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2723B1 - 합성슬래브 또는 일반슬래브의 실내 바닥 미장층 균열억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합성슬래브 또는 일반슬래브의 실내 바닥 미장층 균열억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2723B1
KR101532723B1 KR1020150051608A KR20150051608A KR101532723B1 KR 101532723 B1 KR101532723 B1 KR 101532723B1 KR 1020150051608 A KR1020150051608 A KR 1020150051608A KR 20150051608 A KR20150051608 A KR 20150051608A KR 101532723 B1 KR101532723 B1 KR 101532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ck
fixing
slab
shock absorbing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1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봉순
원용호
김형준
송종욱
안유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목양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목양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목양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50051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27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2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2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20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of material other than metal or with only additional metal parts, e.g. concrete or plastics spacers with metal binding wi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공동주택의 실내 바닥 미장층 형성시 기둥이나 거실과 같은 부정형 부위에서 발생하는 건조수축 균열을 억제하는 균열억제 시스템으로서, 실내 바닥 미장층의 초기 건조수축을 차단 및 억제함으로써 균열 부위를 최소화할 수 있고, 콘크리트 벽체의 실내 바닥 미장 마감선을 따라 점접착성 및 충격흡수가 우수한 접착 고정패드를 부착 시공함으로써 콘크리트 벽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충격 하중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또한, 접착 고정패드에 형성된 고정홈에 균열억제부재에 형성된 고정봉을 삽입함으로써 접착 고정패드와 균열억제부재를 간단하게 체결할 수 있으므로, 숙련되지 않는 기술자도 설치가 용이하며, 또한, 발생 가능한 모든 균열에 대해 직각으로 대응하고, 발생 가능한 균열을 흡수할 수 있는 충격흡수용 이중 리브에 응력흡수용 완충고무 패드가 삽입된 형태로 구성되어 균열을 완벽하게 제어할 수 있는, 합성슬래브 또는 일반슬래브의 실내 바닥 미장층 균열억제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합성슬래브 또는 일반슬래브의 실내 바닥 미장층 균열억제 시스템{SYSTEM FOR PREVENTING CRACK OF INDOOR FLOOR FROM CRACKING FOR SLAB}
본 발명은 실내 바닥 미장층의 균열 억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공동주택의 바닥 미장공사 중에서 합성슬래브 또는 일반슬래브 상에 실내 바닥 미장층을 형성할 경우에 기둥이나 거실과 같은 부정형 부위에서 발생하는 건조수축 균열을 방지하는 합성슬래브 또는 일반슬래브의 실내 바닥 미장층 균열억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실내 바닥 미장층 시공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실내 바닥의 미장층은, 먼저, 바닥 슬래브(11) 상에 단열과 충격 방지를 위한 스티로폼(12)을 설치하고, 상기 스티로폼(12)의 상부에 경량기포 콘크리트층(13)을 타설 및 양생하며, 이후, 양생된 경량기포 콘크리트층(13)의 상부에 난방관(14)을 배관하고 고정철물(15)로 고정하며, 상기 배관된 난방관(14)이 충분히 매설될 정도로 미장용 모르타르를 타설함으로써 실내 바닥 미장층(16)이 완성된다.
실내 바닥 미장공사에서, 미장용 모르타르는 시멘트, 모래 및 물을 혼합하여 타설하여 형성되며, 상기 모르타르가 양생 및 경화되는 과정에서 시멘트와 화학작용을 일으키지 않았던 초과분의 수분이 상기 미장용 모르타르의 내부로부터 표면으로 이동하기 시작하고, 이후, 이러한 수분이 증발하면서 모르타르의 체적이 축소되고, 이러한 모르타르의 건조 및 수축 작용으로 인해 실내 바닥 미장층에 대한 균열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균열을 제어하기 위해서 모르타르 재료 배합시 혼화재의 일종인 팽창제나 균열방지용으로 미세한 섬유를 혼합하여 타설하고, 밀폐된 공간에서 습윤 양생하는 시공관리를 하고 있지만, 특히, 부정형 실내 기둥이나 벽체 등의 응력 집중 부위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균열이 발생하여 진행하게 되며, 이와 같이 발생된 균열은 난방에 의한 온도 차이에 의해 수축과 팽창이 반복되면서 균열이 더욱 크게 성장할 수 있다.
