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7221B1 - 단단한 거울을 가진 거울-흡인 장치 - Google Patents

단단한 거울을 가진 거울-흡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7221B1
KR102407221B1 KR1020167009734A KR20167009734A KR102407221B1 KR 102407221 B1 KR102407221 B1 KR 102407221B1 KR 1020167009734 A KR1020167009734 A KR 1020167009734A KR 20167009734 A KR20167009734 A KR 20167009734A KR 102407221 B1 KR102407221 B1 KR 102407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base body
body part
opening
su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9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0075A (ko
Inventor
슈테판 클라젠
마틴 카이저
Original Assignee
클레버덴트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레버덴트 엘티디. filed Critical 클레버덴트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60070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0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7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7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61B1/00094Suction open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11Manufacturing of endoscop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61B1/24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with means for viewing areas outside the direct line of sight, e.g. dentists' mirr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61B1/24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with means for viewing areas outside the direct line of sight, e.g. dentists' mirrors
    • A61B1/253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with means for viewing areas outside the direct line of sight, e.g. dentists' mirrors with means for preventing fog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6Saliva removers; Accessories therefor
    • A61C17/08Aspiration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6Saliva removers; Accessories therefor
    • A61C17/088Saliva removers; Accessories therefor with mirr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doscope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의 구강으로부터 액체 및 입자를 추출하기 위한 치과용 거울-흡인 장치(10)에 관한 것으로서, 외측 표면(16), 내측 표면(14), 길이 방향 축(X-X) 및 흡인 개구(20)를 가지는 중공형 베이스 동체(12)를 구비하고, 내측 표면(14)은 흡인 개구(20)로부터 관찰될 수 있는 거울(22)을 가지고, 베이스 동체(12)는 서로 연결된 제 1 베이스 동체 부분(32) 및 제 2 베이스 동체 부분(34)으로부터 형성된다. 거울-흡인 장치(10)는 거울(22)이 개구(28)를 가진 제 1 베이스 동체 부분(32)의 거울 수용부(48) 안에 유지되고, 개구의 내측벽(30)은 상부 지지 어깨부(40)를 형성하고, 상부 지지 어깨부는 거울(24)의 외측 벽(36)과 접촉하며, 상부 지지 어깨부(40)는 제 1 베이스 동체 부분(32)에 의해 형성되고 거울(22)의 전체 외측 원주를 둘러싸고; 제 1 베이스 동체 부분(34)의 개구(28)는 베이스 동체 저부 측(42)으로부터 흡인 개구(20)의 방향으로 테이퍼지고, 거울의 직경보다 큰 베이스 동체 저부 측(42)을 향하는 측상의 직경을 가지며; 2 개의 베이스 동체 부분(32,34)들은 갭(gap) 없이 서로 연결됨으로써 베이스 동체(12)를 일체형으로 함께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본 발명은 거울-흡인 장치(10)의 유리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단단한 거울을 가진 거울-흡인 장치{Mirror Sucker Having A Solid Mirror}
본 발명은 환자의 구강으로부터 액체 및 입자를 추출하기 위한 치과용 거울-흡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것은 외측 표면, 내측 표면, 길이 방향 축 및 흡인 개구를 가지는 중공형 베이스 동체를 구비하고, 내측 표면은 흡인 개구를 통해 관찰될 수 있는 거울을 가지고, 베이스 동체는 제 1 베이스 동체 부분 및 제 2 베이스 동체 부분으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동체 부분들은 서로 고정되게 연결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거울-흡인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치과 치료 과정에서는 종종 액체 또는 방출된 입자들을 추출할 필요가 있으며, 예를 들어, 치료하는 동안 발생된 타액, 스프레이된 물과 혈액을 추출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세정의 목적을 위하여 또는 다기능 스프레이의 사용 이후에, 물이 축적될 수도 있으며, 이것은 추출되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추출기가 통상적으로 사용되며, 이것은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튜브형 동체로 형성되고, 그 단부에 호스가 부착되어, 호스는 다시 펌프와 연결된다. 방해가 되는 액체 및 고체 입자들은 호스를 통해 밖으로 이끌어진다.
종종 추출기는 치과 의사 또는 치과 외과 의사가 사용하지 않고 보조자가 잡고서 사용하게 되는데, 이는 치료를 수행하는 치과 의사가 한손으로는 드릴을 잡고 다른 손으로는 거울을 잡고 있기 때문이며, 치고 의사는 치료되고 있는 영역을 거울을 가지고 비춰볼 수 있다. 위와 같은 과정에서는 치료되고 있는 영역의 둘레에 2 사람이 서로 매우 인접하게 앉거나 서 있어야 한다는 점이 불편하다. 특히, 만약 치과 의사가 상대적으로 곤란하거나 미세한, 모터를 필요로 하는 작업의 형태를 취한다면 치료를 수행하는 치과 의사에게 위와 같은 것은 귀찮은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독일 출원 DE 102006048463 A1 에는 의료용 거울-흡인-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이것은 내측 표면이 거울 표면으로서 흡입 구멍을 통해 거울 표면이 관찰될 수 있다. 반사 코팅은 사용자가 의료용 거울-흡인 장치를 액체 및 입자들의 제거를 위한 거울-흡인 장치로서 사용할 수 있게 하고 또한 동시에 거울로서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그러한 거울-흡인-장치의 도움으로, 치과 의사는 이제 보조자의 도움 없이 치료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거울-흡인-장치는 추출기 및 거울로서 동시에 사용된다.
