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6221B1 - 광량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광량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6221B1
KR102406221B1 KR1020150001992A KR20150001992A KR102406221B1 KR 102406221 B1 KR102406221 B1 KR 102406221B1 KR 1020150001992 A KR1020150001992 A KR 1020150001992A KR 20150001992 A KR20150001992 A KR 20150001992A KR 102406221 B1 KR102406221 B1 KR 102406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s
spacer
rotation
rotating memb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1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5075A (ko
Inventor
김경원
Original Assignee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01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6221B1/ko
Priority to PCT/KR2015/009730 priority patent/WO2016111439A1/ko
Publication of KR20160085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5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6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6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89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utility meters or the lik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2Diaphragms
    • G03B9/06Two or more co-operating pivoted blades, e.g. iris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0Mean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pening, e.g. for secur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F16K35/1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with locking caps or locking ba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07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comprising means to prevent frau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3/03Forms or constructions of security seals
    • G09F3/0305Forms or constructions of security sea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al used
    • G09F3/0341Forms or constructions of security sea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al used having label seal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량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스텝 모터; 상기 스텝 모터의 정역회전에 따라 양쪽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회전 부재;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에 따라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광 투과공의 크기를 조절하는 복수의 블레이드 및;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들을 적어도 2 이상의 그룹으로 나누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광량 조절 장치{Device controlling light quantity}
본 발명은 광량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광량의 조절이 정밀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감시 카메라의 제품 성능을 향상시킨 광량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 : Closed Circuit Television)은 특정 수신자를 대상으로 영상을 전송하는 텔레비전 방식을 의미하는데, 영상의 송수신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수신 대상 이외는 임의로 수신할 수 없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폐쇄회로 텔레비전이라고 한다.
폐쇄회로 텔레비전은 기본적으로 촬상장치, 전송장치 및 표시장치의 3개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최근에는 여기에 기록장치를 부가하는 경향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에 있다.
페쇄회로 텔레비전 시스템의 분야는 감시 대상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촬상 소자를 포함하는 감시 카메라, 복수의 카메라 신호를 임의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해주는 영상 신호 전환기(Matrix Switcher)류, 4대의 컬러 카메라 신호를 한 대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해주는 컬러 4화면 분할기(Quadratic Displayer) 등이 일반적인 제품군이다.
또한, 설치 시에도 자립(Stand Alone)형으로 빌딩 감시, 공장 외곽 감시, 주차장 감시 등의 감시 제어 등과 같은 용도로 이용되어 오고 있다.
폐쇄회로 텔레비전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감시 카메라는 일반적으로 폐쇄회로 카메라라고 불리는데, 감시 카메라는 전술한 바와 같이 CCD 또는 CMOS와 같은 촬상 소자를 이용하여 렌즈로 입력된 영상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고, 케이블을 이용하여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변환된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감시 카메라는 외부의 열악한 환경에서도 최적의 영상을 출력하여 감시 기능을 철저히 수행하게 되며, 이에 따라 감시 카메라는 외부 빛 정보가 저조도 환경에서도 최적의 영상을 출력하도록 외부의 조리개를 조정하여 빛의 양을 조절하고, 촬상부의 전자셔터를 이용하여 촬상면에 빛이 노출되는 시간을 조정하며, AGC(Automatic Gain Control) 기능을 통해 입력된 영상신호를 증폭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감시 카메라에서 광량을 조절하는 광량 조절 장치를 개선함으로써, 감시 카메라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술개발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08-0083810호
