 상기 외주홈의 상기 제1-1단차점에 위치하는 상태를, "초기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7a 및 도 17b를 참조하면, 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회전원반이 회전하면, 상기 칼날체부의 상기 칼날체부 지지프레임이 상부로 상승하게 되고, 상기 회전원반의 회전에 따라, 상기 연결체부에 의하여, 상기 선반부가 제1거리만큼 제1방향으로 수평이동하여 상기 칼날체부의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압롤러부의 가압롤러는, 상기 제1-1단차점(321a)으로부터 상기 제1-2단차점(321b) 까지 배치되는 제1경사로(321c)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1-2단차점(321b)에 위치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세절기는, 상기 제1-1단차점(321a)으로부터 상기 제1-2단차점(321b) 까지 배치되는 제1경사로(321c)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1-2단차점(321b)에 위치하는 상태를, "칼날체부 상승 및 선반부 제1방향 제1이동 구간"으로 정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8a 및 도 18b를 참조하면, 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회전원반이 계속적으로 회전하면, 상기 칼날체부의 상기 칼날체부 지지프레임이 상부로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원반의 회전에 따라, 상기 연결체부에 의하여, 상기 선반부가 제2거리만큼 제1방향으로 수평이동하여 상기 칼날체부의 하측으로 완전히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압롤러부의 가압롤러는, 상기 제1-2단차점(321)으로부터 상기 제2-2단차점(321e)까지 배치되는 제1가이드로(321d)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2-2단차점(321e)에 위치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세절기는, 상기 제1-2단차점(321)으로부터 상기 제2-2단차점(321e)까지 배치되는 제1가이드로(321d)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2-2단차점(321e)에 위치하는 상태를, "칼날체부 상승 유지 및 선반부 제1방향 제2이동 구간"으로 정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9a 및 도 19b를 참조하면, 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회전원반이 계속적으로 회전하면, 상기 칼날체부의 상기 칼날체부 지지프레임이 하부로 하강하게 되고, 상기 회전원반의 회전에 따라, 상기 연결체부에 의하여, 상기 선반부가 상기 칼날체부의 하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3거리만큼 제2방향으로 수평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방향과 상기 제2방향은 반대방향에 해당한다.
이때, 상기 가압롤러부의 가압롤러는, 상기 제2-2단차점(321e)으로부터 상기 제2-1단차점(321f) 까지 배치되는 제2경사로(321g)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2-1단차점(321f)에 위치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세절기는, 상기 제2-2단차점(321e)으로부터 상기 제2-1단차점(321f) 까지 배치되는 제2경사로(321g)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2-1단차점(321f)에 위치하는 상태를, "칼날체부 하강 및 선반부 제2방향 제3이동 구간"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칼날체부 하강 및 선반부 제2방향 제3이동구간"에서는, 상기 선반부의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칼날체부의 상기 가이드롤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상기 칼날체부와 상기 선반부가 상호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즉, 상기 칼날체부가 선반부를 지지하는 구간에 해당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세절기는, 상기 제2-2단차점(321e)으로부터 상기 제2-1단차점(321f) 까지 배치되는 제2경사로(321g)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2-1단차점(321f)에 위치하는 상태를, "칼날체부 하강, 선반부 제2방향 제3이동 및 칼날체부에 의한 선반부 지지 구간"으로 정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0a 및 도 20b를 참조하면, 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회전원반이 계속적으로 회전하면, 상기 칼날체부의 상기 칼날체부 지지프레임이 하부로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원반의 회전에 따라, 상기 연결체부에 의하여, 상기 선반부가 상기 칼날체부의 하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4거리만큼 제2방향으로 수평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선반부의 제4거리만큼 제2방향으로 수평이동에 의하여, 상기 선반부의 도마의 상부에 위치하는 대상물, 즉, 고기 또는 생선(미도시)이 세절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압롤러부의 가압롤러는, 상기 제2-1단차점(321f)으로부터 상기 제1-1단차점(321a)까지 배치되는 제2가이드로(321h)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1-1단차점(321a)에 위치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세절기는, 상기 제2-1단차점(321f)으로부터 상기 제1-1단차점(321a)까지 배치되는 제2가이드로(321h)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1-1단차점(321a)에 위치하는 상태를, "칼날체부 하강 유지 및 선반부 제2방향 제4이동 구간"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칼날체부 하강 유지 및 선반부 제2방향 제4이동 구간"에서는, 상기 선반부의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칼날체부의 상기 가이드롤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상기 칼날체부와 상기 선반부가 상호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즉, 상기 칼날체부가 선반부를 지지하는 구간에 해당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세절기는, 상기 제2-1단차점(321f)으로부터 상기 제1-1단차점(321a)까지 배치되는 제2가이드로(321h)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1-1단차점(321a)에 위치하는 상태를, "칼날체부 하강 유지, 선반부 제2방향 제4이동 및 칼날체부에 의한 선반부 지지 구간"으로 