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5506B1 - 가변형 광원을 가지는 운송수단 - Google Patents

가변형 광원을 가지는 운송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5506B1
KR102405506B1 KR1020220006280A KR20220006280A KR102405506B1 KR 102405506 B1 KR102405506 B1 KR 102405506B1 KR 1020220006280 A KR1020220006280 A KR 1020220006280A KR 20220006280 A KR20220006280 A KR 20220006280A KR 102405506 B1 KR102405506 B1 KR 102405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ight source
light
control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6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진식
김용정
Original Assignee
(주)미농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농바이오 filed Critical (주)미농바이오
Priority to KR1020220006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55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5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5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0Refrigerated goods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15Preserving by irradiation or electric treatment without heating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4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3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compartments other than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e.g. luggage or engin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6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H04N5/225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실 등의 농작물 운송시 보존 환경을 최적화할 수 있는 운송수단에 관한 것으로, 적재부 내부에 구성되어 선택된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는 하나 이상의 조절장치와, 하나 이상의 레이저 광원을 가지며 상기 조절장치에 제어된 광을 전송하는 광원부와, 적재부 내부에 탑재된 과실의 종류에 대응하여 상기 광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가변형 광원을 가지는 운송수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가변형 광원을 가지는 운송수단{VEHICLE HAVING WAVELENGTH AND BRIGHTNESS VARIABLE LIGHT SOURCE DEVICE}
본 발명은 농작물이나 식품 운송수단의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과실 등의 농작물 운송시 보존 환경을 최적화할 수 있는 운송수단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식품의 운송에 사용되는 냉동탑차는 각종 냉동식품이나 저온식품 등 상온에서 보관하거나 운반할 수 없는 저온 식,물품을 운반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의 차량 적재부에 함체상의 운반고를 형성하고 그 차량의 헤드측 또는 운반고의 상부 일측에 냉각장치를 부설하여 상기 냉각장치의 증발기를 통해 그 운반고의 내부 온도가 저온 상태가 되게 하는 것이다.
저온을 유지하기 위하여 공지의 냉각사이클 장비를 적용하고 있다.
근래에는 이러한 탑차 내부에 냉각기능은 물론 온열기능까지 부가하여 다양한 식품의 보존 조건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하고자 한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75601호는 종래기술의 보온탑차를 공개하고 있으며 도 1은 이에 대한 측면도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소정의 단열 패널(1)을 재단하여 탑차(2)의 전벽(21), 좌우벽(22) 및 천정벽(23)을 구성한다. 상기 전벽(21)의 상부에는 탑차(2)의 엔진 쿨링 시스템에 연결되는 일반적인 팬히터(24)를 구성한다. 상기 각 벽(21)(22)(23)의 발열체를 연결하여 이 연결된 발열체와 상기 팬히터(24)를 컨트롤부에 연결하여 컨트롤부에 의해 발열체와 팬히터(24)가 제어되게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탑차는 내부에 냉온 조절 기능을 구비하기 때문에 특히 신선한 보관이 요구되는 식품에 적정 온도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러한 종래의 식품 운반용 탑차들은 그 기능이 온도를 유지하는데 그치기 때문에 다양한 유형의 식품 보존 조건들에 최적화하기는 어려웠다. 특히 신선한 상태의 농산물의 경우는 온도는 물론 습도나 공기상태도 그 보존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러한 정밀한 보존환경에 대한 요구가 있어왔다.
한편, 감, 망고, 바나나, 사과, 키위 등의 과일들은 후숙 과정이 중요하다. 후숙(climacteric ripening)이란 넓게 수확한 과일이 먹기에 가장 알맞은 상태로 되기까지의 생리적인 변화를 의미하는데, 이러한 후숙 과정에 따라 당도나 산도는 물론 과육의 식감에까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현재 과일의 후숙에 대한 인식이 매우 높아지고 있다.
