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8097B1 - 정면 선반 장치 - Google Patents

정면 선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8097B1
KR102408097B1 KR1020200034818A KR20200034818A KR102408097B1 KR 102408097 B1 KR102408097 B1 KR 102408097B1 KR 1020200034818 A KR1020200034818 A KR 1020200034818A KR 20200034818 A KR20200034818 A KR 20200034818A KR 102408097 B1 KR102408097 B1 KR 1024080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housing
unit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4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8510A (ko
Inventor
박진우
Original Assignee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위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4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8097B1/ko
Publication of KR20210118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8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8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8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00General-purpose turning-machines or devices, e.g. centre lathes with feed rod and lead screw; Sets of turning-machines
    • B23B3/08Turning-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faceplates
    • B23B3/12Turning-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faceplates with the faceplate vertical, i.e. face lat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00General-purpose turning-machines or devices, e.g. centre lathes with feed rod and lead screw; Sets of turning-machines
    • B23B3/30Turning-machines with two or more working-spindles, e.g. in fixed arrangement
    • B23B3/32Turning-machines with two or more working-spindles, e.g. in fixed arrangement for performing identical operations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work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8Protective coverings for parts of machine tools; Splash guards
    • B23Q11/0825Relatively slidable coverings, e.g. telescop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8Protective coverings for parts of machine tools; Splash guards
    • B23Q11/0875Wipers for clearing foreign matter from slideways or slidable cove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면 선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과, 회전 중심축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하우징에 구비되는 제1주축부와 제2주축부, 제1주축부와 제2주축부의 전방에 각각 마련되는 제1작업부와 제2작업부, 제1작업부와 제2작업부를 가로막도록 배치되고, 제1주축부와 제2주축부의 사이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어 제1작업부와 제2작업부를 개폐하는 개폐부와, 개폐부의 인출 작동을 안내하도록 하우징에 구비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면 선반 장치{FACE LATHE APPARATUS}
본 발명은 정면 선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작물을 가공하기 위한 주축이 병렬로 배치된 정면 선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작 기계는 가공과정에서 칩이 발생하는 절삭 공작 기계와 가공과정에서 칩이 발생하지 않는 비절삭 공작 기계로 구분된다. 절삭 공작 기계에는 선반, 밀링기, 머시닝센터, 드릴링기, 보링기, 연삭기, 기어가공기, 특수가공기 등이 있고, 비절삭 정면 선반 장치에는 기계식 프레스, 유압식 프레스, 절단절곡기, 단조기, 인발기 등이 있다.
이러한 공작 기계 중 선반은 가공의 대상이 되는 공작물을 회전시키며 고정된 엔드밀등으로 깎거나 파내는 가공을 하는 공작 기계이다. 이러한 선반의 종류 중 병렬 정면 선반은 베드를 가능한 짧게 하여 주로 공작 공작물의 단면절삭에 쓰이는 것으로 길이가 짧고 직경이 큰 공작물의 절삭에 사용하는 선반으로, 베드에 공작물을 고정시켜 회전되는 2개의 주축이 나란하게 설치되고 칸막이에 의해 2개의 주축의 작업공간이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병렬 정면 선반의 칸막이는 좌우로 회전하는 방식으로 설치되어 칸막이를 어느 한쪽으로 돌려놓고 작업이 종료되면 반대편 작업 시 다시 칸막이를 회전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칸막이의 이동각도의 제한으로 작업공간이 협소해서 작업 시 불편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96702호(2013.08.08 등록, 발명의 명칭: 2축 정면 선반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더 넓은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정면 선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에 따라 발생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정면 선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정면 선반 장치는: 하우징; 회전 중심축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제1주축부와 제2주축부; 상기 제1주축부와 상기 제2주축부의 전방에 각각 마련되는 제1작업부와 제2작업부; 상기 제1작업부와 상기 제2작업부를 가로막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주축부와 상기 제2주축부의 사이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작업부와 상기 제2작업부를 개폐하는 개폐부; 및 상기 개폐부의 인출 작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개폐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내부로 함몰형성되는 가이드홈에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홈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갖도록 구비되는 개폐부재; 및 상기 개폐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홈의 측면에 구름접촉되어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가이드홈에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상기 개폐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홈의 일측면에 접하는 제1회전부재; 및 상기 개폐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홈의 타측면에 접하는 제2회전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개폐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1주축부와 상기 제2주축부 사이에 구비되는 삽입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개폐부의 일측과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1레일부; 및 상기 