도 2는 실내 바닥 미장층에서 발생하는 균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2의 a)는 기둥 부위의 균열을 나타내고, 도 2의 b)는 벽체 부위의 균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공동주택의 바닥 난방을 위한 바닥 미장층 구조를 조성함에 있어서, 침실 또는 거실의 돌출부에서 내부 공간의 형상에 따른 응력의 불균형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시공 단계에서 혼합재료의 건조수축에 따른 균열이 발생할 수 있고, 사용 단계에서 난방 및 연교차에 의한 균열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공 현장에서는 발생 가능한 균열을 억제하기 위해서 혼화제 및 섬유보강제를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또한 메탈라스 및 각종 균열차단 재료를 사용하게 된다. 하지만, 재료의 물리적 물성조건이나 시공여건에 의해 응력 집중부에서 발생하는 균열을 완전하게 억제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여기서, 메탈라스(Metal Lath)는 미장공사를 할 때 사용되는 연강제로서, 전신금속(Expanded Metal)이라고도 하며, 두께 0.35~0.88㎜의 탄소강 박판에 일정한 방향으로 등간격의 절단면을 내고 옆으로 길게 늘여서 그물코 형상으로 한 것이다.
결국, 상기와 같이 발생된 균열은 보수 후에도 추가 균열이 발생한다는 문제점, 관통된 균열은 보수가 어렵고 보수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된다는 문제점, 균열 보수 중에 난방 코일이나 난방관을 손상시키는 하자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균열 발생 부위에 해당하는 상부 마감재의 변색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677873호에는 "콘크리트 균열 방지구"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고,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번호 제20-417507호에는 "미장용 콘크리트 균열 방지구"라는 명칭의 고안이 개시되어 있는데, 각각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 방지구를 벽체 모서리 부분의 바닥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미장용 콘크리트 균열 방지구를 벽체의 모서리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 방지구(23)는 사각판 형태로 형성된 균열 방지판 및 상기 균열 방지판의 일면 중앙에 상호 직각을 이루도록 일체로 형성된 모서리 부착판들로 구성된다. 상기 콘크리트 균열 방지구(23)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바닥(21)의 미장공사시 벽체의 모서리(22) 또는 기둥의 각 모서리에 설치 및 부착한다. 상기와 같이 미장공사 전에 벽체의 모서리(22)에 콘크리트 균열 방지구(23)를 설치한 후, 미장공사를 실시하게 되면 마감된 콘크리트는 균열 방지구(23)에 의해 모서리의 균열점이 없어짐으로써 균열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3b를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미장용 콘크리트 균열 방지구(24)는, 벽체 모서리나 문틀 또는 창틀의 모서리에 부착할 수 있도록 일부분이 개방된 원형의 띠 형태의 균열 방지판과 그 균열 방지판의 개방된 부분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며 상호 직각을 이루는 부착판들로 구성되며, 구체적으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바닥(21)의 미장공사시 벽체의 모서리(22) 또는 기둥의 각 모서리에 설치 및 부착한다. 구체적으로, 미장공사 전에 벽체의 모서리(22)에 미장용 콘크리트 균열 방지구(24)를 설치한 후에 미장공사를 실시하게 되면, 마감된 미장용 콘크리트는 균열 방지구(24)에 의해 벽체, 창틀 또는 문틀 모서리의 균열점이 없어짐으로써 균열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균열 방지판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각진 부분이 없으므로 균열 방지판에 의한 미세한 균열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 방지구(23) 및 미장용 콘크리트 균열 방지구(24)의 경우, 균열 방지에 한계가 있고, 경량기포 콘크리트 시공면 오차로 인한 정밀 시공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920759호에는 "실내 바닥 미장층의 균열 차단부재"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균열 차단부재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균열 차단부재는, 양측으로 서로 이격된 고정부(30, 30')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30, 30')의 사이에 곡면체로 된 균열방지편(31)을 일체로 연결 형성하며, 상기 균열방지편(31)의 선단은 하단보다 얇은 두께를 형성하도록 경사면(33)을 형성하고, 일측면에는 이격 위치한 구속돌기(32, 32')를 돌출 형성하여 구성한 실내 바닥 미장층의 균열 차단부재에 있어서, 상기 균열방지편(31)의 일측면에는 상기 고정부(30, 30')와 구속돌기(32, 32')를 연결하는 횡방향의 지지리브(34, 34')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지지리브(34, 34')에는 수직방향의 보강리브(35, 35')를 돌출 형성하며, 구속돌기(32, 32')의 단부에는 서로 마주하는 경사상의 밀착면(36, 36')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또한, 고정부의 하단은 수평면으로 형성하고, 고정부의 외면에는 요홈 형태로 