과실 운송용 냉동/냉장 탑차들은 운송 뿐만 아니라 일정 기간 보관의 용도로도 사용되는데 상기한 바와 같이 단순 온도 조절기능에만 그칠 뿐 운송 및 보관 과정에서 진행되는 후숙 환경의 조성에는 전혀 기여하지 못하였다. 지나치게 빠른 후숙이 발생하는 경우 과육이 물렁해진다던지 부패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지나치게 느린 경우는 운송 및 보관 과정 이후에 창고 등에서 추가로 과도한 후숙을 거쳐야 하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종래의 과실 운송용 탑차들에서 과실이 상품성이 떨어지는 사례가 다수 발생해왔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과실의 운송 과정에서 보존 성능이 극대화되면서도 후숙 조건을 능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가변형 광원을 가지는 운송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동계통과 적재부를 구비한 운송수단으로서, 적재부 내부 온도를 조절하는 공기조화부(200)와, 적재부 내부에 구성되어 선택된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는 하나 이상의 조절장치(1300)와, 하나 이상의 레이저 광원을 가지며 상기 조절장치에 제어된 광을 전송하는 광원부(1100)와, 상기 공기조화부, 적재부 내부에 탑재된 과실의 종류에 대응한 파장의 광을 조사하도록 광원부 그리고 적재부의 선택된 위치에 광을 조사하도록 조절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2000)를 포함하는 가변형 광원을 가지는 운송수단을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는, 적재부에 탑재되는 과실의 종류와 양에 따라 공기조화부에서 제어되는 온도 및 광원부에서 전송되는 광의 파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조절장치가 상기 광원부로부터의 경로부(1010)를 통하여 제어된 광을 전송받아 적재부 내부에 조사하되, 적재부의 길이방향에 복수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느 하나의 조절장치가 다른 조절장치와 다른 파장의 광을 다른 방향으로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장치는 광을 확산하여 조사하는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의 틸팅 또는 회전을 제어하는 틸트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광원부는,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지는 레이저광을 방출하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고 각각의 광원에서 출력되는 레이저광의 밝기가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적재부 내부에 적재된 과실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카메라부(2100)와 적재부 내부의 온도 및 가스농도를 감지하는 센싱부(2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로부터의 과실 이미지와 가스농도에 따라 후숙의 진행 정도를 판단하고 공기조화부에서 온도 및 가스농도와, 광원부로부터의 광 파장 및 밝기를 조절하는 후숙관리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여, 종래 냉장 운송용 탑차들이 단순 온도만을 보존하여 과실이나 채소 등을 운반하는데 진일보하여 보관 및 후숙에 최적화된 광조사를 수행하기 때문에 과실의 부패를 방지하는데 나아가 이송 과정에서 과실의 최적 품질을 만들어낼 수 있기 때문에 상품성이 비약적으로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온도조건, 가스농도, 후숙과정의 변화 등에 따라 온도, 공기질, 광 등의 제어요소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어 적재된 식품의 다양한 종류와 양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택된 시간과 위치에 파장과 조도를 선택하여 최적의 효율을 나타내도록 광의 조사가 가능하기 때문에 후숙의 효율성은 비약적으로 향상된다.
도 1은 종래기술의 보온탑차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개념의 개념에 따른 가변형 광원을 가지는 운송수단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가변형 광원을 가지는 운송수단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가변형 광원을 가지는 운송수단에서 후숙관리부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가변형 광원을 가지는 운송수단에서 광원부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가변형 광원을 가지는 운송수단에서 조절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광원을 가지는 운송수단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적재부 내부에 구성되어 선택된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는 하나 이상의 조절장치와, 하나 이상의 레이저 광원을 가지며 상기 조절장치에 제어된 광을 전송하는 광원부와, 적재부 내부에 탑재된 과실의 종류에 대응하여 상기 광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가변형 광원을 가지는 운송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운송수단은 농수산물을 운반할 수 있는 탑차 형태를 기본으로 설명하나 카고트럭, 윙바디, 냉장탑, 내장탑 등 그 유형을 불문하며 경우에 따라 트레일러 등 적재공간을 가지는 다양한 운송 가능한 장비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운송수단의 측면도이다.
운송수단(100)은 운전석 및 구동계통을 가지며 공지의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운송수단(100)은 적재부(110)를 구비하며 식품, 주로 채소와 과실을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적재부(110)에는 소정의 선반이나 팔레트 또는 박스 등이 탑재될 수 있는 구조물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적재부(110)와 연결되어 공기조화부(200)가 배치된다. 상기 공기조화부(200)는 냉매를 이용한 냉각사이클이 적용된 냉각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적재부(110) 내부 공간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조화부(200)는 블로워팬과 같은 송풍수단을 구비하여 냉각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을 것이다.
