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4568B1 - 차량용 카페트 성형 자동화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카페트 성형 자동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4568B1
KR102404568B1 KR1020210027427A KR20210027427A KR102404568B1 KR 102404568 B1 KR102404568 B1 KR 102404568B1 KR 1020210027427 A KR1020210027427 A KR 1020210027427A KR 20210027427 A KR20210027427 A KR 20210027427A KR 102404568 B1 KR102404568 B1 KR 102404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reinforcing plate
disposed
lower mold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7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택수
하수환
우민제
권길연
Original Assignee
동진이공(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진이공(주) filed Critical 동진이공(주)
Priority to KR1020210027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45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4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4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02Position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aligning, indexing or centring
    • B29C65/7835Position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aligning, indexing or centring by using st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41Holding or clamping means for handl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5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feeding movement of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97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05Body finishings
    • B29L2031/3017Floor cove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55C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된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으로 구성된 원단 성형부, 원단 성형부의 측방에 배치되게 설치하며, 보강판을 하부금형 상에 배치되도록 보강판을 이동 공급되게 하는 보강판 공급부, 원단 성형부의 전방에 배치되게 설치하며, 원단 성형부의 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사이로 성형원단을 이동 공급되게 하는 원단 공급부, 원단 성형부의 전방 및 후방에 배치되게 설치하며, 원단 공급부로부터 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사이에 공급된 성형원단의 선단 및 후단을 클램핑 상태로 고정시켜 성형원단을 펼침상태로 유지시킨 후, 하부금형 상부에 안착 배치되게 하는 원단 펼침안착부, 원단 성형부의 후방에 배치되게 설치하며, 원단 성형부에서 성형완료된 성형 완성품을 원단 성형부에서 이동 배출되게 하는 성형 배출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카페트 성형 자동화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카페트 성형 자동화 장치{Automated molding device for vehicle carpe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플로어 카페트에 일체 접합되는 보강판을 일체 접합 전에 플로어 카페트의 정위치에 자동으로 공급되게 한 후 성형되고, 성형완료된 카페트를 배출 이동되게 하는 차량용 카페트 성형 자동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카페트는 자동차의 실내 바닥을 이루는 플로어패널 위에 장착되어 평탄성을 유지하면서 차체 플로어패널을 커버하는 부품이다. 대부분 차체 플로어패널은 평면 구조로 된 것이 아니라 여러 개의 복곡면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카페트 상면의 평탄성 및 소음을 줄이기 위해 카페트 저면에 펠트를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카페트용 펠트는 얇은 형태의 시트를 6~7겹씩 적층 서로 엮어준 후, 열로 섬유를 본딩하고, 롤러를 통해 일정 두께가 되도록 한 다음, 마지막으로 필요 크기로로 커팅함으로써, 최종 펠트 제품으로 완성된다. 이렇게 완성된 시트 상태의 펠트 제품을 소정의 크기로 커팅하여, 카페트 하부에 여러 층으로 접착하거나, 상하형으로 구성된 프레스에서 성형하여 카페트 하부에 접착함으로써, 최종 카페트로 완성된다.
그리고, 자동차용 카페트 상에는 보조매트를 설치하게 되는데, 카페트에는 보조매트를 고정하도록 후크를 카페트에 장착하며, 후크가 장착되는 카페트의 일측에는 보강판을 접합하여, 후크가 장착되는 지점의 카페트의 내구성을 향상은 물론, 후크를 카페트에 단단히 고정할 수 있는 지지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보강판은 카페트의 성형 가공시, 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사이에서 카페트 원단 중, 후크가 장착되는 지점의 카페트 원단 하부에 일체로 접합되는데, 이때 하부금형에 포함되는 지지블럭에 지지된 상태로 카페트 원단 하부에 일체로 접합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카페트의 성형시, 카페트 원단과 보강판을 성형 장치에 배치시키고 성형장치에 의해 카페트 형상으로 성형완료 후, 성형완료된 카페트를 다음 공정으로 이동시키는 공정이 작업자에 의해 일일이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면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됨과 더불어 정확한 위치에 보강판의 배치가 이루어지지 못함과 더불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내재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자동차용 내장재 성형장치에 대한 관련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0061085호(2004.07.07)에 제시된다.
본 발명은, 카페트 원단 및 보강판의 공급과 성형완료된 카페트의 배출 공정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작업시간을 단축시켜 생산성을 증대시킴과 더불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하는 차량용 카페트 성형 자동화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된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으로 구성된 원단 성형부, 상기 원단 성형부의 측방에 배치되게 설치하며, 보강판을 하부금형 상에 배치되도록 보강판을 이동 공급되게 하는 보강판 공급부, 상기 원단 성형부의 전방에 배치되게 설치하며, 원단 성형부의 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사이로 성형원단을 이동 공급되게 하는 원단 공급부, 상기 원단 성형부의 전방 및 후방에 배치되게 설치하며, 원단 공급부로부터 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사이에 공급된 성형원단의 선단 및 후단을 클램핑 상태로 고정시켜 성형원단을 펼침상태로 유지시킨 후, 하부금형 상부에 안착 배치되게 하는 원단 펼침안착부, 상기 원단 성형부의 후방에 배치되게 설치하며, 원단 성형부에서 성형완료된 성형 완성품을 원단 성형부에서 이동 배출되게 하는 성형 배출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카페트 성형 자동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보강판 공급부는, 상기 원단 성형부의 측방에 배치되게 설치하며, 상하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보강판 상하이동대와, 원단 성형부의 측방에서 원단 성형부의 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사이에 배치될 수 있게 좌우방향으로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보강판 상하이동대에 연결되는 보강판 투입이동대를 구비하는 보강판 공급프레임, 상기 보강판 상하이동대와 연결되도록 보강판 공급프레임에 설치하며, 보강판 상하이동대를 보강판 공급프레임 상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게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보강판 상하이동 구동수단, 상기 보강판 투입이동대와 연결되도록 보강판 상하이동대에 설치하며, 보강판 투입이동대를 보강판 상하이동대 상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되게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보강판 좌우이동 구동수단, 상기 보강판 공급프레임에 연결되게 설치하며, 복수의 보강판을 적층 수납한 상태로 보강판을 순차적으로 한개씩 배출 공급되게 하는 보강판 수납공급수단, 상기 보강판 투입이동대에 연결되게 설치하며, 보강판 수납공급수단에 배치된 보강판을 클램핑 및 클램핑 해제시켜 이탈이 이루어지게 하는 보강판 클램핑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판 수납공급수단은, 상측이 개방된 박스 형태를 가지며, 일측에는 복수의 보강판을 적층상태로 수납하도록 수납구가 형성되고, 내측에는 복수의 보강판을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게 지지하는 받침대를 연결 구비하는 보강판 수납통, 와이어와 가이드롤을 통해 상기 받침대와 연결되도록 보강판 수납통에 설치하며, 받침대가 상승되게 하는 상승 중력추, 