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5327B1 - 계란 포장재를 사용하는 계란 포장장치 - Google Patents

계란 포장재를 사용하는 계란 포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5327B1
KR102405327B1 KR1020200084954A KR20200084954A KR102405327B1 KR 102405327 B1 KR102405327 B1 KR 102405327B1 KR 1020200084954 A KR1020200084954 A KR 1020200084954A KR 20200084954 A KR20200084954 A KR 20200084954A KR 102405327 B1 KR102405327 B1 KR 102405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gg
packaging material
moving
egg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4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7780A (ko
Inventor
김학주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주)와이제이푸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주)와이제이푸드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주)와이제이푸드
Priority to KR1020200084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5327B1/ko
Publication of KR20220007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7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5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5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3/00Packaging fragile or shock-sensitive articles other than bottles; Unpacking eggs
    • B65B23/02Packaging or unpacking eg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16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65B35/36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by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56Orientating, i.e. changing the attitude of, articles, e.g. of non-uniform cross-section
    • B65B35/58Turning articles by positively-acting means, e.g. to present labelled portions in uppermost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12Feeding flexible bags or carton blanks in flat or collapsed state; Feeding flat bags connected to form a series or chain
    • B65B43/126Feeding carton blanks in flat or collapsed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26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 B65B43/265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7/00Apparatus or devices for forming pockets or receptacles in or from sheets, blanks, or webs, comprising essentially a die into which the material is pressed or a folding die through which the material is moved
    • B65B47/04Apparatus or devices for forming pockets or receptacles in or from sheets, blanks, or webs, comprising essentially a die into which the material is pressed or a folding die through which the material is moved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eg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란 포장재를 사용하는 계란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계란을 이동시키며, 계란 이동방향과 수직한 종방향으로 복수 개의 계란이 배치되는 제1이동부; 계란을 이동시키며, 계란 이동 방향과 나란한 횡방향으로 복수 개의 계란이 배치되는 제2이동부; 상기 제1이동부에서 상기 제2이동부로 계란을 이송하는 회전 이송부; 계란과 포장재가 조립되는 결합부; 상기 포장재를 상기 결합부로 이동시키는 제1포장재 이동부; 상기 제2이동부의 계란을 상기 결합부로 이송할 수 있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계란 포장재를 사용하는 계란 포장장치 {Egg packaging apparatus using egg packaging material}
본 발명은 계란 포장재를 사용하는 계란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계란 포장재 내부에 계란이 안착할 수 있는 안착공이 구비된 격벽을 형성하여 계란을 포장함에 따라 계란이 깨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계란을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는 계란 포장재에 계란을 포장할 수 있는 계란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계란판은 계란이 수납되는 수납홈이 형성되어 계란을 수납홈에 안착하면서 계란을 운반하게 된다. 종래의 계란판은 복수 개의 계란을 한 번에 운반할 수 있는 것으로, 종래의 계란판은 익히지 않은 날계란의 운반에 주로 사용된다.
한편, 최근에는 구매자의 편의를 위해 계란을 낱개로 판매하고 있으며, 반숙 계란이나 완숙 계란과 같이 삶은 계란을 낱개로 판매하여 구매자가 계란을 바로 섭취할 수 있게 된다.
최근에는 가정에서 계란을 직접 요리하기 보다, 반숙 계란이나 완숙 계란과 같이 구매자가 바로 섭취할 수 있는 계란의 판매율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계란판의 경우 복수 개의 계란을 운반하는 것이기 때문에, 낱개로 계란을 판매하기 위한 포장재로 적합하지 않다. 이에 계란을 낱개로 포장하여 계란을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는 포장재가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반숙 계란이나 완숙 계란과 같이 구매자가 바로 섭취할 수 있는 계란을 구매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복수 개의 계란을 운반하는 종래의 계란판에서 낱개의 계란을 포장하는 포장재로 계란을 이송하여 계란을 포장할 수 있는 계란 포장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계란 포장재 내부에 계란이 안착할 수 있는 안착공이 구비된 격벽을 형성하여 계란을 포장함에 따라 계란이 깨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계란을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는 계란 포장재에 계란을 포장할 수 있는 계란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계란 포장재를 사용하는 계란 포장장치는, 계란을 이동시키며, 계란 이동방향과 수직한 종방향으로 복수 개의 계란이 배치되는 제1이동부; 계란을 이동시키며, 계란 이동 방향과 나란한 횡방향으로 복수 개의 계란이 배치되는 제2이동부; 상기 제1이동부에서 상기 제2이동부로 계란을 이송하는 회전 이송부; 계란과 포장재가 조립되는 결합부; 상기 포장재를 상기 결합부로 이동시키는 제1포장재 이동부; 상기 제2이동부의 계란을 상기 결합부로 이송할 수 있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계란 포장재를 사용하는 계란 포장장치의 상기 회전 이송부에는, 하나의 계란을 이송할 수 있는 정렬기가 복수 개 구비되며, 복수 개의 상기 정렬기는, 상기 제1이동부 상부에서는 종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며, 복수 개의 상기 정렬기는 상기 회전 이송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이동부 상부에서는 횡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계란 포장재를 사용하는 계란 포장장치는 상기 제2이동부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방향 전환판을 포함하며, 상기 방향 전환판은, 상기 제2이동부로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상기 제2이동부로 이송된 계란을 밀어 세로 방향으로 세워진 계란을 가로 방향으로 눕힐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계란 포장재를 사용하는 계란 포장장치의 상기 방향 전환판의 일측에는 반원형의 접촉홈이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계란 포장재를 사용하는 계란 포장장치의 상기 이송부는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가압판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는, 상기 결합부로 상기 계란을 이송하면서 상기 가압판으로 상기 포장재를 가압하여 상기 포장재와 상기 계란을 조립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계란 포장재를 사용하는 계란 포장장치의 상기 포장재는, 계란이 배치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이 구비되며, 상면, 하면, 제1측면을 포함하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의 제1측면과 이격되면서 직육면체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원형 형상의 안착공이 구비된 격벽과, 상기 격벽의 상부와 상기 제1측면의 상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 상면의 하부와 접촉되는 상면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계란 포장재를 사용하는 계란 포장장치의 상기 제1포장재 이동부는, 상기 포장재의 전개도를 상기 결합부로 이동시키며, 상기 가압판은, 상기 결합부로 이동된 상기 포장재의 전개도 상부로 계란을 이송하면서 상기 포장재의 전개도를 가압하여 상기 포장재를 조립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계란 포장재를 사용하는 계란 포장장치의 상기 제1포장재 이동부에는, 