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6645B1 - 표면 개질을 통해 박리강도를 향상시킨 이차전지용 분리막을 리사이클링한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원단 - Google Patents

표면 개질을 통해 박리강도를 향상시킨 이차전지용 분리막을 리사이클링한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원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6645B1
KR102406645B1 KR1020210188831A KR20210188831A KR102406645B1 KR 102406645 B1 KR102406645 B1 KR 102406645B1 KR 1020210188831 A KR1020210188831 A KR 1020210188831A KR 20210188831 A KR20210188831 A KR 20210188831A KR 102406645 B1 KR102406645 B1 KR 102406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or film
film
fabric
manufacturing
sepa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8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민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잇루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잇루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잇루트
Priority to KR1020210188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66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6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66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the apertures going through the whole thickness of the layer, e.g. expanded metal, perforated layer, slit layer regular cells B32B3/12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Copolymers of ethe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고주파 방전처리를 통해 폴리에틸렌 소재로 이루어진 분리막 필름의 접착 표면에 마이크론 단위의 미세요철들을 형성하여 표면의 가교 접착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접착된 원단과의 박리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업사이클 기능성 원단 제조방법 및 원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표면 개질을 통해 박리강도를 향상시킨 이차전지용 분리막을 리사이클링한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원단 {Manufacturing Method of Functional Fabric Using Recycled Separator of Secondary Battery with Surface Modification and Functional Fabric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면 방전처리를 통해 표면을 개질하여 분리막 필름과 직물원단 사이의 박리강도를 향상시킨 업사이클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과 그에 의해 제조된 업사이클 기능성 원단에 관한 것이다.
리튬 이차전지(이하에서는 '이차전지'라 한다)는 높은 에너지 밀도와 방전 전압, 및 출력 안정성을 기반으로 모바일 전자기기 뿐만 아니라 각종 이모빌리티(E-mobility)의 동력원으로서 그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차전지는 양극재, 음극재, 전해액, 그리고 양극재와 음극재를 분리하는 분리막으로 구성된다.
분리막은 절연 소재로 이루어진 필름 또는 시트 형태의 얇은 막으로서, 약 5 내지 15㎛ 의 두께를 가진다. 분리막은 양극재와 음극재의 물리적 접촉을 차단하고, 리튬이온이 두 전극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통로의 역할을 수행하는 다수 개의 미세한 기공들(pore)을 포함하는 미세 다공성 구조(micro porous)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조의 분리막은 기능성 소재인 고어텍스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투습 방수 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기능성 소재로서 활용이 가능하다.
분리막은 이차전지를 제조하기 위한 생산 과정에서 미세흠집 등의 결함으로 인한 불량 처리되거나 과잉 생산으로 인한 폐기 처리되고 있으며, 이와 같이 폐기물 형태의 분리막은 이차전지의 폭발적인 성장과 함께 그 발생량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분리막은 재생되지 못하고 단순히 소각 또는 파쇄 방식으로 처리되고 있어 자원낭비와 환경오염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분리막 폐기로 인한 환경 문제를 해결하고, 고기능성의 분리막을 기능성 원단의 소재로 사용하고자 하였으나,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소재의 고분자 필름은, 화학 구조 상 극성기가 없고 결정화도가 높아 인쇄잉크나 접착제 등에 친화성이 낮기 때문에, 사전 처리 공정을 거치지 않고 충분한 박리강도를 얻을 수 없음을 알게 되었으며, 본 발명을 통해 이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폴리에틸렌 소재로 이루어진 분리막 필름의 표면을 방전처리함으로써, 접착된 원단과의 박리강도가 향상된 기능성 