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0659B1 - 다채널 혈액 점도 측정 장치의 점도측정모듈 - Google Patents

다채널 혈액 점도 측정 장치의 점도측정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0659B1
KR102410659B1 KR1020200104166A KR20200104166A KR102410659B1 KR 102410659 B1 KR102410659 B1 KR 102410659B1 KR 1020200104166 A KR1020200104166 A KR 1020200104166A KR 20200104166 A KR20200104166 A KR 20200104166A KR 102410659 B1 KR102410659 B1 KR 102410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kit
unit
viscosity
blood visco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4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2788A (ko
Inventor
이동환
김달식
이의윤
이의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리올로직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리올로직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리올로직스
Priority to KR1020200104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0659B1/ko
Publication of KR20220022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2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0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0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1/00Investigating flow properties of materials, e.g. viscosity, plasticity;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flow properties
    • G01N11/02Investigating flow properties of materials, e.g. viscosity, plasticity;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flow properties by measuring flow of the material
    • G01N11/04Investigating flow properties of materials, e.g. viscosity, plasticity;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flow properties by measuring flow of the material through a restricted passage, e.g. tube, aper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Blood
    • G01N33/4915Blood using flow 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584Control arrangements for automatic analys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1/00Investigating flow properties of materials, e.g. viscosity, plasticity;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flow properties
    • G01N2011/0026Investigating specific flow properties of non-Newtonian flu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2035/00178Special arrangements of analysers
    • G01N2035/00207Handling bulk quantities of analy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2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using a plurality of sample containers moved by a conveyor system past one or more treatment or analysis stations
    • G01N35/04Details of the conveyor system
    • G01N2035/0401Sample carriers, cuvettes or reaction vessels
    • G01N2035/0429Sample carrie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Ec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채널 혈액 점도 측정 장치의 점도측정모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혈액점도측정용 키트가 장착되어 주입된 혈액샘플의 점도를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채널을 포함하는 혈액점도 측정부 및 혈액점도측정용 키트를 장착시키고, 채혈관의 혈액샘플을 흡입하여 장착된 혈액점도측정용 키트에 주입하는 혈액샘플 후처리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다채널 혈액 점도 측정 장치의 점도측정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채널 혈액 점도 측정 장치의 점도측정모듈{Viscosity measurement module of Multi-channel blood viscosity measuring device}
본 발명은 다채널 혈액 점도 측정 장치의 점도측정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하나 이상의 혈액 샘플에 대한 점도 측정을 자동으로 동시에 진행할 수 있어, 혈액 샘플의 점도 측정이 일률적으로 이루어져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으며 작업 시간이 단축될 수 있는 다채널 혈액 점도 측정 장치의 점도측정모듈에 관한 것이다.
혈액의 점도는 혈관 내 혈액의 유동에 의한 유동저항을 나타내는 물성치이며, 구체적으로 전혈점도와 혈장점도로 나눌 수 있다. 혈액점도의 비정상적인 증가는, 혈관 내벽에 작용하는 전단응력 및 유동 저항의 증가를 일으켜 급성 심혈관 질환 및 미세혈관 질환의 발병 위험을 현저히 높이게 된다. 또한, 혈장점도는 체내의 염증상태를 진단하는데 활용될 뿐만 아니라, 전혈점도를 증가시키는 주요 원인 중의 하나이다.
전혈점도는 심장의 수축기 및 이완기에 따라 계속적으로 점도가 변화하는 유동 특성을 보이는데, 그 이유는 전혈 안에 있는 적혈구와 혈장단백질들의 상호 복합적인 영향으로 인해 혈액이 빠른 속도로 흐를 때(전단율이 높을 때)에는 점도가 낮아지고, 반대로 혈액이 느린 속도로 흐를 때(전단율이 낮을 때)에는 점도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유동 특성을 보이는 유체를 비뉴턴성 유체라고 부르며, 혈액의 비뉴턴성 유동 특성을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전체 전단율 (예: 1 ~ 1,000 s^-1)에 대한 전혈점도를 정확하게 측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근래의 혈액 점도 측정장치는 신체로부터 얻은 혈액이 유동 저항관(flow restrictor tube)을 통하도록 하고, 유동 저항관 내에서 혈액의 유동 특성을 측정하여 혈액의 점도나 혈구 응집률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종래의 기술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31884호(혈액 점도와 혈구 응집률을 동시에 측정하는 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하지만 기기조작자가 수작업으로 주사기를 통해 혈액을 주입하여 혈액의 점도가 측정되도록 해야 하기 때문에 일정한 압력 및 일정한 유량으로 혈액을 공급하기 어려워 동일한 조건으로 혈액이 점도가 측정되도록 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수작업으로 이루어져 작업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다 보니 혈액에 의한 감염문제도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자동화된 혈액 점도 측정장치가 개발되고 있는 상황이나, 하나의 혈액샘플에 대한 점도 측정이 완료되면 다음 혈액샘플에 대한 점도 측정이 이루어져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대량으로 혈액 샘플을 측정할 시, 늦은 순번의 혈액 샘플일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적혈구 등이 가라앉은 상태에서 혈액에 대한 점도 측정이 이루어져 점도 측정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혈액 샘플에 대한 점도 측정을 자동으로 동시에 진행할 수 있어, 혈액 샘플의 점도 측정이 일률적으로 이루어져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으며 작업 시간이 단축될 수 있는 다채널 혈액 점도 측정 장치의 점도측정모듈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액점도 측정부는 혈액점도측정용 키트가 장착되어 주입된 혈액샘플의 점도를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채널을 포함하는 혈액점도 측정부 및 혈액점도측정용 키트를 장착시키고, 채혈관의 혈액샘플을 흡입하여 장착된 혈액점도측정용 키트에 주입하는 혈액샘플 