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9020B1 - 열교 방지 기능을 갖는 바닥 단열 배수판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열교 방지 기능을 갖는 바닥 단열 배수판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9020B1
KR102409020B1 KR1020210170963A KR20210170963A KR102409020B1 KR 102409020 B1 KR102409020 B1 KR 102409020B1 KR 1020210170963 A KR1020210170963 A KR 1020210170963A KR 20210170963 A KR20210170963 A KR 20210170963A KR 102409020 B1 KR102409020 B1 KR 102409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floor insulation
drain plate
insulation drai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0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덕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트하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트하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트하임
Priority to KR1020210170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90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9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9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 주택이나 단독 주택 등의 건축물의 지하/주차장/옥상/지붕/베란다 등의 바닥에 설치되는 바닥 단열 배수판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하부면에 배수통로가 형성된 단열재로 이루어져 단열 및 배수기능을 동시에 제공하고, 상부면에 몰탈 결합용 쐐기홈이 형성되어 바닥 콘크리트 구조물과의 결합력을 증대시켜 크랙과 이탈을 방지하며, 양단부에는 인접한 것끼리 상하로 암수 결합되는 제1 및 제2 결합부의 결합 부위에 형성된 여유 간격을 조정하여 바닥 콘크리트 구조물의 높낮이를 조정함으로써 바닥 단열 배수판과 바닥 콘크리트 구조물 간의 밀착력을 개선하여 바닥 단열 배수판으로 인한 열교 현상 및 습기 침투를 방지하고, 상부면에 균일한 간격으로 줄눈이 형성됨으로써 시공 현장에 따라 원하는 크기로 균일하게 재단이 가능하여 건축물의 바닥 시공시 시공성과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자재를 줄여 시공비용을 낮출 수 있는 열교 방지 기능을 갖는 바닥 단열 배수판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열교 방지 기능을 갖는 바닥 단열 배수판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 시공방법{FLOOR INSULATION DRAIN PLATE WITH THERMAL BRIDGE PREVENTION FUNCTION AND FLOOR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공동 주택이나 단독 주택 등의 건축물의 지하/주차장/옥상/지붕/베란다 등의 바닥에 설치되는 바닥 단열 배수판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하부면에 배수통로가 형성된 단열재로 이루어져 단열 및 배수기능을 동시에 제공하고, 상부면에 몰탈 결합용 쐐기홈이 형성되어 바닥 콘크리트 구조물과의 결합력을 증대시켜 크랙과 이탈을 방지하며, 양단부에는 인접한 것끼리 상하로 암수 결합되는 제1 및 제2 결합부의 결합 부위에 형성된 여유 간격을 조정하여 바닥 콘크리트 구조물의 높낮이를 조정함으로써 바닥 단열 배수판과 바닥 콘크리트 구조물 간의 밀착력을 개선하여 바닥 단열 배수판으로 인한 열교 현상 및 습기 침투를 방지하고, 상부면에 균일한 간격으로 줄눈이 형성됨으로써 시공 현장에 따라 원하는 크기로 균일하게 재단이 가능하여 건축물의 바닥 시공시 시공성과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자재를 줄여 시공비용을 낮출 수 있는 열교 방지 기능을 갖는 바닥 단열 배수판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동 주택이나 단독 주택 등의 건축물의 지하/주차장/옥상/지붕/베란다 등의 바닥 콘크리트 구조물(예컨대, 슬라브 등)에는 열교 현상으로 인한 온도 차로 인해 발생하는 습기나 물방울 등을 배수하기 위해 바닥 단열 배수판이 설치된다. 그리고, 열교 현상으로 인한 단열 성능 저하를 보상하기 위해 다양한 공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기존에는 플라스틱 재질로 바닥 단열 배수판을 형성하고, 그 상부에 테이프를 이용하여 단열재를 부착시켜 건축물의 바닥을 시공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시공방법에서는 플라스틱 배수판과 단열재를 각각 제작한 후 시공하기 때문에 시공이 복잡하였고, 금형을 떠서 플라스틱 배수판을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모델 수정이 어려웠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 플라스틱 배수판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배수기능을 갖는 바닥 단열재가 국내 등록특허 제10-0404377호 등에서 제안되었다.