상기 보강판 수납통의 상단에 받침대와 마주보게 배치되도록 결합 설치하며, 보강판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배출공이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보강판이 받침대에 안착상태에서 상승 중력추에 의해 상측으로 상승시 배출공을 통해 하나씩 배출되게 하는 보강판 공급스토퍼판, 상기 보강판 공급스토퍼판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보강판 수납통의 상단 내측에 형성되어, 배출공을 통해 배출된 보강판을 보강판 수납통에서 이탈하지 않게 걸림상태로 배치되게 하는 걸림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판 클램핑수단은, 상기 보강판 투입이동대에 결합 설치하는 클램핑 지지대, 상기 클램핑 지지대의 일측에 연결 설치하며, 보강판 수납공급수단의 상측에 배치된 보강판을 클램핑하는 보강판 클램핑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단 공급부는, 상기 원단 성형부의 전방에 배치되게 설치하며, 상측에는 성형원단을 안착지지한 상태로 원단 성형부 외측에서 원단 성형부의 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사이에 배치될 수 있도록 전후방향으로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된 원단 투입이동대를 연결 구비하는 원단 공급프레임, 상기 원단 투입이동대와 연결되도록 원단 공급프레임에 설치하며, 원단 투입이동대를 원단 공급프레임 상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되게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원단 공급 구동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단 펼침안착부는, 상기 원단 공급부에 의해 원단 성형부의 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사이에 공급된 성형원단의 후단을 클램핑 상태로 고정한 후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후단 고정수단, 상기 원단 공급부에 의해 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사이에 공급된 성형원단의 선단을 클램핑 상태로 고정한 후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선단 고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단 고정수단은, 상기 원단 성형부의 후방에 배치되게 설치하며, 상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된 원단 후단하강대를 구비하는 후단 고정프레임, 상기 원단 후단하강대와 연결되도록 후단 고정프레임에 설치하며, 원단 후단하강대를 후단 고정프레임 상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게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후단 하강수단, 상기 원단 후단하강대에 연결 설치하며, 원단 공급부에 의해 원단 성형부의 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사이에 공급된 성형원단의 후단을 클램핑하는 후단 클램핑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단 고정수단은, 상기 원단 성형부의 전방에 배치되게 설치하며, 상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된 원단 선단하강대를 구비하는 선단 고정프레임, 상기 원단 선단하강대와 연결되도록 선단 고정프레임에 설치하며, 원단 선단하강대를 선단 고정프레임 상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게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선단 하강수단, 상기 원단 선단하강대에 연결 설치하며, 원단 공급부에 의해 원단 성형부의 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사이에 공급된 성형원단의 선단을 클램핑하는 선단 클램핑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단 성형부의 상부금형 측면부에 연결 설치하며, 성형 완료된 성형 완성품을 클램핑하는 성형품 클램핑 실린더를 연결 구비하며, 상기 성형 배출부는, 상기 원단 성형부의 후방에 배치되게 설치하며, 상측에는 성형품 클램핑 실린더의 클램핑이 해제되면서 하방으로 낙하되는 성형 완성품을 안착지지하도록 원단 성형부의 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사이에 배치될 수 있게 전후방향으로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된 완성품 배출이동대를 연결 구비하는 완성품 배출프레임, 상기 완성품 배출이동대와 연결되도록 완성품 배출프레임에 설치하며, 완성품 배출이동대를 완성품 배출프레임 상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되게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완성품 배출 구동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카페트 성형 자동화 장치는, 보강판 공급부와 원단 공급부에서 각각 보강판과 성형원단을 원단 성형부의 하부금형 상에 공급되게 하고, 원단 펼침안착부는 원단 성형부에 의한 성형원단과 보강판의 부착 성형 전 및 성형완료될 때까지 성형원단을 클램핑상태로 고정유지되게 한다. 그리고, 원단 성형부가 성형원단과 보강판의 부착 성형을 완료하여 성형완성품이 완성되면, 성형 배출부는 원단 성형부의 하부금형과 상부금형 사이에 이동하여 성형완성품을 전달받은 후, 원단 성형부의 외측으로 이동 배출되게 하면서 성형작업이 완료되게 되는 하는 바, 성형 공정을 자동화함으로써 작업시간이 단축되면서 생산성을 증대시킴과 더불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페트 성형 자동화 장치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페트 성형 자동화 장치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차량용 카페트 성형 자동화 장치는, 원단 성형부(100), 보강판 공급부(200), 원단 공급부(300), 원단 펼침안착부(400), 성형 배출부(50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원단 성형부(100)는 이후 설명될 보강판 공급부(200)에 의해 보강판(도면미도시)을 공급받고, 원단 공급부(300) 및 원단 펼침안착부(400)를 통해 성형원단(도면미도시)을 공급받은 후, 성형원단과 보강판을 상호 마주보도록 밀착 배치된 상태로 압착 성형되게 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원단 성형부(100)는 하부금형(110), 상부금형(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보강판에는 보강판 클램핑수단(250)의 클램핑암(252a)을 삽입상태로 클램핑되게 할 수 있도록 걸림홈(도면미도시)이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금형(110)은 상부에 성형원단과 보강판을 안착 지지하는 금형으로, 상부금형(120)과 맞닿으면서 성형원단과 보강판을 부착상태로 압착 성형되게 한다. 여기서, 하부금형(120)의 내부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냉각유체를 순환 이동되게 하는 냉각유로(도면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금형(110)의 상면에는 성형원단과 보강판을 성형하고자 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게 하는 면부가 마련된다. 즉, 하부금형(110)의 상면은 최종적으로 성형완료된 성형완성품의 상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상부금형(120)은 하부금형(110)의 상방에 마주보도록 배치된 상태로, 하부금형(110)의 상면과 맞닿으면서 하부금형(110)과의 사이, 보다 상세하게는 하부금형(110)의 상면에 안착 배치된 성형원단과 보강판을 압착 성형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금형(120)의 저면에는 성형원단과 보강판을 성형하고자 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게 하는 면부가 마련된다. 즉, 상부금형(120)의 저면 형상은 하부금형(110)의 상면에 형합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부금형(120)의 하방 이동을 통해 하부금형(110)과 맞닿도록 배치시, 하부금형(110)에 안착 배치된 성형원단 및 보강판의 성형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부금형(120)의 내부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냉각유체를 순환 이동되게 하는 냉각유로(도면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금형(120)의 하단 외측면 둘레로는 복수개의 성형품 클램핑 실린더(121)를 결합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성형품 클램핑 실린더(121)는 상부금형(120)과 하부금형(110)으로 성형작업이 완료된 후 상부금형(120)을 상승시, 성형완성품을 클램핑하여 상부금형(120)에 연결상태로 상승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이같이, 성형품 클램핑 실린더(121)는 성형완성품을 클램핑상태로 상부금형(120)의 상승시 대응되게 상승 이동되게 할 수 있는 바, 이후 설명될 성형 배출부(500)가 하부금형(110)과 상부금형(120) 사이에 배치되게 할 때, 성형완성품의 클램핑상태를 해제시켜 낙하시 성형 배출부(500)의 완성품 배출이동대(511)로의 안착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상기 보강판 공급부(200)는 성형원단에 부착 결합될 보강판을 원단 성형부(100)에 공급되게 하는 부분이다. 즉, 보강판 공급부(200)는 원단 성형부(100)에 의한 성형작업시 성형원단에 부착된 보강판을 하부금형(110) 상에 안착 배치되도록 이동 공급되게 한다. 여기서, 보강판 공급부(200)는 원단 성형부(100)의 측방, 즉 원단 성형부(100)의 좌측방 또는 우측방에 적어도 하나를 배치되게 설치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보강판 공급부(200)는 보강판 공급프레임(210), 보강판 상하이동 구동수단(220), 보강판 좌우이동 구동수단(230), 보강판 수납공급수단(240), 보강판 클램핑수단(250)을 포함한다.