후처리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다채널 혈액 점도 측정 장치의 점도측정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혈액점도 측정부의 채널은, 상기 혈액점도측정용 키트가 장착되는 키트장착부재; 상기 혈액점도측정용 키트가 장착된 키트장착부재가 내부로 삽입되고, 혈액점도측정용 키트에 주입된 혈액샘플의 점도를 측정하는 점도측정유닛 및 상기 키트장착부재를 상기 점도측정유닛으로 삽입 또는 인출시키는 키트삽입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혈액샘플 후처리부는 상기 혈액점도측정용 키트를 잡거나 놓을 수 있는 키트 집게부; 피펫팁이 장착되어 이송된 채혈관의 혈액샘플을 흡입하고, 장착된 혈액점도측정용 키트에 주입하는 피펫부 및 상기 키트 집게부와 피펫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후처리 위치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처리 위치조절부는 상기 키트 집게부와 피펫부의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는 후처리 상하조절부; 상기 키트 집게부와 피펫부의 위치를 좌우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는 후처리 좌우조절부 및 상기 키트 집게부와 피펫부의 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는 후처리 전후조절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처리 상하조절부는 상기 키트 집게부에 연결되어, 상기 키트 집게부의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는 키트 상하조절부 및 상기 키트 상하조절부와 상기 피펫부에 연결되어, 상기 키트 집게부와 피펫부의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조절하는 통합 상하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 전 혈액점도측정용 키트를 보관하는 혈액점도측정용 카트리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혈액점도 측정부에서 혈액샘플의 점도 측정이 완료된 혈액점도측정용 키트를 수용하는 폐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혈액 점도 측정 장치의 점도측정모듈은 기기조작자의 별도의 조작없이도 자동으로 채혈관에 수용된 혈액 샘플의 점도를 측정하고, 혈액 점도 측정 후에 폐키트를 처리할 수 있어, 대량으로 혈액 샘플을 측정하고자 할 때 효율적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혈액 샘플의 점도 측정이 일률적으로 이루어져 각 혈액 샘플의 점도 측정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혈액 샘플에 대한 점도 측정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어 작업 시간이 보다 단축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혈액 점도 측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혈액 점도 측정 장치를 일부 제거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혈액점도측정용 카트리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의 피펫팁 보관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2의 혈액점도 측정부를 도시한 회전사시도.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혈액 점도 측정 장치의 혈액점도 측정부에 혈액점도측정용 키트가 장착되어 작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작동예시도.
도 7은 도 2의 혈액샘플 후처리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후처리 상하조절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
도 9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혈액 점도 측정 장치의 후처리 상하조절부의 작동 모습을 나타낸 작동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혈액 점도 측정 장치의 혈액점도측정용 키트를 도시한 투영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혈액점도측정용 키트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12의 (a) 및 (b)는 도 11의 키트 본체에 형성된 미세 채널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 및 저면도.
도 13은 도 11의 미세 채널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은 도 10의 혈액점도측정용 키트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15의 (a) 및 (b)는 도 11의 주입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16의 (a) 내지 (d)는 도 15의 주입 커버의 혈액 주입홀이 다른 형태로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혈액 점도 측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혈액 점도 측정 장치를 일부 제거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혈액점도측정용 카트리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피펫팁 보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혈액점도 측정부를 도시한 회전사시도이고,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혈액 점도 측정 장치의 혈액점도 측정부에 혈액점도측정용 키트가 장착되어 작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작동예시도이고, 도 7은 도 2의 혈액샘플 후처리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후처리 상하조절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9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혈액 점도 측정 장치의 후처리 상하조절부의 작동 모습을 나타낸 작동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혈액 샘플의 점도를 측정하는 혈액점도 측정부(7)의 채널이 다채널로 형성되어 있고, 기기조작자의 별도의 조작없이 자동으로 채혈관에 수용된 혈액 샘플의 점도가 측정되도록 함으로써, 혈액 샘플의 점도 측정이 일률적으로 이루어지며 대량으로 혈액 샘플의 점도를 측정하고자 할 때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다채널 혈액 점도 측정 장치의 점도측정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이러한 다채널 혈액 점도 측정 장치는 하우징(1), 혈액샘플 장착부(2), 혈액점도측정용 카트리지(3), 피펫팁 보관부(4), 혈액샘플 전처리부(5), 혈액샘플 이송부(6), 혈액점도 측정부(7), 혈액샘플 후처리부(8), 폐처리부(9), 제어부(미도시) 및 모니터부(1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다채널 혈액 점도 측정 장치는 하우징(1), 전처리모듈, 점도측정모듈, 제어부 및 모니터부(10)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점도측정모듈에는 혈액점도측정용 카트리지(3), 피펫팁 보관부(4), 혈액점도 측정부(7), 혈액샘플 후처리부(8), 폐처리부(9)가 포함될 수 있다. 하기에서 점도측정모듈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혈액점도측정용 카트리지(3)는 사용 전 혈액점도측정용 키트(30)를 보관할 수 있는 것으로, 하나 이상의 혈액점도측정용 키트(30)를 보관할 수 있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면은 개방되어 혈액샘플 후처리부(8)가 혈액점도측정용 키트(30)를 용이하게 집어 가도록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혈액점도측정용 카트리지(3)는 지지하우징의 상면에서 정면측 중심측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4를 참조하면, 피펫팁 보관부(4)는 사용 전 피펫팁을 보관할 수 있는 것으로, 피펫팁을 꽂을 수 있는 다수의 피펫팁홀을 포함하여 하나 이상의 피펫팁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피펫팁 보관부(4)는 지지하우징의 상면에서 정면측 타측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를 참조하면, 혈액점도 측정부(7)는 혈액점도측정용 키트(30)를 이용하여 혈액샘플의 점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하나 이상의 채널(70)로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채널(70)로 형성되어 동시에 다수의 혈액샘플에 대한 점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에 혈액점도 측정부(7)가 8채널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채널(70)은 혈액점도측정용 키트(30)가 장착되어 주입된 혈액샘플의 점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채널(70)은 키트장착부재(700), 키트가이드부재(701), 점도측정유닛(702) 및 키트삽입유닛(703)를 포함할 수 있다.
