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6494B1 - 조립식 차량 - Google Patents

조립식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6494B1
KR102406494B1 KR1020160132978A KR20160132978A KR102406494B1 KR 102406494 B1 KR102406494 B1 KR 102406494B1 KR 1020160132978 A KR1020160132978 A KR 1020160132978A KR 20160132978 A KR20160132978 A KR 20160132978A KR 102406494 B1 KR102406494 B1 KR 102406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module
driving
fram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2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0978A (ko
Inventor
안치영
서재환
황성훈
도홍석
고영태
오명섭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2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6494B1/ko
Publication of KR20180040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09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6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6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2Motor vehicles
    • B62D63/025Modula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3/00Combined superstructure and frame, i.e. monocoque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4/00Connections between vehicle body and vehicl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각 구성을 기능별로 모듈화함으로써 조립 내지 분해를 용이하게 하여 다양한 형태, 기능, 구조 등으로 조립될 수 있는 조립식 차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차량은, 조립 및 분해가능한 복수의 모듈; 및 상기 복수의 모듈을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클램프;를 포함하고, 각 모듈은 복수의 프레임 멤버가 결합되어 입체 형상의 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차량{SELF-ASSEMBLY VEHICHLE}
본 발명은 조립식 차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각 구성을 기능별로 모듈화함으로써 조립 내지 분해를 용이하게 하여 다양한 형태, 기능, 구조 등으로 조립될 수 있는 조립식 차량에 관한 것이다.
현재 출시되고 있는 차량은 안전, 법규, 편의, 생산성 등의 다양한 이유로 규겨화된 차량만을 제한적으로 생산하고 있다. 예컨대, 동력원의 종류, 엔진의 용량, 용도 등과 같이 다양한 기준에 따라 다양한 구조의 차량이 개별적인 생산라인 상에서 제조되어 왔었다. 또한, 각 자동차 메이커는 그 각각의 등급으로 다양한 종류의 차량을 출시하고 있다.
하지만, 고개의 요구는 이 보다 더욱 세밀하다. 예컨대, 무게를 최소화함과 더불어 연비를 극대화하도록 캠팩트한 1인용 차량을 원하는 소비자도 있고, 강한 출력을 가져 그 성능을 극대화한 3인용 또는 4인용 차량을 원하는 소비자도 있다.
현재의 자동차 메이커의 생산라인으로는 다양한 소비자의 세밀한 요구를 모두 충족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 차량의 각 구성을 모듈화함으로써 조립 내지 분해를 용이하게 하고, 이를 통해 소비자가 다양한 형태, 기능, 구조 등으로 조립 내지 분해할 수 있으므로 개별 소비자의 세밀한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조립식 차량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차량은,
조립 및 분해가능한 복수의 모듈; 및
상기 복수의 모듈을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클램프;를 포함하고,
각 모듈은 복수의 프레임 멤버가 결합되어 입체 형상의 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모듈은 운전자가 탑승하는 운전석 모듈과, 탑승객이 탑승하는 보조석 모듈과, 구동바퀴가 설치된 구동모듈과, 조향바퀴가 설치된 조향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전석 모듈은 복수의 프레임 멤버가 결합되어 형성된 운전석 프레임과, 상기 운전석 프레임에 설치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는 조향 조작기구와,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는 무선통신모듈과, 상기 브라켓의 하부에 배치되는 페달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석 모듈은 복수의 프레임 멤버가 결합되어 형성된 보조석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듈은 구동 프레임과, 구동 프레임에 설치된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바퀴와, 상기 모터를 구동시키는 모터 드라이버와, 상기 모터의 동력을 상기 구동바퀴에 전달하는 전동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 드라이버에는 제어기가 접속되고, 상기 제어기에는 무선통신모듈이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조향모듈은 조향 프레임과, 상기 조향 프레임에서 수직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조향바퀴와, 상기 조향바퀴를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를 구동시키는 모터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향바퀴는 상기 조향 프레임 내에 조향 브라켓을 매개로 설치되고, 