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9613B1 - Article transport facility - Google Patents

Article transport facil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9613B1
KR102409613B1 KR1020170111773A KR20170111773A KR102409613B1 KR 102409613 B1 KR102409613 B1 KR 102409613B1 KR 1020170111773 A KR1020170111773 A KR 1020170111773A KR 20170111773 A KR20170111773 A KR 20170111773A KR 102409613 B1 KR102409613 B1 KR 102409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transport
conveyance
article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17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34222A (en
Inventor
마사히로 다카하라
다쓰야 이치리키
도시히토 우에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180034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42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9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96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9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into and out of processing chamber
    • H01L21/67742Mechanical parts of transfe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07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 B65G1/0414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provided with satellite cars adapted to travel in storage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3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 B65G1/1373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for fulfilling orders in warehou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21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substrates to be conveyed not being semiconductor wafers or large planar substrates, e.g. chips, lead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9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into and out of processing chamber
    • H01L21/6775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into and out of processing chamber vertical transfer of a batch of workpieces

Abstract

복수의 이송탑재부를 가지는 반송 장치를 포함한 물품 반송 설비는, 우선적으로 실행해야 할 우선 반송 처리를 결정하여 그것에 따른 우선 반송 지령을 복수의 이송탑재부 중 하나에 할당하는 제1 할당 처리와, 적어도 우선 반송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 반송 장치가 이동하는 이동 경로에 기초하여 부반송 처리를 결정하여 그것에 따른 부반송 지령을 복수의 이송탑재부 중의 다른 하나에 할당하는 제2 할당 처리를 실행한다.An article transport facility including a transport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transport units includes a first assignment process for determining a preferential transport process to be performed preferentially and assigning a preferential transport command corresponding thereto to one of the plurality of transport devices; A second assignment process of determining a sub-conveying process based on the movement path along which the conveying apparatus moves in order to execute the processing and assigning a sub-conveying command corresponding thereto to the other one of the plurality of conveying mounting units is executed.

Description

물품 반송 설비{ARTICLE TRANSPORT FACILITY}Goods transport facility {ARTICLE TRANSPORT FACILITY}

본 발명은, 물품 반송(搬送) 설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quipment for conveying articles.

예를 들면, 공장 등의 생산 설비에 있어서, 원재료나 중간 제품, 완성품 등을 일시적으로 보관하면서 필요 시에 이들을 필요로 하는 개소(箇所)에 반송하기 위하여, 반송 장치에 더하여, 물품을 유지하는 유지부를 포함한 물품 반송 설비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물품 반송 설비에 있어서, 반송 장치가 복수의 이송탑재부(移載部)를 가지고 구성되며, 복수의 이송탑재부의 각각이 유지부와의 사이에서 물품을 이송탑재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 이용되는 경우가 있다. For example, in a production facility such as a factory, while temporarily storing raw materials, intermediate products, finished products, etc., when necessary, in order to transport them to a place where they are needed, in addition to a conveying device, a holding device for holding articles Goods conveying equipment including wealth is used. In such article transport equipment, there are cases where a transport device is configured to have a plurality of transport and mount parts, and those configured so that each of the plurality of transport parts can transport and mount an article to and from a holder is used. .

상기와 같은 멀티 이송탑재형 물품 반송 설비의 일례가, 예를 들면, 일본공개특허 제2012-136310호 공보(특허문헌 1)에 공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물품 반송 설비에서는, 반송 장치[스태커 크레인 A]가 2개의 이송탑재부[포크 장치 F]를 가지고 구성되고, 이들 2개의 이송탑재부에서, 제1 유지부[수납부 1]와 그것에 인접하는 제2 유지부에 물품을 동시에 이송탑재하고 있다. An example of the above multi-transfer-mounted article transport equipment is disclosed in, for example,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2-136310 (Patent Document 1). In the article transport facility of Patent Document 1, the transport device [stacker crane A] is configured with two transport mounts [fork device F], and in these two transport mounts, the first holding part [storage part 1] and adjacent thereto The article is simultaneously transferred and mounted on a second holding unit.

그러나, 물품 반송 설비의 이용 상황에 따라서는, 반드시 서로 인접하는 복수의 유지부에 물품을 동시에 이송탑재할 필요가 없을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의 이송탑재부를 개별로 작동시켜, 서로 떨어진 위치에 있는 복수의 유지부에 물품을 순차 이송탑재하게 되지만, 단순히 순차 이송탑재하도록 구성하는 것만으로는, 설비 전체로서의 반송 효율이 저하되어 버린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물품 반송 설비에서는, 상기의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남아 있었다. However, depending on the usage situation of the article transport facility, there may be cases where it is not always necessary to simultaneously transport and mount the articles to a plurality of holding unit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transfer mounting units are operated individually to sequentially transfer and mount the articles to a plurality of holding units located apart from each other. throw it away In the article transport facility a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room for improvement remains in view of the above.

반송 장치가 복수의 이송탑재부를 가지고 구성되는 멀티 이송탑재형의 물품 반송 설비에 있어서, 설비 전체의 반송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In a multi-transfer mounting type article conveying facility in which a conveying apparatus is configured to have a plurality of conveying units, it is desired to improve the conveying efficiency of the entire facility.

본 개시에 관한 물품 반송 설비는, The article transport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물품을 유지하는 복수의 유지부와, 복수의 이송탑재부를 가지고 상기 이송탑재부의 각각에 물품을 탑재한 상태에서 반송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또한 상기 이송탑재부의 각각에서 상기 유지부와의 사이에서 물품을 이송탑재 가능한 반송 장치를 포함하고, 반송원(搬送元)의 상기 유지부인 반송원 유지부와 반송처(搬送處)의 상기 유지부인 반송처 유지부와의 세트로 정해지는 반송 지령에 기초하여 상기 반송 장치에 의해 상기 반송원 유지부로부터 상기 반송처 유지부까지 물품을 반송하는 반송 처리를 행하는 물품 반송 설비로서, It has a plurality of holding units for holding articles, and a plurality of transfer units, and is movable along a conveying direction in a state in which an article is mounted on each of the conveying units, and between each of the conveying units and the holding unit. a conveyance device capable of transporting and mounting articles, based on a conveyance instruction set as a set of a conveyance source holding unit as the holding unit of a conveyance source and a conveyance destination holding unit as the holding unit at a conveyance destination an article transport facility for carrying out transport processing for transporting articles from the transport source holding unit to the transport destination holding unit by the transport device,

우선적으로 실행해야 할 상기 반송 처리인 우선 반송 처리를 미리 정해진 결정 규칙에 기초하여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우선 반송 처리에 따른 우선 반송 지령을 복수의 상기 이송탑재부 중 하나인 제1 이송탑재부에 할당하는 제1 할당 처리와, determining a priority conveyance processing, which is the conveyance processing to be performed preferentially, based on a predetermined decision rule, and assigning a priority conveyance comman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priority conveyance processing to a first conveyance unit that is one of the plurality of conveyance units 1 allocation processing;

적어도 상기 우선 반송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 상기 반송 장치가 이동하는 이동 경로에 기초하여 부(副)반송 처리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부반송 처리에 따른 부반송 지령을 복수의 상기 이송탑재부 중의 다른 하나인 제2 이송탑재부에 할당하는 제2 할당 처리를 실행한다. At least a sub conveying process is determined based on a movement path through which the conveying apparatus moves in order to execute the preferential conveying process, and a sub conveying comman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sub conveying process is provided to another one of a plurality of the conveying mounting units. A second allocation process for allocating to the second transfer unit is executed.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1 할당 처리에 의해, 우선 반송 지령이 제1 이송탑재부에 할당되어 우선적으로 실행해야 할 반송 처리가 제1 이송탑재부를 이용하여 우선적으로 실행되므로, 물품의 상태 등의 관점에서 필요한 반송 처리 또는 효율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한 반송 처리를 지체없이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할당 처리에 의해, 우선 반송 처리에 의한 이송탑재와 동시 이송탑재가 아닌 이송탑재를 포함하는 반송 처리에 따른 부반송 지령이 제2 이송탑재부에 할당되므로, 상기 부반송 처리의 내용을 자유도 높게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부반송 처리의 내용을, 적어도 우선 반송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반송 장치의 이동 경로에 기초하여 결정함으로써, 우선 반송 처리 중에, 우선 반송 처리와 부반송 처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쳐 실행할 수 있다. 즉, 우선 반송 처리를 실행할 때의 반송 장치 이동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용하여 부반송 처리를 함께 실행 가능하므로, 이것을 반복 실행함으로써, 설비 전체의 반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by the first assignment processing, the transfer command is assigned to the first transfer unit, and the transfer process to be performed preferentially is performed using the first transfer unit. A necessary conveying process or a preferable conveying process from a viewpoint of efficiency, etc. can be performed suitably without delay. In addition, by the second assignment processing, since the sub-conveying command according to the conveying process including the conveying by the priority conveying process and the conveying other than the simultaneous conveying is assigned to the second conveying unit, the contents of the sub conveying processing are You have a lot of freedom to decide. And, by determining the content of the sub-conveying process based on at least the movement path of the conveying apparatus for executing the preferential conveying process, the preferential conveying process and the sub-conveying process can be executed at least partially overlapping each other during the preferential conveying process. That is, since the sub-conveyance process can be performed together at least partially using the movement of the conveying apparatus at the time of performing the conveyance process first, the conveyance efficiency of the whole facility can be improved by repeating this.

본 개시에 관한 기술의 추가의 특징과 이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하는 이하의 예시적이면서 비한정적인 실시형태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Additional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exemplary and non-limiting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물품 반송 설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층간 반송 설비의 수평 단면도(斷面圖)이다.
도 3은, 층간 반송 설비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4는, 층간 반송 설비의 연직 단면도이다.
도 5는, 제어부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반송 지령의 할당 처리의 순서를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7은, 동시 이송탑재 가능한 상황의 일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8은, 동시 이송탑재 가능한 상황의 일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9는, 동시 이송탑재 가능한 상황의 일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0은, 도중 이송탑재 가능한 상황의 일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1은, 도중 이송탑재 반송물 후보의 들어올림 위치와의 관계에 있어서의 클래스 분류를 나타낸 표이다.
도 12는, 클래스 A에서의 도중 이송탑재 가능한 상황의 일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3은, 도중 이송탑재 반송물 후보의 내려놓음 위치와의 관계에 있어서의 상세한 클래스 분류를 나타낸 표이다.
도 14는, 클래스 B에서의 도중 이송탑재 가능한 상황의 일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5는, 도중 이송탑재 반송물 후보의 내려놓음 위치와의 관계에 있어서의 상세한 클래스 분류를 나타낸 표이다.
도 16은, 클래스 C에서의 도중 이송탑재 가능한 상황의 일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7은, 도중 이송탑재 반송물 후보의 내려놓음 위치와의 관계에 있어서의 상세한 클래스 분류를 나타낸 표이다.
도 18은, 도중 이용 반송 가능한 상황의 일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9는, 도중 이용 반송물 후보의 들어올림 위치와의 관계에서의 클래스 분류를 나타낸 표이다.
도 20은, 클래스 X에서의 도중 이용 반송 가능한 상황의 일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1은, 도중 이용 반송물 후보의 내려놓음 위치와의 관계에 있어서의 상세한 클래스 분류를 나타낸 표이다.
도 22은, 클래스 Y에서의 도중 이용 반송 가능한 상황의 일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3은, 도중 이용 반송물 후보의 내려놓음 위치와의 관계에 있어서의 상세한 클래스 분류를 나타낸 표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rticle transport facility.
Fig. 2 i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of an interfloor conveyance facility.
Fig. 3 i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of an interfloor transport facility.
4 :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of an interfloor conveyance facility.
5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 unit.
Fig. 6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dure for assigning a conveyance instruction.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ituation in which simultaneous transfer is possible.
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ituation in which simultaneous transfer and mounting is possible.
9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ituation in which simultaneous transfer and mounting is possible.
10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ituation in which transfer is possible on the way.
Fig. 11 is a table showing the class classification in relation to the lifting position of the transfer mounted transport candidate on the way.
Fig. 1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ituation in which transfer can be carried out on the way in class A.
Fig. 13 is a table showing detailed class classification in relation to the placement position of the transfer mounted conveyed object candidates on the way.
Fig. 1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ituation in which transfer can be carried out on the way in class B.
Fig. 15 is a table showing detailed class classification in relation to the placement position of the transfer-mounted conveyed object candidates on the way.
Fig. 1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ituation in which transfer can be carried out on the way in class C.
Fig. 17 is a table showing detailed class classification in relation to the placing positions of transfer mounted transport candidates on the way.
1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ituation in which use and transport is possible on the way.
Fig. 19 is a table showing the class classification in relation to the lifting position of the used conveyed object candidates on the way.
Fig. 20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ituation in which use and transport can be carried out on the way in class X.
Fig. 21 is a table showing detailed class classification in relation to the placement position of the used transported object candidates on the way.
Fig. 2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ituation in which use and transport can be carried out on the way in class Y.
Fig. 23 is a table showing the detailed class classification in relation to the placement position of the used transported object candidates on the way.

물품 반송 설비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물품 반송 설비(1)는, 예를 들면, 공장 등의 생산 설비에 설치되고, 원재료나 중간 제품, 완성품 등을 일시적으로 보관하면서 중요하게 이들을 필요로 하는 개소에 반송하기 위해 이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깨끗한 환경 하에서 원재료의 처리 등을 행하는 클린룸에 설치되는 물품 반송 설비(1)를 예로서 설명한다. An embodiment of the article transport facility will be described. The article transport facility 1 is installed, for example, in a production facility such as a factory, and is used to temporarily store raw materials, intermediate products, finished products, and the like while transporting them to a location where they are importantly needed.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an example, the article transport facility 1 installed in a clean room that processes raw materials and the like under a clean environment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반송 설비(1)는, 복수층의 사이에서 물품(A)을 반송하는 층간 반송 장치(2)와, 각 층에 있어서 천장 근처를 주행하여 물품(A)을 반송하는 천장 반송 장치(3)와, 각 층의 바닥면 상을 주행하여 물품(A)을 반송하는 바닥면 반송 장치(4)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물품 반송 설비(1)는, 각 층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층간 반송 장치(2)에 물품(A)을 반입하고 또는 층간 반송 장치(2)로부터 물품(A)을 반출하는 입출 반송 장치(6)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물품(A)으로서는 예를 들면, 반도체 기판이나 레티클(reticle) 기판 등을 수용하는 수용 용기[FOUP(Front Opening Unified Pod)나 레티클 포드 등]를 예시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 the article transport facility 1 includes an interfloor transport device 2 that transports articles A between multiple floors, and transports articles A by traveling near the ceiling on each floor. It includes a ceiling conveying device 3 to be used, and a floor conveying device 4 traveling on the floor of each floor to convey the article A. In addition, the article transport facility 1 is installed on the floor surface of each floor, and is a loading/unloading transport device for loading the article A into the interfloor transport device 2 or unloading the article A from the interfloor transport device 2 . (6) is included. Incidentally, as the article A, for example, a storage container (such as a FOUP (Front Opening Unified Pod) or a reticle pod) that accommodates a semiconductor substrate, a reticle substrate, or the like can be exemplified.

층간 반송 장치(2)는, 각 층의 바닥면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상태에서 각 층에 걸쳐 설치된 통형(筒形)의 구획체(9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천장 반송 장치(3) 및 바닥면 반송 장치(4)는, 구획체(90)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출 반송 장치(6)는, 구획체(90)를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는 상태에서, 구획체(90)의 내부와 외부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입출 반송 장치(6)는, 구획체(90)의 외부에 위치하는 쪽의 단부(端部)(외부측 단부)와 구획체(90)의 내부에 위치하는 쪽의 단부[내부측 단부(6e)] 사이에서 물품(A)을 반송한다. 입출 반송 장치(6)는 예를 들면, 구동식 컨베이어이며, 드라이브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구동된다.The interlayer conveyance device 2 is provided inside the cylindrical partition body 90 provided over each floor in the state which penetrates the bottom surface of each floor in an up-down direction. The ceiling conveying apparatus 3 and the floor conveying apparatus 4 are provided outside the partition 90 . As shown in FIG. 2, the input/export conveyance apparatus 6 is provided over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partition 90 in the state which penetrates the partition 90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 input/export conveyance device 6 has an end (outer end) positioned outside the partition 90 and an end positioned inside the partition 90 (inner end 6e). )] to transport the article (A) between The input/export conveyance device 6 is, for example, a driven conveyor, and is driven by a drive motor (not shown).