키트장착부재(700)는 혈액점도측정용 키트(30)가 장착될 수 있고, 키트삽입유닛(703)에 의해 키트가이드부재(701)를 따라 이동하여 점도측정유닛(702)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혈액점도측정용 키트(30)가 장착된 상태에서 키트장착부재(700)가 점도측정유닛(702)에 삽입되면 혈액샘플 후처리부(8)로부터 혈액점도측정용 키트(30)에 혈액샘플이 주입될 수 있다.
또한 키트장착부재(700)는 혈액점도측정용 키트(30)가 장착될 수 있도록 키트장착홈을 포함하며, 타측에 키트삽입유닛(703)가 연결될 수 있다.
키트가이드부재(701)는 키트장착부재(700)가 설치되어 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를 따라 이동된 키트장착부재(700)가 점도측정유닛(702)에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에 점도측정유닛(702)이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점도측정유닛(702)은 키트가이드부재(701) 일측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혈액점도측정용 키트(30)가 장착된 키트장착부재(700)가 내부로 삽입되고, 혈액점도측정용 키트(30)에 주입된 혈액샘플의 점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점도측정유닛(702)은 점도측정하우징 및 광학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점도측정하우징은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혈액점도측정용 키트(30)가 삽입 또는 인출될 수 있도록 타측면이 개방되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점도측정하우징은 내부에 혈액점도측정용 키트(30)가 삽입된 상태에서 혈액샘플의 주입이 가능하도록 상면 타측 일부분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광학센서는 혈액점도측정용 키트(30)에 주입된 혈액샘플의 높이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측정하는 것으로, 혈액샘플의 점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측정된 점도 측정 결과를 모니터부(1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키트삽입유닛(703)은 키트장착부재(700) 타측에 연결되어, 키트장착부재(700)에 혈액점도측정용 키트(30)가 삽입되면 점도측정유닛(702)으로 삽입시킬 수 있다.
또한, 키트삽입유닛(703)은 점도측정유닛(702)의 점도 측정이 완료되면 키트장착부재(700)를 점도측정유닛(702)으로부터 인출시켜 혈액점도측정용 키트(30)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키트삽입유닛(703)은 실린더로 구비되어 키트장착부재에 수평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인출 또는 인입 작동에 의해 키트장착부재(700)를 점도측정유닛(702)으로 삽입 또는 인출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이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엑추에이터, 장치(레일, 벨트 등)들이 적용될 수도 있다.
혈액샘플 후처리부(8)는 혈액점도 측정부(7)에 혈액점도측정용 키트(30)를 장착시키고, 피펫팁을 장착하여 혈액샘플 이송부(6)에 의해 이송된 채혈관(B)의 혈액샘플을 흡입하며, 장착된 혈액점도측정용 키트(30)에 주입할 수 있다. 또한, 사용된 피펫팁과 혈액점도측정용 키트(30)를 각각 폐처리부(9)에 처리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혈액샘플 후처리부(8)는 키트 집게부(80), 피펫부(81) 및 후처리 위치조절부(82)를 포함할 수 있다.
키트 집게부(80)는 후처리 위치조절부(82)에 의해 위치가 조절되어, 혈액점도측정용 키트(30)를 잡거나 놓을 수 있다.
피펫부(81)는 피펫팁이 장착되어 이송된 채혈관(B)의 혈액샘플을 흡입하고, 장착된 혈액점도측정용 키트(30)에 주입할 수 있다. 후처리 위치조절부(82)에 의해 위치가 조절되어 피펫팁 보관부(4)에 있는 피펫팁이 장착될 수 있으며, 혈액샘플을 흡입하고 주입할 수 있다. 또한 사용한 피펫팁을 폐처리부(9)에 처리할 수 있다.
후처리 위치조절부(82)는 지지하우징에 설치되고, 키트 집게부(80)와 피펫부(81)에 연결되어, 키트 집게부(80)와 피펫부(81)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후처리 위치조절부(82)는 후처리 상하조절부(820), 후처리 좌우조절부(821) 및 후처리 전후조절부(822)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모두 포함하여 상하, 좌우, 전후 방향에 대한 위치를 각각 조절하는 것으로 키트 집게부(80)와 피펫부(81)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후처리 상하조절부(820)는 키트 집게부(80)와 피펫부(81)의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때, 길이에 차이가 있는 키트 집게부(80)와 피펫부(81)를 상하 방향에 대한 위치를 동일하게 조절할 경우 부딪침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키트 집게부(80)와 피펫부(81)의 상하 방향에 대한 위치는 분리되어 조절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후처리 상하조절부(820)는 키트 상하조절부(8200) 및 통합 상하조절부(8201)를 포함할 수 있다.