후술될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내부에 적재된 과실의 후숙 제어를 위하여 기능할 수 있는데, 이러한 기능의 제어를 위하여 공기조화부(200)는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내부의 가스를 축적시킬 수 있도록 공기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공기조화부(200)는 적재부(110) 외부로 공기를 제출하기 위한 팬과 내외부 공기의 유통을 제어하기 위한 댐퍼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라 상기 적재부(110)에는 하측의 적재공간을 지향하여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광원장치(100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광원장치(1000)가 레이저광원을 사용하는데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실시예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광원장치(1000)는 레이저광원을 통하여 선택된 파장의 광을 생성하고 전달하는 광원부(1100)와 상기 광원부(1100)로부터의 제어된 광을 전송받아 조사하는 조절장치(13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조절장치(1300)는 과실이 적재된 공간에 제어된 광을 설정된 위치와 방향으로 조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조절장치(1300)는 길이방향에서 열을 지어 복수로 배열될 수 있고 선택에 따라 폭방향으로 배열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사항에서는 상기 조절장치(1300)가 길이방향에 3개가 배열되어 있는 예를 나타낸다. 상기 조절장치(1300)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제어광을 조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재부(110)의 공간에 서로 다른 과실이 배치되어 있고, 어느 일부에만 선택된 파장의 광을 조사하고자 하는 경우 조절장치(1300)의 일부만이 선택된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고 다른 조절장치(1300)는 광방출을 제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서로 다른 후숙과정이 적용될 과실이 한 공간에 배치된 경우, 예를 들어 감과 참머위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 후숙과정의 제어를 위하여 서로 다른 파장의 광을 조사하고자 할 때 상기 조절장치(1300)들은 서로 각각 다른 방향으로 다른 파장의 광을 조사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공기조화부(200) 및 광원장치(1000)의 제어를 위하여 제어부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어부는 운송수단(100)의 운전석 또는 적재부(110)의 공간이나 도어측에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어부는 적재부(110) 내부에 배치된 과실의 종류나 배치에 따라 생육 또는 후숙과정의 제어를 위하여 기능할 수 있는데, 기본적으로 조작자의 환경설정에 따른 설정온도, 광의 종류와 강도 및 방향, 가스의 배출 정도 등을 제어할 수 있을 것이나 내부 환경의 모니터링을 통하여 실시간 연동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적재부(110)에는 내부 환경의 모니터링을 위한 디바이스들이 배치될 수 있으며 카메라부(2100)와 센싱부(2200)가 구성된다.
상기 카메라부(2100)는 내부 영상정보를 감지하고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카메라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며, 가시광 또는 적외선 영상을 촬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센싱부(2200)는 온도나 가스의 농도 등을 감지하고 감지값을 생성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며, 복수의 센서들이 모듈형태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상기된 본 발명의 가변형 광원을 가지는 운송수단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제어부(2000)는 기본적으로 적재부(110)에 배치되는 과실 등의 식품의 설정값에 따라 설정된 기능으로 광원장치(1000) 및 공기조화부(2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2000)는 환경설정부(2010)를 구비하며 조작자의 선택입력에 따라 설정된 온도 및 광을 제어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적재된 과실의 종류, 생육의 정도, 숙성의 정도, 보존에 필요한 기간, 후숙의 정도 등의 요소에 따라 상기 환경설정부(2010)에서의 선택입력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0)는 공기제어부(2020)를 구비하여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공기조화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조화부(200)는 주로 설정된 보존 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냉각사이클을 작동시키며 송풍의 정도에 대한 제어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가스의 축적 또는 배출의 기능 제어도 수행될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서는 후숙관리부(2040)의 실시예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광원장치(1000)에 대해 제어부(2000)에서는 광출력제어부(2030)를 구비하고 광출력제어부(2030)에서는 레이저광원 및 필터 등을 제어하여 광원으로부터의 파장 및 광강도를 제어하고 조절장치(1300)에서 선택된 방향으로 조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광원장치(1000)에서 광원부(1100) 및 조절장치(1300)의 실시예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2000)는 카메라부(2100) 및/또는 센싱부(2200)와 연결되어 적재부(110)의 내부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환경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센싱부(2200)는 온도감지부(2210)를 포함할 수 있고 환경설정부(2010)에서 설정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공기조화부(200)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부(2100)의 영상을 기초로 내부의 과실 등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바, 색상의 변화를 감지하여 후숙이나 변질을 판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보존 환경에 대한 제어가 가능하다.