도 2∼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획체(90)의 내부에는, 물품(A)을 수납하는 수납부(10)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수납부(10)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단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또한 각 단에 있어서 복수의 수납부(10)가 층간 반송 장치(2)를 중심으로 하는 주위 방향을 따라 병설되어 있다. 수납부(10)는, 물품(A)을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체(12)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체(12)는, 평면에서 볼 때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U자의 각 선단부가 층간 반송 장치(2) 측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수납부(10)는, 지지체(12)에 의해 물품(A)을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한 상태에서 물품(A)을 수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2 to 4 , a plurality of accommodating portions 10 for accommodating the article A are formed inside the partition 90 . The accommodating part 10 is formed over a plurality of stag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n each stage, a plurality of accommodating parts 10 are arranged side by sid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entering on the interlayer conveyance device 2 . The accommodating part 10 is provided with the support body 12 which supports the article A from below. The support body 12 is formed in a U-shape in plan view, and is provided so that each U-shaped front-end|tip part may face the interlayer conveyance apparatus 2 side. In this way, the accommodating part 10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the article A in a state in which the article A is supported by the support 12 from below.

천장 반송 장치(3)이나 바닥면 반송 장치(4), 작업자 등에 의해 입출 반송 장치(6)의 외부측 단부에 물품(A)이 올려지면, 상기 물품(A)은, 입출 반송 장치(6)에 의해 구획체(90) 내부의 내부측 단부(6e)로 반송된다. 그 후, 물품(A)은, 층간 반송 장치(2)에 의해 내부측 단부(6e)로부터 동일 층 또는 다른 층에 있는 수납부(10)로 반송되어, 그 수납부(10)에 수납된다. 또한, 수납부(10)에 수납되어 있는 물품(A)은, 층간 반송 장치(2)에 의해 수납부(10)로부터 동일 층 또는 다른 층에 있는 입출 반송 장치(6)의 내부측 단부(6e)로 반송되고, 그 후, 입출 반송 장치(6)에 의해 외부측 단부로 반송된다. 외부측 단부로 반송된 물품(A)은, 천장 반송 장치(3)나 바닥면 반송 장치(4), 작업자 등에 의해 외부측 단부로부터 내려진다. 그리고, 층간 반송 장치(2)에 의해, 내부측 단부(6e)로부터 다른 입출 반송 장치(6)의 내부측 단부(6e)에 물품(A)을 반송하는 경우나, 수납부(10)로부터 다른 수납부(10)에 물품(A)을 반송하는 경우도 있다.When the article A is loaded on the outer end of the loading/unloading transport device 6 by the ceiling transport device 3, the floor transport device 4, an operator, or the like, the article A is transferred to the loading/unloading transport device 6 is conveyed to the inner end portion 6e of the inside of the partition body 90 . Thereafter, the article A is conveyed from the inner end 6e by the interlayer conveying device 2 to the storage unit 10 located on the same or different floor, and is accommodated in the storage unit 10 . Further, the article A stored in the storage unit 10 is transferred by the interlayer conveying device 2 to the inner end 6e of the loading/unloading conveying device 6 located on the same floor or a different floor from the storage unit 10 . ), and then conveyed to the outer end by the input/exit conveying device 6 . The article A conveyed to the outer end is unloaded from the outer end by the ceiling conveying device 3 , the floor conveying device 4 , an operator, or the like. Then, when the article A is transported from the inner end 6e to the inner end 6e of another input/export transport device 6 by the interlayer transport device 2 , or when the article A is transported from the storage unit 10 to another In some cases, the article A is transported to the storage unit 10 .

상기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물품 반송 설비(1)에서는, 물품(A)은, 수납부(10)에 수납된 상태로 유지되거나, 입출 반송 장치(6)의 내부측 단부(6e)에 탑재된 상태로 유지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납부(10)나 입출 반송 장치(6)의 내부측 단부(6e)가 「유지부(R)」에 상당한다. 물품 반송 설비(1)는, 구획체(90)의 내부에 복수의 유지부(R)를 포함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article transport facility 1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article A is held in the storage unit 10 or mounted on the inner end portion 6e of the input/export transport device 6 . It may or may not be maintained as it is. In this embodiment, the inner side edge part 6e of the accommodating part 10 or the loading/unloading conveyance apparatus 6 corresponds to "holding part R". The article transport facility 1 includes a plurality of holding units R inside the compartment 90 .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획체(90)의 내부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각 층에 걸치는 상태로 안내 레일(14)이 설치되고, 또한 그 안내 레일(14)을 따라 이동하는 반송 장치(20)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안내 레일(14)과 반송 장치(20)를 주요한 요소로서 층간 반송 장치(2)가 구성되어 있다. 반송 장치(20)는 승강체(21)와, 상기 승강체(21)에 고정된 복수(본 예에서는 2개)의 이송탑재부(31)를 포함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물품 반송 설비(1)는 복수의 유지부(R)와, 복수의 이송탑재부(31)를 가지는 반송 장치(20)를 포함하고 있다.As shown in FIG. 4, the guide rail 14 is provided in the inside of the partition 90 in the state spanning each floor along the up-down direction, and the conveyance apparatus 20 which moves along the guide rail 14 further. ) is installed. The interlayer conveying apparatus 2 is comprised using these guide rails 14 and the conveying apparatus 20 as main elements. The conveying apparatus 20 includes an elevating body 21 and a plurality of (two in this example) conveying mounting units 31 fixed to the elevating body 21 . In this way, the article transport facility 1 includes a transport device 20 having a plurality of holding parts R and a plurality of transport mounting parts 31 .

승강체(21)는, 예를 들면, 안내 레일(14)의 상하 각각의 양단부(兩端部)에 설치되는 한 쌍의 풀리(도시하지 않음)에 감긴 벨트(15)에 연결되어 있다. 제1 모터(M1)(도 5를 참조)에 의해 한쪽의 풀리를 구동하여 종동(從動)으로 벨트(15)를 구동함으로써, 승강체(21)는 안내 레일(14)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elevating body 21 is connected to a belt 15 wound around a pair of pulleys (not shown) provided at both upper and lower ends of the guide rail 14 , for example. By driving one pulley by the first motor M1 (refer to FIG. 5 ) and driving the belt 15 as a follower, the elevating body 21 can be raised and lowered along the guide rail 14 . has been

승강체(2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본체부(22)와, 상하 방향의 서로 다른 위치에 있어서 본체부(22)에 연결된 제1 지지부(23) 및 제2 지지부(24)를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장척형 본체부(22)의 하단부에 제1 지지부(23)가 연결되어 있고, 또한 본체부(22)의 상하 방향의 중간부에 제2 지지부(24)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지지부(23) 및 제2 지지부(24)에, 이송탑재부(31)가 각각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형태의 반송 장치(20)는, 상하 방향으로 나뉘어 평면에서 볼 때 겹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이송탑재부(31)가, 일체적으로 승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2개의 이송탑재부(31)간의 이간 폭은, 상하로 늘어서는 2개의 수납부(10)[지지체(12)]간의 이간 폭에 대응하고 있다.The elevating body 21 includes a body part 22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first and second support parts 23 and 24 connected to the body part 22 at different positions in the vertical direction. . In this embodiment, the 1st support part 23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elongate body part 22, and the 2nd support part 24 is connected to the middle part of the up-down direction of the main body part 22. As shown in FIG. And, the transfer mounting part 31 is connected to the 1st support part 23 and the 2nd support part 24, respectively. In this way, in the conveying apparatus 20 of this embodiment, the some conveyance mounting part 31 which is divided in an up-down direction and arrange|positioned so that it may overlap in planar view is comprised so that raising/lowering integrally is possible. And the spacing width between these two transfer mounting parts 31 respond|corresponds to the spacing width|variety between the two accommodating parts 10 (support body 12) arranged in a vertical line.

복수의 이송탑재부(31)는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송탑재부(31)는 선회대(32)과, 링크 기구(33)와, 베이스부(34)와, 지지체(35)를 각각 포함하고 있다. 선회대(32)는, 지지부(23, 24)에 대하여 상하 방향을 따르는 축심(軸芯)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링크 기구(33)는, 그 기단부(基端部)에 있어서 선회대(32)에 연결되어 있고, 또한 선단부에 있어서 베이스부(34)에 연결되어 있다. 지지체(35)는, 베이스부(34)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지지체(35)는, 평면에서 볼 때 U자형의 지지체(12)의 개구부를 상하 방향으로 통과 가능하도록, 상기 개구부보다 한바퀴 작게 형성되어 있다(도 2 및 도 3을 참조).The plurality of transfer mounting units 31 have the same structure as each other. The transfer mounting portion 31 includes a turning table 32 , a link mechanism 33 , a base portion 34 , and a support body 35 , respectively. The turning table 32 is supported so as to be able to rotate about an axi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parts 23 and 24 . The link mechanism 33 is connected to the pivot 32 at its base end, and is further connected to the base 34 at its distal end. The support body 35 is supported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relatively with respect to the base part 34 . The support body 35 is formed to be one turn smaller than the opening part so as to be able to pass through the opening of the U-shaped support body 12 in a plan view (refer to FIGS. 2 and 3).

선회대(32)는, 제2 모터(M2)(도 5를 참조)에 의해 구동되어 지지부(23, 24)에 대하여 선회한다. 링크 기구(33)는, 제3 모터(M3)(도 5를 참조)에 의해 구동되어 신축하고, 지지부(23, 24)로부터 지지체(35)를 돌출시키는 돌출 자세와, 지지체(35)가 지지부(23, 24) 상으로 수용되는 퇴피 자세로 전환된다. 지지체(35)는, 제4 모터(M4)(도 5를 참조)에 의해 구동되어, 베이스부(34)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상대 이동한다. 그리고, 제2 모터(M2), 제3 모터(M3), 및 제4 모터(M4)는 복수의 이송탑재부(31)마다 설치되어 있고, 이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 가능하다.The swing table 32 is driven by the second motor M2 (refer to FIG. 5 ) to swing with respect to the supports 23 , 24 . The link mechanism 33 is driven by a third motor M3 (refer to FIG. 5 ) to expand and contract, and has a protruding posture in which the support body 35 protrudes from the support parts 23 and 24 , and the support body 35 is a support part (23, 24) is converted to the evacuation posture accommodated in the phase. The support body 35 is driven by the 4th motor M4 (refer FIG. 5), and moves relative to the base part 34 in an up-down direction. In addition, the second motor M2 , the third motor M3 , and the fourth motor M4 are provid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transfer mounting units 31 , and they can be driven independently of each other.

물품 반송 설비(1)의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0)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컴퓨터를 가지는 전자 제어 유닛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40)는 통괄 제어부(41)와, 반송 제어부(45)를 포함하고 있다. 통괄 제어부(41)는, 물품 반송 설비(1)에 있어서의 복수의 물품(A)의 보관이나 이동 등을 통괄적으로 관리한다. 반송 제어부(45)는, 통괄 제어부(41)로부터의 지령에 따라, 물품 반송 설비(1)의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물품(A)의 반송을 구체적으로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40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each unit of the article transport facility 1 is constituted by, for example, an electronic control unit having a microcomputer. As shown in FIG. 5 , the control unit 40 includes an integrated control unit 41 and a conveyance control unit 45 . The general control unit 41 collectively manages storage, movement, and the like of the plurality of articles A in the article transport facility 1 . The conveyance control unit 45 specifically controls the conveyance of the product A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ach unit of the product conveying facility 1 according to a command from the general control unit 41 .

통괄 제어부(41)는, 하나의 유지부(R)[수납부(10) 또는 입출 반송 장치(6)의 내부측 단부(6e)]에 유지되고 있는 물품(A)을 다른 유지부(R)[수납부(10) 또는 입출 반송 장치(6)의 내부측 단부(6e)]에 반송하는 것을 결정하고, 상기 반송 처리의 실행을 지령하는 반송 지령을 생성한다. 반송 지령은, 반송원의 유지부(R)로서 대상의 물품(A)이 그 시점에서 유지되고 있는 반송원 유지부(Rs)와, 반송처의 유지부(R)로서 대상의 물품(A)을 향후 반송할 예정인 반송처 유지부(Rd)와의 세트로서 생성된다(도 7 등을 참조). 그리고, 반송처 유지부(Rd)는 예를 들면, 그 후의 생산 프로세스와의 관계에서 다음에 반송되어야 할 유지부(R)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괄 제어부(41)는 우선 반송 결정부(42)와, 부반송 결정부(43)를 포함하고 있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중 이용 반송 결정부(44)를 더 포함하고 있다. 이들 각 기능부(42∼44)의 기능에 관해서는, 후술한다.The general control unit 41 transfers the article A held in one holding unit R (the inner end portion 6e of the storage unit 10 or the loading/unloading transport device 6) to another holding unit R. It is determined to be conveyed to the storage unit 10 or the inner end portion 6e of the loading/unloading conveyance device 6, and a conveyance instruction for instructing execution of the conveying process is generated. The transfer instruction includes a carrier holding unit Rs holding the target article A as the carrier holding unit R at that point in time, and a carrier holding unit R holding the target article A as the carrier holding unit R. is created as a set with the transfer destination holding unit Rd to be transferred in the future (refer to FIG. 7 and the like). And the transfer destination holding part Rd is the holding part R which should be conveyed next in relation to the subsequent production process, for examp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general control unit 41 includes a first conveyance determining unit 42 and a sub conveying determining unit 43 , and in this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n intermediate conveyance determining unit 44 . The function of each of these functional units 42 to 44 will be described later.

반송 제어부(45)는 승강체 구동 제어부(46)와, 제1 이송탑재부 구동 제어부(47)와, 제2 이송탑재부 구동 제어부(48)를 적어도 포함하고 있다. 승강체 구동 제어부(46)는, 반송 지령에 따라 제1 모터(M1)를 구동하고, 반송원 유지부(Rs) 또는 반송처 유지부(Rd)의 위치(상하 방향의 위치)에 반송 장치(20)[승강체(21)]를 이동시킨다. 제1 이송탑재부 구동 제어부(47) 및 제2 이송탑재부 구동 제어부(48)는, 각 이송탑재부(31)의 제2 모터(M2), 제3 모터(M3), 및 제4 모터(M4)를 구동하고, 반송 장치(20)와 유지부(R) 사이에서의 물품(A)의 이송탑재 동작을 담당한다. 그리고, 제1 이송탑재부 구동 제어부(47)는 본 예에서는 2개의 이송탑재부(31) 중 한 쪽[후술하는 제1 이송탑재부(31A)]의 동작을 제어하고, 제2 이송탑재부 구동 제어부(48)는 2개의 이송탑재부(31) 중 다른 쪽[후술하는 제2 이송탑재부(31B)]의 동작을 제어한다.The conveyance control part 45 includes at least the lifting body drive control part 46, the 1st conveyance mounting part drive control part 47, and the 2nd conveyance mounting part drive control part 48. As shown in FIG. The elevating body drive control unit 46 drives the first motor M1 according to the conveying command, and moves the conveying device ( 20) The [elevating body 21] is moved. The first transfer unit drive control unit 47 and the second transfer unit drive control unit 48 control the second motor M2, the third motor M3, and the fourth motor M4 of each transfer unit 31 . It drives and takes charge of the conveyance and mounting operation of the article A between the conveying apparatus 20 and the holding|maintenance part R. In addition, the first transfer unit drive control unit 47 controls the operation of one of the two transfer units 31 (a first transfer unit 31A to be described later) in this example, and the second transfer unit drive control unit 48 )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other of the two transfer-mounted parts 31 (second transfer-mounted part 31B to be described later).

