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8789B1 - Polarizer - Google Patents

Polariz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8789B1
KR102408789B1 KR1020197004790A KR20197004790A KR102408789B1 KR 102408789 B1 KR102408789 B1 KR 102408789B1 KR 1020197004790 A KR1020197004790 A KR 1020197004790A KR 20197004790 A KR20197004790 A KR 20197004790A KR 102408789 B1 KR102408789 B1 KR 102408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olarizer
resin
retardation
polariz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47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40969A (en
Inventor
타다시 코지마
타카시 시미즈
코지 오카다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40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096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8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87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수지층과 편광자와의 밀착성이 우수하고, 또한 편광자에 대한 크랙의 발생을 억제한다. 편광판(10)은 위상차층(3)과 편광자(1)를 갖고, 위상차층(3)과 편광자(1)는 이접착층(2)을 개재하여 적층되어 있으며, 이접착층(2)의 85℃에서의 저장 탄성률이 1.0×106Pa∼1.0×107Pa이다. It is excellent in the adhesiveness of a resin layer and a polarizer, and suppresses generation|occurrence|production of the crack with respect to a polarizer. The polarizing plate 10 has a retardation layer 3 and a polarizer 1, and the retardation layer 3 and the polarizer 1 are laminated with an easily adhesive layer 2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t 85° C. of the easily adhesive layer 2 has a storage modulus of 1.0×10 6 Pa to 1.0×10 7 Pa.

Description

편광판Polarizer

본 발명은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arizing plate.

액정 표시 장치 및 유기 EL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으로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연신 및 염색함으로써 얻어지는 편광자를 위상차층 또는 보호층 등의 수지층을 구성하는 필름에 첩부(貼付)하여 편광판으로 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또한, 편광판의 다른 제조 방법으로서 수지 기재 상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을 형성하고, 이 적층체를 연신 및 염색함으로써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을 편광자로 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As a manufacturing method of a polarizing plate used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an organic EL display device, a polarizer obtained by stretching and dyeing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is affixed to a film constituting a resin layer such as a retardation layer or a protective layer, a polarizing plate How to do it is known. Moreover, as another manufacturing method of a polarizing plate, the method of forming a polyvinyl alcohol-type resin layer on a resin base material, and making this polyvinyl alcohol-type resin layer into a polarizer by extending|stretching and dyeing this laminated body has been proposed.

이상과 같이, 편광자는 위상차층 또는 보호층 등의 수지층에 적층된 상태로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편광판의 사용 시에 편광자가 수지층으로부터 박리되지 않도록, 편광자와 수지층이 충분한 밀착력을 갖는 것이 요구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polarizer may be used in a state of being laminated on a resin layer such as a retardation layer or a protective layer. Therefore, it is calculated|required that a polarizer and a resin layer have sufficient adhesive force so that a polarizer may not peel from a resin layer at the time of use of a polarizing plate.

특허 문헌 1에는 수지 기재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과의 적층체로부터 편광판을 얻는 제조 방법에 있어서, 수지 기재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과의 충분한 밀착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수지 기재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을 폴리비닐알코올계 재료를 포함하는 이(易)접착층을 개재하여 적층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In Patent Document 1, in a manufacturing method for obtaining a polarizing plate from a laminate of a resin substrate and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layer, in order to secure sufficient adhesion between the resin substrate and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layer, the resin substrate and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layer It has been proposed to laminate the resin layer via an easily adhesive layer containing a polyvinyl alcohol-based material.

일본특허공보 제4950357호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4950357

그러나, 특허 문헌 1의 방법으로 제조된 편광판은 편광자와 수지층(수지 기재)과의 밀착성이 불충분하다.However, the polarizing plate manufactured by the method of patent document 1 has insufficient adhesiveness between a polarizer and a resin layer (resin base material).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수지층과 편광자와의 밀착성이 우수하고, 또한 편광자에 대한 크랙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This invention is made|formed in view of said subject, The objective is to provide the polarizing plate which is excellent in the adhesiveness of a resin layer and a polarizer, and can suppress generation|occurrence|production of the crack with respect to a polarizer.

본 발명의 편광판은 수지층과 편광자를 갖고, 상기 수지층과 상기 편광자는 이접착층을 개재하여 적층되어 있으며, 상기 이접착층의 85℃에서의 저장 탄성률이 1.0×106Pa∼1.0×107Pa이다.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sin layer and a polarizer, the resin layer and the polarizer are laminated through an easily adhesive layer, and the storage elastic modulus at 85°C of the easily adhesive layer is 1.0×10 6 Pa to 1.0×10 7 Pa to be.

하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이접착층은 가교제 존재하에서 80℃, 500시간의 조건으로 가열한 후의 85℃에서의 저장 탄성률이 1.0×106Pa∼1.0×107Pa이다. In one embodiment, the storage elastic modulus in 85 degreeC of the said easily adhesive layer after heating under the conditions of 80 degreeC and 500 hours in crosslinking agent presence is 1.0x10 6 Pa - 1.0x107 Pa.

하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이접착층이 폴리올레핀계 성분과 폴리비닐알코올계 성분을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said easily adhesive layer contains a polyolefin-type component and a polyvinyl alcohol-type component.

하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폴리올레핀계 성분과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성분과의 질량비가 98:2∼90:10이다.In one embodiment, the mass ratio of the said polyolefin-type component and the said polyvinyl alcohol-type component is 98:2 - 90:10.

하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이접착층의 두께가 500nm∼1㎛이다.In one embodiment, the thickness of the said easily bonding layer is 500 nm - 1 micrometer.

하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이접착층과 상기 편광자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제를 개재하여 첩합(貼合)되어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aid easily bonding layer and the said polarizer are bonded together through the adhesive agent containing polyvinyl alcohol-type resin.

하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수지층이 면내 위상차를 갖는 위상차층이다.In one embodiment, the said resin layer is a retardation layer which has an in-plane retardation.

하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위상차층의 면내 위상차 Re(550)이 100nm∼180nm이고, 또한 Re(450)<Re(550)의 관계를 만족한다.In one embodiment, the in-plane retardation Re(550) of the retardation layer is 100 nm to 180 nm, and the relation of Re(450)<Re(550) is satisfied.

하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편광자의 흡수축과 상기 위상차층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가 38°∼52°이다.In one embodiment, the angle between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and the slow axis of the retardation layer is 38° to 52°.

하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수지층이 광학적으로 등방성을 갖는 보호층이다.In one embodiment, the said resin layer is a protective layer which has optical isotropy.

본 발명에 의하면, 수지층과 편광자와의 밀착성이 우수하고, 또한 편광자에 대한 크랙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편광판이 제공된다. ADVANTAGE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this invention, it is excellent in the adhesiveness of a resin layer and a polarizer, and the polarizing plate which can suppress generation|occurrence|production of the crack with respect to a polarizer is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 따른 편광판의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 형태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although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

(용어 및 기호의 정의)(Definition of terms and symbols)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용어 및 기호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Definitions of terms and symbols in this specification are as follows.

(1) 굴절률(nx, ny, nz) (1) refractive index (nx, ny, nz)

'nx'는 면내의 굴절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즉,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이고, 'ny'는 면내에서 지상축과 직교하는 방향(즉,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이며, 'nz'는 두께 방향의 굴절률이다.'nx' is the refractive index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plane refractive index is maximum (ie, slow axis direction), 'ny' is the refractive index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low axis in the plane (ie, fast axis direction), and 'nz' is It is the refractive index in the thickness direction.

(2) 면내 위상차(Re)(2) In-plane phase difference (Re)

'Re(λ)'는 23℃에 있어서의 파장 λnm의 광으로 측정한 면내 위상차이다. Re(λ)는 층(필름)의 두께를 d(nm)로 하였을 때, 식:Re=(nx-ny)×d에 의하여 구할 수 있다. 예컨대, 'Re(550)'은 23℃에 있어서의 파장 550nm의 광으로 측정한 면내 위상차이다. 'Re(λ)' is an in-plane retardation measured with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λ nm at 23°C. Re(λ) can be obtained by the formula: Re=(nx-ny)×d when the thickness of the layer (film) is d(nm). For example, 'Re(550)' is an in-plane retardation measured with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550 nm at 23°C.

A. 편광판A. Polarizer

본 발명의 편광판은 수지층과 편광자를 갖고, 수지층과 편광자는 이접착층을 개재하여 접착되어 있다. 편광판은 이접착층의 85℃에서의 저장 탄성률이 1.0×106Pa 이상이다. 이에 따라, 수지층과 편광자와의 밀착성이 우수하고, 또한 편광자에 대한 크랙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편광판으로 할 수 있다. The polarizing plate of this invention has a resin layer and a polarizer, and the resin layer and a polarizer are adhere|attached through an easily adhesive layer. The polarizing plate has a storage elastic modulus at 85° C. of the easily adhesive layer of 1.0×10 6 Pa or more. Thereby, it can be set as the polarizing plate which is excellent in the adhesiveness of a resin layer and a polarizer, and can suppress generation|occurrence|production of the crack with respect to a polarizer.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수지층은 면내 위상차를 갖는 위상차층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수지층은 편광자의 보호층(후술하는 보호 필름 또는 내측 보호층)이어도 된다. 이하에서는 주로 수지층이 위상차층 인 편광판에 대하여 설명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in layer is a retardation layer having an in-plane retardation.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in layer may be a protective layer (a protective film or inner protective layer described later) of the polarizer. Hereinafter, a polarizing plate in which the resin layer is a retardation layer will be mainly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 관한 편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광판(10)은 수지층으로서 위상차층(3)을 갖고, 위상차층(3)과 편광자(1)는 이접착층(2)을 개재하여 적층되어 있다. 또한, 편광판(10)은 편광자(1)의 위상차층(3)과는 반대측에 보호 필름(도시하지 않음)을 갖고 있어도 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sectional drawing of the polarizing plate which concerns on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As shown in FIG. 1 , the polarizing plate 10 has a retardation layer 3 as a resin layer, and the retardation layer 3 and the polarizer 1 are laminated through an easily adhesive layer 2 . In addition, the polarizing plate 10 may have a protective film (not shown) on the opposite side to the retardation layer 3 of the polarizer 1 .

B. 편광자B. Polarizer

편광자(1)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편광자가 채용될 수 있다. 예컨대, 편광자를 형성하는 수지 필름은 단층의 수지 필름이어도 되고, 2층 이상의 적층체이어도 된다. As the polarizer 1, any suitable polarizer may be employed. For example, a single-layered resin film may be sufficient as the resin film which forms a polarizer, and the laminated body of two or more layers may be sufficient as it.

단층의 수지 필름으로 구성되는 편광자의 구체예로서는, 폴리비닐알코올(PVA)계 필름, 부분 포멀화 PVA계 필름, 에틸렌·초산 비닐 공중합체계 부분 비누화 필름 등의 친수성 고분자 필름에, 요오드나 이색성 염료 등의 이색성 물질에 의한 염색 처리 및 연신 처리가 실시된 것, PVA의 탈수 처리물이나 폴리 염화 비닐의 탈염산 처리물 등 폴리엔계 배향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광학 특성이 우수한 점에서, PVA계 필름을 요오드로 염색하고 1축 연신하여 얻어진 편광자가 이용된다. As a specific example of the polarizer composed of a single-layer resin film, a polyvinyl alcohol (PVA)-based film, a partially formalized PVA-based film, an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based partially saponified film, etc. polyene-based oriented films such as those subjected to dyeing treatment and stretching treatment with a dichroic substance of PVA, dehydration treatment products of PVA and dehydrochloric acid treatment products of polyvinyl chloride. Preferably, from the viewpoint of excellent optical properties, a polarizer obtained by dyeing a PVA-based film with iodine and uniaxially stretching is used.

