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7931B1 - 시스템 가구용 수직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가구 - Google Patents

시스템 가구용 수직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7931B1
KR102407931B1 KR1020200164970A KR20200164970A KR102407931B1 KR 102407931 B1 KR102407931 B1 KR 102407931B1 KR 1020200164970 A KR1020200164970 A KR 1020200164970A KR 20200164970 A KR20200164970 A KR 20200164970A KR 102407931 B1 KR102407931 B1 KR 102407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urniture
fixed
wall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4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6125A (ko
Inventor
윤태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퍼
Priority to KR1020200164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7931B1/ko
Publication of KR20220076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6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7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7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2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made of metal only
    • A47B47/021Racks or shelf units
    • A47B47/022Racks or shelf units with cantileve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5/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enabling enlarging in height, length, or dep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 A47B57/1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consisting of hooks coacting with open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4Chests of drawers;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47B96/061Cantilever 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Landscapes

  • Furniture Connections (AREA)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Abstract

시스템 가구용 수직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가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시스템 가구용 수직 프레임은, 벽체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 고정프레임을 기준으로 벽체의 반대쪽에 구비되고, 탈착형 가구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프레임; 지지프레임이 결합된 조절프레임; 및 고정프레임과 조절프레임을 벽체를 기준으로 각각 전후방향으로 연결하고, 서로 세로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연결유닛을 포함하고, 연결유닛 각각은, 조절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조절볼트; 및 고정프레임에 고정되고, 조절볼트가 나사결합되는 고정나사를 포함하고, 조절볼트를 각각 회전시키면, 벽체를 기준으로 지지프레임의 전후방향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쉽게 조립할 수 있으면서도 조립시 견고한 구조를 형성하고, 물품이 놓이는 안착면의 수평도를 쉽게 확보하여 물품의 전도 및 낙하가 방지되도록 이루어지는 시스템 가구용 수직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가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시스템 가구용 수직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가구{VERTICAL FRAME OF SYSTEM FURNITURE AND SYSTEM FURNITURE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시스템 가구용 수직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가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호환성 있는 자유로운 조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시스템 가구용 수직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가구에 관한 것이다.
시스템 가구(system furniture)는 종합적인 조합에 의하여 공간을 재구성하는 기능을 가진 가구를 말한다. 시스템 가구는 호환성 있는 자유로운 조합이 가능하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876891호(이하 '선행문헌')는 시스템 가구를 개시하고 있다. 선행문헌의 시스템 가구는 드레스 룸 바닥면에 지지되는 하부 서랍장과, 하부 서랍장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수직 프레임과, 수직 프레임에 지지되는 지지물과, 지지물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수직 프레임에 연결되는 프레임 연결용 브라켓을 포함한다.
프레임 연결용 브라켓은, 지지물에 결합되는 지지물용 결합부와, 지지물용 결합부에 연결되며 수직 프레임에 연결되는 프레임 연결부를 포함한다.
수직 프레임은 지지물의 상하방향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지지물 위치 가변형 수직 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지지물 위치 가변형 수직 프레임은, 프레임 연결용 브라켓이 삽입되고 삽입된 프레임 연결용 브라켓의 상하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홈과 안내홈에 연통되고 프레임 연결용 브라켓이 안착되는 다수개의 안착홈이 마련되는 프레임 본체와, 프레임 본체에 연결되며, 안착홈에 안착된 프레임 연결용 브라켓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프레임 연결용 브라켓을 가압하는 가압 스토퍼를 포함한다.