원단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업사이클 기능성 원단 제조 방법은, 표면방전처리장치(100)가 구비된 라미네이팅장치(200)를 이용한 업사이클 기능성 원단 제조 방법으로서, (a) 이차전지 제조를 위한 생산과정에서 불량 처리 또는 과잉 생산으로 인해 폐기된 폴리에틸렌 소재의 분리막 필름(10)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분리막 필름(10)의 표면 개질을 위해 표면방전처리장치(100)를 통해 분리막 필름(10)의 일면을 방전 처리하는 단계; 및 (c) 상기 방전 처리된 분리막 필름(10)과 직물원단(20) 사이에 접착필름(30)을 개재하고, 라미네이팅장치(200)를 이용하여 분리막 필름(10)과 직물원단(20)을 열융착시키는 라미네이팅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표면방전처리장치(100)는, 외면이 절연체(111)로 피복된 처리롤(110); 상기 처리롤(110)과 마주보며 배치되는 도전성 금속 재질의 방전전극(120); 및 상기 방전전극(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고주파 발생기(130);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라미네이팅장치(200)는, 상기 분리막 필름(10)을 제공하는 분리막 필름 제공부; 상기 분리막 필름(10)이 표면방전처리장치(100)에 도달하기 전에 통과하는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하우징 형태의 챔버(202); 상기 방전처리된 분리막 필름(10)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텐션롤러(211)와 분리막 필름(10)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롤러(212)를 포함하는 제1 공급부(210); 상기 직물원단(20)이 권취된 원단 공급롤(221)과 상기 원단 공급롤(221)에서 공급된 직물원단(20)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롤러(222)를 포함하는 제2 공급부(220); 상기 접착필름(30)이 권취된 접착필름 공급롤(231)과 상기 접착필름 공급롤(231)에서 공급된 접착필름(30)이 분리막 필름(10)과 직물원단(20)의 사이로 개재될 수 있도록 이송을 가이드하는 제3 가이드롤러(230)를 포함하는 제3 공급부(230); 및 상기 분리막 필름(10)과 직물원단(20)을 압착하여 열융착시키는 한 쌍의 압착롤러(240); 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전전극(120)은, 상기 처리롤(11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중심 부분에 배치되며, 에어갭(air gap)을 제공하기 위해 1.5 내지 2.0 mm 만큼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절연체(111)의 두께는 3.0~4.0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분리막 필름은, 5~10 ㎛ 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술한 방법에 따라 제조된 업사이클 기능성 원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일정한 크기의 장력이 유지된 상태로 공급되는 분리막 필름의 표면을 방전처리 후, 권취 공정을 거치지 않고 연속적으로 라미네이팅 시킴으로써, 주름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방전 처리된 분리막 필름의 표면에 마이크론 단위의 미세 요철들을 형성하여 가교 접착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접착된 원단과의 적절한 박리강도를 구현할 수 있으며, 방전 처리로 산화된 표면의 표면장력이 높아져 친수성도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업사이클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면 개질 공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면방전처리 전후의 분리막 필름의 표면 상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업사이클 기능성 원단의 제조 공정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업사이클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며,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면 개질 공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업사이클 기능성 원단 제조방법은, 분리막 필름 준비단계(S10), 표면개질 단계(S20), 라미네이팅 단계(S30)를 포함한다.
분리막 필름 준비단계(S10)
먼저, 분리막 필름 준비단계(S10)에서는 투습 방수 기능을 갖는 분리막 필름(10)를 준비할 수 있다.
상기 분리막 필름(10)는 이차전지 제조를 위한 생산 과정에서 과잉 생산되어 폐기 처리된 분리막, 또는 이차전지용으로 사용할 수 없는 품질(미세한 흠집이나 스크래치 등으로 불량 처리 판정받거나 상품성이 떨어지는 품질)의 분리막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분리막은 그 상태가 이차전지의 기능을 구현하기는 어려우나, 투습 방수 기능성을 구현하기에 충분한 미세 다공성 구조로 이루어진 분리막을 의미하며, 분리막에 형성된 다수의 기공들의 크기나 배열 상태가 균일하거나 불균일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상기 분리막 필름(10)는 얇은 박막 형태로서, 다수 개의 기공들을 포함하는 미세 다공성 구조로 이루어지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계 고분자 필름일 수 있으며, 다만, 본 명세서의 분리막 필름(10)에는 폴리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진 고분자 필름이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포함되지 않는다.