상기 보강판 공급프레임(210)은 보강판을 원단 성형부(100)로 공급되게 하는 보강판 공급부(200)의 메인바디 부분으로, 보강판 상하이동 구동수단(220)과, 보강판 좌우이동 구동수단(230)과, 보강판 수납공급수단(240) 및, 보강판 클램핑수단(250)을 연결상태로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보강판 공급프레임(210)은 복수의 가로단위부재 및 세로단위부재를 연결 결합한 육면체 구조물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원단 성형부(100)의 측방에 배치되게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보강판 공급프레임(210)의 상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보강판 상하이동대(211)을 연결 구비하며, 보강판 상하이동대(211) 상측에는 원단 성형부(100)를 기준으로 좌우방향으로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보강판 투입이동대(212)를 연결 구비한다. 여기서, 보강판 공급프레임(210)에는 보강판 상하이동대(211)을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게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부(도면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고, 보강판 상하이동대(211)에는 원단 성형부(100)를 기준으로 보강판 투입이동대(212)를 좌우방향으로 왕복 이동되게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부(도면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강판 상하이동대(211)는 보강판 공급프레임(210) 상에서 상하방향으로 위치를 변경가능하게 하면서 보강판 클램핑수단(250)이 보강판 수납공급수단(240)에서 보강판을 클램핑할 때 상하방향으로의 위치 변경 및, 원단 성형부(100)의 하부금형(110) 상으로 보강판을 공급할 때 상하방향으로의 위치 변경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보강판 투입이동대(212)는 원단 성형부(100)의 측방에서 원단 성형부(100)의 상부금형(120)과 하부금형(110) 사이에 이동 배치될 수 있게 하면서 보강판 수납공급수단(240)에 위치하는 보강판을 원단 성형부(100)의 하부금형(110) 상으로 위치 변경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보강판 상하이동 구동수단(220)은 보강판 상하이동대(211)를 보강판 공급프레임(210) 상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게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수단이다. 이러한, 보강판 상하이동 구동수단(220)은 보강판 상하이동대(211)의 일측과 연결되도록 보강판 공급프레임(210)에 설치한다. 여기서, 보강판 상하이동 구동수단(220)은 실린더를 적용하여, 보강판 공급프레임(210)에 바디 부분을 고정되게 결합 설치한 상태로 피스톤 로드의 단부가 보강판 상하이동대(211)에 연결되어, 작동에 따른 피스톤 로드의 이동을 통해 상하방향으로 보강판 상하이동대(311)를 이동되게 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렉과 피니언기어 및 모터를 통한 상하방향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보강판 좌우이동 구동수단(230)은 보강판 투입이동대(212)를 보강판 상하이동대(211) 상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되게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수단이다. 이러한, 보강판 좌우이동 구동수단(230)은 보강판 투입이동대(212)의 일측과 연결되도록 보강판 상하이동대(211)에 설치한다. 여기서, 보강판 좌우이동 구동수단(230)은 실린더를 적용하여, 보강판 상하이동대(211)에 바디 부분을 고정되게 결합 설치한 상태로 피스톤 로드의 단부가 보강판 투입이동대(212)에 연결되어, 작동에 따른 피스톤 로드의 이동을 통해 보강판 투입이동대(212)를 좌우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렉과 피니언기어 및 모터를 통한 좌우방향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보강판 수납공급수단(240)은 원단 성형부(100)로 공급된 보강판을 수납한 상태로 보강판 클램핑수단(250)에서 보강판을 하나씩 클램핑할 수 있게 공급되게 하는 수단이다. 즉, 보강판 수납공급수단(240)은 복수의 보강판을 적층 수납한 상태에서 보강판을 순차적으로 한개씩 공급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보강판 수납공급수단(240)은 보강판 공급프레임(210)의 일측에 연결되게 설치한다. 여기서, 보강판 수납공급수단(240)은 보강판 수납통(241), 상승 중력추(242), 보강판 공급스토퍼판(243)을 포함한다.