상기 조향바퀴는 수평축선을 중심으로 구름운동하도록 조향 브라켓에 설치되며, 상기 조향 브라켓의 상면에 상기 모터의 회전축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모터 드라이버에는 제어기가 접속되고, 상기 제어기에는 무선통신모듈이 접속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는 제1클램핑브라켓과, 상기 제1클램핑브라켓에 대해 피벗가능하게 연결된 제2클램핑브라켓과, 상기 제1클램핑브라켓의 상단에 형성된 록킹후크와, 상기 제2클램핑브라켓의 상면에 피벗가능하게 설치된 핸들과, 상기 핸들에 핀을 매개로 연결된 록킹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록킹후크에 록킹 내지 언록킹하는 록킹단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모듈은 물품의 적재를 위한 적재공간을 가진 적재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멤버는 그 단면이 동일한 규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각 구성을 기능별 또는 구조별로 모듈화함으로써 조립 내지 분해를 용이하게 하고, 이를 통해 소비자가 다양한 형태, 기능, 구조 등으로 조립 내지 분해할 수 있으므로 개별 소비자의 세밀한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구동 및 조향을 위한 동력원으로 모터를 적용함으로써 모터구동 전기자동차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친환경적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운전석 모듈의 무선통신모듈에 대해 구동모듈의 무선통신모듈 및 조향모듈의 무선통신모듈이 무선통신 방식으로 구동신호, 제어신호를 송수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와이어리스(wirless) 시스템을 구현하여 복수의 모듈의 조립 시에 물리적 결합만이 요구되므로 그 조립 내지 분해작업이 매우 간편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클램프 등을 통한 모듈 상호 간의 연결메커니즘을 공유함에 따라 보다 쉬운 조립이 가능하고, 동일한 규격의 프레임 멤버를 각 모듈에 적용함으로써 다양한 구조, 형태, 기능의 차량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확장성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차량의 운전석 모듈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차량의 보조석 모듈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차량의 구동모듈을 예시한 정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차량의 구동모듈을 예시한 상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차량의 구동모듈을 예시한 배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차량의 구동모듈이 운전석 모듈에 조립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차량의 조향모듈을 예시한 상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차량의 조향모듈을 예시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차량의 클램프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차량의 클램프에 의해 2개의 모듈의 프레임 멤버들이 결합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차량에서 2개의 클램프에 의해 서로 접촉하는 3개의 모듈의 프레임 멤버들이 결합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현된 1인용 차량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현된 1인용 차량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현된 4인용 차량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현된 4인용 차량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현된 트럭용 차량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겠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차량은 차량의 기능별로 모듈화된 복수의 모듈(10, 20, 30, 40)을 포함하고, 복수의 모듈(10, 20, 30, 40)은 서로 간에 선택적으로 조립 및 분해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복수의 모듈(10, 20, 30, 40)을 다양하게 조립함으로써 소비자의 세밀한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조립식 차량의 구현이 용이하다.
각 모듈(10, 20, 30, 40)은 복수의 프레임 멤버(frame meber, 5)가 일정 형상으로 이루도록 결합됨으로써 다양한 입체형상의 프레임(frame, 11, 21, 31, 41)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멤버(5)는 알루미늄 프로파일(aluminum profile) 등과 같이 그 단면의 규격이 일정한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각 모듈(10, 20, 30, 40)의 프레임(11, 21, 31, 41)에 대해 그 단면의 규격이 동일한 프레임 멤버(5)가 적용됨에 따라 복수의 모듈(10, 20, 30, 40)의 조립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모듈(10, 20, 30, 40)은 운전자가 탑승하는 운전석 모듈(10)과, 탑승객이 탑승하는 보조석 모듈(20)과, 구동바퀴가 설치되는 구동모듈(30), 조향바퀴가 설치되는 조향모듈(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운전석 모듈(10)은 운전석 프레임(11)을 포함할 수 있다. 운전석 프레임(11)은 복수의 프레임 멤버(5)가 다양하게 결합되어 일정한 입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운전석 프레임(11)에는 운전자의 탑승, 운전 등을 위한 다양한 부속기구들이 설치될 수 있다.
