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0513B1 - 음원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음원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0513B1
KR102410513B1 KR1020200045384A KR20200045384A KR102410513B1 KR 102410513 B1 KR102410513 B1 KR 102410513B1 KR 1020200045384 A KR1020200045384 A KR 1020200045384A KR 20200045384 A KR20200045384 A KR 20200045384A KR 102410513 B1 KR102410513 B1 KR 102410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sound
change data
sec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5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7480A (ko
Inventor
박진호
김의준
Original Assignee
에프알씨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알씨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프알씨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5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0513B1/ko
Publication of KR20210127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7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0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0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08Associated control or indicating mea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2Means for controlling the tone frequencies, e.g. attack or decay; Means for producing special musical effects, e.g. vibratos or glissando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101Music Composition or musical creation; Tools or processes therefor
    • G10H2210/105Composing aid, e.g. for supporting creation, edition or modification of a piece of musi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원의 악보를 분리하여 구간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구간 데이터의 첫 음을 기준 값으로 설정한 후 상기 구간 데이터 내 첫 음을 기준으로 음의 변화도를 계산하여 구간별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1 기능과, 상기 구간별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에 대해 서로 다른 일련번호를 부여하되, 동일한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에 대해 동일한 일련번호를 부여하는 제 2 기능과, 음원에서 연속하는 구간의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를 결합을 통해 단, 중 및 장 구간의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를 생성하여 단, 중 및 장 구간에 대한 일련번호를 부여하되, 동일한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에 대해 동일한 일련번호를 부여하는 제 3 기능과, 연속하는 각 구간에 부여된 일련번호의 변화를 분석하여 구간 변화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한 구간 변화 데이터를 2n(n은 1 이상의 자연수) 구간 기준으로 추출한 후 상기 추출한 구간 변화 데이터에 일련번호를 부여하는 제 4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원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OF SOUND SOURCE RELATION}
본 발명은 음원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개의 경우 특정 음원의 창작을 위해서는 제작자의 자본, 작사가, 작곡가, 편곡자의 창작, 그리고 실연자들의 연주와 노래 등이 필요한 요소들로 각각의 참여자들이 저작권 혹은 인접권의 형태로 해당 음원에서 발생하는 수입에 일부에 대한 권리를 가지고 있다.
음원 소비자들은 단순히 듣는 것뿐만 아니라 본인들이 선호하는 음원에 투자하여 수입을 공유하고 권리의 일부를 소유하기를 원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 가수 지망생들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에 따라, 가수 지망생들에 의해 작사, 작곡되는 음원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데, 그 노력에 비해 성공 확률이 매우 낮은 편이다.
이런 이유로, 최근 IT 기술의 발전에 맞춰서 IT 기술과 음원 서비스 시장을 접목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8-0064749호(2018.06.15.공개)
본 발명은 음원을 구간화한 후 음 변화도를 기반으로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를 생성하여 관리할 수 있는 음원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흥행된 음원에 대한 음 변화 데이터를 기반으로 흥행된 음원의 특성 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음원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신규 음원에 대한 음 변화 데이터와 기 등록된 흥행된 음원의 특성 정보간의 비교를 통해 신규 음원에 대한 시장성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음원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신규 음원에 대한 음 변화 데이터와 기 등록된 음원의 음 변화 데이터간의 비교를 통해 표절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음원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원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는 음원의 악보를 분리하여 구간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구간 데이터의 첫 음을 기준 값으로 설정한 후 상기 구간 데이터 내 첫 음을 기준으로 음의 변화도를 계산하여 구간별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1 기능과, 상기 구간별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에 대해 서로 다른 일련번호를 부여하되, 동일한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에 대해 동일한 일련번호를 부여하는 제 2 기능과, 음원에서 연속하는 구간의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를 결합을 통해 단, 중 및 장 구간의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를 생성하여 단, 중 및 장 구간에 대한 일련번호를 부여하되, 동일한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에 대해 동일한 일련번호를 부여하는 제 3 기능과, 연속하는 각 구간에 부여된 일련번호의 변화를 분석하여 구간 변화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한 구간 변화 데이터를 2n(n은 1 이상의 자연수) 구간 기준으로 추출한 후 상기 추출한 구간 변화 데이터에 일련번호를 부여하는 제 4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3 기능은 상기 음원에서 연속하는 구간의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를 2개, 4개 및 8개로 결합하여 단, 중 및 장 구간에 대한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연속하는 두 개의 구간의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를 2개 및 4개로 결합하여 중 및 장 구간에 대한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연속하는 구간에 