상기 제1포장재 이동부에 배치된 상기 전개도를 상부로 이동시키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를 통해 상부로 이동된 상기 전개도가 접촉되는 접힘 커버가 구비되며, 상기 접힘 커버에는 하향 경사로 연장되는 제3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계란 포장재를 사용하는 계란 포장장치의 상기 격벽에는, 상기 본체부의 높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자국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계란 포장재를 사용하는 계란 포장장치의 상기 결합부는, 상기 포장재가 이송될 수 있는 이송 공간과, 상기 이송 공간의 둘레에 구비되고, 하향 경사로 연장되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1경사부와, 상기 이송 공간의 둘레에 구비되고, 하향 경사로 연장되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2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계란 포장재를 사용하는 계란 포장장치의 상기 제1경사부와 상기 제2경사부의 하향 경사는 서로 다른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계란 포장재를 사용하는 계란 포장장치의 상기 제1경사부와 상기 제2경사부는 서로 다른 높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계란 포장재를 사용하는 계란 포장장치의 상기 결합부에서 조립된 상기 포장재는, 상기 격벽이 세워지되 상기 상면이 열려있는 상태로 조립되며, 상기 결합부의 하부에는, 상기 상면이 열려있는 상기 포장재를 이동시키는 제2포장재 이동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2포장재 이동부에는, 상기 상면을 가압하여 상기 상면과 상기 상면 접촉부를 부착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계란 포장재를 사용하는 계란 포장장치의 상기 덮개부는, 상기 상면을 가압하는 제1부착부와, 상기 격벽과 상기 제1측면이 형성하는 이격 공간에 삽입되면서 상기 이격 공간 내부에서 상기 상면 접촉부를 가압하는 제2부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계란 포장재에 관한 것으로, 계란 포장재 내부에 계란이 안착할 수 있는 안착공이 구비된 격벽을 형성하여 계란을 포장함에 따라 계란이 깨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계란을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부의 격벽에 구비된 자국부를 통해 격벽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계란 포장재를 제작할 때 형성되는 경계선에 칼집과 연결부를 형성함에 따라 계란 포장재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 이송부를 통해 복수 개의 계란의 배치 방향을 종방향에서 횡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방향 전환판을 통해 계란의 하부를 가압함에 따라 세로로 세워진 계란을 가로로 눕힐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은 결합부의 제1경사부 및 제2경사부의 경사 및 높이를 다르게 형성함에 따라 포장재 전개도를 목표로 하는 순서로 접을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제2포장재 이동부에 구비된 제1부착부와 제2부착부를 통해 포장재 격벽에 형성된 상면 접촉부와 포장재의 상면을 견고하게 부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란 포장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란 포장재를 제작하기 위한 전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전개도에서 제4경계선을 중심으로 측면 접촉부를 접고, 제3경계선을 중심으로 격벽이 배치된 부분을 접었을 때의 전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이동부와 회전 이송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2이동부와 회전 이송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2이동부를 향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계란을 눕힐 수 있는 방향 전환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합부와 제1포장재 이동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1포장재 이동부를 통해 포장재가 결합부로 이송되면서, 이송부를 통해 계란이 결합부로 상부로 이동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포장재 이동부의 승강부와 접힘 커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면이 열려있는 포장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포장재 이동부와 덮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부착부와 제2부착부를 통해 본체부의 상면과 격벽의 상면 접촉부를 부착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명확히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고, 실시 예들을 개시한다. 개시된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발명(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은 계란 포장재를 사용하는 계란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계란 포장재 내부에 계란이 안착할 수 있는 안착공이 구비된 격벽을 형성하여 계란을 포장함에 따라 계란이 깨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계란을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는 계란 포장재에 계란을 포장할 수 있는 계란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란 포장재 내부에 배치되는 계란은 반숙 계란이나 완숙 계란과 같이 삶은 계란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란 포장재 내부에는 날 계란도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란 포장재를 사용하는 계란 포장장치의 구성은 이동, 회전할 수 있는 것으로, 유압, 모터 등에 의해 이동되거나 회전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란 포장재를 사용하는 계란 포장장치의 구성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동, 회전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유압, 모터 등을 통해 계란 포장장치의 구성이 이동, 회전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도면에서 연결선, 유압선 등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장재(1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란 포장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계란 포장재로, 본체부(110), 격벽(120)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장재(100)를 먼저 설명한 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란 포장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포장재(100)의 상기 본체부(11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계란이 배치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구비된 것이다. 상기 본체부(110)는 계란 포장재의 하우징이 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 공간에 계란(10)이 배치된다.
상기 본체부(11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면(111), 하면(112), 제1측면(113), 제2측면(114)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상면(111)은 상기 본체부(110)의 상부면이고, 상기 하면(112)은 상기 본체부(110)의 하부면이다.
상기 제1측면(113)은 상기 상면(111)과 상기 하면(112) 사이에 구비된 상기 본체부(110)의 측면으로, 상기 제1측면(113)은 도 1을 기준으로 y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측면일 수 있다. 상기 제2측면(114)은 상기 상면(111)과 상기 하면(112) 사이에 구비된 상기 본체부(110)의 측면으로, 상기 제2측면(114)은 도 1을 기준으로 x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측면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면(111), 상기 하면(112), 상기 제1측면(113)은 닫혀진 면일 수 있으며, 상기 제2측면(114)은 열려진 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11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상면(111), 상기 하면(112), 상기 제1측면(113)은 면이 형성되면서 닫혀 있지만, 상기 제2측면(114)은 면이 형성되지 않으면서 외부와 내부가 연통되도록 열려있을 수 있다.
상기 제2측면(114)은 열려진 면이기 때문에, 상기 제2측면(114) 방향에서 상기 본체부(110)를 바라보면,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를 볼 수 있게 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서 상기 제2측면(114)도 닫혀있을 수 있다.
상기 본체부(110)는 종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본체부(110) 내부에 구비된 계란(10)이 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면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격벽(120)은 상기 본체부(110)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부(110)의 제1측면(113)과 이격되면서 직육면체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다. 상기 격벽(120)은 상기 제1측면(113)과 평행한 면으로, 상기 격벽(120)은 한 쌍의 상기 제1측면(113)과 이격되면서 상기 본체부(11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높이 방향이라 함은 상기 하면(112)에서 상기 상면(111)으로 연장되는 방향일 수 있다.