안내홈은 프레임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세로방향으로 연정되어 형성되며, 안착홈은 프레임 본체의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선행문헌의 시스템 가구는, 옷걸이 봉이나 선반 등으로 구성되는 지지물의 상하방향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지지물 위치 가변형 수직 프레임을 구비함으로써, 옷걸이 봉이나 선반의 설치위치가 간편하게 조절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선행문헌의 시스템 가구는, 수직 프레임이 프레임용 결합수단에 의해 하부 서랍장에 체결됨에 따라, 하부 서랍장의 수평도를 정확하게 세팅하지 않으면, 수직 프레임이 기울어지는 문제가 있다. 하부 서랍장의 수평도는 지면의 수평도에 밀접하게 연관된다. 따라서, 하부 서랍장이 기울어진 지면에 놓인 경우 수직 프레임의 기울어짐을 감수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수직 프레임의 기울어짐은 선반 상면의 기울어짐을 의미한다. 선반 상면이 기울어지면, 선반 상면에 놓인 물품이 넘어지거나 지면으로 낙하할 위험성이 있다.
선행문헌의 시스템 가구는 조립식 가구이므로, 일반적인 가구보다 견고성이 낮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명자는 쉽게 조립할 수 있으면서도 조립시 견고한 구조를 형성하고, 물품이 놓이는 안착면의 수평도를 쉽게 확보하여 물품의 전도 및 낙하가 방지될 수 있는 시스템 가구를 연구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876891호 (등록일: 2018.07.04)
본 발명의 목적은, 쉽게 조립할 수 있으면서도 조립시 견고한 구조를 형성하고, 물품이 놓이는 안착면의 수평도를 쉽게 확보하여 물품의 전도 및 낙하가 방지되도록 이루어지는 시스템 가구용 수직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가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벽체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벽체의 반대쪽에 구비되고, 탈착형 가구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이 결합된 조절프레임; 및 상기 고정프레임과 상기 조절프레임을 상기 벽체를 기준으로 각각 전후방향으로 연결하고, 서로 세로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연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유닛 각각은, 상기 조절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조절볼트; 및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조절볼트가 나사결합되는 고정나사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볼트를 각각 회전시키면, 상기 벽체를 기준으로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후방향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가구용 수직 프레임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고정프레임과 상기 조절프레임을 상기 벽체를 기준으로 각각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서로 세로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구속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구속유닛 각각은, 상기 조절프레임에 결합된 구속부재; 및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구속부재의 전후방향 이동경계를 형성하는 경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조절프레임은, 상기 조절볼트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 개재된 결합판부; 및 상기 결합판부의 가로방향 양단부에서 상기 벽체와 반대쪽으로 연장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가로방향 양단부가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연장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연장판부에 각각 세로방향으로 긴 레일홈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홈의 내면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가로방향 양단부를 에워싸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조절프레임은, 상기 결합판부의 가로방향 양단부에서 상기 벽체 쪽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2 연장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경계부재가 고정되는 고정판부; 및 상기 고정판부의 가로방향 양단부에서 상기 벽체와 반대쪽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면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측면판부는 수직방향을 축으로 하는 상기 한 쌍의 제2 연장판부의 회전을 구속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에 서로 세로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탈착형 가구는, 안착면을 형성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측면에 결합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로부터 상기 벽체쪽으로 돌출되고,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관통홀의 아래에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면에 밀착되는 제1면을 형성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관통홀의 아래에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후면에 밀착되는 제2면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관통홀은, 상기 돌기의 폭보다 넓은 삽입홀; 및 상기 삽입홀로부터 아래로 연장되고, 상기 돌기의 양쪽 측면이 밀착되는 밀착홀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안착면은 상기 관통홀의 위쪽에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면과 예각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조절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는 마개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단은 상기 마개에 올려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시스템 가구용 수직 