상기 2 가지 종료의 장비를 조합하려는 근본적인 개념은 기본적으로 매우 훌륭하지만, 개념의 실제 구현 및 그러한 거울-흡인 장치의 제조는 극히 어려운 것으로 증명되었다. 거울은는 안정되게 프레임이 형성되어야 한다; 거울이 떨어져서는 아니되고, 시야가 방해를 받으므로 치료하는 동안 움직여서도 아니된다. 또한, 가능한 한, 불균일성 또는 갭(gap)들이 존재하지 않아야 하는데, 왜냐하면 그것은 발생되는 노이즈(noise)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거울-흡인-장치의 베이스 동체는 예를 들어 2 개의 용접된 길이 방향 절반부로부터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절반부들은 거울을 홈 안에 유지시킨다. 그러나, 길이 방향 절반부들을 만족스러운 방식으로 용접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섀도우 갭(shadow gap) 이 형성되거나, 또는 과잉 물질이 용접 과정 동안에 발생되며, 상기 물질은 차후에 제거되어야 한다. 섀도우 갭은 미감이 좋지 않고, 액체 및 박테리아가 그 안에 모일 수 있다; 과잉 재료의 제거에는 시간이 걸리고 베이스 동체 표면의 가시적인 변경에 이르게 된다. 더욱이 2 개의 길이 방향 절반부들은 조립 및 용접 이후에 보기 좋은 외관을 보장하기 위하여 높은 정밀도를 가지고 제조되어야 하며, 특히 갭 및/또는 과잉 재료가 없는 것으로 제조되어야 한다. 이것은 특히 불편한 일인데, 왜냐하면 치료를 수행하는 치과 의사는 손가락으로 거울-흡인-장치의 길이 방향 프로파일에서 모든 불균일성, 홈 또는 단계(step)를 검출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길이 방향에서도, 2 개 절반부들의 가장 작은 길이 공차들만이 허용 가능하다; 더욱이, 2 개의 절반부들이 길이 방향에서 서로에 대하여 변위되도록, 2 개의 절반들은 최소 범위로도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거울-흡인 장치의 제공으로서, 이것은 흡인 개구의 영역에 충분히 높은 품질의 거울 표면을 가진다. 동시에 거울-흡인 장치는 비용 효과적으로 제조될 수 있어야 하고, 우수한 외관을 가져야 한다. 종래 기술의 단점이 회피되어야 한다; 특히, 거울-흡인 장치는 그것의 외측 표면상에 갭(gap)을 가지지 않아야 하거나 또는 오직 현저하지 않은 갭만이 있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장점을 가진 거울-흡인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청구 범위 제 1 항의 특징을 가진 거울-흡인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청구항 제 10 항에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거울은 2 개의 베이스 동체 부분들로부터 형성되는데, 베이스 동체 부분들은 서로 연결되고, 바람직스럽게는 용접되거나 또는 접착제로 접합되고, 따라서 일체형 거울-흡인 장치를 형성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일체형"이 의미하는 것은 제조 이후에 2 개의 베이스 동체 부분들이 파괴적인 과정에 의해서만 서로로부터 다시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거울은 거울-흡인 장치에 안정적으로 부착되는데, 이것은 작동시에 베이스 동체 및 거울이 하나의 단위체로서 다뤄질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거울 및 거울-흡인 장치는 함께 소독될 수 있다; 작동시에 거울을 삽입하고 해제시키는 작동은 생략된다.
이와 관련하여 "고정(secure)"이 의미하는 것은 거울이 상실될 수 없도록 거울이 유지되는 것이다; 거울은 거울-흡인 장치 또는 거울을 파괴하지 않고서 해제될 수 없다.
만약 2 개의 제 1 베이스 동체 부분들중 하나가 가능한 한 크고, 다른 하나의 베이스 동체 부분이 가능한 한 작고, 작은 베이스 동체 부분이 거울-흡인 장치의 길이 방향에서 오직 작은 범위로만 연장된다면, 베이스 동체의 우수한 외관이 달성된다는 점이 중요하다. 그에 의하여, 베이스 동체 부분들 사이의 연결 표면상에서 발생되는 그 어떤 방해를 일으키는 홈 또는 단계도 상대적으로 짧아진다.
더욱이, 작은 베이스 동체 부분 및, 베이스 동체 부분들 사이의 연결은, 치료를 수행하는 치과 의사가 치료중에 전혀 접촉하지 않거나 또는 오직 작게만 접촉하는 영역에 배치된다는 점이 중요하다. 연결 표면들이 거울-흡인 장치의 표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지라도, 이들이 촉각에 의한 교란( haptic disturbance)으로 이어지지 않는다.
거울의 후방측 영역에서의 구성, 즉, 거울-흡인 장치의 저부측상의 구성이 특히 유리한데, 왜냐하면 상기 영역은 일반적으로 거울-흡인 장치가 사용되고 있지 않을 때 관찰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가시적이지만 만질 수 없는 표면에 대한 그 어떤 변경도 거의 주의를 끌지 않는다.
따라서 제 1 베이스 동체 부분이 거울-흡인 장치의 베이스 동체의 거의 전체를 형성하는 반면에, 제 2 베이스 동체 부분은 실질적으로 오직 개구를 폐쇄하며, 개구는 거울을 제 1 베이스 동체 부분 안으로 삽입할 목적으로 필요하다. 외부 표면과 관련하여, 제 1 베이스 동체 부분은 80 내지 95 % 의 표면 백분율을 가지는 반면에, 제 2 베이스 동체 부분은 5 내지 20 % 의 표면 백분율을 가진다.