키트 상하조절부(8200)는 키트 집게부(80)에 연결되어 키트 집게부(8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키트 상하조절부(8200)는 키트 상하연결부재(8200a) 및 키트 상하조절유닛(8200b)을 포함할 수 있다.
키트 상하연결부재(8200a)는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키트 집게부(80)의 상측에 연결될 수 있으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키트 상하연결부재(8200a)는 키트 상하조절유닛(8200b)이 연결되어 상하 이동됨으로써, 키트 집게부(80)가 상하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키트 상하조절유닛(8200b)이 하단 후측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키트 상하조절유닛(8200b)은 키트 상하연결부재(8200a)에 연결되어, 키트 상하연결부재(8200a)를 상하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키트 상하조절유닛(8200b)은 지면에 수직되게 설치되는 실린더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키트 집게부(80)를 상하 이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엑추에이터, 장치들이 적용될 수도 있다.
통합 상하조절부(8201)는 통합 상하연결부재(8201a) 및 통합 상하조절유닛(8201b)을 포함할 수 있다.
통합 상하연결부재(8201a)는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키트 상하조절부(8200)의 후측과 피펫부(81)에 연결될 수 있으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통합 상하연결부재(8201a)는 통합 상하조절유닛(8201b)이 연결되어 상하 이동됨으로써, 키트 집게부(80)와 피펫부(81)를 함께 상하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통합 상하조절유닛(8201b)이 하단 후측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통합 상하조절유닛(8201b)은 통합 상하연결부재(8201a)에 연결되어 상하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통합 상하조절유닛(8201b)은 지면에 수직되게 설치되는 실린더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키트 집게부(80) 및 피펫부(81)를 상하 이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엑추에이터, 장치들이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통합 상하조절유닛(8201b)은 후측에 후처리 좌우조절부(821)가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후처리 좌우조절부(821)는 키트 집게부(80)와 피펫부(81)의 위치를 좌우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후처리 상하조절부(820)에 연결되어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키트 집게부(80)와 피펫부(81)가 좌우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후처리 좌우조절부(821)는 제2 좌우연결부재(8210) 및 제2 좌우조절유닛(82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좌우연결부재(8210)는 후처리 상하조절부(820)의 후측에 연결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통합 상하조절유닛(8201b)의 후측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좌우연결부재(8210) 없이 통합 상하조절유닛(8201b)과 제2 좌우조절유닛(8211)이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등 다양한 위치에 연결될 수도 있다.
제2 좌우조절유닛(8211)은 제2 좌우연결부재(8210)의 후측에 연결되어, 좌우 이동시키는 것으로, 키트 집게부(80)와 피펫부(81)를 좌우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2 좌우조절유닛(8211)은 제1 좌우조절유닛(5311)과 동일하게 리니어 엑추에이터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후처리 전후조절부(822)는 키트 집게부(80)와 피펫부(81)의 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후처리 좌우조절부(821)에 연결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키트 집게부(80)와 피펫부(81)가 전후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후처리 전후조절부(822)는 제2 전후연결부재(8220) 및 제2 전후조절유닛(822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후처리 전후조절부(822)는 전처리 전후조절부(532)와 설치되는 위치 및 방향, 그리고 연결되는 구성들이 다를 뿐 실질적으로 동일한 장치일 수 있다.
제2 전후연결부재(8220)는 후처리 좌우조절부(821)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전후조절유닛(8221)은 지지하우징에 설치되고 제2 전후연결부재(8220)의 하측에 연결되어 전후 이동시키는 것으로, 키트 집게부(80)와 피펫부(81)를 전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2 전후조절유닛(8221)은 제1 전후조절유닛(5321)과 같이 리니어 엑추에이터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후처리 위치조절부(82) 또한 키트 집게부(80)와 피펫부(81)에 후처리 상하조절부(820), 후처리 좌우조절부(821) 및 후처리 전후조절부(822)가 연결되어 상하, 좌우, 전후 방향에 대한 위치가 조절될 수 있으나, 연결되는 순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혈액샘플 후처리부(8)의 작동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후처리 위치조절부(82)에 의해 키트 집게부(80)와 피펫부(81)의 위치가 조절되고, 키트 집게부(80)가 키트 상하조절부(8200)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되어 혈액점도측정용 키트(30)를 잡을 수 있다. 잡은 후 후처리 위치조절부(82)에 의해 이동되어 혈액점도 측정부(7)에 혈액점도측정용 키트(30)를 장착시킬 수 있다.
그 다음, 후처리 위치조절부(82)에 의해 키트 집게부(80)와 피펫부(81)가 이동되어 피펫부(81)에 피펫팁을 장착할 수 있다.
그 다음, 후처리 위치조절부(82)에 의해 키트 집게부(80)와 피펫부(81)가 이동되어 혈액샘플 이송부(6)에 의해 타측으로 이송된 채혈관(B)의 혈액샘플을 피펫부(81)가 흡입하고, 후처리 위치조절부(82)에 의해 이동되어 혈액점도 측정부(7)에 장착된 혈액점도측정용 키트(30)에 혈액샘플을 주입할 수 있다.
그 다음, 후처리 위치조절부(82)에 의해 이동되어 사용한 피펫팁을 폐처리부(9)에 처리할 수 있다.