된 고정홈을 형성하고, 하단에 휨이 용이한 두께로 된 높낮이 조절날개부를 외측으로 하향 돌출하도록 형성하며, 상기 균열방지편의 배면에는 휨이 가능한 두께로 된 전도방지돌기를 하향 돌출하도록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따른 균열 차단부재의 경우, 첫째, 일정한 길이를 갖는 균열방지편이 길이방향을 따라 곡면형으로만 형성되어 있을 뿐, 양측 또는 균열방지편의 전체 길이 중에서 균열을 모으거나 균열의 진행을 간섭하는 작용부가 없기 때문에 균열방지편에 접촉된 균열은 양측을 향하여 계속하여 진행하는 문제점이 있고, 둘째, 균열 차단부재를 경량기포 콘크리트에 고정하기 위해 철선으로 된 별도의 고정부재를 고정부의 고정홈에 걸어 경량기포 콘크리트에 손으로 밀어 넣기 때문에 작업이 난이할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는 고정철물을 고정하기 위한 공구를 사용하므로 고정작업이 번거롭고, 이에 따라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과 아울러 원가상승의 요인이 되며, 셋째,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시 많은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989557호에는 "실내 바닥 미장층의 균열 차단막"이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균열 차단막의 전체 외관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균열 차단막은, 제1 내지 제3 균열 차단홈(71, 81, 91)으로 이루어진 균열 차단막과 상기 균열 차단막을 지지하기 위한 제1 및 제2 지지편(40, 41)을 구비하고 있는 한편, 균열 차단막을 경량기포 콘크리트층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50, 51)을 구비한다.
균열 차단막을 이루는 "n" 형상의 제1 내지 제3 균열 차단홈(71, 81, 91)은, 저면 내측에서 내측을 향하도록 일정폭의 보강테(72, 82, 92)를 갖고 일정한 높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전방은 개구(73, 83, 93)된 형상으로 "n"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균열 차단홈(71)과 제3 균열 차단홈(91)의 저면 일측에는 나사공(42, 52)이 형성된 제1 지지편(40) 및 제2 지지편(41)이 각각 연결되어 있다. 특히, 상기 균열 차단막의 저면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하향 돌출된 복수의 고정핀(50, 51)을 설치하고 있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실내 바닥 미장층의 균열 차단막의 경우, 중심방향으로 발생할 응력을 모을 수 있는 부재의 형태는 갖추고 있으나, 부재 형태가 모든 발생 응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대응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균열 차단막에 접촉된 균열응력을 충분히 완화할 수 있는 구조라고 보기 어렵다. 이에 따라 균열이 균열 차단막의 양측으로 계속 진행되고, 경량기포 콘크리트 시공면 오차로 인한 정밀시공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시공자의 기능 정도에 따른 시공품질 확보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920759호(출원일: 2009년 2월 4일), 발명의 명칭: "실내 바닥 미장층의 균열 차단부재"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989557호(출원일: 2010년 4월 9일), 발명의 명칭: "실내 바닥 미장층의 균열 차단막"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503943호(출원일: 2002년 11월 29일), 발명의 명칭: "콘크리트 균열 방지용 스페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번호 제20-417507호(출원일: 2006년 3월 13일), 발명의 명칭: "미장용 콘크리트 균열 방지구"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677873호(출원일: 2005년 12월 5일), 발명의 명칭: "콘크리트 균열 방지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번호 제20-417507호(출원일: 2006년 3월 13일), 고안의 명칭: "미장용 콘크리트 균열 방지구"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실내 바닥 미장층에 작용하는 응력을 완화하고, 발생된 응력을 차단함으로써 실내 바닥 미장층의 균열을 억제할 수 있는, 합성슬래브 또는 일반슬래브의 실내 바닥 미장층 균열억제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실내 바닥 미장층을 경화시킬 때 발생할 수 있는 실내 바닥 미장층의 초기 건조수축 응력을 효율적으로 분배할 수 있는, 합성슬래브 또는 일반슬래브의 실내 바닥 미장층 균열억제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실내 바닥 미장층의 균열억제 시스템은, 공동주택의 실내 바닥 미장층 형성시 기둥이나 거실과 같은 부정형 부위에서 발생하는 건조수축 균열을 억제하는 균열억제 시스템에 있어서, 초기 응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이한 응력 집중으로 균열이 예상되는 콘크리트 벽체의 바닥 미장 마감선을 따라 미리 부착되고, 소정의 고정홈이 형성된 접착 고정패드; 및 호(Arch) 형상의 충격흡수용 본체가 일정하게 이격된 위치에 균열 예상 방향으로 배치되어 균열을 억제하며, 상기 충격흡수용 본체의 양 단부에 형성된 고정봉이 상기 접착 고정패드에 형성된 고정홈에 삽입 체결되는 균열억제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균열억제부재는, 초기 진행하는 균열방향에 직각 방향으로 대응하여 균열에 저항할 수 있도록 균열 예상 방향으로 