거울이 유리하게는 원형이거나, 또는 타원형이거나 또는 다른 적절한 형상일 수 있다. 다음에서는 통상적인 거울의 원형 형상이 가정될 것이다.
신뢰성 있는 거울을 오랜 기간 동안 유지하기 위하여, 제 1 베이스 동체 부분은 거울을 삽입할 목적의 개구를 가진 거울 수용부를 구비한다. 따라서 제 1 베이스 동체는 개구 안으로 삽입된 거울을 측방향으로 둘러싼다. 완전한 거울-흡인 장치에서, 개구는 후방측에서 폐쇄되며, 즉, 삽입된 거울의 뒤에서, 제 2 베이스 동체 부분에 의해 폐쇄된다. 2 개의 베이스 동체 부분들은 함께 용접되거나, 또는 접착제로 함께 접합된다.
거울을 둘러싸고 유지하는 물질이 유리하게는 유연성이 있거나 또는 탄성을 가져서, 예를 들어 소독중에 발생되는 그 어떤 물질의 팽창이라도 보상될 수 있다. 거울 및/또는 베이스 동체를 파괴할 수 있는, 거울 영역내의 불필요한 응력은 이러한 수단에 의해 효과적으로 회피된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적으로, 거울은 홈 안에 유지될 수 있는데, 상기 홈은 그 어떤 열팽창이라도 보상하기 위하여, 즉, 거울의 표면적 및 직경의 그 어떤 증가라도 보상하기 위하여, 측방향에서 충분히 깊다. 팽창하는 거울은 충분하게 깊은 홈 안으로 팽창할 수 있다. 홈 대신에, 거울이 삽입되는 제 1 베이스 동체 부분내의 개구 직경은 거울의 직경보다 다소 클 수도 있다.
거울의 가시적인 표면 영역은 비어 있게 유지되고, 정면으로부터 관찰될 수 있다. 실시예의 유리한 변형에서, 거울의 후방측상에 배치된 제 2 베이스 동체 부분은 현저하지 않은 범위로만 거울의 치수를 초과하는 전체 치수를 가진다. 그에 의하여, 처음에는 제 1 베이스 동체 부분을 제조하고, 다음에 거울을 뒤로부터 제 1 베이스 동체 부분의 비어 있는 개구 안으로 삽입하고, 마지막으로 개구를 뒤로부터 제 2 베이스 동체 부분으로 폐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베이스 동체 부분에 있는 개구는 흡인 개구의 영역에 있는 베이스 동체내에서 바닥 표면의 방향으로 테이퍼진다; 이것은 거울 어깨부(mirror shoulder)에 있는 상부 지지 어깨부와 삽입된 거울이 접촉하도록 치수가 정해지고 구현되며, 상기 어깨부는 개구의 내측벽내에 형성된다.
거울이 거울 수용부(mirror receptacle) 안으로 도입될 수 있도록 제 1 베이스 동체 부분의 거울 수용부의 개구의 치수가 정해지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개구는 베이스 동체 후방측을 향하는 측부상에 거울의 직경을 초과하는 치수를 가진다. 따라서, 제 2 베이스 동체 부분은 거울의 직경을 초과하는 직경을 가진다. 마지막으로, 수직 단면의 방향에서, 개구는 원추상으로 테이퍼진 통로이며, 거울은 넓은 측으로부터 상기 테이퍼진 통로 안으로 삽입된다. 이러한 설명은 거울의 기본적인 원형 형태에 관한 것이다; 만약 거울이 다른 형태를 가진다면, 그러한 다른 형태가 수용될 수 있도록 거울 수용부가 구현되어야 한다.
특히 유리한 실시예의 변형예에서, 거울은 그것의 수직 단면에서 실질적으로 부등변 사각 형상으로 구현되며, 여기에서 거울의 직경은 거울 표면으로부터 시작하여 베이스 동체 저부 측의 방향으로 증가한다.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제 1 베이스 동체 부분의 개구의 내측벽은 거울의 단면에 대응하는 수직 단면을 가진다; 직경은 베이스 동체 저부 측으로부터 시작하여 증가된다.
상부 지지 어깨부, 개구의 내측벽 및 거울의 외측벽의 부등변 사각형 형상은, 거울의 삽입 상태에서, 가시적인 거울 표면이 거울 표면을 둘러싸는 제 1 베이스 동체 부분의 바닥 표면과 같은 높이로 폐쇄되도록 유리하게 선택된다. 거울의 외부측과의 접촉의 결과로서, 상부 지지 어깨부는 거울이 바닥 표면을 넘어서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이 방지되거나, 또는 그 방향에서 베이스 동체의 밖으로 나올 수 있는 것이 방지된다.
유리하게는 거울이 거울 수용부 안에 삽입될 때 마찰 맞춤(friction-fit) 또는 형태 맞춤(form-fit)에 의해 유지된다. 예를 들어, 개구의 직경은 거울의 직경보다 작게 최소가 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거울을 삽입하는 동안 거울은 둘러싸는 재료를 변형시켜서 그것을 다소 뒤로 밀게 됨으로써, 거울은 차후에 탄성 재료에 의해 유지된다. 거울이 삽입되어 유지되어 있으면서, 제 2 베이스 동체 부분은 차후에 제 1 베이스 동체 부분상으로 접착제로 접합되거나, 또는 사출 몰딩된다.