본 발명의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복수의 블레이드들을 이용하여 광 투과공이 원에 가까운 형상으로 그 크기가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광량 조절을 보다 정밀하게 제어하여 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감시 카메라용 광량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복수의 블레이드들이 하나의 스텝 모터에 의해 정밀하게 제어되도록 함으로써, 광량을 보다 정밀하게 조절하여 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감시 카메라용 광량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복수의 블레이드들이 광 투과공 크기 조절 시, 상호 마찰을 줄이고 이에 따라 소음발생을 줄이며, 내구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감시 카메라용 광량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량 조절 장치는, 스텝 모터; 상기 스텝 모터의 정역회전에 따라 양쪽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회전 부재;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에 따라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광 투과공의 크기를 조절하는 복수의 블레이드 및;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들을 적어도 2 이상의 그룹으로 나누는 스페이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페이서에는 일정 직경의 광 투과공이 형성되고, 상기 스페이서의 둘레에는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들 수에 대응하는 삽입 홀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들에는 상기 스페이서의 삽입 홀과 대응되는 힌지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일 면에는 상기 스페이서의 삽입 홀과,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들 힌지 홀에 삽입되는 힌지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부재의 일면에는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들 수에 대응하는 결합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들에는 상기 회전 부재의 결합 돌기가 삽입되는 결합 홀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적어도 2 이상의 그룹 중, 어느 하나의 그룹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가 배치되고, 다른 하나의 그룹에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페이서를 사이에 두고 어느 하나의 그룹에는 2개의 블레이드가 배치되고, 다른 하나의 그룹에도 2개의 블레이드가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들은 상기 회전 부재의 정역회전에 따라 동일한 각도로 회전이 이루어는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회전부의 일측은, 상기 광 투과공이 원형 형상에 가까운 형상으로 크기 조절되도록 라운드 진 오목부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량 조절 장치에 의하면, 복수의 블레이드들에 의하여 광 투과공이 원에 가까운 형상으로 그 크기가 조절됨으로써, 광량 조절이 보다 정밀하게 제어되어 감시 카메라의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량 조절 장치에 의하면, 복수의 블레이드들이 하나의 스텝 모터에 의해 정밀하게 제어됨으로써, 광량이 보다 정밀하게 조절되어 감시 카메라의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량 조절 장치에 의하면, 복수의 블레이드들에 의한 광 투과공 크기 조절 시, 상호 마찰이 줄어들고 이에 따라 소음발생이 줄어들게 됨은 물론, 내구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도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량 조절 장치가 적용되는 감시 카메라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량 조절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량 조절 장치가 작동되는 관계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광량 조절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량 조절 장치가 적용되는 감시 카메라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량 조절 장치가 적용되는 감시 카메라(10)는, 내부에 CCD 또는 CMOS와 같은 촬상 소자를 이용하여 렌즈로 입력된 영상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20)를 포함한다.
이러한 감시 카메라(10)는 광량을 조절하여 최적 상태의 영상을 촬상하기 위한 광량 조절 장치(100)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량 조절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량 조절 장치(100)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정역 회전이 이루어지는 스텝 모터(Step Motor)(110), 스텝 모터(110)의 구동에 따라 일정 각도만큼 회전이 이루어지는 회전 부재(130), 회전 부재(130)의 회전에 따라 연동하여 회전되면서 광 투과공(154)의 크기를 조절하는 복수의 블레이드(140) 및 복수의 블레이드(140)를 적어도 2 이상의 그룹으로 나누는 스페이서(15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텝 모터(110)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양쪽 방향으로 임의의 각도만큼 정밀하게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스텝 모터(110)의 축은 캠 축(11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 부재(130)는 그 중앙에 통공(136)이 형성된 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측에는 스텝 모터(110)의 캠 축(112)과 연결되는 연결부(132)가 형성될 수 있다.