운전석 프레임(11)의 전방측에 프론트부(12)가 형성되고, 운전석 프레임(11)의 후방측에 리어부(13)가 형성되며, 운전석 프레임(11)의 바닥에는 바닥부(14)가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부(12)에는 브라켓(15)이 용접 또는 체결 등을 통해 고정될 수 있고, 브라켓(15)에는 스티어링 휠을 포함한 조향조작기구(19, 도 13 참조)가 설치될 수 있다. 그 외에도, 브라켓(15)에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블루투스 등과 같은 무선통신모듈(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고, 이러한 무선통신모듈(미도시)에 의해 운전자에 의한 조향신호, 구동신호, 제동신호 등을 각 모듈로 전달할 수 있다. 브라켓(15)의 하부에는 브레이크 페달, 엑셀 페달 등과 같은 페달기구(18)가 설치될 수 있다. 리어부(13)는 운전자가 착석하는 시트(미도시)가 설치되는 시트 설치부(16)가 형성될 수 있고, 시트 설치부(16)는 바닥부(14)으로부터 일정높이에 일부의 프레임 멤버(5)가 수평하게 설치됨으로써 시트(미도시)가 바닥부(14)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보조석 모듈(20)은 보조석 프레임(21)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석 프레임(21)은 복수의 프레임 멤버(5)가 결합되어 입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보조석 프레임(21)에는 보조탑승자의 탑승 등을 위한 다양한 부속기구들이 설치될 수 있다.
보조석 프레임(21)의 전방 측에는 프론트부(22)가 형성되고, 보조석 프레임(21)의 후방 측에는 리어부(23)가 형성되며, 보조석 프레임(21)의 바닥에는 바닥부(24)가 형성될 수 있다.
리어부(23)에는 시트(미도시)가 설치되는 시트 설치부(26)가 형성될 수 있고, 시트 설치부(26)는 바닥부(24)으로부터 일정높이에 일부의 프레임 멤버(5)가 수평하게 설치됨으로써 시트(8, 도 15 참조)가 바닥부(24)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구동모듈(30)은 구동 프레임(31)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 프레임(31)은 복수의 프레임 멤버(5)가 결합되어 입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구동 프레임(31)에는 차량의 구동을 위한 다양한 부품들이 설치될 수 있다.
구동 프레임(31)에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모터(32)와, 모터(32)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바퀴(33)와, 모터(32)를 구동시키는 모터 드라이버(34, motor driver)와, 모터(32) 및 모터 드라이버(34) 등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35)와, 모터(32)의 동력을 구동바퀴(33)로 전달하는 전동기구(3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32)는 DC모터, BLDC 모터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바퀴(33)는 구동 프레임(31)의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구동바퀴(33)의 축(33a)이 구동 프레임(31)의 양측에서 회전지지될 수 있다. 구동 프레임(31)의 양측에는 구동바퀴(33)의 축(33a)을 회전지지하는 회전지지구조(37)가 설치될 수 있고, 회전지지구조(37)는 베어링 및 베어링을 장착하는 장착브라켓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모터 드라이버(34)에는 마이크로컨트롤러 등과 같은 제어기(미도시)가 접속되고, 제어기(미도시)에 의해 모터 드라이버(34)가 제어될 수 있다. 제어기(미도시)에는 운전석 모듈(10)의 무선통신모듈과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모듈이 접속될 수 있다. 이에 제어부(미도시)와 운전석 모듈(10)은 무선통신방식으로 구동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모터 드라이버(34)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선통신 방식으로 구동신호의 송수신이 이루어짐에 따라, 구동모듈(30)과 운전석 모듈(10) 사이에 와이어링 작업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그 조립이 더욱 간편해질 수 있다.
전동기구(36)는 모터(32)의 동력을 구동바퀴(33)에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도 5에는 벨트(36a) 및 풀리(36b, 36c)로 이루어진 벨트 전동기구가 예시되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어전동기구 등과 같이 그외 다양한 전동기구가 적용될 수 있다.
구동 프레임(31)의 일측에는 조립 가이드(38)가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고, 조립 가이드(38)는 체결구가 체결되는 복수의 체결공을 가질 수도 있다. 구동 프레임(31)이 운전석 프레임(11)에 조립될 때 도 6과 같이, 조립 가이드(38)가 운전석 프레임(11)의 하부에 빈공간으로 용이하게 가이드됨으로써 그 조립을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조향모듈(40)은 조향 프레임(41)을 포함할 수 있다. 조향 프레임(41)은 복수의 프레임 멤버(5)가 결합되어 입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조향 프레임(41)에는 차량의 조향을 위한 다양한 부품들이 설치될 수 있다.
