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5986B1 - 모서리 크랙 방지제 - Google Patents

모서리 크랙 방지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5986B1
KR100585986B1 KR1020050072853A KR20050072853A KR100585986B1 KR 100585986 B1 KR100585986 B1 KR 100585986B1 KR 1020050072853 A KR1020050072853 A KR 1020050072853A KR 20050072853 A KR20050072853 A KR 20050072853A KR 100585986 B1 KR100585986 B1 KR 100585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urved
stress
edge
curve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2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남희
Original Assignee
(주)가포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가포개발 filed Critical (주)가포개발
Priority to KR1020050072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59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5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5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7Reinforcing elements of material other than metal, e.g. of glass, of plastics, or not exclusively made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서리 크랙 방지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호상의 곡판과 곡판 양쪽에 평판을 결합하여 모서리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흡수 또는 분산하여 벽체의 모서리에서 발생하는 크랙을 방지하는 모서리 크랙 방지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호상의 곡판과 곡판의 양쪽 말단부에 결합된 평판 그리고 곡판과 평판에 부착된 응력방지판을 선택적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진 모서리 크랙 방지제를 통하여 응력 집중을 분산시킬 수 있으며, 응력 분산을 통하여 크랙을 저감시키고, 더불어 단열효과를 높임과 동시에 바닥재 들뜸이나 변색하자를 낮출 수 있다.
모서리, 크랙, 벽체, 곡판, 평판

Description

모서리 크랙 방지제{Device for Protecting the Crack on the edge}
도 1은 벽체에서 응력이 집중되어 크랙(crack)이 발생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응력흡수판이 부착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홀(hole)을 구비한 모서리 크랙 방지제의 전면도,
도 3은 응력흡수판이 부착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홀(hole)을 구비하지 않은 모서리 크랙 방지제의 전면도,
도 4는 곡판과 평판만으로 응력을 흡수하는 실시예로서, 홀(hole)을 구비한 모서리 크랙 방지제의 전면도,
도 5는 곡판과 평판만으로 응력을 흡수하는 실시예로서, 홀(hole)을 구비하지 않은 모서리 크랙 방지제의 전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모서리 크랙 방지제가 실제 벽체에 부착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곡판 200 : 평판
300 : 응력흡수판 400 : 홀(hole)
본 발명은 모서리 크랙 방지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호상의 곡판과 곡판 양쪽에 평판을 결합하여 모서리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흡수 또는 분산하여 벽체의 모서리에서 발생하는 크랙을 방지하는 모서리 크랙 방지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공동주택 공사시 단열공사, 난방코일배광공사, 고름몰탈(바닥미장공사)공사를 거치며 이러한 공사를 총칭하여 "방통공사"라고 한다. 하지만, 방통공사후 거실이나 침실 등의 바닥에는 크랙(crack)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크랙이 발생하는 이유에는 여러 원인이 있다.
슬라브 구조체의 크랙 영향에 의한 동반 크랙, 층간소음제의 들뜸 및 침하로 인한 크랙, 거포콘크리트의 배합비율(기포액, 시멘트, 스치로폼입자) 오차에 의한 크랙, 시멘트몰탈의 배합비율(시멘트몰탈, 물) 오차에 의한 크랙, 시멘트 자체 수화열에 의한 크랙, 모서리 응력집중현상으로 인한 크랙, 환경온도, 바람, 습도 등의 변화, 동결과 융해의 반복 등에 의한 크랙 등 다양한 크랙 원인이 존재한다.
이러한 원인 중에서 본 발명은 벽체의 모서리에 응력이 집중되어 나타나는 원인과 관련된다. 공동주택의 평면 구조상 거실바닥의 옹벽 모서리 부위에 나타난 크랙은 응력이 집중되어 발생하며, 도 1은 벽체에서 응력이 집중되어 크랙(crack)이 발생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옹벽의 응력 집중을 분산 또는 방지하기 위한 기구에 대한 종래 기술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종래 공동주택의 방통공사후 발생하는 옹벽의 모서리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방지 또는 분산하여 모서리 크랙을 방지 또는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호(弧)상의 곡면으로 형성된 곡판 및 상기 곡판 양단에 연결되며 벽체에 부착가능한 평판을 포함하는 모서리 크랙 방지제를 통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곡판 및 상기 평판은 충격흡수 가능하도록 탄성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곡판 또는 상기 평판의 일면 또는 양면에 합착되는 응력흡수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곡판은 지름이 50㎜ 내지 200㎜인 곡면을 이루고, 상기 곡면에 지름이 10㎜ 내지 40㎜인 통공된 홀(hole)이 1개 내지 6개가 있을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곡판 또는 상기 평판은 너비가 40㎜ 내지 120㎜이고, 두께가 1㎜ 내지 7㎜ 범위에서 구성될 수도 있다.