상기 보강판 수납통(241)은 복수의 보강판을 적층상태로 수납하도록 박스 형태를 가지는 부분이다. 이러한, 보강판 수납통(241)은 보강판을 배출되게 할 수 있도록 상측을 개방시킨 구조를 가지며, 보강판 수납통(241)의 일측에는 복수의 보강판을 적층상태로 내부에 수납할 수 있도록 수납구(도면미도시)가 내외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판 수납통(241)의 내측에는 순차적으로 적층된 복수의 보강판을 보강판 수납통(241)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게 지지하는 받침대(241a)를 연결 구비한다. 이러한, 받침대(241a)는 보강판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보강판 수납통(241)의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게 연결 설치한다. 그리고, 받침대(241a)의 일측에는 작업자에 의한 파지를 통해 받침대(241a)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손잡이(241b)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상승 중력추(242)는 받침대(241a)를 보강판 수납통(241) 내측에서 상승하도록 당김힘을 발생되게 하는 부재이다. 즉, 상승 중력추(242)는 받침대(241a) 상에 적층 배치되는 복수의 보강판을 상측으로 이동되게 하는 이동힘을 발생되게 한다. 이러한, 상승 중력추(242)는 와이어(242a)와 가이드롤(242b)을 통해 받침대(241a)와 연결되게 설치한다. 이때, 가이드롤(242b)은 보강판 수납통(241a)의 상단에 연결 설치하고, 와이어(242a)는 가이드롤(242b)에 의해 가이드되게 연결 배치된 상태로 와이어(242a)의 길이방향 양단을 각각 받침대(241a) 및 상승 중력추(242)에 연결하는 바, 상승 중력추(242)의 중량을 통해 받침대(241a)가 상승할 수 있는 당김힘을 전달되게 한다.
상기 보강판 공급스토퍼판(243)은 보강판을 받침대(241a)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승 중력추(242)에 의해 당김되면서 상측으로 상승시 보강판을 하나씩 배출 이동되게 하는 판 부분이다. 이러한, 보강판 공급스토퍼판(243)은 보강판 수납통(241)의 상단에 받침대(241a)와 마주보게 배치되도록 결합 설치한다. 여기서, 보강판 공급스토퍼판(243)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배출공(243a)가 형성되어, 보강판이 받침대(241a)에서 상측으로 당김 상승시 배출공(243a)을 통해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배출공(243a)은 보강판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배출공(243a)을 통해 배출되는 보강판을 하나씩 걸림상태로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상기 걸림돌기부(244)는 보강판 공급스토퍼판(243)의 배출공(243a)을 통해 배출된 보강판을 보강판 수납통(241)의 상측에서 외부로 이탈하지 않게 걸림상태로 유지되게 한다. 이러한, 걸림돌기부(244)는 보강판 공급스토퍼판(243)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보강판 수납통(241a)의 상단 내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판 클램핑수단(250)은 보강판 수납공급수단(240)의 최상측에 배치된 보강판을 클램핑 및 원단 성형부(100)의 하부금형(110) 상측에서 클램핑 해제시켜 이탈되게 하면서 하부금형(110) 상에 안착 배치할 수 있게 하는 수단이다. 이러한, 보강판 클램핑수단(250)은 보강판 투입이동대(212)에 연결되게 설치한다. 여기서, 보강판 클램핑수단(250)은 클램핑 지지대(251), 보강판 클램핑실린더(252)를 포함한다.
상기 클램핑 지지대(251)는 보강판 클램핑실린더(252)를 보강판 투입이동대(212)에 연결상태로 지지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클램핑 지지대(251)는 보강판 클램핑실린더(252)의 동작시, 보강 투입이동대(212)와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보강판 클램핑실린더(252)를 보강판 투입이동대(212)에 연결상태로 배치되게 할 수 있게 'ㄱ'자 단면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 보강판 클램핑실린더(252)은 보강판 수납공간수단(240)의 보강판 수납통(241) 최상단에 배치된 보강판을 클램핑하는 실린더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보강판 클램핑실린더(252)은 보강판 수납통(241)에 수납된 보강판을 클램핑한 후, 원단 성형부(100)의 하부금형(110)과 상부금형(120) 사이에 이동 배치시에는 보강판의 클램핑상태를 해제시켜 보강판을 원단 성형부(100)의 하부금형(110) 상으로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보강판 클램핑실린더(252)의 피스톤 로드 단부에는 피스톤 로드의 이동에 따라 보강판의 클램핑 및 클램핑 해제시킬 수 있는 클램핑암(252a)을 구비한다. 여기서, 클램핑암(252a)은 보강판의 걸림홈에 삽입된 상태로 피스톤 로드의 이동에 따라 보강판의 걸림 또는 걸림해제가 이루어지게 하면서 보강판의 클램핑 및 클램핑 해제가 가능하게 한다.
상기 원단 공급부(300)는 원단 성형부(100)의 하부금형(110)과 상부금형(120) 사이로 성형원단을 이동 공급되게 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원단 공급부(300)는 원단 성형부(300)의 외측 전방에 배치되게 설치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원단 공급부(300)는 원단 공급프레임(310), 원단 공급구동수단(320)을 포함한다.
상기 원단 공급프레임(310)은 성형원단을 원단 성형부(100)로 공급되게 하는 원단 공급부(300)의 메인바디 부분으로, 원단 공급구동수단(320)을 연결상태로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원단 공급프레임(310)은 복수의 가로단위부재 및 세로단위부재를 연결 결합한 육면체 구조물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원단 성형부(100)의 외측 전방에 배치되게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원단 공급프레임(310)의 상측에는 원단 성형부(100)를 기준으로 전후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판 형태의 원단 투입이동대(311)를 연결 구비한다. 여기서, 원단 공급프레임(310)에는 원단 투입이동대(311)를 전후방향으로 이동되게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같은, 원단 투입이동대(311)는 성형원단을 안착상태로 지지하면서 원단 공급구동수단(320)의 구동력을 통해 원단 성형부(100) 방향으로 이동하여, 성형원단이 하부금형(110)과 상부금형(120) 사이로 배치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원단 투입이동대(311)는 텔레스코픽 타입 구조로 형성되어, 원단 성형부(100)의 외측 전방에 위치한 상태에서도 하부금형(110)과 상부금형(120) 사이로의 삽입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상기 원단 공급구동수단(320)은 원단 투입이동대(311)를 원단 공급프레임(310) 상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되게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수단이다. 이러한, 원단 공급구동수단(320)은 원단 투입이동대(311)의 일측과 연결되도록 원단 공급프레임(310)에 설치한다. 여기서, 원단 공급구동수단(320)은 실린더를 적용하여, 원단 공급프레임(310)에 바디 부분을 고정되게 결합 설치한 상태로 피스톤 로드의 단부가 원단 투입이동대(311)에 연결되어, 작동에 따른 피스톤 로드의 이동을 통해 원단 투입이동대(311)를 전후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렉과 피니언기어 및 모터를 통한 전후방향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원단 공급프레임(310)에는 원단 투입이동대(311)의 상측에 안착 배치된 성형원단을 예열상태로 원단 성형부(100)로 공급되게 할 수 있도록 성형원단을 가열하는 예열수단(도면미도시)을 연결 구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예열수단은 원단 공급프레임(31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원단 공급프레임(310)에 별도의 지지프레임(도면미도시)을 통해 연결상태로 거치되게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예열수단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통해 발열되는 히팅코일이 마련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예열수단은 원단 공급프레임(310)의 상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며, 성형원단을 가열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원단 펼침안착부(400)는 원단 공급부(300)의 원단 투입이동대(311)에 안착 배치된 성형원단을 원단 공급구동수단(320)의 작동으로 원단 성형부(100)의 하부금형(110)과 상부금형(120) 사이로 이동 공급시, 공급된 성형원단의 선단 및 후단을 클램핑 상태로 고정시켜 성형원단을 펼침 유지되게 한 후, 하부금형(110) 상부에 안착 배치되게 한다. 이같이, 원단 펼침안착부(400)는 성형원단을 펼침상태로 하부금형(110) 상부에 성형원단을 배치상태로 유지시켜, 하부금형(110)과 상부금형(120)을 맞닿게 하면서 성형시 안정적인 성형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원단 펼침안착부(400)는 원단 성형부(100)의 후방 및 전방에 배치되게 설치하며, 후단 고정수단(410), 선단 고정수단(420)을 포함한다.