상기 요오드에 의한 염색은 예컨대, PVA계 필름을 요오드 수용액에 침지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1축 연신의 연신 배율은 바람직하게는 3∼7배이다. 연신은 염색 처리 후에 실시하여도 되고, 염색하면서 실시하여도 된다. 또한 연신하고 나서 염색하여도 된다. 필요에 따라, PVA계 필름에 팽윤 처리, 가교 처리, 세정 처리, 건조 처리 등이 실시된다. 예컨대, 염색 전에 PVA계 필름을 물에 침지하여 수세함으로써, PVA계 필름 표면의 오염이나 블로킹 방지제를 세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PVA계 필름을 팽윤시켜 염색 얼룩 등을 방지할 수 있다.The dyeing with iodine is made by, for example, immersing a PVA-based film in an aqueous iodine solution. Preferably the draw ratio of the said uniaxial stretching is 3-7 times. Extending|stretching may be performed after a dyeing process, and may be performed, dyeing|staining. Moreover, you may dye|dye after extending|stretching. If necessary, the PVA-based film is subjected to a swelling treatment, a crosslinking treatment, a washing treatment, a drying treatment, and the like. For example, by immersing the PVA-based film in water and washing with water before dyeing, it is possible to not only wash the surface of the PVA-based film from contamination and anti-blocking agent, but also to swell the PVA-based film to prevent staining of dyeing.

적층체를 이용하여 얻어지는 편광자의 구체예로서는 수지 기재와 당해 수지 기재에 적층된 PVA계 수지층(PVA계 수지 필름)과의 적층체, 또는 수지 기재와 당해 수지 기재에 도포 형성된 PVA계 수지층과의 적층체를 이용하여 얻어지는 편광자를 들 수 있다. 수지 기재와 당해 수지 기재에 도포 형성된 PVA계 수지층과의 적층체를 이용하여 얻어지는 편광자는 예컨대, PVA계 수지 용액을 수지 기재에 도포하고, 건조시켜 수지 기재 상에 PVA계 수지층을 형성하여 수지 기재와 PVA계 수지층과의 적층체를 얻는 것; 당해 적층체를 연신 및 염색하여 PVA계 수지층을 편광자로 하는 것;에 의하여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연신은 대표적으로는 적층체를 붕산 수용액 중에 침지시켜 연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연신은 필요에 따라 붕산 수용액 중에서의 연신 전에 적층체를 고온(예컨대, 95℃ 이상)에서 공중 연신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얻어진 수지 기재/편광자의 적층체는 그대로 이용하여도 되고(즉, 수지 기재를 위상차층과 편광자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내측 보호층으로 하여도 되고), 수지 기재/편광자의 적층체로부터 수지 기재(수지층)를 박리하고, 당해 박리면에 목적에 따른 임의의 적절한 보호층을 내측 보호층으로 하여 적층하여 이용하여도 된다. 이와 같은 편광자의 제조 방법의 상세는 예컨대,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12-73580호에 기재되어 있다. 당해 공보는 그 전체의 기재가 본 명세서에 참고로서 원용된다. 또한, 수지 기재를 위상차층과 편광자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내측 보호층으로서 이용하는 경우, 수지 기재와 PVA계 수지층과의 사이에 이접착층을 설치하여도 된다. 또한, 수지 기재를 박리하고, 당해 박리면에 목적에 따른 임의의 적절한 보호층을 내측 보호층으로서 적층하는 경우, 내측 보호층과 편광자와의 사이에 이접착층을 설치하여도 된다. As a specific example of a polarizer obtained using a laminate, a laminate of a resin substrate and a PVA-based resin layer (PVA-based resin film) laminated on the resin substrate, or a resin substrate and a PVA-based resin layer coated on the resin substrate The polarizer obtained using a laminated body is mentioned. A polarizer obtained by using a laminate of a resin substrate and a PVA-based resin layer coated on the resin substrate is applied, for example, by applying a PVA-based resin solution to the resin substrate and drying the resin substrate to form a PVA-based resin layer on the resin substrate. obtaining a laminate of a base material and a PVA-based resin layer; It can be produced by; stretching and dyeing the laminate to use the PVA-based resin layer as a polarizer. In this embodiment, extending|stretching includes extending|stretching by immersing a laminated body in boric-acid aqueous solution typically. In addition, the stretching may further include air stretching the laminate at a high temperature (eg, 95° C. or higher) before stretching in an aqueous boric acid solution, if necessary. The obtained laminate of the resin substrate/polarizer may be used as it is (that is, the resin substrate may be an inner protective layer provided between the retardation layer and the polarizer), or the laminate of the resin substrate/polarizer may be used as a resin substrate ( The resin layer) may be peeled off, and any appropriate protective layer according to the purpose may be laminated on the peeled surface as an inner protective layer to be used. The detail of the manufacturing method of such a polarizer is described in Unexamined-Japanese-Patent No. 2012-73580, for example. This publication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in its entirety. In addition, when using a resin base material as an inner side protective layer provided between a retardation layer and a polarizer, you may provide an easily adhesive layer between a resin base material and a PVA-type resin layer. In addition, when peeling a resin base material and laminating|stacking any suitable protective layer according to the objective on the said peeling surface as an inner side protective layer, you may provide an easily adhesive layer between an inner side protective layer and a polarizer.

편광자의 두께는 목적 및 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설계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25㎛이다.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can be appropriately designed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use, and is preferably 3 µm to 25 µm.

편광자는 바람직하게는 파장 380nm∼780nm 중의 어느 파장에서 흡수 이색성을 나타낸다. 편광자의 단체 투과율은 바람직하게는 42.0%∼46.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4.5%∼46.0%이다. 편광자의 편광도는 바람직하게는 97.0%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9.0%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99.9% 이상이다.The polarizer preferably exhibits absorption dichroism at any wavelength of 380 nm to 780 nm. The single transmittance of the polarizer is preferably 42.0% to 46.0%, more preferably 44.5% to 46.0%. The polarization degree of the polarizer is preferably 97.0% or more, more preferably 99.0% or more, and still more preferably 99.9% or more.

C. 위상차층C. retardation layer

위상차층(3)은 목적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광학적 특성 및/또는 기계적 특성을 갖는 위상차 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위상차층(3)은 대표적으로는 지상축을 갖는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위상차층(3)의 지상축과 편광자(1)의 흡수축이 이루는 각도(θ)는 바람직하게는 38°∼52°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2°∼48°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45°이다. 각도(θ)가 이와 같은 범위이면, 위상차층(3)을 λ/4판으로 함으로써, 매우 우수한 원편광 특성을 갖는 편광판(10)을 얻을 수 있다.The retardation layer 3 may be composed of a retardation film having any suitable optical and/or mechanical properties depending on the purpose. The retardation layer 3 typically has a slow axis. In one embodiment, the angle θ between the slow axis of the retardation layer 3 and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1 is preferably 38° to 52°, more preferably 42° to 48°, , more preferably about 45°. If the angle θ is within such a range, the polarizing plate 10 having extremely excellent circular polarization characteristics can be obtained by using the retardation layer 3 as a λ/4 plate.

위상차층(3)은 바람직하게는 굴절률 특성이 nx>ny≥nz의 관계를 나타낸다. 위상차층(3)은 대표적으로는 편광판에 반사 방지 특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설치되고, 하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λ/4판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 경우, 위상차층(3)의 면내 위상차 Re(550)은 바람직하게는 80nm∼200nm,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nm∼180nm,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nm∼170nm이다. 또한, 여기서 'ny=nz'는 ny와 nz가 완전히 동일한 경우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우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ny<nz가 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The retardation layer 3 preferably exhibits a relationship of refractive index characteristics of nx>ny≥nz. The retardation layer 3 is typically provided in order to impart antireflection properties to the polarizing plate, and can function as a λ/4 plate in one embodiment. In this case, the in-plane retardation Re(550) of the retardation layer 3 is preferably 80 nm to 200 nm, more preferably 100 nm to 180 nm, still more preferably 110 nm to 170 nm. In addition, 'ny=nz'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ny and nz are completely the same, but also the case where 'ny=nz' is substantially the same. Therefore, there may be a case where ny<nz is not impaired in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위상차층(3)의 복굴절(Δnxy)은 예컨대 0.0025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0.0028 이상이다. 한편, 복굴절(Δnxy)의 상한은 예컨대 0.0060이고, 바람직하게는 0.0050이다. 복굴절을 이와 같은 범위로 최적화함으로써 얇고, 또한 소망하는 광학 특성을 갖는 위상차층(3)을 얻을 수 있다. The birefringence (Δn xy ) of the retardation layer 3 is, for example, 0.0025 or more, and preferably 0.0028 or more. On the other hand, the upper limit of the birefringence (Δn xy ) is, for example, 0.0060, preferably 0.0050. By optimizing the birefringence in such a range,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retardation layer 3 which is thin and has desired optical properties.

위상차층(3)의 Nz 계수는 바람직하게는 0.9∼3, 보다 바람직하게는 0.9∼2.5, 더욱 바람직하게는 0.9∼1.5, 특히 바람직하게는 0.9∼1.3이다. 이와 같은 관계를 만족함으로써, 얻어지는 편광판을 화상 표시 장치에 이용한 경우에 매우 우수한 반사 색상을 달성할 수 있다. The Nz coefficient of the retardation layer 3 is preferably 0.9 to 3, more preferably 0.9 to 2.5, still more preferably 0.9 to 1.5, and particularly preferably 0.9 to 1.3. By satisfying such a relationship, when the obtained polarizing plate is used for an image display apparatus, the very excellent reflection color can be achieved.

위상차층(3)은 위상차값이 측정광의 파장에 따라서 커지는 역분산 파장 특성을 나타내어도 되고, 위상차값이 측정광의 파장에 따라서 작아지는 양의 파장 분산 특성을 나타내어도 되며, 위상차값이 측정광의 파장에 따라서도 거의 변화하지 않는 플랫한 파장 분산 특성을 나타내어도 된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위상차층(3)은 역분산 파장 특성을 나타낸다. 이 경우, 위상차층(3)은 Re(450)<Re(550)의 관계를 만족하고, 위상차층(3)의 Re(450)/Re(550)은 바람직하게는 0.8 이상 1 미만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8 이상 0.95 이하이다. 이와 같은 구성이면, 매우 우수한 반사 방지 특성을 실현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위상차층(3)은 플랫한 파장 분산 특성을 나타낸다. 이 경우, 위상차층(3)의 Re(450)/Re(550)은 바람직하게는 0.99∼1.03이고, Re(650)/Re(550)은 바람직하게는 0.98∼1.02이다. 이 경우, 위상차층(3)은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λ/2판으로서 기능하는 위상차 필름과 λ/4판으로서 기능하는 위상차 필름을 소정의 축 각도(예컨대: 50°∼70°, 바람직하게는 약 60°)로 배치함으로써, 이상적인 역파장 분산 특성에 가까운 특성을 얻는 것이 가능하고, 결과로서 매우 우수한 반사 방지 특성을 실현할 수 있다. The retardation layer 3 may exhibit an inverse dispersion wavelength characteristic in which the retardation value increases according to the wavelength of the measurement light, or may exhibit a positive wavelength dispersion characteristic in which the phase difference value decreases according to the wavelength of the measurement light, and the phase difference value is the wavelength of the measurement light It may exhibit a flat wavelength dispersion characteristic which hardly changes even with this. In one embodiment, the retardation layer 3 exhibits an inverse dispersion wavelength characteristic. In this case, the retardation layer 3 satisfies the relationship of Re(450)<Re(550), and Re(450)/Re(550) of the retardation layer 3 is preferably 0.8 or more and less than 1. Preferably it is 0.8 or more and 0.95 or less. With such a configuration, very excellent antireflection properties can be realized. In another embodiment, the retardation layer 3 shows a flat wavelength dispersion characteristic. In this case, Re(450)/Re(550) of the retardation layer 3 is preferably 0.99 to 1.03, and Re(650)/Re(550) is preferably 0.98 to 1.02. In this case, the retardation layer 3 may have a stacked structure. Specifically, by arranging the retardation film functioning as the λ/2 plate and the retardation film functioning as the λ/4 plate at a predetermined axial angle (eg, 50° to 70°, preferably about 60°), the ideal reverse wavelength It is possible to obtain a characteristic close to the dispersion characteristic, and as a result, an extremely excellent antireflection characteristic can be realized.