상기 격벽(120)이 상기 제1측면(113)과 이격됨에 따라 상기 격벽(120)과 상기 제1측면(113) 사이에는 완충 공간을 형성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완충 공간을 통해 외부 충격으로부터 계란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격벽(120)에는 원형 형상의 안착공(12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공(121)은 계란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격벽(120)을 관통하는 구멍이다. 상기 격벽(120)에 구비된 상기 안착공(121)에 계란(10)의 일측과 타측이 끼워지면서, 상기 계란(10)이 포장재 내부에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격벽(120)은 상기 본체부(110) 내부에 한 쌍의 구비되면서 낱개의 계란을 상기 본체부(110) 내부에 배치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본체부(110) 내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격벽(120) 사이에 안착공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 개의 격벽을 배치함에 따라 복수 개의 계란을 상기 본체부(110) 내부에 배치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부(110)의 상면(111)에는 절취선(172)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부(110)의 제1측면(113)에는 상기 제1측면(113)을 관통하는 통공(17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취선(172)은 상기 상면(111)을 절단할 수 있는 면으로, 포장재 사용자는 상기 절취선(172)을 절단함에 따라 상기 본체부(110) 내부에 배치된 계란(10)을 외부로 꺼낼 수 있게 된다.
상기 통공(171)은 상기 제1측면(113)을 관통하는 구멍이다. 상기 통공(171)은 상기 제1측면(113)에서 상기 본체부(110) 내부를 바라볼 때, 상기 본체부(110) 내부에 계란(10)이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구멍이다.
상기 제2측면(114)이 열려있기는 하지만, 상기 상면(111), 상기 하면(112), 상기 제1측면(113)이 닫혀있기 때문에, 상기 상면(111), 상기 하면(112), 상기 제1측면(113) 방향에서 상기 본체부(110)를 바라볼 때, 상기 본체부(110) 내부의 모습을 보기 어려울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통공(171)을 상기 제1측면(113)에 형성하면, 상기 제1측면(113)에서 상기 본체부(110)를 바라볼 때, 상기 본체부(110) 내부의 모습을 볼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상기 본체부(110) 내부에 계란이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통공(171)은 한 쌍의 상기 제1측면(113) 모두에 형성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상기 제1측면(113) 중 하나의 상기 제1측면(113)에만 상기 통공(171)이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란 포장재는, 종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전개도를 접어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계란 포장재가 제작될 때, 상기 격벽(120)이 상기 본체부(110)의 높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서있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격벽(120)을 흔들리지 않게 고정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란 포장재는, 상면 접촉부(131), 하면 접촉부(132)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상면 접촉부(131)는 상기 격벽(120)의 상부와 상기 제1측면(113)의 상부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부(110)의 상면(111)의 하부에 접촉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면 접촉부(131)는 도 2의 전개도를 접어서 계란 포장재를 제작할 때, 상기 본체부(110) 내부에서 상기 상면(111)의 하부에 부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상면 접촉부(131)는 상기 격벽(120)과 연결되면서 붙어있는 면이 되며, 상기 상면 접촉부(131)를 통해 상기 격벽(120)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면 접촉부(132)는 한 쌍의 상기 격벽(120) 하부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부(110)의 하면(112)의 상부와 접촉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면 접촉부(132)는 도 2의 전개도를 접어서 계란 포장재를 제작할 때, 상기 본체부(110) 내부에서 상기 하면(112)의 상부에 부착되는 부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하면 접촉부(132)는 한 쌍의 상기 격벽(120) 사이에서, 상기 격벽(120)과 연결되면서 붙어있는 면이 되며, 상기 하면 접촉부(132)를 통해 상기 격벽(120)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란 포장재(100)는, 측면 접촉부(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 접촉부(133)는 상기 상면 접촉부(131)와 연결되되, 상기 본체부(110) 내부에서 상기 제1측면(113)의 내측에 접촉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측면 접촉부(133)는 도 2의 전개도를 접어서 계란 포장재를 제작할 때, 상기 본체부(110) 내부에서 상기 제1측면(113)의 내측에 부착되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란 포장재는, 도 2의 전개도를 접어서 제작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계란 포장재를 제작하기 위한 전개도는, 상기 상면(111)-상기 제1측면(113)-상기 하면(112)-상기 제1측면(113)의 순서로 배치하고, 상기 제1측면(113)의 측면에 상기 상면 접촉부(131)-상기 격벽(120)-상기 하면 접촉부(132)-상기 격벽(120)-상기 상면 접촉부(131)-상기 측면 접촉부(133)의 순서로 배치하면서 각각의 경계선을 접어서 계란 포장재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격벽(120)과 상기 상면 접촉부(131) 사이에는 상부 경계선(141)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격벽(120)과 상기 하면 접촉부(132) 사이에는 하부 경계선(14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 경계선(141)과 상기 하부 경계선(142)에는 자국이 형성되는 칼집(151)과 자국이 형성되지 않는 연결부(152)가 번갈아가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칼집(151)은 경계선을 관통하는 칼집일 수 있으며, 경계선을 관통하지는 않고 자국만 남아있는 칼집일 수도 있다. 상기 연결부(152)는 자국이 형성되지 않으면서 이어져 있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경계선은 후술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란 포장장치를 통해 접힐 수 있게 되는데, 이와 같이 상기 경계선에 상기 칼집(151)과 상기 연결부(152)를 번갈아가면서 형성하면, 상기 칼집(151)과 상기 연결부(152)에 의해 경계선을 쉽게 접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경계선에 상기 칼집(151)과 상기 연결부(152)를 번갈아가면서 형성하면 목표로 하는 지점을 정확하게 접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상면(111)과 상기 제1측면(113) 사이에는 제1경계선(143)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하면(112)과 상기 제1측면(113) 사이에는 제2경계선(144)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경계선(143)과 상기 제2경계선(144)에는 자국이 형성되는 상기 칼집(151)과 자국이 형성되지 않는 상기 연결부(152)가 번갈아가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칼집(151)은 경계선을 관통하는 칼집일 수 있으며, 경계선을 관통하지는 않고 자국만 남아있는 칼집일 수도 있다. 상기 연결부(152)는 자국이 형성되지 않으면서 이어져 있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칼집(151)과 상기 연결부(152)는 상술한 것과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란 포장재는, 도 2의 전개도를 접어서 제작될 수 있으며, 도 2의 전개도는 상기 상면(111)-상기 제1측면(113)-상기 하면(112)-상기 제1측면(113)-상기 상면 접촉부(131)-상기 격벽(120)-상기 하면 접촉부(132)-상기 격벽(120)-상기 상면 접촉부(131)-상기 측면 접촉부(133)의 순서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측면(113)과 상기 상면 접촉부(131) 사이에는 제3경계선(145)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면 접촉부(131)와 상기 측면 접촉부(133) 사이에는 제4경계선(14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경계선(145)과 상기 제4경계선(146)에도 상기 칼집(151)과 상기 연결부(152)가 번갈아가면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란 포장재(100)는 도 2의 전개도에서 상기 제4경계선(146)을 중심으로 상기 측면 접촉부(133)를 접고, 이후 상기 제3경계선(145)을 중심으로 상기 격벽(120)이 배치된 부분을 접어서 도 3과 같이 상기 제4경계선(146)과 상기 제1경계선(143)이 포개진 상태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란 포장장치에 제공된다.