배치되는 호 형상의 충격흡수용 본체; 상기 충격흡수용 본체의 양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접착 고정패드에 형성된 고정홈에 삽입 체결되는 고정봉; 및 상기 균열억제부재를 경량기포 콘크리트상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충격흡수용 본체의 밑면에 고정돌기가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 고정돌기 접착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균열억제부재는, 상기 충격흡수용 본체의 중간 부위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충격흡수용 본체에 전달된 응력을 완화 및 소산시키는 응력흡수용 완충고무 패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충격흡수용 본체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이중 리브 구조로서, 원주 길이의 3/4 길이(
Figure 112015035639860-pat00001
)를 갖는 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초기 바닥 미장층 모르타르의 건조수축을 제어할 수 있는 최적거리(r)가 반지름이 되도록 형성되고, 후속 시공되는 미장 모르타르에 완전히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균열억제부재는, 상기 충격흡수용 본체가 원주 길이의 3/4 길이를 갖는 호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충격흡수용 본체의 배면에 배치되는 후면 보강리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균열억제부재는, 상기 경량기포 콘크리트면과 상기 균열억제부재의 시공면 불량 부위를 조절하여 상기 균열억제부재가 경량기포 콘크리트면 상에 밀착 시공될 수 있도록 상기 충격흡수용 본체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용 스페이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착 고정패드는 실내 바닥 미장 마감선을 따라 접착되어 초기 응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경량기포 콘크리트상에서 직각으로 형성된 콘크리트 벽체에 미리 부착 시공되고, 상기 접착 고정패드를 상기 콘크리트 벽체에 부착할 수 있도록 상기 접착 고정패드의 배면에 점접착 고무패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 바닥 미장층의 초기 건조수축을 차단 및 억제함으로써, 균열 부위를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보수비용을 절감시키고, 난방배관의 파손을 방지하며, 바닥의 들뜸 및 변색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콘크리트 벽체의 실내 바닥 미장 마감선을 따라 점접착성 및 충격흡수가 우수한 접착 고정패드를 부착 시공함으로써 콘크리트 벽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충격 하중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착 고정패드에 형성된 고정홈에 균열억제부재에 형성된 고정봉을 삽입함으로써 접착 고정패드와 균열억제부재를 간단하게 체결할 수 있으므로, 숙련되지 않는 기술자도 설치가 용이하며, 이에 따라 시공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균열억제부재는 발생 가능한 모든 균열에 대해 직각으로 대응하고, 발생 가능한 균열을 흡수할 수 있는 충격흡수용 이중 리브에 응력흡수용 완충고무 패드가 삽입된 형태로 구성되어 균열을 완벽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경량기포 콘크리트의 타설 불량으로 인해 균열억제부재의 밀착 시공 및 정밀 시공이 어려운 표면을 시공오차 조절용 스페이서를 통해 시공이 가능하고, 균열억제부재의 고정돌기 접착판을 경량기포 콘크리트에 삽입하면 균열억제부재의 시공이 간단하게 완료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실내 바닥 미장층 시공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실내 바닥 미장층에서 발생하는 균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 방지구를 벽체 모서리 부분의 바닥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미장용 콘크리트 균열 방지구를 벽체의 모서리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균열 차단부재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5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균열 차단막의 전체 외관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바닥 미장층의 균열억제 시스템이 콘크리트 벽체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바닥 미장층의 균열억제 시스템과 체결되는 접착 고정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바닥 미장층의 균열억제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실내 바닥 미장층의 균열억제 시스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바닥 미장층의 균열억제 시스템이 콘크리트 벽체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바닥 미장층의 균열억제 시스템과 체결되는 접착 고정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바닥 미장층의 균열억제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바닥 미장층의 균열억제 시스템은, 균열억제부재(100) 및 접착 고정패드(210)를 포함한다.