대안으로서, 거울의 직경 보다 작은 개구의 전체 직경이 아니라, 오히려 복수개의, 바람직스럽게는 3 개의 돌출부들이 내측 벽 또는 지지 어깨부의 과정에 걸쳐서 고르게 분포되는 것을 생각할 수도 있다; 이들 돌출부들은 제 2 베이스 동체 부분과의 연결 이전에 거울을 그것의 위치에 유지한다.
거울 표면 및 둘러싸는 바닥 표면은 가능한 한 평탄한 전체 표면을 형성하고, 그 표면 위로 공기 흐름, 흡입되는 액체 및 입자들이 최적의 방식으로 이끌어질 수 있다. 전체적으로 평탄한 표면은 또한 그러한 영역에서의 공기 난류에 의해 발생되는 그 어떤 노이즈(noise)라도 낮은 레벨(level)로 유지되는 것을 보장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제 1 베이스 동체 부분의 바닥 표면에 대하여 거울이 0.3 mm 까지 돌출하는 것도 여전히 같은 높이인 것으로 간주된다.
순수한 부등변 사각형 형상에 대한 대안으로서, 거울은 예를 들어 수직 단면의 중심 영역에서 최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직경은 거울 표면으로부터 시작하여 처음에 증가하고 다음에 거울의 후방측의 방향으로 다시 한번 감소한다. 거울이 거울 장착 홈 안으로 클립핑(clipping)될 수 있도록, 개구의 내측벽이 그에 대응되게 설계된다. 개구의 내측벽은 상부 지지 어깨부를 형성할 뿐만 아니라, 하부 지지 어깨부를 형성하기도 한다. 후방측으로부터 시작하여 거울와 최대 직경으로 접촉하는 하부 지지 어깨부가 제 2 베이스 동체 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생각할 수도 있다.
제 2 베이스 동체 부분이 제 1 베이스 동체 부분과 연결될 수 있고 적절한 형상을 가질 수 있어서, 이는 사전 부하(preload)로써 개구 안에 있는 거울을 상부 어깨 지지부에 대하여 누른다. 이것은 거울이 고정되게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고, 또한 치료 중에 움직일 수 없는 것을 보장한다. 개구의 내측벽은 밀봉 립(sealing lip)으로서 작용하고, 오일 밀봉(oil seal)의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거울의 측면의 원주와 접촉한다.
열가소성 플라스틱이 특히 제조를 위해서 적절하며,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도 적절하다. 거울-흡인 장치의 외관은 첨가물의 도입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에스터로 제조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증명되었다. 마무리된 제품의 표면 마무리와 관련하여, 폴리에스터는 다른 플라스틱과 비교하여 현저한 장점을 가지는데, 예를 들어 표면의 매끄러움과 함께, 조절 가능한 광택 레벨, 스크래치 저항과 관련하여 그러하다. 재료의 특성에 영향을 미칠 목적으로 예를 들어 유리 비드(glass bead)가 적절한 첨가물로서 고려된다; 다른 특성들중에서도 이것은 표면의 광택 레벨에 영향을 미친다.
튜브형 베이스 동체의 흡인 개구는 길이 방향 축에 직각으로 연장되지 않지만, 길이 방향 축에 각을 형성하면서 구현된다. 그에 의하여 거울-흡인 장치의 각이 형성된 형태는, 결과적으로 거울-흡인 장치가 예를 들어 볼과 치아 사이에 보다 용이하게 도입될 수 있게 한다. 거울은 흡인 개구의 전방에 위치되지 않지만, 흡입되는 공기의 유동 방향에서 실질적으로 흡인 개구의 뒤에 위치되며, 즉, 베이스 동체 안에 위치된다. 이것은 흡인 파워(suction power)를 감소시킬 전방-장착 거울에 대하여 거울-흡인 장치가 연장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비록 베이스 동체 부분들을 접착제로 서로 접합하는 것이 원칙적으로 가능할지라도, 그 어떤 접착제도 사용하지 않고 2 개의 베이스 동체 부분들을 함께 용접하는 것이 특히 유리한 것으로 증명되었다. 그에 의하여 접착제 연결의 고유한 단점이 회피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거울-흡인 장치의 제조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가진다.
- 실질적으로 원주상의 상부 지지 어깨부가 있는 개구부가 가지는, 거울을 위한 거울 수용부를 구비한 제 1 베이스 동체 부분의 제조 단계,
- 상부 어깨 지지부가 거울의 면과 접촉하도록 거울 수용부로 거울을 삽입하는 단계,
- 2 개의 베이스 동체 부분들이 일체형의 베이스 동체를 형성하도록, 제 2 베이스 동체 부분을 제조하고 제 2 베이스 동체 부분을 제 1 베이스 동체 부분과 거울 후방측의 영역에서 연결하는 단계.
2 개의 베이스 동체 부분들이 서로 연결되기 전이라도 거울이 제 1 베이스 동체 부분에 마찰 맞춤 또는 형태 맞춤으로 유지되도록, 제 1 베이스 동체 부분이 유리하게 제조 및 구현될 수 있다. 이것은 제조에서 다음 단계들을 단순화시킨다.
따라서 방법은 신속하고 간단하게 수행된다. 상대적으로 단순한 제 2 베이스 동체 부분의 기본 형상에 의하여, 제조를 위한 공구의 디자인도 간단하며, 제조시의 공구의 신뢰성도 높다.
본 발명은 다음의 도면을 기초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면은 실시예를 간단하게 도시한다. 본 발명이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은 본 발명의 거울-흡인 장치를 위로부터 도시한다.