상기 분리막 필름(10)의 미세 다공성 구조를 구성하는 다수 개의 기공들은 0.1~1 ㎛의 직경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기공들을 통해 투습 방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분리막 필름(10)의 기공들은 그 직경이 물방울(100~3,000 ㎛)보다 작고, 수증기(약 0.0004 ㎛)보다 크기 때문에 물방울은 통과시키지 않고 수증기는 통과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분리막을 활용한 기능성 원단을 소재로 의류를 제작할 경우, 외부의 물 분자는 신체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며, 신체에서 발생한 땀은 수증기 형태로 바깥으로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수증기가 일 방향(바깥 방향)으로만 이동하는 것은 땀이 열에 의해 기화되면서 생기게 되는 기능성 원단의 내부와 외부 사이에 압력 차 때문이며, 이와 같은 투습 방수 기능이 구현된 기능성 원단은 사용자에게 쾌적함과 우수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분리막 필름(10)은 과잉 생산되어 버려질 예정인 폴리에틸렌계 고분자로 구성된 분리막으로서, 이산화탄소 절감, 재생비용 절감 및 친환경성 확보를 위해 별도의 화학적 공정을 거치지 않은 분리막을 의미하며, 폴리올레핀 필름에 충전제를 함유하고 이를 적어도 1축 이상 연신하여 다공화시키는 폴리올레핀계 투습성 필름과는 다름을 밝혀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분리막 필름(10)는 이차전지를 구성하는 전지셀과 전지 케이스 중에서 전지셀을 구성하는 분리막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얻어지는 분리막을 의미하며, 전지 케이스(폐전지 케이스를 포함)에서 얻어지는 폴리올레핀 고분자 필름이 아님을 밝혀둔다.
표면개질 단계(S20)
다음으로, 표면개질 단계(S20)에서는 후술하는 원단시트와의 접착 시, 원하는 박리강도를 구현하기 위해 분리막 필름(10)의 표면을 개질한다.
표면 개질을 위해, 분리막 필름의 표면을 방전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표면방전처리는, 라미네이팅장치(200)에 일체로 구비된 표면방전처리장치(100)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표면방전처리장치(100)는 처리롤(110), 방전전극(120) 및 고주파 발생기(130)를 포함한다.
상기 처리롤(110)은 외부 표면이 일정한 두께를 갖는 절연체(111)로 둘러싸여 피복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절연체(111)는 실리콘 러버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수명과 방전효과를 고려하여 3~4 mm 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전전극(120)은 처리롤(110)과 마주보며 일정한 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방전전극(120)은 처리롤(11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처리롤(110)의 중심 부분에 위치하되, 좌우 양측에서 처리롤(110)과의 이격거리의 차이가 발생하지 않도록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방전전극(120)과 처리롤(110) 사이에는 분리막 필름(10)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방전전극(120)와 처리롤(110) 사이의 간격은 고주파 방전을 일으키기 위한 공극(air gap)에 해당한다. 공극은 1.5~2.0 mm 일 수 있으며, 그 크기가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선형 모양의 방전이 일어나 분리막 필름에 불균일하게 처리된 얼룩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방전전극(120)의 좌우 양측에서 공극의 차이가 발생할 경우, 분리막 필름의 좌우 양측의 표면 처리도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방전전극(120)과 처리롤(110)은 서로 평행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상기 방전전극(120)은 고주파 발생기(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방전전극(120)과 처리롤(110) 사이에서는, 고주파 발생기(130)에서 발생한 고주파에 의한 방전처리 시 발생한 전자가 분리막 필름 표면과 충돌한 부분에 요철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면방전처리 전후의 분리막 필름의 표면 상태이다.