예를 들면, 이송탑재부 구동 제어부(47, 48)는, 반송 지령에 따라서 제2 모터(M2)를 구동하여 선회대(32)를 선회시키고, 지지체(35)의 출퇴 방향을 반송원 유지부(Rs) 또는 반송처 유지부(Rd)에 향하게 한다. 또한, 이송탑재부 구동 제어부(47, 48)는, 지지체(35)의 출퇴 방향을 반송원 유지부(Rs) 또는 반송처 유지부(Rd)에 향하게 한 상태에서 제3 모터(M3)를 구동하여, 링크 기구(33)를 신장시켜 그 유지부(R)에 지지체(35)를 근접시킨다. 또한, 이송탑재부 구동 제어부(47, 48)는, 지지체(35)의 돌출 자세에서 제4 모터(M4)를 구동하여, 베이스부(34)에 대하여 지지체(35)를 상승시켜 반송원 유지부(Rs)로부터 물품(A)을 들어올리는 들어올림 이송탑재, 및 베이스부(34)에 대하여 지지체(35)를 하강시켜 반송처 유지부(Rd)에 물품(A)을 내려놓는 내려놓음 이송탑재를 제어한다.For example, the transfer mounting unit drive control units 47 and 48 drive the second motor M2 according to the transfer command to turn the turning table 32, and chang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upport body 35 to and from the transfer source holding unit ( Rs) or the transfer destination holding unit Rd. In addition, the transfer mounting unit drive control units 47 and 48 drive the third motor M3 in a state in which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upport body 35 is directed to the transfer source holding unit Rs or the transfer destination holding unit Rd. , the link mechanism 33 is extended to bring the support body 35 close to the holding portion R thereof. In addition, the transfer mounting unit drive control unit 47, 48 drives the fourth motor M4 in the protruding posture of the support body 35 to raise the support body 35 with respect to the base part 34 to raise the carrier 35 to the carrier holding part ( A lifting transport that lifts the article A from Rs), and a lowering transport that lowers the support 35 with respect to the base 34 to place the article A on the transport destination holding part Rd. control

이들 승강체 구동 제어부(46), 제1 이송탑재부 구동 제어부(47), 및 제2 이송탑재부 구동 제어부(48)가 함께 작용함으로써, 반송 장치(20)는, 이송탑재부(31)의 각각에 물품(A)을 탑재한 상태에서 반송 방향(T)(본 예에서는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또한 이송탑재부(31)의 각각에서 유지부(R)와의 사이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물품(A)을 이송탑재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반송 장치(20)는, 반송 지령에 기초하여, 반송원 유지부(Rs)와의 사이에서 물품(A)을 이송탑재(들어올림 이송탑재)하고, 상기 물품(A)을 이송탑재부(31)에 탑재한 상태에서 반송원 유지부(Rs)로부터 반송처 유지부(Rd)까지 이동하고, 반송처 유지부(Rd)와의 사이에서 물품(A)을 이송탑재(내려놓음 이송탑재)한다. 이렇게 하여, 반송 장치(20)는, 반송원 유지부(Rs)로부터 반송처 유지부(Rd)까지 물품(A)을 반송하는 반송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반송 제어부(45)는 천장 반송 장치(3)의 동작, 바닥면 반송 장치(4)의 동작, 입출 반송 장치(6)의 동작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When these elevating body drive control unit 46 , first transfer unit drive control unit 47 , and second transfer unit drive control unit 48 work together, the conveying device 20 transfers the article to each of the conveying unit 31 . In a state in which (A) is mounted, the article (A) is movable along the transport direction (T) (in this example, the up-down direction), and between each of the transport mounting parts (31) and the holding part (R)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 can be transported and mounted. Then, the conveying device 20 transfers and mounts the article A (lifting and transporting) with the transfer source holding unit Rs based on the transfer command, and transfers the article A to the transfer mounting unit 31 . ), it moves from the transport source holder Rs to the transport destination holder Rd, and transfers and mounts the article A between the transport destination holder Rd and the transport destination holder Rd. In this way, the conveying apparatus 20 is configured to perform conveyance processing of conveying the article A from the conveying source holding unit Rs to the conveying destination holding unit Rd. In addition, although detailed description is abbreviate|omitted here, the conveyance control part 45 is comprised so that the operation|movement of the ceiling conveying apparatus 3, the operation|movement of the floor conveyance apparatus 4, and the operation|movement of the input/exit conveyance apparatus 6 may also be controlled.

본 실시형태의 물품 반송 설비(1)는, 하나의 반송 장치(20)가 복수의 이송탑재부(31)를 가지고 있는 것과의 관계에서, 설비 전체의 반송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에 주안을 두고, 복수의 이송탑재부(31)에 대하여 각각 다른 조건으로 결정된 반송 지령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의 점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article transport facility 1 of the present embodiment focuses on improving the transport efficiency of the entire equipment in relation to a single transport device 20 having a plurality of transport units 31,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fer command determined under different conditions is assigned to the transfer mounting unit 31 . Hereinafter, the above points will be described.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통괄 제어부(41)는, 우선 반송 결정부(42)와 부반송 결정부(43)를 포함하고 있다. 우선 반송 결정부(42)는, 우선적으로 실행해야 할 반송 처리인 우선 반송 처리를 미리 정해진 결정 규칙에 기초하여 결정한다. 우선적으로 실행해야 할 반송 처리는, 예를 들면, 물품(A)(본 예에서는 FOUP)의 내부에 수용된 반도체 기판의 표면 상태 등의 관점에서 조기에 실행하는 것이 필요한 반송 처리나, 효율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한 반송 처리 등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의 결정 규칙은, 반송 장치(20)의 그 시점의 위치(이하, 「현재 위치」라고 함)로부터 대상의 물품(A)이 유지되고 있는 반송원 유지부(Rs)까지의 이동 거리, 대상의 물품(A)에 관한 반송원 유지부(Rs)로부터 반송처 유지부(Rd)까지의 반송 거리, 및 대상의 물품(A)의 반송원 유지부(Rs)에서의 대기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우선 순위를 결정하도록 정해져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general control unit 41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riority conveyance determination unit 42 and a sub conveyance determination unit 43 . The priority conveyance decision unit 42 determines a priority conveyance process, which is a conveyance process to be performed with priority, based on a predetermined decision rule. The transport process to be performed preferentially is, for example, a transport process that needs to be performed at an early stage from the viewpoint of the surface stat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accommodated inside the article A (FOUP in this example), and from the viewpoint of efficiency, etc. In the preferred conveyance processing, etc.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bove decision rule is from the position of the transfer apparatus 20 at that poi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present position") to the transfer source holding unit Rs where the target article A is held.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target article A, the transport distance from the transport source holding unit Rs to the transport destination holding part Rd, and the waiting at the transport source holding part Rs of the target article A It is arranged to determine the priority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times.

보다 구체적으로는, 결정 규칙은, 반송 장치(20)의 현재 위치로부터 대상의 물품(A)이 유지되고 있는 반송원 유지부(Rs)까지의 이동 거리의 관점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다른 조건이 동일하면, 상기 이동 거리가 짧아짐에 따라서 우선도가 높아지도록 정해져 있다. 또한, 결정 규칙은, 대상의 물품(A)에 대한 반송원 유지부(Rs)로부터 반송처 유지부(Rd)까지의 반송 거리의 관점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다른 조건이 동일하면, 상기 반송 거리가 짧아짐에 따라서 우선도가 높아지도록 정해져 있다. 또한, 결정 규칙은, 대상의 물품(A)의 반송원 유지부(Rs)에서의 대기 시간의 관점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다른 조건이 동일하면, 상기 대기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서 우선도가 높아지도록 정해져 있다. 결정 규칙이 이들 중 2개 이상의 관점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각 관점에 대하여 각각 다른 가중치를 붙여도 된다. 또한, 다른 관점을 포함하여 결정 규칙이 정해져도 된다. 결정 규칙은, 예를 들면, 상기의 각 파라미터를 변수로 하는 우선도의 함수 형태로 정해져 있으면 바람직하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determination rule includes the viewpoint of the movement distance from the current position of the conveying apparatus 20 to the conveying source holding unit Rs in which the target article A is held, other conditions are If it is the same, it is determined so that the priority increases as the movement distance becomes shorter. In addition, when the decision rule includes the viewpoint of a transport distance from the transport source holding unit Rs to the transport destination holding unit Rd for the target article A, the transport distance is the same if other conditions are the same. It is determined that the priority increases as is shortened. In addition, when the decision rule includes the viewpoint of the waiting time in the carrier holding unit Rs of the target article A, the priority increases as the waiting time becomes longer, other conditions being the same. it is decided When the decision rule includes two or more viewpoints among them, different weights may be assigned to each viewpoint. In addition, decision rules may be established including other viewpoints. It is preferable that the decision rule be determined in the form of a function of priority in which each of the above parameters is used as a variable, for example.

우선 반송 결정부(42)는, 반송원 유지부(Rs)의 후보와 반송처 유지부(Rd)의 후보의 모든 조합에 대하여 상기의 결정 규칙에 기초하여 우선도를 산출하고, 그 중에서 가장 우선도가 높아지는 조합을 우선 반송 처리로서 결정한다. 우선 반송 처리가 결정되면, 그 우선 반송 처리를 부여하는 반송원 유지부(Rs)와 반송처 유지부(Rd)의 세트로 이루어지는 지령으로서, 우선 반송 지령(Cp)이 생성된다. 통괄 제어부(41)는, 생성된 우선 반송 지령(Cp)을, 반송 장치(20)가 가지는 복수의 이송탑재부(31) 중 하나(이하, 「제1 이송탑재부(31A)」라고 함)에 할당한다(도 6의 #01). 예를 들면, 상하로 나뉘어 배치된 2개의 이송탑재부(31) 중, 하단측의 이송탑재부(31)를 제1 이송탑재부(31A)로 하여, 통괄 제어부(41)는 상기 하단측에 있는 제1 이송탑재부(31A)에 우선 반송 지령(Cp)을 할당한다(도 7을 참조). 본 실시형태에서는, 여기까지의 일련의 처리가, 「제1 할당 처리」에 상당한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우선 반송 처리의 대상이 되는 물품(A)을 「우선 반송물」이라 하고, 각 도면에 있어서 「Ap」로 표시한다.Priority transport decision unit 42 calculates priorities for all combinations of the candidates for the transport source holding unit Rs and the candidates for the transport destination holding unit Rd, based on the above decision rules, and has the highest priority A combination with a higher degree is determined as the priority conveyance process. When the priority conveyance process is determined, the priority conveyance command Cp is generated as a command composed of a set of a conveyance source holding unit Rs and a conveyance destination holding unit Rd for giving the preferential conveyance processing. The general control unit 41 assigns the generated preferential transfer command Cp to one of the plurality of transfer units 31 included in the transfer apparatus 20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first transfer unit 31A”). (#01 in FIG. 6). For example, among the two transfer mounts 31 arranged vertically, the transfer mount 31 on the lower end is the first transfer mount 31A, and the integrated control unit 41 is the first on the lower end. A transfer command Cp is first assigned to the transfer mounting unit 31A (refer to Fig. 7).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ries of processing up to this point corresponds to the "first allocation processing". Hereinafter, the article A, which is the object of the preferential transport process, is referred to as a "priority transported article", and is denoted by "Ap" in each drawing.

부반송 결정부(43)는, 우선 반송 결정부(42)에 의한 우선 반송 처리의 결정을 위한 관점과는 다른 관점에 기초하여, 부반송 처리를 결정한다. 부반송 결정부(43)는, 적어도 우선 반송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 반송 장치(20)가 이동하는 이동 경로에 기초하여 부반송 처리를 결정한다. 우선 반송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 반송 장치(20)가 이동하는 이동 경로는, 우선 반송 지령(Cp)으로 지정되는 반송원 유지부(Rs)로부터 반송처 유지부(Rd)까지의 반송 방향(T)을 따르는 반송 장치(20)의 이동 경로다. 부반송 결정부(43)는, 우선 반송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이동 경로에 더하여, 예를 들면, 반송 장치(20)의 현재 위치나, 부반송 처리에 의해 반송되는 후보 물품(이하, 「부반송물 후보」라고 함)의 현재 위치(들어올림 위치) 및 내려놓음 위치 등에 기초하여 부반송 처리를 결정한다.The sub-conveyance determining unit 43 determines the sub-conveying processing based on a viewpoint different from the viewpoint for determining the preferential conveying processing by the priority conveying determining unit 42 . The sub-conveyance determination unit 43 determines the sub-conveyance processing based on at least the movement path through which the conveying apparatus 20 moves in order to first perform the conveying processing. The movement path along which the conveying apparatus 20 moves in order to perform the preferential conveying process is a conveying direction T from the conveying source holding unit Rs designated by the preferential conveying command Cp to the conveying destination holding unit Rd It is a movement path of the conveying device 20 along In addition to the movement path for first carrying out the conveyance process, the sub conveyance determining unit 43 may, for example, the current position of the conveying device 20 or a candidate article to be conveyed by the sub conveyance process (hereinafter referred to as "sub conveyance article"). The sub-carrying process is determined based on the current position (raised position) and the put-down position of the candidate").

부반송 결정부(43)는, 우선 반송 지령(Cp)으로 지정되는 반송원 유지부(Rs) 또는 반송처 유지부(Rd)에 있어서 제1 이송탑재부(31A)가 이송탑재 처리를 행할 때 다른 하나의 이송탑재부(31)(이하, 「제2 이송탑재부(31B)」라고 함)에서 동시 이송탑재 가능한 물품(A)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02). 여기서, 상기와 같이 하단측의 이송탑재부(31)를 제1 이송탑재부(31A)로 한 경우에는 상단측의 이송탑재부(31)가 제2 이송탑재부(31B)로 된다. 부반송 결정부(43)는, 우선 반송 지령(Cp)으로 지정되는 반송원 유지부(Rs)에 대하여 1단(段)만큼 상단측에 있는 유지부(R)에 물품(A)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부반송 결정부(43)는, 우선 반송 지령(Cp)으로 지정되는 반송처 유지부(Rd)에 대하여 1단 분량만큼 상단측에 있는 유지부(R)에 반송해야 할 물품(A)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부반송 결정부(43)는, 우선 반송 지령(Cp)으로 지정되는 반송처 유지부(Rd)에 대하여 1단 분량만큼 상단측에 있는 유지부(R)에 물품(A)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The sub-transfer determining unit 43 is configured to be different when the first transfer-mounting unit 31A performs transfer-mounting processing in the transfer source holding unit Rs or the transfer destination holding unit Rd designated by the transfer command Cp.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re is an article A capable of being transferred simultaneously in one transfer unit 31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cond transfer unit 31B") (#02). Her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lower transfer unit 31 is the first transfer unit 31A, the upper transfer unit 31 serves as the second transfer unit 31B. The sub-conveyance determining unit 43 first determines whether the article A is present in the holding unit R located at the upper end by one stage with respect to the conveying source holding unit Rs designated by the conveying instruction Cp. to determine whether In addition, the sub-transport decision unit 43 is configured to first convey the article A to be conveyed to the holding unit R located at the upper end by one step with respect to the transfer destination holding unit Rd designated by the conveying instruction Cp. Determines whether this exists. In addition, the sub conveyance determining unit 43 first determines whether the article A is present in the holding unit R located at the upper end by one step with respect to the conveyance destination holding unit Rd designated by the conveying instruction Cp. to determine whether

부반송 결정부(43)는 이하의 경우에, 동시 이송탑재가 가능하다고 판정한다(#02: Yes). 즉, 우선 반송 지령(Cp)으로 지정되는 반송원 유지부(Rs)에 대하여 1단 분량만큼 상단측에 있는 유지부(R)에 물품(A)이 존재하는 경우, 부반송 결정부(43)는, 도 7에 나타내는 「들어올림/들어올림」의 동시 이송탑재가 가능하다고 판정한다. 우선 반송 지령(Cp)으로 지정되는 반송처 유지부(Rd)에 대하여 1단 분량만큼 상단측에 있는 유지부(R)에 반송해야 할 물품(A)이 존재하는 경우, 부반송 결정부(43)는, 도 8에 나타내는 「내려놓음/내려놓음」의 동시 이송탑재가 가능하다고 판정한다. 우선 반송 지령(Cp)으로 지정되는 반송처 유지부(Rd)에 대하여 1단 분량만큼 상단측에 있는 유지부(R)에 물품(A)이 존재하는 경우, 부반송 결정부(43)는, 도 9에 나타내는 「내려놓음/들어올림」의 동시 이송탑재가 가능하다고 판정한다. 그리고, 도 7∼도 9에서는, 상기 어느 하나의 패턴의 동시 이송탑재가 가능한 물품을 「As」로 표시하고 있다.The sub-conveyance determination unit 43 determines that simultaneous transfer and mounting is possible in the following cases (#02: Yes). That is, when the article A is present in the holding unit R on the upper end by one stage with respect to the conveyance source holding unit Rs designated by the conveyance instruction Cp, the sub conveyance determining unit 43 determines that simultaneous transfer and mounting of "lifting/lifting" shown in FIG. 7 is possible. First, when there is an article A to be conveyed in the holding unit R on the upper side by one stage with respect to the conveyance destination holding unit Rd designated by the conveyance instruction Cp, the sub conveyance determining unit 43 ), it is determined that simultaneous transfer and loading of "putting down/loading" shown in FIG. 8 is possible. First, when the article A is present in the holding unit R on the upper end by one stage with respect to the transport destination holding unit Rd designated by the conveyance instruction Cp, the sub conveyance determining unit 43 is It is determined that simultaneous transfer and mounting of "lowering/lifting" shown in FIG. 9 is possible. Incidentally, in Figs. 7 to 9, articles that can be simultaneously transferred and mounted in any of the above patterns are indicated by "As".