그러나, 국내 등록특허 제10-0404377호 등에서 제안된 바닥 단열재는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배수판 가공에 사용되는 루터 가공기를 이용하여 단열재의 표면을 깎아 제작하기 때문에 습기나 물기 등의 흡수율이 증가하였고, 또한 단열재의 상부면이 비교적 매끈하여 바닥 콘크리트 구조물과의 결합력이 저하되어 크랙이나 이탈이 발생되었다. 또한 반턱 가공으로 인한 높낮이 차이로 인해 들뜸 현상이 발생하였다.
KR 10-0404377 B1, 2003. 10. 23.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배수 기능을 갖는 단열재로 형성하여 단열 및 배수기능을 동시에 제공하고, 열선을 이용한 가공방식을 통해 습기나 물기 등의 흡수율을 낮추면서, 콘크리트 구조물과의 밀착력을 증대시켜 크랙이나 이탈을 방지하고, 인접한 것끼리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자유롭게 높낮이를 조정하여 평탄도를 향상시키며, 균일한 크기로 재단이 가능하여 건축물의 바닥 시공시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는 열교 방지 기능을 갖는 바닥 단열 배수판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외에도 후술하는 실시예 및 청구범위를 통해 기재된 기술들을 통해 다양한 목적들이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예에 따른 본 발명은 건축물의 지하/주차장/옥상/지붕/베란다의 바닥에 설치되는 바닥 단열 배수판에 있어서, 상기 바닥 단열 배수판은 단열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열재의 하부면에는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 개의 배수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열재의 상부면에는 몰탈 결합용 복수 개의 쐐기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열재의 양단부에는 상기 바닥 단열 배수판과 나란하도록 인접하게 시공되는 인접 바닥 단열 배수판과 상하로 암수 결합되는 제1 및 제2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열재의 상부면에는 상기 쐐기홈들 사이에 균일한 간격으로 복수 개의 줄눈이 형성된 열교 방지 기능을 갖는 바닥 단열 배수판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바닥 단열 배수판과 상기 인접 바닥 단열 배수판은 서로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바닥 단열 배수판과 상기 인접 바닥 단열 배수판이 틈새없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바닥 단열 배수판의 상면 또는 하면이 상기 인접 바닥 단열 배수판의 상면 또는 하면과 단차를 갖도록 상기 바닥 단열 배수판의 제1 및 제2 결합부와 상기 인접 바닥 단열 배수판의 제1 및 제2 결합부 간에는 깊이 또는 높이거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 단열 배수판의 제1 및 제2 결합부는 상하로 상호 대칭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접 바닥 단열 배수판의 제1 및 제2 결합부는 상하로 상호 대칭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닥 단열 배수판과 상기 인접 바닥 단열 배수판의 제1 및 제2 결합부는 인접한 것끼리 상호 암수 결합하기 후크 형상을 갖도록 단면이 'L'자 또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통로와, 상기 쐐기홈과, 상기 줄눈과,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는 각각 열선을 이용한 가공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의 내측에는 각각 결합홈이 상하로 다단으로 형성되거나, 단부에서 깊이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증가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 단열 배수판은 상기 배수통로가 형성된 상기 단열재의 하부면을 덮도록 상기 단열재의 하부면에 방수제가 도포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예에 따른 본 발명은 콘크리트 벽체의 내측면에 측면 완충제를 각각 부착하는 과정; 바닥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면에 상기 열교 방지 기능을 갖는 바닥 단열 배수판들 시공하는 과정; 콘크리트 기둥 모서리를 감싸도록 상기 바닥 단열 배수판에 응력 완충장치를 고정하는 과정; 및 상기 바닥 단열 배수판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부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건축물의 바닥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측면 완충제는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상기 콘크리트 벽체의 내측면에 부착 고정하고, 중앙에는 일렬로 구획 형성된 복수 개의 습기 배출 및 통기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력 방지장치는 상기 기둥의 모서리를 각각 감싸는 복수 개의 응력 방지용 곡면판; 및 상기 응력 방지용 곡면판의 하단부에 한 개 또는 복수 개가 형성되어 상기 응력 방지용 곡면판을 상기 바닥 단열 배수판에 고정하는 고정핀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부면에 배수통로가 형성된 단열재로 이루어져 단열 및 배수기능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부면에 몰탈 결합용 쐐기홈이 형성됨으로써 바닥 콘크리트 구조물과의 결합력을 증대시켜 크랙과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바닥 단열 배수판의 양단부에 인접한 것끼리 상하로 암수 결합되는 제1 및 제2 결합부가 형성되고, 바닥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면 구조에 대응하여 인접하게 결합되는 바닥 단열 배수판의 제1 및 제2 결합부가 결합되는 결합 부위의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바닥 콘크리트 구조물과의 밀착력(결합력)을 향상시켜 종래에 발생되는 들뜸으로 인한 습기 침투, 크랙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바닥 단열 배수판의 상부면에 균일한 간격으로 줄눈이 형성되고, 이를 통해 시공 현장에 따라 원하는 크기로 균일하게 재단하여 사용함으로써 건축물의 바닥 시공시 시공성과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자재를 줄여 시공비용을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 단열 배수판을 상부 일측부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바닥 단열 배수판을 하부 일측부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A-A 절취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 단열 배수판이 콘크리트 구조물에 부착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 단열 배수판 간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 단열 배수판의 수평 조정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 단열 배수판의 수평 조정과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닥 단열 배수판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닥 단열 배수판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닥 단열 배수판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바닥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공정 순서도.