이때, 상기 측면 접촉부(133)는 상기 제1측면(113)에 접촉되면서 접착제를 통해 상기 제1측면(113)에 부착되고, 상기 하면 접촉부(132)는 상기 하면(112)에 접촉되면서 접착제를 통해 상기 하면(112)에 부착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110)의 상기 제1측면(113)의 양측에는 상기 본체부(110)의 상기 제2측면(114)이 형성되는 방향으로 접히는 제1날개부(16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부(110)의 상기 하면(112)의 양측에는 상기 본체부(110)의 상기 제2측면(114)이 형성되는 방향으로 접히는 제2날개부(162)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의 전개도를 접어서 포장재를 제작할 때, 포장재가 다시 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접착제가 부착되면서 접힌 상태의 포장재를 고정하는 부분이 필요하다. 상기 제1날개부(161)와 상기 제2날개부(162)는 이를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격벽(120)에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본체부(110)의 높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자국부(122)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2 및 도 3의 전개도를 접으면, 상기 격벽(120)이 세워진다.
상기 격벽(120)은 수직으로 세워지는 것으로, 상기 격벽(120)이 구부러지지 않고 수직으로 세워져야 상기 본체부(110)의 직육면체 형상을 유지하면서 계란(10)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자국부(122)는 상기 격벽(120)을 지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자국부(122)는 상기 격벽(120)을 관통하지 않는 칼집 혹은 자국일 수 있다. 상기 자국부(122)는 상기 본체부(110)가 직육면체 형상으로 제작되었을 때, 상기 본체부(110)의 높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다.
상기 격벽(120)에 상기 자국부(122)를 형성하면, 상기 자국부(122)가 기둥 역할을 하면서 상기 격벽(120)이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격벽(120)에 상기 자국부(122)를 형성하면, 상기 자국부(122) 부분이 상기 격벽(120)의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격벽(120)의 외부로 돌출된 상기 자국부(122) 부분이 기둥 역할을 하게 되며, 이를 통해 상기 격벽(120)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란 포장장치를 통해 상기 포장재(100)에 계란(10)을 포장하는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란 포장장치에 공급되는 상기 포장재(100)는 도 3과 같이 접혀진 전개도로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란 포장재를 사용하는 계란 포장장치는 제1이동부(210), 제2이동부(220), 회전 이송부(230), 결합부(240), 제1포장재 이동부(250), 이송부(26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이동부(210)는 계란(10)을 이동시키며, 계란 이동방향과 수직한 종방향으로 복수 개의 계란이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이동부(210)는 계란을 이동시키는 회전 벨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계란(10)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이동부(210)는 계란을 횡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1이동부(210)에 배치되는 계란은 복수 개의 계란이 종방향을 형성하면서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이동부(210)에는 행과 열로 이루어지면서 계란을 운반할 수 있는 종래의 계란판(11)이 올려질 수 있으며, 계란 이동방향과 수직한 종방향으로 복수 개의 계란이 배치될 수 있다면, 다양한 방법으로 계란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이동부(220)는 계란(10)을 이동시키며, 계란 이동방향과 나란한 횡방향으로 복수 개의 계란이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2이동부(220)는 계란을 이동시키는 회전 벨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계란(10)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2이동부(220)는 계란을 횡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2이동부(220)에 배치되는 계란은 계란이 이동방향과 나란한 횡방향을 형성하면서 복수 개의 계란이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이동부(220)로 이동된 계란은 상기 결합부(240)로 하나씩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제2이동부(220)를 통해 공급되는 계란은, 계란의 이동방향과 나란한 횡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상기 결합부(240)로 하나씩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이동부(220)에는 상기 제2이동부(220) 상부로 돌출되는 고정바(22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바(223)는 상기 제2이동부(220)에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계란 사이를 구획할 수 있는 것으로, 한 쌍의 상기 고정바(223) 사이에 하나의 계란이 배치된다. 상기 고정바(223)를 통해 계란을 하나씩 구획함에 따라 상기 결합부(240)로 하나의 계란을 보낼 수 있게 된다.
상기 회전 이송부(230)는 상기 제1이동부(210)에서 상기 제2이동부(220)로 계란을 이송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회전 이송부(230)는 상기 제1이동부(210) 상부와 상기 제2이동부(220) 상부 사이를 회전하면서 계란을 이송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 이송부(230)에는 하나의 계란을 이송할 수 있는 정렬기(231)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정렬기(231)를 통해 계란을 상기 제1이동부(210)에서 상기 제2이동부(220)로 이송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정렬기(231)는 계란을 흡착하여 잡을 수 있는 것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계란을 잡아서 이송할 수 있다면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회전 이송부(230)의 상기 정렬기(231)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상기 정렬기(231)는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상기 정렬기(231)는 상기 제1이동부(210)의 상부에서는 종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상기 정렬기(231)는 상기 회전 이송부(2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이동부(220)의 상부에서는 횡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이동부(210)에서는 계란이 종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며, 상기 제2이동부(220)에서는 계란이 횡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이동부(210)에서 상기 제2이동부(220)로 계란을 이송할 때, 계란이 배치되는 방향을 종방향에서 횡방향으로 전환하여야 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 이송부(230)의 상기 정렬기(231)는 이를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1이동부(210)의 상부에서 횡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상기 정렬기(231)가 상기 회전 이송부(2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이동부(220)의 상부에서 종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됨에 따라 계란의 배치 방향을 전환할 수 있게 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란 포장장치는 방향 전환판(2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향 전환판(221)은 상기 제2이동부(220)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것으로, 상기 방향 전환판(221)은 상기 제2이동부(220)에 배치된 계란의 하부를 가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방향 전환판(221)은 상기 제2이동부(220)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방향 전환판(221)은 상기 제2이동부(220)로 이송된 계란의 하부를 밀어서 세로 방향으로 세워진 계란을 가로 방향으로 눕힐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계란이 세로 방향으로 세워진다는 것은, 타원형으로 이루어진 계란의 긴 축이 수직으로 세워져 있는 것을 말하며, 계란이 가로 방향으로 눕혀진다는 것은, 타원형으로 이루어진 계란의 긴축이 수평으로 눕혀져 있는 것을 말한다.