상기 후단 고정수단(410)은 원단 공급부(300)에 의해 원단 성형부(100)의 하부금형(110)과 상부금형(120) 사이에 공급 배치된 성형원단의 후단을 클램핑 상태로 고정한 후 하방으로 이동되게 하는 수단이다. 이러한, 후단 고정수단(410)은 후단 고정프레임(411), 후단 하강수단(412), 후단 클램핑실린더(413)를 포함한다.
상기 후단 고정프레임(411)은 성형원단의 후단 부분을 클램핑하는 후단 고정수단(410)의 메인바디 부분으로, 후단 하강수단(412)과, 후단 클램핑실린더(413)를 연결상태로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후단 고정프레임(411)은 복수의 가로단위부재 및 세로단위부재를 연결 결합한 육면체 구조물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원단 성형부(100)의 후방에 배치되게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후단 고정프레임(411)의 상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원단 후단하강대(411a)를 연결 구비한다. 이러한, 후단 고정프레임(411)에는 원단 후단하강대(411a)를 상하방향으로 왕복 이동되게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부(도면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원단 후단하강대(411a)는 후단 고정프레임(411) 상에서 상하방향으로 위치를 변경가능하게 하면서 후단 클램핑실린더(413)가 성형원단의 후단을 클램핑한 후, 하부금형(110)으로 성형원단을 안착 배치할 수 있도록 위치 변경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후단 하강수단(412)은 원단 후단하강대(411a)를 후단 고정프레임(411) 상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게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수단이다. 이러한, 후단 하강수단(412)은 원단 후단하강대(411a)의 일측과 연결되도록 후단 고정프레임(411)에 설치한다. 여기서, 후단 하강수단(412)은 실린더를 적용하여, 후단 고정프레임(411)에 바디 부분을 고정되게 결합 설치한 상태로 피스톤 로드의 단부가 원단 후단하강대(411a)에 연결되어, 작동에 따른 피스톤 로드의 이동을 통해 상하방향으로 원단 후단하강대(411a)를 이동되게 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렉과 피니언기어 및 모터를 통한 상하방향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후단 클램핑실린더(413)는 원단 공급부(300)에 의해 원단 성형부(100)의 하부금형(110)과 상부금형(120) 사이에 공급 배치된 성형원단의 후단을 클램핑하는 실린더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후단 클램핑실린더(413)는 원단 성형부(100)에 의한 성형작업 전 및 성형 중에 하부금형(110)과 상부금형(120) 사이에 공급 배치된 성형원단의 후단을 클램핑한 후, 성형완료 후에는 성형원단의 후단에 대한 클램핑상태를 해제시켜 성형완성품이 성형 배출부(500)를 통해 원단 성형부(100)의 외측 후방으로 배출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여기서, 후단 클램핑실린더(413)는 원단 후단하강대(411a)에 연결되게 설치한다. 이러한, 후단 클램핑실린더(413)의 피스톤 로드 단부에는 피스톤 로드의 이동에 따라 성형원단의 후단을 클램핑 및 클램핑 해제시킬 수 있는 클램핑암(413a)을 구비한다.
상기 선단 고정수단(420)은 원단 공급부(300)에 의해 원단 성형부(100)의 하부금형(110)과 상부금형(120) 사이에 공급 배치된 성형원단의 선단을 클램핑 상태로 고정한 후 하방으로 이동되게 하는 수단이다. 이러한, 선단 고정수단(420)은 선단 고정프레임(421), 선단 하강수단(422), 선단 클램핑실린더(423)를 포함한다.
상기 선단 고정프레임(421)은 성형원단의 선단 부분을 클램핑하는 선단 고정수단(420)의 메인바디 부분으로, 선단 하강수단(422)과, 선단 클램핑실린더(423)를 연결상태로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선단 고정프레임(421)은 복수의 가로단위부재 및 세로단위부재를 연결 결합한 육면체 구조물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원단 성형부(100)의 전방에 배치되게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선단 고정프레임(421)의 상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원단 선단하강대(421a)를 연결 구비한다. 이러한, 선단 고정프레임(421)에는 원단 선단하강대(421a)를 상하방향으로 왕복 이동되게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부(도면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원단 선단하강대(421a)는 선단 고정프레임(421) 상에서 상하방향으로 위치를 변경가능하게 하면서 선단 클램핑실린더(423)가 성형원단의 선단을 클램핑한 후, 하부금형(110)으로 성형원단을 안착 배치할 수 있도록 위치 변경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선단 하강수단(422)은 원단 선단하강대(421a)를 선단 고정프레임(421) 상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게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수단이다. 이러한, 선단 하강수단(422)은 원단 선단하강대(421a)의 일측과 연결되도록 선단 고정프레임(421)에 설치한다. 여기서, 선단 하강수단(422)은 실린더를 적용하여, 선단 고정프레임(421)에 바디 부분을 고정되게 결합 설치한 상태로 피스톤 로드의 단부가 원단 선단하강대(421a)에 연결되어, 작동에 따른 피스톤 로드의 이동을 통해 상하방향으로 원단 선단하강대(421a)를 이동되게 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렉과 피니언기어 및 모터를 통한 상하방향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선단 클램핑실린더(423)는 원단 공급부(300)에 의해 원단 성형부(100)의 하부금형(110)과 상부금형(120) 사이에 공급 배치된 성형원단의 선단을 클램핑하는 실린더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선단 클램핑실린더(423)는 원단 성형부(100)에 의한 성형작업 전 및 성형 중에 하부금형(110)과 상부금형(120) 사이에 공급 배치된 성형원단의 선단을 클램핑한 후, 성형완료 후에는 성형원단의 선단에 대한 클램핑상태를 해제시켜 성형완성품이 성형 배출부(500)를 통해 원단 성형부(100)의 외측 후방으로 배출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선단 클램핑실린더(423)는 원단 선단하강대(421a)에 연결되게 설치한다. 이러한, 선단 클램핑실린더(423)의 피스톤 로드 단부에는 피스톤 로드의 이동에 따라 성형원단의 후단을 클램핑 및 클램핑 해제시킬 수 있는 클램핑암(423a)을 구비한다.