도 12 내지 도 16은 도 11에 도시된 각 과정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도면들.
도 17은 도 13에 도시된 측면 완충제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도 15에 도시된 응력 방지장치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각 도면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고, 그 상부 또는 하부에는 추가 구성요소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 단열 배수판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들로서, 도 1은 상부 일측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는 하부 일측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A-A 절취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 단열 배수판(10)은 단열성을 갖는 단열재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상기 단열재로는 발포폴리프로필렌(Expanded Polypropylene, EPP), 발포폴리스티렌(Expanded Polystyrene, EPS)(비드법보호판 포함), 압출발포폴리스티렌(압출법보호판 포함), 발포비닐아세테이트(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 EVA), 발포폴리에틸렌(foamed Polyethylene, PE), 발포폴리우레탄(foaming Polyurethane, PU)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과 같이, 바닥 단열 배수판(10)의 하부면에는 열교에 기인한 온도차로 인한 물방울 등을 안정적으로 배수하기 위한 배수통로(11)가 형성되어 있다. 배수통로(11)는 4방향에서 내부에 생성된 습기나 물방울 등을 배수하도록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장된 제1 및 제2 배수홈(11a, 11b)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배수홈(11a, 11b)은 서로 동일한 깊이로 형성되거나, 혹은 서로 다른 깊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배수홈(11a, 11b)은 반원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례로서, 반타원형 또는 각형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배수홈(11a, 11b)은 바닥 단열 배수판(10)의 규격에 따라 각각 한 개 또는 복수 개(예컨대, 4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동일한 깊이로 형성되거나 서로 다른 깊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각각 하부가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바닥 단열 배수판(10)의 상면에는 바닥 단열 배수판(10)의 상부에 타설되는 상부 콘크리트 구조물(1, 도 4참조)과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몰탈 결합을 위한 쐐기홈(12)이 형성된다. 쐐기홈(12)은 도 3과 같이, 바닥 단열 배수판(10)의 규격에 따라 각각 한 개 또는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쐐기홈(12)은 몰탈이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홈 구조로 이루어지고, 몰탈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개구부의 폭(W1)보다 바닥부의 폭(W2)이 더 큰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 단열 배수판이 상부 콘크리트 구조물에 부착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 4와 같이, 쐐기홈(12)을 매개로 몰탈을 통해 바닥 단열 배수판(10)의 상면은 강한 결합력으로 상부 콘크리트 구조물(1)에 접착될 수 있다.