먼저, 전술한 바와 같이, 바닥 슬래브 상에 단열과 충격 방지를 위한 스티로폼을 설치하고, 상기 스티로폼의 상부에 경량기포 콘크리트층을 타설 및 양생하며, 이후, 양생된 경량기포 콘크리트층의 상부에 난방관을 배관하고 고정철물로 고정하며, 상기 배관된 난방관이 충분히 매설될 정도로 미장용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실내 바닥 미장층을 형성하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바닥 미장층의 균열억제 시스템은 상기 미장용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실내 바닥 미장층을 형성하기 전에 콘크리트 벽체(300) 및 경량기포 콘크리트상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바닥 미장층의 균열억제 시스템의 경우, 먼저, 초기 응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이한 응력 집중으로 균열이 예상되는 콘크리트 벽체(300)의 바닥 미장 마감선을 따라 점접착성이 우수한 접착 고정패드(210)를 미리 부착하고, 이후, 균열억제부재(100)에 형성된 고정봉(120)을 상기 접착 고정패드(210)에 형성된 고정홈(210h)에 삽입 체결한다. 여기서, 상기 균열억제부재(100)는 원주 길이의 3/4 길이를 갖는 호(Arch) 형상의 충격흡수용 본체(110)가 일정하게 이격된 위치에 균열 예상 방향으로 배치되고, 이때, 상기 균열억제부재(100)의 밑면에 형성된 고정돌기 접착판(130)으로 경량기포 콘크리트상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착 고정패드(210) 전면에 각각 형성된 두 개의 고정홈(210h)에 상기 균열억제부재(110)의 단부에 각각 형성된 두 개의 고정봉(120)을 각각 삽입하여 고정하며, 이때, 상기 경량기포 콘크리트면과 상기 균열억제부재(100)의 시공면 불량 부위는 높이조절용 스페이서(160)를 사용하여 조절함으로써 상기 균열억제부재(100)가 경량기포 콘크리트면 상에 밀착 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바닥 미장층의 균열억제 시스템에서 균열억제부재(100)는 응력을 차단 및 완화시키기 위해 모든 응력발생 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대응하며, 이때, 초기 건조수축 균열을 유도 및 제어할 수 있으므로, 현장에서 간단한 방법으로 정밀 시공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인건비와 자재비를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바닥 미장층의 균열억제 시스템에 따르면, 공동주택의 실내 바닥 미장층 형성시 기둥이나 거실과 같은 부정형 부위에서 발생하는 건조수축 균열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서 초기 응력을 완화시키고 발생한 응력을 직각 방향으로 유도하며, 진행중인 균열에 대해 진행속도를 지연시키며, 응력을 효과적으로 분배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바닥 미장층의 균열억제 시스템에서 접착 고정패드(210)는 실내 바닥 미장 마감선을 따라 접착되어 초기 응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경량기포 콘크리트상에서 직각으로 형성된 콘크리트 벽체(300)에 미리 부착 시공되고, 이때, 접착 고정패드(210)의 배면에 점접착 고무패드(220)가 부착되어 상기 접착 고정패드(210)를 콘크리트 벽체(300)에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 고정패드(210)는 40~45㎜의 높이를 갖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접착 고정패드(210)의 전면에 고정홈(210h)이 형성되어 상기 접착 고정패드(210)는 균열억제부재(100)와 고정봉(120)과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r은 초기 바닥 미장층 모르타르의 건조수축을 제어할 수 있는 최적거리로서, 후술할 균열억제부재(100)의 반지름에 대응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접착 고정패드(210)는 응력 집중이 예상되는 부위로부터 일정한 시공 간격을 확보하기 위해 점착성이 우수한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접착 고정패드(210)는 실내 바닥 미장 마감선을 따라 미리 부착하고, 접착 고정패드(210) 후면에 형성된 고정홈(210)에 상기 균열억제부재(100)의 고정봉(120)을 삽입하여 일체화시킬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바닥 미장층의 균열억제 시스템에서 균열억제부재(100)는 충격흡수용 본체(110), 고정봉(120), 고정돌기 접착판(130), 후면 보강리브(140), 응력흡수용 완충고무 패드(150) 및 높이조절용 스페이서(160)를 포함한다.