제1레일부와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개폐부의 타측과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2레일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레일부는, 상기 개폐부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개폐부의 일측이 삽입되는 제1레일부재; 및 상기 개폐부의 슬라이드 경로를 가로막도록 배치되어 상기 개폐부가 상기 삽입부로 설정 깊이 이상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레일부는, 상기 개폐부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개폐부의 타측이 삽입되는 제2레일부재; 및 상기 제2레일부재를 상기 하우징에 고정시키고, 상기 제2레일부재와 상기 하우징간의 상대위치를 조절가능하게 구비되는 위치조절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제2레일부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에 접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가 상기 하우징에 접하는 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관통홀부; 및 상기 관통홀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으로 삽입되어 상기 연결부를 상기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면 선반 장치는 상기 개폐부와 접촉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개폐부가 상기 제1주축부와 상기 제2주축부 사이로 인출됨에 따라 상기 개폐부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와이퍼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면 선반 장치는 개폐부의 작동에 따라 작업공간을 확장할 수 있어 작업자의 접근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면 선반 장치는 개폐부가 제1,2주축부 사이로 삽입됨에 따라 제1,2주축부가 동시에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면 선반 장치는 개폐부의 마찰에 따른 손상을 방지함에 따라 장비 교체에 따른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면 선반 장치는 스토퍼부에 의해 개폐부의 과도한 삽입을 제한함에 따라 작업 완료 후 개폐부를 다시 원상태로 복귀시키기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면 선반 장치는 개폐부의 크기 등에 따라 가이드부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어 개폐부의 작동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면 선반 장치는 와이퍼부에 의해 삽입부로의 이물질의 유입에 따른 장비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면 선반 장치는 간단한 구조를 통해 개폐부를 구속하거나 구속 해제할 수 있어 편의성이 높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면 선반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면 선반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면 선반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레일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레일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레일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면 선반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면 선반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또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할 수 있다.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특정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그 부호들은 다른 도면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특정 도면에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은 부분이 있더라도, 그 부분은 다른 도면들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도면들에 포함된 세부 구성요소들의 개수, 형상, 크기 및 크기의 상대적인 차이 등은 이해의 편의를 위해 설정된 것으로서, 실시예들을 제한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면 선반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면 선반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면 선반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면 선반 장치(1)는 하우징(10), 제1주축부(20), 제2주축부(30), 제1작업부(40), 제2작업부(50), 개폐부(100), 가이드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본 발명에 따른 정면 선반 장치(1)를 전체적으로 지지하는 구성이다. 이에 따라 하우징(10)은 가해지는 하중에 충분히 잘 견딜 수 있도록 금속 등과 같이 높은 강성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개구되고,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격벽에 의해 두개의 공간으로 분할된 박스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10)에는 개구된 측을 개폐가능하도록 도어(11)가 설치될 수 있다. 도어(11)는 도 1에 도시된 슬라이드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닫이 방식, 회전식 등 하우징(10)의 개구된 측을 개폐할 수 있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하우징(10)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정면 선반 장치(1)의 개별적인 구성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내부에 골조 형상의 프레임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주축부(20)와 제2주축부(30)는 하우징(10)의 격벽을 기준으로 폐쇄된 측에 배치된다. 제1주축부(20)와 제2주축부(30)는 하우징(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하우징(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중심축이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주축부(20)와 제2주축부(30)는 각각 제1주축(21), 제2주축(31)과, 제1척(22), 제2척(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주축(21)과 제2주축(31)은 각각 주축 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되는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어 하우징(10)에 나란하게 배치된다. 제1주축(21)과 제2주축(31)은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하우징(10)에 설치될 수 있다.
제1척(22)과 제2척(32)은 각각 제1주축(21)과 제2주축(31)에 결합되어 제1주축(21)과 제2주축(31)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되고, 제1주축(21)과 제2주축(31)의 전방, 즉 하우징(10)의 개구된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제1척(22)과 제2척(32)은 회전 중심축에 작업의 대상이 되는 공작물을 파지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1작업부(40)와 제2작업부(50)는 제1주축부(20)와 2주축부(30)의 전방에 각각 비어있는 공간으로 형성되어 제1주축부(20) 또는 제2주축부(30)에 고정된 공작물을 가공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작업부(40)와 제2작업부(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주축부(20)와 제2주축부(30)의 전방, 즉 하우징(10)의 격벽을 기준으로 개방된 측에 배치된다.