회전 부재(130)는, 이 회전 부재(130)가 안착되어 지지되는 하우징(120) 내에서 일정 각도만큼 정역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우징(120)의 일측에는 스텝 모터(110)의 캠 축(112)이 통과되기 위한 통과홀(122)이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24)는 하우징(120)의 중앙 부위에 형성되는 통공(124)을 나타낸 것이며, 이 하우징(120)의 통공(124)은 회전 부재(130)의 통공(136)과 후술되는 스페이서(150)의 광 투과공(154)과 연통되어 광이 투과되는 부위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하우징(120)의 통공(124) 주변 일 면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힌지 돌기(126)들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회전 부재(130)의 일 면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결합 돌기(134)가 형성되고, 이 결합 돌기(134)들은 복수의 블레이드(140) 일측에 형성된 결합 홀(142)에 각각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150)는 그 중앙에 광 투과공(154)이 형성된 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양 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삽입 홀(15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삽입 홀(154)들은 복수의 블레이드(140) 일측에 형성된 힌지 홀(144)과 함께 하우징(120)의 힌지 돌기(126)에 각각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블레이드(140)들은, 그 일측에 회전 부재(130)의 결합 돌기(134)에 대응하는 결합 홀(142)이 형성되고 하우징(120)의 힌지 돌기(126)에 대응하는 힌지 홀(144)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블레이드(140)들은 결합 홀(142) 및 힌지 홀(144)의 일측으로 일정 길이만큼 회전부(146)가 연장 형성되고, 이 회전부(146)의 일측 면에는 라운드 진 오목부(148)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블레이드(140)들은 모두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모두 4개가 마련되어 스페이서(150)를 사이에 두고 2개씩 나뉘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스페이서(150)를 사이에 두고 어느 한쪽에는 2개의 블레이드가 배치되어 1 그룹을 형성하고, 다른 한쪽에도 2개의 블레이드가 배치되어 2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블레이드(140)들과 스페이서(150)는 얇은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동일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1 그룹의 블레이드와 2 그룹의 블레이드는 상호 마찰 저항을 적게 받을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감시 카메라용 광량 조절 장치(100)의 조립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량 조절 장치(100)는, 복수의 블레이드(140)가 모두 4개 형성되고, 스페이서(150)를 사이에 두고 2개씩의 블레이드(140)가 1 그룹 및 2 그룹을 형성하는 것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20)의 일면에 형성되는 안착 홈 부위에 회전 부재(130)를 회전 가능하게 안착시킨 후, 스텝 모터(110)의 캠 축(112)을 하우징(120)의 통과홀(122)로 통과시켜서 회전 부재(130)의 연결부(132)와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회전 부재(130)의 각 결합 돌기(134)에는 각 블레이드(140)의 결합 홀(142)이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서로 연접하는 2개의 블레이드(140)와, 서로 연접하는 다른 2개의 블레이드(140)는 스페이서(150)에 의해 서로 반대 쪽에 배치되도록 하여 1 그룹과 2 그룹으로 나뉘도록 한다.
또한, 1 그룹 및 2 그룹의 각 블레이드(140) 힌지 홀(144)과, 스페이서(150)의 삽입 홀(152)에는 하우징(120)의 힌지 돌기(126)가 삽입되도록 하여 조립을 완성시키면 된다.
이 때, 하우징(120)의 힌지 돌기(126)에는 두 개의 그룹 중, 어느 하나의 그룹에 배치되는 블레이드들의 힌지 홀을 먼저 삽입시키고, 다음에 스페이서(150)의 삽입 홀(152)을 삽입시킨 후, 다른 하나의 그룹에 배치되는 블레이드들의 힌지 홀을 삽입시킴으로써, 두 개의 그룹을 이루는 블레이드들이 스페이서(150)에 의해 나뉘도록 한다.