이들 3종의 동시 이송탑재 패턴은, 「들어올림 /들어올림」의 우선도가 가장 높고, 「들어올림/들어올림」⇒「내려놓음/내려놓음」⇒「내려놓음/들어올림」의 순서로 우선도가 낮아지도록 우열이 설정되어 있다. 부반송 결정부(43)는, 「들어올림 /들어올림」의 동시 이송탑재가 가능하면, 우선 반송 처리의 들어올림 이송탑재와 동시에 들어올림 이송탑재 가능한 물품(A)을 상기 물품(A)의 반송처 유지부(Rd)로 반송하는 처리를 부반송 처리로서 결정한다. 또한, 부반송 결정부(43)는, 「들어올림/들어올림」의 동시 이송탑재가 불가능한 경우에 있어서 「내려놓음/내려놓음」의 동시 이송탑재가 가능하면, 우선 반송 처리의 내려놓음 이송탑재와 동시에 내려놓음 이송탑재 가능한 물품(A)을 상기 물품(A)의 반송처 유지부(Rd)에 반송하는 처리를 부반송 처리로서 결정한다. 또한, 부반송 결정부(43)는, 「들어올림/들어올림」 및 「내려놓음/내려놓음」의 동시 이송탑재가 모두 불가능한 경우에 있어서 「내려놓음/들어올림」의 동시 이송탑재가 가능하면, 우선 반송 처리의 내려놓음 이송탑재와 동시에 들어올림 이송탑재 가능한 물품(A)을 상기 물품(A)의 반송처 유지부(Rd)로 반송하는 처리를, 부반송 처리로서 결정한다.These three types of simultaneous transfer and loading patterns have the highest priority of "lifting/lifting", in the order of "lifting/lifting" ⇒ "lowering/lowering" ⇒ "lowering/lifting". The priority is set so that the priority is lowered. If simultaneous transfer and installation of "lifting/lifting" is possible, the sub-conveyance determination unit 43 first selects the article A that can be lifted and transferred simultaneously with the lifting transfer of the transfer processing of the article A. The processing to be conveyed to the conveyance destination holding unit Rd is determined as the sub conveying processing. 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simultaneous transfer and installation of "lifting/lifting" is impossible, the sub-conveying decision unit 43 is configured to prioritize transfer processing of unloading transfer if simultaneous transfer and loading of "lowering/unloading" is possible. At the same time, the process of transporting the article A that can be placed and mounted to the transport destination holding unit Rd of the article A is determined as the sub transport process. In addition, the sub-conveyance decision unit 43 is, in the case where simultaneous transfer and installation of "lifting / lifting" and "lowering / lowering" are impossible, if simultaneous transfer and installation of "lowering / lifting" is possible , first, a process for conveying the article A that can be lifted and transferred simultaneously with the unloading transfer of the transfer process to the transfer destination holding unit Rd of the article A is determined as the sub transfer process.

상기와 같이 하여 부반송 처리가 결정되면, 그 부반송 처리를 부여하는 반송원 유지부(Rs)와 반송처 유지부(Rd)의 세트로 이루어지는 지령으로서, 부반송 지령(여기서는, 동시 이송탑재 반송 지령)이 생성된다. 통괄 제어부(41)는, 생성된 부반송 지령(동시 이송탑재 반송 지령)을 제2 이송탑재부(31B)에 할당한다(#03).When the sub-conveyance process is determined as described above, a sub-conveyance command (here, simultaneous transfer-equipped conveyance) is a command composed of a set of the carrier holding unit Rs and the transfer destination holding unit Rd for giving the sub-conveying process. command) is created. The general control unit 41 assigns the generated sub conveying command (simultaneous conveying and mounting conveying command) to the second conveying and mounting unit 31B (#03).

제1 이송탑재부(31A)에 의한 이송탑재 처리 중에 제2 이송탑재부(31B)에서 동시 이송탑재 가능한 물품(A)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02: No), 부반송 결정부(43)는, 우선 반송 처리를 행하기 위해 반송 장치(20)가 이동 경로를 이동하는 도중에 제2 이송탑재부(31B)에서 들어올림 가능하고 또한 반송 장치(20)의 이동 방향(M)과 같은 방향으로 반송되는 물품(A)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04). 우선 반송 처리를 행하기 위해 반송 장치(20)가 이동 경로를 이동하는 도중에 들어올림 가능(이하, 「도중 이송탑재 가능」이라 함)한 물품(A)은, 이 물품(A)의 들어올림 위치와의 관계에서,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3종의 패턴으로 분류된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도중 이송탑재 가능한 물품(A)의 후보를 「도중 이송탑재 반송물 후보」라고 하고, 각 도면에 있어서 「Am」로 표시한다. 도중 이송탑재 반송물 후보(Am)는, 전술한 부반송물 후보의 일례이다.When the article A that can be simultaneously transferred from the second transfer unit 31B does not exist (#02: No) during the transfer processing by the first transfer unit 31A, the sub transfer decision unit 43 is First of all, in order to perform a conveying process, an article capable of being lifted by the second conveying mounting unit 31B while the conveying apparatus 20 is moving along a movement path and convey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moving direction M of the conveying apparatus 20 . It is determined whether (A) exists (#04). First, in order to carry out the transport process, the article A that can be lift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transferable on the way”) while the transport device 20 is moving along the movement path is located at the lifting position of the article A In relation to,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0, it is classified into three types of patterns. In addition, hereinafter, the candidate of the article A that can be transferred and mounted on the way is referred to as a "candidate for the article A that can be transferred on the way", and is denoted by "Am" in each figure. The transfer mounted transport candidate Am on the way is an example of the above-described sub transported article candidate.

제1 패턴은, 도 10에 있어서 6층 부분에 표시한 것과 같이, 도중 이송탑재 반송물 후보(Am)가 반송 장치(20)의 현재 위치와 동일 층에 존재하는 패턴이다. 제2 패턴은, 도 10에 있어서 5층 부분에 표시한 것과 같이, 도중 이송탑재 반송물 후보(Am)가 반송 장치(20)의 현재 위치로부터 우선 반송물(Ap)의 들어올림 위치까지의 도중에 존재하는 패턴이다. 제3 패턴은, 도 10에 있어서 4층 부분에 표시한 것과 같이, 도중 이송탑재 반송물 후보(Am)가 우선 반송물(Ap)의 들어올림 위치와 동일 층에 존재하는(단, 「들어올림/들어올림」의 동시 이송탑재는 불가능) 패턴이다.The 1st pattern is a pattern in which the conveyance mounted conveyance candidate Am exists on the same floor as the present position of the conveyance apparatus 20, as shown in the 6th-floor part in FIG. In the second pattern, as shown in the fifth floor portion in FIG. 10 , the transfer mounted transport candidate Am is present on the way from the current position of the transport device 20 to the lifting position of the preferential transport object Ap. it's a pattern In the third pattern, as shown in the fourth floor portion in Fig. 10, the intermediate transfer mounted transported object candidate Am is first present on the same floor as the lifting position of the transported object Ap (however, “lift/lift” Simultaneous transfer and loading of "Up" is not possible) pattern.

이들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래스 분류되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의 제1 패턴이 「클래스 A」로 되고, 제2 패턴이 「클래스 C」로 되고, 제3 패턴이 「클래스 B」로 되어 있다. 이들은, 「클래스 A」의 우선도가 가장 높고, 「클래스 A」⇒「클래스 B」⇒「클래스 C」의 순서로 우선도가 낮아지도록 우열이 설정되어 있다.These are classified into classes as shown in Fig. 11, 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pattern described above becomes "class A", the second pattern becomes "class C", and the third pattern becomes "class B", have. The priority is set so that "class A" has the highest priority, and the priority is lowered in the order of "class A" ⇒ "class B" ⇒ "class C".

도중 이송탑재 반송물 후보(Am)가 반송 장치(20)의 현재 위치와 동일 층에 존재하는 「클래스 A」 패턴은, 상기 도중 이송탑재 반송물 후보(Am)의 내려놓음 위치와의 관계에서,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5종의 패턴으로 더 분류된다. 제1 패턴은, 도 12에 있어서 5층 부분에 가상 표시한 것과 같이, 도중 이송탑재 반송물 후보(Am)의 내려놓음 위치가 반송 장치(20)의 현재 위치로부터 우선 반송물(Ap)의 들어올림 위치까지의 도중에 존재하는 패턴이다. 제2 패턴은, 도 12에 있어서 4층 부분에 가상 표시한 것과 같이, 도중 이송탑재 반송물 후보(Am)의 내려놓음 위치가 우선 반송물(Ap)의 들어올림 위치와 동일 층에 존재하는(단, 「들어올림/내려놓음」의 동시 이송탑재는 불가능) 패턴이다. 제3 패턴은, 도 12에 있어서 3층 부분에 가상 표시한 것과 같이, 도중 이송탑재 반송물 후보(Am)의 내려놓음 위치가 우선 반송물(Ap)의 들어올림 위치로부터 우선 반송물(Ap)의 내려놓음 위치까지의 도중에 존재하는 패턴이다. 제4 패턴은, 도 12에 있어서 2층 부분에 가상 표시한 것과 같이, 도중 이송탑재 반송물 후보(Am)의 내려놓음 위치가 우선 반송물(Ap)의 내려놓음 위치와 동일 층에 존재하는(단, 「내려놓음/내려놓음」의 동시 이송탑재는 불가능) 패턴이다. 제5 패턴은, 도 12에 있어서 1층 부분에 가상 표시한 것과 같이, 도중 이송탑재 반송물 후보(Am)의 내려놓음 위치가, 도중 이송탑재 반송물 후보(Am)의 들어올림 위치에서 볼 때 우선 반송물(Ap)의 내려놓음 위치를 넘은 층에 존재하는 패턴이다.The "class A" pattern in which the intermediate transfer candidate Am exists on the same floor a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transfer apparatus 20, in relation to the unloading position of the intermediate transfer transfer object Am, for exampl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2, it is further classified into 5 types of patterns. As for the 1st pattern, as shown in the 5th-floor part virtual in FIG. 12, the lowering position of the transfer mounted conveyed object candidate Am on the way is the lifting position of the preferential conveyed object Ap from the current position of the conveying apparatus 20 It is a pattern that exists along the way. In the second pattern, as imaginary displayed on the fourth floor portion in Fig. 12, the lowering position of the intermediate transfer mounted transfer object Am is located on the same floor as the lifting position of the first transfer object Ap (however, Simultaneous transfer and installation of "lift/lower" is not possible) pattern. As for the 3rd pattern, as shown in the 3rd-floor part virtual in FIG. 12, the lowering position of the transfer mounted conveyed object candidate Am on the way is the lowering position of the preferential conveyed object Ap from the lifting position of the priority conveyed object Ap. It is a pattern that exists on the way to a location. In the fourth pattern, as imaginary displayed on the second floor portion in Fig. 12, the unloading position of the transfer mounted transported object candidate Am is on the same floor as the unloading position of the first transported object Ap (however, Simultaneous transfer and loading of 「Drop down/Put down」is not possible) pattern. As for the fifth pattern, as virtually displayed on the first floor portion in FIG. 12 , the lowering position of the intermediate transfer mounted transport candidate Am is the first transported object when viewed from the lifting position of the intermediate transferred transported article candidate Am. It is a pattern that exists in the layer beyond the lay-down position of (Ap).

이들 클래스 분류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더 세분화되어,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의 제1 패턴, 제3 패턴, 제5 패턴이 그대로 「클래스 A」로 되고, 제2 패턴, 제4 패턴이 「클래스 A+」로 되어 있다. 이들은, 「클래스 A+」의 우선도가 통상의 「클래스 A」의 우선도보다 높아지도록 우열이 설정되어 있다.These class classifications are further subdivided as shown in Fig. 13, 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pattern, the third pattern, and the fifth pattern are "class A" as they are, and the second pattern and the fourth pattern are " Class A+". The superiority and inferiority of these are set so that the priority of "class A+" may become higher than the priority of normal "class A".

도중 이송탑재 반송물 후보(Am)가 우선 반송물(Ap)의 들어올림 위치와 동일 층에 존재하는 「클래스 B」 패턴은, 상기 도중 이송탑재 반송물 후보(Am)의 내려놓음 위치와의 관계에서, 예를 들면,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3종의 패턴으로 더 분류된다. 제1 패턴은, 도 14에 있어서 3층 부분에 가상 표시한 것과 같이, 도중 이송탑재 반송물 후보(Am)의 내려놓음 위치가 우선 반송물(Ap)의 들어올림 위치로부터 우선 반송물(Ap)의 내려놓음 위치까지의 도중에 존재하는 패턴이다. 제2 패턴은, 도 14에 있어서 2층 부분에 가상 표시한 것과 같이, 도중 이송탑재 반송물 후보(Am)의 내려놓음 위치가 우선 반송물(Ap)의 내려놓음 위치와 동일 층에 존재하는(단, 「내려놓음/내려놓음」의 동시 이송탑재는 불가능) 패턴이다. 제3 패턴은, 도 14에 있어서 1층 부분에 가상 표시한 것과 같이, 도중 이송탑재 반송물 후보(Am)의 내려놓음 위치가, 도중 이송탑재 반송물 후보(Am)의 들어올림 위치에서 볼 때 우선 반송물(Ap)의 내려놓음 위치를 넘은 층에 존재하는 패턴이다.The "class B" pattern in which the intermediate transfer candidate Am) exists on the same floor as the lifting position of the first transfer object Ap, in relation to the lowering position of the intermediate transfer mounted transfer object candidate Am, Ye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4, it is further classified into three types of patterns. As for the 1st pattern, as shown virtual on the 3rd-floor part in FIG. 14, the lowering position of the transfer mounted conveyed object candidate Am on the way is the lowering position of the preferential conveyed object Ap from the lifting position of the priority conveyed object Ap. It is a pattern that exists on the way to a location. In the second pattern, as imaginary displayed on the second floor portion in Fig. 14, the placing position of the intermediate transfer mounted conveyed object Am is on the same floor as the placing position of the first conveyed object Ap (provided that, Simultaneous transfer and loading of 「Drop down/Put down」is not possible) pattern. As for the third pattern, as virtually displayed on the first floor portion in FIG. 14 , the lowering position of the intermediate transfer mounted transport candidate Am is prioritized when viewed from the lifting position of the intermediate transferred transported article candidate Am. It is a pattern that exists in the layer beyond the lay-down position of (Ap).