대한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를 2개로 결합하여 중 구간에 대한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음원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는 복수의 음원에 대한 다운로드 횟수, 방송 횟수 및 음반 판매 횟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 흥행성이 높은 디지털 음원을 추출하는 흥행성 음원 추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내지 제 4 기능을 통해 상기 흥행성이 높은 디지털 음원에 대한 구간의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 단, 중 및 장 구간의 음 변화 데이터 및 구간 변화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음원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는 동일한 일련번호의 부여 횟수를 계산하여 구간의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 상기 단, 중 및 장 구간의 음 변화 데이터 및 구간 변화 데이터에 대한 흥행 점수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한 흥행 점수를 기반으로 흥행성 음원 패턴을 생성한 후 이를 트렌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흥행성 음원 패턴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음원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기능을 통해 생성된 신규 음원에 대한 구간의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 상기 단, 중 및 장 구간의 음 변화 데이터 및 구간 변화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상기 트렌드 데이터베이스에서 저장된 흥행성 음원 패턴을 비교하여 신규 음원에 대한 시장성 평가 점수를 산출하는 음원 시장성 평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음원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기능을 통해 상기 신규 디지털 음원에 대한 중 및 장 구간의 음 변화 데이터와 상기 분석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음원의 중 및 장 구간의 음 변화 데이터간의 비교 분석을 통해 유사성 판단하며, 유사성 정도와 기 설정된 판단용 임계 값간의 비교를 통해 표절성 판단 정보를 생성하는 표절성 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음원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흥행성이 높은 음원에 대한 구간의 음 변화 데이터, 상기 단, 중 및 장 구간의 음 변화 데이터 및 구간 변화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조합하여 음원 작곡 정보를 생성하는 자동 음원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원 관련 서비스 제공 방법은 음원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음원의 악보를 분리하여 구간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구간 데이터의 첫 음을 기준 값으로 설정한 후 상기 구간 데이터 내 첫 음을 기준으로 음의 변화도를 계산하여 구간별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구간별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에 대해 서로 다른 일련번호를 부여하되, 동일한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에 대해 동일한 일련번호를 부여하는 제 2 단계와, 음원에서 연속하는 구간의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를 결합을 통해 단, 중 및 장 구간의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를 생성하여 단, 중 및 장 구간에 대한 일련번호를 부여하되, 동일한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에 대해 동일한 일련번호를 부여하는 제 3 단계와, 연속하는 각 구간에 부여된 일련번호의 변화를 분석하여 구간 변화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한 구간 변화 데이터를 2n(n은 1 이상의 자연수) 구간 기준으로 추출한 후 상기 추출한 구간 변화 데이터에 일련번호를 부여하는 제 4 단계와, 현재 흥행중인 복수의 음원 및 과거에 발표된 복수의 음원에 대해 상기 제 1 내지 제 4 단계를 수행하여 음원에 대한 구간별 수치화됨 음 변화 데이터, 상기 단, 중 및 장 구간에 대한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 및 구간 변화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현재 흥행중인 복수의 음원의 흥행성 음원 패턴과 기간별, 장르별 및 연령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흥행성 음원 패턴을 생성하는 제 5 단계와, 신규 음원이 입력됨에 따라 상기 신규 음원에 대해 상기 제 1 내지 제 4 단계를 수행하여 음원에 대한 구간별 수치화됨 음 변화 데이터, 상기 단, 중 및 장 구간에 대한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 및 구간 변화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생성한 신규 음원에 대한 데이터와 상기 제 5 단계에서 생성한 상기 현재 흥행중인 복수의 음원의 흥행성 음원 패턴과 기간별, 장르별 및 연령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흥행성 음원 패턴간의 비교를 통해 음원의 시장성 평가 정보를 생성하는 제 6 단계와, 상기 신규 음원에 대한 구간별 수치화됨 음 변화 데이터, 상기 단, 중 및 장 구간에 대한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 및 구간 변화 데이터와 상기 현재 흥행중인 복수의 음원 및 과거에 발표된 복수의 음원에 대한 구간별 수치화됨 음 변화 데이터, 상기 단, 중 및 장 구간에 대한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 및 구간 변화 데이터간의 비교를 통해 표절성 판단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음원을 구간화한 후 음 변화도를 기반으로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를 생성하여 관리할 수 있는 음원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대량의 음원의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과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흥행된 음원에 대한 음 변화 데이터를 기반으로 흥행된 음원의 패턴 정보를 추출하고, 신규 음원에 대한 음 변화 데이터와 기 등록된 흥행된 음원의 패턴 정보간의 비교를 통해 신규 음원에 대한 시장성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신규 음원 발매에 따른 위험 부담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원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의 전반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원 패턴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음원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원 패턴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원 패턴화를 통해 음원 관련 서비스 제공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음원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원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전반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원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음원 패턴화부(110), 흥행성 음원 추출부(120), 음원 트렌드 분석부(130), 음원 시장성 평가부(140), 표절성 판단부(150), 자동 음원 제공부(1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음원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음원 데이터베이스(10), 분석용 데이터베이스(20) 및 트렌드 데이터베이스(30) 등과 연동될 수 있다.