혈액샘플 후처리부(8)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는 것으로, 다수의 혈액샘플에 대한 점도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혈액샘플 후처리부(8)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는 중에 혈액점도 측정부(7)에서 측정이 완료된 혈액점도측정용 키트(30)를 폐처리부(9)로 처리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혈액샘플 전처리부(5), 혈액샘플 이송부(6), 혈액샘플 후처리부(8)가 각각의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다수의 혈액샘플에 대한 점도 측정이 자동으로 일률적이게 진행될 수 있는 것이다.
폐처리부(9)는 지지하우징에 형성되어 사용된 혈액점도측정용 키트(30)와 피펫팁을 수용하여 추후 처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혈액샘플 전처리부(5), 혈액샘플 이송부(6), 혈액점도 측정부(7) 등 다채널 혈액 점도 측정 장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각 구성으로부터 정보를 수신받아 모니터부(10)로 전송할 수 있고, 모니터부(10)로부터 제어 설정 정보를 수신받아, 그에 따라 각 구성들이 작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모니터부(10)는 채혈관 감지부(50)로부터 감지된 채혈관 장착 정보, 혈액샘플 리더부(51)로부터 채혈관(B)을 스캔하여 얻은 혈액 샘플 정보, 혈액점도 측정부(7)의 채널(70)로부터 측정된 점도 측정 결과 등을 제어부로부터 수신받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외에도 모니터부(10)는 각 구성의 작동 정보, 상태 정보 등 다채널 혈액 점도 측정 장치의 다양한 정보를 수신받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부(10)는 사용자로부터 제어 설정 정보를 수신받아 제어부를 통해 각 구성이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혈액 점도 측정 장치에서 사용되는 혈액점도측정용 키트(30)에 대하여 도 10 내지 도 15를 이용해 하기에서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혈액 점도 측정 장치의 혈액점도측정용 키트를 도시한 투영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혈액점도측정용 키트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12의 (a) 및 (b)는 도 11의 키트 본체에 형성된 미세 채널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 및 저면도이고, 도 13은 도 11의 미세 채널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은 도 10의 혈액점도측정용 키트를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15의 (a) 및 (b)는 도 11의 주입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며, 도 16의 (a) 내지 (d)는 도 15의 주입 커버의 혈액 주입홀이 다른 형태로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액점도측정용 키트(30)는 키트 몸체(300), 양측 혈액관(301), 미세 채널(302), 미세 채널 커버(303) 및 주입 커버(304)를 포함할 수 있다.
키트 몸체(300)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고 혈액이 흘러갈 수 있도록 양측 혈액관(301) 및 미세 채널(30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내부가 투명하게 보이는 구조로 이루어져 혈액이 양측 혈액관(301), 미세 채널(302)에서 이동되는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혈액점도 측정 중 에러 인지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키트 몸체(300)는 약 폭 60mm X 높이 70mm 이내로 형성되어 크기가 소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혈액점도 시 필요한 혈액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혈액 주입 시 인체와 유사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 키트를 36.5℃로 예열하는 것이 필요한데 예열이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키트 몸체(300)는 미세 채널 커버(303)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제1 결합홈(3000) 및 제2 결합홈(300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홈(3000)은 키트 몸체(300) 바닥면에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제1 결합돌기(3031a)가 삽입될 수 있다.
제2 결합홈(3001)은 제1 결합홈(3000)에 인접하게 형성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전측과 후측으로 지그재그되게 다수개가 형성되어 제2 결합돌기(3031b)가 삽입될 수 있다. 즉, 제2 결합홈(3001)은 제1 굴곡부(3020)와 제1 굴곡부(3020)간의 사이, 제2 굴곡부(3021)와 제2 굴곡부(3021)간의 사이에 위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결합홈(3001)은 상면이 외측에서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양측 혈액관(301)은 키트 몸체(300)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되며, 상측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혈액이 주입될 수 있다. 여기서, 양측 혈액관(301)은 정면에서 바라볼 때 키트 몸체(300) 상면과 수직되게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키트 몸체(300) 상단 양측에서 중앙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양측 혈액관(301)은 하면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미세 채널 커버(303)에 의해 개방된 하측이 밀폐될 수 있다. 이에 양측 혈액관(301)으로 주입된 혈액이 외부로 빠지지 않고 미세 채널(302)로 흐를 수 있다.
또한, 양측 혈액관(301)은 상단에 주입 커버(304)가 삽입될 수 있는 커버삽입홈(3010)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삽입홈(3010)은 양측 혈액관(301) 상단에 양측 혈액관(30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되, 주입 커버(304)의 크기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주입 커버(304)가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양측 혈액관(301)은 미세 채널(302)에 의해 하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하나의 양측 혈액관(301)으로 혈액이 주입되면, 미세 채널(302)을 통해 다른 하나의 양측 혈액관(301)으로 공급될 수 있다.
미세 채널(302)은 두 양측 혈액관(301)의 하측과 각각 연결되어 두 양측 혈액관(301)을 연결시킬 수 있다.