제1작업부(40)와 제2작업부(50)에는 공작물에 접촉되어 공작물을 가공할 수 있는 공구가 설치된 터렛(미도시)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터렛은 제1주축부(20) 또는 제2주축부(30)의 회전중심축의 방향이나 회전중심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개폐부(100)는 제1작업부(40)와 제2작업부(50)를 가로막도록 배치되고, 제1주축부(20)와 제2주축부(30)의 사이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어 제1작업부(40)와 제2작업부(50)를 개폐하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100)는 하우징(10)의 격벽으로부터 하우징(10)의 개구된 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제1주축부(20)와 제2주축부(30)의 회전중심축과 평행하도록 배치된다. 개폐부(100)는 하우징(10) 또는 후술할 가이드부(20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하우징(10)의 격벽을 기준으로 개구된 측의 반대편의 공간으로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폐부(100)는 제1작업부(30)와 제2작업부(30)를 폐쇄하는 경우, 제1작업부(30)와 제2작업부(30)의 상호간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개폐부(100)가 제1작업부(30)와 제2작업부(30)를 개방하는 경우, 제1주축부(20) 또는 제2주축부(30)에 제1작업부(40) 또는 제2작업부(50)의 공간보다 큰 공작물을 결합시켜 가공할 수 있도록 한다. 개폐부(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작업부(40)와 제2작업부(50)를 가로막도록 배치되고, 제1주축부(20)와 제2주축부(30)의 사이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형상의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가이드부(200)는 하우징(10)에 구비되어 개폐부(100)를 지지하고, 개폐부(100)의 인출 작동을 안내하도록 형성된다. 가이드부(200)는 일측이 하우징(10)의 격벽에 고정되고, 개폐부(10)의 연장방향과 나란하도록 배치되며, 타측이 하우징(10)의 개구된 측을 향해 연장된다. 가이드부(200)는 개폐부(100)의 상하, 또는 좌우 양측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일측만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부(200)는 개폐부(100)가 가이드부(200)를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개폐부(100)와 결합되어 개폐부(100)의 인출 작동을 안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200)에는 개폐부(1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부(200)의 내부로 함몰형성되는 가이드홈(201)이 가이드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201)은 가이드부(200)가 개폐부(100)의 양측을 지지하는 경우 양측 모두에 형성될 수 있고 일측에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가이드부(200)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가이드부(200)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미도시)가 구비되어 개폐부(100)의 내부로 삽입되는 형태로 개폐부(100)와 슬라이드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100)와 가이드부(20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100)는 개폐부재(110), 회전부(120)를 포함한다.
개폐부재(110)는 가이드부(200)의 내부로 함몰형성되는 가이드홈(201)에 삽입되고, 가이드홈(201)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갖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재(110)는 대략 사각 판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단 또는 하단 중 적어도 하나가 가이드부(200)의 가이드홈(201)에 삽입된다. 개폐부재(110)의 길이는 가이드부(200)의 길이보다는 짧도록 형성되고, 폭은 가이드 홈(201)의 폭보다 좁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개폐부재(110)는 가이드부(200)를 따라 이동될 수 있음과 동시에 가이드홈(201)에 접촉되어 마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개폐부재(110)에는 개폐부재(110)를 가이드부(200), 하우징(10), 도어(11)등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고정부재(130)가 구비될 수 있다. 제1고정부재(130)는 하우징(10), 제1레일부(220), 또는 제2레일부(230)에 설치되는 제2고정부재(241)와 결합됨에 따라 개폐부재(110)를 고정시키고, 제2고정부재(241)로부터 결합 해제됨에 따라 개폐부재(110)가 이동 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고정부재(130)와 제2고정부재(224)는 볼 캐쳐(Ball Cather), 토글 래치(Toggle Latch) 등 개폐부재(110)를 다른 구성으로부터 고정 및 분리시킬 수 있는 고정수단의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서는 상술한 제2고정부재(224)가 후술할 연장부(223)에 설치되는 형상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제2고정부재(224)는 이러한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우징(10), 제2레일부(230), 도어(11) 등 설계상의 차이에 따라 설치되는 위치가 변경 가능하다.