도 3과 같이, 바닥 단열 배수판(10)의 양측부에는 인접하게 설치되는 바닥 단열 배수판(10', 도 5 참조)과 나란하게 결합되도록 제1 및 제2 결합부(13a, 13b)가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 단열 배수판 간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5와 같이, 제1 및 결합부(13a, 13b)는 바닥 단열 배수판(10)과 인접하도록 나란하게 시공되는 다른 바닥 단열 배수판(10')(이하, '인접 바닥 단열 배수판'이라 함)과 나란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하로 서로 대칭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닥 단열 배수판(10)의 제1 및 제2 결합부(13a, 13b)와 인접 바닥 단열 배수판(10')의 제1 및 제2 결합부(13a', 13b')는 각각 후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후크 형태로 상하 결합되도록 제1 결합부(13a, 13a')는 단면이 'L'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2 결합부(13b, 13b')는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와 같이, 바닥 단열 배수판(10)과 인접 바닥 단열 배수판(10')의 높이(상하 두께)는 동일하게 형성된다('L1=L2'). 그리고, 바닥 단열 배수판(10)과 인접 바닥 단열 배수판(10')이 완전 결합된 상태에서 이들 사이에는 단차(t)가 발생되도록 바닥 단열 배수판(10)의 제1 및 제2 결합부(13a, 13b)와 인접 바닥 단열 배수판(10')의 제1 및 제2 결합부(13a', 13b')는 서로 다른 깊이 또는 높이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후크 형태로 상하로 결합되는 바닥 단열 배수판(10)의 제2 결합부(13b)와 인접 바닥 단열 배수판(10')의 제1 결합부(13a')의 깊이 또는 높이는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 5와 같이, 바닥 단열 배수판(10)의 제2 결합부(13b)와 인접 바닥 단열 배수판(10')의 제1 결합부(13a')가 긴밀하게 완전 결합된 상태(제2 결합부(13b)와 제1 결합부(13a') 사이에 거의 틈새가 발생되지 않은 상태)에서 바닥 단열 배수판(10)과 인접 바닥 단열 배수판(10')의 상면과 하면에는 일정 크기의 단차(t)가 발생된다. 이때, 바닥 단열 배수판(10)과 인접 바닥 단열 배수판(10') 간의 단차(t)는 대략 3mm~10mm, 바람직하게는 5mm 정도가 되도록 형성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 단열 배수판의 수평 조정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과 같이, 바닥 단열 배수판(10)의 제2 결합부(13b)와 인접 바닥 단열 배수판(10')의 제1 결합부(13a')가 간격(틈새)없이 완전 결합된 경우, 이들 사이에는 단차(t)가 발생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바닥 단열 배수판(10)과 인접 바닥 단열 배수판(10')이 하면 또는 상면을 수평하게 맞추는 경우 제2 결합부(13b)와 제1 결합부(13a') 사이의 결합 부위에는 바닥 단열 배수판(10) 및 인접 바닥 단열 배수판(10')의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는 여유 간격(틈새)이 형성된다. 따라서, 바닥 단열 배수판들이 시공되는 바닥 콘크리트 구조물(2, 도 7 참조)의 상면 평탄도가 확보되지 않은 경우에도 제2 결합부(13b)와 제1 결합부(13a') 사이의 결합 부위에 마련된 여유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바닥 단열 배수판(10) 및 인접 바닥 단열 배수판(10')을 보다 긴밀하게 바닥 콘크리트 구조물(2)의 상면에 밀착시켜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 단열 배수판의 수평 조정과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가령, 바닥 단열 배수판(10)이 시공되는 부위에 비해 인접 바닥 단열 배수판(10')이 시공되는 부위가 낮은 상면 구조를 갖는 바닥 콘크리트 구조물(2)의 상면에 바닥 단열 배수판들을 시공하면, 바닥 콘크리트 구조물(2)의 상면 구조, 즉 바닥 콘크리트 구조물(2)의 상면 높낮이에 대응하여 바닥 단열 배수판(10)과 인접 바닥 단열 배수판(10')의 결합 부위의 간격은 자동 조정된다. 이에 따라 시공 후 바닥 단열 배수판(10)과 인접 바닥 단열 배수판(10')의 상면에는 바닥 콘크리트 구조물(2)의 상면 높낮이에 대응하여 단차(t1)가 발생된다. 이렇게 형성된 단차(t1)는 후속 공정에서 타설되는 상면 콘크리트 구조물(12)에 의해 매립된다.