이러한 미세 채널(302)은 두 양측 혈액관(301)을 연결시키고 혈액이 유동될 수 있도록 좌우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되,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미세 채널(302)이 직선으로 형성될 경우, 적합한 유동 저항을 생성할 수 없는 한계로 각 양측 혈액관(301)에서의 혈액 높이가 동일해질 때 혈액에 flutuation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미세 채널(302)을 굴곡지게 형성하여 원하는 크기로 유동 저항을 자유롭게 형성하고 이에 flutuation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미세 채널(302)은 도 12와 같이, 전방으로 굴곡지게 형성된 제1 굴곡부(3020) 및 후방으로 굴곡지게 형성된 제2 굴곡부(3021)를 포함하되, 제1 굴곡부(3020)와 제2 굴곡부(3021)가 좌우방향으로 교번되어 파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굴곡부(3020) 및 제2 굴곡부(3021)는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U'자 형, 반원형, 'ㄷ'자 형, 'V'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미세 채널(302)이 형성됨으로써, 유동의 flutuation을 최소화하고, 미세 채널(302)의 유동 저항을 용이하게 조절하여 각 양측 혈액관(301)에서의 혈액 높이가 동일해 질 때 원하는 유속으로 혈액 높이가 맞춰질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점도를 측정하는 혈액의 양이 적을 때는 유동 저항을 낮춰 유동 속도를 증가시키고, 반대로 혈액의 양이 많을 때는 유동 저항을 높여 유동 속도를 감소시켜서 항상 일정한 유동 속도를 유지하도록 하여야 일정한 혈액 점도 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미세 채널(302)의 유동 저항에 대한 조절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기존에는 유동 속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채널의 크기를 작게하거나, 채널 내부의 거칠기를 더 거칠게 하는 것으로 유동 저항을 조절하는 방법을 이용하였으나, 이러한 방법들로는 원하는 크기로 유동 저항을 조절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로 미세 채널(302)이 형성됨으로써, 제1 굴곡부 및 제2 굴곡부의 총 개수, 제1 굴곡부 및 제2 굴곡부의 폭(W), 미세 채널의 간격(L) 중 하나 이상을 조절하는 것으로 미세 채널(302)의 유동 저항을 원하는 바에 맞춰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굴곡부 및 제2 굴곡부의 총 개수를 늘려 유동 저항을 증가시키거나 제1 굴곡부 및 제2 굴곡부의 총 개수를 줄여 유동 저항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유동 속도를 느리거나 빠르도록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미세 채널(302)의 크기(D)는 최소 0.8mm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혈액은 물과 같은 혈장 성분에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등이 섞여 있어, 0.8mm 미만으로 형성될 경우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등이 미세 채널(302)의 중앙에만 모이게 되어 세포들에 의한 마찰저항이 무시되어 정확한 혈액점도를 측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미세 채널(302)은 키트 몸체(300)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하면이 개방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미세 채널(302)의 개방된 하측은 미세 채널 커버(303)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이는 굴곡지게 형성된 미세 채널(302)의 제작이 용이하도록 하고, 미세 채널(302)이 미세 채널 커버(303)의 분리에 의해 개방되도록 하여 사용 후에 세척 및 소독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폐기 처분 시에도 혈액을 용이하게 씻어 낸 후 버릴 수 있어 청결할 수 있다.
미세 채널 커버(303)는 키트 몸체(300)의 하부에 장착되어 미세 채널(302), 양측 혈액관(301)의 개방된 하측을 밀폐할 수 있다.
이러한 미세 채널 커버(303)는 도 13과 같이, 밀폐돌기(3030) 및 결합돌기(3031)를 포함할 수 있다.
밀폐돌기(3030)는 미세 채널(302) 및 양측 혈액관(301)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미세 채널(302) 및 양측 혈액관(301)에 하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밀폐돌기(3030)는 높이가 미세 채널(302)의 깊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결합 시, 도 14과 같이, 이격 공간이 있도록 함으로써, 양측 혈액관(301)에 주입된 혈액이 미세 채널(302)을 따라 흐를 수 있도록 한다.
결합돌기(3031)는 키트 몸체(300)의 제1 결합홈(3000) 및 제2 결합홈(3001)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돌기(3031)는 제1 결합돌기(3031a) 및 제2 결합돌기(303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돌기(3031a)는 미세 채널 커버(303)의 상면에 외주면을 따라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키트 몸체(300)의 제1 결합홈(3000)에 삽입되어 키트 몸체(300)와 미세 채널 커버(303)가 결합될 수 있다.
제2 결합돌기(3031b)는 미세 채널 커버(303)와 키트 몸체(300)간의 결합이 더욱 견고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제1 결합돌기(3031a)에 인접하게 형성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전측과 후측으로 지그재그되게 다수개가 형성되어 제2 결합홈(3001)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2 결합돌기(3031b)는 상면이 외측에서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2 결합홈(3001)에 제2 결합돌기(3031b)가 삽입됨에 따라 결합력은 향상되면서, 분리 시 미세 채널 커버(303)가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주입 커버(304)는 양측 혈액관(301) 상측에 형성된 커버삽입홈(3010)에 삽입되어, 피펫부(81)로 양측 혈액관(301)에 혈액 주입할 경우 외부 공기가 혈액과 같이 주입되지 않도록 하여 혈액에 기포가 생기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혈액에 생긴 기포에 의해 혈액의 유동이 방해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주입 커버(304)는 혈액 주입홀(3040) 및 마찰돌기(304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혈액 주입홀(3040)은 주입 커버(304)의 상면에서 하면까지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고, 상부 주입홀(3040a) 및 하부 주입홀(304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주입홀(3040a)는 주입 커버(304) 상부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단에서 하단으로 직경이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어 상광하협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피펫부(81)로 혈액 주입 시 피펫부(81)의 경사진 구조와 상부 주입홀(3040a)가 정확하게 일치되어, 피펫부(81)와 상부 주입홀(3040a)가 밀착된 상태로 혈액이 주입될 수 있어 외부 공기가 같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부 주입홀(3040b)는 주입 커버(304) 하부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하단에서 상단으로 직경이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어 상협하광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 주입홀(3040b)는 상부 주입홀(3040a)과 바로 연결될 수 있으나, 중간 주입홀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다. 중간 주입홀은 상단부터 하단까지 직경이 동일하게 형성되어 하부 주입홀(3040b)와 상부 주입홀(3040a)를 연결시킬 수 있는데, 이 경우 피펫부(81)의 경사진 구조 끝 부분까지 밀착되게 하여 외부 공기 유입을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주입홀(3040b)는 상부 주입홀(3040a)보다 하부 주입홀(3040b)의 직경 크기가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주입홀(3040b)이 상기와 같이 형성되어 피펫부(81)를 통한 혈액 주입 시 만약 외부 공기가 조음이라도 함께 유입된다면, 그 유입된 공기가 혈액을 따라 미세 채널(302)로 들어가지 않고 하부 주입홀(3040b)에 머무르도록 할 수 있다.