곡판과 평판의 일면 또는 양면에 응력흡수판이 결합되는 경우, 응력흡수판이 벽체와 결합가능하도록 응력흡수판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접착제가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곡판 또는 평판과 결합하는 응력흡수판은 두께가 2㎜ 내지 10㎜ 범위에서 구 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모서리 크랙 방지제의 기술적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모서리 크랙 방지제는 호(弧)상으로 이루어져 곡면을 형성하는 곡판과, 곡판의 양쪽 말단부에 연결되며 벽체에 부착가능하도록 구성된 평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모서리 크랙 방지제는 곡판 또는 평판의 일면 또는 양면에 응력흡수판을 합착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살펴본다.
(1) 곡판
본 발명에 의한 모서리 크랙 방지제에서 곡판은 벽체의 모서리에 발생하는 응력을 분산시키고, 모서리로 향하는 응력집중을 막아준다. 즉 곡판은 벽체의 모서리 부분에서 발생하는 크랙(crack)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곡판이 크랙 방지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벽체의 모서리 부위를 감싸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벽체의 모서리를 감싸는 방식은 곡판이 호(弧)상을 이루면서 감싸는 방식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면 다양한 형태의 곡판도 가능할 것이다.
응력흡수 또는 응력분산을 위하여 곡판의 재질은 충격흡수가 가능한 탄성을 가지는 재질이 바람직하다. 충격흡수가 용이한 재질로는 발포된 고분자를 사용할 수도 있고, 신축성이 좋은 고무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나무소재를 적절히 고분자수지와 혼합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곡판의 재질로 플라스틱이나 목재 또는 기타 딱딱한 소재를 사용하는 경우 곡판의 일면 또는 양면에 충격흡수가 가능한 응력흡수판을 합착하여 동일한 기능을 발휘하게 할 수도 있다. 곡판에 합착되는 응력흡수판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곡판은 곡판의 지름이 50㎜ 내지 200㎜인 것이 바람직하다. 곡판의 지름이 50㎜ 보다 작으면 모서리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방지하거나 모서리로 집중되는 응력을 분산하기에 곡면이 작을 수 있고, 곡판의 지름이 200㎜ 보다 크면 필요 이상의 곡판을 사용하게 되므로 경제성이 떨어진다.
곡판의 곡면에는 통공된 홀(hole)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통공사시 기포액, 시멘트, 스치로폼입자를 혼합하여 기포콘크리트를 타설하거나, 시멘트몰탈과 물을 혼합하여 시멘트몰탈을 타설하는 경우, 곡판의 곡면에 통공된 홀은 기포콘크리트 또는 시멘트몰탈이 보다 고르게 타설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곡판의 재질 또는 곡판의 구조에 따라서는 홀(hole)없이도 기포콘크리트나 시멘트몰탈을 고르게 타설하는 것도 가능하다.