상기 제1이동부(210)에 배치되는 계란판에는 세로 방향으로 세워진 계란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 이송부(230)의 상기 정렬기(231)를 통해 상기 제2이동부(220)로 계란이 이송될 때, 계란이 세로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이송될 수 있다.
그러나 세로 방향으로 세워진 계란은 무게 중심에 의해 가로 방향으로 눕혀지게 되는데, 별도의 방향 전환장치가 구비되지 않으면 계란이 가로 방향으로 눕혀지면서 상기 제2이동부(220)를 이탈할 위험이 있다.
상기 방향 전환판(221)은 상기 제2이동부(220)에 계란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세로 방향으로 세워진 계란을 가로 방향으로 눕힐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방향 전환판(221)은 복수 개의 상기 정렬기(231)가 계란을 잡고 있는 상태에서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계란의 하부를 가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방향 전환판(221)을 통해 계란의 하부를 가압하게 되면, 계란이 기울어지게 된다. 이후 계란을 잡고 있는 상기 정렬기(231)에서 계란을 분리시키면, 계란이 상기 제2이동부(220)를 이탈하지 않으면서 가로 방향으로 눕혀질 수 있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방향 전환판(221)의 일측에는 반원형의 접촉홈(22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촉홈(222)은 계란과 직접 접촉하는 부분이 된다. 상기 방향 전환판(221)을 통해 계란의 하부를 가압할 때, 상기 방향 전환판(221)의 힘에 의해 계란이 깨질 위험이 있다.
그러나 상기 방향 전환판(221)의 일측에 계란의 외부 형상에 대응되는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접촉홈(222)을 구비하여 계란의 하부를 가압하면, 상기 접촉홈(222)을 통해 계란에 가해지는 힘을 분산함에 따라 계란이 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결합부(240)는 계란(10)과 포장재(100)가 조립되는 지점이다. 상기 결합부(240)에는 상기 포장재(100)와 계란(10)이 각각 공급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포장재 이동부(250)를 통해 상기 결합부(240)에 상기 포장재(100)가 먼저 공급되고, 상기 이송부(260)를 통해 상기 포장재(100) 상부로 계란(10)이 공급되면서 계란(10)과 상기 포장재(100)가 조립된다.
상기 제1포장재 이동부(250)는 상기 결합부(240)로 상기 포장재(100)를 이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제1포장재 이동부(250)를 통해 상기 결합부(240)로 이동되는 상기 포장재(100)는 도 3의 전개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의 전개도에서 상기 제4경계선(146)을 중심으로 상기 측면 접촉부(133)를 접고, 이후 상기 제3경계선(145)을 중심으로 상기 격벽(120)이 배치된 부분을 접어서 도 3과 같이 상기 제4경계선(146)과 상기 제1경계선(143)이 포개진 상태로 접는다.
이때, 상기 측면 접촉부(133)는 상기 제1측면(113)에 접촉되면서 접착제를 통해 상기 제1측면(113)에 부착되고, 상기 하면 접촉부(132)는 상기 하면(112)에 접촉되면서 접착제를 통해 상기 하면(112)에 부착된다.
상기 제1포장재 이동부(250)는 도 3의 전개도를 하나씩 상기 결합부(240)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포장재 이동부(250)에는 상기 전개도를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 벨트(25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전개도는 상기 이동 벨트(251) 상부에 배치되면서 상기 이동 벨트(251)의 움직임을 통해 상기 결합부(240)로 이동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이송부(260)는 상기 제2이동부(220)의 계란(10)을 상기 결합부(240)로 이송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이송부(260)는 상기 제2이동부(220)와 상기 결합부(240)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이송부(260)는 상기 제2이동부(220)에 횡방향으로 배치된 계란을 하나씩 상기 결합부(240)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이송부(260)는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이 가압판(261)을 포함하며, 한 쌍의 상기 가압판(261) 사이에 계란(10)이 끼워지면서 상기 결합부(240)로 이동된 상기 포장재(100)의 전개도 상부로 계란(10)이 이송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2이동부(220)에는 상기 이송부(260)를 통해 계란(10)을 이송시킬 때, 계란(10)을 고정하기 위한 계란 고정부(22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계란 고정부(224)는 계란(10)을 흡착하여 고정하면서 계란(10)을 밀어낼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계란 고정부(224)를 통해 계란(10)을 고정하고, 상기 계란 고정부(224)를 통해 계란(10)을 밀어내면서 상기 이송부(260)의 상기 가압판(261)으로 계란(10)을 잡는다. 상기 계란 고정부(224)를 통해 상기 제2이동부(220)에서 상기 이송부(260)로 계란을 이송시킬 때 계란(10)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송부(260)는 상기 결합부(240)와 상기 제2이동부(220) 사이를 왕복 운동하면서, 상기 결합부(240) 지점에서 상기 결합부(240)의 이송 공간(241)으로 하강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이송부(260)의 상기 가압판(261)을 통해 상기 포장재(100)의 전개도를 가압하면서 상기 포장재(100)와 계란을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결합부(240)에서 상기 포장재(100)의 전개도와 계란이 조립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결합부(240)는 이송 공간(241), 제1경사부(242), 제2경사부(243)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 공간(241)은 상기 포장재(100)가 이송될 수 있는 공간이다. 상기 포장재(100)의 전개도는 상기 결합부(240)의 상기 이송 공간(241)의 상부로 이동된 이후, 상기 이송부(260)의 상기 가압판(261)에 의해 접혀지면서 상기 이송 공간(241)을 통과하게 된다.