이러한 개념에 따라, 제어부(2000)는 후숙관리부(20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후숙관리부(2040)는 카메라부(2100) 및 센싱부(2200)의 감지결과를 분석하여 더 적절한 보존, 예를 들어 장기적인 보존을 위한 환경조성 또는 후숙의 촉진을 위한 환경조성 또는 후숙의 지연을 위한 환경조성을 위한 현장 적응형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개념에 따라 주요한 후숙 또는 부패 촉진의 요소인 가스의 농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가스감지부(2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상기 후숙관리부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상기 환경설정부(2010)가 기본적인 초기 보존 환경을 제어하기 위하여 조작자의 선택입력을 받는 것임은 상기와 같다. 과실의 후숙의 제어를 위하여 후숙관리부(2040)가 추가적 또는 더욱 정밀한 제어를 위하여 부가될 수 있다.
모드설정부(2041)는 후숙되는 과실의 종류 및 상태를 설정하여 최적의 후숙 조건을 설정하도록 한다.
기본적인 후숙과일로는 바나나, 키위, 파인애플, 망고, 멜론, 사과, 감 등이 있으며 후숙에 따라 다소간에 다른 성질을 가진다. 적절한 후숙이 이루어진 경우 비교적 과육의 색상이 선명해지고 부드러워지며, 당도가 높아지고 산도가 떨어지는 경향을 가진다. 다만, 상기 후숙의 온도와 기간의 조건은 상이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상기 후숙의 과정에서 발생하거나, 후숙을 촉진하기 위한 용도로 에틸렌(ethylene) 가스를 대표적인 가스로 들 수 있다. 상기 에틸렌으로 황화처리한 과실이 미숙한 녹색과를 후숙하는데 많이 이용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또한, 후숙의 진행에 따라 다수의 과실에서 에틸렌이 발생하며 이렇게 자연적으로 발생한 에틸렌도 연쇄적인 후숙을 유발한다.
따라서, 보존 시간의 경과에 따라 후숙이 가속화되는 경향을 가지며 적재부(110)의 보관 및 운송 기간이 길어지는 경우 이에 대한 환경 제어가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조절부(2045)는 상기 카메라부(2100), 온도감지부(2210) 및 가스감지부(2220)의 감지값을 통하여 후숙의 진행을 판단하고 공기제어부(2020) 및 광출력제어부(2030)를 제어하여 적절한 후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에틸렌판단부(2043)에서 가스감지부(2220)로부터 전송된 감지값을 통하여 초기 환경설정된 과실의 종류와 양에 대비하여 에틸렌 농도가 설정값보다 높은 경우 후숙이 과도하게 촉진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공기조화부(200)의 댐퍼를 개방하고 팬을 외기방향으로 가속하여 에틸렌 농도를 낮추도록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설정값 미만인 경우에는 댐퍼를 폐쇄하여 적재부(110) 내부에 축적시켜 농도를 상승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과실의 후숙 진행과정에서 광의 조사 여부 및 광의 종류에 따라 후숙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키위의 경우 비교적 파장이 긴 적색광을 조사하였을 때 후숙을 촉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각 과실의 종류마다 온도범위 및 광조사여부, 광파장, 광강도에 따른 결과의 차이가 있었다. 본 발명의 개념을 적용하여 최적의 광 적용에 대한 추가연구가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개념에 의하여 실시간 이미지의 색의 변화를 통하여 후숙의 정도에서 파장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파장판단부(2044)를 더 포함한다. 상기 파장판단부(2044)는 모드설정부(2041)에 의하여 선택된 모드로 진입시 광출력제어부(2030)에서 제어될 적절한 파장 및/또는 광강도를 설정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2045)는 모드설정부(2041)에서 초기 설정된 결과에 의하여 적재부(110) 내부 환경조건이 가동될 때 카메라부(2100) 및/또는 센싱부(2200)의 감지결과에 따라 후숙 조건을 시간적으로 최적으로 변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적재 대상 과실에 대해 과실의 종류와 양, 후숙의 정도, 시간, 에틸렌 농도, 색상이나 표면의 변화 등의 요소에 따라 실시간 최적 