충격흡수용 본체(110)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이중 리브 구조로서, 상기 균열억제부재(100)의 상단면에 원주 길이의 3/4 길이를 갖는 호(Arch) 형상으로 형성되어 후속 시공되는 미장 모르타르에 완전히 매립되며, 이때, 상기 충격흡수용 본체(110)는 초기 바닥 미장층 모르타르의 건조수축을 제어할 수 있는 최적거리(r)가 반지름이 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이에 따라 상기 충격흡수용 본체(110)는 균열 방향으로 개방된
Figure 112015035639860-pat00002
의 길이를 갖고, 그 높이는 상기 접착 고정패드(210)의 높이에 대응하여 40~45㎜의 높이를 갖는다.
이때, 상기 충격흡수용 본체(110)의 중간 부위에 응력흡수용 완충고무 패드(150)가 삽입 고정됨으로써, 초기 진행하는 균열방향에 직각 방향으로 대응하여 균열에 최대한으로 저항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충격흡수용 본체(110)에 전달된 응력은 중간 부위에 고정된 상기 응력흡수용 완충고무 패드(150)에 의해 완화 및 소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충격흡수용 본체(110)의 중간 부분은 응력흡수용 완충고무 패드(150)를 고정하기 위한 홈들(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홈과 홈 사이에 상기 응력흡수용 완충고무 패드(150)가 삽입 고정될 수 있다.
고정봉(120)은 상기 점접착 고정패드(210)에 형성된 고정홈(210h)에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충격흡수용 본체(110)의 양 단부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봉(120)은 상기 점접착 고정패드(210)에 형성된 고정홈(210h)의 크기에 대응하며,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강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돌기 접착판(130)은 경량기포 콘크리트면과의 밀착 시공 및 고정을 위해서 고정돌기(도시되지 않음)가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균열억제부재(100)의 밑면, 즉, 상기 충격흡수용 본체(110)의 밑면에 배치된다. 즉, 상기 고정돌기 접착판(130)은 상기 경량기포 콘크리트상에 삽입 고정할 수 있다.
후면 보강리브(140)는 상기 균열억제부재(100)의 배면, 즉, 상기 충격흡수용 본체(110)의 배면에 배치되어 상기 충격흡수용 본체(110)가 원주 길이의 3/4 길이를 갖는 호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하며, 후속 시공되는 미장 모르타르 타설간 상기 균열억제부재(100)의 전도를 방지할 수 있다.
높이조절용 스페이서(160)는 상기 균열억제부재(100)의 밑면, 즉, 상기 충격흡수용 본체(110)의 밑면에 배치되고, 경량기포 콘크리트면과의 시공오차를 고려하여 상기 균열억제부재(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공 오차를 고려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경량기포 콘크리트상에 설치되는 상기 균열억제부재(100)의 정밀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실내 바닥 미장층의 초기 건조수축을 차단 및 억제함으로써, 균열 부위를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보수비용을 절감시키고, 난방배관의 파손을 방지하며, 바닥의 들뜸 및 변색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콘크리트 벽체(300)의 실내 바닥 미장 마감선을 따라 점접착성 및 충격 흡수가 우수한 접착 고정패드(210)를 부착 시공함으로써 콘크리트 벽체(300)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충격 하중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균열억제부재(100)에 형성된 고정봉(120)을 상기 접착 고정패드(210)에 형성된 고정홈(210h)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접착 고정패드(210)와 상기 균열억제부재(100)를 간단하게 체결할 수 있으므로, 숙련되지 않는 기술자도 설치가 용이하며, 이에 따라 시공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균열억제부재(100)는 발생 가능한 모든 균열에 대해 직각으로 대응하고, 발생 가능한 균열을 흡수할 수 있는 충격흡수용 이중 리브(110)에 응력흡수용 완충고무 패드(150)가 삽입된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균열을 완벽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경량기포 콘크리트의 타설 불량으로 인해 균열억제부재(100)의 밀착 시공 및 정밀 시공이 어려운 표면을 시공오차 조절용 스페이서(160)를 통해 정밀 시공이 가능하고, 또한, 균열억제부재(100)의 고정돌기 접착판(130)을 경량기포 콘크리트에 삽입 고정함으로써 시공이 간단하게 완료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균열억제부재