도 2 는 도 1 의 본 발명의 거울-흡인 장치를 측부로부터 도시한다.
도 3 은 도 1 의 본 발명의 거울-흡인 장치를 길이 방향 단면으로 도시한다.
도 4 는 도 3 의 영역(A)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5 는 거울을 측면으로 도시한다.
도 6 은 거울-흡인 장치의 전방 영역을 아래로부터 단순하게 나타낸 것이다.
특히 도 1 내지 도 3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거울-흡인 장치(10)는 중공형 베이스 동체(12)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 동체(12)에는 내측 표면(14) 및 외측 표면(16)이 구비된다. 더욱이, 베이스 동체(12)는 길이 방향 축(X-X)를 가진다 (도 1 참조). 특히 도 2 및 도 3 에서 분간될 수 있는 거울-흡인 장치(10)의 만곡 형상은 그것이 처리되고 있는 위치로 보다 용이하게 안내될 수 있게 하는 장점을 가진다.
베이스 동체(12)는 도시되지 않은 호스(hose)를 위한 연결 포트(connection port, 18) 및 입자와 액체를 추출할 목적을 가지는 흡인 개구(20)를 가진다. 추출되어야 하는 액체 및 입자들은 흡인 개구(20)를 통해 흡입되고 연결 포트(18)를 통하여 호스로 이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거울(22)은 흡인 개구(20)의 영역에서 베이스 동체(12)의 안에 배치되는데, 상기 거울은 흡인 개구(20)를 통해 관찰될 수 있다. 따라서, 가시 거울 표면(visible mirror surface, 24)는 흡인 개구(20)를 향한다. 거울(22)은 완전하게 베이스 동체(12) 안에 있으며, 즉, 추출되고 있는 공기의 유동 방향에서, 흡인 개구(20)의 뒤에 배치된다. 흡입되고 있는 공기는 거울 표면(24)에 위로 이어지며, 결과적으로 거울 표면(24)에 대한 그 어떤 안개 형성도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거울-흡인 장치(10)는 추가적인 개구(26)를 가지며, 상기 개구를 통하여 공기가 마찬가지로 흡입된다. 추가적인 개구(26)는 만약 예를 들어 흡입 개구(20)가 환자의 혀 또는 볼에 의해 폐쇄된다면 베이스 동체(12) 안의 그 어떤 미달 압력(under-pressure)이라도 방지한다. 도시된 실시예의 예에서, 3 개의 추가적인 개구(26)들이 제공되지만, 오직 하나의 추가적인 개구(26)의 제공을 생각할 수 있거나, 또는 3 개 보다 많은 추가적인 개구(26)들을 생각할 수 있다.
프로파일 요소(profile elements, 38)들은 베이스 동체(12)의 외측 표면(16)상에서 분간될 수 있다; 이것은 거울-흡인 장치(10)상에 고정된 파지를 제공하고, 치료를 수행하는 치과 의사의 손가락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 3 및 도 6 은 베이스 동체(12)가 제 1 베이스 동체 부분(32) 및 제 2 베이스 동체 부분(34)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다. 제 1 베이스 동체 부분(32)은 개구(28)를 가진 거울 수용부(48)를 구비하며, 조립된 상태에서는 거울(22)이 그 안으로 삽입된다. 개구(28)의 내측 벽(30)은 거울(22)을 둘러싸고 거울(22)의 외측 벽(36)과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접촉한다. 개구(28)는 베이스 동체 저부 측(42)으로부터 흡인 개구(20)의 방향으로 테이퍼진다. 베이스 동체 저부 측(42)을 향하는 측부상에서 개구(28)는 거울(2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다. 이는 거울(22)이 거울 수용부(48) 안으로 도입될 수 있도록 미리 필요한 것이다.
단면에서 거울(22)은 적어도 일부 섹션에서 대략 부등변 사각형의 형상이도록 구현됨으로써 (도 5 참조), 그것의 직경은 적어도 일부 섹션에서 거울 표면(24)으로부터 시작하여 베이스 동체 저부 측(42)의 방향으로 증가된다. 거울(22)은 거울 후방 측부(46)를 가지는데, 이것은 가시적인 미리 표면(24)으로부터 반대를 향한다. 도 5 는 거울이 수직 방향에서 대략 하부의 1/3 에 가공된 직경을 가지는 실시예의 형태를 도시한다. 이러한 형상은 거울 수용부(48) 안으로의 삽입 또는 클립핑(clipping)을 단순화시킨다. 하부의 지지 어깨부는 외측 벽(36)의 하부 영역과 접촉한다.
도 4 는 도 3 의 영역(A)을 확대 도시한 것으로서, 상부 지지 어깨부(40)는 거울(22)의 전체 외측 벽(36)을 둘러싸고, 거울(22)의 아래에서 그것을 따른 공간을 밀봉한다. 밀봉은 상부 지지 어깨부(40)에 미리 부하를 가함으로써 향상된다. 이는 거울(22)이 제 1 베이스 동체 부분(32) 안으로 삽입될 때 상부 지지 어깨부(40)에 대하여 가압되고, 상부 지지 어깨부가 최소한으로 압축되거나 또는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것을 의미한다.
더욱이,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거울(22)이 바닥 표면(44)과 거의 같은 높이가 되는 장점을 가진다.
도 6 은 베이스 동체 저부 측(42)으로의 모습과 함께 거울-흡인 장치(10)의 전방 영역을 도시한다. 제 2 베이스 동체 부분(34)이 분간될 수 있다(해칭되어 있다); 이것은 개구(28)를 폐쇄한다.