개폐부재(110)에는 개폐부재(110)가 삽입부(210) 내부로 설정 깊이 삽입되는 경우 후술할 스토퍼부(222)와 접해 개폐부재(110)의 슬라이드를 제한하도록 개폐부재(110)의 외측에 결합되는 제한부(140)가 구비될 수 있다. 제한부(140)는 개폐부재(110)의 측면에 결합되어 스토퍼부(222)와 접할 수 있는 길이만큼 가이드부(200)를 향해 연장된다. 제한부(140)는 대략 개폐부재(110)의 전방 즉, 하우징(10)의 개구된 측에 배치된다.
회전부(120)는 개폐부재(110)에 결합되고, 가이드홈(201)의 측면에 구름접촉되어 개폐부재(110)가 가이드홈(201)에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된다. 회전부(120)는 개폐부재(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개폐부재(110)로부터 가이드홈(201)을 향해 연장되어 가이드홈(201)에 삽입된다. 회전부(120)는 개폐부재(110)의 폭방향으로 돌출되어 가이드홈(201)의 측면에 접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회전부(120)는 회전작동에 의해 개폐부재(110)의 슬라이드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함과 동시에 개폐부재(110) 대신 가이드홈(201)과 접촉하여 개폐부재(110)의 마찰에 따른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회전부(120)가 개폐부재(110)의 상측에만 구비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회전부(120)는 개폐부재(110)의 하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120)는 제1회전부재(121)와 제2회전부재(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회전부재(121)는 개폐부재(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가이드홈(201)의 일측면에 접하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회전부재(121)는 회전축이 하단으로 돌출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회전부재(121)는 회전축이 개폐부재(110)의 상측면에 삽입되어 개폐부재(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회전부재(121)는 회전의 중심축이 개폐부재(110)의 폭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우측(도 6 기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측면이 가이드홈(201)의 우측면과 구름접촉된다.
제2회전부재(122)는 개폐부재(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가이드홈(201)의 타측면에 접하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회전부재(122)는 제1회전부재(121)와 마찬가지로 회전축이 하단으로 돌출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회전부재(122)는 제1회전부재(121)의 후방에 배치되고, 회전축이 개폐부재(110)의 상측면에 삽입되어 개폐부재(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회전부재(122)는 회전의 중심축이 개폐부재(110)의 폭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측(도 6 기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측면이 가이드홈(201)의 좌측면과 구름접촉된다.
제1회전부재(121)와 제2회전부재(122)의 배치순서와 가이드홈(201)에 접하는 면은 도 6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배치순서와 가이드홈(201)에 접하는 면이 도 6과 반대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200)는 삽입부(210), 제1레일부(220), 제2레일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210)는 개폐부(100)가 삽입되도록 제1주축부(20)와 제2주축부(30) 사이에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부(210)는 하우징(10)의 격벽을 관통하는 홀의 형상으로 구비되어 개폐부(100)로 하여금 제1주축부(20)와 제2주축부(30)의 사이로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다. 삽입부(210)는 개폐부(110)의 개폐부재(110)의 높이, 폭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주축부(20)와 제2주축부(30)의 회전중심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하우징(10)의 격벽을 관통한다.
제1레일부(220)는 하우징(10)에 고정되고, 개폐부(100)의 일측과 슬라이딩 결합된다. 제1레일부(220)는 하우징(10)의 격벽, 골조 형상의 프레임 등에 나사 결합, 용접 등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된다. 제1레일부(220)는 개폐부(10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제1레일부(220)는 일측이 삽입부(210)로 삽입되도록 연장되어 개폐부(100)의 슬라이드 작동을 삽입부(210) 내에서도 안내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2, 도 3에서는 제1레일부(220)가 개폐부(100)의 상측에 구비되어 개폐부재(110)의 상부면과 슬라이딩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제1레일부(220)는 개폐부(100)의 하측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레일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도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레일부(220)는 제1레일부재(221), 스토퍼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레일부재(221)는 개폐부(100)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연장되어 개폐부(100)의 일측이 삽입된다. 제1레일부(220)가 개폐부(100)의 상측에 배치됨에 따라, 도 7에서는 상술한 회전부(120)가 개폐부재(110)의 상측에 설치되는 것에 대응되어 가이드홈(201)이 제1레일부재(221)의 내부로 함몰형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가이드홈(201)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레일부재(231)의 내부로 함몰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레일부재(221)는 대략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이 하우징(10)의 격벽에 볼팅, 용접등에 의해 결합되고, 타측이 하우징(10)의 개구된 측을 향해 연장된다. 제1레일부재(221)는 제1레일부재(221)에는 개폐부(100)의 개폐부재(110)의 상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홈(201)이 제1레일부재(221)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오목하게 함몰형성된다.