조향 프레임(41)에는 수직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조향바퀴(42)와, 조향바퀴(42)를 구동시키는 모터(43)와, 모터(43)를 구동시키는 모터 드라이버(44, motor driver)와, 모터(43) 및 모터 드라이버(44) 등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4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조향바퀴(42)는 조향 프레임(41) 내에 조향 브라켓(46)을 매개로 설치될 수 있고, 조향바퀴(42)는 수평축선을 중심으로 구름운동하도록 조향 브라켓(46)에 설치될 수 있다.
모터(43)의 회전축(43a)이 조향 브라켓(46)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고, 이에 모터(43)는 조향 브라켓(46)을 수직축선 둘레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고, 조향 브라켓(46)이 수직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조향바퀴(42)가 수직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차량의 조향각이 변화될 수 있다.
모터(43)는 서보모터, 스테핑모터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모터 드라이버(44)에는 마이크로컨트롤러 등과 같은 제어기(미도시)가 접속되고, 제어기(미도시)에 의해 모터 드라이버(44)가 제어될 수 있다. 제어기(미도시)에는 운전석 모듈(10)의 무선통신모듈과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모듈이 접속될 수 있다. 이에 제어부(미도시)와 운전석 모듈(10)은 무선통신방식으로 조향을 위한 제어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모터 드라이버(44)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선통신 방식으로 제어신호의 송수신이 이루어짐에 따라, 조향모듈(40)과 운전석 모듈(10) 사이에 와이어링 작업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그 조립이 더욱 간편해질 수 있다.
조향 프레임(41)의 일측에는 조립 가이드(48)가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고, 조립 가이드(48)는 체결구가 체결되는 복수의 체결공을 가질 수도 있다. 조향 프레임(41)이 운전석 프레임(11)에 조립될 때 조립 가이드(48)가 운전석 프레임(11)의 하측 빈공간으로 용이하게 가이드됨으로써 그 조립을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다.
구동모듈(30)과 조향모듈(40)이 적절히 배치됨으로써 다양한 구동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2개의 구동모듈(30)이 차량의 전방 하부에 좌우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2개의 조향모듈(40)이 차량의 전방 하부에 좌우 대칭적으로 배치됨으로써 전륜 구동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2개의 조향모듈(40)이 차량의 전방 하부에 좌우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2개의 구동모듈(30)이 차량의 후방 하부에 좌우 대칭적으로 배치됨으로써 후륜 구동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구동을 위한 구동모듈(30)과 조향을 위한 조향모듈(40)이 서로 독립적으로 제공되는 구조에 의해, 일반적인 차량과는 그 주행 및 조향 작동이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구동모듈(30)을 무선통신방식으로 구동시켜 일정 구간을 주행하는 도중에, 좌회전 또는 우회전 등과 같은 조향이 요구될 때에는 구동모듈(30)을 일시적으로 정지한 상태에서 조향모듈(40)의 조향 작동(조향 방향, 조향각도 등)을 제어함으로써 차량의 조향방향 내지 조향각 등을 조절한 후에 구동모듈(30)을 구동시키는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차량은 각 모듈(10, 20, 30, 40)의 프레임(11, 21, 31, 41)들을 분리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클램프(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클램프(50)는 조립하고자 하는 2개의 모듈의 서로 접촉하는 프레임 멤버(5)들을 클램핑함으로써 2개의 모듈을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클램프(50)는 제1클램핑브라켓(51)과, 제1클램핑브라켓(51)에 대해 힌지부(53)에 의해 피벗가능하게 연결된 제2클램핑브라켓(52)과, 제1클램핑브라켓(51)의 상단에 형성된 록킹후크(56)와, 제2클램핑브라켓(52)의 상면에 피벗가능하게 설치된 핸들(54)과, 핸들(54)에 핀(54a)을 매개로 연결된 록킹부재(5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클램핑브라켓(51)은 프레임 멤버(5)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 멤버(5)가 사각형의 외부윤곽을 가진 알루미늄 프로파일 형태로 구성될 경우, 제1클램핑브라켓(51)은 프레임 멤버(5)의 적어도 2면과 개별적으로 접촉하는 적어도 2개의 플레이트가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도 9와 같이 제1클램핑브라켓(51)은 프레임 멤버(5)의 2면과 접촉하는 2개의 플레이트가 서로 직교하도록 연결된 "L"자형 단면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클램핑브라켓(51)의 내면에는 고무 등과 같은 탄성력을 가진 제1밀착부재(51a)가 부착될 수 있고, 이에 제1클램핑브라켓(51)의 내면이 프레임 멤버(5)의 외면에 끼워질 때 제1클램핑브라켓(51)은 제1밀착부재(51a)에 의해 프레임 멤버(5)의 외면에 기밀하게 밀착될 수 있다.