음원 데이터베이스(10)에는 현재까지 배포된 음원이 저장된 것으로서, 음원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100) 내부에 포함될 수 있거나 유무선 통신망(미도시됨)으로 연결되어 음원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요청에 따라 음원을 제공할 수 있다.
음원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음원 데이터베이스(10)에서 제공되는 음원을 구간화한 후 음 변화도를 기반으로 수치화 작업을 통해 음원에 대한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음원 패턴 데이터)를 생성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음원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음원 데이터베이스(10)에 저장된 음원 중 흥행된 음원에 대한 음 변화 데이터를 기반으로 흥행된 음원의 특성 정보를 추출하며, 신규 음원에 대한 음 변화 데이터와 기 등록된 흥행된 음원의 특성 정보간의 비교를 통해 신규 음원에 대한 시장성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음원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신규 음원에 대한 음 변화 데이터와 기 등록된 음원의 음 변화 데이터간의 비교를 통해 표절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음원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흥행중인 음원에 대한 음 변화 데이터를 조합한 형태의 자동 작곡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원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음원 패턴화부(110)는 음원 데이터베이스(10)의 음원을 수치화하여, 음 변화와 관련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원 패턴화부(110)는 음원의 악보에 대한 구간별 수치화 작업을 통해 패턴화를 수행한 후 이를 기반으로 음변화 관련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원 패턴화부(110)는 음원의 악보를 구간별로 나누어 분리할 수 있다. 즉, 음원 패턴화부(110)는 음원을 최소 구간 단위로 나누어 음원의 악보를 분리하여 구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원 패턴화부(110)는 4/4박자의 경우 음원의 악보에서 4박자에 해당되는 부분을 최소 구간 단위로 설정하여 음원의 악보를 분리하여 구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음원 패턴화부(110)는 구간 데이터의 첫 음을 기준 값으로 설정한 후 음의 변화도에 의거하여 각 음을 수치화하여 구간별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원 패턴화부(110)는 첫 번째 음을 "0"으로 설정한 후 그 이후 음의 변화에 따라 수치의 변화를 주어 음 변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퐁당퐁당의 동요에서 구간 데이터인 퐁당퐁당 부분의 경우 "0244"로 수치화되며, 누나몰래 부분의 경우 "0244"로 수치화되며, 돌을 던지자 부분의 경우 "03565"로 수치화되며, 아빠의 얼굴 동요에서 나를찾는 부분의 경우 "0244"로 수치화되어 음 변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음원 패턴화부(110)는 구간별 음 변화 데이터에 대해 중복되지 않도록 일련번호를 부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원 패턴화부(110)는 동일한 수치 정보를 갖는 음 변화 데이터에 대해 동일한 일련번호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상호 중복되지 않도록 일련번호가 부여된 음 변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즉, 퐁당퐁당 부분과 나를찾는 부분은 같은 수치 정보를 갖기 때문에 동일한 일련번호가 부여될 수 있다.
또한, 음원 패턴화부(110)는 구간별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를 결합하여 단/중/장에 대한 음 변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원 패턴화부(110)는 동일한 노래에서 연속하는 구간의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를 2개, 4개 및 8개로 결합하여 단, 중 및 장 구간에 대한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연속하는 두 개의 구간의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를 2개 및 4개로 결합하여 중 및 장 구간에 대한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연속하는 구간에 대한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를 2개로 결합하여 중 구간에 대한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할 수 있다.