위상차층(3)은 그 흡수율이 3%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2.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이하이다. 이와 같은 흡수율을 만족함으로써, 표시 특성의 경시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흡수율은 JIS K 7209에 준거하여 구할 수 있다. The retardation layer 3 has a water absorption of 3% or less, preferably 2.5% or less, and more preferably 2% or less. By satisfying such a water absorption rate, it is possible to suppress a change in display characteristics with the passage of time. In addition, water absorption can be calculated|required based on JISK7209.

위상차층(3)은 광탄성 계수의 절대값이 바람직하게는 2×10-11m2/N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10-13m2/N∼1.6×10-11m2/N의 수지를 포함한다. 광탄성 계수의 절대값이 이와 같은 범위이면, 가열 시의 수축 응력이 발생한 경우에 위상차 변화가 생기기 어렵다. 그 결과, 얻어지는 화상 표시 장치의 열 불균일이 양호하게 방지될 수 있다. The retardation layer 3 has an absolute value of the photoelastic coefficient of preferably 2×10 -11 m 2 /N or less, more preferably 2.0×10 -13 m 2 /N to 1.6×10 -11 m 2 /N contains resin. If the absolute value of the photoelastic coefficient is within such a range, a phase difference change is unlikely to occur when a shrinkage stress during heating occurs. As a result, thermal non-uniformity of the obtained image display apparatus can be prevented favorably.

위상차층(3)의 두께는 예컨대 7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40㎛∼60㎛이다. 이와 같은 두께이면 편광자의 보호층으로서 적절한 기계적 강도가 부여될 수 있다. The thickness of the retardation layer 3 is, for example, 70 µm or less, preferably 40 µm to 60 µm. If it is such a thickness, suitable mechanical strength can be provided as a protective layer of a polarizer.

위상차층(3)은 상기의 특성을 만족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수지 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와 같은 수지의 대표예로서는 환상 올레핀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에테르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를 들 수 있다. 위상차층(3)이 역분산 파장 특성을 나타내는 수지 필름으로 구성되는 경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가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The retardation layer 3 may be composed of any suitable resin film capable of satisfying the above characteristics. Representative examples of such resins include cyclic olefin-based resins, polycarbonate-based resins, cellulose-based resins, polyester-based resins, polyvinyl alcohol-based resins, polyamide-based resins, polyimide-based resins, polyether-based resins, and polystyrene-based resins. , and acrylic resins. When the retardation layer 3 is made of a resin film exhibiting reverse dispersion wavelength characteristics, a polycarbonate-based resin may be preferably used.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한에 있어서 임의의 적절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플루오렌계 디히드록시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와 이소소르 비드계 디히드록시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와 지환식 디올, 지환식 디메탄올, 디, 트리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알킬렌글리콜 또는 스피로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히드록시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플루오렌계 디히드록시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와 이소소르비드계 디히드록시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와 지환식 디메탄올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 및/또는 디, 트리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플루오렌계 디히드록시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와 이소소르비드계 디히드록시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와, 디, 트리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한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필요에 따라 그 밖의 디히드록시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상세는 예컨대,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14-10291호,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14-26266호에 기재되어 있고, 당해 기재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서 원용된다. Any suitable polycarbonate resin can be used as said polycarbonate resin, as long as the effect of this invention can be acquired. Preferably, the polycarbonate resin comprises a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a fluorene-based dihydroxy compound, a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an isosorbide-based dihydroxy compound, and an alicyclic diol, alicyclic dimethanol, di, tri or polyethylene glycol. and a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at least one dihydroxy compou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kylene glycol or spiroglycol. Preferably, the polycarbonate resin has a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a fluorene-based dihydroxy compound, a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an isosorbide-based dihydroxy compound, and a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alicyclic dimethanol and/or di, tri or a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polyethylene glycol; More preferably, a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a fluorene-based dihydroxy compound, a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an isosorbide-based dihydroxy compound, and a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di, tri or polyethylene glycol are included. Polycarbonate resin may contain the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another dihydroxy compound as needed. In addition, details of the polycarbonate resin that can be preferabl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in, for exampl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s. 2014-10291 and 2014-26266, the description of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is used as

하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하기 화학식(1)으로 표시되는 디히드록시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단위 구조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가 이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polycarbonate-based resin including a unit structure derived from a dihydroxy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may be used.

[화학식(1)] [Formula (1)]

Figure 112019017011071-pct00001
Figure 112019017011071-pct00001

(상기 화학식(1) 중, R1∼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탄소수 2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6∼탄소수 20의 시클로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6∼탄소수 20의 아릴기를 나타내고, X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2∼탄소수 10의 알킬렌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6∼탄소수 20의 시클로알킬렌기, 또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6∼탄소수 20의 아릴렌기를 나타내며, m 및 n은 각각 독립적으로 0∼5의 정수이다.) (In the formula (1), R 1 to R 4 are each independently a hydrogen atom,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C20 alkyl group,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6-C20 cycloalkyl group, or a substituted or an unsubstituted C6-C20 aryl group, X is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2-C10 alkylene group,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6-C20 cycloalkylene group, or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represents an arylene group having 6 to 20 carbon atoms, and m and n are each independently an integer of 0 to 5.)

화학식(1)으로 표시되는 디히드록시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9,9-비스(4-히드록시페닐)플루오렌, 9,9-비스(4-히드록시-3-메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히드록시-3-에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히드록시-3-n-프로필페닐)플루오렌, 9,9-비스(4-히드록시-3-이소프로필페닐)플루오렌, 9,9-비스(4-히드록시-3-n-부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히드록시-3-sec-부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히드록시-3-tert-부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히드록시-3-시클로헥실페닐)플루오렌, 9,9-비스(4-히드록시-3-페닐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히드록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히드록시에톡시)-3-메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히드록시에톡시)-3-이소프로필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히드록시에톡시)-3-이소부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히드록시에톡시)-3-tert-부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히드록시에톡시)-3-시클로헥실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히드록시에톡시)-3-페닐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히드록시에톡시)-3,5-디메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히드록시에톡시)-3-tert-부틸-6-메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3-히드록시-2,2-디메틸프로폭시)페닐)플루오렌 등을 들 수 있다. Specific examples of the dihydroxy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include 9,9-bis(4-hydroxyphenyl)fluorene, 9,9-bis(4-hydroxy-3-methylphenyl)fluorene, 9,9 -bis(4-hydroxy-3-ethylphenyl)fluorene, 9,9-bis(4-hydroxy-3-n-propylphenyl)fluorene, 9,9-bis(4-hydroxy-3- Isopropylphenyl)fluorene, 9,9-bis(4-hydroxy-3-n-butylphenyl)fluorene, 9,9-bis(4-hydroxy-3-sec-butylphenyl)fluorene, 9 ,9-bis(4-hydroxy-3-tert-butylphenyl)fluorene, 9,9-bis(4-hydroxy-3-cyclohexylphenyl)fluorene, 9,9-bis(4-hydroxyl -3-phenylphenyl)fluorene, 9,9-bis(4-(2-hydroxyethoxy)phenyl)fluorene, 9,9-bis(4-(2-hydroxyethoxy)-3-methylphenyl ) Fluorene, 9,9-bis(4-(2-hydroxyethoxy)-3-isopropylphenyl)fluorene, 9,9-bis(4-(2-hydroxyethoxy)-3-iso Butylphenyl)fluorene, 9,9-bis(4-(2-hydroxyethoxy)-3-tert-butylphenyl)fluorene, 9,9-bis(4-(2-hydroxyethoxy)- 3-cyclohexylphenyl)fluorene, 9,9-bis(4-(2-hydroxyethoxy)-3-phenylphenyl)fluorene, 9,9-bis(4-(2-hydroxyethoxy) -3,5-dimethylphenyl)fluorene, 9,9-bis(4-(2-hydroxyethoxy)-3-tert-butyl-6-methylphenyl)fluorene, 9,9-bis(4-( 3-hydroxy-2,2-dimethylpropoxy)phenyl)fluorene etc. are mentioned.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상기 디히드록시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 외에 이소소르비드, 이소만니드, 이소이디드, 스피로글리콜, 디옥산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DEG), 트리에틸렌글리콜(TEG), 폴리에틸렌글리콜(PEG), 비스페놀류 등의 디히드록시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The polycarbonate-based resin is isosorbide, isomannide, isoidide, spiro glycol, dioxane glycol, diethylene glycol (DEG), triethylene glycol (TEG), polyethylene in addition to the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the dihydroxy compound. The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dihydroxy compounds, such as glycol (PEG) and bisphenol, may be included.

디히드록시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상세는 예컨대, 일본특허 제5204200호,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12-67300호, 일본특허 제3325560호, WO2014/061677호 등에 기재되어 있다. 당해 특허 문헌의 기재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 원용된다. Details of the polycarbonate-based resin including a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a dihydroxy compound are described in, for example, Japanese Patent No. 5204200,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2-67300, Japanese Patent No. 3325560, WO2014/061677, etc. have. The description of this patent document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하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올리고플루오렌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가 이용될 수 있다. 올리고플루오렌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로서는 예컨대, 하기 화학식(2)으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 및/또는 하기 화학식(3)으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수지를 들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polycarbonate-based resin including an oligofluorene structural unit may be used. Examples of the polycarbonate-based resin containing an oligofluorene structural unit include a resin containing a structural unit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general formula (2) and/or a structural unit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general formula (3).

[화학식(2)] [Formula (2)]

Figure 112019017011071-pct00002
Figure 112019017011071-pct00002

[화학식(3)] [Formula (3)]

Figure 112019017011071-pct00003
Figure 112019017011071-pct00003

(상기 화학식(2) 및 상기 화학식(3) 중,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직접 결합,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4의 알킬렌기(바람직하게는 주쇄 상의 탄소수가 2∼3인 알킬렌기)이다. R7은 직접 결합,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4의 알킬렌기(바람직하게는 주쇄 상의 탄소수가 1∼2인 알킬렌기)이다. R8∼R1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10(바람직하게는 1∼4, 보다 바람직하게는 1∼2)의 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4∼10(바람직하게는 4∼8, 보다 바람직하게는 4∼7)의 아릴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10(바람직하게는 1∼4, 보다 바람직하게는 1∼2)의 아실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10(바람직하게는 1∼4, 보다 바람직하게는 1∼2)의 알콕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10(바람직하게는 1∼4, 보다 바람직하게는 1∼2)의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10(바람직하게는 1∼4, 보다 바람직하게는 1∼2)의 아실옥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미노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10(바람직하게는 1∼4)의 비닐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10(바람직하게는 1∼4)의 에티닐기, 치환기를 갖는 유황 원자, 치환기를 갖는 규소 원자, 할로겐 원자, 니트로기 또는 시아노기이다. R8∼R13 중 인접하는 적어도 2개의 기가 서로 결합하여 고리를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In the formulas (2) and (3), R 5 and R 6 are each independently a direct bond,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ylene group having 1 to 4 carbon atoms (preferably, 2 to 3 carbon atoms in the main chain) alkylene group).R 7 is a direct bond,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ylene group having 1 to 4 carbon atoms (preferably an alkylene group having 1 to 2 carbon atoms on the main chain). R 8 to R 13 are each independently; A hydrogen atom,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yl group having 1 to 10 carbon atoms (preferably 1 to 4, more preferably 1 to 2), or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yl group having 4 to 10 carbon atoms (preferably 4 to 8, more preferably 4 to 8 carbon atoms) Preferably 4-7) ar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C10 (preferably 1-4, more preferably 1-2) ac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C10 (preferably Preferably 1 to 4, more preferably 1 to 2) an alkoxy group,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ryloxy group having 1 to 10 carbon atoms (preferably 1 to 4, more preferably 1 to 2), a substituted or An unsubstituted C1-C10 (preferably 1-4, more preferably 1-2) acyloxy group,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mino group,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C10 (preferably 1-C10) 4) a vinyl group,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ethynyl group having 1 to 10 (preferably 1 to 4) carbon atoms, a sulfur atom having a substituent, a silicon atom having a substituent, a halogen atom, a nitro group or a cyano group. At least two adjacent groups among 8 to R 13 may be bonded to each other to form a ring.)