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기 탈착형 가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세로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연결유닛이 고정프레임과 조절프레임을 벽체를 기준으로 각각 전후방향으로 연결함으로써, 쉽게 조립할 수 있으면서도 조립시 견고한 구조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는 시스템 가구용 수직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가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조절볼트를 각각 회전시키면, 벽체를 기준으로 지지프레임의 전후방향 각도가 조절됨으로써, 물품이 놓이는 안착면의 수평도를 쉽게 확보하여 물품의 전도 및 낙하가 방지되도록 이루어지는 시스템 가구용 수직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가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가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 가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시스템 가구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시스템 가구용 수직 프레임의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A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B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C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D-D'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E-E'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3의 C 부분 단면도로서, 조절볼트를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3의 시스템 가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의 시스템 가구의 탈착형 가구와 지지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 가구용 수직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가구는, 쉽게 조립할 수 있으면서도 조립시 견고한 구조를 형성하고, 물품이 놓이는 안착면의 수평도를 쉽게 확보하여 물품의 전도 및 낙하가 방지되도록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가구(1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 가구(1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시스템 가구(10)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시스템 가구(10)용 수직 프레임(200)의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A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B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C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D-D'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E-E'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3의 C 부분 단면도로서, 조절볼트(241)를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3의 시스템 가구(10)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의 시스템 가구(10)의 탈착형 가구(100)와 지지프레임(22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가구(10)는, 호환성 있는 자유로운 조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탈착형 가구(100) 및 한 쌍의 수직 프레임(200)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벽체(1) 쪽을 뒤쪽으로 지칭하고, 뒤쪽의 반대쪽을 앞쪽으로 지칭하고자 한다. 도 3을 기준으로 뒤쪽은 왼쪽을 의미하고, 앞쪽은 오른쪽을 의미한다.
탈착형 가구(100)는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즉, 탈착형 가구(100)는 선반형 가구(100A), 서랍형 가구(100B), 걸이형 가구(100C) 및 판형 가구(100D)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사용자는 다양한 탈착형 가구(100) 중 하나 이상을 한 쌍의 수직 프레임(200)에 결합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탈착형 가구(100)는 선반형 가구(100A)로 이해될 수 있다.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착형 가구(100)는 몸체(110), 지지대(120) 및 돌기(130)를 포함한다.
몸체(110)는 그 상면에 안착면을 형성한다. 안착면은 물품이 올려지는 평편한 면을 의미한다. 몸체(110)는 전체적으로 함체 형태, 플레이트 형태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지지대(120)는 몸체(110)의 양쪽 측면에 각각 결합된다. 지지대(120)는 전후방향으로 긴 플레이트 형태를 형성한다.
돌기(130)는 후술할 관통홀(221)에 삽입되는 구성이다. 돌기(130)는 지지대(120)로부터 각각 돌출된다. 돌기(130)는 지지대(120)에 각각 2 이상 형성된다. 2 이상의 돌기(130)는 서로 세로방향으로 이격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130)는 각각 가로부(131) 및 세로부(132)를 포함한다.
가로부(131)는 지지대(120)의 뒤쪽 단부에서 뒤쪽으로 돌출된 형태를 형성한다. 그리고 세로부(132)는 가로부(131)의 뒤쪽 단부에서 아래쪽으로 돌출된 형태를 형성한다. 세로부(132)의 앞쪽 면은 후술할 지지프레임(220)의 후면에 밀착되는 제2면(132A)을 형성한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프레임(200)은 대략 세로방향으로 긴 육면체 기둥 형태를 형성한다. 수직 프레임(200) 각각은 고정프레임(210), 지지프레임(220), 조절프레임(230), 연결유닛(240), 구속유닛(250) 및 마개(260)를 포함한다.
고정프레임(210)은 세로방향으로 긴 형태를 형성한다. 고정프레임(210)은 벽체(1)에 고정된다. 고정프레임(210)은 고정판부(211) 및 한 쌍의 측면판부(212)를 포함한다.
고정판부(211)는 세로방향으로 긴 플레이트 형태를 형성한다. 벽체(1)에 앙카볼트(2)가 결합된다. 고정판부(211)의 상부에 제1 구멍(211H1)이 형성된다. 앙카볼트(2)는 제1 구멍(211H1)에 삽입된다. 앙카볼트(2)에 너트(2N)를 나사결합하여, 고정판부(211)를 벽체(1)에 고정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 2W는 와셔를 의미한다.