상기 성형 배출부(500)는 원단 성형부(100)의 하부금형(110)과 상부금형(120)을 맞닿게 하면서 성형원단 및 보강재가 결합된 성형완성품을 원단 성형부(100)의 외측 전방으로 이동 배출되게 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성형 배출부(500)는 원단 성형부(100)의 외측 후방에 배치되게 설치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성형 배출부(500)는 완성품 배출프레임(510), 완성품 배출구동수단(520)을 포함한다.
상기 완성품 배출프레임(510)은 성형완성품을 원단 성형부(100)로부터 이동 배출되게 하는 성형 배출부(500)의 메인바디 부분으로, 완성품 배출구동수단(520)을 연결상태로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완성품 배출프레임(510)은 복수의 가로단위부재 및 세로단위부재를 연결 결합한 육면체 구조물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원단 성형부(100)의 외측 후방에 배치되게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완성품 배출프레임(510)의 상측에는 원단 성형부(100)를 기준으로 전후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판 형태의 완성품 배출이동대(511)를 연결 구비한다. 여기서, 완성품 배출프레임(510)에는 완성품 배출이동대(511)를 전후방향으로 이동되게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같은, 완성품 배출이동대(511)는 완성품 배출구동수단(520)의 구동력을 통해 원단 성형부(100)의 하부금형(110)과 상부금형(120) 사이로 이동하여 앞서 설명한 성형품 클램핑실린더(121)의 작동으로 이탈되는 성형완성품을 안착상태로 전달받은 후, 원단 성형부(100)의 외측 후방으로 이동하여, 성형완성품이 원단 성형부(100) 외측으로 배출이동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완성품 배출이동대(511)는 텔레스코픽 타입 구조로 형성되어, 원단 성형부(100)의 외측 후방에 위치한 상태에서도 하부금형(110)과 상부금형(120) 사이로의 삽입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상기 완성품 배출구동수단(520)은 완성품 배출이동대(511)를 완성품 배출프레임(510) 상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되게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수단이다. 이러한, 완성품 배출구동수단(520)은 완성품 배출이동대(511)의 일측과 연결되도록 완성품 배출프레임(510)에 설치한다. 여기서, 완성품 배출구동수단(520)은 실린더를 적용하여, 완성품 배출프레임(510)에 바디 부분을 고정되게 결합 설치한 상태로 피스톤 로드의 단부가 완성품 배출이동대(511)에 연결되어, 작동에 따른 피스톤 로드의 이동을 통해 완성품 배출이동대(511)를 전후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렉과 피니언기어 및 모터를 통한 전후방향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페트 성형 자동화 장치에 의한 카페트 성형작업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보강판 수납공급수단(240)의 보강판 수납통(241)에 성형원단을 공급 배치하고, 원단 공급부(300)의 원단 투입이동대(311) 상으로 성형원단을 공급 배치한다.
그러면, 상기 보강판 클램핑수단(250)의 보강판 좌우이동 구동수단(230) 및 보강판 상하이동 구동수단(220)을 통해 보강판 클램핑실린더(252)가 보강판 수납통(231)에 배치된 후, 보강판을 클램핑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보강판 클램핑실린더(252)가 보강판을 클램핑한 후, 다시 보강판 좌우이동 구동수단(230) 및 보강판 상하이동 구동수단(220)을 통해 보강판 클램핑실린더(252)가 원단 성형부(100)의 하부금형(110)과 상부금형(120) 사이에 이동 배치되면, 보강판 클램핑실린더(252)에서 보강판의 클램핑을 해제하면서 보강판은 하부금형(110) 상에 안착 배치된다. 그리고, 보강판 클램핑실린더(252)는 다시 보강판 좌우이동 구동수단(230) 및 보강판 상하이동 구동수단(220)을 통해 원단 성형부(100)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원단 성형부(100)의 측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상기 원단 공급부(300)의 원단 공급구동수단(320)에 의해 상측에 성형원단이 안착 배치된 원단 투입이동대(311)를 하부금형(110)과 상부금형(120) 사이로 이동 공급되게 한다. 그러면, 원단 펼침안착부(400)의 후단 고정수단(410)과 선단 고정수단(420)이 성형원단의 후단 및 선단 부분을 클램핑한 후, 하부금형(110) 상부에 안착되도록 이동시킨다. 그리고, 원단 투입이동대(311)는 원단 성형부(100) 외측에 배치되도록 다시 원단 공급구동수단(320)에 의해 원단 성형부(100)의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같이, 상기 하부금형(110) 상에 보강판과 성형원단을 배치되게 하면, 하부금형(110)과 맞닿도록 상부금형(120)이 하강하면서 보강판과 성형원단이 부착상태로 성형이 이루어지면서 성형완성품이 만들어진다. 그러면, 원단 펼침안착부(400)의 후단 고정수단(410)과 선단 고정수단(420)에 의한 성형원단의 후단 및 선단 부분 클램핑상태가 해제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원단 성형부(100)에 의해 성형 완료된 성형완성품은 성형품 클램핑실린더(121)에 의해 클램핑된 상태로 상부금형(120)의 상방 이동시 대응되게 이동 배치된다.