도 7과 같이, 바닥 콘크리트 구조물(2)의 상면 평탄도가 확보되지 않더라도 바닥 단열 배수판들 각각을 연결하는 결합 부위에 마련된 여유 간격을 통해 높낮이 레벨이 자동 조정됨으로써 바닥 단열 배수판들을 바닥 콘크리트 구조물(2)의 상면에 긴밀하게 밀착시켜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결국, 바닥 단열 배수판들과 바닥 콘크리트 구조물(2) 간에 발생할 수 있는 들뜸 현상을 원천 차단하여 열교 현상으로 인한 습기나 물방울 생성을 차단하여 단열 및 배수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닥 단열 배수판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닥 단열 배수판(20)은 제1 및 제2 결합부(23a, 23b) 내측에 복수 개의 결합홈(g)이 상하로 다단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인접 바닥 단열 배수판과 결합시 다단으로 균일하게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이외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닥 단열 배수판(10)과 동일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닥 단열 배수판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닥 단열 배수판(30)은 제1 및 제2 결합부(33a, 33b)가 단부에서 깊이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증가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인접한 것끼리 상홀 결합할 때 결합이 용이하다. 이외에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닥 단열 배수판(10)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닥 단열 배수판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닥 단열 배수판(40)은 도 3,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닥 단열 배수판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 본체(41)의 하부면에 도포된 방수제(42)를 더 포함한다. 즉, 배수통로(43)가 형성된 본체(41)의 하부면을 덮도록 도포된 방수제(42)를 포함함으로써 배수통로(43)를 통해 배수되는 물방울이 본체(41)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단열 성능 및 결로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3과 같이, 바닥 단열 배수판(10)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제1 배수홈(11a)과 쐐기홈(12)은 상하로 정렬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오정렬되도록 형성된다. 즉, 쐐기홈(12)은 인접하게 형성된 제1 배수홈(11a) 사이에 정렬되도록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나란하게 형성된 쐐기홈(12)과 제1 배수홈(11a)이 상하로 정렬되지 않고 서로 교번적으로 어긋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바닥 단열 배수판(10)의 특정 부위(제1 배수홈(11a)과 쐐기홈(12)이 형성된 부위)에서 바닥 단열 배수판(10)의 두께가 과도하게 감소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바닥 단열 배수판(10)의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배수홈(11a)을 통해 배수되는 물방울이 두께 감소로 인해 쐐기홈(12) 쪽으로 직접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3과 같이, 바닥 단열 배수판(10)의 상부면에는 쐐기홈(12)과 나란하도록 쐐기홈(12) 사이에 균일한 간격으로 줄눈(14)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줄눈(14)은 대략 50mm 간격으로 복수 개가 균일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닥 단열 배수판(10)은 생산 공정에서 규격화된 크기로 제작되는데, 시공 현장에 따라 필요한 크기로 재단할 필요가 있으며, 이때 줄눈(14)을 통해 일정 크기로 안정적으로 재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 단열 배수판(10)은 배수통로(11), 쐐기홈(12), 제1 및 제2 결합부(13a, 13b) 및 줄눈(14)이 열선을 이용한 가공공정을 통해 형성한다. 이를 통해 가공이 용이하고, 종래의 루터 가공방식으로 제작되는 단열재에서 문제로 지적된 습기나 물기 등의 흡수율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바닥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는 공정 순서도이고, 도 12 내지 도 16은 각 과정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바닥 단열 배수판(10)을 제작한다(S1). 이때, 바닥 단열 배수판(10)과 인접 바닥 단열 배수판(10')의 높이(상하 두께)는 동일하게 형성한다. 그리고, 도 5와 같이, 바닥 단열 배수판(10)과 인접 바닥 단열 배수판(10')이 완전 결합된 상태에서 대략 5mm 정도의 단차(t)가 발생하도록 바닥 단열 배수판(10)의 제1 및 제2 결합부와 인접 바닥 단열 배수판(10')의 제1 및 제2 결합부를 형성한다.
이어서, 도 11, 도 12 및 도 13과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101)의 벽체 내측면에 측면 완충제(102)를 시공한다(S2). 여기서, 콘크리트 구조물(101)은 콘크리트 벽체, 콘크리트 기둥 및 바닥 콘크리트 구조물을 포함한다.
도 17은 도 13에 도시된 측면 완충제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측면 완충제(102)는 중앙에 일렬로 구획 형성된 복수 개의 습기 배출 및 통기구(102b)가 형성된다. 이러한 측면 완충제(102)는 부착면(102a)이 양면 테이프 등을 통해 콘크리트 구조물(101)의 벽체에 부착된다.
이어서, 도 11 및 도 14와 같이, 바닥 콘크리트 구조물에 바닥 단열 배수판(10)을 시공한다(S3).
이어서, 도 11 및 도 15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101)의 응력을 방지하기 위해 응력 방지장치(103)를 콘크리트 구조물(101)의 기둥 모서리 부위를 감싸도록 시공한다(S4).
도 18은 도 15에 도시된 응력 방지장치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응력방지장치(103)는 응력 방지용 곡면판(103a)과, 곡면판(103a)의 하단부에 한 개 또는 복수 개(예컨대, 3개)가 설치되어 응력 방지용 곡면판(103a)을 바닥 단열 배수판(10)에 고정하는 고정핀(103b)을 포함한다. 이때, 고정핀(103b) 중 중앙에 형성된 고정핀은 다른 고정핀에 비해 긴 길이를 갖는다.