이에 혈액에 기포가 생기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마찰돌기(3041)는 주입 커버(304)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어, 주입 커버(304)가 커버삽입홈(3010)에 삽입될 시 마찰에 의해 고정이 더 견고하게 되고 외부 공기가 들어가지 못하도록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주입 커버(304)의 혈액 주입홀(3040)은 상기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16을 예시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의 (a)와 같이, 주입 커버(304)의 혈액 주입홀(3040)은 상부주입홀(3040a)이 상단에서 하단으로 직경이 점차 좁아지게 형성된 상광하협 형상으로 형성되되, 경사가 좌우 비대칭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좌측의 경사가 우측의 경사보다 더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하부주입홀(3040b)는 상부주입홀(3040a)의 하단에 연결되게 형성되며, 상단부터 하단까지 직경이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펫부(81)를 통해 혈액 주입홀(3040)에 혈액이 주입되면 양측 혈액관(301)의 한쪽 벽면을 따라 혈액이 흐르도록 함으로써, 양측 혈액관(301)의 내부에서 혈액이 튀는 현상을 방지하여 혈액 점도 측정의 정확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6의 (b)와 같이, 주입 커버(304)의 혈액 주입홀(3040)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직경이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는 상광하협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혈액 주입홀(3040)은 단면에서 경사가 좌우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경사가 좌우 비대칭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피펫부(81)를 통해 혈액 주입홀(3040)에 혈액이 주입되면 양측 혈액관(301)의 벽면을 타고 혈액이 주입되도록 할 수 있어, 양측 혈액관(301)의 내부에서 벽면과의 충돌에 의해 혈액이 튀는 현상을 최소화하여 점도 측정 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6의 (c)와 같이, 주입 커버(304)의 혈액 주입홀(3040)은 하단에서 상단으로 직경이 점차 좀아지게 형성되는 상협하광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6의 (d)와 같이, 주입 커버(304)의 혈액 주입홀(3040)은 상단에서 하단까지 직경이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혈액 주입홀(3040)은 직경이 피펫부(81)의 피펫팁의 가장 큰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혈액 주입 시 피펫팁에 의해 혈액 주입홀(3040)의 상측이 밀폐되어 외부 공기 유입이 차단될 수 있다.
또한 혈액 주입홀(3040)은 주입 커버(304)의 중심에 형성되거나 일측에 형성되어 혈액 주입홀(3040)의 한쪽 벽면이 양측 혈액관(301)의 한쪽 벽면의 위치와 상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혈액 주입홀(3040)이 주입 커버(304)의 일측으로 형성될 경우, 양측 혈액관(301)의 벽면을 타고 혈액이 주입되도록 할 수 있어, 양측 혈액관(301)의 내부에서 혈액이 튀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혈액 점도 측정 장치의 점도측정모듈은 기기조작자의 별도의 조작없이도 자동으로 채혈관에 수용된 혈액 샘플의 점도를 측정하고, 혈액 점도 측정 후에 폐키트를 처리할 수 있어, 대량으로 혈액 샘플을 측정하고자 할 때 효율적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혈액 샘플의 점도 측정이 일률적으로 이루어져 각 혈액 샘플의 점도 측정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혈액 샘플에 대한 점도 측정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어 작업 시간이 보다 단축될 수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 하우징
2: 혈액샘플 장착부
3: 혈액점도측정용 카트리지
30: 혈액점도측정용 키트
300: 키트 몸체
3000: 제1 결합홈
3001: 제2 결합홈
301: 양측 혈액관
3010: 커버삽입홈
302: 미세 채널
3020: 제1 굴곡부
3021: 제2 굴곡부
303: 미세 채널 커버
3030: 밀폐돌기
3031: 결합돌기
3031a: 제1 결합돌기
3031b: 제2 결합돌기
304: 주입 커버
3040: 혈액 주입홀
3040a: 상부 주입홀
3040b: 하부 주입홀
3041: 마찰돌기
4: 피펫팁 보관부
5: 혈액샘플 전처리부
6: 혈액샘플 이송부
7: 혈액점도 측정부
70: 채널
700: 키트장착부재
701: 키트가이드부재
702: 점도측정유닛
703: 키트삽입유닛
8: 혈액샘플 후처리부
80: 키트 집게부
81: 피펫부
82: 후처리 위치조절부
820: 후처리 상하조절부
8200: 키트 상하조절부
8200a: 키트 상하연결부재
8200b: 키트 상하조절유닛
8201: 통합 상하조절부
8201a: 통합 상하연결부재
8201b: 통합 상하조절유닛
821: 후처리 좌우조절부
8210: 제2 좌우연결부재
8211: 제2 좌우조절유닛
822: 후처리 전후조절부
8220: 제2 전후연결부재
8221: 제2 전후조절유닛
9: 폐처리부
10: 모니터부
B: 채혈관

Claims (7)

  1. 혈액점도측정용 키트를 장착시키고, 채혈관의 혈액샘플을 흡입하여 장착된 혈액점도측정용 키트에 주입하는 혈액샘플 후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혈액샘플 후처리부는,
    상기 혈액점도측정용 키트를 잡거나 놓을 수 있는 키트 집게부;
    피펫팁이 장착되어 이송된 채혈관의 혈액샘플을 흡입하고, 장착된 혈액점도측정용 키트에 주입하는 피펫부 및
    상기 키트 집게부와 피펫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후처리 위치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처리 위치조절부는,
    상기 키트 집게부와 피펫부의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는 후처리 상하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후처리 상하조절부는,
    상기 키트 집게부에 연결되어, 상기 키트 집게부의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는 키트 상하조절부 및