또한, 방전전극(120)과 처리롤(110) 사이의 공기가 이온화하여 발생하게 된 전하를 띤 입자들이 분리막 필름의 표면에 충돌함으로써 표면의 산화를 일으킬 수 있다. 방전 처리로 산화된 분리막 필름(10)의 표면은 표면장력이 높아져 친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라미네이팅 단계(S30)
다음으로, 라미네이팅 단계(S30)에서 방전 처리된 분리막 필름과 직물원단을 열융착에 의해 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방전 처리된 분리막 필름(10)을 권취 공정없이 연속적으로 라미네이팅 단계(S30)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원단 제조 시 사용되는 분리막 필름의 두께는 5~15 ㎛ 로 형성되고, 이와 같이 얇은 두께의 분리막 필름을 권취한 후, 이를 다시 풀어 공급하는 경우 분리막 필름에 주름이 생기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주름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권취 과정 없이 라미네이팅장치로 공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업사이클 기능성 원단의 제조 공정도이다.
상기 라미네이팅장치(200)는 분리막 필름을 공급하는 제1 공급부(210), 직물원단을 공급하는 제2 공급부(220), 접착필름(30)을 공급하는 제3 공급부(230) 및 압착롤러(24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공급부(210)는 방전 처리된 분리막 필름(10)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텐션롤러(211)와 분리막 필름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롤러(212)를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분리막 필름 제공부를 통해 제공되는 분리막 필름(10)은 복수의 가이드롤(201)에 의해 이송되어 챔버(202)를 통과한 후, 전술한 표면방전처리장치(100)에서 표면이 개질되며, 상기 제1 공급부(210)는 표면 개질된 분리막 필름(10)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상기 분리막 필름(10)은 표면방전처리장치(100)까지 도달하기 전, 챔버(202)를 통과하는 동안, 분리막 필름(10)에 잔존해 있는 주름이 펴질 수 있다. 상기 챔버(202)는 외부의 이물질 유입이 차단되고, 수평 방향(이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하우징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분리막 필름 제공부를 통해 공급되는 분리막 필름(10)은 잉여 생산되어 재사용(re-use)되는 필름으로서, 공급 방향을 기준으로 좌우 단부 측에 주름져 있는 부위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분리막 필름(10)에 잔존해있는 주름에 대한 개선이 없이 방전처리 및 라미네이팅 단계를 수행할 경우, 주름진 상태로 접착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기능성 원단으로서 사용하기에 부적합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분리막 필름(10)이 밀폐된 챔버(202) 내부를 이동하되, 일정한 크기의 장력이 부여된 상태로 이동할 경우, 좌우 측 부위의 주름이 평평하게 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챔버(202)의 수평 방향 길이를 7 내지 9 m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보다 이동 거리가 짧아질 경우, 주름이 펴지기에 충분한 장력을 제공하기 어려울 수 있다.
상기 제2 공급부(220)는 권취된 직물원단(20)을 공급하는 원단 공급롤(221)와 직물원단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롤러(222)를 포함한다.
상기 직물원단(20)은, 제1 공급부(210)에 의해 공급되는 분리막 필름(10)과 마주보는 일면에 기모 가공에 의한 극세사의 잔털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분리막 필름(10)과 직물원단(20)의 접착 표면적을 늘림으로써 박리 강도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라미네이팅 이후의 기능성 원단에 부드러운 촉감과 터치감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직물원단(20)은 친환경 울, 오가닉 코튼,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도전사 제품 또는 아라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원단일 수 있다.
상기 제3 공급부(230)는 권취된 접착필름을 공급하는 접착필름 공급롤(231)와 접착필름(30)이 분리막 필름(10)과 직물원단(20)의 사이로 개재될 수 있도록 이송을 가이드하는 제3 가이드롤러(232)를 포함한다.
상기 접착필름(30)은 에틸렌 초산비닐(EVA) 성분으로 이루어지고, 수많은 기공들을 구비하는 웹(web) 형태로 형성되는 핫멜트 웹일 수 있다.