제2클램핑브라켓(52)은 프레임 멤버(5)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 멤버(5)가 사각형의 외부윤곽을 가진 알루미늄 프로파일 형태로 구성될 경우, 제2클램핑브라켓(52)은 프레임 멤버(5)의 적어도 2면과 개별적으로 접촉하는 적어도 2개의 플레이트가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도 9와 같이 제2클램핑브라켓(52)은 프레임 멤버(5)의 3면과 접촉하는 3개의 플레이트가 서로 직교하도록 연결된 "ㄷ"자형 단면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클램핑브라켓(52)의 내면에는 고무 등과 같은 탄성력을 가진 밀착부재(52a)가 부착될 수 있고, 이에 제2클램핑브라켓(52)의 내면이 프레임 멤버(5)의 외면에 끼워질 때 밀착부재(52a)에 의해 제2클램핑브라켓(52)은 프레임 멤버(5)의 외면에 기밀하게 밀착될 수 있다.
제1클램핑브라켓(51)과 제2클램핑브라켓(52)은 힌지부(53)에 의해 서로에 대해 피벗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이를 통해 클램프(50)에 의한 조립하고자 하는 2개의 프레임의 프레임 멤버(5)들에 대한 클램핑 내지 언클램핑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록킹후크(56)는 제1클램핑브라켓(51)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록킹후크(56)에는 록킹부재(55)의 록킹단부(55a)가 록킹 내지 언록킹될 수 있다.
핸들(54)은 제2클램핑브라켓(52)의 상면에 베이스부재(57)를 매개로 설치될 수 있고, 핸들(54)은 베이스부재(57)에 피벗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록킹부재(55)는 핀(54a)을 매개로 핸들(54)에 피벗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록킹부재(55)는 록킹단부(55a)를 가진 U볼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핸들(54)의 피벗팅에 의해 록킹부재(55)의 록킹단부(55a)는 록킹후크(56)에 록킹 내지 언록킹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부재(55)의 록킹단부(55a)가 록킹후크(56)에 끼워진 상태에서 핸들(54)이 제2클램핑브라켓(52) 측으로 피벗되면 록킹부재(55)의 록킹단부(55a)가 록킹후크(56)에 록킹될 수 있고, 이에 도 10 및 도 11과 같이 제1클램핑브라켓(51)과 제2클램핑브라켓(52)은 조립하고자 하는 모듈들의 인접한 프레임 멤버(5)들을 견고하게 클램핑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차량의 클램프에 의해 2개의 모듈의 프레임 멤버들이 결합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차량에서 2개의 클램프에 의해 서로 접촉하는 3개의 모듈의 프레임 멤버들이 결합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9의 상태에서 핸들(54)이 제1클램핑브라켓(51) 측으로 피벗되면 록킹부재(55)의 록킹단부(55a)가 록킹후크(56)에서 언록킹될 수 있고, 이에 제1클램핑브라켓(51)과 제2클램핑브라켓(52)이 언클램핑될 수 있으므로 조립된 모듈들이 분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모듈(10, 20, 30, 40)이 다양하게 조합됨으로써 도 12 내지 도 16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구조의 차량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 모듈(10)의 하부에 한 쌍의 구동모듈(30)과 한 쌍의 조향모듈(40)을 조립함으로써 1인용 차량을 구현하고자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그 외관미를 개선하기 위하여 모듈의 적어도 외면 일부를 덮는 장식용 플레이트(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3과 같이 1인용 차량의 운전석 모듈(10)의 외면을 덮도록 장식용 플레이트(7)가 부착될 수 있다.