따라서, 복수의 블레이드(140)들은 스페이서(150)를 사이에 두고 2개씩 나뉘어서 1 그룹과 2 그룹을 형성하게 되며, 이들 블레이드(140)들은 하우징(120)의 힌지 돌기(126)가 삽입된 힌지 홀(144)을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량 조절 장치가 작동되는 관계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텝 모터(110)의 구동으로 회전 부재(130)가 어느 한쪽 방향으로 일정 각도만큼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면, 회전 부재(130)의 일 면 둘레에 형성된 결합 돌기(134)들 또한 회전 부재(130)의 회전에 따라 위치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결합 돌기(134)가 삽입된 블레이드(140)들의 결합 홀(142)이 위치한 부분 또한 힌지 홀(144)과 힌지 돌기(126)를 기점으로 일정 각도만큼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복수의 블레이드(140)들은 모두 동일한 각도로 회전이 이루어짐에 따라 힌지 홀(144)과 힌지 돌기(126)를 기점으로 결합 홀(142)과 반대 쪽에 배치되는 회전부(146)가 회전하면서 각 오목부(148)들에 의해 광 투과공(154)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텝 모터(110)의 정밀한 정역 방향 회전에 따라 복수의 블레이드(140)들이 정역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광 투과공(154)을 원형 형상에 가깝게 그 크기를 크게 하거나 또는 작게 할 수 있으므로, 광 투과공(154)의 크기 조절이 정밀하게 이루어짐으로써, 광량 조절이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복수의 블레이드(140)들 즉, 4개의 블레이드(140)들은 스페이서(150)를 사이에 두고 2개씩 한 묶음 되어 1 그룹과 2 그룹으로 나뉘어 회전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상호간의 마찰이 줄어들어 소음 발생이 줄어들고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즉, 1 그룹에는 2개의 블레이드만 배치됨으로써, 1그룹 내 어느 하나의 블레이드는 다른 하나의 블레이드와만 마찰이 이루어지고, 2 그룹에도 2개의 블레이드만 배치됨으로써, 2 그룹 내 어느 하나의 블레이드 또한 다른 하나의 블레이드와만 마찰이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상호간의 마찰이 줄어들어 소음 발생이 줄어들고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4개의 블레이드(140)가 스페이서(150)에 의해 1 그룹과 2 그룹으로 나뉘지 않는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블레이드가 양쪽으로 인접하는 2 개의 블레이드와 마찰을 일으키게 되는 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량 조절 장치(100)에서는 어느 한 쪽에 인접하는 하나의 블레이드와만 마찰을 일으키게 됨으로써, 상호 간의 마찰을 줄일 수 있게 된다.
특히, 복수의 블레이드(140)들과 스페이서(150)는 얇은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동일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마찰 저항이 크지 않게 되어 소음 발생이 줄어들게 됨은 물론 내구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모두 4개의 블레이드(140)가 마련되고, 이들 4개의 블레이드(140)들은 스페이서(150)에 의해 2개씩 한 묶음으로 나뉘어 1 그룹과 2 그룹으로 나뉜 것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스페이서(150)에 의해 그룹으로 나뉘는 블레이드(140)의 수는 경우에 따라 하나 이상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광량 조절 장치 110 : 스텝 모터
120 : 하우징 126 : 힌지 돌기
130 : 회전 부재 132 : 연결부
134 : 결합 돌기 140 : 블레이드
142 : 결합 홀 144 : 힌지 홀
146 : 회전부 148 : 오목부
150 : 스페이서 152 : 삽입 홀
154 : 광 투과공

Claims (6)

  1. 스텝 모터;
    상기 스텝 모터의 정역회전에 따라 양쪽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고, 링의 형상을 갖는 회전 부재;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 경로를 제공하고, 링의 형상을 갖는 안착 홈을 구비하여 상기 회전 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하우징;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에 따라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광 투과공의 크기를 조절하는 복수의 블레이드; 및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들을 적어도 2 이상의 그룹으로 나누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 부재는 그 몸체에서 방사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텝 모터의 캠 축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안착 홈의 내측면이 상기 연결부의 돌출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를 수용하는 수용 홈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 홈은 상기 연결부의 원주 방향으로 상기 연결부의 원주 길이보다 큰 크기로 제공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들의 힌지 홀에 삽입되는 복수의 힌지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들의 결합 홀에 삽입되는 복수의 결합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힌지 돌기 및 결합 돌기는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 및 회전 부재에서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힌지 돌기 각각은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 중 대응되는 블레이드의 회전 기준을 제공하고, 대응되지 않는 인접한 블레이드가 상기 광 투과공이 개방되도록 회전할 때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광량 조절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에는 일정 직경의 광 투과공이 형성되고,
    상기 스페이서의 둘레에는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들 수에 대응하는 삽입 홀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들에는 상기 스페이서의 삽입 홀과 대응되는 힌지 홀이 형성된 광량 조절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 면에는 상기 스페이서의 삽입 홀이 형성된 광량 조절 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 이상의 그룹 중,
    어느 하나의 그룹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가 배치되고,
    다른 하나의 그룹에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가 배치되는 광량 조절 장치.