고정판부(211)에 제2 구멍(211H2)이 형성된다. 후술할 경계부재(252)의 뒤쪽 단부는 제2 구멍(211H2)에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경계부재(252)는 용접 등에 의해 고정판부(211)에 고정된다.
고정판부(211)에 제3 구멍(211H3)이 형성된다. 후술할 고정나사(242)의 뒤쪽 단부는 제3 구멍(211H3)에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고정나사(242)는 용접 등에 의해 고정판부(211)에 고정된다.
측면판부(212)는 각각 세로방향으로 긴 플레이트 형태를 형성한다. 측면판부(212)는 고정판부(211)의 가로방향 양단부에서 각각 앞쪽으로 연장된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220)은 세로방향으로 긴 형태를 형성한다. 지지프레임(220)은 고정프레임(210)을 기준으로 벽체(1)의 반대쪽에 구비된다.
지지프레임(220)에 복수의 관통홀(221)이 형성된다. 복수의 관통홀(221)은 서로 세로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다. 탈착형 가구(100)는 돌기(130)를 관통홀(221)에 삽입하여, 지지프레임(2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서로 세로방향으로 이격된 2 이상의 돌기(130)는 각각 관통홀(221)에 삽입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130)를 관통홀(221)에 삽입한 다음 내려놓으면, 지지대(120)의 뒤쪽 면은 관통홀(221)의 아래에서 지지프레임(220)의 전면에 밀착되는 제1면(121)을 형성한다. 그리고 세로부(132)의 앞쪽 면은 관통홀(221)의 아래에서 지지프레임(220)의 후면에 밀착되는 제2면(132A)을 형성한다.
서로 세로방향으로 이격된 2 이상의 돌기(130)를 각각 관통홀(221)에 삽입하면, 제1면(121) 및 제2면(132A)이 각각 2 이상 형성된다. 따라서 탈착형 가구(100)는 지지프레임(220)에 결합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면은 관통홀(221)의 위쪽에서 지지프레임(220)의 전면과 예각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안착면은 돌기(130)가 삽입된 관통홀(221)의 위쪽에서 수평면과 θ의 사잇각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사잇각 θ는 수평면과 0.5°~2.0°를 형성할 수 있다. 수직선을 기준으로는, 안착면은 88.0°~89.5°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안착면은 수평면을 형성하지 않고, 상향으로 경사진 면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탈착형 가구(100)가 물품 하중에 의해 중력방향으로 다소 처지더라도, 안착면은 앞쪽으로 갈수록 내리막을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시스템 가구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안착면에 놓인 물품의 전도 및 낙하가 방지된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프레임(230)은 세로방향으로 긴 형태를 형성한다. 조절프레임(230)은 결합판부(231), 제1 연장판부(232) 및 제2 연장판부(233)를 포함한다.
결합판부(231)는 세로방향으로 긴 플레이트 형태를 형성한다. 결합판부(231)는 고정프레임(210)과 지지프레임(220) 사이에 개재된다.
결합판부(231)의 상부에 한 쌍의 제1홀(231H1)이 형성된다. 볼트(261B)가 각각 제1홀(231H1)에 삽입된다. 후술할 마개(260)에 한 쌍의 나사홀(261H)이 형성된다. 볼트(261B)를 나사홀(261H)에 나사결합하여, 마개(260)를 결합판부(231)에 결합한다.
결합판부(231)에 제2홀(231H2)이 형성된다. 후술할 볼트부(251B)가 제2홀(231H2)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볼트부(251B)는 후술할 너트부(251N)와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후술할 구속부재(251)가 결합판부(231)에 결합된다.
결합판부(231)에 제3홀(231H3)이 형성된다. 후술할 조절볼트(241)가 제2홀(231H2)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조절볼트(241)에 링홈(241H)이 형성된다. 링홈(241H)에 링부재(243)를 삽입하면, 조절볼트(241)가 결합판부(2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연장판부(232)는 각각 세로방향으로 긴 플레이트 형태를 형성한다. 제1 연장판부(232)는 결합판부(231)의 가로방향 양단부에서 각각 앞쪽으로 연장된다.