110: 충격흡수용 본체
120: 고정봉
130: 고정돌기 접착판
140: 후면 보강리브
150: 응력흡수용 완충고무 패드
160: 높이조절용 스페이서
210: 접착 고정패드
210h: 고정홈
220: 점접착 고무
300: 콘크리트 벽체

Claims (6)

  1. 공동주택의 실내 바닥 미장층 형성시 기둥이나 거실과 같은 부정형 부위에서 발생하는 건조수축 균열을 억제하는 균열억제 시스템에 있어서,
    초기 응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이한 응력 집중으로 균열이 예상되는 콘크리트 벽체(300)의 바닥 미장 마감선을 따라 미리 부착되고, 소정의 고정홈(210h)이 형성된 접착 고정패드(210); 및
    호(Arch) 형상의 충격흡수용 본체(110)가 일정하게 이격된 위치에 균열 예상 방향으로 배치되어 균열을 억제하며, 상기 충격흡수용 본체(110)의 양 단부에 형성된 고정봉(120)이 상기 접착 고정패드(210)에 형성된 고정홈(210h)에 삽입 체결되는 균열억제부재(100)
    를 포함하되, 상기 균열억제부재(100)는,
    초기 진행하는 균열방향에 직각 방향으로 대응하여 균열에 저항할 수 있도록 균열 예상 방향으로 배치되는 호(Arch) 형상의 충격흡수용 본체(110);
    상기 충격흡수용 본체(110)의 양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접착 고정패드(210)에 형성된 고정홈(210h)에 삽입 체결되는 고정봉(120); 및
    상기 균열억제부재(100)를 경량기포 콘크리트상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충격흡수용 본체(110)의 밑면에 고정돌기가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 고정돌기 접착판(130)
    을 포함하는 합성슬래브 또는 일반슬래브의 실내 바닥 미장층 균열억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열억제부재(100)는,
    상기 충격흡수용 본체(110)의 중간 부위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충격흡수용 본체(110)에 전달된 응력을 완화 및 소산시키는 응력흡수용 완충고무 패드(150)를 추가로 포함하는 합성슬래브 또는 일반슬래브의 실내 바닥 미장층 균열억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용 본체(110)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이중 리브 구조로서, 원주 길이의 3/4 길이(
    Figure 112015035639860-pat00003
    )를 갖는 호(Arch) 형상으로 형성되어 초기 바닥 미장층 모르타르의 건조수축을 제어할 수 있는 최적거리(r)가 반지름이 되도록 형성되고, 후속 시공되는 미장 모르타르에 완전히 매립되는 합성슬래브 또는 일반슬래브의 실내 바닥 미장층 균열억제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균열억제부재(100)는,
    상기 충격흡수용 본체(110)가 원주 길이의 3/4 길이를 갖는 호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충격흡수용 본체(110)의 배면에 배치되는 후면 보강리브(140)를 추가로 포함하는 합성슬래브 또는 일반슬래브의 실내 바닥 미장층 균열억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열억제부재(100)는,
    상기 경량기포 콘크리트면과 상기 균열억제부재(100)의 시공면 불량 부위를 조절하여 상기 균열억제부재(100)가 경량기포 콘크리트면 상에 밀착 시공될 수 있도록 상기 충격흡수용 본체(11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용 스페이서(160)를 추가로 포함하는 합성슬래브 또는 일반슬래브의 실내 바닥 미장층 균열억제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고정패드(210)는 실내 바닥 미장 마감선을 따라 접착되어 초기 응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경량기포 콘크리트상에서 직각으로 형성된 콘크리트 벽체(300)에 미리 부착 시공되고, 상기 접착 고정패드(210)를 상기 콘크리트 벽체(300)에 부착할 수 있도록 상기 접착 고정패드(210)의 배면에 점접착 고무패드(220)가 형성된 합성슬래브 또는 일반슬래브의 실내 바닥 미장층 균열억제 시스템.