도 14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운전석 모듈(10)과 복수의 보조석 모듈(20)이 조립되어 서브 조립체를 구현하고, 서브 조립체의 하부에 2개의 구동모듈(30)과 2개의 조향모듈(40)이 조립됨으로써 4인용 차량이 조립된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도 15는 4인용 차량의 모듈의 적어도 외면 일부를 덮는 장식용 플레이트(7)가 부착될 상태를 예시한 사진이다.
도 16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운전석 모듈(10), 하나의 보조석 모듈(20), 적재모듈(60)이 조립되어 서브 조립체를 구현하고, 서브 조립체의 하부에 2개의 구동모듈(30)과 2개의 조향모듈(40)이 조립됨으로써 트럭형 차량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적재모듈(60)은 상술한 모듈(10, 20, 30, 40)과 같이 복수의 프레임 멤버(5)들이 일정형태로 결합됨으로서 형성될 수 있고, 다양한 물품들의 적재를 용이하게 하는 적재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적재모듈(60)에는 다양한 물품들의 적재를 안정되게 하기 위하여 그 내외면에 플레이트가 부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차량은 운전석 모듈(10), 보조석 모듈(20), 구동모듈(30), 조향모듈(40) 이외에도 조립하고자 하는 차량의 형상 내지 용도 등에 따라 보다 다양한 구조의 모듈을 구성할 수 있다. 도 16에 예시된 바와 같이 트럭형 차량의 적재모듈(60)과 같이 상술한 모듈 이외의 다양한 모듈을 추가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량의 구동 및 조향을 위한 동력원으로 모터(32, 43)를 적용함으로써 모터구동 전기자동차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친환경적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운전석 모듈(10)의 무선통신모듈에 대해 구동모듈(30)의 무선통신모듈 및 조향모듈(40)의 무선통신모듈이 무선통신 방식으로 구동신호, 제어신호 등을 송수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와이어리스(wirless) 시스템을 구현하여 복수의 모듈(10, 20, 30, 40, 60)의 조립 시에 물리적 결합만이 요구될 수 있고, 이를 통해 그 조립 내지 분해작업이 매우 간편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클램프(50) 등을 통해 모듈(10, 20, 30, 40, 60)간의 연결메커니즘을 공유함에 따라 보다 쉬운 조립이 가능하고, 동일한 규격의 프레임 멤버(5)를 각 모듈(10, 20, 30, 40, 60)에 적용함으로써 다양한 구조, 형태, 기능의 차량을 용이하게 조립하는 확장성을 구현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10: 운전석 모듈
20: 보조석 모듈
30: 구동모듈
40: 조향모듈
50: 클램프
60: 적재모듈

Claims (12)

  1. 기능별로 모듈화되고, 서로 간에 조립 및 분해가능한 복수의 모듈; 및
    상기 복수의 모듈을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클램프;를 포함하고,
    각 모듈은 복수의 프레임 멤버가 결합되어 입체 형상의 프레임을 구성하고,
    상기 클램프는 제1클램핑브라켓과, 상기 제1클램핑브라켓에 대해 피벗가능하게 연결된 제2클램핑브라켓과, 상기 제1클램핑브라켓의 상단에 형성된 록킹후크와, 상기 제2클램핑브라켓의 상면에 피벗가능하게 설치된 핸들과, 상기 핸들에 핀을 매개로 연결된 록킹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록킹후크에 록킹 내지 언록킹하는 록킹단부를 가지는 조립식 차량.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듈은 운전자가 탑승하는 운전석 모듈과, 탑승객이 탑승하는 보조석 모듈과, 구동바퀴가 설치된 구동모듈과, 조향바퀴가 설치된 조향모듈을 포함하는 조립식 차량.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 모듈은 복수의 프레임 멤버가 결합되어 형성된 운전석 프레임과, 상기 운전석 프레임에 설치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는 조향 조작기구와,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는 무선통신모듈과, 상기 브라켓의 하부에 배치되는 페달기구를 포함하는 조립식 차량.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조석 모듈은 복수의 프레임 멤버가 결합되어 형성된 보조석 프레임을 포함하는 조립식 차량.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듈은 구동 프레임과, 구동 프레임에 설치된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바퀴와, 상기 모터를 구동시키는 모터 드라이버와, 상기 모터의 동력을 상기 구동바퀴에 전달하는 전동기구를 포함하는 조립식 차량.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모터 드라이버에는 제어기가 접속되고, 상기 제어기에는 무선통신모듈이 접속되는 조립식 차량.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향모듈은 조향 프레임과, 상기 조향 프레임에서 수직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조향바퀴와, 상기 조향바퀴를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를 구동시키는 모터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조립식 차량.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조향바퀴는 상기 조향 프레임 내에 조향 브라켓을 매개로 설치되고, 상기 조향바퀴는 수평축선을 중심으로 구름운동하도록 조향 브라켓에 설치되며, 상기 조향 브라켓의 상면에 상기 모터의 회전축이 연결되는 조립식 차량.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모터 드라이버에는 제어기가 접속되고, 상기 제어기에는 무선통신모듈이 접속되는 조립식 차량.