이들 클래스 분류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더 세분화되어,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의 제1 패턴, 제3 패턴이 그대로 「클래스 B」로 되고, 제2 패턴이 「클래스 B+」로 되어 있다. 이들은, 「클래스 B+」의 우선도가 통상의 「클래스 B」의 우선도보다 높아지도록 우열이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클래스 B+」의 우선도는, 통상의 「클래스 A」의 우선도보다 낮게 설정되어 있다.These class classifications are further subdivided as shown in Fig. 15, 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pattern and the third pattern are "class B" as they are, and the second pattern is "class B+". The superiority and inferiority of these are set so that the priority of "class B+" becomes higher than that of normal "class B". And the priority of "class B+" is set lower than the priority of normal "class A".

도중 이송탑재 반송물 후보(Am)가 반송 장치(20)의 현재 위치로부터 우선 반송물(Ap)의 들어올림 위치까지의 도중에 존재하는 「클래스 C」 패턴은, 상기 도중 이송탑재 반송물 후보(Am)의 내려놓음 위치와의 관계에서, 예를 들면,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5종의 패턴으로 더 분류된다. 제1 패턴은, 도 16에 있어서 5층 부분에 가상 표시한 것과 같이, 도중 이송탑재 반송물 후보(Am)의 내려놓음 위치가 도중 이송탑재 반송물 후보(Am)의 들어올림 위치로부터 우선 반송물(Ap)의 들어올림 위치까지의 도중에 존재하는 패턴이다. 제2 패턴은, 도 16에 있어서 4층 부분에 가상 표시한 것과 같이, 도중 이송탑재 반송물 후보(Am)의 내려놓음 위치가 우선 반송물(Ap)의 들어올림 위치와 동일 층에 존재하는(단, 「들어올림/내려놓음」의 동시 이송탑재는 불가능) 패턴이다. 제3 패턴은, 도 16에 있어서 3층 부분에 가상 표시한 것과 같이, 도중 이송탑재 반송물 후보(Am)의 내려놓음 위치가 우선 반송물(Ap)의 들어올림 위치로부터 우선 반송물(Ap)의 내려놓음 위치까지의 도중에 존재하는 패턴이다. 제4 패턴은, 도 16에 있어서 2층 부분에 가상 표시한 것과 같이, 도중 이송탑재 반송물 후보(Am)의 내려놓음 위치가 우선 반송물(Ap)의 내려놓음 위치와 동일 층에 존재하는(단, 「내려놓음/내려놓음」의 동시 이송탑재는 불가능) 패턴이다. 제5 패턴은, 도 16에 있어서 1층 부분에 가상 표시한 것과 같이, 도중 이송탑재 반송물 후보(Am)의 내려놓음 위치가, 도중 이송탑재 반송물 후보(Am)의 들어올림 위치에서 볼 때 우선 반송물(Ap)의 내려놓음 위치를 넘은 층에 존재하는 패턴이다. The "class C" pattern that exists midway from the current position of the conveying apparatus 20 to the lifting position of the preferential conveyed object Ap in the intermediate conveyed conveyed object candidate Am is the lowering of the intermediate conveyed conveyed object Am) In relation to the placement posi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6, it is further classified into five types of patterns. As for the first pattern, as virtually displayed on the fifth floor portion in FIG. 16 , the lowering position of the intermediate transfer mounted transfer object candidate Am is the preferred transfer object Ap from the lifting position of the intermediate transfer mounted transfer object candidate Am. It is a pattern that exists on the way to the lifting position of In the second pattern, as imaginary displayed on the fourth floor portion in Fig. 16, the lowering position of the intermediate transfer mounted transfer object Am is on the same floor as the lifting position of the first transfer object Ap (however, Simultaneous transfer and installation of "lift/lower" is not possible) pattern. As for the 3rd pattern, as shown in the virtual display on the 3rd floor part in FIG. 16, the lowering position of the transfer mounted conveyed object candidate Am on the way is the lowering position of the preferential conveyed object Ap from the lifting position of the priority conveyed object Ap. It is a pattern that exists on the way to a location. In the fourth pattern, as virtually displayed on the second floor portion in Fig. 16, the unloading position of the intermediate transported transported object candidate Am is on the same floor as the unloading position of the first transported object Ap (however, Simultaneous transfer and loading of 「Drop down/Put down」is not possible) pattern. As for the fifth pattern, as virtually displayed on the first floor portion in FIG. 16 , the lowering position of the intermediate transfer mounted transfer object Am is prioritized when viewed from the lifting position of the intermediate transfer mounted transferred object candidate Am. It is a pattern that exists in the layer beyond the lay-down position of (Ap).

이들 클래스 분류는,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더 세분화되어,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의 제1 패턴, 제3 패턴, 제5 패턴이 그대로 「클래스 C」로 되고, 제2 패턴, 제4 패턴이 「클래스 C+」로 되어 있다. 이들은, 「클래스 C+」의 우선도가 통상의 「클래스 C」의 우선도보다 높아지도록 우열이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클래스 C+」의 우선도는, 통상의 「클래스 B」의 우선도보다 낮게 설정되어 있다.These class classifications are further subdivided as shown in Fig. 17, 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pattern, the third pattern, and the fifth pattern are "class C" as they are, and the second pattern and the fourth pattern are " Class C+". The superiority and inferiority of these are set so that the priority of "class C+" becomes higher than that of normal "class C". And the priority of "class C+" is set lower than the priority of normal "class B".

부반송 결정부(43)는, 모든 도중 이송탑재 반송물 후보(Am)에 대하여, 전술한 클래스를 결정한다. 그리고, 부반송 결정부(43)는, 그 중에서 우선도가 가장 높은 클래스에 속하는 도중 이송탑재 반송물 후보(Am)를 부반송 물품으로서 결정하고, 그 부반송 물품을 해당 물품에 대한 반송원 유지부(Rs)로부터 반송처 유지부(Rd)로 반송하는 처리를, 부반송 처리로서 결정한다.The sub-conveyance determination unit 43 determines the class described above for the transfer-mounted transported object candidate Am during all transfers. Then, the sub-conveyance determining unit 43 determines, as a sub-conveyed article, an intermediate transfer-mounted transport candidate Am belonging to a class having the highest priority among them, and sets the sub-conveyed article to a carrier holding unit for the article. The processing to be conveyed from (Rs) to the conveyance destination holding unit Rd is determined as the sub conveying processing.

상기와 같이 하여 부반송 처리가 결정되면, 그 부반송 처리를 부여하는 반송원 유지부(Rs)와 반송처 유지부(Rd)의 세트로 이루어지는 지령으로서, 부반송 지령(여기서는, 도중 이송탑재 반송 지령)이 생성된다. 통괄 제어부(41)는, 생성된 부반송 지령(도중 이송탑재 반송 지령)을 제2 이송탑재부(31B)에 할당한다(#05).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할당 처리보다 후의 거기까지의 일련의 처리가, 「제2 할당 처리」에 상당한다. 그리고, 우선 반송 처리를 행하기 위한 반송 장치(20)의 이동 중에 들어올림 이송탑재 가능한 물품(A)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04: No), 부반송 지령은 생성되지 않고, 제2 이송탑재부(31B)에는 부반송 지령은 할당되지 않는다.When the sub-conveyance process is determined as described above, a sub-conveyance command (here, intermediate transfer mounted conveyance) is a command composed of a set of the transport source holding unit Rs and the transport destination holding unit Rd for giving the sub-conveying process. command) is created. The general control unit 41 assigns the generated sub-transport command (transfer-mounted-transfer instruction on the way) to the second transfer-mounted unit 31B (#05). In the present embodiment, a series of processing up to there after the first allocation processing corresponds to the "second allocation processing". And when the article A that can be lifted and transported does not exist (#04: No) during the movement of the transport apparatus 20 for performing the transport process first, a sub transport command is not generated and the second transport A sub-conveyance command is not assigned to the mounting unit 31B.

상기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괄 제어부(41)는, 제2 할당 처리에 있어서, 제1 이송탑재부(31)가 우선 반송물(Ap)의 이송탑재를 행할 때 제2 이송탑재부(31B)에서 동시 이송탑재 가능한 물품(A)이 존재하면, 상기 동시 이송탑재 가능한 물품(A)이 유지되고 있는 유지부(R)를 반송원 유지부(Rs) 또는 반송처 유지부(Rd)로서 포함하는 동시 이송탑재 반송 지령을, 부반송 지령으로서 제2 이송탑재부(31B)에 할당한다. 한편, 제2 이송탑재부(31B)에서 동시 이송탑재 가능한 물품(A)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통괄 제어부(41)는, 우선 반송물(Ap)의 들어올림 위치까지 사이의 반송 장치(20)의 이동 중에 제2 이송탑재부(31B)에서 들어올림 가능하고 또한 반송 장치(20)의 이동 방향(M)과 같은 방향으로 반송되는 물품(A)이 존재하면, 상기 물품(A)이 유지되고 있는 유지부(R)를 반송원 유지부(Rs)로서 포함하는 도중 이송탑재 반송 지령을 부반송 지령으로서 제2 이송탑재부(31B)에 할당한다. 그리고, 제2 이송탑재부(31B)에서 도중 이송탑재 가능한 물품(A)도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통괄 제어부(41)는, 제2 이송탑재부(31B)에는 부반송 지령을 할당하지 않는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second assignment process, the general control unit 41 controls the first transfer unit 31 to transfer and mount the conveyed object Ap in the second transfer unit 31B. When there is an article A that can be simultaneously transferred and mounted, the holding part R holding the article A that can be simultaneously transferred is included as the transport source holding part Rs or the transport destination holding part Rd A transfer-mounted transfer command is assigned to the second transfer-mounted unit 31B as a sub-transfer instruction. On the other hand, when there is no article A that can be simultaneously transferred and mounted in the second transfer unit 31B, the general control unit 41 first controls the transfer device 20 between the lifting position of the transfer object Ap. If there is an article A that can be lifted by the second transfer mounting portion 31B during movement and is transferr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movement direction M of the transfer device 20, the article A is held. A transfer-mounted transfer command is assigned to the second transfer-mounted unit 31B as a sub-conveyance command while the unit R is included as the transfer source holding unit Rs. In the case where there is also no article A that can be transferred on the way in the second transfer unit 31B, the general control unit 41 does not assign a sub transfer command to the second transfer unit 31B.

도중 이송탑재 반송 지령의 생성에 있어서는, 통괄 제어부(41)는, 우선 반송물(Ap)의 들어올림 위치와 동일 층에 존재하는 물품(A)을, 반송 장치(20)의 현재 위치로부터 우선 반송물(Ap)의 들어올림 위치까지의 도중에 존재하는 물품(A)에 비하여, 보다 우선적으로 도중 이송탑재 반송 지령의 대상 물품으로 한다(도 11을 참조). 또한, 통괄 제어부(41)는, 반송 장치(20)의 현재 위치와 동일 층에 존재하는 물품(A)을, 우선 반송물(Ap)의 들어올림 위치와 동일 층에 존재하는 물품(A)에 비하여, 보다 우선적으로 도중 이송탑재 반송 지령의 대상 물품으로 한다(도 11을 참조). 또한, 통괄 제어부(41)는, 우선 반송물(Ap)의 들어올림 위치 또는 내려놓음 위치와 동일 층에서 내려놓음 이송탑재되는 물품(A)을, 이들 이외의 위치에서 내려놓음 이송탑재되는 물품(A)에 비하여, 보다 우선적으로 도중 이송탑재 반송 지령의 대상 물품으로 한다(도 13, 15, 17을 참조).In generating an intermediate transfer mounted transfer command, the general control unit 41 transfers the article A existing on the same floor as the lifting position of the preferentially transported object Ap from the current position of the transfer device 20 to the preferentially transported article ( Ap), compared to the article (A) existing on the way to the lifting position, more preferentially, the article is set as the object of the intermediate transfer loading instruction (refer to Fig. 11). In addition, the general control unit 41 compares the article A existing on the same floor a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transfer device 20 to the article A existing on the same floor as the lifting position of the transfer object Ap first. , more preferentially, it is set as a target article of a transfer command on the way (refer to Fig. 11). In addition, the general control unit 41 first, unloads and transports the articles A on the same floor as the lifting position or the unloading position of the transported object Ap, and unloading and transporting articles A at positions other than these. ), more preferentially, it is set as a target article of a transfer command on the way (refer to Figs. 13, 15 and 17).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괄 제어부(41)는, 우선 반송 결정부(42) 및 부반송 결정부(43)에 더하여, 도중 이용 반송 결정부(44)를 더 포함하고 있다. 도중 이용 반송 결정부(44)는, 반송 장치(20)의 제1 이송탑재부(31A)에 우선 반송 지령(Cp)이 이미 할당되고, 또한, 제2 이송탑재부(31B)에 부반송 지령이 이미 할당되어 있는 경우에, 반송 장치(20)가 그 현재 위치로부터 우선 반송물(Ap)의 들어올림 위치까지 이동하는 도중에, 상기 반송 장치(20)의 어느 이송탑재부(31)에서 들어올림 이송탑재가 가능하고 또한 반송 장치(20)의 이동 방향(M)과 같은 방향으로 반송되어 내려놓음 이송탑재까지 완료되는 물품(A)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06). 반송 장치(20)가 그 현재 위치로부터 우선 반송물(Ap)의 들어올림 위치까지 이동하는 도중에 들어올림 이송탑재 및 내려놓음 이송탑재의 양쪽이 가능(이하, 「도중 이용 반송 가능」이라 함)한 물품(A)은, 상기 물품(A)의 들어올림 위치와의 관계에서, 예를 들면,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2종의 패턴으로 분류된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도중 이용 반송 가능한 물품(A)의 후보를 「도중 이용 반송물 후보」라고 하고, 각 도면에 있어서 「Au」로 표시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general control unit 41 further includes a use conveyance determining unit 44 on the way in addition to the priority conveyance determining unit 42 and the sub conveying determining unit 43 . On the way, in the conveyance determination unit 44 to be used, the priority conveyance command Cp has already been assigned to the first conveyance mounting unit 31A of the conveying apparatus 20, and the sub conveyance instruction has already been assigned to the second conveyance mounting unit 31B. In the case of assignment, while the conveying apparatus 20 is moving from its current position to the lifting position of the first conveyed object Ap, lifting and conveying can be carried out in any of the conveying units 31 of the conveying apparatus 20 . In addi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re is an article A that is convey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moving direction M of the conveying device 20 and completed until unloading and loading (#06). Goods capable of both lifting and lowering transfers (hereinafter referred to as "intermediate use and transfer possible") while the transfer device 20 is moving from its current position to the lifting position of the preferentially transported object Ap (A) is classified into two types of patterns as shown in Fig. 18, for example, in relation to the lifting position of the article (A). Hereinafter, candidates for articles A that can be used and transported on the way are referred to as "candidates for articles that can be used and transported on the way", and are denoted by "Au" in each figure.

제1 패턴은, 도 18에 있어서 6층 부분에 표시한 것과 같이, 도중 이용 반송물 후보(Au)가 반송 장치(20)의 현재 위치와 동일 층에 존재하는 패턴이다. 제2 패턴은, 도 18에 있어서 5층 부분에 표시한 것과 같이, 도중 이용 반송물 후보(Au)가 반송 장치(20)의 현재 위치로부터 우선 반송물(Ap)의 들어올림 위치까지의 도중에 존재하는 패턴이다. 이들은,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래스 분류되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의 제1 패턴이 「클래스 X」로 되고, 제2 패턴이 「클래스 Y」로 되어 있다. 이들은, 「클래스 X」의 우선도가 「클래스 Y」의 우선도보다 높아지도록 우열이 설정되어 있다.The 1st pattern is a pattern in which the used conveyance object candidate Au exists on the same floor as the present position of the conveyance apparatus 20, as shown in the 6th-floor part in FIG. The 2nd pattern is a pattern in which the used conveyed object candidate Au exists on the way from the current position of the conveying apparatus 20 to the lifting position of the preferential conveyed object Ap, as shown in the 5th-floor part in FIG. 18. to be. These are classified into classes as shown in FIG. 19, and in this embodiment, said 1st pattern becomes "class X", and the 2nd pattern becomes "class Y". The superiority and inferiority of these are set so that the priority of "class X" becomes higher than the priority of "class Y".