정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1a 및 도 21b를 참조하면, 상기 "칼날체부 하강 유지, 선반부 제2방향 제4이동 및 칼날체부에 의한 선반부 지지 구간"을 진행한 이후에, 상술한 도 16a 및 도 16b와 같은 초기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즉, 도 21a 및 도 21b에서와 같이, 상기 선반부, 상기 칼날체부 및 상기 구동부가, 도 16a 및 도 16와 같은 최초 위치로 이동함에 의하여, 대상물의 절단작업이 마무리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도 19a 및 도 19b에서의 "칼날체부 하강, 선반부 제2방향 제3이동 및 칼날체부에 의한 선반부 지지 구간", 또한, 도 20a 및 도 20b에서의 "칼날체부 하강 유지, 선반부 제2방향 제4이동 및 칼날체부에 의한 선반부 지지 구간"의 구간에서는, 상기 선반부의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칼날체부의 상기 가이드롤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상기 칼날체부와 상기 선반부가 상호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즉, 상기 칼날체부가 선반부를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칼날이 상기 단단한 부분을 절단하지 못하는 상황이라 하더라도, 상기 칼날체부(400)와 상기 선반부(210)가 상호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상기 칼날체부(400)가 상부방향으로 들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서는 칼날체부, 즉, 칼날의 들림현상에 의해 대상물이 정확하게 절단되지 못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칼날이 상기 칼날 내입구 측으로 삽입되지 않고, 상기 도마와 접하게 됨에 따른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6)

  1.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제1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위치하는 선반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제2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선반부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는 칼날체부;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제3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선반부와 상기 칼날체부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하가이드부; 및 상기 상하가이드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회전원반을 포함하며,
    상기 칼날체부는, 칼날체부 지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칼날체부 지지프레임은,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의 수직 하부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수직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의 타측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의 수직 하부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수직 프레임과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수직 프레임; 상기 제1수직 프레임의 하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수직 프레임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회전축; 상기 제1회전축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제1가이드롤; 상기 제2수직 프레임의 하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수직 프레임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회전축과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제2회전축; 및 상기 제2회전축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제2가이드롤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원반은, 원반형태의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외주홈을 포함하고,
    상기 외주홈은, 제1-1단차점; 상기 제1-1단차점과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1단차점 보다 낮은 단차의 제1-2단차점; 상기 제1-1단차점으로부터 상기 제1-2단차점 까지 배치되는 제1경사로; 상기 제1-2단차점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2단차점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2단차점; 상기 제1-2단차점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2단차점으로부터 상기 제2-2단차점까지 배치되는 제1가이드로; 상기 제2-2단차점과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1단차점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2-2단차점 보다 높은 단차의 제2-1단차점; 상기 제2-2단차점으로부터 상기 제2-1단차점 까지 배치되는 제2경사로; 및 상기 제2-1단차점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1단차점으로부터 상기 제1-1단차점 까지 배치되는 제2가이드로를 포함하며,
    상기 상하가이드부는, 제1수평 상하가이드부; 상기 제1수평 상하가이드부와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수평 상하가이드부; 일측은 상기 제1수평 상하가이드부의 일측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수평 상하가이드부의 일측과 연결되는 제1수직 상하가이드부; 일측은 상기 제1수평 상하가이드부의 타측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수평 상하가이드부의 타측과 연결되며, 상기 제1수직 상하가이드부와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수직 상하가이드부; 및 상기 회전원반의 상면에 접촉하여 회전하고, 상기 제2수평 상하가이드부의 일정영역에 결합되는 가압롤러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롤러부는 가압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롤러가, 상기 제1-1단차점에 위치하는 상태가, "초기상태"이고,
    상기 가압롤러가, 상기 제1경사로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1-2단차점에 위치하는 상태가, "칼날체부 상승 및 선반부 제1방향 제1이동 구간"이며,
    상기 가압롤러가, 상기 제1가이드로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2-2단차점에 위치하는 상태가, "칼날체부 상승 유지 및 선반부 제1방향 제2이동 구간"이고,