이어서, 도 11 및 도 16과 같이, 바닥 단열 배수판(10) 상부를 덮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부 콘크리트 구조물(104)을 형성하여 바닥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을 완료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상부 콘크리트 구조물 2 : 바닥 콘크리트 구조물
10' : 인접 바닥 단열 배수판 11 : 배수통로
11a : 제1 배수홈 11b : 제2 배수홈
12 : 쐐기홈 13a, 13a', 23a, 33a : 제1 결합부
13b, 13b', 23b, 33b : 제2 결합부 14 : 줄눈
g : 결합홈 41 : 본체
42 : 방수시트 43 : 배수통로
101 : 콘크리트 구조물 104 : 상부 콘크리트 구조물
102 : 측면 완충제 102a : 부착면
102b : 습기 배출 및 통기구 103 : 응력 방지장치
103a : 응력 방지용 곡면판 103b : 고정판
10, 20, 30, 40 : 바닥 단열 배수판

Claims (9)

  1. 건축물의 지하/주차장/옥상/지붕/베란다의 바닥에 설치되는 바닥 단열 배수판에 있어서,
    상기 바닥 단열 배수판은,
    단열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열재의 하부면에는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 개의 배수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열재의 상부면에는 몰탈 결합용 복수 개의 쐐기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열재의 양단부에는 상기 바닥 단열 배수판과 나란하도록 인접하게 시공되는 인접 바닥 단열 배수판과 상하로 암수 결합되는 제1 및 제2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열재의 상부면에는 상기 쐐기홈들 사이에 균일한 간격으로 복수 개의 줄눈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 단열 배수판과 상기 인접 바닥 단열 배수판은 서로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바닥 단열 배수판과 상기 인접 바닥 단열 배수판이 틈새없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바닥 단열 배수판의 상면 또는 하면이 상기 인접 바닥 단열 배수판의 상면 또는 하면과 단차를 갖도록 상기 바닥 단열 배수판의 제1 및 제2 결합부와 상기 인접 바닥 단열 배수판의 제1 및 제2 결합부 간에는 깊이 또는 높이거 서로 다르게 형성된,
    열교 방지 기능을 갖는 바닥 단열 배수판.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단열 배수판의 제1 및 제2 결합부는 상하로 상호 대칭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접 바닥 단열 배수판의 제1 및 제2 결합부는 상하로 상호 대칭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닥 단열 배수판과 상기 인접 바닥 단열 배수판의 제1 및 제2 결합부는 인접한 것끼리 상호 암수 결합하기 후크 형상을 갖도록 단면이 'L'자 또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
    열교 방지 기능을 갖는 바닥 단열 배수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통로와, 상기 쐐기홈과, 상기 줄눈과,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는 각각 열선을 이용한 가공방식으로 형성된 열교 방지 기능을 갖는 바닥 단열 배수판.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의 내측에는 각각 결합홈이 상하로 다단으로 형성되거나, 단부에서 깊이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증가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열교 방지 기능을 갖는 바닥 단열 배수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단열 배수판은 상기 배수통로가 형성된 상기 단열재의 하부면을 덮도록 상기 단열재의 하부면에 방수제가 도포된 열교 방지 기능을 갖는 바닥 단열 배수판.
  7. 콘크리트 벽체의 내측면에 측면 완충제를 각각 부착하는 과정;
    바닥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면에 제 1 항, 제 3 항, 제 4 항, 제 5 항 또는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의 열교 방지 기능을 갖는 바닥 단열 배수판들 시공하는 과정;
    콘크리트 기둥 모서리를 감싸도록 상기 바닥 단열 배수판에 응력 방지장치를 고정하는 과정; 및
    상기 바닥 단열 배수판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부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건축물의 바닥 시공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완충제는,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상기 콘크리트 벽체의 내측면에 부착 고정하고,
    중앙에는 일렬로 구획 형성된 복수 개의 습기 배출 및 통기구가 형성된,
    건축물의 바닥 시공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응력 방지장치는,
    상기 기둥의 모서리를 각각 감싸는 복수 개의 응력 방지용 곡면판; 및
    상기 응력 방지용 곡면판의 하단부에 한 개 또는 복수 개가 형성되어 상기 응력 방지용 곡면판을 상기 바닥 단열 배수판에 고정하는 고정핀;
    을 포함하는 건축물의 바닥 시공방법.