곡판에 홀이 형성된 경우 바람직한 홀의 개수는 1개 내지 6개, 홀의 지름은 10㎜ 내지 40㎜이다. 홀수가 적으면 홀의 지름이 크고, 홀수가 많으면 홀의 지름이 작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곡판에 홀이 형성된 경우, 홀의 지름이 10㎜ 보다 작으면 홀을 통하여 기포콘크리트나 시멘트몰탈이 유동하는 효과를 얻기 힘들고, 홀의 지름이 40㎜ 보다 크면 곡판을 통하여 응력을 분산 또는 방지하는 효과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곡판의 너비는 40㎜ 내지 120㎜인 것이 바람직하다. 너비가 40㎜ 보다 작으면 기포콘크리트 또는 시멘트몰탈을 타설할 때 불편할 수 있고, 곡판의 너비가 120㎜ 이상이면 경제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곡판의 두께는 곡판의 재질 또는 적용환경에 따라서 변화가능하다. 바람직한 곡판의 두께는 1㎜ 내지 7㎜이다. 곡판의 두께가 1㎜ 보다 작으면 곡판의 양면의 타설된 기포콘크리트 또는 시멘트몰탈을 지지하기 힘들고, 곡판의 두께가 7㎜ 보다 크면 오히려 곡판 자체의 미세한 신축으로 인하여 곡판과 인접한 부위에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2) 평판
본 발명에서 평판은 호(弧)상을 이루는 곡판의 양쪽 말단부에 결합되며, 벽체에 부착가능하도록 구성되어 곡판을 지지한다.
평판의 재질, 너비, 두께는 곡판의 재질, 너비, 두께와 동일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적용환경이나 필요에 따라서 다양하게 바꿀 수 있음은 물론이다. 평판의 길이는 벽체에 부착되는 부위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할 수 있다.
평판의 재질이 충격흡수 가능한 탄성을 가지는 경우, 평판을 벽체에 바로 부착할 수 있으며 부착되는 면은 접착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평판 자체에서 응력흡수를 하지 못하는 경우 별도의 응력흡수판을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평판에 부착되는 응력흡수판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또한, 곡판 양쪽에 결합된 평판이 이루는 각도는 벽체와 보다 밀접한 결합을 하기 위하여 90°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85°이지만 벽체와 밀착을 이룰 수 있다면 특정 각도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3) 응력흡수판
본 발명에서는 응력을 분산하거나 또는 응력을 방지하기 위하여 응력흡수판을 곡판이나 평판의 일면 또는 양면에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응력흡수판은 충격흡수가 가능하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응력흡수판은 충격흡수가 용이한 일면 또는 양면 접착테이프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면 또는 양면 접착테이프는 충격흡수가 용이하도록 소정 두께의 발포고무나 발포고분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접착제가 구비될 수 있다.
곡판에 부착되는 응력흡수판은 곡판의 바깥면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바깥면과 안쪽면 양쪽에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바깥면에 응력흡수판이 부착되는 경우 바깥쪽에서 집중되는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으며, 안쪽면에 응력흡수판이 부착되는 경우 모서리에서 진행되는 응력 또는 크랙을 방지할 수 있다.
평판에 부착되는 응력흡수판도 마찬가지로 양면에 부착되는 것이 가능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벽체와 합착하는 면에 부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곡판 또는 평판에 부착되는 응력흡수판의 너비는 곡판 또는 평판의 너비와 동일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응력흡수판의 두께는 2㎜ 내지 10㎜이 바람직하다. 응력흡수판의 두께가 2㎜ 보다 작으면 충격을 흡수하여 응력을 방지하거나 분산시키는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기 힘들고, 응력흡수판의 두께가 10㎜ 보다 크면 두께 대비 응력흡수 효율이 높지 않아 경제성이 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모서리 크랙 방지제는 전술한 곡판, 평판 그리고 응력흡수판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모서리 크랙 방지제를 통하여 모서리에 집중되는 응력을 분산시키고, 모서리에서 일어나는 크랙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한 모서리 크랙 방지제의 기술적 특징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서 필요한 구성요소의 기술적 특징들이 바람직하게 구현되어 실제 완성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응력흡수판이 부착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홀(hole)을 구비한 모서리 크랙 방지제의 전면도이다.
도 2에서 응력흡수판(300)은 곡판(100)의 바깥쪽 곡면과 결합되어 있으며, 벽체와 결합하는 평판(200)의 일면과 결합되어 있다. 도 2에서 곡판(100)의 곡면에 형성된 통공된 홀(hole)(400)은 4개이다.
도 3은 응력흡수판(300)이 부착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홀(hole)(400)을 구비하지 않은 모서리 크랙 방지제의 전면도이다.