도 4,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장판부(232)에 각각 세로방향으로 긴 레일홈(232H)이 형성된다. 한 쌍의 레일홈(232H)은 서로 마주보는 형태를 형성한다.
지지프레임(220)의 가로방향 양단부를 한 쌍의 레일홈(232H)에 삽입하면, 레일홈(232H)의 내면은 지지프레임(220)의 가로방향 양단부를 에워싸는 형태를 형성한다. 마개(260)는 결합판부(231)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결합된다.
결합판부(231)의 상단부에 결합된 마개(260)는 고정프레임(210) 및 지지프레임(220)의 상방 이동을 차단한다. 결합판부(231)의 하단부에 결합된 마개(260)는 고정프레임(210) 및 지지프레임(220)의 하방 이동을 차단한다. 따라서 지지프레임(220)이 한 쌍의 제1 연장판부(232)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제2 연장판부(233)는 각각 세로방향으로 긴 플레이트 형태를 형성한다. 제2 연장판부(233)는 결합판부(231)의 가로방향 양단부에서 각각 뒤쪽으로 연장된다. 한 쌍의 측면판부(212)는 수직방향을 축으로 하는 한 쌍의 제2 연장판부(233)의 회전을 구속하게 된다.
도 4, 도 5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유닛(240)은 고정프레임(210)과 조절프레임(230)을 벽체(1)를 기준으로 각각 전후방향으로 연결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연결유닛(240)은 서로 세로방향으로 이격된다. 연결유닛(240)은 조절볼트(241), 고정나사(242) 및 링부재(243)를 포함한다.
조절볼트(241)는 조절프레임(2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결합판부(231)에 제3홀(231H3)이 형성된다. 조절볼트(241)가 제2홀(231H2)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조절볼트(241)에 링홈(241H)이 형성된다. 링홈(241H)에 링부재(243)를 삽입하면, 조절볼트(241)가 결합판부(2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고정나사(242)는 고정프레임(210)에 고정된다. 고정판부(211)에 제3 구멍(211H3)이 형성된다. 고정나사(242)의 뒤쪽 단부는 제3 구멍(211H3)에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고정나사(242)는 용접 등에 의해 고정판부(211)에 고정된다. 조절볼트(241)는 고정나사(242)에 나사결합된다.
도 7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볼트(241)를 회전시키면, 고정프레임(210)과 조절프레임(230)의 거리가 조절된다.
따라서 복수의 조절볼트(241)를 각각 회전시키면, 조절볼트(241)마다 고정프레임(210)과 조절프레임(230)의 거리가 각각 조절됨으로써, 벽체(1)를 기준으로 지지프레임(220)의 전후방향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도 11은 시스템 가구(10)가 α의 각도로 기울어진 벽체(1)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에 도시된 벽체(1)는 앞쪽 내리막을 형성하고 있다. 고정프레임(210)은 벽체(1)에 고정된다. 따라서 벽체(1)에 고정된 고정프레임(210)은 벽체(1)와 동일한 α의 각도로 기울어져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프레임(230)이 수직하게 세워지도록 복수의 조절볼트(241)를 각각 회전시키면, 벽체(1)가 기울어졌더라도 지지프레임(220)을 수직하게 세울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4, 도 5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속유닛(250)은 고정프레임(210)과 조절프레임(230)을 벽체(1)를 기준으로 각각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구속유닛(250)은 서로 세로방향으로 이격된다. 구속유닛(250)은 구속부재(251) 및 경계부재(252)를 포함한다.
구속부재(251)는 조절프레임(2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속부재(251)는 볼트부(251B), 너트부(251N) 및 플랜지(251P)를 포함한다.