KR1020210170963A 2021-12-02 2021-12-02 열교 방지 기능을 갖는 바닥 단열 배수판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 시공방법 KR102409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0963A KR102409020B1 (ko) 2021-12-02 2021-12-02 열교 방지 기능을 갖는 바닥 단열 배수판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0963A KR102409020B1 (ko) 2021-12-02 2021-12-02 열교 방지 기능을 갖는 바닥 단열 배수판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9020B1 true KR102409020B1 (ko) 2022-06-22

Family

ID=82216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0963A KR102409020B1 (ko) 2021-12-02 2021-12-02 열교 방지 기능을 갖는 바닥 단열 배수판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90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8264B1 (ko) * 2022-08-12 2023-08-21 홍종화 단열배수판과 이를 이용한 냉동 저온창고 바닥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4377B1 (ko) 2001-05-04 2003-11-05 채영기 배수기능을 갖는 바닥 단열재
KR100806747B1 (ko) * 2007-10-23 2008-02-27 이종철 통기성 벽면완충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94707B1 (ko) * 2014-12-12 2015-02-25 주식회사 미트하임 다수의 투습공을 구비한 곰팡이 및 결로 방지용 건축용 외단열재를 이용한 외단열 시공방법
KR101532723B1 (ko) * 2015-04-13 2015-07-02 주식회사 목양종합건축사사무소 합성슬래브 또는 일반슬래브의 실내 바닥 미장층 균열억제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4377B1 (ko) 2001-05-04 2003-11-05 채영기 배수기능을 갖는 바닥 단열재
KR100806747B1 (ko) * 2007-10-23 2008-02-27 이종철 통기성 벽면완충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94707B1 (ko) * 2014-12-12 2015-02-25 주식회사 미트하임 다수의 투습공을 구비한 곰팡이 및 결로 방지용 건축용 외단열재를 이용한 외단열 시공방법
KR101532723B1 (ko) * 2015-04-13 2015-07-02 주식회사 목양종합건축사사무소 합성슬래브 또는 일반슬래브의 실내 바닥 미장층 균열억제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8264B1 (ko) * 2022-08-12 2023-08-21 홍종화 단열배수판과 이를 이용한 냉동 저온창고 바닥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11144B2 (en) System for forming and insulating concrete slab edges
JP2008503670A (ja) 可変長さの壁連結部を有する隔離コンクリート型枠システム
KR101441515B1 (ko) 피씨 구조물용 인버티드 리브 슬래브
KR102409020B1 (ko) 열교 방지 기능을 갖는 바닥 단열 배수판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 시공방법
CA3042600A1 (en) Ventilated and draining foam insulation panel for building construction
JP7202434B2 (ja) フロアフレーム
US10132077B2 (en) Fast construction of energy-efficient buildings
JP4906003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外断熱建物の外壁構造
KR101774865B1 (ko) 누수방지 및 단열 성능이 개선된 피씨 더블 월
EP3075913B1 (en) A method for reducing moisture build-up in a cavity of a cavity wall and a foundation wedge
US8656653B1 (en) Building foundation construction and methods
CN212295111U (zh) 一种建筑墙板无缝连接接口
KR101607314B1 (ko) 한옥 벽체
KR101895803B1 (ko) 주택 시공방법
CN106368346A (zh) 外墙板与飘窗板同时预制的夹心保温混凝土外墙板
KR101308055B1 (ko) 저모멘트존을 이용한 pc기둥 접합구조
EP2159364B1 (en) Support structure for a door's threshold
EP2314779B1 (en) Laminated insulating panel, use of such an insulating panel and method for arranging such an insulating panel
EP2639372B1 (en) Wall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wall structure
CN215563455U (zh) 一种结构侧墙与砌筑墙体交界处离壁排水结构
KR102513855B1 (ko) 온돌바닥 미장 모르타르와 일체화되고, 난방효율 확보를 위해 모르타르 두께에 따른 배관 높이 고정이 가능한 고정패드
CN219973590U (zh) 砌体充填墙顶部与压型钢板保温屋面连接的钢板连接件
CN216865604U (zh) 一种装饰结构一体化免拆模预制空心墙体
JP2007218022A (ja) 型枠兼用外断熱パネ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外断熱通気工法
JP7176677B2 (ja) 建物の床断熱構造及び床断熱構造建物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