또한, 음원 패턴화부(110)는 연속하는 각 구간에 부여된 일련번호의 변화를 분석하여 구간 변화 데이터를 생성하며, 생성한 구간 변화 데이터를 2구간, 4구간, 8구간 기준으로 추출하여 별도의 일련번호를 부여할 수 있다.
음원 패턴화부(110)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일련번호가 부여된 음원에 대한 단/중/장 구간의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 및 일련번호가 부여된 구간 변화 데이터를 생성한 후 이를 분석용 데이터베이스(20)에 저장할 수 있다.
흥행성 음원 추출부(120)는 음원 데이터베이스(10)에 저장된 음원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것으로서, 모든 음원의 분야별 다운로드 횟수, 방송 횟수, 음반 판매 횟수 등을 모니터링하여 흥행성이 높은 음원을 추출한 후 이를 음원 패턴화부(11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원 패턴화부(110)는 흥행성이 높은 음원의 구간의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 단/중/장 구간의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와 구간 변화 데이터를 생성하며, 생성한 데이터를 흥행 음원 패턴 생성부(13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흥행 음원 패턴 생성부(130)는 흥행성이 높은 음원의 구간의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 단/중/장 구간의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와 구간 변화 데이터에 대한 흥행 점수를 산출하여 트렌드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흥행 음원 패턴 생성부(130)는 구간의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 단, 중 및 장 구간의 음 변화 데이터 및 구간 변화 데이터에 대한 일련번호를 부여할 때 동일한 일련번호의 부여 횟수를 계산하여 구간, 단, 중 및 장 구간의 음 변화 데이터와 구간 변화 데이터에 대한 흥행 점수를 산출하며, 산출한 흥행 점수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흥행성 음원 패턴을 생성한 후 이를 트렌드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에서, 흥행성 음원 패턴은 단, 중 및 장 구간의 음원 패턴이거나 구간 변화 데이터에 대응되는 음원 패턴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흥행 음원 패턴 생성부(130)는 음원 데이터베이스(10)에 저장된 과거에 발매된 음원에 대한 음원 패턴화 과정을 통해 기간별(년도별, 계절별 시대별 등을 포함함), 장르별, 연령별 흥행성 음원 패턴을 생성한 후 이를 트렌드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음원 시장성 평가부(140)는 신규 음원에 대한 시장성을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서, 신규 음원을 음원 패턴화부(110)에 제공하여 구간의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 단/중/장 구간의 음 변화 데이터 및 구간 변화 데이터를 제공받으며, 제공받은 데이터에 대한 흥행 점수를 트렌드 데이터베이스(30)에서 추출한 후 이를 기반으로 신규 음원에 대한 시장성 평가 점수를 산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원 시장성 평가부(140)는 신규 음원의 구간의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 단/중/장 구간의 음 변화 데이터 및 구간 변화 데이터에 트렌드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된 흥행 점수가 높은 데이터의 포함 횟수를 분석하여 신규 음원에 대한 시장성 평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표절성 판단부(150)는 신규 음원에 대한 중/장 구간의 음 변화 데이터와 분석용 데이터베이스(20)에 저장된 음원의 중/장 구간의 음 변화 데이터간의 비교 분석을 통해 유사성 판단하며, 유사성 정도와 기 설정된 판단용 임계 값간의 비교를 통해 표절성 판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원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음원 작곡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음원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트렌드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된 흥행성 음원 패턴을 기반으로 음원 작곡 정보를 생성하는 자동 음원 생성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음원 생성부(160)는 트렌드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된 흥행하고 있는 음원을 기반으로 생성된 흥행성 음원 패턴과 기간별, 연령별, 장르별 흥행성 음원 패턴을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작곡 정보를 자동 생성한 후 이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음원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동작하는 과정에 대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원 패턴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원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음원 패턴화부(110)는 음원의 악보를 분리하여 구간 데이터를 생성한다(S300).
그런 다음, 음원 패턴화부(110)는 구간 데이터의 첫 음을 기준 값으로 설정한 후 구간 데이터 내 첫 음을 기준으로 음의 변화도를 계산하여 구간별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를 생성한다(S302).