제1레일부재(221)의 타측에는 제1레일부재(221)를 하우징(10)에 고정시키기 위해 제1레일부재(221)가 연장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23)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장부(223)는 제1레일부재(221)가 연장된 방향에 하우징(10)의 격벽, 프레임등이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제1레일부재(221)를 하우징(10)에 고정시킬 수 있어 제1레일부재(221)가 하우징(10)에 결합될 수 있는 위치의 가변성을 높일 수 있다.
스토퍼부(222)는 개폐부(100)의 슬라이드 경로를 가로막도록 배치되어 개폐부(100)가 삽입부(210)로 설정 깊이 이상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설정 깊이란 개폐부(100)가 삽입부(210)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으면서도 제1작업부(40)와 제2작업부(50)를 완전히 개방시킬 수 있는 깊이로, 제1척(22)과 제2척(32)이 돌출된 길이 등에 따라 다양한 값으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스토퍼부(222)는 개폐부(100)가 삽입부(210)에 지나치게 깊게 삽입됨에 따라 다시 개폐부(100)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 개폐부(100)를 삽입부(210)로부터 빼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부(222)는 제1레일부재(221)의 외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제한부(130)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스토퍼부(222)는 제1레일부재(221)의 일측에만 구비될 수 있고 제1레일부재(221)의 양측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스토퍼부(222)가 배치되는 위치는 제1레일부재(221)의 길이, 설정 깊이 등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한편, 제한부(130)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 스토퍼부(222)는 가이드홈(201)의 폭을 가로막도록 배치되어 개폐부(100)의 단부에 접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2레일부(230)는 제1레일부(220)와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하우징(10)에 고정되고, 개폐부(100)의 타측과 슬라이딩 결합된다. 제2레일부(230)는 하우징(10)의 격벽, 골조 형상의 프레임 등에 나사 결합, 용접 등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된다. 제2레일부(230)는 개폐부(10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제2레일부(230)는 일측이 삽입부(210)로 삽입되도록 연장되어 개폐부(100)의 슬라이드 작동을 삽입부(210) 내에서도 안내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2, 도 3에서는 제2레일부(230)가 개폐부(100)의 하측에 구비되어 개폐부재(110)의 하부면과 슬라이딩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제2레일부(230)는 개폐부(100)의 상측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레일부(23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레일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8,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레일부(230)는 제2레일부재(231), 위치조절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레일부재(231)는 개폐부(100)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연장되어 개폐부(100)의 타측이 삽입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레일부재(231)는 일측이 하우징(10)의 격벽에 볼팅, 용접등에 의해 결합되고, 타측이 하우징(10)의 개구된 측을 향해 연장된다. 제2레일부재(231)는 제1레일부재(221)가 연장된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제1레일부재(22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제1레일부재(221)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제2레일부재(231)는 폭이 개폐부(100)의 개폐부재(110)보다 좁은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개폐부(100)의 개폐부재(110)의 하부면에 삽입된다.