상기 결합부(240)에는 상기 제1포장재 이동부(250)에서 이동되는 상기 포장재(100) 전개도를 지정된 지점에 배치할 수 있는 포장재 고정부(24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포장재 고정부(244)는 상기 제1포장재 이동부(250)를 통해 이동되는 상기 포장재(100) 전개도와 접촉되면서 상기 포장재(100) 전개도의 이동을 멈출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포장재 고정부(244)를 통해 상기 포장재(100) 전개도를 지정된 지점(상기 이송 공간(241)의 상부)에 배치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포장재 이동부(250)를 통해 상기 포장재(100)의 전개도가 상기 이송 공간(241) 상부로 이동되고, 상기 이송부(260)의 상기 가압판(261)을 통해 상기 제2이동부(220)에서 상기 이송 공간(241)의 상부(상기 포장재(100) 전개도의 상부)로 계란(10)을 이송시킨다.
상기 이송 공간(241)의 상부로 계란(10)과 함께 상기 가압판(261)이 이동되면, 상기 가압판(261)은 상기 이송 공간(241)을 향하여 하부로 하강하게 된다. 상기 이송 공간(241)으로 하강하는 상기 가압판(261)에 의해 상기 이송 공간(241)의 상부에 구비된 상기 포장재(100) 전개도를 접히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가압판(261)에 끼워진 계란(10)이 상기 포장재(100)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결합부(240)에는 상기 포장재(100)의 전개도에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는 접착제 도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 도포부는 상기 포장재(100) 전개도에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1날개부(161)와 상기 제2날개부(162)에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제1경사부(242)는 상기 이송 공간(241)의 둘레에 구비되는 것으로, 하향 경사로 연장되면서 한 쌍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제2경사부(243)는 상기 이송 공간(241)의 둘레에 구비되는 것으로, 하향 경사로 연장되면서 한 쌍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이송 공간(241)은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1경사부(242)와 상기 제2경사부(243)가 사각형 형상의 상기 이송 공간(241)의 둘레에 마주보면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경사부(242)와 상기 제2경사부(243)는 상기 포장재(100) 전개도를 접기 위해 구비되는 하향 경사판이다. 상기 가압판(261)을 통해 상기 포장재(100) 전개도를 가압하면, 상기 포장재(100) 전개도가 상기 제1경사부(242)와 상기 제2경사부(243)를 통해 받쳐지면서 접히게 된다.
상기 제1경사부(242)를 통해서는 상기 하부 경계선(142)과 상기 제2경계선(144)이 접혀지면서 상기 제1날개부(161)가 접혀질 수 있으며, 상기 제2경사부(243)를 통해서는 상기 제2날개부(162)가 접혀질 수 있다.
상기 포장재(100) 전개도가 접혀질 때, 상기 결합부(240)의 상기 접착 도포부를 통해 상기 제1날개부(161)와 상기 제2날개부(162) 접착제를 도포하고, 상기 제1날개부(161)와 상기 제2날개부(162)를 접착함에 따라 접혀진 상기 포장재(100) 전개도가 다시 펴지지 않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날개부(161)가 먼저 접혀진 이후에, 상기 제2날개부(162)가 상기 제1날개부(161)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2날개부(162)가 상기 제1날개부(161)에 부착되기 위해서는 상기 제1날개부(161)가 먼저 접혀야 하고, 상기 제2날개부(162)가 나중에 접혀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경사부(242)와 상기 제2경사부(243)의 하향 경사는 서로 다른 각도로 형성될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경사부(242)의 하향 각도가 상기 제2경사부(243)의 하향 각도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경사부(242)의 하향 각도가 상기 제2경사부(243)의 하향 각도 보다 작기 때문에, 상기 포장재(100) 전개도는 상기 제1경사부(242)에 먼저 받쳐지면서 상기 제1날개부(161)가 먼저 접혀지게 되고, 이후, 상기 포장재(100) 전개도가 상기 제2경사부(243)에 의해 받쳐지면서 상기 제2날개부(162)가 접혀지게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경사부(242)와 상기 제2경사부(243)의 하향 각도는 지면과 수평한 면과 형성하는 각도이다.)
또한, 상기 제1경사부(242)와 상기 제2경사부(243)는 서로 다른 높이에 구비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경사부(242)가 상기 제2경사부(243) 보다 상부에 구비되면, 상기 포장재(100) 전개도는 상기 제1경사부(242)에 먼저 받쳐지면서 상기 제1날개부(161)가 먼저 접혀지게 되고, 이후, 상기 포장재(100) 전개도가 상기 제2경사부(243)에 의해 받쳐지면서 상기 제2날개부(162)가 접혀지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경사부(242)와 상기 제2경사부(243)의 각도를 조절하거나 상기 제1경사부(242)와 상기 제2경사부(243)가 배치되는 높이를 조절함에 따라 상기 포장재(100) 전개도가 접히는 순서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경사부(242)와 상기 제2경사부(243)의 높이와 각도는 상술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포장재(100) 전개도가 접히는 순서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포장재 이동부(250)에서 상기 결합부(240)로 상기 포장재(100) 전개도를 이동시킴에 따라 계란과 상기 포장재(100)를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포장재 이동부(250)에는 상기 결합부(240)로 상기 포장재(100) 전개도를 이동시키기 전에, 상기 포장재(100) 전개도를 역방향으로 접을 수 있는 승강부(252)와 접힘 커버(25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252)는 상기 제1포장재 이동부(250)에 배치된 상기 포장재(100) 전개도를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접힘 커버(253)는 상기 승강부(252)를 통해 상부로 이동된 상기 포장재(100) 전개도가 접촉되는 것이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상기 접힘 커버(253)에는 하향 경사로 연장되는 제3경사부(25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힘 커버(253)는 내부에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홈을 중심으로 외부로 펼쳐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3경사부(25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승강부(252)는 상기 포장재(100) 전개도가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승강부(252)는 상기 접힘 커버(253)의 홈에 끼워 맞을 수 있도록 상기 접힘 커버(253) 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상기 승강부(252)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다리꼴 형상 상부에 상기 포장재(100) 전개도가 배치되면서 상기 승강부(252)가 상승된다.
상기 승강부(252)가 상승하여 상기 접힘 커버(253)의 홈에 접촉됨에 따라 상기 포장재(100) 전개도는 역방향으로 접혀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정방향이라 함은 상기 포장재(100) 전개도가 상기 포장재(100)로 조립되기 위해 접혀지는 방향이며, 역방향은 그 반대 방향이다.