도 3에서 응력흡수판(300)은 곡판(100)의 바깥쪽 곡면과 결합되어 있고, 벽체와 결합하는 평판(200)의 일면과 결합되어 있으며, 도 3의 모서리 크랙 방지제에서는 홀(hole)(400)을 구비하지 않고 있다.
도 2 및 도 3의 실시예는 응력흡수판(300)이 곡판(100)과 평판(200)에 결합된 것으로서, 곡판(100)과 평판(200)만으로 응력을 흡수할 수 없거나 응력 흡수가 충분하지 않을 때 응력흡수판(300)을 구비하여 응력을 흡수하여 모서리 크랙을 방지한다.
도 2와 도 3에서 사용하는 응력흡수판(300)은 응력을 흡수할 수 있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을 사용하며, 곡판(100)과 평판(200)은 전체 구조를 지지할 수 있도록 단단한 재질을 사용한다.
도 4는 곡판(100)과 평판(200)만으로 응력을 흡수하는 실시예로서, 홀 (hole)(400)을 구비한 모서리 크랙 방지제의 전면도이고, 도 5는 곡판(100)과 평판(200)만으로 응력을 흡수하는 실시예로서, 홀(hole)(400)을 구비하지 않은 모서리 크랙 방지제의 전면도이다.
도 4와 도 5는 응력흡수판(300)을 구비하지 않고서 곡판(100)과 평판(200)만으로 응력을 흡수하여 모서리 크랙을 방지할 수 있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와 도 5의 실시예에서 곡판(100)과 평판(200)의 재질은 응력을 흡수할 수 있는 탄성을 가짐과 동시에 모서리 크랙 방지제의 구조를 지탱할 수 있을 정도의 지지력도 가지는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모서리 크랙 방지제가 실제 벽체에 부착되는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2의 실시예가 실제 벽체와 결합되어 적용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서와 같이 벽체의 모서리에서 발생된 크랙이 본 발명에 의한 모서리 크랙 방지제가 더 이상 진행하지 못하게 막거나, 모서리 부분의 응력을 미연에 흡수하여 모서리 부분의 크랙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성을 중심으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가능한 다양한 변형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모서리 크랙 방지제를 통하여 응력 집중을 분산시킬 수 있으며, 응력 분산을 통하여 크랙을 저감시키고, 더불어 단열효과를 높임과 동시에 바닥재 들뜸이나 변색하자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호(弧)상의 곡면으로 형성된 곡판; 및
    상기 곡판 양단에 연결되며 벽체에 부착가능한 평판을 포함하고,
    상기 곡판 또는 상기 평판의 일면 또는 양면에 합착되는 응력흡수판을 가지며,
    상기 응력흡수판은 충격흡수 가능하도록 탄성을 가지고, 일면 또는 양면에 접착제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크랙 방지제.
  2. 호(弧)상의 곡면으로 형성된 곡판; 및
    상기 곡판 양단에 연결되며 벽체에 부착가능한 평판을 포함하고,
    상기 곡판은 곡면에 지름이 10㎜ 내지 40㎜인 통공된 홀이 2 내지 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크랙 방지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곡판 및 상기 평판은 충격흡수 가능하도록 탄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크랙 방지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곡판 또는 상기 평판의 일면 또는 양면에 합착되는 응력흡수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크랙 방지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곡판은 지름이 50㎜ 내지 200㎜인 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크랙 방지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곡판 또는 상기 평판은 너비가 40㎜ 내지 1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크랙 방지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곡판 또는 상기 평판은 두께가 1㎜ 내지 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크랙 방지제.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응력흡수판은 두께가 2㎜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크랙 방지제.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응력흡수판은 충격흡수 가능하도록 탄성을 가지고, 일면 또는 양면에 접착제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크랙 방지제.