제2레일부재(231)가 개폐부(100)와 접하는 면에는 접촉에 따른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마찰계수가 낮은 재질로 형성되어 제2레일부재(231)와 개폐부(100)사이에 배치되는 마찰저감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제2레일부재(231)는 도 8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레일부재(231)의 내부로 가이드홈(201)이 형성되는 등 개폐부(100)와 슬라이딩 결합 가능한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위치조절부(232)는 제2레일부재(231)를 하우징(10)에 고정시키고, 제2레일부재(231)와 상기 하우징(10)간의 상대위치를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위치조절부(232)는 개폐부재(110)의 크기가 변경되더라도 제2레일부재(231)가 하우징에 결합되는 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개폐부재(110)의 안정적인 인출작동이 일어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조절부(232)는 연결부(232a), 관통홀부(232b), 결합부재(232c)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232a)는 제2레일부재(231)에 볼팅, 용접등에 의해 고정되고, 제2레일부재(231)로부터 하우징(10)을 향해 연장되어 하우징(10)과 면접촉되도록 형성된다. 연결부(232a)의 형상은 하나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형으로 형성되거나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등 하우징(10)의 면이 배치된 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관통홀부(232b)는 연결부(232a)가 하우징(10)에 접하는 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관통홀부(232b)는 대략 장공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연결부(232a)를 관통한다. 관통홀부(232b)의 길이와 폭은 제2레일부재(231)의 이동이 필요한 범위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다양한 값으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결합부재(233c)는 관통홀부(232b)를 통해 상기 하우징(10)으로 삽입되어 상기 연결부(232a)를 상기 하우징(10)에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233c)는 대략 나사의 형태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의해 하우징(10)에 삽입 고정된다. 결합부재(232c)의 단부의 직경은 관통홀부(232b)의 폭보다 넓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결합부재(232c)는 하우징(10)으로 삽입됨에 따라 관통홀부(232b)의 폭의 양측에서 연결부(232a)를 하우징(10)측으로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면 선반 장치(1)는 와이퍼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와이퍼부(60)는 개폐부(100)와 접촉되도록 하우징(10)에 구비되어 개폐부(100)가 제1,2주축부(20)(30) 사이로 인출됨에 따라 개폐부(100)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와이퍼부(60)는 개폐부(100)의 인출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 즉, 개폐부(100)의 높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와이퍼부(6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개폐부(100)의 양측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부(60)는 와이퍼부몸체(61), 와이퍼부재(62)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퍼부몸체(61)는 하우징(10)에 고정되어 와이퍼부(60)의 구성을 전체적으로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부몸체(61)는 개폐부(100)의 높이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하우징(10)의 격벽에 고정된다. 와이퍼부몸체(61)는 용접 등에 의해 하우징(1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와이퍼부몸체(61)를 관통하는 결합공(63)을 통해 하우징(10)에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와이퍼부몸체(61)는 와이퍼부(60)가 복수개로 형성되는 경우 복수개로 형성되어 삽입부(210)를 기준으로 각각 양측에 배치된다.
와이퍼부재(62)는 일측이 와이퍼부몸체(61)에 연결되고, 타측이 개폐부(100)를 향해 연장되어 개폐부(100)에 접촉된다. 와이퍼부재(62)는 개폐부(100)의 폭 전체에 결쳐 개폐부(100)와 접촉되도록 개폐부(100)의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와이퍼부재(62)는 개폐부(100)에 기밀하게 밀착되어 개폐부(100) 표면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고무, 실리콘등 탄성의 재질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면 선반 장치(1)의 작동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면 선반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11, 도 12를 참조하면, 가공의 대상이 되는 공작물의 크기로 인해 공작물이 개폐부재(100)에 간섭되거나, 제1주축부(20)와 제2주축부(30) 모두 가동이 필요한 경우, 작업자는 제1고정부재(130)와 제2고정부재(241)를 분리시킴으로써 개폐부재(110)의 구속을 해제한다.
이후 작업자가 개폐부재(110)를 삽입부(210)를 향해 밀어주게 되면, 개폐부재(110)의 상,하단부는 각각 제1레일부재(221)와 제2레일부재(231)를 따라 슬라이드 되면서 삽입부(210)로 삽입되며 제1작업부(40)와 제2작업부(50)를 개방한다.
이 경우, 개폐부재(110)의 상측면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된 제1회전부재(121)와 제2회전부재(122)는 제1레일부재(221)에 형성된 가이드홈(201)의 양측면에 각각 접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개폐부재(110)는 가이드홈(201)의 측면에 마찰되지 않으면서 제1레일부(220)와 제2레일부(230)가 연장된 방향으로 올바르게 슬라이딩된다.
또한, 개폐부재(110)가 삽입부(210)로 삽입됨에 따라 개폐부재(110)의 측면에 접촉된 와이퍼부재(62)가 개폐부재(110)의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밀어내거나 긁어내어 이물질이 삽입부(2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후 개폐부재(110)가 삽입부(210)로 설정 깊이만큼 삽입되면, 개폐부재(110)의 전방에 마련된 제한부(140)가 제1레일부재(221)에 설치된 스토퍼부(222)와 접해 개폐부(110)의 삽입을 중단시킨다.
작업자의 작업 완료 후, 작업자는 개폐부재(110)를 하우징(10)의 개구된 측으로 당겨 개폐부재(110)가 다시 제1작업부(40)와 제2작업부(50) 사이를 가로막도록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또한, 개폐부재(110)의 교체나, 오조립 등에 의해 제2레일부(230)의 위치변경이 필요한 경우, 결합부재(232c)를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하거나 결합부재(232c)의 결합을 일부 해제하여 연결부(232a)부의 고정을 풀어준다.