하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올리고플루오렌 구조 단위에 포함되는 플루오렌 고리는 R8∼R13의 모두가 수소 원자인 구성을 갖거나, 또는 R8 및/또는 R13이 할로겐 원자, 아실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및 설포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고, 또한, R9∼R12가 수소 원자인 구성을 갖는다. In one embodiment, the fluorene ring contained in the oligofluorene structural unit has a structure in which all of R 8 to R 13 are hydrogen atoms, or R 8 and/or R 13 is a halogen atom, an acyl group; It is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which consists of a nitro group, a cyano group, and a sulfo group,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R< 9 >-R< 12 > is a hydrogen atom.

올리고플루오렌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상세는 예컨대,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15-212816호 등에 기재되어 있다. 당해 특허 문헌의 기재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 원용된다. Details of the polycarbonate-based resin including the oligofluorene structural unit are described in, for exampl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5-212816. The description of this patent document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는 110℃ 이상 1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 이상 140℃ 이하이다. 유리 전이 온도가 과도하게 낮으면 내열성이 나빠지는 경향이 있고, 필름 성형 후에 치수 변화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으며, 또한 얻어지는 화상 표시 장치의 화상 품질을 낮추는 경우가 있다. 유리 전이 온도가 과도하게 높으면 필름 성형 시의 성형 안정성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고, 또한 필름의 투명성을 해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유리 전이 온도는 JIS K 7121(1987)에 준하여 구할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said polycarbonate resin is 110 degreeC or more and 150 degrees C or less, More preferably, they are 120 degreeC or more and 140 degrees C or less. Whe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s excessively low, heat resistance tends to deteriorat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dimensional change is caused after film forming, and the image quality of the image display device obtained may be lowered. Whe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s excessively high, the molding stability at the time of film molding may deteriorate, and the transparency of the film may be impaired. In addition,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can be calculated|required according to JISK7121 (1987).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분자량은 환원 점도로 표시할 수 있다. 환원 점도는 용매로서 염화 메틸렌을 이용하고 폴리카보네이트 농도를 0.6g/dL로 정밀하게 조제하며, 온도 20.0℃±0.1℃에서 우베로데 점도관을 이용하여 측정된다. 환원 점도의 하한은 통상적으로 0.30dL/g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35dL/g 이상이다. 환원 점도의 상한은 통상적으로 1.20dL/g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dL/g, 더욱 바람직하게는 0.80dL/g이다. 환원 점도가 상기 하한치보다 작으면 성형품의 기계적 강도가 작아진다는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한편, 환원 점도가 상기 상한치보다 크면 성형 시의 유동성이 저하하고, 생산성이나 성형성이 저하한다는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Th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carbonate resin may be expressed as reduced viscosity. Reduced viscosity is measured by using methylene chloride as a solvent, precisely preparing polycarbonate concentration to 0.6 g/dL, and using an Uberode viscosity tube at a temperature of 20.0°C±0.1°C. As for the lower limit of reduced viscosity, 0.30 dL/g is preferable normally, More preferably, it is 0.35 dL/g or more. As for the upper limit of reduced viscosity, 1.20 dL/g is preferable normally, More preferably, it is 1.00 dL/g, More preferably, it is 0.80 dL/g. When the reduced viscosity is smaller than the lower limit, a problem may arise that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molded article becomes small. On the other hand, when the reduced viscosity is larger than the upper limit, the fluidity at the time of molding decreases, and there are cases where a problem occurs that productivity and moldability decrease.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필름으로서 시판되는 필름을 이용하여도 된다. 시판품의 구체예로서는 테이진사 제조의 상품명 '퓨어에이스 WR-S', '퓨어에이스 WR-W', '퓨어에이스 WR-M', 닛토덴코사 제조의 상품명 'NRF'를 들 수 있다. A commercially available film may be used as the polycarbonate-based resin film. Specific examples of the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include “Pure Ace WR-S”, “Pure Ace WR-W”, “Pure Ace WR-M” manufactured by Teijin Corporation, and “NRF” manufactured by Nitto Denko.

위상차층(3)은 예컨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로 형성된 필름을 연신함으로써 얻어진다.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로부터 필름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성형 가공법이 채용될 수 있다. 구체예로서는 압축 성형법, 트랜스퍼 성형법, 사출 성형법, 압출 성형법, 블로우 성형법, 분말 성형법, FRP 성형법, 캐스트 도공법(예컨대 유연법), 캘린더 성형법, 열 프레스법 등을 들 수 있다. 압출 성형법 또는 캐스트 도공법이 바람직하다. 얻어지는 필름의 평활성을 높이고, 양호한 광학적 균일성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성형 조건은 사용되는 수지의 조성이나 종류, 위상차층(3)에 소망되는 특성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많은 필름 제품이 시판되고 있으므로, 당해 시판 필름을 그대로 연신 처리에 제공하여도 된다. The retardation layer 3 is obtained, for example, by stretching a film formed of the polycarbonate-based resin. As a method for forming a film from a polycarbonate-based resin, any suitable molding processing method may be employed. Specific examples include a compression molding method, a transfer molding method, an injection molding method, an extrusion molding method, a blow molding method, a powder molding method, an FRP molding method, a cast coating method (such as a casting method), a calender molding method, and a hot pressing method. An extrusion molding method or a cast coating method is preferable. It is because the smoothness of the film obtained can be improved and favorable optical uniformity can be acquired. Molding conditions can be appropriately set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r type of the resin used, characteristics desired for the retardation layer 3, and the like. In addition, as mentioned above, since many film products are marketed as for polycarbonate-type resin, you may use the said commercial film for a extending|stretching process as it is.

수지 필름(미연신 필름)의 두께는 위상차층의 소망하는 두께, 소망하는 광학 특성, 후술하는 연신 조건 등에 따라서 임의의 적절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50㎛∼300㎛이다. The thickness of the resin film (unstretched film) may be set to any appropriate value depending on the desired thickness of the retardation layer, desired optical properties, stretching conditions described later, and the like. Preferably it is 50 micrometers - 300 micrometers.

상기 연신은 임의의 적절한 연신 방법, 연신 조건(예컨대, 연신 온도, 연신 배율, 연신 방향)이 채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자유단 연신, 고정단 연신, 자유단 수축, 고정단 수축 등의 다양한 연신 방법을 단독으로 이용하는 것도,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연신 방향에 관해서도, 길이 방향, 폭 방향, 두께 방향, 경사 방향 등, 다양한 방향이나 차원으로 수행할 수 있다. 연신의 온도는 수지 필름의 유리 전이 온도(Tg)에 대하여 Tg-30℃∼Tg+6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Tg-10℃∼Tg+50℃이다. For the above stretching, any suitable stretching method and stretching conditions (eg, stretching temperature, stretching ratio, stretching direction) may be employed.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use various stretching methods such as free-end stretching, fixed-end stretching, free-end contraction, fixed-end contraction, etc. alone,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The stretching direction can also be carried out in various directions or dimensions, such as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width directio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the oblique direc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temperature of extending|stretching is Tg-30 degreeC - Tg+60 degreeC with respect to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a resin film, More preferably, they are Tg-10 degreeC - Tg+50 degreeC.

상기 연신 방법, 연신 조건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상기 소망하는 광학 특성(예컨대, 굴절률 특성, 면내 위상차, Nz 계수)을 갖는 위상차 필름을 얻을 수 있다. By appropriately selecting the stretching method and stretching conditions, a retardation film having the desired optical properties (eg, refractive index characteristic, in-plane retardation, Nz coefficient) can be obtained.

하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위상차 필름은 수지 필름을 1축 연신 또는 고정단 1축 연신함으로써 제작된다. 고정단 1축 연신의 구체예로서는 수지 필름을 길이 방향으로 주행시키면서 폭 방향(횡 방향)으로 연신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연신 배율은 바람직하게는 1.1배∼3.5배이다. In one embodiment, retardation film is produced by uniaxially stretching a resin film or fixed-end uniaxial stretching. As a specific example of fixed-end uniaxial stretching, the method of extending|stretching in the width direction (transverse direction) is mentioned, running a resin film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he draw ratio is preferably 1.1 to 3.5 times.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위상차 필름은 장척상의 수지 필름을 길이 방향에 대하여 상기의 각도(θ)의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경사 연신함으로써 제작될 수 있다. 경사 연신을 채용함으로써 필름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각도(θ)의 배향각(각도(θ)의 방향으로 지상축)을 갖는 장척상의 연신 필름을 얻을 수 있고, 예컨대, 편광자와의 적층 시에 롤투롤이 가능하게 되어 제조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각도(θ)는 편광판에 있어서 편광자의 흡수축과 위상차층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일 수 있다. 각도(θ)는 상기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38°∼52°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2°∼48°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45°이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retardation film can be produced by continuously obliquely stretching a long resin film in the direction of the above-mentioned angle θ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adopting oblique stretching, a long stretched film having an orientation angle of an angle θ (slow axis in the direction of angle θ)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m can be obtained, for example, roll-to-roll when laminating with a polarizer This makes it possible to simplify the manufacturing process. Also, the angle θ may be an angle between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and the slow axis of the retardation layer in the polarizing plate. As described above, the angle θ is preferably 38° to 52°, more preferably 42° to 48°, and still more preferably about 45°.

D. 이접착층D. Easy-to-adhesive layer

이접착층(2)은 위상차층(3)의 편광자(1) 측의 표면에 설치되어 있다. 편광판(10)은 대표적으로는 표면에 이접착층(2)이 형성된 위상차층(3)과 편광자를, 접착제를 개재하여 첩합함으로써 제조된다. The easily adhesive layer 2 is provided in the surface of the phase difference layer 3 by the polarizer 1 side. The polarizing plate 10 is typically manufactured by bonding the retardation layer 3 in which the easily bonding layer 2 was formed on the surface, and a polarizer through an adhesive agent.