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가변형 광원을 가지는 운송수단에서 광원부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광원부(1100)는 적재부(110)의 내부에 부착되거나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도록 소정의 모듈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며, 하나 이상의 레이저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광의 성질과 방향성을 제어할 수 있도록 컨트롤러부(1110)가 구성되며, 상기 컨트롤러부(1110)는 1차적으로 광원의 출력을 제어한다. 이러한 컨트롤러부(1110)는 상기 광출력제어부(2030)의 제어명령에 따라 각각의 광원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광원은 레이저광을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백색광의 조합이 가능한 R/G/B의 제1광원(1121), 제2광원(1122) 및 제3광원(1123)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나 다른 종류의 파장을 방출하는 것이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레이저광원은 예를 들어, 가스를 이용한 레이저(Gas Laser)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가스레이저로서 예를 들어, 헬륨-네온 레이저(Helium-neon laser), 아르곤 레이저(Argon laser), 크립톤 레이저(Krypton laser), 크세논 이온 레이저(Xenon ion laser), 이산화탄소 레이저(CO2 laser), 엑시머 레이저(Excimer laser)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 레이저 외에 광원으로 기능하기 위하여 화학 레이저(Chemical Laser), 색소 레이저(Dye Laser), 반도체 레이저(Semiconductor Laser), 고체 레이저(Solid-state Laser), 또는 금속 증기 레이저(Metal Vapor laser)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광원들은 레이저소스의 출력단에 각 파장에 대응되는 필터가 결합될 수 있을 것이며 이와 관련하여서는 파장의 선택에 대한 공지의 필터기술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기본적으로 상기 광원들에서는 파장과 강도가 제어된 광이 출력되며, 소정의 스위치 또는 디스페클러(Despeckler)와 같은 처리장치(1140)에서 조절되어 광합성부(1130)에서 합성되고 경로부(1010)로 전달된다.
상기 경로부(1010)는 조절 및/또는 합성 조절된 레이저빔이 원격으로 전송될 수 있는 광케이블 또는 섬유 또는 도파관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가변형 광원을 가지는 운송수단 조절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상기와 같이 조절장치(1300)는 적재부(110)의 내부에 복수로 배치되어 각각 서로 다른 방향성 또는 파장 또는 강도를 가지는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조절장치(1300)는 경로부(1010)의 말단에서 방출된 광을 확산하여 조사하는 렌즈부(13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렌즈부(1310)와 소정의 구동계통을 수용하는 하우징(참조번호 미표시)에 모듈형태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조절장치(1300)는 렌즈부(1310)로부터 확산된 광이 선택된 방향으로 조사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구동계통을 가질 수 있으다. 이러한 구동계통의 제1실시예로 적재부(110)의 천정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송 가능한 레일구동부(13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일구동부(1350)는 상기 컨트롤러부(1110)로부터 제어되는 모터와 동력전달수단 및 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롤러는 적재부와 조절장치(1300)의 하우징을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조절장치(1300)의 배열이 길이방향에 열을 지어 배열된 경우 레일구동부(1350)가 간격을 제어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폭방향으로의 이동을 제어하는 데 기능할 수도 있다.