경계부재(252)는 고정프레임(210)에 고정된다. 고정판부(211)에 제2 구멍(211H2)이 형성된다. 경계부재(252)의 뒤쪽 단부는 제2 구멍(211H2)에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경계부재(252)는 용접 등에 의해 고정판부(211)에 고정된다.
경계부재(252)는 대략 앞쪽 및 뒤쪽이 개구된 원통 형태를 형성한다. 결합판부(231)에 제2홀(231H2)이 형성된다. 볼트부(251B)는 제2홀(231H2)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그리고 나서 볼트부(251B)의 전단이 경계부재(252)의 앞쪽 개구에 삽입된다.
이후 볼트부(251B)와 너트부(251N)는 나사결합된다. 볼트부(251B)의 헤드는 지지프레임(220)의 전면에 밀착되고, 너트부(251N)의 전단은 지지프레임(220)의 후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구속부재(251)가 결합판부(231)에 결합된다.
플랜지(251P)는 너트부(251N)의 뒤쪽 단부에 형성된다. 플랜지(251P)는 글자 그대로 너트부(251N)보다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형성한다. 경계부재(252)의 내면 앞쪽에 경계면(252A)이 형성된다.
경계면(252A)은 플랜지(251P)가 앞쪽으로 걸리는 면을 형성한다. 따라서 경계부재(252) 및 벽체(1)는 구속부재(251)의 전후방향 이동경계를 형성한다.
도 7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볼트(241)를 회전시키면, 고정프레임(210)과 조절프레임(230)의 거리가 조절된다. 플랜지(251P)가 경계면(252A)에 걸리면, 고정프레임(210)과 조절프레임(230)은 더 이격될 수 없다.
즉, 플랜지(251P)가 경계면(252A)에 걸릴 때, 고정프레임(210)과 조절프레임(230)은 최대로 이격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실수로 복수의 조절볼트(241)를 전부 제거하더라도, 구속유닛(250)이 고정프레임(210)과 조절프레임(230)의 분리를 방지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개(260)는 조절프레임(23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결합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220)의 가로방향 양단부를 한 쌍의 레일홈(232H)에 삽입하면, 레일홈(232H)의 내면은 지지프레임(220)의 가로방향 양단부를 에워싸는 형태를 형성한다. 마개(260)는 결합판부(231)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결합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판부(231)의 상부 및 하부 각각에 한 쌍의 제1홀(231H1)이 형성된다. 볼트(261B)가 각각 제1홀(231H1)에 삽입된다. 마개(260)로부터 체결부(261)가 연장된다.
체결부(261)에 한 쌍의 나사홀(261H)이 형성된다. 볼트(261B)를 나사홀(261H)에 나사결합하여, 마개(260)를 결합판부(231)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결합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판부(231)의 상단부에 결합된 마개(260)는 고정프레임(210) 및 지지프레임(220)의 상방 이동을 차단한다.
결합판부(231)의 하단부에 결합된 마개(260)는 고정프레임(210) 및 지지프레임(220)의 하방 이동을 차단한다. 따라서 지지프레임(220)이 한 쌍의 제1 연장판부(232)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210) 및 지지프레임(220)의 하단은 결합판부(231)의 하단부에 결합된 마개(260)에 올려진다. 마개(260)의 저면은 바닥면(3)에 안착된다. 마개(260)는 플라스틱 등 탄성 변형하는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조절볼트(241)를 각각 회전시키면, 조절볼트(241)마다 고정프레임(210)과 조절프레임(230)의 거리가 각각 조절됨으로써, 벽체(1)를 기준으로 지지프레임(220)의 전후방향 각도가 조절된다.
조절볼트(241)마다 고정프레임(210)과 조절프레임(230)의 거리가 각각 조절되는 과정에서, 결합판부(231)의 하단부에 결합된 마개(260)는 탄성 변형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프레임(210) 및 지지프레임(220)의 하단이 결합판부(231)의 하단부에 결합된 마개(260)에 올려진 상태가 유지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홀(221)은 삽입홀(221A) 및 밀착홀(221B)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홀(221A)은 돌기(130)의 폭보다 넓은 폭을 형성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돌기(130)를 삽입홀(221A)에 쉽게 삽입할 수 있다.