상술한 바와 같이, 이접착층(2)은 85℃에서의 저장 탄성률이 1.0×106Pa∼1.0×107Pa이다. 이접착층(2)의 85℃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바람직하게는 2.0×106Pa∼7.0×106Pa이다. 이에 따라, 위상차층(3)과 편광자(1)와의 밀착성이 우수하고, 또한 편광자(1)에 대한 크랙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편광판(10)으로 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가열 환경 하에서의 편광판의 사용에 의하여 수지층 전체가 팽창하고, 편광자가 수축함으로써, 이접착층에 전단력이 가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접착층의 85℃에서의 저장 탄성률이 1.0×106Pa 미만인 경우, 이접착층이 부드럽고, 가해지는 응력에 대한 변형이 크다. 따라서, 이접착층에 전단력이 가해짐으로써, 편광자(1)와의 계면에서의 밀착성의 저하, 또는 이접착층의 응집 파괴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편광자와의 계면에서 이접착층이 박리된 경우, 편광자가 노출되고 편광자에 크랙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또한, 이접착층의 85℃에서의 저장 탄성률이 1.0×106Pa 미만인 경우, 편광자에 발생한 미세한 크랙의 진행을 억제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접착층의 85℃에서의 저장 탄성률이 1.0×107Pa보다 큰 경우, 이접착층이 무르고, 이접착층에 의한 응력 완화의 기능이 부족하다. 따라서, 이접착층에 전단력이 가해짐으로써, 위상차층과 편광자와의 사이의 밀착력이 저하하고, 그 결과, 위상차층의 파괴 및/또는 이접착층의 응집 파괴 가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하여 이접착층(2)의 85℃에서의 저장 탄성률이 1.0×106Pa∼1.0×107Pa인 것에 의하여, 위상차층(3)과 편광자(1)와의 사이의 밀착력이 우수하고, 위상차층(3)의 파괴 및/또는 이접착층(2)의 응집 파괴를 억제한 편광판(10)을 얻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easily adhesive layer 2 has a storage elastic modulus at 85°C of 1.0×10 6 Pa to 1.0×10 7 Pa. The storage elastic modulus in 85 degreeC of the easily bonding layer 2 becomes like this. Preferably it is 2.0x10 6 Pa - 7.0x10 6 Pa . Thereby, it can be set as the polarizing plate 10 which is excellent in the adhesiveness of the phase difference layer 3 and the polarizer 1, and can suppress generation|occurrence|production of the crack with respect to the polarizer 1. Hereinafter, it demonstrates concretely. By use of the polarizing plate in a heating environment, the whole resin layer expands, and when a polarizer shrink|contracts, a shear force may be applied to an easily bonding layer. When the storage elastic modulus in 85 degreeC of an easily adhesive layer is less than 1.0x10 6 Pa, an easily adhesive layer is soft and the deformation|transformation with respect to the applied stress is large. Therefore, when a shearing force is applied to an easily bonding layer, the adhesive fall in the interface with the polarizer 1 or the cohesive failure of an easily bonding layer may generate|occur|produce. In particular, when the easily adhesive layer is peeled off at the interface with the polarizer,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 polarizer is exposed and cracks occur in the polarizer. Moreover, when the storage elastic modulus in 85 degreeC of an easily bonding layer is less than 1.0x10 6 Pa, progress of the fine crack which generate|occur|produced in a polarizer may not be suppressed. When the storage elastic modulus in 85 degreeC of an easily bonding layer is larger than 1.0x10 7 Pa, an easily bonding layer is soft, and the function of stress relaxation by an easily bonding layer is insufficient. Therefore, when a shear force is applied to an easily adhesive layer, the adhesive force between a retardation layer and a polarizer falls, As a result, destruction of the retardation layer and/or cohesive failure of an easily adhesive layer may occur. On the other hand, when the storage elastic modulus in 85 degreeC of the easily adhesive layer 2 is 1.0x10 6 Pa to 1.0x107 Pa, it is excellent in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retardation layer 3 and the polarizer 1, and retardation layer The polarizing plate 10 which suppressed the fracture|rupture of (3) and/or the cohesive fracture of the easily bonding layer 2 can be obtained.

가교제 존재하에서 80℃, 500시간의 조건으로 가열한 후의 이접착층(2)의 85℃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바람직하게는 1.0×106Pa∼1.0×107Pa이다. 바람직하게는, 이접착층(2)은 가교제 존재하에서 80℃, 500시간 가열 전의 85℃에서의 저장 탄성률이 1.0×106Pa∼1.0×107Pa인 것과 함께, 가교제 존재하에서 80℃, 500시간 가열 후의 85℃에서의 저장 탄성률이 1.0×106Pa∼1.0×107Pa이다. 즉, 바람직하게는 이접착층(2)은 가교제 존재하에서 80℃, 500시간 가열 전후에 있어서의 85℃에서의 저장 탄성률의 변화량이 9.0×106Pa 이하이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접착제를 개재하여 위상차층(3)과 편광자(1)를 첩합 시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이접착층을 이용한 경우, 접착제에 포함되는 가교제의 영향에 의하여 이접착층에 포함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성분의 가교가 진행하고, 그 결과 이접착층의 저장 탄성률이 경시적으로 상승하며, 위상차층과 편광자와의 밀착성이 저하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가교제 존재하에서 80℃, 500시간 가열 전후의 85℃에서의 저장 탄성률의 변화량이 9.0×106Pa 이하인 이접착층(2)을 이용함으로써, 위상차층(3)과 편광자(1)를 첩합한 후의 이접착층(2)의 저장 탄성률의 경시적인 상승을 저감하고, 위상차층(3)과 편광자(1)와의 밀착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The storage elastic modulus at 85 degreeC of the easily adhesive layer 2 after heating on conditions of 80 degreeC and 500 hours in crosslinking agent presence becomes like this. Preferably it is 1.0x10< 6 >Pa - 1.0x107Pa . Preferably, the easily adhesive layer 2 has a storage elastic modulus of 1.0×10 6 Pa to 1.0×10 7 Pa before heating at 80° C. for 500 hours at 80° C. in the presence of a cross-linking agent, and at 80° C. for 500 hours in the presence of a cross-linking agent. The storage elastic modulus at 85°C after heating is 1.0×10 6 Pa to 1.0×10 7 Pa. That is, Preferably, in the easily adhesive layer 2, the change amount of the storage elastic modulus in 85 degreeC before and behind heating at 80 degreeC and 500 hours in crosslinking agent presence is 9.0x10< 6 >Pa or less. In the case of using a conventional easily adhesive layer made of a polyvinyl alcohol-based component when bonding the retardation layer 3 and the polarizer 1 through an adhesive containing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as a main component, the influence of the crosslinking agent contained in the adhesive is By this, crosslinking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component contained in the easily adhesive layer proceeds, and as a result, the storage elastic modulus of the easily adhesive layer increases over time, and the adhesion between the retardation layer and the polarizer may decrease. On the other hand, by using the easily adhesive layer 2 whose amount of change of the storage elastic modulus in 85 degreeC before and behind 80 degreeC and 500 hours heating in the presence of a crosslinking agent is 9.0x10 6 Pa or less, the retardation layer 3 and the polarizer 1 are attached The temporal raise of the storage elastic modulus of the easily bonding layer 2 after combining can be reduced, and the fall of the adhesiveness of the phase difference layer 3 and the polarizer 1 can be suppressed.

이접착층(2)의 구성 재료로서는, 85℃에서의 저장 탄성률을 상기 범위 내로 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재료가 채용될 수 있다. 이접착층(2)은 대표적으로는 폴리올레핀계 성분과 폴리비닐알코올계 성분을 포함한다. 이 경우, 폴리올레핀계 성분과 폴리비닐알코올계 성분과의 질량비는 바람직하게는 86:14∼99:1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0:10∼98:2이다. 폴리올레핀계 성분과 폴리비닐알코올계 성분과의 질량비를 조정함으로써, 이접착층(2)(실질적으로는 이접착층(2)을 형성하는 이접착제 조성물)의 85℃에서의 저장 탄성률을 제어할 수 있다. As a constituent material of the easily adhesive layer 2, any suitable material which can make the storage elastic modulus in 85 degreeC within the said range can be employ|adopted. The easily adhesive layer 2 typically contains a polyolefin-based component and a polyvinyl alcohol-based component. In this case, the mass ratio of the polyolefin-based component to the polyvinyl alcohol-based component is preferably 86:14 to 99:1, more preferably 90:10 to 98:2. By adjusting the mass ratio of the polyolefin-based component and the polyvinyl alcohol-based component, the storage elastic modulus at 85° C. of the easily adhesive layer 2 (substantially, the easily adhesive composition forming the easily adhesive layer 2) can be controlled.

이접착층(2)은 대표적으로는 이접착제 조성물을, 위상차층(3)의 편측에 도포하여 건조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이접착층의 구성 재료의 도포 방법으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예컨대, 바 코트법, 롤 코트법, 그라비아 코트법, 로드 코트법, 슬롯오리피스 코트법, 커튼 코트법, 파운틴 코트법 등을 들 수 있다. 건조 온도로서는 대표적으로는 50℃ 이상,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다. 건조 온도를 이와 같은 범위로 함으로써, 내색성(특히, 고온고습하에서의)이 우수한 편광판을 제공할 수 있다. 건조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2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이다. The easily adhesive layer 2 is typically formed by apply|coating an easily adhesive agent composition to one side of the retardation layer 3, and drying it. Any suitable method can be employ|adopted as a coating method of the constituent material of an easily bonding layer. For example, the bar coat method, the roll coat method, the gravure coat method, the rod coat method, the slot orifice coat method, the curtain coat method, the fountain coat method etc. are mentioned. As a drying temperature, it is 50 degreeC or more typically, Preferably it is 70 degreeC or more, More preferably, it is 90 degreeC or more. By making the drying temperature into such a range, the polarizing plate excellent in color resistance (in particular under high temperature, high humidity) can be provided. The drying temperature is preferably 120°C or lower, more preferably 100°C or lower.

이접착층(2)의 두께는 임의의 적절한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접착층(2)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00nm∼1㎛, 더욱 바람직하게는 700nm∼800nm이다. 이와 같은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편광자(1)와의 밀착성이 우수할 수 있고, 이접착층(2)에 위상차가 발현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The thickness of the easily bonding layer 2 can be set to arbitrary appropriate values. The thickness of the easily adhesive layer 2 becomes like this. Preferably it is 500 nm - 1 micrometer, More preferably, it is 700 nm - 800 nm. By setting in such a range, it can be excellent in adhesiveness with the polarizer 1, and it can suppress that retardation is expressed in the easily bonding layer 2.

E. 접착제층E. Adhesive layer

위상차층(3) 및 편광자(1)는 대표적으로는 이접착층(2) 상에 형성된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첩합된다. 접착제층은 임의의 적절한 접착제로 구성될 수 있다. 접착제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nm∼300nm, 더욱 바람직하게는 10nm∼200nm, 특히 바람직하게는 20nm∼150nm이다. The retardation layer 3 and the polarizer 1 are typically bonded together via the adhesive bond layer formed on the easily bonding layer 2 . The adhesive layer may be composed of any suitable adhesive.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is preferably 10 nm to 300 nm, more preferably 10 nm to 200 nm, particularly preferably 20 nm to 150 nm.

접착제는 바람직하게는 투명성 및 광학적 등방성을 갖는다. 접착제의 형태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것이 채용될 수 있다. 구체예로서는 수성 접착제, 용제형 접착제, 에멀젼계 접착제, 무용제형 접착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열 경화형 접착제를 들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로서는 전자선 경화형 접착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가시광선 경화형 접착제를 들 수 있다. 수성 접착제가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The adhesive preferably has transparency and optical isotropy. Any suitable one may be employed as the form of the adhesive. Specific examples include water-based adhesives, solvent-based adhesives, emulsion-based adhesives, solvent-free adhesives,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s, and thermosetting adhesives. Examples of the active energy ray curing adhesive include an electron beam curing adhesive, an ultraviolet curing adhesive, and a visible ray curing adhesive. A water-based adhesive can be preferably used.

수성 접착제의 구체예로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접착제,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 젤라틴계 접착제, 비닐계 라텍스계, 수계 폴리우레탄, 수계 폴리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알코올 또는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등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아세토아세틸기를 갖는 폴리비닐알코올을 주성분으로 하는 접착제이다. 이와 같은 접착제는 시판되고 있고, 시판품의 구체예로서는 일본 합성 화학(주) 제조(상품명 '고세화이머 Z')를 들 수 있다. Specific examples of the water-based adhesive include an isocyanate-based adhesive, a polyvinyl alcohol-based adhesive, a gelatin-based adhesive, a vinyl-based latex-based adhesive, a water-based polyurethane, and an aqueous polyester. Preferably, it is a polyvinyl alcohol-type adhesive agent, such as polyvinyl alcohol or modified polyvinyl alcohol, More preferably, it is an adhesive agent containing polyvinyl alcohol which has an acetoacetyl group as a main component. Such an adhesive is marketed, and the Nippon Synthetic Chemical Co., Ltd. product (brand name "Kosefaimer Z") is mentioned as a specific example of a commercial item.