이후, 상기 성형 배출부(500)의 완성품 배출구동수단(520)에 의해 완성품 배출이동대(511)를 하부금형(110)과 상부금형(120) 사이로 이동되게 하면, 성형완성품에 대한 성형품 클램핑실린더(121)의 클램핑이 해제되면서 성형완성품은 완성품 배출이동대(511) 상으로 안착이 이루어진다. 그러면, 다시 완성품 배출이동대(511)는 완성품 배출구동수단(520)에 의해 원단 성형부(100) 외측에 배치되도록 원단 성형부(100)의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성형완성품의 배출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의 차량용 카페트 성형 자동화 장치는, 보강판 공급부(200)와 원단 공급부(300)에서 각각 보강판과 성형원단을 원단 성형부(100)의 하부금형(110) 상에 공급되게 하고, 원단 펼침안착부(400)는 원단 성형부(100)에 의한 성형원단과 보강판의 부착 성형 전 및 성형완료될 때까지 성형원단을 클램핑상태로 고정유지되게 한다. 그리고, 원단 성형부(100)가 성형원단과 보강판의 부착 성형을 완료하여 성형완성품이 완성되면, 성형 배출부(500)는 원단 성형부(100)의 하부금형(110)과 상부금형(120) 사이에 이동하여 성형완성품을 전달받은 후, 원단 성형부(100)의 외측으로 이동 배출되게 하면서 성형작업이 완료되게 되는 하는 바, 성형 공정을 자동화함으로써 작업시간이 단축되면서 생산성을 증대시킴과 더불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원단 성형부 110: 하부금형
120: 상부금형 121: 성형품 클램핑실린더
200: 보강판 공급부 210: 보강판 공급프레임
220: 보강판 상하이동 구동수단 230: 보강판 좌우이동 구동수단
240: 보강판 수납공급수단 250: 보강판 클램핑수단
300: 원단 공급부 310: 원단 공급프레임
320: 원단 공급구동수단 400: 원단 펼침안착부
410: 후단 고정수단 420: 선단 고정수단
500: 성형 배출부 510: 완성품 배출프레임
520: 완성품 배출 구동수단

Claims (9)

  1.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된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으로 구성된 원단 성형부;
    상기 원단 성형부의 측방에 배치되게 설치하며, 보강판을 하부금형 상에 배치되도록 보강판을 이동 공급되게 하는 보강판 공급부;
    상기 원단 성형부의 전방에 배치되게 설치하며, 원단 성형부의 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사이로 성형원단을 이동 공급되게 하는 원단 공급부;
    상기 원단 성형부의 전방 및 후방에 배치되게 설치하며, 원단 공급부로부터 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사이에 공급된 성형원단의 선단 및 후단을 클램핑 상태로 고정시켜 성형원단을 펼침상태로 유지시킨 후, 하부금형 상부에 안착 배치되게 하는 원단 펼침안착부;
    상기 원단 성형부의 후방에 배치되게 설치하며, 원단 성형부에서 성형완료된 성형 완성품을 원단 성형부에서 이동 배출되게 하는 성형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판 공급부는, 상기 원단 성형부의 측방에 배치되게 설치하며, 상하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보강판 상하이동대와, 원단 성형부의 측방에서 원단 성형부의 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사이에 배치될 수 있게 좌우방향으로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보강판 상하이동대에 연결되는 보강판 투입이동대를 구비하는 보강판 공급프레임, 상기 보강판 상하이동대와 연결되도록 보강판 공급프레임에 설치하며, 보강판 상하이동대를 보강판 공급프레임 상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게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보강판 상하이동 구동수단, 상기 보강판 투입이동대와 연결되도록 보강판 상하이동대에 설치하며, 보강판 투입이동대를 보강판 상하이동대 상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되게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보강판 좌우이동 구동수단, 상기 보강판 공급프레임에 연결되게 설치하며, 복수의 보강판을 적층 수납한 상태로 보강판을 순차적으로 한개씩 배출 공급되게 하는 보강판 수납공급수단, 상기 보강판 투입이동대에 연결되게 설치하며, 보강판 수납공급수단에 배치된 보강판을 클램핑 및 클램핑 해제시켜 이탈이 이루어지게 하는 보강판 클램핑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보강판 수납공급수단은, 상측이 개방된 박스 형태를 가지며, 일측에는 복수의 보강판을 적층상태로 수납하도록 수납구가 형성되고, 내측에는 복수의 보강판을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게 지지하는 받침대를 연결 구비하는 보강판 수납통, 와이어와 가이드롤을 통해 상기 받침대와 연결되도록 보강판 수납통에 설치하며, 받침대가 상승되게 하는 상승 중력추, 상기 보강판 수납통의 상단에 받침대와 마주보게 배치되도록 결합 설치하며, 보강판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배출공이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보강판이 받침대에 안착상태에서 상승 중력추에 의해 상측으로 상승시 배출공을 통해 하나씩 배출되게 하는 보강판 공급스토퍼판, 상기 보강판 공급스토퍼판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보강판 수납통의 상단 내측에 형성되어, 배출공을 통해 배출된 보강판을 보강판 수납통에서 이탈하지 않게 걸림상태로 배치되게 하는 걸림돌기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카페트 성형 자동화 장치.
  2.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된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으로 구성된 원단 성형부;
    상기 원단 성형부의 측방에 배치되게 설치하며, 보강판을 하부금형 상에 배치되도록 보강판을 이동 공급되게 하는 보강판 공급부;
    상기 원단 성형부의 전방에 배치되게 설치하며, 원단 성형부의 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사이로 성형원단을 이동 공급되게 하는 원단 공급부;
    상기 원단 성형부의 전방 및 후방에 배치되게 설치하며, 원단 공급부로부터 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사이에 공급된 성형원단의 선단 및 후단을 클램핑 상태로 고정시켜 성형원단을 펼침상태로 유지시킨 후, 하부금형 상부에 안착 배치되게 하는 원단 펼침안착부;
    상기 원단 성형부의 후방에 배치되게 설치하며, 원단 성형부에서 성형완료된 성형 완성품을 원단 성형부에서 이동 배출되게 하는 성형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단 펼침안착부는, 상기 원단 공급부에 의해 원단 성형부의 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사이에 공급된 성형원단의 후단을 클램핑 상태로 고정한 후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후단 고정수단, 상기 원단 공급부에 의해 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사이에 공급된 성형원단의 선단을 클램핑 상태로 고정한 후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선단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후단 고정수단은, 상기 원단 성형부의 후방에 배치되게 설치하며, 상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된 원단 후단하강대를 구비하는 후단 고정프레임, 상기 원단 후단하강대와 연결되도록 후단 고정프레임에 설치하며, 원단 후단하강대를 후단 고정프레임 상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게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후단 하강수단, 상기 원단 후단하강대에 연결 설치하며, 원단 공급부에 의해 원단 성형부의 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사이에 공급된 성형원단의 후단을 클램핑하는 후단 클램핑 실린더를 포함하는 차량용 카페트 성형 자동화 장치.