상기 경로부(1010)는 조절장치(1300)의 이송에 따라 변형 가능하도록 유연성을 가지는 재질이나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서는 광경로의 제공에 관한 공지의 기술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렌즈부(1310)는 상기한 바와 같이 광원부(1100)로부터 제어되어 전송된 레이저광을 전달받아 확산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를 위하여 최소한 단면의 일부분은 부채꼴 내지 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렌즈부(1310)는 원추형의 빔경로를 생성할 수 있을 것이며, 경우에 따라 길이에 비하여 폭이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되는 라인빔을 생성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 렌즈부(1310)가 방향성을 가변할 수 있도록 틸트부(1320)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렌즈부의 틸트(Tilt)기능을 가지기 위하여 예를 들어서 측면에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는 롤러 내지 기어가 마찰하여 렌즈의 틸팅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팬(Pan) 기능을 추가하여 렌즈부(1310)의 원주방향으로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수평방향 회전되는 롤러 내지 기어가 마찰하여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팬 기능의 경우 예를 들어 라인빔이 형성되는 경우 방향성의 제어에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여러 파장의 빔이 조합된 프로젝션 타입의 이미지가 생성되는 경우 부위별로 다른 파장과 밝기가 조사된다면, 후숙을 위한 부위별, 성장별로 다른 성질의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상기 팬 및/또는 틸트 기능이 유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서, 상기 경로부(1010)의 말단에는 출력 방향의 제어가 가능하록 연동화부(1340)가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경로부(1010)의 말단에 소정의 방출면(참조번호 미표시)이 구성되는 경우 굴절 방향성이 설정되고 상기 틸트부(1320)의 방향에 적절하게 빔의 지향 방향을 렌즈부(1310)의 위치와 방향에 최적화시킬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 방출면이 소정의 경사면을 가지고 있다. 상기 연동화부(1340)는 공지의 액추에이터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정밀한 제어를 위하여 피에조(Piezo) 방식의 액추에이터가 적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연동화부(1340)는 렌즈부(1310)와 경로부(1010)의 말단을 기구적으로 연결하여 물리적인 회전이나 틸팅에 따라 함께 회전 또는 틸팅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로서, 경로부(1010)의 말단과 렌즈부(1310)의 입력측 사이에 개재되어 빔의 범위를 제어하는 콜리메이터부(133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콜리메이터부(1330)는 공지의 광경로 개폐 내지는 조절장치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레이저빔의 특성상 직진성이 강하나 광합성부(1130)에서 합성되어 구성된 광의 부위별 선택이 가능하거나, 렌즈부(1310)로부터 출력되는 빔의 형태를 제한할 수 있도록 콜리메이터부(1330)가 더 기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렌즈부(1310)의 원하는 영역에서 선택된 파장과 강도의 빛이 방출되도록 선택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조절장치(1300)의 제1 내지 4의 기능에 의하여 선택된 적재부(110)의 위치에 정확한 광의 조사가 가능함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여, 종래 냉장 운송용 탑차들이 단순 온도만을 보존하여 과실이나 채소 등을 운반하는데 진일보하여 보관 및 후숙에 최적화된 광조사를 수행하기 때문에 과실의 부패를 방지하는데 나아가 이송 과정에서 과실의 최적 품질을 만들어낼 수 있기 때문에 상품성이 비약적으로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온도조건, 가스농도, 후숙과정의 변화 등에 따라 온도, 공기질, 광 등의 제어요소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어 적재된 식품의 다양한 종류와 양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념에 의하여, 선택된 시간과 위치에 파장과 조도를 선택하여 최적의 효율을 나타내도록 광의 조사가 가능하기 때문에 후숙의 효율성은 비약적으로 향상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가변형 광원을 가지는 운송수단
100...운송수단 110...적재부
200...공기조화부 1000...광원장치
1010...경로부 1100...광원부
1110...컨트롤러부 1121...제1광원
1122...제2광원 1123...제3광원
1130...광합성부 1140...스위칭부
1300...조절장치 1310...렌즈부
1320...틸트부 1330...콜리메이터부
1340...연동화부 1350...레일구동부
2000...제어부 2010...환경설정부
2020...공기제어부 2030...광출력제어부
2040...후숙관리부 2041...모드설정부
2042...영상판단부 2043...에틸렌판단부
2044...파장판단부 2045...조절부
2100...카메라부 2200...센싱부
2210...온도감지부 2220...가스감지부

Claims (6)

  1. 구동계통과 적재부를 구비한 운송수단으로서,
    적재부 내부 온도를 조절하는 공기조화부(200);
    적재부 내부에 구성되어 선택된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는 하나 이상의 조절장치(1300);
    하나 이상의 레이저 광원을 가지며 상기 조절장치에 제어된 광을 전송하는 광원부(1100);
    상기 공기조화부와, 적재부 내부에 탑재된 과실의 종류에 대응한 파장의 광을 조사하도록 광원부와, 적재부의 선택된 위치에 광을 조사하도록 조절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2000);를 포함하되,
    상기 조절장치는,
    광을 확산하여 조사하는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의 틸팅 또는 회전을 제어하는 틸트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적재부에 탑재되는 과실의 종류와 양에 따라 공기조화부에서 제어되는 온도 및 광원부에서 전송되는 광의 파장을 제어하는 가변형 광원을 가지는 운송수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장치는,
    적재부의 길이방향에 복수로 배치되는 가변형 광원을 가지는 운송수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절장치들이 광원부와 경로부를 통하여 연결되되, 어느 하나의 조절장치가 다른 조절장치와 다른 파장의 광을 다른 방향으로 조사하는 가변형 광원을 가지는 운송수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지는 레이저광을 방출하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고 각각의 광원에서 출력되는 레이저광의 밝기가 제어되는 가변형 광원을 가지는 운송수단.