F. 보호 필름F. Protective film

보호 필름은 편광자의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필름으로 형성된다. 당해 필름의 주성분이 되는 재료의 구체예로서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나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비닐알코올계,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이미드계, 폴리에테르설폰계, 폴리설폰계, 폴리스티렌계, 폴리노보넨계, 폴리올레핀계, (메트)아크릴계, 아세테이트계 등의 투명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메트)아크릴계, 우레탄계, (메트)아크릴우레탄계, 에폭시계, 실리콘계 등의 열 경화형 수지 또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등도 들 수 있다. 이 외에도, 예컨대, 실록산계 폴리머 등의 유리질계 폴리머도 들 수 있다. 또한,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1-343529호(WO01/37007)에 기재된 폴리머 필름도 사용할 수 있다. 이 필름의 재료로서는 예컨대, 측쇄에 치환 또는 비치환의 이미드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와 측쇄에 치환 또는 비치환의 페닐기 및 니트릴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고, 예컨대, 이소부텐과 N-메틸말레이 미드로 이루어지는 교대 공중합체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를 갖는 수지 조성물을 들 수 있다. 당해 폴리머 필름은 예컨대, 상기 수지 조성물의 압출 성형물일 수 있다. The protective film is formed of any suitable film that can be used as a protective film of a polarizer. Specific examples of the material used as the main component of the film include cellulose resins such as triacetyl cellulose (TAC), polyester, polyvinyl alcohol, polycarbonate, polyamide, polyimide, polyethersulfone, and polysulfone. Transparent resins, such as a phone type, polystyrene type, polynorbornene type, polyolefin type, (meth)acrylic type, acetate type, etc. are mentioned. Moreover, thermosetting resins, such as (meth)acrylic type, a urethane type, a (meth)acryl urethane type, an epoxy type, a silicone type, or ultraviolet curable resin, etc. are mentioned. In addition to this, for example, glassy polymers, such as a siloxane type polymer, are also mentioned. Further, the polymer film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1-343529 (WO01/37007) can also be used. As a material for this film, for example, a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a thermoplastic resin having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imide group in the side chain and a thermoplastic resin having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phenyl group and a nitrile group in the side chain can be used, for example, isobutene and N- and a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an alternating copolymer composed of methylmaleimide and an acrylonitrile/styrene copolymer. The polymer film may be, for example, an extrusion molding of the resin composition.

본 발명의 편광판은 대표적으로는 화상 표시 장치의 시인측에 배치되고, 보호 필름은 대표적으로는 그 시인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보호 필름에는 필요에 따라 하드 코트 처리, 반사 방지 처리, 스티킹 방지 처리, 안티글레어 처리 등의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The polarizing plate of this invention is typically arrange|positioned on the visual recognition side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the protective film is typically arrange|positioned at the visual recognition side. Accordingly, the protective film may be subjected to surface treatment such as a hard coat treatment, an antireflection treatment, an antistick treatment, and an antiglare treatment, if necessary.

보호 필름의 두께는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한에 있어서, 임의의 적절한 두께가 채용될 수 있다. 보호 필름의 두께는, 예컨대 10㎛∼100㎛이고, 바람직하게는 30㎛∼90㎛이다. 또한,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경우, 보호 필름의 두께는 표면 처리층의 두께를 포함한 두께이다.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film may be any suitable thickness as long as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btained. The thickness of a protective film is 10 micrometers - 100 micrometers, for example, Preferably they are 30 micrometers - 90 micrometers. In addition, when surface treatment is performed, the thickness of a protective film is the thickness including the thickness of a surface treatment layer.

G. 다른 보호층 G. Different protective layers

필요에 따라 배치되는 다른 보호층(내측 보호층)도 또한, 편광자의 보호층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필름으로 형성된다. 당해 필름의 주성분이 되는 재료는 보호 필름에 관하여 상기 F 항목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내측 보호층의 두께는 예컨대 15㎛∼35㎛이고, 바람직하게는 20㎛∼30㎛이다. 내측 보호층은 광학적으로 등방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광학적으로 등방성인'이란 면내 위상차 Re(550)이 0nm∼10nm이고, 두께 방향의 위상차 Rth(550)이 -10nm∼+ 10nm인 것을 말한다. Another protective layer (inner protective layer) disposed as needed is also formed of any suitable film usable as a protective layer of the polarizer. The material used as the main component of the film is the same as described in the above F item for the protective film. The thickness of the inner protective layer is, for example, 15 µm to 35 µm, preferably 20 µm to 30 µm. The inner protective layer is preferably optically isotropic.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optically isotropic" means that the in-plane retardation Re (550) is 0 nm to 10 nm, and the retardation Rth (550) in the thickness direction is -10 nm to +10 nm.

H. 기타H. Other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형태로서, 상기 수지층이 위상차층(3) 인 편광판(10)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편광판에서는 상기 수지층은 편광자(1)의 위상차층(3) 측에 설치될 수 있는 내측 보호층일 수 있고, 편광자(1)와 내측 보호층이 이접착층을 개재하여 접착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의 편광판에서는 상기 수지층은 편광자(1)의 위상차층(3)은 반대측에 설치될 수 있는 보호 필름일 수 있고, 편광자(1)와 보호 필름이 이접착층을 개재하여 접착되어 있어도 된다. As described above,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arizing plate 10 in which the resin layer is the retardation layer 3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in the polarizing plat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in layer may be an inner protective layer that can be installed on the retardation layer 3 side of the polarizer 1, and the polarizer 1 and the inner protective layer have an easily adhesive layer interposed therebetween. and may be adhered. In addition, in the polarizing plat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in layer may be a protective film that can be install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retardation layer 3 of the polarizer 1, and the polarizer 1 and the protective film have an easily adhesive layer. You may adhere|attach through it.

I. 표시 장치I. INDICATORS

상기 A 항목에서 H 항목에 기재된 편광판은 액정 표시 장치 및 유기 EL 표시 장치 등의 표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편광판을 이용한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소자와, 표시 소자의 시인측에 배치된 상기 A 항목에서 H 항목에 기재된 편광판을 구비한다. 편광판은 위상차층이 표시 소자 측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The polarizing plate described in the item A to the item H may be applied to a display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an organic EL display device.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device using the polarizing plate.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element and 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item A to item H, which is disposed on the viewer side of the display element. The polarizing plate is arrange|positioned so that the retardation layer may become a display element side.

[실시예] [Example]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although an Example demonstrates this invention concretely,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xamples.

<실시예 1><Example 1>

1. 편광자의 제작1. Fabrication of polarizer

두께 60㎛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고분자 필름(쿠라레(주) 제조, 상품명 'VF-PE #6000')을 하기 (1)∼(5) 조건의 5개 욕(浴)에 필름 길이 방향으로 장력을 부여하면서 침지하고, 최종적인 연신 배율이 필름 원래 길이에 대하여 6.2배가 되도록 연신하였다. 이 연신 필름을 40도의 공기 순환식 건조 오븐 내에서 1분간 건조시켜 편광자를 제작하였다.A polymer film (manufactured by Kuraray Co., Ltd., trade name 'VF-PE #6000') containing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having a thickness of 60 µm as a main component was placed in five baths under the conditions (1) to (5) below. It was immersed while applying tens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m, and stretched so that the final draw ratio was 6.2 times the original length of the film. The polarizer was produced by drying this stretched film for 1 minute in 40 degreeC air circulation type drying oven.

<조건><condition>

(1) 팽윤욕: 30도의 순수.(1) Swelling bath: 30 degree pure water.

(2) 염색욕: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035중량부의 요오드와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2중량부의 요오드화 칼륨을 포함하는, 30도의 수용액.(2) Dyeing bath: An aqueous solution at 30 degrees containing 0.035 parts by weight of iodine and 0.2 parts by weight of potassium iodide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3) 제1 가교욕: 3중량%의 요오드화 칼륨과 3중량%의 붕산을 포함하는 40도의 수용액. (3) 1st crosslinking bath: 40 degreeC aqueous solution containing 3 weight% of potassium iodide and 3 weight% of boric acid.

(4) 제2 가교욕: 5중량%의 요오드화 칼륨과 4중량%의 붕산을 포함하는 60도의 수용액. (4) Second crosslinking bath: an aqueous solution at 60 degrees containing 5% by weight of potassium iodide and 4% by weight of boric acid.

(5) 수세욕: 3중량%의 요오드화 칼륨을 포함하는 25도의 수용액. (5) Water washing bath: A 25 degree aqueous solution containing 3% by weight of potassium iodide.

2. 위상차층을 구성하는 위상차 필름의 제작2. Preparation of retardation film constituting retardation layer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필름의 제작) (Production of polycarbonate resin film)

비스[9-(2-페녹시카르보닐에틸)플루오렌-9-일]메탄 38.06중량부(0.059몰)와 이소소르비드(로켓플뢰레사 제조, 상품명 'POLYSORB') 53.73중량부(0.368몰)와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시스, 트랜스 혼합물, SK 케미칼사 제조) 9.64중량부(0.067몰)와 디페닐카보네이트(미쓰비시 화학사 제조) 81.28중량부(0.379몰)와 촉매로서의 초산 칼슘 1수화물 3.83×10- 4중량부(2.17×10-6몰)를 반응 용기에 투입하고, 반응 장치 내를 감압 질소 치환하였다. 질소 분위기하, 150℃에서 약 10분간, 교반하면서 원료를 용해시켰다. 반응 1단째의 공정으로서 220℃까지 30분에 걸쳐서 승온하고 60분간 상압에서 반응하였다. 이어서 압력을 상압에서 13.3kPa까지 90분에 걸쳐서 감압하고 13.3kPa에서 30분간 유지하여 발생하는 페놀을 반응계 밖으로 빼내었다. 이어서 반응 2단째의 공정으로서 열매(熱媒) 온도를 15분에 걸쳐서 240℃까지 승온하면서 압력을 0.10kPa 이하까지 15분에 걸쳐서 감압하고, 발생하는 페놀을 반응계 밖으로 빼내었다. 소정의 교반 토크에 도달한 후, 질소로 상압까지 복압하여 반응을 정지하고, 생성된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를 수중에 압출하여 스트랜드를 커팅하여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펠렛을 얻었다.38.06 parts by weight (0.059 mol) of bis[9-(2-phenoxycarbonylethyl)fluoren-9-yl]methane and 53.73 parts by weight (0.368 mol) of isosorbide (manufactured by Rocket Fleureth, trade name 'POLYSORB') With 1,4-cyclohexanedimethanol (cis and trans mixture, manufactured by SK Chemicals) 9.64 parts by weight (0.067 mol) and diphenyl carbonate (made by Mitsubishi Chemical) 81.28 parts by weight (0.379 mol) and calcium acetate monohydrate as a catalyst 3.83×10 −4 parts by weight (2.17×10 −6 mol) was charged into the reaction vessel, and the inside of the reaction apparatus was purged with reduced pressure nitrogen. The raw material was dissolved while stirring for about 10 minutes at 150°C in a nitrogen atmosphere. As the first step of the reaction, the temperature was raised to 220° C. over 30 minutes, and the reaction was carried out at atmospheric pressure for 60 minutes. Then, the pressure was reduced from normal pressure to 13.3 kPa over 90 minutes and maintained at 13.3 kPa for 30 minutes to remove the generated phenol out of the reaction system. Subsequently, as a step of the second stage of the reaction, the pressure was reduced to 0.10 kPa or less over 15 minutes while the temperature of the heat medium was raised to 240° C. over 15 minutes, and the generated phenol was taken out of the reaction system. After reaching a predetermined stirring torque, the reaction was stopped by returning the pressure to normal pressure with nitrogen, and the resulting polyester carbonate was extruded in water to cut the strands to obtain polycarbonate resin pellets.