KR1020150051608A 2015-04-13 2015-04-13 합성슬래브 또는 일반슬래브의 실내 바닥 미장층 균열억제 시스템 KR101532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608A KR101532723B1 (ko) 2015-04-13 2015-04-13 합성슬래브 또는 일반슬래브의 실내 바닥 미장층 균열억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608A KR101532723B1 (ko) 2015-04-13 2015-04-13 합성슬래브 또는 일반슬래브의 실내 바닥 미장층 균열억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2723B1 true KR101532723B1 (ko) 2015-07-02

Family

ID=53788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1608A KR101532723B1 (ko) 2015-04-13 2015-04-13 합성슬래브 또는 일반슬래브의 실내 바닥 미장층 균열억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272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9042B1 (ko) * 2015-11-13 2016-02-12 (주)영화키스톤건축사사무소 철근 콘크리트 골조 개구부 모서리 보강 구조물
KR20220066484A (ko) * 2020-11-16 2022-05-24 주식회사 엘에이치수지기공 실내 바닥 미장층의 균열 차단 장치
KR102409020B1 (ko) * 2021-12-02 2022-06-22 주식회사 미트하임 열교 방지 기능을 갖는 바닥 단열 배수판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4823A (ja) * 2001-06-15 2003-03-05 Maeda Corp 鉄筋コンクリート造部材の隅部補強構造
KR200417507Y1 (ko) * 2006-03-13 2006-05-30 최해권 미장용 콘크리트 균열 방지구
KR100585986B1 (ko) * 2005-08-09 2006-06-02 (주)가포개발 모서리 크랙 방지제
KR100920759B1 (ko) * 2009-02-04 2009-10-07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실내 바닥 미장층의 균열 차단부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4823A (ja) * 2001-06-15 2003-03-05 Maeda Corp 鉄筋コンクリート造部材の隅部補強構造
KR100585986B1 (ko) * 2005-08-09 2006-06-02 (주)가포개발 모서리 크랙 방지제
KR200417507Y1 (ko) * 2006-03-13 2006-05-30 최해권 미장용 콘크리트 균열 방지구
KR100920759B1 (ko) * 2009-02-04 2009-10-07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실내 바닥 미장층의 균열 차단부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9042B1 (ko) * 2015-11-13 2016-02-12 (주)영화키스톤건축사사무소 철근 콘크리트 골조 개구부 모서리 보강 구조물
KR20220066484A (ko) * 2020-11-16 2022-05-24 주식회사 엘에이치수지기공 실내 바닥 미장층의 균열 차단 장치
KR102424512B1 (ko) * 2020-11-16 2022-07-27 주식회사 엘에이치수지기공 실내 바닥 미장층의 균열 차단 장치
KR102409020B1 (ko) * 2021-12-02 2022-06-22 주식회사 미트하임 열교 방지 기능을 갖는 바닥 단열 배수판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89339B2 (en) Method for making façades of buildings
KR200479596Y1 (ko) 건축용 갱폼의 개방부 차폐장치
KR101532723B1 (ko) 합성슬래브 또는 일반슬래브의 실내 바닥 미장층 균열억제 시스템
EA010805B1 (ru) Теплоизолированная опалубка с анкерными креплениями регулируемой длины
WO2016006899A1 (ko) 층간소음 저감용 뜬바닥 구조의 난방배관 패널
KR101331396B1 (ko) 패널 마감형 외단열 구조
KR20220031828A (ko) 층간 소음 저감형 건식 난방 바닥 구조
KR100920759B1 (ko) 실내 바닥 미장층의 균열 차단부재
JP4175658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建物のコンクリート外壁への複合パネルの外張り施工方法
KR101525046B1 (ko) 따뜻한 집 건축을 위한 창틀 단열 공법
EP2857609B1 (en) Method for making facades of buildings
KR100645977B1 (ko) 외벽보강철물을 이용한 조적시 균열방지를 위한 층별신축줄눈 구조 및 그 설치공법
KR101532690B1 (ko) 내진보강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및 이를 이용한 내진보강 공법
KR20190115999A (ko) 접착식 내진 구조물 시공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내진 구조물
KR102424512B1 (ko) 실내 바닥 미장층의 균열 차단 장치
KR100989557B1 (ko) 실내 바닥 미장층의 균열 차단막
JP2007056485A (ja) 内装用断熱パネ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天井の構築方法
KR102098629B1 (ko) 띄어 쌓기식 벽돌벽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255153B1 (ko) 실내 바닥 미장층의 균열 차단 장치
KR100613772B1 (ko) 중량충격음 저감성능이 향상된 바닥구조시스템 및 그시공방법
KR20120140284A (ko) 욕실용 덕트마감재의 시공방법
JP4746781B2 (ja) 建物の外断熱建築工法
DE3142938A1 (de) Gehaeuse zur aufnahme haustechnischer installationen
KR102541758B1 (ko) 슬리브용 내화충전제 설치와 낙하 방지를 위한 배수장치
KR100676840B1 (ko) 높이 조절가능한 온돌바닥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