상기 압착롤러(240)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한 쌍의 압착롤러(241, 242)는 간극을 유지하며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3 가이드롤러(212, 222, 232)에 의해 이송된 분리막 필름(10), 접착필름(30), 직물원단(20)은 압착롤러(240)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제1 내지 3 가이드롤러(212, 222, 232)는 분리막 필름(10), 직물원단(20) 및 접착필름(30)을 모두 6~10 m/min 의 속도로 압착롤러(240)로 이송할 수 있다. 상기 공급속도가 6 m/min 보다 작을 경우 열융착 과정에서 분리막 필름(10)에 가해지는 열량이 많아지고, 이에 따라 경화된 분리막 필름(10)은 기능성 원단으로 사용할 수 없는 뻣뻣한 터치감을 갖게 되며, 10 m/min 보다 클 경우, 접착력이 낮아져 분리막 필름(10)이 직물원단(20)으로부터 쉽게 박리될 수 있다.
전술한 라미네이팅 단계(S30)에서 권취공정 없이 분리막 필름(10)을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주름지지 않은 상태의 분리막 필름과 직물원단을 합지하였으므로, 매끄러운 외면을 갖는 기능성 원단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고주파 방전처리를 통해 접착 표면에 마이크론 단위의 미세요철들이 형성된 분리막 필름과 직물원단을 합지함으로써, 기능성 원단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박리강도 구현이 가능하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분리막 필름 20: 직물원단
30: 접착필름 100: 표면방전처리장치
110: 처리롤 120: 방전전극
130: 고주파 발생기 200: 라미네이팅장치

Claims (7)

  1. 외면이 절연체(111)로 피복된 처리롤(110), 상기 처리롤(110)과 마주보며 배치되는 도전성 금속 재질의 방전전극(120), 및 상기 방전전극(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고주파 발생기(130)를 포함하는 표면방전처리장치(100)가 구비된 라미네이팅장치(200)를 이용한 업사이클 기능성 원단 제조방법으로서,
    (a) 이차전지 제조를 위한 생산과정에서 불량 처리 또는 과잉 생산으로 인해 폐기된 폴리에틸렌 소재의 분리막 필름(10)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분리막 필름(10)의 표면 개질을 위해 표면방전처리장치(100)를 통해 분리막 필름(10)의 일면을 방전 처리하는 단계; 및
    (c) 상기 방전 처리된 분리막 필름(10)과 직물원단(20) 사이에 접착필름(30)을 개재하고, 라미네이팅장치(200)를 이용하여 분리막 필름(10)과 직물원단(20)을 열융착시키는 라미네이팅 단계;
    를 포함하는, 업사이클 기능성 원단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팅장치(200)는,
    상기 분리막 필름(10)을 공급하는 분리막 필름 제공부;
    상기 분리막 필름(10)이 표면방전처리장치(100)에 도달하기 전에 통과하고,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하우징 형태의 챔버(202);
    상기 방전처리된 분리막 필름(10)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텐션롤러(211)와 분리막 필름(10)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롤러(212)를 포함하는 제1 공급부(210);
    상기 직물원단(20)이 권취된 원단 공급롤(221)과 상기 원단 공급롤(221)에서 공급된 직물원단(20)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롤러(222)를 포함하는 제2 공급부(220);
    상기 접착필름(30)이 권취된 접착필름 공급롤(231)과 상기 접착필름 공급롤(231)에서 공급된 접착필름(30)이 분리막 필름(10)과 직물원단(20)의 사이로 개재될 수 있도록 이송을 가이드하는 제3 가이드롤러(230)를 포함하는 제3 공급부(230); 및
    상기 분리막 필름(10)과 직물원단(20)을 압착하여 열융착시키는 한 쌍의 압착롤러(240);
    를 포함하는,
    업사이클 기능성 원단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전극(120)은,
    상기 처리롤(11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중심 부분에 배치되며, 에어갭(air gap)을 제공하기 위해 1.5 내지 2.0 mm 만큼 이격되는,
    업사이클 기능성 원단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111)의 두께는 3.0~4.0 ㎜인, 업사이클 기능성 원단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 필름은, 5 내지 10 ㎛ 의 두께를 갖는, 업사이클 기능성 원단 제조방법.
  7.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업사이클 기능성 원단.