  3.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된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으로 구성된 원단 성형부;
    상기 원단 성형부의 측방에 배치되게 설치하며, 보강판을 하부금형 상에 배치되도록 보강판을 이동 공급되게 하는 보강판 공급부;
    상기 원단 성형부의 전방에 배치되게 설치하며, 원단 성형부의 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사이로 성형원단을 이동 공급되게 하는 원단 공급부;
    상기 원단 성형부의 전방 및 후방에 배치되게 설치하며, 원단 공급부로부터 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사이에 공급된 성형원단의 선단 및 후단을 클램핑 상태로 고정시켜 성형원단을 펼침상태로 유지시킨 후, 하부금형 상부에 안착 배치되게 하는 원단 펼침안착부;
    상기 원단 성형부의 후방에 배치되게 설치하며, 원단 성형부에서 성형완료된 성형 완성품을 원단 성형부에서 이동 배출되게 하는 성형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단 펼침안착부는, 상기 원단 공급부에 의해 원단 성형부의 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사이에 공급된 성형원단의 후단을 클램핑 상태로 고정한 후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후단 고정수단, 상기 원단 공급부에 의해 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사이에 공급된 성형원단의 선단을 클램핑 상태로 고정한 후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선단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선단 고정수단은, 상기 원단 성형부의 전방에 배치되게 설치하며, 상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된 원단 선단하강대를 구비하는 선단 고정프레임, 상기 원단 선단하강대와 연결되도록 선단 고정프레임에 설치하며, 원단 선단하강대를 선단 고정프레임 상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게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선단 하강수단, 상기 원단 선단하강대에 연결 설치하며, 원단 공급부에 의해 원단 성형부의 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사이에 공급된 성형원단의 선단을 클램핑하는 선단 클램핑 실린더를 포함하는 차량용 카페트 성형 자동화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 클램핑수단은,
    상기 보강판 투입이동대에 결합 설치하는 클램핑 지지대,
    상기 클램핑 지지대의 일측에 연결 설치하며, 보강판 수납공급수단의 상측에 배치된 보강판을 클램핑하는 보강판 클램핑 실린더를 포함하는 차량용 카페트 성형 자동화 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 공급부는,
    상기 원단 성형부의 전방에 배치되게 설치하며, 상측에는 성형원단을 안착지지한 상태로 원단 성형부 외측에서 원단 성형부의 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사이에 배치될 수 있도록 전후방향으로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된 원단 투입이동대를 연결 구비하는 원단 공급프레임,
    상기 원단 투입이동대와 연결되도록 원단 공급프레임에 설치하며, 원단 투입이동대를 원단 공급프레임 상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되게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원단 공급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용 카페트 성형 자동화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 성형부의 상부금형 측면부에 연결 설치하며, 성형 완료된 성형 완성품을 클램핑하는 성형품 클램핑 실린더를 연결 구비하며,
    상기 성형 배출부는,
    상기 원단 성형부의 후방에 배치되게 설치하며, 상측에는 성형품 클램핑 실린더의 클램핑이 해제되면서 하방으로 낙하되는 성형 완성품을 안착지지하도록 원단 성형부의 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사이에 배치될 수 있게 전후방향으로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된 완성품 배출이동대를 연결 구비하는 완성품 배출프레임,
    상기 완성품 배출이동대와 연결되도록 완성품 배출프레임에 설치하며, 완성품 배출이동대를 완성품 배출프레임 상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되게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완성품 배출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용 카페트 성형 자동화 장치.

KR1020210027427A 2021-03-02 2021-03-02 차량용 카페트 성형 자동화 장치 KR102404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7427A KR102404568B1 (ko) 2021-03-02 2021-03-02 차량용 카페트 성형 자동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7427A KR102404568B1 (ko) 2021-03-02 2021-03-02 차량용 카페트 성형 자동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4568B1 true KR102404568B1 (ko) 2022-06-08

Family

ID=81981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7427A KR102404568B1 (ko) 2021-03-02 2021-03-02 차량용 카페트 성형 자동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456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9852Y1 (ko) * 2002-07-15 2003-01-06 김종무 자동차 도어트림용 내장재 접합장치
KR100868978B1 (ko) * 2007-09-03 2008-11-17 (주)인터플렉스 넉아웃 프레스 가공장치
KR101888332B1 (ko) * 2018-02-26 2018-08-13 강성호 차량용 바닥재의 제조 설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9852Y1 (ko) * 2002-07-15 2003-01-06 김종무 자동차 도어트림용 내장재 접합장치
KR100868978B1 (ko) * 2007-09-03 2008-11-17 (주)인터플렉스 넉아웃 프레스 가공장치
KR101888332B1 (ko) * 2018-02-26 2018-08-13 강성호 차량용 바닥재의 제조 설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5581B2 (en) Apparatus for punching and welding or bonding workpieces
EP2583805A1 (en) Carbon fiber-containing resin sheet carrying apparatus
JP4394611B2 (ja) ルーフガラス移載治具
KR102189368B1 (ko) 자동차 내장재의 스킨 부착 자동화 장치
CN116013813B (zh) 全自动封装系统
KR102038932B1 (ko) 차량용 플로워 카페트의 스크랩 제거장치
KR102404568B1 (ko) 차량용 카페트 성형 자동화 장치
KR101485064B1 (ko) 헤드레스트 스테이의 선단부 가공장치
KR101491121B1 (ko) 2차원 twb 공법에 적용 가능한 마찰교반용접용 지그 장치
KR102300281B1 (ko) 자동차 내장재의 스킨 진공 성형 장치
KR101473459B1 (ko) 헤드라이너 공급 셔틀라인
JPS6127168B2 (ko)
SK51072008A3 (sk) Zariadenie na osádzanie kolies na vozidlo
KR20210113358A (ko)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 및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방법
KR101008079B1 (ko) 서보 톰슨 프레스의 이송 테이블
CN110328783A (zh) 一种全自动真空橡胶硫化机
CN105195954B (zh) 汽车踏板的上件焊接装置
KR100957746B1 (ko) 자동차 내장재 성형장치
KR102118668B1 (ko) 사출물의 게이트 컷팅 및 적재 자동화 장치
KR101042878B1 (ko) 자동차 판넬 자동공급장치
KR102041805B1 (ko) 자동차 카페트 보강판용 자동 부착장치
KR102187190B1 (ko) 자동차 내장재 성형장치
CN102587044A (zh) 缝纫机的刺绣绷子更换装置
CN219464669U (zh) 一种钣金压装设备
KR102576579B1 (ko) 원단 파지용 클램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