  5. 제1항에 있어서,
    적재부 내부에 적재된 과실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카메라부(2100);
    적재부 내부의 온도 및 가스농도를 감지하는 센싱부(2200);를 더 포함하는 가변형 광원을 가지는 운송수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로부터의 과실 이미지와 가스농도에 따라 후숙의 진행 정도를 판단하고 공기조화부에서 온도 및 가스농도와, 광원부로부터의 광 파장 및 밝기를 조절하는 후숙관리부를 구비하는 가변형 광원을 가지는 운송수단.
KR1020220006280A 2022-01-17 2022-01-17 가변형 광원을 가지는 운송수단 KR102405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6280A KR102405506B1 (ko) 2022-01-17 2022-01-17 가변형 광원을 가지는 운송수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6280A KR102405506B1 (ko) 2022-01-17 2022-01-17 가변형 광원을 가지는 운송수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5506B1 true KR102405506B1 (ko) 2022-06-07

Family

ID=81987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6280A KR102405506B1 (ko) 2022-01-17 2022-01-17 가변형 광원을 가지는 운송수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550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345B1 (ko) * 2014-02-13 2014-09-05 주식회사 지티그린 에틸렌을 이용한 과일 숙성 장치
KR20150035817A (ko) * 2012-06-04 2015-04-07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과채류의 호르메시스 유도 장치
KR102256617B1 (ko) * 2020-11-02 2021-05-26 정수유통 주식회사 농산물 수송용 차량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5817A (ko) * 2012-06-04 2015-04-07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과채류의 호르메시스 유도 장치
KR101437345B1 (ko) * 2014-02-13 2014-09-05 주식회사 지티그린 에틸렌을 이용한 과일 숙성 장치
KR102256617B1 (ko) * 2020-11-02 2021-05-26 정수유통 주식회사 농산물 수송용 차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7790B2 (en) Refrigerated storage unit
US7866171B2 (en) Food keeping refrigerator
CN108713208B (zh) 易腐产品的货物运输系统
KR101071032B1 (ko) 식품보관 냉장고
JP4433958B2 (ja) 冷蔵庫
KR100758208B1 (ko) 야채의 광합성이 가능한 냉장고 및 이의 제어 방법
EP0692199B1 (en) Refrigeration controller for refrigerated container with enabling system for a atmosphere controller
US5965185A (en) Transportable and size-adjustable apparatus with multiple air flow control units for ripening of fresh produce
US20110302942A1 (en) Environment control unit with reactive oxygen species generator
WO2017115503A1 (ja) 収容庫および温度制御システム
KR20060048024A (ko) 냉장고
US11176510B2 (en) Cargo transport system for perishable products
KR102405506B1 (ko) 가변형 광원을 가지는 운송수단
KR101866990B1 (ko) 실제 화물 적재부 온도를 기준으로 설정온도 유지가 가능한 컨테이너 및 그 동작 방법
KR20180041783A (ko) 자동 환기장치를 구비한 저온 저장고
JP2013113549A (ja) 冷却収納装置
KR101884815B1 (ko) 냉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U2017300291B2 (en) Refrigerator
JPH11142059A (ja) 低温遠赤外線乾燥機および干物の製造方法
KR20190048730A (ko) 냉동컨테이너를 이용한 신선화물 최적 보관온도 유지 장치 및 방법
JPH05141843A (ja) 冷凍冷蔵庫
KR101962895B1 (ko) 저온숙성시스템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
JP2005114186A (ja) 冷蔵庫
KR100335786B1 (ko) 원적외선을 이용한 해동기
KR102083507B1 (ko) 음식물 보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