도중 이용 반송물 후보(Au)가 반송 장치(20)의 현재 위치와 동일 층에 존재하는 「클래스 X」 패턴은, 상기 도중 이용 반송물 후보(Au)의 내려놓음 위치와의 관계에서, 예를 들면,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2종의 패턴으로 더 분류된다. 제1 패턴은, 도 20에 있어서 5층 부분에 가상 표시한 것과 같이, 도중 이용 반송물 후보(Au)의 내려놓음 위치가 반송 장치(20)의 현재 위치로부터 이미 우선 반송 지령(Cp) 또는 부반송 지령이 할당 완료된 물품(A)(이하, 「할당 완료 반송물」이라 함)의 들어올림 위치까지의 도중에 존재하는 패턴이다. 그리고, 본 예에서는, 반송 장치(20)의 이동 방향(M)이 하향인 경우에 있어서, 부반송 지령이 할당 완료된 물품(A)은, 우선 반송물(Ap)보다 아래쪽의 층에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제2 패턴은, 도 20에 있어서 4층 부분에 가상 표시한 것과 같이, 도중 이용 반송물 후보(Au)의 내려놓음 위치가 우선 반송물(Ap)의 들어올림 위치와 동일 층에 존재하는 패턴이다.The "class X" pattern in which the used conveyed object candidate Au exists on the same floor a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conveying apparatus 20 is related to the put-down position of the used conveyed object candidate Au on the way,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0, it is further classified into two types of patterns. As for the 1st pattern, as shown in the 5th-floor part virtual in FIG. 20, the put-down position of the used conveyed object Au on the way has already been the priority conveyance instruction|command Cp or the sub conveyance from the current position of the conveying apparatus 20. It is a pattern existing on the way to the lifting position of the article A to which the command has been assign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llocated conveyed article"). Incidentally, in this example, when the moving direction M of the conveying device 20 is downward, the article A to which the sub-conveying command has been assigned is first present on a floor below the conveyed material Ap. do. The 2nd pattern is a pattern in which the laying-down position of the used conveyed object candidate Au exists on the same layer as the lifting position of the preferential conveyed object Ap, as virtually displayed in the 4th-floor part in FIG.

이들 클래스 분류는,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더 세분화되어,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의 제1 패턴이 그대로 「클래스 X」로 되고, 제2 패턴이 「클래스 X+」로 되어 있다. 이들은, 「클래스 X+」의 우선도가 통상의 「클래스 X」의 우선도보다 높아지도록 우열이 설정되어 있다.These class classifications are further subdivided as shown in FIG. 21, and in this embodiment, the said 1st pattern becomes "class X" as it is, and the 2nd pattern becomes "class X+". The superiority and inferiority are set so that the priority of "class X+" may become higher than the priority of normal "class X".

도중 이용 반송물 후보(Au)가 반송 장치(20)의 현재 위치로부터 우선 반송물(Ap)의 들어올림 위치까지의 도중에 존재하는 「클래스 Y」 패턴은, 상기 도중 이용 반송물 후보(Au)의 내려놓음 위치와의 관계에서, 예를 들면,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2종의 패턴으로 더 분류된다. 제1 패턴은, 도 22에 있어서 5층 부분에 가상 표시한 것과 같이, 도중 이용 반송물 후보(Au)의 내려놓음 위치가 반송 장치(20)의 현재 위치로부터 할당 완료 반송물[본 예에서는 보다 위쪽에 있는 우선 반송물(Ap)]의 들어올림 위치까지의 도중에 존재하는 패턴이다. 제2 패턴은, 도 22에 있어서 4층 부분에 가상 표시한 것과 같이, 도중 이용 반송물 후보(Au)의 내려놓음 위치가 우선 반송물(Ap)의 들어올림 위치와 동일 층에 존재하는 패턴이다.The "class Y" pattern that exists in the middle of the used conveyed object candidate Au on the way from the current position of the conveying apparatus 20 to the preferentially conveyed object Ap lifting position is the lowering position of the used conveyed material candidate Au In relation to ,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2, it is further classified into two types of patterns. As for the 1st pattern, as shown virtual on the 5th floor part in FIG. 22, the set-down position of the used conveyed material candidate Au on the way is the allocated conveyed material from the current position of the conveying apparatus 20 (in this example, above It is a pattern that exists on the way to the lifting position of the priority conveyed object Ap]. The 2nd pattern is a pattern in which the laying-down position of the used conveyed object candidate Au exists on the same layer as the lifting position of the preferential conveyed object Ap, as virtually displayed in the 4th-floor part in FIG.

이들 클래스 분류는,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더 세분화되어,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의 제1 패턴이 그대로 「클래스 Y」로 되고, 제2 패턴이 「클래스 Y+」로 되어 있다. 이들은, 「클래스 Y+」의 우선도가 통상의 「클래스 Y」의 우선도보다 높아지도록 우열이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클래스 Y+」의 우선도는, 통상의 「클래스 X」의 우선도보다 낮게 설정되어 있다.These class classifications are further subdivided as shown in FIG. 23, and in this embodiment, the said 1st pattern becomes "class Y" as it is, and the 2nd pattern becomes "class Y+". The superiority and inferiority of these are set so that the priority of "class Y+" becomes higher than the priority of normal "class Y". And the priority of "class Y+" is set lower than the priority of normal "class X".

도중 이용 반송 결정부(44)는, 모든 도중 이용 반송물 후보(Au)에 대하여, 전술한 클래스를 결정한다. 그리고, 부반송 결정부(43)는, 그 중에서 우선도가 가장 높은 클래스에 속하는 도중 이용 반송물 후보(Au)를 대상 물품으로서 결정하고, 그 물품을 해당 물품에 대한 반송원 유지부(Rs)로부터 반송처 유지부(Rd)로 반송하는 처리를, 도중 이용 반송 처리로서 결정한다.The halfway used transport decision unit 44 determines the above-described class for all the halfway used transported object candidates Au. Then, the sub-conveyance determining unit 43 determines, as a target article, a used transported object candidate Au belonging to a class having the highest priority among them, and selects the article from the transporter holding unit Rs for the article. The processing to be conveyed to the conveyance destination holding unit Rd is determined as the middle use conveyance processing.

상기와 같이 하여 도중 이용 반송 처리가 결정되면, 그 도중 이용 반송 처리를 부여하는 반송원 유지부(Rs)와 반송처 유지부(Rd)의 세트로 이루어지는 지령으로서, 도중 이용 반송 지령이 생성된다. 통괄 제어부(41)는, 생성된 도중 이용 반송 지령을, 복수의 이송탑재부(31) 중 어느 하나에 할당한다(#07). 도중 이용 반송 처리는, 우선 반송 처리나 부반송 처리의 실행 전에 완료되는 반송 처리이므로, 각 이송탑재부(31)에 우선 반송 지령(Cp) 또는 부반송 지령이 이미 할당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중 이용 반송 지령이 더 할당되어도, 우선 반송 처리나 부반송 처리의 실행에 영향은 없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할당 처리보다 후의 거기까지의 일련의 처리가, 「제3 할당 처리」에 상당한다. 우선 반송 처리 및 부반송 처리 양쪽의 실행 전에 반송 장치(20)가 할당 완료 반송물의 들어올림 위치까지 이동하는 도중에 들어올림 이송탑재 및 내려놓음 이송탑재의 양쪽이 가능한 물품(A)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06: No), 도중 이용 반송 지령은 생성되지 않고, 각 이송탑재부(31)에는 도중 이용 반송 지령은 할당되지 않는다.When the intermediate transfer processing is determined as described above, the intermediate use transfer instruction is generated as a set of instructions including the transfer source holding unit Rs and the transfer destination holding unit Rd for granting the used transfer processing in the middle. The general control unit 41 assigns the generated use conveyance command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conveyance and mounting units 31 (#07). Since the halfway use transport process is a transport process that is completed before the execution of the preferential transport process or the sub transport process, it is an intermediate transport command in a state in which the priority transport command Cp or the sub transport command has already been assigned to each transport mounting unit 31 . Even if this is further allocated, there is no influence on the execution of the priority conveyance process or the subcarrying process. In the present embodiment, a series of processing up to there after the second allocation processing corresponds to the "third allocation processing". Prior to the execution of both the transfer processing and the sub-transfer processing, while the conveying apparatus 20 is moving to the lifting position of the allocated conveyed object, when there is no article A capable of both lifting and discharging loading and unloading conveying At (#06: No), an intermediate use transfer instruction is not generated, and no intermediate transfer instruction is assigned to each transfer mounting unit 31 .

상기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괄 제어부(41)는, 제3 할당 처리에 있어서, 반송 장치(20)가 그 현재 위치로부터 우선 반송물(Ap)의 들어올림 위치까지 이동하는 도중에, 어느 이송탑재부(31)에서 들어올림 이송탑재가 가능하고 또한 반송 장치(20)의 이동 방향(M)과 같은 방향으로 반송되어 내려놓음 이송탑재까지 완료되는 물품(A)이 존재하면, 상기 물품(A)의 들어올림 이송탑재 및 내려놓음 이송탑재를 행하는 유지부(R)를 각각 반송원 유지부(Rs) 및 반송처 유지부(Rd)로서 포함하는 도중 이용 반송 지령을, 어딘가의 이송탑재부(31)에 할당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third allocation process, the integrated control unit 41 is a transfer mounting unit while the conveying apparatus 20 is moving from its current position to the lifting position of the first conveyed object Ap. In (31), if there is an article A that can be lifted and transported and transpor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moving direction M of the transport device 20 and completed up to the unloading transport, the article A While the holding unit R for carrying out lifting and lowering transfers is included as the transfer source holding unit Rs and the transfer destination holding unit Rd, respectively, a use transfer command is sent to a transfer mounting unit 31 somewhere. allocate

도중 이용 반송 지령의 생성에 있어서는, 통괄 제어부(41)는, 반송 장치(20)의 현재 위치와 동일 층에 존재하는 물품(A)을, 반송 장치(20)의 현재 위치로부터 할당 완료 반송물의 들어올림 위치까지의 도중에 존재하는 물품(A)에 비하여, 보다 우선적으로 도중 이용 반송 지령의 대상 물품으로 한다(도 19를 참조). 또한, 통괄 제어부(41)는, 할당 완료 반송물의 들어올림 위치와 동일 층에서 내려놓음 이송탑재되는 물품(A)을, 반송 장치(20)의 현재 위치로부터 할당 완료 반송물의 들어올림 위치까지의 도중에 내려놓음 이송탑재되는 물품(A)에 비하여, 보다 우선적으로 도중 이용 반송 지령의 대상 물품으로 한다(도 21, 23을 참조).In the generation of the transfer instruction for use on the way, the general control unit 41 transfers the goods A existing on the same floor a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transfer apparatus 20 from the current position of the transfer apparatus 20 to the transported goods. Compared to the article (A) existing on the way to the loading position, it is more preferentially set as the article subject to the use/transfer instruction (refer to Fig. 19). In addition, the general control unit 41 transfers the article A to be unloaded and transported on the same floor as the lifting position of the allocated transported object on the way from the current position of the transporting device 20 to the lifting position of the allocated transported object. Compared to the article A to be placed and transferred, it is more preferentially set as an article subject to an intermediate use transfer instruction (refer to Figs. 21 and 23).

이상과 같이 하여 각 이송탑재부(31)에 우선 반송 지령(Cp) 또는 부반송 지령이 할당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도중 이용 반송 지령이 더 할당되면, 상기 할당된 각 지령에 기초하여 실제로 반송 처리가 실행된다(#08). 이상의 처리가, 순차 반복하여 실행된다.As described above, if a transfer command Cp or a sub-transport command is first assigned to each transfer mounting unit 31, and in some cases, a use transfer command is further assigned, the transfer process is actually performed based on each of the assigned instructions. Executed (#08). The above processes are sequentially and repeatedly executed.

[그 외의 실시형태][Other embodiments]

(1)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제2 할당 처리에 있어서, 3종의 동시 이송탑재 패턴에 관하여 「들어올림 /들어올림」⇒「내려놓음/내려놓음」⇒「내려놓음/들어올림」의 순서로 우선도가 낮아지도록 우열이 설정되어 있는 구성을 예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는 상이한 우열의 순서가 설정되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적어도 2개의 동시 이송탑재 패턴(예를 들면, 「들어올림/들어올림」과 「내려놓음/내려놓음」)의 우선도가 서로 동등하게 설정되어도 된다.(1) In the above embodiment, in the second allocation process, the sequence of "lifting/lifting" ⇒ "lowering/lowering" ⇒ "lowering/lifting" with respect to three types of simultaneous transfer and mounting patterns The configuration in which superiority and inferiority is set so that the priority is lowered wit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such a structure, The order of superiority and inferiority different from the above may be set. In addition, for example, the priority of at least two simultaneous transfer mounting patterns (for example, "lifting/raise|lifting" and "lowering/lowering") may be set equal to each other.

(2)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제2 할당 처리에 있어서, 도중 이송탑재 반송물 후보(Am)가 그 들어올림 위치 및 내려놓음 위치와의 관계에서 세밀하게 클래스 분류되고, 그 세분화된 클래스 분류에 기초하여 부반송 물품을 결정하는 구성을 예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중 이송탑재 반송물 후보(Am)가 그 들어올림 위치와의 관계만으로 클래스 분류되고, 그 비교적 개략적인 클래스 분류에 기초하여 부반송 물품을 결정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2) In the above embodiment, in the second assignment process, the transfer-mounted conveyed object candidate Am is classified finely in the relation between the lifting position and the lowering position, and based on the subdivided class classification Thus, the configuration for determining the sub-transported article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such a configuration, and for example, the transfer mounted transport candidate Am is classified into a class only in relation to its lifting position, and a sub-carried article is determined based on the relatively rough class classification thereof. It may be configured to do so.

(3)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제1 할당 처리[우선 반송 지령(Cp)을 제1 이송탑재부(31A)에 할당하는 처리] 및 제2 할당 처리[부반송 지령을 제2 이송탑재부(31B)에 할당하는 처리]에 더하여, 제3 할당 처리[도중 이용 반송 지령을 어느 이송탑재부(31)에 할당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구성을 예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제3 할당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제1 할당 처리 및 제2 할당 처리만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3) In the above embodiment, the first assignment processing (process of allocating the priority transfer command Cp to the first transport unit 31A) and the second assignment process (the sub transport command is assigned to the second transport unit 31B) In addition to the processing to be assigned to , the configuration for executing the third assignment processing (processing to assign an intermediate use conveyance command to a certain transfer unit 31)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such a structure, and it may be comprised so that only a 1st allocation process and a 2nd allocation process may be performed without executing a 3rd allocation process.

(4)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반송 장치(20)의 복수의 이송탑재부(31)가 상하로 나뉘어 평면에서 볼 때 겹치도록 설치되어 있는 구성을 예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반송 장치(20)의 복수의 이송탑재부(31)가 좌우로 나뉘어 늘어서도록 설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 제1 이송탑재부(31A)가 우선 반송물(Ap)의 이송탑재 처리를 행할 때 제2 이송탑재부(31B)에서 동시 이송탑재 가능한 물품(A)은, 우선 반송물(Ap)의 반송원 유지부(Rs) 또는 반송처 유지부(Rd)에 대하여 1열만큼 옆에 인접하는 유지부(R)에 존재하는 물품(A)으로 된다.(4) In the above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plurality of transfer mounting portions 31 of the transfer apparatus 20 are vertically divided and overlapped in a plan view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such a structure, For example, you may provide so that the some conveyance mounting part 31 of the conveyance apparatus 20 may be divided into right and left and lined up. In this case, when the first transfer unit 31A performs the transfer and mounting process of the first transfer object Ap, the article A that can be simultaneously transferred by the second transfer unit 31B is preferentially transferred to the transfer source Ap. It becomes the article A existing in the holding|maintenance part R adjacent to the part Rs or the conveyance-destination holding|maintenance part Rd by one row|line|column.