그리고 나서, 음원 패턴화부(110)는 구간별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에 대해 서로 다른 일련번호를 부여하되, 동일한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에 대해 동일한 일련번호를 부여한다(S304).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들을 음원 각각에 대해 수행하여, 음원 패턴화부(110)는 구간 데이터에 대한 일련번호가 부여된 음 변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음원 패턴화부(110)는 음원에서 연속하는 구간의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를 결합을 통해 단, 중 및 장 구간의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를 생성하여 단, 중 및 장 구간에 대한 일련번호를 부여하되, 동일한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에 대해 동일한 일련번호를 부여한다(S306).
그리고나서, 음원 패턴화부(110)는 연속하는 각 구간에 부여된 일련번호의 변화를 분석하여 구간 변화 데이터를 생성하며(S308), 생성한 구간 변화 데이터를 2n(n은 1 이상의 자연수) 구간 기준으로 추출하여 구간 변화 데이터에 일련번호를 부여한다(S310).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들을 이용하여 음원의 패턴화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음원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원 패턴화를 통해 음원 관련 서비스 제공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원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음원 데이터베이스(10)에 저장된 모든 음원에 대해 도 3의 음원 패턴화 과정을 적용하여 기간별, 연령별, 장르별 흥행성 음원 패턴을 생성하여 트렌드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한다(S400). 즉, 음원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구간별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 단, 중 및 장 구간의 음 변화 데이터 및 구간 변화 데이터에 대한 일련번호의 부여 횟수를 통해 각각에 대한 흥행 점수를 산출하며, 산출한 흥행 점수가 기 설정된 설정 점수 이상인 음 변화 데이터 및 구간 변화 데이터를 추출하는 방식으로 흥행성 음원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음원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최근 흥행성이 높은 음원에 대해 도 3의 음원 패턴화 과정을 적용하여 최근 흥행 중인 흥행성 음원 패턴을 생성하여 트렌드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한다(S402).
신규 음원이 입력(S404)됨에 따라 음원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신규 음원에 대해 도 3의 음원 패턴화 과정을 적용하여 신규 음원에 대한 패턴화 데이터, 즉 구간별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 단, 중 및 장 구간의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 및 구간 변화 데이터를 생성한다(S406).
이후, 음원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생성한 신규 음원에 대한 패턴화 데이터와 트렌드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된 데이터, 즉 최근 흥행 중인 흥행성 음원 패턴과 년도별, 장르별, 연령별 흥행성 음원 패턴간의 비교를 통해 음원 시장성 평가 정보 및 표절성 판단 정보를 생성한다(S408). 구체적으로, 음원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생성한 신규 음원에 대한 패턴화 데이터 내 최근 흥행 중인 흥행성 음원 패턴과 년도별, 장르별, 연령별 흥행성 음원 패턴의 포함 횟수를 체크하는 방식으로 음원 시장성 평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음원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최근 흥행 중인 흥행성 음원 패턴과 년도별, 장르별, 연령별 흥행성 음원 패턴을 기반으로 시장성이 높은 음원을 포함한 작곡 정보를 생성한다(S408).