상기 결합부(240)에서는 상기 가압판(261)이 하강하는 힘에 의해 상기 포장재(100) 전개도가 정방향 접히게 되는데 반해, 상기 승강부(252)에서는 상기 승강부(252)의 상승하는 힘에 의해 상기 포장재(100) 전개도가 역방향으로 접히게된다.
상기 승강부(252)와 상기 접힘 커버(253)는 상기 포장재(100) 전개도가 상기 결합부(240)로 이동되기 전에 상기 포장재(100) 전개도를 역방향으로 접을 수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상기 포장재(100) 전개도가 접히는 경계선이 미리 접혀질 수 있게 되면서 상기 결합부(240)에서 상기 포장재(100) 전개도를 용이하게 접을 수 있게 된다.
상기 결합부(240)의 하부에는 상기 제2포장재 이동부(27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부(240)에서 조립된 상기 포장재(100)는 상기 이송 공간(241)을 통과하여 상기 제2포장재 이동부(270)에 안착된다.
상기 결합부(240)에서 조립된 상기 포장재(100)는 도 11과 같이 상기 격벽(120)이 세워지되, 상기 상면(111)이 열려있는 상태로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제2포장재 이동부(270)에는 상기 상면(111)이 열려있는 상기 포장재(100)가 하나씩 안착될 수 있는 고정 격벽(27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포장재(100)는 한 쌍의 상기 고정 격벽(271) 사이에 배치되면서, 상기 제2포장재 이동부(270)를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2포장재 이동부(270)에는 상기 상면(111)을 가압하여 상기 상면(111)과 상기 상면 접촉부(131)를 부착할 수 있는 덮개부(27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포장재 이동부(270)에는 상기 상면(111)에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는 접착제 도포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접착제 도포부를 통해 상기 상면(111)에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다. 상기 상면(111)에 접착제가 도포되면, 상기 덮개부(272)로 상기 상면(111)을 가압하여 상기 상면(111)과 상기 상면 접촉부(131)를 부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덮개부(272)로 상기 상면(111)을 가압하여 상기 상면 접촉부(131)에 상기 상면(111)을 부착할 경우, 상기 격벽(120)이 제대로 지지되지 않음에 따라 상기 상면 접촉부(131) 면 전체에 상기 상면(111)이 부착되지 않을 위험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덮개부(272)는 상기 상면(111)을 가압하는 제1부착부(273)와 상기 격벽(120)과 상기 제1측면(113)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 공간에 삽입되면서 상기 이격 공간 내부에서 상기 상면 접촉부(131)를 가압할 수 있는 제2부착부(27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a)를 참조하면, 상기 제1부착부(273)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상면(111)의 상부에서 상기 상면(111)을 가압하는 것이다. 상기 제2부착부(274)는 상기 제1부착부(27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2부착부(274)는 상기 제1부착부(273)에 대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격벽(120)과 상기 제1측면(113)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도 13(b)를 참조하면, 상기 제1부착부(273)가 상기 상면(111)을 가압하면, 상기 제2부착부(274)는 상기 제1부착부(273)에 대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격벽(120)과 상기 제1측면(113)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 공간에 삽입된다. 상기 격벽(120)과 상기 제1측면(113)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 공간에 삽입된 상기 제2부착부(274)는 상기 이격 공간 내부에서 상기 상면 접촉부(131)를 상부로 가압하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상면(111)과 상기 상면 접촉부(131)를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포장재 이동부(270)의 상기 덮개부(272)를 통해 상기 상면(111)과 상기 상면 접촉부(131)를 부착하게 되면 계란과 상기 포장재(100)의 조립이 완료되어 도 1과 같이 상기 포장재(100) 내부에 계란이 배치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란 포장재를 사용하는 계란 포장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란 포장재를 사용하는 계란 포장장치는, 계란 포장재 내부에 계란이 안착할 수 있는 안착공이 구비된 격벽을 형성하여 계란을 포장함에 따라 계란이 깨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계란을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란 포장재를 사용하는 계란 포장장치는 본체부의 격벽에 구비된 자국부를 통해 격벽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계란 포장재를 제작할 때 형성되는 경계선에 칼집과 연결부를 형성함에 따라 계란 포장재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란 포장재를 사용하는 계란 포장장치는 회전 이송부를 통해 복수 개의 계란의 배치 방향을 종방향에서 횡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방향 전환판을 통해 계란의 하부를 가압함에 따라 세로로 세워진 계란을 가로로 눕힐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란 포장재를 사용하는 계란 포장장치는 결합부의 제1경사부 및 제2경사부의 경사 및 높이를 다르게 형성함에 따라 포장재 전개도를 목표로 하는 순서로 접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란 포장재를 사용하는 계란 포장장치는 제1부착부를 통해 상면을 가압하고, 격벽과 제1측면이 형성된 이격 공간에 삽입되어 이격 공간 내부에서 상면 접촉부를 가압할 수 있는 제2부착부를 통해 격벽에 형성된 상면 접촉부와 포장재의 상면을 견고하게 접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본체부 111...상면
112...하면 113...제1측면
114...제2측면 120...격벽
121...안착공 122...자국부
131...상면 접촉부 132...하면 접촉부
133...측면 접촉부 141...상부 경계선
142...하부 경계선 143...제1경계선
144...제2경계선 145...제3경계선
146...제4경계선 151...칼집
152...연결부 161...제1날개부
162...제2날개부 171...통공
172...절취선 210...제1이동부
220...제2이동부 221...방향 전환판
222...접촉홈 223...고정바
224...계란 고정부 230...회전 이송부
231...정렬기 240...결합부
241...이송 공간 242...제1경사부
243...제2경사부 244...포장재 고정부
250...제1포장재 이동부 251...이동 벨트
252...승강부 253...접힘 커버
254...제3경사부 260...이송부
261...가압판 270...제2포장재 이동부
271...고정 격벽 272...덮개부
273...제1부착부 274...제2부착부

Claims (14)

  1. 계란을 포장하는 포장장치에 있어서,
    계란을 이동시키며, 계란 이동방향과 수직한 종방향으로 복수 개의 계란이 배치되는 제1이동부;
    계란을 이동시키며, 계란 이동 방향과 나란한 횡방향으로 복수 개의 계란이 배치되는 제2이동부;
    상기 제1이동부에서 상기 제2이동부로 계란을 이송하는 회전 이송부;
    계란과 포장재가 조립되는 결합부;
    상기 포장재를 상기 결합부로 이동시키는 제1포장재 이동부;
    상기 제2이동부의 계란을 상기 결합부로 이송할 수 있는 이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이동부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방향 전환판을 포함하며,
    상기 방향 전환판은, 상기 제2이동부로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상기 제2이동부로 이송된 계란을 밀어 세로 방향으로 세워진 계란을 가로 방향으로 눕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포장재를 사용하는 계란 포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이송부에는, 하나의 계란을 이송할 수 있는 정렬기가 복수 개 구비되며, 복수 개의 상기 정렬기는,
    상기 제1이동부 상부에서는 종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며, 복수 개의 상기 정렬기는 상기 회전 이송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이동부 상부에서는 횡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포장재를 사용하는 계란 포장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전환판의 일측에는 반원형의 접촉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포장재를 사용하는 계란 포장장치.