(5)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반송 장치(20)가 2개의 이송탑재부(31)를 포함하고 있는 구성을 예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반송 장치(20)가 3개 이상의 이송탑재부(3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반송 장치(20)가 가지는 복수의 이송탑재부(31) 중 하나에 우선 반송 지령(Cp)이 할당되고, 나머지의 이송탑재부(31)에 서로 다른 부반송 지령이 각각 할당되어도 된다.(5) In the above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conveying apparatus 20 includes the two conveying mounting parts 31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such a structure, For example, the conveyance apparatus 20 may be comprised including the three or more conveyance mounting parts 31.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transfer command Cp may be first assigned to one of the plurality of transport units 31 of the transport device 20 , and different sub transport commands may be assigned to the other transport units 31 , respectively.

(6) 전술한 각 실시형태(상기의 실시형태 및 그 외의 실시형태를 포함함; 이하 동일)에서 개시되는 구성은, 모순이 생기지 않는 한, 다른 실시형태에서 개시되는 구성과 조합하여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외의 구성에 관해서도,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본 개시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개변할 수 있다.(6) The configuration disclosed in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other embodiments; the same hereinafter) is applied in combination with the configuration disclosed in the other embodiments, unless inconsistency occurs. It is possible. Also about other structures,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an illustration in all points, and it can change suitably within the range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meaning of this indication.

[실시형태의 개요][Summary of embodiment]

이상을 정리하면, 본 개시에 관한 물품 반송 설비는 바람직하게는, 이하의 각 구성을 포함한다.Summarizing the above, the article transport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preferably includes the following configurations.

물품을 유지하는 복수의 유지부와, 복수의 이송탑재부를 가지고 상기 이송탑재부의 각각에 물품을 탑재한 상태에서 반송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또한 상기 이송탑재부의 각각에서 상기 유지부와의 사이에서 물품을 이송탑재 가능한 반송 장치를 포함하고, 반송원의 상기 유지부인 반송원 유지부와 반송처의 상기 유지부인 반송처 유지부와의 세트로 정해지는 반송 지령에 기초하여 상기 반송 장치에 의해 상기 반송원 유지부로부터 상기 반송처 유지부까지 물품을 반송하는 반송 처리를 하는 물품 반송 설비로서, It has a plurality of holding units for holding articles, and a plurality of transfer units, and is movable along a conveying direction in a state in which an article is mounted on each of the conveying units, and between each of the conveying units and the holding unit. and a conveying device capable of transporting and mounting an article, wherein the conveying device is transported by the conveying device based on a conveying instruction set as a set of a conveyance source holding unit which is the holding unit of a conveyance source and a conveyance destination holding unit which is the holding unit of a conveyance destination. An article transport facility for carrying out transport processing for transporting articles from an original holding unit to the transport destination holding unit, comprising:

우선적으로 실행해야 할 상기 반송 처리인 우선 반송 처리를 미리 정해진 결정 규칙에 기초하여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우선 반송 처리에 따른 우선 반송 지령을 복수의 상기 이송탑재부 중 하나인 제1 이송탑재부에 할당하는 제1 할당 처리와, determining a priority conveyance processing, which is the conveyance processing to be performed preferentially, based on a predetermined decision rule, and assigning a priority conveyance comman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priority conveyance processing to a first conveyance unit that is one of the plurality of conveyance units 1 allocation processing;

적어도 상기 우선 반송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 상기 반송 장치가 이동하는 이동 경로에 기초하여 부반송 처리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부반송 처리에 따른 부반송 지령을 복수의 상기 이송탑재부 중의 다른 하나인 제2 이송탑재부에 할당하는 제2 할당 처리를 실행한다.A second transfer, which is another one of the plurality of transfer mounting units, determines a sub transfer process based on at least a movement path along which the transfer device moves in order to execute the preferential transfer process, and provides a sub transfer comman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sub transfer process. A second allocation process for allocating to the mounting unit is executed.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1 할당 처리에 의해, 우선 반송 지령이 제1 이송탑재부에 할당되어 우선적으로 실행해야 할 반송 처리가 제1 이송탑재부를 이용하여 우선적으로 실행되므로, 물품의 상태 등의 관점에서 필요한 반송 처리 또는 효율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한 반송 처리를 지체없이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할당 처리에 의해, 우선 반송 처리에 의한 이송탑재와 동시 이송탑재가 아닌 이송탑재를 포함하는 반송 처리에 따른 부반송 지령이 제2 이송탑재부에 할당되므로, 상기 부반송 처리의 내용을 자유도 높게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부반송 처리의 내용을, 적어도 우선 반송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반송 장치의 이동 경로에 기초하여 결정함으로써, 우선 반송 처리 중에, 우선 반송 처리와 부반송 처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쳐 실행할 수 있다. 즉, 우선 반송 처리를 실행할 때의 반송 장치 이동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용하여 부반송 처리를 합하여 실행할 수 있으므로, 이것을 반복 실행함으로써, 설비 전체의 반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by the first assignment processing, the transfer command is assigned to the first transfer unit, and the transfer process to be performed preferentially is performed using the first transfer unit. A necessary conveying process or a preferable conveying process from a viewpoint of efficiency, etc. can be performed suitably without delay. In addition, by the second assignment processing, since the sub-conveying command according to the conveying process including the conveying by the priority conveying process and the conveying other than the simultaneous conveying is assigned to the second conveying unit, the contents of the sub conveying processing are You have a lot of freedom to decide. And, by determining the content of the sub-conveying process based on at least the movement path of the conveying apparatus for executing the preferential conveying process, the preferential conveying process and the sub-conveying process can be executed at least partially overlapping each other during the preferential conveying process. That is, since the sub-conveyance process can be collectively performed by using at least partially the movement of the conveying apparatus at the time of first carrying out the conveying process, the conveyance efficiency of the whole facility can be improved by repeating this.

일 태양(態樣)으로서, As a sun,

상기 제2 할당 처리에 있어서, 상기 우선 반송 지령에서 지정되는 상기 반송원 유지부 또는 상기 반송처 유지부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탑재부가 이송탑재 처리를 행할 때 상기 제2 이송탑재부에서 동시 이송탑재 가능한 물품이 존재하면, 상기 동시 이송탑재 가능한 물품이 유지되고 있는 상기 유지부를 상기 반송원 유지부 또는 상기 반송처 유지부로서 포함하는 동시 이송탑재 반송 지령을 상기 부반송 지령으로서 상기 제2 이송탑재부에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econd allocation process, when the first transfer unit performs transfer and mount processing in the transfer source holding unit or the transfer destination holding unit designated by the priority transfer instruction, simultaneous transfer and loading in the second transfer unit is possible. If there is an article, a simultaneous transfer and loading transfer command including the holding unit in which the simultaneously transferable article is held as the transfer source holding unit or the transfer destination holding unit is assigned to the second transfer unit as the sub transfer instruction It is preferable to do

상기 구성에 의하면, 우선 반송 처리에 의한 이송탑재와의 동시 이송탑재가 가능한 경우에는, 상기 동시 이송에 의한 이송탑재가 부반송 처리(부반송 지령에 따라 실행되는 반송 처리)에 의해 행해진다. 이 경우, 우선 반송 처리에 의한 들어올림 이송탑재 또는 내려놓음 이송탑재와 부반송 처리에 의한 들어올림 이송탑재 또는 내려놓음 이송탑재를 동시에 행함으로써, 1사이클당 반송 효율을 최대화 또는 그에 가까운 상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설비 전체의 반송 효율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in the case where simultaneous transfer and mounting by the transfer processing by the first transfer processing is possible, the transfer and installation by the simultaneous transfer is performed by a sub-conveyance process (a transfer process executed according to a sub-conveyance instruction). In this case, by simultaneously performing the lifting transfer or lowering transfer by the transfer process and the lifting transfer or lower transfer by the sub transfer process at the same time, the transfer efficiency per cycle can be maximized or close to it. can Therefore, it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conveyance efficiency of the whole facility.

일 태양으로서, As a sun,

상기 제2 이송탑재부에서 동시 이송탑재 가능한 물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반송 장치가 상기 이동 경로를 이동하는 도중에 상기 제2 이송탑재부에서 들어올림 가능하고 도한 상기 반송 장치의 이동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반송되는 물품이 존재하면, 상기 물품이 유지되고 있는 상기 유지부를 상기 반송원 유지부로서 포함하는 도중 이송탑재 반송 지령을 상기 부반송 지령으로서 상기 제2 이송탑재부에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f there is no article that can be simultaneously transferred and mounted in the second transfer unit, the second transfer unit can lift the second transfer unit while the transfer device moves on the movement path and is also transferr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transfer device. When there is an article to be used, it is preferable to assign a transfer-mounted transfer instruction to the second transfer-mounted portion as the sub transfer instruction while including the holder in which the article is held as the transfer source holder.

상기 구성에 의하면, 우선 반송 처리에 의한 이송탑재와의 동시 이송탑재가 불가능하였다고 해도, 우선 반송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이동 경로를 반송 장치가 이동하는 도중에 들어올려 같은 방향으로 반송되어야 할 물품이 있으면, 상기 물품을 대상으로 하는 들어올림 이송탑재 및 그 후의 반송이, 부반송 처리에 의해 행해진다. 이 경우도, 우선 반송 처리에 의한 반송과 부반송 처리에 의한 반송을 부분적으로 겹쳐 행함으로써, 1사이클당 반송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설비 전체의 반송 효율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even if simultaneous transfer and mounting with transfer and mounting by the preferential transfer process is impossible, if there is an article to be transferred in the same direction by lifting the movement path for performing the preferential transfer process while the transfer device is moving, Lifting, transporting, and subsequent transport of the article is performed by a sub transport process. Also in this case, the conveyance efficiency per cycle can be improved by carrying out the conveyance by a priority conveyance process, and conveyance by a sub conveyance process partially overlappingly. Therefore, it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conveyance efficiency of the whole facility.

일 태양으로서, As a sun,

상기 반송 장치의 모든 상기 이송탑재부에 상기 우선 반송 지령 및 상기 부반송 지령 중 어느 하나가 이미 할당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반송 장치가 그 시점의 위치로부터 상기 우선 반송 지령에서 지정되는 상기 반송원 유지부의 위치까지 이동하는 도중에, 상기 반송 장치의 어느 상기 이송탑재부에서 들어올림 가능하고 또한 상기 반송 장치의 이동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반송되어 내려놓음까지 완료되는 물품이 존재하면, 상기 물품의 들어올림 및 내려놓음을 행하는 상기 유지부를 각각 상기 반송원 유지부 및 상기 반송처 유지부로서 포함하는 도중 이용 반송 지령을 상기 반송 장치의 어느 상기 이송탑재부에 할당하는 제3 할당 처리를 더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ase where any one of the priority conveying instruction and the sub conveying instruction has already been assigned to all of the conveying units of the conveying apparatus, the conveying apparatus maintains the conveying source designated by the priority conveying instruction from the position at the time. If there is an article that can be lifted in any of the transfer mounting units of the transfer device while moving to the negative position and is transferr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transfer device and completed until unloading, the article is lifted and lowered It is preferable to further execute a third assignment process for allocating a use conveyance instruction to any of the conveying mounting units of the conveying apparatus while including the placing holding units as the conveying source holding unit and the conveying destination holding unit, respectively.

상기 구성에 의하면, 반송 장치의 그 시점의 위치로부터 우선 반송 지령에서 지정되는 반송원 유지부의 위치까지의 이동을 이용하여, 그 이동 중에 들어올려 같은 방향으로 반송하고 내려놓음까지 완료할 수 있는 물품이 더 있으면, 상기 물품을 대상으로 하는 들어올림 이송으로부터 내려놓음 이송탑재까지의 반송이, 도중 이용 반송 처리(도중 이용 반송 지령에 따라 실행되는 반송 처리)에 의해 행해진다. 반송 장치의 모든 이송탑재부에 이미 할당되어 있는 우선 반송 지령 및 부반송 지령에 의한 각 반송 처리의 실행 전에, 이들 각 반송 처리의 실행을 방해하지 않고, 도중 이용 반송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반송 장치의 이송탑재부가 물품을 탑재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이동하는 거리를 짧게 억제할 수 있고, 설비 전체의 반송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using the movement from the starting position of the conveying apparatus to the position of the conveying source holding unit designated by the conveying instruction first, an article that can be lifted up during the movement, conveyed in the same direction, and finished until unloading. If there is further, the conveyance from the lifting conveyance to the unloading conveyance installation for the said article is performed by the use conveyance process (transport process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use conveyance instruction|command on the way). Prior to execution of each conveyance process according to the priority conveyance instruction and the sub conveyance instruction which are already assigned to all the conveyance mounting units of a conveyance apparatus, the use conveyance process can be performed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execution of these each conveyance proces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distance the transfer mounting unit of the transfer apparatus moves in a state where no articles are mounted, and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transfer efficiency of the entire facility.

일 태양으로서, As a sun,

상기 결정 규칙이, 상기 반송 장치의 그 시점의 위치로부터 대상의 물품이 유지되고 있는 상기 반송원 유지부까지의 이동 거리, 대상의 물품에 대한 상기 반송원 유지부로부터 상기 반송처 유지부까지의 반송 거리, 및 대상의 물품 상기 반송원 유지부에서의 대기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고, 상기 이동 거리가 짧아짐에 따라 우선도가 높아지고, 상기 반송 거리가 짧아짐에 따라 우선도가 높아지고, 상기 대기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우선도가 높아지도록 정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etermination rule is a movement distance from the position of the transfer device at that point to the carrier holding unit holding the target article, and the transport from the carrier holding unit to the transport destination holding unit for the target article. based on at least one of a distance, and a waiting time in the transport source holding unit of the target article, the priority increases as the moving distance becomes shorter, the priority increases as the transport distance becomes shorter, and the waiting time decreases It is preferable that it is determined so that the priority may increase as the length increases.

상기 구성에 의하면, 반송원 유지부에서 이미 장시간 대기하고 있는 물품을 빠른 시기에 반출시키는 반송 처리나, 반송 장치의 이동 거리나 물품의 반송 거리가 짧아지는 반송 처리를, 우선 반송 처리로서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반송원 유지부에서 이미 장시간 대기하고 있는 물품을 빠른 시기에 반출시키는 반송 처리를 우선 반송 처리로 함으로써, 물품 반송 설비 내에 있어서의 특정한 물품의 체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반송 장치의 이동 거리나 물품의 반송 거리가 짧아지는 반송 처리를 우선 반송 처리로 함으로써, 복수의 물품을 효율적으로 반송할 수 있고, 설비 전체의 반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a transport process for quickly unloading an article that has already been waiting for a long time in the transport source holding unit or a transport process for shortening the moving distance of the transport device or the transport distance of the article is appropriately determined as the transport process with priority. can In addition, by making the conveyance processing for unloading the goods already waiting for a long time in the conveyance source holding unit at an early time as the conveying processing,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retention of specific articles in the product conveyance facility. In addition, by preferentially setting the conveying processing in which the moving distance of the conveying apparatus or the conveying distance of the articles is shortened, a plurality of articles can be efficiently transported and the transport efficiency of the entire facility can be improved.

본 개시에 관한 물품 반송 설비는, 전술한 각 효과 중, 적어도 하나를 발휘할 수 있으면 된다.The article transport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may exhibit at least one of the aforementioned effects.