밀착홀(221B)은 삽입홀(221A)로부터 아래로 연장된다. 밀착홀(221B)은 돌기(130)의 폭과 동일하거나 미세하게 넓은 폭을 형성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돌기(130)를 삽입홀(221A)에 삽입한 다음 내려놓으면, 돌기(130)는 밀착홀(221B) 내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돌기(130)의 양쪽 측면은 밀착홀(221B)의 내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외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탈착형 가구(100)의 유동이 억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세로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연결유닛이 고정프레임과 조절프레임을 벽체를 기준으로 각각 전후방향으로 연결함으로써, 쉽게 조립할 수 있으면서도 조립시 견고한 구조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는 시스템 가구용 수직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가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조절볼트를 각각 회전시키면, 벽체를 기준으로 지지프레임의 전후방향 각도가 조절됨으로써, 물품이 놓이는 안착면의 수평도를 쉽게 확보하여 물품의 전도 및 낙하가 방지되도록 이루어지는 시스템 가구용 수직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가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시스템 가구
100 : 탈착형 가구
110 : 몸체 130 : 돌기
100A : 선반형 가구 131 : 가로부
100B : 서랍형 가구 132 : 세로부
100C : 걸이형 가구 132A : 제2면
100D : 판형 가구
120 : 지지대
121 : 제1면
200 : 수직 프레임
210 : 고정프레임 240 : 연결유닛
211 : 고정판부 241 : 조절볼트
211H1 : 제1 구멍 241H : 링홈
211H2 : 제2 구멍 242 : 고정나사
211H3 : 제3 구멍 243 : 링부재
212 : 측면판부 250 : 구속유닛
220 : 지지프레임 251 : 구속부재
221 : 관통홀 251B : 볼트부
221A : 삽입홀 251N : 너트부
221B : 밀착홀 251P : 플랜지
230 : 조절프레임 252 : 경계부재
231 : 결합판부 252A : 경계면
231H1 : 제1홀 260 : 마개
231H2 : 제2홀 261 : 체결부
231H3 : 제3홀 261H : 나사홀
232 : 제1 연장판부 261B : 볼트
232A : 레일
232H : 레일홈
233 : 제2 연장판부
1 : 벽체
2 : 앙카볼트
2N : 너트
2W : 와셔
3 : 바닥면

Claims (10)

  1. 벽체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벽체의 반대쪽에 구비되고, 탈착형 가구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이 결합된 조절프레임; 및
    상기 고정프레임과 상기 조절프레임을 상기 벽체를 기준으로 각각 전후방향으로 연결하고, 서로 세로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연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유닛 각각은,
    상기 조절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조절볼트; 및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조절볼트가 나사결합되는 고정나사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볼트를 각각 회전시키면, 상기 벽체를 기준으로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후방향 각도가 조절되며,
    상기 고정프레임과 상기 조절프레임을 상기 벽체를 기준으로 각각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서로 세로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구속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구속유닛 각각은,
    상기 조절프레임에 결합된 구속부재; 및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구속부재의 전후방향 이동경계를 형성하는 경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가구용 수직 프레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프레임은,
    상기 조절볼트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 개재된 결합판부; 및
    상기 결합판부의 가로방향 양단부에서 상기 벽체와 반대쪽으로 연장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가로방향 양단부가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연장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가구용 수직 프레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판부에 각각 세로방향으로 긴 레일홈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홈의 내면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가로방향 양단부를 에워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가구용 수직 프레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프레임은,
    상기 결합판부의 가로방향 양단부에서 상기 벽체 쪽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2 연장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경계부재가 고정되는 고정판부; 및
    상기 고정판부의 가로방향 양단부에서 상기 벽체와 반대쪽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면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측면판부는 수직방향을 축으로 하는 상기 한 쌍의 제2 연장판부의 회전을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가구용 수직 프레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에 서로 세로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탈착형 가구는,
    안착면을 형성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측면에 결합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로부터 상기 벽체쪽으로 돌출되고,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관통홀의 아래에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면에 밀착되는 제1면을 형성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관통홀의 아래에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후면에 밀착되는 제2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가구용 수직 프레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돌기의 폭보다 넓은 삽입홀; 및
    상기 삽입홀로부터 아래로 연장되고, 상기 돌기의 양쪽 측면이 밀착되는 밀착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가구용 수직 프레임.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면은 상기 관통홀의 위쪽에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면과 예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가구용 수직 프레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는 마개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단은 상기 마개에 올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가구용 수직 프레임.