이후 연결부(232a)를 관통홀부(232b)의 폭 방향 또는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제2레일부재(231)의 높이 등을 조정한다. 이 경우, 관통홀부(232b)가 결합부재(232c)의 삽입공간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즉 연결부(232a)가 결합부재(232a)의 삽입공간을 가로막지 않는 범위 내에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조정이 완료되면 다시 결합부재(232c)를 하우징(10)으로 완전히 삽입시켜 연결부(232a)를 가압고정시킨다.
개폐부재(110)가 완전히 제1작업부(40)와 제2작업부(50)를 가로막은 경우 제1고정부재(130)와 제2고정부재(224)를 결합시켜 개폐부재(110)의 이동을 구속한다.
상술한 구성과 작동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면 선반 장치는 개폐부의 작동에 따라 작업공간을 확장할 수 있어 작업자의 접근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면 선반 장치는 개폐부가 제1,2주축부 사이로 삽입됨에 따라 제1,2주축부가 동시에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면 선반 장치는 개폐부의 마찰에 따른 손상을 방지함에 따라 장비 교체에 따른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면 선반 장치는 스토퍼부에 의해 개폐부의 과도한 삽입을 제한함에 따라 작업 완료 후 개폐부를 다시 원상태로 복귀시키기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면 선반 장치는 개폐부의 크기 등에 따라 가이드부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어 개폐부의 작동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면 선반 장치는 와이퍼부에 의해 삽입부로의 이물질의 유입에 따른 장비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면 선반 장치는 간단한 구조를 통해 개폐부를 구속하거나 구속 해제할 수 있어 편의성이 높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정면 선반 장치 10 : 하우징
11 : 도어 20 : 제1주축부
21 : 제1주축 22 : 제1척
30 : 제2주축부 31 : 제2주축
32 : 제2척 40 : 제1작업부
50 : 제2작업부 60 : 와이퍼부
61 : 와이퍼부몸체 62 : 와이퍼부재
63 : 결합공 100 : 개폐부
110 : 개폐부재 120 : 회전부
121 : 제1회전부재 122 : 제2회전부재
130 : 제1고정부재 140 : 제한부
200 : 가이드부 210 : 삽입부
220 : 제1레일부 221 : 제1레일부재
222 : 스토퍼부 223 : 연장부
224 : 제2고정부재 230 : 제2레일부
231 : 제2레일부재 232 : 위치조절부
232a : 연결부 232b : 관통홀부
232c : 결합부재

Claims (8)

  1. 하우징(10);
    회전 중심축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10)에 구비되는 제1주축부(20)와 제2주축부(30);
    상기 제1주축부(20)와 상기 제2주축부(30)의 전방에 각각 마련되는 제1작업부(40)와 제2작업부(50);
    상기 제1작업부(40)와 상기 제2작업부(50)를 가로막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주축부(20)와 상기 제2주축부(30)의 사이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작업부(40)와 상기 제2작업부(50)를 개폐하는 개폐부(100); 및
    상기 개폐부(100)의 인출 작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하우징(10)에 구비되는 가이드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200)는,
    상기 개폐부(100)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1주축부(20)와 상기 제2주축부(30) 사이에 구비되는 삽입부(210);
    상기 하우징(10)에 고정되고, 상기 개폐부(100)의 일측과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1레일부(220); 및
    상기 제1레일부(220)와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상기 하우징(10)에 고정되고, 상기 개폐부(100)의 타측과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2레일부(230);를 포함하고,
    상기 제2레일부(230)는,
    상기 개폐부(100)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개폐부(100)의 타측이 삽입되는 제2레일부재(231); 및
    상기 제2레일부재(231)를 상기 하우징(10)에 고정시키고, 상기 제2레일부재(231)와 상기 하우징(10)간의 상대위치를 조절가능하게 구비되는 위치조절부(232);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조절부(232)는,
    상기 제2레일부재(231)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10)에 접하는 연결부(232a);
    상기 연결부(232a)가 상기 하우징(10)에 접하는 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관통홀부(232b); 및
    상기 관통홀부(232b)를 통해 상기 하우징(10)으로 삽입되어 상기 연결부(232a)를 상기 하우징(10)에 고정시키는 결합부재(232c);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부(232b)는 장공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232a)를 관통하고,
    상기 결합부재(232c)는 단부의 직경이 상기 관통홀부(232b)의 폭보다 넓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232a)가 상기 관통홀부(232b)의 폭 방향 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된 후 상기 하우징(10)으로 삽입되어 상기 연결부(232a)를 상기 하우징(10)측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면 선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100)는,