한편,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또는 메모리) 등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또는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100 : 음원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
110 : 음원 패턴화부
120 : 흥행성 음원 추출부
130 : 흥행 음원 패턴 생성부
140 : 음원 시장성 평가부
150 : 표절성 판단부
160 : 자동 음원 생성부

Claims (8)

  1. 음원의 악보를 분리하여 구간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구간 데이터의 첫 음을 기준 값으로 설정한 후 상기 구간 데이터 내 첫 음을 기준으로 음의 변화도를 계산하여 구간별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1 기능과, 상기 구간별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에 대해 서로 다른 일련번호를 부여하되, 동일한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에 대해 동일한 일련번호를 부여하는 제 2 기능과, 상기 음원에서 연속하는 구간의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를 2개, 4개 및 8개로 결합하여 단, 중 및 장 구간에 대한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를 생성하여 단, 중 및 장 구간에 대한 일련번호를 부여하되, 동일한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에 대해 동일한 일련번호를 부여하는 제 3 기능과, 연속하는 각 구간에 부여된 일련번호의 변화를 분석하여 구간 변화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한 구간 변화 데이터를 2n(n은 1 이상 3 이하인 자연수) 구간 기준으로 추출한 후 상기 추출한 구간 변화 데이터에 일련번호를 부여하는 제 4 기능을 포함하는 음원 패턴화부와,
    상기 음원 패턴화부에 생성된 상기 일련번호가 부여된 음원에 대한 단, 중 및 장 구간의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 및 상기 일련번호가 부여된 구간 변화 데이터가 저장된 분석용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음원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패턴화부의 제 3 기능은,
    상기 음원에서 연속하는 두 개의 구간의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를 2개 및 4개로 결합하여 중 및 장 구간에 대한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상기 음원에서 연속하는 구간에 대한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를 2개로 결합하여 중 구간에 대한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음원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는,
    복수의 음원에 대한 다운로드 횟수, 방송 횟수 및 음반 판매 횟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 흥행성이 높은 디지털 음원을 추출하는 흥행성 음원 추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음원 패턴화부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기능을 통해 상기 흥행성이 높은 디지털 음원에 대한 구간의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 단, 중 및 장 구간의 음 변화 데이터 및 구간 변화 데이터를 추출하는 음원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흥행성이 높은 디지털 음원에 대한 구간의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 상기 단, 중 및 장 구간의 음 변화 데이터 및 구간 변화 데이터에서 동일한 일련번호의 부여 횟수를 계산하여 흥행 점수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한 흥행 점수를 기반으로 흥행성 음원 패턴을 생성한 후 이를 트렌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흥행성 음원 패턴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음원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기능을 통해 생성된 신규 디지털 음원에 대한 구간의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 상기 단, 중 및 장 구간의 음 변화 데이터 및 구간 변화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상기 트렌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흥행성 음원 패턴간의 비교를 통해 신규 디지털 음원에 대한 시장성 평가 점수를 산출하는 음원 시장성 평가부를 더 포함하는 음원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기능을 통해 상기 신규 디지털 음원에 대한 중 및 장 구간의 음 변화 데이터와 상기 분석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음원의 중 및 장 구간의 음 변화 데이터간의 비교 분석을 통해 유사성 판단하며, 유사성 정도와 기 설정된 판단용 임계 값간의 비교를 통해 표절성 판단 정보를 생성하는 표절성 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음원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흥행성이 높은 음원에 대한 구간의 음 변화 데이터, 상기 단, 중 및 장 구간의 음 변화 데이터 및 구간 변화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조합하여 음원 작곡 정보를 생성하는 자동 음원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음원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
  8. 음원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음원의 악보를 분리하여 구간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구간 데이터의 첫 음을 기준 값으로 설정한 후 상기 구간 데이터 내 첫 음을 기준으로 음의 변화도를 계산하여 구간별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구간별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에 대해 서로 다른 일련번호를 부여하되, 동일한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에 대해 동일한 일련번호를 부여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음원에서 연속하는 구간의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를 2개, 4개 및 8개로 결합하여 단, 중 및 장 구간에 대한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를 생성하여 단, 중 및 장 구간에 대한 일련번호를 부여하되, 동일한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에 대해 동일한 일련번호를 부여하는 제 3 단계와,
    연속하는 각 구간에 부여된 일련번호의 변화를 분석하여 구간 변화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한 구간 변화 데이터를 2n(n은 1 이상 3이하의 자연수) 구간 기준으로 추출한 후 상기 추출한 구간 변화 데이터에 일련번호를 부여하는 제 4 단계와,