1 : 물품 반송 설비
20 : 반송 장치
31 : 이송탑재부
31A : 제1 이송탑재부
31B : 제2 이송탑재부
A : 물품
T : 반송 방향
R : 유지부
Rs : 반송원 유지부
Rd : 반송처 유지부
Cp : 우선 반송 지령
1: Goods conveying equipment
20: conveying device
31: transfer mounting unit
31A: first transfer mounting unit
31B: second transfer mounting unit
A: Goods
T: conveying direction
R: holding part
Rs: carrier holding part
Rd: Transfer destination holding part
Cp: Priority return command

Claims (5)

물품을 유지하는 복수의 유지부; 및 복수의 이송탑재부를 가지고 상기 이송탑재부의 각각에 물품을 탑재(載置)한 상태에서 반송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또한 상기 이송탑재부의 각각에서 상기 유지부와의 사이에서 물품을 이송탑재 가능한 반송 장치를 포함하고, 반송원(搬送元)의 상기 유지부인 반송원 유지부와 반송처(搬送處)의 상기 유지부인 반송처 유지부와의 세트로 정해지는 반송 지령에 기초하여, 상기 반송 장치에 의해 상기 반송원 유지부로부터 상기 반송처 유지부까지 물품을 반송하는 반송 처리를 행하는 물품 반송 설비로서,
우선적으로 실행해야 할 상기 반송 처리인 우선 반송 처리를 미리 정해진 결정 규칙에 기초하여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우선 반송 처리에 따른 우선 반송 지령을 복수의 상기 이송탑재부 중 하나인 제1 이송탑재부에 할당하는 제1 할당 처리; 및
적어도 상기 우선 반송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 상기 반송 장치가 이동하는 이동 경로에 기초하여 상기 우선 반송 처리에 더하여 실행하는 상기 반송 처리인 부(副)반송 처리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부반송 처리에 따른 부반송 지령을 복수의 상기 이송탑재부 중의 다른 하나인 제2 이송탑재부에 할당하는 제2 할당 처리
를 실행하고,
상기 부반송 처리에서는,
상기 우선 반송 지령에서 지정되는 상기 반송원 유지부 또는 상기 반송처 유지부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탑재부가 이송탑재 처리를 행할 때 상기 제2 이송탑재부에서 동시 이송탑재 가능한 물품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동시 이송탑재 가능한 물품이 유지되고 있는 상기 유지부를 상기 부반송 처리의 대상이 되는 상기 반송원 유지부로서 결정하고, 또는 상기 동시 이송 탑재 가능한 물품의 반송처가 되는 상기 유지부를 상기 부반송 처리의 대상이 되는 상기 반송처 유지부로서 결정하고,
상기 제2 이송탑재부에서 동시 이송탑재 가능한 물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로서, 상기 반송 장치가 상기 이동 경로를 이동하는 도중에 상기 제2 이송탑재부에서 들어올림 가능하고 또한 상기 반송 장치의 이동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반송되는 물품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물품이 유지되고 있는 상기 유지부를 상기 부반송 처리 대상이 되는 상기 반송처 유지부로서 결정하는,
물품 반송 설비.
a plurality of holding parts for holding articles; And it has a plurality of transport and is movable along the transport dire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article is mounted on each of the transport parts, and each of the transport parts is capable of transporting the article between the holding part and the holding part. It includes a conveying apparatus, and based on the conveyance instruction|command set by the set of the conveyance source holding part which is the said holding part of a conveyance source, and the conveyance destination holding|maintenance part which is the said holding|maintenance part of a conveyance destination, the said conveying apparatus An article transport facility that performs transport processing for transporting articles from the transport source holding unit to the transport destination holding unit by
determining a priority conveyance processing, which is the conveyance processing to be performed preferentially, based on a predetermined decision rule, and assigning a priority conveyance comman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priority conveyance processing to a first conveyance unit that is one of the plurality of conveyance units 1 allocation processing; and
At least on the basis of a movement path along which the conveying apparatus moves in order to execute the preferential conveyance processing, a sub conveying process that is the conveying processing to be executed in addition to the preferential conveying processing is determined, and a portion according to the determined sub conveying process is determined. A second assignment process for allocating a conveyance command to a second conveyance-mounted unit that is another one of the plurality of conveying-mounted units
run
In the sub-transfer process,
In the case where there is an article that can be simultaneously transferred by the second transfer unit when the first transfer unit performs transfer and mount processing in the transfer source holding unit or the transfer destination holding unit designated in the preferential transfer instruction, The holding unit for holding articles that can be simultaneously transferred and mounted is determined as the transport source holding unit to be subjected to the sub-transfer processing, or the holding unit serving as the transport destination of the simultaneously-transferred articles is the subject of the sub-conveying process. to be determined as the transport destination holding unit,
In the case where there is no article that can be simultaneously transferred and mounted in the second transfer unit, the second transfer unit can be lifted in the middle of the movement path of the transfer device and can be lif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transfer device. determining, when there is an article to be transported, the holding part holding the article as the transport destination holding part to be subjected to the sub transport process;
Goods return equipment.
물품을 유지하는 복수의 유지부; 및 복수의 이송탑재부를 가지고 상기 이송탑재부의 각각에 물품을 탑재(載置)한 상태에서 반송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또한 상기 이송탑재부의 각각에서 상기 유지부와의 사이에서 물품을 이송탑재 가능한 반송 장치를 포함하고, 반송원(搬送元)의 상기 유지부인 반송원 유지부와 반송처(搬送處)의 상기 유지부인 반송처 유지부와의 세트로 정해지는 반송 지령에 기초하여, 상기 반송 장치에 의해 상기 반송원 유지부로부터 상기 반송처 유지부까지 물품을 반송하는 반송 처리를 행하는 물품 반송 설비로서,
우선적으로 실행해야 할 상기 반송 처리인 우선 반송 처리를 미리 정해진 결정 규칙에 기초하여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우선 반송 처리에 따른 우선 반송 지령을 복수의 상기 이송탑재부 중 하나인 제1 이송탑재부에 할당하는 제1 할당 처리; 및
적어도 상기 우선 반송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 상기 반송 장치가 이동하는 이동 경로에 기초하여 부(副)반송 처리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부반송 처리에 따른 부반송 지령을 복수의 상기 이송탑재부 중의 다른 하나인 제2 이송탑재부에 할당하는 제2 할당 처리
를 실행하고,
상기 반송 장치의 모든 상기 이송탑재부에 상기 우선 반송 지령 및 상기 부반송 지령 중 어느 하나가 이미 할당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반송 장치가 그 시점의 위치로부터 상기 우선 반송 지령에서 지정되는 상기 반송원 유지부의 위치까지 이동하는 도중에, 상기 반송 장치의 어느 상기 이송탑재부에서 들어올림 가능하고 또한 상기 반송 장치의 이동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반송되어 내려놓음까지 완료되는 물품이 존재하면, 상기 물품의 들어올림 및 내려놓음을 행하는 상기 유지부를 각각 상기 반송원 유지부 및 상기 반송처 유지부로서 포함하는 도중 이용 반송 지령을 상기 반송 장치의 어느 상기 이송탑재부에 할당하는 제3 할당 처리를 더 실행하는,
물품 반송 설비.
a plurality of holding parts for holding articles; And it has a plurality of transport and is movable along the transport dire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article is mounted on each of the transport parts, and each of the transport parts is capable of transporting the article between the holding part and the holding part. It includes a conveying apparatus, and based on the conveyance instruction|command set by the set of the conveyance source holding part which is the said holding part of a conveyance source, and the conveyance destination holding|maintenance part which is the said holding|maintenance part of a conveyance destination, the said conveying apparatus An article transport facility that performs transport processing for transporting articles from the transport source holding unit to the transport destination holding unit by
determining a priority conveyance processing, which is the conveyance processing to be performed preferentially, based on a predetermined decision rule, and assigning a priority conveyance comman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priority conveyance processing to a first conveyance unit that is one of the plurality of conveyance units 1 allocation processing; and
At least a sub conveying process is determined based on a movement path through which the conveying apparatus moves in order to execute the preferential conveying process, and a sub conveying comman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sub conveying process is provided to another one of a plurality of the conveying mounting units. Second allocation processing for allocating to the second transfer unit
run
In the case where any one of the priority conveying instruction and the sub conveying instruction has already been assigned to all of the conveying units of the conveying apparatus, the conveying apparatus maintains the conveying source designated by the priority conveying instruction from the position at that point in time. During the movement to the negative position, if there is an article that can be lifted at any of the transfer mounting units of the transfer device and is transpor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transport device and completed until unloading,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article further executing a third assignment process for allocating a use transport instruction to any of the transport mounting parts of the transport apparatus while including the holding parts for placing as the transport source holding part and the transport destination holding part, respectively;
Goods return equipmen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할당 처리에 있어서, 상기 우선 반송 지령에서 지정되는 상기 반송원 유지부 또는 상기 반송처 유지부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탑재부가 이송탑재 처리를 행할 때 상기 제2 이송탑재부에서 동시 이송탑재 가능한 물품이 존재하면, 상기 동시 이송탑재 가능한 물품이 유지되고 있는 상기 유지부를 상기 반송원 유지부 또는 상기 반송처 유지부로서 포함하는 동시 이송탑재 반송 지령을 상기 부반송 지령으로서 상기 제2 이송탑재부에 할당하는, 물품 반송 설비.
3. The method of claim 2,
In the second allocation process, when the first transfer unit performs transfer and mount processing in the transfer source holding unit or the transfer destination holding unit designated by the priority transfer instruction, simultaneous transfer and loading in the second transfer unit is possible. If there is an article, a simultaneous transfer and loading transfer command including the holding unit in which the simultaneously transferable article is held as the transfer source holding unit or the transfer destination holding unit is assigned to the second transfer unit as the sub transfer instruction which, goods conveyance equipmen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송탑재부에서 동시 이송탑재 가능한 물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반송 장치가 상기 이동 경로를 이동하는 도중에 상기 제2 이송탑재부에서 들어올림 가능하고 또한 상기 반송 장치의 이동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반송되는 물품이 존재하면, 상기 물품이 유지되고 있는 상기 유지부를 상기 반송원 유지부로서 포함하는 도중 이송탑재 반송 지령을 상기 부반송 지령으로서 상기 제2 이송탑재부에 할당하는, 물품 반송 설비.
4. The method of claim 3,
When there is no article that can be simultaneously transferred and mounted in the second transfer unit, the second transfer unit can be lifted by the second transfer unit while the transfer device moves on the movement path and is transpor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transfer device. and if there is an article to be used, a transfer-mounted transfer instruction is assigned to the second transfer-mounted unit as the sub-transport instruction while the holding unit in which the article is held is included as the transfer source holder.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규칙이, 상기 반송 장치의 그 시점의 위치로부터 대상의 물품이 유지되고 있는 상기 반송원 유지부까지의 이동 거리, 대상의 물품에 대한 상기 반송원 유지부로부터 상기 반송처 유지부까지의 반송 거리, 및 대상의 물품의 상기 반송원 유지부에서의 대기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고, 상기 이동 거리가 짧아짐에 따라 우선도가 높아지고, 상기 반송 거리가 짧아짐에 따라 우선도가 높아지고, 상기 대기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우선도가 높아지도록 정해져 있는, 물품 반송 설비.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determination rule is a movement distance from the position of the transfer device at that point to the carrier holding unit holding the target article, and the transport from the carrier holding unit to the transport destination holding unit for the target article. based on at least one of a distance and a waiting time in the carrier holding unit of the target article, wherein the priority increases as the moving distance becomes shorter, the priority increases as the carrier distance becomes shorter, and the waiting time The article conveyance facility which is determined so that the priority may become higher as this lengthens.
KR1020170111773A 2016-09-27 2017-09-01 Article transport facility KR10240961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88511A JP6747217B2 (en) 2016-09-27 2016-09-27 Goods transport facility
JPJP-P-2016-188511 2016-09-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4222A KR20180034222A (en) 2018-04-04
KR102409613B1 true KR102409613B1 (en) 2022-06-15

Family

ID=61752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1773A KR102409613B1 (en) 2016-09-27 2017-09-01 Article transport facility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747217B2 (en)
KR (1) KR102409613B1 (en)
CN (1) CN107867525B (en)
TW (1) TWI732021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35031B2 (en) * 2018-04-27 2021-02-24 株式会社ダイフク Goods transport equipment
CN110422526B (en) * 2019-08-13 2022-01-18 上海快仓自动化科技有限公司 Warehousing system and logistics control method
JP7184003B2 (en) 2019-09-17 2022-12-06 株式会社ダイフク Goods transport equipment
JP2021046273A (en) * 2019-09-17 2021-03-25 株式会社ダイフク Article conveying device
JP7222337B2 (en) 2019-09-17 2023-02-15 株式会社ダイフク Goods transport equipment
JP7222378B2 (en) * 2020-05-13 2023-02-15 株式会社ダイフク Article conveying device
CN112249582B (en) * 2020-08-26 2022-04-05 蓓安科仪(北京)技术有限公司 Robot intelligent mobile shelf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TWI734612B (en) * 2020-09-15 2021-07-21 迅得機械股份有限公司 Miniaturization warehouse system
KR102315393B1 (en) * 2021-05-21 2021-10-20 주식회사 샤인소프트 System for determining optimized transfer route of material in smart-factory and method for determining optimized transfer route of material using the same
WO2023199628A1 (en) * 2022-04-13 2023-10-19 村田機械株式会社 Transportation system and transportation control metho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50112A (en) * 2014-09-02 2016-04-11 株式会社ダイフク Article conveyance equipment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2409A (en) * 1992-09-11 1994-04-05 Okamura Corp Traveling control method for stacker crane and its device
JP4011307B2 (en) * 2001-06-29 2007-11-21 株式会社イトーキ Automatic warehouse entry / exit control device
JP4756371B2 (en) * 2006-09-05 2011-08-24 株式会社ダイフク Goods storage equipment
JP5278724B2 (en) * 2007-07-26 2013-09-04 株式会社ダイフク Goods storage equipment
JP5316907B2 (en) * 2011-03-17 2013-10-16 株式会社ダイフク Goods transport equipment
JP6105982B2 (en) * 2012-09-21 2017-03-29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Schedule creation device, substrate processing device, schedule creation program, schedule creation method, and substrate processing method
JP5904098B2 (en) * 2012-11-07 2016-04-13 株式会社ダイフク Goods transport equipment
US9902289B2 (en) * 2013-02-15 2018-02-27 Murata Machinery, Ltd. Transport facility and automated warehouse
JP6314713B2 (en) * 2014-07-14 2018-04-25 株式会社ダイフク Inter-floor transfer equipment
CN205133052U (en) * 2015-09-23 2016-04-06 苏州富士德物流设备有限公司 Two stacker of stretching of single -upright -column bend
TWI695805B (en) * 2019-08-14 2020-06-11 力晶積成電子製造股份有限公司 Lot carrying system and lot carrying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50112A (en) * 2014-09-02 2016-04-11 株式会社ダイフク Article conveyance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867525A (en) 2018-04-03
TW201813899A (en) 2018-04-16
JP2018052659A (en) 2018-04-05
JP6747217B2 (en) 2020-08-26
CN107867525B (en) 2021-04-02
TWI732021B (en) 2021-07-01
KR20180034222A (en) 2018-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9613B1 (en) Article transport facility
KR102405911B1 (en) Article transport facility
TWI462862B (en) Article transport facility
KR102276842B1 (en) Inter―floor transport facility
EP1627834B1 (en) Carrying system
JP5463758B2 (en) Storehouse
JP2016052947A (en) Article conveyance facility
JP5369419B2 (en) Storage system with storage, storage set and storage
JP2020007082A (en) Article transport device
WO2018003287A1 (en) Conveyance system
JP2012017188A (en) Automatic warehouse
JP6822562B2 (en) Inter-floor transportation system and inter-floor transportation method
JP6825604B2 (en) Goods transport equipment and goods transport equipment
JP6747516B2 (en) Ceiling carrier and control method for ceiling carrier
KR102622890B1 (en) Article transport facility
JPH0672512A (en) Control method for automatic warehouse
JP2009154983A (en) Cabinet, and stocking/delivering method
JP2010137961A (en) Storage and inlet-outlet method
JP5286721B2 (en) Transport system
JP7200810B2 (en) Goods storage facility
JP6424705B2 (en) Carrier system
CN115771692A (en) Article storage facility
JP2021054553A (en) Article transport facility
KR20210139147A (en) Article transport apparatus
JPH069011A (en) Carry-out control method for automated wareho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