본 발명은 위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오히려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하는 실시예들의 모든 형태를 포함한다. 설명된 실시예의 변형은 오직 일 예이며,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을 그 어떤 기술적으로 타당한 방식으로도 서로 결합할 수 있다.
10. 거울-흡인 장치 12. 중공 튜브형 베이스 동체
14. 내측 표면 16. 외측 표면
18. 연결 포트 20. 흡인 개구
22. 거울 24. 거울 표면

Claims (11)

  1. 환자의 구강으로부터 액체 및 입자를 추출하기 위한 치과용 거울-흡인 장치(10)로서, 상기 거울-흡인 장치는, 내측 표면(14), 외측 표면(16), 길이 방향 축(X-X), 호스(hose)를 위한 연결 포트(18) 및, 흡인 개구(20)를 가지는 중공 튜브형 베이스 동체(12)를 구비하고,
    - 내측 표면(14)은 거울 표면(24) 및 거울 후방측(46)을 구비한 거울(22)을 포함하고, 상기 거울 표면(24)은 흡인 개구(20)를 통해서 관찰될 수 있으며,
    - 베이스 동체(12)는 제 1 베이스 동체 부분(32) 및 제 2 베이스 동체 부분(34)으로부터 형성되고,
    - 상기 제 1 베이스 동체 부분(32) 및 제 2 베이스 동체 부분(34)은, 함께 일체형 베이스 동체(12)를 형성하고 또한 제조 이후에는 파괴적인 과정에 의해서만 서로로부터 다시 분리될 수 있게 되도록, 갭(gap)없이 서로 접합되며,
    - 거울(22)은 개구(28)에 있는 제 1 베이스 동체 부분(32)의 거울 수용부(48) 에 유지되고, 개구(28)의 내측벽(30)은 상부 지지 어깨부(40)를 형성하여 거울(22)의 외측벽(36)과 접촉되고, 상부 지지 어깨부(40)는 제 1 베이스 동체 부분(32)에 의하여만 형성되어 거울(22)의 전체 외측 원주를 둘러싸고, 상기 거울(22)은 상부 지지 어깨부(40)에 대하여 가압되고 상부 지지 어깨부(40)에 사전 부하를 가하며,
    - 상기 제 1 베이스 동체 부분(32)은 상기 거울-흡인 장치의 베이스 동체의 거의 전체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베이스 동체 부분(34)은 상기 거울-흡인 장치의 저부측에서 상기 거울의 후방측 영역에 배치되며,
    - 제 1 베이스 동체 부분(32)의 개구(28)는 베이스 동체의 저부 측(42)으로부터 흡인 개구(20)의 방향으로 테이퍼지고, 상기 개구(20)는 베이스 동체의 저부 측(42)을 향하는 측에서 거울(2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 상기 거울(22)은 적어도 일부 섹션에서 부등변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되, 그 직경은 수직 단면의 중앙 영역에서 최대 직경을 가져서, 상기 직경이 상기 거울 표면(24)으로부터 시작하여 먼저 증가한 다음에 거울(22)의 후방 측부(46)의 방향으로 다시 감소하며,
    - 상기 제 1 베이스 동체 부분 또는 제 2 베이스 동체 부분에 의하여 하부 지지 어깨부가 형성되고,
    - 가시적인 거울 표면(24)이 상기 거울(22)을 둘러싸는 제 1 베이스 동체 부분(32)의 바닥 표면(44)과 같은 높이로 폐쇄되며, 상기 상부 지지 어깨부(40)는 상기 거울(22)이 상기 바닥 표면을 넘어서 상방향으로 돌출함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거울-흡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베이스 동체 부분(34)은 거울 후방 측(46)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거울-흡인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거울(22)은 원형의 형상으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거울-흡인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28)의 내측 벽(30)은 하부 지지 어깨부를 형성하여, 거울(22)의 외측벽(36)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거울-흡인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제 2 베이스 동체 부분(34)은 하부 지지 어깨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거울-흡인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거울(22)은 제 1 베이스 동체 부분(32)에서의 접착제 접합 없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거울-흡인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베이스 동체 부분(32,34)들은 플라스틱으로부터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거울-흡인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2 개의 베이스 동체 부분(32,34)들이 함께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거울-흡인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제 2 베이스 동체 부분(34)은 제 1 베이스 동체 부분(32)상으로 사출 성형(injection molding)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거울-흡인 장치.