KR1020210188831A 2021-12-27 2021-12-27 표면 개질을 통해 박리강도를 향상시킨 이차전지용 분리막을 리사이클링한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원단 KR1024066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8831A KR102406645B1 (ko) 2021-12-27 2021-12-27 표면 개질을 통해 박리강도를 향상시킨 이차전지용 분리막을 리사이클링한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원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8831A KR102406645B1 (ko) 2021-12-27 2021-12-27 표면 개질을 통해 박리강도를 향상시킨 이차전지용 분리막을 리사이클링한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원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6645B1 true KR102406645B1 (ko) 2022-06-10

Family

ID=81986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8831A KR102406645B1 (ko) 2021-12-27 2021-12-27 표면 개질을 통해 박리강도를 향상시킨 이차전지용 분리막을 리사이클링한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원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664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4181A (ja) * 1993-02-10 1994-08-23 Mitsubishi Kasei Corp ポリオレフィン製多孔積層体
KR20100071634A (ko) * 2008-12-19 2010-06-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케이스용 라미네이트 시트 및 이를 포함하고 있는 리튬이차전지
KR20160047690A (ko) * 2014-10-23 2016-05-03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한 라미네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생산되는 이차전지
KR102249261B1 (ko) * 2020-10-08 2021-05-17 (주)피엔티 이차전지 전극 트리밍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4181A (ja) * 1993-02-10 1994-08-23 Mitsubishi Kasei Corp ポリオレフィン製多孔積層体
KR20100071634A (ko) * 2008-12-19 2010-06-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케이스용 라미네이트 시트 및 이를 포함하고 있는 리튬이차전지
KR20160047690A (ko) * 2014-10-23 2016-05-03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한 라미네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생산되는 이차전지
KR102249261B1 (ko) * 2020-10-08 2021-05-17 (주)피엔티 이차전지 전극 트리밍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8566B1 (ko) 이차전지 분리막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KR20180039561A (ko) 젖음성이 향상된 이차전지용 단위 셀 및 그 제조방법
US10307925B2 (en) Method for producing separator and method for slitting separator original sheet
CN114401797A (zh) 涂布薄膜的制造方法以及涂布薄膜的制造装置
KR102406645B1 (ko) 표면 개질을 통해 박리강도를 향상시킨 이차전지용 분리막을 리사이클링한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원단
KR101832579B1 (ko) 세퍼레이터 권회체의 제조 방법 및 세퍼레이터의 슬릿 방법
US2002017016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layer fabrication of lithium polymer batteries and cells using surface treated separators
CN106953048B (zh) 膜制造方法
US10137608B2 (en) Film-stretching apparatus and method of producing film
CN107405642B (zh) 膜制造装置、膜卷绕体制造装置、膜制造方法及膜卷绕体制造方法
US10427904B2 (en) Method for producing film and method for winding off film
JP2021163759A (ja) 固体電池用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積層体の製造方法
KR20170074830A (ko) 기능성 필름의 제조 방법 및 기능성 필름의 제조 장치
CN106910856A (zh) 隔膜的制造方法以及隔膜的制造装置
KR102552154B1 (ko) 물질전달특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막전극 접합체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ES2928898T3 (es) Celda unitaria para batería secundaria con humectabilidad mejorada y procedimiento para fabricar la misma
KR101889610B1 (ko) 필름의 제조 방법, 전지용 세퍼레이터 필름,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
US10090500B2 (en) Film-stretching apparatus and method of producing film
JP5919554B2 (ja) 高分子電解質膜、膜電極接合体、高分子電解質型燃料電池、および高分子電解質膜の製造方法
WO2019169210A4 (en) Microporous membranes, battery separator,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JP2016219099A (ja) 補強型電解質膜の製造方法
KR102406934B1 (ko) 이차전지용 분리막을 리사이클링한 기능성 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JPH10241659A (ja) 電池セパレータ用多孔質フィルムの製造方法
US20160322619A1 (en) Method for producing separator and method for slitting
KR20180112524A (ko) 이차전지용 분리막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