    상기 가압롤러가, 상기 제2경사로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2-1단차점에 위치하는 상태가, "칼날체부 하강, 선반부 제2방향 제3이동 및 칼날체부에 의한 선반부 지지 구간"이며,
    상기 가압롤러가, 상기 제2가이드로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1-1단차점에 위치하는 상태가, "칼날체부 하강 유지, 선반부 제2방향 제4이동 및 칼날체부에 의한 선반부 지지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선반부는, 선반 지지부; 및 상기 선반 지지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도마를 포함하고,
    상기 선반 지지부는, 상기 도마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부에 결합되는 선반부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선반부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선반부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플랜지부; 및 상기 선반부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플랜지부는 상기 제1가이드롤에 의해 지지되고, 또한, 상기 제2플랜지부는 상기 제2가이드롤에 의해 지지되며, 이를 통하여, 상기 칼날체부와 상기 선반부가 상호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플랜지부는 상기 제1가이드롤에 의해 지지되고, 또한, 상기 제2플랜지부는 상기 제2가이드롤에 의해 지지되는 것은, 상기 "칼날체부 하강, 선반부 제2방향 제3이동 및 칼날체부에 의한 선반부 지지 구간" 및 상기 "칼날체부 하강 유지, 선반부 제2방향 제4이동 및 칼날체부에 의한 선반부 지지 구간"의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절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가이드부는, 일측은 상기 제2수평 상하가이드부의 일측에 체결되고, 타측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제1영역에 체결되는 제1탄성부재; 및 일측은 상기 제2수평 상하가이드부의 타측에 체결되고, 타측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제2영역에 체결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세절기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폭방향 제1측에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지지부;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폭방향 제2측에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지지부와 일정 간격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수직 상하가이드부가 상기 제1지지부에 힌지결합되는 제1힌지점을 포함하고, 상기 제2수직 상하가이드부가 상기 제2지지부에 힌지결합되는 제2힌지점을 포함하고,
    상기 제1힌지점 및 상기 제2힌지점을 기준으로, 상기 제1수직 상하가이드부의 일측 및 제2수직 상하가이드부의 일측이 하부방향으로 운동하는 경우, 상기 제1수직 상하가이드부의 타측 및 제2수직 상하가이드부의 타측이 상부방향으로 운동하여, 상기 제1수평 상하가이드부는 하부방향으로 운동하고, 상기 제2수평 상하가이드부는 상부방향으로 운동하며,
    또한, 상기 제1힌지점 및 상기 제2힌지점을 기준으로, 상기 제1수직 상하가이드부의 타측 및 제2수직 상하가이드부의 타측이 하부방향으로 운동하는 경우, 상기 제1수직 상하가이드부의 일측 및 제2수직 상하가이드부의 일측이 상부방향으로 운동하여, 상기 제1수평 상하가이드부는 상부방향으로 운동하고, 상기 제2수평 상하가이드부는 하부방향으로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절기.
KR1020200028736A 2020-03-09 2020-03-09 세절기 KR102410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736A KR102410854B1 (ko) 2020-03-09 2020-03-09 세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736A KR102410854B1 (ko) 2020-03-09 2020-03-09 세절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3700A KR20210113700A (ko) 2021-09-17
KR102410854B1 true KR102410854B1 (ko) 2022-06-17

Family

ID=77924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8736A KR102410854B1 (ko) 2020-03-09 2020-03-09 세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085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7700B1 (ko) * 2016-11-09 2018-06-14 박동재 세절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7857B1 (ko) * 2018-03-14 2020-02-14 박동재 복합 세절기
KR102213947B1 (ko) * 2018-08-09 2021-02-08 박동재 세절기
KR102213948B1 (ko) * 2020-02-11 2021-02-08 박동재 세절기
KR102229388B1 (ko) * 2020-02-11 2021-03-17 박동재 세절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7700B1 (ko) * 2016-11-09 2018-06-14 박동재 세절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3700A (ko) 2021-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7700B1 (ko) 세절기
KR102077857B1 (ko) 복합 세절기
KR102410854B1 (ko) 세절기
CN111150077A (zh) 一种适用于番薯的自动削皮装置
CN112428371B (zh) 一种竹制品加工用竹片分割设备
CN110625665B (zh) 一种鸡脚切割设备及切割方法
CN200944790Y (zh) 蚕茧自动削口机
JP2938109B2 (ja) 鱗茎用スリッター
CN116117880A (zh) 一种山楂食品加工用自动切片装置
KR102229388B1 (ko) 세절기
JP4035535B2 (ja) 食肉加工機
KR102213948B1 (ko) 세절기
CN212168701U (zh) 一种扁位机壳旋切模
CN112220326A (zh) 菠萝削皮装置
KR102213947B1 (ko) 세절기
CN208645446U (zh) 一种用于竹笋加工的切条装置
JP3013134B2 (ja) 野菜の芯抜き機
CN205438698U (zh) 一种回转式大枣切片机
JP3140411U (ja) 南瓜の自動乱切り機
CN210910325U (zh) 一种冲片机
CN210361452U (zh) 一种切菜机
CN219705355U (zh) 食品加工用切花装置及食品加工用切花机
CN213471461U (zh) 一种肉类冲压切割修型机
CN220241617U (zh) 一种食品加工物料切片设备
CN213674428U (zh) 一种罐头生产用半成品切丁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