  10. 환자의 구강으로부터 액체 및 입자를 추출하기 위한 치과용 거울-흡인 장치(10)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거울-흡인 장치는, 외측 표면(16), 내측 표면(14), 길이 방향 축(X-X) 및, 흡인 개구(20)를 가지는 중공형 베이스 동체(12)를 구비하고,
    내측 표면(14)은 흡인 개구(20)를 통해 관찰될 수 있는 거울(22)을 가지고, 상기 제조 방법은:
    - 거울(22)을 위한 거울 수용부를 가진 제 1 베이스 동체 부분(32)의 제조 단계로서, 제 1 베이스 동체 부분은 실질적으로 원주상의 상부 지지 어깨부(40)를 가진 개구(28)를 구비하는, 제 1 베이스 동체 부분의 제조 단계;
    - 상부 지지 어깨부(40)가 거울(22)의 외측 벽(36)과 접촉하도록, 거울(22)을 거울 수용부 안으로 삽입하는 단계;
    - 제 2 베이스 동체 부분(34)을 제조하고, 거울 후방측(46)의 영역에서 제 2 베이스 동체 부분(34)과 제 1 베이스 동체 부분(32)을 연결함으로써, 2 개의 베이스 동체 부분(32,34)들이 일체형 베이스 동체(12)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 상기 제 2 베이스 동체 부분(34)은, 상기 거울(22)의 후방측에서 상기 거울 수용부(48)의 개구(28) 내에 배치되고, 상기 거울(22)을 제 1 베이스 동체 부분(32) 안으로 삽입하기 위하여 필요한 개구(28)를 폐쇄하고,
    - 제 1 베이스 동체 부분(32)의 개구(28)는 베이스 동체의 저부 측(42)으로부터 흡인 개구(20)의 방향으로 테이퍼지고, 또한 베이스 동체 저부 측(42)을 향하는 측에서 거울(2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치과용 거울-흡인 장치의 제조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제 1 베이스 동체 부분(32) 및 제 2 베이스 동체 부분(34)은 플라스틱으로부터 제조되고, 제 2 베이스 동체 부분(34)은 제 1 베이스 동체 부분(32)상으로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거울-흡인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167009734A 2013-09-18 2014-09-18 단단한 거울을 가진 거울-흡인 장치 KR1024072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3110302.2 2013-09-18
DE102013110302.2A DE102013110302B4 (de) 2013-09-18 2013-09-18 Spiegelsauger mit festem Spiegel
PCT/EP2014/002529 WO2015039752A1 (de) 2013-09-18 2014-09-18 Spiegelsauger mit festem spieg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0075A KR20160070075A (ko) 2016-06-17
KR102407221B1 true KR102407221B1 (ko) 2022-06-10

Family

ID=51945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9734A KR102407221B1 (ko) 2013-09-18 2014-09-18 단단한 거울을 가진 거울-흡인 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0786139B2 (ko)
EP (1) EP3046457B1 (ko)
JP (2) JP6691866B2 (ko)
KR (1) KR102407221B1 (ko)
CN (1) CN105813542B (ko)
AU (1) AU2014323712B2 (ko)
BR (1) BR112016005960B1 (ko)
CA (1) CA2924364C (ko)
DE (1) DE102013110302B4 (ko)
IL (1) IL244650B (ko)
SA (1) SA516370773B1 (ko)
WO (1) WO20150397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110302B4 (de) 2013-09-18 2019-01-10 cleverdent Limited Spiegelsauger mit festem Spiegel
USD919804S1 (en) * 2014-10-13 2021-05-18 W. L. Gore & Associates, Inc. Handle for medical delivery apparatus device
US10945595B2 (en) 2015-06-22 2021-03-16 Rndent Ip Ltd. Dental suction-mirror tool
US11369461B2 (en) 2016-09-28 2022-06-28 Cleverdent Ltd. Disposable aspirator
EP3568055B1 (de) 2017-01-10 2022-10-19 Cleverdent Ltd. Spiegelsauger mit mittelwand
EP3568056A1 (de) * 2017-01-10 2019-11-20 Cleverdent Ltd. Einstückiger spiegelsauger
CN109480753A (zh) * 2018-12-26 2019-03-19 张延蕊 一种儿科医生用儿科胃肠检测装置
CN112043448B (zh) * 2020-10-09 2021-09-10 孙毅 一种附着于牙体组织的负压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7679A (ja) 2003-09-13 2005-04-07 Gakuo Kubo 歯科用治療装置
US20090311648A1 (en) 2004-01-09 2009-12-17 Stephan Clasen Medical suction apparatus
US20120021373A1 (en) 2010-07-21 2012-01-26 Jackelyne Moreno Multi-Purpose Dental Instrument
WO2013104647A1 (de) * 2012-01-09 2013-07-18 Stephan Clasen Spiegelsauger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6040A (en) * 1880-12-28 Ice-cream freezer
US1240175A (en) * 1917-01-23 1917-09-18 Alfred Burke Mirror-frame.