  10. 제1항의 시스템 가구용 수직 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기 탈착형 가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가구.
KR1020200164970A 2020-11-30 2020-11-30 시스템 가구용 수직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가구 KR102407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970A KR102407931B1 (ko) 2020-11-30 2020-11-30 시스템 가구용 수직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970A KR102407931B1 (ko) 2020-11-30 2020-11-30 시스템 가구용 수직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125A KR20220076125A (ko) 2022-06-08
KR102407931B1 true KR102407931B1 (ko) 2022-06-13

Family

ID=81981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4970A KR102407931B1 (ko) 2020-11-30 2020-11-30 시스템 가구용 수직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793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42353A (ja) * 2007-12-12 2009-07-02 Sanei:Kk 連結装置
KR200453666Y1 (ko) * 2010-10-29 2011-05-19 주식회사 일광산업 조립이 간편한 벽 부착식 선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0876A (ko) * 2007-07-24 2009-01-30 주식회사 동성사 선반의 조립구조
KR200450415Y1 (ko) * 2008-07-09 2010-10-01 주식회사 동성사 붙박이장 선반용 프레임의 설치구조물
KR101876891B1 (ko) 2018-03-09 2018-07-10 윤이용 시스템 가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42353A (ja) * 2007-12-12 2009-07-02 Sanei:Kk 連結装置
KR200453666Y1 (ko) * 2010-10-29 2011-05-19 주식회사 일광산업 조립이 간편한 벽 부착식 선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125A (ko) 202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5599B1 (ko) 드레스 룸 시스템용 자립형 가구
EP1336360A2 (en) Storage structure
JP5715949B2 (ja) 食器棚を壁面に固定するための調整可能壁掛食器棚ホルダー群
JP2020508630A (ja) スイッチキャビネットの取付け板組立体
US3021961A (en) Rack
KR102407931B1 (ko) 시스템 가구용 수직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가구
CN107842085A (zh) 用于壁挂式的卫浴器具的紧固装置、紧固系统和用于安装壁挂式的卫浴器具的方法
KR200484969Y1 (ko) 선반 조립체
JP6939356B2 (ja) 脚体と天板ブラケットの連結構造
CN109696030B (zh) 一种冰箱
US11122900B2 (en) Seat module and tilt mechanism
JP5243566B2 (ja) 椅子
JP5670702B2 (ja) 間仕切構成体
KR200483193Y1 (ko) 배관 트레이용 받침대
KR200463947Y1 (ko) 조립식 가구의 지지프레임
US6508444B1 (en) Swing support assembly
KR101379685B1 (ko) 다용도 선반
KR102210742B1 (ko) 서랍식 냉장고용 브라켓 결합 어셈블리
KR102491821B1 (ko) 가구용 선반의 높이 조절장치
KR200472256Y1 (ko) 선반 받침대
KR200390746Y1 (ko) 침대용 프레임
JP4800005B2 (ja) 家具の脚体
JP4558992B2 (ja)
JP4558993B2 (ja) 机上への支杆の取付構造
KR102095958B1 (ko) 용접이 필요 없는 파이프 철 구조의 결합 체계를 갖는 멀티 테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