(위상차 필름 제작) (Production of retardation film)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펠렛으로 구성되는 필름을 경사 연신하여 위상차 필름(두께: 57㎛, 광탄성 계수: 16×10-12Pa, Re(450): 120nm, Re(550): 140nm, Re(450)/Re(550): 0.86)을 얻었다. 그때, 연신 방향은 필름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45°로 하였다. 또한, 얻어지는 위상차 필름이 λ/4의 위상차를 발현하도록 연신 배율은 2∼3배로 조정하였다. 또한, 연신 온도는 148℃(즉, 미연신 변성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의 Tg+5℃)로 하였다.Retardation film (thickness: 57 μm, photoelastic coefficient: 16 × 10 -12 Pa, Re (450): 120 nm, Re (550): 140 nm, Re (450) / Re(550): 0.86) was obtained. In that case, the extending|stretching direction was made into 4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 film. In addition, the draw ratio was adjusted to 2-3 times so that the retardation film obtained might express the retardation of (lambda)/4. In addition, the extending|stretching temperature was 148 degreeC (namely, Tg+5 degreeC of unstretched modified polycarbonate film).

3. 이접착층의 형성3. Formation of an easily adhesive layer

폴리올레핀계 성분과 폴리비닐알코올계 성분과의 질량비가 98:2가 되도록,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유니티카(주) 제조, 상품명 '애로우베이스 SE-1030N')를 8중량부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니혼 고세이 화학 공업사 제조, 상품명 '고세화이머 Z200')의 수용액을 0.9중량부와, 순수 27.0중량부를 혼합하고 이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8 parts by weight of a modified polyolefin resin (manufactured by Unitica, trade name 'Arrow Base SE-1030N') and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such that the mass ratio of the polyolefin-based component and the polyvinyl alcohol-based component is 98:2 (The Nippon Kosei Chemical Industry Co., Ltd. make, brand name 'Kose-Faimer Z200') was mixed with 0.9 weight part of aqueous solution and 27.0 weight part of pure waters, and the easily adhesive composition was obtained.

동적 점탄성 측정 장치(TA Instruments사 제조, 상품명 'RSA- G2')를 이용하여 부하 모드를 인장 모드로 하고, 승온 속도 10℃/분, 주파수 1Hz, 초기 변형 0.1%로 하여 얻어진 이접착제 조성물의 저장 탄성률을 측정하였다. 얻어진 이접착제 조성물의 85℃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2.4×106Pa이었다. 또한, 가교제 존재하에서 80℃, 500시간의 조건으로 가열한 후의 이접착제 조성물의 85℃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6.7×106Pa이었다. Using a dynamic viscoelasticity measuring device (manufactured by TA Instruments, trade name 'RSA-G2'), the load mode was set to the tensile mode, the temperature increase rate was 10°C/min, the frequency was 1 Hz, and the obtained easy-adhesive composition was stored at 0.1% initial strain. The elastic modulus was measured. The storage elastic modulus in 85 degreeC of the obtained easily adhesive agent composition was 2.4x10 6 Pa. Moreover, the storage elastic modulus in 85 degreeC of the easily adhesive agent composition after heating on conditions of 80 degreeC and 500 hours in crosslinking agent presence was 6.7x10 6 Pa.

얻어진 이접착제 조성물을 위상차 필름의 한쪽 면에 건조 후의 두께가 500nm가 되도록 바코터(#6)로 도포하였다. 그 후,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필름을 열풍 건조기(90℃)에 투입하고 이접착제 조성물을 약 5분 건조시킴으로써 위상차 필름의 한쪽면에 이접착층(두께 500nm)을 형성하였다. The obtained easily adhesive composition was apply|coated on one side of retardation film with a bar coater (#6) so that the thickness after drying might be set to 500 nm. Thereafter, an easily adhesive layer (thickness 500 nm) was formed on one side of the retardation film by putting the polycarbonate-based resin film in a hot air dryer (90° C.) and drying the easily adhesive composition for about 5 minutes.

4. 편광판의 제작4. Fabrication of polarizing plate

위상차 필름의 이접착층 형성면에 편광자를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용성 접착제(니혼 고세이 화학 공업사 제조, 상품명 '고세화이머 Z200')를 개재하여 첩합하였다. 또한, 편광자와 위상차 필름은 편광자의 흡수축과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가 45°가 되도록 첩합하였다. 이어서, 편광자의 위상차층과는 반대측의 면에 보호 필름으로서 TAC 필름(다이니폰 인쇄사 제조, 상품명 'DSG-03', 두께 70㎛)을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용성 접착제(니혼 고세이 화학 공업사 제조, 상품명 '고세화이머 Z200')를 개재하여 첩합함으로써 편광판을 얻었다. The polarizer was bonded to the easily-adhesive layer-forming surface of the retardation film via a water-soluble adhesive having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as a main component (manufactured by Nippon Kosei Chemical Industry Co., Ltd., trade name 'Kosefaimer Z200'). In addition, the polarizer and the retardation film were pasted together so that the angle which the absorption axis of a polarizer and the slow axis of retardation film make may be set to 45 degrees. Next, on the surface opposite to the retardation layer of the polarizer, a TAC film (manufactured by Dainippon Printing, trade name 'DSG-03', thickness 70 µm) as a protective film is applied to a water-soluble adhesive (Nippon Kosei Chemical) containing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as a main component. The polarizing plate was obtained by bonding together through the industrial company make, brand name "Kosefimer Z200").

<실시예 2><Example 2>

폴리올레핀계 성분과 폴리비닐알코올계 성분과의 질량비가 90:10이 되도록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와 순수를 혼합하여 이접착제 조성물을 얻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또한, 얻어진 이접착제 조성물의 85℃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6.4×106Pa이었다. 또한, 가교제 존재하에서 80℃, 500시간의 조건으로 가열한 후의 이접착제 조성물의 85℃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8.2×106Pa이었다. A polarizing plat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an easily adhesive composition was obtained by mixing the modified polyolefin resin,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and pure water so that the mass ratio of the polyolefin-based component and the polyvinyl alcohol-based component was 90:10. . Moreover, the storage elastic modulus in 85 degreeC of the obtained easily adhesive agent composition was 6.4x10 6 Pa. Moreover, the storage elastic modulus in 85 degreeC of the easily adhesive composition after heating on conditions of 80 degreeC and 500 hours in crosslinking agent presence was 8.2x10 6 Pa.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폴리올레핀계 성분과 폴리비닐알코올계 성분과의 질량비가 10:0이 되도록,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이용하지 않고,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와 순수를 혼합하여 이접착제 조성물을 얻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또한, 얻어진 이접착제 조성물의 85℃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8.8×105Pa이었다. 또한, 가교제 존재하에서 80℃, 500시간의 조건으로 가열한 후의 이접착제 조성물의 85℃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8.9×105Pa이었다.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an easily adhesive composition was obtained by mixing a modified polyolefin resin and pure water without using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so that the mass ratio of the polyolefin-based component and the polyvinyl alcohol-based component was 10:0. Thus, a polarizing plate was manufactured. Moreover, the storage elastic modulus in 85 degreeC of the obtained easily adhesive agent composition was 8.8x10 5 Pa. Moreover, the storage elastic modulus in 85 degreeC of the easily adhesive composition after heating under the conditions of 80 degreeC and 500 hours in crosslinking agent presence was 8.9x10 5 Pa.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폴리올레핀계 성분과 폴리비닐알코올계 성분과의 질량비가 85:15가 되도록,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와 순수를 혼합하여 이접착제 조성물을 얻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또한, 얻어진 이접착제 조성물의 85℃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1.6×107Pa이었다. 또한, 가교제 존재하에서 80℃, 500시간의 조건으로 가열한 후의 이접착제 조성물의 85℃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8.2×108Pa이었다.A polarizing plat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an easily adhesive composition was obtained by mixing the modified polyolefin resin,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and pure water so that the mass ratio of the polyolefin-based component and the polyvinyl alcohol-based component was 85:15. did Moreover, the storage elastic modulus in 85 degreeC of the obtained easily adhesive agent composition was 1.6x10 7 Pa. Moreover, the storage elastic modulus in 85 degreeC of the easily adhesive composition after heating under the conditions of 80 degreeC and 500 hours in crosslinking agent presence was 8.2x10< 8 >Pa.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폴리올레핀계 성분과 폴리비닐알코올계 성분과의 질량비가 70:30이 되도록,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와 순수를 혼합하여 이접착제 조성물을 얻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또한, 얻어진 이접착제 조성물의 85℃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4.5×107Pa이었다. 또한, 가교제 존재하에서 80℃, 500시간의 조건으로 가열한 후의 이접착제 조성물의 85℃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8.8×108Pa이었다. A polarizing plat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an easily adhesive composition was obtained by mixing the modified polyolefin resin,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and pure water so that the mass ratio of the polyolefin-based component and the polyvinyl alcohol-based component was 70:30. did Moreover, the storage elastic modulus in 85 degreeC of the obtained easily adhesive agent composition was 4.5x10 7 Pa. Moreover, the storage elastic modulus in 85 degreeC of the easily adhesive composition after heating under the conditions of 80 degreeC and 500 hours in crosslinking agent presence was 8.8x10< 8 >Pa.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폴리올레핀계 성분과 폴리비닐알코올계 성분과의 질량비가 0:10이 되도록,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를 이용하지 않고,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와 순수를 혼합하여 이접착제 조성물을 얻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또한, 얻어진 이접착제 조성물의 85℃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2.3×108Pa이었다. 또한, 가교제 존재하에서 80℃, 500시간의 조건으로 가열한 후의 이접착제 조성물의 85℃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9.5×109Pa이었다.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an easily adhesive composition was obtained by mixing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and pure water without using a modified polyolefin resin, so that the mass ratio of the polyolefin-based component and the polyvinyl alcohol-based component was 0:10. Thus, a polarizing plate was manufactured. In addition, the storage elastic modulus in 85 degreeC of the obtained easily adhesive agent composition was 2.3x10< 8 >Pa. Moreover, the storage elastic modulus in 85 degreeC of the easily adhesive composition after heating on conditions of 80 degreeC and 500 hours in crosslinking agent presence was 9.5x10< 9 >Pa.

<비교예 5><Comparative Example 5>

수계 우레탄 수지(다이이치 공업 제약(주) 제조, 상품명 '슈퍼플렉스 210')를 10중량부와, 옥사졸린계 가교제(닛폰쇼쿠바이(주) 제조, 상품명 '에포크로스WS700')를 1.8중량부와, 순수 83중량부를 혼합하고 이접착제 조성물을 얻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이접착제 조성물의 85℃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2.0×108Pa이었다. 또한, 80℃, 500시간의 조건으로 가열한 후의 이접착제 조성물의 85℃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4.1×108Pa이었다. 10 parts by weight of a water-based urethane resin (manufactured by Daiichi Kogyo Pharmaceutical Co., Ltd., trade name 'Superflex 210') and 1.8 parts by weight of an oxazoline-based crosslinking agent (manufactured by Nippon Shokubai Co., Ltd., trade name 'Epocross WS700') A polarizing plat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83 parts by weight of pure water was mixed and an easily adhesive composition was obtained. The storage elastic modulus in 85 degreeC of the obtained easily adhesive agent composition was 2.0x10< 8 >Pa. Moreover, the storage elastic modulus in 85 degreeC of the easily adhesive agent composition after heating on 80 degreeC and the conditions of 500 hours was 4.1x10< 8 >Pa.

(평가)(evaluation)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하여 다음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The following evaluation was performed about the said Example and the comparative example. An evaluation result is shown in Table 1.