US2525181A (en) * 1949-01-18 1950-10-10 George W Ransdell Two-surface dental mirror
US2627206A (en) * 1952-02-16 1953-02-03 Harold L Clark Dental mouth mirror
US3092910A (en) * 1961-03-02 1963-06-11 Joe F Warriner End instrument for dental evacuator
US3102338A (en) * 1961-12-18 1963-09-03 Joe F Warriner Dental mirror and aspirator
GB1255719A (en) * 1969-12-01 1971-12-01 Bernard Francis Vellender An improved dental mirror
US3829199A (en) * 1972-01-18 1974-08-13 Minnesota Mining & Mfg Disposable dental mirror
US3928916A (en) * 1972-11-21 1975-12-30 Tomas Wilhelm Hansson Combination implement for dental use
JPS5938902U (ja) * 1982-09-03 1984-03-12 株式会社ヨシダ 歯垢検出用鏡
US4713002A (en) * 1985-10-09 1987-12-15 Joseph J. Berke Dental mirror
US4900253A (en) * 1987-07-15 1990-02-13 Landis Timothy J Dental mirror having ultraviolet filter
SE8704186L (sv) * 1987-10-28 1989-04-29 Invo Ab Tandlaekarspegel
FR2642298A1 (fr) * 1989-02-02 1990-08-03 Philippe Bagur Miroir aspirant a usage dentaire
JPH0613690Y2 (ja) * 1990-11-30 1994-04-13 株式会社ワイデム・ヤマウラ 歯 鏡
US5295826A (en) * 1993-02-02 1994-03-22 Yandell Candice A Dental mirror with aspirating and rinsing means
DE9311979U1 (de) * 1993-03-30 1994-04-28 Riewenherm Ulrich Dr Absaugekanüle für zahnärztliche Zwecke
US5428484A (en) * 1994-08-12 1995-06-27 Baker; Michael W. Moveable hand-held lighted mirror
DE29502783U1 (de) * 1995-02-20 1996-06-20 Thera Ges Fuer Patente Behälter zum Lagern und Ausbringen einer Dentalmasse
JPH08256979A (ja) * 1995-03-23 1996-10-08 Morita Mfg Co Ltd 歯科用ミラー
US5655904A (en) * 1995-12-29 1997-08-12 Usui Kokusai Sangyo Kaisha Ltd. Dental mirror
US6554765B1 (en) * 1996-07-15 2003-04-29 East Giant Limited Hand held, portable camera with adaptable lens system
SE507193C2 (sv) * 1997-05-12 1998-04-20 Stefan Gunnarsson Självrengörande roterande tandläkarspegel
US5951284A (en) * 1998-03-10 1999-09-14 Lake; James A. Intraoral instrument
US6544036B1 (en) * 2000-06-16 2003-04-08 Steven J. Brattesani Illuminating dental/medical examination mirror
CN2498989Y (zh) 2000-12-11 2002-07-10 金明 吸唾式口镜
US20040115588A1 (en) * 2002-12-12 2004-06-17 Corey Sommers Combined dental instrument and dental instrument sharpener
US7553158B2 (en) * 2003-11-18 2009-06-30 Debra Kay Frider Dental evacuation mirror
US20070287123A1 (en) * 2006-06-12 2007-12-13 Swift Ronald L Mouth mirror handle featuring improved lens mounting technique
DE102006048463A1 (de) 2006-10-11 2008-04-17 Stephan Clasen Zahnmedizinischer Absauger mit lösbarer Kappe
CA2698092A1 (en) * 2007-08-30 2009-03-05 Axenic Dental, Inc. Disposable dental handpiece
US20100021860A1 (en) * 2008-07-28 2010-01-28 Stephanie Christman Ergonomic high volme evacuator system
US8133052B1 (en) * 2009-04-02 2012-03-13 Emmons Iii Donald L Dental mirror with mirror-cleaning suction
CN102525389A (zh) 2011-11-30 2012-07-04 复旦大学 一种防雾口腔镜
CN202681906U (zh) 2012-08-08 2013-01-23 徐志祥 一种抛弃式牙医用口镜
DE102013110302B4 (de) 2013-09-18 2019-01-10 cleverdent Limited Spiegelsauger mit festem Spiege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7679A (ja) 2003-09-13 2005-04-07 Gakuo Kubo 歯科用治療装置
US20090311648A1 (en) 2004-01-09 2009-12-17 Stephan Clasen Medical suction apparatus
US20120021373A1 (en) 2010-07-21 2012-01-26 Jackelyne Moreno Multi-Purpose Dental Instrument
WO2013104647A1 (de) * 2012-01-09 2013-07-18 Stephan Clasen Spiegelsaug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691866B2 (ja) 2020-05-13
CA2924364A1 (en) 2015-03-26
DE102013110302B4 (de) 2019-01-10
IL244650B (en) 2019-08-29
JP2018140192A (ja) 2018-09-13
IL244650A0 (en) 2016-04-21
CA2924364C (en) 2020-06-09
WO2015039752A1 (de) 2015-03-26
CN105813542A (zh) 2016-07-27
BR112016005960A2 (pt) 2017-08-01
AU2014323712A1 (en) 2016-05-05
NZ719037A (en) 2020-10-30
BR112016005960B1 (pt) 2022-02-08
KR20160070075A (ko) 2016-06-17
AU2014323712A9 (en) 2016-06-16
US20160227987A1 (en) 2016-08-11
CN105813542B (zh) 2018-07-17
SA516370773B1 (ar) 2019-09-24
DE102013110302A1 (de) 2015-03-19
WO2015039752A8 (de) 2016-05-06
JP6916759B2 (ja) 2021-08-11
EP3046457B1 (de) 2019-04-24
US10786139B2 (en) 2020-09-29
AU2014323712B2 (en) 2018-10-18
JP2016536087A (ja) 2016-11-24
EP3046457A1 (de) 2016-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7221B1 (ko) 단단한 거울을 가진 거울-흡인 장치
USD533875S1 (en) Graphic user interface for a medical monitor
US11642443B2 (en) Breast shield with a flexible edge
JP6430412B2 (ja) 容易に組み立て可能な搾乳器の乳房インターフェース
JP6952118B2 (ja) 一体構造の吸引ミラー
US11324576B2 (en) Suction device
JP6932783B2 (ja) 中央壁を有する吸引ミラー
DK2802286T3 (en) Mirror Suction Device
JP2018507760A (ja) 歯科インプラントの位置と方向を定めるためのスキャンボディシステム
US11369461B2 (en) Disposable aspirator
NZ719037B2 (en) Mirror-suction-device with a solid mirror
JP2016508804A (ja) 搾乳器のライナー及び乳房インターフェース
FR2952805A1 (fr) Adaptateur universel pour systeme d'aspiration dans le domaine de l'odontologie et des soins buccodentaires
JP2007289243A (ja) 吸引チップ
JP2007111232A (ja) 耳垢取り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