KR1020050072853A 2005-08-09 2005-08-09 모서리 크랙 방지제 KR100585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2853A KR100585986B1 (ko) 2005-08-09 2005-08-09 모서리 크랙 방지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2853A KR100585986B1 (ko) 2005-08-09 2005-08-09 모서리 크랙 방지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5986B1 true KR100585986B1 (ko) 2006-06-02

Family

ID=37182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2853A KR100585986B1 (ko) 2005-08-09 2005-08-09 모서리 크랙 방지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598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708B1 (ko) 2011-01-05 2011-03-22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가람건축 개구부 주변의 균열방지용 응력분산곡면판
KR101532723B1 (ko) * 2015-04-13 2015-07-02 주식회사 목양종합건축사사무소 합성슬래브 또는 일반슬래브의 실내 바닥 미장층 균열억제 시스템
KR101893218B1 (ko) * 2018-05-29 2018-08-30 주식회사 엘에이치수지기공 균열방지를 위한 응력분산장치
KR20210046175A (ko) * 2019-10-18 2021-04-28 김성진 균열 방지용 곡면판
KR20220066484A (ko) * 2020-11-16 2022-05-24 주식회사 엘에이치수지기공 실내 바닥 미장층의 균열 차단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708B1 (ko) 2011-01-05 2011-03-22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가람건축 개구부 주변의 균열방지용 응력분산곡면판
KR101532723B1 (ko) * 2015-04-13 2015-07-02 주식회사 목양종합건축사사무소 합성슬래브 또는 일반슬래브의 실내 바닥 미장층 균열억제 시스템
KR101893218B1 (ko) * 2018-05-29 2018-08-30 주식회사 엘에이치수지기공 균열방지를 위한 응력분산장치
CN110541538A (zh) * 2018-05-29 2019-12-06 Lh数值工程有限公司 用于防止裂缝的应力分散装置
KR20210046175A (ko) * 2019-10-18 2021-04-28 김성진 균열 방지용 곡면판
KR102261721B1 (ko) * 2019-10-18 2021-06-07 김성진 균열 방지용 곡면판
KR20220066484A (ko) * 2020-11-16 2022-05-24 주식회사 엘에이치수지기공 실내 바닥 미장층의 균열 차단 장치
KR102424512B1 (ko) * 2020-11-16 2022-07-27 주식회사 엘에이치수지기공 실내 바닥 미장층의 균열 차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5986B1 (ko) 모서리 크랙 방지제
KR20120007999A (ko) 완충 및 제진 성능을 갖는 복합 바닥 구조
KR20060021052A (ko) 차음시트를 갖는 콘크리트 패널 및 그 패널의 시공방법
KR101206520B1 (ko) 튜브형완충재를 갖는 건물 바닥용 완충층 구조
KR100798892B1 (ko)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반건식 온돌바닥구조 및그 시공방법
ITRM20130068A1 (it) Sistema di rinforzo per lastre di gres, porcellanato o ceramico, marmo o travertino di spessore sottile, in particolare per pareti ventilate
CN209904103U (zh) 一种建筑节能隔音墙板
KR20050022974A (ko) 방음 방수 패널 및 그 제조방법
JP2008050905A (ja) 鉄筋コンクリート建物のコンクリート外壁への複合パネルの外張り施工方法
JP5885644B2 (ja) 不燃下地材
KR100831998B1 (ko) 고단열 고강성 경량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층간충격음 저감 바닥 구조
KR200357988Y1 (ko) 공동주택용 온돌 바닥의 층간 소음방지패널
KR200413481Y1 (ko) 다공성 격실 구조를 가진 배관 판넬 및 그 배관 판넬을적용한 패키지 온돌 시스템
KR101428760B1 (ko) 층간소음 바닥재
KR200431403Y1 (ko) 뜬 바닥구조 방진패드를 이용한 방진방음바닥
KR200413533Y1 (ko) 마그네슘보드를 이용한 층간 차음 바닥구조
KR20130088346A (ko) 단열(방습)복합보드/판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부위별 설치방법
JP2012092555A (ja) 断熱構造
KR200290830Y1 (ko) 공기층이 형성된 벽면 방진단열재 및 이를 이용한공동주택의 층간 바닥구조
JP2004044132A (ja) 耐火断熱下地材
KR101798457B1 (ko) 외단열 미장마감 시스템의 단열재 시공방법
KR200394319Y1 (ko) 건축용 스티로폼 패널
JP2005240331A (ja) 断熱用パネル
KR102557476B1 (ko) 건물의 층간소음 저감장치
KR200394192Y1 (ko) 공동 주택의 바닥 마감 모르타르 자재를 갖는 층간 충격음차단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