  6. 제 1항 내지 제 3항 및 제 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들은 상기 회전 부재의 정역회전에 따라 동일한 각도로 회전이 이루어는 회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의 일측은, 상기 광 투과공이 원형 형상에 가까운 형상으로 크기 조절되도록 라운드 진 오목부로 형성되는 광량 조절 장치.
KR1020150001992A 2015-01-07 2015-01-07 광량 조절 장치 KR102406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1992A KR102406221B1 (ko) 2015-01-07 2015-01-07 광량 조절 장치
PCT/KR2015/009730 WO2016111439A1 (ko) 2015-01-07 2015-09-16 광량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1992A KR102406221B1 (ko) 2015-01-07 2015-01-07 광량 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5075A KR20160085075A (ko) 2016-07-15
KR102406221B1 true KR102406221B1 (ko) 2022-06-10

Family

ID=56356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1992A KR102406221B1 (ko) 2015-01-07 2015-01-07 광량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06221B1 (ko)
WO (1) WO20161114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7281B1 (ko) * 2019-03-21 2021-09-02 삼성전기주식회사 조리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10057412A (ko) * 2019-11-12 2021-05-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리개 셋 및 조리개 셋 구동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5083B1 (ko) * 2006-04-26 2007-01-29 주식회사 엠투시스 휴대 단말기용 카메라 보호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0459U (ja) * 1992-05-21 1993-12-10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光量制御装置
JP3129581B2 (ja) * 1993-08-10 2001-01-31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メラのシャッタ装置
KR100881726B1 (ko) 2007-03-13 2009-02-06 자화전자(주) 카메라용 셔터장치
KR20110025546A (ko) * 2009-09-04 2011-03-10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의 조리개용 셔터장치
JP5015225B2 (ja) * 2009-11-20 2012-08-29 セイコー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絞り装置
CN103649829B (zh) * 2011-07-07 2017-06-06 佳能电子株式会社 光量调节装置和光学设备
KR101477247B1 (ko) * 2013-06-18 2014-12-30 마이크로엑츄에이터(주) 초소형 조리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5083B1 (ko) * 2006-04-26 2007-01-29 주식회사 엠투시스 휴대 단말기용 카메라 보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11439A1 (ko) 2016-07-14
KR20160085075A (ko) 2016-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81868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multiple cameras for digital photography
JP6644843B2 (ja) 光量調節装置
US11245853B2 (en) Multi-camera apparatus and image captur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US20140348498A1 (en) Dome-shape camera
EP0765086A2 (en) Video camera including multiple image sensors
US20090040293A1 (en) Camera Array Apparatus and Method for Capturing Wide-Angle Network Video
US20180103190A1 (en) Remote Camera Control in a Peer-to-Peer Camera Network
US20180136437A1 (en) Lens device
KR102406221B1 (ko) 광량 조절 장치
KR101053983B1 (ko) 오토포커스 카메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10258669A (ja) 全方位撮像装置
KR101357182B1 (ko) 고속신호처리 hd sdi 영상 전송장치
US8300333B2 (en) Lens barrel and photograph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109729247B (zh) 一种视频像素控制阵列摄像装置
AU2011295619B2 (en) Camera system for installation in cricket stumps
CN109348015B (zh) 摄像模组、摄像模组的控制方法及移动终端
CN103827721A (zh) 透镜装置及装配有该透镜装置的摄像装置
KR200418656Y1 (ko) 3씨씨디 카메라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 장치 및시스템
KR100832075B1 (ko) 3씨씨디 카메라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 장치 및시스템
JP2011004209A (ja) 撮像装置およびカメラ本体
KR101273013B1 (ko) 듀얼 렌즈를 이용한 네트워크 카메라
CN113741117A (zh) 光圈结构、摄像头及终端设备
JP4787504B2 (ja) レンズ装置
CN205453871U (zh) 摄像机
JP2007049523A (ja) 撮像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