    현재 흥행중인 복수의 음원 및 과거에 발표된 복수의 음원에 대해 상기 제 1 내지 제 4 단계를 수행하여 음원에 대한 구간별 수치화됨 음 변화 데이터, 상기 단, 중 및 장 구간에 대한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 및 구간 변화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현재 흥행중인 복수의 음원의 흥행성 음원 패턴과 기간별, 장르별 및 연령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흥행성 음원 패턴을 생성하는 제 5 단계와,
    신규 음원이 입력됨에 따라 상기 신규 음원에 대해 상기 제 1 내지 제 4 단계를 수행하여 음원에 대한 구간별 수치화됨 음 변화 데이터, 상기 단, 중 및 장 구간에 대한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 및 구간 변화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생성한 신규 음원에 대한 데이터와 상기 제 5 단계에서 생성한 상기 현재 흥행중인 복수의 음원의 흥행성 음원 패턴과 기간별, 장르별 및 연령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흥행성 음원 패턴간의 비교를 통해 음원의 시장성 평가 정보를 생성하는 제 6 단계와,
    상기 신규 음원에 대한 구간별 수치화됨 음 변화 데이터, 상기 단, 중 및 장 구간에 대한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 및 구간 변화 데이터와 상기 현재 흥행중인 복수의 음원 및 과거에 발표된 복수의 음원에 대한 구간별 수치화됨 음 변화 데이터, 상기 단, 중 및 장 구간에 대한 수치화된 음 변화 데이터 및 구간 변화 데이터간의 비교를 통해 표절성 판단 정보를 생성하는 제 7 단계를 포함하는 음원 관련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200045384A 2020-04-14 2020-04-14 음원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410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5384A KR102410513B1 (ko) 2020-04-14 2020-04-14 음원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5384A KR102410513B1 (ko) 2020-04-14 2020-04-14 음원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7480A KR20210127480A (ko) 2021-10-22
KR102410513B1 true KR102410513B1 (ko) 2022-06-20

Family

ID=78275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5384A KR102410513B1 (ko) 2020-04-14 2020-04-14 음원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051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6331B1 (ko) 2014-04-29 2015-08-24 문한기 음계를 이용한 음악 재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음악 재생 장치
JP2019109357A (ja) 2017-12-18 2019-07-04 大黒 達也 音楽情報の特徴解析方法及びその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9109A (ko) * 2008-07-18 2010-01-27 임성우 음악 저작물 관리 방법
KR101279146B1 (ko) * 2011-03-25 2013-06-26 (주)비전앤바이오테크 음악 장르에 따른 분위기와 색상 분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75957B1 (ko) * 2015-03-10 2016-11-1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신호 성분 분석을 이용한 음악 인기도 예측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64749A (ko) 2016-12-06 2018-06-15 뮤지코인 주식회사 음원 수익 예측/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102138247B1 (ko) * 2018-02-27 2020-07-28 주식회사 크리에이티브마인드 음원 평가 방법 및 그 장치와 이를 이용한 음원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6331B1 (ko) 2014-04-29 2015-08-24 문한기 음계를 이용한 음악 재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음악 재생 장치
JP2019109357A (ja) 2017-12-18 2019-07-04 大黒 達也 音楽情報の特徴解析方法及びその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7480A (ko) 2021-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73883B2 (en) Personalized music remixing
EP2096626A1 (en) Method for visualizing audio data
US10424280B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n audio or midi output file using a harmonic chord map
TW201238279A (en) Semantic audio track mixer
CN102760426A (zh) 使用表示乐音生成模式的演奏数据搜索
TW201824249A (zh) 歌詞的配樂生成方法和相關裝置
Rizo et al. A Pattern Recognition Approach for Melody Track Selection in MIDI Files.
KR101648931B1 (ko) 리듬 게임 제작 방법, 장치 및 이를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JP5293018B2 (ja) 音楽情報処理装置、音楽情報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2760428A (zh) 使用表示乐音生成模式的查询的演奏数据搜索
KR20190108027A (ko) 영상과 어울리는 음악을 생성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20180025084A (ko) 음원 제공 서버의 불특정 다수에 의한 음원 제작 방법, 음원 제공 서버 및 음원 제작 단말
JP4597919B2 (ja) 音響信号特徴抽出方法、抽出装置、抽出プログラム、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および該特徴を利用した音響信号検索方法、検索装置、検索プログラム、並びに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2410513B1 (ko) 음원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JP2017032601A (ja) 自動伴奏データ生成装置および自動伴奏データ生成プログラム
KR20070048484A (ko) 음악파일 자동 분류를 위한 특징 데이터베이스 생성 장치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재생 목록 자동 생성 장치 및그 방법
JP2006178104A (ja) 楽曲生成方法,その装置,そのシステム
CN1643529B (zh) 个人化的识别通信的方法
Jani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transitions for mixed speech and music playlist generation
Dawson Jr et al. Spotify: You have a Hit!
CN106649480A (zh) 一种音乐列表的生成方法及服务器
CN113032616A (zh) 音频推荐的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KR101426763B1 (ko) 음원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US11609948B2 (en) Music streaming, playlist creation and streaming architecture
US20240194173A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for generating an audio output f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