    상기 가이드부(200)의 내부로 함몰형성되는 가이드홈(201)에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홈(201)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갖도록 구비되는 개폐부재(110); 및
    상기 개폐부재(110)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홈(201)의 측면에 구름접촉되어 상기 개폐부재(110)가 상기 가이드홈(201)에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면 선반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120)는,
    상기 개폐부재(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홈(201)의 일측면에 접하는 제1회전부재(121); 및
    상기 개폐부재(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홈(201)의 타측면에 접하는 제2회전부재(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면 선반 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일부(220)는,
    상기 개폐부(100)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개폐부(100)의 일측이 삽입되는 제1레일부재(221); 및
    상기 개폐부(100)의 슬라이드 경로를 가로막도록 배치되어 상기 개폐부(100)가 상기 삽입부(210)로 설정 깊이 이상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부(2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면 선반 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100)와 접촉되도록 상기 하우징(10)에 구비되고, 상기 개폐부(100)가 상기 제1주축부(20)와 상기 제2주축부(30) 사이로 인출됨에 따라 상기 개폐부(100)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와이퍼부(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면 선반 장치.
KR1020200034818A 2020-03-23 2020-03-23 정면 선반 장치 KR102408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4818A KR102408097B1 (ko) 2020-03-23 2020-03-23 정면 선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4818A KR102408097B1 (ko) 2020-03-23 2020-03-23 정면 선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8510A KR20210118510A (ko) 2021-10-01
KR102408097B1 true KR102408097B1 (ko) 2022-06-10

Family

ID=78609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4818A KR102408097B1 (ko) 2020-03-23 2020-03-23 정면 선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8097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9036A (ja) * 1990-05-09 1992-01-23 Yamazaki Mazak Corp 複合加工工作機械及び該工作機械の制御方法
JP2538807Y2 (ja) * 1991-08-06 1997-06-18 オークマ株式会社 工作機械の摺動面保護装置
JPH10530A (ja) * 1996-06-10 1998-01-06 Okuma Mach Works Ltd 並列2主軸旋盤の切削空間仕切装置
KR19980027210U (ko) * 1996-11-14 1998-08-05 추호석 공작기계용 도어
KR102230391B1 (ko) * 2014-12-26 2021-03-22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공작기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8510A (ko) 2021-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62289B2 (en) Machine tool apparatus and method
US3228265A (en) Boring and facing tool
CN101663114A (zh) 设有导套的数控车床及使用该数控车床的工件的加工方法
US4557644A (en) Portable slotting and grooving attachment
US4726717A (en) Deep-bore drilling machine
KR102408097B1 (ko) 정면 선반 장치
KR100653511B1 (ko) 회전 공구 구동축의 전후진 위치 조절이 가능한 선반용터릿 공구대
KR101252608B1 (ko) 가공 깊이 조절용 공구홀더
US11548072B2 (en) Machine tool
US4674908A (en) Mechanism for clamping a second machine part which is supported movably with respect to a first machine part
US5586382A (en) Right angle turning attachment for milling machine
WO2021210522A1 (ja) 工作機械
US8590125B2 (en) Device for cutting and burnishing a surface of a work piece
CN213004021U (zh) 一种多功能倒角机
KR100428375B1 (ko) 공작기계용 스핀들
KR101887449B1 (ko) 머시닝센터의 선삭공구용 클램핑 장치
US5035551A (en) Method, chuck and rotary tool to be used when making a hole in a workpiece
WO2022215397A1 (ja) 工作機械
KR100394673B1 (ko) 공작기계용 스핀들 구조
JP3747443B2 (ja) ミーリングヘッドの主軸クランプ機構
KR200195572Y1 (ko) 범용선반용 탭핑지그장치
KR102006526B1 (ko) 디버링용 툴홀더
CN217941983U (zh) 铣端面用复合刀具及机床
KR102344957B1 (ko) 공작기계용 보조 축
JPH04164501A (ja) 旋盤のガイドブッシ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