  5. 계란을 포장하는 포장장치에 있어서,
    계란을 이동시키며, 계란 이동방향과 수직한 종방향으로 복수 개의 계란이 배치되는 제1이동부;
    계란을 이동시키며, 계란 이동 방향과 나란한 횡방향으로 복수 개의 계란이 배치되는 제2이동부;
    상기 제1이동부에서 상기 제2이동부로 계란을 이송하는 회전 이송부;
    계란과 포장재가 조립되는 결합부;
    상기 포장재를 상기 결합부로 이동시키는 제1포장재 이동부;
    상기 제2이동부의 계란을 상기 결합부로 이송할 수 있는 이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는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가압판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는, 상기 결합부로 상기 계란을 이송하면서 상기 가압판으로 상기 포장재를 가압하여 상기 포장재와 상기 계란을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포장재를 사용하는 계란 포장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재는,
    계란이 배치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이 구비되며, 상면, 하면, 제1측면을 포함하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의 제1측면과 이격되면서 직육면체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원형 형상의 안착공이 구비된 격벽과,
    상기 격벽의 상부와 상기 제1측면의 상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 상면의 하부와 접촉되는 상면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포장재를 사용하는 계란 포장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포장재 이동부는, 상기 포장재의 전개도를 상기 결합부로 이동시키며,
    상기 가압판은, 상기 결합부로 이동된 상기 포장재의 전개도 상부로 계란을 이송하면서 상기 포장재의 전개도를 가압하여 상기 포장재를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포장재를 사용하는 계란 포장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포장재 이동부에는,
    상기 제1포장재 이동부에 배치된 상기 전개도를 상부로 이동시키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를 통해 상부로 이동된 상기 전개도가 접촉되는 접힘 커버가 구비되며,
    상기 접힘 커버에는 하향 경사로 연장되는 제3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포장재를 사용하는 계란 포장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에는, 상기 본체부의 높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자국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포장재를 사용하는 계란 포장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포장재가 이송될 수 있는 이송 공간과,
    상기 이송 공간의 둘레에 구비되고, 하향 경사로 연장되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1경사부와,
    상기 이송 공간의 둘레에 구비되고, 하향 경사로 연장되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2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포장재를 사용하는 계란 포장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부와 상기 제2경사부의 하향 경사는 서로 다른 각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포장재를 사용하는 계란 포장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부와 상기 제2경사부는 서로 다른 높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포장재를 사용하는 계란 포장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서 조립된 상기 포장재는, 상기 격벽이 세워지되 상기 상면이 열려있는 상태로 조립되며,
    상기 결합부의 하부에는, 상기 상면이 열려있는 상기 포장재를 이동시키는 제2포장재 이동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2포장재 이동부에는, 상기 상면을 가압하여 상기 상면과 상기 상면 접촉부를 부착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포장재를 사용하는 계란 포장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상면을 가압하는 제1부착부와, 상기 격벽과 상기 제1측면이 형성하는 이격 공간에 삽입되면서 상기 이격 공간 내부에서 상기 상면 접촉부를 가압하는 제2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포장재를 사용하는 계란 포장장치.
KR1020200084954A 2020-07-09 2020-07-09 계란 포장재를 사용하는 계란 포장장치 KR102405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954A KR102405327B1 (ko) 2020-07-09 2020-07-09 계란 포장재를 사용하는 계란 포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954A KR102405327B1 (ko) 2020-07-09 2020-07-09 계란 포장재를 사용하는 계란 포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7780A KR20220007780A (ko) 2022-01-19
KR102405327B1 true KR102405327B1 (ko) 2022-06-08

Family

ID=80052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4954A KR102405327B1 (ko) 2020-07-09 2020-07-09 계란 포장재를 사용하는 계란 포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532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73120A (ja) * 2012-10-05 2014-04-24 Naberu:Kk 農畜産物の搬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8004B1 (ko) * 2018-03-21 2020-04-07 가부시키가이샤 나벨 계란을 일정 방향으로 세워서 계란판에 자동으로 담는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73120A (ja) * 2012-10-05 2014-04-24 Naberu:Kk 農畜産物の搬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7780A (ko) 2022-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20547A (ko) 브레이스 탭을 구비하는 물품 운반기
CA2215873A1 (en) Improvements in packages for a food tray
KR102405327B1 (ko) 계란 포장재를 사용하는 계란 포장장치
JP5344122B2 (ja) 包装体の梱包構造及び梱包方法
US20080290147A1 (en) Device Made From Foldable Planar Material For Forming Compartments For Receiving Containers, Template For Forming The Device And Packaging Formed By The Device
EP0307053B1 (en) Shipping and sales packing for piled waffle cornets
KR101729038B1 (ko) 음료용기 홀더 백
KR102425540B1 (ko) 계란 포장재
US2632593A (en) Multiple carton structure
US20200079563A1 (en) Separator element and pack of cups comprising a separator element
JP7130451B2 (ja) 蓋閉めハンド
CN209757903U (zh) 立式环保型电商平台蛋类包装盒
JP6035974B2 (ja) 包装箱
JP2003200967A (ja) 缶用包装体
JP6800812B2 (ja) 製函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箱詰め装置
JP4002342B2 (ja) 蛍光ランプの包装装置
JP2005289490A (ja) 段ボール製梱包箱装置
JP4420219B2 (ja) 電子部品の梱包箱及び電子部品の収納・取り出し装置
KR200471972Y1 (ko) 케이크 지지장치
KR102511978B1 (ko) 개량형 계란판 구조
JP4383234B2 (ja) 段ボール包装箱
CN220199855U (zh) 缓冲包装盒
KR20130006300U (ko) 포장용 박스
JP3042618U (ja) 包装用箱
JP2008195437A (ja) ダンボールケーサ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