(1) 초기 밀착성 시험(1) Initial adhesion test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편광판의 위상차층 측에 점착제를 도포하여 유리 기판에 첩합하고, 측정용 샘플을 제작하였다. 이 측정용 샘플의 편광자와 이접착층과의 사이에 커터 나이프로 칼집을 넣고, 편광자 및 보호 필름을 위상차층의 표면에 대하여 90°의 각도를 이루도록 세워, 박리 속도 3000mm/분으로 박리 시에 필요한 힘(박리력:N/15mm)을 각도 자유자재 타입 점착·피막 박리 해석 장치(교와 계면 화학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VPA-2')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편광판으로서 실용화하기 위해 박리력은 1N/15mm 이상일 필요가 있다. The adhesive was apply|coated to the retardation layer side of the polarizing plate obtained by the said Example and the comparative example, and it bonded together to the glass substrate, and the sample for a measurement was produced. Insert a cut with a cutter knife between the polarizer of this measurement sample and the easily adhesive layer, and set the polarizer and the protective film at an angle of 90° with respect to the surface of the retardation layer, and the force required for peeling at a peeling rate of 3000 mm/min. (Peeling force: N/15 mm) was measured using an angle freedom type adhesion/film peeling analyzer (manufactured by Kyowa Interface Chemical Co., Ltd., trade name 'VPA-2'). In addition, in order to be put to practical use as a polarizing plate, the peeling force needs to be 1N/15mm or more.

(2) 가습 시험 후의 편광자의 박리(2) Peeling of polarizer after humidification test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편광판을 60℃, 95% RH에서 500시간 가습한 후, 광학 현미경을 이용하여 편광자의 박리의 유무를 관찰하였다. After humidifying the polarizing plates obtain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t 60° C. and 95% RH for 500 hours, the presence or absence of peeling of the polarizer was observed using an optical microscope.

(3) 히트쇼크 시험 후의 편광자의 크랙(3) Crack of polarizer after heat shock test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편광판을 -40℃와 85℃의 온도 환경하에 각각 30분 유지하는 것을 300회 반복한 후, 광학 현미경을 이용하여 편광자의 크랙의 유무를 관찰하였다.After repeating 300 times of maintaining the polarizing plates obtain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for 30 minutes in a temperature environment of -40°C and 85°C, respectively, the presence or absence of cracks in the polarizer was observed using an optical microscope.

(4) 가열 시험 후의 편광자의 박리(4) Peeling of polarizer after heating test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편광판을 80℃에서 500시간 가열한 후, 광학 현미경을 이용하여 편광자의 박리의 유무를 관찰하였다. After heating the polarizing plates obtain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t 80° C. for 500 hours, the presence or absence of peeling of the polarizer was observed using an optical microscope.

[표 1] [Table 1]

Figure 112019017011071-pct00004
Figure 112019017011071-pct00004

[산업상 이용 가능성][Industrial Applicability]

본 발명의 편광판은, 예컨대, 화상 표시 장치에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액정 TV, 액정 디스플레이, 휴대전화, 디지털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휴대용 게임기, 자동차 네비게이션, 복사기, 프린터, 팩스, 시계, 전자 레인지 등의 액정 패널, 유기 EL 디바이스의 반사 방지판 등으로서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The polarizing plate of this invention is used suitably for an image display apparatus, for example. Specifically, it is suitable as a liquid crystal panel for liquid crystal TVs, liquid crystal displays, mobile phones, digital cameras, video cameras, portable game machines, car navigation systems, copiers, printers, fax machines, watches, microwaves, etc., as well as anti-reflection plates for organic EL devices. is used sparingly

1 : 편광자
2 : 이접착층
3 : 위상차층(수지층)
10 : 편광판
1: Polarizer
2: easily adhesive layer
3: Retardation layer (resin layer)
10: polarizer

Claims (10)

수지층과 편광자를 갖고,
상기 수지층과 상기 편광자는 이접착층을 개재하여 적층되어 있으며,
상기 수지층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필름으로 구성되는, 면내 위상차를 갖는 위상차층이며,
상기 위상차층의 면내 위상차 Re(550)은 100nm∼180nm이고, 또한 Re(450)<Re(550)의 관계를 만족하고,
상기 이접착층의 85℃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1.0×106Pa∼1.0×107Pa인,
편광판:
여기서, Re(450) 및 Re(550)은 각각 23℃에 있어서의 파장 450nm 및 550nm의 광으로 측정한 면내 위상차를 나타낸다.
It has a resin layer and a polarizer,
The resin layer and the polarizer are laminated with an easily adhesive layer interposed therebetween,
The resin layer is a retardation layer having an in-plane retardation, which is composed of a polycarbonate-based resin film,
The in-plane retardation Re (550) of the retardation layer is 100 nm to 180 nm, and also satisfies the relationship of Re (450) < Re (550),
The storage elastic modulus at 85° C. of the easily adhesive layer is 1.0×10 6 Pa to 1.0×10 7 Pa,
Polarizer:
Here, Re(450) and Re(550) represent the in-plane retardation measured with the light of wavelength 450nm and 550nm in 23 degreeC,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접착층은 가교제 존재하에서 80℃, 500시간의 조건으로 가열한 후의 85℃에서의 저장 탄성률이 1.0×106Pa∼1.0×107Pa인 편광판.
According to claim 1,
The easily adhesive layer is a polarizing plate having a storage elastic modulus of 1.0×10 6 Pa to 1.0×10 7 Pa at 85° C. after heating at 80° C. under the conditions of 500 hours in the presence of a crosslinking agen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접착층이 폴리올레핀계 성분과 폴리비닐알코올계 성분을 포함하는 편광판.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A polarizing plate wherein the easily adhesive layer includes a polyolefin-based component and a polyvinyl alcohol-based componen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성분과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성분과의 질량비가 98:2∼90:10인 편광판.
4. The method of claim 3,
A polarizing plate having a mass ratio of the polyolefin-based component to the polyvinyl alcohol-based component of 98:2 to 90: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접착층의 두께가 500nm∼1㎛인 편광판.
According to claim 1,
A polarizing plate having a thickness of 500 nm to 1 μm of the easily adhesive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접착층과 상기 편광자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제를 개재하여 첩합되어 있는 편광판.
According to claim 1,
The polarizing plate by which the said easily adhesive layer and the said polarizer are bonded through the adhesive agent containing a polyvinyl alcohol-type resi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의 흡수축과 상기 위상차층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가 38°∼52°인 편광판.

According to claim 1,
An angle between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and the slow axis of the retardation layer is 38° to 52°.

삭제delete
KR1020197004790A 2016-08-30 2017-07-06 Polarizer KR10240878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67459 2016-08-30
JP2016167459A JP6794181B2 (en) 2016-08-30 2016-08-30 Polarizer
PCT/JP2017/024824 WO2018042878A1 (en) 2016-08-30 2017-07-06 Polarizing pla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0969A KR20190040969A (en) 2019-04-19
KR102408789B1 true KR102408789B1 (en) 2022-06-15

Family

ID=61300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4790A KR102408789B1 (en) 2016-08-30 2017-07-06 Polarizer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794181B2 (en)
KR (1) KR102408789B1 (en)
CN (1) CN109642978A (en)
TW (1) TWI743179B (en)
WO (1) WO2018042878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8928B1 (en) * 2017-01-30 2024-02-20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display device
JP7305306B2 (en) * 2018-03-30 2023-07-10 日東電工株式会社 circular polarizer
JP7258475B2 (en) * 2018-05-23 2023-04-17 日東電工株式会社 Polarizing plate with surface protective film
KR20200005888A (en) 2018-07-09 2020-01-17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Optical multilayer film, optical component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JP2021047235A (en) * 2019-09-17 2021-03-25 日東電工株式会社 Retardation film with adhesive layer, polarizing plate with retardation lay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retardation film with adhesive layer
CN116848442A (en) * 2021-02-08 2023-10-03 柯尼卡美能达株式会社 Optical film,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device
JP7358429B2 (en) * 2021-09-06 2023-10-10 日東電工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retardation film with easy adhesive layer, retardation film with easy adhesive layer, and polarizing plate with retardation lay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65199A (en) 2006-12-04 2008-07-17 Sumitomo Chemical Co Ltd Elliptically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JP2016099397A (en) * 2014-11-18 2016-05-30 Jsr株式会社 Retardation film laminate, polarizing plate, and production method of retardation film laminat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6332A (en) * 1999-01-18 2000-07-28 Okura Ind Co Ltd Manufacture of phase difference film
JP2003185833A (en) * 2001-12-14 2003-07-03 Toyo Kohan Co Ltd Protective film for polarizer and polarizing plate using the same
JP2005173462A (en) * 2003-12-15 2005-06-30 Nitto Denko Corp Glass crack prevention lamin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JP2004354557A (en) * 2003-05-28 2004-12-16 Nitto Denko Corp Polarizing plate,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JP4759518B2 (en) * 2004-10-14 2011-08-31 帝人株式会社 Polycarbonate having low photoelastic constant and film comprising the same
JP4697098B2 (en) * 2006-09-05 2011-06-08 東ソー株式会社 Retardation film
JP2009037061A (en) * 2007-08-02 2009-02-19 Teijin Chem Ltd Polarizing plate
JP5120938B2 (en) * 2008-03-05 2013-01-16 住友化学株式会社 Retardation film with adhesive layer, elliptically polarizing plate us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WI401479B (en) 2010-12-09 2013-07-11 Sumitomo Chemical Co Process for producing polarizing laminate film and polarizing plate
JP2012215775A (en) * 2011-04-01 2012-11-08 Sekisui Chem Co Ltd Optical compensation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2890301A (en) * 2011-07-20 2013-01-23 富士胶片株式会社 Polarizing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5528606B2 (en) * 2012-06-21 2014-06-25 日東電工株式会社 Polarizing plate and organic EL panel
JP2014170221A (en) * 2013-02-07 2014-09-18 Nitto Denko Corp Circular polarizing plate and bendable display device
JP6009413B2 (en) * 2013-05-02 2016-10-1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Liquid crystal display
JPWO2014196637A1 (en) * 2013-06-06 2017-02-2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Optical sheet member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CN104345372B (en) * 2013-08-09 2018-04-10 住友化学株式会社 Optical film
JP2015066748A (en) * 2013-09-27 2015-04-1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Gas barrier substrate for optical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optical film,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device
CN105729962B (en) * 2014-12-24 2018-01-05 住友化学株式会社 The manufacture method of polarizing coating, polarizer and polarizing coating
KR101839672B1 (en) * 2015-02-12 2018-03-16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olarizing film and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65199A (en) 2006-12-04 2008-07-17 Sumitomo Chemical Co Ltd Elliptically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JP2016099397A (en) * 2014-11-18 2016-05-30 Jsr株式会社 Retardation film laminate, polarizing plate, and production method of retardation film lamin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811564A (en) 2018-04-01
TWI743179B (en) 2021-10-21
WO2018042878A1 (en) 2018-03-08
JP2018036345A (en) 2018-03-08
KR20190040969A (en) 2019-04-19
CN109642978A (en) 2019-04-16
JP6794181B2 (en) 2020-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8789B1 (en) Polarizer
CN107407757B (en) Polarizing plate with phase difference layer and image display apparatus
KR101814252B1 (en) Polarizing plate laminated with retardation layer and image display device
KR102563679B1 (en) Circular polarizing plate and flexible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2018106210A (en) Polarizing plate and organic EL panel
JP2014026266A (en) Polarizing plate and organic el panel
JP7044468B2 (en) An optical laminate and an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optical laminate
JP2017062517A (en) Polarizing film with retardation layer, and image display device
KR20200136886A (en) Circular polarizer
WO2017098970A1 (en) Circular polarizing plate and flexible image display device using same
KR20170027303A (en) Optical laminate
KR102518911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retardation film, circular polarizing plate and retardation film
JP2019091091A (en) Circularly polarizing plate and bendable display device
WO2017135239A1 (en) Optical laminate and image display device in which said optical laminate is used
WO2021070467A1 (en) Phase difference layer-attached polarization plate and 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 using same
TW202107127A (en) Set of polarizing plates
WO2022244301A1 (en) Circular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same
JP2020042166A (en) Substrate for surface protective film, surface protective film using the substrate, and polarizing plate with retardation layer and with surface protective film
JP2023073124A (en) Polarizer with phase difference layer and image display device with the same
KR20220118403A (en) Polarizing plate with retardation layer and image display device
KR20190133611A (en) Polarizing plate with surface protective film
JP2020034673A (en) Retardation film, polarizing plate with retardation lay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retardation fil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