  10. 삭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듈은 물품의 적재를 위한 적재공간을 가진 적재모듈을 더 포함하는 조립식 차량.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멤버는 그 단면이 동일한 규격으로 이루어지는 조립식 차량.
KR1020160132978A 2016-10-13 2016-10-13 조립식 차량 KR102406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2978A KR102406494B1 (ko) 2016-10-13 2016-10-13 조립식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2978A KR102406494B1 (ko) 2016-10-13 2016-10-13 조립식 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0978A KR20180040978A (ko) 2018-04-23
KR102406494B1 true KR102406494B1 (ko) 2022-06-10

Family

ID=62089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2978A KR102406494B1 (ko) 2016-10-13 2016-10-13 조립식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64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103858A1 (de) * 2019-02-15 2020-08-20 Man Truck & Bus Se Fahrzeugkonstruktion mit Anschlussknoten-Klemmverbindu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60794A1 (de) * 1998-12-30 2000-07-06 Volkswagen Ag Variables Karosseriebaukonzept für Fahrzeugkarosserien
US20150027795A1 (en) * 2012-02-22 2015-01-29 Ntn Corporation Electric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53396B2 (ja) * 1993-01-26 2002-02-04 マツダ株式会社 操安性能試験車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60794A1 (de) * 1998-12-30 2000-07-06 Volkswagen Ag Variables Karosseriebaukonzept für Fahrzeugkarosserien
US20150027795A1 (en) * 2012-02-22 2015-01-29 Ntn Corporation Electric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0978A (ko) 2018-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84115B2 (en) Vehicle and a modular drive apparatus for the vehicle
US10661835B2 (en) Vehicle system
CN109094432B (zh) 一种汽车座椅电动地滑轨系统
US9168818B2 (en) Electric vehicle
EP3127743B1 (en) Electric vehicle
ATE443622T1 (de) Seitlich neigbares fahrzeug
WO2015114606A1 (en) Off-road wheeled side-by-side vehicle
KR102158013B1 (ko) 전동주행 전환용 휠체어 동력장치
CN110194209B (zh) 驱动转向机构、车体轮系驱动装置及控制方法、车辆
JP4188827B2 (ja) 非機械的制御信号に応答するシステムを有する車両シャシ
US7213673B2 (en) Reconfigurable by-wire foot pedals
KR20160140721A (ko) 전기 자동차 섀시 및 그 전기 자동차
KR102406494B1 (ko) 조립식 차량
CN109229235B (zh) 一种驱动转向单元、模块化车辆及模块化运输系统
JP4188828B2 (ja) 非機械的制御信号に応答するシステムを有する車両シャシ
CN213292568U (zh) 电动平衡车
US9061725B1 (en) Trike convertible for use as seat assembly of a vehicle
KR101849490B1 (ko) 다용도 전동 보드
WO2018161947A1 (zh) 自平衡装置、电动车辆、姿态车、载人行李箱及两轮滑板车
JPH0634213Y2 (ja) 着座型四輪バギ−車のフロントボデイ
JP6999130B2 (ja) 電動式乗用車両
KR101328422B1 (ko) 전기 운반차
JP6361124B2 (ja) 無人搬送車
CN206664255U (zh) 一种汽车悬挂前支架
JP2011011637A (ja) 折畳み式電動リヤカ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