    상기 키트 상하조절부와 상기 피펫부에 연결되어, 상기 키트 집게부와 피펫부의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조절하는 통합 상하조절부를 포함하는 다채널 혈액 점도 측정 장치의 점도측정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점도측정용 키트가 장착되어 주입된 혈액샘플의 점도를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채널을 포함하는 혈액점도 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혈액점도 측정부의 채널은,
    상기 혈액점도측정용 키트가 장착되는 키트장착부재;
    상기 혈액점도측정용 키트가 장착된 키트장착부재가 내부로 삽입되고, 혈액점도측정용 키트에 주입된 혈액샘플의 점도를 측정하는 점도측정유닛 및
    상기 키트장착부재를 상기 점도측정유닛으로 삽입 또는 인출시키는 키트삽입유닛을 포함하는 다채널 혈액 점도 측정 장치의 점도측정모듈.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 위치조절부는,
    상기 키트 집게부와 피펫부의 위치를 좌우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는 후처리 좌우조절부 및
    상기 키트 집게부와 피펫부의 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는 후처리 전후조절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다채널 혈액 점도 측정 장치의 점도측정모듈.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사용 전 혈액점도측정용 키트를 보관하는 혈액점도측정용 카트리지를 더 포함하는 다채널 혈액 점도 측정 장치의 점도측정모듈.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점도 측정부에서 혈액샘플의 점도 측정이 완료된 혈액점도측정용 키트를 수용하는 폐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다채널 혈액 점도 측정 장치의 점도측정모듈.
KR1020200104166A 2020-08-19 2020-08-19 다채널 혈액 점도 측정 장치의 점도측정모듈 KR102410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166A KR102410659B1 (ko) 2020-08-19 2020-08-19 다채널 혈액 점도 측정 장치의 점도측정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166A KR102410659B1 (ko) 2020-08-19 2020-08-19 다채널 혈액 점도 측정 장치의 점도측정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2788A KR20220022788A (ko) 2022-02-28
KR102410659B1 true KR102410659B1 (ko) 2022-06-20

Family

ID=80497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4166A KR102410659B1 (ko) 2020-08-19 2020-08-19 다채널 혈액 점도 측정 장치의 점도측정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06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2108B1 (ko) * 2022-08-01 2023-08-29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자동 혈액 점도 측정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447B1 (ko) 2009-11-16 2010-05-18 (주)바이오비스코 자동 점도측정장치
KR101476923B1 (ko) * 2013-08-28 2014-12-26 김보곤 혈액점도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혈액점도측정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797B1 (ko) * 2011-11-23 2013-10-08 이동환 혈액의 산소공급능력지수 자동측정장치
KR101854704B1 (ko) * 2016-05-13 2018-05-04 티엔에스(주) 다중시료 자동분석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447B1 (ko) 2009-11-16 2010-05-18 (주)바이오비스코 자동 점도측정장치
KR101476923B1 (ko) * 2013-08-28 2014-12-26 김보곤 혈액점도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혈액점도측정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2108B1 (ko) * 2022-08-01 2023-08-29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자동 혈액 점도 측정 장치
WO2024029737A1 (ko) * 2022-08-01 2024-02-08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자동 혈액 점도 측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2788A (ko) 2022-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285369B (zh) 全自动进样血细胞分析测量方法及装置
KR900008959B1 (ko) 피시험액체 분주장치
KR102410659B1 (ko) 다채널 혈액 점도 측정 장치의 점도측정모듈
JP6676300B2 (ja) 対象物移動方法及び装置
EP2145016B1 (en) Wash ring assembly and method of use
JPH087222B2 (ja) 自動分注希釈装置
JP2010536014A (ja) 流体試料の調製及び分画分配機器、この機器を含む分配システム、及び関連方法
KR101476923B1 (ko) 혈액점도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혈액점도측정방법
KR102331945B1 (ko) 다채널 혈액 점도 측정 장치
JP5090908B2 (ja) 血液試料を自動的に調査する装置と方法
KR101701334B1 (ko) 포터블 혈액점도측정장치
US20220257123A1 (en) Small blood viscosity measurement kit and cartridge therefor
CN210585004U (zh) 移液工作站
JP6570522B2 (ja) 体外自動診断方法
CN109596528A (zh) 一种全自动凝血分析仪及其分析方法
KR102410657B1 (ko) 다채널 혈액 점도 측정 장치의 전처리모듈
KR102572108B1 (ko) 자동 혈액 점도 측정 장치
CN219161714U (zh) 一种穿刺采样装置及采样系统、检测仪
CN218573721U (zh) 一种洗精术移液系统
DE3110090C2 (de) Probenkammer für Membranosmometer
CN116298334A (zh) 血液样本分析方法及血液样本分析仪
JPH0145868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